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674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674B1
KR102339674B1 KR1020170030185A KR20170030185A KR102339674B1 KR 102339674 B1 KR102339674 B1 KR 102339674B1 KR 1020170030185 A KR1020170030185 A KR 1020170030185A KR 20170030185 A KR20170030185 A KR 20170030185A KR 102339674 B1 KR102339674 B1 KR 102339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con
menu
size
icon
enl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4547A (ko
Inventor
전은정
서장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594,74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795537B2/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0615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3267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4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감지 또는 수신하는 입력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 목록 중 제1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면,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확대 배율은, 상기 다른 메뉴 아이콘 중에서 제2 메뉴 아이콘의 확대 배율과 상이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확대된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정보를 가리지(overlay) 않도록 상기 지정된 메뉴 아이콘 및 상기 다른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메뉴 아이콘 목록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강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능이나 서비스의 메뉴(예: 실행할 명령)를 사용자 식별이 용이한 메뉴 아이콘(icon)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뉴 아이콘들이 정렬된 메뉴 아이콘 목록 중에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강조하여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하여 강조할 수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뉴 아이콘 목록에서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킬 때 확대된 메뉴 아이콘을 다른 메뉴 아이콘 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확대된 메뉴 아이콘에 의해 오버레이되는 메뉴 아이콘은 다음에 지정될 메뉴 아이콘일 수 있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강조 과정에서 사용자의 시선에 혼선을 줄 수 있다.
종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할 때 메뉴 아이콘들 사이의 여백 공간을 이용하여 메뉴 아이콘을 확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메뉴 아이콘들 사이의 여백 공간의 범위 내에서 확대시키므로, 메뉴 아이콘을 확대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메뉴 아이콘이 확대된 때 다른 메뉴 아이콘의 정보가 가려지는 것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감지 또는 수신하는 입력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 목록 중 제1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면,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을 원 크기에 대해 제1 확대 배율로 확대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확대 배율은, 상기 메뉴 아이콘 목록의 다른 메뉴 아이콘 중에서 제2 메뉴 아이콘의 확대 배율과 상이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 목록 중 제1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면,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을 원 크기에 대해 제1 확대 배율로 확대시키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확대 배율은, 상기 다른 메뉴 아이콘 중에서 제2 메뉴 아이콘의 확대 배율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 목록 중 제1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면,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을 원 크기에 대해 제1 확대 배율로 확대시키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확대 배율은, 상기 다른 메뉴 아이콘 중에서 제2 메뉴 아이콘의 확대 배율과 상이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뉴 아이콘이 확대된 때 다른 메뉴 아이콘의 정보가 가려지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 목록을 표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UI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메뉴 아이콘 목록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 아이콘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변경 메뉴 아이콘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 목록 중 지정된 메뉴 아이콘이 확대 표시된 UI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 목록의 제1 메뉴 아이콘을 확대하는 과정의 UI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메뉴 아이콘이 확대된 상태에서 제2 메뉴 아이콘의 확대 과정의 UI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메뉴 아이콘이 확대된 상태에서 제3 메뉴 아이콘의 확대 과정의 UI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 목록의 제4 메뉴 아이콘을 제3 메뉴 아이콘과 다른 확대 배율로 확대하는 경우의 UI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의 확대 과정과 축소 과정에서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의 확대 과정와 축소 과정에서 시간에 따른 크기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의 강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예: 도 4)는 예를 들어, TV, 모니터, 노트북, LFD(Large Format Display),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 목록을 표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UI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메뉴 아이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면, 메뉴 아이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뉴 아이콘 목록은 각기 다른 메뉴(예: 실행 명령)에 