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104B1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Google Patent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104B1
KR102342104B1 KR1020170172520A KR20170172520A KR102342104B1 KR 102342104 B1 KR102342104 B1 KR 102342104B1 KR 1020170172520 A KR1020170172520 A KR 1020170172520A KR 20170172520 A KR20170172520 A KR 20170172520A KR 102342104 B1 KR102342104 B1 KR 102342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based monomer
derived unit
weight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5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1457A (en
Inventor
정대산
한승훈
김성룡
김도형
남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72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104B1/en
Publication of KR20190071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4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104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5/06Copolymers with vinyl arom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제1 공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제2 공중합체; 탈크;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말레인산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제3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first copolymer comprising a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a second copolymer comprising a unit derived from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a unit derived from a vinyl cyanide-based monomer; talc; And it relates to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third copolymer comprising a unit derived from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 unit derived from a vinyl cyanide-based monomer, and a unit derived from a maleic acid-based monomer.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팽창 계수를 낮추면서, 내충격성의 저하는 최소화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apable of minimizing a decrease in impact resistance while lowering a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이하, ‘ABS 공중합체’라 함)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가공성을 바탕으로 전기, 전자제품, 사무자동화 기기 및 자동차 부품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BS copolymer') is widely applied to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office automation equipment, and automobile parts based on it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processability.

ABS 공중합체를 이용한 소재가 자동차 부품으로 적용될 경우, 차체 및 금속 부품과 접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ABS 공중합체를 이용한 소재는 선팽창 계수가 높고, 금속 부품은 선팽창 계수가 낮으므로, 이들을 조립하여 자동차 부품을 제조할 때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a material using an ABS copolymer is applied as an automobile part, it frequently comes into contact with a vehicle body and metal parts. Since the material using the ABS copolymer has a high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and the metal part has a low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a problem may occur when manufacturing automobile parts by assembling them.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ABS 공중합체를 이용한 소재에 무기물 등을 첨가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ABS 공중합체를 이용한 소재의 기본 물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ttempt was made to add an inorganic material to the material using the ABS copolymer, bu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using the ABS copolymer were significantly reduced.

이에 따라, ABS 공중합체를 이용한 소재의 선팽창 계수를 낮추면서 기본 물성의 저하는 최소화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Accordingly, research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of basic physical properties while lowering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of the material using the ABS copolymer is continuing.

KR2016-0067675AKR2016-0067675A

본 발명의 목적은 선팽창 계수를 낮추면서, 내충격성의 저하는 최소화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that can minimize the reduction in impact resistance while lowering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제1 공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제2 공중합체; 탈크;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말레인산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제3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first copolymer including a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a second copolymer comprising a unit derived from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a unit derived from a vinyl cyanide-based monomer; talc; and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maleic acid-based monomer-derived unit.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면 선팽창 계수가 낮고 내충격성의 저하는 최소화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 부품용으로 보다 적합할 수 있다.When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 molded article having a low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and reduced impact resistance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ly,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suitable for automobile parts.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평균입경은 입자의 입경 분포 곡선에 있어서, 전체 체적 측정값의 평균에 해당하는 입경으로 정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may be defined as a particle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of all volume measurement values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curve of the particles.

본 발명에서 평균입경은 레이저 회절 입도 측정 분석 방법(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sis)으로 측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may be measured by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sis.

본 발명에서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평균입경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일정량을 용매에 용해시킨 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0.5g을 메틸에틸케톤 100㎖에 용해시킨 후, 쿨터 카운터(상품명: LS230, 제조사: 벡크만 쿨터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can be measured after dissolving a certain amount of the graft copolymer in a solvent. Specifically, after dissolving 0.5 g of the graft copolymer in 100 ml of methyl ethyl ketone, it can be measured using a Coulter counter (trade name: LS230, manufacturer: Beckman Coulter).

본 발명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용출액으로 THF(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이용하여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waters breeze)를 통해 표준 PS(standard polystyrene) 시료에 대한 상대 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can be measured as a relative value with respect to a standard PS (standard polystyrene) sample through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waters breeze) using THF (tetrahydrofuran) as an eluent.

