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841B1 -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 Google Patents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841B1
KR102341841B1 KR1020190096912A KR20190096912A KR102341841B1 KR 102341841 B1 KR102341841 B1 KR 102341841B1 KR 1020190096912 A KR1020190096912 A KR 1020190096912A KR 20190096912 A KR20190096912 A KR 20190096912A KR 102341841 B1 KR102341841 B1 KR 102341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wrapper
medium
thermally conductive
generating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523A (ko
Inventor
기성종
김영중
박인수
이존태
정순환
정은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90096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841B1/ko
Priority to EP20849316.3A priority patent/EP3905903B1/en
Priority to JP2021551991A priority patent/JP7256891B2/ja
Priority to CN202080018375.4A priority patent/CN113543661B/zh
Priority to US17/432,713 priority patent/US20220160023A1/en
Priority to PCT/KR2020/010145 priority patent/WO2021025391A1/en
Priority to TW109126949A priority patent/TWI796586B/zh
Publication of KR20210017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4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1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ontaining additives entrapped within capsules, sponge-like material or the like, for further release upon smok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12Steaming, curing, or flavouring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14Forming reconstituted tobacco products, e.g. wrapper materials, sheets, imitation leaves, rods, cakes; Forms of such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5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the covers having material applied to defined areas, e.g. bands for reducing the ignition propensity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니코틴을 제외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기재부, 상기 에어로졸 기재부의 하류측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니코틴을 포함하는 매질부, 상기 매질부의 하류측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의 하류측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필터부,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래퍼를 포함하고, 상기 래퍼는, 상기 에어로졸 기재부 및 상기 매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Aerosol 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thermally conductive wrapper}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물품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46399호
니코틴을 포함하는 부분 및 니코틴을 제외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다른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은, 니코틴을 제외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기재부; 상기 에어로졸 기재부의 하류측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니코틴을 포함하는 매질부; 상기 매질부의 하류측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의 하류측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필터부;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래퍼를 포함하고, 상기 래퍼는, 상기 에어로졸 기재부 및 상기 매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한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서, 상기 열 전도성 래퍼는 서로 겹치지 않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열 전도율이 서로 같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서, 상기 열 전도성 래퍼는 서로 겹치지 않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열 전도율이 서로 다르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어느 하나의 부분만 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어느 하나의 부분은 다른 하나의 부분보다 단위 면적당 더 많은 양의 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어느 하나의 부분은 다른 하나의 부분보다 열 전도율이 더 높은 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기재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매질부를 둘러싼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기재부를 둘러싸는 제1a 부분 및 상기 매질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b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매질부의 나머지 일부를 둘러싼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서, 상기 제1b 부분은 상기 매질부의 상류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매질부의 하류측 단부까지 연장된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서, 상기 제1b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너비가 일정하지 않다.
상술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a 부분 및 상기 제1b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는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각각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하나의 히터로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기재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에어로졸 발생을 위한 적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고, 매질부의 니코틴은 사용자가 원하는 담배 맛을 발생하도록 적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되는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되는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되는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되는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되는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의 일 예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용어 “상류” 및 “하류”는 사용자가 흡연 물품을 사용하여 공기를 흡인할 때, 외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부로 공기가 들어오는 부분이 “상류”이고 에어로졸 생성 물품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나가는 부분이 “하류”이다. 용어 “상류” 및 “하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용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예들을 나타낸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물품이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은 에어로졸 기재부(21), 매질부(22), 냉각부(23), 필터부(24), 및 래퍼(25)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기재부(21)는 니코틴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기재부(21)는 니코틴을 제외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에어로졸 기재부(21)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기재부(21)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을 함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기재부(21)는 권축 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권축 시트에 흡수된 상태로 에어로졸 기재부(21)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 및 가향액은 권축 시트에 흡수된 상태로 에어로졸 기재부(21)에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기재부(21)의 길이는 4mm 내지 12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한 길이가 채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매질부(22)는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질부(22)는 글리세린 등과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질부(22)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매질부(22)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매질부(22)에 분사됨으로써 첨가될 수 있다.
