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765B1 - Printing unit and printer - Google Patents

Printing unit and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765B1
KR102356765B1 KR1020150122904A KR20150122904A KR102356765B1 KR 102356765 B1 KR102356765 B1 KR 102356765B1 KR 1020150122904 A KR1020150122904 A KR 1020150122904A KR 20150122904 A KR20150122904 A KR 20150122904A KR 102356765 B1 KR102356765 B1 KR 102356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frame
unit
head unit
plate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7931A (en
Inventor
도모히로 무라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7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9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7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0Platen adjustments for varying the strength of impression, for a varying number of papers, for wear or for alignment, or for print gap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41J11/703Cutting of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12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pressure adjustment mechanisms, e.g. pressure-on-the pape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3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rmal heads
    • B41J2202/31Thermal printer with head or platen movable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인자 유닛은, 헤드 유닛과,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플래튼 유닛은,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부, 및 한 쌍의 축지지부 사이를 건너지르는 연결부를 갖는 플래튼 프레임과, 플래튼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을 갖고 있다. 헤드 유닛은, 플래튼 프레임이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플래튼 프레임의 연결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있다. 플래튼 프레임과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플래튼 프레임(21)을 접촉부(47)를 향해서 여압하는 여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The printing unit includes a head unit and a platen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unit. The platen unit includes a platen frame having a pair of shaft support parts respectively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and a connection part crossing between the pair of shaft support parts, and a sub frame for movably supporting the platen frame. have it The head unit has a contact portion which abuts against a connecting portion of the platen frame when the platen frame is in the mounted position. A pressing mechanism for pressing the platen frame 21 toward the contact portion 47 is provided between the platen frame and the subframe.

Description

인자 유닛 및 프린터{PRINTING UNIT AND PRINTER}PRINTING UNIT AND PRINTER}

본 발명은, 인자 유닛 및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unit and a printer.

종래부터, 기록지(감열지)에 대해 인쇄를 행하는 프린터로서, 서멀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서멀 프린터는, 인자 유닛의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고, 또 토너나 잉크 등도 사용하지 않고 간소한 구성인 점 등으로부터, 금전 등록기나 휴대 단말 장치 등에 채용되어, 각종 라벨이나, 영수증, 티켓 등의 인쇄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DESCRIPTION OF RELATED ART Conventionally, as a printer which prints with respect to recording paper (thermal paper), a thermal printer is known. Thermal printers are used for printing various labels, receipts, tickets, etc., because the printing unit can be reduced in size and weight, and because it has a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using toner or ink, etc. It is widely used.

상술한 인자 유닛으로서, 예를 들면 롤지를 수납하는 케이싱 본체측에 서멀 헤드를 지지하는 헤드 프레임이 부착되고, 케이싱 본체에 대해 힌지부를 통해 개폐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린터 커버측에 플래튼 롤러를 지지하는 플래튼 프레임이 부착된, 소위 분리형이 알려져 있다.As the above-described printing unit, for example, a head frame for supporting a thermal head is attached to the side of a casing body that houses roll paper, and a platen roller is supported on the printer cover side connected to the casing body through a hinge to open/close operation. A so-called detachable type with an attached platen frame is known.

상술한 분리형의 인자 유닛에서는, 프린터 커버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플래튼 롤러와 서멀 헤드의 압접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로크 기구로서, 예를 들면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받아들이는 걸어맞춤 오목부가 헤드 프레임에 형성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린터 커버의 닫힘 조작에 수반하여,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가 걸어맞춤 오목부 내에 수용됨과 더불어, 서멀 헤드가 탄성가압 부재에 의해서 플래튼 롤러측에 눌러짐으로써, 플래튼 롤러가 걸어맞춤 오목부 내에 걸어맞춰진다.The above-described detachable printing unit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chanism for maintaining the press-contact state between the platen roller and the thermal head when the printer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As the above-described locking mechanism, for example, there is known a configuration in which engaging recesses for receiving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are formed in the head fram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ith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printer cover,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are accommodated in the engagement recesses, and the thermal head is pressed to the platen roller side by the elastic pressing member, so that the platen roller is It is engaged within the engagement recess.

한편,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헤드 프레임에 설치된 해제 레버 등에 의해서 플래튼 롤러의 일단부를 걸어맞춤 오목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을 향해서 밀어올린다. 이 때, 플래튼 롤러의 일단부에 작용하는 밀어올리는 힘을, 플래튼 프레임이나 프린터 커버를 통해 플래튼 롤러의 타단부에 전달시킴으로써,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걸어맞춤 오목부로부터 이탈시키게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platen roller and the engagement recess, one end of the platen roller is pushed up in the direction of disengagement from the engagement recess by a release lever or the like provided on the head frame. At this time, the pushing force acting on one end of the platen roller is transmitted to the other end of the platen roller through the platen frame or printer cover, so that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are separated from the engagement recess. .

또, 인자 유닛에서는, 인쇄된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 기구를 구비한 것이 있다. 커터 기구는, 예를 들면 상술한 헤드 프레임측에 내장된 가동날과, 상술한 플래튼 프레임측에 내장된 고정날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동날을 고정날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가동날 및 고정날 사이에 기록지를 끼워넣어 절단한다.In addition, some printing units are provided with a cutter mechanism for cutting printed recording paper. The cutter mechanism includes, for example, a movable blade incorporated in the above-mentioned head frame side and a fixed blade incorporated in the above-described platen frame sid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sliding the movable blade with respect to the fixed blade, the recording paper is sandwiched between the movable blade and the fixed blade and cut.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는, 플래튼 롤러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을 확실하게 해제하는 것이 어려웠다. 구체적으로, 플래튼 롤러의 일단부에 작용하는 밀어올리는 힘이 플래튼 프레임이나 프린터 커버를 통해 타단부에 전달될 때,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서 프린터 커버가 비틀려, 플래튼 롤러의 타단부에까지 밀어올리는 힘이 충분히 전달되기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 경우에는, 플래튼 롤러 중, 일단부만이 걸어맞춤 오목부와의 걸어맞춤으로부터 해제된, 소위 한 쪽 열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프린터 커버 등을 보강하여, 플래튼 롤러의 타단부에까지 밀어올리는 힘을 전달하기 쉽게 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제조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t was difficult to reliably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platen roller and the engagement recess. Specifically, when the pushing force acting on one end of the platen roller is transmitted to the other end through the platen frame or the printer cover, the printer cover is twisted by the pushing force and is pushed to the other end of the platen roll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lifting force was difficult to be transmitted sufficiently. In this case, of the platen rollers, there is a fear that only one end of the platen roller is released from engagement with the engagement recess, so-called one-sided opening. On the other hand,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inter cover or the like is reinforced to easily transmit the pushing force to the other end of the platen roller is also conceivabl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leads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또, 로크 기구로서, 예를 들면, 헤드 프레임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서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유지하는 한 쌍의 로크 암을 구비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해제 레버 등의 조작에 연동하여 각 로크 암이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로부터 이격함으로써, 플래튼 롤러를 오목부 내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로크 기구의 구성에 있어서는, 로크 암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부품 점수의 증가나 제조 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Moreover, as a lock mechanism, the structure provided with a pair of lock arms which hold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respectively in the recessed part formed in the head frame, for example is know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ach lock arm is separated from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in association with an operation of a release lever or the like, so that the platen roller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concave portion. However, in the structure of this lock mechanism, si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lock arm separately, there exists a problem that leads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and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또, 상술한 커터 기구에 있어서, 기록지의 양호한 절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동날이 슬라이드할 때에 고정날 및 가동날들이 적당한 접촉압으로 접하도록, 가동날 및 고정날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고정날의 날끝이 가동날에 눌리도록 고정날을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 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cutter mechanism, in order to ensure good cutting performance of the recording paper, it is necessary to se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vable blade and the fixed blade so that the fixed blade and the movable blade come into contact with an appropriate contact pressure when the movable blade slides. there is Here, for example, there is known a configuration in which an elastic pressing member for elastically pressing a fixed blade is provided so that the blade end of the fixed blade is pressed against the movable blade.

그러나, 분리형의 인자 유닛에 있어서는, 가동날 및 고정날의 위치 관계는, 프린터 커버 및 케이싱 본체의 위치 정밀도(예를 들면, 힌지부의 위치 등)에 의존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플래튼 롤러에 대한 힌지부의 위치(높이)에 의해서 고정날의 각도가 변화한다. 그 때문에, 프린터 커버 및 케이싱 본체의 위치 정밀도가 나쁜 경우에는, 프린터 커버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고정날 및 가동날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 어려워, 절단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detachable printing uni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vable blade and the fixed blade depends on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printer cover and the casing main body (eg, the position of the hinge part, etc.). For example, the angle of the fixed blade changes depending on the position (height) of the hinge with respect to the platen roller. Therefore, when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printer cover and the casing body is poo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osition the fixed blade and the movable blade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printer cover,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cutting property may be deteriorated.

