KR102363651B1 -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 with improved functionality - Google Patents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 with improved function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651B1
KR102363651B1 KR1020200132934A KR20200132934A KR102363651B1 KR 102363651 B1 KR102363651 B1 KR 102363651B1 KR 1020200132934 A KR1020200132934 A KR 1020200132934A KR 20200132934 A KR20200132934 A KR 20200132934A KR 102363651 B1 KR102363651 B1 KR 102363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ft
closing device
automatic opening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9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호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호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호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20013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6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6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utomatic noncontact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lift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noncontact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lift with improved functionality selectively unlocks a door installed on a building and comprises: a body provided above the door; an actuator coupled to the body, and operating by a control unit; a blocker rotating by the actuator to selectively block opening of the door; and a magnetic sensor connected to the body, and sensing the magnetic force of a permanent magnet provided on a lift. When the magnetic sensor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actuator such that the door is opened. A speaker for voice output for acoustically providing locking and unlocking information when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and a display lamp for locking and unlocking for visually providing locking and unlocking information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etecting a passenger boarding the lift to turn on a light is provided.

Description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 WITH IMPROVED FUNCTIONALITY

본 발명은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및 시공의 편의성을 위하여 센서선의 배선구조를 좌우측에 각각 배치하고, 온 및 오프 접점을 이용하여 외부로 개폐장치의 동작상태를 전송할 수 있으며, 개폐여부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고, 인체가 감지되면 조명을 점등하며, 리프트의 개폐여부를 표시등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lift with improved function. More specifically, for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a wiring structure of a sensor wire i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an on and off contact is used to open and close the device to the outside It relates to a non-contact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for lifts with improved functions that can transmit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ft, provide voice guidance on whether to open or close, turn on a light when a human body is detected, and indicate whether the lift is open or closed with an indicator light .

일반적으로 건설작업용 리프트라 함은 동력을 사용하여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운반구를 매달아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설비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 및 성능을 가진것으로서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In general, a lift for construction work refers to a facility that can transport people or cargo by hanging a carrier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a guide rail using power, or a facility that has a similar structure and performance, and is used at the construction site.

건설작업용 리프트는 동력전달형식에 따라 랙 및 피니언식 리프트와 와이어 로프식 리프트로 구분하며, 사용용도에 따라 화물용 리프트와 사람의 탑승이 가능한 인화 공용 리프트로 구분하고 있다. Lifts for construction work are divided into rack and pinion type lifts and wire rope type lifts according to the type of power transmission.

종래 건설작업용 리프트는 대부분 플레이트가 T바를 밀면 도어가 열리는 구조를 가진다. 플레이트는 리프트에 결합되고, T바는 각층의 도어마다 배치된다. 그러나 각층의 도어마다 T바의 위치를 정확히 위치시키는 것은 어려우므로, 플레이트의 가격에 의한 T바의 회전량이 서로 다른 문제가 있었다. T바의 회전량이 작으면 T바가 도어의 개방을 간섭하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가 T바의 무게추가 달린 축을 때리다 보니 축이 쉽게 휘거나 부러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개선된 도어 개폐구조를 가진 리프트의 도어개폐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Most conventional lifts for construction work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door opens when the plate pushes the T-bar. Plates are coupled to lifts, and T-bars are placed on each floor's door.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T-bar for each door of each flo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T-bar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ice of the plate. If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T-bar is small, the T-bar interferes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haft was easily bent or broken as the plate hit the shaft with the weight of the T-bar.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lift having an improved door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9164호(이하 '선행문헌')는 건설 리프트용 도어 자동락 개폐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의 자동락 개폐장치는 건설 리프트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부와, 스위치부에 연결되고 도어를 단속하는 단속유닛과, 스위치부와 단속유닛에 전기를 제공하는 전력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this regar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9164 (hereinafter 'prior literature') discloses an automatic door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The automatic lock opening/closing device of the prior literature includes a switch unit operated by a construction lift, an intermittent unit connected to the switch unit to control a door, and a power supply device that provides electricity to the switch unit and the intermittent unit.

단속유닛은 전력공급장치를 통해 전기적으로 작동하고, 건설 리프트의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스위치부에 의해 도어를 단속한다. The control unit operates electrically through the 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s the door by a switch unit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struction lift.

스위치부는 작동레버 및 스위치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동레버는 스위치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작동레버는 건설리프트의 이동경로에 위치되도록 스위치박스로부터 돌출된다. 작동레버는 건설리프트의 승강시 건설리프트에 의해 밀려서 회전한다. 스위치박스는 작동레버의 조작에 의해 전기적으로 온오프된다. The switch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ion lever and a switch box. The operation lev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witch box. And the operation lever protrudes from the switch box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construction lift. The operation lever is pushed by the construction lift and rotates when the construction lift goes up and down. The switch box is electrically turned on and off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건설작업용 리프트는 건물의 층별로 설치된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이다. 층별로 설치된 도어는 건축물 완공시 해체되는 임시 설치물로서, 리프트와 도어의 간격은 가설되는 건축물마다 차이가 날 수 있다. 또한, 리프트와 도어의 간격은 층별로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A lift for construction work is an opening/closing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doors installed on each floor of a building. The door installed on each floor is a temporary installation that is dismantled upon completion of the building, and the gap between the lift and the door may be different for each building being erected. Also, in many c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lift and the door does not exactly match for each floor.

따라서 선행문헌의 자동락 개폐장치는, 리프트와 도어의 간격이 먼 경우, 작동레버가 건설리프트에 의해 덜 밀려서 스위치박스의 전기적 온오프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the automatic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ior literature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ift and the door is long, the operation lever is less pushed by the construction lift, so that the electrical on/off of the switch box is not normally performed.

한편, 선행문헌의 자동락 개폐장치의 단속유닛은 작동로드, 단속블록 및 단속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termittent unit of the automatic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ior literature is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ing rod, an intermittent block and an intermittent plate.

작동로드는 스위치박스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박스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이동된다. 단속블록은 작동로드에 연결된다. 단속플레이트는 지지봉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단속블록의 이동에 의해 단속플레이트의 회전이 차단된다. The operation rod is connected to the switch box, and is moved according to the on or off of the switch box. The interrupted block is connected to the actuating rod. The intermittent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bar. The rotation of the intermittent plate is blocked by the movement of the intermittent block.

단속 플레이트는 단속블록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차단블록과, 도어에 대향되도록 위치된 가이드 판부와, 가이드판부가 회전되도록 결합된 회전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intermittent plate is configured to include a blocking block positioned to face the intermittent block, a guide plate positioned to face the door, and a rotating roll part coupled to rotate the guide plate.

선행문헌의 자동락 개폐장치는, 작동레버가 건설리프트에 의해 덜 밀려서 스위치박스의 전기적 온오프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리프트에 탑승한 작업자는 스위치박스의 작동로드를 수동으로 돌려야 도어를 열고 탈출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ior literature, when the electrical on/off of the switch box is not normally performed because the operation lever is less pushed by the construction lift, the operator on the lift must manually turn the operation rod of the switch box to open the door and escape can do.