본 발명에서 그라프트율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일정 양을 용매에 투입하고 진동기를 이용하여 용해시키고, 원심 분리기로 원심 분리하고, 건조하여 불용분을 수득한 후, 하기 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ft rat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after adding a certain amount of the graft copolymer to a solvent, dissolving it using a vibrator, centrifuging with a centrifuge, and drying to obtain an insoluble content.

상세하게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일정량을 아세톤에 투입하고 진동기(상품명: SI-600R, 제조사: Lab. companion)로 24 시간 동안 진동시켜 유리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용해시키고, 원심 분리기로 14,000 rpm으로 1시간 동안 원심분리하고, 진공 건조기(상품명: DRV320DB, 제조사: ADVANTEC)로 140℃, 2시간 동안 건조시켜 불용분을 수득한 후, 하기 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In detail, a certain amount of the graft copolymer is added to acetone and vibrated with a vibrator (brand name: SI-600R, manufacturer: Lab. companion) for 24 hours to dissolve the free graft copolymer, and 14,000 rpm with a centrifugal separator. After centrifugation for a period of time, and drying with a vacuum dryer (trade name: DRV320DB, manufacturer: ADVANTEC) at 140° C. for 2 hours to obtain an insoluble content, it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그라프트율(%)=[(Y-(X×R))/ (X×R)] × 100Graft rate (%)=[(Y-(X×R))/ (X×R)] × 100

Y: 불용분 중량Y: weight of insoluble matter

X: 불용분 수득시 투입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중량X: weight of graft copolymer added when obtaining insoluble matter

R: 불용분 수득시 투입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분율R: Fraction of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in graft copolymer added when obtaining insoluble cont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1.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제1 공중합체; 2.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제2 공중합체; 3. 탈크; 및 4.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말레인산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제3 공중합체를 포함한다.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 a first copolymer comprising 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2. A second copolymer comprising a unit derived from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a unit derived from a vinyl cyan-based monomer; 3. Talc; and 4. a third copolymer including a unit derived from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 unit derived from a vinyl cyanide-based monomer, and a unit derived from a maleic acid-based monom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5.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말레인산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제5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5. A fifth copolymer including a maleimide-based monomer-derived unit,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maleic acid-based monomer-derived unit.

이 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제1 공중합체1. first copolymer

제1 공중합체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로서,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유래 단위를 포함한다.The first copolymer is a graft copolymer and includes 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vinyl cyan-based unit.

상기 제1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내화학성, 내충격성, 내피로성을 부여해줄 수 있다.The first copolymer may impart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fatigue resistance to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는 공액 디엔계 단량체가 중합되어 제조된 공액 디엔계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비닐 시안계 단량체가 그라프트 중합됨으로써 변성된 공액 디엔계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may include 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modified by graft polymerization of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a vinyl cyan-based monomer to 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prepared by polymerization of a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여기서,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및 피퍼릴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중 1,3-부타디엔이 바람직할 수 있다.Here, the 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3-butadiene, isoprene, chloroprene and piperylene, of which 1,3-butadiene may be preferable.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는 평균입경이 0.20 내지 0.5㎛, 0.25 내지 0.4㎛ 또는 0.25 내지 0.35㎛일 수 있고, 이 중 0.25 내지 0.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제1 공중합체의 내충격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20 to 0.5 μm, 0.25 to 0.4 μm, or 0.25 to 0.35 μm, of which 0.25 to 0.35 μm is preferable. When the above-described range is satisfied,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first copolymer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 유래 단위는 상기 제1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45 내지 70 중량%, 50 내지 65 중량% 또는 55 내지 6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중 55 내지 6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제1 공중합체의 내충격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derived un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45 to 70% by weight, 50 to 65% by weight, or 55 to 65% by weight, of which 55 to 6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copolymer. it is preferable When the above-described range is satisfied,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first copolymer may be further improved.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α-에틸 스티렌 및 p-메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래 단위일 수 있고, 이 중 스티렌의 유래 단위가 바람직하다.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at least one derived uni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α-methyl styrene, α-ethyl styrene, and p-methyl styrene, and among these, a styrene-derived unit is preferable.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상기 제1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 20 내지 35 중량% 또는 2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중 2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성, 가공성 및 표면 광택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0 to 40 wt%, 20 to 35 wt%, or 25 to 3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copolymer, of which 25 to 35 wt% it is preferable When the above-described range is satisfied, the rigidity, processability, and surface glo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be further improved.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및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래 단위일 수 있고, 이 중 아크릴로니트릴의 유래 단위가 바람직하다.The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at least one derived uni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phenyl acrylonitrile and α-chloroacrylonitrile, of which acrylonitrile is derived from units are preferred.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상기 제1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 5 내지 20 중량% 또는 8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중 8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강성, 내충격성 및 표면 광택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The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 to 25 wt%, 5 to 20 wt%, or 8 to 1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copolymer, of which 8 to 15 wt% it is preferable When the above-described range is satisfied, the chemical resistance, rigidity, impact resistance and surface glo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be further improved.

