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560B1 - 차량용 키,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키,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560B1
KR102352560B1 KR1020170072357A KR20170072357A KR102352560B1 KR 102352560 B1 KR102352560 B1 KR 102352560B1 KR 1020170072357 A KR1020170072357 A KR 1020170072357A KR 20170072357 A KR20170072357 A KR 20170072357A KR 102352560 B1 KR102352560 B1 KR 102352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key
voice
input unit
recognitio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527A (ko
Inventor
예성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2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560B1/ko
Priority to US15/785,882 priority patent/US10407027B2/en
Publication of KR20180134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60R25/257Voice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Navig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키,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차량용 키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는 음성 입력부; 및 차량의 키 홈에 장착 여부, 및 서비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명령으로부터 도출된 음성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키, 차량, 및 그 제어방법{KEY FOR VEHICL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개시된 실시예들은 음성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입력 받은 음성 명령을 처리하는 차량용 키,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각종 기기를 통해 원격조작 서비스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차량용 키를 통해 도어의 개폐, 트렁크 오픈, 경고음 출력 등과 같인 원격 조작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키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음성 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차량용 키,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에 따른 차량용 키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는 음성 입력부; 및 차량의 키 홈에 장착 여부, 및 서비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명령으로부터 도출된 음성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보안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제어부는, 상기 결정한 보안등급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암호화 프로세스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명령으로부터 도출된 음성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전달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키 홈에 장착 여부에 관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음성 입력부의 동작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키 홈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성 입력부와 상기 차량에 마련된 음성 입력부를 연동시켜 듀얼 마이크로써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제어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와, 상기 차량에 마련된 음성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빔포밍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차량은, 차량용 키를 통해 입력 받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관한 음성 명령,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관한 음성 명령을 입력 받는 음성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 및 상기 차량용 키에 마련된 음성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계산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키가 키 홈에 장착된지 여부 및 서비스 유형에 따라 상기 음성 명령,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에 대해 복호화 프로세스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키가 키 홈에 장착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키 홈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성 입력부와 상기 차량용 키에 마련된 음성 입력부를 연동시켜 듀얼 마이크로써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차량의 키 홈에 장착 여부, 및 서비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명령으로부터 도출된 음성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보안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한 보안등급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암호화 프로세스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명령으로부터 도출된 음성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전달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키 홈에 장착 여부에 관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음성 입력부의 동작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키 홈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성 입력부와 상기 차량에 마련된 음성 입력부를 연동시켜 듀얼 마이크로써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용 키를 통해 입력 받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관한 음성 명령,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용 키를 통해 음성 명령을 입력 받고, 이를 기초로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을 도출하여 차량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가 가능하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차량 내에 음성 입력부가 없거나 또는 음성 인식 엔진이 없어도, 음성 인식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키 홈 및 키 홈에 장착된 차량용 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차량용 키 간의 서비스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의 장착 여부, 및 서비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키 홈 및 키 홈에 장착된 차량용 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8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93, 94)를 포함한다. 차체(80)는 후드(81), 프런트 휀더(82), 도어(84), 트렁크 리드(85), 및 쿼터 패널(86)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체(80)의 외부에는 차체(8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87),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윈도(88), 도어(84)에 설치되어 차량(1) 후방 및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91, 92), 및 차체(80)의 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90)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1)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차량(1)에는 공조장치(151)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공조장치(151)는 차량(1)의 실내/외 환경 조건, 공기의 흡/배기, 순환, 냉/난방 상태 등을 포함한 공조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1)에는 공조장치(151)가 마련되어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153)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1)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차량(1)의 내부에는 AVN 단말(100)이 마련될 수 있다. AVN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AVN 단말(100)은 내비게이션 단말로 지칭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당업자들에게 통용되는 다양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AVN 단말(100)은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1)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AVN 단말(100)에서 실행할 수 있는 부가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VN 단말(100)은 상술한 공조장치(151)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공조장치(151)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AVN 단말(100)은 공조장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여, 차량 내의 공조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AVN 단말(100)은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운전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표시된 지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한편, 디스플레이(101)는 대시 보드(10)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11)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0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차량(1)의 내부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4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은 스피커(143)를 통해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은 스피커(143)를 통해 운전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내비게이션 입력부(102)는 대시 보드(10)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11)에 위치할 수 있다. 운전자는 내비게이션 입력부(102)를 조작하여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목적지 등을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 입력부(102)는 디스플레이(101)와 인접한 영역에 하드 키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디스플레이(101)가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01)는 내비게이션 입력부(102)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차량(1) 내에는 음성 입력부(180)가 마련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8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입력부(18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8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운전자가 발화(utterance)한 음성 명령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음성 입력부(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라이닝(13)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시보드(10) 위에 장착되거나 스티어링 휠(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도 운전 중인 운전자의 음성을 입력 받기에 적합한 위치이면 어디든 제한이 없다.
