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621B1 - Polarizer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larizer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621B1
KR102353621B1 KR1020150012559A KR20150012559A KR102353621B1 KR 102353621 B1 KR102353621 B1 KR 102353621B1 KR 1020150012559 A KR1020150012559 A KR 1020150012559A KR 20150012559 A KR20150012559 A KR 20150012559A KR 102353621 B1 KR102353621 B1 KR 10235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base film
polarizing plate
adhesive layer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5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92542A (en
Inventor
김상재
김광현
조선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2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621B1/en
Publication of KR20160092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5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6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편광판은 기재 필름,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점착층, 점착층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를 포함하되, 기재 필름은 편광자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돌출 영역을 포함한다.A polarizing plat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a base film,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a polarizer protective fil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dhesive layer, and a polariz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wherein the base film protrudes not covered by the polarizer includes area.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OLARIZER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POLARIZER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최근,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을 대체하고 있다.Recently, the display field has developed rapidly, and in response to this, various flat panel display devices with excellent performance of thinness, light we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have been developed, replacing the existing cathode ray tube (CRT). .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 발광 표시장치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such flat panel display devices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etc. are mentioned.

이 중, 액정 디스플레이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는 TFT(Thin Film Transistor) 어레이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봉입된 구조를 취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 패널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편광판이 배치되어 특정 편광의 빛만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Among them, a liquid crystal display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flat panel displays. In general, a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liquid crystal layer is sealed between a TFT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a color filter substrate, and a polarizing plate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respectively, so that light of a specific polarization By passing only the ray, a desired image can be displayed.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표시 패널의 시인측에 편광판을 배치함으로써, 외광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may include a display panel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in general, by disposing a polarizing plate on the viewing side of the display panel, reflection by external light may be prevented.

한편, 표시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비표시 영역, 이른바 베젤(bezel) 영역을 최소화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Meanwhile, a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area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non-display area in which an image is not displayed. Recently, research to minimize the non-display area, a so-called bezel area, is being conducted.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minimizing a non-display area of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외관이 우수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providing a display device having an excellent appearan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기재 필름,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점착층, 점착층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를 포함하되 기재 필름의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의 일부 영역을 분할하는 절단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base film,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a polarizer protective fil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dhesive layer, and a polariz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ncluding; but may include a cutting line dividing a por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또한,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고, 절단 라인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된 홈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lin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form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cut line.

또한, 편광자 보호 필름은 절단 라인에 의해 분할된 제 1편광자 보호 필름 및 제 2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편광자는 절단 라인에 의해 분할된 제 1편광자 및 제 2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may include a first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a second polarizer protective film divided by a cutting line, and the polarizer may include a first polarizer and a second polarizer divided by a cutting line.

또한, 절단 라인은 점착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ting line may divide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adhesive layer.

또한, 점착층은 절단 라인에 의해 분할된 제 1점착층 및 제 2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divided by a cutting line.

또한, 기재 필름의 타면에 배치된 제 3점착층, 및 제 3점착층의 타면에 배치된 편광판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되, 제 3점착층 및 편광판 보호 필름의 측단부는 절단 라인과 중첩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adhesive layer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a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hird adhesive layer, the third adhesive layer and the side end of the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may overlap the cut line hav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기재 필름,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점착층, 점착층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를 포함하되, 기재 필름은 편광자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돌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base film,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a polarizer protective fil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dhesive layer, and a polariz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However, the base film may include a protruding region not covered by the polarizer.

또한,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편광자 보호 필름의 측벽과 중첩된 라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홈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lin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line overlapping the sidewall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또한, 편광자 보호 필름의 수평단면은 4개의 변을 포함하고, 기재 필름의 돌출 영역은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적어도 2개 변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may include four sides, and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may be formed on at least two side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또한, 기재 필름의 돌출 영역은 편광자 보호 필름의 서로 대향하는 변에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regions of the base film may b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또한, 기재 필름의 돌출 영역은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regions of the base film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axis.

또한, 기재 필름의 돌출 영역은 편광자 보호 필름의 4개의 변에서 모두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may protrude from all four side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또한, 기재 필름은 제 1파장 범위의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재질로 형성되며,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는 제 1파장 범위의 빛을 흡수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film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selectively passes light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absorbs light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편광판, 및 표시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여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편광판은 기재 필름,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점착층, 점착층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를 포함하되, 기재 필름은 편광자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돌출 영역은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자의 측부를 커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display area, a polarizing plate positioned above the display panel, and a case positioned below the display panel to accommodate the display panel. However,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a base film,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a polarizer protective fil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dhesive layer, and a polariz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wherein the base film is not covered by the polarizer and a non-protruding region, wherein the protruding region may cover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side of the polarizer.

또한, 돌출 영역은 표시 패널의 측부를 커버할 수 있다.Also, the protruding area may cover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또한, 기재 필름의 돌출 영역은 케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may be attached to the case.

또한, 기재 필름은 돌출 영역 상의 점착층에 의해 케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film may be attached to the case by an adhesive layer on the protruding region.

또한, 기재 필름의 돌출 영역은 케이스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또한, 기재 필름의 돌출 영역은 표시 패널과 이격될 수 있다.Also,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anel.

또한,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고, 표시 패널의 측벽과 중첩된 라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홈라인을 더 포함하고, 기재 필름의 돌출 영역은 홈라인을 경계로 케이스로 절곡될 수 있다.Also, the base film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lin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a line overlapping the sidewall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may be bent into a case with the groove line as a boundary.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minimizing a non-display area of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외관이 우수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an excellent appearanc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표시장치의 I1-I1'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표시장치의 I2-I2'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표시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I2-I2'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9의 표시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I1-I1'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표시장치의 I3-I3'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표시장치의 I4-I4'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표시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I4-I4'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표시장치에서 L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1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lan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lan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lan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1-I1'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9 .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2-I2'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9 .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2-I2'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19 .
2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1-I1'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9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3-I3'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24 .
2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4-I4'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24 .
2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4-I4'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24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2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L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27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Reference to an element or layer “on” or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ncludes not only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layer, but also with other layers or other elements intervening. include all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an element or components and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The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비록 제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of course,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기재 필름(100), 기재 필름(100)의 일면에 배치된 점착층(115), 점착층(115)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 보호 필름(130), 및 편광자 보호 필름(130)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1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ase film 100 , an adhesive layer 115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0 , and a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15 . ), and a polarizer 120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

기재 필름(100)은 범용적인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필름, 사이클로 올레핀계 (cyclo olefin polymer; COP)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후술하겠으나, 기재 필름(100)은 기재 필름(100)을 구성하는 재질의 성분에 따라 각각 흡수하는 파장대의 빛이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재 필름(100)을 구성하는 재질이 흡수하지 않는 파장대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빛이 조사된 부분에서 기재 필름(100)이 절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base film 100 may be formed of a general-purpose plastic material, for example, a triacetyl cellulose (TAC) film, a cyclo olefin polymer (COP) fil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On the other h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ight in the wavelength band absorbed by the base film 100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ponent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base film 100 , and accordingly,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base film 100 is absorbed By irradiating light in a wavelength band that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se film 100 from being cut in the portion where the light is irradiated.

