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904B1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904B1
KR102345904B1 KR1020170119575A KR20170119575A KR102345904B1 KR 102345904 B1 KR102345904 B1 KR 102345904B1 KR 1020170119575 A KR1020170119575 A KR 1020170119575A KR 20170119575 A KR20170119575 A KR 20170119575A KR 102345904 B1 KR102345904 B1 KR 102345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erminal
base station
radio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756A (ko
Inventor
나민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9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9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기지국(기지국장치)에서 기지국장치 내 서로 다른 무선모듈(DU) 간의 핸드오버 시 데이터 유실(lost) 및 데이터 전송 지연(delay)을 최소화할 수 있는, 5G 통신시스템의 분리형 기지국(기지국장치)에 적합한 새로운 핸드오버 기법을 실현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BASE STATION AND HANDOVER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지국모듈 및 무선모듈로 분리 구성된 기지국장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지국장치 내 서로 다른 무선모듈 간의 핸드오버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유실(lost) 및 전송 지연(delay)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LTE 통신시스템에서 통신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 요구 속도 등이 다양해짐에 따라, LTE 주파수 증설 및 5G 통신시스템으로의 진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5G 통신시스템은, 한정된 무선자원을 기반으로 최대한 많은 수의 단말을 수용하면서,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대규모 기계형 통신)/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고도의 신뢰도와 낮은 지연 시간 통신)의 시나리오를 지원하고 있다.
한편, 기지국장치는, 내부적인 기능에 따라 기지국모듈(DU : Digital Unit) 및 무선모듈(RU : Remote Unit)로 구분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DU 및 RU의 구성이 일체화된 기지국 형태 뿐 아니라, DU 및 RU를 분리하여 각각 원거리에 설치/구성하는 기지국 형태(이하, 분리형 기지국)이 등장하였다.
향후 진화하고 있는 5G 통신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분리형 기지국 역시, 무선모듈(RU)에 RF(Radio Frequency) 처리 기능 만 포함되어 무선모듈(RU)이 단순히 무선구간으로의 신호(데이터) 송수신 역할 만을 담당하던 기존과 달리, 무선모듈에 기지국모듈에서 담당하던 더 상위 계층에서의 처리 기능을 옮겨 무선모듈의 역할을 확장시키고자 한다.
5G 통신시스템에서는, 기지국모듈을 CU(Central Unit)라 정의하고, 무선모듈을 DU(Distributed Unit)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5G 통신시스템에서는, 기지국모듈(CU) 및 무선모듈(DU)로 분리 구성된 분리형 기지국에서, 무선모듈(DU)에 RF 처리 기능 뿐 아니라 더 상위 계층에서의 처리 기능까지 확장/설계하는 구조를 감안하여,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논의되고 있다.
헌데, 현재까지 논의된 상황에서는, 기지국장치(분리형 기지국) 내 서로 다른 무선모듈(DU) 간의 핸드오버 시, 즉 동일 기지국모듈(CU)과 연결되어 있는 소스 무선모듈(Source DU)에서 타겟 무선모듈(Target DU)로 핸드오버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유실(lost) 또는 데이터의 전송 지연(delay)을 해결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법(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에, 무선모듈(DU)에 RF 처리 기능 뿐 아니라 더 상위 계층에서의 처리 기능까지 확장/설계하는 구조의 분리형 기지국(기지국장치)에서, 기지국장치 내 서로 다른 무선모듈(DU) 간의 핸드오버 시 데이터 유실(lost) 및 데이터 전송 지연(delay)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법(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5G 통신시스템의 분리형 기지국(기지국장치)에 적합한 새로운 핸드오버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5G 통신시스템의 분리형 기지국(기지국장치)에 적합한 새로운 핸드오버 기법을 실현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모듈 및 무선모듈로 분리 구성된 기지국장치는, 소스 무선모듈로부터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단말을 인지하는 인지부; 상기 소스 무선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로 상기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명령부; 및 상기 소스 무선모듈에서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확인되기 이전 시점에,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소스 무선모듈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전송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제어부는, 상기 타겟 무선모듈 및 상기 단말 간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에, 상기 단말에 대하여 중단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상기 타겟 무선모듈 기반으로 재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모듈 및 무선모듈로 분리 구성된 기지국장치는, 접속 단말 중 상기 기지국모듈에 의해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결정된 단말로,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소스 무선모듈;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따른 무선구간 연결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을 연결하는 연결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연결 절차가 개시됨을 상기 기지국모듈로 통지하여, 상기 기지국모듈로 하여금 상기 단말에 대하여 중단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상기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에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타겟 무선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겟 무선모듈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구간 연결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구간 연결 시도의 수신 사실을 상기 기지국모듈로 보고하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 절차가 개시됨을 통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스 무선모듈은, 상기 단말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면,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 