한편, 센터 콘솔(40)에는 죠그 셔틀 타입 또는 하드 키 타입의 센터 입력부(43)가 마련될 수 있다. 센터 콘솔(40)은 운전석(21)과 조수석(22) 사이에 위치하여 기어조작 레버(41)와 트레이(42)가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센터 입력부(43)는 내비게이션 입력부(102)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내부에는 차량용 키가 삽입될 수 있는 키 홈(44)이 마련될 수 있다. 키 홈(4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장치(151)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으나, 센터 콘솔(40) 상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키 홈(44)은 운전자가 차량용 키를 삽입하기에 적합한 위치이면 어디든 제한이 없다.
도 4를 참조하면, 키 홈(44)은 주행 중에, 장착된 차량용 키(200)가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키(200)의 형태에 맞추어 설계될 수 있으며, 키 홈(44)의 구현 가능한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차량용 키는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는 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용 키는 열쇠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차량용 키(200)는 도 3에 도시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제한은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차량용 키(200)는 차량용 스마트 키, 포브(FOB) 키 등 다양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차량용 키(200)에는 다양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키(2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음 출력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경고음 출력 버튼(212), 차량(1)의 트렁크 오픈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트렁크 오픈 버튼(213), 차량(1)의 도어 개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도어 개폐 버튼(214, 215)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200)에는 음성 입력부의 활성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음성 입력 버튼(216)이 마련될 수 있다.
차량용 키(200)에는 후술할 바와 같이 음성 입력부가 내장되어,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도출한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을 차량(1)에 직접 전달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키 홈(4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센터 콘솔(40, 도 2) 상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차량용 키(200)는 키 홈(44)에 삽입되어, 차량(1)과 연결될 수 있다. 키 홈(44)의 일 면에는 단자(4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차량용 키(200)의 일 면에도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키(200)는 단자(45)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차량(1)과 유선 통신 또한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키(2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차량용 키 간의 서비스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용 키(200)는 버튼 그룹(210), 전원부(220), 음성 입력부(230), 키 통신부(240), 및 키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키 통신부(240), 및 키 제어부(250)는 차량용 키(200) 내부에 별개로 마련되거나 또는 차량용 키(200)에 마련된 하나의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에 집적되어 마련될 수 있는 등 구현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키(2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버튼 그룹(210)은 차량용 키(200)의 일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버튼 그룹(210)은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복수 개의 조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버튼 그룹(210)은 경고음 출력 버튼(212), 트렁크 오픈 버튼(213), 도어 개폐 버튼(214, 215)뿐만 아니라 음성 입력 버튼(216)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그룹(210)은 푸쉬 스위치(push switch),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멤브레인 스위치(membrane switch), 터치 스위치(touch switch) 등 기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한 없다. 또는, 버튼 그룹(210)은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버튼 그룹(210)을 구성하는 조작 버튼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일 면에는 단일의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마련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상에는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복수의 아이콘으로 구성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아이콘을 클릭 또는 터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조작 버튼을 통해 음성 입력부(230)의 활성화 명령을 입력 받으면, 키 제어부(250)는 제어 신호를 통해 음성 입력부가 온(ON)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키 제어부(250)는 제어 신호를 통해 음성 입력부(230)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대기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키 제어부(25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차량용 키(200)에는 전원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전원부(220)는 차량용 키(200)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220)는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변환시켜 축적한 다음, 축적된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부(220)는 리튬이온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폴리머 배터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전원부(220)는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용 키(200)에 내장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220)는 키 홈(44)의 일 면에 마련된 단자(45, 도 4)와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유선 충전방식을 통해 충전되거나 또는 무선 충전방식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즉, 전원부(220)의 충전 방식은 기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충전부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키(200)의 일 면에는 유선 통신 및 유선 충전을 지원하는 키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용 키(200)가 차량(1)의 키 홈(44, 도 4)에 장착되면, 키 단자와 단자(45, 도 4) 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부(220)는 단자(45, 도 4)를 통해 차량(1)의 충전부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음성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음성 입력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키(200)의 일 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마련되는 위치에 제한은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사용자는 운전자뿐만 아니라, 동승자를 전부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를 별도로 구분하여 설명할 필요가 없는 경우, 사용자라 통칭하기로 한다.
