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865B1 - Device to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 Google Patents

Device to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865B1
KR102361865B1 KR1020210022998A KR20210022998A KR102361865B1 KR 102361865 B1 KR102361865 B1 KR 102361865B1 KR 1020210022998 A KR1020210022998 A KR 1020210022998A KR 20210022998 A KR20210022998 A KR 20210022998A KR 102361865 B1 KR102361865 B1 KR 102361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mouth
mouthpiece
sleep apnea
sn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Priority to KR1020210022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8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8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2Devices for releasing a drug at a continuous and controlled rate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rs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tooth-type mouthpiece and a plate-type tongue pressing unit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mouthpiece, formed to correspond to a mouth structure and supporting the lingual back side of the tongue root.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in the mouth during sleep to prevent airway stenosis or obstruction due to the sag of the tongue.

Description

수면 무호흡 및 코골이 방지용 디바이스{Device to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본 발명은 수면중 발생되는 수면 무호흡 및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속에 착용하여 혀뿌리의 혀측 뒷면을 받쳐주는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수면중 혀뿌리 부분이 기도 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면 무호흡 및 코골이 방지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that occur during sleep,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device that supports the lingual back side of the tongue root by wearing it in the mouth, thereby preventing the tongue root portion from sagging toward the airway during sleep. It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코골이는 수면 중 여러 이유로 상기도가 좁아져 연구개 등의 신체 조직이 진동을 일으켜 발생하는 호흡 잡음이다. 코골이는 호흡 시 산호 흡입량을 감소시켜 주간 피로감, 두통, 주간 졸림증, 성격 변화(공격적 성격, 자극 과민성, 불안감, 우울 반응 등)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의 코골이는 폐쇄성수면 무호흡증후군(OSA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을 유발할 수 있다.Snoring is a breathing noise caused by vibration of body tissues such as the soft palate due to narrowing of the upper airway for various reasons during sleep. Snoring reduces the amount of coral inhaled during respiration, so symptoms such as daytime fatigue, headache, daytime sleepiness, personality changes (aggressive personality, irritability, anxiety, depressive reaction, etc.) may appear. It can caus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특히,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이 발생되는 원인 중 하나로는, 수면중 혀 뒷쪽가 기도 방향으로 쳐지면서 기도를 협착시키거나 폐쇄시키면 수면 무호흡증이 발생된다. 이러한 수면 무호흡증은 건강상 매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서 심한 경우 수술 요법을 사용하게 된다.In particular, as one of the cause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sleep apnea occurs when the back of the tongue droops toward the airway during sleep and narrows or obstructs the airway. Such sleep apnea can be very dangerous to health, and in severe cases surgical therapy is used.

도 1의 (가) 및 (나)는 일반적인 수면 무호흡증 및 코골이를 유발하는 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가)는, 혀가 기도방향으로 처지지 않고 정상상태를 유지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혀에 의해 기도가 협착되거나 막히지 않는다. 즉, 기도가 정상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정상 호흡 상태가 된다.1 (A) and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tongue causing general sleep apnea and snoring. Fig. 1(A) shows that the tongue does not sag in the airway direction and maintains a normal state. In this case, the airway is not narrowed or blocked by the tongue. That is, because the airway maintains a normal state, it becomes a normal breathing state.

도 1의 (나)는, 혀의 뒷쪽 부분이 기도방향으로 처지면서 기도를 협착 또는 폐쇄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수면을 위하여 누운 자세가 되면, 혀에 대해 의식하고 있는 상태나 힘을 주는 상태에서는 대부분 정상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수면중에는 무의식상태가 되면서 도 1의 (나)와 같이 혀가 기도 방향으로 처진다. 혀가 처지는 상태가 심한 경우 기도 협착 또는 기도 폐쇄 상태가 되면서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을 유발한다.FIG. 1(B)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ar part of the tongue sags in the airway direction and the airway is narrowed or closed. In the lying position for sleep, most of the normal state can be maintained in the state of being conscious of the tongue or the state of applying force, but during sleep, the tongue becomes unconscious and the tongue droops in the airway direction as shown in FIG. 1(B). In severe cases of tongue sagging, airway stenosis or airway obstruction occurs, leading to snoring or sleep apnea.

따라서, 수면 무호흡증의 원인이 되는 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해야만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수면중 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아래와 같이 종래에도 제시된 바 있다.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sleep apnea only by preventing the tongue from sagging, which is the cause of sleep apnea. A technique for preventing the tongue from sagging during sleep has also been proposed in the prior art as follows.

