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930B1 - Method for preparing seasame oil using apple concentrat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eparing seasame oil using apple concentr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930B1
KR102358930B1 KR1020210063091A KR20210063091A KR102358930B1 KR 102358930 B1 KR102358930 B1 KR 102358930B1 KR 1020210063091 A KR1020210063091 A KR 1020210063091A KR 20210063091 A KR20210063091 A KR 20210063091A KR 102358930 B1 KR102358930 B1 KR 102358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ame
sesame oil
apple
apple concentrate
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0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김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1020210063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9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9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23D9/04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6Preservation of finish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 C11B1/08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by hot 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8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filtration, e.g. including ultra filtration, 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5/00Preserving by using additives, e.g. anti-oxidants
    • C11B5/0085Substances of natural origin of unknown constitution, f.i. plant extrac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same oil manufacturing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sesame oil manufacturing method, wherein by manufacturing sesame oil using sesame seeds aged in apple concentrate, the problem of rancidity which occurs during long-term storage of sesame oil and when used at high temperatures is solved, and while enhancing a flavor of sesame oil, active ingredients such as polyphenols contained in apples can exert synergy with nutritional components of sesame oil.

Description

사과 농축액을 이용한 참기름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SEASAME OIL USING APPLE CONCENTRATE}Sesame oil manufacturing method using apple concentrate {METHOD FOR PREPARING SEASAME OIL USING APPLE CONCENTRATE}

본 발명은 참기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과 농축액에 숙성시킨 참깨를 이용하여 참기름을 제조함으로써, 참기름의 장기 보관 및 고온 사용시에 나타나는 산패 문제를 해결하고, 참기름의 풍미를 높이면서도 사과에 함유된 폴리페놀 등의 유효성분이 참기름의 영양성분과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참기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sesame oil, and more particularly, by preparing sesame oil using sesame aged in apple concentrate, solves the problem of rancidity that occurs during long-term storage and high temperature use of sesame oil, while enhancing the flavor of sesame oil It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sesame oil that enables active ingredients such as polyphenols contained in apples to exert synergy with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sesame oil.

일반적으로, 식용 유지는 식물의 씨앗, 견과류, 열매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실온(약 15 내지 26℃)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식물성 기름을 의미한다. 그 중에서 참깨, 들깨, 콩, 옥수수와 같은 곡물로부터 추출한 곡물 기름은, 영양분이 풍부하고, 고소한 맛과 향미를 제공하여 각종 음식의 조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edible oils and fats refer to vegetable oils extracted from seeds, nuts, fruits, etc. of plants and present in a liquid state at room temperature (about 15 to 26° C.). Among them, grain oil extracted from grains such as sesame, perilla, soybean, and corn is rich in nutrients and provides savory taste and flavor, and is widely used in cooking various foods.

일반적으로, 참깨는 호마노과에 속하는 1년생 초목으로, 그 색깔에 따라 흰 참깨, 황갈색 참깨, 검정 참깨 등으로 구분되며, 흰 참깨와 황갈색 참깨는 유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참기름으로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유분 함량이 소량인 검은 참 깨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된다. 참깨의 일반적인 조성은 지질이 50% 이상, 단백질이 20% 정도, 탄수화물이 15% 정도 함유하고 있으며, 기타 섬유질과 무기질 및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 식물종자이다. 특히, 참깨의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이 여러 종류가 포함되어 영양가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타민 E가 풍부하여 피부 미용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참깨는 심장과 혈관의 기능을 도와 온몸에 활력을 주고 간장을 튼튼하게 만들며 해독작용도 있으므로 변비가 제거되는 특징을 갖는다.In general, sesame is an annual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Homanaceae, and it is classified into white sesame, yellow-brown sesame, black sesame, etc. according to its color. White sesame and yellow-brown sesame contain a large amount of oil and are used as sesame oil, Black sesame seeds with a small oil content are used for food and medicinal purposes. The general composition of sesame seeds is 50% or more lipid, 20% protein, 15% carbohydrate, and is nutritionally excellent as it contains other fibers, minerals and vitamins. In particular, the protein of sesame contains several kinds of essential amino acids, so it has excellent nutritional value and is rich in vitamin E, so it has an excellent effect on skin beauty. In addition, sesame helps the heart and blood vessels to revitalize the body, strengthens the liver, and has a detoxifying action, so constipation is eliminated.

일반적인 참기름의 제조방법은, 고온의 로스터기(일명 참깨 자동볶음기)에 참깨를 넣어 참깨를 볶은 후 착유기에 의하여 압착되고, 여과를 통하여 참기름이 포장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참기름에 여러가지 효능을 갖는 성분들을 함유하는 기능성 참기름을 제조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A general method of manufacturing sesame oil is to put sesame seeds in a high-temperature roaster (aka sesame automatic roaster), roast the sesame seeds, and press the sesame oil by means of an expeller, followed by filtering and packaging the sesame oil.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epare functional sesame oil containing ingredients having various effects in sesame oil.

그러나, 기존의 제조방법에서는, 참깨를 이용해 기름으로 제조하는 공정 중에 여러가지 유효성분들을 혼합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참기름 내 유효성분의 함량을 충분히 높여주지 못하고, 참기름의 고유의 향미를 저해시키는 우려가 있다. However, in the existing manufacturing method, various active ingredients are mixed dur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il using sesame, but this method does not sufficiently increase the content of active ingredients in sesame oil,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inherent flavor of sesame oil is impaired. .

