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194B1 - Outdoor cleaning device with double cyclone unit - Google Patents

Outdoor cleaning device with double cyclone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194B1
KR102346194B1 KR1020210055603A KR20210055603A KR102346194B1 KR 102346194 B1 KR102346194 B1 KR 102346194B1 KR 1020210055603 A KR1020210055603 A KR 1020210055603A KR 20210055603 A KR20210055603 A KR 20210055603A KR 102346194 B1 KR102346194 B1 KR 102346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pipe
foreign substances
cyclo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6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창금
주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Priority to KR1020210055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1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194B1/en
Priority to PCT/KR2022/004704 priority patent/WO202223114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54Apparatus in which the mechanically dislodged dirt is partially sucked-off, e.g. dislodging- sweeping apparatus with dirt collector in brush housing or dirt contain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1/0827Dislodging by suction; Mechanical dislodging-clean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or dependent exhaust, e.g. dislodging-sweeping machines with independent suction nozzles ; Mechanical loosening devices working under vacuum
    • E01H1/0836Apparatus dislodging all of the dirt by suction ; Suction nozz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8Pneumatically dislodging or taking-up undesirable matter or small objects; Drying by heat only or by streams of gas; Cleaning by projecting abrasive particles
    • E01H2001/0881Details for pneumatically dislodging or removing not related to the mouth-piece
    • E01H2001/089Suction-effect created through blowing, e.g. using the venturi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cleaning apparatus having a dual cyclone unit. The dual cyclone unit comprises: a first cyclone unit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an air by rotating the air sucked from a suction unit in a spiral orbit; and a second cyclone unit installed in the first cyclone unit and rotat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cyclone unit in the spiral orbit again to separate th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The outdoor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dual cycl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lters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by flowing the air sucked in a from the suction unit in multiple stages along a spiral track. Therefore, the dual cyclone unit can provide a relatively high cleaning efficiency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Description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Outdoor cleaning device with double cyclone unit}Outdoor cleaning device with double cyclone unit

본 발명은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다단으로 나선궤도를 따라 유동시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 수집할 수 있는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cleaning device having a dual cyclone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cyclone unit capable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by flowing the air sucked in from the suction unit in multiple stages along a spiral track. It relates to an outdoor cleaning device equipped with.

일반적으로, 일반 도로나 고속 도로, 주차장, 대단위 공단, 비행장 활주로, 대운동장 등에 버려진 낙엽, 모래 등의 쓰레기(이하, '노상 쓰레기'라 함)는 주로 청소 도구를 탑재한 노면 청소용 차량에 의해 청소된다.In general, garbage such as fallen leaves and s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reet garbage') dumped on public roads, highways, parking lots, large industrial complexes, airfield runways, large sports grounds, etc. is mainly cleaned by a road cleaning vehicle equipped with a cleaning tool do.

또한, 상기 노면 청소차에 의해 노상 쓰레기가 제거되더라도 노면상에는 여전히 미세한 먼지나 차량의 타이어의 잔재물 등이 붙어 있게 된다. 이러한 먼지 등은 차량 등이 통행할 때마다 비산되어 대기를 오염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In addition, even when road garbage is removed by the road cleaning vehicle, fine dust or remnants of vehicle tires are still attached to the road surface. Such dust is scattered whenever a vehicle or the like passes and is a major cause of air pollution.

한편, 노면의 쓰레기를 흡입하여 청소하는 노면 청소용 차량을 포함한 흡입청소수단은 흡입된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공기 중 이물질을 필터링하므로 해당 이물질이 필터에 고착될 경우, 흡입력이 줄어들면서 청소효율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suction cleaning means, including a road cleaning vehicle that sucks and cleans road surface garbage,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by passing the sucked air through the filter. There is a downside to doing it.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3642호: 노면 청소 차량의 청소 장치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63642: Cleaning apparatus for a road surface cleaning vehicl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다단으로 나선궤도를 따라 유동시켜 공기 주 이물질을 분리 수집할 수 있는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provides an outdoor cleaning device having a dual cyclone unit capable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air main foreign substances by flowing air sucked in from the suction unit in multiple stages along a spiral track.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사이클론 유닛은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나선궤도로 회전시켜 해당 공기 중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제1사이클론부와, 상기 제1사이클론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클론부를 통과한 공기를 재차 나선궤도로 회전시켜 해당 공기 중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제2사이클론부를 구비한다. A dual cycl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irst cyclone unit that rotates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unit in a spiral orbit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nd is installed in the first cyclone unit and the first A second cyclone unit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by rotat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yclone unit again in a spiral orbit is provided.

상기 제1사이클론부는 상기 흡입부로부터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흡입부에 연결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내부공간 내에 상기 제2사이클론부가 설치된 수용함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수용함체의 내벽면을 따라 나선궤도를 이루며 유동할 수 있도록 타단부의 길이방향 중심선이 상기 내부공간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수용함체에 연결된다. The first cyclone part includes a connection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from the suction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and is provided inside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ipe can be introduced. An inner space is provided, and a receiving box in which the second cyclone part is installed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and the connection pip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flows in a spiral path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box.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상기 제2사이클론부는 상기 내부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제1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1유동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된 제1단위관과, 상기 제1단위관의 하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제1유동공간에 연통되는 제2유동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2유동공간은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된 제2단위관과, 상기 제1유동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단위관의 내벽을 따라 나선궤도로 유동하여 해당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단위관으로 인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유동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The second cyclone unit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a first flow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inlet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air flowing in the inner space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space. A unit pipe and a second unit provided under the first unit pipe, a second flow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second flow space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low space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In order to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ipe and the first unit pipe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flow space flows in a spiral orbit along the inner wall of the first unit pipe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and a flow guide installed at the inlet.

상기 유동 가이드부는 상기 제1단위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는 유도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제1단위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되, 단부에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유로에 연통되는 유도구가 형성되어 있다. The flow guide part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unit pipe, has an indu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inle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unit pipe, and air is introduced at the end A guid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passage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do so.

상기 유동 가이드부는 상기 제1유동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1단위관의 내벽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에 인접된 일단부 바닥면이 상기 유도구가 마련된 타단부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In order to guide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flow space downwar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unit pipe, one end bottom surface adjacent to the inlet port is lower than the other end bottom surface in which the induction port is provided. It is inclined to be positioned.

상기 연결관은 상기 수용함체로 유입되는 공기가 나선궤도로 유동된 다음, 상기 유입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상기 제1단위관의 유입구 하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수용함체에 설치되어 있다.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inlet of the first unit pipe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flows in a spiral orbit and then flows into the inlet.

상기 제2사이클론부는 상기 수용함체로 유입되는 공기가 나선궤도로 유동된 다음, 상기 유입구로 유입될 수 있게 상기 내부공간 내에 유동하는 공기를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 및 유입구 사이의 상기 제1단위관 또는 제2단위관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간섭 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second cyclone part is loca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and the inlet to interfere with the air flowing in the inner space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box flows in a spiral orbit and then flows into the inlet. The first unit tube or the second unit tube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erence plat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is expanded.

