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195B1 -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195B1
KR102355195B1 KR1020200125061A KR20200125061A KR102355195B1 KR 102355195 B1 KR102355195 B1 KR 102355195B1 KR 1020200125061 A KR1020200125061 A KR 1020200125061A KR 20200125061 A KR20200125061 A KR 20200125061A KR 102355195 B1 KR102355195 B1 KR 102355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er
advertisement
recognition means
layers
bill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식
윤성진
박상천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5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판을 보는 소비자들의 상태에 따라 소비자가 보다 광고에 집중할 수 있도록 광고를 출력할 수 있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레이어를 조합하여 생성된 광고를 출력하는 광고판, 카메라를 포함하여, 상기 광고판을 기준으로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를 인식하는 인식수단 및 상기 인식수단에서 인식한 상기 소비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고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레이어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Layered digital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주제 중 하나인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산업에 접목하는 것이 사회, 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으며 광고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거리에서 마케팅 및 광고에 활용되는 전자 정보 표시 도구인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는 포스터를 대체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옥외광고판으로써 공공장소에서 광고 및 정보전달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해오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이다. 최근 디지털 사이니지는 단순히 포스터와 광고영상을 출력할 뿐 아니라, 얼굴 인식과 같은 일부 기술이 적용되어 새로운 미디어로써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디스플레이와 연산이 가능한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지만, 디지털 사이니지는 단순히 중앙관제센터의 제어장치로부터 광고 교체 명령을 받고 예정된 순서로 이용한 포스터 또는 영상을 송출하는데 그치는 방식이었다. 즉, 디지털 사이니지를 보는 사람들과의 쌍방향 소통이 아닌, 단방향 소통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3958호("지능형 디지털 사이니지 관리 시스템, 공개일 2020.08.0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목적은, 광고판을 보는 소비자들의 상태에 따라 소비자가 보다 광고에 집중할 수 있도록 광고를 출력할 수 있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는, 다수개의 레이어를 조합하여 생성된 광고를 출력하는 광고판, 카메라를 포함하여, 상기 광고판을 기준으로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를 인식하는 인식수단 및 상기 인식수단에서 인식한 상기 소비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고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레이어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광고판과 인식된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측정된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측정된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확대하고,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축소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측정된 상기 소비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상기 소비자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판을 기준으로 기준 거리에 소비자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광고를 기본설정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안면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안면영역의 면적을 이용해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수단에 포함되는 카메라는 하나 또는 복수개로, 상기 인식수단은 스테레오 비전기법을 이용해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상기 카메라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수단은, 라이다 또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안면영역과 상기 소비자의 안구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인식된 상기 소비자의 안구의 면적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자가 안구를 찡그리면,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확대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자가 안구를 찡그린 후 풀면, 확대했던 레이어의 확대를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안면 방향을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자의 안면 방향이 상기 광고판의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 광고를 기본설정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고판 및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광고판 및 주변의 조도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또는 투명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광고판의 영역별 조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판의 영역별 조도가 서로 다를 경우,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에 의하면, 인식수단에서 인식한 광고판과 소비자 사이의 간격에 따라 광고판에서 출력되는 광고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여 소비자의 시력 및 거리에 따른 광고 시청의 한계를 일부 극복할 수 있고,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광고와 소비자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와 광고판 사이의 거리에 따라 광고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레이어들 중, 광고의 주체가 강조하고 싶은 