종래의 코골이 방지 기구에 대한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10-2013-0123111(2013.11.12) " 코골이 방지용 구강장치"는 상악 마우스피스와 하악 마우스 피스에 교합시 하악부가 전방측으로 전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포함한 구성이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17-0120788(공개 2017.11.01)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가 제안되어 있다. 아랫니삽입부가 윗니삽입부 보다 전방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시켜 구성되는 마우스 피스를 제안하고 있다.As a technology for a conventional anti-snoring devic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123111 (November 12, 2013) “An 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is a state in which the mandible is advanced anteriorly whe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mouthpieces are occluded. It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bonding structure that can be maintained. In addi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120788 (published on November 1, 2017) "Mouthpiece for preventing snoring" has been proposed. A mouthpiece is proposed in which the lower tooth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than the upper tooth insertion por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입을 다물어 상하악이 교합된 상태에서만 아랫턱이 전진되어 혀가 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입을 벌리고 자는 경우 혀의 전진 효과를 볼 수 없어서 코골이를 방지하기 어렵다. 특히 교합상태에서 아랫턱이 전진된 상태를 수면중 유지하게 되면 턱의 부정교합에 의해 다른 질병의 원인이 되고, 부정교합에 따른 큰 불편함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jaw is advanced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jaws are occluded with the mouth closed, so that the tongue can maintain the advanced state. Therefore, if you sleep with your mouth open, you cannot see the effect of the tongue moving forward, so it is difficult to prevent snoring. In particular, if the advanced lower jaw is maintained during sleep in the occlusal state, the malocclusion of the jaw causes other diseas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great discomfort is generated due to the malocclusion.

한국공개특허 10-2013-0123111(2013.11.12) " 코골이 방지용 구강장치"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3-0123111 (2013.11.12) "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한국공개특허 10-2017-0120788(공개 2017.11.01)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120788 (published on November 1, 2017) "Mouthpiece for preventing snoring"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중 코골이를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중 하나인 혀뿌리 부분이 기도측으로 처지지 않도록 받쳐주어 수면 무호흡증 및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면 무호흡 및 코골이 방지용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that prevents sleep apnea and snoring by supporting the root of the tongue, which is one of the biggest causes of snoring during sleep, so that it does not sag toward the airway. it is for

상기 목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골이 방지용 디바이스는,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the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윗니에 결합되는 윗니 결합수단;Upper teeth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upper teeth;

상기 윗니 결합수단에 일측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혀뿌리의 혀측 뒷면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혀누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teeth coupling means, and the other end is a tongue pressing means for supporting the tongue-side back surface of the tongue root from sagging.

상기 윗니 결합수단과 상기 혀누름 수단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1피스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The upper teeth coupling means and the tongue pressing means may be configured as a one-piece device made of an integral body.

또는, 상기 윗니 결합수단과 상기 혀누름 수단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2피스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upper teeth coupling means and the tongue pressing means may be configured as a two-piece device capable of being separated and coupled.

상기 윗니 결합수단은, 윗니에 착용하는 윗니용 마우스 피스로 구성될수 있다.The upper teeth coupling means may be composed of a mouthpiece for upper teeth worn on the upper teeth.

상기 1피스 디바이스는, 윗니에 결합되는 마우스 피스에 상기 혀누름 수단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혀누름 수단은 소정폭을 가지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구강내 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포밍되어 구성된다.In the one-piece device, the tongue pressing means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uthpiece coupled to the upper teeth. The tongue pressing means is made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of the oral cavity.

상기 혀누름 수단의 플레이트는, 다수의 관통 구멍들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plate of the tongue pressing means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상기 혀누름 수단은, 마우스 피스의 안쪽면에서 연장되어 입천장부, 중간 연장부 및 꼬리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중간 연장부가 혀의 뒷쪽 상면을 지지하고, 꼬리부가 혀뿌리의 혀측 뒷면이 기도방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형상으로 포밍된다. 입천장부의 후단부터 폭이 좁아져 입안에서 이물감을 줄일 수 있는 소정폭으로 중간 연장부 및 꼬리부가 형성되며, 구강내의 구조에 대응되게 구브러진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꼬리부는 주걱형상으로 포밍되어 혀뿌리의 혀측 뒷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The tongue pressing means extend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outhpiece so that the roof of the mouth, the middle extension and the tail are integrally formed, the middle extension supports the upper surface of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tongue, and the tail portion is placed on the lingual side of the root of the tongue in the airway direction. It is formed in a shape that supports it so as not to be supported. The width is narrowed from the rear end of the roof of the mouth, and the middle extension and tail ar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to reduce the feeling of foreign body in the mouth, and have a curved shape to correspond to the structure of the oral cavity. In addition, the tail portion is formed in a spatula shape to support the lingual back side of the tongue root.

또한, 상기 혀누름 수단은, 포밍된 형상을 유지하면서 탄성을 가지도록 성형되는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ngue pressing means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such as plastic that is molded to have elasticity while maintaining the formed shape.

또한, 상기 혀누름 수단은, 일단부가 마우스피스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혀뿌리의 혀측 뒷면에 대응되게 포밍된 내심(內心)판과, 상기 내심판의 외표면을 둘러싸 매립시킨 부드러운 재질의 외피부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ngue pressing means, 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uthpiece, the other e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ongue-side back surface of the tongue (內心) plate,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re plate is a soft embedding surrounding the inner surface. It may be composed of an outer skin of a material.