기재 필름(100)의 일면에는 점착층(115)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점착층(115)은 편광자 보호 필름(130)과 점착되어 있으면서, 후술할 표시 장치에 편광판이 배치될 경우, 케이스 등과 점착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An adhesive layer 115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0 , and the adhesive layer 115 is adhered to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 and when a polarizing plate is disposed on a display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adheres to a case You can do what you can do.

점착층(115)의 일면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130)이 배치될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130)은 외부로부터의 산소나 수분 등의 침투로부터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15 .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is to protect the polarizer from penetration of oxygen or moisture from the outside, and a polarizer protective film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편광자 보호 필름(130)의 일면에는 편광자(1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편광자 보호 필름(130)과 편광자(120) 사이에는 접착층(160)이 배치되어 편광자 보호 필름(130)과 편광자(120) 사이를 접착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120)의 일면에는 편광자 보호 필름(1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편광자 보호 필름(140)과 편광자(120) 사이에는 접착층(170)이 배치되어 편광자(120)와 편광자 보호 필름(140)을 접착할 수 있다. 즉, 편광자(120)를 사이에 개재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130, 140)이 배치될 수 있고, 편광자(120)와 편광자 보호 필름(130, 140) 사이에는 각각 접착층(160, 170)이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편광자(120)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 보호 필름(140)은 박형화를 위해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A polarizer 12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 and an adhesive layer 160 is disposed betwee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and the polarizer 120 , so that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and the polarizer 120 . can be glued between them. In addition, a polarizer protective film 140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20 , and in this case, an adhesive layer 170 is disposed betwee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40 and the polarizer 120 to form the polarizer 120 .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40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That i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30 and 140 may be disposed with the polarizer 12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adhesive layers 160 and 170 are interposed between the polarizer 120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30 and 140, respectively. there may be However,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40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20 may be omitted if necessary to reduce the thickness.

접착층(160, 170)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접착층(160, 170)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the adhesive layers 160 and 170, water-based adhesives, acrylic adhesives, etc.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s 160 and 170 are widely known in the art Ba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편광자(120)는 특정 편광의 빛만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상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가 염착, 가교되어 있고, 일축 또는 이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편광자(120)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염착, 가교, 연신, 팽윤 공정 등을 거쳐 제조할 수 있으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직접 염착, 가교, 연신 등을 하거나, 기재 필름을 이용하여 염착, 가교, 연신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polarizer 120 allows only light of a specific polarization to pass through, and for example, iodine or a dichroic dye is dyed and crosslinked on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may be stretched in a uniaxial or biaxial direction. do not limit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arizer 120, for example,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be manufactured through dyeing, cross-linking, stretching, and swelling processes, a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be directly dyed, cross-linked, stretched, etc. Alternatively, dyeing, crosslinking, stretching, etc. may be performed using the base film, which is widely known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편광자(120)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 보호 필름(140)의 일면에는 후술할 표시 패널 상으로 편광판(1)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제(15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편광자(120)의 편광자 보호 필름(140)이 생략되는 경우, 편광자(120)의 일면에 베리어 층(미도시) 등을 형성하고, 그 일 면에 점착제(150)가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40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20, an adhesive 150 for attaching the polarizing plate 1 onto a display panel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additionally formed, and the polarizer 120 I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40 is omitted, a barrier layer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20 , and an adhesive 15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20 .

편광판(1)을 구성하는 각 층들의 배치관계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재 필름(100) 점착층(115), 편광자 보호 필름(130), 편광자(120), 편광자 보호 필름(140), 점착제(15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형태일 수 있으며, 편광자 보호 필름(130, 140)과 편광자(120) 사이에는 각각 접착층(160, 170)이 위치할 수 있다.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each layer constituting the polarizing plate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base film 100, the adhesive layer 115 ,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 the polarizer 120 , and the polarizer protection The film 140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15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and adhesive layers 160 and 17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30 and 140 and the polarizer 120 , respectively.

한편, 편광판(1)은 기재 필름(100)의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편광자 보호 필름(130) 및 편광자(120)의 일부 영역을 분할하는 절단 라인(C1)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larizing plate 1 may include a cutting line C1 that divides a partial reg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and the polarizer 1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100 .

절단 라인(C1)은 기재 필름(100) 점착층(115), 편광자 보호 필름(130), 편광자(120), 편광자 보호 필름(140) 및 점착제(15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적층 방향으로 형성되되, 기재 필름(100)의 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절단 라인(C1)은 기재 필름(100)의 면에 수직한 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어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utting line C1 is formed in a stacking direction in which the base film 100, the adhesive layer 115,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the polarizer 120,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40, and the adhesive 150 are sequentially stacked. ,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10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utting line C1 may be formed by being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100 .

절단 라인(C1)은 상기에서 설명한 점착층(115)의 일면에 위치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130), 편광자 보호 필름(130)의 일면에 위치하는 편광자(120)를 분할 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편광자 보호 필름(140)이 편광자(120)의 일면에도 위치하는 경우, 그 편광자 보호 필름(140), 편광자 보호 필름(130, 140)과 편광자(120) 사이의 접착층(160, 170)도 분할 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150)가 형성된 경우, 점착제(150)도 분할할 수 있다. 즉, 절단 라인(C1)에 의해 기재 필름(100)과 점착층(115)를 제외한 다른 층들을 구성하는 소자들을 분할할 수 있다.The cutting line C1 may divid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15 and the polarizer 120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in addition to protecting the polarizer. When the film 140 is also locat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120,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40,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30, 140 and the adhesive layers 160 and 170 between the polarizer 120 can also be divided. . In addition, when the adhesive 150 is formed, the adhesive 150 may also be divided. That is, elements constituting layers other than the base film 100 and the adhesive layer 115 may be divided by the cutting line C1 .

절단 라인(C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편광자 보호 필름(130)은 절단 라인(C1)에 의해 분할된 제 1편광자 보호 필름(131) 및 제 2편광자 보호 필름(1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편광자는 절단 라인에 의해 분할된 제 1편광자(121) 및 제 2편광자(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120)의 일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140)과, 그 일면에 점착제(15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이 또한, 제 1편광자 보호 필름(141) 및 제 2편광자 보호 필름(142)과, 제 1점착제(151), 제 2점착제(152)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 보호 필름(130)의 일면과, 편광자(120)의 일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130, 140)과의 접착을 위한 접착층(160, 170)의 경우도 절단 라인(C1)에 의해 제 1접착층(161, 171) 및 제 2접착층(162, 172)으로 분할될 수 있다.To describe the cutting line C1 in more detail,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may include a first polarizer protective film 131 and a second polarizer protective film 132 divided by the cutting line C1. In addition, the polarizer may include a first polarizer 121 and a second polarizer 122 divided by a cutting line. In addition, whe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40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20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150 on one surface are additionally included, this also includes the first polarizer protective film 141 and the second polarizer protective film 142 . ), and the first adhesive 151 and the second adhesive 152 can be divid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dhesive layers 160 and 170 for bonding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s 130 and 140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20 by the cutting line C1, the first It may be divided into adhesive layers 161 and 171 and second adhesive layers 162 and 172 .