이상의 점으로부터, 상기 기술 분야에서는, 부품 점수나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뛰어난 조작성을 구비시킬 수 있고, 또 가동날 및 고정날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하여 우수한 절단성을 구비시킬 수 있는 인자 유닛 및 프린터가 요망되고 있었다.From the above point, in the above technical field, a printing unit capable of providing excellent operability while suppress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or manufacturing cost, and providing excellent cutting performance by positioning a movable blade and a fixed blade with high precision. and printers were desired.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은, 복수의 발열 소자가 설치된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기록지를 급지하는 플래튼 롤러를 갖고, 상기 헤드 유닛 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축지지부 사이를 건너지르는 연결부를 갖는 플래튼 프레임과,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장착 위치에서 유지하는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에 있어서의 한쪽의 상기 축지지부측을,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이탈 방향을 향해서 가압하는 해제 레버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이 장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플래튼 프레임의 상기 연결부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플래튼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상기 접촉부를 향해서 여압하는 여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A printing uni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unit having a thermal hea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elements, and a platen roller for feeding recording paper, the platen unit being detachably combined with the head unit; a platen frame having a pair of shaft support parts installed on the platen unit and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respectively, and a connecting part crossing between the pair of shaft support parts; and installed on the platen unit; a sub-frame for movably supporting the platen frame, and an engaging recess installed on the head unit to accommodate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respectively, and to hold the platen frame in a mounting position; a release lever provided in the head unit and configured to press one of the shaft support portions of the platen fram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aten roller and the engaging reces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laten frame when the platen frame is in the mounting position; and a pressing mechanism provided between the platen frame and the sub-frame to press the platen frame toward the contact portion; are doing

이 구성에 의하면, 헤드 유닛으로부터 플래튼 유닛을 분리시킬 때에는, 우선 해제 레버를 조작하여, 플래튼 유닛에 있어서의 한쪽의 축지지부측을 분리 방향을 향해서 가압한다. 그러면, 플래튼 프레임이 접촉부를 지점으로 하여 서브 프레임에 대해 분리 방향을 향해서 회동함으로써, 플래튼 롤러가 걸어맞춤 오목부로부터 이탈해나간다. 그 후, 플래튼 롤러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양 유닛의 조합이 해제된다. 여기서, 플래튼 프레임이 여압 기구에 의해서 접촉부를 향해서 여압되고 있기 때문에, 해제 레버에 의한 플래튼 프레임의 가압시에 있어서, 플래튼 프레임과 접촉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해, 플래튼 프레임의 접촉부로부터의 부상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해제 레버로부터 한쪽의 축지지부측에 작용하는 밀어올리는 힘은, 연결부를 통해 타방측의 축지지부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가 걸어맞춤 오목부로부터 이탈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platen unit is separated from the head unit, first, the release lever is operated to press one shaft support side of the platen unit toward the separation direction. Then, the platen frame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ub-frame in the separation direction using the contact portion as a fulcrum, so that the platen roller disengages from the engagement recess. Thereafter, engagement between the platen roller and the engagement recess is released, and the combination of both units is released. Here, since the platen frame is pressed toward the contact portion by the pressing mechanism, when the platen frame is pressed by the release lever,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platen frame and the contact portion is maintained, and the platen frame is lifted from the contact portion. this is suppressed Therefore, the pushing-up force which acts on one shaft support part side from a release lever is transmitted to the other shaft support part through a connection part. Thereby, the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come off from the engagement recessed part.

이와 같이, 해제 레버의 가압력을 양 축지지부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한쪽 열림의 발생을 억제해, 양 유닛을 확실히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플래튼 유닛이 장착되는 프린터 커버를 보강하거나, 로크 암을 설치하거나 하는 등의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 점수나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플래튼 유닛(플래튼 프레임)과 헤드 유닛이 접촉부를 통해 접촉하므로, 양자를 같은 전위로 유지할 수 있어 2차 방전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pressing force of the release lever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both shaft support parts,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one opening can be suppressed and both units can be isolate|separated reliably.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reinforce the printer cover to which the platen unit is mounted or to install a lock arm, as in the prior art, so tha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or manufacturing cost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platen unit (platen frame) and the head unit are in contact via the contact portion, both can be kept at the same potential,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secondary discharge or the like.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상기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해제 레버에 의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밀어올릴 때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상기 접촉부에 대해 상기 플래튼 롤러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함과 더불어, 상기 여압 기구는,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상기 접촉부에 대해 상기 플래튼 롤러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하고 있다.In the printing uni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aten frame is pushed up by the release lever, the release lever is located on the platen roller side of the platen fram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In addition to pressing the portion, the pressurizing mechanism presses a portion of the platen fram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laten roller sid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래튼 프레임과 접촉부의 접촉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해제 레버의 가압력을 양 축지지부에 의해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contact state of the platen frame and the contact part can be maintained reliably, and the urging force of the release lever can be transmitted efficiently by both shaft support parts.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상기 인자 유닛은,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일방측에 설치된 고정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타방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날과의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는 가동날을 더 구비하고 있다.The printing uni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blad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ead unit and the platen frame, and a slidably installed side of the head unit and the platen frame on the other side, A movable blade for cutting the recording paper between the fixed blade and the fixed blade is further provided.

이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래튼 프레임이 헤드 유닛의 접촉부에 접촉하므로, 양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양 유닛이 소정 위치에서 위치 결정 되게 된다. 즉, 플래튼 유닛 및 헤드 유닛이, 플래튼 롤러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연결 부분, 및 플래튼 프레임과 헤드 유닛의 접촉부의 접촉 부분의 적어도 2개소에서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헤드 유닛과 플래튼 유닛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특히, 플래튼 프레임은 여압 기구에 의해서 접촉부를 향해서 탄성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플래튼 롤러에 대한 힌지부의 위치에 불균일이 있던 경우라도, 그 위치 불균일을 여압 기구의 변형량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래튼 프레임과 접촉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헤드 유닛과 플래튼 유닛이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된다. 그 때문에, 헤드 유닛 및 플래튼 프레임 중, 일방측에 설치된 고정날과, 타방측에 설치된 가동날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뛰어난 절단성을 구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platen fram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of the head unit as described above, both units are position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mounted state. That is, since the platen unit and the head unit are positioned at at least two places: a connecting portion of the platen roller and the engaging recess, and a contacting portion of the platen frame and the head unit, the head unit and the platen unit are Positioning can be performed with high precision. In particular, since the platen frame is elastically pressed toward the contact portion by the pressing mechanism, even if there is unevenness in the position of the hing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laten roller, the position unevenness can be absorbed by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pressing mechanism. Therefore, the contact state of the platen frame and the contact portion is maintained, and the head unit and the platen unit are positioned with high precision. Therefore, among the head unit and the platen frame, the fixed blad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movable blade provided on the other side can be positioned with high accuracy. Therefore, excellent cutting property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상기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플래튼 롤러를 통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In the printing uni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frame movably supports the platen frame through the platen roller.

이 구성에 의하면, 서브 프레임이 플래튼 롤러를 통해 플래튼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 프레임이 플래튼 롤러 이외의 별도 부재에 의해 플래튼 프레임에 지지되는 경우에 비해, 부품 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sub-frame is supported by the platen frame via the platen roller,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is suppress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ub-frame is supported on the platen frame by a member other than the platen roller. can do.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프린터는, 상기 인자 유닛을 갖고, 상기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용부를 갖는 케이싱 본체측에, 상기 헤드 유닛이 장착되고, 또한, 힌지부를 통해 상기 케이싱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록지 수용부를 개폐하는 프린터 커버측에, 상기 플래튼 유닛이 상기 서브 프레임을 통해 장착되어 있다.In a print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unit is mounted on a casing body side having the printing unit and a recording pape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recording paper,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ing body through a hinge portion and the platen unit is mounted through the sub-frame on the side of the printer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recording paper accommodating part.

이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인자 유닛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나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뛰어난 조작성을 구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printing unit is provided, excellent operability can be provided while suppress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or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프린터는,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용부를 갖는 케이싱 본체와, 상기 케이싱 본체에 장착된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힌지부를 통해 상기 케이싱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록지 수용부를 개폐하는 프린터 커버와, 상기 프린터 커버에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프린터 커버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기록지를 급지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축지지부 사이를 건너지르는 연결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프린터 커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플래튼 프레임과,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장착 위치에서 유지하는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에 있어서의 한쪽의 상기 축지지부측을,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이탈 방향을 향해서 가압하는 해제 레버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장착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프레임의 상기 연결부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프린터 커버와 상기 플래튼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상기 접촉부를 향해서 여압하는 여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A print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body having a recording pape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recording paper, a head unit having a thermal head mounted on the casing body,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ing body through a hinge portion, a printer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cording paper accommodating part; a platen unit mounted on the printer cove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unit in a closed position of the printer cover; and installed in the platen unit, the recording paper The printer has a platen roller for feeding paper, a pair of shaft support parts installed on the platen unit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respectively, and a connection part crossing between the pair of shaft support parts, a platen frame mov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cover; an engaging recess installed in the head unit, each receiving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and holding the platen frame in a mounting position; a release lever provided in the head unit and configured to press one of the shaft support portions of the platen fram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aten roller and the engaging reces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laten frame, and a pressing mechanism provided between the printer cover and the platen frame to press the platen frame toward the contact portion.

