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619B1 -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a device for burying wires in parallel - Google Patents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a device for burying wires in parall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619B1
KR102340619B1 KR1020200047696A KR20200047696A KR102340619B1 KR 102340619 B1 KR102340619 B1 KR 102340619B1 KR 1020200047696 A KR1020200047696 A KR 1020200047696A KR 20200047696 A KR20200047696 A KR 20200047696A KR 102340619 B1 KR102340619 B1 KR 102340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arallel
wireless charging
embedde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6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9525A (en
Inventor
신혜중
Original Assignee
신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혜중 filed Critical 신혜중
Priority to KR102020004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619B1/en
Priority to PCT/KR2021/004833 priority patent/WO2021215754A1/en
Priority to TW110113966A priority patent/TWI781590B/en
Publication of KR20210129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5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6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코일부재 및 충전회로부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무선충전용 안테나장치로서, 상기 코일부재는 평면구조로 만들어진 기판위에 다수개의 와이어를 병렬로 일정 깊이 매립하는 구조로 권선되되, 상기 다수개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위치에서 금속박판부재 혹은 도체 와이어를 매개로 크로스오버(Crossovr)하여 반대측 와이어의 시작점과 연결하도록 무선충전 안테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안테나 기판상에 다수개의 와이어를 병렬로 일정 깊이 매립하고 그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위치에서 일정 크기의 홀을 형성한후 이 형성된 홀을 통해 금속박판부재를 매개로 와이어의 시작점과 연결하여 하이브리드 공정으로 무선충전 안테나를 제조하므로써, 다수의 와이어의 시작점과 끝을 잇는 브릿지를 홀을 매개로 연결하기 때문에 브릿지와 겹쳐지는 와이어의 두께를 증가하지 않고도 무선 안테나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무선충전용 안테나로서의 충전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안테나의 제작 품질과 제조비용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hybrid type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coil member and a charging circuit part, wherein the coil member is woun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embedded in parallel to a predetermined depth on a substrate made of a planar structure, the plurality of parallel It provides a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is formed to connect with the starting point of the opposite side wire by crossover (Crossovr) through the metal thin plate member or conductor wire at the end point position of the embedded wire. .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wires are buried in parallel on the antenna substrate to a certain depth, and a hole of a certain size is formed at the end point of the parallel buried wire, and then the wire is formed through the formed hole through the thin metal plate member. By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and manufacturing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through a hybrid process, the bridge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 of a plurality of wires is connected through the hole, so that the wireless antenna can be manufactured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wire overlapping the bridge.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not only improves the charging efficiency as a wireless charging antenna, but also significantly reduces the manufacturing quality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antenna.

Description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a device for burying wires in parallel}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a device for burying wires in parallel}

본 발명은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 기판상에 다수개의 와이어를 병렬로 일정 깊이 매립하고 그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위치에서 일정 크기의 홀을 형성한후 이 형성된 홀을 통해 금속박판부재를 매개로 와이어의 시작점과 연결하여 하이브리드 공정으로 무선충전 안테나를 제조하므로써, 다수의 와이어의 시작점과 끝을 잇는 브릿지를 홀을 매개로 연결하기 때문에 브릿지와 겹쳐지는 와이어의 두께를 증가하지 않고도 무선 안테나를 제작할 수 있는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parallel embedding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wires are buried in parallel on an antenna substrate to a certain depth, and a hole of a certain size is formed at the end point of the parallel buried wire, and then the hole is formed. By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antenna through a hybrid process by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wire through a thin metal plate member, It relates to a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apable of manufacturing a wireless antenna without increasing.

