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392B1 - Apparatus for parking break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arking brea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392B1
KR102336392B1 KR1020150082157A KR20150082157A KR102336392B1 KR 102336392 B1 KR102336392 B1 KR 102336392B1 KR 1020150082157 A KR1020150082157 A KR 1020150082157A KR 20150082157 A KR20150082157 A KR 20150082157A KR 102336392 B1 KR102336392 B1 KR 102336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ever
parking
locking bracket
auxiliary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1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45442A (en
Inventor
채민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2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392B1/en
Publication of KR20160145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4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3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with locking and release means, e.g. providing parking brake appl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5/00Other details or appurtenances of control mechanisms, e.g. supporting intermediate members elas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작동시 정방향 회전하고 역방향으로 탄성회전력을 받는 파킹레버; 파킹레버와 접하고 파킹레버의 회전방향 및 파킹레버와의 분리 방향으로 소정구간 이동가능하며 파킹레버의 정방향 회전은 허용하되 역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록킹브라켓; 및 록킹브라켓에 접하고, 파킹레버의 탄성회전력에 따라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의 역회전방향으로 이동할 시 탄성변형되었다가 파킹레버의 탄성회전력이 제거되는 경우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와 분리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가 소개된다.a parking lever that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receives elastic rotational force in the reverse direction during operation; a locking bracke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arking lever and is movable for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arking lever and the direction of separation from the parking lever, and which allows forward rotation of the parking lever but prevents reverse rotation; and the locking bracket, and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locking bracket moves in the revers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according to the elastic rotational force of the parking lever. A parking brake device including an elastic body is introduced.

Description

파킹 브레이크 장치{APPARATUS FOR PARKING BREAKE}Parking brake device {APPARATUS FOR PARKING BREAK}

본 발명은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간결한 구성을 통해 파킹 브레이크 레버의 록킹 및 릴리즈 수행이 가능한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brak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king brake device capable of locking and releasing a parking brake lever through a simple configuration.

종래의 차량의 파킹 레버는 변속기 레버 부근에 위치되어 운전자가 레버를 상방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파킹 브레이크와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브레이크의 록킹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었다.The conventional parking lever of a vehicle is located near the transmission lever and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the brake is locked as the wire connected to the parking brake is pulled by the driver pulling the lever upward.

이러한 종래 파킹 레버 구조는 운전자가 직접 손으로 잡아당겨야 하였기 때문에 힘이 부족한 노약자나 여성 운전자의 경우 완전히 브레이크가 잡힐 때 까지 잡아 당기는 것이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완전하게 록킹이 걸리지 않은 채로 주차를 수행하여 비탈길이나 기타 노면 상태에 따라 차량이 스스로 움직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었다.In this conventional parking lever structure, the driver had to pull it by hand, so it was difficult for the elderly or female driver who lacked power to pull it until the brake was completely applied.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vehicle moves by itself depending on other road surface conditions.