이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인자 유닛 및 상기 인자 유닛을 구비한 프린터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들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printing unit and the printer including the printing unit have the same configuration, the same effects as those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 및 프린터에 의하면, 부품 점수나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뛰어난 조작성을 구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inting unit and print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excellent operability while suppress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or manufacturing cost.

도 1은, 프린터 커버의 열림 위치에 있어서, 케이싱 내에 인자 유닛이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서멀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프린터 커버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케이싱 내에 인자 유닛이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서멀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인자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인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플래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서멀 프린터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서멀 프린터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서멀 프린터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프린터 커버의 열림 동작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3에 상당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의 다른 구성에 따른 서멀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ermal printer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inting unit is built in a casing in an open position of the printer cover.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ermal print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inting unit is built in the casing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printer cover.
Fig. 3 is a side view of the printing uni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inting uni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inting unit.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aten unit.
Fig. 7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thermal printer, and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
Fig. 8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thermal printer, and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
Fig. 9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thermal printer, and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
FIG. 10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printer cover, and is a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3 .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ermal printer according to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Nex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도 1, 도 2는, 서멀 프린터(1)의 단면도이며, 도 1은 프린터 커버(6)의 열림 위치를 나타내고, 도 2는 프린터 커버(6)의 닫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지면 상하 방향을 단순히 상하방향(L1),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방향(L2), 상하방향(L1) 및 좌우방향(L2)에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방향(L3)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서멀 프린터(1)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2) 및 헤드 유닛(3)을 갖는 인자 유닛(9)과, 인자 유닛(9)이 내장됨과 더불어, 기록지(P)가 권회된 롤지(R)를 수용하는 케이싱(4)을 구비하고 있다.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thermal printer 1 , FIG. 1 shows the open position of the printer cover 6 , and FIG. 2 shows the closed position of the printer cover 6 .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aper is simply the vertical direction L1,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aper is the horizontal direction L2, the vertical direction L1,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L2. The orthogonal direction is described as the front-back direction L3.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hermal print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rinting unit 9 having a platen unit 2 and a head unit 3 that are separably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 printing unit. In addition to the built-in (9), a casing (4) for accommodating the roll paper (R) on which the recording paper (P) is wound is provided.

케이싱(4)은, 롤지(R)를 수용하는 롤지 수용부(5a)가 형성된 케이싱 본체(5)와, 롤지 수용부(5a)를 개폐하는 프린터 커버(6)를 구비하고 있다. 프린터 커버(6)는, 힌지부(7)를 통해 케이싱 본체(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6)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롤지 수용부(5a)의 개구 가장자리와, 프린터 커버(6)의 선단부 사이에는, 기록지(P)를 외부(상방)로 배출하는 배출구(8)가 형성되어 있다.The casing 4 includes a casing body 5 in which a roll paper accommodating portion 5a for accommodating the roll paper R is formed, and a printer cover 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oll paper accommodating portion 5a. The printer cover 6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ing body 5 via a hinge portion 7 . Also, as shown in Fig. 2, when the printer cover 6 is in the closed position, between the opening edge of the roll paper receiving portion 5a and the tip of the printer cover 6, the recording paper P is placed outside (upward). )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8 for discharging.

상술한 플래튼 유닛(2)은, 플래튼 롤러(10) 및 고정날(13)이 주로 내장된 유닛이며, 프린터 커버(6)의 내면에 있어서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래튼 유닛(2)은, 프린터 커버(6)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이동함으로써, 헤드 유닛(3)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조합된다. 한편, 헤드 유닛(3)은, 예를 들면 서멀 헤드(12) 및 가동날(11)이 주로 내장된 유닛이며, 케이싱 본체(5)에 장착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 헤드 유닛(3)은, 롤지 수용부(5a)에 인접하여 설치된 내부 플레이트(5b) 상에, 서멀 헤드(12)를 롤지 수용부(5a)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The platen unit 2 described above is a unit in which the platen roller 10 and the fixed blade 13 are mainly incorporated, and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r cover 6 . For this reason, the platen unit 2 is detachably assembled with respect to the head unit 3 by moving along with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printer cover 6 . On the other hand, the head unit 3 is a unit in which, for example, the thermal head 12 and the movable blade 11 are mainly incorporated, it is attached to the casing body 5 .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head unit 3 is fixed on the inner plate 5b provided adjacent to the rolled paper receiving portion 5a, with the thermal head 12 facing the rolled paper receiving portion 5a. has been

또한, 프린터 커버(6)가 닫히고, 플래튼 유닛(2)과 헤드 유닛(3)이 조합됐을 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0)에 대해 서멀 헤드(12)가 눌림과 더불어, 고정날(13)에 대해 가동날(11)이 부분적으로 겹쳐진다. 또한, 고정날(13) 및 가동날(11)에 의해 커터 기구(14)를 구성하고 있다.Further, when the printer cover 6 is closed and the platen unit 2 and the head unit 3 are combined, the thermal head 12 is pressed against the platen roller 10 as shown in Fig. 2 and In addition, the movable blade 11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fixed blade 13 . Further, the cutter mechanism 14 is constituted by the fixed blade 13 and the movable blade 11 .

도 3은 인자 유닛(9)의 측면도이며, 도 4는 인자 유닛(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인자 유닛(9)의 단면도이며, 도 6은 플래튼 유닛(2)의 사시도이다.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 유닛(2)은, 상술한 플래튼 롤러(10) 및 고정날(13)과, 이들 플래튼 롤러(10) 및 고정날(13)을 지지하는 플래튼 프레임(21)과, 플래튼 프레임(21)을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22)을 구비하고 있다.3 is a side view of the printing unit 9 ,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inting unit 9 .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printing unit 9 ,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aten unit 2 . 3 to 6 , the platen unit 2 includes the platen roller 10 and the fixed blade 13 described above, and the platen roller 10 and the fixed blade 13 for supporting the platen roller 10 and the fixed blade 13 . A platen frame 21 and a sub-frame 22 supporting the platen frame 21 are provided.

우선, 플래튼 프레임(21)은, 금속 등의 판재가 굴곡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전후방향(L3)에서 바라봐서 정면에서 봤을 때 하방을 향해서 개방된 コ자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플래튼 프레임(21)은, 좌우방향(L2)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축지지부(24)와, 좌우방향(L2)을 따라서 연장됨과 더불어, 각 축지지부(24) 사이를 건너지르는 연결부(25)를 구비하고 있다. 각 축지지부(24)에 있어서의 전후방향(L3)의 일단부에는, 플래튼 롤러(10)의 후술하는 베어링(29)이 유지되어 있다. 또, 각 축지지부(24) 중, 좌우방향(L2)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축지지부(24)의 하단부에는, 좌우방향(L2)의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편(26)이 형성되어 있다.First, the platen frame 21 is formed by bending a plate material such as metal, and has a U-shape opened downward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L3. Specifically, the platen frame 21 includes a pair of shaft support parts 24 positioned at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L2, and extend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L2, and is formed between each shaft support part 24. It is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part 25 which crosses. At one end of each shaft support portion 24 in the front-rear direction L3 , a bearing 29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the platen roller 10 is held. Moreover, among the shaft support parts 24, the lower end of the shaft support part 24 located on the one end side of the left-right direction L2 is formed with the protrusion piece 26 which protrudes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L2. .

플래튼 롤러(10)는, 프린터 커버(6)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플래튼 유닛(2)과 헤드 유닛(3)이 조합됐을 때, 기록지(P)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헤드 유닛(3)측의 서멀 헤드(12)에 대해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플래튼 롤러(10)는, 좌우방향(L2)을 따라서 연장되는 플래튼축(27)과, 플래튼축(27)에 외장된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롤러 본체(28)를 구비하고 있다.When the platen unit 2 and the head unit 3 are combined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printer cover 6, the platen roller 10 It is arrange|positioned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may contact with respect to the thermal head 12 of the side. Specifically, the platen roller 10 is provided with a platen shaft 27 extending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L2, and a roller body 28 made of rubber or the like external to the platen shaft 27.