또한, 착유기를 이용한 압착 방법은, 착유기에 고착된 찌꺼기 및 이물질 등으로 인하여 높은 산가를 갖게 되어 장기간 보관하거나 여름철과 같은 고온에서 보관하는 경우에는 산화에 의한 부패가 급속히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압착에 의한 강제된 혼탁한 참깨의 향을 갖게 되어 참깨가 갖는 은은하고 고유의 맑은 향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mpression method using a milking machine has a high acid value due to debris and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milking machine, and when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or stored at a high temperature such as in summer, there is a problem that spoilage due to oxidation proceeds rapid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has the scent of sesame, which is forced by the turbidity of sesame seeds, and does not have the subtle and inherent clear scent of sesam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20-0066780 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6678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과 농축액에 숙성시킨 참깨를 이용하여 참기름을 제조함으로써, 참기름의 장기보관 시 또는 고온에서의 사용 시 나타나는 산패 문제를 해결하고, 참기름의 풍미를 높이면서도 사과에 함유된 폴리페놀 등의 유효성분과 참기름의 영양성분이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고품질 및 고기능성 참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preparing sesame oil using sesame aged in apple concentrate, solves the rancidity problem that occurs during long-term storage of sesame oil or when used at high temperature, and enhances the flavor of sesame oil We aim to provide a high-quality and highly functional sesame oil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exert synergy between the active ingredients such as polyphenols contained in apples and the nutritional ingredients of sesame oil.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상기 목적은, 참깨를 준비하는 단계; 사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참깨를 상기 사과 농축액에 침지하여 20 내지 26 ℃에서 1 내지 7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이 완료된 후, 상기 사과 농축액으로부터 분리한 숙성 참깨를 얻는 단계; 상기 숙성 참깨를 40 내지 60℃ 에서 10분 내지 20분간 볶음 공정을 수행한 후에 35 내지 45℃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가 완료된 후, 숙성 참깨를 40℃에서 압착하여 참기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참기름을 정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기름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purpose is to prepare sesame; preparing an apple concentrate; immersing the sesame seeds in the apple concentrate and aging at 20 to 26° C. for 1 to 7 days; after the aging is completed, obtaining aged sesame separated from the apple concentrate; drying the aged sesame seeds at 35 to 45° C. after performing a roasting process at 40 to 60° C. for 10 to 20 minutes; After the drying is completed, pressing the aged sesame seeds at 40 ℃ to prepare sesame oil; and purifying the sesame oil; It can be achieved by a sesame oil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상기 사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사과를 세척 및 절단하고 습식분쇄하는, 습식분쇄 단계; 상기 습식분쇄 단계에서 얻어진 사과 페이스트를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여과 단계; 상기 여과 단계에서 여과된 사과 진액을 연속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는, 농축 단계; 상기 농축 단계 후 얻어진 55 내지 65 Brix 의 당도를 갖는 사과 농축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사과 농축물을 식물 발효물과 혼합한 후, 효모 발효한 사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paring of the apple concentrate may include a wet grinding step of washing and cutting the apples and wet grinding; filtering the apple paste obtained in the wet grinding step using a centrifuge; a concentration step of concentrating the apple juice filtered in the filtration step using a continuous concentrator; obtaining an apple concentrate having a sugar content of 55 to 65 Brix obtained after the concentration step; and mixing the apple concentrate with a plant fermented product, and then preparing a yeast-fermented apple concentrate.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과 농축액에 숙성시킨 참깨를 이용함으로써, 참기름의 항산화 효능을 향상시켜 참기름을 신선한 상태로 실온에서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sesame aged in apple concentrat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ntioxidant effect of sesame oil and store the sesame oil in a fresh state for a long time at room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과에 함유된 폴리페놀 등의 각종 유효성분과 참기름 내의 영양성분이 시너지를 발휘하여, 보다 고품질 및 고기능성의 참기름을 제조할 수 있고, 참기름의 풍미를 향상시켜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ctive ingredients such as polyphenols contained in apples and nutrients in sesame oil exert synergy, so that higher quality and higher functional sesame oil can be manufactured, and the flavor of sesame oil can be further improved. can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기름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sesame 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se examples are merely presented by way of example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Further,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n case of conflict, this specification, including definitions will take precedence.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invention proposed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one unit or block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identification number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dentification number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does not clearly describe a specific order in context. It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order specified above. That is,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order as the specified order,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may not be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example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원의 일 측면은, 참깨를 준비하는 단계; 사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참깨를 상기 사과 농축액에 침지하여 20 내지 26 ℃에서 1 내지 7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이 완료된 후, 상기 사과 농축액으로부터 분리한 숙성 참깨를 얻는 단계; 상기 숙성 참깨를 40 내지 60℃ 에서 10분 내지 20분간 볶음 공정을 수행한 후에 35 내지 50℃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가 완료된 후, 숙성 참깨를 저온 압착하여 참기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참기름을 정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tep of preparing sesame; preparing an apple concentrate; immersing the sesame seeds in the apple concentrate and aging at 20 to 26° C. for 1 to 7 days; after the aging is completed, obtaining aged sesame separated from the apple concentrate; drying the aged sesame seeds at 35 to 50 °C after performing a roasting process at 40 to 60 °C for 10 to 20 minutes; After the drying is completed, manufacturing sesame oil by low-temperature compression of aged sesame; and purifying the sesame oil;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sesame oil, comprising a.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기름 제조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sesame oi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첫번째로, 참깨를 준비한다. 참깨는 시판된 참깨를 사용할 수 있다. 참깨는 정제수 또는 흐르는 수돗물에서 수회 세척하여 준비할 수 있다. 세척 후에는 참깨를 자연 건조 또는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참깨를 20 내지 25℃에서 1 내지 5 일간 자연 건조시킬 수 있다. First, prepare sesame seeds. As the sesame, commercially available sesame may be used. Sesame seeds can be prepared by washing several times in purified water or running tap water. After washing, the sesame seeds can be dried naturally or using a dryer. Preferably, the sesame may be naturally dried at 20 to 25° C. for 1 to 5 days.

