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303B1 - 러버콘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러버콘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303B1
KR102345303B1 KR1020210055677A KR20210055677A KR102345303B1 KR 102345303 B1 KR102345303 B1 KR 102345303B1 KR 1020210055677 A KR1020210055677 A KR 1020210055677A KR 20210055677 A KR20210055677 A KR 20210055677A KR 102345303 B1 KR102345303 B1 KR 10234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cone
cone
frame
rubber
wor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김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환 filed Critical 김명환
Priority to KR1020210055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2Loading mov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도로 공사 등에서 사용된 러버콘을 수거하기 위한 러버콘 수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차량의 사이드패널에 장착되는 설치프레임; 설치프레임에 체결되어 작업차량의 측부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어 작업차량의 전진에 따라 도로상에 세워진 러버콘을 도로면으로 쓰러뜨리는 눕힘부; 및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눕힘부에 의해 쓰러진 러버콘을 사이드패널에 인접하도록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러버콘 수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적재공간에 탑승하고 있는 상태에서 러버콘을 수거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러버콘 수거장치 {RUBBER CONE PICKUP DEVICE}
본 발명은 도로 공사 등에서 사용된 러버콘을 수거하기 위한 러버콘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도로 공사 등에서는 안전 표시를 위해 고깔이나 원뿔 모양의 표지물이 사용된다. 통상 이러한 표지물은 러버콘(rubber cone) 또는 트래픽콘(traffic cone)으로 불리고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는 이를 러버콘으로 통칭한다. 러버콘은 도로 상의 공사 지역이나 접근 제한 영역 등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통상 러버콘은 공사 지역 등을 따라 다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차량이나 보행자 등의 접근을 제한하게 된다.
전형적인 러버콘은 하부에 대략 정사각형 형태의 서포트가 형성되어 있고, 서포트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고깔 또는 원뿔 모양의 콘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에 의해 도로면 등에 세워지면 돌출된 콘부가 운전자 등으로 하여금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러버콘은 통상 주황색이나 붉은색 계열의 눈에 쉽게 띄는 색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러버콘은 그 명칭과 같이 일부 또는 전부가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의도치 않게 도로 상에서 차량 등과 충돌될 가능성이 있고, 그 관리나 보관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현재 대부분의 도로 공사 등에서 러버콘의 설치나 수거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 즉, 작업차량이 러버콘을 적재하고 서행하면, 작업자가 직접 적재된 러버콘을 도로 상에서 내려 설치하는 것이다. 러버콘의 수거시에도 이와 유사하게 작업자가 도로 상에 직접 내려서 이동하며 설치된 러버콘을 들어 올려 작업차량에 적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러버콘을 설치나 수거하는 작업자가 도로 상의 주행 차량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경우가 다수 발생되고 있다. 특히 러버콘의 수거는 도로 공사 등이 완료된 후에 이뤄지기 때문에, 주행 차량들이 공사 지역을 적절히 인지하지 못하고 빠르게 주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대형 인명사고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종래 러버콘을 설치하거나 수거하기 위한 장치 등이 일부 고안된 바 있으나, 그 취급이나 관리가 어렵고 설비 비용 또한 상당하여 현실적으로 사용이 거의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해당 장치를 탑재한 전용 차량이 요구되어 활용도가 떨어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작동 구조나 매커니즘으로 인해 고장이나 오작동도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된 러버콘을 안전하게 수거할 수 있으면서도, 비교적 저비용으로 쉽게 구현될 수 있고, 그 활용도 또한 개선된 러버콘 수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차량의 사이드패널에 장착되는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작업차량의 측부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차량의 전진에 따라 도로상에 세워진 러버콘을 도로면으로 쓰러뜨리는 눕힘부; 및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눕힘부에 의해 쓰러진 상기 러버콘을 상기 사이드패널에 인접하도록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는 러버콘 수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러버콘 수거장치는 작업자가 적재공간에 탑승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로면에 배치된 러버콘을 적절히 수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러버콘 수거시에 발생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수거작업의 효율이나 속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러버콘 수거장치는 그 구조나 작동 원리 상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쉽게 제작 및 구현이 