대응하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 아이콘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메뉴 아이콘, 도큐먼트의 메뉴 아이콘 및 기능 버튼의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크기를 확대시킴에 따라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강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음영을 표시하거나, 테두리를 표시하거나, 색상을 달리하는 등과 같이 다른 형태로 강조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메뉴 아이콘은 제1 크기(w1*h1=S1)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뉴 아이콘들 간에는 여백 공간(b1)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여백 공간(b1)은 메뉴 아이콘이 강조되기 위해 확대된 경우에 메뉴 아이콘의 확장 영역을 커버하기에 충분할 수도 있고,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자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의 예시도이다. 도 2a 내지 2c에서는 메뉴 아이콘 목록 중 하나가 확대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메뉴 아이콘 목록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각 컨텐츠 재생 메뉴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콘은 각 메뉴의 프리뷰 견본 이미지(preview thumb nail)(220) 및 텍스트(210)(예: 컨텐츠의 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 아이콘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각 애플리케이션 실행 메뉴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콘은 견본 이미지(thumb nail)(230), 및 텍스트(2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변경 메뉴 아이콘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채널 변경 메뉴에 대응하는 메뉴 아이콘은 채널 로고(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 목록 중 지정된 메뉴 아이콘이 확대 표시된 UI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메뉴 아이콘 중 하나가 지정되면, 지정된 메뉴 아이콘(s01)을 강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s01)을 제1 크기에서 제2 크기로 확대시킬 수 있다. 상기 확대된 메뉴 아이콘(s01)은 확대 이전보다 폭이 (2*x1)만큼 확장되고, 확대 이전보다 높이가 (2*y1)만큼 확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s01)을 확대시킬 때 확대된 메뉴 아이콘(s01)로 인하여 지정된 메뉴 아이콘(s01) 이외의 다른 아이콘(예: s02)의 정보 영역이 가려지지 않도록 지정된 메뉴 아이콘 및 다른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아이콘 목록이 가로로 나열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킬 때 지정된 메뉴 아이콘 및 다른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좌측 방향(메뉴 아이콘의 시작방향) 및 우측 방향(메뉴 아이콘의 정렬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뉴 아이콘 목록이 세로로 나열된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킬 때 지정된 메뉴 아이콘 및 다른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상부 방향(메뉴 아이콘의 시작방향) 및 하부 방향(메뉴 아이콘의 정렬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메뉴 아이콘 목록이 가로로 나열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확대된 메뉴 아이콘과 인접 메뉴 아이콘 사이의 여백 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정된 메뉴 아이콘과 다른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확대된 메뉴 아이콘과 인접 아이콘 사이에는 여백 공간을 존재하지 않도록 지정된 메뉴 아이콘과 다른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입력 모듈(110), 디스플레이(120),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입출력 관계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10)은 사용자 입력을 감지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은 터치 센서, 통신부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는 조작 수단의 터치를 감지하고, 조작 수단의 터치 좌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터치 패드(또는, 터치 패널) 및 터치 제어부(예: 터치 I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통신부는 원격 제어 장치(예: 리모컨, 마우스 등)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 IR 통신, USB, PS2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프로세서(140)에 의해 해석 가능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프로세서(140)로부터 수신한 명령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와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명령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입력 버튼은 디스플레이 장치(10) 상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버튼은 이동(예: 상, 하, 좌, 우 이동) 버튼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메뉴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프로세서(140)의 지시에 따라 메뉴 아이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20)는 프로세서(140)의 지시에 따라 메뉴 아이콘 목록 중에서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메뉴 아이콘 목록 중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강조하기 위한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이 확대될 때 다른 메뉴 아이콘의 정보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주문형 반도체(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입력 모듈(110)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신호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메뉴 아이콘 목록 중 하나(예: 제1 메뉴 아이콘)를 지정하기 위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신호가 디스플레이(120)에 메뉴 아이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제1 신호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는 입력 모듈(110)을 통해 메뉴 아이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선택됨에 따라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메뉴 