다음으로, 사과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사과 농축액은, 참깨에 항산화 성분을 부여하여 추후 제조될 참기름의 산패를 막고, 참기름 고유의 풍미는 유지하면서도, 사과의 잔향이 참깨의 고소하고 은은한 향과 시너지를 형성하여 보다 부드러운 맛과 향을 내어 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Next, apple concentrate can be prepared. The apple concentrate gives sesame an antioxidant component to prevent rancidity of sesame oil to be manufactured later, and while maintaining the unique flavor of sesame oil, the remnants of apple form a synergy with the savory and subtle scent of sesame, resulting in a softer taste and aroma. It can improve sensuality.

상기 사과 농축액은 사과를 추출 및 농축한 것이거나, 사과 추출물 또는 사과 농축물을 발효하는 후공정을 수행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발효하는 후공정을 수행한 사과 농축액은, 사과의 유효성분, 예를 들어,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의 함량을 증대되고, 발효에 의한 유산균을 고함량으로 함유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The apple concentrate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and concentrating apples, or performing a post-process of fermenting apple extract or apple concentrate. The apple concentrate that has been subjected to the post-fermentation process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increase the content of an apple's active ingredient, for example, polyphenol, which is an antioxidant component, and contain a high content of lactic acid bacteria by ferment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과 농축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ethod for preparing the apple concentrate is as follows.

사과를 세척 및 절단하고 습식분쇄하는, 습식분쇄 단계; 상기 습식분쇄 단계에서 얻어진 사과 페이스트를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여과 단계; 상기 여과 단계에서 여과된 사과 진액을 연속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는, 농축 단계; 및 상기 농축 단계 후 얻어진 사과 농축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ashing and cutting the apples and wet grinding, wet grinding; filtering the apple paste obtained in the wet grinding step using a centrifuge; a concentration step of concentrating the apple juice filtered in the filtration step using a continuous concentrator; and obtaining an apple concentrate obtained after the concentration step.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습식분쇄 단계에서, 낙과하여 상품성이 낮은 낙과 사과를 세척한 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다음, 습식분쇄할 수 있다. 상기 세척은, 흐르는 물에 수세하거나, 사과의 잔여 농약성분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살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살균은, 일례로, 100 내지 500ppm의 차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에 20 내지 60초간 침지하고, 2 내지 5회 유수로 수세하는 것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wet grinding step, the fallen fruits and apples with low marketability may be washed, cut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n wet crushed. The washing may further include washing with running water or sterilizing to remove residual pesticide components of apples. The sterilization may be, for example, immersing in 100 to 500 ppm sodium hypochlorite aqueous solution for 20 to 60 seconds, and washing with running water 2 to 5 times.

상기 절단은, 절단기 또는 칼을 사용하여, 사과를 4 내지 12분할(바람직하게는 8분할)로 조각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습식분쇄는 사과를 분쇄하여 페이스트(paste) 상태로 만드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습식분쇄는 예를 들어,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cutting, using a cutter or a knife, may be to cut the apple into 4 to 12 divisions (preferably 8 divisions). The wet grinding may be to grind apples into a paste state. The wet grinding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colloid mil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여과 단계에서, 상기 사과 페이스트(paste)를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1,000 내지 3,000RPM의 조건에서 여과하여 사과 진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사과 진액은 6 내지 15 Brix 의 당도를 가질 수 있다. In the filtration step, the apple paste may be filtered under the conditions of 1,000 to 3,000 RPM using a centrifuge to obtain apple juice. The apple juice may have a sugar content of 6 to 15 Brix.

상기 농축 단계에서, 상기 사과 진액을 예컨대, 연속 농축기를 이용하여 55 내지 65 Brix, 일례로, 60 Brix 까지 농축하여 사과 농축물을 얻을 수 있다. In the concentration step, the apple concentrate may be concentrated to 55 to 65 Brix, for example, 60 Brix using a continuous concentrator to obtain an apple concentrat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과 농축물을 전술된 사과 농축액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상기 사과 농축물을 발효물과 혼합한 후, 효모 발효를 수행하는 후공정을 더 포함하여 제조된 발효된 사과 농축액을 사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발효된 사과 농축액을 사용하면, 사과의 항산화 성분, 일례로, 폴리페놀의 함량이 증대되고, 유산균 및 각종 효소들이 풍부하게 함유할 수 있다. 이로써, 추후 제조될 참기름의 항산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름성분의 입자가 작아져 체내 흡수가 잘되면서도 섭취하였을 때 체내의 효소작용을 활성화시켜 소화흡수력을 높여줄 수 있다. 즉,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고, 소화 흡수력이 좋은 고품질·고기능성의 참기름을 제조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t means using the apple concentrate as the above-mentioned apple concentrate, or after mixing the apple concentrate with the fermented product, the fermented apple concentrate prepared by further comprising a post-process of performing yeast fermentation may be using When the fermented apple concentrate is used, the antioxidant component of apples, for example, polyphenol content is increased, and lactic acid bacteria and various enzymes can be abundantly contained. Accordingly, not only can the antioxidant effect of sesame oil to be manufactured later be further improved, but the particles of the oil component are small so that the body absorbs it well, and when ingested, it is possible to activate the enzyme action in the body to increase digestion and absorp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high-quality, high-functional sesame oil with excellent antioxidant effect and good digestion and absorption.

