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105B1 - 화장 지속력이 개선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 지속력이 개선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105B1
KR102350105B1 KR1020190058254A KR20190058254A KR102350105B1 KR 102350105 B1 KR102350105 B1 KR 102350105B1 KR 1020190058254 A KR1020190058254 A KR 1020190058254A KR 20190058254 A KR20190058254 A KR 20190058254A KR 102350105 B1 KR102350105 B1 KR 102350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amodimethicone
mascara
trimethylsiloxysilicate
mascara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547A (ko
Inventor
권순식
여세원
김정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90058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105B1/ko
Priority to JP2021568345A priority patent/JP2022533356A/ja
Priority to CN201980096320.2A priority patent/CN113811285A/zh
Priority to PCT/KR2019/012902 priority patent/WO2020235752A1/ko
Publication of KR2020013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케라틴 섬유(모발/속눈썹) 부착력이 높으며 균일한 표면을 형성하고, 컬링 유지력이 높고 번짐이 적은 효과를 낼 뿐만 아니라, 클렌징 또한 용이한 마스카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 지속력이 개선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Mascar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akeup Persistence}
본 발명은 화장 지속력이 개선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포함하여, 번짐을 억제하면서 클렌징 효과, 컬링 유지력을 개선시킨,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는 눈썹 위에 도포하여 속눈썹을 풍성하게 끌어올려 눈매를 또렷하게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초기의 마스카라는 스테아린산 나트륨과 카본 블랙을 혼합한 고형상으로 물에 적신 솔을 사용하여 도포하는 형태였으나, 현재에는 식물성의 에스터계 왁스나 하이드로카본계 왁스를 적절한 가소력을 지닌 안전성이 높은 폴리머와 혼합하여 유화하는 형태이다. 이는 유화 제형의 마스카라가 볼륨력, 컬링력, 지속성 등 마스카라 본연의 기능을 부여하기에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더 길고 더 두꺼운 속눈썹을 원하는 소비자는 전통적으로 본래 속눈썹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용되는 인조 속눈썹의 사용, 또는 비싼 속눈썹 연장에 의지하였다. 대안으로서, 다양한 마스카라 제품이 인기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속눈썹은 임의의 유형의 볼륨 마스카라가 이를 보다 극적으로 보이게 하기에는 너무 숱이 적다. 다른 한편으로는, 심지어 숱이 많은 속눈썹을 가진 여성도 그들이 선호하는 마스카라를 사용하여 원하는 화장효과보다 더 강렬한 결과를 원할 수 있다. 마스카라 제품이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특색은 뭉치거나 또는 가루로 떨어지지 않고 더 풍성한 외관을 갖는 속눈썹을 가지며 속눈썹을 어둡게 하고, 두껍게 하고, 길게 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또한, 제품은 물- 및/또는 번짐-저항성이나, 제거하기에는 어렵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품 산업은 섬유, 왁스 및/또는 벌킹 또는 필러 작용제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였으나; 제형의 가공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또는 브러시에 제품을 적재하는 것 및 브러시에서 속눈썹으로 제품을 전달하는 것 둘 다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제제에 첨가될 수 있는 이러한 성분의 양에 제한이 있다. 번짐 개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속눈썹, 눈썹에 더 잘 부착될 화장품 조성물을 제제화할 필요가 계속해서 존재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번짐이 개선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함께 사용할 경우 제형이 안정적이면서도 번짐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13617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컬링 유지력과 번짐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마스카라 제품 도포 후 뭉침 개선, 번짐이 개선된 것, 즉 전이를 억제하면서 속눈썹, 눈썹에 컬링 유지력을 개선하여 부착력을 개선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은 피막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속성을 개선하기 위해 실리콘의 일종인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또는/및 로진산계 수지를 개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유분에 의한 번짐개선이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또한, 사용감에서 끈적이거나 피막이 건조된 후 잘 부셔져 마스카라가 눈 밑에 가루형태로 떨어지는 경우가 있었고 해당원료를 과량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건조속도가 느리거나 세정에 어려움을 겪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유효성분으로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아모디메치콘의 친수성을 띄는 아민기로 유분에 대한 저항성을 가질 수 있어 화장 지속성 및 번짐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속눈썹 부착력을 증가하기 위해서 정전기적 힘을 이용하였다. 