일반적으로 현대의 전자기기는 무선 기술의 진화로 인하여 스마트폰을 포함한 전자기기의 무선 충전 기술들도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송신 모듈(Tx) 과 수신모듈(Rx)간 통신의 효율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안테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고효율이면서 두께가 얇은 무선충전용 안테나의 수요가 점점 증가되고 있다. 현재 다수의 무선충전용 안테나는 가능한 한 얇게 제작하기 위하여,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전기전도율이 높은 금속의 박막을 식각 형태로 녹이거나 고도의 절단 기술(레이져 커팅, 펀칭 등)을 이용하여, 기판에 부착하는 형태로 제작이 되고 있으며, 보다 높은 표면 전류값을 확보하기 위하여 여러 층으로 구성된 적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10 ~ 50 미크론 이하의 얇은 금속판을 소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적층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얇은 구조의 안테나 기판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안테나의 와이어를 도체로 형성하는 경우, 와이어의 직경은 보통 60 ~ 120㎛ 정도의 와이어를 사용하나, 보다 넓은 표면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두꺼운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In general, due to the evolution of wireless technology in modern electronic devices, wireless charging technologies for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are also developing. For this purpose, various types of antenna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particular, as the functions of smartphones as described above are diversified, the demand for high-efficiency and thin wireless charging antennas is increasing. Currently, many wireless charging antennas are made as thin as possible by melting a thin film of a metal with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such as copper or aluminum in an etched form or using advanced cutting technology (laser cutting, punching, etc.) on the substrate. It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ttachment, and has a laminated structure composed of several layers to secure a higher surface current value. The structure of the antenna substrate is possib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re of the conventional antenna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as a conductor, a wire having a diameter of about 60 to 120 μm is usually used, but it is advantageous to use a wire as thick as possible in order to secure a wider surface.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무선충전안테나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도 1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회로 기판을 설정하는 제1 단계(S100)와, 상기 제1 단계(S101)후에 절단 기구를 이용하여 동박시트를 설정된 형태로 절단가공하는 제2 단계(S102)와, 상기 제2 단계(S102)후에 회로 기판상에 다중 와이어를 부착시공하고 상기 와이어의 시작점과 끝점을 잇기위해 병렬로 부착된 와이어의 상부로 도체 와이어를 브릿지로 만들어 안테나를 완성하는 제3단계(S103)로 이루어진다. Then, looking at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antenna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 after the first step ( S100 ) of setting the circuit board and the first step ( S101 ), a copper foil using a cutting mechanism The second step (S102) of cutting and processing the sheet in a set form, and after the second step (S102), attaching multiple wires to the circuit board and connecting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wires to the upper part of the wires attached in parallel A third step (S103) of completing the antenna by making the raw conductor wire into a bridge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종래 무선충전안테나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와 같은 브릿지 공정은 얇으면서 더 많은 표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적층구조와 상반된 방식인 여러 가닥의 와이어를 병렬 구조로 연결하여 하나의 도체로 형성하여 제작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안테나는 안테나의 구조상 (원형 타입이든 사각형 또는 다른 타입이든) 2개의 끝단 중 한 끝단은 안테나 구조 외부에 그리고 다른 한 끝은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두 끝단을 한 곳으로 모으기 위해서 내부(또는 외부)의 끝단을 안테나 도체를 매개로 크로스오버(Crossover)시켜 시작점에 연결시킨다. Here,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antenna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first, the bridg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thin and in order to secure more surface area, a multi-stranded structure opposite to the laminated structure. It is manufactured by connecting wires in a parallel structure to form a single conductor. At this time, the antenna as described above has one end of the two ends of the antenna structure (whether it is a circular type, a square type, or another type)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outside the antenna structure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side the inner ( Or, crossover the end of the external) through the antenna conductor and connect it to the starting poin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무선충전안테나의 제조방법은 안테나의 내측 혹은 외측에 형성된 끝점 혹은 시작점을 반대측의 시작점 혹은 끝점을 잇기위한 도체의 크로스오버를 실행할 경우 안테나 도선이 넘어가는 그 지점에서 안테나 선이 중첩되어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지게되는데, 이러한 크로스 오버 시 와이어가 겹치는 곳의 두께가 대략 안테나 직경의 2 배가 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서 무선충전용 안테나로서의 충전효율이 매우 저하되었을 뿐만아니라 안테나의 제작 품질 또한 매우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less charging antenna as described above, when performing a crossover of a conductor to connect an end point or a start point formed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antenna to the start point or end point on the opposite side, the antenna wire is crossed at the point where the antenna wire crosses. Overlapping makes the overall thickness thicker. During this crossover, the thickness of the overlapping area is approximately twice the diameter of the antenna, so the charging efficiency as a wireless charging antenna is greatly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quality of the antenna is also very deteriorated. There was a problem with doing it.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안테나 기판상에 다수개의 와이어를 병렬로 일정 깊이 매립하고 그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위치에서 일정 크기의 홀을 형성한후 이 형성된 홀을 통해 금속박판부재를 매개로 와이어의 시작점과 연결하여 하이브리드 공정으로 무선충전 안테나를 제조하므로 무선충전용 안테나로서의 충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wires are buried in parallel on an antenna substrate to a certain depth, and a hole of a certain size is formed at the end point of the parallel buried wires. Through this formed hole,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is manufactured by a hybrid process by connecting with the starting point of the wire through the metal thin plate member.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공정상 와이어가 겹치는 부분에서 두께가 얇은 동박으로 브릿지처리하기 때문에 겹치는 부위의 두께를 얇게 처리함으로서 슬림화된 전자기기에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공정증가로 인한 제조공정상의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안테나의 제조수율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enable the use of slimmed electronic devices by thinning the thickness of the overlapping portion because the bridge is processed with a thin copper foil at the portion where the wires overlap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oces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normal error and thus significantly improving the manufacturing yield of the antenna.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판, 코일부재 및 충전회로부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무선충전용 안테나장치로서,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hybrid-type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coil member and a charging circuit unit,

