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691B1 -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691B1
KR102349691B1 KR1020140164249A KR20140164249A KR102349691B1 KR 102349691 B1 KR102349691 B1 KR 102349691B1 KR 1020140164249 A KR1020140164249 A KR 1020140164249A KR 20140164249 A KR20140164249 A KR 20140164249A KR 102349691 B1 KR102349691 B1 KR 102349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ing device
wearable computing
wireless communication
wor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263A (ko
Inventor
민정동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4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6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2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리 지정된 마스터 장치에 통신을 연결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을 감지하는 착용/미착용 감지부, 및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의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탐색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마스터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알람 출력과 잠금 상태 전환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POWER AND SECURITY MANAGING APPARATUS FOR A WEARABLE COMPU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미착용 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는 안경, 시계, 의복 등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사용자가 거부감 없이 신체의 일부처럼 항상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를 의미한다.
최근 액세서리형(시계, 안경)과 직물/의류일체형(센서 내장형 신발, 모자 등)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초기 시장이 형성 중이며, 향후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생체이식형의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로서, 마스터 장치(예 : 스마트폰)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전송되는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이 주로 수행되며,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서 상기 마스터 장치의 일부 기능을 원격 제어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슬레이브 장치(즉,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이 점차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마스터 장치에 대한 의존도는 점차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종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착용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마스터 장치와 지속적인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가 빠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배터리 소모를 조금이라도 더 절감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89011호(2009.08.21.공개, 웨어러블 컴퓨터 및 디바이스의 착용인식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미착용 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는, 미리 지정된 마스터 장치에 통신을 연결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을 감지하는 착용/미착용 감지부; 및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의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탐색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마스터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알람 출력과 잠금 상태 전환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착용 상태일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 상태일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부를 활성화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탐색되지 않거나 상기 마스터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지 않을 경우,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알람 정보를 팝업하거나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착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되어 잠금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정보 입력 화면, 무선 통신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착용 상태일 경우에 무선 통신 거리를 최소 거리까지 감소시키고,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 상태일 경우에 무선 통신 거리를 최대 거리까지 증가시키되, 상기 통신 거리는 RF(Radio Frequency) 파워의 제어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용/미착용 감지부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 시 인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를 인체에 착용시키기 위한 결합 장치의 풀림을 감지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방법은, 착용/미착용 감지부가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무선 통신부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의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탐색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마스터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알람 출력과 잠금 상태 전환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착용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활성화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만약 상기 마스터 장치가 탐색되지 않거나 상기 마스터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착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되어 잠금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정보 입력 화면, 무선 통신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착용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무선 통신 거리를 최소 거리까지 감소시키고,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무선 통신 거리를 최대 거리까지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신 거리는 RF(Radio Frequency) 파워의 제어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미착용 시 이를 감지하여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 될 경우 자동으로 알람 출력 및 잠금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분실을 방지하고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는, 무선 통신부(110), 착용/미착용 감지부(120), 제어부(130), 및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마스터 장치(예 : 스마트폰)(미도시)와 연결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블루투스,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공지 또는 공지되지 않은 임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통신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무선 통신부(110)의 RF(Radio Frequency) 파워를 제어하여 통신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가령 상기 통신 거리는 가깝게는 수 cm 에서 수십 m 까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착용/미착용 감지부(120)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을 감지한다.
상기 착용/미착용 감지부(120)는 인체 정보(예 : 체온 등)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미착용 감지부(120)는 압력(또는 눌림)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착용/미착용 감지부(120)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를 인체(예 : 손목)에 착용시키기 위한 결합 장치(예 : 손목 밴드, 시계 끈 등)의 풀림을 감지하는 센서(전기적 센서 or 기계적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착용/미착용 감지부(120)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인체에 착용되는지 혹은 미착용되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알람 정보를 팝업하거나 출력한다. 이때 상기 알람 정보는 사운드로 출력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사운드 알람 정보의 출력을 위한 사운드 출력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관련된 정보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착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되어 잠금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정보 입력 화면, 무선 통신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무선 통신부(110)의 활성화/비활성화 및 상기 무선 통신부(110)의 통신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의 활성화/비활성화 및 통신 거리의 제어를 통해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착용/미착용 감지부(120)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10)의 활성화/비활성화 및 통신 거리의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착용 상태일 경우에는 무선 통신부(110)를 슬립 상태(즉,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거나 무선 통신 거리를 최소 거리까지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 상태일 경우에는 무선 통신부(110)를 활성화 상태로 제어하거나 무선 통신 거리를 최대 거리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통신 거리는 마스터 장치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는 마스터 장치(미도시)에 대한 의존도가 약하기 때문에 착용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착용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예 : 목욕, 결합 장치 파손 등)에 상기 무선 통신부(110)가 강제로 활성화 상태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무선 통신부(11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마스터 장치(미도시)가 탐색되지 않을 경우(즉, 마스터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마스터 장치(미도시)가 탐색될 경우(즉, 마스터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를 미착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지 않은 상태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의 제어부(130)는, 착용/미착용 감지부(120)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를 감지한다(S101).
상기 감지(S101) 결과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착용 상태이면(S102의 예), 상기 제어부(130)는 무선 통신부(110)를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S103).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S104).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는 마스터 장치(미도시)에 대한 의존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 마스터 장치(미도시)와 지속적으로 무선 통신 연결 상태를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낮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는 주기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활성화시켜 상기 마스터 장치(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감지(S101) 결과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 상태이면(S1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30)는 강제로(즉, 인터럽트 방식으로)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S105).
상기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부(110)가 주기적 활성화 상태로 전환(S104)되거나 강제적 활성화 상태로 전환(S105)될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통신 범위 내에서 마스터 장치(미도시)를 탐색하여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S106).
그런데 상기 통신 연결 시도가 실패할 경우(또는 마스터 장치의 탐색이 실패할 경우)(S107의 예),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를 잠금 상태로 전환한다(S108).
상기와 같이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킨 후, 상기 제어부(130)는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통신 연결 시도가 성공할 경우(또는 마스터 장치의 탐색이 성공할 경우)(S107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지 않은 상태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미착용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110)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 상태에서는 무선 통신 거리를 최소 거리까지 감소시키고,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 상태일 경우에는 무선 통신 거리를 최대 거리까지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통신 거리는 마스터 장치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미착용을 감지하여 블루투스 무선 통신의 활성화나 통신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또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미착용 시 자동으로 알람 출력 및 잠금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분실을 방지하고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20 : 착용/미착용 감지부
130 : 제어부
140 : 표시부