가능하고, 작업차량 등에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설비 구축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설비의 운용 효율 또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러버콘 수거장치는 작업차량의 전진되면서 작업차량의 측부에서 수거작업이 이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수거작업을 수행하면서도 전방을 주시할 수 있고, 도로상황이나 다른 차량 등을 좀 더 쉽게 인지해 수거작업시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주시에 따라 수거해야 할 러버콘의 위치도 용이하게 파악 가능하여 작업 편의나 효율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콘 수거장치가 작업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를 확대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1작동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2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3작동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4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버콘 수거장치가 작업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를 확대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러버콘 수거장치(이하, "수거장치(100)"로 지칭함)는 도로면에 배치된 러버콘(10)을 수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러버콘(10)은 도로 상의 공사 지역 등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 공지되어 있다. 러버콘(10)은 주황색, 붉은색 등의 식별이 용이한 색상을 갖고, 일부 또는 전부가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가 러버콘(10)의 색상이나 재질 등의 제한되어 사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수거장치(100)는 서포트(11) 및 콘부(12)를 구비한 전형적인 형태의 러버콘(10)에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
러버콘(10)은 서포트(11) 및 콘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서포트(11)는 설치면(도로면)에 지지될 수 있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서포트(11)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사각형 형태로 예시되고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서포트(11)는 직사각형, 다각형, 원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서포트(11)의 중앙에는 개구부(13)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3)는 콘부(12)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콘부(12)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서포트(11)는 평면상 소정의 폭(14)을 가질 수 있다. 예시된 정사각형 형태의 서포트(11)에서 상기의 폭(14)은 대체로 정사각형의 한 변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직사각형, 다각형, 원형 등의 경우 상기의 폭(14)은 직사각형, 다각형, 원형 등의 최대 폭을 의미할 수 있다.
콘부(12)는 서포트(11)로부터 고깔 또는 원뿔 형상으로 소정 높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포트(11)에 접하는 콘부(12) 하단에는 개구부(13)가 형성될 수 있고, 콘부(12) 내측에는 개구부(13)로부터 연장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의 공간은 러버콘(10)을 중첩해 보관, 이송 등을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콘부(12) 하단은 평면상 소정의 직경(15)을 가질 수 있다. 콘부(12) 하단의 직경(15)은 대체로 개구부(13)의 직경에 대응될 수 있다. 콘부(12)가 다각뿔 등의 형태로 변형된 경우 상기의 직경(15)은 콘부(12) 하단이 형성하는 최대 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러버콘(10)은 도로면에 세워져 설치 및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도로면에 세워진 러버콘(10)을 작업차량(20)을 이용해 다시 수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수거장치(100)는 작업자가 직접 도로 상에 내리지 않고 작업차량(20) 위에서 수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하나의 특징을 둔다.
이하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설치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프레임(110)은 수거장치(100)를 작업차량(20)에 장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설치프레임(110)은 작업차량(20)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특정 작업차량(20)에 설치되어 사용되다가 작업이 완료되면 다른 작업차량 등으로 이동되어 설치 및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장치의 활용도를 높이고 설비 비용을 줄이는데 상당히 유용하게 기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치프레임(110)은 작업차량(20)의 사이드패널(21)에 장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소형 화물차 등에는 화물 등의 적재를 위한 적재공간(22)이 구비되고, 적재공간(22)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패널(21)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이러한 사이드패널(21)을 이용해 작업차량(20)에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패널(21)로의 설치는 수거작업의 편의나 안전 측면에서 이점을 가진다. 즉, 적재공간(22)에 위치한 작업자가 작업차량(20)의 진행방향을 주시하며 수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전방의 다른 차량이나 장애물 등을 적절히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수거대상인 러버콘(10)의 위치를 파악하는데도 유리할 수 있다.