플래튼축(27)의 양단부에는, 베어링(29)이 각각 외장되어 있다. 각 베어링(29)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래튼 프레임(21)에 유지되고, 이들 베어링(29)을 통해 플래튼 롤러(10)가 플래튼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플래튼축(27)의 타단부(플래튼축(27) 중, 좌우방향(L2)에 있어서의 타단측의 베어링(29)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플래튼용 톱니바퀴(31)가 장착되어 있다(도 4 참조). 이하의 기재에서, 좌우방향(L2)에 있어서의 『일단측』은, 좌우방향(L2)에 있어서 돌출편(26)이 설치되어 있는 플래튼 유닛(2) 측이며, 좌우방향(L2)에 있어서의 『타단측』은, 좌우방향(L2)에 있어서 『일단측』과는 반대측의 플래튼 유닛(2) 측, 즉, 플래튼용 톱니바퀴(31)가 장착되어 있는 측으로서 정의한다. 이 플래튼용 톱니바퀴(31)는, 플래튼 유닛(2)과 헤드 유닛(3)이 조합되었을 때, 헤드 유닛(3)측의 후술하는 플래튼 구동용 톱니바퀴(52)(도 4 참조)에 맞물려, 플래튼 롤러(1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10)와, 서멀 헤드(12) 사이에 기록지(P)를 끼워넣으면서 급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At both ends of the platen shaft 27, bearings 29 are respectively provided. Each bearing 29 is held on the platen frame 21 as described above, and the platen roller 10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platen frame 21 via these bearings 29 . Further, at the other end of the platen shaft 27 (a portion of the platen shaft 27 that is located outside the bearing 29 on the other 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L2), a gearwheel 31 for a platen is provided. mounted (see Fig. 4).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e end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L2 is the side of the platen unit 2 on which the protruding piece 26 is provid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L2, a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L2 "Other end side" in this case is defined as the side of the platen unit 2 opposite to the "one end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L2, that is, the side on which the gearwheel 31 for platen is mounted. When the platen unit 2 and the head unit 3 are combined, the platen gear 31 is a platen drive gear 52 (refer to FIG. 4) on the head unit 3 si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engaged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platen roller (10). Thereby, it is possible to feed the recording paper P while sandwiching the recording paper P between the platen roller 10 and the thermal head 12 .

고정날(13)은, 좌우방향(L2)을 따라서 연장되는 판형상이고, 그 날끝을 전후방향(L3)의 일단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플래튼 프레임(21)의 연결부(25) 상에 고정되어 있다.The fixed blade 13 has a plate shape extending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L2, and is fixed on the connecting portion 25 of the platen frame 21 with the blade tip facing one 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L3. have.

서브 프레임(22)은, 플래튼 프레임(21)보다도 한층 커져 있고, 플래튼 프레임(21)을 상방 및 좌우방향(L2)의 양측으로부터 둘러싸고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프레임(22)은, 좌우방향(L2)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벽부(33)와, 각 측벽부(33) 사이를 연결하는 기부(基部)(34)를 갖고 있다. 대응하는 측벽부(33)에 있어서의 전후방향(L3)의 일단부에는, 플래튼 롤러(10)의 각 베어링(29)이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서브 프레임(22)은, 플래튼 롤러(10)를 통해 플래튼 프레임(21)을 회전 가능, 또한 좌우방향(L2)에 직교하는 면 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각 측벽부(33)에 있어서, 전후방향(L3)의 타단부에는, 좌우방향(L2)의 내측을 향해서 굴곡된 굴곡편(36)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의 기재에서, 전후방향(L3)의 『일단부』는, 플래튼 유닛(2)에 있어서 베어링(29)이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서 정의하고, 전후방향(L3)의 『타단부』는, 플래튼 유닛(2)에 있어서 굴곡편(36)이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서 정의한다.The sub-frame 22 is one step larger than the platen frame 21, and surrounds the platen frame 21 from both sides in the upper and left-right directions L2. Specifically, the sub-frame 22 has side wall portions 33 positioned on both sid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L2 , and base portions 34 connecting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s 33 . Each bearing 29 of the platen roller 10 is loosely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corresponding side wall portion 33 in the front-rear direction L3. Thereby, the sub-frame 22 supports the platen frame 21 rotatably via the platen roller 10 and movably in the plane orthogonal to the left-right direction L2. Moreover, in each side wall part 33, the bent piece 36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left-right direction L2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ront-back direction L3.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e 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L3 is defined as the side on which the bearing 29 is installed in the platen unit 2, and the "other 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L3 is, It is defined as the side on which the bent piece 36 is provided in the platen unit 2 .

여기서, 플래튼 프레임(21)과 서브 프레임(22) 사이에는, 플래튼축(27) 둘레로 플래튼 프레임(21)을 서브 프레임(22)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하방)을 향해서 탄성가압(여압)하는 한 쌍의 여압 기구(37)가 개재하고 있다. 각 여압 기구(37)는, 예를 들면 상하방향(L1)을 따라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부가 서브 프레임(22)의 상술한 대응하는 굴곡편(36)에 각각 연결되고, 상단부가 플래튼 프레임(21)의 연결부(25)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프린터 커버(6)의 열림 위치에 있어서, 플래튼 프레임(21)은, 서브 프레임(22)에 대해 기운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예를 들면, 도 8 참조).Here, between the platen frame 21 and the sub-frame 22, the platen frame 21 is elastically pressed (pressurized) in the direction (downward) away from the sub-frame 22 around the platen shaft 27. A pair of pressurizing mechanisms 37 are interposed. Each pressurizing mechanism 37 is made of, for example, a coil spring extending along the up-down direction L1,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corresponding bent piece 36 of the sub-frame 22, respectively,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5 of the platen frame 21 . In this case, in the open position of the printer cover 6, the platen frame 21 is held in an incli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sub-frame 22 (see, for example, FIG. 8).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유닛(3)은, 상술한 서멀 헤드(12) 및 가동날(11)과, 이들 서멀 헤드(12) 및 가동날(11)을 지지하는 헤드 프레임(41)을 구비하고 있다.3 to 5, the head unit 3 includes the above-described thermal head 12 and movable blade 11, and a head frame ( 41) is provided.