아이콘 목록에서 하나의 메뉴 아이콘이 확대된 상태에서 다른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제2 신호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는 입력 모듈(110)을 통해 메뉴 아이콘의 변경 지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방향키 조작)이 선택됨에 따라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면,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강조하기 위해 확대하여(focus highlight)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디폴트 지정되는 제1 메뉴 아이콘 예컨대, 메뉴 아이콘 목록의 첫 번째 메뉴 아이콘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을 크기 축소하고, 다른 메뉴 아이콘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크기 또는 지정된 배율로 확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크기에서 제2 크기로 확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정된 배율(예: 1.3배)로 확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킬 때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확대 과정을 강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제1 메뉴 아이콘을 제2 크기로 확대시킬 때 제1 크기(확대 이전의 크기 또는 원 크기)에서 제3 크기(> 제2 크기)로 점차 확대시킨 후 제2 크기로 축소시키는 과정을 적어도 한번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제1 크기에서 제3 크기로 점차 확대시킨 후 제4 크기(제1 크기 < 제4 크기< 제2 크기)로 축소시키는 과정을 적어도 한번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각 메뉴 아이콘을 확대할 때 모두 동일한 크기 또는 배율로 확대시킬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각 메뉴 아이콘 중에서 더 강조되도록 지정된 특정 메뉴 아이콘을 특정 메뉴 아이콘을 제외한 일반 메뉴 아이콘보다 더 큰 크기 또는 배율로 확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일반 메뉴 아이콘을 제1 크기(원 크기)에 대해 1.3배로 확대시키고, 특정 메뉴 아이콘을 제1 크기에 대해 1.5배로 확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상기 제1 메뉴 아이콘을 원 크기에 대해 제1 확대 배율로 확대시킬 수 있다. 제1 확대 배율은 다른 메뉴 아이콘 중에서 제2 메뉴 아이콘의 확대 배율과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확대된 메뉴 아이콘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정보를 가리지 않도록 지정된 메뉴 아이콘 및 다른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하기에 충분한 여유 공간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결과,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하기에 충분한 여유 공간이 존재하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하면서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여유 공간은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의 축소로 인해 사용 가능한 공간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하기에 충분한 여유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하면서, 다른 메뉴 아이콘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키는 과정에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에 의해 다른 아이콘을 오버레이할 수도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메뉴 아이콘 목록 상의 메뉴 아이콘이 확대된 후에는 확대된 메뉴 아이콘에 의하여 다른 메뉴 아이콘의 정보 영역이 가려지지 않도록 처리함에 따라 메뉴 아이콘의 지정 과정에서 사용자의 메뉴 아이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확대된 메뉴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을 전혀 가리지 않도록 지정된 메뉴 아이콘 및 다른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확대된 메뉴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의 정보 영역을 가리지 않도록 지정된 메뉴 아이콘 및 다른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메뉴 아이콘은 각 메뉴 아이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영역과 정보 영역을 제외한 배경 영역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40)는 확대된 메뉴 아이콘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정보 영역이 가려지지 않도록 지정된 메뉴 아이콘 및 다른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확대된 메뉴 아이콘에 대해 음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데, 확대된 메뉴 아이콘의 음영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정보 영역에 오버레이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정렬 순서에 기초하여 지정된 메뉴 아이콘 및 다른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이 메뉴 아이콘 목록의 첫 번째 메뉴 아이콘 또는 두 번째 메뉴 아이콘이면, 다른 메뉴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제1 메뉴 아이콘이 메뉴 아이콘 목록의 세 번째 이후 메뉴 아이콘이면,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확대 배율과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의 확대 배율에 따라 지정된 메뉴 아이콘 및 다른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메뉴 아이콘과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의 확대 배율이 일치하면, 프로세서(140)는 정렬 순서에 기초하여 지정된 메뉴 아이콘 및 다른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지정된 메뉴 아이콘과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의 확대 배율이 상이하면, 프로세서(140)는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과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확대 크기 차를 확인할 수 있다.