확인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상태를 상기 기지국모듈에 송신하여, 상기 기지국모듈로 하여금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소스 무선모듈에서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단절이 확인되기 이전 시점에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모듈은, RF 처리 기능 외에도, PHY 계층(Physical Layer)에서의 처리 기능을 더 포함하거나, PHY 계층 및 MAC 계층(Medium Access Control Layer)에서의 처리 기능을 더 포함하거나, PHY 계층 및 MAC 계층 및 RLC 계층(Radio Link Control Layer)에서의 처리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기지국모듈 및 무선모듈로 분리 구성된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은, 소스 무선모듈로부터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단말을 인지하는 인지단계; 상기 소스 무선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로 상기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명령단계; 상기 소스 무선모듈에서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확인되기 이전 시점에,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소스 무선모듈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전송중단단계; 및 상기 타겟 무선모듈 및 상기 단말 간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에, 상기 단말에 대하여 중단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상기 타겟 무선모듈 기반으로 재개하는 전송재개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기지국모듈 및 무선모듈로 분리 구성된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은, 소스 무선모듈이, 접속 단말 중 상기 기지국모듈에 의해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결정된 단말로,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명령송신단계; 상기 타겟 무선모듈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따른 무선구간 연결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을 연결하는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연결절차수행단계; 및 상기 타겟 무선모듈이,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연결 절차가 개시됨을 상기 기지국모듈로 통지하여, 상기 기지국모듈로 하여금 상기 단말에 대하여 중단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상기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에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통지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지단계는, 상기 타겟 무선모듈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구간 연결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구간 연결 시도의 수신 사실을 상기 기지국모듈로 보고하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 절차가 개시됨을 통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스 무선모듈이, 상기 명령송신단계에서 상기 단말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면,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 확인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상태를 상기 기지국모듈에 송신하여, 상기 기지국모듈로 하여금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소스 무선모듈에서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단절이 확인되기 이전 시점에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에 따르면, 분리형 기지국(기지국장치)에서 기지국장치 내 서로 다른 무선모듈(DU) 간의 핸드오버 시 데이터 유실(lost) 및 데이터 전송 지연(delay)을 최소화할 수 있는, 5G 통신시스템의 분리형 기지국(기지국장치)에 적합한 새로운 핸드오버 기법을 실현함으로써, 5G 통신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시나리오의 성능 저하 없이 단말의 Seamless한 이동성을 보장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특히, 기지국모듈 관점)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분리형 기지국)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분리형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기법(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특히, 기지국모듈 관점)에서 수행되는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기법(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현재 활발하게 진화/논의되고 있는 향후 5G 통신시스템과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은, 5G 통신시스템에서 이용하게 될 분리형 기지국 기술에 관한 것이다.
LTE 통신시스템에서 통신서비스의 종류 및 전송 요구 속도 등이 다양해짐에 따라, LTE 주파수 증설 및 5G 통신시스템으로의 진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5G 통신시스템은, 한정된 무선자원을 기반으로 최대한 많은 수의 단말을 수용하면서,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대규모 기계형 통신)/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고도의 신뢰도와 낮은 지연 시간 통신)의 시나리오를 지원하고 있다.
한편, 기지국장치는, 내부적인 기능에 따라 기지국모듈(DU : Digital Unit) 및 무선모듈(RU : Remote Unit)로 구분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DU 및 RU의 구성이 일체화된 기지국 형태 뿐 아니라, DU 및 RU를 분리하여 각각 원거리에 설치/구성하는 기지국 형태(이하, 분리형 기지국)이 등장하였다.
향후 진화하고 있는 5G 통신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분리형 기지국 역시, 무선모듈(RU)에 RF(Radio Frequency) 처리 기능 만 포함되어 무선모듈(RU)이 단순히 무선구간으로의 신호(데이터) 송수신 역할 만을 담당하던 기존과 달리, 무선모듈에 기지국모듈에서 담당하던 더 상위 계층에서의 처리 기능을 옮겨 무선모듈의 역할을 확장시키고자 한다.
5G 통신시스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기지국(300)을 구성하는 기지국모듈(100)을 CU(Central Unit)라 정의하고, 무선모듈1,2,...N을 DU(Distributed Unit)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에, 5G 통신시스템에서 논의되고 있는 무선모듈의 확장 모델은, 무선모듈(DU)에 RF 처리 기능 및 PHY 계층(Physical Layer)에서의 처리 기능까지 포함시키는 모델(Baseband Pooling 구조), 더 나아가 무선모듈(DU)에 MAC 계층(Medium Access Control Layer) 및 RLC 계층(Radio Link Control Layer)에서의 처리 기능까지 더 포함시키는 모델(Integrated DU/Antenna 구조) 등이 있다.