상기 코일부재는 평면구조로 만들어진 기판위에 다수개의 와이어를 병렬로 일정 깊이 매립하는 구조로 권선되되, 상기 다수개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위치에서 금속박판부재 혹은 도체 와이어를 매개로 크로스오버(Crossovr)하여 반대측 와이어의 시작점과 연결하도록 무선충전 안테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를 제공한다.The coil member is woun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embedded in parallel to a predetermined depth on a substrate made of a planar structure, and crossover (Crossovr) via a thin metal plate member or a conductor wire at the end point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embedded wires To provide a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wireless charging antenna to be connected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opposite side wir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 기판상에 다수개의 와이어를 병렬로 일정 깊이 매립하고 그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위치에서 일정 크기의 홀을 형성한후 이 형성된 홀을 통해 금속박판부재를 매개로 와이어의 시작점과 연결하여 하이브리드 공정으로 무선충전 안테나를 제조하므로써, 다수의 와이어의 시작점과 끝을 잇는 브릿지를 홀을 매개로 연결하기 때문에 브릿지와 겹쳐지는 와이어의 두께를 증가하지 않고도 무선 안테나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무선충전용 안테나로서의 충전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안테나의 제작 품질과 제조비용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wires are embedded in parallel to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antenna substrate, and a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the end point of the parallel embedded wire, and then a thin metal plate member is passed through the formed hole. By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wire and manufacturing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through the hybrid process, the bridge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 of a number of wires is connected through the hole, so that the wireless antenna can be manufactured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wire overlapping the bridg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harging efficiency as an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also significan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quality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antenna.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제조공정상 와이어가 겹치는 부분에서 두께가 얇은 동박으로 브릿지처리하기 때문에 겹치는 부위의 두께를 얇게 처리함으로서 슬림화된 전자기기에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공정증가로 인한 제조공정상의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안테나의 제조수율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kes it possible to use a slimmed electronic device by thinning the thickness of the overlapping area because the bridge is processed with a thin copper foil at the portion where the wires overlap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erro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ocess can be minimized, and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the manufacturing yield of the antenna.

도 1은 종래 무선충전안테나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의 개요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의 (a-b)는 본 발명 장치의 접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1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antenna.
Figure 2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outline of the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b)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nding structure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의 개요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7의 (a-b)는 본 발명 장치의 접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Figure 2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outline of the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embodiment,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 ab)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nding structure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기판(1) 코일부재(2) 그리고 충전회로부(3)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무선충전용 안테나장치에 적용된다. 2 and 3,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hybrid-type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onsisting of a substrate (1), a coil member (2), and a charging circuit (3).

상기 코일부재(2)는 주변의 전자기 변화에 따라서 전압이 유기되는 수신부에 와인딩되거나 혹은 유도전류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코일부재(2)의 양단의 출력단에 연결된 모바일 기기(11)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부(3)에 연결된다. The coil member 2 may be wound on a receiver in which a voltage is induced according to a change in an electromagnetic field around it, or may be installed in a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 induced current, and a mobile devic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of both ends of the coil member 2 . It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unit (3) for charging the battery of (11).