레이어들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여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러한 레이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형을 이용해 광고 주체가 특정 기획을 해당 광고에 포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의 안구의 상태에 따라 광고에 포함되는 레이어들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여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광원이 광고판을 비춰 가시성이 저하되더라도 레이어들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여 가시성 저하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를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고판에서 출력되는 다수개의 레이어가 조합된 형태의 광고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광고판과 소비자 사이 간격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광고판과 소비자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인식수단에서 소비자의 안면 중 안구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에서 소비자의 안구영역 상태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광고판의 영역별 조도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는 광고판(100), 인식수단(200)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판(100)은 디지털 방식으로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즉, 광고판(100)은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더 포함되는 서버로부터 광고를 수신해 출력할 수 있다. 광고판(100)은 서버로부터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별도의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광고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과, 광고에 소리 또는 음성이 포함될 경우 이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고판(100)은 벽면, 기둥 및 기타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는 다수개의 레이어가 조합된 형태의 광고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고판에서 출력되는 다수개의 레이어가 조합된 형태의 광고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고판에서 출력되는 광고는 배경 레이어(11), 강조 레이어(12) 및 텍스트 레이어(13)가 조합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일 수 있다. 배경 레이어(11), 강조 레이어(12) 및 텍스트 레이어(13)들은 출력되는 우선순위가 있을 수 있으며,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전면에 출력되고, 우선순위가 낮을수록 후면에 출력될 수 있다. 단, 상술한 레이어별 우선순위는 일예일 뿐이며, 광고물 제작자가 의도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하여 우선순위는 특정 조건이나 임의로 변경 또는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광고에서는, 강조 레이어(12)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배경 레이어(11)가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져, 각각의 레이어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있을 경우,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레이어가 우선적으로 출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수단(200)은 카메라를 포함하여, 광고판(100)과 함께 설치되거나, 광고판(100)과 분리되어 설치되되, 광고판(100) 인근에 설치될 수 있다. 인식수단(200)에 포함되는 카메라는 하나 또는 복수개일 수 있고, 인식수단(200)은 카메라 외에도 각종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 1a에 도시된 형태는 광고판(100)과 인식수단(200)이 함께 일체화되어 설치된 경우고, 도 1b에 도시된 형태는 광고판(100)과 인식수단(200)이 서로 별개로 분리되어 설치되되, 인식수단(200)은 광고판(100)이 설치된 공간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된 형태이며, 도 1c에 도시된 형태는 인식수단(200)이 광고판(100)과 동일한 구조물에 설치되되, 광고판(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형태이다.
인식수단(200)은 카메라와 센서 등을 이용해, 광고판(100)을 기준으로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소비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인식수단(200)이 소비자를 인식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신체 중 특정 영역을 인식하거나, 소비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인식수단(200)은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여 스테레오 비전 기법을 이용해 광고판(100)과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영상처리 기법을 사용하여 광고판(100)과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카메라 자체가 ToF(Time of Flight) 카메라일 수 있다. ToF 카메라란 3D카메라의 일종으로 적외선을 촬영대상을 향해 발산하고 반사되어 다시 입사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대상물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인식수단(200)은 상기한 카메라 외에도 라이다(LiDAR)나 적외선 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식수단(200)이 영상처리 방식으로 소비자(1)와 광고판(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 또는 추정할 때, 소비자(1)의 안면을 인식하고, 안면면적을 점유하고 있는 픽셀의 개수, 즉 안면의 면적을 이용해 소비자(1)와 광고판(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 또는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인식수단(200)에서 인식한 소비자의 상태에 따라 광고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레이어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크게 광고판(100)과 소비자 사이의 간격을 이용해 광고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레이어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소비자의 안면을 인식하고, 안면 중 안구의 움직임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수개의 레이어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때, 제어부는 레이어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거나, 레이어 자체를 다른 레이어로 교체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가 특정 레이어의 출력형태를 변경한다는 것은, 가로세로비율을 무시하고, 가로방향의 확대/축소 비율을 세로방향의 확대/축소 비율과 다르게 하던지, 레이어에 포함되는 객체의 형태 자체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어부에서 광고판(100)과 소비자 사이의 간격을 이용해 다수개의 레이어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광고판과 소비자 사이 간격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이다.