매질부(22)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질부(22)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매질부(22)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매질부(22)의 길이는 6mm 내지 18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한 길이가 채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냉각부(23)는 에어로졸의 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당한 온도로 냉각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부(23)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제작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부(23)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에 가소제(예를 들어, 트리아세틴)를 가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부(23)의 모노 데니어는 5.0이고, 토탈 데니어 28,0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부(23)는 종이로 제작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냉각부(23)에 포함된 중공의 직경은 4mm 내지 8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한 직경이 채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냉각부(23)의 길이는 4mm 내지 30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한 길이가 채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냉각부(23)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필터부(24)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에 가소제(예를 들어, 트리아세틴)를 가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24)의 모노 데니어는 9.0이고, 토탈 데니어 25,000일 수 있다. 필터부(24)의 길이는 4mm 내지 30mm의 범위 내에서 적절한 길이가 채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터부(24)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부(24)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부(24)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부(24)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5)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5)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래퍼(251)에 의하여 에어로졸 기재부(21)가 포장되고, 제2 래퍼(252)에 의하여 매질부(22)가 포장되고, 제3 래퍼(253)에 의하여 냉각부(23)가 포장되고, 제4 래퍼(254)에 의하여 필터부(24)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6 래퍼(256)에 의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또는,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래퍼(251)에 의하여 에어로졸 기재부(21)가 포장되고, 제2 래퍼(252)에 의하여 매질부(22)가 포장되고, 제3 래퍼(253)에 의하여 냉각부(23)가 포장되고, 제4 래퍼(254)에 의하여 필터부(24)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래퍼(255)에 의해 에어로졸 기재부(21) 및 매질부(22)가 재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6 래퍼(256)에 의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제1 래퍼(251)는 일반적인 필터 권지에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래퍼(251)의 전체 두께는 40um~80um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래퍼(251)의 금속 호일의 두께는 6um~20um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래퍼(252) 및 제3 래퍼(253)는 다공질 권지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래퍼(252)의 다공도는 35000CU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2 래퍼(252)의 두께는 70um~80um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 래퍼(252)의 평량은 20g/m2~25g/m2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래퍼(253)의 다공도는 35000CU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3 래퍼(253)의 두께는 70um~80um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3 래퍼(253)의 평량은 20g/m2~25g/m2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 래퍼(252)는 일반적인 필터 권지에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래퍼(252)는 멸균지(MFW)로 제작될 수 있다.
제4 래퍼(254)는 PLA 합지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에서, PLA 합지는 종이 층, PLA 층 및 종이 층을 포함하는 3겹의 종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4 래퍼(254)의 두께는 100um~120um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4 래퍼(254)의 평량은 80g/m2~100g/m2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제5 래퍼(255)는 일반적인 필터 권지에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래퍼(255)의 전체 두께는 60um~70um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5 래퍼(255)의 금속 호일의 두께는 10um~30um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제6 래퍼(256)는 멸균지(MFW)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래퍼(256)의 평량은 57g/m2~63g/m2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6 래퍼(256)의 두께는 64um~70um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래퍼(25)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래퍼(25)는 제1 래퍼(251) 및 제2 래퍼(25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에어로졸 기재부(21) 및 매질부(22)는 제1 래퍼(251) 및 제2 래퍼(252) 없이 제5 래퍼(255)에 의해 포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래퍼(255)는 복수의 래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기재부(21) 및 매질부(22)는 제1 래퍼(251) 및 제2 래퍼(252)에 의해 각각 포장되고, 제5 래퍼(255)의 복수의 래퍼들에 의해 각각 재포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2)은 제3 래퍼(253)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부(23)는 종이로 제작되어, 제3 래퍼(253) 없이 제6 래퍼(256)에 의해 포장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에서 에어로졸 기재부(21)는 니코틴을 제외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고, 매질부(22)는 니코틴을 포함한다. 니코틴을 제외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예를 들어, 글리세린 등)은 니코틴과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될 필요가 있다. 에어로졸 기재부(21)가 에어로졸을 생성하기에 적합한 온도로 매질부(22)를 가열할 경우, 사용자에게 탄맛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매질부(22)가 사용자가 원하는 담배 맛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온도로 에어로졸 기재부(21)를 가열할 경우, 충분한 에어로졸이 발생하지 못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에서 에어로졸 기재부(21)와 매질부(22)는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은 서로 다른 히터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기재부(21)가 히터에 의해 15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어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을 생성할 때, 매질부(22)는 다른 히터에 의해 12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어 니코틴 및 사용자가 원하는 담배 맛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하나의 히터를 포함하는 경우, 에어로졸 기재부(21)와 매질부(22)는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되기 어렵다. 하나의 히터에 의해 에어로졸 기재부(21) 및 매질부(22)가 약 150℃로 가열되면, 매질부(22)에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담배맛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히터에 의해 에어로졸 기재부(21) 및 매질부(22)가 약 120℃로 가열되면, 에어로졸 기재부(21)에서 충분한 에어로졸이 생성되지 못할 수 있다.