설치프레임(110)은 사이드패널(21)을 사이에 두고 내측설치프레임(111)과 외측설치프레임(112)이 사이드패널(21)을 클램핑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설치프레임(111) 및 외측설치프레임(112)은 소정의 가압조임수단에 의해 상호 접근되어 사이드패널(21)에 고정되거나, 반대로 상호 이격되어 사이드패널(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작업자는 내, 외측설치프레임(111, 112)의 사이에 사이드패널(21)을 걸어 수거장치(100)를 배치시킨 후 소정의 가압조임수단을 통해 내, 외측설치프레임(112)을 서로 접근시켜 사이드패널(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수거장치(100)를 작업차량(20)으로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적재공간(22)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설치프레임(111) 등에는 수거장치(100)를 구동하거나 조작하는데 필요한 제어부(113)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는 적재공간(22)에 탑승한 상태에서 제어부(113)를 조작해 수거장치(100)를 적절히 구동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메인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20)은 설치프레임(110)에 의해 장착 지지되어 사이드패널(2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20)은 대체로 작업차량(20)의 측부에서 도로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20)은 대체로 복수의 프레임이나 브라켓이 조합된 프레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메인프레임(120)의 외형은 아래에서 설명한 주요 기능이나 작동이 포함되는 것이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외형 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인프레임(120)은 대체로 수거장치(100)의 전방 부위에 배치되는 수직연장프레임(121)을 구비할 수 있다. 수직연장프레임(121)은 상하로 소정 높이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하단 부위는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도로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직연장프레임(121)의 상단 부위는 소정의 연결구조를 갖고 설치프레임(110)에 연결 및 지지될 수 있다.
수직연장프레임(121)은 좌우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우의 수직연장프레임(121) 사이에는 러버콘(10)이 지나갈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20)은 수직연장프레임(12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수평프레임(122)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수평프레임(122)은 도로면과 소정 간격을 갖고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후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수평프레임(122)은 도로면으로부터 약 20~30cm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좌우 한 쌍의 수직연장프레임(121)에 대응되게 하부수평프레임(122)은 좌우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우의 하부수평프레임(122)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격공간(123)은 러버콘(10)의 정렬 및 적재 대기를 위한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
좌우의 하부수평프레임(122) 간 간격(122a)은 서포트(11)의 폭(14)을 고려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의 간격(122a)은 서포트(11)의 폭(14) 대비 약 1.2~1.5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러버콘(10)이 좌우의 하부수평프레임(122) 사이에서 적절히 간섭되어 자세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좌우의 하부수평프레임(122) 간 간격(122a)이 지나치게 넓으면 러버콘(10)이 이격공간(123)을 지나며 적절히 자세 정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작으면 러버콘(10)이 걸려 이격공간(123)으로 원활히 진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격공간(123)을 향한 하부수평프레임(122)의 내측면에는 보조프레임(124)이 부가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24)은 전후로 소정 길이를 갖고 하부수평프레임(122)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보조프레임(124)은 하부수평프레임(122)에 일체화되거나, 하부수평프레임(122)에 탈착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작업대상인 러버콘(10)의 종류나 작업환경 등에 따라 보조프레임(124)을 부가해 이격공간(123)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보조프레임(124)은 좌우 한 쌍의 하부수평프레임(122)에 대응되게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우의 보조프레임(124)은 소정의 간격(124a)을 가질 수 있다. 