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529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529B1
KR102358529B1 KR1020160064972A KR20160064972A KR102358529B1 KR 102358529 B1 KR102358529 B1 KR 102358529B1 KR 1020160064972 A KR1020160064972 A KR 1020160064972A KR 20160064972 A KR20160064972 A KR 20160064972A KR 102358529 B1 KR102358529 B1 KR 102358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und
sound output
coordinates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9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3766A (en
Inventor
임국찬
윤찬민
신덕문
전진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4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529B1/en
Publication of KR20170133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7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5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및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 좌표 인식부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의 좌표와 각각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서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sound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cluded in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and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n application coordinat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coordinates of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and an application coordinat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coordinates of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Each of the coordinates is compared with the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disposed on the display device, and at least one sound output unit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the execu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elected sound output uni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being processed.

Description

사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SOUND CONTROL DEVICES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본 발명은 사운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 출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ound output of an application in a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대형 화면을 구비하는 테이블탑(table top)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터치를 입력으로 받아들여서 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형 화면 상에서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멀티태스킹 방식으로 동시에 실행시킬 수 있다.A display device such as a table top having a large screen may receive and process a touch input from a plurality of users. In addition, such a display device may simultaneously execute a plurality of applications in a multitasking manner on a large screen.

어플리케이션이 발생시키는 사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스피커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각각은 자신이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 뿐만 아니라 타 사용자가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도 동시에 듣게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사용자는 자신이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와 타 사용자가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혼동하여 인식할 수 있다.The sound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may be output to a plurality of users through a plurality of speakers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may simultaneously hear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executed by other users as well as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executed by the user. In this case, each user may confuse and recognize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executed by the user and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executed by another user.

한편,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위치는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위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위치로 이동되어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위치 이동을 고려하여 기존의 사운드 출력부에서 새로운 위치의 사운드 출력부로 변경될 수 있어야 한다.Meanwhile, the location where the application is executed on the display devic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For example, an application executed in one location may be moved to another location and executed. In this case, the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should be able to be changed from the existing sound output unit to the sound output unit at a new lo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movement of the application.

또한,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별로 사운드의 크기 등을 제어하는 방안이 요구된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executed on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ize of sound for each application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31335, 2010.12.15.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131335, 2010.12.15.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에서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a sound of an application executed on a display device from among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또한,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위치 변경을 고려하여 기존의 사운드 출력부를 새로운 사운드 출력부로 변경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changing the existing sound output unit to a new sound output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application when the location of the application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is changed.

또한,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것과 관련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related to outputting sound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through one sound output unit.

또한, 사운드 출력부가 출력하는 사운드의 최대 크기를 어플리케이션과 사운드 출력부와의 이격 거리에 따라 조절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adjusting the maximum size of the sound output by the sound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pplication and the sound output unit.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및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 좌표 인식부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의 좌표와 각각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서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sound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cluded in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and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n application coordinat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coordinates of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and an application coordinat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coordinates of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Each of the coordinates is compared with the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disposed on the display device, and at least one sound output unit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the execu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elected sound output uni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being processed.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부 및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의 좌표와 각각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서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 sou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erformed in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and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the steps of recognizing the coordinates of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Comparing each of the coordinates with the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disposed on a display device, selecting at least one sound output uni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outputting the sound of the running applica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와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가장 가까운 위치의 사운드 출력부로 사운드가 출력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on a display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and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 sound may be output to a sound output unit located closest to the executed application.

아울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위치가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변경되는 경우, 이러한 위치 변경을 고려하여 기존의 사운드 출력부를 새로운 사운드 출력부로 변경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ecution position of the application is changed on the display unit, the existing sound output unit may be changed to a new sound output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change.

또한,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시킬 때, 이들의 사운드를 믹싱하여 출력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 때 사운드의 크기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ound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output through one sound output unit, the sounds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may be mixed and output, and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sounds may be individually adjusted.