래퍼(25)는 에어로졸 기재부(21)와 매질부(22)가 하나의 히터에 의해 가열되더라도, 각각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되는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a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되기 전의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를 나타내고, 도 2b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된 후의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래퍼(25)는 열 전도성 래퍼(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성 래퍼(30)는 제1 래퍼(251) 및 제2 래퍼(252)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열 전도성 래퍼(30)는 제5 래퍼(255)일 수 있다.
열 전도성 래퍼(30)는 일반적인 필터 권지에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성 래퍼(30)는 종이와 금속 호일의 합지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H)는 에어로졸 기재부(21)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H)의 하류측 단부는 에어로졸 기재부(21)의 하류측 단부와 인접하거나, 에어로졸 기재부(21)의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 사이에 배치되거나, 매질부(22)의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열 전도성 래퍼(30)는 에어로졸 기재부(21)로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에어로졸 기재부(21)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히터(H)로부터 발생된 열은 열 전도성 래퍼(30)를 따라 전도되어 매질부(22)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기재부(21)는 히터(H)에 의해 둘러싸여 직접 열을 전달 받고, 매질부(22)는 열 전도성 래퍼(30)를 따라 전도된 열을 전달 받음으로써, 매질부(22)가 에어로졸 기재부(21)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기재부(21) 및 매질부(22)가 하나의 히터(H)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되는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a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되기 전의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를 나타내고, 도 3b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된 후의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열 전도성 래퍼(30)는 서로 겹치지 않는 제1 부분(31) 및 제2 부분(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부분(31) 및 제2 부분(32)은 서로 겹치는 합지의 종이 및 금속 호일과는 다르다.
제1 부분(31)은 제1 래퍼(도 1a의 251)에 포함되고, 제2 부분(32)은 제2 래퍼(도 1a의 252)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1 부분(31) 및 제2 부분은 제5 래퍼(도 1b의 255)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부분(31)과 제2 부분(32)은 열 전도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1)은 제2 부분(32)보다 열 전도율이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1)은 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고, 제2 부분(32)은 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1)은 종이와 열 전도성 소재의 합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부분(32)은 종이만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1)은 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권지이고, 제2 부분(32)은 구멍 등과 같이 빈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1)은 제2 부분(32)보다 단위 면적당 더 많은 양의 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1) 및 제2 부분(32)은 열 전도성 소재로 금속 호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부분(31)은 제2 부분(32)보다 더 두꺼운 금속 호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1)은 제2 부분(32)보다 더 높은 밀도의 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권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1)은 제2 부분(32)보다 열 전도율이 더 높은 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31)은 열 전도성 소재로 그래핀, 은, 구리 등을 포함하고, 제2 부분(32)은 열 전도성 소재로 알루미늄, 철, 비금속 소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1)이 알루미늄을 포함한다면, 제2 부분(32)이 비금속 소재를 포함하는 등, 제1 부분(31) 및 제2 부분(32)은 열 전도율이 서로 다른 열 전도성 소재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예들과 반대로, 제2 부분(32)이 제1 부분(31)보다 열 전도율이 높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 전도성 래퍼(30)의 제1 부분(31)은 에어로졸 기재부(21)를 둘러싸고, 제2 부분(32)은 매질부(22)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H)는 에어로졸 기재부(21)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열 전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2 부분(32)으로 매질부(22)를 포장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H)로부터 매질부(22)로 열이 적게 전도되는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한 실시예가 하나의 히터로 에어로졸 기재부(21)와 매질부(22)를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하는 효과를 획득 가능하다면,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히터로 에어로졸 기재부(21)와 매질부(22)를 확연한 온도 차이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열 전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제2 부분(32)으로 매질부(22)를 포장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H)가 