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047B1 -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047B1
KR102355047B1 KR1020210031424A KR20210031424A KR102355047B1 KR 102355047 B1 KR102355047 B1 KR 102355047B1 KR 1020210031424 A KR1020210031424 A KR 1020210031424A KR 20210031424 A KR20210031424 A KR 20210031424A KR 102355047 B1 KR102355047 B1 KR 102355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tank
treatment tank
water
wate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원
홍병철
신재원
김광일
정덕영
박나형
Original Assignee
(주)신대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대양 filed Critical (주)신대양
Priority to KR1020210031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마련하여 스컴의 역행을 방지하여 정상적인 처리 방향을 유도하면서 스컴의 사이드 밀집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스컴의 제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스컴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입수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수가 기설정된 수위까지 유지되도록 수용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일측에서 수면을 향하여 송풍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수로부터 부상하는 부유물질이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이송블로워; 및 상기 처리조의 내부공간에서 독립된 수용공간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처리조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블로워에 의해 수면상에서 이동하는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스컴탱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Scum Removal System Using Wind-type Slope Skimmer}
본 발명은 스컴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마련하여 스컴의 역행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처리 방향을 유도하면서 스컴의 사이드 밀집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스컴의 제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스컴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하, 폐수를 정화하도록 하는 하수 및 폐수 처리장의 처리장치는 지금까지 여러 종류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하, 폐수 처리 방법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처리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 폐수가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면 제일 먼저 하수 내에 포함된 모래와 자갈 및 나무토막, 깡통 등 비교적 부피가 큰 물질을 침사지에서 제거한다. 침사지를 거친 하수는 유량조정조에서 균일하게 혼합되고, 또한 하수유입의 증감에 따른 유량부하의 완충을 하며, 일정량씩 최초침전조로 이송함으로써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하수처리에 적정환경을 유지하게 된다.
유량조정조에서 일정량씩 이송된 하수는 최초 침전조에서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물질층과 가벼운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최초 침전조에서 침전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하수 속의 오염물질은 폭기조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며, 미생물과 오염물은 플럭을 형성하여 다음 공정인 최종 침전조에서 가라앉게 된다.
폭기조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형성된 플럭은 최종 침전조에서 다시 침전되며 최초 침전조와는 달리 맑은 상등수를 얻게 되며 하천으로 방류된다. 이와 같이, 하, 폐수가 몇 단계로 처리되는 하수처리장에는 유입되는 하, 폐수가 계속해서 흐르는 상태로 처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침전조의 수면에는 많은 스컴 부유물이 발생한다
상기 스컴은 원수의 수면위로 부상하는 슬러지 덩어리 형태의 부유물인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층을 형성하며 쉽게 경화되어 수로의 유체 이동을 방해한다.
이러한 스컴의 분리 및 제거를 위해 종래 하, 폐수 처리시설이나 정수장 등에서 스컴제거장치가 설치되어 유입수에 포함된 스컴을 제거시키도록 한다.
스컴제거장치는 일반적인 방식으로서 전폭(full-length) 스크래퍼나 회전식 스크래퍼와 같은 장치를 부상조 상부 일측 또는 상부 전체에 구비하여 부상된 스컴을 긁어 내어 부상조 상부 일측에 마련되는 슬러지 저장조에 수집하는 기계식 장치가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1532272호(2015.06.23.등록, '스컴 및 부유물질 제거 장치 및 스컴 및 부유물질 제거 방법')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부상조 혹은 별도의 수조 수면 위로 부상되는 스컴이 일정한 격벽(weir)을 넘치게 되면서 슬러지 저장조로 수집되는 월류식 혹은 수류식 장치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 스크래퍼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의 경우 수면의 스컴이 저장조의 사이드로 몰리거나 스크래퍼에 의해 밀려서 오히려 위로 올라가게 되는 역행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스컴 배출구측으로 원활한 이동에 방해가 됨으로써 스컴의 포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크래퍼가 스컴 배출구 직전까지 밀어주지 못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스컴이 하단에 집중 밀집되어 한번에 스컴 배출구로 유입 시 과포화되어 후단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32272호(2015.06.23.)