상기 발효물은 식물 발효물일 수 있다. 상기 식물 발효물은, 천연에서 얻어지는 식물재료, 예컨대, 구아바 잎, 노루궁뎅이버섯, 동충하초, 송로버섯, 생강, 계피, 참나무잎, 두송잎, 진피, 갈근, 갈화, 갈엽, 송순, 약 쑥, 헛개나무 열매, 겨우살이, 조릿대, 까마중, 민들레, 인동꽃, 구기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식물재료를 유산균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fermented product may be a plant fermented product. The plant fermented product is a plant material obtained from nature, for example, guava leaf, roe deer mushroom,   cordyceps,   truffle, ginger, cinnamon, oak leaf, cypress leaf, dermis, brown root, brown flower, brown leaf, pine needle, medicinal mugwort, wormwood. It may be a lactic acid fermented product of any one plant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ee fruit, mistletoe, bamboo shoots, blackberry, dandelion, honeysuckle, wolfberry,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lactic acid bacteria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combinations thereof.

일례로서, 상기 식물 발효물은 구아바 잎 발효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사과 농축물 및 상기 발효물은, 예를 들어, 10~70% : 30~90% 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plant fermentation produc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guava leaf fermentation product. The apple concentrate and the fermented product may be mixed in a ratio of, for example, 10 to 70%: 30 to 90%.

상기 효모 발효의 조건은, 온도 5 내지 50℃, 상대습도 40 내지 90%의 조건에서 5일 내지 20년, 일례로 5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효모 발효를 수행하면, 발효된 사과 농축액의 폴리페놀 함량, 유산균 및 각종 효소 함량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The conditions of the yeast fermentation may be performed for 5 days to 20 years, for example 5 days,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5 to 50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40 to 90%. When the yeast fermentation is performed, the content of polyphenols, lactic acid bacteria and various enzymes in the fermented apple concentrate can be further increased.

다음으로, 참깨를 사과 농축액에 숙성시켜 숙성 참깨를 제조한다. 상기 숙성은, 참깨 자체를 숙성시키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참깨를 직접 상기 사과 농축액에 침지하여 참깨에 사과의 유효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참깨 자체에 항산화 성분이 고함량으로 함유되면서도, 참깨의 풍미가 보다 부드럽게 형성되도록 하여, 고품질 및 고기능성의 참기름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Next, sesame seeds are aged in apple concentrate to prepare aged sesame seeds. The aging is to ripen the sesame itself, and specifically, the sesame may be directly immersed in the apple concentrate so that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apple is abundantly contained in the sesame. Accordingly, while the antioxidant component is contained in the sesame itself in a high content, the flavor of sesame is formed more gently, so that high-quality and high-functional sesame oil can be obtained.

상기 숙성은 그늘진 곳에서 수행되되, 자연 상태와 유사한 조건에서 수행되는 자연 숙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숙성은, 1 내지 7일, 일례로는 3일, 다른 예로, 7일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온, 예를 들어, 20 내지 26℃, 일례로, 23 내지 25℃에서, 햇빛이 없고, 공기가 통하는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aging is performed in a shaded place, and may be natural aging performed under conditions similar to the natural state. Specifically, the aging is, 1 to 7 days, for example 3 days, as another example, preferably carried out for 7 days, at room temperature, for example, 20 to 26 ℃, for example, 23 to 25 ℃, sunlight There is no, and it can be carried out in the condition of air passage.

상기 숙성이 전술된 조건 범위에서 수행되면, 참깨 내 유효성분의 함량이 더욱 증대되며, 추후 참기름을 제조할 때에도 참깨의 풍미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aging is performed in the above-mentioned condition range,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sesame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flavor of sesame can be maintained even when preparing sesame oil later.

다음으로, 숙성이 완료된 후, 상기 사과 농축액으로부터 숙성 참깨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분리 방법은, 공지된 기술을 따를 수 있으며, 일례로서, 여과망을 사용한 여과 등의 물리적인 분리일 수 있다. 상기 여과는 수회 반복될 수 있다.Next, after the aging is completed, the aged sesame may be separated from the apple concentrate. The separation method may follow a known technique, and as an example, may be physical separation such as filtration using a filtration network. The filtration may be repeated several times.

다음으로, 상기 여과 후에는 볶음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볶음은 40 내지 60℃, 일례로 50℃에서, 10 내지 20분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볶음은 저온에서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참기름 제조시 고온에서 볶음(70℃ 이상)으로 인해 독성 성분이 생성되는 우려를 줄일 수 있다. Next, after the filtration, a roas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he stir-frying may be performed at 40 to 60°C, for example at 50°C, for 10 to 20 minutes. By performing the stir-fry at a low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concerns about the generation of toxic ingredients due to the stir-frying (70° C. or higher) at a high temperature during the production of conventional sesame oil.

상기 볶음은 상기 숙성 참깨를 세척하여 숙성 참깨의 표면에 존재하는 잔여 사과 농축액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에 수행할 수도 있고, 숙성 참깨를 별도로 세척을 하지 않은 상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별도로 세척을 하지 않고 볶음 공정을 수행할 경우에는, 숙성 참깨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0%의 잔여 사과 농축액이 있는 상태에서 볶음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된 조건에서 볶음을 수행하면, 숙성 참깨의 풍미를 최적의 상태로 보존할 수 있다. The roasting may be performed after washing the aged sesame seeds to completely remove the remaining apple concentrate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aged sesame seeds, or may be performed without separately washing the aged sesame seeds. When the roasting process is performed without separate washing, the roasting may be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5 to 10% of the remaining apple concentrat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ged sesame seeds. If the roasting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described above, the flavor of aged sesame seeds can be optimally preserved.

다음으로, 숙성 참깨를 건조한 후, 저온 압착하여 참기름을 제조한다. 볶음 공정이 수행된 숙성 참깨를 35 내지 50℃, 일례로, 40℃에서 천천히 저온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저온 건조는, 볶아진 숙성 참깨 고유의 향과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Next, after drying the aged sesame seeds, sesame oil is prepared by low-temperature compression. Aged sesame seeds subjected to the roasting process may be slowly dried at a low temperature at 35 to 50 °C, for example, 40 °C. The low-temperature drying can improve the unique flavor and taste of roasted aged sesame seeds.