매질부(2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지 않더라도, 제2 부분(32)을 통해 매질부(22)로 열이 전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히터로 에어로졸 기재부(21)와 매질부(22)를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되는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되기 전의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를 나타내고, 도 4b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된 후의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열 전도성 래퍼(30)는 에어로졸 기재부(21)를 둘러싸는 제1a 부분(3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 전도성 래퍼(30)의 제1 부분(31)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매질부(22)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b 부분(312)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부(22)의 나머지 일부는 제2 부분(3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a 부분(311)은 제1 래퍼(도 1a의 251)에 포함되고, 제1b 부분(312) 및 제2 부분(32)은 제2 래퍼(도 1a의 252)에 포함될 수 있다.
제1b 부분(312)은 매질부(22)의 하류측 단부까지 연장되어 매질부(22)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제1b 부분(312)은 복수개일 수 있고, 복수개의 제1b 부분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H)가 에어로졸 기재부(21)의 주위에 배치되는 경우, 매질부(22)의 상류측 단부가 하류측 단부보다 히터(H)에 가까이 배치됨에 따라, 매질부(22)의 상류측 단부에 비해 하류측 단부는 더 적은 열을 전달받게 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제2 부분(32)보다 상대적으로 열 전도율이 높은 제1b 부분(312)을 통해 매질부(22)의 하류측 단부까지 열이 전도되도록 하여, 매질부(22)의 하류측 단부가 상류측 단부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제2 부분(32)보다 상대적으로 열 전도율이 낮은 제1b 부분(312)을 통해 매질부(22)로 열이 과도하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매질부(22)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되는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a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되기 전의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를 나타내고, 도 5b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된 후의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b 부분(312)의 적어도 일부는 너비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b 부분(312)은 하류로 갈수록 너비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제1b 부분(312)의 너비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너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서 제1b 부분(312)의 너비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한다.
제1b 부분(312)은 제2 부분(32)에 비해 열 전도율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매질부(22)에서 제1b 부분(312)과 제2 부분(32)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 및 위치 등을 조정하여, 매질부(22)로 열이 전달되는 정도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제1b 부분(312)의 너비가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매질부(22)는 하류측 단부에 가까울수록 제1b 부분(312)에 의해 둘러싸이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매질부(22)의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의 히터(H)와의 거리 차이로 인해 전도되는 열의 차이를 상쇄시킬 수 있으며, 매질부(22) 전체를 균일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되는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a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되기 전의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를 나타내고, 도 6b는 열 전도성 래퍼에 의해 포장된 후의 에어로졸 기재부 및 매질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2 부분(32)은 제1a 부분(311) 및 제1b 부분(3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32)의 상류측 단부는 매질부(22)의 상류측 단부와 인접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H)는 에어로졸 기재부(21)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32)은 제1a 부분(311) 및 제1b 부분(312)보다 열 전도율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분(32)은 제1a 부분(311)에서 제1b 부분(312)으로 열이 전도되는 것을 방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매질부(22)는 에어로졸 기재부(21)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으므로, 에어로졸 기재부(21) 및 매질부(22)가 하나의 히터(H)에 의해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또한, 히터(H)와 가까운 매질부(22)의 상류 부분은 제2 부분(32)으로 포장하고, 히터(H)와 먼 매질부(22)의 하류 부분은 제1b 부분(312)으로 포장하여, 매질부(22)의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의 히터(H)와의 거리 차이로 인해 전도되는 열의 차이를 상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에어로졸 생성 물품 21: 에어로졸 기재부
22: 매질부 23: 냉각부
24: 필터부 25: 래퍼
30: 열 전도성 래퍼 31: 제1 부분
32: 제2 부분 251: 제1 래퍼
252: 제2 래퍼 253: 제3 래퍼
254: 제4 래퍼 255: 제5 래퍼
256: 제6 래퍼 311: 제1a 부분
312: 제1b 부분

Claims (11)

  1.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있어서,
    니코틴을 제외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기재부;