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마련하여 스컴의 역행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처리 방향을 유도하면서 스컴의 사이드 밀집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스컴의 제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스컴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 칭함)는, 유입수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수가 기설정된 수위까지 유지되도록 수용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일측에서 수면을 향하여 송풍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수로부터 부상하는 부유물질이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이송블로워; 및 상기 처리조의 내부공간에서 독립된 수용공간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처리조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블로워에 의해 수면상에서 이동하는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스컴탱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스컴탱크의 수용공간을 구성하는 측벽은 상기 처리조의 수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고, 상기 처리조의 수면에서 상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는 경사컨베이어에 의해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경사컨베이어는, 평면을 이루면서 상기 처리조의 수면에 인접하도록 수중에 설치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타단에서 상향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치되고 끝단이 상기 스컴탱크의 일측 측벽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경사부 및 상기 평면부와 경사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궤도운동하고 복수의 제 1통공이 형성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경사컨베이어는, 상기 스컴탱크의 일 측벽 상단에서 상기 경사부의 끝단에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외주연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의 브러쉬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궤도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벨트에 부착된 부유물질이 탈리되게 하는 탈리드럼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평면부의 양측방에서 상기 처리조의 일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배치되고 끝단이 상기 처리조의 양 내측벽에 각각 부착되며, 상부의 일부가 상기 처리조의 수면 위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유도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스컴탱크는, 타측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면서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절곡되는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통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경사컨베이어에는 복수의 제 1통공이 형성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컴탱크의 상부로서 상기 이송벨트 하부에는 외주연을 따라 유류흡착패드가 장착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궤도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벨트에 부착된 유류가 흡착되게 하는 유류탈리드럼이 구성되고, 상기 스컴탱크의 상부로서 상기 이송벨트 하부에는 외주연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의 브러쉬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궤도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부러쉬부재가 상기 제 1통공에 삽입되도록 하여 이송벨트에 부착된 부유물질이 탈리되게 하는 탈리드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유류탈리드럼에는 축에 장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어 유류흡착패드로부터 흡착된 유류를 탈리시키는 탈리판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마련하여 종래 기계식 블레이드를 이용한 스컴 제거 장치가 가지는 스컴의 역행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처리 방향을 유도하면서 스컴의 사이드 밀집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스컴의 제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격벽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도격벽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유입수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수가 기설정된 수위까지 유지되도록 수용하는 처리조(10)와, 상기 처리조(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수면(A)상에서 부유하는 부유물질이 포집되게 하는 경사스키머 및 상기 경사스키머에 의해 포집되는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스컴탱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유물질은 수처리 과정 중 발생하는 통상의 스컴과 자유상 유류 성분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처리조(10)는 수처리의 일 공정에 적용되는 침전조일 수 있으며, 일측에 유입구(100)와 타측에 배출구(110)가 각각 마련되어 선행 수처리 공정에서 배출되는 유입수가 유입되고 침전 공정을 거친 상등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침전조(10)의 구조와 그 처리 과정은 공지의 다양한 선행기술들을 적용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경사스키머는 처리조(10)의 수면(A) 상에 부유하는 부유물질을 처리조(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블로워(20)와, 상기 이송블로워(20)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되는 부유물질을 상기 스컴탱크(30)로 이송 및 유입되게 하는 경사컨베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블로워(20)는 상기 처리조(10)의 일측에서 수면(A)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에어를 수면(A)의 전체 영역으로 토출함으로써 수면(A)상에서 부유하는 부유물질들이 처리조(1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블로워(20)의 에어 토출은 부유물질의 제거 과정 중 연속적으로 실시되게 하여 부유물질의 정상적인 이동 방향을 유도하면서 역행을 방지 한다.
상기 이송블로워(20)의 경우 송풍 기능을 가지는 공지의 다양한 송풍기기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 및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스컴탱크(30)는 상기 처리조(10)의 내부공간에서 독립된 수용공간(300)을 갖도록 마련되되, 상기 처리조(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블로워(20)에 의해 수면(A)상에서 이동하는 부유물질이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스컴탱크(30)는 상기 처리조(10)의 내부에서 수면(A)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측벽(31, 32)과, 이들 한 쌍의 측벽(31, 32) 간 하부를 연결하는 하나의 하부벽(미도시)에 의해 수용공간(300)이 구성되는 것으로, 이때 한 쌍의 측벽(31, 32)은 상기 처리조(10)의 수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어 수용공간(300)으로 한번 유입된 부유물질들이 배출되지 않게 하면서도 처리조(10) 내의 유입수가 월류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스컴탱크(3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개폐구가 마련되어 수용공간(300)으로 유입된 부유물질의 별도 배출이 가능해지게 한다.