상기 내심판은 플라스틱이나, 목재 철판과 같이 포밍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외피부는 부드러운 소재(예를들어 실리콘이나 고무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피부의 중간 연장부와 꼬리부는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 및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core plate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a formed shape, such as plastic or a wooden iron plate, and the outer skin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eg, silicone or rubber material). In addition, the middle extension portion and the tail portion of the outer skin may be formed in a shape and thickness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는, 마우스피스와, 혀누름 뿌리 분리 구성되는 2피스 디바이스로도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two-piece device comprising a mouthpiece and a tongue-pressing root separation.

2피스 디바이스는, 윗니에 착용하기 위한 윗니형 마우스 피스와, 상기 마우스 피스의 내측에 일단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가 혀뿌리의 혀측 뒷면을 지지하도록 포밍된 혀누름 부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wo-piece device may include an upper tooth type mouthpiece for wearing on the upper teeth, and a tongue pressing part having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mouthpiece, and the other end formed to support the lingual back side of the tongue root.

상기 마우스 피스와 혀누름 부의 결합구조는,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mouthpiece and the tongue pressing part is,

상기 마우 스피스의 내측벽에 대응되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혀누름 부에는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돌출된 삽입부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An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of the mouthpiece may be formed, and a protruding insertion portion to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in the tongue pressing portion.

상기 삽입홈은, 상면이 개방되어 위에서 상기 삽입부를 끼우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삽입홈은 하면이 개방되어 아래에서 상기 삽입부를 끼우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the insertion part is inserted from above. Alternatively, the insertion groov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urface is opened to insert the insertion part from below.

한편, 상기 혀누름 부에는, 고무 풍선과 같이 늘어나는 박막 형태의 표면 커버를 더 씌울 수 있다. 표면 커버는, 혀누름부의 표면에 씌우거나 벗길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tongue pressing portion may be further covered with a surface cover in the form of a thin film that stretches like a rubber balloon. The surface cover is made so that it can be put on or peeled off the surface of the tongue pressing part.

또한, 상기 혀누름 부의 표면 일부는 마이크로패턴 또는 이에 상응하는 다공성 패턴이 형성되어 약물을 함침시켜 슬로우 릴리즈 할 수 있는 약물 함침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면커버의 표면에 마이크로패턴 또는 다공성 패턴 또는 이에 상응하는 패턴이 형성되어 약물을 함침시켜 입안에서 슬로우 릴리즈 되게 하는 약물 함침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micropattern or a porous pattern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tongue pressing part, so that a drug-impregnated part capable of slow-release by impregnating the drug may be further formed. Alternatively, a micro-pattern or a porous pattern or a pattern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cover to impregnate the drug to form a drug-impregnated part for slow release in the mouth.

또한, 상기 혀누름 부의 외피부의 내부에 약물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약물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다수의 구멍 패턴이 형성되어, 약물 저장공간에 약물을 주입후, 입안에서 약물이 구멍 패턴을 통해 침에 녹아 흘러나올 수 있는 약물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도 있다.In addition, a drug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the outer skin of the tongue pressing part, and a plurality of hole patterns communicating with the drug storage space are forme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rug storage that can be dissolved in the flow.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수면 중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윗니에 마우스 피스를 끼우고 혀 누름판의 꼬리부를 목구멍 방향으로 삽입하여 입속에 장착한다. 혀 누름판의 꼬리부가 혀 뿌리의 혀측 뒷면을 지지한다.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for preventing snoring during sleep, inserting the mouthpiece into the upper teeth and inserting the tail of the tongue presser in the throat direction to mount it in the mouth. The tail of the tongue depressor supports the lingual back side of the tongue root.

혀누름 뿌리 혀의 뒷쪽 상면과 혀뿌리의 혀측 뒷면을 지지하여 목구멍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수면 중 혀뿌리의 뒷면이 목구멍 방향으로 처지면서 코골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Tongue Pressing Root Supports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of the tongue and the back of the tongue at the root of the tongue to prevent it from sagging into the throat. Accordingly, the back of the tongue root sags in the direction of the throat during sleep to prevent snoring.

수면중 장시간 착용하여도 크게 불편하지 않고, 수면중 움직임에 제한요소로 작용되지 않으며, 수면중 움직임에도 혀뿌리가 처져서 기도협착을 방지할 수 있어서, 수면 무호흡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not very uncomfortable even if worn for a long time during sleep, does not act as a limiting factor for movement during sleep, and the tongue root sags even during movement during sleep to prevent airway stenosis, thereby preventing sleep apnea.

또한 본 발명은 1피스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크기나 구브러진 형상을 만들어서 제공하게 된다면 입안에 삽입하였을때 불편함과 이물감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discomfort and foreign body sensation when inserted into the mouth if the one-piece device is provided by making a custom size or curved shape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2피스 디바이스로도 제공할 수 있다. 2피스 디바이스는 각각 마우스 피스와 혀누름 부을 선택하여 조립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다양한 사이즈의 2피스 디바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사이즈를 선택하여 조립 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provided as a two-piece device. The two-piece device can be assembled and used by selecting a mouthpiece and a tongue presser, respectively, and two-piece devices of various sizes ar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size that suits them and use it as an assembly or combination.

