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652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652B1
KR102356652B1 KR1020200023759A KR20200023759A KR102356652B1 KR 102356652 B1 KR102356652 B1 KR 102356652B1 KR 1020200023759 A KR1020200023759 A KR 1020200023759A KR 20200023759 A KR20200023759 A KR 20200023759A KR 102356652 B1 KR102356652 B1 KR 102356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layer
holes
folding area
suppor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7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4508A (en
Inventor
서동우
박동진
신재구
최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114,141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03727B2/en
Priority to EP23165555.6A priority patent/EP4220349A1/en
Priority to EP21150856.9A priority patent/EP3865971B1/en
Priority to CN202110097336.4A priority patent/CN113270028A/en
Publication of KR20210104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508A/en
Priority to KR1020220010129A priority patent/KR102492524B1/en
Priority to KR1020220010123A priority patent/KR1024907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652B1/en
Priority to US17/979,770 priority patent/US1195691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비폴딩 영역, 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는 복수 개의 제1 홀들이 정의된 격자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들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홀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1 폭의 범위는 2000 ㎛ ~ 9000 ㎛ 이고, 상기 제2 폭의 범위는 100 ㎛ ~ 250 ㎛ 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first non-folding area, a folding area, and a second non-folding area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the display module being disposed under the display module, and the folding area a first support layer including a lattice pattern defined by a plurality of first holes overlapping the , wherein the first holes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Each of the holes has a first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width in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first width ranges from 2000 μm to 9000 μm, and the second width ranges from 100 μm to 250 μm. is μm.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고,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digital cameras, notebook computers, navigation systems, and smart TVs that provide images to users include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images. The display device generates an image and provides the image to a user through a display screen.

최근 표시 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곡면 형태로 변형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는 다양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은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Recently,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display devices. For example, various flexible display devices that can be deformed into a curved shape, folded, or rolled are being developed. Flexible display devices that can be variously deformed in shape are easy to carry and improve user convenience.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 중 폴더블 표시 장치는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한다. 표시 모듈은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되거나 펄쳐진다. Among flexible display devices, a foldable display includes a display module that is folded based on a folding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The display module is folded or flapped about the folding axis.

본 발명의 목적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적합한 특성을 갖는 지지층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a support layer having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비폴딩 영역, 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는 복수 개의 제1 홀들이 정의된 격자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들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홀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1 폭의 범위는 2000 ㎛ ~ 9000 ㎛ 이고, 상기 제2 폭의 범위는 100 ㎛ ~ 250 ㎛ 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first non-folding area, a folding area, and a second non-folding area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the display module being disposed under the display module, and the folding area a first support layer including a lattice pattern defined by a plurality of first holes overlapping the , wherein the first holes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Each of the holes has a first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width in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first width ranges from 2000 μm to 9000 μm, and the second width ranges from 100 μm to 250 μm. is μ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모듈 아래에 배치된 제1 지지층은 폴딩 영역에 중첩하는 복수 개의 제1 홀들이 정의된 격자 패턴을 포함한다. 격자 패턴의 제1 홀들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를 만족하는 폭들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 지지층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적합한 연신 특성을 가지면서도, 반복되는 폴딩 과정 및 언폴딩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적절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layer disposed under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grid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holes overlapping the folding area are defined. The first holes of the grid pattern have widths satisfying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layer may have appropriate durability to prevent damage during repeated folding and unfolding processes while having an elongation characteristic suitabl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Ⅰ-Ⅰ' 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인-폴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Ⅱ-Ⅱ' 선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2에 도시된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a에 도시된 Ⅲ-Ⅲ' 선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7a에 도시된 격자 패턴의 제1 홀의 형상 변화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도 7a에 도시된 격자 패턴과 다른 형상을 갖는 격자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shown in FIG. 1 .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3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shown in FIG. 5 .
FIG. 7A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2 .
FIG. 7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shown in FIG. 2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shown in FIG. 7A.
9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ffect of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first hole of the grid pattern shown in FIG. 7A.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id pattern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grid pattern illustrated in FIG. 7A.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or region, layer, portion, etc.) is referred to as being “on,” “connected to,”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directly disposed/on the 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be connected/coupled or a third component can be placed between them.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icknesses, ratios, and dimensions of component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at the associated configurations may defin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below", "below", "above", and "upper side" are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above terms are relative concepts, and are described based on directions indicated in the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ir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unless they ar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they are explicitly defined herein do.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 or step.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an operation, a compon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장변들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DD)는 원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가요성 표시 장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has long side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DR1 and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DR2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DR1 . It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ith short sid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device DD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d a polygonal shape.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a flexible display device.

이하,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의 의미는 제3 방향(DR3)에서 바라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Hereinafter,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defined by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is defined as the third direction DR3 . In this specification, the meaning of “when viewed in a plane” may mean a state viewed in the third direction DR3.

표시 장치(DD)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에 배치된 폴딩 영역(F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폴딩 영역(FA)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DD includes a first non-folding area NFA1 , a second non-folding area NFA2 , and a folding area FA disposed between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 ) may be included.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 and the folding area FA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예시적으로, 하나의 폴딩 영역(FA)과 두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이 도시되었으나,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2개보다 많은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 및 비폴딩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폴딩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one folding area FA and two non-folding areas NFA1 and NFA2 are illustrated, but the number of the folding area FA and the non-folding areas NFA1 and NFA2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DD may include more than two non-folding areas and a plurality of folding areas disposed between the non-folding areas.

표시 장치(DD)의 상면은 표시면(DS)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면(DS)을 통해 표시 장치(DD)에서 생성된 이미지들(IM)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defined as the display surface DS and may have a plane defined by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images IM generated by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surface DS.

표시면(DS)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소정의 색으로 인쇄되는 표시 장치(DD)의 테두리를 정의할 수 있다.The display surface DS may include a display area DA and a non-display area NDA around the display area DA. The display area DA may display an image, and the non-display area NDA may not display an image. The non-display area NDA may surround the display area DA and define a border of the display device DD printed in a predetermined color.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Ⅰ-Ⅰ' 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는 복수 개의 접착층들의 도시를 생략하였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shown in FIG. 1 .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3 .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llustration of the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is omitted in FIG. 2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제1 지지층(SUP1), 서브 커버층(SCV), 및 제2 지지층(SU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표시 모듈(DM), 제1 지지층(SUP1), 서브 커버층(SCV), 및 제2 지지층(SUP2)는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2 and 3 , a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module DM, a first support layer SUP1, a sub-cover layer SCV, and a second support layer SUP2. may include Based o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display module DM,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 the sub-cover layer SCV,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may be sequentially stacked.

표시 모듈(DM)은 가요성 표시 모듈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반사 방지층(RPL), 충격 흡수층(ISL), 윈도우(WIN), 윈도우 보호층(WP), 제1 코팅층(CT1), 제2 코팅층(CT2), 패널 보호층(PPL), 커버층(CVL) 및 복수 개의 접착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각 층들은 가요성 층들일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DM may be a flexible display module. The display module DM includes a display panel DP, an antireflection layer (RPL), an impact absorption layer (ISL), a window (WIN), a window protection layer (WP), a first coating layer (CT1), a second coating layer (CT2), It may include a panel protective layer (PPL), a cover layer (CVL), and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Each of the layers of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flexible layers.

반사 방지층(RPL), 충격 흡수층(ISL), 윈도우(WIN), 윈도우 보호층(WP), 제1 코팅층(CT1), 및 제2 코팅층(CT2)은 표시 패널(DP)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nti-reflection layer RPL,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the window WIN, the window protective layer WP, the first coating layer CT1, and the second coating layer CT2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DP. have.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외광 반사 방지 필름일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장치(DD) 위에서부터 표시 패널(DP)을 향해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반사 방지층(RPL)은 위상 지연자(retarder) 및/또는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DP.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be an external light anti-reflection film.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reduce reflectivity of external light incident toward the display panel DP from the top of the display device DD. For example,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include a retarder and/or a polarizer.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반사 방지층(RPL)의 두께는 표시 패널(DP)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30 ㎛ 이고, 반사 방지층(RPL)은 31 ㎛ 일 수 있다. 다만, 반사 방지층(RPL)의 두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패널(DP)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I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thicknes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panel DP.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panel DP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30 μm,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be 31 μm. However, the thicknes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is not limited thereto.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display panel DP.

반사 방지층(RPL)과 표시 패널(DP) 사이에는 제1 접착층(AL1)이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제1 접착층(AL1)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합착될 수 있다.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제1 접착층(AL1)의 두께는 표시 패널(DP)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접착층(AL1)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25 ㎛ 일수 있다.A first adhesive layer AL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and the display panel DP.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be bonded to the display panel DP by the first adhesive layer AL1 . Based o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L1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panel DP.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L1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25 μm.