상기의 간격(124a)은 보조프레임(124)의 폭에 따라 전술한 좌우 하부수평프레임(122) 간의 간격(122a)보다는 소정 정도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보조프레임(124)은 하부수평프레임(122)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하부수평프레임(122)보다는 약간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프레임(124)의 전단은 하부수평프레임(122)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공간(123) 내 노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프레임(124)의 전단에는 경사면(124b)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24b)은 보조프레임(124)으로부터 하부수평프레임(122)을 향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124b)은 이격공간(123)에 배치된 러버콘(10)에 접촉되어 러버콘(10)이 보다 완전하게 정렬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즉, 이격공간(123)의 전방 영역에서 좌우로 소정 간격(122a)을 가지는 하부수평프레임(122)에 의해 일차적으로 러버콘(10)의 자세가 정렬될 수 있고, 이후 러버콘(10)이 경사면(124b)에 접촉되면서 좀 더 좁은 간격(124a) 사이로 진입되어 자세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러버콘(10)이 좀 더 정확한 자세나 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메인프레임(120)은 이탈방지리브(125)를 구비할 수 있다. 이탈방지리브(125)는 이격공간(123) 후단에 배치되어 하부수평프레임(122) 또는 보조프레임(124)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이탈방지리브(125)는 이격공간(123) 내 러버콘(10)이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작업상황 등에 따라 러버콘(10)을 곧장 수거하기 어려울 때 러버콘(10)이 도로 상으로 다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이탈방지리브(125)는 한 쌍의 하부수평프레임(122)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좌우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공간(123) 후단의 간격을 좁히는 형태로 예시되어 있다. 다만 이탈방지리브(125)는 러버콘(10)에 적절히 간섭되어 러버콘(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구조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러버콘유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러버콘유도부(130)는 하부수평프레임(122)의 전단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러버콘유도부(130)는 도로 상의 러버콘(10)이 메인프레임(120)의 이격공간(123)으로 적절히 진입될 수 있도록 러버콘(10)을 이동 안내할 수 있다.
러버콘유도부(130)는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의 접촉유도바(131)를 구비할 수 있다. 접촉유도바(131)는 전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좌우의 접촉유도바(131)는 후단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좌우의 접촉유도바(131)는 사이에 유도로(132)를 형성할 수 있다. 접촉유도바(131)가 경사지게 연장됨에 따라 유도로(132)는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도로(132) 전단의 폭(132a)은 콘부(12) 하단의 직경(15) 대비 약 2~3배로 형성될 수 있고, 유도로 후단의 폭(132b)은 콘부(12) 하단의 직경(15) 대비 약 1.2~1.5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로 상의 러버콘(10)은 유도로(132)로 쉽게 유입될 수 있고, 유도로(132)를 따라 이동(상대적 이동)되면서 좌우 위치가 적절히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눕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눕힘부(140)는 유도로(132) 후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눕힘부(140)는 유도로(132)를 거쳐 위치 정렬된 러버콘(10)에 부딪혀 러버콘(10)을 쓰러뜨리도록 작동될 수 있다. 즉, 도로에 세워진 러버콘(10)은 유도로(132)를 거치며 좌우 위치가 정렬될 수 있고, 유도로(132) 후방에서 눕힘부(140)에 부딪혀 바닥에 눕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눕힘부(140)는 걸림바(141)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바(141)는 좌우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걸림바(141)의 좌우 길이는 대체로 좌우 수직연장프레임(121)의 간격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바(141)는 도로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걸림바(141)는 도로면에 배치된 러버콘(10)의 상단 부위에 접촉 간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러버콘(10)을 좀 더 쉽게 넘어뜨릴 수 있게 한다.
걸림바(141)는 양단에 힌지브라켓(142)을 구비할 수 있고, 힌지브라켓(142)은 수직연장프레임(121)에 좌우 방향으로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바(141)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동작될 수 있다.