그러나 작동로드를 돌리려면 공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리프트 내에 공구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탈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스위치박스는 도어의 상단에 구비된다. 그리고 스위치박스의 상단에 공구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공구가 있더라도 스위치박스로의 접근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a tool is required to turn the actuating rod. Therefore, if the tool is not provided in the lif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scape. In addition, the switch box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door. And a hole into which the tool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top of the switch box.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ess the switch box even if there is a tool.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락 개폐장치는, 센서선을 접속 시공하기 위한 구조가 어느 한 쪽에만 마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시공의 불편함이 있었고, 도어락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만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에 탑승자의 불편함이 발생하였으며, 탑승자의 탑승여부를 관계없이 작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lock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as inconvenient in construction because the structure for connecting and constructing the sensor wire was provided on only one side, and the occupant was inconvenient because it wa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door lock was opened or closed only with the naked ey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hip was opera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occupant was on board or not.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9164호 (등록일: 2019.08.05).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9164 (Registration date: 2019.08.05)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프트와 도어의 간격이 멀더라도 도어의 잠금이 정상적으로 해제되고, 고장이나 긴급상황 발생시 손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contact typ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lift that is capable of normally unlocking a door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lift and the door is long, and allowing the door to be easily opened in the event of a failure or emergenc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개폐장치의 바디를 기준으로 센서선을 바디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선의 시공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contact type automatic switchgear for a lift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during wiring by enabling a sensor wire to be wir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body based on the body of the automatic switchgea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 및 오프 접점을 이용하여 외부로 개폐장치의 동작상태를 전송할 수 있고, 개폐여부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인체가 감지되면 조명을 점등하며, 리프트의 개폐여부를 표시등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closing device to the outside by using the on and off contacts, to guide the opening or closing by voice, to turn on the light when a human body is sensed, and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lif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contact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for a lift with an improved function to display with an indicator light.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된 도어의 잠금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위에 구비된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도어의 개방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블로커;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고, 리프트에 구비된 영구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자기센서가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시 잠금 및 해제 정보를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음성 출력용 스피커와, 잠금 및 해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잠금 및 해제용 표시등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리프트에 탑승하는 탑승자를 감지하여 조명을 점등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electively unlocking a door installed in a building, comprising: a body provided on the door; an actuator coupled to the body and operated by a control unit; a blocker rotating by the actuator so that the opening of the door is selectively blocked; and a magnetic sensor connected to the body and detecting the magnetic force of a permanent magnet provided in the lift, wherein when the magnetic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actuator to open the door and ,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a speaker for audio output for providing aural lock and unlock information when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and a lock and unlock indicator for visually providing lock and unlock information are respectively provided, It is achieved by a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lift with an improved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occupant riding on the lift and turning on the light is provided.

상기 바디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 및/또는 우측 영역에는, 전원선 및 센서선이 접속되기 위한 배선 단자부가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배선 단자부는 기밀유지용 커버에 의해 보호되로고 구성될 수 있다. In the left area and/or right area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a wiring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ng a power line and a sensor line is provided to face left or right, and the wiring terminal portion is protected by a cover for airtightness. can be configured.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상태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릴레이가 구비되고,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통하여 외부로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스위치 접점 형태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with a relay for operating according to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of the door, and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of the door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a switch contact through a contact point of the relay.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리프트의 승강방향으로 상기 자기센서보다 길고, 상기 리프트가 상기 도어의 앞에 정지할 때 상기 영구자석과 상기 자기센서의 자극이 서로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ermanent magnet may be longer than the magnetic sensor i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lift, and the magnetic poles of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agnetic sensor may face each other when the lift stops in front of the door.

상기 블로커의 회전축에 제1 홀 및 제2 홀이 형성된 가림판이 결합되고, 상기 제1 홀을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와 상기 제2 홀을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센서 및 상기 제2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shielding plate having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blocker, and a firs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first hole and a second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second hole, the first det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block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by the signal of the sensor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상기 영구자석은 제1 길이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리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자기센서는 제2 길이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리프트의 승강방향, 상기 제1 길이조절부재의 길이조절방향 및 상기 제2 길이조절부재의 길이조절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ermanent magnet is connected to the lift by a first length adjusting member, and the magnetic sensor is connected to the body by a second length adjusting member, and the elevating direction of the lift and the length adjusting direction of the first length adjusting member And the length adjustment direction of the second length adjustment member may be configured to form a right angle to each other.

상기 도어의 도어프레임에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도어에 의해 밀려 회전하며, 상기 블로커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rotating member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frame of the door, the rotating member may be rotated by being pushed by the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blocker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block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상기 회전부재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제3 길이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3 길이조절부재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블로커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밀려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otating member, the body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by a third length adjusting member, and when the length of the third length adjusting member increases or decreases, the blocker opens the door so that the protrusion It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ed by being pushed by.

상기 제3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된 제1 조절관;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조절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조절관; 상기 제1 조절관과 상기 제2 조절관을 연결하고, 탄성회복력을 형성하는 스프링; 및 상기 탄성회복력에 의한 상기 제2 조절관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가 제거되면, 상기 제3 길이조절부재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 length adjus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adjusting tube coupled to the door frame; a second adjustment tube coupled to the body and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adjustment tube; a spring connecting the first adjustment tube and the second adjustment tube, and forming an elastic recovery force; and a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adjustment tube by the elastic recovery force, and when the blocking member is removed, the length of the third length adjustment member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상기 제1 조절관과 상기 제2 조절관에 각각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구멍들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당겨지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Holes ar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adjustment tube and the second adjustment tube, and the blocking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unit inserted into the holes; and a manipulation unit form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unit and pulled by an external force.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센서가 영구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면,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부가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리프트와 도어의 간격이 멀더라도 도어의 잠금이 정상적으로 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gnetic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actuator so that the door is opened. be able to provide

또한, 제3 길이조절부재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 도어가 개방되도록 블로커가 돌출부에 의해 밀려 회전됨으로써, 고장이나 긴급상황 발생시 손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third length adjusting member is increased or decreased, the blocker is pushed and rotated by the protrusion to open the door, thereby providing a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lift that allows the door to be easily opened in the event of a failure or emergency. be able to

또한, 자동개폐장치의 바디를 기준으로 센서선을 바디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선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선의 시공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sensor wire to be wir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body based on the body of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during wiring.

또한, 바디의 내부 회로에 도어락 잠금 및 해제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릴레이를 설치함으로써 외부로 개폐장치의 동작상태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relay operating according to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of the door lock in the internal circuit of the bod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transmit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the outside.

또한, 개폐여부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고, 인체가 감지되면 조명을 점등하며, 리프트의 개폐여부를 표시등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탑승자에게 시각 및 청각을 통하여 정확한 개폐여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occupant by providing a function of guiding whether the lift has been opened or closed by voice, turning on a light when a human body is detected, and displaying whether the lift is open or closed with an indicator light. That is, by providing accurate opening/closing information to the occupant through visual and auditory means, the effect of ensuring the occupant's safety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된 리프트의 도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가 도어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가 도어의 폐쇄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의 제2 길이조절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1의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와 메인제어부의 연결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b)는 안전 및 편의 관련 구성요소가 제어부와 연결된 상태를 표현한 개략도이며, (c)는 제어부에 구비되는 릴레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바디와 도어프레임을 연결하는 제3 길이조절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oor of the lift in which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he lift shown in FIG. 1 is installed.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by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he lift of FIG. 2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 of FIG. 2 releases the closing of the door.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door of FIG. 4 .
6 is a view showing a second length adjusting member of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he ft of FIG. 3 .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non-contact typ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lift of FIG. 1, an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 of FIG. 4 .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he lift of FIG. 5 .
Figure 10 (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he lift of Figure 1 and the main control unit, (b) is a schematic diagram expressing the state in which safety and convenience related components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 is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lay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1 and 12 are views showing a third length adjusting member connecting the body and the door fram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element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가 설치된 도어(3)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가 도어(3)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for a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oor 3 installed with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for a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3 is closed by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for the lift of FIG. 2 .

도 4는 도 2의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가 도어(3)의 폐쇄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도어(3)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의 제2 길이조절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for a lift of FIG. 2 releases the closing of the door 3 . FIG. 5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door 3 of FIG. 4 . 6 is a view showing a second length adjusting member of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for the ft of FIG. 3 .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non-contact typ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lift of FIG. 1, an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 of FIG. 4 .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he lift of FIG. 5 .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는 건축물(1)에 설치된 도어(3)의 잠금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장치로서, 리프트(2)와 연결된 각층의 도어(3)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1 to 9,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for a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selectively unlocking the lock of the door 3 installed in the building 1, and the lift It is made to open and close the door (3) of each floor connected to (2).