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과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크기 차가 양의 값이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 및 다른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아이콘의 시작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과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크기 차가 음의 값이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 및 다른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메뉴 아이콘의 정렬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킬 때 지정된 메뉴 아이콘과 인접 메뉴 아이콘 간의 여백 공간을 고려하여 제1 메뉴 아이콘 및 다른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메뉴 아이콘 목록의 첫 번째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킬 때 첫 번째 메뉴 아이콘의 메뉴 아이콘의 정렬 방향에 대한 확장 길이(예: x1)에서 첫 번째 메뉴 아이콘과 두 번째 메뉴 아이콘 간의 여백 공간(예: b1)을 뺄셈한 값만큼 다른 메뉴 아이콘의 위치를 메뉴 아이콘의 정렬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메뉴 아이콘 목록의 첫 번째 메뉴 아이콘에 이어 두 번째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킬 때 두 번째 메뉴 아이콘의 메뉴 아이콘의 정렬 방향에 대한 확장 길이(예: x1)에서 두 번째 메뉴 아이콘과 세 번째 메뉴 아이콘 간의 여백 공간(예: b1)을 뺄셈한 값만큼 다른 메뉴 아이콘의 위치를 메뉴 아이콘의 정렬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는 확대된 메뉴 아이콘과 인접 메뉴 아이콘 사이에는 여백 공간이 존재하지 않도록 메뉴 아이콘들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프로세서(140)는 확대된 메뉴 아이콘과 확대된 메뉴 아이콘의 인접 메뉴 아이콘 간의 여백 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정된 메뉴 아이콘과 다른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킬 때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을 원래의 크기(제1 크기)로 축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을 원래의 크기로 축소시킬 때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을 원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이 확대되면서 위치 이동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위치 이동되었으면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을 축소하면서 원 위치(또는, 이동되기 이전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뉴 아이콘을 이동시킴에 따라 메뉴 아이콘 간의 여백 공간이 좁을 경우에도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확대로 인하여 다른 메뉴 아이콘의 정보가 가려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의 정렬 순서에 따른 메뉴 아이콘 확대 및 이동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5c에서는 각 메뉴 아이콘의 확대 배율(제2 크기)이 동일한 경우의 예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 목록의 제1 메뉴 아이콘을 확대하는 과정의 UI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프로세서(140)는 입력 모듈(110)로부터 메뉴 아이콘 목록의 첫 번째 메뉴 아이콘(이하, '제1 메뉴 아이콘'이라 함)을 지정하기 위한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신호는 디스플레이(120)에 메뉴 아이콘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 모듈(110)에 제1 메뉴 아이콘의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 또는 수신된 경우에 입력 모듈(11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40)는 제1 신호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메뉴 아이콘 목록이 표시될 때, 하기 동작 520을 수행하여 제1 메뉴 아이콘을 강조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메뉴 아이콘(i1)을 제1 크기에서 제2 크기로 확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제1 메뉴 아이콘(i1)을 좌측으로 x1만큼 확장시키고, 우측으로 x1만큼 확장시키고, 상부로 y1만큼 확장시키고 하부로 y1만큼 확장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프로세서(140)는 제1 메뉴 아이콘(i1)을 제1 크기(s1=w1*h1)에서 제2 크기(s2={(w1+(2*x1))+(h1+(2*y2))}, 예: 도 3)로 확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확대된 제1 메뉴 아이콘(i1)의 중심(c1)은 이동되지 않고, 우측 상단의 모서리(o1)의 x좌표는 (x1, y1)만큼 이동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메뉴 아이콘(i1)이 확대되면, 제2 메뉴 아이콘(i2)이 가려질 수 있으므로, 제1 메뉴 아이콘(i1)의 좌측 확장 길이(x1)에서 제1 및 제2 메뉴 아이콘(i1, i2) 간의 여백 공간(b1)을 뺄셈한 값(x1-y1)만큼 다른 메뉴 아이콘(i2 내지 i6)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확대된 제1 메뉴 아이콘(i1)이 제2 메뉴 아이콘(i2) 등의 다른 메뉴 아이콘(i3~i6)을 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메뉴 아이콘이 확대된 상태에서 제2 메뉴 아이콘의 확대 과정의 UI 화면의 예시도이다.
동작 530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메뉴 아이콘(i1)이 확대된 상태에서, 입력 모듈(110)로부터 제2 메뉴 아이콘(i2)을 지정하기 위한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는 예컨대, 입력 모듈(110)의 우 방향 이동 키의 조작 시에 입력 모듈(11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일 수 있다.
동작 540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메뉴 아이콘(i1)이 확대된 상태에서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제1 메뉴 아이콘(i1)을 제2 크기에서 제1 크기로 축소하면서 제2 메뉴 아이콘(i2)을 제1 크기에서 제2 크기로 확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뉴 아이콘(i1)은 확대 과정에서 위치 이동되지 않았으므로, 프로세서(140)는 제1 메뉴 아이콘(i1)을 축소시킬 때 제1 메뉴 아이콘(i1)의 위치(예: c1)를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제1 메뉴 아이콘(i1)의 축소로 인한 여유 공간의 길이가 제2 메뉴 아이콘(i2)의 좌측 확장 길이와 일치하므로, 제2 메뉴 아이콘(i2)의 위치(예: c2)을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2 메뉴 아이콘(i2)이 우측으로 확장될 때 제3 메뉴 아이콘(i3)을 가릴 수 있으므로, 제3 메뉴 아이콘(i3)을 포함하는 다른 메뉴 아이콘(i3 내지 i6)의 위치(예: o2)를 (x1-b1)만큼 메뉴 아이콘의 정렬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x1-b1)는 메뉴 아이콘의 정렬 방향에 대한 제2 메뉴 아이콘(i2)의 확장 길이(x1)에서 제2 메뉴 아이콘(i2)과 제3 메뉴 아이콘(i3) 사이의 여백 공간의 크기(b1)를 뺄셈한 결과일 수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메뉴 아이콘이 확대된 상태에서 제3 메뉴 아이콘의 확대 과정의 UI 화면의 예시도이다.
동작 550에서, 프로세서(140)는 메뉴 아이콘 목록의 제2 메뉴 아이콘(i2)이 확대된 상태에서, 입력 모듈(110)로부터 제3 메뉴 아이콘(i3)을 지정하기 위한 제3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3 신호는 입력 모듈(110)의 우 방향 이동 키의 조작 시에 입력 모듈(11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일 수 있다.