    상기 에어로졸 기재부의 하류측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니코틴을 포함하는 매질부;
    상기 매질부의 하류측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의 하류측 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필터부;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래퍼를 포함하고,
    상기 래퍼는,
    상기 에어로졸 기재부 및 상기 매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하고,
    상기 열 전도성 래퍼는 서로 겹치지 않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에어로졸 기재부를 둘러싸는 제1a 부분 및 상기 매질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b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매질부의 나머지 일부를 둘러싸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열 전도율이 서로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열 전도율이 서로 다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어느 하나의 부분만 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어느 하나의 부분은 다른 하나의 부분보다 단위 면적당 더 많은 양의 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어느 하나의 부분은 다른 하나의 부분보다 열 전도율이 더 높은 열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b 부분은 상기 매질부의 상류측 단부에서부터 상기 매질부의 하류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b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너비가 일정하지 않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a 부분 및 상기 제1b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96912A 2019-08-08 2019-08-08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KR102341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912A KR102341841B1 (ko) 2019-08-08 2019-08-08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EP20849316.3A EP3905903B1 (en) 2019-08-08 2020-07-31 Aerosol generating article including thermally conductive wrapper
JP2021551991A JP7256891B2 (ja) 2019-08-08 2020-07-31 熱伝導性ラッパ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物品
CN202080018375.4A CN113543661B (zh) 2019-08-08 2020-07-31 气溶胶生成物品
US17/432,713 US20220160023A1 (en) 2019-08-08 2020-07-31 Aerosol generating article including thermally conductive wrapper
PCT/KR2020/010145 WO2021025391A1 (en) 2019-08-08 2020-07-31 Aerosol generating article including thermally conductive wrapper
TW109126949A TWI796586B (zh) 2019-08-08 2020-08-07 包含導熱捲紙之氣霧產生物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912A KR102341841B1 (ko) 2019-08-08 2019-08-08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523A KR20210017523A (ko) 2021-02-17
KR102341841B1 true KR102341841B1 (ko) 2021-12-21

Family

ID=7450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912A KR102341841B1 (ko) 2019-08-08 2019-08-08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60023A1 (ko)
EP (1) EP3905903B1 (ko)
JP (1) JP7256891B2 (ko)
KR (1) KR102341841B1 (ko)
CN (1) CN113543661B (ko)
TW (1) TWI796586B (ko)
WO (1) WO20210253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6947B (zh) * 2021-10-14 2023-07-28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加热型卷烟的过滤嘴管结构
WO2023118822A1 (en) * 2021-12-20 2023-06-29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n article
KR20230156199A (ko) * 2022-05-04 2023-11-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흡연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E036450T2 (hu) 2002-04-12 2018-07-30 Philip Morris Products Sa Aktívszénszálas cigarettaszûrõ
US7647932B2 (en) 2005-08-01 2010-01-19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SG11201403623YA (en) * 2011-12-30 2014-07-30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TWI639391B (zh) * 2012-02-13 2018-11-0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包括隔離可燃熱源之吸煙製品
KR102154113B1 (ko) 2013-08-13 2020-09-1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이중 열 전도 요소 및 개선된 기류를 갖는 흡연 물품
CN105473013B (zh) * 2013-09-02 2019-06-25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具有不重叠、径向分开、双重热传导元件的吸烟制品
UA119333C2 (uk) 2013-12-05 2019-06-10 Філіп Морріс Продактс С.А. Нагрівний виріб, що генерує аерозоль, з теплорозподілювальною обгорткою
EP3082479A1 (en) * 2013-12-20 2016-10-26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including flavour granules having permeable outer layer
CN106572707A (zh) 2014-08-27 2017-04-19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将热传导贴片涂覆到材料幅板的方法
PL3277110T3 (pl) * 2015-03-31 2019-11-29 Philip Morris Products Sa Wyrób do palenia ze środkiem chwytającym palne źródło ciepła