편광판은 제 1영역(AA)과 제 2영역(N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영역(AA)은 표시영역일 수 있고, 제 2영역(NA)은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제 1영역(AA)은 후술할 표시장치에서 표시 패널의 표시영역 상에 부착되는 부분이며, 제 2영역(NA)은 표시영역 외의 부분에 부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도 1의 편광판 단면도 상에서 제 2영역(NA)은 편광판(1) 수평면 상에서 우측에만 위치하고 있으나, 제 2영역(NA)은 편광판(1)의 수평면상에서 좌측, 상측,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may include a first area AA and a second area NA, the first area AA may be a display area, and the second area NA may be a non-display area. The first area AA may be a portion attached to a display area of a display panel in a display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area NA may be a portion attached to a portion other than the display area. As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arizing plate of FIG. 1 , the second region NA is located only on the right side on the horizontal plane of the polarizing plate 1 , but the second region NA is formed on the left, upper and lower sides on the horizontal plane of the polarizing plate 1 . have.

한편, 설명의 편의상, 상기에서 설명한 제 1편광자 보호 필름(131, 141), 제 1편광자(121), 제 1접착층(161, 171), 제 1점착제(151) 등은 편광판(1)의 제 1영역(AA) 상에 위치하고, 제 2편광자 보호 필름(132, 142), 제 2편광자(122), 제 2접착층(162, 172), 제 1점착제(152) 등은 편광판(1)의 제 2영역(NA) 상에 위치한다고 보면, 절단 라인(C1)에 의해 분할된 제 2영역(NA) 상에 위치하는 소자들은 후에 표시장치에 적용될 경우, 제거될 수 있다.Meanwhi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polarizer protective films 131 and 141 , the first polarizer 121 , the first adhesive layers 161 , 171 , the first adhesive 151 , etc. described above are the first of the polarizing plate 1 . Located on the first area AA, the second polarizer protective films 132 and 142, the second polarizer 122, the second adhesive layers 162 and 172, the first adhesive 152, etc. are the first of the polarizing plate 1 Assuming that they are positioned on the second region NA, elements positioned on the second region NA divided by the cut line C1 may be removed when applied to a display device later.

또한, 편광자(12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160, 170)을 포함하는 경우, 점착층(115)은 접착층(160, 170)의 접착력에 비해 더 낮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1)이 후술할 표시장치에 적용될 경우, 점착층(115) 상에 위치하고, 절단 라인(C1)에 의해 분할된 제 2영역(NA) 상의 소자들은 쉽게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점착층(115)의 접착력이 접착층(160, 170)의 접착력에 비해 더 낮은 접착력을 가짐으로써, 제 2영역(NA) 상의 소자들이 쉽게 점착층(115)과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제 2영역(NA) 상의 소자들이 함께 부착된 상태로 쉽게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영역(NA) 상의 소자들을 제거함에 있어, 기재 필름(100)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dhesive layers 160 and 170 are includ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120 , the adhesive layer 115 may have a lower adhesive strength than that of the adhesive layers 160 and 170 . Accordingly, when the polarizing plate 1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elements on the adhesive layer 115 and on the second area NA divided by the cutting line C1 can be easily removed. Since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115 has a lower adhesive force than that of the adhesive layers 160 and 170 , devices on the second region NA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adhesive layer 115 , and the second region The elements on (NA) can be easily removed while attached together. Accordingly, damage to the base film 100 may be prevented when the elements on the second area NA are removed.

기재 필름(100)은 제 1파장 범위의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편광자 보호 필름(130) 및 편광자(120)는 상기 제 1파장 범위의 빛을 흡수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film 1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selectively passes light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and the polarizer 1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absorbs light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

즉, 기재 필름(100)이 흡수할 수 있는 빛의 파장 범위와, 편광자 보호 필름(130)과 편광자(120)가 흡수할 수 있는 빛의 파장 범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 필름(100)이 흡수할 수 있는 빛의 파장 범위는 편광자 보호 필름(130), 편광자(120), 접착층(160, 170) 등이 흡수할 수 있는 빛의 파장 범위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편광판 상에서 절단 라인(C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기재 필름(100)에는 절단 라인이 형성되지 않고, 다른 소자들에만 절단 라인(C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wavelength range of light that can be absorbed by the base film 100 and the wavelength range of light that can be absorbed by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and the polarizer 12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wavelength range of light that can be absorbed by the base film 100 is different from the wavelength range of light that can be absorbed by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 the polarizer 120 , and the adhesive layers 160 and 170 . can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cutting line C1 on the polarizing plate, the cutting line is not substantially formed in the base film 100, and the cutting line C1 is formed only in other elements.

다시 말하면, 후술하겠으나, 편광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적층 구조를 가지는 편광판을 형성한 후에 UV조사, 레이저 등에 의해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제 1영역(AA)과 제 2영역(NA)의 경계에 절단 라인(C1)을 형성할 수 있는데, 절단 라인(C1)은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함으로써 발생된 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재 필름(100)은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절단 라인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최종적으로는 제 1영역(AA)과 제 2영역(NA)으로 분할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plate, the first area AA and the second area are formed by forming a polarizing plate having a laminat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then irradiating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by UV irradiation, laser, or the like. A cutting line C1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of the NA, and the cutting line C1 may be formed by heat generated by absorbing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In this case, the base film 100 does not absorb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but selectively passes it through, so that a cutting line is not formed and finally divided into the first area AA and the second area NA. can do.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편광판(2) 상에서 절단 라인(C2)은 점착층(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따라서, 점착층(110)은 절단 라인에 의해 분할된 제 1점착층(111) 및 제 2점착층(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점착층이 절단 라인(C2)에 의해 모두 절단되어 분할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일부만이 분할되는 형태, 즉, 편광판(2)의 제 1영역(AA)과 제 2영역(NA)의 경계 부분에서 점착층(110) 상에 일부 홈이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편광판(2)을 구성하는 다른 소자들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cutting line C2 on the polarizing plate 2 may divide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adhesive layer 110 . Accordingly, the adhesive layer 110 may include the first adhesive layer 111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12 divided by the cutting line. In FIG. 2 , the adhesive layer is all cut and divided by the cutting line C2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ly a part of the adhesive layer is divided, that is, the first area AA and the second area of the polarizing plate 2 . Some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110 at the boundary of the area NA.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lements constituting the polarizing plate 2 overlap with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편광판(3)은 기재 필름(100),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점착층(115), 점착층(115)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 보호 필름(130), 및 편광자 보호 필름(130)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120)를 포함하되, 기재 필름(100)은 편광자(12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돌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polarizing plate 3 includes a base film 100 , an adhesive layer 115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a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dhesive layer 115 , and a polarizer protection A polarizer 120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lm 130 may be included, but the base film 100 may include a protruding region not covered by the polarizer 120 .

편광판(3)은 제 1영역(AA)과 제 2영역(N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 영역은 제 2영역(NA)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편광판(3)이 후술할 표시장치에 배치될 경우, 상기 돌출 영역은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 이외의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3 may include a first area AA and a second area NA, and the protruding area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area NA. That is, when the polarizing plate 3 is disposed in a display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the protruding region may be a reg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other than the display region of the display device.