동작 560에서, 프로세서(140)는 제2 메뉴 아이콘(i2)이 확대된 상태에서 제2 신호를 수신하면, 제2 메뉴 아이콘(i2)을 제2 크기에서 제1 크기로 축소시키며 제2 메뉴 아이콘(i2)의 축소로 인한 여유 공간을 이용하여 제3 메뉴 아이콘(i3)을 확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제2 메뉴 아이콘(i2)을 축소시킬 때 제2 메뉴 아이콘(i2)의 위치(예: c2)을 (x1-b1)만큼 좌측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x1-b1)는 제2 메뉴 아이콘(i2)이 제1 메뉴 아이콘(i1)과 제2 메뉴 아이콘(i2)의 확대 과정에서 우측으로 위치 이동된 값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제2 메뉴 아이콘(i2)의 축소로 인한 여유 공간을 이용하기 위하여 제3 메뉴 아이콘(i3)의 위치(예: c3)을 (x1-b1)만큼 좌측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x1-b1)는 메뉴 아이콘의 시작 방향에 대한 제3 메뉴 아이콘(i3)의 확장 길이(x1)에서 제3 메뉴 아이콘(i3)과 제4 메뉴 아이콘(i4) 사이의 여백 공간의 길이(b1)를 뺄셈한 결과일 수 있다.
한편, 도 5c에 따른 메뉴 아이콘 확대 과정은 메뉴 아이콘 목록의 메뉴 아이콘의 확대 배율이 모두 동일하다면, 제3 메뉴 아이콘(i3) 이후의 메뉴 아이콘(예: i3 내지 i6)을 확대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 목록의 제4 메뉴 아이콘을 제3 메뉴 아이콘과 다른 확대 배율로 확대하는 경우의 UI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10에서, 프로세서(140)는 제3 메뉴 아이콘(i63)이 확대된 상태에서, 제4 메뉴 아이콘(i64)을 지정하기 위한 제4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4 신호는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의 우 방향 이동 키의 조작 시에 입력 모듈(11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일 수 있다.
동작 620에서, 프로세서(140)는 상기 제4 신호를 수신하면, 제3 메뉴 아이콘(i63)을 제2 크기에서 제1 크기로 축소시키고 제3 메뉴 아이콘(i63)의 축소로 인한 여유 공간을 이용하여 제4 메뉴 아이콘(i64)을 제1 크기에서 제3 크기(>제2 크기)확대시킬 수 있다. 제4 메뉴 아이콘(i64)은 제3 메뉴 아이콘(i63)보다 큰 크기로 확대되므로, 프로세서(140)가 제3 메뉴 아이콘(i63)의 축소로 인한 여유 공간만을 이용하여 제4 메뉴 아이콘(i64)을 확대시키면 제4 메뉴 아이콘(i64)은 제5 메뉴 아이콘(i65)상에 오버레이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프로세서(140)는 제2 크기와 제3 크기의 차이만큼 제5 메뉴 아이콘(i65)의 위치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의 확대 과정과 축소 과정에서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확대되는 메뉴 아이콘을 축소되는 메뉴 아이콘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에서, x 축의 0점은 확대 또는 축소의 시작 시간이고 x축의 1점은 확대 또는 축소의 완료 시간일 수 있다. y축의 0점은 확대 또는 축소 과정에서 위치 이동되는 메뉴 아이콘의 초기 위치이고, y축의 1점은 위치 이동되는 메뉴 아이콘의 이동 완료된 위치일 수 있다. 도 7에서, 거리 축은 fi_p는 확대되는 메뉴 아이콘의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fo_p는 축소되는 메뉴 아이콘의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확대(강조)되는 메뉴 아이콘이 사용자의 시야에 잘 포착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의 확대 과정와 축소 과정에서 시간에 따른 크기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확대되는 메뉴 아이콘을 축소되는 메뉴 아이콘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크기 변화시킬 수 있다. 도 8에서, x 축의 0점은 확대 또는 축소의 시작 시간이고 x축의 1점은 확대 또는 축소의 완료 시간일 수 있다. y축의 0점은 확대 또는 축소되는 메뉴 아이콘의 초기 크기이고, y축의 1점은 확대 또는 축소된 메뉴 아이콘의 최종 크기(예: 제2 크기)일 수 있다. 도 8에서, 거리 축은 fi_s는 확대되는 메뉴 아이콘의 시간에 따른 크기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fo_s는 축소되는 메뉴 아이콘의 시간에 따른 크기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확대(강조)되는 메뉴 아이콘이 사용자의 시야에 잘 포착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메뉴 아이콘의 확대 과정을 강조하기 위하여 메뉴 아이콘의 크기가 제2 크기에 수렴하는 형태로 메뉴 아이콘의 크기를 변화(fi_s)시킬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강조되는 메뉴 아이콘이 사용자의 시야에 잘 포착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의 강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10에서, 프로세서(140)는 입력 모듈(110)로부터 메뉴 아이콘 목록 중 제1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입력 모듈(110)을 통해 메뉴 아이콘 목록을 표시하는 메뉴에 진입하는 사용자 입력이 조작됨에 따라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신호는 메뉴 아이콘 목록 중 하나가 강조(확대)된 상태에서 다른 메뉴 아이콘을 변경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조작됨에 따라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동작 920에서, 프로세서(1401)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메뉴 아이콘을 제1 확대 배율로 확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확대 배율은 제1 메뉴 아이콘에 대해 지정된 확대 배율로서, 메뉴 아이콘 목록 중에서 제2 메뉴 아이콘의 확대 배율과 상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의 강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에서는 메뉴 아이콘의 확대 배율이 모두 동일한 경우의 메뉴 아이콘의 강조 방법의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10에서, 프로세서(140)는 입력 모듈(110)로부터 메뉴 아이콘 목록 중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입력 모듈(110)을 통해 메뉴 아이콘 목록을 표시하는 메뉴에 진입하는 사용자 입력이 조작됨에 따라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신호는 메뉴 아이콘 목록 중 하나가 강조(확대)된 상태에서 다른 메뉴 아이콘을 변경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조작됨에 따라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동작 1020에서, 프로세서(140)는 메뉴 아이콘을 변경 지정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첫 번째 아이콘을 지정하는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030에서, 수신된 신호가 첫 번째 아이콘을 지정하는 것이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첫 번째 아이콘)을 확대시키며, 