또한, 본 발명은 혀누름 부에 씌우는 외피 커버에 1회용으로 제공하여 세척을 용이하게하고, 오염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cleaning and prevent contamination by providing a one-time use for the outer skin cover that is put on the tongue pressing part.

또한 본 발명은 혀누름부 또는 외피 커버에 약물을 묻혀 입안에서 서서히 전달되게 함으로서 수면중 구강내 약물 전달 기능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n intraoral drug delivery function during sleep by applying a drug to the tongue pressing part or the outer skin cover and allowing it to be delivered slowly in the mouth.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 무호흡 및 코골이 방지용 1피스 디바이스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의 (A) 내지 (C)는 상기 1피스 디바이스를 실험 제작한 사진 예시도이다.
도 3은 상기 1피스 디바이스를 입안에 삽입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수면 무호흡 및 코골이 방지용 디바이스의 상부 결합 2피스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수면 무호흡 및 코골이 방지용 디바이스의 하부 결합 2피스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디자이스에 약물 전달 수단을 포함한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를 입안에 착용하여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상태를 방지하는 것을 보인 상태 설명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one-piece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 to (C) is an exemplary photograph of the one-piece device experimentally produced.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one-piece device is inserted into the mouth.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coupled two-piece device of the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wo-piece devic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6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rug delivery means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to (C) are stat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prevention of snoring and sleep apnea by wear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uth.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devices and methods that,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ll conditional terms and example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expressly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ally enumerated embodiments and states as such. do.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detailed description reciting the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specific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ver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of such matter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s include not only currently known equivalents, but also equivalents developed in the future, i.e., all device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relation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면 무호흡 및 코골이 방지용 1피스 디바이스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의 (A) 내지 (C)는 상기 1피스 디바이스를 실험 제작한 사진 예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one-piece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치아에 결합되는 마우스 피스(110)와, 마우스 피스(110)에 고정되어 입속으로 삽입되고, 끝부분이 혀뿌리의 혀측 뒷면(1a)을 받쳐주는 혀누름부(120)로 구성된다.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th piece 110 coupled to a tooth, a tongue pressing part 120 fixed to the mouth piece 110 and inserted into the mouth, and the tip of the tongue supports the lingual back side 1a of the root of the tongue. is composed

상기 마우스 피스(110)는 윗니에 끼우는 윗니형 마우스피스 또는 아랫니에 끼우는 아랫니형 마우스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치아에 결합되는 마우스 피스 형태가 아니더라도 치아 또는 입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윗니형 마우스 피스(110)를 실시 예로 설명한다.The mouthpiece 110 may be configured as an upper tooth type mouthpiece fitted to the upper teeth or a lower tooth type mouthpiece fitted to the lower teeth. Or, even if it is not in the form of a mouthpiece coupled to the teeth, it may be configured as any one of fixing means that can be fixed to the teeth or the mouth. In this specification, the upper tooth type mouthpiece 110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상기 혀누름부(120)는, 상기 마우스 피스(110)의 내측면에서 입천장의 형상에 대응되게 볼록하게 형성되는 입천장부(121)와, 입천장부(121)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입속으로 삽입되는 중간 연결부(122)와, 중간 연결부(122)에서 혀뿌리의 혀측 뒷면(1a)을 받치도록 구브러진 꼬리부(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혀누름부(120)는 하나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tongue pressing part 120 includes a palate part 121 that is convex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alat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thpiece 110, and a middle part that extends obliquely from the palate part 121 and is inserted into the mouth. It consists of a connection part 122 and the tail part 123 bent so as to support the lingual side rear surface 1a of the tongue root 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122. The tongue pressing unit 12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one plate.

상기 입천장부(121)에는 복수의 구멍(124)들이 형성되어 침이 통과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연결부(122)는 입천장부(121)에 비해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혀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입안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꼬리부(123)는 끝부분의 폭이 넓어진 주걱 모양일 수 있다.A plurality of holes 124 are formed in the roof of the mouth 121 so that needles can pass therethrough.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122 is formed to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palate 121 and extends into the mouth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tongue. Also, the tail portion 123 may have a spatula shape with a wider tip.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도 2에 도시된 실험 제작된 샘플 사진과 같이 수지를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지 종류는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이나 실리콘과 같은 수지소재를 사용한다. 성형된 상태에서 그 형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by integrally molding a resin as shown in the experimentally fabricated sample photo shown in FIG. 2 . Resin materials such as plastic or silicone that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are used. It should maintain its shape in the molded stat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피스(110)가 치아에 고정되고, 혀누름부(120)의 꼬리부(123)가 혀뿌리의 뒷면(1a)을 받쳐주도록 입속에 삽입된다.As shown in FIG. 3 , the mouthpiece 110 is fixed to the teeth, and the tail portion 123 of the tongue presser 120 is inserted into the mouth to support the back surface 1a of the tongue root.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도 2와 같이 수지 소재로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수지 소재로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형상이 유지되게 경화된다. 경화된 표면이 딱딱하여 입속 점막을 손상할 수 있다. 수면중 디바이스를 입속에 삽입하게 되므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grally molded with a resin material as shown in FIG. 2 . It is molded integrally with a resin material and cured to maintain its shape. The hardened surface is hard and can damage the mucous membrane of the mouth. You may feel uncomfortable because the device is inserted into your mouth while you are sleeping.