다시 말하면, 편광판(3)의 기재 필름(100)은 편광자(120)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편광자(120)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은 상기의 돌출 영역일 수 있다. 즉, 기재 필름(100)의 돌출 영역은 편광자(120)를 기준으로 노출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base film 100 of the polarizing plate 3 may have a larger area than the polarizer 120 , and may include a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polarizer 120 , and the non-overlapping region is It may be a protruding area. That is,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100 may be defined as an exposed region with respect to the polarizer 120 .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광판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rist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편광판(4)의 점착층(110)은 기재 필름(100)의 상기 돌출 영역과 돌출되지 않은 영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분할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점착층(110)은 상기 경계를 기준으로 제 1점착층(111)과 제 2점착층(112)으로 분할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경계는 편광자(120)의 측단면과 중첩되는 부분일 수 있고, 중첩되는 부분에서 제 1점착층(111)과 제 2점착층(112)으로 나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adhesive layer 110 of the polarizing plate 4 may be divided bas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protruding area and the non-protruding area of the base film 100 . That is,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dhesive layer 111 and a second adhesive layer 112 based on the boundary. In other words, the boundary may be a portion overlapping the side cross-section of the polarizer 120 , and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dhesive layer 111 and a second adhesive layer 112 at the overlapping portion.

도 3 및 4의 편광판(3)이 상기 도 1 및 2에서 설명한 편광판(1, 2)과 상이한 점은 편광판의 상기 제 2영역(NA)에 대응하는 위치의 점착층 이하의 소자들이 제거된 상태라는 점이다.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larizing plate 3 of FIGS. 3 and 4 from the polarizing plates 1 and 2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is that the elements below the adhesive layer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NA of the polarizing plate are removed. that is.

즉, 도 5에서와 같이, 도 1의 편광판(1)에서 상기 제 2영역(NA)에 대응하는 위치의 점착층(115) 이하의 소자들을 제거할 경우, 도 3과 같은 편광판(3)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도 2의 편광판(2)에서 상기 제 2영역(NA)에 대응하는 위치의 점착층(110) 이하의 소자들을 제거할 경우, 도 4와 같은 편광판(4)이 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성들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이미 설명하였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at is, as in FIG. 5 , when elements below the adhesive layer 115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NA in the polarizing plate 1 of FIG. 1 are removed, the polarizing plate 3 as shown in FIG. 3 is can be In addition, as in FIG. 6 , when elements below the adhesive layer 1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NA in the polarizing plate 2 of FIG. 2 are removed, the polarizing plate 4 as shown in FIG. 4 is can be On the other hand, since other components have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같이, 편광판(5)은 기재 필름(100)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고, 절단 라인(C2)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된 홈라인(H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홈라인(H1)은 절단 라인(C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절단 라인(C2)과 대응하는 위치의 일부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홈라인(H1)은 절단 라인(C2)와 대응하는 위치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홈라인(H1)은 기재 필름(100)의 내측으로 일부 함몰된 홈 일 수 있으며, 이러한 홈이 기재 필름(100)의 수평면 상에서 절단 라인(C2)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홈라인(H1)은 기재 필름(100) 상에서 편광자 보호 필름(130) 등의 다른 소자들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7 , the polarizing plate 5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0 and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line H1 form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cut line C2 . The groove line H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cutting line C2 is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not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line C2 . That is, the groove line H1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 line C2 . The groove line H1 may be a groove partially recessed into the base film 100 , and this groove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cut line C2 on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base film 100 . In addition, the groove line H1 may be formed on the base film 100 at a position where other elements such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are formed.

도 8에는 도 7의 편광판(5)에서 제 2영역(N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점착층(110) 이하의 다른 소자들을 제거한 상태의 편광판(6)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홈라인(H1)은 기재 필름(100)의 돌출 영역과 돌출되지 않는 영역의 경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재 필름(100)의 제 1영역(AA)과 제 2영역(NA)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 필름(100)과 편광자 보호 필름(130)의 측벽과 중첩된 라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arizing plate 6 in a state in which other elements under the adhesive layer 110 are remov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NA in the polarizing plate 5 of FIG. 7 . Referring to FIG. 8 , the groove line H1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rotruding area and the non-protruding area of the base film 100 . That is, it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area AA and the second area NA of the base film 100 , and more specifically, overlapped with the sidewalls of the base film 100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 It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line.

한편, 기재 필름(100) 상에 상기와 같이 홈라인(H1)을 포함함으로써, 후술할 표시 장치에 편광판이 배치되는 경우, 돌출 영역이 쉽게 절곡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by including the groove line H1 on the base film 100 as described above, when a polarizing plate is disposed in a display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the protruding region can be easily bent.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7)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의 편광판(7)에서 제 2영역(N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점착층(110) 이하의 다른 소자들을 제거한 상태의 편광판(8)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편광판(7, 8)은 기재 필름(100)의 타면에 형성되는 홈라인(H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홈라인(H2)은 기재 필름(100) 상에서 편광자 보호 필름(130) 등과 같은 다른 소자들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arizing plate 7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FIG. 10, the adhesive layer 1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NA in the polarizing plate 7 of FI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arizing plate 8 with other elements removed is shown below. 9 and 10 , the polarizing plates 7 and 8 may include a groove line H2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0 . That is, the groove line H2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other elements such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are formed on the base film 100 .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9)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의 편광판(9)에서 제 2영역(N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점착층(110) 이하의 다른 소자들을 제거한 상태의 편광판(1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편광판(9, 10)은 기재 필름(100)의 양면에 형성되는 홈라인(H1, H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홈라인(H1, H2)은 기재 필름(100) 상에서 편광자 보호 필름(130)의 측벽과 중첩되는 라인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arizing plate 9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FIG. 12, the adhesive layer 1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NA in the polarizing plate 9 of FI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arizing plate 10 in which other elements are removed is shown below. 11 and 12 , the polarizing plates 9 and 10 may include groove lines H1 and H2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base film 100 . That is, the groove lines H1 and H2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ine overlapping the sidewall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on the base film 100 .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1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의 편광판(11)에서 제 2영역(N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점착층(115) 이하의 다른 소자들을 제거한 상태의 편광판(12)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3 및 14의 편광판(11, 12)은 상기에서 설명한 도 1 및 도 3의 편광판(1, 3)에서 기재 필름(100) 상에 홈라인(H1)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arizing plate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arizing plate 12 in a state in which other elements are removed is shown below. That is, in the polarizing plates 11 and 12 of FIGS. 13 and 14 , except that the groove line H1 is formed on the base film 100 in the polarizing plates 1 and 3 of FIGS. 1 and 3 described above, other configurations are same.