충격 흡수층(ISL)은 반사 방지층(RP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충격 흡수층(ISL)은 표시 장치(DD)의 외부에서 표시 패널(DP)을 향하여 인가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충격 흡수층(ISL)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흡수층(ISL)은 폴리 이미드(PI:polyimide)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te, PET)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층(ISL)은 1 GPa 이상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may be disposed on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may absorb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ward the display panel DP from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DD.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may include a flexible p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may include polyimide (PI) or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may have a modulus of 1 GPa or more.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충격 흡수층(ISL)의 두께는 반사 방지층(RPL)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예시적으로, 충격 흡수층(ISL)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41 ㎛ 일 수 있다.Based o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thickness of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41 μm.

제1 코팅층(CT1)은 충격 흡수층(ISL)의 하면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제1 코팅층(CT1)은 하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팅층(CT1)은 굴곡진 표면을 가질 수 있는 충격 흡수층(ISL)의 하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The first coating layer CT1 may be co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The first coating layer CT1 may include a hard coating layer. The first coating layer CT1 may planarize the lower surface of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which may have a curved surface.

제2 접착층(AL2)은 충격 흡수층(ISL)과 반사 방지층(RP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층(AL2)에 의해 충격 흡수층(ISL)과 반사 방지층(RPL)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제2 접착층(AL2)의 두께는 반사 방지층(RPL)의 두께보다 작고, 제1 접착층(AL1)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접착층(AL2)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25 μ㎛ 일수 있다.The second adhesive layer AL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be bond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adhesive layer AL2 . I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L2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and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L1 .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L2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25 μm.

윈도우(WIN)는 충격 흡수층(IS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래치로부터 표시 패널(DP) 및 반사 방지층(RPL)을 보호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IN)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IN)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윈도우는 울트라씬글래스(UTG: Ultra Thin Glass)일 수 있다. 다만, 윈도우(WIN)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윈도우(WIN)는 투명한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window WIN may be disposed on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The window WIN may protect the display panel DP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from external scratches. The image generated by the display panel DP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window WIN. The window WIN may have an optically transparent property. For example, the window WIN may include glass. In this embodiment, the window may be ultra thin glass (UTG). However, the material of the window (WI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window WIN may include transparent plastic.

윈도우(WIN)는 다층구조 또는 단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IN)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합성수지 필름들을 포함하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WIN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r a single-layer structure. For example, the window WI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ynthetic resin films bonded with an adhesive, or a glass substrate and a synthetic resin film bonded with an adhesive.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윈도우(WIN)의 면적은 표시 패널(DP)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표시 패널(DP)의 양측 단부들(DP-E)은 윈도우(WIN)의 양측 단부들(WIN-E)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의 양측 단부들(DP-E) 각각은 대응하는 윈도우(WIN)의 단부(WIN-E)보다 제1 방향(DR1)으로 150 ㎛ 이상 돌출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표시 패널(DP)의 양측 단부들은 윈도우(WIN)의 양측 단부들보다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 area of the window WIN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display panel DP. In detail, both ends DP-E of the display panel DP may protrude outward than both ends WIN-E of the window WIN in the first direction DR1 . For example, each of both ends DP-E of the display panel DP may protrude 150 μm or more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an the end WIN-E of the corresponding window WIN. Although not shown, both ends of the display panel DP may protrude outward than both ends of the window WIN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WIN)의 단부(WIN-E)가 표시 패널(DP)의 단부(DP-E)보다 내측에 배치됨에 따라, 윈도우(WIN)는 표시 모듈(DM)에 작용하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the end WIN-E of the window WIN is disposed inside the end DP-E of the display panel DP, the window WIN is configured as a display module DM. It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from external shocks acting on the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윈도우(WIN)의 두께는 충격 흡수층(ISL) 및 반사 방지층(RPL) 각각의 두께보다 작고, 표시 패널(DP)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IN)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30 ㎛ 일 수 있다.Based o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thickness of the window WIN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and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panel DP.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window WIN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30 μm.

제3 접착층(AL3)은 윈도우(WIN)와 충격 흡수층(IS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접착층(AL3)에 의해 윈도우(WIN)와 충격 흡수층(ISL)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제3 접착층(AL3)의 두께는 윈도우(WIN)의 두께보다 크고 충격 흡수층(ISL)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접착층(AL3)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35 ㎛ 일 수 있다.The third adhesive layer AL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indow WIN and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The window WIN and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may be bonded to each other by the third adhesive layer AL3 . A thickness of the third adhesive layer AL3 may be greater than a thickness of the window WIN and smaller than a thickness of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third adhesive layer AL3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35 μm.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제3 접착층(AL3)의 면적은 윈도우(WIN)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윈도우(WIN)의 양측 단부들(WIN-E)은 접착층(AL3)의 양측 단부들(AL3-E)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윈도우(WIN)의 양측 끝단들은 접착층(AL3)의 양측 단부들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 area of the third adhesive layer AL3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window WIN. In detail, both ends WIN-E of the window WIN may protrude outward than both ends AL3-E of the adhesive layer AL3 in the first direction DR1 . Although not illustrated, both ends of the window WIN may protrude outward than both ends of the adhesive layer AL3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WIN) 아래에 배치된 제3 접착층(AL3)의 단부(AL3-E)가 윈도우(WIN)의 단부(WIN-E)보다 내측에 배치됨에 따라, 윈도우(WIN)는 폴딩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윈도우 보호층(WP)은 윈도우(WIN)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팅층(CT1)은 윈도우 보호층(WP)의 상면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윈도우 보호층(WP) 및 제2 코팅층(CT2)은 윈도우(WIN)를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nd AL3-E of the third adhesive layer AL3 disposed under the window WIN is disposed inside the end WIN-E of the window WIN, the window (WIN) may more easily perform a folding operation. The window protection layer WP may be disposed on the window WIN. The first coating layer CT1 may be co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protective layer WP. The window protective layer WP and the second coating layer CT2 may protect the window WIN.

윈도우 보호층(WP)은 폴리 이미드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팅층(CT1)은 하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코팅층(CT1)은 기능성 층으로 정의되는 지문 방지층 또는 비산 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protective layer WP may include a flexible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imid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The first coating layer CT1 may include a hard coating lay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coating layer CT1 may further include an anti-fingerprint layer or an anti-scattering layer, which is defined as a functional layer.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윈도우 보호층(WP)의 두께는 충격 흡수층(ISL)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윈도우 보호층(WP)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55 ㎛ 일 수 있다.Based o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thickness of the window protective layer WP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impact absorbing layer ISL. For example, a thickness of the window protection layer WP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55 μm.

제4 접착층(AL4)은 윈도우 보호층(WP)과 윈도우(WIN)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접착층(AL4)에 의해 윈도우 보호층(WP)과 윈도우(WIN)가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제4 접착층(AL1)의 두께는 윈도우(WIN)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4 접착층(AL4)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25 ㎛ 일 수 있다.The fourth adhesive layer AL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indow protection layer WP and the window WIN. The window protective layer WP and the window WIN may be bonded to each other by the fourth adhesive layer AL4 . Based o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thickness of the fourth adhesive layer AL1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window WIN.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ourth adhesive layer AL4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25 μm.

패널 보호층(PPL), 커버층(CVL)은 표시 패널(DP)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표시 패널(DP)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보호층(PPL)은 가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보호층(PPL)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nel protective layer PPL and the cover layer CVL may be disposed under the display panel DP. The panel protective layer PPL may be disposed under the display panel DP. The panel protective layer PPL may include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the panel protective layer PPL may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패널 보호층(PPL)의 두께는 표시 패널(DP)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패널 보호층(PPL)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50 ㎛ 일 수 있다.Based o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thickness of the panel protective layer PPL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panel DP.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panel protective layer PPL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50 μm.

제5 접착층(AL5)은 표시 패널(DP)과 패널 보호층(PP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접착층(AL5)에 의해 표시 패널(DP)과 패널 보호층(PPL)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제5 접착층(AL5)의 두께는 표시 패널(DP)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5 접착층(AL5)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18 ㎛ 일 수 있다.The fifth adhesive layer AL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DP and the panel protective layer PPL. The display panel DP and the panel protective layer PPL may be bonded to each other by the fifth adhesive layer AL5 . The thickness of the fifth adhesive layer AL5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panel DP.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ifth adhesive layer AL5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18 μm.