그리고 본 발명의 코일부재(2)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평면구조로 만들어진 기판위에 다수개의 와이어(4a-n)를 병렬로 일정 깊이 매립하는 구조로 권선되되, 상기와 같이 병렬 매립된 와이어(4a-n)의 끝점위치(5)에서 크로스오버(Crossovr)하여 반대측 와이어(4a-n)의 시작점(6)과 연결하도록 도체 와이어 혹은 금속박판부재(7)를 부착시켜 하이브리드 공정으로 무선충전 안테나를 제조한다.And the coil member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un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4a-n are embedded in parallel to a predetermined depth on a substrate made of a planar structure as shown in FIGS. A hybrid process by attaching a conductor wire or a thin metal plate member 7 to cross over at the end point position 5 of the wire 4a-n and connect it with the start point 6 of the opposite side wire 4a-n Manufactures wireless charging antennas.

여기서, 상기 코일부재(2)는 원형단면적의 형상을 갖는 예컨대, 구리(copper)소재의 와이어이며, 적어도 2개선 이상의 와이어를 나란히 붙여서 권선되고, 상기 코일부재(2)의 시작점(6)과 끝점(5)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2개 이상의 와이어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코일부재(2)의 저항값은 300 m~500mΩ 사이의 값을 가지며, 인덕턴스는 7~12 μH 사이의 값을 갖는다. Here, the coil member 2 is a wire made of, for example, copper material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and is wound by attaching at least two or more wires side by side, and the starting point 6 and the end point of the coil member 2 . (5) is electrically connected so that two or more wir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parallel,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oil member 2 has a value between 300 m and 500 mΩ, and the inductance has a value between 7 and 12 μH. hav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와 같은 코일부재(2)의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위치(5)와 시작점(6)을 잇는 하이브리드 형 막박구조의 다중와이어를 1개도체로 하는 본 발명의 무선충전 안테나의 제1 실시예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트롤러 단자(일명 쪽 pcb)가 안테나와 같은 면에 존재하는 경우(크로스 오버 시, 박판 또는 박판이 부착된 패치를 브릿지로 구성하는 구조일 경우) 상기와 같이 다수개 병렬 매립된 와이어(4a-n)의 끝점(6 혹은 시작점)에서 병렬 매립된 와이어(4a-n)의 상부에 밀착되어 크로스오버되면서 반대편의 시작점(5 혹은 끝점)에 도체 와이어(8)로 연결되는 무선충전 안테나의 구조로 구성된다.A first embodiment of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multi-wire of the hybrid type thin film structure connecting the end point position 5 and the start point 6 of the parallel embedded wire of the coil member 2 as described above is a single conductor. As shown in FIG. 3, when the controller terminal (aka pcb) is on the same side as the antenna (when crossover, in the case of a structure comprising a thin plate or a patch attached to a thin plate as a bridge) as above At the end point (6 or start point) of the parallel buried wire 4a-n, it is closely attached to the top of the parallel buried wire 4a-n and crossed over, and connected to the opposite start point (5 or end point) with the conductor wire 8 It is composed of the structure of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코일부재(2)가 안테나 기판(1)의 하단 면과 크로스 오버의 끝점(5)을 안테나 기판(1)의 상단에 연결되고 기판 위에 다수개의 와이어(4a-n)를 병렬로 일정 깊이 매립하는 구조로 권선되되, 상기와 같이 병렬 매립된 와이어(4a-n)의 끝점위치(5 혹은 시작점위치)에서 일정 크기의 연결홀(9)을 형성한후 이 형성된 연결홀(9)을 통해 기판(1)의 하단에 위치한 금속박판부재(7)에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금속박판부재(7)의 또다른 일측을 기판(1)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10)을 매개로 기판(1)의 상단에 위치한 와이어의 시작점(6 혹은 끝점위치)과 연결하여 하이브리드 공정으로 무선충전 안테나의 구조로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연결홀(9)과 연결된 기판(1)의 하단에 위치한 금속박판부재(7)는 기판(1)상에 형성된 관통홀(10)을 경유하여 반대편의 연결점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홀(9)의 크기는 연결되는 와이어의 크기와 비례하여 형성된다. In addition,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member 2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ntenna substrate 1 and the end point 5 of the crossover to the top of the antenna substrate 1, and a plurality of wires 4a on the substrate -n) is wound in a structure to be buried in parallel to a certain depth, and after forming a connection hole 9 of a certain size A through hole (10)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 is connected to the thin metal plate member (7)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ubstrate (1) through the formed connection hole (9), while another side of the thin metal plate member (7)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bstrate (1) It is connected to the starting point (or end point position) of the wire located at the top of the substrate 1 via a hybrid process to form a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ing antenna.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4 , the thin metal plate member 7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ubstrate 1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9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0 formed on the substrate 1 . so that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int.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connection hole 9 is form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wire to be connected.