또한, 사운드 출력부가 출력하는 사운드의 최대 크기를 어플리케이션과 사운드 출력부와의 이격 거리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ximum size of the sound output by the sound output uni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pplication and the sound output uni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일 실시예에 사운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제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좌표가 변경되었을 때 사운드를 제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의 사운드를 제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운드 출력부가 출력하는 사운드의 최대 크기가 제어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사운드의 최대 크기가 제어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oun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oun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controlling a sound of an application using a sound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sound control when an execution coordinate of an applic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controlling a sound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execu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that the maximum volume of a sound output by a sound output unit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7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that the maximum volume of sound in FIG. 6 is controlled.
8 is a diagram illustrating each step of a sou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oun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한다. 하나의 디스플레이부(30)는 실시예에 따라서 그보다 작은 크기의 복수의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디스플레이부(30)가 점선에 의하여 6개의 구획으로 구분되도록 도시된 것은, 이와 같이 작은 크기의 복수(6개)의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되어서 하나의 디스플레이부(30)가 구성될 수 있음을 개념적으로 예를 들어서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는 사용자(50)로부터의 터치를 입력으로 받아들이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는 복수의 사용자(50)로부터 복수의 터치를 동시에 받아들일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10 includes a display unit 30 . One display unit 30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having a smaller siz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FIG. 1, the display unit 30 is shown to be divided into six sections by a dotted line, indicating that one display unit 30 can be config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six) display units having a small size as described above. Conceptually, it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The display unit 3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a touch from the user 50 as an input. The display unit 30 may simultaneously receive a plurality of touches from a plurality of users 50 .

디스플레이부(3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앱)이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50)는 디스플레이부(30) 상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터치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various applications (apps) executed on the display device 1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 The user 50 may control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by using a touch.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운드 출력부(20)를 포함한다. 사운드 출력부(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복수 개로 포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 상에 각각 배치된다. 사운드 출력부(20)가 배치된 위치는 좌표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는데, 이러한 좌표는 사운드 출력부(20)의 배치가 변경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관리자나 사용자(50) 등에 의하여 갱신 가능하다.The display device 10 includes a sound output unit 20 .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20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apparatus 10 .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20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display device 10 . The position where the sound output unit 20 is dispose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not shown) of the display device 10 as coordinates, and these coordinates are the coordinates of the display device 10 as the arrangement of the sound output unit 20 is changed. It can be updated by an administrator, user 50, or the like.

사운드 출력부(20)는 사운드(소리)를 출력한다. 사운드 출력부(20)는 스피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ound output unit 20 outputs sound (sound). The sound output unit 20 may be a speak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사운드 출력부(20)는 어플리케이션이 발생시키는 사운드를 출력한다. 어플리케이션이 발생시키는 사운드가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20) 중에서 어느 사운드 출력부(20)로 출력될 것인지는 후술할 사운드 제어 장치(100)에 의하여 선택되고 제어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사운드 제어 장치(100) 및 이러한 사운드 제어 장치(1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The sound output unit 20 outputs a sound generated by an application. Which sound output unit 20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20 to which the sound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is output is selected and controlled by the sound control apparatus 100 to be described later.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ound control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10 including the sound control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어 장치의 구성, 그리고 이러한 사운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oun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ound control device.

도 2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운드 제어 장치(100),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20) 및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테이블탑과 같은 컴퓨터 장치이므로, 도 2a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컴퓨터 장치에 포함되는 일반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 the display device 10 includes a sound control device 100 ,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20 , and a display unit 30 .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device 10 is a computer device such as a tabletop, although not shown in FIG. 2A , it may further include general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mputer device.