음이온성 속눈썹에서 양이온 폴리머 및 바인딩 폴리머를 사용하여 분체의 부착력을 개선하여 속눈썹의 볼륨감 및 화장효과를 극대화 하였다. 하지만, 정전기적 힘을 사용해서 속눈썹에 부착력을 증가 시켰더라도 입자성 물질의 경우 쉽게 떨어질 수 있고, 눈밑 번짐 및 가루날림을 야기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유효성분으로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비휘발성 오일인 아모디메치콘의 아민기는 케라틴 물질 즉, 속눈썹(Eye lash)의 약산성 표면에서 '이온성 인력'에 의해 강하게 상호작용하게 함으로써 속눈썹 부착력이 우수한 피막이 형성되어 피막 부착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유효성분으로 동시에 포함하여 내유성, 내피지성 및 속눈썹에 부착력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조건에 사용된 유상 피막제인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폴리 디메틸 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에서 유래되어 제조된 피막제(고분자/레진)가 될 수 있으며, polydimethylsiloxane 계열의 피막제(고분자/레진)와 혼합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서 아크릴 레이트/디메티콘공중합체(Acrylates/Dimethicon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폴리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POLYTRIMETHYLSILOXYMETHACRYLATE COPOLYMER), 디메티콘/실세스퀴옥산공중합체( dimethicone/silsequioxane copolymer),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SILICATE) (and)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 아크릴레이트/디메티콘공중합체(ACRYLATES/DIMETHICONE COPOLYMER), 비스-비닐다이메콘/다이메티콘 공중합체 C24-28 알킬디메틸 실록시 트리메틸 실록시 실리케이트(BIS-VINYL DIMETHICONE/DIMETHICONE COPOLYMER C24-28 Alkyldimethylsiloxy Trimethylsiloxysilicate), 시칠디메틸실록시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Cetyldimethylsiloxy Trimethylsiloxysilicate), 다이메치콘/비닐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교차중합체(Dimethicone/Vinyltrimethylsiloxysilicate Crosspolymer), 폴리메틸/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Polymethylsilsesquioxane/Trimethylsiloxysilicate), 폴리 페닐 실 세스 퀴옥산/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Polyphenylsilsesquioxane/Trimethylsiloxysilicate), 트리 플루오르 프로필디메틸/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Trifluoropropyldimethyl/trimethylsiloxysilicate,Trimethylsiloxysilicate),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silicate/Dimethicone Crosspolymer),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치콘 교차중합체 (Trimethylsiloxysilicate/Dimethiconol Crosspolymer), 비닐디메틸/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Vinyldimethyl/Trimethylsiloxysilicate), 비닐디메틸/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치콘교차중합체(Vinyldimethyl/Trimethylsiloxysilicate/Dimethicone Crosspolymer), 비닐디메틸/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스테아릴디메치콘교차중합체(Vinyldimethyl/Trimethylsiloxysilicate Stearyl Dimethicone Crosspolymer)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그 함량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1 내지 30중량%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3 내지 20중량% 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5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의 함량이 낮을 경우 피막 성질이 약할 수 있어 속눈썹상에 피막제가 형성 되지 않을 수 있고, 함량이 높을 경우 잘 지워 지지 않아 클렌징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모디메치콘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아모디메치콘 유도체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혼합사용 하여도 상관 없다. 예를 들어서 아세트 아미도 아미노 디메치콘(Acetamidoamodimethicone), 아크릴레이트/옥틸아크릴아미드/디페닐아미도메티콘공중합체(Acrylates/Octylacrylamide/Diphenyl Amodimethicone Copolymer), 아모디메치콘 글리세로카바메이트(Amodimethicone Glycerocarbamate), 아모디메치콘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Amodimethicone Hydroxystearate), 아모디메치콘/모르폴리실메틸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Amodimethicone/Morpholinomethyl Silsesquioxane Copolymer), 아모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Amodimethicone/Silsesquioxane Copolymer), 비스-부틸옥시디메치콘/PEG-60 공중합체(Bis-Butyloxyamodimethicone/PEG-60 Copolymer), 비스(C13-15알콕시) 하이드록시부타미도아모디메치콘(Bis(C13-15 Alkoxy) Hydroxybutamidoamodimethicone), 비스(C13-15알콕시) PG-아모디메치콘(Bis(C13-15 Alkoxy) PG-Amodimethicone), 비스-세테아릴아모디메치콘(Bis-Cetearyl Amodimethicone), 비스-하이드록시/메톡시아조디메티콘(Bis-Hydroxy/Methoxy Amodimethicone), 