더나아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일부재(2)가 안테나 기판의 상단 면과 크로스 오버의 끝점을 안테나 기판의 하단에 연결되고(콘트롤러 단자(일명 쪽 pcb)가 안테나와 다른 면(아랫면)에 존재하는 경우) 기판위에 다수개의 와이어(4a-n)를 병렬로 일정 깊이 매립하는 구조로 권선되되, 상기 기판(1)의 일측에 와이어의 시작점위치(5 혹은 끝점위치)와 접촉하는 관통공(10)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0)의 상단을 기점으로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상부를 크로스오버하여 와이어의 끝점위치(6 혹은 시작점위치)와 연결되는 금속박판부재(7)를 매개로 와이어의 시작점(6 혹은 끝점위치)과 연결하여 하이브리드 공정으로 무선충전 안테나의 구조로 구성된다.Further,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coil member 2 is connected to the top surface of the antenna board and the end point of the crossover to the bottom of the antenna board (controller terminal (aka side pcb) ) is on a different side (lower side) than the antenna), a plurality of wires (4a-n) are woun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4a-n) are embedded in parallel to a predetermined depth on a substrate, and the starting point position (5) of the wires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 or end point position) and crossover the upper part of the wire embedd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10 as a starting point, and the metal connected to the end point position (6 or starting point position) of the wire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of a wireless charging antenna by a hybrid process by connecting it with the starting point (6 or ending point position) of the wire through the thin plate member 7 as a medium.

이때, 상기 연결홀(9)과 연결된 기판(1)의 하단에 위치한 금속박판부재(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판(1)상에 형성된 관통홀(10)을 경유하여 반대편의 연결점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홀(9)의 크기는 연결되는 와이어의 크기와 비례하여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thin metal plate member 7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ubstrate 1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9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connection point via the through hole 10 formed on the substrate 1 as shown in FIG. 5 . is connected with Here, the size of the connection hole 9 is form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wire to be connected.