메뉴 아이콘이 상호 겹치지 않도록 다른 메뉴 아이콘(두 번째 이후 메뉴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동작 1040에서, 수신된 신호가 첫 번째 아이콘을 지정하는 것이 아니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이 메뉴 아이콘 목록의 두 번째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는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050에서, 수신된 신호가 두 번째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는 것이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두 번째 아이콘)을 확대시키며, 메뉴 아이콘이 상호 겹치지 않도록 다른 메뉴 아이콘(세 번째 메뉴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동작 1060에서, 수신된 신호가 메뉴 아이콘 목록의 두 번째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는 것이 아니면,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키고 이전에 지정되어 확대된 메뉴 아이콘을 축소시키면서, 지정된 메뉴 아이콘과 이전에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상기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을 축소시키면서 확보된 영역을 이용하여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동작 1010 내지 1060에서, 프로세서(140)는 메뉴 아이콘 사이의 여백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0)는 메뉴 아이콘의 확대 이전과 확대 이후에 여백 공간이 동일하도록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킬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메뉴 아이콘 사이의 여백 공간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0)는 확대된 메뉴 아이콘과 인접 메뉴 아이콘 사이에는 여백 공간이 존재하지 않도록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킬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아이콘의 강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에서는 메뉴 아이콘의 확대 배율이 상이할 경우의 메뉴 아이콘의 강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작 1110에서, 프로세서(140)는 입력 모듈(110)로부터 메뉴 아이콘 목록 중 하나를 지정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입력 모듈(110)을 통해 메뉴 아이콘 목록을 표시하는 메뉴에 진입하는 사용자 입력이 조작됨에 따라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신호는 메뉴 아이콘 목록 중 하나가 강조(확대)된 상태에서 다른 메뉴 아이콘을 변경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조작됨에 따라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동작 1120에서, 상기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130에서,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이 존재하면, 프로세서(140)는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과 현재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확대배율(예: 확대배율의 차)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140에서,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키며 메뉴 아이콘이 상호 겹치지 않도록 지정된 메뉴 아이콘 및 다른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재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의 확대배율이 현재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확대배율과 동일하면,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과 현재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의 확대배율이 현재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확대배율보다 크면,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의 축소로 인한 여유 공간이 생성되는 방향으로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 및 현재 지정된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의 확대배율이 현재 지정된 메뉴 아이콘의 확대배율보다 작으면,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의 축소로 인한 여유 공간이 생성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 및 현재 지정된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동작 1150에서, 프로세서(140)는 이전에 확대된 메뉴 아이콘이 존재하지 않으면,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키며 메뉴 아이콘이 상호 겹치지 않도록 다른 메뉴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동작 1110 내지 1150에서, 프로세서(140)는 메뉴 아이콘 사이의 여백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0)는 메뉴 아이콘의 확대 이전과 확대 이후에 여백 공간이 동일하도록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킬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는 메뉴 아이콘 사이의 여백 공간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0)는 확대된 메뉴 아이콘과 인접 메뉴 아이콘 사이에는 여백 공간이 존재하지 않도록 지정된 메뉴 아이콘을 확대시킬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감지 또는 수신하는 입력 모듈; 및
    상기 입력 모듈로 수신된 제 1 사용자 입력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 1 크기인 복수의 메뉴 아이콘 목록 중 제 1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면, 지정된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을 제 2 크기로 확대시키고, 상기 입력 모듈로 수신된 제 2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 2 크기의 제 1 메뉴 아이콘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2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면, 상기 제 2 메뉴 아이콘을 제 3 크기로 확대시키고,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은 상기 제 2 크기에서 상기 제 1 크기로 축소시키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크기, 상기 제 2 크기 및 상기 제 3 크기는 상이하며, 상기 제 3 크기로 확대되는 아이콘은 제 2 메뉴 아이콘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메뉴 아이콘이 