사운드 출력부(20)와 디스플레이부(30)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ound output unit 20 and the display unit 30 have already been described in FIG. 1 ,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사운드 제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좌표 인식부(11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서 크기 조절부(140) 및 조절 좌표 인식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운드 제어 장치(100)는 이하에서 설명할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이러한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 가능하다.The sound control apparatus 100 includes an application coordinate recognition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30 , and may further include a size adjustment unit 140 and an adjustment coordinate recognition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ound control apparatus 100 can be implemented by a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programmed to perform a function to be described below and a microprocessor for executing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어플리케이션 좌표 인식부(110)는 디스플레이부(30) 상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위치를 좌표로써 인식한다. 어플리케이션 좌표 인식부(11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이러한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3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위치를 좌표로써 인식하는 기술 자체는 해당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pplication coordinate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the execution position of the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30 as coordinates. The application coordinate recognition unit 110 may be implemented by a memory including a command programmed to perform such a function and a microprocessor executing th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In addition, since the technology itself for recognizing the execution position of the application as coordinates on the display unit 30 corresponds to a technology that is obvious in the relevant fiel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크기 조절부(140)는 사운드 출력부(20)가 출력하는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한다. 크기 조절부(140)가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이러한 기능은, 어플리케이션의 좌표가 크기 조절부(140)의 좌표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을 때 활성화될 수 있는데, 이 때 크기 조절부(140)의 좌표는 후술할 조절 좌표 인식부(150)에 의하여 인식 가능하다.The size adjustment unit 140 adjusts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by the sound output unit 20 . This function in which the size adjuster 140 adjusts the volume of the sound may be activated when the coordinates of the application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er 140 . In this case,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er 140 can be recognized by the adjustment coordinate recognition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크기 조절부(140)는 디스플레이부(30) 상에서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인터페이스, 예컨대 다이얼의 이미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50)는 다이얼 형태의 크기 조절부(140)를 터치하는 동작을 통하여, 사운드가 크게 출력되도록 또는 작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The size adjustment unit 14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in the form of an interface for adjusting the sound level,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dial image. The user 50 may make the sound output larger or smaller through the operation of touching the dial-shaped size adjusting unit 140 .

크기 조절부(140)는 사운드 출력부(20)마다 각각 할당될 수 있다. 즉, 크기 조절부(140)의 개수는 사운드 출력부(2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The size adjustment unit 140 may be allocated to each sound output unit 20 . That is, the number of the size adjustment units 140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sound output units 20 .

크기 조절부(140)에는 기본적인 사운드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본 설정값이 할당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처음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이러한 기본 설정값에 따른 사운드 크기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A basic setting value indicating the basic sound level may be assigned to the size adjustment unit 140 . An application first executed on the display device 10 may output a sound with a sound level according to such a basic setting value.

한편, 크기 조절부(140)에 의하여 조절 가능한 사운드의 최대 크기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maximum volume of the sound adjustable by the volume control unit 140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크기 조절부(140)의 디스플레이부(30) 상에서의 위치는 이하에서 설명할 후술할 조절 좌표 인식부(150)에 의하여 좌표로써 인식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size adjustment unit 140 on the display unit 30 may be recognized as coordinates by the adjustment coordinate recognition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조절 좌표 인식부(150)는 크기 조절부(140)의 디스플레이부(30) 상에서의 위치를 좌표로써 인식한다. 여기서 조절 좌표 인식부(15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이러한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크기 조절부(140)의 디스플레이부(30) 상에서의 위치를 좌표로써 인식하는 기술 자체는 해당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djustment coordinate recognition unit 150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size adjustment unit 140 on the display unit 30 as coordinates. Here, the adjustment coordinate recognition unit 150 may be implemented by a memory including an instruction programmed to perform such a function and a microprocessor executing th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In addition, since the technique of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size adjusting unit 140 on the display unit 30 as coordinates itself corresponds to a technique that is obvious in the relevant fiel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어부(130)는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20)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출력할 사운드 출력부(20)를 선택하고, 선택된 사운드 출력부(20)를 통하여 사운드를 출력시킨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기능 및 이하에서 설명할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및 이러한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30 selects the sound output unit 20 to output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20 , and outputs the sound through the selected sound output unit 20 . The control unit 130 may be implemented by a memory including instructions programmed to perform these functions and functions to be described below, and a microprocessor that executes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제어부(1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좌표 인식부(110)로부터 디스플레이부(30)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전달받는다. 또한,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저장부(미도시)로부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20)의 좌표를 전달받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조절 좌표 인식부(150)로부터 크기 조절부(140)의 좌표를 전달받는다.Looking at the control unit 130 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the coordinates of the application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30 from the application coordinate recognition unit 110 . In addition,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20 are received from the storage unit (not shown) of the display device 10 described above.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ment unit 140 are transmitted from the adjustment coordinate recognition unit 150 .