눕힘부(140)는 걸림바(141)를 초기 위치로 배치시키거나, 러버콘(10)에 의해 회동된 걸림바(141)를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복원수단(14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복원수단(143)은 인장코일스프링(143)으로 예시되고 있다. 이러한 인장코일스프링(143)은 일단부가 메인프레임(1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걸림바(141)나 힌지브라켓(142)에 체결되어 걸림바(141)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탄성복원수단(143)으로 인장코일스프링(143)이 사용된 경우를 가정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탄성복원수단(143)은 예시된 인장코일스프링(143) 외 다양한 방식이나 형태의 스프링 등으로 적절히 대체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인장코일스프링(14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인장코일스프링(143)은 힌지축에 구비된 토션스프링 등으로 적절히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센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걸림바(141)의 회동 여부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센서부(150)는 걸림바(141)가 초기 위치에서 회동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해 걸림바(141)의 회동시 감지신호를 제어부(113)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50)의 감지신호는 러버콘(10)이 메인프레임(120)의 이격공간(123)으로 진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150)는 걸림바(141)의 회동을 적절히 감지할 수 있는 구조나 배치를 갖는 것이면 무방하고,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센서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서부(150)는 힌지브라켓(142)의 힌지축과 인접한 위치에서 수직연장프레임(121)에 장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힌지브라켓(142)은 인장코일스프링(143)에 의해 지지되어 초기 상태에서 센서부(150)의 감지범위 밖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러버콘(10)에 의해 힌지브라켓(142)이 회동(도면상 시계방향)되면, 센서부(150)에 의해 힌지브라켓(142)이 감지되어 러버콘(10)의 투입 여부가 판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리프팅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부(160)는 메인프레임(120)의 이격공간(123)으로 유입된 러버콘(10)을 작업차량(20) 위로 회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도로 상에 내리지 않고 적재공간(22)에 탑승한 상태에서 도로면의 러버콘(10)을 회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팅부(160)는 회동프레임(161)을 구비할 수 있다. 회동프레임(161)은 회전축(161a)을 구비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동프레임(161)은 회전축(161a)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회동프레임(161)은 삽입콘(162)을 회전축(161a)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장착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구조나 형상을 갖고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동프레임(161)은 길이 방향의 중앙에 회전축(161a)을 갖고, 회전축(161a)으로부터 전후로 연장된 직선형 바(bar)의 형태로 예시되고 있다. 이는 제작 편의나 비용을 고려한 것이다.
다만 회동프레임(161)의 구조나 형상은 삽입콘(162)의 개수 등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예시된 바와 달리 3개 이상의 삽입콘(162)이 사용되는 경우 회동프레임(161)은 회전축(161a)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된 3개 이상의 바 등으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리프팅부(160)는 하나 이상의 삽입콘(162)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콘(162)은 회동프레임(161)의 단부에 장착되어 회전축(161a)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콘(162)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 대략 180도 간격으로 2개의 삽입콘(162)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삽입콘(162)의 개수는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삽입콘(162)은 대략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삽입콘(162)은 원뿔의 머리 부분이 소정 정도 절단된 절두 원뿔 또는 부분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의도치 않게 삽입콘(162)의 머리 부위가 도로면 등에 부딪혀 삽입콘(162)이나 도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삽입콘(162)은 회동프레임(161)에 결합된 후단의 직경(162a)이, 그 반대편인 전단의 직경(162b)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콘(162)은 원뿔 형상의 밑면이 회동프레임(16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콘(162)의 형상은 러버콘(10)의 개구부(13)로 삽입콘(162)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경우에 따라 삽입콘(162) 후단의 직경(162a)은 러버콘(10)에 형성된 개구부(13)의 직경(15)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삽입콘(162)이 개구부(13)로 완전히 삽입되면 삽입콘(162)과 러버콘(10)이 적절히 밀착되어, 러버콘(10)을 상측의 적재공간(22)으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러버콘(1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삽입콘(162)의 전단의 직경(162b)은 삽입콘(162)의 원활한 삽입을 위해 개구부(13) 대비 충분히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삽입콘(162)의 외면에는 마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찰부재는 삽입콘(162) 외면과 러버콘(10) 내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삽입콘(162)이 러버콘(10)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러버콘(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찰부재는 삽입콘(162) 외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배치된 고무 등의 탄성마찰소재, 돌기, 홈, 기타 마찰력 증대를 위한 기계적 형상이나 소재로 이뤄질 수 있다.