EP3337344B1 (en) * 2015-08-17 2019-06-05 Philip Morris Products S.a.s. Aerosol-generating system and aerosol-generating article for use in such a system
RU2713242C1 (ru) * 2015-12-30 2020-02-04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Выдвижной источник теплоты для изделия,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BR112018011345B1 (pt) * 2015-12-31 2021-08-03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go gerador de aerossol com zona de ventilação
WO2017207586A1 (en) * 2016-05-31 2017-12-0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heated aerosol-generating article
CA3014140A1 (en) * 2016-05-31 2017-12-07 Philip Morris Products S.A. Refillable aerosol-generating article
US10918135B2 (en) * 2016-05-31 2021-02-16 Altria Client Services Llc Heat diffuser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US11096415B2 (en) * 2016-05-31 2021-08-24 Philip Morris Products S.A. Heated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liquid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combustible heat generating element
EP3503747B1 (en) * 2016-08-26 2020-12-23 Philip Morris Products S.a.s. Aerosol-generating article comprising an aerosol-forming substrate and a heat-conducting element
CN207604513U (zh) * 2016-12-16 2018-07-13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产生物品
KR20180070450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
RU2747612C2 (ru) * 2016-12-19 2021-05-11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одержащая несколько субстратов, образующих аэрозоль
KR102246245B1 (ko) * 2017-03-30 2021-04-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크래들
MX2019014595A (es) * 2017-06-09 2020-02-05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culo generador de aerosol que tiene un segmento de filtro fibroso.
EP3453268B1 (en) * 2017-09-07 2019-12-11 Philip Morris Products S.a.s.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improved outermost wrapper
GB201719747D0 (en) * 2017-11-28 2018-01-10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generation
BR112020010091A2 (pt) * 2017-12-21 2020-10-13 Philip Morris Products S.A. redução de amônia em aerossol em artigos geradores de aerossol aquecido
TW201929953A (zh) * 2017-12-29 2019-08-01 瑞士商Jt國際公司 氣溶膠產生物件及其製造方法
CN109998171A (zh) * 2018-01-05 2019-07-12 深圳御烟实业有限公司 一种气溶胶生成制品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5903A1 (en) 2021-11-10
CN113543661A (zh) 2021-10-22
US20220160023A1 (en) 2022-05-26
KR20210017523A (ko) 2021-02-17
CN113543661B (zh) 2024-03-01
EP3905903B1 (en) 2023-10-11
JP7256891B2 (ja) 2023-04-12
EP3905903A4 (en) 2022-03-23
TWI796586B (zh) 2023-03-21
TW202119951A (zh) 2021-06-01
JP2022522830A (ja) 2022-04-20
WO2021025391A1 (en)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1081B2 (ja) エアロゾル発生物品のためのマルチセグメント構成要素
KR102341841B1 (ko) 열 전도성 래퍼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CN108601407B (zh) 气溶胶生成制品
JP5292410B2 (ja) 非燃焼タイプ香味吸引物品
KR102330299B1 (ko) 외부 래퍼를 포함하는 궐련
RU2706810C2 (ru)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изделия,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JP7120715B2 (ja) シガレット
BR112018071418B1 (pt) Elemento gerador de aerossol híbrido para uso em um artigo gerador de aerossol, artigo gerador de aerossol híbrido, sistema gerador de aerossol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elementos geradores de aerossol híbridos
KR102478538B1 (ko) 복수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
KR20200092267A (ko)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액상 카트리지, 이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물품 및 이를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시스템
JP7454702B2 (ja) エアロゾル生成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597264B (zh) 卷烟
JP7359511B2 (ja) 複合熱源を含むエアロゾル発生物品及びシステム
KR102632598B1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61635A (ko) 담배 로드,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와 함께 사용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40041480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40072638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JP2024515970A (ja) エアロゾル生成物品及びそれ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