커버층(CVL)은 패널 보호층(PPL)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층(CVL)은 표시 모듈(DM)의 하부를 정의할 수 있다. 커버층(CVL)은 표시 모듈(DM)의 하부에서 인가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커버층(CVL)의 면적은 표시 패널(DP)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표시 패널(DP)의 양측 단부들은 커버층(CVL)의 양측 단부들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의 양측 단부들 각각은 커버층(CVL)의 대응하는 단부보다 제1 방향(DR1)으로 200 ㎛ 이상 돌출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표시 패널(DP)의 양측 단부들은 커버층(CVL)의 양측 단부들 보다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The cover layer CVL may be disposed under the panel protective layer PPL. The cover layer CVL may define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DM. The cover layer CVL may absorb an external shock appli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DM. 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 area of the cover layer CVL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display panel DP. In the first direction DR1 , both ends of the display panel DP may protrude outward than both ends of the cover layer CVL. For example, each of both ends of the display panel DP may protrude 200 μm or more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an the corresponding end of the cover layer CVL. Although not illustrated, both ends of the display panel DP may protrude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cover layer CVL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커버층(CVL)은 베리어층(BRL) 및 쿠션층(CUL)을 포함할 수 있다. 베리어층(BRL)은 패널 보호층(PPL)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층(BRL)은 외부의 눌림에 따른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리어층(BRL)은 표시 패널(DP)의 변형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리어층(BRL)은 폴리 이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layer CVL may include a barrier layer BRL and a cushion layer CUL. The barrier layer BRL may be disposed under the panel protection layer PPL. The barrier layer BRL may increase resistance to a compressive force caused by external pressing. For example, the barrier layer BRL may serv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display panel DP. The barrier layer BRL may include a flexible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imid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쿠션층(CUL)은 베리어층(BRL)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층(CUL)은 표시 모듈(DM)의 하부에 인가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모듈(DM)을 보호할 수 있다. 쿠션층(CUL)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발포(foam)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CUL)은 발포폼, 스펀지, 폴리 우레탄, 또는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CUL)은 베리어층(BRL)을 기저층으로 하여 베리어층(BRL)의 하면에 바로 형성될 수 있다.The cushion layer CUL may be disposed under the barrier layer BRL. The cushion layer CUL may absorb an external shock a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DM to protect the display module DM. The cushion layer CUL may include a foam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he cushion layer (CUL) may include foam, sponge, polyurethane, or thermoplastic polyurethane. The cushion layer CUL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rrier layer BRL using the barrier layer BRL as a base layer.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베리어층(BRL)의 두께는 표시 패널(DP)의 두께보다 크고, 패널 보호층(PPL)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베리어층(BRL)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35 ㎛ 일 수 있다.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쿠션층(CUL)의 두께는 패널 보호층(PPL)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예시적으로, 쿠션층(CUL)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100 ㎛ 일 수 있다.I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thickness of the barrier layer BRL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panel DP and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nel protective layer PPL. For example, a thickness of the barrier layer BRL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35 μm. Based o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thickness of the cushion layer CUL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nel protective layer PPL.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cushion layer CUL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100 μm.

베리어층(BRL) 및 쿠션층(CUL)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광을 흡수하는 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리어층(BRL) 및 쿠션층(CUL)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흑색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평면상에서 표시 장치(DD)를 바라봤을 때, 커버층(CVL) 아래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barrier layer BRL and the cushion layer CUL may have a color absorbing light.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barrier layer BRL and the cushion layer CUL may have a black color. In this case, when the display device DD is viewed on a plane, components disposed under the cover layer CVL may not be viewed.

제6 접착층(AL6)은 패널 보호층(PPL)과 베리어층(BR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6 접착층(AL6)에 의해 패널 보호층(PPL)과 베리어층(BRL)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제6 접착층(AL6)의 두께는 표시 패널(DP)의 두께보다 작고 제5 접착층(AL5)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접착층(AL6)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25 ㎛ 일 수 있다.The sixth adhesive layer AL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nel protective layer PPL and the barrier layer BRL. The panel protective layer PPL and the barrier layer BRL may be bonded to each other by the sixth adhesive layer AL6 . I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thickness of the sixth adhesive layer AL6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panel DP and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fth adhesive layer AL5 .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sixth adhesive layer AL6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25 μm.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기판(SUB) 상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CL), 회로 소자층(CL)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층(OL), 표시 소자층(OL)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 및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배치된 입력 감지부(ISP)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display panel DP includes a substrate SUB, a circuit element layer CL disposed on the substrate SUB, a display element layer OL disposed on the circuit element layer CL, and a display. It may include a 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TFE disposed on the device layer OL, and an input sensing unit ISP disposed on the 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TFE.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폴리 이미드(PI: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bstrate SUB may include a display area DA and a non-display area NDA around the display area DA. The substrate SUB may include a flexible p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substrate SUB may include polyimide (PI).

회로 소자층(CL)은 절연층,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및 신호 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및 증착 등의 방식으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이 기판(SUB) 상에 형성되고, 이후, 복수 회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들을 통해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이 선택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이 후, 회로 소자층(CL)의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및 신호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ircuit element layer CL may include an insulating layer, a semiconductor pattern, a conductive pattern, and a signal line. An insulating layer, a semiconductor layer, and a conductive layer are formed on the substrate SUB by a method such as coating and deposition, and then, the insulating layer, th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conductive layer can be selectively patterned through a plurality of photolithography processes. have. Thereafter, a semiconductor pattern, a conductive pattern, and a signal line of the circuit element layer CL may be formed.

표시 소자층(OL)은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층(OL)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소자층(OL)은 유기 발광 물질, 퀀텀닷, 퀀텀 로드, 또는 마이크로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element layer OL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area DA. The display element layer OL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element.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layer OL may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quantum dots, quantum rods, or micro LEDs.

박막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OL)을 덮도록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무기층, 유기층, 및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고, 수분/산소로부터 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The 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TFE may be disposed on the circuit element layer DP-CL to cover the display element layer OL. The 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TFE) may include an inorganic layer, an organic layer, and an inorganic layer sequentially stacked. The inorganic layers may include an inorganic material and may protect pixels from moisture/oxygen. The organic layer may include an organic material, and may protect pixels from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particles.

입력 감지부(ISP)는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센서들(미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의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펜,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sensing unit ISP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not shown) for sensing an external input. The sensors may sense an external input in a capacitive manner. The external input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s such as a part of the user's body, light, heat, pen, or pressure.

입력 감지부(ISP)는 표시 패널(DP)의 제조 시,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바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 감지부(ISP)는 표시 패널(DP)과는 별도의 패널로 제조되어, 접착층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도 있다.The input sensing unit ISP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TFE when the display panel DP is manufactur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put sensing unit ISP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panel from the display panel DP, and may be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DP by an adhesive layer.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지지층(SUP1)은 표시 모듈(DM)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층(SUP1)은 커버층(CVL)의 쿠션층(CUL)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층(SUP1)은 표시 모듈(DM)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층(SUP1)에 의해 표시 장치(DD)의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2 and 3 ,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be disposed under the display module DM.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be disposed under the cushion layer CUL of the cover layer CVL.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support the display module DM. Also,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of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improved by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

제1 지지층(SUP1)은 가요성 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층(SUP1)은 60 GPa 이상의 탄성계수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층(SUP1)은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층(SUP1)은 SUS 30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지지층(SUP1)은 다양한 금속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be a flexible layer.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modulus of 60 GPa or more.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include SUS 304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include various metal materials.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제1 지지층(SUP1)의 면적은 표시 모듈(DM)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제1 지지층(SUP1)의 양측 단부들(SUP1-E)은 표시 패널(DP)의 양측 단부들(DP-E)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층(SUP1)의 양측 단부들(SUP1-E) 각각은 대응하는 표시 패널(DP)의 단부(DP-E)보다 제1 방향(DR1)으로 150 ㎛ 이상 돌출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1 지지층(SUP1)의 양측 단부들은 표시 패널(DP)의 양측 단부들보다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 area of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display module DM. In detail, both ends SUP1-E of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protrude outward than both ends DP-E of the display panel DP in the first direction DR1 . . For example, each of both end portions SUP1-E of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protrude 150 μm or more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an the end portions DP-E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panel DP. . Although not illustrated,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protrude outward than both ends of the display panel DP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지지층(SUP1)의 테두리 부분이 표시 모듈(DM)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제1 지지층(SUP1)은 표시 장치(DD)의 외부에서 작용하는 충격으로부터 표시 모듈(DM)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protrudes outward than the display module DM,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is protected from impact acting from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D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tect the display module DM.

제1 지지층(SUP1)은 제1 부분(PP1), 제2 부분(PP2), 및 격자 패턴(LT)을 포함할 수 있다. 격자 패턴(LT)은 제1 부분(PP1)과 제2 부분(P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PP1), 제2 부분(PP2), 및 격자 패턴(LT)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PP1)과 제2 부분(PP2)들 각각은 격자 패턴(LT)으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include a first portion PP1 , a second portion PP2 , and a grid pattern LT. The grid pattern L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rt PP1 and the second part PP2 . The first part PP1 , the second part PP2 , and the grid pattern LT may be integrally formed.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part PP1 and the second part PP2 may extend from the grid pattern LT in the first direction DR1 .