상기 제2단위관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2단위관에 의해 상기 수용함체로 유입되는 공기가 간섭되어 하방으로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상기 제2단위관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수용함체에 연결되어 있다. The second unit pipe is formed such that the outer diameter is reduc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is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accommodating box is interfered with by the second unit pipe to guide the flow downward. I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unit tub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노면청소장치는 청소대상지역 노면을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유닛이 마련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노면 상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게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노즐과,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적재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적재공간이 마련된 적재함체와, 상기 흡입노즐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상기 노명 상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적재함체의 적재공간으로 이송시키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나선궤도로 회전시켜 해당 공기 중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제1사이클론부와, 상기 제1사이클론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클론부를 통과한 공기를 재차 나선궤도로 회전시켜 해당 공기 중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제2사이클론부가 마련된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oad surface cleaning device having a dual cycl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provided with a traveling unit so as to be able to travel on the road surface of the area to be cleaned, and the main body, and a suction port to allow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to be introduced. A suction nozzle is formed,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portion, the loading box is provided with a loading space therein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can be loaded, is installed in the suction nozzle and is installed in the suction nozzle through the suction nozzle A suction unit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nd transferring them to the loading space of the loading box; and a dual cyclone unit provided with a second cyclone unit installed in the first cyclone unit and configured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by rotat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cyclone unit in a spiral orbit again.

상기 제1사이클론부는 상기 흡입부로부터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흡입부에 연결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내부공간 내에 상기 제2사이클론부가 설치된 수용함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수용함체의 내벽면을 따라 나선궤도를 이루며 유동할 수 있도록 타단부의 길이방향 중심선이 상기 내부공간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수용함체에 연결된다. The first cyclone part includes a connection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from the suction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and is provided inside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ipe can be introduced. An inner space is provided, and a receiving box in which the second cyclone part is installed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and the connection pip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flows in a spiral path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box.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상기 제1사이클론부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함체의 하부에,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되도록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수집봉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cyclone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llection bag detachably instal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box so as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상기 제2사이클론부는 상기 내부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제1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1유동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된 제1단위관과, 상기 제1단위관의 하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제1유동공간에 연통되는 제2유동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2유동공간은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된 제2단위관과, 상기 제1유동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단위관의 내벽을 따라 나선궤도로 유동하여 해당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단위관으로 인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유동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The second cyclone unit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a first flow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inlets ar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air flowing in the inner space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space. A unit pipe and a second unit provided under the first unit pipe, a second flow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second flow space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low space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In order to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ipe and the first unit pipe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flow space flows in a spiral orbit along the inner wall of the first unit pipe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and a flow guide installed at the inlet.

상기 유동 가이드부는 상기 제1단위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는 유도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제1단위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되, 단부에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유로에 연통되는 유도구가 형성된다. The flow guide part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unit pipe, has an indu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inle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unit pipe, and air is introduced at the end A guid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flow path is formed so as to be

상기 유동 가이드부는 상기 제1유동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1단위관의 내벽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에 인접된 일단부 바닥면이 상기 유도구가 마련된 타단부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guide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flow space downwar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unit pipe, one end bottom surface adjacent to the inlet port is lower than the other end bottom surface in which the induction port is provided. It is preferable to be inclined so as to be positioned.

상기 연결관은 상기 수용함체로 유입되는 공기가 나선궤도로 유동된 다음, 상기 유입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상기 제1단위관의 유입구 하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수용함체에 설치되어 있다.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inlet of the first unit pipe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flows in a spiral orbit and then flows into the inlet.

상기 제2사이클론부는 상기 수용함체로 유입되는 공기가 나선궤도로 유동된 다음, 상기 유입구로 유입될 수 있게 상기 내부공간 내에 유동하는 공기를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 및 유입구 사이의 상기 제1단위관 또는 제2단위관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간섭 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second cyclone part is loca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and the inlet to interfere with the air flowing in the inner space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box flows in a spiral orbit and then flows into the inlet. The first unit tube or the second unit tube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erence plat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is expand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는 상기 제2단위관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단위관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수거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utdoor cleaning device having a dual cycl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detachably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unit pipe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air flowing inside the second unit pipe. more can be provided.

상기 제2단위관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하도록 형성되고,The second unit tube is formed such that the out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2단위관에 의해 상기 수용함체로 유입되는 공기가 간섭되어 하방으로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상기 제2단위관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수용함체에 연결되어 있다.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unit pipe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is interfered with by the second unit pipe to guide the flow downward.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실외 청소장치는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다단으로 나선궤도를 따라 유동시켜 공기 중 이물질을 필터링하므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비교적 높은 청소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outdoor cleaning apparatus of the dual cycl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provide relatively high cleaning efficiency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because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unit flows along a spiral track in multiple stages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사이클론 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중 사이클론 유닛의 제1사이클론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이중 사이클론 유닛의 제2사이클론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이중 사이클론 유닛의 제2사이클론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노면청소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의 간섭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간섭유닛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al cycl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cyclone unit of the dual cyclone unit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yclone unit of the dual cyclone unit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cyclone unit of the dual cyclone unit of FIG. 1;
5 is a side view of a ro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a dual cycl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ference unit of an outdoor cleaning device having a double cyclon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interference unit of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n outdoor cleaning apparatus having a dual cyclon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사이클론 유닛(10)이 도시되어 있다. 1 to 4 show a dual cyclone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중 사이클론 유닛(10)은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나선궤도로 회전시켜 해당 공기 중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제1사이클론부(11)와, 상기 제1사이클론부(11)에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클론부(11)를 통과한 공기를 재차 나선궤도로 회전시켜 해당 공기 중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제2사이클론부(12)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ual cyclone unit 10 includes a first cyclone unit 11 that separat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by rotating the air sucked in from the suction unit in a spiral orbit, and the first cyclone unit 11. and a second cyclone unit 12 that is installed and rotate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cyclone unit 11 in a spiral orbit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상기 제1사이클론부(11)는 흡입부로부터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흡입부에 연결된 연결관(13)과, 상기 연결관(13)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13)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내부공간(15)이 마련된 수용함체(14)를 구비한다. The first cyclone unit 11 has a connecting pipe 1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from the suction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13, and the connecting pipe 13 . A housing 14 having an internal space 15 therein is provided so that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can be introduced therein.

수용함체(14)는 내부에 내부공간(15)이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또한, 수용함체(14)는 연결관(13)을 통해 내부공간(15)으로 유입된 공기가 내벽면에 의해 나선궤도를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내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The housing 14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15 therein,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housing 14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15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3 can flow along the spiral track by the inner wall surface.

한편, 수용함체(14)의 내부에는 상기 제2사이클론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사이클론부(12)는 상기 수용함체(14)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함체(14)는 내부공간(15)을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yclone unit 12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4 . At this time, the second cyclone unit 12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14 . In addition, the housing 14 is formed with an open lower surface so that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ner space 15 can be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또한, 수용함체(14)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용이하게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내주면이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housing 14 may be formed to be curved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convex to the outside so as to easily guide the air introduced therein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때, 수용함체(14)는 상기 내부공간(15)으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부에 상기 내부공간(15)에 연통되도록 분리가능하게 수집봉투(19)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수집봉투(19)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에 수용공간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receiving box 14 is detachably provided with a collection bag 19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15 at the lower part so as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15. .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llection bag 19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art is opened.