헤드 프레임(41)은, 전후방향(L3)에서 바라봐서 정면에서 봤을 때 コ자형상을 나타내고, 좌우방향(L2)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부(42), 및 측벽부(42)의 상단부들을 건너지르는 천정벽부(43)를 갖고 있다. 측벽부(42)에는,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29)이 각각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어맞춤 오목부(44)는, 상방을 향해서 개구함과 더불어, 전후방향(L3)을 따르는 폭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축소하고 있다. 또, 걸어맞춤 오목부(44)의 내주연에는, 프린터 커버(6)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29)에 상방으로부터 걸어맞춰지는 스토퍼부(45)가, 전후방향(L3)의 일단측을 향해서 돌츨 설치되어 있다.The head frame 41 has a U-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when viewed from the front-rear direction L3,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42 positioned on both sid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L2, and the side wall portions 42 It has a ceiling wall portion 43 that crosses the upper ends of the In the side wall portion 42 , engagement recesses 44 into which the bearings 29 of the platen roller 10 are engaged are formed. While these engagement recesses 44 are opened upward, the width|variety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L3 is reducing gradually as the width|variety goes downward. In addition,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gagement recessed portion 44, a stopper portion 45 engaged with the bearing 29 of the platen roller 10 from above when the printer cover 6 is in the closed position, It protrudes toward the one end side of the front-back direction L3.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부(42)의 상단부에 있어서, 전후방향(L3)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모서리부는, 플래튼 유닛(2)이 헤드 유닛(3)에 조합된 상태로, 플래튼 프레임(21)의 연결부(25)에 접촉하는 접촉부(47)를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부(47)는, 플래튼 프레임(21)의 연결부(25) 중, 좌우방향(L2)의 양단부이며, 전후방향(L3)에 있어서의 플래튼 롤러(10)보다도 타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5 , i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42 , the corner portion located on the other end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L3 is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n unit 2 is combined with the head unit 3 . , constitutes a contact portion 47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25 of the platen frame 21 . Specifically, the contact portion 47 is both 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L2 among the connection portions 25 of the platen frame 21 , and is locat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platen roller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3 . It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따라서, 플래튼 유닛(2)이 헤드 유닛(3)에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상술한 여압 기구(37)는, 플래튼 프레임(21)을 접촉부(47)를 향해서 탄성가압(여압)하고, 플래튼 프레임(21)과 접촉부(47)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래튼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10) 및 고정날(13)이, 서멀 헤드(12) 및 가동날(11)에 대해 소정 위치(즉, 급지 가능한 위치 및 용지 절단 가능한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 이 때의 플래튼 프레임(21)에는, 접촉부(47)를 지점으로 하여 플래튼 롤러(10)가 걸어맞춤 오목부(44)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이탈 방향)으로 탄성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또한, 여압 기구(37)의 탄성가압력은, 플래튼 유닛(2)과 헤드 유닛(3)이 조합된 상태로, 플래튼 롤러(10)와 걸어맞춤 오목부(44)가 탄성가압력에 의해서만 이탈하지 않을 정도이고, 또한 프린터 커버(6)에 비틀림 등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platen unit 2 is combined with the head unit 3, the above-described pressurization mechanism 37 elastically presses (pressurizes) the platen frame 21 toward the contact portion 47,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platen frame 21 and the contact portion 47 is maintained. As a result, the platen roller 10 and the fixed blade 13 supported by the platen frame 21 mov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at is, a paper feedable position and a paper fe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hermal head 12 and the movable blade 11 . It is positioned in a cuttable position). Further, an elastic urging force is applied to the platen frame 2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aten roller 10 is separated from the engagement recessed portion 44 with the abutting portion 47 as a fulcrum (disengagement direction). . In addition,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pressurizing mechanism 37 is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n unit 2 and the head unit 3 are combined, and the platen roller 10 and the engaging recess 44 are released only by the elastic pressing force. It is set to such a degree that no distortion or the like occurs in the printer cover 6 .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41)에 있어서, 측벽부(4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가이드 부재(48)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48)에 있어서의 좌우방향(L2)의 중앙부에는, 하방을 향해서 패인 수용부(48a)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48a) 내에는, 프린터 커버(6)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술한 플래튼 롤러(10)의 롤러 본체(28)가 수용된다. 그리고, 롤러 본체(28)의 외주면과 수용부(48a)의 바닥면 사이를 기록지(P)가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FIG. 5, in the head frame 41, the guide member 48 is provided in the part located between the side wall parts 42. As shown in FIG. In the central part of the left-right direction L2 in the guide member 48, the receiving part 48a recessed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48a, the roller body 28 of the platen roller 10 described above is accommodated when the printer cover 6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recording paper P is configured to pass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body 28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8a.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41)의 각 측벽부(42) 중, 좌우방향(L2)에 있어서의 일단측의 측벽부(42)에는, 플래튼 유닛(2)과 헤드 유닛(3)의 조합을 해제하는 해제 레버(51)가 설치되어 있다. 해제 레버(51)는, 좌우방향(L2)에서 바라봐서 측면에서 봤을 때 V자형상이고, 그 정상부가 좌우방향(L2)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동축(O1)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해제 레버(51) 중, 정상부에 대해 일단측(도 3에 있어서의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케이싱 본체(5)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레버 부재가 걸리는 레버 걸림부(51a)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해제 레버(51)는, 레버 부재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동하게 되어 있다. 한편, 해제 레버(51) 중, 정상부에 대해 타단측(도 3에 있어서의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플래튼 프레임(21)의 상술한 돌출편(26)에 하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접촉편(51b)을 구성하고 있다. 접촉편(51b)은, 해제 레버(51)의 회동시에 돌출편(26)을 통해 플래튼 유닛(2)을 상방을 향해서 밀어올린다.3 and 4 , among the side wall portions 42 of the head frame 41 , in the side wall portion 42 on the one end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L2, the platen unit 2 and the head A release lever 51 for releasing the combination of the units 3 is provided. The release lever 51 has a V-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when viewed from the left-right direction L2, and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a rotational shaft O1 whose top portion extends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L2. Among the release levers 51, a portion located on one end side (right side in Fig. 3) with respect to the top portion constitutes a lever engaging portion 51a on which a lever member (not shown) provided in the casing body 5 engages. . Thereby, the release lever 51 is rotated in association with operation of the lever member. On the other hand, a portion of the release lever 51 located on the other end side (left side in FIG. 3 ) with respect to the top portion is a contact piece ( 51b) constitutes. The contact piece 51b pushes up the platen unit 2 upward through the protruding piece 26 when the release lever 51 is rotated.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측벽부(42) 중, 좌우방향(L2)에 있어서의 타단측의 측벽부(42)에는, 플래튼 유닛(2)과 헤드 유닛(3)이 서로 조합됐을 때, 플래튼 유닛(2)의 플래튼용 톱니바퀴(31)에 맞물리는 플래튼 구동용 톱니바퀴(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래튼 구동용 톱니바퀴(52)는, 도시하지 않은 플래튼용 윤열(輪列)기구를 통해 헤드 프레임(41)에 탑재된 플래튼 구동용 모터(53)(도 5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래튼 구동용 모터(53)를 적절히 회전시킴으로써, 그 회전력을 플래튼용 윤열기구, 및 플래튼 구동용 톱니바퀴(52)를 통해 플래튼용 톱니바퀴(31)에 전달해, 플래튼 롤러(1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 among the side wall portions 42 , in the side wall portion 42 on the other end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L2 , when the platen unit 2 and the head unit 3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 a platen drive gear 52 engaged with the platen gear 31 of the platen unit 2 is provided. This platen drive gear 52 is connected to a platen drive motor 53 (refer to FIG. 5 ) mounted on the head frame 41 via a platen wheel train mechanism (not shown). . As a result, by properly rotating the motor 53 for driving the platen,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gear 31 for the platen through the gear wheel for the platen and the gear wheel 52 for driving the platen, and the platen roller ( 10) can be rotated.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멀 헤드(12)는, 좌우방향(L2)(기록지(P)의 지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판형상이고, 헤드 프레임(41) 중 전후방향(L3)에 있어서의 가이드 부재(48)보다도 일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서멀 헤드(12)의 표면에는, 복수의 발열 소자(12a)가 라인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발열 소자(12a)는, 가이드 부재(48)에 있어서의 수용부(48a)의 바닥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프린터 커버(6)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플래튼 롤러(10)에 대향 배치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멀 헤드(12)는, 가이드 부재(4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헤드 지지체(55)에 고정되어 있다. 헤드 지지체(55)는, 헤드 프레임(41)의 천정벽부(43)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56)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헤드 탄성가압 부재(57)에 의해서 전후방향(L3)에 있어서의 타단측을 향해서 탄성가압되고 있다. 이에 의해, 프린터 커버(6)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플래튼 롤러(10)에는, 서멀 헤드(12)가 압접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thermal head 12 has a plate shape extending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L2 (the paper direction of the recording paper P), and is a gu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L3 of the head frame 41 . It is disposed on one end side of the member 48 . On the surface of the thermal head 12,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elements 12a are arranged in a line shape. The heat generating element 12a is locat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48a of the guide member 48, and is disposed to face the platen roller 10 when the printer cover 6 is in the closed position. . 5, the thermal head 12 is being fixed to the head support body 55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48 rotatably. The head support body 55 is provid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L3 by the head elastic pressure member 57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plate 56 and the support plate 56 extended downward from the ceiling wall part 43 of the head frame 41. It is elastically pressurized toward the other end side. Accordingly, when the printer cover 6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thermal head 12 is pressed against the platen roller 10 .

도 3,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날(11)은, 프린터 커버(6)를 닫고 헤드 유닛(3)과 플래튼 유닛(2)이 조합됐을 때, 기록지(P)를 사이에 끼고 고정날(13)에 대해 전후방향(L3)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가동날(11)은, 가동날 프레임(61)과, 가동날 프레임(6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날 본체(62)와, 가동날 본체(62)를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63)를 구비하고 있다.3 and 5, when the printer cover 6 is closed and the head unit 3 and the platen unit 2 are combined, the movable blade 11 is fixed with the recording paper P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blade 13 in the front-rear direction L3. Specifically, the movable blade 11 includes a movable blade frame 61 , a movable blade body 62 slidably supported by the movable blade frame 61 , and a driving mechanism for driving the movable blade body 62 . 63) is provided.

가동날 프레임(61)은, 헤드 프레임(41)의 천정벽부(43) 상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날 본체(62)는, 상하방향(L1)에서 바라봐서 평면에서 봤을 때 V자형상이고, 밑부분에서부터 날끝까지의 길이가 양단으로부터 중앙으로 향해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movable blade frame 61 is being fixed on the ceiling wall portion 43 of the head frame 41 . The movable blade body 62 has a V-shape in plan view when view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L1, and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from the bottom to the tip of the blade is gradually shortened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구동 기구(63)는, 가동날 프레임(61) 상에 탑재된 정역전 가능한 커터용 모터나, 커터용 모터 및 가동날 본체(62) 사이에 접속되는 윤열기구 등을 갖고 있다. 그리고, 가동날 본체(62)는, 커터용 모터의 구동력이 윤열기구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한다.The drive mechanism 63 has a motor for forward and reversible cutter mounted on the movable blade frame 61 , a cutter motor, and a wheel-heating mechanism connected between the movable blade main body 62 , and the like. Then, the movable blade main body 62 slides b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cutter motor through the rolling mechanism.

다음에, 상술한 서멀 프린터(1)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도 9는, 서멀 프린터(1)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의 부분 단면도이다. 우선, 프린터 커버(6)의 닫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지(R)를 롤지 수용부(5a) 내에 투입한 후, 프린터 커버(6)를 닫으면,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29)이 헤드 유닛(3)의 걸어맞춤 오목부(44) 내에 각각 수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린터 커버(6)의 닫힘 동작에 수반하여, 우선 플래튼 프레임(21)의 연결부(25)가 헤드 프레임(41)의 접촉부(47)에 맞닿는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상태로 프린터 커버(6)를 더욱 닫힘 방향을 향해서 밀어넣으면, 서브 프레임(22)이 프린터 커버(6)와 함께 회동함과 더불어, 플래튼 프레임(21)이 접촉부(47)를 지점으로 하여 프린터 커버(6)(서브 프레임(22))에 대해서 회동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thermal printer 1 will be described. 7 to 9 are explanatory views for explaining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thermal printer 1, and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 First,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printer cover 6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7, when the printer cover 6 is closed after the roll paper R is loaded into the roll paper accommodating part 5a, the bearing 29 of the platen roller 10 engages the head unit 3 each received within the fitting recesses 44 . Specifically, with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printer cover 6 , first, the connecting portion 25 of the platen frame 21 abuts against the contact portion 47 of the head frame 41 . As shown in Fig. 8, when the printer cover 6 is further pushed in the closing direction in this state, the sub-frame 22 rotates together with the printer cover 6, and the platen frame 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I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printer cover 6 (sub-frame 22) using (47) as a fulcrum.