제1 부분(PP1)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아래에 배치되어 제1 비폴딩 영역(NFA1)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부분(PP2)은 제2 비폴딩 영역(NFA2) 아래에 배치되어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지지할 수 있다. 격자 패턴(LT)은 폴딩 영역(FA)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격자 패턴(LT)의 제1 방향(DR1)으로의 폭은 8.65 mm ~ 9.65 mm 일 수 있다. 다만, 격자 패턴(LT)의 제1 방향(DR1)으로의 폭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portion PP1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to support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 The second portion PP2 may be disposed under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to support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 The grid pattern LT may be disposed under the folding area FA.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of the grid pattern LT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8.65 mm to 9.65 mm. However, the width of the grid pattern LT in the first direction DR1 is not limited thereto.

격자 패턴(LT)에는 복수 개의 제1 홀들(H1)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홀들(H1)은 제3 방향(DR3)으로 제1 지지층(SUP1)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홀들(H1)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제1 지지층(SUP1)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제1 홀들(H1)에 의해, 격자 패턴(LT)은 표시 모듈(DM)의 폴딩 영역(FA)과 함께 용이하게 폴딩될 수 있다. 격자 패턴(LT)에 정의된 제1 홀들(H1)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될 것이다.A plurality of first holes H1 may be defined in the grid pattern LT. The first holes H1 may pass through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i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thickness of the first holes H1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 Due to the first holes H1 , the grid pattern LT may be easily folded together with the folding area FA of the display module DM. Details of the first holes H1 defined in the grid pattern LT will be described later.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제1 지지층(SUP1)의 두께는 커버층(CVL)의 쿠션층(CUL)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층(SUP1)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150 ㎛ 일 수 있다.Based o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ushion layer CUL of the cover layer CVL.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150 μm.

제7 접착층(AL7)은 쿠션층(CUL)과 제1 지지층(SUP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7 접착층(AL7)에 의해 쿠션층(CUL)과 제1 지지층(SUP1)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제7 접착층(AL7)의 두께는 제5 접착층(AL5)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7 접착층(AL7)의 제3 방향(DR3)으로의 두께는 8 ㎛ 일 수 있다.The seventh adhesive layer AL7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ushion layer CUL and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 The cushion layer CUL and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be bonded to each other by the seventh adhesive layer AL7 . Based on the third direction DR3 , the thickness of the seventh adhesive layer AL7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fth adhesive layer AL5 .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seventh adhesive layer AL7 i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8 μm.

서브 커버층(SCV)은 제1 지지층(SUP1)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커버층(SCV)은 제1 지지층(SUP1)의 격자 패턴(LT)에 정의된 제1 홀들(H1)을 커버할 수 있다. 서브 커버층(SCV)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서브 커버층(SCV)은 제1 지지층(SUP1) 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커버층(SCV)은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또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서버 커버층(SCV)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ub-cover layer SCV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 The sub-cover layer SCV may cover the first holes H1 defined in the grid pattern LT of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 The sub-cover layer SCV may have flexibility. The sub-cover layer SCV may have a lower elastic modulus than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 For example, the sub cover layer SCV may include thermoplastic polyurethane or rubber, but the material of the server cover layer SCV is not limited thereto.

서브 커버층(SCV)은 시트 형태로 제조되어 제1 지지층(SUP1)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커버층(SCV) 및 제1 지지층(SUP1) 사이에는 제8 접착층(AL8)이 배치될 수 있다. 제8 접착층(AL8)에 의해 서브 커버층(SCV)과 제1 지지층(SUP1)은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서브 커버층(SCV)은 제1지지층(SUP1)의 격자 패턴(LT)에 정의된 제1 홀들(H1)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ub-cover layer SCV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heet and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 For example, an eighth adhesive layer AL8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b cover layer SCV and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 The sub-cover layer SCV and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be bonded to each other by the eighth adhesive layer AL8. The sub-cover layer SCV may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first holes H1 defined in the grid pattern LT of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

제2 지지층(SUP2)은 서브 커버층(SCV)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층(SUP)은 표시 모듈(DM)의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층(SUP2)은 제1 지지층(SUP1) 및 서브 커버층(SCV)과 달리 리지드(rigid)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층(SUP2)은 제1 지지층(SUP1)과 같은 스테인레스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제2 지지층(SUP2)은 다양한 금속들(예컨대, 인바(Invar)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may be disposed under the sub cover layer SCV. The second support layer SUP may support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of the display module DM. Unlike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and the sub-cover layer SCV, 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may be rigid. 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may include the same stainless steel as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 However, this is illustratively described,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may include various metals (eg, Invar alloy).

제2 지지층(SUP2)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 제1 플레이트(PL1) 및 제2 플레이트(PL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L1)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중첩하여 제1 비폴딩 영역(NFA1)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PL2)는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중첩하여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L1) 및 제2 플레이트(PL2)는 폴딩 영역(FA)으로 연장하여, 폴딩 영역(FA)에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제1 플레이트(PL1)와 제2 플레이트(PL2) 사이의 간격은 2.2 mm ~ 2.6 mm 일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may include a first plate PL1 and a second plate PL2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first plate PL1 may overlap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to support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 The second plate PL2 may overlap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to support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 The first plate PL1 and the second plate PL2 may extend to the folding area FA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olding area FA. For example,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DR1 ,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late PL1 and the second plate PL2 may be 2.2 mm to 2.6 mm.

제1 플레이트(PL1) 및 제2 플레이트(PL2)는 폴딩 영역(FA)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PL1) 및 제2 플레이트(PL2)는 폴딩 영역(FA)에서 제1 홀들(H1)이 정의된 제1 지지층(SUP1)의 격자 패턴(LT)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에서 제1 홀들(H1)이 정의된 격자 패턴(LT)에 압력이 인가될 때, 제2 지지층(SUP2)에 의해 제1 홀들(H1)이 정의된 제1 지지층(SUP1)의 격자 패턴(LT)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층(SUP2)은 제2 지지층(SUP2) 아래에 배치된 구성들에 의해 제2 지지층(SUP2) 위에 배치된 구성들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plate PL1 and the second plate PL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olding area FA. The first plate PL1 and the second plate PL2 may support the grid pattern LT of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in which the first holes H1 are defined in the folding area FA. Accordingly, when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grid pattern LT in which the first holes H1 are defined, the lattice of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in which the first holes H1 are defined by 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Deformation of the pattern LT may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may prevent the shapes of the components disposed on 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from being deformed by the components disposed under 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

제2 지지층(SUP2)와 서브 커버층(SCV) 사이에는 제9 접착층(AL9)이 배치될 수 있다. 제9 접착층(AL9)에 의해 제2 지지층(SUP2)와 서브 커버층(SCV)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제9 접착층(AL9)은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중첩하는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9 접착층(AL9)은 폴딩 영역(FA)에 중첩하는 부분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A ninth adhesive layer AL9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and the sub-cover layer SCV. 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and the sub-cover layer SCV may be bonded to each other by the ninth adhesive layer AL9 . The ninth adhesive layer AL9 may be dispos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in an area overlapping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 The ninth adhesive layer AL9 may not be disposed on a portion overlapping the folding area FA.

제2 지지층(SUP2)은 방열층(RHL)과 절연 테이프(IT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층(RHL)은 제1 플레이트(PL1)와 제2 플레이트(PL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층(RHL)은 그라파이트화된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필름은 폴리이미드 필름일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may further include a heat dissipation layer RHL and an insulating tape ITP. The heat dissipation layer RHL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plate PL1 and the second plate PL2 . The heat dissipation layer (RHL) may be a graphitized polymer film. For example, the polymer film may be a polyimide film.

제2 지지층(SUP2)과 방열층(RHL) 사이에는 제10 접착층(AL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0 접착층(AL10)에 의해 방열층(RHL)과 제2 지지층(SUP2)은 서로 합착될 수 있다.A tenth adhesive layer AL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and the heat dissipation layer RHL. The heat dissipation layer RHL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may be bonded to each other by the tenth adhesive layer AL10 .

절연 테이프(ITP)는 방열층(RHL)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 테이프(ITP)는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 테이프(ITP)와 방열층(RHL) 사이에는 제11 접착층(AL1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1 접착층(AL11)에 의해 절연 테이프(ITP)와 방열층(RHL)은 서로 합착될 수 있다.The insulating tape ITP may be disposed under the heat dissipation layer RHL. The insulating tape ITP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An eleventh adhesive layer AL1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sulating tape ITP and the heat dissipation layer RHL. The insulating tape ITP and the heat dissipation layer RHL may be bonded to each other by the eleventh adhesive layer AL11.

제1 내지 제11 접착층(AL1~AL11)은 감압 접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광학 투명 접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와 같은 투명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o eleventh adhesive layers AL1 to AL11 may include a transparent adhesive such as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or an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인-폴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Ⅱ-Ⅱ' 선의 단면도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shown in FIG. 5 .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폴딩되는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D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제2 방향(DR2)에 평행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5 and 6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a foldable display device DD.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folded based on the folding axis FX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DR2 .