상기 제 3 크기로 확대되고,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이 상기 제 2 크기에서 상기 제 1 크기로 축소될 때, 상기 제 2 메뉴 아이콘의 상기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3 메뉴 아이콘을 상기 제 3 크기와 상기 제 2 크기의 차이만큼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과 상기 제 3 메뉴 아이콘 사이의 일정 공간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3 아이콘을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메뉴 아이콘이 다른 메뉴 아이콘을 가리지(overlay) 않도록 상기 제 3 크기로 확대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면,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을 상기 제 3 크기로 확대한 후 상기 제 2 크기로 축소시키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제 3 크기로 확대시키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이 다른 메뉴 아이콘을 가리지 않도록 상기 제 2 크기로 축소시키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뉴 아이콘은,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메뉴 아이콘의 정렬 방향으로 일정 순서 이후에 배치된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크기의 제 3 메뉴 아이콘을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메뉴 아이콘이 상기 제 3크기로 확대되고,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이 상기 제 2 크기에서 상기 제 1 크기로 축소될 때, 상기 제 1 크기로 축소된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을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입력 모듈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 1 크기인 복수의 메뉴 아이콘 목록 중 제 1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입력이면, 지정된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을 제 2 크기로 확대시키는 동작; 및
    상기 입력 모듈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 2 크기의 제 1 메뉴 아이콘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2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제 2 사용자 입력이면, 상기 제 2 메뉴 아이콘을 제 3 크기로 확대시키고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은 상기 제 2 크기에서 상기 제 1 크기로 축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크기, 상기 제 2 크기 및 상기 제 3 크기는 상이하며, 상기 제 3 크기로 확대되는 아이콘은 제 2 메뉴 아이콘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뉴 아이콘이 상기 제 3 크기로 확대되고,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이 상기 제 2 크기에서 상기 제 1 크기로 축소될 때, 상기 제 2 메뉴 아이콘의 상기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3 메뉴 아이콘을 상기 제 3 크기와 상기 제 2 크기의 차이만큼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과 상기 제 3 메뉴 아이콘 사이의 일정 공간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3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뉴 아이콘이 다른 메뉴 아이콘을 가리지(overlay) 않도록 상기 제 3 크기로 확대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면,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을 상기 제 3 크기로 확대한 후 상기 제 2 크기로 축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이 다른 메뉴 아이콘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 상기 제 3 크기로 확대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이 다른 메뉴 아이콘을 가리지 않도록 상기 제 2 크기로 축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뉴 아이콘은,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메뉴 아이콘의 정렬 방향으로 일정 순서 이후에 배치된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크기의 제 3 메뉴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뉴 아이콘이 상기 제 3크기로 확대되고, 상기 제 1메뉴 아이콘이 상기 제 2 크기에서 상기 제 1 크기로 축소될 때, 상기 제 1 크기로 축소된 상기 제 1 메뉴 아이콘을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70030185A 2016-12-23 2017-03-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339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94,748 US10795537B2 (en) 2016-12-23 2017-05-15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38775P 2016-12-23 2016-12-23
US62/438,775 2016-12-23
KR1020170106156A KR102232672B1 (ko) 2016-10-24 2017-08-22 복수의 적외선 윈도우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547A KR20180074547A (ko) 2018-07-03
KR102339674B1 true KR102339674B1 (ko) 2021-12-16

Family

ID=6196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185A KR102339674B1 (ko) 2016-12-23 2017-03-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44195B2 (ko)
KR (1) KR102339674B1 (ko)
WO (1) WO20180801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20456S1 (en) * 2009-10-13 2010-07-27 Apple Inc. Remote control
EP3654365B1 (en) * 2015-09-03 2023-09-13 Hamamatsu Photonics K.K. Mass spectrometry device
USD901445S1 (en) * 2017-08-01 2020-11-10 Shanghai Knorvay Technology Co., Ltd. Wireless presenter
USD901444S1 (en) * 2017-08-01 2020-11-10 Shanghai Knorvay Technology Co., Ltd. Wireless presenter
USD874439S1 (en) * 2017-12-28 2020-02-04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Remote control
USD924838S1 (en) * 2019-05-16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und bar