이후, 착유기를 사용하여 숙성 참깨를 압착하여 45℃ 이하, 예를 들어, 30℃내지 45℃, 일례로, 40℃에서 착유할 수 있다. 상기 착유 방식은 저온 착유법으로서, 참기름의 향미를 유지하면서도, 참기름 내 유효성분을 고품질로 수득할 수 있도록 한다. 착유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곡물 기름 착유에 사용되는 공지된 착유기를 사용할 수 있다. Thereafter, by pressing the aged sesame seeds using a milking machine, it can be milked at 45° C. or less, for example, 30° C. to 45° C., for example, 40° C. The milking method is a low-temperature milking method, and while maintaining the flavor of sesame oil, it is possible to obtain high-quality active ingredients in sesame oil. The milking machin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milking machine used for milking grain oil may be used.

상기 착유기를 사용하여 참기름을 제조할 때에는, 서리태, 로즈힙, 카카오닙스, 포도 껍질, 울금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분쇄물 또는 추출물인 천연 재료를 더 투입하여 압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천연 재료는 참기름의 항산화 효능을 더욱 강화하고, 참기름의 향미 이외에 다양한 관능성에 대한 기호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재료의 함량은, 참기름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 예를 들어, 0.1 내지 2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전술된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천연 재료의 향미가 과하여 참기름 고유의 고소한 풍미를 저하시킬 수 있다.When producing sesame oil using the milking machine, it may be compressed by further adding a natural material that is a pulverized product or extract of any one selected from seoritae, rose hips, cacao nibs, grape skins, turmeric, or a combination thereof. These natural ingredients can further enhance the antioxidant effect of sesame oil, and give preference to various sensory properties in addition to the flavor of sesame oil. The content of the natural material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5% by weight, for example, 0.1 to 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sesame oil. Outside the above-mentioned content range, the flavor of natural ingredients may be excessive, thereby reducing the unique nutty flavor of sesame oil.

다른 예로, 숙성 참깨를 교반 및 추출하여 참기름을 제조할 수도 있다. 교반 및 추출하여 참기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건조된 숙성 참깨를 파쇄기 또는 분쇄기 등에 투입하여 분쇄한 다음, 용매, 구체적으로는 고온의 물(70℃)을 교반기에 함께 투입하여 교반할 수 있다. 상기 교반은 숙성 참깨를 페이스트 상으로 형성하는 제1 교반 및 물과 참깨 유지성분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2 교반을 포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sesame oil may be prepared by stirring and extracting aged sesame. A method of preparing sesame oil by stirring and extraction is as follows. After the dried aged sesame seeds are put into a crusher or grinder, and the like, a solvent, specifically, high temperature water (70° C.) may be added to the stirrer and stirred. The stirring may include a first stirring to form the aged sesame paste in the form of a paste and a second stirring to separate water and sesame oil components.

상기 제1 교반은, 상기 숙성 참깨 총 중량에 대하여, 55 내지 75중량%, 구체적으로, 60 중량%의 고온의 물을 공급하여, 70 내지 90℃, 10 내지 20회전/분의 조건에서 120 내지 200분간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숙성 참깨가 고온의 물에서 페이스트 상태로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stirring i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ged sesame, 55 to 75% by weight, specifically, by supplying 60% by weight of high-temperature water, 70 to 90 ℃, at a condition of 10 to 20 rotations / min 120 to It may be performed for 200 minutes. Thereby, it is possible to make the aged sesame seeds exist in a paste state in hot water.

상기 제2 교반은, 상기 제1 교반이 완료된 후에, 70 내지 90℃, 30 내지 50회전/분의 조건에서 30 내지 50분간, 일례로 40분간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교반은 1회 내지 6회, 구체적으로, 2회 내지 5회, 일례로 5회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교반에 의하여, 물과 참깨 유지성분이 분리되면서, 비중 차에 의해 참기름이 표면으로 부상하게 된다.The second stirring may be performed for 30 to 50 minutes, for example, 40 minutes, under conditions of 70 to 90° C. and 30 to 50 rotations/minute after the first stirring is completed. The second stirring may be repeated 1 to 6 times, specifically, 2 to 5 times, for example, 5 times. By the second stirring, water and the sesame oil component are separated, and the sesame oil floats to the surface by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상기 교반, 구체적으로, 제1 교반 시에는, 서리태, 로즈힙, 카카오닙스, 포도 껍질, 울금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분쇄물 또는 추출물인 천연 재료를 더 투입할 수 있다. 이러한 천연 재료는 참기름의 항산화 효능을 더욱 강화하고, 참기름의 향미 이외에 다양한 관능성에 대한 기호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재료의 함량은, 참기름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 예를 들어, 0.1 내지 2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전술된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천연 재료의 향미가 과하여 참기름 고유의 고소한 풍미를 저하시킬 수 있다.The stirring, specifically, during the first stirring, seoritae, rose hips, cacao nibs, grape skins, turmeric, or any one of a pulverized product or extract selected from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further added to the natural material. These natural ingredients can further enhance the antioxidant effect of sesame oil, and give preference to various sensory properties in addition to the flavor of sesame oil. The content of the natural material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5% by weight, for example, 0.1 to 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sesame oil. Outside the above-mentioned content range, the flavor of natural ingredients may be excessive, thereby reducing the unique nutty flavor of sesame oil.

상기 추출은 참기름이 표면에 완전히 부상할 때, 일례로, 분별 깔때기, 등을 사용하여 참기름을 분리하는 물리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For the extraction, when the sesame oil completely floats on the surface, for example, a physical method of separating the sesame oil using a separatory funnel, etc. may be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known methods may be used.