연결관(13)은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며, 일단이 흡입부에 연통되고, 타단은 수용함체(14)에 연결된다. 이때, 연결관(13)은 공기가 수용함체(14)의 내벽면을 따라 나선 궤도로 유동되도록 타단부의 연장방향 즉, 길이방향 중심선이 수용함체(14)의 내부공간(15)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해당 수용함체(14)에 연결된다. The connection pipe 13 is formed with a flow path so that air can flow therein, one end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uni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4 .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ipe 13 has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other end, ie, a longitudinal center line,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15 of the housing 14 so that air flows in a spiral orbit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14 . It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housing 14 so as to be spaced apart.

여기서, 연결관(13)은 수용함체(14)의 천장면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수용함체(14)로 유입되는 공기가 나선궤도로 유동된 다음, 상기 유입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후술되는 제2사이클론부(12)의 제1단위관(20)의 유입구 하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수용함체(14)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onnection pipe 13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box 14,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box 14 flows in a spiral orbit, and then flows into the inlet.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be installed in the receiving box 14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inlet of the first unit pipe 20 of the second cyclone part 12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연결관(13)은 상기 후술되는 제2사이클론부(12)의 제2단위관(30)에 의해 상기 수용함체(14)로 유입되는 공기가 간섭되어 하방으로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상기 제2단위관(30)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수용함체(1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관(13)을 통해 수용함체(14)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1 및 제2단위관(30)에 의해 하방으로 유도된 다음, 제1단위관(20)의 유입구로 유입되므로 수용함체(14) 내에서의 유동 시간이 비교적 길어 공기 중 이물질의 분리율이 향상된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pipe 13 is other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14 is interfered with by the second unit pipe 30 of the second cyclone part 12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flow is guided downward. The e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4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unit tube 30 . Therefor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4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3 is guided downward by the first and second unit pipes 30 and then flows into the inlet of the first unit pipe 20 . Since the flow time in the housing 14 is relatively long, the separation rate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s improved.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는 연결관(13)을 통해 수용함체(14)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수용함체(14)의 내벽면을 따라 나선궤도로 유동한다. 이때, 공기가 나선궤도로 회전하면서 소정의 중량을 갖는 이물질은 하방으로 낙하하는데, 낙하된 이물질은 개방된 수용함체(14)의 하부를 통해 수집봉투(19)에 수용된다. Air sucked in from the suction unit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4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3 , and the introduced air flows in a spiral path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14 . At this time, as the air rotates in a spiral orbit, foreign substances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fall downward, and the fallen foreign substances are accommodated in the collection bag 19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ed housing 14 .

상기 제2사이클론부(12)는 수용함체(14)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제1유동공간(21)이 형성되며, 흡입부로부터 강제 송풍된 공기가 상기 제1유동공간(21)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구(22)가 형성된 제1단위관(20)와, 상기 제1단위관(20)의 하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제1유동공간(21)에 연통되는 제2유동공간(31)이 형성되되, 상기 제2유동공간(31)은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된 제2단위관(30)과, 상기 제1유동공간(21)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단위관(20)의 내벽을 따라 나선궤도로 유동하여 해당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단위관(20)으로 인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22)에 설치되는 유동 가이드부(40)를 구비한다. The second cyclone unit 12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4, and a first flow space 21 is formed therein, and the air forcedly blown from the suction unit flows into the first flow space 21. The first unit pipe 20 having a plurality of inlets 2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introduced into the A second flow space 31 is formed, wherein the second flow space 31 has a second unit pipe 30 that is formed to have an inner diameter that is reduced toward the lower side, and air flowing into the first flow space 21 . is installed in the inlet 22 to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unit pipe 20 so as to flow in a spiral path along the inner wall of the first unit pipe 20 and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and a flow guide part 40 to be

제1단위관(20)은 상단부가 수용함체(14)의 천장면 중앙부에 설치되며, 유입구(22)들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나선궤도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내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단위관(20)은 수용함체(14)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unit tube 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so that the upper end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surface of the housing 14,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s 22 can flow along the spiral track. . In this case, the first unit tube 2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using 14 .

상기 유입구(22)들은 제1단위관(2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유입구(22)는 제1단위관(20)의 반경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6개의 유입구(22)가 형성된 제1단위관(20)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1단위관(2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단위관(20)의 크기에 따라 5개 이하 또는 7개 이상의 유입구(22)가 형성될 수도 있다. The inlets 22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unit tube 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22 penetrate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unit pipe 20 .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rst unit tube 20 having six inlet ports 22 is shown, but the first unit tube 20 is not limited thereto, and 5 piec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unit tube 20 are not limited thereto. The following or seven or more inlets 22 may be formed.

제1단위관(20)의 상부에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관(224)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배출관(224)은 일단부가 상기 제1단위관(20)의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discharge pipe 224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unit pipe 20 so that air can be discharg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224 be installed to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unit pipe 20 by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배출관(224)은 제1단위관(20)의 상부에 연결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1단위관(20)의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설치된다. 이때, 배출관(224)의 일단부는 제1단위관(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제1단위관(20)의 상면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여기서, 배출관(224)은 일단부가 유입구(22)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The discharge pipe 224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unit pipe 20 , and one end is installed to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unit pipe 20 by a predetermined depth. At this time,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224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unit pipe 20 , and extends downward a predetermined length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nit pipe 20 . Here, the discharge pipe 224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so that one end is located lower than the inlet 22,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be open so that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배출관(224)의 단부에는 해당 배출관(22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재(64)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필터부재(64)는 공기 중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공기필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a filter member 64 for filtering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corresponding discharge pipe 224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224 . Since the filter member 64 is an air filter generally applied in the prior art to filter fine dust in the ai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단위관(30)은 제1단위관(20)의 하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제1유동공간(21)에 연통되는 제2유동공간(31)이 형성된다. 제2단위관(30)은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제1단위관(20)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상부로 상승될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내경 및 외경이 감소하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second unit pipe 3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unit pipe 20 , and a second flow space 31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space 21 is formed therein. The second unit pipe 30 is formed to have an open lower portion, and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decrease toward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unit tube 20 can rise to the upper portion having a relatively lower pressure than the lower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cone.

한편, 이중 사이클론 유닛(10)은 공기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단위관(30)의 단부에 설치된 수거통(61)을 더 구비한다. 상기 수거통(61)은 제2단위관(30)의 단부에 연결되며, 제2단위관(30)으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수거통(61)은 제2단위관(3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dual cyclone unit 10 further includes a collection container 61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econd unit pipe 30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air. The container (61)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unit pipe (30), and a accommodating space is provided therein so that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second unit pipe (30) can be accommodated.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iner 6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unit tube 30 .

한편, 제2사이클론부(12)는 상기 수용함체(14)로 유입되는 공기가 나선궤도로 유동된 다음, 상기 유입구로 유입될 수 있게 상기 내부공간(15) 내에 유동하는 공기를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13)의 타단부 및 유입구 사이의 상기 제1단위관(20)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간섭 플레이트(6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yclone unit 12 is configured to interfere with the air flowing in the inner space 15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14 flows in a spiral orbit and then flows into the inlet. The first unit pipe 20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13 and the inle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erence plate 62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in which an outer diameter is expanded.