현재 가장 유력한 모델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모듈(DU)에 RF 처리 기능, PHY 계층/ MAC 계층/ RLC 계층의 처리 기능까지 포함시키고, 기지국모듈(CU)에는 그 상위 계층의 처리 기능 만을 포함시키는 Integrated DU/Antenna 구조의 모델이다.
이러한 5G 통신시스템에서는, 기지국모듈(CU) 및 무선모듈(DU)로 분리 구성된 분리형 기지국(300)에서, 무선모듈(DU)에 RF 처리 기능 뿐 아니라 더 상위 계층에서의 처리 기능까지 확장/설계하는 구조를 감안하여,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논의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기법으로는, 단말 및 무선모듈(DU) 간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로 인한 데이터 유실(lost PDU, Packet Data Unit)을 개선하기 위한 기법이 논의되었다.
간단히 설명하면, 단말(10)이 무선모듈2와의 무선구간 연결을 기반으로 기지국모듈(100)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 중인 경우, 무선모듈2는 단말(10)과의 무선구간 연결이 끊어지는 상황(failure)이 발생하는지 판단(확인)하고 단절 확인 시 무선구간 단절 사실(Radio link failure)을 기지국모듈(100)에 통지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기지국모듈(100)은, 단말(10)을 수용하여 단말(10)과의 무선구간 연결이 가능한 다른 무선모듈(예: 무선모듈1)을 대상으로, 무선모듈2로부터 무선구간 단절 통지 시에 전달된 다운링크 전송상태(예: PDU 시퀀스넘버)를 토대로 무선모듈2가 단말(10)로 송신하지 못한 데이터 및 이후 발생된 데이터를 무선모듈1로 즉시 전달(포워딩)한다.
그리고, 이후 단말(10) 및 무선모듈1 간의 무선구간이 연결되면, 단말(10)은 무선모듈1과의 무선구간 연결을 기반으로 기지국모듈(100)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헌데, 현재까지 논의된 상황에서는, 기지국장치(분리형 기지국) 내 서로 다른 무선모듈(DU) 간의 핸드오버 시, 즉 동일 기지국모듈(CU)과 연결되어 있는 소스 무선모듈(Source DU)에서 타겟 무선모듈(Target DU)로 핸드오버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유실(lost) 또는 데이터의 전송 지연(delay)을 해결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법(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에, 무선모듈(DU)에 RF 처리 기능 뿐 아니라 더 상위 계층에서의 처리 기능까지 확장/설계하는 구조의 분리형 기지국(기지국장치)에서, 기지국장치 내 서로 다른 무선모듈(DU) 간의 핸드오버 시 데이터 유실(lost) 및 데이터 전송 지연(delay)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법(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5G 통신시스템의 분리형 기지국(기지국장치)에 적합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핸드오버 시 데이터 유실(lost) 및 데이터 전송 지연(delay)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핸드오버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소스 무선모듈로부터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단말을 인지하는 인지부(110)와, 상기 소스 무선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로 상기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명령부(120)와, 상기 소스 무선모듈에서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확인되기 이전 시점에,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소스 무선모듈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전송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기지국장치는, 기지국모듈 및 무선모듈로 분리 구성된 분리형 기지국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기지국장치는, 향후 5G 통신시스템에서 이용 될, 무선모듈(DU)에 RF 처리 기능 뿐 아니라 더 상위 계층에서의 처리 기능까지 확장/설계하는 구조의 분리형 기지국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300) 즉 분리형 기지국에서 기지국모듈(CU, 도 1의 100) 관점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기지국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모듈(CU)로 이해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0)이 무선모듈2와의 무선구간 연결을 기반으로 기지국모듈(100)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 중, 무선모듈1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인지부(110)는, 소스 무선모듈(Source DU)로부터 타겟 무선모듈(Target DU)로의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단말을 인지한다.
예를 들면, 단말(10)은, 각 무선모듈로부터의 신호 수신세기를 측정한 측정정보를 접속 중인 무선모듈2로 보고할 것이고, 이 측정정보는 기지국모듈(100)로 전달된다.
이에, 기지국모듈(100)에서는, 단말(10)로부터의 측정정보를 토대로, 단말(10)이 현재 접속 중인 무선모듈2에서 다른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필요 시 핸드오버할 타겟 무선모듈을 결정하게 된다.