그러면, 플래튼 롤러(10)는, 베어링(29)이 걸어맞춤 오목부(44)의 내주연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하방을 향해서 이동한다. 그 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0)는, 베어링(29)이 스토퍼부(45)를 타고 넘을 때, 롤러 본체(28)의 외주면이 서멀 헤드(12)에 접촉해, 헤드 탄성가압 부재(57)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전후방향(L3)의 일단측)을 향해서 서멀 헤드(12)를 가압한다. 그리고,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29)이 걸어맞춤 오목부(44) 내의 스토퍼부(45)를 타고 넘은 후, 롤러 본체(28)가 헤드 탄성가압 부재(57)의 탄성가압력에 의해서 전후방향(L3)의 타단측을 향해서 가압됨으로써, 베어링(29)이 스토퍼부(45)에 걸어맞춰진 상태로 걸어맞춤 오목부(44) 내에 유지된다. 이에 의해,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6)가 닫힘 위치가 됨과 더불어, 플래튼 유닛(2)이 헤드 유닛(3)에 장착되고, 양 유닛(2, 3)이 조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양 유닛(2, 3)이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여압 기구(37)는 접촉부(47)에 대해 전후방향(L3)의 타단측에서 플래튼 프레임(21)을 접촉부(47)를 향해서 탄성가압하고 있다.Then, the platen roller 10 moves downward while the bearing 29 slides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engagement recessed part 44. As shown in FIG. Thereafter, as shown in FIG. 9 , in the platen roller 10, when the bearing 29 rides over the stopper 45,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body 28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hermal head 12, The thermal head 12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ne end side of the front-rear direction L3) that resists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head elastic pressing member 57 . Then, after the bearing 29 of the platen roller 10 rides over the stopper 45 in the engagement recess 44 , the roller body 28 is moved by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head elastic pressing member 57 . By being pressed toward the other end side of the front-back direction L3 , the bearing 29 is held in the engagement recessed portion 44 in a state engaged with the stopper portion 45 . Thereby,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rinter cover 6 is brought to the closed position, the platen unit 2 is mounted on the head unit 3, and both units 2 and 3 are combined. become in a state of being Further, in the state where both units 2 and 3 are combined, the pressurizing mechanism 37 moves the platen frame 21 toward the contact portion 47 from the other end side in the front-back direction L3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47 . It is elastically pressurized.

여기서, 양 유닛(2, 3)이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플래튼 유닛(2)은, 플래튼 롤러(10)가 걸어맞춤 오목부(44) 내에 유지됨과 더불어, 플래튼 프레임(21)이 접촉부(47)에 접촉하고 있다. 즉, 플래튼 유닛(2) 및 헤드 유닛(3)이, 플래튼 롤러(10)와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연결 부분, 및 플래튼 프레임(21)과 헤드 유닛(3)의 접촉부(47)의 접촉 부분의 적어도 2개소에서 위치 결정된다. 특히, 플래튼 프레임(21)은 여압 기구(37)에 의해서 접촉부(47)를 향해서 탄성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가령 플래튼 롤러(10)에 대한 힌지부(7)의 위치에 불균일이 있던 경우라도, 그 위치 불균일을 여압 기구(37)의 변형량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래튼 프레임(21)과 접촉부(47)의 접촉 상태를 유지해, 헤드 유닛(3)과 플래튼 유닛(2)이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된다.Here, in the state in which both units 2 and 3 are combined, the platen unit 2 has the platen roller 10 held in the engaging recess 44, and the platen frame 21 is It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47 . That is, the platen unit 2 and the head unit 3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platen roller 10 and the engaging recess 44, and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platen frame 21 and the head unit 3 ( 47) is positioned in at least two places of the contact portion. In particular, since the platen frame 21 is elastically pressed toward the contact portion 47 by the pressurizing mechanism 37, even if there is unevenness in the position of the hinge portion 7 with respect to the platen roller 10, for example. , the positional nonuniformity can be absorbed by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pressurization mechanism 37 . Therefore, the contact state of the platen frame 21 and the contact part 47 is maintained, and the head unit 3 and the platen unit 2 are positioned with high precision.

그리고, 양 유닛(2, 3)이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기록지(P)가 플래튼 롤러(10)와 서멀 헤드(12)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또, 이 기록지(P)는, 가동날(11)과 고정날(13) 사이를 통과한 후, 배출구(8)로부터 케이싱(4)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플래튼 유닛(2)측의 플래튼용 톱니바퀴(31)가, 헤드 유닛(3)측의 플래튼 구동용 톱니바퀴(52)에 맞물린다.Then, in the state in which both units 2 and 3 are combined, the recording paper P is sandwiched between the platen roller 10 and the thermal head 12 . Further, after passing between the movable blade 11 and the fixed blade 13 , the recording paper P is drawn out from the discharge port 8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4 . Further, the platen gear 31 on the platen unit 2 side meshes with the platen drive gear 52 on the head unit 3 side.

그 후, 플래튼 구동용 모터(53)를 구동시켜, 그 회전력을 플래튼 유닛(2)의 플래튼용 톱니바퀴(31)에 전달시킨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1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서멀 헤드(12)와의 사이에 기록지(P)를 끼워넣으면서 급지시킬 수 있다. 또, 이 급지와 동시에, 서멀 헤드(12)의 발열 소자(12a)를 적절하게 발열시킴으로써, 급지되는 기록지(P)에 대해 각종 문자나 도형 등을 명료하게 인자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platen driving motor 53 is driven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platen gear 31 of the platen unit 2 . Thereby, the platen roller 10 can be rotated, and the recording paper P can be fed while being sandwiched with the thermal head 12 . In addition, by appropriately heating the heat generating element 12a of the thermal head 12 at the same time as this paper feeding, various characters and figures can be clearly printed on the fed recording paper P.

인자된 기록지(P)는 고정날(13)과 가동날(11) 사이를 통과한다. 그리고, 기록지(P)가 소정의 길이 통과한 후, 구동 기구(63)를 구동시켜, 가동날 본체(62)를 고정날(13)을 향해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고정날(13)과 가동날(11) 사이에서 기록지(P)를 절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절단한 기록지(P)를, 영수증이나 티켓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printed recording paper P passes between the fixed blade 13 and the movable blade 11 . Then, after the recording paper P has passed a predetermined length, the drive mechanism 63 is driven to slide the movable blade body 62 toward the fixed blade 13 . Thereby, the recording paper P can be cut between the fixed blade 13 and the movable blade 11 . As a result, the cut recording paper P can be used as a receipt, a ticket, or the like.

다음에, 프린터 커버(6)의 열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프린터 커버(6)의 열림 동작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3에 상당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5)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레버 부재를 조작하면, 레버 부재의 조작에 연동하여, 해제 레버(51)가 회동축(O1) 둘레로 회동한다. 그러면, 해제 레버(51)의 접촉편(51b)이 돌출편(26)을 통해 플래튼 유닛(2)을 상방을 향해서 밀어올린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플래튼 프레임(21)이 접촉부(47)를 지점으로 하여 서브 프레임(22)에 대해 상방을 향해서 회동한다. 그러면, 플래튼 롤러(10)는, 롤러 본체(28)의 외주면이 서멀 헤드(12)를 헤드 탄성가압 부재(57)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을 향해서 가압하면서 걸어맞춤 오목부(44)로부터 이탈해나간다. 이 때,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29)이 스토퍼부(45)를 타고 넘음으로써, 베어링(29)과 스토퍼부(45)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양 유닛(2, 3)의 조합이 해제된다. 그 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6)를 끌어올림으로써, 프린터 커버(6)가 열림 위치가 된다.Next,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printer cover 6 will be described. FIG. 10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printer cover 6, and is a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3 . As shown in FIG. 10 , when a lever member (not shown) provided on the casing body 5 is operated, the release lever 51 rotates around the rotation shaft O1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lever member. Then, the contact piece 51b of the release lever 51 pushes the platen unit 2 upward through the protruding piece 26 .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 first, the platen frame 21 rotates upward with respect to the sub-frame 22 using the contact portion 47 as a fulcrum. Then, the platen roller 10 moves from the engaging recess 44 whil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body 28 presses the thermal head 12 in a direction that resists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head elastic pressing member 57. run away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bearing 29 of the platen roller 10 rides over the stopper portion 45 , so that the engagement between the bearing 29 and the stopper portion 45 is released. Thus, the combination of both units 2 and 3 is canceled. Thereafter, as shown in Fig. 1, by pulling up the printer cover 6, the printer cover 6 is brought to the open position.