표시 장치(DD)가 폴딩축(FX)을 중심으로 폴딩될 때, 표시 모듈(DM)의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상면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의 상면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D)는 표시면(DS, 도 1 참조)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in-folding)될 수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DD is folded about the folding axis FX,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1 of the display module DM may face each other have.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in-folded so that the display surface DS (refer to FIG. 1 )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본 실시 예에서는 표시 장치(DD)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DD)는 다른 형상으로 폴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display device DD is folded based on the folding axis FX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folded into different shapes.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folded based on a folding axi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1 .

표시 모듈(DM)은 가요성 표시 모듈이므로, 표시 모듈(DM)의 폴딩 영역(FA)은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표시 모듈(DM) 아래에 배치되는 제1 지지층(SUP1)과 서브 커버층(SCV)은 표시 모듈(DM)과 함께 폴딩될 수 있다.Since the display module DM is a flexible display module, the folding area FA of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easily bent.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and the sub-cover layer SCV disposed under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folded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DM.

서브 커버층(SCV)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지지층(SUP2)은 리지드 타입이므로 휘어지지 않을 수 있다. 만일, 제9 접착층(AL9)이 폴딩 영역(FA)까지 배치된다면, 제2 지지층(SUP2)의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들(PL1, PL2)은 폴딩 영역(FA)에서 서브 커버층(SCV)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PL1, PL2)이 표시 모듈(DM)의 폴딩 영역(FA)에서 부착되어 있다면,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PL1, PL2) 때문에 폴딩 영역(FA)이 잘 휘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듈(DM)의 폴딩 동작이 어려울 수 있다. Since 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disposed under the sub-cover layer SCV is of a rigid type, it may not be bent. If the ninth adhesive layer AL9 is disposed up to the folding area FA,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s PL1 and PL2 of the second support layer SUP2 are connected to the sub-cover layer SCV in the folding area FA. ) can be attached to I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PL1 and PL2 are attached to the folding area FA of the display module DM, the folding area FA is easily bent due to the first and second plates PL1 and PL2. may not support Accordingly,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difficul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폴딩 영역(FA)에 중첩하는 영역에 제9 접착층(AL9)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폴딩 영역(FA)에 중첩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들(PL1, PL2)의 부분들이 표시 모듈(DM)에 부착되지 않으므로, 폴딩 영역(FA)이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ninth adhesive layer AL9 may not be dispos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folding area FA. Accordingly, sinc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PL1 and PL2 overlapping the folding area FA are not attached to the display module DM, the folding area FA may be easily bent.

제1 지지층(SUP1)은, 폴딩 영역(FA)에 중첩하는 격자 패턴(LT)에 의해 표시 모듈(DM)과 함께 용이하게 폴딩될 수 있다. 제1 지지층(SUP1)이 폴딩될 때, 격자 패턴(LT)의 제1 측(S1)은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1 측(S1)은 격자 패턴(LT)에서 폴딩축(FX)에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 제1 지지층(SUP1)이 폴딩될 때, 제1 측(S1)에는 압축 응력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홀들(H1)에서 제1 측(S1)에 인접한 부분들은 압축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be easily folded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DM by the grid pattern LT overlapping the folding area FA. When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is folded, the first side S1 of the grid pattern LT may be deformed into a concave shap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first side S1 may be a portion adjacent to the folding axis FX in the grid pattern LT. When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is folded, a compressive stress may act on the first side S1 . Accordingly, portions adjacent to the first side S1 in the first holes H1 may be compressed.

제1 지지층(SUP1)이 폴딩될 때, 격자 패턴(LT)의 제2 측(S2)은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2 측(S2)은 제1 측(S1)과 반대하는 측으로, 폴딩축(FX)으로부터 제1 측(S1)보다 이격된 부분일 수 있다. 제1 지지층(SUP1)이 폴딩될 때, 제2 측(S2)에는 인장 응력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홀들(H1)에서 제2 측(S2)에 인접한 부분들은 인장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is folded, the second side S2 of the grid pattern LT may be deformed into a convex shap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second side S2 is a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S1 and may be a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 S1 from the folding axis FX. When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is folded, a tensile stress may act on the second side S2 . Accordingly, portions adjacent to the second side S2 in the first holes H1 may be stretch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DD)는 도 1에 도시된 형상으로 다시 언폴딩될 수 있다. 이때, 격자 패턴(LT)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복수 회에 거쳐 폴딩 동작과 언폴딩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층(SUP1)의 격자 패턴(LT)은 표시 장치(DD)의 폴딩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연신 특성을 가지면서도, 반복되는 폴딩 과정 및 언폴딩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적절한 내구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unfolded back to the shape shown in FIG. 1 . In this case, the grid pattern LT may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The display device DD may repeat the folding operation and the unfolding operation a plurality of times. Accordingly, the lattice pattern LT of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has appropriate stretching characteristics to facilitate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DD, and has adequate durability so as not to be damaged during repeated folding and unfolding processes. need to have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a는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된 격자 패턴(LT)의 중심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7A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2 . FIG. 7A is an enlarged view of a central portion of the grid pattern LT shown in FIG. 2 .

도 2 및 도 7a를 참조하면, 격자 패턴(LT)에는 복수 개의 제1 홀들(H1)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홀들(H1)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격자 패턴(LT)은 복수 개의 제1 가지들(BR1) 및 복수 개의 제2 가지들(B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지들(BR1)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인접한 제1 홀들(H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지들(BR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가지들(BR1) 각각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2 and 7A , a plurality of first holes H1 may be defined in the grid pattern LT.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H1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grid pattern L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branches BR1 and a plurality of second branches BR2 . The first branches BR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es H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first branches BR1 may be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 Each of the first branches BR1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제2 가지들(BR2)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인접한 제1 홀들(H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지들(BR2)은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제1 가지들(BR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지(BR2)의 중심 부분의 두께는 제2 가지(BR2)의 가장 자리 부분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지(BR2)의 가장 자리 부분은 제2 가지(BR2)에서 제1 가지(BR1)에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1 홀(H1)의 양단부들은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branches BR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es H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second branches BR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ranches BR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 A thickness of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branch BR2 may be thinner than a thickness of an edge portion of the second branch BR2 . Here,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branch BR2 may refer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branch BR1 in the second branch BR2 .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first hole H1 may have a convex shape based on the second direction DR2 .

제2 가지들(BR2)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1 홀들(H1)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인접한 2개의 제1 가지들(BR1) 및 제2 방향(DR2)으로 인접한 2개의 제2 가지들(BR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Each of the second branches BR2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Each of the first holes H1 may be defined by two first branches BR1 adjacent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wo second branches BR2 adjacent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제1 홀들(H1)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인접한 제1 홀들(H1)의 중심점들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홀수 번째로 배열되는 제1 홀들(H1) 중 어느 하나를 제1 샘플홀(H1-O)로 정의하고, 짝수 번째로 배열되는 제1 홀들(H1) 중 어느 하나를 제2 샘플홀(H1-E)이라고 정의한다. 제1 샘플홀(H1-O)과 제2 샘플홀(H1-E)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제1 샘플홀(H1-O)의 제1 중심점(C1)은 제2 샘플홀(H1-E)의 제2 중심점(C2)으로부터 제2 방향(DR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중심점(C1)과 제2 중심점(C2)들 각각은,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1 샘플홀(H1-O)의 중심 및 제2 샘플홀(H1-E)의 중심을 정의할 수 있다.Based o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first holes H1 may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Specifically, center points of the first holes H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For example, any one of the first holes H1 arranged in an odd number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DR1 is defined as a first sample hole H1-O, and the first holes H1 arranged in an even number are defined as the first sample holes H1 -O. Any one of H1) is defined as a second sample hole H1-E. The first sample hole H1-O and the second sample hole H1-E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first central point C1 of the first sample hole H1-O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entral point C2 of the second sample hole H1-E in the second direction DR2. Each of the first center point C1 and the second center point C2 is the center of the first sample hole H1-O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sample hole H1-E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rection DR2. can be defined.

제1 홀들(H1) 각각은 제1 폭(W1) 및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제1 폭(W1)은 제1 홀(H1)의 제2 방향(DR2)으로의 폭일 수 있다. 제2 폭(W2)은 제1 홀(H1)의 제1 방향(DR1)으로의 폭일 수 있다.Each of the first holes H1 may have a first width W1 and a second width W2 . The first width W1 may be the width of the first hole H1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second width W2 may be the width of the first hole H1 in the first direction DR1 .

제1 폭(W1)의 범위는 2000 ㎛ ~ 90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3500 ㎛ ~ 6000 ㎛ 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폭(W1)은 5350 ㎛ 일 수 있다.The range of the first width W1 may be 2000 μm to 9000 μm, and preferably 3500 μm to 6000 μm.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width W1 may be 5350 μm.

