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903B1 -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903B1
KR102346903B1 KR1020210068247A KR20210068247A KR102346903B1 KR 102346903 B1 KR102346903 B1 KR 102346903B1 KR 1020210068247 A KR1020210068247 A KR 1020210068247A KR 20210068247 A KR20210068247 A KR 20210068247A KR 102346903 B1 KR102346903 B1 KR 102346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fire
information
floor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태
이명식
Original Assignee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8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초고층에서 대피에 영향을 미치는 유저의 이동 가능성 및 엘리베이터 등의 이동 수단, 그리고 재난 구조 설비의 상황 정보에 따라서 피해를 회소화하고 대피 및 구조에 최적화된 대피 경로를 각 유저별로 수립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초고층 빌딩에 층별로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 시, 화재 감지 결과가 생성된 화재 감지 센서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층을 감지한 경우, 대피 대상이 되는 유저들의 정보를 적어도 빌딩 내 층별로 설치된 통신 중개 수단과 연결된 유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화재 및 대피 인원 감지부; 수신된 유저들의 정보를 기준으로 파악된 각 층별 재실 인원 정보, 재실 인원 각각의 이동성을 평가한 이동성 정보 및 초고층 빌딩에 마련된 복수의 대피 장소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각 층별 재실 인원이 복수의 대피 장소로 이동하는 제1 경로 및 제1 경로로 이동 시 소요되는 제1 시간, 복수의 대피 장소에서 초고층 빌딩으로부터 탈출 가능한 탈출 층으로 이동하는 제2 경로 및 제2 경로로 이동 시 소요되는 제2 시간을 연산하되, 재실 인원별 이동성 정보를 고려하여 제1 경로, 제2 경로, 제1 시간 및 제2 시간을 연산하는 피난 정보 예측부; 피난 정보 예측부에 의하여 산출된 재실 인원별 제1 경로, 제2 경로, 제1 시간 및 제2 시간, 층별 재실 인원 정보, 탈출 층에 마련된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 가능한 탈출 임계 인원 정보 및 화재 발생 층을 기준으로, 각 재실 인원별로 차별화된 전용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를 생성하고, 재실 인원별 전용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를 재실 인원에 대응되는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피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User-customized evacuation system in case of fire in a skyscraper}
본 발명은 초고층 빌딩에서 화재의 발생 시, 초고층 환경에 맞춤화되고, 재실 인원인 유저에게 맞춤화된 대피 전략 수립 및 이를 이용한 대피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초고층에서 대피에 영향을 미치는 유저의 이동 가능성 및 엘리베이터 등의 이동 수단, 그리고 재난 구조 설비의 상황 정보에 따라서 피해를 회소화하고 대피 및 구조에 최적화된 대피 경로를 각 유저별로 수립하여 안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건물 및 숙박시설 등과 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의 경우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한 비상구가 설치되고, 이러한 비상구의 위치 및 방향을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판이나 알림 등이 해당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종래의 시스템은 건물 내의 모든 사람들이 빠르게 탈출구를 찾을 수 있도록 가까운 안내판 또는 승강기를 안내해 주어 탈출 최적 경로를 알려주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방법으로 탈출 최적 경로를 알려주는 것에는 두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 번째로, 비상구의 위치 및 방향을 알려주는 안내판을 향해, 또는 초고층 빌딩의 경우 대피 시 운영되는 승강기를 통해 건물 내의 모든 인원이 혼잡한 상황에서 비규칙적으로 이동 시, 대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사고와 안전 사고 발생 또한 화재 대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무엇보다 화재 확산 속도를 고려하지 않아 화재가 어느 방향으로 향해 더욱 확산 속도가 느린지 또는 빠른지를 고려하지 않은 채, 최적의 경로만 알려주어 탈출구가 아무리 가까워도 이미 화재가 번져 있을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7-0126571호에서는 초고층 빌딩에서 특히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못하게 될 시, 빌딩의 외부에서 드론을 사용해서 구조차의 대형 모터에 연결된 와이어를 건물의 옥상이나 베란다에 상황에 맞게 2줄로 설치하고, 와이어에 구조용 상자를 매달아서 왕복 운행함으로써 빌딩 외부의 높이에 제약을 덜 받으면서도 화재 때문에 집안에 고립된 사람들을 구조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기술은, 초고층 빌딩에서, 유저들의 이동 가능성 여부 및 엘리베이터 등 대피용 이동 수단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고, 특히 제한된 인원을 구조할 수 있는 문제가 존재하여, 초고층 빌딩에 최적화된 대피 경로 및 대피가 가능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노약자,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유저들의 경우, 이동 가능성이 지극히 저하되며, 초고층 빌딩의 설치 장소에 따라서 소방서 등의 재난 구조 기관에서 파견 가능한 구조 설비가 제한적인 경우에 고층의 대피 장소에 다수의 인원이 몰리는 경우, 제대로 대피를 하지 못하거나 구조되지 못하여 대형 인명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의 다양한 방식의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기술에 있어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특히, 유저들의 이동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유저별로 개별화된 대피 경로를 제공하고, 재실 인원, 대피를 위하여 이용 가능항 이동 수단으로의 대피 인원 분배가 최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구조 설비 등의 재난 구조 기관에서 화재 진압 시 파견되는 설비의 정보를 기준으로 효율적으로 일부 층에 마련된 대피 장소에 대한 인원 분배를 최적화하여, 초고층 빌딩에서 화재 발생 시 단순 최적 대피 경로가 아닌, 적절한 재실 인원의 분배를 유도하여, 구조와 대피가 동시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초고층 