음성 입력부(23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3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운전자가 발화(utterance)한 음성 명령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음성 명령은 음성 입력부(230)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입력부(230)는 다양한 변조 방식을 통해 입력된 음성 명령에 대해 변조 처리할 수 있다. 변조 방식으로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방식, 또는 펄스 코드 변조(Pulse Coded Modulation, PCM) 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기 공지된 다양한 변조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은 1차원 또는 2차원 어레이(array)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키 제어부(250)는 음성 입력부(230)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명령의 수신 각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 결과를 기초로 음성을 발화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면, 키 제어부(250)는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빔포밍을 수행하여 입력되는 음성 명령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키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빔포밍을 수행함으로써 음성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키 제어부(250)는 음성 입력부(230)와 차량(1)에 마련된 음성 입력부(180)가 연동하여, 듀얼 빔포밍을 수행함으로써 차량(1) 내 운전자, 및 동승자 모두, 즉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음성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키(200)의 음성 입력부(230)가 키 홈(44)에 장착되는 경우, 차량용 키(200)의 음성 입력부(220)는 빌트-인 마이크로폰(built-in, MIC)로써 동작될 수 있다. 차량용 키(200)의 음성 입력부(220)와 차량(1)의 음성 입력부(180)는 듀얼 마이크로써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며, 듀얼 빔포밍이 가능하다.
한편, 차량용 키(200)에는 외부기기와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키 통신부(240)가 마련될 수 있다.
키 통신부(240)는 무선통신망 또는 유선통신망을 통해 외부 기기와 각종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통신부(240)는 무선통신망 또는 유선통신망을 통해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뿐만 아니라, 중계기 등과 같이 웹으로의 연결을 지원하는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과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외부 기기로써,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모바일 단말, 및 사용자의 신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시계,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은 랩탑(laptop), 데스크 탑(desk top), 테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엑세스 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을 제외한 모든 외부 기기로써, 기기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중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통신부(240)는 유선통신 모듈, 및 무선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유선통신 방식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express, USB(Universe Serial Bus) 등과 같이 유선 케이블을 통해 유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당업자에게 기 공지된 다양한 유선통신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무선통신 방식에는,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등과 같이 기지국을 거쳐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방식과, 이외에도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웨이브(Z-wave), 지그비(Zigbee),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이 소정 거리 이내의 외부 기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통신 모듈은 하나 이상의 유선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이 집적된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에 대응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 모듈은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방식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이 집적된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을 구분하여 설명할 필요가 없는 경우, 통신망이라 통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키 통신부(240)는 통신망을 통해 음성 명령, 음성 명령으로부터 도출된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차량(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키 통신부(240)는 음성 명령,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를 차량(1)에 직접 전달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 엑세스 포인트 등과 같은 외부 기기를 거처 차량(1)에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키 통신부(240)는 음성 명령,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암호화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도 있다. 암호화 프로세스는 후술할 바와 같이 키 제어부(250)를 통해 수행되거나 또는 외부 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키 통신부(240)는 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등,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후술할 바와 같이 키 제어부(250)는 보안을 위해, 차량용 키(200)가 키 홈(44)에 장착된지 여부 및 서비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음성인식 결과를 암호화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용 키(200)에는 키 제어부(250)가 마련될 수 있다.