Claims (12)

  1. 미리 지정된 마스터 장치에 통신을 연결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을 감지하는 착용/미착용 감지부; 및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의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탐색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마스터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알람 출력과 잠금 상태 전환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착용 상태일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 상태일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부를 활성화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마스터 장치가 탐색되지 않거나 상기 마스터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지 않을 경우,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알람 정보를 팝업하거나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착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되어 잠금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정보 입력 화면, 무선 통신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착용 상태일 경우에 무선 통신 거리를 최소 거리까지 감소시키고,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 상태일 경우에 무선 통신 거리를 최대 거리까지 증가시키되, 상기 통신 거리는 RF(Radio Frequency) 파워의 제어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미착용 감지부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 시 인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를 인체에 착용시키기 위한 결합 장치의 풀림을 감지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8. 착용/미착용 감지부가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무선 통신부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의 활성화 상태에서 마스터 장치가 탐색되는지 여부, 또는 상기 마스터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알람 출력과 잠금 상태 전환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착용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활성화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방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만약 상기 마스터 장치가 탐색되지 않거나 상기 마스터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착용/미착용 상태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착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되어 잠금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정보 입력 화면, 무선 통신의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착용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무선 통신 거리를 최소 거리까지 감소시키고, 상기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가 미착용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무선 통신 거리를 최대 거리까지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신 거리는 RF(Radio Frequency) 파워의 제어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방법.
KR1020140164249A 2014-11-24 2014-11-24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349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249A KR102349691B1 (ko) 2014-11-24 2014-11-24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249A KR102349691B1 (ko) 2014-11-24 2014-11-24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263A KR20160062263A (ko) 2016-06-02
KR102349691B1 true KR102349691B1 (ko) 2022-01-11

Family

ID=56135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249A KR102349691B1 (ko) 2014-11-24 2014-11-24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178B1 (ko) 2018-05-17 2023-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20139177A (ko) * 2021-04-07 2022-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정된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603308B1 (ko) * 2023-04-28 2023-11-17 ㈜코끼리말뚝박기 영유아 수면자세 측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0934A (ja) * 2012-12-17 2014-06-30 Casio Comput Co Ltd 携帯型電子装置、通信システム、報知動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052A (ko) * 2000-10-04 2002-04-13 송재인 무선 기기의 출력 자동 조정 방법
KR101592034B1 (ko) * 2009-11-12 2016-02-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휴대 단말 분실 방지 시스템, 휴대 단말, 및 메디컬 밴 장치
KR102171444B1 (ko) * 2013-04-22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0934A (ja) * 2012-12-17 2014-06-30 Casio Comput Co Ltd 携帯型電子装置、通信システム、報知動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263A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1562A1 (en) Proximity tag with multiple antennas
KR102349691B1 (ko)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의 전력 및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
EP3167559B1 (en) Methods of providing body area network communications when a user touches a button of a wireless electronic device, and related wireless electronic devices and wearable wireless electronic devices
KR102257688B1 (ko) 무선 충전 및 근거리 통신 겸용 송신 장치
US20160203398A1 (en) Sensor hierarchy
US1085406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abling sleep alarm based on automated wake detection
US9961636B2 (en) Electronic device system, terminal device, electronic device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CN110096860B (zh) 一种终端设备解锁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10033643A (ko) 블루투스 헤드 셋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110272A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의 센서 제어 방법
CN105324780B (zh) 用于控制rf通信的方法和通信装置
WO2022066170A1 (en) Proximity alert device and method
KR20140085952A (ko) 휴대단말기의 보안모드 변경 방법 및 장치
EP3244769B1 (en) Wristband for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 electroactive polymer
TW2011332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FM transceiver operation for a wireless computer mouse
US10045735B2 (en) Biofeedback sensors in a body area network
JP6614999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20170097622A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18524962A (ja) モバイル電源に基づく給電制御方法
US10447412B2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KR101887944B1 (ko) 이동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분실 방지 장치
WO2015162457A1 (en) Adaptive transmit power adjustment for phone in hand detection using wearable device
US20160018901A1 (en) Enabling data tracking without requiring direct contact
KR2017006691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KR102307092B1 (ko) 블루투스 헤드셋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