상기 제1 공중합체는 그라프트율이 20 내지 55%, 25 내지 50% 또는 30 내지 45%일 수 있고, 이 중 30 내지 45%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제1 공중합체의 열안정성과 기계적 특성 사이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The first copolymer may have a graft rate of 20 to 55%, 25 to 50%, or 30 to 45%, of which 30 to 45% is preferable. When the above-described range is satisfied, a balance between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rst copolymer may be achieved.

상기 제1 공중합체는 공액 디엔계 중합체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비닐 시안계 단량체를 유화 중합, 현탁 중합 및 괴상 중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으로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고, 이 중 유화 중합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polymer may be prepared by polymerization of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a vinyl cyanide-based monomer in one or more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mulsion polymerization, suspension polymerization, and bulk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It is preferably prepared by heavy emulsion polymerization.

2. 제2 공중합체2. Second copolymer

상기 제2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한다.The second copolymer includes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상기 제2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내열성, 강성 및 가공성을 부여해 줄 수 있다.The second copolymer may impart heat resistance, rigidity, and processability to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α-에틸 스티렌 및 p-메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래 단위일 수 있다. 이 중 기계적 특성 면에서는 스티렌 유래 단위가 바람직하고, 내열성 측면에서는 α-메틸 스티렌 유래 단위가 바람직하다.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at least one derived uni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α-methyl styrene, α-ethyl styrene, and p-methyl styrene. Among them, styrene-derived units are preferred in view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α-methyl styrene-derived units are preferred in view of heat resistance.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및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래 단위일 수 있고, 이 중 아크릴로니트릴의 유래 단위가 바람직하다.The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at least one derived uni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phenyl acrylonitrile and α-chloroacrylonitrile, of which acrylonitrile is derived from units are preferred.

상기 제2 공중합체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와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80:20 내지 60:40 또는 78:22 내지 65:3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이 중 78:22 내지 65:3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내열성, 강성 및 가공성의 균형을 보다 잘 이룰 수 있다.The second copolymer may include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in a weight ratio of 80:20 to 60:40 or 78:22 to 65:35, of which 78:22 to It is preferable to include it in a weight ratio of 65:35. 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an better balance heat resistance, rigidity, and workability.

상기 제2 공중합체의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가 스티렌 유래 단위일 경우,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내지 150,000g/mol, 90,000 내지 140,000g/mol 또는 100,000 내지 130,000g/mol일 수 있고, 이 중 100,000 내지 130,000g/mol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유동성 및 강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When the aromatic vinyl monomer-derived unit of the second copolymer is a styrene-derived unit,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ay be 80,000 to 150,000 g/mol, 90,000 to 140,000 g/mol, or 100,000 to 130,000 g/mol, of which 100,000 to 130,000 g/mol are preferred. When the above-described range is satisfi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fluidity and rigidity are excellent.