키 제어부(250)는 MCU(Micro Control Unit) 등과 같이 각종 연산 처리가 가능한 프로세서(processor) 및 차량용 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각종 제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키 제어부(250)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통해 차량용 키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제어부(250)는 제어 신호를 통해 음성 입력부(23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키 제어부(250)는 제어 신호를 통해 키 통신부(240)를 제어하여, 외부 기기와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키 제어부(250)는 차량용 키(200)가 키 홈(44)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1) 내 음성 입력부(180)와의 연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차량용 키(200)가 키 홈(44)에 장착된 것으로 식별되면, 키 제어부(250)는 차량용 키(200)의 음성 입력부(220)와 차량(1)의 음성 입력부(180) 간에 연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키(200)의 음성 입력부(220)와 차량(1)의 음성 입력부(180)는 듀얼 마이크로써 동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차량용 키(200)가 키 홈(44)에 미 장착된 것으로 식별되면, 차량용 키(200)의 음성 입력부(220)는 싱글 마이크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사양에 따라 음성 입력부 또는 음성인식 엔진이 내장되지 않은 경우라도,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200)는 음성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음성처리 프로세스 결과를 차량(1)에 전달함으로써, 차량(1)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키 제어부(250)는 음성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 받은 음성 명령에 대해 각종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키 제어부(250)의 메모리에는 음성 명령으로부터 음성인식 결과, 및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도출하는 음성인식 엔진이 기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인식 엔진이 차량용 키(200)에 저장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1) 등과 같은 외부 기기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음성인식 엔진을 통한 음성인식 기능은 키 제어부(250) 및 외부 기기 중 어느 하나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키 제어부(250) 및 외부 기기가 분담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키 제어부(250)가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키 제어부(250)는 음성인식 엔진을 통해 음성 입력부(230)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음성인식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또한 도출 가능하다. 일 예로, 음성 명령으로부터 도출된 음성인식 결과는 음성 파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명령은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 실행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 제어부(250)는 음성 명령,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를 차량(1)에 전달할 수 있으며, 차량(1)은 이를 기초로 차량(1)내 구성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키 제어부(250)는 차량용 키(200)가 키 홈(44)에 장착된지 여부, 및 서비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전술한 데이터의 전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키(200)는 다양한 방식에 따라 차량(1)과 연결될 수 있다. 차량용 키(200)와 차량(1) 간에는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차량용 키(200)는 엑세스 포인트(S1) 및 사용자 단말(300) 중 어느 하나를 거쳐 차량(1)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차량용 키(200)는 경우에 따라 엑세스 포인트(S1) 및 사용자 단말(300) 중 어느 하나와, 서버(S3)를 거쳐 차량(1)과 연결될 수도 있는 등 제한은 없다.
차량용 키(200)가 키 홈(44)에 장착된 경우, 키 제어부(250)는 차량(1)의 단자(45)를 통해, 차량(1)과 직접적인 유선 통신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키 제어부(250)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음성 명령,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를 차량(1)에 전달할 수 있으며, 차량(1)은 이를 기초로 차량(1)내 구성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차량용 키(200)가 키 홈(44)에 미 장착된 경우, 키 제어부(250)가 차량(1)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서비스의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키(200)가 키 홈(44)에 미 장착되었으며 차량용 키(200)와 차량(1) 간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지 않은 경우, 키 제어부(250)는 경고음 출력, 공조 장치(151, 도 2)를 통한 온도 설정 등과 같이 기본적인 원격조작 서비스만이 제공되도록 하며, 이때의 동작 모드를 독립 모드라 하기로 한다. 다시 말해서, 독립 모드의 경우, 키 제어부(250)는 조작 버튼을 눌렀을 때와 같이 레이저 빔 등을 통한 간단한 제어 명령만을 차량(1)에 전달 가능하다.
차량용 키(200)가 키 홈(44)에 미 장착되었더라도 차량용 키(200)와 차량(1) 간에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경우, 키 제어부(250)는 통신망을 통해 차량(1)과 연동하여 전술한 원격조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키 제어부(250)는 통신망을 통해 차량(1)과 연동하여 목적지 설정, 현위치 등록, 음악 검색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전화 연결, 문자 전송 등과 같은 메신저 서비스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 기기 제어와 관련된 서비스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의 동작 모드를 연동 모드라 하기로 한다.
한편, 연동 모드일 때에도 통신 연결방식에 따라 서비스 유형은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서비스 유형은 복수의 서비스 모드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모드는 제1 내지 제3 서비스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비스 모드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차량용 키(200)와 차량(1) 간에 연결된 모드이며, 제2 서비스 모드는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차량(1)과 차량용 키(200) 간에 연결된 모드를 의미한다. 제3 서비스 모드는 차량용 키(200)가 키 홈(44)에 미 장착되었으며 외부 기기를 통해 차량(1)과 차량용 키(200) 간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의 모드를 의미한다.