이러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는, 도어(3)의 위에 구비된 바디(100)와, 바디(100)에 결합되고, 제어부(200)에 의해 작동하는 액추에이터(300)와, 도어(3)의 개방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액추에이터(300)에 의해 회전하는 블로커(400)와, 바디(100)에 연결되고, 리프트(2)에 구비된 영구자석(4)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for lift includes a body 100 provided on the door 3, an actuator 300 coupled to the body 100 and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door ( 3) Magnetism that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blocker 400 rotating by the actuator 300 and the body 100 and the permanent magnet 4 provided in the lift 2 so that the opening is selectively block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nsor (500).

도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는 한 쌍의 유볼트(U) 및 장착관(150)에 의해 도어프레임(3C)에 연결될 수 있다. 장착관(150)의 일단부는 도어프레임(3C)에 결합된다. 장착관(150)은 사각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1 and 7 , the body 100 may be connected to the door frame 3C by a pair of U-bolts U and the mounting tube 150 . One end of the mounting pipe 150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3C. The mounting pipe 150 may be provided as a square pipe.

유볼트(U)는 바디(100)의 좌우 양쪽에서 장착관(150)을 감싼 상태로 한 쌍의 너트에 의해 후면판(120)에 각각 결합된다. 장착관(150)은 유볼트(U)와 한 쌍의 너트의 결합력에 의해 후면판(120)에 고정된다. The U-bolts U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ear plate 120 by a pair of nuts in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tube 150 is wrapp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00 . The mounting tube 150 is fixed to the rear plate 120 by the coupling force of the u-bolt U and a pair of nuts.

후면판(120)에 유볼트(U)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홀(101)이 형성된다. 다수의 고정홀(101)은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로 형성된다. 고정홀(101)들은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을 따라 각각 5mm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01 into which both ends of the U-bolt U are inserted are formed in the rear plate 120 .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01 are respectively formed in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fixing holes 101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of 5 mm, respectively,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따라서 유볼트(U)를 풀고 다시 조임으로써, 바디(100)의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자기센서(500)의 위치를 영구자석(4)의 앞쪽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Therefore, by loosening and tightening the U-bolt (U) aga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s of the body 100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sensor 500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front of the permanent magnet 4 .

그리고, 바디(100)의 전면에는, 도어(3)의 잠금 및 해제시 잠금 및 해제 정보를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음성 출력용 스피커(210)와, 잠금 및 해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잠금 및 해제용 표시등(220)이 각각 마련되며, 리프트(2)에 탑승하는 탑승자를 감지하여 조명(230)을 점등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100, a speaker 210 for audio output for providing locking and unlocking information when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3, and a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for visually providing locking and unlocking information A release indicator 220 is provided, respectively, and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240 for detecting a occupant riding on the lift 2 and turning on the light 230 is further included.

또한, 전술한 바디(100)는 도어(3)의 위에 구비된다. 바디(100)는 측면판(110), 후면판(120) 및 전면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면판(110)은 후면판(120)의 전면에 결합된다. 전면판(130)은 측면판(110)의 전면 개구를 덮는다. 전면판(130)은 볼트에 의해 측면판(11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body 100 is provided above the door 3 . The body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ide plate 110 , a rear plate 120 , and a front plate 130 . The side plate 11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plate 120 . The front plate 130 covers the front opening of the side plate 110 . The front plate 130 may be coupled to the side plate 110 by bolts. The body 100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또한, 바디(100)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L) 및/또는 우측 영역(R)(양쪽 측면판)에는, 전원선 및 센서선이 접속되기 위한 배선 단자부(250)가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도록 마련되고, 배선 단자부(250)는 기밀유지용 커버(252)에 의해 보호된다. 기밀유지용 커버(252)는 배선 단자부(250)를 커버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하부에는 배선(전선들)이 통과되기 위한 배선 통과공(252A)이 형성된다. 따라서, 기밀유지용 커버(252)가 배선 단자부(250)를 커버한 상태에서도 배선들은 배선 단자부(250)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배선 단자부(250)가 좌측 영역(L) 및/또는 우측 영역(R)에 구비됨으로써, 바디(100)에 배선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바디(1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좌측 영역(L)이 노출되거나 우측 영역(R)이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좌측 영역(L)이 노출된 경우에는 좌측 영역(L)의 배선 단자부(250)에 배선하고, 우측 영역(R)이 노출된 경우에는 우측 영역(R)의 배선 단자부(250)에 배선할 수 있음으로써 배선작업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left region (L) and/or the right region (R) (both side plates)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0 , the wiring terminal part 250 for connecting the power line and the sensor wire is connected to the left or right side. It is provided to face, and the wiring terminal part 250 is protected by the airtight cover 252 . The airtight cover 252 is formed to cover and protect the wiring terminal part 250 , and a wiring passage hole 252A through which wiring (wires) passes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ccordingly, even when the airtight cover 252 covers the wiring terminal unit 250 , the wirings may be connected to the wiring terminal unit 250 . In addition, since the wiring terminal unit 250 is provided in the left region L and/or the right region R, wiring to the body 100 may be easily performed. That is, since the left region L or the right region R may be expos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ody 100 , when the left region L is exposed, the wiring terminal part ( 250), and when the right region R is exposed, it can be wired to the wiring terminal part 250 of the right region 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during wiring.

전술한 배선 통과공(252A)을 통과하는 전선들에 의해 제어부(200)와 액추에이터(300), 감지센서들이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전선들은 메인 제어부(MP)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00 , the actuator 300 , and the detection sensor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s passing through the wiring through hole 252A, and the wires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MP.

한편, 바디(100)에는, 도어(3)의 잠금 및 해제시 잠금 및 해제 정보를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음성 출력용 스피커(210)와, 잠금 및 해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잠금 및 해제용 표시등(220) 및 리프트(2)에 탑승하는 탑승자를 감지하여 조명(230)을 점등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240)가 각각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body 100, a speaker 210 for audio output for providing aural lock and unlock information when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3, and for locking and unlocking for visually providing lock and unlock information Each of the indicator light 220 and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240 for turning on the light 230 by detecting the occupant riding on the lift 2 is provided.

이와 같이 음성 출력용 스피커(210)와 잠금 및 해제용 표시등(220) 및 리프트(2) 내부를 비추기 위한 조명(230)을 점등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240)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도어(3)의 잠금 및 해제시 잠금 및 해제 정보를 탑승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체감지센서(240)가 리프트(2)에 탑승하는 탑승자를 감지하여 조명(230)을 점등시킴으로써 탑승자에게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peaker 210 for voice output, the indicator light 220 for locking and unlocking, and the human body sensor 240 for illuminating the light 230 to illuminate the interior of the lift 2 are provided, respectively, so that the door (3) When locking and unlocking the vehicle, locking and unlocking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passenger visually and audibly. In addition, the human body sensor 240 detects an occupant riding on the lift 2 and turns on the light 230 to provide convenience and safety to the occupant.

전술한 음성 출력용 스피커(210), 잠금 및 해제용 표시등(220), 조명(230) 및 인체감지센서(240) 등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에 마련된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 제어된다. 즉, 도어(3)의 잠금 및 해제시 잠금 정보와 해제 정보가 각종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200)가 음성 출력용 스피커(210)를 통하여 잠금 및/또는 해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잠금 및 해제용 표시등(220)이 도어 해제 표시를 파란색이나 녹색으로 점등되어 표시하며, 도어 잠금 표시를 붉은색이나 오렌지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The speaker 210 for voice output, the indicator light 220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lighting 230 and the human body sensor 240 described above are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body 100 as shown in FIG.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is controlled. That is, when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3 is detected by various sensors, the control unit 200 outputs the locking and/or unlocking information by voice through the speaker 210 for audio output, and locking the door 3 . and the release indicator 220 is to control the door release indicator to be lit in blue or green to display, and to display the door lock indicator to be red or orange.