상기 제2 공중합체의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가 α-메틸 스티렌 유래 단위일 경우, 중량평균분자량이 65,000 내지 125,000g/mol, 75,000 내지 115,000g/mol 또는 85,000 내지 105,000g/mol일 수 있고, 이 중 85,000 내지 105,000g/mol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내충격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When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of the second copolymer is an α-methyl styrene-derived unit,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ay be 65,000 to 125,000 g/mol, 75,000 to 115,000 g/mol, or 85,000 to 105,000 g/mol, Among them, 85,000 to 105,000 g/mol is preferable. When the above-described range is satisfi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mpact resistance and workability are excellent.

상기 제2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의 종류가 서로 다른 2 종 이상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Two or more types of the second copolymer having different types of units derived from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 may be includ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상기 제1 공중합체와 상기 제2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20:80 내지 45:55 또는 25:75 내지 40:60일 수 있고, 이 중 25:75 내지 40:60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내화학성, 내충격성, 착색성, 강성 및 가공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copolymer to the second copolymer may be 20:80 to 45:55 or 25:75 to 40:60, of which 25:75 to 40:60 is preferable. If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chemical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colorability, rigidity and workability may be further improved.

3. 3. 탈크talc

탈크는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규산염 광물로서 화학식은 H2Mg3(SiO3)4 또는 Mg3Si4O10(OH)2이다Talc is a silicate mineral containing magnesium, and the chemical formula is H 2 Mg 3 (SiO 3 ) 4 or Mg 3 Si 4 O 10 (OH) 2

상기 탈크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낮은 선팽창 계수를 부여해줄 수 있다. 이로 인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금속과의 선팽창 계수의 차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자동차 부품으로 적용시, 온도 변화에 따른 금속 부품과의 조립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talc may impart a low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to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this reason, since the difference in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between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the metal can be reduced, when applied as an automobile part, it is possible to minimize assembly defects with the metal part due to temperature change.

상기 탈크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10 ㎛, 0.5 내지 8 ㎛ 또는 1 내지 6㎛일 수 있고, 이 중 1 내지 6㎛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선팽창 계수를 낮추면서 내충격성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talc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 to 10 μm, 0.5 to 8 μm, or 1 to 6 μm, of which 1 to 6 μm is preferable. 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the decrease in impact resistance can be minimized while lowering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상기 탈크는 상기 제1 공중합체 및 제2 공중합체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5 중량부, 5 내지 12 중량부 또는 6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이 중 6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The talc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3 to 15 parts by weight, 5 to 12 parts by weight, or 6 to 10 parts by weight, of which 6 to 10 parts by weight is preferabl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first copolymer and the second copolymer. do.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선팽창 계수를 낮추면서 내충격성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the decrease in impact resistance can be minimized while lowering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4. 제3 공중합체4. Third copolymer

제3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말레인산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한다.The third copolymer includes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maleic acid-based monomer-derived unit.

상기 제3 공중합체는 상기 제2 공중합체와 탈크 사이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켜, 탈크로 인한 내충격성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third copolymer may improve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the second copolymer and talc, thereby minimizing a decrease in impact resistance due to talc.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α-에틸 스티렌 및 p-메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래 단위일 수 있다. 이 중 스티렌 유래 단위가 바람직하다.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at least one derived uni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α-methyl styrene, α-ethyl styrene, and p-methyl styrene. Among these, a styrene-derived unit is preferable.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제3 공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55 내지 85 중량%, 60 내지 80 중량% 또는 65 내지 7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중 65 내지 75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가공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5 to 85 wt%, 60 to 80 wt%, or 65 to 7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hird copolymer, of which 65 to 75 wt% is preferable. . 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processability and fluidity are excellent.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및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래 단위일 수 있고, 이 중 아크릴로니트릴의 유래 단위가 바람직하다.The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at least one derived uni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phenyl acrylonitrile and α-chloroacrylonitrile, of which acrylonitrile is derived from units are preferred.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제3 공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 15 내지 35 중량% 또는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중 20 내지 30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강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The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to 40 wt%, 15 to 35 wt%, or 20 to 3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hird copolymer, of which 20 to 30 wt% is preferable. . When the above-described range is satisfi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rigidity and chemical resistance are excellent.