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레이어들은 원본 비율을 가지고 있으며, 도 3e에 도시된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가 원본 비율의 광고이다. 도 3e에 도시된 원본 비율의 광고를 기본설정이라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의 전면에서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할 경우, 제어부는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는 광고판(100)에서 소비자(1)가 멀게 위치했을 때, 시각적 한계로 인하여 소비자(1)가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를 쉽게 인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어부는 광고판(100)에서 소비자(1)가 멀게 위치할 때, 광고에 포함되는 레이어들 전체를 동일한 비율로 확대하여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몇몇의 레이어만을 확대하여 출력하거나, 각각의 레이어들의 확대 비율을 서로 달리함으로써, 광고의 주체가 강조하고 싶은 내용만을 강조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도 3e에 도시된 원본 비율의 광고보다, 배경 레이어(11), 강조 레이어(12) 및 텍스트 레이어(13)는 모두가 확대되어 출력되지만, 강조 레이어(12)와 텍스트 레이어(13)가 배경 레이어(11)보다 더 확대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배경 레이어(11)에 포함되는 이미지 또는 객체보다 강조 레이어(12)와 텍스트 레이어(13)에 포함되는 이미지 또는 객체가 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제어부는 도 3b 및 도 3c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에 근접할수록 도 3a와 같이 확대 출력했던 각각의 레이어들을 원본비율에 가깝게 출력할 수 있으며, 도 3d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 근처를 벗어난 경우, 각각의 레이어들을 원본비율인 기본설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소비자(1)가 광고판(100)의 근처를 벗어나 확대되었던 레이어를 원본비율인 기본설정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경우에는, 변경되는 과정 자체를 애니메이션 형태로 점진적으로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1)와 광고판(100) 사이의 간격에 따라 특정 레이어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방식은 소비자(1)가 광고판(100)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하더라도, 소비자(1)에게 효율적으로 광고를 송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전체 레이어들 중 특정 레이어만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출력함으로써, 광고의 주체가 광고하고 싶어 하는 품목을 강조하거나, 광고의 주체가 특정 이벤트 또는 기획을 광고에 삽입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광고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특정 레이어를 확대하여 출력하는 방식은 일예에 불과하며, 소비자(1)와 광고판(100) 사이의 간격의 변화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일예로, 강조 레이어(12)가 조립된 특정 제품을 출력하는 경우, 소비자(1)가 광고판(100)에 가까이 갔을 때, 강조 레이어(12)를 변경하여 조립된 특정 제품의 분해도를 보여주거나, 해당 제품의 특장점을 강조하기 위해 특정 부분의 밝기를 향상시키거나, 특정 부분 또는 레이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등의 실시예 또한 있을 수 있으며, 소비자(1)와 광고판(100) 사이의 간격의 변화에 따라, 특정 레이어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등의 실시예 또한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광고판과 소비자의 상대적 위치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이다.
인식수단(200)은 소비자(1)의 위치를 측정하면서, 광고판(100)과 소비자(1)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의 전면에서 왼쪽으로 벗어났을 경우, 제어부는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왼쪽으로 이동시켜, 광고가 소비자(1)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배경 레이어(11), 강조 레이어(12) 및 텍스트 레이어(13)들 각각이 이동하는 정도를 달리 제어하여, 특정 레이어를 보다 강조하면서, 광고 자체의 입체감을 줄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의 전면에 위치할 경우, 제어부는 각각의 레이어가 기준에 위치하도록 기준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의 전면에서 우측에 위치할 경우, 제어부는 각각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특정 레이어를 보다 강조할 수 있으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을 떠나면, 각각의 레이어가 기준에 위치하도록 기준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 외에도 소비자(1)가 이동하는 방향과 속도에 따라서, 레이어들 각각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광고를 보면서 풍경을 보는듯한 느낌이 들게 할 수 있다. 이때, 각 레이어들의 이동속도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사람이 그려진 강조 레이어(12)는 가장 빠르게, 텍스트 레이어(13)는 중간 속도로, 배경 레이어(11)는 가장 느리게 이동시키거나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인식수단(200)이 소비자의 안면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태에 따라서 광고판(100)에서 광고를 다르게 출력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식수단(200)은 소비자(1)의 안면을 인식하되, 안면 중 안구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소비자(1)는 특정 대상을 볼 때, 잘 보이지 않으면 안구를 찡그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소비자(1)가 안구를 찡그리는 것을 인식하면, 광고에 포함되는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확대하여 출력하여, 소비자(1)가 광고를 보다 잘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인식수단에서 소비자의 안면 중 안구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에서 소비자의 안구영역 상태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이다.