한편 더나아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일부재(2)가 안테나 기판(1)의 하단 면과 크로스 오버의 끝점(5)을 안테나 기판(1)의 하단에 연결되고 기판위에 다수개의 와이어(4a-n)를 병렬로 일정 깊이 매립하는 구조로 권선되되, 상기와 같이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위치(5 혹은 시작점위치)에서 일정 크기의 연결홀(9)을 형성한후 이 형성된 연결홀(9)을 통해 기판(1)의 하단에 위치한 금속박판부재(7)를 매개로 와이어의 시작점(6 혹은 끝점위치)과 연결하여 하이브리드 공정으로 무선충전 안테나의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홀(9)과 연결된 기판()의 하단에 위치한 금속박판부재(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판()을 관통하지 않고 반대편의 연결점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홀(9)의 크기는 연결되는 와이어의 크기와 비례하여 형성된다. Meanwhile, a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the coil member 2 connect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antenna substrate 1 and the end point 5 of the crossover to the lower end of the antenna substrate 1 . It is connected to and woun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4a-n) are buried in parallel at a certain depth on the substrate, and a connection hole (9) of a certain size at the end point (5 or start point location) of the wires buried in parallel as described above. After forming, the structure of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in a hybrid process by connecting with the start point (6 or end point position) of the wire through the metal thin plate member 7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ubstrate 1 through the formed connection hole 9 is composed of At this time, the thin metal plate member 7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ubstrate ( )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9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connection poin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ubstrate ( ) as shown in FIG. 6 . Here, the size of the connection hole 9 is form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wire to be connected.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어를 도체로 하여 안테나 형성하는 경우 안테나의 제작 시 시작점은 안테나의 외부에(또는 내부에 두고) 형성의 끝점을 안테나의 내부(또는 내부)에 두고 크로스 오버를 하여, 그 안테나의 끝점과 솔더링 또는 웰딩 방식으로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에 부착한 안테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ntenna is formed using a wire as a conductor as shown in FIG. 2 , the starting point when manufacturing the antenna is outside (or inside the antenna) the end point of the formation of the antenna. It is to form an antenna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rging circuit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by soldering or welding with the end point of the antenna by placing it inside (or inside) and performing crossover.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와이어를 도체로 하는 안테나 형성하는 경우 안테나의 제작 시 시작점은 안테나의 외부에(또는 내부에 두고) 형성의 끝점을 안테나의 내부(또는 내부)에 두고 크로스 오버를 하지 않은 형태로 제작 후 그 안테나의 끝점과 금속 박판 또는 금속 박판이 부착된 패치를 솔더링 또는 웰딩 방식으로 접촉하여 두 가지 방식을 결합한 이중 구조(하이브리드) 방식의 안테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Furthermore, in the case of forming an antenna using a wire as a conducto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rting point of the antenna is formed outside (or inside) the inside of the antenna and the end point of the formation is crossed inside (or inside) the antenna. After being manufactured in a non-over-over type, the antenna structure of the dual structure (hybrid) method combining the two methods is formed by contacting the end point of the antenna with a thin metal plate or a patch with a thin metal plate attached thereto by soldering or welding.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다수개의 병렬 매립된 와이어와 그 상부로 중첩되는 금속박판부재 혹은 와이어의 구조가 도 7의 (a-b)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가 일정크기로 절개되는데, 예컨대, 중첩되는 금속박판부재 혹은 와이어의 부분이 하나의 와이어의 두께가 되도록 절개된다. 즉, 상기와 같이 중첩되는 부위가 예컨대, 각 1/2씩 절개되므로 맞결합시 단면이 하나의 와이어의 두께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중첩되는 금속박판부재 혹은 와이어의 부분을 1/2 두께로 홈을 파내고 절연시켜 결합시키는 경우 전체의 두께가 ( 1 + 절연피막)이 되어, 전체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진 무선충전용 안테나를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arallel embedded wires and a structure of a thin metal plate member or wire overlapping the upper part are cut to a predetermined size inside as shown in FIG. 7(ab), for example, , the overlapping metal thin plate member or part of the wire is cut to the thickness of one wire. That is, since the overlapping portions as described above are cut, for example, by 1/2 each, the cross-section maintains the thickness of one wire during mating. That is, when the overlapping thin metal plate member or part of the wire is dug in a 1/2 thickness and insulated and combined, the overall thickness becomes ( 1 + insulating film), and a wireless charging antenna having a thin overall thickness is obtained. configurabl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와이어 안테나의 끝점과 크로스 오버용 박판 또는 박판이 부착된 패치를 연결함에 있어, 그 연결 방식은 1) 솔더 방식, 2) 스파크 용접 압착 웰딩 방식, 3) 레이져를 이용한 웰딩 방식 및 4) 초음파를 이용한 웰딩 방식으로 접합된 무선 충전용 안테나를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ng the end point of the wire antenna and a thin plate or a thin plate for crossover, the connection method is 1) a solder method, 2) a spark welding crimp welding method, 3) A welding method using a laser and 4) a welding method using an ultrasonic wave can be used to construct a bonded wireless charging antenna.

1 : 기판 2 : 충전회로부
3 : 코일부재 4a-n: 와이어
5 : 끝점위치 6 : 시작점
7 : 금속박판부재 8 : 도체 와이어
9 :연결홀 10: 관통홀
11:모바일 기기
1: substrate 2: charging circuit part
3: coil member 4a-n: wire
5: End point position 6: Start point
7: metal thin plate member 8: conductor wire
9: connection hole 10: through hole
11: Mobile devices

Claims (10)