이에, 인지부(110)는, 기지국모듈(100)에서 단말(10)로부터의 측정정보를 토대로, 단말(10)이 현재 접속 중인 무선모듈2에서 다른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결정하고, 핸드오버할 타겟 무선모듈(예: 무선모듈1)을 결정하는 경우, 단말(10)을 소스 무선모듈2로부터 타겟 무선모듈1로의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단말로 인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단말(10)을 소스 무선모듈2로부터 타겟 무선모듈1로의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명령부(120)는, 소스 무선모듈2를 통해 단말(10)으로 타겟 무선모듈1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모듈(100)에서는, 단말(10)이 현재 접속 중인 무선모듈2에서 다른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결정하고, 핸드오버할 타겟 무선모듈(예: 무선모듈1)을 결정하면, 타겟 무선모듈1과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타겟 무선모듈1에 단말(10)에 대한 UE 컨텍스트를 셋업한다.
이후, 기지국모듈(100) 특히 명령부(120)는, 타겟 무선모듈1로의 Handover start indication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소스 무선모듈2에 송신하여 소스 무선모듈2로 하여금 타겟 무선모듈1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단말(10)에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소스 무선모듈2를 통해 단말(10)으로 타겟 무선모듈1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말(10)은, 소스 무선모듈2로부터 수신되는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 소스 무선모듈2로부터 타겟 무선모듈1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제반 절차(시그널링,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할 것이다.
전송제어부(130)는, 소스 무선모듈2에서 단말(10)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확인되기 이전 시점에, 단말(10)에 대한 소스 무선모듈2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한다.
현재까지 구체적인 핸드오버 기법(방안)이 논의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기지국모듈에서 단말(10)에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한 후, 단말(10)에 대한 소스 무선모듈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할 수 있는 별도의 정의가 없으며, 따라서 기지국모듈은, 소스 무선모듈부터 단말(10)과의 무선구간 단절 사실(Radio link failure)이 통지되어야만 단말(10)에 대한 소스 무선모듈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과 같이, 단말(10)은,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서, 소스 무선모듈로부터 타겟 무선모듈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제반 절차(시그널링,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소스 무선모듈과의 무선구간 연결이 끊어지는 상황(Radio link failure)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기지국모듈에서 단말(10)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스 무선모듈로 전송하는 것이 중단되어야 하는 가장 빠른 시점은, 단말(10)이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개시하는 시점인데, 실제로는 소스 무선모듈에서 단말(10)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자연스럽게 확인되고 이 사실이 기지국모듈(100)에 통지되는 시점에 중단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유실(lost) 및 전송 지연(delay)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소스 무선모듈의 무선환경이 좋을수록, 소스 무선모듈에서 단말(10)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늦게 확인될 것이므로, 데이터의 유실(lost) 및 전송 지연(delay)의 문제는 더 심화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핸드오버 기법(방안)에 따르면, 전송제어부(130)는, 소스 무선모듈2에서 단말(10)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확인되기 이전 시점에, 단말(10)에 대한 소스 무선모듈2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한다.
즉, 본 발명의 기지국모듈(100)은, 소스 무선모듈2에서 단말(10)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확인되기 이전 시점에, 단말(10)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스 무선모듈2로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기지국모듈(100) 즉 전송제어부(130)가, 소스 무선모듈2에서 단말(10)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확인되기 이전 시점을 특정 또는 인지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4를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다시 구체적으로 언급하겠다.
더 나아가, 전송제어부(130)는, 타겟 무선모듈1 및 단말(10) 간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에, 단말(10)에 대하여 중단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타겟 무선모듈1 기반으로 재개한다.
현재까지 구체적인 핸드오버 기법(방안)이 논의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기지국모듈에서 단말(10)에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한 후, 단말(10)에 대한 타겟 무선모듈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할 수 있는 별도의 정의가 없으며, 따라서 기지국모듈은, 타겟 무선모듈부터 단말(10)과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된 사실이 통지되어야만 단말(10)에 대한 타겟 무선모듈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한편, 기존처럼 분리형 기지국의 무선모듈에 RF 처리 기능만 포함된 구조라면, 기지국모듈에서 타겟 무선모듈부터 단말(10)과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된 사실이 통지된 후 단말(10)에 대한 타겟 무선모듈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5G 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될 분리형 기지국의 경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모듈에 RF 처리 기능 뿐 아니라 더 상위 계층(예: PHY 계층/ MAC 계층/ RLC 계층)의 처리 기능이 포함되기 때문에, 타겟 무선모듈에서의 데이터 처리 시간을 감안한다면, 데이터의 전송 지연(delay)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핸드오버 기법(방안)에 따르면, 전송제어부(130)는, 타겟 무선모듈1 및 단말(10) 간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에, 단말(10)에 대하여 중단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타겟 무선모듈1 기반으로 재개한다.