제어부(130)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좌표와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20)의 좌표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2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 가장 가까운 사운드 출력부(20)를 선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compares the coordinates of the running application with the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20 , and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20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select the sound output unit 20 closest to the running application.

이러한 제어부(130)는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회로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현 가능하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복수의 사운드 출력부(20)와 각각 연결되는 멀티플렉서(132), 그리고 이러한 멀티플렉서(132)들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132)로의 입력은 어플리케이션 A, B, C(40 내지 42)의 사운드일 수 있다. 멀티플렉서(132)의 출력은 각각의 사운드 출력부(20)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 때 멀티플렉서(132)의 출력과 사운드 출력부(20)는 예컨대 HDMI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Such a control unit 130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various circuits that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2B . Referring to FIG. 2B , the control unit 130 may include a multiplexer 132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20, respectively, and a switch unit 131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se multiplexers 132. have. The input to the multiplexer 132 may be the sound of applications A, B, and C (40-42). The output of the multiplexer 132 may be connected to each sound output unit 20 , and in this case, the output of the multiplexer 132 and the sound output unit 20 may be connected by, for example, an HDMI cable.

스위치부(131)는 어플리케이션 좌표 인식부(1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입력 받아서 멀티플렉서(132)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어 신호는 멀티플렉서(132)의 제어 신호로써 인가된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A(40)가 도 2b에 도시된 3개의 사운드 출력부(20) 중에서 중간에 있는 사운드 출력부(20)와 거리가 가장 가깝다면, 스위치부(131)는 도 2b에 도시된 3개의 멀티플렉서(132) 중에서 중간에 있는 멀티플렉서(132)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어플리케이션 A(40)의 사운드가 중간에 있는 사운드 출력부(20)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부(131) 및 멀티플렉서(132)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가능하다.The switch unit 131 receives the coordinates of the application from the application coordinate recognition unit 110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multiplexer 132 .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s applied as a control signal of the multiplexer 132 . For example, if the application A 40 is the closest to the sound output unit 20 in the middle among the three sound output units 20 shown in FIG. 2B , the switch unit 131 is the 3 shown in FIG. 2B .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multiplexer 132 in the middle among the multiplexers 132,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A 40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20 in the middle. The switch unit 131 and the multiplexer 132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여기서, 제어부(130)가 스위치부(131) 및 멀티플렉서(132)로 구현된 도 2b의 회로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 since the circuit diagram of FIG. 2B in which the controller 130 is implemented with the switch unit 131 and the multiplexer 132 is merely exemplar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사운드 제어 장치(100)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제어하는 예에 대하여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sound of an application using the sound control device 100 in the display device 10 shown in FIG. 2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제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controlling a sound of an application using a sound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사운드 출력부(20) 중에서 왼쪽 하단에 있는 사운드 출력부(20)가 어플리케이션 A(40)와 가장 가깝다.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A(40)의 사운드는 왼쪽 하단에 있는 사운드 출력부(20)를 통하여 출력된다. 여기서, 제어부(130)가 복수의 사운드 출력부(20) 각각의 좌표를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저장부(미도시)로부터 전달받는 것, 어플리케이션 A(40)의 좌표를 어플리케이션 좌표 인식부(110)로부터 전달받는 것, 그리고 제어부(130)가 복수의 사운드 출력부(20)의 좌표 및 어플리케이션 A(40)의 좌표를 비교하여 왼쪽 하단에 있는 사운드 출력부(20)를 선택하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Referring to FIG. 3 , the sound output unit 20 located at the lower left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20 is closest to the application A 4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A 40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0 at the lower left. Here,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the coordinat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20 from the storage unit (not shown) of the display device 10 , and the application coordinate recognition unit 110 receives the coordinates of the application A 40 . ), and the control unit 130 compares the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20 and the coordinates of the application A (40) and selects the sound output unit 20 in the lower left corner as described above. same.