도 13 및 14의 편광판(11, 12)은 점착층(115)이 절단 라인에 의해 절단되지 않았기 때문에 점착층(115)은 제 1영역(AA)과 제 2영역(NA)에 대응하는 위치, 즉, 편광자 보호 필름(130)의 측벽과 기재 필름(100)이 중첩되는 라인 상에도 점착층(115)이 존재하게 되고, 이에 의해 홈라인(H1) 상으로 점착층(115)이 일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In the polarizing plates 11 and 12 of FIGS. 13 and 14 , since the adhesive layer 115 is not cut by the cutting line, the adhesive layer 115 is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AA and the second area NA; That is, the adhesive layer 115 is also present on the line where the sidewall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and the base film 100 overlap, thereby partially inserting the adhesive layer 115 onto the groove line H1. there may be

한편, 도 13 및 14에서는 도 1 및 도 3의 편광판(1, 3)에서 기재 필름(100)의 일면에만 홈라인(H1)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기재 필름(100)의 타면 또는 양면에 모두 홈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FIGS. 13 and 14 , it is illustrated that the groove line H1 is formed only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0 in the polarizing plates 1 and 3 of FIGS. 1 and 3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se film 100 is not limited thereto. A groove line may be formed on the other or both surfaces of the .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13)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를 참조하면, 편광판(13)은 기재 필름(100)의 타면에 배치된 제 3점착층(180), 및 제 3점착층(180)의 타면에 배치된 편광판 보호 필름(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3점착층(180) 및 편광판 보호 필름(190)의 측단부, 즉, 측벽이 형성하는 경계는 절단 라인(C2)과 중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3점착층(180) 및 편광판 보호 필름(190)의 측단부는 실질적으로 기재 필름(100)의 제 1영역(AA) 내에만 위치할 수 있고, 편광자 보호 필름(130)이 형성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될 수 있다. 15 shows a polarizing plate 1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ring to FIG. 15 , the polarizing plate 13 is a third adhesive layer 180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100, and a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190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hird adhesive layer 180 . In addition, a boundary formed by a side end of the third adhesive layer 180 and the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190 , that is, a side wall may overlap the cutting line C2 . In other words, the side ends of the third adhesive layer 180 and the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190 may be located substantially only in the first area AA of the base film 100 ,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30 is formed. It may be formed on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to be used.

편광판 보호 필름(190)은 후술할 표시 장치에서 적용될 경우, 최종적으로 기재 필름(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최종 소비자가 제거 가능한 이형지일 수 있다. 편광판 보호 필름(190)은 상기와 같이 제 1영역(AA)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형성됨으로써, 편광판(13)이 표시 장치에 배치되어 기재 필름의 돌출 영역인 제 2영역(NA)이 절곡될 때, 기재 필름(100)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190 is applied in a display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prevent the base film 100 from being damaged in the end, and can be a release paper that can be removed by the end consumer who uses the display device. The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190 is formed on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AA as described above, so that when the polarizing plate 13 is disposed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area NA, which is a protruding area of the base film, is bent. , it is possible to prevent peeling from the base film 100 .

한편, 도 15와 같이 편광판 보호 피름(190)과 제 3점착층(18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에도 기재 필름(100) 상에 홈라인이 형성되거나, 절단 라인에 의해 점착층의 일부 영역이 분할되는 등 상기에서 설명한 다른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190 and the third adhesive layer 180 are additionally included as shown in FIG. 15 , a groove line is formed on the base film 100 or a partial region of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a cut line. Other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such as divided, may be applied.

도 1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6 is a plan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편광자 보호 필름(121)의 수평단면은 4개의 변을 포함하고, 기재 필름(100)의 돌출 영역은 편광자 보호 필름(121)의 적어도 2개의 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6과 같이, 편광자 보호 필름(121)은 4개의 변을 포함하는 사각형의 형태일 수 있다. 다만, 편광자 보호 필름(121)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편광판을 적용하고자 하는 표시장치의 수평 단면의 형태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6 ,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21 may include four sides, and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100 may be formed on at least two side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21 . That is, as shown in FIG. 16 ,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21 may have a quadrangular shape including four sides. However, the shap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2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olarizing plate is to be applied.

기재 필름(10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4개의 변을 포함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121)의 적어도 2개의 변에 형성되면서, 서로 대향하는 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표시장치에 편광판이 배치될 경우, 기재 필름(100)이 편광자 보호 필름(121)과 그 일면에 형성된 편광자를 양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장치 내에서 편광자를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의 침투로부터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비표시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film 100 may be formed on at least two side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21 including the protruding region and including the four sides, and may b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Accordingly, when a polarizing plate is disposed in a display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the base film 100 may be dispos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121 and the polarizer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from both sides. Accordingly, the non-display area can be minimized while improving durability by protecting the polarizer from infiltration of external moisture or oxygen in the display device.

한편, 도 16에서 A방향은 편광자의 흡수측이라 볼 수 있으며, B방향은 편광자의 투과축이라 볼 수 있다. 즉, A방향은 편광자의 연신 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기재 필름(100)의 돌출 영역은 편광자의 투과축(B) 방향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영역이 편광자의 투과축(B), 즉, 연신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편광판 상의 제 2영역(NA)의 점착층 이하의 다른 소자들을 제거함에 있어서, 제 2영역(NA) 상에 위치하는 편광자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Meanwhile, in FIG. 16 , the A direction can be viewed as the absorption side of the polarizer, and the B direction can be viewed as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That is, the A direction may be a stretching direction of the polarizer. In this case, the protruding regions of the base film 10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axis (B). The protrusion region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mission axis B of the polarizer, that is, the stretching direction, so that in removing other elements below the adhesive layer of the second region NA on the polarizing plate, the second region NA The polarizer located on the image can be easily removed.

다시 말하면, 편광자는 연신 방향인 흡수측 방향(A)으로 사슬이 배열되고, 연신 방향에 수직인 투과축(B) 방향으로 평행하게 사슬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투과축(B) 방향으로의 사슬과 사슬 간의 결합이 흡수축 방향(A)에 비해 보다 쉽게 결합이 끊어질 수 있다. 따라서, 투과축(B) 방향의 양 측며넹 상기 돌출 영역이 형성된다면, 돌출 영역, 즉, 제 2영역(NA)에 위치하는 편광자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polarizer, chains may be arranged in the absorption side direction (A), which is the stretching direction, and the chains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B)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axis (B) direction The bond between the chain and the chain may be more easily broken than i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A). Accordingly, if the protruding area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ransmission axis B, the polarizer positioned in the protruding area, that is, the second area NA can be easily removed.

도 17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7 is a plan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 17을 참조하면, 기재 필름의 돌출 영역은 편광자 보호 필름의 4개의 변에서 모두 돌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표시 장치에 편광판이 적용될 경우, 편광판의 수평 단면을 기준으로 좌우상하 측면에서 모두 상기 돌출 영역으로 내부의 편광자를 보호할 수 있다, 보다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표시 영역의 크기도 최소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all four side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refore, when a polarizing plate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the internal polarizer can be protected by the protruding regions from both left, right, top and bottom sides based o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dur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size of the non-display region can also be minimized.