상기 간섭 플레이트(62)는 유입구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제1단위관(20)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1단위관(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간섭 플레이트(62)는 제1단위관(20)의 외주면에 대한 돌출길이가, 유동 가이드부의 제1단위관(20) 외주면에 대한 돌출길이보다 더 크도록 형성된다. 또한, 간섭 플레이트(62)는 수용함체(14)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terference plate 6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unit tube 20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inlet, and extends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unit tube 20 . In this case, the interference plate 62 is formed such tha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rst unit pipe 20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greater tha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low guide part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unit pipe 20 . In addition, the interference plate 62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using body (14).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간섭 플레이트(62)가 상기 제1단위관(20)에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간섭 플레이트(62)는 제2단위관(30)에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tructure in which the interference plate 62 is formed on the first unit tube 20 is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terference plate 62 is formed on the second unit tube 30 . it might be

연결관(13)을 통해 수용함체(14) 내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간섭 플레이트(62)에 의해 하방으로 유도된 다음, 제1단위관(20)의 유입구로 유입되므로 수용함체(14) 내에서의 유동 시간이 비교적 길어 공기 중 이물질의 분리율이 향상된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4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3 is guided downward by the interference plate 62 , and then flows into the inlet of the first unit pipe 20 . The flow time is relatively long, so the separation rate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s improved.

한편, 도면에 도시되는 않았지만, 간섭 플레이트(62)는 일측에 진동을 인가할 수 있는 바이브레이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동 발생 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이브레이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제1단위관(20)에 주위 공기 내의 이물질에 인가되어 이물질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vibrator capable of applying vibration to one side of the interference plate 62 may be installed. Since the vibrator is a vibration generating means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to generate vib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vibrator is applied to the foreign material in the surrounding air to the first unit pipe 20 to improve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foreign material.

또한, 간섭 플레이트(62)는 하면에, 다수의 간섭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간섭돌기는 상기 간섭 플레이트(62)의 하면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되,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섭돌기는 간섭 플레이트(62)의 하측에 유동하는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켜 공기 내 포함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terference projections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ference plate 62 . The interference protrusion protrude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ference plate 62, and is formed to be convex downward. The interference protrusion may generate a vortex in the air flowing under the interference plate 62 to more easily separat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제1 및 제2단위관(20,30)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 및 제2유동공간(21,31)에서 나선궤도로 회전하면서 소정의 중량을 갖는 이물질은 하방으로 낙하하는데, 제2단위관(30)은 낙하하는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nd second unit pipes 20 and 30 rotates in a spiral orbit in the first and second flow spaces 21 and 31 , foreign substances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fall downward, and the second unit The tube 3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open lower portion so that falling foreign substance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유동 가이드부(40)는 다수개가 각각 유입구(22)들에 연통되게 제1단위관(2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40)는 유입구(22)에 연통되는 유도유로(41)가 형성되며, 유입구(22)로부터 제1단위관(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또한, 유동 가이드부(40)는 단부에, 외부의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유도유로(41)에 연통되는 유도구(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다수의 유동 가이드부(40)는 유입구(22)로부터의 연장방향이 상호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flow guide parts 40 ar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unit pipe 2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s 22 , respectively. The flow guide part 40 has a guide passage 41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22 , and extends from the inlet 22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unit tube 20 . In addition, the flow guide unit 40 has an induction port 42 that communicates with the guide passage 41 so that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at an end thereof.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flow guide parts 40 are formed so that the extending directions from the inlet 22 are the same.

이때, 유도구(42)는 제1단위관(20)의 원주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유동 가이드부(40)에 형성된다. 또한, 유동 가이드부(40)는 제1유동공간(21)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1단위관(20)의 내벽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도하기 위해 유입구(22)에 인접된 일단부 바닥면이 유도부가 마련된 타단부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유동 가이드부(40)의 바닥면은 유도구(42)에서 제1단위관(20)의 유입구(22) 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guide hole 42 is formed in the flow guide part 40 to penetrat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unit tube 20 . In addition, the flow guide part 40 has a bottom surface at one end adjacent to the inlet 22 to guide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flow space 21 downwar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unit pipe 20 . It is inclined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other end on which the induction part is provided.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w guide part 40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induction port 42 toward the inlet 22 of the first unit pipe 20 .

또한, 유동 가이드부(40)는 유도유로(41)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단위관(20)의 외주면에 대향되는 내측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유동 가이드부(40)의 내측면은 유도구(42)에서 유입구(22) 측으로 갈수록 제1유동공간(21)의 중심까지의 이격거리가 감소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flow guide part 40 is formed to be curved so that an inner surface opposit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unit tube 20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based on the longitudinal centerline of the guide passage 41 .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 guide part 40 is formed to be curved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induction port 42 to the inlet 22 side toward the center of the first flow space 21 decreas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 유닛(1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제1단위관(20)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 가이드부(40)로 유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공기 여과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yclone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ir filtering unit installed in the first unit pipe 20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flow guide unit 40 . You may.

상기 공기 여과부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40) 상측의 상기 제1단위관(20)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플랜지부재와, 상기 제플랜지부재와 간섭 플레이트(62)의 사이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공기는 통과되되, 공기 중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도록 다수의 여과공이 형성된 필터망를 구비한다. The air filtration unit includes a flange member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first unit pipe 20 above the flow guide unit 40 and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second flange member and the interference plate 62 . It is formed to cover the interspace, and the air is passed through, and a filter network is provided in which a plurality of filtering holes are form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can be filtered out.

플랜지부재는 제1단위관(20)의 외주면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1단위관(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1플랜지부재는 제1단위관(20)의 외측면에 대한 돌출길이가, 유동 가이드부(40)의 제1단위관(20)의 외측면에 대한 돌출길이보다 더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lange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unit pipe 20 and extends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unit pipe 20 . At this time, the first flange member is formed such tha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rst unit pipe 20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is greater tha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low guide part 40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unit pipe 20 . it is preferable

필터망은 상하부가 각각 플랜지부재 및 간섭 플레이트(62)의 가장자리에 각각 고정되며, 플랜지부재 및 간섭 플레이트(62)를 따라 환형으로 연장된다. 상기 필터망은 다수의 여과공이 형성되며,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유닛(14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 비교적 큰 부피를 갖는 이물질은 해당 필터망에 필터링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lter network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edges of the flange member and the interference plate 62 , respectively, and extend in an annular shape along the flange member and the interference plate 62 . The filter ne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ltering holes,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Foreign substances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amo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uction unit 140 may be filtered through a corresponding filter network.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5 shows an outdoor cleaning apparatus 100 having a dual cycl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100)는 청소대상지역 노면을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유닛이 마련된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에 마련되며, 상기 노면 상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게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노즐(120)과,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노즐(120)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적재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적재공간이 마련된 적재함체(130)와, 상기 흡입노즐(120)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노즐(120)을 통해 상기 노명 상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적재함체(130)의 적재공간으로 이송시키는 흡입부(140)와, 상기 흡입부(140)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140)에서 흡입된 공기를 나선궤도로 회전시켜 해당 공기 중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제1사이클론부(11)와, 상기 제1사이클론부(11)에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클론부(11)를 통과한 공기를 재차 나선궤도로 회전시켜 해당 공기 중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제2사이클론부(12)가 마련된 이중 사이클론 유닛(1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outdoor cleaning apparatus 100 having the dual cyclone unit is provided in a main body 110 provided with a traveling unit so as to be able to travel on a road surface in an area to be cleaned, and the main body 110, A suction nozzle 120 with a suction port form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can be introduced, and a loading space is provided inside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120 can be loaded. The loading box 130 and the suction part 140 installed in the suction nozzle 120 to suck the foreign substances on the old face through the suction nozzle 120 and transfer it to the loading space of the loading box 130, A first cyclone unit 11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140 and rotating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unit 140 in a spiral orbit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and the first cyclone unit 11 A dual cyclone unit (10) provided with a second cyclone unit (12) installed and rotat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cyclone unit (11) in a spiral orbit again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s provided.