제2 폭(W2)의 범위는 100 ㎛ ~ 250 ㎛ 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 ~ 200 ㎛ 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폭(W2)은 150 ㎛ 일 수 있다.The range of the second width W2 is 100 μm to 250 μm, and preferably 100 μm to 200 μm.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width W2 may be 150 μm.

제1 가지들(BR1)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제3 폭(W3)을 가질 수 있다. 제3 폭(W3)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인접한 제1 홀들(H1)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3 폭(W3)은 제1 가지(BR1)의 제1 방향(DR1)으로의 최대 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폭(W3)의 범위는 100 ㎛ ~ 2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93 ㎛ ~ 180 ㎛ 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폭(W3)은 100 ㎛일 수 있다.Each of the first branches BR1 may have a third width W3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third width W3 may mea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les H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third width W3 may be defined as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branch BR1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range of the third width W3 is 100 μm to 200 μm, and preferably 93 μm to 180 μm.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width W3 may be 100 μm.

제2 가지들(BR2)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제4 폭(W4)을 가질 수 있다. 제4 폭(W4)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인접한 제1 홀들(H1)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4 폭(W4)의 범위는 121 ㎛ ~ 200 ㎛ 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4 폭(W4)은 200 ㎛ 일 수 있다.Each of the second branches BR2 may have a fourth width W4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fourth width W4 may mea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les H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range of the fourth width W4 may be 121 μm to 200 μm. In this embodiment, the fourth width W4 may be 200 μm.

도 7b은 도 2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b는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된 격자 패턴(LT)의 에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7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illustrated in FIG. 2 . FIG. 7B is an enlarged view of an edge portion of the grid pattern LT shown in FIG. 2 .

도 2 및 도 7b를 참조하면, 격자 패턴(LT)은 복수 개의 연장가지들(EXB)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가지들(EXB)은,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1 가지들(BR1)의 양측 단부들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장가지들(EXB)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연장가지들(EXB)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연장가지들(EXB)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2 and 7B , the grid pattern LT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tended branches EXB. The extended branches EX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first branches BR1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extended branches EXB may be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 Each of the extension branches EXB may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extended branches EX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

구체적으로, 연장가지들(EXB)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인접한 2개의 제1 가지들(BR1)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연장가지(EXB)의 제1 방향(DR1)으로의 폭은 제1 가지(BR1)의 제3 폭(W3) 및 제1 홀(H1)의 제2 폭(W2)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하나의 연장가지(EXB)의 폭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되는 2개의 제1 가지들(BR1)의 폭(즉, 제3 폭(W3)의 2 배)에 제1 홀(H1)의 폭(즉, 제2 폭(W2))을 더한 값과 같을 수 있다.In detail, each of the extension branches EXB may extend from two first branches BR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width of the extended branch EXB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greater than the third width W3 of the first branch BR1 and the second width W2 of the first hole H1 .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width of one extended branch EXB is the width of the two first branches BR1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ie, the third It may be equal to the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width (ie, the second width W2) of the first hole H1 to the width W3 (twice the width W3).

도 7b에서는 격자 패턴(LT)의 일단부에 배치된 연장가지들(EXB)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격자 패턴(LT)의 타단부에도 동일한 연장가지들(EXB)이 배치될 수 있다.Although only the extended branches EXB disposed at one end of the grid pattern LT are illustrated in FIG. 7B , the same extended branches EXB may also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grid pattern LT.

도 8은 도 7a에 도시된 Ⅲ-Ⅲ' 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서로 인접한 제1 가지들(BR1) 및 제1 가지들(BR1) 사이에 정의된 제1 홀(H1)을 제2 방향(DR2)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shown in FIG. 7A. 8 illustrates the first branches BR1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hole H1 defined between the first branches BR1 as viewed from the second direction DR2.

도 8을 참조하면, 제1 가지들(BR1) 각각의 단면은 육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지(BR1)는 상면(UF)과 하면(BF)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UF)과 하면(BF)은 제1 방향(DR1)과 평행할 수 있다. 상면(UF)의 제1 방향(DR1)으로의 폭은 제5 폭(W5)일 수 있다. 제5 폭(W5)은 제3 폭(W3)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폭(W3)과 제5 폭(W5) 사이의 비율은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폭(W3)에 대한 제5 폭(W5)의 비율은 0.4 보다는 크거나 같고, 1 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폭(W3)에 대한 제5 폭(W5)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폴딩 및 언폴딩 동작 시 격자 패턴(LT)에 작용하는 응력은 증가할 수 있다. 제5 폭(W5)의 범위는 40 ㎛ ~ 150 ㎛ 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5 폭(W5)은 40 ㎛ 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a cross-section of each of the first branches BR1 may have a hexagonal shape. Specifically, the first branch BR1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UF and a lower surface BF. The upper surface UF and the lower surface BF may b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R1 . A width of the upper surface UF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a fifth width W5 . The fifth width W5 may be smaller than the third width W3 . A ratio between the third width W3 and the fifth width W5 may vary. For example, a ratio of the fifth width W5 to the third width W3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0.4 and less than 1. As the ratio of the fifth width W5 to the third width W3 increases, the stress acting on the grid pattern LT during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may increase. The range of the fifth width W5 may be 40 μm to 150 μm. In this embodiment, the fifth width W5 may be 40 μm.

다만, 제1 가지(BR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 폭(W3)에 대한 제5 폭(W5)의 비가 1 일 때, 즉 제3 폭(W3)과 제5 폭(W5)은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지(BR1)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However, the shape of the first branch BR1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ratio of the fifth width W5 to the third width W3 is 1, that is, the third width W3 and the fifth width W5 may be the same. In this cas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branch BR1 may be a rectangle.

도 9 내지 도 11은 도 7a에 도시된 격자 패턴의 제1 홀의 형상 변화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격자 패턴(LT)에 작용하는 응력(stress)을 점선으로 도시하고, 격자 패턴(LT)의 시인성을 실선으로 도시하고, 격자 패턴(LT)의 저항성(resistance)을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X축의 단위는 ㎛ 이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에서 Y축은 어느 특정 시점에서의 값을 1이라고 가정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수치를 나타낸다.9 to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ffec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first hole of the grid pattern shown in FIG. 7A. 9 to 11 , stress acting on the grid pattern LT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visibility of the grid pattern LT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and resistance of the grid pattern LT is indicated by a thick solid line. shown as 9 to 11 , the unit of the X-axis is μm. In addition, in FIGS. 9 to 11 , the Y-axis represents a relative valu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value at a specific time point is 1.

응력은, 표시 장치(DD)가 폴딩될 때 격자 패턴(LT)에 작용하는 하중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응력은 도 6에 도시된 제2 측(S2)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일 수 있다. 격자 패턴(LT)에 작용하는 응력이 작을수록, 표시 장치(DD)는 폴딩 및 언폴딩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stress refers to a load applied to the grid pattern LT when the display device DD is folded. Specifically, the stress may be a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second side S2 shown in FIG. 6 . As the stress acting on the grid pattern LT decreases, the display device DD may easily perform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시인성은, 평면상에서 표시 장치(DD)를 바라봤을 때 격자 패턴(LT)이 시인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격자 패턴(LT)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기 위해서, 시인성은 작을수록 좋다.Visibility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he grid pattern LT is visually recognized when the display device DD is viewed on a plane. In order that the grid pattern LT is not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the smaller the visibility, the better.

저항성은 외력에 대하여 격자 패턴(LT)이 원래 형상을 유지하려는 성질을 의미한다. 다른 의미에서, 저항성은 격자 패턴(LT)의 내구성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력은 중력 또는 사용자가 표시 장치(DD)를 터치하는 압력일 수 있다. 저항성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격자 패턴(LT)은, 표시 장치(DD)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Resistance refers to a property of the lattice pattern LT to maintain its original shape with respect to an external force. In another meaning, the resistance may refer to the durability of the lattice pattern LT. For example, the external force may be gravity or a pressure that the user touches the display device DD. When the resistance is too low, the grid pattern LT may be depressed in a downward direction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display device DD.

도 9는 제1 폭(W1)에 따른 응력, 시인성, 저항성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9에서 제1 폭(W1)이 0 일 때, 응력과 저항성이 1 인 것으로 가정한다.9 illustrates changes in stress, visibility, and resistance according to the first width W1 . In FIG. 9 , when the first width W1 is 0, it is assumed that the stress and the resistance are 1.

도 7a 및 도 9를 참조하면, 응력 관점에서, 제1 폭(W1)이 증가함에 따라, 응력은 감소할 수 있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제1 홀(H1)의 제1 방향(DR1)으로의 변형 가능한 범위가 제1 폭(W1)에 비례하기 때문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폭(W1)이 4000 ㎛ 일 때, 응력은 0.2 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폭(W1)이 4000 ㎛ 일 때, 응력은 80 % 감소할 수 있다.7A and 9 , in terms of stress, as the first width W1 increases, the stress may decrease. This may be because a deformable range of the first hole H1 shown in FIG. 7 in the first direction DR1 is proportional to the first width W1 . Referring to FIG. 9 , when the first width W1 is 4000 μm, the stress may be 0.2.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width W1 is 4000 μm, the stress may be reduced by 80%.