여기서, 플래튼 프레임(21)이 여압 기구(37)에 의해서 접촉부(47)를 향해서 탄성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해제 레버(51)에 의해 플래튼 프레임(21)을 밀어올릴 때에 있어서, 플래튼 프레임(21)과 접촉부(47)의 접촉 상태를 유지해, 플래튼 프레임(21)의 접촉부(47)로부터의 부상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해제 레버(51)로부터 돌출편(26)(일단측의 축지지부(24))에 작용하는 밀어올리는 힘은, 연결부(25)를 통해 타단측의 축지지부(24)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10)의 양 베어링(29)이 걸어맞춤 오목부(44)로부터 이탈하게 된다.Here, since the platen frame 21 is elastically pressed toward the contact portion 47 by the pressurizing mechanism 37, when the platen frame 21 is pushed up by the release lever 51, the platen frame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21 and the contact portion 47 is maintained, and the platen frame 21 from floating from the contact portion 47 is suppressed. Therefore, the pushing-up force acting on the protruding piece 26 (the shaft support part 24 on one end side) from the release lever 51 is transmitted to the shaft support part 24 on the other end side via the coupling part 25. As shown in FIG. Thereby, both bearings 29 of the platen roller 10 disengage from the engagement recesses 44 .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해제 레버(51)의 밀어올리는 힘을 양 축지지부(24)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한 쪽 열림의 발생을 억제해, 양 유닛(2, 3)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프린터 커버(6)를 보강하거나, 로크 암을 설치하거나 하는 등의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 점수나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플래튼 유닛(2)(플래튼 프레임(21))과 헤드 유닛(3)이 접촉부(47)를 통해 접촉하므로, 양자를 같은 전위로 유지할 수 있어, 2차 방전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플래튼 프레임(21)과 서브 프레임(22) 사이에 여압 기구(37)가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여압 기구(37)가 장착된 상태로, 인자 유닛(9)을 케이싱(4)에 장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프린터 커버(6)와 플래튼 유닛(2) 사이에 여압 기구(37)를 개재시키는 경우에 비해, 인자 유닛(9)을 케이싱(4)에 장착할 때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ushing force of the release lever 51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both shaft support portions 24, the occurrence of one-sided opening is suppressed and both units 2 and 3 are reliably secured. can be separable. 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 need for reinforcing the printer cover 6 or providing a lock arm as in the prior ar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or manufacturing cost can be suppressed. Moreover, since the platen unit 2 (platen frame 21) and the head unit 3 are in contact via the contact portion 47, both can be kept at the same potential,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secondary discharge or the like. can Moreover, since the pressurizing mechanism 37 is interposed between the platen frame 21 and the sub-frame 22, the printing unit 9 is attached to the casing 4 with the pressurizing mechanism 37 attached. can do. This improves the attachability when the printing unit 9 is attached to the casing 4 compared to, for example, when the pressurizing mechanism 37 is interposed between the printer cover 6 and the platen unit 2 . can do it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해제 레버(51)에 의해 플래튼 프레임(21)을 밀어올릴 때에 있어서, 해제 레버(51)가, 플래튼 프레임(21) 중, 접촉부(47)에 대해 플래튼 롤러(10)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하고, 여압 기구(37)가, 플래튼 프레임(21) 중, 접촉부(47)에 대해 플래튼 롤러(10)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래튼 프레임(21)과 접촉부(47)의 접촉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해제 레버(51)의 밀어올리는 힘을 양 축지지부(24)에 의해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플래튼 프레임(21)이 헤드 유닛(3)의 접촉부(47)에 접촉하므로, 양 유닛(2, 3)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양 유닛(2, 3)이 소정 위치에서 위치 결정되게 된다. 그 때문에, 헤드 유닛(3)에 설치된 가동날(11)에 대해 플래튼 프레임(21)에 설치된 고정날(13)을, 프린터 커버(6)에 대한 가동날(11)의 위치 정밀도에 관계없이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커터 기구(14)의 뛰어난 절단성을 구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laten frame 21 is pushed up by the release lever 51 , the release lever 51 moves against the abutting portion 47 of the platen frame 21 with the platen roller Pressing the portion located on the (10) side, the pressurizing mechanism 37 presses the port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laten roller 10 sid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47 of the platen frame 21. made in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platen frame 21 and the contact portion 47 can be reliably maintained, and the pushing force of the release lever 51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by the both shaft support portions 24 . Further, since the platen frame 21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47 of the head unit 3, both units 2 and 3 are position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mounted state. will become Therefore, the fixed blade 13 provided on the platen frame 21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movable blade 11 provided on the head unit 3 , regardless of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movable blade 11 with respect to the printer cover 6 . Positioning can be performed with high precision. As a result, the excellent cutting property of the cutter mechanism 14 can be provided.

또, 서브 프레임(22)이 플래튼 롤러(10)를 통해 플래튼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 프레임(22)이 플래튼 롤러(10) 이외의 별도의 부재에 의해 플래튼 프레임(21)에 지지되는 경우에 비해, 부품 점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ub-frame 22 is supported by the platen frame 21 via the platen roller 10 , the sub-frame 22 is formed by a member other than the platen roller 10 to the platen frame. Compared with the case supported by (21),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can be suppressed.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서멀 프린터(1)에서는, 상술한 인자 유닛(9)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나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뛰어난 조작성을 구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ermal printer 1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printing unit 9 mentioned above is provided, excellent operability can be provided while suppress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and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echnical scope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mentioned above,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d various changes.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여압 기구(37)가, 플래튼 프레임(21) 중, 접촉부(47)에 대해 플래튼 롤러(10)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래튼 프레임(21)을 접촉부(47)를 향해서 여압하는 구성이면 가압 위치는 적절히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플래튼 프레임(21)에 고정날(13)이 설치되고, 헤드 프레임(41)에 가동날(11)이 설치된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플래튼 프레임(21)에 가동날(11)이 설치되고, 헤드 프레임(41)에 고정날(13)이 설치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essurizing mechanism 37 is configured to press a portion of the platen frame 21 that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laten roller 10 sid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47 . Although the description was given, the desig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esign of the pressing position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s long as the platen frame 21 is pressurized toward the contact portion 47 . Moreover, although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demonstrated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xed blade 13 was provided in the platen frame 21 and the movable blade 11 was provided in the head frame 41, it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the structure in which the movable blade 11 is provided in the platen frame 21 and the fixed blade 13 is provided in the head frame 41 may be sufficient.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여압 기구(37)가 복수 설치된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단수여도 상관없다. 또, 상술한 구성에서는, 여압 기구(37)로서,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플래튼 프레임(21)을 접촉부(47)를 향해서 여압하는 구성이면, 적절히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해제 레버(51)가 플래튼 프레임(21)을 통해 플래튼 유닛(2)을 밀어올리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플래튼 롤러(10)를 통해 플래튼 유닛(2)을 밀어올려도 상관없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pressurization mechanism 37 was demonstrated,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number may be sufficient.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nfiguration using a coil spring as the pressurizing mechanism 37 has been described. However, as long as it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laten frame 21 is pressed toward the contact portion 47, a design change is possible as appropriate. 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lease lever 51 pushes up the platen unit 2 through the platen frame 21 has been described, but the platen unit 2 is passed through the platen roller 10 ) is pushed up.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플래튼 프레임(21)이 서브 프레임(22)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들 플래튼 프레임(21) 및 서브 프레임(22) 사이에 여압 기구(37)를 개재시키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서브 프레임(22)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laten frame 21 is movably supported by the subframe 22 , and the pressurizing mechanism 37 is interposed between the platen frame 21 and the subframe 22 . Although the structure was demonstrated, it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does not provide the subframe 22.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튼 프레임(21)이 프린터 커버(6)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들 플래튼 프레임(21) 및 프린터 커버(6) 사이에 여압 기구(37)가 개재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나타내는 서멀 프린터(100)는, 프린터 커버(6)의 선단부에 있어서, 좌우방향(L2)의 양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장 설치된 한 쌍의 스테이(101)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스테이(101)에는, 플래튼 롤러(10)의 각 베어링(29)(도 6 참조)이 각각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린터 커버(6)는, 플래튼 롤러(10)를 통해 플래튼 프레임(21)을 회전 가능, 또한 좌우방향(L2)에 직교하는 면 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스테이(101)에 있어서, 전후방향(L3)의 타단부에는,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보스(102)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 the platen frame 21 is movably supported by the printer cover 6 , and a pressurizing mechanism 37 is disposed between these platen frame 21 and the printer cover 6 . It does not matter even if a structure is interposed. Specifically, the thermal printer 100 shown in FIG. 11 is provided with a pair of stays 101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L2 at the tip of the printer cover 6 . Each of the bearings 29 (refer to FIG. 6) of the platen roller 10 are loosely inserted into these stays 101, respectively. Thereby, the printer cover 6 supports the platen frame 21 rotatably via the platen roller 10 and movably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eft-right direction L2. Moreover, in the stay 101, the boss 102 is provided in the other end of the front-back direction L3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그리고, 플래튼 프레임(21)과 프린터 커버(6) 사이에는, 플래튼축(27) 둘레로 플래튼 프레임(21)을 프린터 커버(6)로부터 이격하는 방향(하방)을 향해서 탄성가압(여압)하는 한 쌍의 여압 기구(37)가 개재하고 있다.And, between the platen frame 21 and the printer cover 6, elastic pressure (pressurization) toward the platen frame 21 away from the printer cover 6 (downward) around the platen shaft 27. A pair of pressurizing mechanisms 37 are interposed.