비스이소부틸PEG-14/아모디메티콘 공중합체(Bis-Isobutyl PEG-14/Amodimethicone Copolymer), 비스-이소부틸PEG-15/아모디메티콘 공중합체(Bis-Isobutyl PEG-15/Amodimethicone Copolymer), 비스-이소부틸PEG/PPG-20/35/아모디메티콘 공중합체(Bis-Isobutyl PEG/PPG-20/35/Amodimethicone Copolymer), 부톡시PEG-4 PG-아모디메티콘(Butoxy PEG-4 PG-Amodimethicone), 세틸아모디메티콘(Cetyl Amodimethicone), 디페닐아미도메티콘(Diphenyl Amodimethicone), 디소디움 아모디메티콘 디숙신아미드(Disodium Amodimethicone Disuccinamide), 글루콘아미도메티콘(Gluconamido Amodimethicone), 2-하이드록시프로필카바마토아모디메티콘(2-Hydroxypropylcarbamato Amodimethicone), 메톡시아조디메티콘/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Methoxy Amodimethicone/Silsesquioxane Copolymer), PEG-7아모디메티콘(PEG-7 Amodimethicone), PEG-8아모디메티콘(PEG-8 Amodimethicone), 퍼플루오닐 디메티콘/메티콘/아모디메티콘가교중합체(Perfluorononyl Dimethicone/Methicone/Amodimethicone Crosspolymer), PCG-아모디메티콘(PG-Amodimethicone), 트리데세스-9 PG-아모디메티콘(Trideceth-9 PG-Amodimethicone), 트리메틸실록시모디메티콘(Trimethylsiloxyamodimethicone)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그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1 내지 10중량%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 내지 5중량%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4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아모디메치콘의 함량이 낮을 경우 속눈썹과 부착력 및 유분의 저항성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함량이 높을 경우 뭉침현상 및 아민 취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은 혼합 사용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중량비에 따라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내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95:5 내지 70:30 비율 (w/w)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94:6 내지 80:20 비율 (w/w), 또는 93:7 내지 85:15 비율 (w/w) 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10:2의 중량비로 실험하였고, 다른 실시예 에서는 85:15(w/w) 일 때 번짐이 가장 현저하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 외에도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기 위한 다른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매로서 아이소도데케인(ISODODECANE), 왁스로서 세레신(CERESIN),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MICROCRYSTALLINE WAX),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사이클로펜타디엔(HYDROGENATED POLYCYCLOPENTADI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카나우바 왁스(COPERNICIA CERIFERA (CARNAUBA) WAX), 토코페놀(TOCOPHEROL), 칸데릴라왁스(EUPHORBIA CERIFERA(CANDELILLA) WAX), 파라핀 왁스(PARAFFIN), 비즈왁스(BEESWAX) 기타 합성 왁스(SYNTHETIC WAX) 및 천연왁스등이 있으며, 방부제로서 카프릴 글리콜(CAPRYLYL GLYCOL), 1,2-HEXANEDIOL, AMINOMETHYL PROPANEDIOL, 분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탈크(TALC), 점증제로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타이렌/이소프렌코폴리머(HYDROGENATED STYRENE/ISOPRENE COPOLYMER), 탈포제로서 시메티콘(SIMETHICONE), 분체의 분산성 향상을 위해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을 배합하여 컬링을 유지하면서도 번짐이 개선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일 성분으로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또는 디메치콘 등과 같은 휘발성이 좋은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휘발성이 있는 용매를 사용하므로 마스카라 도포 후 건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총 중량대비 30 내지 80 중량%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왁스는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일 성분으로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파라핀왁스,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사이클로펜타디엔, 폴리에틸렌, 카나우바 왁스, 칸다렐라 왁스 등과 같이 하이드로계 혹은 에스터계류의 왁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을 잡아주는 동시에 화장효과 연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따. 