빌딩에 층별로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 시, 화재 감지 결과가 생성된 화재 감지 센서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층을 감지한 경우, 대피 대상이 되는 유저들의 정보를 적어도 빌딩 내 층별로 설치된 통신 중개 수단과 연결된 유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화재 및 대피 인원 감지부; 수신된 유저들의 정보를 기준으로 파악된 각 층별 재실 인원 정보, 재실 인원 각각의 이동성을 평가한 이동성 정보 및 초고층 빌딩에 마련된 복수의 대피 장소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각 층별 재실 인원이 복수의 대피 장소로 이동하는 제1 경로 및 제1 경로로 이동 시 소요되는 제1 시간, 복수의 대피 장소에서 초고층 빌딩으로부터 탈출 가능한 탈출 층으로 이동하는 제2 경로 및 제2 경로로 이동 시 소요되는 제2 시간을 연산하되, 재실 인원별 이동성 정보를 고려하여 제1 경로, 제2 경로, 제1 시간 및 제2 시간을 연산하는 피난 정보 예측부; 상기 피난 정보 예측부에 의하여 산출된 재실 인원별 제1 경로, 제2 경로, 제1 시간 및 제2 시간, 층별 재실 인원 정보, 탈출 층에 마련된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 가능한 탈출 임계 인원 정보 및 화재 발생 층을 기준으로, 각 재실 인원별로 차별화된 전용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를 생성하고, 재실 인원별 전용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를 재실 인원에 대응되는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피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난 정보 예측부는, 상기 재실 인원별로 차별화된 전용 대피 경로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에 대한 전용 대피 경로에만 화재 발생 층을 제외한 상태로 이용 가능한 이동 수단을 통한 대피 경로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난 정보 제공부는, 상기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 이외에, 상기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의 보호자로 설정된 유저들에 대해서 상기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에 대한 전용 대피 경로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용 대피 경로에 포함된 이동 수단의 이용 인원에 대한 정보 및 화재 발생 층을 기준으로, 화재 발생 층을 제외한 층을 이동 수단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수단의 이동 층 및 이동 여부의 제어를 수행하고, 이동 수단의 이동 정보를 상기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 및 상기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의 보호자로 설정된 유저들의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이동 정보를 통해 유저들이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대피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수단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성 정보는, 상기 초고층 빌딩에 대한 유저 등록 시, 사전 문진 데이터에 대한 유저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거나, 이동성이 불편함을 입증할 수 있는 증빙 서류의 입력을 통해서 유저마다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난 정보 제공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재난 구조 기관으로부터 수신한 구조 현황 정보를 기준으로, 각 재실 인원별로 차별화된 전용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난 정보 제공부는, 상기 구조 현황 정보로서, 화재 대응을 위해서 출동한 상태이거나 출동 중인 구조 설비 및 인력의 상세 정보 및 수량 정보, 화재 발생 층, 화재 확산 정보, 구조 설비 및 인력의 화재 발생 장소까지의 도착 시점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층에 대한 화재 대응 가능 여부, 초고층 빌딩 내에서의 인원 구조 가능 여부, 화재 대응 현황 정보, 인원 구조 현황 정보, 화재 진압 예측 시점을 상기 각 재실 인원별로 차별화된 전용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의 생성 시에 함께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난 정보 제공부는,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이 존재하고, 상기 화재 발생 층에 대한 화재 대응이 가능한 동시에 화재 진압 예측 시점이 상기 화재 발생 층 및 화재 발생 정보를 기준으로 예측된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가능하거나, 초고층 빌딩 내에서의 인원 구조 설비가 상기 임계 시간 내에 도착 가능한 경우,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의 대피 경로는, 상기 초고층 빌딩에 마련된 복수의 대피 장소 중 가장 근접한 층의 대피 장소로 향하도록 우선 설정하고,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 이외의 유저들의 제1 경로는, 복수의 대피 장소 중 상기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의 대피 경로를 모두 설정한 결과 대피 장소별로 서로 다른 임계 인원 중 남는 인원 수에 따라서 각 대피 장소로 향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난 정보 제공부는, 상기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의 대피 경로에 대한 설정값을 상기 재난 구조 기관의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이 위치된 복수의 대피 장소에 우선적으로 인원 구조 설비 및 인력을 배치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난 정보 제공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장비로서 층별로 마련된 자동 화재 진압 장치 및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 진압 장치의 구동 결과 및 실시간 화재 감지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 시, 상기 구조 현황 정보에 수신된 데이터를 적용하여, 화재 대응 현황 정보, 인원 구조 현황 정보, 화재 진압 예측 시점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들은 빌딩을 출입 시 문진 데이터의 입력을 통해서 자신의 정보를 단말이 입력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있다가, 화재 발생 시 유저들의 단말과 통신 중개 단말의 연결을 바탕으로 각 층별 재실 인원을 단순 인원 수만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인원별 특징 정보를 파악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데 사용하게 된다.