상기 본체부(110)는 전방 하부에 복수의 전륜(111)과, 후방 하부에 복수의 후륜(11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 전방에 마련된 전륜(111)은 주행유닛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주행유닛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륜(111)에 설치되어 전륜(111)을 회전시키는 주행모터와, 상기 주행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한다.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ront wheels 111 in the front low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rear wheels 112 in the rear lower portion. Here, the front wheel 111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10 is driven by the driving uni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installed on the front wheel 111 to rotate the front wheel 111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otor.

또한, 상기 본체부(110)는 후륜(112)들을 조향하기 위한 조향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상기 조향수단은 작업자가 상기 본체부(110)의 주행방향을 조향하는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향장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eering means (not shown) for steering the rear wheels 112, such a steering means as a worker to steer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Since it is a steering device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체부(110)의 후방에는 작업자가 기립한 상태로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부재(113)가 마련되어 있다. 작업자는 탑승부재(113)에 탑승하여 이동하며 상기 본체부(110)를 조향하거나 흡입유닛(140) 등을 제어한다. In addition, a boarding member 113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operator can board in an upright state. The operator rides on the boarding member 113 and moves, steers the main body 110 or controls the suction unit 140 .

흡입노즐(120)은 본체부(110)의 전단부에 설치되며, 하면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흡입노즐(120)은 노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본체부(1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흡입노즐(120)은 흡입구 후방에, 보조판넬(1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판넬(121)은 노면 상의 이물질이 흡입노즐(120)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부가 노면에 인접되도록 흡입노즐(12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흡입구를 중심으로 호형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ction nozzle 120 is installed on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110, the suction por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t this time, the suction nozzle 120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110 at a position spaced upward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road surface. At this time, the suction nozzle 12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port, and the auxiliary panel 121 is installed. The auxiliary panel 121 protrudes downward from the suction nozzle 120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adjacent to the road surface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from passing through the suction nozzle 120, and it is preferable to extend in an arc shape around the suction port. do.

적재함체(130)는 흡입노즐(120)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본체부(110)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적재공간이 마련된 사각 구조물로 형성된다. 또한, 적재함체(13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개방된 측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적재함체(130)의 하면에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유출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loading box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t a position spaced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suction nozzle 120,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tructure with a loading space therein.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oading box 130 is formed to have an open side, and a cover member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side. In addition, a plurality of outlet holes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ading box 130 so that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흡입부(140)는 흡입노즐(120)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1흡입관(141), 흡입 하우징(142), 제2흡입관(143), 송풍팬(144) 및 구동모터(145)를 구비한다. The suction unit 140 provides suction force to the suction nozzle 120 , and includes a first suction pipe 141 , a suction housing 142 , a second suction pipe 143 , a blower fan 144 , and a driving motor 145 . be prepared

제1흡입관(141)은 일단이 흡입노즐(120)에 연결되며, 내부에 흡입노즐(12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1흡입관(141)의 타단부에는 흡입 하우징(142)이 설치되어 있다. One end of the first suction pipe 141 is connected to the suction nozzle 120 , and a flow path is formed therein so that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120 can flow. A suction housing 142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ction pipe 141 .

상기 흡입 하우징(142)은 내부에, 송풍팬(144)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제1흡입관(141)의 타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흡입 하우징(142)은 흡입노즐(120)에 인접된 위치의 본체부(1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ction housing 142 is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space therein so that the blowing fan 144 can be installe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ction pipe 141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The suction housing 142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11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uction nozzle 120 .

제2흡입관(143)은 일단이 흡입 하우징(142)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부는 이중 사이클론 유닛(10)의 연결관(13)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제2흡입관(143)은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다. One end of the second suction pipe 143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housing 142 ,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on pipe 13 of the double cyclone unit 10 . Here, the second suction pipe 143 is formed with a flow path so that air can flow therein.

송풍팬(144)은 흡입 하우징(14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144)은 회전시 공기를 강제송풍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팬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모터(145)는 송풍팬(144)에 설치되어 해당 송풍팬(144)을 회전시켜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송풍팬(144)의 회전에 따라 흡입노즐(120)을 통해 노면 상의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흡입 하우징(142)을 통과한 다음, 적재함체(130)로 주입된다. 이때, 흡입 하우징(142)으로 유입된 이물질은 고속의 회전하는 송풍팬(144)에 의해 파쇄되어 적재함체(130)로 주입된다. The blowing fan 144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suction housing 142 . Since the blowing fan 144 is a fan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to forcibly blow air during rot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driving motor 145 is installed on the blowing fan 144 to rotate the corresponding blowing fan 144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144 ,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are sucked together with air through the suction nozzle 120 , pass through the suction housing 142 , and then injected into the loading box 130 . At this tim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suction housing 142 are crushed by the high-speed rotating blower fan 144 and injected into the loading box 130 .

여기서, 이중 사이클론 유닛(10)은 적재함체(1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사이클론부(11)의 연결관(13)이 흡입부(140)의 제2흡입관(142)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사이클론 유닛(10)은 앞서 언급된 사이클론 유닛(1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the double cyclone unit 10 is installed inside the loading box 130 , and the connection pipe 13 of the first cyclone unit 11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suction pipe 142 of the suction unit 140 . do. Here, since the cyclone unit 10 is the same as the aforementioned cyclone unit 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을 이용한 실외 청소장치(100)는 상기 흡입노즐(120)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상기 노면 상의 이물질을 상기 흡입노즐(120) 측으로 공급하는 브러쉬 유닛(300)을 더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outdoor cleaning apparatus 100 using a cycl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uction nozzle 120 to supply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to the suction nozzle 120 side. A brush unit 300 is further provided.

상기 브러쉬 유닛(300)은 지지부재(311)에 의해 상기 흡입노즐(120)에 인접되게 상기 본체부(110)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310)과, 상기 지지프레임(3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플레이트(320)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320)에 설치되어 상기 노면 상의 이물질을 간섭하도록 형성된 브러쉬 부재(330)와, 상기 노면 상의 이물질이 상기 흡입노즐(120) 측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회전 플레이트(32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340)와, 상기 노면 상의 장애물에 상기 브러쉬 부재(330) 또는 회전 플레이트(320)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돌방지부(미도시)와, 상기 브러쉬 부재(330)에 의해 상기 노면 상의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310)에 설치되어 상기 노면으로 비산방지액을 분사하는 비산방지부(미도시)를 구비한다. The brush unit 300 includes a support frame 310 supported by the main body 110 adjacent to the suction nozzle 120 by a support member 311 ,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310 . The rotation plate 320, the brush member 330 installed on the rotation plate 320 and formed to interfere with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and the rotation plate 320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are drawn into the suction nozzle 120 side ) a rotating part 340 for rotating, a collision preventing part (not shown) to prevent the brush member 330 or the rotating plate 320 from colliding with an obstacle on the road surface, and the brush member 330 A scattering prevention part (not shown)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310 and spraying a scattering prevention liquid to the road surface is provided to prevent scattering of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지지프레임(310)은 복수개가 지지부재(311)에 의해 본체부(110)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되게 지지된다. 여기서, 지지부재(311)는 본체부(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제1회동링크(312)와, 상기 제1회동링크(312)를 회동시키는 제1링크구동부재(미도시)와, 제1회동링크(3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2회동링크(313)와, 제2회동링크(313)를 회동시키는 제2링크구동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310 are suppor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by the support members 311 . Here, the support member 311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ivoting links 312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 and a first link driving member (not shown) for rotating the first pivoting link 312 , and , and a plurality of second rotational links 313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rotational link 312 and a second link driving member (not shown) for rotating the second rotational link 313 .