도 18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8 is a plan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8의 편광판이 도 17의 편광판과 다른 점은 도 17의 편광판의 경우, 기재 필름(101)의 돌출 영역의 형태가 직사각형의 형태인 반면, 도 18의 기재 필름(102)의 돌출 영역의 형태는 사다리꼴이라는 점이다. 다만, 돌출영역의 형태는 상기 도 17 및 18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하지 않으며, 표시장치의 용도 및 형태나 제조상 용이점 등을 고려하여, 돌출 영역의 끝단이 곡선을 포함하는 등 다양한 현태로 변형 가능하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polarizing plate of FIG. 18 and the polarizing plate of FIG. 17 is that in the case of the polarizing plate of FIG. 17 , the shape of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101 is rectangular, whereas the shape of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102 of FIG. 18 . is a trapezoid. However, the shape of the protruding area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S. 17 and 18, and the end of the protruding area includes a curved line in consideration of the use and shape of th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easiness. It is possible.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nd 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편광판 제조방법은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편광판의 적어도 어느 일 면을 통해 제 1 파장 범위의 빛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파장 범위의 빛에 의해 상기 기재 필름의 수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의 일부 영역을 분할하는 절단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 필름은 상기 제 1파장 범위의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 상기 편광자는 상기 제 1파장 범위의 빛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base film,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a polarizer protective film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and a polariz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rradiating light of a first wavelength range through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and a partial reg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base film by the light of the first wavelength range It may include the step of forming a cutting line dividing the. In addition, the base film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selectively transmits light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absorbs at least a portion of light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

상기 기재 필름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1파장 범위의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재질로 형성되지만, 일부 흡수할 수도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이 상기 제 1파장 범위의 빛을 일부 흡수하는 경우, 상기 기재 필름이 모두 절단되지 않을 정도만 흡수할 수 있다. The base film is substantially formed of a material that selectively passes light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but may partially absorb light. When the base film absorbs some of the light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it may absorb only enough to not cut all of the base film.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제 1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점착층까지도 상기 절단 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절단 라인에 의해 상기 점착층은 제 1점착층 및 제 2 점착층으로 영역이 분할될 수도 있다.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absorbs light of the first wavelength. Accordingly, the cutting line is formed even to the adhesive layer, and the region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dhesiv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by the cutting line.

한편, 편광판 제조방법은 상기 제 1파장 범위의 빛과는 다른 파장을 갖는 제 2파장 범위의 빛을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조사하여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홈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재 필름은 상기 제 2파장 범위의 빛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comprises the steps of irradiating light in a second wavelength range having a wavel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light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to form a groove line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may further include. In this case, the base film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absorbs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in the second wavelength range.

상기 기재 필름은 상기 조사된 제 2파장 범위의 빛을 흡수함으로써, 열이 발생되고 이에 의해 홈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기재 필름은 제 1파장 범위의 빛을 일부 흡수하거나, 제 1파장 범위의 빛의 세기를 강하게 하거나, 빛을 조사하는 시간을 오래 하여 홈라인이 형성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The base film absorbs the irradiated light in the second wavelength range, thereby generating heat, thereby forming a groove li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necessary, the base film partially absorbs light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strengthens the intensity of light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or forms a groove line by irradiating light for a long time. You can also adjust it as much as possible.

도 1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에는 도 19의 표시장치에서 I1-I1'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1에는 도 19의 표시장치에서 I2-I2'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1-I1'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19, and FIG. 21 is FIG. 19 A cross-sectional view along I2-I2' is shown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도 19 내지 2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200), 표시 패널(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편광판(1) 및 표시 패널(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19 to 21 ,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200 including a display area, a polarizer 1 positioned above the display panel 200 , and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200 to provide the display panel. It may include a case 300 for accommodating the.

편광판(1)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편광판은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를 포함하되, 상기 기재 필름은 상기 편광자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돌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의 측부를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상기에서 설명한 편광판(1)의 제 1영역에 위치하는 점착층(115) 이하의 구성들에 대해서는 편광자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400)이라 통칭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ing plate 1 has a base film,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a polarizer protective fil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dhesive layer, and a polariz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However, the base film may include a protruding region not covered by the polarizer. In addition, the protruding region may cover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a side portion of the polarizer. Meanwhi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components below the adhesive layer 115 position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polarizing plate 1 described above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n optical film 400 including a polarizer.

상기에서 설명한 편광판(1)의 제 2영역(NA)의 점착층(115)의 일면에 위치하는 제 2편광자 보호 필름, 제 2편광자 등은 표시 장치 상에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영역(NA)에는 기재 필름(100)의 돌출 영역과 점착층(115)의 일부만이 남아 있을 수 있다.The second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second polarizer, etc.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15 of the second area NA of the polarizing plate 1 described above may be removed from the display device. Accordingly, only the protruding area of the base film 100 and a portion of the adhesive layer 115 may remain in the second area NA.

기재 필름(100)의 돌출 영역은 기재 필름(100)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되어, 케이스(3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케이스(300)에 부착될 수 있다. 케이스(300) 상으로 기재 필름(100)을 부착하는 것은 기재 필름(100)의 돌출 영역의 일면에 남아있는 점착층(115)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접착력이 강한 접착제 등이 추가로 형성되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protruding regions of the base film 100 may b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base film 100 , bent in the case 300 direction, and attached to the case 300 . Attaching the base film 100 onto the case 300 may be attached using the adhesive layer 115 remaining on one surface of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is strong adhesive or the like may be additionally formed and attached thereto.

케이스(300)는 표시 패널(200)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며, 표시 패널(200)을 케이스(300)의 상부면에 안착함으로써, 수납할 수도 있다. 케이스(300)는 절연성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300)의 형상은 도 19 내지 21에서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소자들을 수납하기 위한 음각이 형성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하거나, 백라이트 유닛 등을 더 포함하는 경우, 이들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case 300 is for accommodating the display panel 200 , and may be accommodated by mounting the display panel 2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300 . The case 30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mmonly us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ase 300 is a flat plate shape in FIGS. 19 to 21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such as an intaglio for accommodating elements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or a backlight unit, etc. When it further includes,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m may be formed.

케이스(300)의 너비는 표시 패널(200)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즉, 도 20 및 21과 같이, 케이스(300)의 너비는 어느 한 단면 상으로는 표시 패널(200)의 너비보다 크면서, 다른 한 단면 상으로는 표시 패널(200)의 너비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22와 같이, 케이스(301)는 다른 한 단면 상으로도 표시 패널(200)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The width of the case 30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display panel 200 . That is, as shown in FIGS. 20 and 21 , the width of the case 300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display panel 200 on one cross-section and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display panel 200 on the other cross-s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shown in FIG. 22 , the case 301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display panel 200 in another cross-section.