USD924839S1 (en) * 2019-05-16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und bar
JP7390586B2 (ja) * 2019-09-30 2023-12-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リモコン装置
ZAA202200039S (en) * 2021-07-14 2022-10-26 Sky Cp Ltd Electronic devices
USD1009833S1 (en) * 2021-10-15 2024-01-02 Zhejiang Kangbeide Smart Furnishings Co., Ltd. Remote control
USD984970S1 (en) * 2021-12-07 2023-05-02 Brain & Beyonds Co., Ltd. Remote control
USD980822S1 (en) * 2022-08-26 2023-03-14 Yuxian Lin TV remote control device
USD975680S1 (en) * 2022-09-02 2023-01-17 Zhenzhen Zhu TV remote control
USD975681S1 (en) * 2022-09-02 2023-01-17 Jingjing Xu TV remote control
USD975682S1 (en) * 2022-09-06 2023-01-17 Zhenzhen Zhu TV remote control
USD977455S1 (en) * 2022-09-06 2023-02-07 Xibin Huang TV remote control
USD988292S1 (en) * 2022-09-28 2023-06-06 Nana Zhu Remote control
USD1021297S1 (en) * 2023-12-21 2024-04-02 Shijie ZHU Dog training remot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2772B2 (en) * 2002-04-17 2006-08-15 Black & Decker Inc. Home automation system
US7117009B2 (en) * 2002-12-20 2006-10-03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US20100219977A1 (en) * 2004-02-02 2010-09-02 Scenewise, Inc. Multiple transmitter remote control system
CN2891137Y (zh) * 2006-04-10 2007-04-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控器
KR101186530B1 (ko) * 2006-10-13 2012-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JP2008277874A (ja) 2007-04-25 2008-11-13 Sony Corp 携帯型電子機器
US8330638B2 (en) * 2008-04-04 2012-12-11 Lutron Electronics Co., Inc. Wireless battery-powered remote control having multiple mounting means
US8537543B2 (en) * 2008-04-11 2013-09-17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structures
CN101626069B (zh) * 2008-07-11 2013-06-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卡锁结构
US20100127912A1 (en) * 2008-11-26 2010-05-27 X-10 Ltd. Remote control
KR100960525B1 (ko) 2009-10-30 2010-06-04 (주)엔에스티 키보드 부설 멀티리모콘
US8464174B2 (en) * 2010-12-27 2013-06-11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exploring media content
KR101885764B1 (ko) 2011-03-10 201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US20130069499A1 (en) * 2011-03-10 2013-03-21 Paul Modrell Modular case and componentry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9734707B2 (en) * 2012-01-09 2017-08-15 Universal Electronics Inc. Features for use with a multi-sided controlling device
KR102185367B1 (ko) * 2014-12-26 202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CN205541410U (zh) * 2016-01-18 2016-08-31 东莞市帝品电子有限公司 一种多角度遥控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44195B2 (en) 2019-03-26
US20180115735A1 (en) 2018-04-26
KR20180074547A (ko) 2018-07-03
WO2018080114A1 (en)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6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9405463B2 (en) Device and method for gesturally changing object attributes
US9880727B2 (en) Gesture manipulations for configuring system settings
AU20132229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 size adjustment on a screen
JP6264293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2679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KR20100130671A (ko) 터치 인터페이스에서 선택 영역의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205283B1 (ko)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4013949A1 (ja) 文字列選択装置、文字列選択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50095537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5001285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for one handed operation
US9292185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60132478A1 (en) Method of displaying memo and device therefor
US103033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1079553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210389849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is recorded
KR102223554B1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5512213B2 (ja) 参照表示システム、参照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107611A (ko)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JP6779778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3010670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223553B1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N111580706B (zh) 提供用户交互的电子设备及其方法
KR20230135845A (ko) 단말기,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