제1회동링크(31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본체부(11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제1회동링크(312)들은 흡입노즐(120)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본체부(1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rotational link 312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110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ivoting links 312 are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uction nozzle 120 .

제1링크구동부재는 일단이 제1회동링크(31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본체부(1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양단의 길이가 신축되는 액츄에이터가 적용된다. 한편, 제1링크구동부재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회동링크(312)를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One end of the first link driving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rotatable link 312 ,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 and an actuator whose length is stretched and contracted at both ends is applied. Meanwhile, the first link driving member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rotation means capable of rotating the first rotation link 312 may be applied.

제2회동링크(313)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에 지지프레임(310)이 설치된다. 제2회동링크(313)의 후단부는 제1회동링크(312)의 전단부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링크구동부재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회동링크(313)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회동링크(313)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모터가 적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2회동링크(313)를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The second pivoting link 313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support frame 310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pivoting link 313 is installed rotatab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pivoting link 312 . Although the second link driving member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rotation motor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rotation link 313 to rotate the second rotation link 31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appl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y rotation means capable of rotating the second rotation link 313 is applicable.

지지프레임(31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제2회동링크(313)의 전단부에 설치된다. 회전 플레이트(320)는 지지프레임(310)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브러쉬 부재(330)는 다수개가 회전 플레이트(320)의 하면에 마련되면, 하단부가 노면에 접할 수 있도록 회전 플레이트(320)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브러쉬 부재(330)는 노면에 접촉시 만곡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frame 3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ivoting link 313 . The rotation plate 3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310 and is formed in a disk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hen a plurality of brush members 330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on plate 320 , the brush member 330 extend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plate 320 so that the lower end can be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In this case, the brush member 330 is preferabl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be curved when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회전부(340)는 지지프레임(310)에 설치되며, 회전 플레이트(320)의 회전중심에 설치되어 회전 플레이트(32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전기모터가 적용된다. 한편, 회전부(34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 플레이트(3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한편, 제1 및 제2링크구동부재 및 회전부(340)는 탑승부재(113)에 마련된 제어패널을 통해 작업자가 입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한다. The rotating part 34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310 , and an electric motor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320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plate 320 . Meanwhile, the rotation unit 340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driving means capable of rotating the rotation plate 320 may be applied. 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link driving members and the rotating unit 340 opera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by an operator through a control panel provided on the boarding member 113 .

상기 충돌방지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지지프레임(310)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이 상기 회전 플레이트(3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호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보호롤러는 다수개가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이 회전 플레이트(3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정의 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보호롤러는 장애물과 충돌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충돌방지부에 의해 노면 상의 장애물에 충돌하더라도 브러쉬 유닛(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anti-collision unit includes a bracket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310 and a protective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bracke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which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rotation plate 320 . . A plurality of the protection rollers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bracket), and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so th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rotation plate 320 . In this case, the protective roller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in order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an impact upon collision with an obsta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ush unit 300 from being damaged even if it collides with an obstacle on the road surface by the collision preventing un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상기 비산방지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지프레임(310)들에 각각 설치되어 노면으로 비산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과,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분사노즐에 비산방지액을 공급하는 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scattering prevention part is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s 310,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for spraying the scattering liquid to the road surface, and the main body part 110 to supply the scattering prevention liquid to the spray nozzles. A supply unit (not shown) is provided.

분사노즐은 지지프레임(310)의 전방에 설치되어 하방의 노면으로 비산방지액을 분사한다. 공급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상기 비산방지액이 수용된 수용탱크와, 양단이 각각 수용탱크 및 분사노즐(361)에 설치된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어 수용탱크에 수용된 비산방지액을 상기 분사노즐(361)로 펌핑하는 공급펌프를 구비한다. 상기 공급펌프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탑승부재(113)에 마련된 제어패널을 통해 작업자가 입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pray nozzle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upport frame 310 to spray the anti-scattering liquid to the road surface below.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upply par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and contains a receiving tank in which the scattering prevention liquid is accommodated, a supply pipe having both ends installed in the receiving tank and the injection nozzle 361, respectively, and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to the receiving tank A supply pump for pumping the received scattering prevention liquid to the injection nozzle 361 is provid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upply pump is preferably opera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by an operator through a control panel provided on the boarding member 113 .

상기 비산방지부는 노면 상으로 비산방지액을 분사하므로 비산방지액에 의해 노면 상의 이물질이 비산하는 것이 방지되어 흡입노즐(120)로 용이하게 흡입되어 청소효율이 향상된다. Since the scattering prevention part sprays the scattering prevention liquid onto the road surface, the scattering of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is prevented by the scattering prevention liquid and is easily sucked into the suction nozzle 120 to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한편, 도 6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40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S. 6 to 9 show an outdoor cleaning apparatus 400 having a cyclon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the drawings shown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400)는 상기 흡입구 전방의 상기 분사노즐(361)에 설치되어 상기 노면 상의 이물질들을 간섭하여 상호 고착된 이물질들을 분산시키는 간섭유닛(410)을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outdoor cleaning device 400 having the cyclone unit is installed in the injection nozzle 361 in front of the suction port to interfere with the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to disperse the mutually adhering foreign substances 410. provide more

상기 간섭유닛(410)은 상기 흡입노즐(120)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간섭 프레임(411)과, 간섭 프레임(4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노면 상의 이물질을 간섭하는 간섭부재(412)와, 상기 간섭부재(412)가 전방으로 회동되는 회동각도를 기설정된 각도로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간섭부재(412)를 간섭하기 위해 상기 간섭 프레임(411)에 설치되는 각도제한부재(413)와, 상기 간섭부재(412)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간섭부재(412)에 외력을 인가하는 외력인가부재(414)를 구비한다. The interference unit 410 includes an interference frame 411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uction nozzle 120, and an interference member 412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terference frame 411 to interfere with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An angle limiting member 413 installed in the interference frame 411 to interfere with the interference member 412 so as to limit a rotation angle at which the interference member 412 is rotated forward to a preset angle; An external force applying member 414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interference member 412 is provided so that the interference member 412 is rotated forward.