다음으로, 제조된 참기름을 정제한다. 정제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상온(22 내지 26℃)에 방치하여 침전시켜 침전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15 내지 25분간 여과하는 것일 수 있다. 정제된 참기름은 질소 충진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Next, the prepared sesame oil is purified. As a method of purification, for example, it may be left at room temperature (22 to 26° C.) to precipitate, remove the precipitated impurities, and filter for 15 to 25 minutes. Refined sesame oil may additionally include a nitrogen filling step,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참기름 제조방법에 따르면, 사과 농축액에 숙성시킨 참깨를 이용함으로써, 참기름의 항산화 기능을 증대시켜 장기 보관 시 또는 고온에서 사용할 시 나타나는 산패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과에 함유된 폴리페놀 등의 각종 유효성분과 참기름 내의 영양성분이 시너지를 발휘하도록 하고, 참기름 고유의 풍미를 유지하면서도 사과의 잔향과 참기름의 풍미가 어우러져 더욱 부드러운 맛과 향을 제공할 수 있는, 고품질 및 고기능성의 참기름을 제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same oil manufacturing method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sesame aged in apple concentrate, the antioxidant function of sesame oil can be increased to minimize the rancidity problem that occurs during long-term storage or when used at high temperatures. In addition, various active ingredients such as polyphenols contained in apples and nutrients in sesame oil exert synergy, and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flavor of sesame oil, the reverberation of apples and the flavor of sesame oil harmonize to provide a softer taste and aroma. , can produce high-quality and high-functional sesame oil.

제조된 참기름은 그 자체로 섭취가능하고, 다양한 식품에 첨가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서, 상기 참기름은 빵 또는 샐러드의 드레싱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예컨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의 다양한 식품의 종류에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The prepared sesame oil can be consumed by itself, and can be used by adding it to various foods, and the type of fo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an example, the sesame oil may be used as a dressing for bread or salad, for exampl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 beverages, teas,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can be used for various types of food, and includes all foods in a normal sense.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ffec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먼저, 시판 참깨를 정제수에 세척하여 준비하였다. 낙과 사과를 세척한 후 절단 및 습식분쇄하여 사과 페이스트를 얻은 후,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얻어진 사과 진행을 연속 농축기로 농축하여 60brix의 사과 농축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구아바 잎 발효물과 상기 사과 농축물을 혼합한 후, 효모 발효하여 사과 농축액을 제조하였다.First, commercially available sesame seeds were prepared by washing in purified water. After washing the fruits and apples, cutting and wet grinding to obtain an apple paste, centrifugation and filtration were performed to concentrate the apples obtained through a continuous concentrator to prepare an apple concentrate of 60brix. Then, the fermented guava leaf and the apple concentrate were mixed, and then yeast fermented to prepare an apple concentrate.

그 다음에, 사과 농축액에 상기 참깨를 침지한 후, 실온(22℃)의 그늘진 곳에서 3일간 숙성시켰다. 숙성이 완료된 후에 여과망에 통과시켜 사과 농축액을 거의 제거한 다음, 숙성 참깨를 50℃에서 15분간 볶음하였다. 볶아진 숙성 참깨를 40℃에서 건조시킨 다음, 40℃에서 저온 압착하여 참기름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참기름을 상온에 수시간 동안 방치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다음, 밀폐용기에 담아 질소 포장하였다.Then, after immersing the sesame seeds in the apple concentrate, it was aged for 3 days in a shaded place at room temperature (22° C.). After the ripening was completed, the apple concentrate was almost removed by passing through a filter screen, and then the aged sesame seeds were roasted at 50° C. for 15 minutes. The roasted aged sesame seeds were dried at 40° C. and then pressed at 40° C. to prepare sesame oil. The obtained sesame oil was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several hours to remove the precipitate, and then placed in an airtight container and packed with nitrogen.

[실시예 2] [Example 2]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되, 구아바 잎 발효물과 혼합하지 않고, 효모 발효를 수행하지 않은 사과 농축물을 사과 농축액으로 사용하여 참기름을 제조하였다.Sesame oil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using an apple concentrate that was not mixed with guava leaf fermented product and had not undergone yeast fermentation as an apple concentrate.

[실시예 3] [Example 3]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되, 구아바 잎 발효물이 아닌 생강 발효물을 사과 농축물에 혼합하여 효모 발효한 사과 농축액을 사용하여 참기름을 제조하였다. Sesame oil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fermented ginger, not fermented guava leaf, was mixed with apple concentrate and yeast-fermented apple concentrate was used.

[실시예 4] [Example 4]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되, 압착 시에 포도껍질 추출물을 더 혼합하여 참기름을 제조하였다. Sesame oil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grape skin extract was further mixed during compression.

[실시예 5] [Example 5]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되, 상기 숙성을 8일간 수행하여 참기름을 제조하였다.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ging was performed for 8 days to prepare sesame oil.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되, 참깨를 사과 농축액에 숙성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참기름을 제조하였다.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tep of aging the sesame seeds in the apple concentrate was not performed, and sesame oil was prepared.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되, 참깨를 사과 농축액에 침지하여 숙성시키는 것이 아닌, 압착 시에사과 농축액을 혼합시켜 참기름을 제조하였다.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sesame oil was prepared by mixing the apple concentrate during compression, rather than immersing sesame seeds in the apple concentrate to ripen.

[비교예 3] [Comparative Example 3]

상기 실시예 1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되, 참깨를 사과 농축액이 아닌, 참나무 잎 농축액에 숙성시켜 참기름을 제조하였다.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sesame oil was aged in oak leaf concentrate, not apple concentrate, to prepare sesame oil.