또한 상기 스컴탱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측벽(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면서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300)을 향하여 절곡되는 커버판(310)과, 상기 커버판(3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통공(31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컴탱크(30)에는 이송된 부유물질과 함께 일부 유입수가 함께 유입될 수 있는데, 그 유입량이 점차 많아져 부유물질 및 유입수가 측벽의 상단까지 도달하게 될 경우, 상기 커버판(310)에 의해 부유물질의 배출은 최소화시키고 제 2통공(311)을 통해 유입수만이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2통공(311)은 물 입자만이 통과할 수 있는 미세 입경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컨베이어(40)는 상기 처리조(10)의 수면(A)에서 상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스컴탱크(30)로 부유물질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컨베이어(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 설치되는 평면부(400)와 상기 평면부(400)의 타단에서 상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부(410) 및 상기 평면부(400)와 경사부(410) 간을 선회하도록 장착되어 어느 일방향으로 궤도 운동하는 이송벨트(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평면부(400)는 일정 영역의 평면을 이루면서 상기 처리조(10)의 수면(A)에 인접하도록 수중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410)는 상기 평면부(400)의 타단에서 상향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치되고 끝단이 상기 스컴탱크(30)의 일측 측벽(31)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평면부(400)로부터 전달되는 부유물질을 경사면을 따라 상향 이동시키며, 상향 이동된 부유물질이 상기 스컴탱크(30)로 낙하되게 하여 수용공간(300)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경사컨베이어(40)는 선단의 일부가 수면(A)에 가까운 수중에서 평면 영역을 형성한 후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는 바, 수면(A)에 부유하는 부유물질뿐 아니라 수면(A)에서 가까운 수중에 위치하는 미부유물질이 선행적으로 이송벨트(420)의 상부면에 안치되게 한 후 상향 이동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부유물질의 포집이 수행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평면부(400) 및 경사부(410)는 상기 처리조(10)의 내부에서 수면(A)의 폭 방향에 평행하면서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구동롤러(401, 411)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롤러(401, 411)의 외주연에는 상기 이송벨트(420)가 안치된다.
그리고 각 구동롤러(401, 411)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체인 또는 벨트 등을 포함하는 동력 전달수단에 의해 일체 구동될 수 있고, 선택된 하나의 구동롤러(401, 411)에 회전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일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송벨트(420)는 상기 평면부(400)와 경사부(41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401, 411)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평면부(400)와 경사부(410) 간을 궤도 운동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벨트(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통공(4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통공(421) 역시 상기 제 2통공(311)과 마찬가지로 물 입자만이 통과할 수 있는 미세 입경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부유물질의 이송 과정에서 유입수가 함께 이송되어 스컴탱크(30)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물 유입에 의한 스컴탱크(30)의 부피 증대를 최소화 한다.
상기 경사컨베이어(40)는 상기 이송벨트(420)에 부착되어 스컴탱크(30)의 수용공간(300)으로 낙하하지 못하는 부유물질이 탈리될 수 있도록 하는 탈리드럼(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리드럼(430)은 상기 스컴탱크(30)의 일 측벽(31) 상단에서 상기 경사부(410)의 끝단에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외주연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의 브러쉬부재(411)가 장착된다.
상기 브러쉬부재(411)의 경우 상기 경사컨베이어(40)의 이송벨트(420)에 밀착될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탈리드럼(430)은 상기 이송벨트(420)의 궤도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이송벨트(420)가 선회하는 과정에서 상기 브러쉬부재(411)가 이송벨트(420)의 표면에 부착된 부유물질을 털어내어 탈리되게 하고 탈리된 부유물질이 하부에 위치하는 스컴탱크(30)의 수용공간(300)으로 낙하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평면부(400)의 양측방에서 상기 처리조(10)의 일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배치되고 끝단이 상기 처리조(10)의 양 내측벽에 각각 부착되며, 상부의 일부가 상기 처리조(10)의 수면 위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유도격벽(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도격벽(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블로워(20)의 송풍에 의해 이송되는 부유물질들이 처리조(10)의 사이드 부분으로 밀집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부유물질이 경사컨베이어(40)의 선단측으로 모일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부유물질의 포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벨트(420)에 침적된 유류 및 스컴을 포함한 부유물질을 스컴탱크(30)로 탈리시켜 부유물질이 처리조(10)로 재유입되는 것을 제어토록 하는 실시예가 더 제시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이송벨트(420)에 복수의 제 1통공(421)이 형성됨은 동일하다. 그런데 제 1통공(421)에 의해 경사컨베이어(42)에는 부유물질이 침적될 수 있는 조건이 더 커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침적된 부유물질로서 스컴 및 유류를 탈리시켜 처리조(10)로 재유입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컴탱크(30)의 상부로서 상기 이송벨트(420) 하부에는 외주연을 따라 유류흡착패드(441)가 장착되며 상기 이송벨트(420)의 궤도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벨트(420)에 부착된 유류가 흡착되게 하는 유류탈리드럼(440)이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유류탈리드럼(440)의 경우도 이송벨트(420)의 회전연동에 연계하여 회전연동을 하는 것으로, 상기 유류흡착패드(441)가 이송벨트(420)에 접하면서 이송벨트(420)에 침적된 유류를 흡착에 의해 이송벨트(420)로부터 탈리시키는 것이다.