아울러, 사용자(50)는 디스플레이부(30) 상에서 터치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A(40)가 제공하는 메뉴 중에서 사운드를 조절하는 메뉴(60)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왼쪽 하단의 사운드 출력부(20)에 할당된 크기 조절부(140)가 디스플레이부(3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50)는 크기 조절부(140)를 터치하여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한다.In addition, the user 50 may select the menu 60 for adjusting the sound from among the menus provided by the application A 40 through a touch on the display unit 30 . In this case, the size adjustment unit 140 allocated to the sound output unit 20 at the lower lef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 The user 50 adjusts the size of the sound by touching the size adjusting unit 140 .

여기서, 실시예에 따라서 크기 조절부(140)가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동작)은, 크기 조절부(140)의 좌표와 어플리케이션의 좌표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을 때에만 활성화될 수 있다.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unction (operation) of the size adjusting unit 140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ound may be activated only when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ing unit 140 and the coordinates of the application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좌표가 변경되었을 때의 사운드를 제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exemplarily controlling a sound when coordinates at which an application is executed are changed using the sound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A(40)는 실행되는 위치가 화살표 방향으로 변경되었으며, 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A(40)가 실행되는 좌표 또한 변경된다. 이 경우, 오른쪽 하단의 사운드 출력부(20)가 어플리케이션 A(40)의 변경된 위치와 가장 가깝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A(40)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20)는 왼쪽 하단에서 오른쪽 하단으로 변경된다. 아울러, 실시예에 따라서 오른쪽 하단의 사운드 출력부(20)에 할당된 크기 조절부(140)의 좌표가 오른쪽 하단으로 실행되는 위치가 변경된 어플리케이션 A(40)와 좌표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에, 크기 조절부(140)의 사운드 크기 조절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Referring to FIG. 4 , the execution position of the application A 40 i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accordingly,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application A 40 is executed are also changed. In this case, the sound output unit 20 at the lower right is closest to the changed position of the application A 40 .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ound output unit 20 that outputs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A 40 is changed from the lower left to the lower righ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ment unit 140 assigned to the sound output unit 20 at the lower right are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oordinates of the application A 40 whose position to be executed to the lower right is changed, As described above, the sound volume control function of the volume control unit 140 may be activated.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좌표가 변경된 경우, 이러한 좌표 변경을 고려하여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oordinates at which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re changed, the sound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sound may b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coordinate change.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의 사운드를 제어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하기의 설명은 2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5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sound control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executed using the sound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However, unlike shown in FIG. 5 ,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applicable even when two or more applications are executed.

도 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A(40)와 B(41)는 모두 왼쪽 하단의 사운드 출력부(20)와 가장 가깝에 위치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A(40)와 B(41)는 왼쪽 하단의 사운드 출력부(20)로 사운드를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5 , applications A 40 and B 41 are both located closest to the sound output unit 20 at the lower left. Accordingly, the applications A 40 and B 41 output sound to the sound output unit 20 at the lower left.

이 때,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A(40)와 어플리케이션 B(41)의 사운드는 믹싱되어 왼쪽 하단의 사운드 출력부(20)로 출력될 수 있다. 믹싱될 때의 어플리케이션 A(40)와 B(41) 각각의 사운드의 크기는 크기 조절부(140)에 의하여 조절 가능하다. 예컨대, 크기 조절부(140)의 좌표가 어플리케이션 A(40)의 좌표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으면 어플리케이션 A(40)의 사운드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으며, 크기 조절부(140)의 좌표가 어플리케이션 B(41)의 좌표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으면 어플리케이션 B(41)의 사운드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A(40)와 B(41)의 좌표 모두가 크기 조절부(140)의 좌표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다면, 가장 가까운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의 크기만이 크기 조절부(140)에 의하여 조절 가능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A 40 and the application B 41 may be mixed and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20 at the lower left. When mixing, the size of each sound of the applications A 40 and B 41 can be adjusted by the size adjustment unit 140 . For example, if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er 140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ordinates of the application A 40 , the size of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A 40 may be adjusted, and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er 140 may be adjusted to the coordinates of the application B ( If it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ordinates of 41 ), the volume of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B 41 may be adjusted. If both the coordinates of the applications A 40 and B 41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er 140 , only the sound of the closest application may be adjusted by the size adjuster 140 .