또한, 음성 출력용 스피커(210)는, "리프트가 도착하고 있습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 "안전문이 열렸습니다. 조심히 탑승하세요", "안전문이 닫혔습니다. 호출 후 기다려 주세요" 등과 같은 멘트를 출력하도록 제어부(200)가 제어한다.In addition, the speaker 210 for audio output, "The lift is arriving. Please wait for a moment", "The safety door is open. Please board carefully", "The safety door is closed. Please wait after calling", etc.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output.

이와 같이 탑승자에게 도어(3)의 잠금 및 해제시 잠금 정보와 해제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제공하고, 조명(230)을 점등함으로써 탑승자에게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and safety to the occupants by providing the occupant with audio-visual information about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3 when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3 and turning on the light 230 .

전술한 스피커(210), 잠금 및 해제용 표시등(220), 조명(230) 및 인체감지센서(240) 등은 메인 제어부(MP)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도 있다. The speaker 210, the lock and unlock indicator 220, the light 230, and the human body sensor 240 described above may be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ler MP.

한편, 제어부(200)에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의 잠금 및 해제 상태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릴레이(270)가 구비된다. 이 릴레이(270)의 작동시 접점을 통하여 외부로 도어(3)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스위치 접점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의 회로에 도어(3)의 잠금 및 해제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릴레이(270)을 구비시킴으로써 릴레이(270) 접점의 접속 여부 또는 접속 상태를 따라 리프트(2)와 공간적으로 떨어진 종합 제어실, 관제실 또는 상황실에 도어(3)의 잠금 및 해제 상태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상황실에서 도어(3)의 잠금 및 해제 이상 상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하여 리프트(2)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등의 비상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00, as shown in Fig. 10 (c), is provided with a relay 270 to operate according to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of the door (3). When the relay 270 is operated,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of the door 3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tact in the form of a switch contact. That is, by providing the circuit of the control unit 200 with the relay 270 operating according to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of the door 3, it is spatially separated from the lift 2 depending on whether the relay 270 contact is connected or the connected state. It can be provided as locking and unlocking state information of the door 3 to the general control room, control room, or situation room. Therefor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10,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identify the abnormal state of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3 in the control room to cope with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lift 2 there will be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3)의 잠금 및 해제 정보를 이용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제공하 위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는 도어(3)는 건축물(1)의 개구에 설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의 좌우 양쪽에 각각 도어프레임(3C)이 설치된다. 도어프레임(3C)은 세로방향으로 긴 파이프 형태를 형성한다. 도어프레임(3C)의 상단 및 하단은 개구의 천장면과 바닥면에 밀착된다. 도어프레임(3C)은 비계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for a lift for visually and audibly providing lock and unlock information of the door 3 to the user, the door 3 is installed in the opening of the building 1 . That is, as shown in FIG. 2 , the door frames 3C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ing. The door frame 3C forms a longitudinally long pipe shap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oor frame 3C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The door frame 3C may be provided as a scaffold or the like.

리프트(2)는 개구의 외측에서 승강한다.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개구를 기준으로 바깥쪽을 뒤쪽으로, 개구를 기준으로 건축물(1)의 안쪽을 앞쪽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The lift 2 goes up and down from the outside of the opening.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refer to the outside as the back as the opening and the inside of the building 1 as the front based on the opening.

리프트(2)에 영구자석(4)이 구비된다. 영구자석(4)은 리프트(2)의 승강방향으로 자기센서(500)보다 긴 길이를 형성한다. 영구자석(4)과 자기센서(500)의 자극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A permanent magnet 4 is provided on the lift 2 . The permanent magnet 4 forms a longer length than the magnetic sensor 500 in the elevating direction of the lift 2 . The magnetic poles of the permanent magnet 4 and the magnetic sensor 500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리프트(2)가 도어(3)의 앞에 정지할 때 영구자석(4)과 자기센서(500)의 자극이 서로 나란할 수 있다. When the lift 2 stops in front of the door 3 , the magnetic poles of the permanent magnet 4 and the magnetic sensor 500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또는, 리프트(2)가 도어(3)의 앞에 정지할 때 영구자석(4)과 자기센서(500)의 자극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일 예로, 영구자석의 N극이 자기센서의 S극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또는, 영구자석의 S극이 자기센서의 N극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lift 2 stops in front of the door 3 , the magnetic poles of the permanent magnet 4 and the magnetic sensor 500 may face each other. For example, the N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may face the S pole of the magnetic sensor. Alternatively, the S pole of the permanent magnet may face the N pole of the magnetic sensor.

자기센서(500)가 영구자석(4)의 자력을 감지하는 감도가 향상되도록, 상황에 따라 영구자석(4)과 자기센서(500)의 자극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4)과 자기센서(500)의 세로방향 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자기센서(500)가 영구자석(4)의 자력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The magnetic pole direction of the permanent magnet 4 and the magnetic sensor 500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so that the magnetic sensor 500 improves the sensitivity for detect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4 . Therefore, even if the vertical positions of the permanent magnet 4 and the magnetic sensor 500 are slightly shifted, the magnetic sensor 500 can easily detect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4 .

또한, 영구자석(4)은 가로방향으로 자기센서(500)보다 긴 폭을 형성한다. 따라서 영구자석(4)과 자기센서(500)의 가로방향 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자기센서(500)가 영구자석(4)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rmanent magnet 4 forms a width longer than the magnetic sensor 50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ccordingly, even if the position of the permanent magnet 4 and the magnetic sensor 5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lightly shifted, the magnetic sensor 500 can detect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4 .

영구자석(4)은 제1 길이조절부재(4A)에 의해 리프트(2)에 연결된다. 제1 길이조절부재(4A)는 결합부(4A1), 제1 관부(4A2) 및 제2 관부(4A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관부(4A2) 및 제2 관부(4A3)는 도어(3)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The permanent magnet 4 is connected to the lift 2 by a first length adjusting member 4A. The first length adjustment member 4A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portion 4A1, a first tube portion 4A2, and a second tube portion 4A3. The first tube portion 4A2 and the second tube portion 4A3 form a shape elong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door 3 .

결합부(4A1)는 리프트(2)의 프레임(뼈대)에 결합된다. 결합부(4A1)는 리프트(2)의 프레임에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 4A1 is coupled to the frame (skeleton) of the lift 2 . The coupling portion 4A1 may be coupled to the frame of the lift 2 by bolts or welding.

제1 관부(4A2) 및 제2 관부(4A3)는 사각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관부(4A3)는 제1 관부(4A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길이조절부재(4A)의 가로방향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The first pipe part 4A2 and the second pipe part 4A3 may be provided as square pipes. The second tube portion 4A3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tube portion 4A2. Therefore,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first length adjusting member (4A) can be adjusted.

리프트(2)의 승강방향(세로방향)과 제1 길이조절부재(4A)의 길이조절방향(가로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룬다. The lifting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lift 2 and the length adjusting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length adjusting member 4A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영구자석(4)은 제2 관부(4A3)에 결합된다. 영구자석(4)은 제2 관부(4A3)에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permanent magnet 4 is coupled to the second tube portion 4A3. The permanent magnet 4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ipe portion 4A3 by a bolt or the like.

제1 관부(4A2)는 결합부(4A1)에 결합된다. 결합부(4A1)에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돌출부는 제1 관부(4A2)의 한쪽 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The first pipe portion 4A2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4A1. A protrusion (not shown)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4A1 , and the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one opening of the first tube portion 4A2 .

제1 관부(4A2)의 양단부에 각각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부(4A2)와 돌출부는 나사홀에 나사결합된 볼트에 의해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부(4A2)와 제2 관부(4A3)는 나사홀에 나사결합된 볼트에 의해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4)의 가로방향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Screw hole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pipe portion 4A2, respectively. The first tube portion 4A2 and the protrusion may form a coupling force by a bolt screwed into the screw hole. In addition, the first tube portion 4A2 and the second tube portion 4A3 may form a coupling force by a bolt screwed into the screw hole. Therefore,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permanent magnet 4 can be easily adjusted.