또한, 화장지속력 및 사용감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총 중량대비 5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부제는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일 성분으로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카프릴 글리콜 또는 에칠핵실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어 외부로부터 화장품을 오염시키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제품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총 중량대비 0.01 내지 1 중량%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증제는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일 성분으로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타이렌/이소프렌코폴리머, 덱스트린팔미테이트/에칠헥사노에이트, 폴리아마이드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저점도를 부여하여 내용물이 피부에 흐르지 않게 하여 사용시 보다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감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총 중량대비 1 내지 15 중량%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탈포제는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일 성분으로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시메티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포제는 기포의 표면장력을 변화시켜 기포가 융합될 수 있도록 하는 기포의 탈포제로 작용 될 수 있다. 상기 탈포제는 총 중량대비 0.01 내지 1 중량%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체는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일 성분으로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구상 분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 크로스폴리머, 판상분체로서 탈크 또는 디메티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상분체는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판상분체는 속눈썹에 부착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상분체의 중량이 0.1중량% 내지 5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판상분체는 0.1중량% 내지 20중량%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컬링 유지력 상승 및 번짐 개선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영양성분, 산화방지제, 색소와 같은 통상의 마스카라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케라틴 섬유(속눈썹/모발)에 부착력이 높으며 균일한 표면을 형성하고, 컬링 유지력이 높고 뭉침 및 번짐이 적은 효과를 낼 뿐만 아니라, 클렌징 또한 용이함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 및 실험예 3의 피막손상 후 무게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1 및 실험예 3의 외부 마찰에 의해 손상된 피막 표면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실험예 3의 컬링감소율,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의 번짐 면적, 번짐 세기, 제형 안정성, 인공피지에 의한 번짐을 확인한 표 및 사진이다.
도 4는 트리메틸실로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다양한 혼합비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번짐을 확인한 사진 및 표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화장 지속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과 함량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예1 내지 실험예 3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표 1의 1번 내지 6번의 원료를 85℃에서 완전히 용해 시킨 후 하기 표 1의 7번 원료를 투입하고 완전히 분산시켰다. 그 이후에 8번 내지 11번의 원료를 순서대로 원료를 투입 후 탈포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조성 실험예1 실험예2 실험예3
1 용매 이도데칸(ISODODECANE) 53.6 53.6 53.6
2 피막제성분 트리메틸 실록시 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SILICATE) 12 0 10
3 피막제성분 아모디메치콘(AMODIMETHICONE) 0 12 2
4 왁스성분 세린(CERESIN) 11.5 11.5 11.5
5 방부목적 카프릴 글리콜(CAPRYLYL GLYCOL) 0.2 0.2 0.2
6 점증제 수소화 스티렌(HYDROGENATED STYRENE)/이소프렌 공중합체(ISOPRENE COPOLYMER) 2 2 2
7 점증제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7 7 7
8 분산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2.3 2.3 2.3
9 색재(안료) 철 산화물(IRON OXIDES(CI 77499)), 트리에톡시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4 4 4
10 분체 탈크(TALC), 디메치콘(DIMETHICONE) 7 7 7
11 탈포제 시메티콘(SIMETHICONE) 0.4 0.4 0.4
실시예 1: 마스카라 속눈썹 부착성 확인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이 속눈썹에 부착되는 부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로 제조된 실험예 1 및 실험예 3을 모발에 도포하여 외부마찰 후 무게 변화 및 표면손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속눈썹과 유사한 모발에 상기 실험예 1 및 실험예 3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외부마찰을 가하여 초기 대비 모발에서 도포된 마스카라 무게 및 표면 손상을 비교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조예로 제조된 실험예 2는 아모디메치콘 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끈적임 및 샘플이 뭉치는 현상으로 인해 제형이 불안정하여 실험이 어려웠기 때문에, 최종 실험에서는 제외하였다.
그 결과, 상기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유효성분으로 모두 포함한 실험예 3의 경우, 모발부착력이 증가하여서 외부 마찰에도 표면 손상 없이 균일한 표면을 형성하고, 마스카라 내용물이 잘 떨어지지 않아서 무게 변화량이 적었다. 실험예 1의 경우, 외부마찰에 의해 손상된 표면이 관찰되었고, 무게 또한 실험예 3 보다 변화량이 큰 것을 확인 하였다(도 1 내지 도 2).