즉,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가 어느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로 출력되고 이들의 소리가 믹싱되는 경우, 이들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 크기를 각각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in an embodiment, when sound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output to any one sound output unit and their sounds are mix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ound levels of each of these applications.

이와 달리, 실시예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A(40)와 어플리케이션 B(41) 중 어느 하나의 사운드만 왼쪽 하단의 사운드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 A(40)와 B(41)의 좌표를 크기 조절부(140)의 좌표와 비교하여 모두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크기 조절부(140)의 좌표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어플리케이션만이 사운드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ly one sound of the application A 40 and the application B 41 may be configured to be output to the lower left sound output unit. In more detail, when the coordinates of the two applications A 40 and B 41 are compared with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ment unit 140 and both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pplication is relatively close to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ment unit 140 .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한편, 크기 조절부(140)가 출력하는 사운드의 최대 크기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사운드 출력부(20) 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운드 출력부(20)의 좌표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 간의 이격 거리가 길수록, 사운드의 최대 크기는 작을 수 있다. 도 6은 이러한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A(40)가 사운드 출력부(20)로 출력하는 사운드의 최대 크기는 어플리케이션 B(41)가 사운드 출력부(20)로 출력하는 사운드의 최대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A(40)의 이격 거리가 어플리케이션 B(41)의 이격 거리보다 짧기 때문이다. 도 7은 이러한 이격 거리에 따른 사운드의 최대 크기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격 거리가 짧을수록 사운드의 최대 크기는 크다. 아울러, 도 7은 이격 거리가 일정 범위 이상으로 커지면, 이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20)가 변경되어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Meanwhile, the maximum size of the sound output by the size adjusting unit 140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xecuted application and the sound output unit 20 . For exampl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ordinates of the sound output unit 20 and the coordinates of the executed application increases, the maximum size of the sound may be small. 6 is a diagram illustrating such a situation. Referring to FIG. 6 , the maximum sound output by the application A 40 to the sound output unit 20 may be greater than the maximum sound output by the application B 41 to the sound output unit 20 . This is because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application A (40) is shor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application B (41).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maximum sound level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Referring to FIG. 7 , the shorter the separation distance, the greater the maximum sound level. In addition, FIG. 7 shows that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increases beyond a certain range, the sound output unit 20 for outputting sound should be changed.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에 도시된 사운드 제어 방법은 전술한 사운드 제어 장치(100)에 의하여 실행 가능하다. 아울러, 사운드 제어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는 그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단계 이외의 단계가 추가로 실행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8 is a view showing each step of a sou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sound control method shown in FIG. 8 is executable by the sound control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order of each step included in the sound control method may be changed, and a step other than the step shown in FIG. 8 may be additionally executed, or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eps shown in FIG. 8 may not be executed. .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0)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인식하는 단계(S10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배치된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20)의 좌표와 각각 비교하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2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20)를 선택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S120에서 선택된 사운드 출력부(20)를 통해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출력시키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8 , the step of recognizing the coordinates of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30 ( S100 ) is performed. Next, a step ( S110 ) of comparing the coordinates of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with the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20 arranged on the display device 10 is performed. Next, the step of selecting at least one sound output unit 20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20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 S120 ) is performed. Next, outputting the sound of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0 selected in step S120 ( S130 ) is performed.