도어(3)는 제1 도어(3A) 및 제2 도어(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3A) 및 제2 도어(3B)는 도어프레임(3C)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도어(3A) 및 제2 도어(3B)는 앞쪽으로 회전하여 열리는 여닫이문을 형성한다. The door 3 may include a first door 3A and a second door 3B. The first door 3A and the second door 3B are respectively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frame 3C. The first door 3A and the second door 3B are rotated forward to form a hinged door.

도어프레임(3C)에 회전부재(3D)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부재(3D)는 가로방향으로 긴 형태를 형성한다. 회전부재(3D)의 양단부는 도어프레임(3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rotating member 3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frame 3C. The rotating member 3D forms an elongated shap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oth ends of the rotating member 3D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frame 3C.

회전부재(3D)는 제1 판부(3D1) 및 제2 판부(3D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판부(3D1)와 제2 판부(3D2)는 서로 직각을 형성한다. 회전부재(3D)는 "ㄱ"형상의 형강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rotating member 3D includes a first plate portion 3D1 and a second plate portion 3D2. The first plate part 3D1 and the second plate part 3D2 form a right angle to each other. The rotating member 3D may be provided as a "L"-shaped section steel.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제1 판부(3D1)는 도어(3)의 전면에 밀착된다. 이때 제2 판부(3D2)의 상면은 바닥면과 나란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2 and 3 , when the door 3 is closed, the first plate part 3D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3 .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part 3D2 may form a surfac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D)는 도어(3) 개방시 도어(3)에 의해 밀려 회전된다. 도어(3)가 열리면, 제1 판부(3D1)는 도어(3)의 전면에 밀려 회전한다. 이때 제2 판부(3D2)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4 and 5 , the rotating member 3D is rotated by being pushed by the door 3 when the door 3 is opened. When the door 3 is opened, the first plate portion 3D1 is pushed against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3 and rotates. In this case, the second plate part 3D2 may form a vertically erected shap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액추에이터(300)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블로커(400)와 자기센서(500), 제1 감지센서(600) 및 제2 감지센서(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for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er 400 that rotates by an actuator 300 provided in the body 100 as shown in FIG. 7 . and a magnetic sensor 500 , a first detection sensor 600 , and a second detection sensor 700 .

자기센서(500)는 도 5 및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2)에 구비된 영구자석(4)의 자력을 감지한다. 제어부(200)는 자기센서(5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액추에이터(300)를 작동시킨다. 자기센서(500)는 제2 길이조절부재(160)에 의해 바디(100)에 연결된다. 제2 길이조절부재(160)는 바디(100)로부터 뒤쪽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The magnetic sensor 500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4 provided in the lift 2, as shown in FIGS. 5 and 10 (a). The control unit 200 receives a signal from the magnetic sensor 500 to operate the actuator 300 . The magnetic sensor 500 is connected to the body 100 by the second length adjusting member 160 . The second length adjustment member 160 forms a shape extending backward from the body 100 .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길이조절부재(160)는 제1 브래킷(161) 및 제2 브래킷(1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브래킷(161) 및 제2 브래킷(162)은 바디(100)로부터 뒤쪽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4 and 5 , the second length adjusting member 16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bracket 161 and a second bracket 162 . The first bracket 161 and the second bracket 162 form a shape extending backward from the body 100 .

제1 브래킷(161)은 바디(100)에 결합된다. 제1 브래킷(161)은 후면판(120)에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 자기센서(500)는 제2 브래킷(162)에 결합된다. 자기센서(500)는 제2 브래킷(162)에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bracket 161 is coupled to the body 100 . The first bracket 161 may be bolted to the rear plate 120 . The magnetic sensor 500 is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162 . The magnetic sensor 500 may be bolted to the second bracket 162 .

제1 브래킷(161) 및 제2 브래킷(162) 중 하나 이상에 각각 장공(161A)이 형성된다. 장공(161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로부터 뒤쪽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제1 브래킷(161)과 제2 브래킷(162)은 장공(161A)에 삽입된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A long hole 161A is formed in one or more of the first bracket 161 and the second bracket 162, respectively. The long hole 161A forms a shape extending backward from the body 100, as shown in FIG. 6 . The first bracket 161 and the second bracket 162 are coupled by a bolt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61A).

장공(161A)에 의해 제2 길이조절부재(16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트(2)와 도어(3)의 간격이 멀거나 가까운 경우 자기센서(500)의 위치를 영구자석(4) 쪽이나 그 반대쪽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second length adjustment member 160 may be adjusted by the long hole 161A. Therefor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ift 2 and the door 3 is far or close,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sensor 500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side of the permanent magnet 4 or the opposite side.

리프트(2)의 승강방향(세로방향), 제1 길이조절부재(4A)의 길이조절방향(가로방향) 및 제2 길이조절부재(160)의 길이조절방향(전후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룬다. The lifting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lift 2, the length adjusting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length adjusting member 4A, and the length adjusting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econd length adjusting member 160 are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300)와 제어부(200)는 수용공간 내부에서 바디(100)에 결합된다. 액추에이터(300)는 제어부(200)에 의해 작동된다. 액추에이터(300)는 모터(미도시) 및 제1 기어(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7 , the actuator 300 and the control unit 200 are coupled to the body 100 in the receiving space. The actuator 300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200 . The actuator 3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tor (not shown) and a first gear 310 .

제1 기어(310)는 모터의 축에 결합된다. 제어부(200)는 모터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블로커(400)의 회전축(410)에 제2 기어(411)가 형성된다. 제1 기어(310)는 제2 기어(411)와 맞물린다. 모터의 회전력은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411)를 통해 블로커(400)의 회전축(410)에 전달된다. The first gear 310 i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The control unit 200 rotates the motor in both directions. A second gear 411 is formed on the rotation shaft 410 of the blocker 400 . The first gear 310 meshes with the second gear 411 .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shaft 410 of the blocker 400 through the first gear 310 and the second gear 411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커(400)는 도어(3)의 개방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액추에이터(300)에 의해 회전한다. 블로커(400)는 일 방향으로 긴 블록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7 , the blocker 400 is rotated by the actuator 300 so that the opening of the door 3 is selectively blocked. The blocker 400 may form a long block shape in one direc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에 블로커(400)의 회전축(4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410)은 세로방향의 축을 형성한다. 회전축(410)의 하단부는 바디(100)의 바깥으로 돌출된다. 블로커(400)는 바디(100)의 외부에서 회전축(41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7 , the rotation shaft 410 of the blocker 4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100 . The rotating shaft 410 forms a longitudinal axis.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41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 The blocker 40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410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100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센서(500)가 영구자석(4)의 자력을 감지하면, 도어(3)가 개방되도록 제어부(200)가 액추에이터(300)를 작동시키게 된다. 3 and 4, when the magnetic sensor 500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4, the control unit 200 operates the actuator 300 so that the door 3 is open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2)가 승강하여 도어(3)가 설치된 층에 도착하면, 영구자석(4)이 자기센서(500)의 뒤쪽에 위치한다. 자기센서(500)가 영구자석(4)의 자력을 감지하면, 액추에이터(300)는 블로커(400)를 제2 판부(3D2)의 위쪽에서 벗어나는 위치로 회전시킨다. As shown in FIG. 4 , when the lift 2 goes up and down and arrives at the floor where the door 3 is installed, the permanent magnet 4 is positioned behind the magnetic sensor 500 . When the magnetic sensor 500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4 , the actuator 300 rotates the blocker 400 to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late part 3D2 .