상기 유류흡착패드(441)는 다양한 공지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로 폴리에테르 부직포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유류탈리드럼(440)에는 축에 장착되는 지지대(442)와 상기 지지대(442)에 장착되어 유류흡착패드(440)로부터 흡착된 유류를 탈리시키는 탈리판(443)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됨에 의해 유류가 흡착된 유류흡착패드(441)는 회전과정에서 상기 탈리판(443)에 의해 흡착된 유류가 탈리되어 스컴탱크(30)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탈리판(443)에는 친수성코팅층이 도포되도록 하여 상기 탈리판(443)에 의해 탈리된 유류가 탈리판(443)에 침적되는 것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도 탈리드럼(430)이 더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컴탱크(30)의 상부로서 상기 이송벨트(420) 하부에는 외주연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의 브러쉬부재(421)가 장착되며 상기 이송벨트(420)의 궤도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부러쉬부재(421)가 상기 제 1통공(421)에 삽입되도록 하여 이송벨트에 부착된 부유물질(스컴)이 탈리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벨트(420)를 타고 연동하는 부유물질(S1)은 낙하하여 스컴탱크(30)로 유입되며, 이송벨트(420)에 침적된 유류(O)는 유류탈리드럼(440)에 의해 흡착 및 탈리되도록 함으로써 스컴탱크(30)로 유입되고, 이송벨트(420)에 침적된 스컴(S2)은 탈리드럼(430)에 의해 탈리되도록 함으로써 스컴탱크(3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처리조 20 : 이송블로워
30 : 스컴탱크 31 : 일측 측벽
32 : 타측 측벽 40 : 경사컨베이어
50 : 유도격벽 300 : 수용공간
310 : 커버판 311 : 제 2통공
400 : 평면부 410 : 경사부
420 : 이송벨트 421 : 제 1통공
430 : 탈리드럼 431 : 브러쉬부재

Claims (8)

  1. 유입수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수가 기설정된 수위까지 유지되도록 수용하는 처리조;
    상기 처리조의 일측에서 수면을 향하여 송풍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수로부터 부상하는 부유물질이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이송블로워; 및
    상기 처리조의 내부공간에서 독립된 수용공간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처리조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블로워에 의해 수면상에서 이동하는 부유물질이 유입되는 스컴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스컴탱크의 수용공간을 구성하는 측벽은 상기 처리조의 수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고, 상기 처리조의 수면에서 상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는 경사컨베이어에 의해 부유물질이 유입되며,
    상기 경사컨베이어는,
    평면을 이루면서 상기 처리조의 수면에 인접하도록 수중에 설치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타단에서 상향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치되고 끝단이 상기 스컴탱크의 일측 측벽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경사부 및 상기 평면부와 경사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궤도운동하고 복수의 제 1통공이 형성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여,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질 및 수면과 인접한 수중에 위치하는 미부유물질이 선행적으로 이송벨트의 상부면에 안치되게 한 후 상향 이동하며,
    상기 스컴탱크의 상부로서 상기 이송벨트 하부에는 외주연을 따라 유류흡착패드가 장착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궤도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벨트에 부착된 유류가 흡착되게 하는 유류탈리드럼 및 상기 스컴탱크의 상부로서 상기 이송벨트 하부에는 외주연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의 브러쉬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궤도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부러쉬부재가 상기 제 1통공에 삽입되도록 하여 이송벨트에 부착된 부유물질이 탈리되게 하는 탈리드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류탈리드럼에는 축에 장착되는 지지대와, 표면에 친수성코팅층이 도포되고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며 유류흡착패드로부터 흡착된 유류를 탈리시키는 탈리판이 더 구성되어 유류흡착패드의 회전 과정에서 유류흡착패드에 흡착된 유류가 탈리되면서 스컴탱크로 유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의 양측방에서 상기 처리조의 일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배치되고 끝단이 상기 처리조의 양 내측벽에 각각 부착되며, 상부의 일부가 상기 처리조의 수면 위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유도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탱크는,
    타측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면서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여 절곡되는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210031424A 2021-03-10 2021-03-10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 KR102355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424A KR102355047B1 (ko) 2021-03-10 2021-03-10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424A KR102355047B1 (ko) 2021-03-10 2021-03-10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047B1 true KR102355047B1 (ko) 2022-01-24