기판, 코일부재 및 충전회로부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무선충전용 안테나장치로서,
상기 코일부재는 평면구조로 만들어진 기판위에 다수개의 와이어를 병렬로 일정 깊이 매립하는 구조로 권선되되, 상기 다수개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위치에서 금속박판부재를 매개로 크로스오버(Crossover)하여 반대측 와이어의 시작점과 연결하도록 무선충전 안테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
A hybrid type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coil member and a charging circuit unit,
The coil member is woun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embedded in parallel to a predetermined depth on a substrate made of a planar structure, crossover through a thin metal plate member at the end point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embedded wires as a medium, and the opposite side wire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wireless charging antenna to connect with the starting point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재가 다수개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혹은 시작점)에서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상부에 밀착되어 크로스오버되면서 반대편의 시작점(혹은 끝점)에 도체 와이어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member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conductor wire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tarting point (or end point) as the coil member is cross-over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parallel embedded wire at the end point (or starting point)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embedded wires.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재가 다수개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위치(혹은 시작점위치)의 기판상에 일정 크기의 연결홀을 형성한후 이 형성된 연결홀을 통해 기판의 하단에 위치한 금속박판부재에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금속박판부재의 또다른 일측을 기판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매개로 기판의 상단에 위치한 와이어의 시작점(혹은 끝점위치)과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
According to claim 1,
After forming a connection hole of a certain size on the substrate at the end point (or starting point position) of the wire embedded in parallel with a plurality of the coil members, it is connected to the thin metal plate memb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ubstrate through the formed connection hole.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nother side of the thin metal plate member is connected to the starting point (or end point position) of the wire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ubstrate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재가 기판의 일측에 와이어의 시작점위치(혹은 끝점위치)와 접촉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의 상단을 기점으로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상부를 크로스오버하여 와이어의 끝점위치(혹은 시작점위치)와 연결되는 금속박판부재를 매개로 와이어의 시작점(혹은 끝점위치)과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il member forms a through hole in contact with the start point position (or end point position) of the wire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crosses the upper part of the wire embedd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as a starting point to the end point position (or start point) of the wire. A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start point (or end point location) of the wire through a metal thin plate member connected to the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재가 다수개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위치(혹은 시작점위치)에서 일정 크기의 연결홀을 형성한후 이 형성된 연결홀을 통해 기판의 하단에 위치한 금속박판부재를 매개로 와이어의 시작점(혹은 끝점위치)과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
According to claim 1,
After forming a connection hole of a certain size at the end point position (or starting point position) of the wir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coil members are embedded in parallel, the starting point of the wire (or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end point position).
기판, 코일부재 및 충전회로부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무선충전용 안테나장치로서,
상기 코일부재는 평면구조로 만들어진 기판위에 다수개의 와이어를 병렬로 일정 깊이 매립하는 구조로 권선되되, 상기 다수개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위치에서 금속박판부재를 매개로 크로스오버(Crossover)하여 반대측 와이어의 시작점과 연결하도록 무선충전 안테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코일부재의 저항값은 300 m~500mΩ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
A hybrid type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coil member and a charging circuit unit,
The coil member is woun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embedded in parallel to a predetermined depth on a substrate made of a planar structure, crossover through a thin metal plate member at the end point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embedded wires as a medium, and the opposite side wire Characterized in forming a wireless charging antenna to connect with the starting point of
The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coil member is between 300 m ~ 500 mΩ.
기판, 코일부재 및 충전회로부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무선충전용 안테나장치로서,
상기 코일부재는 평면구조로 만들어진 기판위에 다수개의 와이어를 병렬로 일정 깊이 매립하는 구조로 권선되되, 상기 다수개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위치에서 금속박판부재를 매개로 크로스오버(Crossover)하여 반대측 와이어의 시작점과 연결하도록 무선충전 안테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코일부재의 인덕턴스는 7~12 μH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
A hybrid type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coil member and a charging circuit unit,
The coil member is woun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embedded in parallel to a predetermined depth on a substrate made of a planar structure, crossover through a thin metal plate member at the end point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embedded wires as a medium, and the opposite side wire Characterized in forming a wireless charging antenna to connect with the starting point of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uctance of the coil member has a value between 7 and 12 μH.
기판, 코일부재 및 충전회로부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무선충전용 안테나장치로서,
상기 코일부재는 평면구조로 만들어진 기판위에 다수개의 와이어를 병렬로 일정 깊이 매립하는 구조로 권선되되, 상기 다수개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위치에서 금속박판부재를 매개로 크로스오버(Crossover)하여 반대측 와이어의 시작점과 연결하도록 무선충전 안테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기판의 시작점과 끝점위치를 각각 중첩되게 잇는 상기 금속박판부재와 상기 와이어의 부분을 하나의 와이어의 두께가 되도록 절개하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
A hybrid type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coil member and a charging circuit unit,
The coil member is woun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embedded in parallel to a predetermined depth on a substrate made of a planar structure, crossover through a thin metal plate member at the end point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embedded wires as a medium, and the opposite side wire Characterized in forming a wireless charging antenna to connect with the starting point of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thin plate member that overlaps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substrate, respectively, and a portion of the wire are cut and coupled to the thickness of one wire.
기판, 코일부재 및 충전회로부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무선충전용 안테나장치로서,
상기 코일부재는 평면구조로 만들어진 기판위에 다수개의 와이어를 병렬로 일정 깊이 매립하는 구조로 권선되되, 상기 다수개 병렬 매립된 와이어의 끝점위치에서 금속박판부재를 매개로 크로스오버(Crossover)하여 반대측 와이어의 시작점과 연결하도록 무선충전 안테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기판의 시작점과 끝점위치를 각각 중첩되게 잇는 상기 금속박판부재와 상기 와이어의 부분을 하나의 와이어의 두께가 되도록 절개하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첩되는 금속박판부재와 와이어의 부위가 각 1/2씩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
A hybrid type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a coil member and a charging circuit unit,
The coil member is woun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embedded in parallel to a predetermined depth on a substrate made of a planar structure, crossover through a thin metal plate member at the end point of the plurality of parallel embedded wires as a medium, and the opposite side wire Characterized in forming a wireless charging antenna to connect with the starting point of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thin plate member and the portion of the wire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substrate to be overlapped, respectively, are cut and combined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one wire,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n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verlapping metal thin plate member and the portion of the wire is cut by 1/2 each.
제1항 및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 병렬 매립된 와이어와 금속박판부재 혹은 도체 와이어를 접합하는 방식은 솔더(납용접), 스파크 용접 압착, 레이져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의 용접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병렬매립형 하이브리드 무선 충전 안테나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6 to 9,
The method of joining the plurality of parallel embedded wires and the metal thin plate member or the conductor wire is a wire parallel embedded hybrid radio,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welding method is used among solder (lead welding), spark welding compression, laser and ultrasonic waves. charging antenna.
KR1020200047696A 2020-04-20 2020-04-20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a device for burying wires in parallel KR1023406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696A KR102340619B1 (en) 2020-04-20 2020-04-20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a device for burying wires in parallel
PCT/KR2021/004833 WO2021215754A1 (en) 2020-04-20 2021-04-16 Parallel-wired embedded wireless chargeable antenna
TW110113966A TWI781590B (en) 2020-04-20 2021-04-19 Wire parallel embedded wireless charging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696A KR102340619B1 (en) 2020-04-20 2020-04-20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a device for burying wires in parall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525A KR20210129525A (en) 2021-10-28
KR102340619B1 true KR102340619B1 (en) 2021-12-20