이하에서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블로커(400)가 제2 판부(3D2)의 위쪽으로 회전된 상태(도 3 참조)를 '제1 회전상태'로 지칭하고자 한다. 그리고 블로커(400)가 제2 판부(3D2)의 위쪽에서 벗어난 상태(도 5 참조)를 '제2 회전상태'로 지칭하고자 한다. 블로커(400)는 제1 회전상태와 제2 회전상태에서 90도 내외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Hereinafter,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the blocker 400 is rotated upward of the second plate part 3D2 (see FIG. 3 )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rotation state'. In addition, a state in which the blocker 400 deviat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late part 3D2 (see FIG. 5 ) is referred to as a 'second rotational state'. The blocker 400 may form an angle between the first rotation state and the second rotation state of about 90 degrees.

즉, 자기센서(500)가 영구자석(4)의 자력을 감지하면, 제1 회전상태에 있던 블로커(400)는 제2 회전상태로 회전된다. That is, when the magnetic sensor 500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4 , the blocker 400 in the first rotational state is rotated to the second rotational stat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상태에서 도어(3)를 열면, 회전부재(3D)는 도어(3)에 의해 밀려 회전된다. 도어(3)가 열리면, 제1 판부(3D1)는 도어(3)의 전면에 밀려 회전한다. 이때 제2 판부(3D2)는 회전하여 세로방향으로 세워진다. As shown in FIG. 5 , when the door 3 is opened in the second rotation state, the rotation member 3D is pushed and rotated by the door 3 . When the door 3 is opened, the first plate portion 3D1 is pushed against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3 and rotates. At this time, the second plate portion 3D2 is rotated and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2)가 승강하여 도어(3)가 설치된 층으로부터 벗어나면, 영구자석(4)이 자기센서(500)의 뒤쪽에서 이탈한다. 자기센서(500)가 영구자석(4)의 자력을 감지하지 못하면, 액추에이터(300)는 블로커(400)를 제2 판부(3D2)의 위쪽 즉, 제1 회전상태로 회전시킨다. As shown in FIG. 3 , when the lift 2 moves up and out from the floor on which the door 3 is installed, the permanent magnet 4 separates from the rear of the magnetic sensor 500 . If the magnetic sensor 500 does not detect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4 , the actuator 300 rotates the blocker 400 above the second plate part 3D2 , that is, in the first rotational state.

제1 회전상태에서 회전부재(3D)는 도어(3)의 전면과 블로커(400)의 저면 사이에 갇혀 회전이 구속된다. 따라서 제1 회전상태에서 도어(3)는 열리지 않고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즉, 블로커(400)는 회전부재(3D)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킨다. In the first rotational state, the rotation member 3D is lock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locker 400 so that rotation is restricted. Accordingly, in the first rotational state, the door 3 is not opened and remains closed. That is, the blocker 400 selectively block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3D.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커(400)의 회전축(410)에 가림판(420)이 결합된다. 가림판(420)은 회전축(4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부채꼴(circular sector)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가림판(420)에 제1 홀(421) 및 제2 홀(422)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8 to 9 , the shielding plate 420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410 of the blocker 400 . The shielding plate 420 may form a circular sector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410 . A first hole 421 and a second hole 422 are formed in the shielding plate 420 .

제어부(200)에 제1 감지센서(600) 및 제2 감지센서(700)가 결합된다. 제1 감지센서(600) 및 제2 감지센서(700)는 적외선 센서(IR sensor)로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detection sensor 600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700 are coupled to the control unit 200 . The first detection sensor 600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700 may be provided as infrared sensors.

제어부(200)는 제1 감지센서(600) 및 제2 감지센서(700)의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200)는 제1 감지센서(600) 및 제2 감지센서(700)의 신호에 의해 액추에이터(3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The control unit 200 receives signals from the first detection sensor 600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700 . The control unit 2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300 by the signals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600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700 .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이용한 센서로 방사된 적외선이 센서 내의 자발 분극을 갖는 물질의 분극을 변화시켜 외부 자유 전하를 발생시킴으로써 외부 물질을 감지한다.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의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적외선을 감지하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nfrared sensor is a sensor using infrared, and the infrared ray emitted from the sensor changes the polarization of a material having a spontaneous polarization in the sensor to generate an external free charge, thereby sensing an external material. The infrared sensor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for generating infrared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sensing infrared ligh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지센서(600)는 제1 홀(421)을 감지한다. 제1 감지센서(600)의 발광부에서 나온 적외선이 제1 홀(421)을 통과하여 수광부에 들어오면, 이를 감지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8 , the first detection sensor 600 detects the first hole 421 . When the infrared ray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600 passes through the first hole 421 and enters the light receiving unit, it is sensed.

블로커(400)가 제1 회전상태로 회전하면, 제1 감지센서(600)는 제1 홀(421)을 감지하게 된다. 제1 감지센서(600)의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200)는 액추에이터(3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When the blocker 400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al state, the first detection sensor 600 detects the first hole 421 . The control unit 200 receiving the signal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6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300 .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감지센서(700)는 제2 홀(422)을 감지한다. 제2 감지센서(700)의 발광부에서 나온 적외선이 제2 홀(422)을 통과하여 수광부에 들어오면, 이를 감지하게 된다. As shown in (a) of FIG. 10 , the second detection sensor 700 detects the second hole 422 . When the infrared ray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second detection sensor 700 passes through the second hole 422 and enters the light receiving unit, it is sensed.

블로커(400)가 제2 회전상태로 회전하면, 제2 감지센서(700)는 제2 홀(422)을 감지하게 된다. 제2 감지센서(700)의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200)는 액추에이터(3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When the blocker 400 rotates in the second rotation state, the second detection sensor 700 detects the second hole 422 . The control unit 200 receiving the signal of the second detection sensor 7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300 .

도 10의 (a)은 도 1 및 도 2의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와 메인제어부(200)의 연결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층마다 구비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와 메인 제어부(MP)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다. 10 (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for lift and the main control unit 200 of FIGS. 1 and 2, and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 for lift provided on each floor and the main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ontrol unit MP is shown.

메인 제어부(MP)는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MP)는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들의 신호를 수신한다. The main control unit MP supplies power to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s 10 for lift. 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MP receives the signals of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s 10 for the lift.

도 11 및 도 12는 바디(100)와 도어프레임(3C)을 연결하는 제3 길이조절부재(17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1 and 12 are views showing a third length adjusting member 170 connecting the body 100 and the door frame 3C.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는 제3 길이조절부재(170)에 의해 도어프레임(3C)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길이조절부재(170)는 장착관(150)의 다른 실시예로 이해되어야 한다. 11 , the body 100 may be coupled to the door frame 3C by the third length adjusting member 170 . The third length adjustment member 170 should be understoo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mounting tube 150 .

제3 길이조절부재(170)는 제1 조절관(171), 제2 조절관(172), 스프링(173) 및 차단부재(1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third length adjustment member 17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adjustment tube 171 , a second adjustment tube 172 , a spring 173 , and a blocking member 174 .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관(171) 및 제2 조절관(172)은 도어(3)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제1 조절관(171) 및 제2 조절관(172)은 사각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조절관(171)의 일단부는 도어프레임(3C)에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11 , the first adjustment tube 171 and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form an elongated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door 3 . The first adjustment tube 171 and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may be provided as square pipes. One end of the first adjustment tube 171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3C.

바디(100)는 한 쌍의 유볼트(U)에 의해 제2 조절관(172)에 결합된다. 유볼트(U)는 바디(100)의 좌우 양쪽에서 제2 조절관(172)을 감싼 상태로 한 쌍의 너트에 의해 후면판(120)에 각각 결합된다. 제2 조절관(172)은 유볼트(U)와 한 쌍의 너트의 결합력에 의해 후면판(120)에 고정된다. 제2 조절관(172)은 제1 조절관(171)에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body 100 is coupled to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by a pair of U-bolts (U). The u-bolts U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ear plate 120 by a pair of nuts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is wrapp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100 .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is fixed to the rear plate 120 by the coupling force of the u-bolt U and a pair of nuts.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adjustment tube 17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73)은 제1 조절관(171)과 제2 조절관(172)을 연결한다. 제1 조절관(171) 및 제2 조절관(172)에 핀(173A)이 결합된다. 스프링(173)의 양쪽은 핀(173A)에 결합된다. 스프링(173)은 코일 스프링(1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11 , the spring 173 connects the first adjustment tube 171 and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 A pin 173A is coupled to the first adjustment tube 171 and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 Both sides of the spring 173 are coupled to the pin 173A. The spring 173 may be provided as a coil spring 173 .