[실험예 1: 장기 보관 시 산패도 분석][Experimental Example 1: Analysis of rancidity during long-term storage]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의 참기름을 각각 6개월, 12개월, 18개월간 장기 보관하는 과정에서 산패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동일한 조건을 위하여 보관 장소를 그늘지고 서늘한 상태로 유지하였으며, 참기름의 사용은 전혀 하지 않고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산패도 측정 방법은 AOAC법을 이용하였으며,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In the process of long-term storage of the sesame oil of Examples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3 for 6 months, 12 months, and 18 months, respectively, rancidity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same conditions, the storage place was kept in a shaded and cool state, and sesame oil was not used at all and kept sealed. The AOAC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rancidity, and the experimental method is as follows.

각 기간 후의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의 참기름 시료를 각각 0.5 g을 취하여 다이에틸에테르(diethyl ether)와 에탄올(ethanol)이 2:1로 혼합된 용매 10 mL를 가한 후 충분히 혼합하고, 1% 페놀프탈레인 (phenolphthalein) 용액을 지시약으로 0.1 N KOH 용액으로 적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가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After each period, 0.5 g of each of the sesame oil samples of Examples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3 were taken, and 10 mL of a solvent in which diethyl ether and ethanol were mixed in a ratio of 2:1 was added, and then thoroughly mixed. and titrated a 1% phenolphthalein solution with a 0.1 N KOH solution as an indicator to obtain an acid value by the following [Equation 1].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수학식 1] [Equation 1]

산가={(V1-V0)×5.611×F}/SAcid value={(V 1 -V 0 )×5.611×F}/S

V1 : 본 시험의 0.1 N KOH 용액의 적성 소비량(mL), V1: Aptitude consumption (mL) of 0.1 N KOH solution in this test,

V0 : 공 시험의 0.1 N KOH 용액의 적성 소비량(mL), V0: aptitude consumption of 0.1 N KOH solution of blank test (mL),

F : 0.1 N KOH용액의 역가,F: titer of 0.1 N KOH solution,

S : 시료 채취량(g).S: Sample collection amount (g).

Figure 112021056376093-pat00001
Figure 112021056376093-pa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들의 참기름은 장기보관 후에도 산패도 증가가 거의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들은 장기보관 후에 산패가 상당히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과 같이, 참깨를 사과 농축액에 직접 숙성시켰을 때, 산패도 증가는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sesame oil of Examples did not show little increase in rancidity even after long-term storage.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arative examples significantly progressed rancidity after long-term storage. In particular, as in Example 1, when sesame seeds were directly aged in apple concentr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rease in rancidity was the lowest.

[실험예 2: 관능테스트 평가][Experimental Example 2: Sensory Test Evaluation]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의 참기름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sesame oil of Examples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3. The evaluation method is as follows.

전문관능시험요원 15명이 시식하여, 맛, 향 및 전체적인 선호도인 각 항목에 대하여, 양호(5), 약간 양호(4), 보통(3), 약간불량(2), 불량(1)으로 가한 후, 그 평균점으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After tasting by 15 professional sensory test personnel, for each item of taste, aroma, and overall preference, good (5), slightly good (4), normal (3), slightly poor (2), and poor (1) were added. , was judged by the average scor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Figure 112021056376093-pat00002
Figure 112021056376093-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들의 참기름이 비교예들에 비해 전반적인 관능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참깨를 사과농축액에 직접 침지하여 숙성시킨 숙성 참깨를 저온 압착하여 제조한 실시예 1의 참기름의 관능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2, it was confirmed that the sesame oil of the Examples had superior overall sensory propertie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sesame oil of Example 1, prepared by low-temperature compression of aged sesame seeds aged by directly immersing sesame seeds in apple concentrate, were the best.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specification, only a few examples among the various embodiments performed by the present inventors are described,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hereto, and it is of course that it may be modified and various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3)

정제수에 세척하고 20℃에서 5 일간 자연 건조시킨 참깨를 준비하는 단계;
사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참깨를 상기 사과 농축액에 침지하여, 햇빛이 없고 공기가 통하는 조건 하에 25 ℃에서 7일 동안 자연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이 완료된 후, 여과망을 사용하여 상기 사과 농축액으로부터 분리한 숙성 참깨를 얻는 단계;
얻어진 숙성 참깨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0%의 잔여 사과 농축액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숙성 참깨를 50℃에서, 15분간 볶음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숙성 참깨를 40℃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가 완료된 후, 숙성 참깨를 40℃에서 저온 압착하여 참기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참기름을 26℃ 에 방치하여 침전시켜 침전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15 내지 25분간 여과하여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낙과 사과를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500ppm의 차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에 60초간 침지하여 살균하고, 살균된 사과를 절단기를 사용하여 8분할로 조각내어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분쇄한 후에 페이스트 상태로 만드는 것인, 습식분쇄 단계; 상기 습식분쇄 단계에서 얻어진 사과 페이스트를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000RPM의 조건에서 여과하여 6 내지 15 Brix 의 당도를 갖는 사과 진액을 얻는 것인, 여과 단계; 상기 여과 단계에서 여과된 사과 진액을 연속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는, 농축 단계; 상기 농축 단계 후 얻어진 60 Brix 의 당도를 갖는 사과 농축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사과 농축물을 식물 발효물과 혼합한 후, 효모 발효한 사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 압착 시에는, 서리태, 로즈힙 및 카카오닙스의 분쇄물 및 포도껍질 추출물의 혼합물인 천연 재료를, 참기름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기름 제조방법.
Preparing sesame seeds washed in purified water and naturally dried at 20° C. for 5 days;
preparing an apple concentrate;
immersing the sesame seeds in the apple concentrate, natural aging for 7 days at 25° C. under conditions of no sunlight and air;
after the aging is completed, obtaining aged sesame seeds separated from the apple concentrate using a filtration network;
roasting the aged sesame seeds at 50° C. for 15 minutes in the presence of 5 to 10% of the remaining apple concentrat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obtained aged sesame;
drying the aged sesame seeds at 40°C;
After the drying is completed, the step of low-temperature compression of aged sesame seeds at 40 ℃ to prepare sesame oil; and
A step of purifying the sesame oil by leaving it to stand at 26 ° C. to remove the precipitated impurities, and filtration for 15 to 25 minutes;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apple concentrate, the fallen apples are washed in running water, sterilized by immersion in 500 ppm sodium hypochlorite aqueous solution for 60 seconds, and the sterilized apple is sliced into 8 parts using a cutter and a colloid mill is used. After pulverizing, to make a paste state, wet pulverizing step; filtering the apple paste obtained in the wet grinding step using a centrifuge at 3,000 RPM to obtain an apple juice having a sugar content of 6 to 15 Brix; a concentration step of concentrating the apple juice filtered in the filtration step using a continuous concentrator; obtaining an apple concentrate having a sugar content of 60 Brix obtained after the concentration step; and mixing the apple concentrate with a plant fermented product, and then preparing a yeast-fermented apple concentrate.
At the time of the low-temperature compression, the natural material, which is a mixture of the pulverized material of seoritae, rosehip and cacao nibs and grape skin extract, is further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same oil, the method for producing sesame oil.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63091A 2021-05-17 2021-05-17 Method for preparing seasame oil using apple concentrate KR1023589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091A KR102358930B1 (en) 2021-05-17 2021-05-17 Method for preparing seasame oil using apple concent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091A KR102358930B1 (en) 2021-05-17 2021-05-17 Method for preparing seasame oil using apple concentr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930B1 true KR102358930B1 (en) 2022-02-08