Family

ID=7823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696A KR102340619B1 (en) 2020-04-20 2020-04-20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a device for burying wires in parall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619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650B1 (en) * 2011-08-04 2013-06-19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Antenna device with wireless charging
KR101597171B1 (en) * 2014-02-21 2016-02-24 주식회사 아모텍 Antenna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er having the same
KR101865540B1 (en) * 2015-05-26 2018-06-11 주식회사 아모센스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portable auxili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001243B1 (en) * 2017-11-28 2019-07-17 신혜중 Embedding head for forming an antenna w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525A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8622B2 (en) High current, low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printed circuit board coil for power transfer application
CN204614955U (en) Antenna assembly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11605889B2 (en) Combo antenna module
KR102340619B1 (en) Hybrid wireless charging Antena device for burying wires in parallel
US10840738B2 (en) Wireless device
US11610726B2 (en) Coil device and pulse transformer
TWI781590B (en) Wire parallel embedded wireless charging antenna
TWI794327B (en) Wireless device
US20200098511A1 (en) Coil device and pulse transformer
JP2020141077A (en) Coil component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70271766A1 (en) Antenna devic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tenna device
KR20220106473A (en) Wireless charging antenna with connectiong coil
US10855111B2 (en) Wireless charging coil apparatus
CN211788572U (en) Chip inductor
JPWO2018154858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mmon mode choke coil
KR102266171B1 (en) Multifunctional coiled wire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with easy 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
US20210042597A1 (en) Rfid ta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22090861A1 (en) Coil and electrical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00215289A (en) Non-contact ic card and its manufacture
KR20170013144A (en) Chip antenna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