상기 간섭 프레임(411)은 복수개 흡입구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흡입노즐(120)에 설치된다. 이때, 간섭 프레임(411)은 흡입노즐(120)에 대해 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또한, 간섭 프레임(411)은 전단부에, 후술되는 간섭부재(412)의 제1단위판넬(416)의 회동축(418)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4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구(415)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되,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terference frame 411 is installed on the suction nozzle 120 at positions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plurality of suction ports. At this time, the interference frame 411 is extended forward a predetermined length with respect to the suction nozzle (120). In addition, the interference frame 411 has an insertion hole 415 formed at the front end so that the rotation shaft 418 of the first unit panel 416 of the interference member 412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rotatably inserted. At this time, the insertion hole 415 is penetr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length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간섭부재(412)는 회동축(418)에 의해 상기 간섭 프레임(411)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축(418)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단위판넬(416)과, 상기 제1단위판넬(416)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면 상의 이물질을 간섭하기 위해 단부가 상기 노면에 인접되도록 상기 제1단위판넬(416)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단위판넬(417)을 구비한다. The interference member 412 has a first unit panel 416 having one e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terference frame 411 by a rotation shaft 418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on shaft 418; A second second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unit panel 416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unit panel 416 so that the end is adjacent to the road surface in order to interfere with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A unit panel 417 is provided.

제1단위판넬(416)은 전단부 좌우측에 각각 회동축(418)이 설치되며, 해당 회동축(418)은 간섭 프레임(411)의 삽입구(415)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간섭 프레임(411)에 지지된다. 제1단위판넬(416)은 회동축(418)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The first unit panel 416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418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end, respectively, and the rotation shaft 418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15 of the interference frame 411 so as to be able to rotate the interference frame 411 is supported on The first unit panel 416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backward from the rotation shaft 418 .

제2단위판넬(417)은 제1단위판넬(416)의 전단부에 연장되며, 제1단위판넬(416)에 대해 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제2단위판넬(417)은 전단부가 노면에 인접되도록 제1단위판넬(416)로부터 멀어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면 상의 상호 고착된 이물질들은 제2단위판넬(417)의 전단부에 간섭되어 부피가 줄어든 상태로 흡입노즐(120)에 흡입된다. The second unit panel 417 extends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unit panel 416 and extend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unit panel 416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unit panel 417 be inclined downward as it moves away from the first unit panel 416 so that the front end thereof is adjacent to the road surface. Foreign substances fixed to each other on the road surface interfere with the front end of the second unit panel 417 and are sucked into the suction nozzle 120 in a reduced volume state.

각도제한부재(413)는 제2단위판넬(417)의 전방으로의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제2단위판넬(417)의 상측 간섭 프레임(411)에 설치된다. 상기 각도제한부재(413)는 각각 간섭 프레임(411)으로부터 흡입구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각도제한부재(413)에 의해 제2단위판넬(417)이 전방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angle limiting member 413 is installed on the upper interference frame 411 of the second unit panel 417 to limit the forward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unit panel 417 . Each of the angle limiting members 41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terference frame 411 toward the suction port. The second unit panel 417 is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forward by the angle limiting member 413 .

외력인가부재(414)는 후단이 상기 회동축(418)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간섭 프레임(4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중에 의해 상기 간섭부재(412)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전단이 상기 제1단위판넬(416)의 상부에 접촉되도록 회동중심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외력인가부재(414)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단부에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가 설치될 수도 있다. The external force applying member 414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terference frame 411 at a position where the rear end is spaced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418, and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interference member 412 by its own weight. The front end is formed to extend forwar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so as to contac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unit panel (416). Here, although the external force applying member 414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a 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end thereof.

부피가 비교적 이물질의 경우, 본체부(110)의 이동에 따라 제2단위판넬(417)은 해당 이물질에 간섭되어 후방으로 회동된다. 후방으로 회동되는 제2단위판넬(417)에 의해 노면과 제2단위판넬(417) 사이 공간이 확장되어 해당 이물질이 용이하게 흡입노즐(120)로 유입된다. 이때, 확장된 제2단위판넬(417)과 노면 사이의 공간보다 더 큰 부피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도 15와 같이 제1단위판넬(416)의 회동축(418)은 삽입구(415)를 따라 상방으로 상승하여 제2단위판넬(417)과 노면 사이의 공간이 더욱 확장되어 해당 이물질이 용이하게 흡입노즐(120)로 유입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foreign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the second unit panel 417 is rotated backward by interference with the foreign materi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10 . The space between the road surface and the second unit panel 417 is expanded by the second unit panel 417 that rotates backward, and the foreign material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suction nozzle 120 . At this time, when a foreign material having a larger volume than the space between the extended second unit panel 417 and the road surface is introduced, the rotation shaft 418 of the first unit panel 416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415 as shown in FIG. 15 . As it rises upward,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unit panel 417 and the road surface is further expanded,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suction nozzle 120 .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 이중 사이클론 유닛
11: 제1사이클론부
12: 제2사이클론부
13: 연결관
14: 수용함체
15: 내부공간
20: 제1단위관
21: 유동공간
30: 제2단위관
31: 제2유동공간
40: 유동 가이드부
41: 유도유로
42: 유도구
100: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노면청소장치
110: 본체부
120: 흡입노즐
130: 적재함체
140: 흡입부
141: 제1흡입관
143: 제2흡입관
300: 브러쉬 유닛
10: double cyclone unit
11: First cyclone part
12: second cyclone unit
13: connector
14: container
15: inner space
20: Unit 1
21: flow space
30: Unit 2
31: second flow space
40: flow guide part
41: taxiway
42: Judo ball
100: road surface cleaning device having a double cyclone unit
110: body part
120: suction nozzle
130: load box
140: suction unit
141: first suction pipe
143: second suction pipe
300: brush unit