한편, 도 8에 도시된 사운드 제어 방법의 경우, 전술한 사운드 제어 장치(100)가 사운드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방법적인 측면에서 서술한 것인 바, 사운드 제어 장치(100)에서 설명한 것들을 그대로 원용하기로 하며, 이하에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ound control method shown in FIG. 8 ,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which the sound control apparatus 100 controls sound is described in terms of method, and the descriptions of the sound control apparatus 100 are used as they are. Hereinaft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와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가장 가까운 위치의 사운드 출력부로 사운드가 출력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on a display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and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 sound may be output to a sound output unit located closest to the executed application.

아울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위치가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변경되는 경우, 이러한 위치 변경을 고려하여 기존의 사운드 출력부를 새로운 사운드 출력부로 변경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ecution position of the application is changed on the display unit, the existing sound output unit may be changed to a new sound output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change.

또한,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시킬 때, 이들의 사운드를 믹싱하여 출력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의 사운드의 크기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ounds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output through one sound output unit, the sounds can be mixed and output, and the sizes of the sounds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또한, 사운드 출력부가 출력하는 사운드의 최대 크기를 어플리케이션과 사운드 출력부(20)와의 이격 거리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ximum size of the sound output by the sound output uni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pplication and the sound output unit 20 .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each block in the block diagram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step in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embodied in a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th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be configured in the respective blocks of the block diagram or of the flowchart. Each step creates a means for performing the described fun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may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may also produce an item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a function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chart.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steps for carrying out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compris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blocks or step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wo blocks or steps shown one after another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at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qu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블탑과 같이 대형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별로 사운드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large screen such as a tabletop,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executed, the sound level may be controlled for each application.

10: 디스플레이 장치
20: 사운드 출력부
30: 디스플레이부
140: 크기 조절부
100: 사운드 제어 장치
10: display device
20: sound output unit
30: display unit
140: size adjustment unit
100: sound control device

Claims (9)