상기 말레인산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무수 말레인산(maleic anhydride), 말레인산(maleic acid), 말레인산 모노에스터(maleic monoester) 및 말레인산 디에스터(maleic dies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래 단위일 수 있고, 이 중 무수 말레인산 유래 단위가 바람직하다.The maleic acid-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one or more derived uni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leic anhydride, maleic acid, maleic monoester and maleic diester, Among these, maleic anhydride-derived units are preferable.

상기 말레인산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제3 공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0.5 내지 7 중량% 또는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중 1 내지 5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탈크와 적절한 반응성을 가지며, 가공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The maleic acid-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0 wt%, 0.5 to 7 wt%, or 1 to 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hird copolymer, of which 1 to 5 wt% is preferable. 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has an appropriate reactivity with talc and has excellent processability.

상기 제3 공중합체는 상기 제1 공중합체 및 제2 공중합체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 중량부, 2 내지 7 중량부 또는 3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이 중 3 내지 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The third copolym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8 parts by weight, 2 to 7 parts by weight, or 3 to 5 parts by weight, of which 3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of the first copolymer and the second copolymer. Parts by weight are preferred.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의 내충격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crease in impact resistance of the molded article made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5. 제4 공중합체5. Fourth Copolymer

제4 공중합체는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말레인산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한다.The fourth copolymer includes a maleimide-based monomer-derived unit,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maleic acid-based monomer-derived unit.

상기 제4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내열성 및 유동성을 부여해줄 수 있다.The fourth copolymer may provide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fluidity to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상기 제4 공중합체는 유리 전이 온도가 170 내지 220 ℃, 180 내지 210℃ 또는 185 내지 205℃일 수 있고, 이 중 185 내지 2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보다 우수한 내열성을 부여해줄 수 있다.The fourth copolymer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70 to 220 °C, 180 to 210 °C, or 185 to 205 °C, of which 185 to 205 °C is preferable. 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it is possible to impart more excellent heat resistance to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상기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말레이미드, N-메틸 말레이미드, N-에틸 말레이미드, N-프로필 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N-부틸 말레이미드, N-이소부틸 말레이미드, N-t-부틸 말레이미드, N-라우릴 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N-(4-클로로페닐) 말레이미드, 2-메틸-N-페닐 말레이미드, N-(4-브로모페닐) 말레이미드, N-(4-니트로페닐) 말레이미드, N-(4-히드록시페닐) 말레이미드, N-(4-메톡시페닐) 말레이미드, N-(4-카르복시페닐) 말레이미드 및 N-벤질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래 단위일 수 있으며, 이 중 N-페닐 말레이미드 유래 단위가 바람직하다.The maleimide-based monomer-derived unit is maleimide, N-methyl maleimide, N-ethyl maleimide, N-propyl maleimide, N-isopropyl maleimide, N-butyl maleimide, N-isobutyl maleimide, Nt -Butyl maleimide, N-lauryl maleimide, N-cyclohexyl maleimide, N-phenyl maleimide, N-(4-chlorophenyl) maleimide, 2-methyl-N-phenyl maleimide, N-(4 -Bromophenyl) maleimide, N-(4-nitrophenyl) maleimide, N-(4-hydroxyphenyl) maleimide, N-(4-methoxyphenyl) maleimide, N-(4-carboxyphenyl) ) may be one or more types of derived uni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leimide and N-benzyl maleimide, among which, N-phenyl maleimide-derived units are preferable.