즉, 본 발명의 기지국모듈(100)은, 타겟 무선모듈1 및 단말(10) 간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에 단말(10)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타겟 무선모듈1로 전송하기 시작하여, 단말(10)에 대하여 중단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핸드오버 기법(방안)에 따라 기지국모듈(100)에서 타겟 무선모듈1 및 단말(10) 간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는 시점 보다 빠른 시점에 타겟 무선모듈1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더라도, 타겟 무선모듈1에서의 데이터 처리 시간을 감안한다면, 데이터의 유실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기지국모듈(100) 즉 전송제어부(130)가, 타겟 무선모듈1 및 단말(10) 간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을 특정 또는 인지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4를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다시 구체적으로 언급하겠다.
한편, 전술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의 각 기능부(인지부, 명령부, 전송제어부)를 기지국모듈(CU, 10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실시예일 뿐이다.
즉,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의 각 기능부(인지부, 명령부, 전송제어부)는, 무선모듈 및 기지국모듈에 각기 분산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 경우 상호 통신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핸드오버 기법(방법)이 실현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핸드오버 기법, 즉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300)에서 수행되는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0)이 무선모듈2와의 무선구간 연결을 기반으로 기지국모듈(100)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 중, 무선모듈1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단말(10)은 무선모듈2와의 접속(무선구간 연결)을 기반으로 기지국모듈(100)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면서(S10), 각 무선모듈로부터의 신호 수신세기를 측정한 측정정보를 접속 중인 무선모듈2로 보고할 것이고(S20), 이 측정정보는 기지국모듈(100)로 전달된다(S30).
이에, 기지국모듈(100)에서는, 단말(10)로부터의 측정정보를 토대로, 단말(10)이 현재 접속 중인 무선모듈2에서 다른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필요 시 핸드오버할 타겟 무선모듈을 결정하게 된다(S4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모듈(100)에서 단말(10)이 현재 접속 중인 무선모듈2에서 다른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결정하고, 핸드오버할 타겟 무선모듈을 무선모듈1로 결정한 것으로 가정하겠다.
이 경우, 기지국모듈(100)은, 타겟 무선모듈1과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타겟 무선모듈1에 단말(10)에 대한 UE 컨텍스트를 셋업한다(S50).
이후, 기지국모듈(100)은, 타겟 무선모듈1로의 Handover start indication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소스 무선모듈2에 송신하여(S60) 소스 무선모듈2로 하여금 타겟 무선모듈1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단말(10)에 송신하도록 함으로써(S65), 소스 무선모듈2를 통해 단말(10)으로 타겟 무선모듈1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할 수 있다.
즉, 소스 무선모듈2은, 접속 단말 중 기지국모듈(100)에 의해 타겟 무선모듈1로의 핸드오버가 결정된 단말(10)으로,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것이다(S65).
이때, 소스 무선모듈2은, 단말(10)으로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면(S65), 단말(10)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 확인 여부와 무관하게 단말(10)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상태(예: PDU 시퀀스넘버)를 기지국모듈(100)에 송신한다(S70).
즉, 소스 무선모듈2은, 단말(10)으로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것과 동시에 또는 송신 즉시, 단말(10)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상태(예: PDU 시퀀스넘버)를 기지국모듈(100)에 송신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기지국모듈(100)은, 소스 무선모듈2에서 단말(10)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확인되기 이전 시점에, 단말(10)에 대한 소스 무선모듈2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S80).
즉, 기지국모듈(100)은, 소스 무선모듈2에서 단말(10)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확인되기 이전 시점, 즉 소스 무선모듈2로부터 단말(10)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상태(예: PDU 시퀀스넘버)가 수신되는 시점에, 단말(10)에 대한 소스 무선모듈2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것이다(S80).
결국,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모듈(100)에서 단말(10)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스 무선모듈2로 전송하는 것이 중단되어야 하는 가장 빠른 시점 즉, 단말(10)이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개시하는 시점에 중단할 수 있다.