상기 혀누름부(120)에는 도 3과 같이, 고무 풍선과 같이 늘어나는 박막 형태의 표면 커버(120a)를 더 씌울 수 있다. 표면 커버(120a)는 매끄럽고 부드러우면서도 소프트한 촉감을 주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고무, 실리콘과 같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tongue pressing part 120 may be further covered with a surface cover 120a in the form of a thin film that stretches like a rubber balloon. The surface cover 120a is to give a smooth, soft and soft touch. Materials such as conventional rubber and silicone may be used.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는, 마우스피스(110)와, 혀누름 부(120)가 분리 구성되는 2피스 디바이스로도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two-piece device in which the mouthpiece 110 and the tongue pressing unit 120 are separately configured.

도 4는 수면 무호흡 및 코골이 방지용 디바이스의 상부 결합 2피스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수면 무호흡 및 코골이 방지용 디바이스의 하부 결합 2피스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coupled two-piece device of the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wo-piece devic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2피스 디바이스는, 윗니에 착용하기 위한 윗니형 마우스 피스(110)와, 상기 마우스 피스(110)의 내측에 일단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단부가 혀뿌리의 혀측 뒷면을 지지하도록 포밍된 혀누름 부(120)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The two-piece device includes an upper tooth type mouthpiece 110 for wearing on the upper teeth, one end coupl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mouthpiece 110, and the other end formed to support the lingual back side of the tongue root ( 120) can be configured separately.

상기 마우스 피스(110)와 혀누름 부(120)의 결합구조는, 상기 마우 스피스(110)의 내측벽(111)에 대응되는 삽입홈(130)을 형성하고, 상기 혀누름 부(120)에는 상기 삽입홈(130)에 끼워지는 돌출된 삽입부(125)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mouth piece 110 and the tongue pressing part 120 forms an insertion groove 130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111 of the mouth piece 110, and the tongue pressing part 120 is formed. A protruding insertion portion 125 to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0 may be formed therein.

상기 삽입홈(130)은, 상면이 개방되어 위에서 상기 삽입부(125)를 끼우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도 4). 또는 상기 삽입홈(130)은 하면이 개방되어 아래에서 상기 상향 삽입부(126)를 끼우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도 5). 여기서, 삽입홈(130)은 도 4의 상면 개방형과, 도 5의 하면 개방형으로 다른 구조이나 편의상 동일한 도면부호 130으로 지칭하였다.The insertion groove 130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rface is opened to insert the insertion part 125 from above (FIG. 4). Alternatively, the insertion groove 13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urface is opened to insert the upward insertion part 126 from below (FIG. 5). Here, the insertion groove 130 has a different structure with an open upper surface type in FIG. 4 and an open lower surface type in FIG. 5 , and is referred to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130 for convenience.

도 4와 같이, 마우스 피스(110)의 내측벽(111)에 바닥면이 막힌 추가벽(112)을 더 형성한다. 내측벽(111)과 추가벽(112) 사이에 삽입홈(130)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혀누름 부(120)에는 상기 삽입홈(130)에 대응되는 삽입부(125)가 형성된다. 삽입홈(130)과 삽입부(125)는 마우스 피스(110)의 내측벽 형상에 대응된 원호형상이 된다. 삽입부(125)가 삽입홈(130)에 끼워진다.As shown in FIG. 4 , an additional wall 112 whose bottom surface is blocked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wall 111 of the mouthpiece 110 .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sertion groove 130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111 and the additional wall 112 . An insertion part 125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130 is formed in the tongue pressing part 120 . The insertion groove 130 and the insertion part 125 have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wall of the mouthpiece 110 . The insertion part 125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0 .

도 5와 같이, 마우스 피스(110)의 내측벽(111)에 상면이 막힌 추가벽(112)을 더 형성하여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1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혀누름 부(120)에는 돌출형 삽입부(126)를 형성한다. 돌출형 삽입부(126)를 삽입홈(130)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끼워서 결합한다. As shown in FIG. 5 , an additional wall 112 having an upper surface blocked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inner wall 111 of the mouthpiece 110 to form an insertion groove 130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Correspondingly, a protruding insertion part 126 is formed in the tongue pressing part 120 . The protruding insertion part 126 is inserted and coupl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insertion groove 130 to the upper side.