상기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제4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40 내지 65 중량%, 45 내지 60 중량% 또는 50 내지 5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이 중 50 내지 5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제4 공중합체의 내열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The maleimide-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40 to 65 wt%, 45 to 60 wt%, or 50 to 5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urth copolymer, of which 50 to 55 wt% it is preferable When the above-described range is satisfied, the heat resistance of the fourth copolymer may be further improved.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α-에틸 스티렌 및 p-메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래 단위일 수 있고, 이 중 스티렌의 유래 단위가 바람직하다.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at least one derived uni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α-methyl styrene, α-ethyl styrene, and p-methyl styrene, and among these, styrene-derived units are preferable.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제4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55 중량%, 35 내지 50 중량% 또는 40 내지 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중 40 내지 4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제4 공중합체의 가공성 및 외관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30 to 55 wt%, 35 to 50 wt%, or 40 to 4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urth copolymer, of which 40 to 45 wt% desirable. When the above-described range is satisfied, the processability and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copolymer may be improved.

상기 말레인산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무수 말레인산(maleic anhydride), 말레인산(maleic acid), 말레인산 모노에스터(maleic monoester) 및 말레인산 디에스터(maleic dies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래 단위일 수 있고, 이 중 무수 말레인산의 유래 단위가 바람직하다.The maleic acid-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one or more derived uni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leic anhydride, maleic acid, maleic monoester and maleic diester, Among these, the unit derived from maleic anhydride is preferable.

상기 말레인산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는 제4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1 내지 7 중량% 또는 2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중 2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제1 공중합체와의 상용성 및 내충격성이 개선될 수 있다.The vinyl maleate-based monomer-derived un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10 wt%, 1 to 7 wt%, or 2 to 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urth copolymer, of which 2 to 5 wt% desirable. When the above-described range is satisfied, compatibility and impact resistance with the first copolymer may be improved.

상기 제4 공중합체는 상기 제1 공중합체, 제2 공중합체 및 제4 공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The fourth copolym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0 to 2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copolymer, the second copolymer, and the fourth copolymer. 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heat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ay be further improved.

상기 제1, 제2 및 제4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베이스 수지일 수 있다.The first, second and fourth copolymers may be a base resin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Production of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실시예Example 1 내지 1 to 실시예Example 5 5

제1 공중합체로 ABS 그라프트 공중합체(상품명: DP270, 제조사: LG 화학), 제2 공중합체로 일반 SAN 공중합체(상품명: 92HR, 제조사: LG 화학), 내열 SAN 공중합체(상품명: 100UH, 제조사: LG 화학), 제4 공중합체로 PMI-PS-MAH 공중합체(상품명: MS-NB, 제조사: DENKA), 탈크(상품명: KCM-6300, 제조사: KOCHONE), 제3 공중합체로 SAM 공중합체(상품명: SAM-002, 제조사: FINE BLEND)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헨셀 믹서에 투입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240℃로 설정된 이축압출기에 투입하고, 펠렛 형태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BS graft copolymer (product name: DP270, manufacturer: LG Chem) as the first copolymer, general SAN copolymer (product name: 92HR, manufacturer: LG Chem) as the second copolymer, heat-resistant SAN copolymer (product name: 100UH, Manufacturer: LG Chem), PMI-PS-MAH copolymer (product name: MS-NB, manufacturer: DENKA) as the quaternary copolymer, talc (product name: KCM-6300, manufacturer: KOCHONE), SAM as the tertiary copolymer The coalescence (trade name: SAM-002, manufacturer: FINE BLEND) was put into the Henschel mixer at the content shown in Table 1 below, mixed uniformly, and then put into a twin-screw extruder set at 240° C., and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 pellet form prepared.