차단부재(174)는 제2 조절관(172)의 이동을 차단한다. 차단부재(174)는 삽입부(174A) 및 조작부(17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blocking member 174 blocks the movement of the second adjusting tube 172 . The blocking member 174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174A and an operation portion 174B.

삽입부(174A)는 일 방향으로 긴 로드(rod) 형태를 형성한다. 제1 조절관(171)과 제2 조절관(172)에 각각 구멍(H)이 형성된다. 삽입부(174A)는, 구멍(H)들이 전후방향으로 일치한 상태에서, 구멍(H)들에 삽입된다. The insertion part 174A forms a long rod shape in one direction. A hole H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adjustment tube 171 and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 The insertion portion 174A is inserted into the holes H in a state in which the holes H coinc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따라서 제2 조절관(172)의 이동이 차단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제2 조절관(172)의 이동이 차단된 상태를 차단상태(도 10의 (a) 참조)로 지칭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second control tube 172 is blocked. Hereinafter,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is blocked is referred to as a blocked state (refer to FIG. 10 (a)).

조작부(174B)는 삽입부(174A)의 끝단에 형성된다. 조작부(174B)는 외력에 의해 당겨지는 부분이다. 조작부(174B)는 손가락, 후크 등이 걸리는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operation part 174B is form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art 174A. The operation part 174B is a part pulled by an external force. The manipulation unit 174B may form a shape in which a finger, a hook, etc. are caught.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174)가 제2 조절관(172)의 이동을 차단한 상태 즉, 차단상태에서 스프링(173)은 탄성회복력을 형성한다. 즉, 차단부재(174)는 탄성회복력에 의한 제2 조절관(172)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11, the blocking member 174 blocks the movement of the second adjusting tube 172, that is, in the blocked state, the spring 173 forms an elastic recovery force. That is, the blocking member 174 blocks the movement of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by the elastic recovery forc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상태에서 스프링(173)은 제2 조절관(172)을 제1 조절관(171) 쪽으로 당기는 탄성회복력을 형성할 수 있다. 차단부재(174)가 제거되면, 스프링(173)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제3 길이조절부재(170)의 길이가 줄어든다. 11 , in the blocked state, the spring 173 may form an elastic recovery force that pulls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toward the first adjustment tube 171 . When the blocking member 174 is removed, the length of the third length adjustment member 170 is reduced by the elastic recovery force of the spring 173 .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차단상태에서 스프링(173)은 제2 조절관(172)을 제1 조절관(171)과 멀어지는 쪽으로 미는 탄성회복력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단부재(174)가 제거되면, 스프링(173)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제3 길이조절부재(170)의 길이가 늘어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blocked state, the spring 173 may form an elastic recovery force that pushes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away from the first adjustment tube 171 . In this case, when the blocking member 174 is removed, the length of the third length adjusting member 170 is increased by the elastic recovery force of the spring 173 .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D)에 돌출부(3E)가 형성된다. 돌출부(3E)는 제2 판부(3D2)의 상면에 형성된다. 돌출부(3E)는 제2 판부(3D2)의 상면에서 수 mm 정도 돌출된다. 따라서 회전부재(3D)는 제2 회전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11 , a protrusion 3E is formed on the rotating member 3D. The protrusion 3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part 3D2. The protrusion 3E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3D2 by several mm. Accordingly, the rotating member 3D may be rotated in the second rotating state.

메인 제어부(MP)로부터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되거나,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10)가 고장나는 경우, 작업자는 차단부재(174)를 구멍(H)에서 인출함으로써, 도어(3)를 쉽게 열 수 있다. 작업자는 손가락이나 막대의 단부를 조작부(174B)에 넣고 당김으로써 차단부재(174)를 구멍(H)에서 인출할 수 있다.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main control unit MP to th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10 for lift is interrupted or the non-contact type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10 for lift breaks down, the operator withdraws the blocking member 174 from the hole H By doing so, the door 3 can be opened easily. The operator can withdraw the blocking member 174 from the hole (H) by putting the end of the finger or the rod into the operation unit (174B) and pulling.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174)가 제거되어, 스프링(173)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제3 길이조절부재(170)의 길이가 줄어들면, 제2 조절관(172)은 스프링(173)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제1 조절관(171) 쪽으로 이동한다. 제2 조절관(172)에 결합된 바디(100)는 제2 조절관(172)과 함께 이동한다. 12, when the blocking member 174 is removed and the length of the third length adjusting member 170 is reduced by the elastic recovery force of the spring 173, the second adjusting tube 172 is a spring ( 173) moves toward the first adjustment tube 171 by the elastic recovery force. The body 100 coupled to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moves together with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

제2 조절관(172)이 제1 조절관(171) 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블로커(400)는 돌출부(3E)에 의해 밀려 제1 회전상태에서 제2 회전상태로 회전된다. 따라서, 리프트(2) 탑승자는 도어(3)를 앞으로 밀고 도어(3)를 열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the second adjustment tube 172 moving toward the first adjustment tube 171 , the blocker 400 is pushed by the protrusion 3E and rotates from the first rotational state to the second rotational state. Thus, the lift 2 occupant can push the door 3 forward and open the door 3 .

블로커(400)가 돌출부(3E)에 의해 밀려 제1 회전상태에서 제2 회전상태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블로커(400)와 돌출부(3E)의 마찰력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돌출부(3E)는 블로커(400)와의 접촉면이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blocker 400 is pushed by the protrusion 3E so that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locker 400 and the protrusion 3E is minimized in the process of rotating from the first rotational state to the second rotational state, the protrusion 3E is the blocker 400 ) may form a curved surface.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센서가 영구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면, 도어가 개방되도록 제어부가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리프트와 도어의 간격이 멀더라도 도어의 잠금이 정상적으로 해제되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gnetic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actuator so that the door is opened. be able to provide

또한, 제3 길이조절부재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 도어가 개방되도록 블로커가 돌출부에 의해 밀려 회전됨으로써, 고장이나 긴급상황 발생시 손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third length adjusting member is increased or decreased, the blocker is pushed and rotated by the protrusion to open the door, thereby providing a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lift that allows the door to be easily opened in the event of a failure or emergency. be able to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but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
100 : 바디 200 : 제어부
210 : 음성 출력용 스피커 220 : 표시등
230 : 조명 240 : 인체감지센서
250 : 배선 단자부 252 : 기밀유지용 커버
252A : 배선 통과공 270 : 릴레이
110 : 측면판 300 : 액추에이터
111 : 배선홀 310 : 제1 기어
120 : 후면판 400 : 블로커
130 : 전면판 410 : 회전축
U : 유볼트 411 : 제2 기어
150 : 장착관 420 : 가림판
160 : 제2 길이조절부재 421 : 제1 홀
161 : 제1 브래킷 422 : 제2 홀
162 : 제2 브래킷 500 : 자기센서
170 : 제3 길이조절부재 600 : 제1 감지센서
171 : 제1 조절관 700 : 제2 감지센서
H : 구멍 MP : 메인 제어부
172 : 제2 조절관 173 : 스프링
173A : 핀 174 : 차단부재
174A : 삽입부 174B : 조작부
1 : 건축물 4 : 영구자석
2 : 리프트 4A : 제1 길이조절부재
3 : 도어 4A1 : 결합부
3A : 제1 도어 4A2 : 제1 관부
3B : 제2 도어 4A3 : 제2 관부
3C : 도어프레임 3D : 회전부재
3D1 : 제1 판부 3D2 : 제2 판부
3E : 돌출부
10: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body 200: control unit
210: speaker for audio output 220: indicator
230: lighting 240: human body detection sensor
250: wiring terminal unit 252: airtight cover
252A: wiring through hole 270: relay
110: side plate 300: actuator
111: wiring hole 310: first gear
120: rear panel 400: blocker
130: front plate 410: rotation shaft
U: u-bolt 411: second gear
150: mounting tube 420: shielding plate
160: second length adjusting member 421: first hole
161: first bracket 422: second hole
162: second bracket 500: magnetic sensor
170: third length adjustment member 600: first detection sensor
171: first control tube 700: second detection sensor
H: hole MP: main control
172: second adjustment tube 173: spring
173A: pin 174: blocking member
174A: insertion part 174B: operation part
1: building 4: permanent magnet
2: lift 4A: first length adjustment member
3: door 4A1: coupling part
3A: 1st door 4A2: 1st pipe part
3B: 2nd door 4A3: 2nd pipe part
3C: Door frame 3D: Rotating member
3D1: first plate part 3D2: second plate part
3E: protrusion