특히, 거동 불편성 등의 이동성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이 불편한 사용자들이 화재 발생 시 인원이 몰릴 수 있는 엘리베이터 등의 이동 수단으로 우선 이동하도록 하고, 이동이 가능한 사용자들은 계단 등을 이용하도록, 각 유저별로 차별화된 대피 경로를 유저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인원들이 좁은 이동 수단을 이동하기 위하여 몰림에 따른 사고 발생을 최소화하고, 대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소방서 등 재난 구조 기관에서 파견된 상태이거나 파견되고 있는 구조 설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을 우선적으로 해당 구조 설비를 이용하여 구조하도록 하고, 나머지 유저들은 대피를 주로 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유저들의 상태를 반영하여 가장 효율성이 높은 초고층 빌딩에서의 특성에 맞춤화된 재난 발생 시의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유저들의 이동성 정보에 따라서 유저별로 차별화된 대피 경로를 생성 및 제공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4는 도 2의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유저 단말에 차별화된 대피 경로가 제공됨에 따라 유저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이동 수단이 제어되는 흐름의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건물 출입 시 유저들의 정보의 입력을 위한 유저 단말의 출력 화면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재난 구조 기관의 구조 설비에 따른 구조 및 대피 전략이 수립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구조 및 대피 현황에 대한 수보 정보가 재난 구조 기관의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유저들의 이동성 정보에 따라서 유저별로 차별화된 대피 경로를 생성 및 제공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4는 도 2의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유저 단말에 차별화된 대피 경로가 제공됨에 따라 유저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이동 수단이 제어되는 흐름의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건물 출입 시 유저들의 정보의 입력을 위한 유저 단말의 출력 화면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재난 구조 기관의 구조 설비에 따른 구조 및 대피 전략이 수립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구조 및 대피 현황에 대한 수보 정보가 재난 구조 기관의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을 위해서 하나 이상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10, 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 함)은, 화재 및 대피 인원 감지부(11), 피난 정보 예측부(12), 피난 정보 제공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후술하는 이동 수단(50)에 대한 제어를 위한 이동 수단 제어부(14)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서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후술하는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될 컴퓨팅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가 상술한 각 구성의 기능 수행 및 시스템 로드에 따라서 각 구성에 포함되거나 각 구성을 포함하도록 구현되고, 각 컴퓨팅 장치가 연결되어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화재 및 대피 인원 감지부(11)는 초고층 빌딩에 층별로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20)로부터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 시, 화재 감지 결과가 생성된 화재 감지 센서(20)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층을 감지한 경우, 대피 대상이 되는 유저들의 정보를 적어도 빌딩 내 층별로 설치된 통신 중개 수단(30)과 연결된 유저 단말(40)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화재 감지 센서(20)는 각 층별 또는 각 층에 구획된 실(Room)별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센서의 설치 정보는 시스템(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에 센서의 설치 정보가 저장됨은 센서의 식별 정보 및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됨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서 화재 및 대피 인원 감지부(11)가 어느 한 화재 감지 센서(20)로부터 화재가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 신호의 헤더 파일 및 컨텐츠 데이트를 분석하여 어느 층 또는 어느 실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재 감지 센서(20)는 연기 감지 센서, 온도 센서 등 화재의 발생 여부를 즉시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화재 발생 층에 대한 정보는, 상술한 화재 감지 센서(20)의 식별 정보 및 식별 정보마다 매칭 및 저장된 설치 장소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초고층에 있어서 어떤 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대피 대상이 되는 유저들은, 초고층 빌딩에 재실한 것으로 유저 단말(40)을 통해 등록한 모든 재실 인원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초고층 빌딩의 출입문에는 유저 단말(40)을 통해 유저의 출입을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에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단말(4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출입 게이트 상에 설치된 단말 통신 수단(키오스크 등)을 통해서 또는 유저 단말(40)에 예를 들어 키오스크에 QR 코드를 인식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서 유저 계정의 정보나 유저 단말(40)의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신호의 송수신을 기준으로 유저들이 초고층 빌딩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대피 대상이 되는 유저들의 정보는, 예를 들어 유저의 식별 정보(아이디, 전화번호, 실명 등), 후술하는 유저들의 이동성 정보 등이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중개 수단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중개 디바이스, 근거리 무선 데이터 연결 디바이스, 무선 통신망 디바이스 등, 유저 단말(40)이 데이터 송수신이나 통신망 연결을 위해서 접속하는 각 장소별로 마련된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통신 중개 수단은, 유저 단말(40)과의 연결 신호의 세기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절체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초고층 빌딩에서는 각 층별로 통신 중개 수단이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고, 각 층에서는 통신 연결 신호가 차단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유저 단말(40)은 자동으로 자신이 위치하는 층에서 가장 신호의 세기가 큰 통신 중개 수단과 연결될 것이다. 이에 따라서 유저 단말(40)의 접속 호 연결 신호를 이용하여 온라인 연결을 중개하는 통신 중개 수단을 이용하면, 현재 특정 통신 중개 수단에 연결된 유저 단말(4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유저 단말(40)이 현재 어느 층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와 별개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저 단말(40)이 위치하는 층을 식별하기 위해서, IP 정보, 와이파이 중계기 정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화재 및 대피 인원 감지부(11)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서 각 유저 단말(40)과의 유저들의 정보 및 유저 단말(40)의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각 유저별로 각 유저가 어떤 층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피난 정보 예측부(12)는 수신된 유저들의 정보를 기준으로 파악된 각 층별 재실 인원 정보, 재실 인원 각각의 이동성을 평가한 이동성 정보 및 초고층 빌딩에 마련된 복수의 대피 장소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각 층별 재실 인원이 복수의 대피 장소로 이동하는 제1 경로 및 제1 경로로 이동 시 소요되는 제1 시간, 복수의 대피 장소에서 초고층 빌딩으로부터 탈출 가능한 탈출 층으로 이동하는 제2 경로 및 제2 경로로 이동 시 소요되는 제2 시간을 연산하되, 재실 인원별 이동성 정보를 고려하여 제1 경로, 제2 경로, 제1 시간 및 제2 시간을 연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피난 정보 예측부(12)가 이용하는 유저들의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40)을 통해서 추출될 수 있는 정보들 중, 적어도 유저들이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층수에 대한 정보 및 유저들의 이동성 정보를 포함한다.