삽입홈(130)가 삽입부(125)가 원호형상이므로 결합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제한된다. 디바이스는 경화되어 포밍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마우스 피스에 혀누름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강한 외부 힘에 의해 파손되거나 부러질 수는 있으나, 입속에 장착한 상태에서 입의 움직임이나, 혀의 힘만으로 빠지거나 파손될 염려는 없다. 다만, 도 4의 상부 결합형인 경우, 특수한 구강 구조인 사람이 고의적으로 혀누름부(120)를 상측으로 밀어서 분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 5과 같이 하부 결합형인 경우 입속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분리시킬 수 없는 것이다.Since the insertion groove 130 has a circular arc shape, the movement is limited in the coupled state. The device is cured and remains in the foamed state. Accordingly, although it may be damaged or broken by a strong external force in a state in which the tongue presser is coupled to the mouthpiece, there is no concern that the mouthpiece may be dislodged or damaged only by the movement of the mouth or the force of the tongue while mounted in the mouth. However, in the case of the upper coupling type of FIG. 4 , a person with a special oral structure may intentionally push the tongue pressing unit 120 upward to separate it.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lower coupling type as shown in FIG. 5, it cannot be separated while mounted in the mouth.

한편, 마우스 피스(110)는 윗니형 마우스 피스를 실시예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윗니형 마우스 피스를 장착하기 어려운 사람도 있을 수 있다. 이경우는 아랫니형 마우스 피스에 혀누름부를 장착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혀누름부의 입천장부 및 중간 연결부에 대해 혀가 자유롭고 움직일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로 구성한다. 즉, 아랫니형 마우스피스에 결합되는 삽입부에서 양측으로 포밍된 연결바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끝단부에 꼬리부를 형성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입천장에 문제가 있거나, 윗니에 문제가 있어서 윗니형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적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uth piece 110 is presented as an embodiment of the upper tooth type mouth piece. However, some people may find it difficult to install the upper tooth type mouthpiec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vice for mounting the tongue presser on the lower tooth type mouthpiece. It is composed of an open structure so that the tongue can move freely with respect to the roof of the tongue and the middle connection part of the tongue presser. That is, it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form of a connecting bar formed on both sides from the insertion part coupled to the lower tooth type mouthpiece, an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 tail is formed at the end. This may be suitable when there is a problem with the roof of the mouth or when it is difficult to use the upper tooth type device due to a problem with the upper teeth.

한편, 본 발명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입속에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ug can be delivered in the mouth us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디바이스에 약물 전달 수단을 포함한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혀누름 부(120)의 표면 일부는 마이크로패턴 또는 이에 상응하는 다공성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패턴 영역이 약물 함침부(120b)로 형성된다. 약물 함침부(120b)에 약물을 묻히거나, 액상 약물속에 담가 약물을 함침시킨다. 약물이 함침된 상태에서 입속에 장착한다. 침에 의해 약물 함침부(120b)의 약물이 녹아 서서히 입속으로 전달 될 것이다.6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rug delivery means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cropattern or a porous pattern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tongue pressing part 120 . The pattern region is formed as a drug-impregnated portion 120b. The drug is immersed in the drug impregnated part 120b, or the drug is immersed in a liquid drug. It is placed in the mouth while the drug is impregnated. The drug in the drug-impregnated part 120b will be melted by the saliva and gradually delivered into the mouth.

또한, 상기 혀누름 부(120)에 약물 저장부(120c)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약물 저장부(120c)와 연통되는 다수의 구멍 패턴이 형성된다. 약물 저장부(120c)에 약물을 주입하고 입안에 착용한다. 입안에서 침에 녹아 약물이 서서히 전달될 수 있다. 약물 저장부는 마우스 피스 내측벽과 가까운 위치의 혀누름부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한쪽 부분만 마우스피스 내측면 또는 마우스 피스 근처의 혀누름 부에 연결된 포켓을 약물 저장부로 형성할 수 있다. 한쪽면만 연결된 약물 저장부는 혀의 아래부분으로 놓여지면서 약물 전달 기능을 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침샘 근처에 약물 저장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 drug storage unit 120c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tongue pressing unit 120 . A plurality of hole patterns in communication with the drug storage unit (120c) is formed. The drug is injected into the drug storage unit 120c and worn in the mouth. The drug can be delivered slowly by dissolving in saliva in the mouth. The drug storage uni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ngue pressing unit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mouthpiece. Alternatively, a pocket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uthpiece or the tongue depressor near the mouthpiece may be formed as a drug storage unit only on one side. The drug reservoir connected only on one side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drug delivery function while being placed on the lower part of the tongue. This is to form a drug reservoir near the salivary glands.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를 입안에 착용하여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상태를 방지하는 것을 보인 상태 설명도이다.7 (A) to (C) are stat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prevention of snoring and sleep apnea by wear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uth.