다시, 도 19 내지 21을 참조하면, 케이스(300)의 너비가 표시 패널(200)의 너비에 비해 큰 너비를 가짐으로써, 기재 필름(100)의 돌출 영역은 표시 패널(200)과 이격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200)의 표시 영역과 편광판의 편광자는 실질적으로 중첩될 수 있으며, 기재 필름(100)의 돌출 영역은 표시 패널(200)의 표시 영역이 아닌 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기재 필름(100)의 돌출 영역은 내부에 광학 필름(400)을 감싸면서 케이스(300)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고, 절곡되는 위치는 표시 패널(200)의 측면과 중첩되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마감 처리 없이도, 기재 필름(100)으로 편광자를 내부에 보호할 수 있으며, 케이스(300)의 너비가 표시 패널(200)보다 큰 너비를 가질 경우, 표시 패널(200)과 기재 필름(100)의 돌출 영역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FIGS. 19 to 21 , since the width of the case 30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display panel 200 , the protruding area of the base film 1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anel 200 . have. That is,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200 and the polarizer of the polarizing plate may substantially overlap, and the protruding area of the base film 100 may be locate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200 .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100 may be bent in the case 300 direction while wrapping the optical film 400 therein, and the bent position may be a region overlapping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0 . Accordingly, the polarizer can be protected inside with the base film 100 without a separate finishing treatment, and when the width of the case 30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display panel 200 , the display panel 200 and the base film The protrusion regions of (1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상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으나, 표시 패널(200)은 액정 패널일 수 있다. 액정 패널은 서로 대향하는 제 1기판과 제 2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봉입된 상태일 수 있다. Although not illustrated in detail, the display panel 200 may be a liquid crystal panel. The liquid crystal panel may be in a state in which a liquid crystal layer is encapsul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facing each other.

제 1기판은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기재 위에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층, 저항성 접촉층 및 소스/드레인 전극으로 구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ITO 또는 IZO 등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로 형성되어 있는 전기장 생성 전극인 화소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bstrate may be a TFT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for example, a gate electrode, a gate insulating film, a semiconductor layer, an ohmic contact layer, and source/drain electrodes on a substrate made of a transparent insulating material such as glass or plastic. and a pixel electrode that is an electric field generating electrod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such as ITO or IZO.

제 2기판은 컬러 필터(CF) 기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기재의 아래 면에 빛샘을 방지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와 적, 녹, 청의 컬러 필터 및 ITO 또는 IZO 등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로 형성되어 있는 전기장 생성 전극인 공통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bstrate may be a color filter (CF) substrate, for example, a black matrix for preventing light leakage on the lower surface of a substrate made of a transparent insulating material such as glass or plastic, and red, green, and blue color filters and ITO Alternatively, a common electrode that is an electric field generating electrod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such as IZO may be included.

표시 패널(200)이 액정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 패널의 하부에는 하부 편광판이 위치할 수 있고, 상부에는 본 발명의 편광판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편광판은 표시 패널(200)의 시인측에 배치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panel 200 is configured as a liquid crystal panel, a lower polarizing plate may be disposed under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iquid crystal panel. That is,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on the viewer side of the display panel 200 .

상기 액정층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트위스티드 네마틱(twisted nematic; TN) 모드, 수직 배향(VA) 모드 또는 수평 배향(IPS, FFS) 모드 등일 수 있다.The liquid crystal layer may be in a twisted nematic (TN) mode, a vertical alignment (VA) mode, or a horizontal alignment (IPS, FFS) mode having positive dielectric anisotropy.

한편, 액정 패널의 세부적인 구성들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re widely known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표시 패널(200)은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패널일 수 있다. OLED패널은 각각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소들 각각은 애노드(anode) 및 캐소드(cathode) 사이의 유기 발광층으로 구성된 OLED와 OLED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화소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화소 회로는 주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커패시터, 구동 TFT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캔 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을 커패시터에 충전하고, 구동 TFT는 커패시터에 충전된 데이터 전압에 따라 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OLED의 발광량을 조절하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200 may be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panel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he OLED panel may include respective pixels, and each of the pixels may include an OLED compose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and a pixel circuit independently driving the OLED. The pixel circuit may mainly include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FT), a capacitor, and a driving TFT.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charges a data voltage to the capacitor in response to the scan pulse, and the driving TFT can control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OLED according to the data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thereby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emitted by the OLED and displaying an image. can b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편광판은 OLED패널의 시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광의 반사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on the viewing side of the OLED pane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contrast due to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한편, OLED 패널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since OLED panels are widely known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기재 필름(100)의 돌출 영역은 표시 패널(200)의 측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 영역은 케이스(300)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제 2영역(NA) 상에 남아있는 점착층(115)에 의해 케이스(3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돌출 영역에 의해 편광자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400)을 내부에 감싸면서 케이스(300) 상으로 편광판을 부착하므로, 외부의 수분, 공기 등의 침투를 방지하면서도, 비표시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100 may cover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200 . To this end, the protruding area may b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ase 300 . In addition, it may be attached to the case 300 by the adhesive layer 115 remaining on the second area NA. By attaching the polarizing plate onto the case 300 while wrapping the optical film 400 including the polarizer an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nside by the protruding area, the non-display area is protected from penetration of external moisture, air, etc. can be minimized

도 23에는 도 19의 표시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I1-I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1-I1'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19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 23을 참조하면, 기재 필름(103)의 돌출 영역은 케이스(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돌출 영역이 케이스(300)의 하면에 부착됨으로써, 보다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외의 다른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3 ,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103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300 . Since the protruding region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300 , durability may be further improved. Meanwhil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2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5에는 도 24의 표시장치에서 I3-I3'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6에는 도 24의 표시장치에서 I4-I4'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3-I3'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24, and FIG. 26 is FIG. 24 A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along I4-I4'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도 24 내지 26을 참조하면, 기재 필름(101) 상에서 돌출 영역은 기재 필름(101)의 4개의 변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9 내지 21과는 달리, 상기 돌출 영역이 기재 필름(101)의 모든 변에 형성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 경우, 기재 필름(101)의 4개의 변 모두에 형성된 돌출 영역은 케이스(300) 상으로 절곡되어 케이스(300)에 부착될 수 있으며, 보다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101)의 4개의 변에서 동일한 힘으로 잡아당기기 때문에 기재 필름(101)의 일 면에 위치하는 광학 필름(400)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24 to 26 , the protruding regions on the base film 101 may be formed on all four sides of the base film 101 . That is, unlike FIGS. 19 to 21 , the protrusion region is formed on all sides of the base film 101 . In this case, the protruding regions formed on all four sides of the base film 101 may be bent onto the case 300 and attached to the case 300 , thereby further improving durabil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tical film 400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1 from being twisted because the four sides of the base film 101 are pulled with the same force.

한편, 도 26과 같이, 기재 필름의 점착층은 제 1점착층(111)과 제 2점착층(112)으로 분할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광학 필름(400)과 중첩되는 영역에는 제 1점착층(111)이 위치하고, 돌출 영역에는 제 2점착층(112)이 위치하는 방식으로, 점착층은 분할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기 편광판에서 설명하였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6 , the adhesive layer of the base film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dhesive layer 111 and a second adhesive layer 112 . That is, the adhesive layer may be divided in such a way that the first adhesive layer 111 is positioned in the area overlapping the optical film 40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12 is positioned in the protruding region. Since this has been described in the polarizing plate,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7에는 도 24의 표시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I4-I4'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8에는 도 27에서 L부분을 확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7 및 28을 참조하면, 도 26과 달리, 점착층(115)은 분할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100)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고 표시 패널(200)의 측벽과 중첩된 라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홈라인(H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재 필름(100)의 돌출 영역은 홈라인(H1)을 경계로 케이스(300)로 절곡될 수 있다.2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4-I4'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24, and FIG. 2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L in FIG. Referring to FIGS. 27 and 28 , unlike FIG. 26 , the adhesive layer 115 may not be divided. In addition, a groove line H1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100 and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a line overlapping a sidewall of the display panel 20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100 may be bent into the case 300 with the groove line H1 as a boundary.