층별 재실 인원 정보는, 각 층에 배치된 통신 중개 수단(30)으로부터 인식된 유저 단말(40)의 총 수를 기준으로 도출하게 되며, 각 유저, 즉 재실 인원 각각의 이동성을 평가한 이동성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출입 게이트 통과 시 통과 자격을 부여하기 위하여 유저들이 입력해야 하는 정보를 예로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들이 초고층 빌딩의 출입 게이트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게이트에 배치된 키오스크 등의 단말과의 인증을 통해서 출입 자격이 부여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들은 유저 단말(40)에서 특정 코드를 인식하여 로딩되는 웹페이지나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서 키오스크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해당 통신을 수행하여 출입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으로서, 상술한 이동성 정보를 입력하는 페이지(120)를 로딩하고, 로딩된 페이지(120)에 이동성 정보(121, 122)를 입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이동성 정보(121, 122)를 입력하는 것을 조건으로, 키오스크와의 출입 게이트 통과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이동성 정보(121, 122)는 유저 단말(40)의 상기의 페이지(12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로서, 유저가 자신의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는 질병 정보(121), 장애 등급 및 타입(122)에 대한 정보를 입력함을 통해서 유저들의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때, 해당 정보는, 입장 시 저장되고, 건물 외부로 퇴장 시 삭제되는 휘발성 데이터로 관리될 수 있다.
한편, 이동성 정보는 상술한 예 이외에, 게이트 관리자가 유저의 신분증 및 장애인 등록증 등을 이용하여 출입을 심사하는 경우, 유저의 전화번호의 수집 및 해당 전화번호에 링크된 유저들의 정보에 해당 이동성 정보를 관리지 단말(미도시)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관리될 수 있다.
즉 이동성 정보는, 초고층 빌딩에 대한 유저 등록 시, 사전 문진 데이터에 대한 유저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거나, 이동성이 불편함을 입증할 수 있는 증빙 서류(예를 들어 장애인 증명서류 또는 신분증 등)의 입력을 통해서 유저마다 설정되는 정보로 이해될 것이다.
초고층 빌딩에서는 층별로 복수의 대피 장소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0층 이상의 초고층 빌딩에서는 고층부, 중간층부 등에 대피 장소들이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재난 발생 시 임시로 재실 인원이 대피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로 및 제1 시간은, 재실 인원별로 최적 경로, 최단 경로, 최단 시간 경로 등으로 경로가 도출되고, 도출된 경로에 대해서 일반 사람의 도보 평균 속도를 고려하여 제1 시간이 연산될 수 있다.
이때 각 층별 재실 인원 및 재실 인원들이 함께 이용해야 하는 경로는, 각 유저별 경로가 중복된 경로로 선택되고, 선택된 경로에서는 상기의 제1 시간 연산 시 도보 속도를 경로의 중복 횟수에 따라서 증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경로는 각 대피 장소에서 최하층 또는 복수개의 층에 마련되어, 초고층 빌딩으로부터 탈출 가능한 예를 들어 비상구나 출입 게이트 등이 설치된 탈출 층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의미한다. 이 경우 제2 시간은 상술한 제1 시간의 연산 원리와 동일한 원리로 연산될 수 있다.