Claims (10)

건축물에 설치된 도어의 잠금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위에 구비된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도어의 개방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블로커;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고, 리프트에 구비된 영구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자기센서가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면,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시 잠금 및 해제 정보를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음성 출력용 스피커와,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잠금 및 해제용 표시등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리프트에 탑승하는 탑승자를 감지하여 조명을 점등하기 위한 인체감지센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
A device for selectively unlocking a door installed in a building, comprising:
a body provided on the door; an actuator coupled to the body and operated by a control unit; a blocker rotating by the actuator so that the opening of the door is selectively blocked; and a magnetic sensor connected to the body and detecting the magnetic force of a permanent magnet provided in the lift, wherein when the magnetic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actuator to open the door and ,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When the door is locked and unlocked, a speaker for audio output for providing locking and unlocking information audibly, and a locking and unlocking indicator for visually providing locking and unlocking information of the door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board the lift Characterized in that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to detect the occupant and turn on the light,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s with improved functiona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 및/또는 우측 영역에는,
전원선 및 센서선이 접속되기 위한 배선 단자부가 좌측 및/또는 우측을 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배선 단자부는 기밀유지용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left area and/or right area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A wiring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ng the power line and the sensor wire is provided to face left and/or right, and the wiring terminal portion is protected by an airtight cover, characterized in that,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s with improved functiona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상태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릴레이가 구비되고,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통하여 외부로 상기 도어의 잠금 및 해제 상태를 스위치 접점 형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trol unit,
A relay for operating according to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of the door is provided and configured to transmit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of the door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a switch contact through a contact point of the relay,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s with improved functiona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리프트의 승강방향으로 상기 자기센서보다 길고,
상기 리프트가 상기 도어의 앞에 정지할 때 상기 영구자석과 상기 자기센서의 자극이 서로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ermanent magnet is
Longer than the magnetic sensor i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lif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poles of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agnetic sensor face each other when the lift stops in front of the door,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s with improved functiona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커의 회전축에 제1 홀 및 제2 홀이 형성된 가림판이 결합되고,
상기 제1 홀을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와 상기 제2 홀을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센서 및 상기 제2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shielding plate having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blocker,
A firs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first hole and a second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second hole,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is blocked by the signals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and the second detection sensor characterized,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s with improved fun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제1 길이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리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자기센서는 제2 길이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리프트의 승강방향, 상기 제1 길이조절부재의 길이조절방향 및 상기 제2 길이조절부재의 길이조절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ermanent magnet is connected to the lift by a first length adjusting member, and the magnetic sensor is connected to the body by a second length adjusting member, and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lift and the length adjusting direction of the first length adjusting member are connected to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length adjustment direction of the second length adjustment member is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s with improved functiona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도어프레임에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도어에 의해 밀려 회전하며, 상기 블로커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rotating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frame of the door,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by being pushed and rotated by the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er selectively block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s with improved functionalit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제3 길이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3 길이조절부재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블로커가 상기 돌출부에 의해 밀려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body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by a third length adjusting member, and when the length of the third length adjusting member is increased or decreased, the blocker opens the door so that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ushed and rotated by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s with improved functionalit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된 제1 조절관;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조절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조절관;
상기 제1 조절관과 상기 제2 조절관을 연결하고, 탄성회복력을 형성하는 스프링; 및
상기 탄성회복력에 의한 상기 제2 조절관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가 제거되면, 상기 제3 길이조절부재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hird length adjustment member,
a first adjustment tube coupled to the door frame;
a second adjustment tube coupled to the body and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adjustment tube;
a spring connecting the first adjustment tube and the second adjustment tube, and forming an elastic recovery force; and
and a blocking member for block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adjustment tube by the elastic recovery force,
When the blocking member is removed,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third length adjusting member is increased or decreased,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s with improved functionalit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관과 상기 제2 조절관에 각각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구멍들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당겨지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이 향상된 리프트용 비접촉식 자동개폐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Holes ar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adjustment tube and the second adjustment tube, and the blocking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unit inserted into the holes; And form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nipulation part pulled by an external force,
Non-contact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s with improved functionality.
KR1020200132934A 2020-10-14 2020-10-14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 with improved functionality KR1023636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934A KR102363651B1 (en) 2020-10-14 2020-10-14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934A KR102363651B1 (en) 2020-10-14 2020-10-14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 with improved functiona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651B1 true KR102363651B1 (en) 2022-02-16

Family

ID=8047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934A KR102363651B1 (en) 2020-10-14 2020-10-14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 with improved function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65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297A (en) * 1999-07-08 2001-01-2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Hitting preventive device to landing door for elevator by carrier
JP2006501112A (en) * 2002-03-27 2006-01-12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Elevator shaft monitoring system
KR20070033666A (en) * 2005-09-22 2007-03-27 주식회사 제이에스렌탈 Construction Door Lift Door Locks
KR102009164B1 (en) 2017-10-25 2019-10-21 최덕환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do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297A (en) * 1999-07-08 2001-01-2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Hitting preventive device to landing door for elevator by carrier
JP2006501112A (en) * 2002-03-27 2006-01-12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Elevator shaft monitoring system
KR20070033666A (en) * 2005-09-22 2007-03-27 주식회사 제이에스렌탈 Construction Door Lift Door Locks
KR102009164B1 (en) 2017-10-25 2019-10-21 최덕환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841B2 (en) Passenger detection system
US7237655B2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hoistway access
US6690287B2 (en) Warning sign system for entering and exiting garage doors and entrances
US8960372B2 (en) Elevator car door interlock
EP3127853B1 (en) Monitoring system, elevator door system having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070171053A1 (en) Escape route monitoring system with an escape door
PT1490284E (en) Shaft monitoring system for an elevator
KR102363651B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 with improved functionality
KR101918809B1 (en) System of Semi Automatic Door having Electronic Locking Device and Holding Open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935260B1 (en) Installing and inspecting structure of fire detector for elevator
JP2014004962A (en) Platform door device
KR102298134B1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lift
JP5534773B2 (en) Fire shutter device
KR200208136Y1 (en) Tongs key securing apparatus of overhead travelling crane
JP4397846B2 (en) Bus stop for LRT / bus combined transportation system
KR101252792B1 (en) Automatic open and shut system emergency gate for train station and open and shut method
JP5174486B2 (en)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and its entry / exit control method
JP4946153B2 (en) Elevator smoke detector inspection device
JPH07206341A (en) Car door lock inspecting device for elevator
CN111106588A (en) Transformer substation intelligent cable well lid with fire alarm function
JP2575806B2 (en) Elevator for low-rise building
EP0591413A1 (en) Entrance unit for rooms to be protected
CN105324548A (en) Automatic-door system, automatic-door-system control device and automatic-door-system control method
JP5219027B2 (en) Elevator door equipment
JPH0640685A (en) Cage door lock device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