저항성 관점에서, 제1 폭(W1)이 증가함에 따라, 저항성은 감소할 수 있다. 즉, 제1 폭(W1)이 증가함에 따라 격자 패턴(LT)은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폭(W1)이 지나치게 커질 경우, 제1 지지층(SUP1)의 격자 패턴(LT)은 표시 장치(DD)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층(SUP1)은 표시 모듈(DM)을 지지하는 기능을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제1 폭(W1)은 9000 ㎛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In terms of resistance, as the first width W1 increases, the resistance may decrease. That is, as the first width W1 increases, the grid pattern LT may be easi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When the first width W1 is excessively large, the lattice pattern LT of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be depressed in a downward direction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display device DD.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may not properly support the display module DM.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width W1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9000 μm.

시인성 관점에서, 제1 폭(W1)의 변화에 따라, 시인성은 크게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From the viewpoint of visibilit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first width W1 , the visibility may not change significantly.

결과적으로, 제1 폭(W1)은, 응력 관점에서 작아질수록 좋으나, 소정의 저항성, 제조 공정의 용이성, 및 공정 오차 등을 고려하여 소정의 폭 이상일 필요가 있다. 제1 폭(W1)의 범위는 2000 ㎛ ~ 90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3500 ㎛ ~ 6000 ㎛ 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폭(W1)은 5350 ㎛ 일 수 있다.As a result, the first width W1 is preferably smaller as the stress becomes smaller, but needs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width in consideration of a predetermined resistance, easiness of a manufacturing process, process error, and the like. The range of the first width W1 may be 2000 μm to 9000 μm, and preferably 3500 μm to 6000 μm.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width W1 may be 5350 μm.

도 10은 제2 폭(W2)에 따른 응력, 시인성, 저항성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제2 폭(W2)이 500 ㎛일 때, 저항성 및 시인성은 1이고, 응력은 최대값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0에서 제2 폭(W2)은 0 보다 크고, 제2 폭(W2)이 0 일 때의 응력, 시인성, 저항성은 정의되지 않는다.10 illustrates changes in stress, visibility, and resistance according to the second width W2. In FIG. 10 , it is assumed that when the second width W2 is 500 μm, resistance and visibility are 1, and stress has a maximum value. In FIG. 10 , the second width W2 is greater than 0, and stress, visibility, and resistance when the second width W2 is 0 are not defined.

도 7a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응력 관점에서, 제2 폭(W2)이 감소함에 따라, 응력은 감소할 수 있다. 이는, 제1 홀(H1)의 제1 방향(DR1)으로의 폭인 제2 폭(W2)이 감소하게 되면, 일정한 면적을 갖는 격자 패턴(LT)에 더 많은 개수의 제1 홀들(H1)이 정의될 수 있고, 제1 홀들(H1)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격자 패턴(LT)에 작용하는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7A and 10 , in terms of stress, as the second width W2 decreases, the stress may decrease. This is because, when the second width W2, which is the width of the first hole H1 in the first direction DR1, decreases, a greater number of the first holes H1 are formed in the grid pattern LT having a constant area. may be defined, and as the number of the first holes H1 increases, the stress acting on the grid pattern LT may be uniformly distributed.

시인성 관점에서, 제2 폭(W2)에 감사함에 따라, 시인성은 감소할 수 있다. 이는, 제2 폭(W2)이 감소함에 따라, 제1 홀들(H1)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기 때문일 수 있다.In terms of visibility, as the second width W2 is appreciated, the visibility may decrease. This may be because as the second width W2 decreases, the sizes of the first holes H1 gradually decrease.

저항성 관점에서, 제2 폭(W2)이 감소함에 따라, 저항성은 감소할 수 있다. 이는 제1 홀들(H1)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격자 패턴(LT)에서 제1 가지들(BR1)과 제2 가지들(BR)의 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일 수 있다.In terms of resistance, as the second width W2 decreases, the resistance may decrease. This may be because as the number of the first holes H1 increases, the areas of the first branches BR1 and the second branches BR in the grid pattern LT decrease.

결과적으로, 제2 폭(W2)은, 응력 및 시인성 관점에서 작을수록 좋으나, 소정의 저항성을 확보하고, 제조 공정의 용이성, 및 공정 오차 등을 고려하여 소정의 폭 이상일 필요가 있다. 제2 폭(W2)의 범위는 100 ㎛ ~ 250 ㎛ 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 ~ 200 ㎛ 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폭(W2)은 150 ㎛ 일 수 있다.As a result, the smaller the second width W2, the better in terms of stress and visibility, bu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predetermined resistance, an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width in consideration of easines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process errors, and the like. The range of the second width W2 is 100 μm to 250 μm, and preferably 100 μm to 200 μm.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width W2 may be 150 μm.

도 11은 제3 폭(W3)에 따른 응력, 시인성, 저항성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1에서는 제3 폭(W3)이 300 ㎛ 일 때, 응력이 1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1에서 제3 폭(W3)은 0 보다 크고, 제3 폭(W3)이 0 일 때의 응력, 시인성, 저항성은 정의되지 않는다.11 illustrates changes in stress, visibility, and resistance according to the third width W3 . In FIG. 11 , it is assumed that the stress is 1 when the third width W3 is 300 μm. In FIG. 11 , the third width W3 is greater than zero, and stress, visibility, and resistance when the third width W3 is zero are not defined.

도 7a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응력 관점에서, 제3 폭(W3)이 감소함에 따라, 응력은 감소할 수 있다. 이는, 제1 가지들(BR1)이 제1 방향(DR1)으로 얇아짐에 따라 격자 패턴(LT)의 변형이 용이해지고, 작용하는 응력이 제1 가지들(BR1)에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일 수 있다.7A and 11 , in terms of stress, as the third width W3 decreases, the stress may decrease. This may be because, as the first branches BR1 become thinn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grid pattern LT is easily deformed, and the applied stress is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first branches BR1 . have.

시인성 관점에서, 제3 폭(W3)이 증가함에 따라, 시인성은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제1 가지(BR1)에 의해 차단되는 외부 광의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일 수 있다.In terms of visibility, as the third width W3 increases, visibility may increase. This may be because a ratio of external light blocked by the first branch BR1 increases.

저항성 관점에서, 제3 폭(W3)이 증가함에 따라, 저항성은 감소할 수 있다. 이는, 제1 가지(BR1)가 제1 방향(DR1)으로 얇아짐에 따라 격자 패턴(LT)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격자 패턴(LT)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일 수 있다.In terms of resistance, as the third width W3 increases, the resistance may decrease. This may be because, as the first branch BR1 becomes thinn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 a crack or a breakage of the grid pattern LT occurs in the grid pattern LT.

결과적으로, 제3 폭(W3)은 응력 관점에서는 작아질수록 좋으나, 시인성 및 저항성 관점, 공정 상의 오차 등을 고려하여 소정의 폭 이상일 필요가 있다. 제3 폭(W3)의 범위는 100 ㎛ ~ 2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93 ㎛ ~ 180 ㎛ 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폭(W3)은 100 ㎛일 수 있다.As a result, the third width W3 is better as it becomes smaller in terms of stress, but needs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width in consideration of visibility and resistance, errors in processing, and the like. The range of the third width W3 is 100 μm to 200 μm, and preferably 93 μm to 180 μm.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width W3 may be 100 μm.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격자 패턴(LT)의 제1 내지 제3 폭(W1, W2, W3)은 전술한 수치 범위 내의 값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범위들은 폴더블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에 적합한 격자 패턴(LT)의 연신 특성 및 내구성을 고려한 실험 데이터를 통해 도출된 범위이다. 이에 따라, 제1 지지층(SUP1, 도 2 참조)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적합한 연신 특성을 가지면서도, 반복되는 폴딩 과정 및 언폴딩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적절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widths W1 , W2 , and W3 of the grid pattern LT may be within the aforementioned numerical range. These numerical ranges are ranges derived from experimental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elongation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of the grid pattern LT suitable for the foldable display device (DD, see FIG. 1 ).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layer SUP1 (refer to FIG. 2 ) may have an elongation characteristic suitable for a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ay have adequate durability so as not to be damaged during repeated folding and unfolding processes.

도 12는 도 7a에 도시된 격자 패턴과 다른 형상을 갖는 격자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을 위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id pattern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grid pattern illustrated in FIG. 7A. In FIG. 12,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nd the configuration with a difference will be mainly described in detail.