삽입콘(162)은 회동프레임(161)의 회전에 따라 도로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이격공간(123) 내 러버콘(10)과 체결되거나, 이격공간(123)으로부터 상측으로 회전 이동되어 적재공간(22)의 측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동프레임(161)의 길이나 회전축(161a)의 상하 위치는 이러한 삽입콘(162)의 작동을 고려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수거장치(100)는 회전구동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170)는 리프팅부(160)의 회전축(161a)에 연결되어 리프팅부(160)를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전구동부(170)는 삽입콘(162)의 개수나 배치를 리프팅부(160)를 소정 각도로 반복적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즉, 예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삽입콘(162)이 마련된 경우 회전구동부(170)는 대략 180도 간격으로 리프팅부(160)를 반복적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회전구동부(170)는 적재공간(22)에 탑재된 제어부(113)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 제어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수거장치(10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뤄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1작동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차량(20)이 러버콘(10)의 옆으로 서서히 주행하면, 수거대상인 러버콘(10)이 러버콘유도부(130)의 유도로(132)로 유입된다. 도로에 세워져 있던 러버콘(10)은 유도로(132)를 따라 이동되며 좌우 위치가 적절히 정렬될 수 있다. 이후 러버콘(10)은 유도로(132)를 빠져나와 걸림바(141)로 서서히 접근된다.
상기에서 걸림바(141)는 인장코일스프링(143)에 의해 지지되어 초기 상태, 즉, 센서부(150)에서 감지되지 않는 위치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삽입콘(162)은 메인프레임(120)의 후단 또는 그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진입 대기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2작동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차량(20)이 계속 전진되고, 러버콘(10)의 상단 부위에 걸림바(141)에 걸려 러버콘(10)이 도로면을 향해 앞으로 쓰러진다. 여기서 걸림바(141)는 러버콘(10)에 걸려 소정 정도 회전(도면상 시계방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센서부(150)에서 힌지브라켓(142)이 감지된다.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회전구동부(170)는 리프팅부(1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리프팅부(160)의 작동은 작업자의 수동 제어에 의해 이뤄질 수도 있다.
한편 러버콘(10)은 서포트(11)가 후방을 향해 배치된 자세로 도로면에 쓰러질 수 있고, 작업차량(20)이 전진됨에 따라 좌우의 하부수평프레임(122) 사이에서 적절히 위치 정렬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24)은 이 과정에서 경사면(124b) 등을 통해 러버콘(10)이 좀 더 정확한 위치나 자세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3작동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러버콘 수거장치의 제4작동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리프팅부(160)가 회전되어 삽입콘(162)이 러버콘(10)의 개구부(13)로 삽입 체결된다. 이후 리프팅부(160)가 계속 회전되면 삽입콘(162)에 체결된 러버콘(10)이 상측의 사이드패널(21)이나 적재공간(22)에 대응되는 높이로 이송될 수 있다. 리프팅부(160)는 기 설정된 소정 각도(예컨대 본 실시예의 경우 180도) 회전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일시 정지될 수 있다. 이후 적재공간(22)에 탑승해 있는 작업자에 의해 러버콘(10)이 삽입콘(162)으로부터 분리되고, 적재공간(22) 내 적재되어 회수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의 과정은 작업차량이 러버콘(10) 옆을 서행하면서 지속적, 반복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위와 같이 어느 하나의 러버콘(10)이 회수됨과 함께, 러버콘유도부(130)로는 다시 새로운 러버콘(10)이 접근 및 투입될 수 있고, 상기의 러버콘(10)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와 유사한 수거 과정이 이뤄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실시예에 따른 수거장치(100)는 작업자가 적재공간(22)에 탑승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로면에 배치된 러버콘(10)을 적절히 수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러버콘(10) 수거시에 발생되는 각종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수거작업의 효율이나 속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거장치(100)는 그 구조나 작동 원리 상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쉽게 제작 및 구현이 가능하고, 작업차량(20) 등에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설비 구축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설비의 운용 효율 또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거장치(100)는 작업차량(20)의 전진되면서 작업차량(20)의 측부에서 수거작업이 이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수거작업을 수행하면서도 전방을 주시할 수 있고, 도로상황이나 다른 차량 등을 좀 더 쉽게 인지해 수거작업시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주시에 따라 수거해야 할 러버콘(10)의 위치도 용이하게 파악 가능하여 작업 편의나 효율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장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러버콘 11: 서포트
12: 콘부 20: 작업차량
21: 사이드패널 22: 적재공간
100: 러버콘 수거장치 110: 설치프레임
120: 메인프레임 130: 러버콘유도부
140: 눕힘부 150: 센서부
160: 리프팅부 170: 회전구동부

Claims (8)

  1. 작업차량(20)의 사이드패널(21)에 장착되는 설치프레임(110);