구분division 실시예 1
(중량부)
Example 1
(parts by weight)
실시예 2
(중량부)
Example 2
(parts by weight)
실시예 3
(중량부)
Example 3
(parts by weight)
실시예 4
(중량부)
Example 4
(parts by weight)
실시예 5
(중량부)
Example 5
(parts by weight)
베이스
수지
Base
Suzy
제1 공중합체first copolymer 3030 3030 3030 3030 3030
제2 공중합체second copolymer 일반 SANGeneric SAN 7070 7070 7070 -- 4545 내열 SANheat resistant SAN -- -- -- 7070 -- 제4 공중합체fourth copolymer -- -- -- -- 2525 탈크talc 66 1010 1010 1010 1010 제3 공중합체(SAM 공중합체)Third copolymer (SAM copolymer) 33 33 55 55 55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탈크 및 제3 공중합체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alc and the third copolymer were not add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탈크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alc was not add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제3 공중합체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rd copolymer was not add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 4

제3 공중합체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third copolymer was not add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5 5

제3 공중합체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except that the third copolymer was not add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6 6

제3 공중합체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the third copolymer was not add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7 7

탈크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talc was not added.

비교예의 조성을 하기 표 2 및 표 3에 정리하였다.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are summarized in Tables 2 and 3 below.

구분division 비교예 1
(중량부)
Comparative Example 1
(parts by weight)
비교예 2
(중량부)
Comparative Example 2
(parts by weight)
비교예 3
(중량부)
Comparative Example 3
(parts by weight)
비교예 4
(중량부)
Comparative Example 4
(parts by weight)
베이스 수지base resin 제1 공중합체first copolymer 3030 3030 3030 3030 제2 공중합체second copolymer 일반 SANGeneric SAN 7070 7070 7070 7070 내열 SANheat resistant SAN -- -- -- -- 제4 공중합체fourth copolymer -- -- -- -- 탈크talc -- -- 66 1010 제3 공중합체(SAM 공중합체)Third copolymer (SAM copolymer) -- 33 -- --

구분division 비교예 5
(중량부)
Comparative Example 5
(parts by weight)
비교예 6
(중량부)
Comparative Example 6
(parts by weight)
비교예 7
(중량부)
Comparative Example 7
(parts by weight)
베이스 수지base resin 제1 공중합체first copolymer 3030 3030 3030 제2 공중합체second copolymer 일반 SANGeneric SAN -- 4545 4545 내열 SANheat resistant SAN 7070 -- -- 제4 공중합체fourth copolymer -- 2525 2525 탈크talc 1010 1010 -- 제3 공중합체(SAM 공중합체)Third copolymer (SAM copolymer) -- -- 55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One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출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injected and phys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in the following mann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1) 선팽창 계수(㎛/m, ℃): ASTM D69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30 내지 80℃).1)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m, ℃):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96 (-30 to 80 ℃).

2) IZOD 충격강도(㎏·㎝/㎝, 1/4", 상온, 노치드):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2) IZOD impact strength (kg·cm/cm, 1/4", room temperature, notched):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3) HDT(℃, 1/4", 18.5㎏f/㎠, 120℃/시): ASTM D64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3) HDT (°C, 1/4", 18.5 kgf/cm 2 , 120° C./hour):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48.

구분division 선팽창 계수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IZOD 충격강도IZOD impact strength HDTHDT 실시예 1Example 1 7575 15.015.0 8787 실시예 2Example 2 6565 9.59.5 8787 실시예 3Example 3 6464 11.011.0 8787 실시예 4Example 4 6464 8.58.5 102102 실시예 5Example 5 6767 7.07.0 106106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8888 30.030.0 8585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8989 29.029.0 8686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7676 10.010.0 8787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6363 7.07.0 8787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6464 5.55.5 102102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6565 4.54.5 106106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8787 16.016.0 104104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제3 공중합체 및 탈크를 모두 포함하므로, 선팽창 계수가 낮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 부품용으로 사용하여도 치수 안정성이 뛰어난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Table 4, since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5 include both the third copolymer and talc, it was found that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was low and the impact resistance was excellent.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predicted that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even when used for automobile parts.

비교예 1과 같이 제3 공중합체 및 탈크를 포함하지 않으면, 내충격성은 저하되지 않으나, 선팽창 계수가 높으므로, 자동차 부품용으로 적합하지 않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If the third copolymer and talc are not included as in Comparative Example 1, impact resistance is not reduced, but since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is high, it could be predicted that it is not suitable for automobile parts.