따라서,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유효성분으로 모두 포함한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눈썹 및 속눈썹에 부착력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컬링감소율 평가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의 컬링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나이론 파이버에 상기 제조예로 제조된 실험예 3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고 나이론 파이버의 일정각도 변화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나이론 파이버에 일정각도를 형성 후, 실험예 3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동일한 횟수로 도포하고 6시간 후 나일론 파이버의 각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3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동시에 함유한 실험예 3은 컬링 감소율이 -10.25%이다. 상기 실험예 3의 컬링 감소율 값은 -20%이내의 감소율 이므로 우수한 컬링유지력 임을 확인할 수 있다(도 3).
따라서,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유효성분으로 모두 포함한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컬링 유지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번짐 테스트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의 번짐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로 제조된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유리 위에 도포하고 인공피지와 반복운동 이후 번짐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피막을 유리글라스 위에 도포 건조 후, 인공피지를 0.2g 떨어트려 습윤하였다. 피막 위에 흰 종이를 올리고 200g 무게 추를 올리고 30회 반복 운동 후, 흰색종이에 묻어난 마스카라 피막에 대해서 색차계(L값) 및 면적을 계산하였다.
도 3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를 단독으로 포함한 실험예 1 및 아모디메치콘을 단독으로 포함한 실험예 2 보다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동시에 함유한 실험예 3이 보다 인공피지에 의한 번짐의 면적이 가장 작고 번짐 세기 또한 가장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3).
따라서,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유효성분으로 모두 포함한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눈밑으로 번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화장효과 테스트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의 화장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소비자 품평테스트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뭉침, 컬링, 롱래쉬, 균일성, 컬 처짐, 가루날림, 번짐, 화장유지력, 클렌징을 소비자 품평 테스트를 통해 최종 점수를 매기고 실험예 2의 경우 끈적임 및 샘플의 뭉침현성으로 인해 제형 안정성에 불안정성을 보여, 실험예 1과 실험예 3을 비교실험을 하였다.
상기 제조예로 제조된 실험예 2는 아모디메치콘 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끈적임 및 샘플이 뭉치는 현상으로 인해 제형이 불안정하여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항목 실험예 1 실험예 3
뭉침 3.42 4.44
컬링 3.36 4.00
롱래쉬 3.62 3.60
균일성 3.50 3.89
컬 처짐 3.92 4.10
가루날림 4.67 4.83
번짐 3.98 4.42
화장유지력 4.02 4.50
클렌징 3.5 3.89
최종점수 3.88 4.12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In vivo 평가 결과, 실험예 1에 비해 실험예 3의 샘플은 균일하며 뭉침없이 컬링 및 롱래쉬 화장효과를 부여하였고, 실험예 3이 화장지속성 측면(컬 처짐, 가루날림, 번짐, 화장유지력)에서 우수한 결과를 얻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예 1과 같이 유분산 피막제의 성분의 함량이 높으면 클렌징이 어려운 단점이 있는데 아모디메치콘의 친수부가 도입된 실험예 3은 물이 피막사이로 침투되기 쉬워 클렌징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유효성분으로 모두 포함한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지속력이 개선되고 화장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트리메틸메톡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 혼합비에 따른 번짐 개선 효과 테스트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비에 따른 번짐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번짐세기, 번짐면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의 비율을 하기 도 4과 같이 다양한 비율로 넣고 용해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트리메틸실로시실리케이트 또는 아모디메치콘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번짐이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트리메틸실로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의 비율이 93:7부터 번짐 개선 효과가 나타나며 85:15 비율에서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도 4).