이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냄과 더불어, 플래튼 유닛(2)이 프린터 커버(6)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플래튼 프레임(21)과 프린터 커버(6) 사이에 별도로 서브 프레임을 개재시키는 경우에 비해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obtained, and since the platen unit 2 is movably supported by the printer cover 6 , the platen frame 21 and the printer cover 6 are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a subframe is separately interposed therebetween.

그 밖에,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히 가능하며, 또, 상술한 각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해도 상관없다.In addition,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bstitute the component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with a well-known component suitably, Moreover, you may combine each modification mentioned above suitably.

Claims (14)

복수의 발열 소자가 설치된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기록지를 급지하는 플래튼 롤러를 갖고, 상기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축지지부 사이를 건너지르는 연결부를 갖는 플래튼 프레임과,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장착 위치에서 유지하는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에 있어서의 한쪽의 상기 축지지부측을,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이탈 방향을 향해서 가압하는 해제 레버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이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래튼 프레임의 상기 연결부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플래튼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상기 접촉부를 향해서 여압하는 여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플래튼 롤러를 통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상기 해제 레버에 의해 플래튼 프레임을 밀어올릴 때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상기 접촉부에 대해 상기 플래튼 롤러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함과 더불어, 상기 여압 기구는,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상기 접촉부에 대해 상기 플래튼 롤러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하고 있는, 인자 유닛.
A head unit having a thermal hea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elements;
a platen unit having a platen roller for feeding recording paper, the platen unit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unit;
a platen frame installed on the platen unit and having a pair of shaft support parts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respectively, and a connection part crossing between the pair of shaft support parts;
a sub frame installed on the platen unit and movably supporting the platen frame;
engaging recesses installed in the head unit, each receiving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and holding the platen frame in a mounting position;
a release lever provided in the head unit and configured to press one of the shaft support portions of the platen fram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aten roller and the engaging recess are separated;
a contact portion installed on the head unit and contact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laten frame when the platen frame is in a mounted position;
a pressurizing mechanism provided between the platen frame and the sub-frame to press the platen frame toward the contact portion;
The sub-frame movably supports the platen frame through the platen roller,
When the platen frame is pushed up by the release lever, the release lever presses a portion of the platen frame positioned on the platen roller sid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and the pressurizing mechanism includes: A printing unit that presses a portion of the platen frame that is positioned on a side opposite to the platen roller sid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일방측에 설치된 고정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타방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날과의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는 가동날을 더 구비하고 있는 인자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xed blad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ead unit and the platen frame;
The printing unit further includes a movable blade that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head unit and the platen frame, and cuts the recording paper between the head unit and the fixed blad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인자 유닛을 갖고,
상기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용부를 갖는 케이싱 본체측에, 상기 헤드 유닛이 장착되고, 또한,
힌지부를 통해 상기 케이싱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록지 수용부를 개폐하는 프린터 커버측에, 상기 플래튼 유닛이 상기 서브 프레임을 통해 장착되어 있는, 프린터.
It has the factor unit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head unit is mounted on a side of a casing body having a recording pape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recording paper, and further,
The printer, wherein the platen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ing body through a hinge and is mounted on a printer cover side that opens and closes the recording paper accommodating part through the sub-frame.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용부를 갖는 케이싱 본체와,
상기 케이싱 본체에 장착된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힌지부를 통해 상기 케이싱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록지 수용부를 개폐하는 프린터 커버와,
상기 프린터 커버에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프린터 커버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기록지를 급지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축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축지지부 사이를 건너지르는 연결부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프린터 커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플래튼 프레임과,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단부를 각각 수용함과 더불어,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장착 위치에서 유지하는 걸어맞춤 오목부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에 있어서의 한쪽의 상기 축지지부측을, 상기 플래튼 롤러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이탈 방향을 향해서 가압 하는 해제 레버와,
상기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장착 위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프레임의 상기 연결부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프린터 커버와 상기 플래튼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프레임을 상기 접촉부를 향해서 여압하는 여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해제 레버에 의해 플래튼 프레임을 밀어올릴 때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는,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상기 접촉부에 대해 상기 플래튼 롤러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함과 더불어, 상기 여압 기구는,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상기 접촉부에 대해 상기 플래튼 롤러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압하고 있는, 프린터.
a casing body having a recording pape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recording paper;
a head unit having a thermal head mounted on the casing body;
a printer cov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ing body through a hinge part and opening and closing the recording paper accommodating part;
a platen unit mounted on the printer cove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 unit in a closed position of the printer cover;
a platen roller installed in the platen unit and feeding the recording paper;
It is installed in the platen unit and has a pair of shaft support parts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respectively, and a connection part crossing between the pair of shaft support parts, and is mov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printer cover platen frame,
engaging recesses installed in the head unit, each receiving both ends of the platen roller, and holding the platen frame in a mounting position;
a release lever provided on the head unit and configured to press one of the shaft support portions of the platen fram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aten roller and the engaging recess are separated;
a contact portion installed on the head unit and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laten frame in a mounting position;
a pressurizing mechanism provided between the printer cover and the platen frame to press the platen frame toward the contact portion;
When the platen frame is pushed up by the release lever, the release lever presses a portion of the platen frame positioned on the platen roller sid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and the pressurizing mechanism includes: A printer, wherein a portion of the platen frame positioned on a side opposite to the platen roller side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is press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일방측에 설치된 고정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프레임 중, 타방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날과의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는 가동날을 더 구비하고 있는 프린터.
5. The method of claim 4,
a fixed blad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ead unit and the platen frame;
and a movable blade that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head unit and the platen frame and cuts the recording paper between the head unit and the fixed bla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22904A 2014-09-02 2015-08-31 Printing unit and printer KR1023567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78522 2014-09-02
JP2014178522 2014-09-02
JPJP-P-2014-260733 2014-12-24
JP2014260733A JP6422333B2 (en) 2014-09-02 2014-12-24 Printing unit and pri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931A KR20160027931A (en) 2016-03-10
KR102356765B1 true KR102356765B1 (en) 2022-01-27

Family

ID=5574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904A KR102356765B1 (en) 2014-09-02 2015-08-31 Printing unit and print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22333B2 (en)
KR (1) KR102356765B1 (en)
TW (1) TWI64816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4646B2 (en) 2019-06-26 2023-07-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tape prin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200A (en) * 1999-03-25 2000-10-03 Seiko Epson Corp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7023A (en) * 1996-09-19 1998-06-02 Seiko Epson Corp Thermal printer
US6155731A (en) * 1997-10-17 2000-12-05 Axiohm Transaction Solutions, Inc. Printing apparatus with cover actuated drive source
US5964541A (en) * 1998-07-28 1999-10-12 Ncr Corporation Thermal printer apparatus
JP3599595B2 (en) * 1999-05-10 2004-12-0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Thermal printer
JP2007320121A (en) * 2006-05-31 2007-12-13 Toshiba Tec Corp Thermal printer for perfecting printing and method for holding thermal head
JP4247251B2 (en) * 2006-06-29 2009-04-0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Thermal printer
US7828490B2 (en) * 2006-05-31 2010-11-0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a cover holding a thermal head and a platen roller on a hinged frame
JP5106238B2 (en) * 2008-05-08 2012-12-2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Printer with cutter
JP2010052278A (en) * 2008-08-28 2010-03-11 Seiko Instruments Inc Thermal prin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200A (en) * 1999-03-25 2000-10-03 Seiko Epson Corp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931A (en) 2016-03-10
TW201615441A (en) 2016-05-01
JP2016052773A (en) 2016-04-14
JP6422333B2 (en) 2018-11-14
TWI648169B (en) 201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6190B2 (en) Cutter mechanism and printer with a cutter
KR102541304B1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EP2343166B1 (en) Cutter mechanism and printer with a cutter
EP3037270B1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US7988374B2 (en) Sheet cutting device and printer
US9623672B2 (en) Thermal printer with platen lock mechanism and head urging member
EP3002130B1 (en) Printing unit and printer
KR102281000B1 (en) Thermal printer
KR102356765B1 (en) Printing unit and printer
KR102429223B1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JP5912047B2 (en) Thermal printer
CN111070904B (en) Thermal printer
JP6480223B2 (en) Printing unit and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