이때, 재실 인원별로 이동성 정보를 고려하여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가 설정된다. 이동성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들의 정보로서, 유저들이 이동이 불편한지, 이동을 위해서 특수 장비가 필요한지, 속도가 일반 사람들의 평균 도보 속도보다 느린지 여부를 결정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거동 장애 등급의 유저는, 휠체어가 필요하도록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경로자 등의 노약자(예를 들어 척추측만증이 있는 등의 환자 또는 70세 이상의 유저)들은 별도의 특수 장비는 필요하지 않으나 많은 수의 계단을 오르내리기 힘든 것으로 설정되는 이동성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경로를 도출하는 데 있어서, 이와 같은 이동성 정보가 고려되어, 각 유저별로 차등화된 대피 경로가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피난 정보 예측부(12)는,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실 인원별로 차별화된 전용 대피 경로 생성함에 있어서,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에 대한 전용 대피 경로에만 화재 발생 층을 제외한 상태로 이용 가능한 이동 수단을 통한 대피 경로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 이동성이 확보된 유저들은 층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수단 또는 이동을 위한 특수 장비의 이용을 경로로서 고려하지 않고, 상술한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에 대해서만 이동 수단을 고려한 경로를 생성하는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들은 이동이 불편한 유저(42)와, 이동이 정상적인 유저(41)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실에서 탈출하는 경로(43)와, 이동 수단(51) 또는 계단 등의 대피 경로(52)로 이동하는 각각의 경로(44, 45)가 결합된 대피 경로가 제1 또는 제2 경로로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경로는 해당 경로가 대피 장소를 향하는 경로인 경우를 의미하고, 제2 경로는 출발 위치가 대피 장소이며, 도착 지점이 탈출 층의 출입 게이트나 비상구 등을 지시하는 경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42)들은 계단(52) 등의 대피 경로를 이용할 수 없거나 이용 시 다른 유저의 대피에 방해가 되는 등의 제한이 주어지기 때문에, 해당 유저(42)들에 대한 대피 경로(43+44)는 엘리베이터 등의 층간 이동 수단(51)을 이용할 수 있도록 경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그 외의 일반 유저(41)들에 대한 대피 경로(43_45)에는 이동 수단(51)을 경로에 포함시키지 않고, 일반 도보 대피 경로(52)로서 이용 가능한 층간 연결 경로를 대피 경로에 포함시키도록 각 대피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 유저 별로 대피 경로를 차별화하여 구성하면,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설정된 유저가 계단 등에 대해서 대피 경로를 안내받게 됨에 따라서 해당 유저 자신 및 그 유저가 위치한 장소에서의 유저들의 대피 시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최대한 안전하게 모든 유저들, 즉 재실 인원을 빠른 시간에 대피할 수 있는 경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난 정보 예측부(12)는 각 재실 인원 개별에 대해서 유저 정보에 매칭하여 대피 경로로서 제1 및 제2 경로를, 이에 도보 속도를 반영한 제1 및 제2 시간을 연산하여, 단순히 획일화된 대피 경로를 생성 및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특히 유저들의 이동 가능성에 따라서 차별화되도록 대피 경로 및 대피 시간을 예측 및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유저들 사이의 위치 유사성 및 이동성 정보의 유사성에 따라서 같은 대피 경로가 유저들에게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피난 정보 예측부(12)에 의하여, 재실 인원 각각에 대해서 제1 경로, 제2 경로, 제1 시간, 제2 시간이 도출되고, 화재 및 대피 인원 감지부(11)에 의하여 획득된 화재 발생 층에 대한 정보 및 층별 재실 인원 정보가 도출되면, 피난 정보 제공부(13)는, 화재 및 대피 인원 감지부(11)와 피난 정보 예측부(12)로부터 수신한 이들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각 대피 시나리오 규정에 따라서 설정 및 관리되는 정보인 탈출 층에 마련된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 가능한 시간 당 탈출 적정 또는 임계 인원 정보 등을 이용하여, 이를 기준으로 각 재실 인원별로 상기 피난 정보 예측부(12)에 의하여 생성된 차별화된 전용 대피 경로에 대피 순서를 할당하고, 재실 인원별 전용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를 재실 인원에 대응되는 유저 단말(4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피난 정보 제공부(13)는 상술한 기능 수행을 통해서, 각 경로에 따라서 유저들이 서로 다르게 또는 유사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대피 경로 정보를 제공하고, 특히 각 대피 순서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대피 순서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Class 1, 2, 3 등으로 구분되고, 초고층 빌딩의 각 층별 재난 방송 시, Class에 따른 대피 순서를 방송하도록 하는 것을 통해서 각 대피 순서를, 유저들이 인지하고 이에 따른 순서로 차례로 대피하도록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대피 순서는, 유저의 연령, 이동성 정보에 포함된 유저의 질병이나 위급 정도 등의 개인 정보가 고려되거나, 층별로 제1 시간 및 제2 시간에 따라서 상술한 탈출 층에 도달하는 시간을 비교하여 해당 시간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화재 발생 층으로부터 되도록 빠르게 멀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각 층별로 이동 시 소요되는 시간과 시간당 탈출 층을 통한 탈출 가능 인원(적정 인원~임계 인원)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도 3 및 4와 같은 예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화면(100)은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에게 제공되는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에 대한 정보로서, EV, 즉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경로가 포함되고, 대피소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용 구조 설비를 통해서 구조를 하는 경로로서 그 대피 경로가 특수하게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화면(110)은 이동이 불편하지 않은 유저에게 제공되는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에 대한 정보로서, 상술한 엘리베이터 등의 경로가 포함되지 않고, 비상 계단 등 이동이 가능하고 안전하고 빠르게 다수가 이동 