제3 서비스 모드일 때에는 음성 명령,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에 관한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전송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빔 등을 통해 간단한 제어 명령 만을 전송하므로 암호화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서비스 모드의 경우, 사용자 단말에는 차량(1)과 차량용 키(200) 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안성이 인정되는 경우, 키 제어부(250)는 전술한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서비스 모드의 경우, 보안성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키 제어부(250)는 키 제어부(250)는 전술한 데이터에 대해 암호화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암호화 처리된 데이터를 엑세스 포인트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서비스 모드 또는 제3 서비스 모드의 경우, 키 제어부(250)는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키 제어부(250)는 외부 기기를 통해 음성 명령, 음성 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를 웹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단말 또는 차량(1)이 측정한 위치 데이터를 매핑시켜 업로드할 수도 있다.
제2 서비스 모드의 경우, 키 제어부(250)는 음성 명령, 음성 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비스 모드의 경우, 키 제어부(250)는 사용자 단말 및 차량(1)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디스플레이(101, 도 2) 상에 미러링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제한은 없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에는 차량용 키(200)가 장착될 수 있는 키 홈(44), 키 홈(44) 상에 장착된 차량용 키(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130),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는 음성 입력부(180),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 통신부(130), 각종 정보 또는 음악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143),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1), 클러스터(144), 및 차량(1) 내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키 홈(44), 디스플레이(101), 스피커(143), 및 클러스터(144)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차량 통신부(130), 및 차량 제어부(140)는 차량(1) 내에 별개로 마련되거나 또는 차량용 키(200)에 마련된 하나의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에 집적되어 마련될 수 있는 등, 구현 가능한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충전부(130)는 차량용 키(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충전부(130)는 유선 충전방식 또는 무선 충전방식 등과 같이, 기 공지된 다양한 충전방식 통해 차량용 키(2000)의 전원부(220)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무선 충전방식에 따라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 충전부(130)는 차량용 키(200)의 전원부(220)에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키 홈(44)의 일 면에는 단자(45)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부(130)는 단자(45)를 통해 키 홈(44)에 장착된 차량용 키(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차량 통신부(130)는 외부 기기와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차량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모듈, 및 유선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모듈, 및 유선 통신모듈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하였는바 생략하도록 한다.
차량 통신부(130)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용 키(200)로부터 음성 명령,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차량용 키(200)가 입력 받은 음성 명령, 음성 명령으로부터 도출된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제한은 없다.
차량(1)에는 차량 내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40)는 MCU 등과 같이 각종 연산 처리가 가능한 프로세서 및 차량(1) 내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각종 제어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40)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통해 차량(1)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40)는 차량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한 음성 명령, 음성 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차량(1)의 구성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101) 및 스피커(143)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동영상 등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차량 제어부(140)는 AVN 단말(100, 도 2), 디스플레이(101), 및 스피커(143)를 제어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40)는 전술한 키 제어부(250)의 기능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키 제어부(250)의 기능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키와 차량의 동작 흐름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키의 장착 여부, 및 서비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 내 기기들은 기기 별로 동작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정격이 다를 수 있다. 이때, 차량 내 기기들의 정격을 어느 정도 통일시켜, 특정 상황에서는 차량 내 기기 중에서 일부 기기만이 동작하거나 또는 차량 내 모든 기기가 동작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차량 내 기기들 별로 요구되는 정격, 즉 전원조건은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조건은 IGN 1(Ignition 1), IGN 2(Ignition 2), ACC(Accessory), B+(Battery +), ST(Start) 및 오프(OFF)로 분류될 수 있다. IGN 1은 시동과 운행에 필요한 전원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IGN 1은 엔진, 오토미션, 브레이크 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조건에 해당한다. 또한, IGN 2는 차량 운행에 부수적으로 필요한 장치들의 전원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IGN 2는 와이퍼, 공조장치, 썬루프 등의 전원조건에 해당한다.
또한, ACC는 탑승객들의 편의를 위해 내장된 기기들의 전원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CC는 오디오, 시거잭, 충전부, 음성 입력부 등의 전원조건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AVN 단말, 디스플레이, 차량 통신부, 스피커 등의 기기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조건을 의미한다.
또한, ST는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한 전원조건을 의미한다. 또한, B+는 상시 전원으로 공급되는 전원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실내 등과 같이 어느 때나 동작이 요구되는 기기들은 B+의 전원조건에 해당한다. 각각의 전원조건에 대응하는 전압, 및 전류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조건 ACC가 온(ON) 되면(800), 차량은 단자를 통해 차량용 키가 키 홈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805). 차량용 키가 키 홈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은 음성인식 엔진이 내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810). 차량에 음성인식 엔진이 내장되어 있으면, 차량은 장착된 차량용 키의 음성 입력부와, 차량에 내장된 음성 입력부를 듀얼 마이크로써 동작시킬 수 있다(815). 또한, 차량에 음성인식 엔진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은 장착된 차량용 키의 음성 입력부를 싱글 마이크로 동작시켜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820).