디스플레이부 및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 좌표 인식부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의 좌표와 각각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서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크기 조절부의 좌표를 인식하는 조절 좌표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마다 각각 할당되어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크기 조절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며,
상기 크기 조절부가 상기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동작은,
상기 크기 조절부의 좌표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을 때 활성화되는
사운드 제어 장치.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nit and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application coordinat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coordinates of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Each of the coordinates of the running application is compared with the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disposed on the display device, an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t least one sound output unit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nd the selecte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of the running application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Further comprising an adjustment coordinat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ment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further include a siz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sound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the size adjusting unit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operation of the size adjusting unit adjusting the size of the sound,
Activated when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ment unit and the coordinates of the running application are within a certain distance
sound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에서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와 가장 가까운 사운드 출력부를 선택하는
사운드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Selecting a sound output unit closest to the coordinates of the running application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sound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가 변경된 경우, 상기 변경된 좌표와 가장 가까운 사운드 출력부를 선택하는
사운드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coordinates of the running application are changed, selecting the sound output unit closest to the changed coordinates
sound control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디스플레이부 및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 좌표 인식부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의 좌표와 각각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서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마다 각각 할당되어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상기 크기 조절부의 좌표를 인식하는 조절 좌표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적어도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상기 크기 조절부의 좌표와 각각 비교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 상기 크기 조절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가장 가까운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상기 크기 조절부에 상응하는 사운드 출력부로 출력시키는
사운드 제어 장치.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nit and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application coordinat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coordinates of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Each of the coordinates of the running application is compared with the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disposed on the display device, an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t least one sound output unit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nd the selecte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of the running application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and a size adjusting unit which is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nd adjusts the size of the sound,
The sound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djustment coordinat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ment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is
When at least two applications are running on the display unit, the coordinates of the at least two applications are compared with the coordinates of the size control unit, respectively,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closest application among application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ze control unit is selected. outputting sound to a sound output unit corresponding to the size adjustment unit
sound control unit.
디스플레이부 및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 좌표 인식부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의 좌표와 각각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서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마다 각각 할당되어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상기 크기 조절부의 좌표를 인식하는 조절 좌표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적어도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상기 크기 조절부의 좌표와 각각 비교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 상기 크기 조절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믹싱하여 상기 크기 조절부에 상응하는 사운드 출력부로 출력시키는
사운드 제어 장치.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nit and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application coordinat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coordinates of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Each of the coordinates of the running application is compared with the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disposed on the display device, an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t least one sound output unit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nd the selecte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of the running application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and a size adjusting unit which is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nd adjusts the size of the sound,
The sound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djustment coordinat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ment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is
When at least two applications are running on the display unit, the coordinates of the at least two applications are compared with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er, respectively,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sounds of application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ze adjuster are mixed.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corresponding to the size adjustment unit
sound control unit.
디스플레이부 및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 좌표 인식부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의 좌표와 각각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서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마다 각각 할당되어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기 조절부가 출력하는 사운드의 최대 크기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간의 이격 거리가 길수록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장치.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nit and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application coordinat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coordinates of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Each of the coordinates of the running application is compared with the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disposed on the display device, an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t least one sound output unit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nd the selecte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sound of the running application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and a size adjusting unit which is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nd adjusts the size of the sound,
The maximum size of the sound output by the size adjustment unit is,
The long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ound output unit and the running application, the small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sound control unit.
디스플레이부,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및 복수 개의 크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운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의 좌표와 각각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출력부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사운드 출력부에 각각 할당되어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 조절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된 좌표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크기 조절부의 좌표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좌표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을 때 활성화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서 상기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운드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드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in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a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nd a plurality of size adjustment units, the method comprising:
Recognizing the coordinates of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on the display unit;
Comparing the coordinates of the running application with the coordinates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rranged on the display device, respectively;
selecting at least one sound output uni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Recognizing coordinat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a size adjusting unit which is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units and adjusts the size of the sound;
activating when the coordinates of the size adjustment unit and the coordinates of the running application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utputting the sound of the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through the selected sound output unit;
How to control sound.
KR1020160064972A 2016-05-26 2016-05-2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KR1023585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972A KR102358529B1 (en) 2016-05-26 2016-05-2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972A KR102358529B1 (en) 2016-05-26 2016-05-2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766A KR20170133766A (en) 2017-12-06
KR102358529B1 true KR102358529B1 (en) 2022-02-04

Family

ID=6092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972A KR102358529B1 (en) 2016-05-26 2016-05-2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52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975B1 (en) * 2013-05-31 2014-06-23 한국산업은행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corresponding to object
WO2015037905A1 (en) * 2013-09-12 2015-03-19 Hy Suho Multi-viewer image and 3d stereophonic sound player system comprising stereophonic sound adjuster and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859B1 (en) 2009-06-05 2016-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UI for each user, and device applying the same
KR20140106065A (en) * 2013-02-25 2014-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975B1 (en) * 2013-05-31 2014-06-23 한국산업은행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corresponding to object
WO2015037905A1 (en) * 2013-09-12 2015-03-19 Hy Suho Multi-viewer image and 3d stereophonic sound player system comprising stereophonic sound adjuster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766A (en)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67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for releasing virtual skill object based on user gesture
JP68869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P26423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07399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JP6500406B2 (en) I / O controller, I / O control program
KR20140047515A (en) 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500128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for one handed operation
KR20150080741A (en) Gesture processing device for continuous value input, and the method thereof
WO2016042864A1 (en) Multi-screen display position switch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KR101459447B1 (en) Method for selecting items using a touch screen and system thereof
US2014031754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screen by Using Virtual Trackball
US2016013220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1023585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CN111443956B (en) Setting control display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7008317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17062649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23897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menu using multi touch pattern
JP6926468B2 (en) Sound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
US20240134515A1 (en) A computer a software module arrangement, a circuitry arrangement, a user equipment and a method for an improved user interface controlling multiple applications simultaneously
CN103869965A (en)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108383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60070438A1 (en) Interfacing Method for User Feedback
JP2015179961A5 (en)
TWI735051B (en) Display device and image moving method
US201700832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