제어부는 광고에 포함되는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확대할 때, 강조하고 싶은 특정 레이어만을 확대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광고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레이어를 확대하는 것 이외에도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는 등의 실시예 또한 있을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소비자(1)가 안구를 찡그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경우, 지속적으로 레이어들을 확대할 수 있다. 단,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의 확대 한계는 설정되어, 일정 기준 이상으로는 레이어들 각각은 확대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는 광고에 포함되는 레이어들이 한계까지 확대되더라도, 소비자(1)가 안구를 찡그리고 있으면, 소정의 안내음성을 출력하여, 소비자(1)가 광고판(100)에 보다 근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소비자(1)가 안구를 찡그린 상태를 풀면,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의 확대를 중단하고, 확대된 상태의 광고를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1)가 광고판(100) 근처에서 벗어나게 되면,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를 기본설정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식수단(200)이 소비자(1)의 안면의 방향 또한 인식할 수 있다. 소비자(1)의 안면의 방향은, 인식된 소비자(1)가 현재 광고판(100)에서 출력되고 있는 광고에 관심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인식수단(200)에서 인식된 소비자(1)의 안면의 방향이 광고판(100)을 바라보는 상태를 기준으로, 기준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광고에 포함되는 레이어의 상태를 변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중단하고, 광고를 기본설정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소비자(1)가 광고판(100)을 기준으로 하는 기준범위를 벗어나거나, 소비자(1)의 안면 방햐잉 광고판(100)에서 벗어나 관심이 없다고 판단되어 광고판(100)에서 출력되는 광고를 기본설정으로 출력하도록 변경할 경우, 급격히 기본설정으로 변경되지 않고, 점진적으로 변경되도록 애니메이션 효과를 삽입하여, 보다 자연스럽고 매끄럽게 광고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서, 인식수단(200)에서 광고판(100) 주변의 소비자를 적어도 둘 이상 인식했을 경우, 소정 기준에 따라 어느 하나의 소비자만을 기준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소정 기준은, 광고판(100)에서 가까운 소비자를 기준으로 해, 광고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등의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광고판(100)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이내에서 한 명의 소비자만이 인식되었다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광고판(100)과 소비자 사이의 거리에 따른 광고의 확대 기능이 동작하고, 광고판(100)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이내에서 두 명 이상의 소비자가 인식되었다면, 안구의 찡그림에 따른 광고의 확대 기능이 동작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에서는 소비자별로 확대되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별도의 저장장치를 포함하여, 광고판(100)을 바라본 소비자(1)의 안면을 인식하여, 해당 소비자의 생김새와, 해당 소비자의 거리 또는 안면의 상태에 따른 확대비율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장치에 저장된 소비자의 생김새와 동일한 소비자가 광고판(100)을 바라보면, 제어부는 저장된 확대비율에 따라 광고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에서 조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도센서는 광고판(100)과 그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제어부는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광고판(100)과 그 주변의 조도에 따라 광고에 포함되는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또는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조도센서는 광고판(100)의 영역별 조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광고판(100)의 영역별 조도에 따라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또는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의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광고판의 영역별 조도에 따른 광고의 출력예이다.