가능한 경로를 따라서 대피 장소(25층)에 이동 후, 관리자의 수신호에 따라서 1층 까지 역시 계단으로 대피하라는 경로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저별로 최적화된 대피 경로를 제공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대피 장소의 임계 수용 인원, 각 경로의 이용 적정 인원, 대피 장소 및 탈출 층까지 도달하는 시간과, 탈출 층을 이용하여 초고층 건물로부터 탈출 가능한 시간 당 적정 인원 및 임계 인원을 기준으로 대피 경로와 순서(대기 시간) 등을 제공하기 때문에 실제로 구현될 수 있고, 특히 이동이 불편한 유저들 역시 가장 효율적으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은 노약자, 장애인 등 보호자의 보호가 필요한 경우가 다수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피난 정보 제공부(13)는,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 이외에,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의 보호자로 설정된 유저들에 대해서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에 대한 전용 대피 경로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해당 유저들이 불안감에 떨지 않고, 안정적으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여 대피 효율을 극대화하고 재난 발생 시의 혼란 발생에 의한 피해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10)에는 이동 수단 관리부(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동 수단 관리부(14)는, 전용 대피 경로에 포함된 이동 수단(50)의 이용 인원에 대한 정보 및 화재 발생 층을 기준으로, 화재 발생 층을 제외한 층을 이동 수단(50)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수단(50)의 이동 층 및 이동 여부의 제어를 수행하고, 이동 수단(50)의 이동 정보를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 및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의 보호자로 설정된 유저들의 단말에 전송하여, 이동 정보를 통해 유저들이 이동 수단(50)을 이용하여 대피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수단(50)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즉 이동 수단 관리부(14)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자동 대피 와이어, 휠체어 보조 이동 수단 등의 자동 이동을 제어하는 일종의 제어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고층 건물(1)의 31층에서 화재가 발생 시, 특정 이동 수단(511)은 31층을 제외하고 옥상의 대피 장소(60)까지 이동이 불편한 유저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층이 제한 제어되고, 또다른 이동 수단(512)는 화재 발생 층에서 되도록 빠르게 가까운 25층의 대피 장소(61)까지만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이동 수단(513)은 비교적 안전한 구역을 이동하도록 구현되기 때문에, 15층에 마련된 대피 장소(62)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이동이 불편한 유저들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탈출 층의 탈출 장소(63)에 해당하는 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이동 수단 관리부(14)는 이동 수단이 엘리베이터 등의 폐쇄 공간인 경우, 해당 공간에 화재 연기가 유입되는 경우 인명 피해가 발생 가능한 점을 고려하여, 이동 수단의 제어를 시작 시, 이동 수단의 제어 모드를 비상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비상 모드는, 초고층 빌딩(1) 등에 있어서 이동 수단으로 화재 연기가 진입되지 않도록 하는 제연 기능이 활성화된 모드로서, 예를 들어 외부 흡기 팬으로부터 산호를 비교적 덜 포함하여 화재 확산이 방지되는 공기를 이동 수단의 이동 경로에 유입시켜, 기압을 화재 발생 층보다 상태적으로 높게 하여 연기가 이동 수단의 이동 경로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즉 제연 등의 기능 수행을 위하여 건물(1) 내의 공조 조건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대피 시스템에 대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대피 시스템(10)은 단순히 유저들에게 대피 순서를 알려주는데 지나지 않고, 해당 화재를 진입하고 재실 인원에 대하여 구조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그 효율성을 증가시키거나, 상술한 대피 정보 제공 시, 실시간으로 현황을 반영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안전한 대피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피난 정보 제공부(13)는 구조 현황 정보로서, 화재 대응을 위해서 출동한 상태이거나 출동 중인 구조 설비 및 인력의 상세 정보 및 수량 정보, 화재 발생 층, 화재 확산 정보, 구조 설비 및 인력의 화재 발생 장소까지의 도착 시점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층에 대한 화재 대응 가능 여부, 초고층 빌딩 내에서의 인원 구조 가능 여부, 화재 대응 현황 정보, 인원 구조 현황 정보, 화재 진압 예측 시점을 각 재실 인원별로 차별화된 전용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의 생성 시에 함께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정보들 중, 화재 대응을 위해서 출동한 상태이거나 출동 중인 구조 설비 및 인력의 상세 정보 및 수량 정보, 화재 발생 층, 화재 확산 정보, 구조 설비 및 인력의 화재 발생 장소까지의 도착 시점에 대한 정보는 소방서, 경찰서 등 재난 구조 기관의 관제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화재 대응 가능 여부, 초고층 빌딩 내에서의 인원 구조 가능 여부, 화재 대응 현황 정보, 인원 구조 현황 정보, 화재 진압 예측 시점을 상술한 바와 같이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의 생성 시에 함께 이용하는 것은 상술한 피난 정보 예측부(12)에 의하여 생성된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이용하여 피난 정보 제공부(13)가 유저별 대피 경로를 생성함에 있어서 해당 정보들을 반영하여 유저들에 대한 대피 경로를 수정하거나, 그 대피 순서 및 시점, 구조 경로, 구조 순서 및 시점 등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예를 들어 1분)으로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피난 정보 제공부(13)는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이 존재하고, 화재 발생 층에 대한 화재 대응이 가능한 동시에 화재 진압 예측 시점이 화재 발생 층 및 화재 발생 정보를 기준으로 예측된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가능하거나, 초고층 빌딩 내에서의 인원 구조 설비가 임계 시간 내에 도착 가능한 경우,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의 대피 경로는, 초고층 빌딩에 마련된 복수의 대피 장소 중 가장 근접한 층의 대피 장소로 향하도록 우선 설정하여, 해당 대피 장소에 구조 설비 및 인력을 투입하도록 한다.