홈라인(H1)은 상기 편광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재 필름(100)의 어느 한 면 상에 형성되거나, 양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기재 필름(100)의 돌출 영역이 케이스(300) 방향으로 쉽게 절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8과 같이, 기재 필름(100)의 돌출 영역이 절곡될 때, 점착층(115)의 일부가 홈라인(H1)으로 밀려들어가도록 하여, 표시 패널(200) 상으로 편광판이 보다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for the polarizing plate, the groove line H1 may be formed on either side of the base film 100 o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ilm 100 , whereby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100 is formed in the case 300 . It can be easily bent in the direc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8 , when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100 is bent, a portion of the adhesive layer 115 is pushed into the groove line H1 so that the polarizing plate is more easily installed on the display panel 200 . It can be attached firml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13: 편광판
100-103: 기재 필름
110, 115: 점착층
111: 제 1점착층
112: 제 2점착층
120: 편광자
121: 제 1편광자
122: 제 2편광자
130, 140: 편광자 보호 필름
131, 141: 제 1편광자 보호 필름
132, 142: 제 2편광자 보호 필름
150: 점착제
151: 제 1점착제
152: 제 2점착제
160, 170: 접착층
161, 171: 제 1접착층
162, 172: 제 2접착층
C1, C2: 절단 라인
AA: 제 1영역
NA: 제 2영역
H1, H2: 홈라인
180: 제 3점착제
190: 편광판 보호 필름
200: 표시 패널
300: 케이스
400: 광학 필름
1-13: polarizing plate
100-103: base film
110, 115: adhesive layer
111: first adhesive layer
112: second adhesive layer
120: polarizer
121: first polarizer
122: second polarizer
130, 140: polarizer protective film
131, 141: first polarizer protective film
132, 142: second polarizer protective film
150: adhesive
151: first adhesive
152: second adhesive
160, 170: adhesive layer
161, 171: first adhesive layer
162, 172: second adhesive layer
C1, C2: cutting line
AA: first area
NA: second area
H1, H2: home line
180: third adhesive
190: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200: display panel
300: case
400: optical film

Claims (20)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를 포함하되
상기 기재 필름의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의 일부 영역을 분할하는 절단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절단 라인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된 홈라인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base film;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a polarizer protective film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and
Including; a polariz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a cutting line dividing a partial reg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A polarizing plat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further comprising a groove line form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cut lin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은 상기 절단 라인에 의해 분할된 제 1편광자 보호 필름 및 제 2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자는 상기 절단 라인에 의해 분할된 제 1편광자 및 제 2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ncludes a first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a second polarizer protective film divided by the cutting line,
The polarizer includes a first polarizer and a second polarizer divided by the cut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라인은 상기 점착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분할하는 편광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cutting line is a polarizing plate dividing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adhesive lay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절단 라인에 의해 분할된 제 1점착층 및 제 2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dhesive layer is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first adhesiv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divided by the cutting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타면에 배치된 제 3점착층; 및
상기 제 3점착층의 타면에 배치된 편광판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3점착층 및 상기 편광판 보호 필름의 측단부는 상기 절단 라인과 중첩되는 편광판.
The method of claim 1,
a third adhesive layer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Further comprising a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third adhesive layer,
The third adhesive layer and side ends of the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overlap the cut line.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를 포함하되,
상기 기재 필름은 상기 편광자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판.
base film;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a polarizer protective film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and
Including; a polariz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base film is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rotruding region not covered by the polariz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측벽과 중첩된 라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홈라인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8. The method of claim 7,
A polarizing plat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further comprising a groove line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a line overlapping a sidewall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수평단면은 4개의 변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 필름의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적어도 2개 변에 형성된 편광판.
8. The method of claim 7,
A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ncludes four sides,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is a polarizing plate formed on at least two side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서로 대향하는 변에서 형성된 편광판.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is a polarizing plat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의 양 측면에 형성된 편광판.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is a polarizing plat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in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4개의 변에서 모두 돌출되는 편광판.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is a polarizing plate protruding from all four side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제 1파장 범위의 빛을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는 상기 제 1파장 범위의 빛을 흡수하는 재질로 형성된 편광판.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ase film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selectively passes light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are formed of a material that absorbs light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편광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편광판은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자를 포함하되, 상기 기재 필름은 상기 편광자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의 측부를 커버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including a display area;
a polarizing plate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case positioned under the display panel to accommodate the display panel;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a base film, an adhesive lay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film, a polarizer protective film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dhesive layer, and a polariz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wherein the base film is the polarizer including a protruding area not covered by
The protrusion region cover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a side portion of the polarizer.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측부를 커버하는 표시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rotrusion area covers a side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케이스에 부착된 표시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is attached to the cas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상기 돌출 영역 상의 상기 점착층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부착된 표시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base film is attached to the case by the adhesive layer on the protruding regio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부착된 표시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is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as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과 이격된 표시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rotrusion region of the base film is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panel.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측벽과 중첩된 라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홈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재 필름의 상기 돌출 영역은 상기 홈라인을 경계로 상기 케이스로 절곡되는 표시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 groove lin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a line overlapping a sidewall of the display panel;
The protruding region of the base film is bent toward the case with the groove line as a boundary.
KR1020150012559A 2015-01-27 2015-01-27 Polarizer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3536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559A KR102353621B1 (en) 2015-01-27 2015-01-27 Polarizer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559A KR102353621B1 (en) 2015-01-27 2015-01-27 Polarizer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542A KR20160092542A (en) 2016-08-05
KR102353621B1 true KR102353621B1 (en) 2022-01-20

Family

ID=5671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559A KR102353621B1 (en) 2015-01-27 2015-01-27 Polarizer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6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434B1 (en) * 2018-06-22 2023-08-18 산진 옵토일렉트로닉스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Method for deriving polarizer proper cutting condi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4867A1 (en) 2012-08-08 2014-02-13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nd system for producing optical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839A (en) * 2012-10-11 2014-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117890B1 (en) * 2012-12-28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46426B1 (en) * 2013-07-12 2019-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76615B1 (en) * 2013-07-31 2020-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 narrow bez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4867A1 (en) 2012-08-08 2014-02-13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and system for producing optic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542A (en)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6189B2 (en) Polarizer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96443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EP287168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952599B2 (en) Polarization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the structure
CN108121020B (en) Optical eleme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395471B2 (en) Display device
US9128312B2 (en) Flat display device
KR20170001844A (en) Display device
JP2016095492A (en) Curved surface display device
CN110709761B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230132411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16288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nano capsule liquid crystal layer
KR101728488B1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353621B1 (en) Polarizer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48787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114789B1 (en) Polarizing plat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the fabrication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KR102233121B1 (en) Polariz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230679B1 (en) Curved display device
KR10193875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665494B (en) Display device
KR102578543B1 (en) 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82610B1 (en) Display device
KR10183750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50144842A (en) Display device
KR10178688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