이는, 기지국모듈(100)이, 소스 무선모듈2에서 단말(10)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확인되고(S90) 이 사실이 기지국모듈(100)에 통지되는 시점(S90)에, 단말(10)에 대한 소스 무선모듈2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경우 보다, T1시간 만큼 데이터의 전송 지연(delay)을 줄이는 결과이며 물론 데이터의 유실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단말(10)은, S65단계에서 수신한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서, 소스 무선모듈2로부터 타겟 무선모듈1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제반 절차(시그널링,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10)가 타겟 무선모듈1로 무선구간 연결을 시도하는 Random Access(RA)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시작으로(S100), 단말(10) 및 타겟 무선모듈1 간에 무선구간을 연결하는 연결 절차가 개시되고, 타겟 무선모듈1가 이에 따른 Random Access Response 메시지를 단말(10)로 회신하는 등 이후 메시지(시그널링) 송수신을 통한 무선구간 연결 절차가 수행된다.
이때, 타겟 무선모듈1은, 단말(10)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에 따른 무선구간 연결 시도 즉 RA가 수신되면(S100), 단말(10)과의 무선구간을 연결하는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것과 별개로, 단말(10)과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전에 연결 절차가 개시됨을 기지국모듈(100)로 통지한다(S110).
더 구체적으로, 타겟 무선모듈1은, 단말(10)으로부터 무선구간 연결 시도 즉 RA가 수신되면(S100) RA의 수신 사실을 기지국모듈(100)로 보고하는 방식으로(S110), 단말(10)과의 무선구간 연결 절차가 개시됨을 통지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기지국모듈(100)은, 타겟 무선모듈1 및 단말(10) 간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에, 단말(10)에 대하여 중단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타겟 무선모듈1 기반으로 재개할 수 있다(S120).
즉, 기지국모듈(100)은, 타겟 무선모듈1 및 단말(10) 간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 즉 타겟 무선모듈1로부터 단말(10)에 대한 RA의 수신 사실이 통지되는 시점에, S70단계에서 수신한 다운링크 전송상태(예: PDU 시퀀스넘버)를 기초로 앞서 전송 중단한 단말(10)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타겟 무선모듈1로 전송하기 시작하여, 단말(10)에 대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모듈(100)에서 단말(10)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타겟 무선모듈1로 전송하기 시작해도 되는 가장 빠른 시점 즉, 단말(10)이 타겟 무선모듈로의 RA를 시도하는 시점에 전송 재개할 수 있다.
이는, 기지국모듈(100)이, 타겟 무선모듈1 및 단말(10) 간의 무선구간 연결 절차가 모두 수행되어 무선구간 연결 완료가 수신/전달되는 시점(S130,S140), 단말(10)에 대한 타겟 무선모듈1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할 경우 보다, T2시간 만큼 데이터의 전송 지연(delay)을 줄이는 결과이며 물론 데이터의 유실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특히, 기지국모듈(100) 관점)에서 수행되는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기법(방법)을 설명하겠다.
이에, 이하에서는 기지국모듈(100)의 핸드오버 방법으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기지국모듈(100)에서 수행되는 핸드오버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모듈(100)은, 소스 무선모듈(Source DU)로부터 타겟 무선모듈(Target DU)로의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단말을 인지한다(S200).
예를 들면, 단말(10)은, 각 무선모듈로부터의 신호 수신세기를 측정한 측정정보를 접속 중인 무선모듈2로 보고할 것이고, 이 측정정보는 기지국모듈(100)로 전달된다.
이에, 기지국모듈(100)에서는, 단말(10)로부터의 측정정보를 토대로, 단말(10)이 현재 접속 중인 무선모듈2에서 다른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필요 시 핸드오버할 타겟 무선모듈을 결정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모듈(100)에서 수행되는 핸드오버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모듈(100)은, 단말(10)로부터의 측정정보를 토대로, 단말(10)이 현재 접속 중인 무선모듈2에서 다른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결정하고, 핸드오버할 타겟 무선모듈(예: 무선모듈1)을 결정하는 경우, 단말(10)을 소스 무선모듈2로부터 타겟 무선모듈1로의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단말로 인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단말(10)을 소스 무선모듈2로부터 타겟 무선모듈1로의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단말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기지국모듈(100)에서 수행되는 핸드오버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모듈(100)은, 소스 무선모듈2를 통해 단말(10)으로 타겟 무선모듈1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한다(S210).
예를 들면, 기지국모듈(100)에서는, 단말(10)이 현재 접속 중인 무선모듈2에서 다른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결정하고, 핸드오버할 타겟 무선모듈(예: 무선모듈1)을 결정하면, 타겟 무선모듈1과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타겟 무선모듈1에 단말(10)에 대한 UE 컨텍스트를 셋업한다.