한편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 이외의 유저들의 제1 경로는, 복수의 대피 장소 중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의 대피 경로를 모두 설정한 결과 대피 장소별로 서로 다른 임계 인원 중 남는 인원 수에 따라서 각 대피 장소로 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유저들에 대한 대피 장소 및 이를 제외한 탈출 층으로의 대피를 각각 경로로 설정하는 기준은 탈출 층을 통한 대피 순서가 뒤로 설정된 대피 순서를 갖는 유저 우선, 또는 나이가 어린 유저 우선, 랜덤 설정 등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재 대응 및 진압 예측과 함께 구조 설비의 도착 가능성을 기준으로 유저별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 등이 설정되는데, 화재가 진압 중인 경우이거나 이미 구조가 수행되는 도중인 경우, 이에 대한 예측값 및 가능성 값 등이 수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피난 정보 제공부(13)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장비로서 층별로 마련된 자동 화재 진압 장치 및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 진압 장치의 구동 결과 및 실시간 화재 감지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 시, 상기 구조 현황 정보에 수신된 데이터를 적용하여, 화재 대응 현황 정보, 인원 구조 현황 정보, 화재 진압 예측 시점을 업데이트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각 유저별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 역시 업데이트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정보의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구조 현황 및 예측 정보(70)를 통해서, 구조 설비(장비) 및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 설비(장비)의 도착 가능성 및 투입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재난 구조 기관의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이를 적용하여, 초고층 빌딩(1)에서 각 층별 재실 인원 및 이들의 유저들의 정보, 특히 이동성 정보를 기준으로, 이동이 불편한 유저(42)와 그렇지 않은 유저(41) 등에 대하여 각기 다른 경로(44, 45)가 설정될 수 있고, 이때 각 대피 장소(60, 61, 62)에 따라서 구조 설비에 따라서 시간 당 구조 가능 인원 정보(71)가 설정되며, 화재 감지 센서 및 기타 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화재 확산 예측 정보(72)가 생성된다.
이를 고려하여, 피난 정보 제공부(13)는 각 유저별로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결합한 대피 경로와 함께 이에 대한 순서를 할당하는 한편, 이를 고려 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 설비, 화재 확산 여부, 진압 현황 및 구조 현황 등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각 유저별 대피 경로 및 순서를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재난 구조 기관은 초고층 빌딩에 대한 재난 구조를 위해서 출동 시 또는 화재 진압 및 구조를 수행하는 도중, 현재 구조해야 하거나 대피해야 하는 재실 인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그 구조 활동 및 화재 진압에 큰 효율성을 갖게 된다.
이를 위해서, 피난 정보 제공부(13)는,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의 대피 경로에 대한 설정값을 재난 구조 기관의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이 위치된 복수의 대피 장소에 우선적으로 인원 구조 설비 및 인력을 배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인원의 경우에 이에 대한 구조 인력을 파견 시, 이동이 불편한 유저에 대한 구조가 늦어질 수 있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즉 도 8의 화면(1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 구조 기관의 단말에는, 특정 대피 장소에 대한 정보 및 해당 대피 장소에 존재하는 구조 대상 인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 장소 별 구조 대상 정보(131)가 출력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조 현황 정보(132)가 역시 출력되어, 효과적인 설비 및 인력 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9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초고층 빌딩에 층별로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 시, 화재 감지 결과가 생성된 화재 감지 센서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층을 감지한 경우, 대피 대상이 되는 유저들의 정보를 적어도 빌딩 내 층별로 설치된 통신 중개 수단과 연결된 유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화재 및 대피 인원 감지부;
    수신된 유저들의 정보를 기준으로 파악된 각 층별 재실 인원 정보, 재실 인원 각각의 이동성을 평가한 이동성 정보 및 초고층 빌딩에 마련된 복수의 대피 장소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각 층별 재실 인원이 복수의 대피 장소로 이동하는 제1 경로 및 제1 경로로 이동 시 소요되는 제1 시간, 복수의 대피 장소에서 초고층 빌딩으로부터 탈출 가능한 탈출 층으로 이동하는 제2 경로 및 제2 경로로 이동 시 소요되는 제2 시간을 연산하되, 재실 인원별 이동성 정보를 고려하여 제1 경로, 제2 경로, 제1 시간 및 제2 시간을 연산하는 피난 정보 예측부;
    상기 피난 정보 예측부에 의하여 산출된 재실 인원별 제1 경로, 제2 경로, 제1 시간 및 제2 시간, 층별 재실 인원 정보, 탈출 층에 마련된 탈출 구역을 통해 탈출 가능한 탈출 임계 인원 정보 및 화재 발생 층을 기준으로, 각 재실 인원별로 차별화된 전용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를 생성하고, 재실 인원별 전용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를 재실 인원에 대응되는 유저 단말에 전송하는 피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난 정보 예측부는,
    상기 재실 인원별로 차별화된 전용 대피 경로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에 대한 전용 대피 경로에만 화재 발생 층을 제외한 상태로 이용 가능한 이동 수단을 통한 대피 경로를 포함시키고,
    상기 전용 대피 경로에 포함된 이동 수단의 이용 인원에 대한 정보 및 화재 발생 층을 기준으로, 화재 발생 층을 제외한 층을 이동 수단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 수단의 이동 층 및 이동 여부의 제어를 수행하고, 이동 수단의 이동 정보를 상기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 및 상기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의 보호자로 설정된 유저들의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이동 정보를 통해 유저들이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대피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수단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성 정보는,
    상기 초고층 빌딩에 대한 유저 등록 시, 사전 문진 데이터에 대한 유저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거나, 이동성이 불편함을 입증할 수 있는 증빙 서류의 입력을 통해서 유저마다 설정되고,
    상기 피난 정보 제공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재난 구조 기관으로부터 수신한 구조 현황 정보를 기준으로, 각 재실 인원별로 차별화된 전용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정보 제공부는,