따라서, 본 발명의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유효성분으로 모두 포함한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의 비율은 약 95:5 내지 75:25 비율에서 가장 우수한 번짐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을 유효성분으로 모두 포함한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번짐이 줄어들어 개선되고 컬링 유지력 향상 및 뭉침이 줄어들어 개선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아모디메치콘;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80%의 휘발성 오일; 및 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로,
    상기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번짐이 개선되는 것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눈썹 또는 속눈썹용인 것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컬링 유지력이 개선되는 것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뭉침이 개선되는 것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는 총 조성물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것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모디메치콘은 총 조성물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아모디메치콘은 95:5 내지 70:30 비율 (w/w)로 포함되는 것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왁스, 방부제, 점증제, 탈포제 및 색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58254A 2019-05-17 2019-05-17 화장 지속력이 개선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2350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254A KR102350105B1 (ko) 2019-05-17 2019-05-17 화장 지속력이 개선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JP2021568345A JP2022533356A (ja) 2019-05-17 2019-10-02 化粧持続力が改善されたマスカラ化粧料組成物
CN201980096320.2A CN113811285A (zh) 2019-05-17 2019-10-02 化妆持久力得到改善的睫毛膏化妆料组合物
PCT/KR2019/012902 WO2020235752A1 (ko) 2019-05-17 2019-10-02 화장 지속력이 개선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254A KR102350105B1 (ko) 2019-05-17 2019-05-17 화장 지속력이 개선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547A KR20200132547A (ko) 2020-11-25
KR102350105B1 true KR102350105B1 (ko) 2022-01-11

Family

ID=7345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254A KR102350105B1 (ko) 2019-05-17 2019-05-17 화장 지속력이 개선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533356A (ko)
KR (1) KR102350105B1 (ko)
CN (1) CN113811285A (ko)
WO (1) WO20202357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73876B (zh) * 2022-11-25 2023-12-05 宁波爱诗化妆品有限公司 一种油性眼线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5941A1 (en) * 2002-09-12 2005-12-01 Mateu Juan R Water-resistant mascara composition having a high water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617B1 (ko) 2004-05-21 2005-09-09 주식회사 태평양 마스카라 조성물
CN101980686A (zh) * 2008-03-04 2011-02-23 雅芳产品公司 赋予超疏水性薄膜的化妆品组合物
KR20150108193A (ko) * 2014-03-17 2015-09-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겔 타입의 아이라이너 조성물
JP6871261B2 (ja) * 2015-11-17 2021-05-12 イーエルシー マネージメント エルエルシー マスカラ組成物および方法
US20170135946A1 (en) * 2015-11-17 2017-05-18 Avon Products, Inc. Moldable Composition for Keratin Fib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5941A1 (en) * 2002-09-12 2005-12-01 Mateu Juan R Water-resistant mascara composition having a high water conte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제목 "[포렌코즈-화장품 성분] 아이소도데케인(이소도 데칸, Isododecane)", 2016.11.18. 1부.*
제목 "퇴색억제 효과 피막형성 특성의 아미노변성 실리콘 에멀젼", 2019.05.16.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5752A1 (ko) 2020-11-26
KR20200132547A (ko) 2020-11-25
JP2022533356A (ja) 2022-07-22
CN113811285A (zh)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566B1 (ko) 화장료 제제
ES2732295T3 (es) Composiciones cosméticas con color, cómodas, de larga duración y resistentes a la transferencia
US20070014744A1 (en) Preparation, in particular cosmetic prepa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WO2001054660A1 (en) High gloss mascara
KR20170038265A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2089693A2 (en) Comfortable, long-wearing, transfer-resistant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high gloss and a non-tacky feel
JP6896059B2 (ja) 粘着性が改善された、高耐久性、耐移り性を有する化粧品組成物
KR102345708B1 (ko) 실리콘 레진 및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고광택 립 메이크업 조성물
KR20180118518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0105B1 (ko) 화장 지속력이 개선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WO2021222764A1 (en) Water-in-oil emulsions containing surfactant, silicone gum and/or latex, and siloxysilicate resin
KR20200001029A (ko) 왁스-프리 아이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0881B1 (ko) 입술 메이크업용 또는 입술 케어용 무광택 화장료 조성물
US11517518B2 (en) Two-step long-wear cosmetic system
KR102363134B1 (ko) 실리콘중수(w/s) 유화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
WO2021246273A1 (ja) 化粧料組成物
WO2021246275A1 (ja) 化粧料組成物
KR100715611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789775A (zh) 用于眼部化妆的包含纤维的固体化妆品组合物
WO2021246274A1 (ja) 化粧料組成物
KR20130060570A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20230136277A1 (en) Water-in-oil emulsions including surfactant, acrylic polymer and organosiloxane
US20230144849A1 (en) Water-in-oil emulsions including surfactant, water-soluble vinyl polymer and organosiloxane
WO2023099241A1 (en) Aqueous care and/or makeup composition comprising a fatty acid monoester, a neutralized anionic surfactant, a vp/eicosene copolymer, a semicrystalline polymer and a latex
KR20240056921A (ko)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