도 12를 참조하면, 격자 패턴(LT-1)에는 복수 개의 제1 홀들(H1) 및 복수 개의 제2 홀들(H2)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홀들(H2)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되는 제2 홀들(H2)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인접한 제1 홀들(H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되는 제2 홀들(H2)은 제1 가지들(BR1-1)에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a plurality of first holes H1 and a plurality of second holes H2 may be defined in the grid pattern LT-1. The second holes H2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 In detail, the second holes H2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es H1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 The second holes H2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defined in the first branches BR1-1.

본 실시 예에서 제1 가지(BR1-1)의 제1 방향(DR1)으로의 제6 폭(W6)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의 제3 폭(W3, 도 7 참조)보다 클 수 있다. 제6 폭(W6)은 제1 홀(H1)의 제2 폭(W2)보다 클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ixth width W6 of the first branch BR1-1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greater than the third width W3 (refer to FIG. 7 ) in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 The sixth width W6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width W2 of the first hole H1 .

제2 홀들(H2)은 제2 방향(DR2)으로 제7 폭(W7)을 가질 수 있다. 제7 폭(W7)은 제1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 폭(W7)은 2000 ㎛ 보다는 같거나 크고, 제1 폭(W1) 보다는 작을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인접한 제2 홀들(H2) 사이의 거리는 제1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The second holes H2 may have a seventh width W7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seventh width W7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W1 . For example, the seventh width W7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2000 μm and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W1 .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holes H2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W1 .

제2 홀들(H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인접한 제2 홀들(H2)의 중심점들은, 제2 방향(DR2)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holes H2 may b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first direction DR1 . For example, center points of the second holes H2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결과적으로, 격자 패턴(LT-1)에서 제1 홀들(H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고, 제2 홀들(H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격자 패턴(LT-1)에는 제2 방향(DR2)으로의 폭이 서로 다른 제1 홀들(H1)과 제2 홀들(H2)이 비대칭적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격자 패턴(LT-1)은 폴더블 표시 장치(DD)에 적합한 연신 특성을 가질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grid pattern LT-1, the first holes H1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holes H2 ar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can be As such, since the first holes H1 and the second holes H2 having different widths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re asymmetrically arranged in the grid pattern LT-1, the grid pattern LT-1 may have a stretching characteristic suitable for the foldable display device DD.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격자 패턴(LT-1)의 제1 가지(BR1-1)의 제6 폭(W6)이 제1 홀(H1)의 제2 폭(W2)보다 크게 설계되어 격자 패턴(LT-1)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xth width W6 of the first branch BR1-1 of the grid pattern LT-1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width W2 of the first hole H1, so that the grid pattern ( The durability of LT-1) can be improved.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will be able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DD: 표시 장치 DM: 표시 모듈
NFA1: 제1 비폴딩 영역 NFA2: 제2 비폴딩 영역
FA: 폴딩 영역 FX: 폴딩축
SUP1: 제1 지지층 SCV: 서브 커버층
SUP2: 제2 지지층 LT: 격자 패턴
H1: 제1 홀 PP1: 제1 부분
PP2: 제2 부분
DD: display unit DM: display module
NFA1: first non-folding area NFA2: second non-folding area
FA: Folding area FX: Folding axis
SUP1: first support layer SCV: sub-cover layer
SUP2: second support layer LT: grid pattern
H1: first hole PP1: first part
PP2: second part

Claims (18)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비폴딩 영역, 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에 중첩하는 복수 개의 제1 홀들 및 복수 개의 제2 홀들이 정의된 격자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들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홀들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홀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홀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2 홀들 각각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a display module including a first non-folding area, a folding area, and a second non-folding area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support layer disposed under the display module and including a lattice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holes and a plurality of second holes overlapping the folding area are defined;
The first holes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holes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each of the first holes has a first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width in the first direction;
A width of each of the second holes in the second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층의 단부는 표시 모듈의 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nd of the first support layer protrudes outward than an end of the display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의 범위는 2000 ㎛ ~ 9000 ㎛ 이고, 상기 제2 폭의 범위는 100 ㎛ ~ 250 ㎛ 인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ange of the first width is 2000 μm to 9000 μm, and the range of the second width is 100 μm to 250 μ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1 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1 가지들;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1 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2 가지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rid pattern is
a plurality of first branches disposed between first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nd a plurality of second branches disposed between first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가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제3 폭을 갖고,
상기 제3 폭의 범위는 100 ㎛ ~ 200 ㎛ 인 표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 first branch has a third width in the first direction,
The range of the third width is 100 μm to 200 μ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제4 폭을 갖고,
상기 제4 폭의 범위는 121 ㎛ ~ 200 ㎛ 인 표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branch has a fourth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ourth width is in a range of 121 μm to 200 μ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은 5350 ㎛이고, 상기 제2 폭은 150 ㎛이며, 상기 제3 폭은 100 ㎛ 인 표시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width is 5350 μm, the second width is 150 μm, and the third width is 100 μ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가지의 단면은 육각형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viewed from the second direction, a cross-section of the first branch has a hexagonal shap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가지의 상면 및 하면의 폭들은 서로 같고, 상기 제1 가지의 상면의 폭은 상기 제1 가지의 중심 부분의 폭으로 정의되는 제3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viewed from the second direction, the widths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ranch are equal to each other, and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ranch is smaller than a third width defined by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ranch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층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upport layer includes a metal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층은,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격자 패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격자 패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upport layer,
a first portion disposed under the first non-folding area and extending from the grid pattern in the first direction; and
and a second portion disposed under the second non-folding area and extending from the grid pattern in the first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홀들의 중심점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Center points of the first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층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지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층은,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중첩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upport layer disposed under the first support layer,
The second support layer,
a first plate overlapping the first non-folding area; and
and a second plate overlapping the second non-folding area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ate in the first direc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층과 상기 제2 지지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층과 일체로 폴딩되거나 언폴딩되는 서브 커버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sub-cover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layer and the second support layer and folded or unfold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upport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이 폴딩축을 중심으로 폴딩될 때,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상면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상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인폴딩 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folding area is folded around a folding axis, the display module is infolded such that a top surface of the first non-folding area and a top surface of the second non-folding area face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1 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1 가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지들 각각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홀들이 정의되고,
상기 제1 가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2 폭보다 큰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rid patter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branches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Second holes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are defined in each of the first branches,
A width of the first branch in the first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second width.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상기 제2 홀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2 홀들의 중심점들은,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center points of the second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r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rection.
KR1020200023759A 2020-02-14 2020-02-26 Display device KR1023566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14,141 US11503727B2 (en) 2020-02-14 2020-12-07 Display device
EP23165555.6A EP4220349A1 (en) 2020-02-14 2021-01-11 Display device
EP21150856.9A EP3865971B1 (en) 2020-02-14 2021-01-11 Display device
CN202110097336.4A CN113270028A (en) 2020-02-14 2021-01-25 Display device
KR1020220010129A KR102492524B1 (en) 2020-02-14 2022-01-24 Display device
KR1020220010123A KR102490741B1 (en) 2020-02-14 2022-01-24 Display device
US17/979,770 US11956910B2 (en) 2020-02-14 2022-11-03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18529 2020-02-14
KR1020200018529 2020-02-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123A Division KR102490741B1 (en) 2020-02-14 2022-01-24 Display device
KR1020220010129A Division KR102492524B1 (en) 2020-02-14 2022-01-24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508A KR20210104508A (en) 2021-08-25
KR102356652B1 true KR102356652B1 (en) 2022-02-03

Family

ID=774953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759A KR102356652B1 (en) 2020-02-14 2020-02-26 Display device
KR1020230007833A KR102630208B1 (en) 2020-02-14 2023-01-19 Display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833A KR102630208B1 (en) 2020-02-14 2023-01-19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66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953A1 (en) * 2022-10-27 2024-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482A (en) 2020-05-26 2021-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917B1 (en) * 2014-08-06 2021-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102506631B1 (en) * 2015-06-08 2023-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578589B1 (en) * 2016-09-30 2023-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953A1 (en) * 2022-10-27 2024-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894A (en) 2023-02-09
KR102630208B1 (en) 2024-01-30
KR20210104508A (en)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0741B1 (en) Display device
KR102630208B1 (en) Display device
CN215679903U (en) Display device
KR20220001038A (en) Display device
KR20210104193A (en) Display device
KR20220006672A (en) Winddow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it
KR20220007751A (en) Display device
CN114080134A (en) Electronic device
CN113270030A (en) Display device
KR20220021995A (en) Release film
KR20220003688A (en) Display device
CN217655639U (en) Display device
US11177458B2 (en) Display device having shock absorbing layer
CN115148096A (en) Display device
KR20230025598A (en) Display device
KR20220105690A (en) Display device
KR20220068304A (en) Electronic device
CN218497723U (en) Display device
CN218996262U (en) Display device
KR20210104512A (en) Electronic device
CN117935676A (en) Display device
CN117746734A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CN117789597A (en) Display module and method for attaching a display module and a window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