한편, 차량용 키가 키 홈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용 키는 차량용 키의 음성 입력부가 활성화되도록 한다(825). 다시 말해서, 차량용 키는 차량용 키의 음성 입력부가 활성화시켜, 음성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대기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직접 차량용 키에 마련된 조작 버튼을 눌러 대기 상태로 전환시킬 수도 있는 등 제한은 없다.
음성 입력부가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용 키는 차량과의 연결 방식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키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830).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용 키는 서비스 모드를 제1 서비스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835).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지 않은 경우, 차량용 키는 통신망을 통해 엑세스 포인트와 연결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840). 통신망을 통해 엑세스 포인트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용 키는 서비스 모드를 제2 서비스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845). 사용자 단말과 엑세스 포인트 등 외부 기기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용 키는 서비스 모드를 제3 서비스 모드, 즉 독립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850).
서비스 모드 설정이 완료되면, 음성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대기 상태로써(855), 차량용 키는 설정된 서비스 모드에 따라, 입력 받은 음성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860).
예를 들어, 차량용 키는 서비스 모드에 따라 음성 명령으로부터 도출된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차량용 키는 서비스 모드에 따라 전술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차량, 10: 대시보드, 11: 센터페시아
12: 스티어링 휠, 13: 헤드라이닝
21: 운전석, 22: 조수석
40: 센터 콘솔, 41: 기어조작 레버
42: 트레이, 43: 센터 입력부
80: 차체, 81: 후드, 82: 프런트 휀더
84: 도어, 85: 트렁크 리드, 86: 쿼터 패널
87: 프런트 윈도, 88: 사이드 윈도
90: 리어 윈도, 91, 92: 사이드 미러
100: 내비게이션 단말, 101: 디스플레이, 102: 내비게이션 입력부
110: 영상정보 획득장치, 143: 스피커, 144: 클러스터
153: 통풍구, 180: 음성 입력부

Claims (20)

  1.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는 음성 입력부; 및
    차량의 키 홈에 장착 여부, 및 서비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명령으로부터 도출된 음성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키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키 홈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성 입력부와 상기 차량에 마련된 음성 입력부를 연동시켜 듀얼 마이크로써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보안등급을 결정하는 차량용 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제어부는,
    상기 결정한 보안등급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암호화 프로세스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차량용 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명령으로부터 도출된 음성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전달방식을 결정하는 차량용 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키 홈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성 입력부를 싱글 마이크로 동작시키는 차량용 키.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제어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와, 상기 차량에 마련된 음성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빔포밍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키.
  8.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는 음성 입력부;
    차량용 키를 통해 입력 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음성 명령,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차량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키가 키 홈에 장착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차량의 키 홈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성 입력부와 상기 차량용 키에 마련된 음성 입력부를 연동시켜 듀얼 마이크로써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차량.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 및 상기 차량용 키에 마련된 음성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는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계산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위치를 기초로 빔포밍을 수행하는 차량.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키가 키 홈에 장착된지 여부 및 서비스 유형에 따라 상기 음성 명령,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에 대해 복호화 프로세스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차량.
  13. 삭제
  14.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차량의 키 홈에 장착 여부, 및 서비스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명령으로부터 도출된 음성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키 홈에 차량용 키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용 키에 마련된 음성 입력부와 상기 차량에 마련된 음성 입력부를 연동시켜 듀얼 마이크로써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보안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한 보안등급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암호화 프로세스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명령으로부터 도출된 음성인식 결과, 및 상기 음성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전달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키 홈에 상기 차량용 키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에 마련된 음성 입력부를 싱글 마이크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키의 제어방법.