사람이 누워서 수면을 취한다. 누워서 수면을 취할 때, 도 7의 (A)와 같이 혀뿌리가 뒤로 처지지 않으면 기도가 열려서 정상호흡 상태가 된다. 그런데 혀의 탄력이 떨어지거나 신체 특성상 혀의 뿌리부분이 뒤로 처지게 되면 도 7의 (B)와 같이 기도부분을 협착시킨다. 심한경우 기도부분이 폐쇄되어 수면 무호흡증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기도 폐쇄시 코골이가 발생되고, 수면 무호흡증이 발생되면 건강에 크게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A person lies down and sleeps. When sleeping while lying down, if the root of the tongue does not sag backward as shown in FIG. However, if the elasticity of the tongue is reduced or the root portion of the tongue sags backwar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the airway portion is narrowed as shown in FIG. 7(B). In severe cases, the airway may be blocked, resulting in sleep apnea. When the airway is blocked, snoring occurs and sleep apnea can be a serious health probl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도 7의 (C)와 같이, 마우스피스(110)를 윗니에 끼워 입속에 삽입한다. 혀누름부(120)는 혀의 위를 지나서 꼬리부(123)가 혀뿌리의 혀측 뒷면(1a)에 접하게 된다. 디바이스(100)를 입안에 착용하면, 혀뿌리의 혀측 뒷면을 받쳐준다. 혀뿌리의 혀측 뒷면을 받쳐주기 때문에 혀가 기도부분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혀뿌리를 받쳐주어 기도측으로 처지지 않기 때문에 도 7의 (C)와 같이 정상적으로 기도가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100)를 이용하게 되면 도 7의 (C)와 같이 혀뿌리를 받쳐주어 기도확보가 되므로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C , the mouthpiece 110 is inserted into the upper teeth and inserted into the mouth. The tongue pressing part 120 passes over the tongue so that the tail part 12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ngue-side back surface 1a of the tongue root. When the device 100 is worn in the mouth, the back of the tongue side of the root of the tongue is supported. Because it supports the back of the tongue side of the tongue root, it prevents the tongue from sagging into the airway part. Since it does not droop toward the airway by supporting the root of the tongue, the airway normally remains open as shown in FIG. 7(C). When th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airway is secured by supporting the root of the tongue as shown in FIG. 7C , so that snoring and sleep apnea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디바이스
110 : 마우스 피스
120 : 혀누름부
130 : 삽입홈
100: device
110: mouthpiece
120: tongue pressing part
130: insertion groove

Claims (11)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방지용 디바이스에 있어서,
치아에 결합되어 입속에 고정되는 마우스 피스와;
상기 마우스 피스의 내측면에서 연장되어 입천장의 형상에 대응되게 볼록하게 형성되는 입천장부와, 입천장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입속으로 삽입되는 중간 연결부와, 중간 연결부에서 혀뿌리의 혀측 뒷면을 받치도록 구브러진 꼬리부로 이루어진 혀누름부와;
상기 혀누름부의 입천장부에 형성되어 침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구멍; 을 포함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방지용 디바이스.
In the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a mouthpiece coupled to the teeth and fixed in the mouth;
The roof of the mouth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outhpiece to be convex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roof of the mouth, an intermediate connection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roof of the mouth and inserted into the mouth,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bent to support the lingual side of the root of the tongue a tongue presser consisting of a tail;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n the roof of the mouth of the tongue pressing unit to pass saliva; containing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마우스 피스의 내측벽에는 내측벽과 대응되는 원호형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혀누름부에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는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된 2피스 디바이스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방지용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device is
An arc-shaped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mouthpiece,
The tongue pressing part is a two-piece device in which a protruding coupl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혀누름부의 표면에 씌우거나 벗길 수 있는 플렉시블 소재의 표면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면커버의 표면에 마이크로패턴 또는 다공성 패턴 또는 이에 상응하는 패턴이 형성되어 약물을 함침시켜 입안에서 슬로우 릴리즈 되게 하는 약물 함침부가 형성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방지용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rface cover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put on or peeled off the surface of the tongue pressing part,
A micropattern or a porous pattern or a pattern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cover to impregnate the drug to form a drug-impregnated part for slow release in the mouth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혀누름부의 표면 일부에, 마이크로패턴 또는 이에 상응하는 다공성 패턴이 형성되어 약물을 함침시켜 슬로우 릴리즈 할 수 있는 약물 함침부가 더 형성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방지용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 micropattern or a porous pattern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tongue pressing part, and a drug-impregnated part capable of slow-release by impregnating a drug is further formed.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삭제delete
KR1020210022998A 2021-02-21 2021-02-21 Device to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KR1023618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998A KR102361865B1 (en) 2021-02-21 2021-02-21 Device to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998A KR102361865B1 (en) 2021-02-21 2021-02-21 Device to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865B1 true KR102361865B1 (en) 2022-02-14