    상기 설치프레임(110)에 체결되어 상기 작업차량(20)의 측부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120);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차량(20)의 전진에 따라 도로상에 세워진 러버콘(10)을 도로면으로 쓰러뜨리는 눕힘부(140); 및
    회전축(161a)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눕힘부(140)에 의해 쓰러진 상기 러버콘(10)을 상기 사이드패널(21)에 인접하도록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팅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20)은,
    도로면에 나란하게 전후로 연장 형성되고, 한 쌍이 좌우로 이격되어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123)을 형성하는 하부수평프레임(122); 및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22)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이로 상기 러버콘(10)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한 쌍이 좌우로 이격 배치되는 수직연장프레임(121);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공간(123)은,
    좌우의 간격(122a)이 상기 러버콘(10)의 서포트(11)의 폭(14)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20)은,
    상기 이격공간(123)을 향한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22)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22)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22)보다 소정 정도 짧은 길이를 갖고, 전단에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22)의 측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124b)을 구비하며, 한 쌍이 좌우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이격공간(123)의 후단 영역에서 상기 이격공간(123)의 좌우 간격을 소정 정도 줄이도록 형성된 보조프레임(124); 및
    상기 하부수평프레임(122)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이격공간(123) 내 상기 러버콘(10)의 후방 이탈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리브(125);를 포함하는 러버콘 수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전단에 장착되어 도로상의 러버콘(10)을 상기 메인프레임(120)으로 진입 유도하는 러버콘유도부(1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러버콘유도부(130)는,
    전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고, 한 쌍이 좌우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러버콘(10)이 진입되는 유도로(132)를 형성하며, 상기 러버콘(10)의 콘부(12)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작업차량(20)의 진행에 따라 상기 러버콘(10)의 좌우 위치를 소정 정도 정렬시키는 접촉유도바(131)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로(132)는,
    상기 접촉유도바(131)의 경사에 따라 전단의 폭(132a)이 후단의 폭(132b)보다 크게 형성되는 러버콘 수거장치.
  5. 작업차량(20)의 사이드패널(21)에 장착되는 설치프레임(110);
    상기 설치프레임(110)에 체결되어 상기 작업차량(20)의 측부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120);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차량(20)의 전진에 따라 도로상에 세워진 러버콘(10)을 도로면으로 쓰러뜨리는 눕힘부(140); 및
    회전축(161a)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눕힘부(140)에 의해 쓰러진 상기 러버콘(10)을 상기 사이드패널(21)에 인접하도록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팅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눕힘부(140)는,
    힌지브라켓(142)에 의해 좌우 방향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전단 부위에 체결되고, 상기 작업차량(20)의 전진에 따라 상기 러버콘(10)의 상부에 걸려 상기 러버콘(10)을 쓰러뜨리는 걸림바(141); 및
    상기 힌지브라켓(142)에 체결되어 상기 걸림바(141)를 소정의 초기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인장코일스프링(143);을 포함하는 러버콘 수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눕힘부(14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1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150)는,
    상기 걸림바(141)가 상기 러버콘(10)에 접촉되어 상기 초기 위치에서 후방으로 회동되면, 이를 감지해 소정의 감지신호를 생성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부(160)는,
    상기 감지신호의 발생에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회전 구동되게 형성된 러버콘 수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160)는,
    상기 작업차량(20)의 측부에서 좌우 방향의 회전축(16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프레임(161); 및
    상기 회동프레임(161)에 장착 지지되되, 복수개가 상기 회전축(161a)에 따른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삽입콘(162);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콘(162)은,
    상기 러버콘(10) 하부의 개구부(13)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전단의 직경(162b)이 상기 개구부(13)보다 작게 형성된 원뿔 또는 부분 원뿔의 형상을 가지는 러버콘 수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160)는,
    초기 상태에서 상기 삽입콘(162)이 상기 메인프레임(120)의 후단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대기되고, 소정의 감지신호 또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축(161a)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프레임(161)이 소정 각도 회전 구동되며, 상기 회동프레임(16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삽입콘(162)이 상기 러버콘(10)의 개구부(13)로 삽입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러버콘 수거장치.