    상기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 이외에, 상기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의 보호자로 설정된 유저들에 대해서 상기 이동이 불편한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에 대한 전용 대피 경로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정보 제공부는,
    상기 구조 현황 정보로서, 화재 대응을 위해서 출동한 상태이거나 출동 중인 구조 설비 및 인력의 상세 정보 및 수량 정보, 화재 발생 층, 화재 확산 정보, 구조 설비 및 인력의 화재 발생 장소까지의 도착 시점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화재 발생 층에 대한 화재 대응 가능 여부, 초고층 빌딩 내에서의 인원 구조 가능 여부, 화재 대응 현황 정보, 인원 구조 현황 정보, 화재 진압 예측 시점을 상기 각 재실 인원별로 차별화된 전용 대피 경로 및 대피 순서의 생성 시에 함께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정보 제공부는,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이 존재하고, 상기 화재 발생 층에 대한 화재 대응이 가능한 동시에 화재 진압 예측 시점이 상기 화재 발생 층 및 화재 발생 정보를 기준으로 예측된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가능하거나, 초고층 빌딩 내에서의 인원 구조 설비가 상기 임계 시간 내에 도착 가능한 경우,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의 대피 경로는, 상기 초고층 빌딩에 마련된 복수의 대피 장소 중 가장 근접한 층의 대피 장소로 향하도록 우선 설정하고,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 이외의 유저들의 제1 경로는, 복수의 대피 장소 중 상기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의 대피 경로를 모두 설정한 결과 대피 장소별로 서로 다른 임계 인원 중 남는 인원 수에 따라서 각 대피 장소로 향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정보 제공부는,
    상기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의 대피 경로에 대한 설정값을 상기 재난 구조 기관의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이동이 불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이동성 정보를 갖는 유저들이 위치된 복수의 대피 장소에 우선적으로 인원 구조 설비 및 인력을 배치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정보 제공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장비로서 층별로 마련된 자동 화재 진압 장치 및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 진압 장치의 구동 결과 및 실시간 화재 감지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 시, 상기 구조 현황 정보에 수신된 데이터를 적용하여, 화재 대응 현황 정보, 인원 구조 현황 정보, 화재 진압 예측 시점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KR1020210068247A 2021-05-27 2021-05-27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KR102346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247A KR102346903B1 (ko) 2021-05-27 2021-05-27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247A KR102346903B1 (ko) 2021-05-27 2021-05-27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903B1 true KR102346903B1 (ko) 2022-01-04

Family

ID=7934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247A KR102346903B1 (ko) 2021-05-27 2021-05-27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9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287A (ko) * 2010-04-05 2012-10-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1884667B1 (ko) * 2017-05-02 2018-08-02 디토닉 주식회사 회복탄력성을 극대화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124097B1 (ko) * 2018-12-26 2020-06-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82064A (ko) * 2018-12-28 2020-07-08 한국디자인진흥원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KR102200410B1 (ko) * 2019-11-13 2021-01-08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287A (ko) * 2010-04-05 2012-10-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1884667B1 (ko) * 2017-05-02 2018-08-02 디토닉 주식회사 회복탄력성을 극대화하는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124097B1 (ko) * 2018-12-26 2020-06-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82064A (ko) * 2018-12-28 2020-07-08 한국디자인진흥원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KR102200410B1 (ko) * 2019-11-13 2021-01-08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9914B2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fire evacuation priority
US8763761B2 (en) Elevator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evacuation
CN1323925C (zh) 建筑物住户紧急疏散的方法和***及现有电梯现代化方法
US20170100609A1 (en) Occupant evacuation control system
JPWO2007029301A1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の火災時避難運転装置
WO2007096969A1 (ja) 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装置
WO2007080636A1 (ja) エレベータの避難時管理装置
CN106415618A (zh) 综合建筑物疏散***
WO2007083364A1 (ja) 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装置
JP508836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2362295B1 (ko)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JP2005104630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EP14337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of building occupants
JPWO2011125164A1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102346903B1 (ko) 초고층 빌딩에서의 화재 발생 시 유저 맞춤형 대피 시스템
KR20180093031A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서버, 피난 지원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를 활용한 피난 지원 방법
KR20220151490A (ko) 재난대피 통제 방법
JP5546223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200410B1 (ko) 초고층 건물의 화재 발생 시 피난 시나리오 구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halid et al. On the use of elevators during emergency evacuation
JP4842163B2 (ja) エレベータ利用避難システム
CN114476893A (zh) 避难支援***
Nakahama et al. An examination of feasibility of elevator evacuation based on risk assessment
KR100896868B1 (ko) 그룹 관리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피난 운전 장치
JP201111653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