이후, 기지국모듈(100)은, 타겟 무선모듈1로의 Handover start indication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소스 무선모듈2에 송신하여 소스 무선모듈2로 하여금 타겟 무선모듈1로의 핸드오버 명령을 단말(10)에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소스 무선모듈2를 통해 단말(10)으로 타겟 무선모듈1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말(10)은, 소스 무선모듈2로부터 수신되는 핸드오버 명령에 따라, 소스 무선모듈2로부터 타겟 무선모듈1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제반 절차(시그널링,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지국모듈(100)에서 수행되는 핸드오버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모듈(100)은, 단말(10)으로 타겟 무선모듈1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한 후, 소스 무선모듈2에서 단말(10)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확인되기 이전 시점에, 단말(10)에 대한 소스 무선모듈2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한다(S220).
본 발명에서 소스 무선모듈2은, 단말(10)으로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것과 동시에 또는 송신 즉시, 단말(10)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상태(예: PDU 시퀀스넘버)를 기지국모듈(100)에 송신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 기지국모듈(100)은, 소스 무선모듈2에서 단말(10)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확인되기 이전 시점, 즉 소스 무선모듈2로부터 단말(10)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상태(예: PDU 시퀀스넘버)가 수신되는 시점(≒ 소스 무선모듈2에서 단말(10)으로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한 시점)에, 단말(10)에 대한 소스 무선모듈2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것이다(S220).
결국,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모듈(100)에서 단말(10)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소스 무선모듈2로 전송하는 것이 중단되어야 하는 가장 빠른 시점 즉, 단말(10)이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개시하는 시점에 중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지국모듈(100)에서 수행되는 핸드오버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모듈(100)은, 타겟 무선모듈1 및 단말(10) 간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에, 단말(10)에 대하여 중단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타겟 무선모듈1 기반으로 재개한다(S230).
본 발명에서 타겟 무선모듈1은, 단말(10)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에 따른 무선구간 연결 시도 즉 RA가 수신되면, 단말(10)과의 무선구간 연결 절차가 개시됨을 기지국모듈(100)로 통지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 기지국모듈(100)은, 타겟 무선모듈1 및 단말(10) 간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 즉 타겟 무선모듈1로부터 단말(10)에 대한 무선구간 연결 절차 개시가 통지된 시점(≒ 타겟 무선모듈1에서 단말(10)으로부터 RA를 수신한 시점 )에, 단말(10)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타겟 무선모듈1로 전송하기 시작하여, 단말(10)에 대하여 중단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모듈(100)에서 단말(10)에 대한 다운링크 데이터를 타겟 무선모듈1로 전송하기 시작해도 되는 가장 빠른 시점 즉, 단말(10)이 타겟 무선모듈로의 RA를 시도하는 시점에 전송 재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형 기지국(기지국장치)에서 기지국장치 내 서로 다른 무선모듈(DU) 간의 핸드오버 시 데이터 유실(lost) 및 데이터 전송 지연(delay)을 최소화할 수 있는, 5G 통신시스템의 분리형 기지국(기지국장치)에 적합한 새로운 핸드오버 기법을 실현함으로써, 5G 통신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시나리오의 성능 저하 없이 단말의 Seamless한 이동성을 보장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기법(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에 따르면, 5G 통신시스템의 분리형 기지국(기지국장치)에 적합한 새로운 핸드오버 기법을 실현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 단말
100 : 기지국모듈
110 : 인지부 120 : 명령부
130 : 전송제어부
300 : 기지국장치(분리형 기지국)

Claims (10)

  1. 기지국모듈 및 무선모듈로 분리 구성된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소스 무선모듈로부터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단말을 인지하는 인지부;
    상기 소스 무선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로 상기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명령부; 및
    상기 소스 무선모듈에서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확인되기 이전 시점에,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소스 무선모듈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전송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스 무선모듈이 상기 단말로 핸드오버를 명령하면,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단절 확인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상태를 상기 기지국모듈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모듈이 상기 소스 무선모듈로부터 상기 다운링크 전송상태를 수신하는 시점에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제어부는,
    상기 타겟 무선모듈 및 상기 단말 간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에, 상기 단말에 대하여 중단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상기 타겟 무선모듈 기반으로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기지국모듈 및 무선모듈로 분리 구성된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접속 단말 중 상기 기지국모듈에 의해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결정된 단말로,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소스 무선모듈;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따른 무선구간 연결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을 연결하는 연결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연결 절차가 개시됨을 상기 기지국모듈로 통지하여, 상기 기지국모듈로 하여금 상기 단말에 대하여 중단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상기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에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타겟 무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소스 무선모듈은,
    상기 단말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면,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단절 확인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상태를 상기 기지국모듈에 송신하여, 상기 기지국모듈이 상기 소스 무선모듈로부터 상기 다운링크 전송상태를 수신하는 시점에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무선모듈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구간 연결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구간 연결 시도의 수신 사실을 상기 기지국모듈로 보고하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 절차가 개시됨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모듈은,