KR1020210055677A 2021-04-29 2021-04-29 러버콘 수거장치 KR102345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677A KR102345303B1 (ko) 2021-04-29 2021-04-29 러버콘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677A KR102345303B1 (ko) 2021-04-29 2021-04-29 러버콘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303B1 true KR102345303B1 (ko) 2021-12-31

Family

ID=7917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677A KR102345303B1 (ko) 2021-04-29 2021-04-29 러버콘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3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38318A (ja) * 2020-08-26 2022-03-10 中日本ハイウェイ・メンテナンス名古屋株式会社 トラフィックコーン設置回収装置並びにトラフィックコーンの設置及び回収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918A (ja) * 2001-11-28 2003-06-06 Sendai Enji Kk 道路規制部材回収装置
JP3613397B2 (ja) * 2000-12-13 2005-01-26 仙台エンジ株式会社 道路規制部材回収装置
CN111719454A (zh) * 2020-07-06 2020-09-29 广西大学 一种交通锥自动收放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3397B2 (ja) * 2000-12-13 2005-01-26 仙台エンジ株式会社 道路規制部材回収装置
JP2003160918A (ja) * 2001-11-28 2003-06-06 Sendai Enji Kk 道路規制部材回収装置
CN111719454A (zh) * 2020-07-06 2020-09-29 广西大学 一种交通锥自动收放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38318A (ja) * 2020-08-26 2022-03-10 中日本ハイウェイ・メンテナンス名古屋株式会社 トラフィックコーン設置回収装置並びにトラフィックコーンの設置及び回収方法
JP7450495B2 (ja) 2020-08-26 2024-03-15 中日本ハイウェイ・メンテナンス名古屋株式会社 トラフィックコーン設置回収装置並びにトラフィックコーンの設置及び回収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6868A1 (en) Fastening plate-type parking device
EP1112411B1 (en) Apparatus for retrieving conical roadway warning markers
KR102345303B1 (ko) 러버콘 수거장치
CN107404839A (zh) 改进的提升/碰撞检测
TWI677604B (zh) 紡紗捲取設備
EP0244984A2 (en) Automatically-guided vehicle having load clamp
CN109930511B (zh) 一种旋转式锥筒自动收放机
KR101492957B1 (ko) 칼라콘의 설치 및 회수장치
JP5314682B2 (ja) 吊り上げフック
CN104294779B (zh) 网钉结合的阻车***
KR102396150B1 (ko) 라바콘 수직 적재타입 설치 및 회수장치
JP2005239343A (ja) ヤードクレーンの運転方法、および運転システム
CN109677535A (zh) 用于运送人员的电动驱动的站立式车辆以及用于运行站立式车辆的方法
CN105672168A (zh) 一种阻车***
KR20110079954A (ko) 안전삼각대가 구비된 라인트레이서.
JP6433794B2 (ja) 高所作業用墜落防止装置
WO2002048010A1 (fr) Dispositif de recuperation d'elements de reglementation de la circulation
KR102230041B1 (ko) 차량 탑재형 러버콘 가설장치
CN210766500U (zh) 基于图像识别的交通路锥收放过程自适应调节***
CN110965752B (zh) 一种公共项目施工用的安全防护***
KR102576688B1 (ko) 라바콘 설치 및 회수 차량
CN111119093A (zh) 防事故装置及防事故装置的控制方法
CN209941537U (zh) 一种锥筒收放机导向***
JP2533162Y2 (ja) 自動誘導式アスファルトフィニッシャ
KR102440145B1 (ko) 라바콘 수평식 적재타입 설치 및 회수장치에서의 라바콘 정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