Family

ID=8025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091A KR102358930B1 (en) 2021-05-17 2021-05-17 Method for preparing seasame oil using apple concentr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930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755A (en) * 2003-08-26 2005-03-07 구성학 Ferment apple oil
KR101273946B1 (en) * 2012-08-10 2013-06-12 김종진 Method for content increase of polyphenol and lactic acid bacteria of apple by guava fermentation
KR101844209B1 (en) * 2018-02-02 2018-03-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perilla oil with improved storage
KR101847736B1 (en) * 2016-10-13 2018-04-11 천원기 Manufacturing method for sesame oil or perilla seed oil
KR102065653B1 (en) * 2019-06-24 2020-02-17 주식회사 다들림푸드 Method for manufacturing sesame oil using herbal ingredients and a herbal sesame oil manufactured by the method
KR20200042734A (en) * 2018-10-16 2020-04-24 농업회사법인기도서주식회사 Production method of perilla oil or sesame oil containing turmeric
KR20200066780A (en)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다들림푸드 Method for manufacturing of saesame oil having highpurit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755A (en) * 2003-08-26 2005-03-07 구성학 Ferment apple oil
KR101273946B1 (en) * 2012-08-10 2013-06-12 김종진 Method for content increase of polyphenol and lactic acid bacteria of apple by guava fermentation
KR101847736B1 (en) * 2016-10-13 2018-04-11 천원기 Manufacturing method for sesame oil or perilla seed oil
KR101844209B1 (en) * 2018-02-02 2018-03-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anufacturing perilla oil with improved storage
KR20200042734A (en) * 2018-10-16 2020-04-24 농업회사법인기도서주식회사 Production method of perilla oil or sesame oil containing turmeric
KR20200066780A (en)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다들림푸드 Method for manufacturing of saesame oil having highpurity
KR102065653B1 (en) * 2019-06-24 2020-02-17 주식회사 다들림푸드 Method for manufacturing sesame oil using herbal ingredients and a herbal sesame oil manufactured by the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예산] 맛과 영양을 UP! 매헌 사과발효 들깨기름. 우체국쇼핑, [online], 2021년 2월 28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220663A (en) Method for producing mulberry fermented tea obtained by hybriding mulberry component into pong component
KR20170095678A (en) Prodution mether of fermented and germinated coffee using mixed microorganisms.
KR20170021448A (en) Oriental melon grain syrup with contains gi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212443A (en) Preparation method of full-juice lichi dry wine
KR100883278B1 (en) A persimmon extract and the producing method thereof
KR101977833B1 (en) Green apple pure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58930B1 (en) Method for preparing seasame oil using apple concentrate
KR101853848B1 (en) Preparing of salt containing oriental melon lees and oriental melon lees salt obtained therefrom
KR101421186B1 (en) Preparation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ookie using apple grain syrup
CN108433049A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red kiwifruit powder
KR102361963B1 (en) Method for preparing perilla oil using apple concentrate
KR101819686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offee fermentation Momordica charantia
CN1972603A (en) Process for producing whitish banaba extract, whitish banaba extract and food or drink containing whitish banaba extract
KR102274917B1 (en) Preparation method of dry Fig and powder as high quality improvement by use of general Fig, premature Fig and low cost qualiry Fig
TR202015260U5 (en) SOUR AND SWEET TYPE WILD MOLASSES MOLASSES PRODUCTION METHOD
KR20110012070A (en) A onion-vinegar beverage having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103035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beverage containing cactusextracts and black galic
KR101656442B1 (en) Preparation method of red garlic Jam
KR10185276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lum-persimmon vinegar
KR20200136174A (en) Manufacturing method of tea and sugar pickled food using trifoliate orange
Jayasekara et al. Processing technologies for virgin coconut oil and coconut based Confectionaries and beverages
KR10254924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hallabong bread and hallabong bread manufactured by the same
KR20130097459A (en) Fermented beverages with peach puree manufacturing methods
KR102268056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yam cream chocolate and yam cream chocolate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262370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solated chicken breast protein pow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