    RF 처리 기능 외에도, PHY 계층(Physical Layer)에서의 처리 기능을 더 포함하거나, PHY 계층 및 MAC 계층(Medium Access Control Layer)에서의 처리 기능을 더 포함하거나, PHY 계층 및 MAC 계층 및 RLC 계층(Radio Link Control Layer)에서의 처리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기지국모듈 및 무선모듈로 분리 구성된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소스 무선모듈로부터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요구되는 단말을 인지하는 인지단계;
    상기 소스 무선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로 상기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를 명령하는 명령단계;
    상기 소스 무선모듈에서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단절(failure)이 확인되기 이전 시점에,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소스 무선모듈 기반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전송중단단계; 및
    상기 타겟 무선모듈 및 상기 단말 간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에, 상기 단말에 대하여 중단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상기 타겟 무선모듈 기반으로 재개하는 전송재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중단단계는,
    상기 소스 무선모듈이 상기 단말로 핸드오버를 명령하면,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단절 확인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상태를 상기 기지국모듈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모듈이 상기 소스 무선모듈로부터 상기 다운링크 전송상태를 수신하는 시점에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
  8. 기지국모듈 및 무선모듈로 분리 구성된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소스 무선모듈이, 접속 단말 중 상기 기지국모듈에 의해 타겟 무선모듈로의 핸드오버가 결정된 단말로,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명령송신단계;
    상기 타겟 무선모듈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명령에 따른 무선구간 연결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을 연결하는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연결절차수행단계; 및
    상기 타겟 무선모듈이,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연결 절차가 개시됨을 상기 기지국모듈로 통지하여, 상기 기지국모듈로 하여금 상기 단말에 대하여 중단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상기 무선구간 연결이 완료되기 이전 시점에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통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스 무선모듈이 상기 단말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면, 상기 단말과의 무선구간 단절 확인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단말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상태를 상기 기지국모듈에 송신하여, 상기 기지국모듈이 상기 소스 무선모듈로부터 상기 다운링크 전송상태를 수신하는 시점에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단계는,
    상기 타겟 무선모듈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구간 연결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구간 연결 시도의 수신 사실을 상기 기지국모듈로 보고하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 절차가 개시됨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
  10. 삭제
KR1020170119575A 2017-09-18 2017-09-18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 KR102345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75A KR102345904B1 (ko) 2017-09-18 2017-09-18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75A KR102345904B1 (ko) 2017-09-18 2017-09-18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756A KR20190031756A (ko) 2019-03-27
KR102345904B1 true KR102345904B1 (ko) 2021-12-30

Family

ID=6590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575A KR102345904B1 (ko) 2017-09-18 2017-09-18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0359A4 (en) 2019-04-02 2022-11-30 LG Electronics Inc. PROCEDURE FOR HANDLING NETWORK FAILUR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 RAN WG3, Meeting #95bis, R3-171169, 2017.8.12.*
3GPP TSG RAN WG3, Meeting #Ad-Hoc, R3-172244, 2017.6.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756A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12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bility for cell having small cell service are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071158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s device, and communications system thereof
RU2767981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10694444B2 (en) UE-based expedited handoff
EP2540109B1 (en) Detection of radio link failure (rlf) for recovery
US20200396652A1 (en)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program for conditional handover
CN107708104B (zh) 辅基站变更的方法及装置
US20220167234A1 (en) Handover method,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US10873985B2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a dual connectivity with base stations
US20220322448A1 (en) Method and ue for reporting accessibility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148097B (zh) 一种通信方法、通信装置及***
CN115669069A (zh) 用于主小区组的方法及设备
CN111866965A (zh) 条件切换方法及对应的用户设备
US11343738B2 (en) Handover-based connection resume technique
KR102345904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무선모듈 간 핸드오버 방법
US20230308250A1 (en) Managing cellular radio access technology operations
US20230262545A1 (en) Link recovery via cells prepared with information for handovers including cho and daps
CN114765791A (zh) 连接失败信息的处理方法、装置和***
KR20230091138A (ko) Mro 크리티컬 시나리오의 판정 방법, 장치 및 기기
CN116325905A (zh) 用于条件切换过程的移动性稳健性优化机制的方法及设备
WO2023011612A1 (zh) 移动性管理的方法及通信装置
KR102319592B1 (ko) 단말장치
EP4312452A1 (en) Handling conditional handover preparations in failure scenarios
US2023039729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scg deactivation mechanism and a scg activation mechanism in a mr-dc scenario
US1196873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