도 7에서 조도센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광고판(100)의 주변에 설치되거나, 광고판(100)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광고판(100)과 그 주변의 조도를 측정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판(100)의 특정 영역만 외부광원(20)에 의해 밝아 색조가 달라질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레이어(13)와 같이 특정 레이어만을 외부광원(20)의 영향을 덜 받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광원(20)이 광고판(100)의 일부 영역만을 비춰 가시성이 떨어질 경우, 해당 영역인 강조 레이어(12)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강조 레이어(12)를 다른 레이어와 합성하거나 레이어 자체를 변경함으로써, 저하되는 가시성을 극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제3실시예에 의한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는 각각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닌,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광고판(100) 주변에서 인식되는 소비자의 상태에 따라 광고판(100)에서 출력하는 광고의 레이어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소비자
11 : 배경 레이어
12 : 강조 레이어
13 : 텍스트 레이어
20 : 외부광원
100 : 광고판
200 : 인식수단

Claims (14)

  1. 다수개의 레이어를 조합하여 생성된 광고를 출력하는 광고판;
    카메라를 포함하여, 상기 광고판을 기준으로 기준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를 인식하는 인식수단; 및
    상기 인식수단에서 인식한 상기 소비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고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레이어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안면영역과 상기 소비자의 안구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인식된 상기 소비자의 안구의 면적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자가 안구를 찡그리면,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확대해 출력하되, 상기 레이어의 확대는 한계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광고판과 인식된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측정된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투명도, 크기 또는 출력형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측정된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확대하고,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축소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수단에서 측정된 상기 소비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상기 소비자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판을 기준으로 기준 거리에 소비자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광고를 기본설정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안면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안면영역의 면적을 이용해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에 포함되는 카메라는 복수개로, 상기 인식수단은 스테레오 비전기법을 이용해 상기 광고판과 상기 소비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상기 카메라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라이다 또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자가 안구를 찡그린 후 풀면, 확대했던 레이어의 확대를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소비자의 안면 방향을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자의 안면 방향이 상기 광고판의 영역을 벗어나면, 상기 광고를 기본설정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판 및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광고판 및 주변의 조도에 따라,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밝기, 색상 또는 투명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센서는, 상기 광고판의 영역별 조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판의 영역별 조도가 서로 다를 경우, 상기 다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KR1020200125061A 2020-09-25 2020-09-25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KR102355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061A KR102355195B1 (ko) 2020-09-25 2020-09-25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061A KR102355195B1 (ko) 2020-09-25 2020-09-25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195B1 true KR102355195B1 (ko) 2022-02-07

Family

ID=8025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061A KR102355195B1 (ko) 2020-09-25 2020-09-25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458A1 (ko) * 2022-09-15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웹페이지를 적응적으로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022B1 (ko) * 2004-05-13 2006-11-2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상황인지형 화상 채팅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598706B1 (ko) * 2014-08-14 2016-02-2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배경 그래픽의 입체적 표시를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31346B1 (ko) * 2010-11-12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화면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KR20180061835A (ko) * 2016-11-30 2018-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홍채 인식을 위한 이미지 표시 방법
KR20200093958A (ko) 2019-01-29 2020-08-06 민경진 지능형 디지털 사이니지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022B1 (ko) * 2004-05-13 2006-11-2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상황인지형 화상 채팅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731346B1 (ko) * 2010-11-12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화면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KR101598706B1 (ko) * 2014-08-14 2016-02-29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배경 그래픽의 입체적 표시를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61835A (ko) * 2016-11-30 2018-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홍채 인식을 위한 이미지 표시 방법
KR20200093958A (ko) 2019-01-29 2020-08-06 민경진 지능형 디지털 사이니지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458A1 (ko) * 2022-09-15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웹페이지를 적응적으로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66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integrating sensory content
US6559813B1 (en) Selective real image obstruction in a virtual reality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RU2541936C2 (ru) Система трехмерного отображения
US958196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nd using simulated 3D images
JP2007526501A (ja) 動的メッセージ位置変更のあるメッセージボード
US20110134146A1 (en) Interactive display method
US201102279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off-screen mask space to provide enhanced viewing
Sandnes et al. Head-mounted augmented reality displays on the cheap: a DIY approach to sketching and prototyping low-vision assistive technologies
CN109426767A (zh) 眼线描绘指引装置及其方法
CN105518569A (zh) 具备受观看方向控制的摇摄功能的视频显示器
KR20190108226A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5195B1 (ko) 레이어가 구분된 디지털 광고 출력장치
TW202205176A (zh) 用於在現實場景中疊加直播人物影像的方法和電子設備
JP2015079201A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方法、及び投射型映像表示装置
US10873735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and displaying object, and object identifying method thereof
US11205405B2 (en) Content arrangements on mirrored displays
KR102484840B1 (ko) 실감형 가상 전시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5446579A (zh) 一种控制方法及便携式电子设备
KR20190108466A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US11423621B1 (en) Adaptive rendering in artificial reality environments
KR102354439B1 (ko) 타겟 적응형 광고판
WO2020219379A1 (en) Generating a semantic construction of a physical setting
US20140329208A1 (en) Computer-implemented communication assistant for the hearing-impaired
KR102574041B1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N113814998B (zh) 一种机器人、播放广告的方法、控制装置以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