비교예 2 및 비교예 7의 경우, 탈크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내충격강도는 저하되지 않았으나, 선팽창 계수가 낮아지지 않았으므로, 자동차 부품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2 and 7, since talc was not included, the impact strength was not lowered, but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was not lowered, so it could be predicted that it was not suitable for automobile parts.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6의 경우, 탈크를 포함하므로, 선팽창 계수는 낮아졌으나, 제3 공중합체의 사용하지 않으므로 내충격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자동차 부품용으로 적합하지 않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3 to 6, since the talc was included, th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was lowered, but since the third copolymer was not used, the impact resistance was significantly lowered, and thus it could be predicted that it was not suitable for automobile parts.

Claims (9)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제1 공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제2 공중합체;
탈크;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말레인산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제3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중합체 및 제2 공중합체의 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탈크 6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공중합체 1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 first copolymer comprising a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a second copolymer comprising a unit derived from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 and a unit derived from a vinyl cyanide-based monomer;
talc; and
A third copolymer comprising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maleic acid-based monomer-derived uni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um of the first copolymer and the second copolymer,
6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talc,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1 to 8 parts by weight of the third copolym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크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10㎛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lc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 to 10㎛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공중합체는
상기 제3 공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55 내지 85중량%;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 10 내지 40 중량%; 및
상기 말레인산계 단량체 유래 단위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copolymer is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third copolymer,
55 to 85% by weight of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10 to 40% by weight of the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0.1 to 10% by weight of the maleic acid-based monomer-derived uni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중합체는
상기 제1 공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 유래 단위 45 내지 70 중량%;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20 내지 40 중량%; 및
상기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 5 내지 2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polymer is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copolymer,
45 to 70% by weight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derived unit;
20 to 40% by weight of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5 to 25% by weight of the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평균입경이 0.2 내지 0.5㎛인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is 0.2 to 0.5㎛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중합체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와 비닐 시안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80:20 내지 60:4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polymer is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the vinyl cyan-based monomer-derived unit in a weight ratio of 80:20 to 60:4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제4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공중합체는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유래 단위 및 말레인산계 단량체 유래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 fourth copolymer,
The fourth copolymer is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maleimide-based monomer-derived unit, an aromatic vinyl-based monomer-derived unit, and a maleic acid-based monomer-derived unit.
KR1020170172520A 2017-12-14 2017-12-14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23421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20A KR102342104B1 (en) 2017-12-14 2017-12-14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520A KR102342104B1 (en) 2017-12-14 2017-12-14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457A KR20190071457A (en) 2019-06-24
KR102342104B1 true KR102342104B1 (en) 2021-12-23

Family

ID=6705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520A KR102342104B1 (en) 2017-12-14 2017-12-14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104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938B1 (en) * 2005-12-28 2008-01-22 제일모직주식회사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Low Coefficient of Linear Thermal Expansion and High Impact Strength
KR20150015279A (en) * 2013-07-31 2015-02-10 제일모직주식회사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dimensional stability
KR20160067675A (en) 2014-12-04 2016-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457A (en)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593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100232625B1 (en) Chemostable and thermostable composition of styrene resin
TWI810365B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P3686244B1 (en) Heat-resistant resin composition
KR102342104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2264182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0694447B1 (en) Method for preparing thermoplastic resin having excellent mold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KR102210030B1 (en) Heat-resistant resin composition
KR100963086B1 (en) Heat resistant abs resin having good coloring proper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365596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KR102260892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P3686243B1 (en) Heat-resistant resin composition
KR102239795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2308801B1 (en) Heat-resistant resin composition
KR102288289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2266841B1 (en) Method for preparing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4159899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600803B1 (en) Styren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High Impact Strength and Chemical Resistance
KR102066800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102464772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0340782B1 (en) Styrenic Resin Composition for Improving Weld Strength
KR20020003458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High Flowability
KR101796345B1 (en) Vinyl Copolymer Having High Heat Resistant and Low-gloss Transparent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Therefrom
TW202227551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KR20230037218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