Claims (1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소대상지역 노면을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유닛이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노면 상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게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노즐;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적재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적재공간이 마련된 적재함체;
상기 흡입노즐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상기 노면 상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적재함체의 적재공간으로 이송시키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나선궤도로 회전시켜 해당 공기 중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제1사이클론부와, 상기 제1사이클론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클론부를 통과한 공기를 재차 나선궤도로 회전시켜 해당 공기 중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제2사이클론부가 마련된 이중 사이클론 유닛; 및
상기 흡입구 전방의 상기 흡입노즐에 설치되어 상기 노면 상의 이물질들을 간섭하여 상호 고착된 이물질들을 분산시키는 간섭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간섭유닛은
상기 흡입노즐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간섭 프레임;
회동축에 의해 상기 간섭 프레임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동축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단위판넬과, 상기 제1단위판넬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면 상의 이물질을 간섭하기 위해 단부가 상기 노면에 인접되도록 상기 제1단위판넬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단위판넬이 마련된 간섭부재;
상기 간섭부재가 전방으로 회동되는 회동각도를 기설정된 각도로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간섭부재를 간섭하기 위해 상기 간섭 프레임에 설치되는 각도제한부재; 및
상기 간섭부재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간섭부재에 외력을 인가하는 외력인가부재;를 구비하는,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
a main body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to run on the road surface of the cleaning target area;
a suction nozzl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having a suction port so that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can be introduced;
a loading box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having a loading space therein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can be loaded;
a suction unit installed in the suction nozzle to suck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suction nozzle and transfer it to the loading space of the loading box;
A first cyclone unit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to rotate the air sucked in the suction unit in a spiral orbit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and the first cyclone unit installed in the first cyclone unit to recycle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cyclone unit a double cyclone unit provided with a second cyclone unit rotating in a spiral orbit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nd
and an interference unit installed in the suction nozzle in front of the suction port to interfere with the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to disperse the mutually adhering foreign substances; and
The interference unit
an interference fram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uction nozzle;
One e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terference frame by a rotation axis, a first unit panel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ation axis,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unit panel are formed to interfere with foreign substances on the road surface an interference member provided with a second unit panel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unit panel so that an end thereof is adjacent to the road surface;
an angle limiting member installed in the interference frame to interfere with the interference member so as to limit a rotation angle at which the interference member is rotated forward to a preset angle; and
and an external force applying member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interference member so that the interference member is rotated forward.
Outdoor cleaning system with double cyclone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클론부는
상기 흡입부로부터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흡입부에 연결된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내부공간 내에 상기 제2사이클론부가 설치된 수용함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수용함체의 내벽면을 따라 나선궤도를 이루며 유동할 수 있도록 타단부의 길이방향 중심선이 상기 내부공간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수용함체에 연결된,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cyclone unit
a connection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from the suction unit; and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the inner space is provided therein so that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necting pipe can be introduced, the receiving box in which the second cyclone part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and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housing so that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can flow in a spiral track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Outdoor cleaning system with double cyclone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클론부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함체의 하부에,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되도록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수집봉투;를 더 구비하는,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cyclone unit further comprises a; a collection bag detachably instal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at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box so as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utdoor cleaning system with double cyclone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클론부는
상기 내부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제1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1유동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된 제1단위관;
상기 제1단위관의 하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상기 제1유동공간에 연통되는 제2유동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2유동공간은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된 제2단위관;
상기 제1유동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단위관의 내벽을 따라 나선궤도로 유동하여 해당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단위관으로 인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유동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cyclone unit
a first unit pip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having a first flow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inlet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air flowing in the inner space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space;
a second unit pipe provided under the first unit pipe and having a second flow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ow space therein, the second flow space having an inner diameter that is reduced toward the lower side;
Installed at the inlet to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unit pipe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flow space flows in a spiral path along the inner wall of the first unit pipe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A flow guide portion to be; having,
Outdoor cleaning system with double cyclone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부는 상기 제1단위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는 유도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제1단위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되, 단부에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유로에 연통되는 유도구가 형성된,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low guide part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unit pipe, has an indu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inle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unit pipe, and air is introduced at the end A guid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flow path is formed so that it can be
Outdoor cleaning system with double cyclone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부는 상기 제1유동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제1단위관의 내벽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에 인접된 일단부 바닥면이 상기 유도구가 마련된 타단부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In order to guide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flow space downwar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irst unit pipe, one end bottom surface adjacent to the inlet port is lower than the other end bottom surface in which the induction port is provided. inclined to be positioned,
Outdoor cleaning system with double cyclone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수용함체로 유입되는 공기가 나선궤도로 유동된 다음, 상기 유입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상기 제1단위관의 유입구 하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수용함체에 설치되는,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necting pipe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box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inlet of the first unit pip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can flow into the inlet after the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flows in a spiral orbit,
Outdoor cleaning system with double cyclone un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클론부는 상기 수용함체로 유입되는 공기가 나선궤도로 유동된 다음, 상기 유입구로 유입될 수 있게 상기 내부공간 내에 유동하는 공기를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 및 유입구 사이의 상기 제1단위관 또는 제2단위관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간섭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cond cyclone part is loca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and the inlet to interfere with the air flowing in the inner space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box flows in a spiral orbit and then flows into the inlet. Further comprising; an interference plat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unit tube or the second unit tub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is expanded;
Outdoor cleaning system with double cyclone unit.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위관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단위관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수거통;을 더 구비하는,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2 or 13,
The second unit pipe further includes a receptacle detachably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unit pipe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air flowing inside the second unit pipe.
Outdoor cleaning system with double cyclone un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위관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2단위관에 의해 상기 수용함체로 유입되는 공기가 간섭되어 하방으로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타단부가 상기 제2단위관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수용함체에 연결되는,
이중 사이클론 유닛을 구비한 실외 청소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cond unit tube is formed such that the out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The connecting pipe has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ousing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unit pipe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by the second unit pipe is interfered and the flow is guided downward.
Outdoor cleaning system with double cyclone unit.
KR1020210055603A 2021-04-29 2021-04-29 Outdoor cleaning device with double cyclone unit KR1023461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603A KR102346194B1 (en) 2021-04-29 2021-04-29 Outdoor cleaning device with double cyclone unit
PCT/KR2022/004704 WO2022231149A1 (en) 2021-04-29 2022-04-01 Outdoor cleaning device including double cyclon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603A KR102346194B1 (en) 2021-04-29 2021-04-29 Outdoor cleaning device with double cyclone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194B1 true KR102346194B1 (en) 2022-01-03

Family

ID=7934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603A KR102346194B1 (en) 2021-04-29 2021-04-29 Outdoor cleaning device with double cyclone uni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6194B1 (en)
WO (1) WO2022231149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149A1 (en) * 2021-04-29 2022-11-03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Outdoor cleaning device including double cyclone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634A (en) * 2005-06-28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090063642A (en) 2007-12-14 2009-06-18 문종철 Cleaning device of surface cleaning vehicles
KR100926900B1 (en) * 2009-08-07 2009-11-17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Street cleaning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441B1 (en) * 2004-10-05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 cyclone dust collector
KR100864708B1 (en) * 2006-12-28 2008-10-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dust-separa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JP2013221312A (en) * 2012-04-16 2013-10-28 Macoho Co Ltd Road surface treatment method and road surface treatment device
KR102346194B1 (en) * 2021-04-29 2022-01-03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Outdoor cleaning device with double cyclone un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634A (en) * 2005-06-28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090063642A (en) 2007-12-14 2009-06-18 문종철 Cleaning device of surface cleaning vehicles
KR100926900B1 (en) * 2009-08-07 2009-11-17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Street cleaning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149A1 (en) * 2021-04-29 2022-11-03 주식회사 드림씨엔지 Outdoor cleaning device including double cyclon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1149A1 (en)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5066B1 (en) Dust control system
EP17267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ressing dust and odors
US6840463B2 (en) Quick color change system
GB2142961A (en) Pneumatic road and rail scavengering
RU2412833C2 (en) Device to suck garbage and contaminants from soil
US8012265B2 (en) Concrete/asphalt wet washing system
EP0338509B1 (en) Device for cleaning vehicle wheels
CN103362093A (en) Electric ground sweeper
KR102346194B1 (en) Outdoor cleaning device with double cyclone unit
CN102828461A (en) Milling machine and dust removing system thereof
CN107988966A (en) Road sweeper
KR102361715B1 (en) Cyclone unit and road surface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US7014670B2 (en) Controlling cyclone efficiency with a vacuum interface
US3172143A (en) Machine for cleaning large surface areas
CN105625246A (en) Dry fog flushing and sweeping vehicle
US20070215176A1 (en) Concrete/asphalt wet washing system
KR102402299B1 (en) Road sweeper
US5090162A (en) Surface treating apparatus
US20110139179A1 (en) Concrete/Asphalt Wet Washing System
KR101131515B1 (en) A water jet apparatudevice for removing road lane or protecting slip of road
KR101278253B1 (en) Impeller blast system of largre size pipe
KR960003214B1 (en) Air jet-type vehicle for collecting refuse
KR200169752Y1 (en) Cyclon type street sweeping truck
KR102400181B1 (en) Apparatus for cleaning and painting of tunnel
KR200289318Y1 (en) Gather up for the equipment of scavenger's cart to the vacu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