  19. 삭제
  20. 차량용 키가 차량의 키 홈에 장착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용 키가 상기 차량의 키 홈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에 마련된 음성 입력부와 상기 차량용 키에 마련된 음성 입력부를 연동시켜 듀얼 마이크로써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차량의 키 홈에 상기 차량용 키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에 마련된 음성입력부를 싱글 마이크로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듀얼 마이크 또는 상기 싱글 마이크를 통해 입력 받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관한 음성 명령, 음성인식 결과, 및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70072357A 2017-06-09 2017-06-09 차량용 키,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35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57A KR102352560B1 (ko) 2017-06-09 2017-06-09 차량용 키,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5/785,882 US10407027B2 (en) 2017-06-09 2017-10-17 Vehicle ke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key an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57A KR102352560B1 (ko) 2017-06-09 2017-06-09 차량용 키,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27A KR20180134527A (ko) 2018-12-19
KR102352560B1 true KR102352560B1 (ko) 2022-01-19

Family

ID=6456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357A KR102352560B1 (ko) 2017-06-09 2017-06-09 차량용 키,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07027B2 (ko)
KR (1) KR102352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7975B2 (en) * 2018-02-20 2021-05-04 Dsp Group Ltd. Enhanced vehicle key
JP7186375B2 (ja) * 2018-03-29 2022-1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方法および音声処理システム
CN109658929A (zh) * 2018-12-17 2019-04-19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车载语音识别方法、装置及车机端
CN110176232B (zh) * 2019-04-01 2021-11-05 广州市安路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尾门声控电路及其控制方法
US11348578B2 (en) * 2019-07-22 2022-05-31 Nanning Fulian Fugui Precision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controller to avoid loss of function through a low voltage condition, remote controller device,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DE102021111176A1 (de) 2021-04-30 2022-11-03 Cariad Se 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Fahrzeugfunk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1550A1 (en) * 2002-06-13 2003-12-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Personalized key system for a mobile vehicle
US20040119580A1 (en) * 2002-12-20 2004-06-24 Lear Corporation Remote keyless entr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ing voice commands
US20050277438A1 (en) * 2004-05-21 2005-12-15 Tilk Jason G Integrated key artifact
KR101491354B1 (ko) * 2013-11-25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성인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099A (ko) 2008-12-30 2010-07-08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카드가 탑재되는 차량
KR101084648B1 (ko) * 2010-04-30 2011-11-17 주식회사 일흥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음성으로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
US9002536B2 (en) * 2013-03-14 2015-04-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ey fob security copy to a mobile phone
US9619645B2 (en) 2013-04-04 2017-04-1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Authentication for recognition systems
US9184252B2 (en) 2013-11-15 2015-11-1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Flash memory embedded with HKMG technology
TWI581992B (zh) 2014-11-26 2017-05-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智慧鑰匙系統
US10249123B2 (en) * 2015-04-09 2019-04-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phone key fob management
KR101618010B1 (ko) 2015-07-08 2016-05-03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차량의 웨어러블 스마트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1550A1 (en) * 2002-06-13 2003-12-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Personalized key system for a mobile vehicle
US20040119580A1 (en) * 2002-12-20 2004-06-24 Lear Corporation Remote keyless entr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ing voice commands
US20050277438A1 (en) * 2004-05-21 2005-12-15 Tilk Jason G Integrated key artifact
KR101491354B1 (ko) * 2013-11-25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성인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54461A1 (en) 2018-12-13
US10407027B2 (en) 2019-09-10
KR20180134527A (ko)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2560B1 (ko) 차량용 키,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0630651B2 (en) Vehicl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713937B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CN109131217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US10269246B2 (en) Vehicle locator and guide
CA2930825C (en) Remotely operating a movable barrier operator with auxiliary device
US20190050124A1 (en) Vehicle based trainable transceiver and authentication of user
US20160159200A1 (en) Avn terminal,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CN105163974A (zh) 具有分离的显示单元的机动车信息娱乐***
KR101736109B1 (ko) 음성인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7182035A (zh) 使用基于位置的服务的无线车辆充电通信***和方法
KR102459537B1 (ko) 차량의 도어 개방 장치 및 그 방법
CN111683349A (zh) 车载设备、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101707823B1 (ko) 차량 연결 단말기, 차량, 이들을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연결 방법
US20170255339A1 (en) Primary-connected device control from vehicle computing platforms and secondary-connected devices
US8666464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for supporting a communication system
CN111954202A (zh) 运动物体和操作运动物体的方法及边缘计算***
KR101657654B1 (ko) Avn 단말, 이를 포함하는 차량, 사용자 단말,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200008267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80006127A (ko) 차량, 이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및 차량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80040820A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102030019B1 (ko) Avn 기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시스템 장치
KR20170070461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20230322251A1 (en) Terminal and server communicating therewith
KR101696594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