Family

ID=8005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424A KR102355047B1 (ko) 2021-03-10 2021-03-10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0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026B1 (ko) * 2022-03-11 2022-09-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 광업 잔재물 처리와 연계한 현장 처분 시스템 및 방법
CN115382836A (zh) * 2022-09-06 2022-11-25 安徽金杉粮油食品制造有限公司 一种玉米粒清洗去杂设备
CN116750834A (zh) * 2023-08-21 2023-09-15 山东泉诚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检测功能的污水净化处理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543A (ko) * 2008-08-20 2010-03-03 왕종문 해양 오염 방제장치
KR101532272B1 (ko) 2013-02-07 2015-06-30 홍인규 스컴 및 부유물질 제거 장치 및 스컴 및 부유물질 제거 방법
KR101648938B1 (ko) * 2016-02-25 2016-08-19 주식회사 에싸 3방향 스크린 장치
KR101689142B1 (ko) * 2016-07-19 2016-12-2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승강식 스키머를 갖는 스컴 제거 장치
KR20170010983A (ko) *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지앤씨 부유물 제거장치
KR102128720B1 (ko) * 2019-12-10 2020-07-01 (주)조선내화이엔지 소각로의 부유성 소각재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543A (ko) * 2008-08-20 2010-03-03 왕종문 해양 오염 방제장치
KR101532272B1 (ko) 2013-02-07 2015-06-30 홍인규 스컴 및 부유물질 제거 장치 및 스컴 및 부유물질 제거 방법
KR20170010983A (ko) *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지앤씨 부유물 제거장치
KR101648938B1 (ko) * 2016-02-25 2016-08-19 주식회사 에싸 3방향 스크린 장치
KR101689142B1 (ko) * 2016-07-19 2016-12-23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승강식 스키머를 갖는 스컴 제거 장치
KR102128720B1 (ko) * 2019-12-10 2020-07-01 (주)조선내화이엔지 소각로의 부유성 소각재 배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026B1 (ko) * 2022-03-11 2022-09-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 광업 잔재물 처리와 연계한 현장 처분 시스템 및 방법
CN115382836A (zh) * 2022-09-06 2022-11-25 安徽金杉粮油食品制造有限公司 一种玉米粒清洗去杂设备
CN115382836B (zh) * 2022-09-06 2023-12-01 安徽金杉粮油食品制造有限公司 一种玉米粒清洗去杂设备
CN116750834A (zh) * 2023-08-21 2023-09-15 山东泉诚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检测功能的污水净化处理装置
CN116750834B (zh) * 2023-08-21 2023-10-31 山东泉诚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检测功能的污水净化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047B1 (ko)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
USRE35668E (en) Sludge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70039894A1 (en) Water treatment using magnetic and other field separation technologies
KR101982969B1 (ko) 복합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용 유수분리장치
KR101728525B1 (ko) 하수 처리 장치
KR102355048B1 (ko) 부유물 처리가 향상된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JP2012239944A (ja) 遠心沈殿分離装置
US4721570A (en) RBC with solids contact zone
US3849304A (en) Method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 of wastewater in a unitary apparatus
KR101863695B1 (ko) 슬러지 저발생 고도처리 시스템
US3932273A (en) Method for the primary and secondary treatment of wastewater in a unitary apparatus
JP6914863B2 (ja) 汚水処理システム、及び撹拌装置
US4844800A (en) Apparatus for waste water treatment
JP5270247B2 (ja) 食品加工工場排水処理設備
KR100381901B1 (ko) 접촉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심화 하천수 및 하수,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처리시스템
KR100566057B1 (ko) 오존을 이용한 폐수 여과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23221B1 (ko) 고자력분리기와 스컴제거장치가 부착된 복합오염토양처리 시스템
KR102389010B1 (ko) 고자력을 이용한 중금속오염토양 복합적 처리 시스템
KR200379663Y1 (ko) 원형 주행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JP6191900B1 (ja) 土壌浄化システム及び土壌浄化方法
JP2000117003A (ja) 上下向流濃縮槽
RU221485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ения шлама от воды
KR100642202B1 (ko) 스크롤형 주행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KR200359162Y1 (ko) 오존을 이용한 폐수 여과 처리 시스템
JP3155457B2 (ja) 廃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