Family

ID=8025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998A KR102361865B1 (en) 2021-02-21 2021-02-21 Device to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86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26145A1 (en) * 2021-01-19 2022-07-21 3 Little Ladies Inc. Therapeutic Oral Device for Sleep Apnea
WO2022177386A1 (en) * 2021-02-21 2022-08-25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KR102562986B1 (en) * 2023-01-10 2023-08-02 주식회사 로얄이글코리아개발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upper airway muscle funtion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850A (en) * 2002-11-12 2004-06-10 Akio Sato Mouthpiece for preventing snoring
JP2010029615A (en) * 2008-07-29 2010-02-12 New Wave Medical:Kk Mouthpiece for prevention of sleep apnea or the like
KR20130123111A (en) 2012-05-02 2013-11-12 구현웅 Oral instrument for preventing snoring
JP2017029654A (en) * 2015-07-29 2017-02-09 有限会社ニューウェーブメディカル Mouthpiece for preventing snore or the like
KR20170120788A (en) 2016-04-22 2017-11-01 박동효 Mouthpiece for preventing snoring
JP3213368U (en) * 2017-08-25 2017-11-02 金城商事株式会社 Your own periodontal disease prevention mouthpiece
KR101958241B1 (en) * 2018-11-29 2019-03-14 장규연 Mouth piece
US20190167466A1 (en) * 2013-02-14 2019-06-06 Albert H. Kaner Dental Sleep Apnea Device
KR102053985B1 (en) * 2019-04-05 2019-12-12 윤형호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devices
JP2020513998A (en) * 2017-01-13 2020-05-21 バークシャー バイオメディカル,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Computerized oral prescription drug administration device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US10772757B1 (en) * 2019-06-18 2020-09-15 Chad Harris Anti-snoring mouth guard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850A (en) * 2002-11-12 2004-06-10 Akio Sato Mouthpiece for preventing snoring
JP2010029615A (en) * 2008-07-29 2010-02-12 New Wave Medical:Kk Mouthpiece for prevention of sleep apnea or the like
KR20130123111A (en) 2012-05-02 2013-11-12 구현웅 Oral instrument for preventing snoring
US20190167466A1 (en) * 2013-02-14 2019-06-06 Albert H. Kaner Dental Sleep Apnea Device
JP2017029654A (en) * 2015-07-29 2017-02-09 有限会社ニューウェーブメディカル Mouthpiece for preventing snore or the like
KR20170120788A (en) 2016-04-22 2017-11-01 박동효 Mouthpiece for preventing snoring
JP2020513998A (en) * 2017-01-13 2020-05-21 バークシャー バイオメディカル,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Computerized oral prescription drug administration device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JP3213368U (en) * 2017-08-25 2017-11-02 金城商事株式会社 Your own periodontal disease prevention mouthpiece
KR101958241B1 (en) * 2018-11-29 2019-03-14 장규연 Mouth piece
KR102053985B1 (en) * 2019-04-05 2019-12-12 윤형호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devices
US10772757B1 (en) * 2019-06-18 2020-09-15 Chad Harris Anti-snoring mouth guar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26145A1 (en) * 2021-01-19 2022-07-21 3 Little Ladies Inc. Therapeutic Oral Device for Sleep Apnea
US11607336B2 (en) * 2021-01-19 2023-03-21 3 Little Ladies Inc. Therapeutic oral device for sleep apnea
WO2022177386A1 (en) * 2021-02-21 2022-08-25 주식회사 이피아이랩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KR102562986B1 (en) * 2023-01-10 2023-08-02 주식회사 로얄이글코리아개발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upper airway muscle fun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1865B1 (en) Device to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US9408743B1 (en) Oral devices
US5499633A (en) Anti-snoring device with adjustable upper and lower relational members
US5316020A (en) Snoring prevention device
KR102053985B1 (en)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devices
KR101283760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dibular advancement
US9445938B1 (en) Oral devices
US6675804B1 (en) Snore and teeth grinding prevention and treatment
US20080115791A1 (en) Mandibular Advancement Mouthpiece, An Intraoccusal Removable Improved Device For Eliminating Or Reducing Snoring
JP5361991B2 (en) Snoring prevention device
US9192455B1 (en) Oral appliances and methods of making oral appliances
JP2013106811A (en) Soft palate stabilizer
JPH07308335A (en) Device and method to suppress snoring
KR100596129B1 (en) Snore and sleep apnear preventing device
KR20130007379U (en) Medical oral airway instrument
US20190125573A1 (en) Oral appliance
KR102361866B1 (en) Device to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using a foaming wire
WO2010072878A1 (en) Intraoral ferrule
JP5728784B2 (en) Mouthpiece
US9492310B2 (en) Adjustable tongue retaining oral appliance
US20120031410A1 (en) Dental device for preventing a sleep disorder
KR102496670B1 (en) Snoring prevention appliance for oral insertion type
KR20220119556A (en) Device to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KR102483879B1 (en) Apparatus For Snoring Prevention
JP2016093397A (en) Auxiliary device for improving apnea syndrome during slee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