이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브레이크 레버의 측부에 발로 밟아 파킹 브레이크가 잡히도록 하는 풋 파킹 브레이크 레버(이하 파킹 레버로 칭함)가 마련되었으며, 종래의 KR20-1998-013336U 주차용 풋 브레이크는 작동홈을 지닌 본체와, 회동핀을 중심으로 작동홈내에서 일정한 각도로 회동하면서 주차 케이블을 당기는 것으로, 상단에는 래칫이 형성된 브레이크 페달과, 가압 스프링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에 형성된 래칫과 항상 맞물리는 고정 돌출부를 구비한 가압레버와, 릴리스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릴리스 노브의 조작력에 의해 회동하면서 가압레버를 하방으로 눌러 주차상태를 해제하는 릴리스 레버와, 핀에 의해 릴리스 레버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와, 브레이크 페달의 상부에 부착되어 릴리스 노브를 당김에 따라 롤러와 미끄럼 접촉하는 고무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foot parking brake le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arking lever) is provided to catch the parking brake by stepping on the side of the brake lever, and the conventional KR20-1998-013336U parking foot brake has an operating groove. It pulls the parking cable while rotating at a certain angle in the operating groove around the main body and the rotation pin. A brake pedal having a ratchet formed at the upper end, and a pressurizing protrusion having a fixed protrusion that is always engaged with the ratchet formed in the brake pedal by a pressure spring A release lever that releases the parking state by pressing the pressure lever downward while rotating by the operating force of the release knob transmitted through the lever, the release cable, a roller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elease lever by means of a pin, and a brake pedal We present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rubber attached to the top of the hood and sliding into contact with the roller as the release knob is pull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더라도 파킹 레버를 해제하기 위하여는 별도로 마련된 릴리즈 노브를 당겨야 하였으므로 릴리즈 노브 및 릴리즈 노브와 릴리즈 케이블 및 기타 장치들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많은 부품이 사용 되어온 바 있으며, 운전자가 직접 레버를 잡아 당겨 해제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던 것이다. However, even with this prior art, since it was necessary to pull a separately provided release knob to release the parking lever, many parts have been used to construct the release knob, release knob, release cable, and other devices.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pulling and releasing it.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art above are onl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accepted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특허문헌1)KR20-1998-013336U(Patent Document 1) KR20-1998-013336U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릴리즈 레버 없이도 풋 파킹 브레이크 레버의 록킹과 릴리즈를 수행하도록 하되 이를 구성하는 구성품을 단순화한 파킹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rking brake device in which locking and release of the foot parking brake lever are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release lever, but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ame are simplifi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장치는 작동시 정방향 회전하고 역방향으로 탄성회전력을 받는 파킹레버; 파킹레버와 접하고 파킹레버의 회전방향 및 파킹레버와의 분리 방향으로 소정구간 이동가능하며 파킹레버의 정방향 회전은 허용하되 역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록킹브라켓; 및 록킹브라켓에 접하고, 파킹레버의 탄성회전력에 따라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의 역회전방향으로 이동할 시 탄성변형되었다가 파킹레버의 탄성회전력이 제거되는 경우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와 분리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rking brake device comprising: a parking lever that rotates in a forward direction and receives elastic rotation force in a reverse direction during operation; a locking bracke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arking lever and is movable for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arking lever and the direction of separation from the parking lever, and which allows forward rotation of the parking lever but prevents reverse rotation; and the locking bracket, and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locking bracket moves in the revers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according to the elastic rotational force of the parking lever. It includes; an elastic body to provide.

록킹브라켓은 파킹레버의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록킹브라켓이 이동 가능하도록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에는 외부 지지체에 고정되는 핀이 삽입될 수 있다.The locking bracket is formed to have a length se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and a slo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parking lever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bracket is movable, and a pin fixed to the external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slot. can

파킹레버의 일단부에는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노치가 형성되고, 록킹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슬롯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노치와 접하도록 치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notches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parking lever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a meshing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lo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bracket to contact the notches.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돌기 및 상기 보조돌기와 접하면서 치합돌기가 노치에 치합되도록 가압하는 보조탄성체가 더 마련될 수 있다.An auxiliary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parking lever, and an auxiliary elastic body that presses the meshing protrusion to mesh with the notch while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protrusion may be further provided.

파킹레버의 회전이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될 시 치합돌기가 노치에 치합된 상태로 록킹브라켓이 슬롯을 따라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하며, 이동이 완료된 이후에도 치합상태를 유지하여 파킹레버의 역방향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파킹레버의 록킹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rotation of the parking lever is switched from the normal direction to the reverse direction, the locking bracket moves along the slot to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with the meshing protrusion meshed with the notch. Locking of the parking lever can be performed by blocking the

보조탄성체는 보조돌기보다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에서 보조돌기와 접하다가 파킹레버의 록킹시 보조돌기가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보조돌기보다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elastic body is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projection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rather than the auxiliary projection, and when the parking lever is locked, the auxiliary projection moves to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보조돌기의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 면은 보조돌기의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surface of the auxiliary protrusion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toward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auxiliary protrusion.

파킹레버의 록킹 이후 파킹레버가 정회전할 때 탄성체는 록킹브라켓을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시키고, 록킹브라켓은 이동시 보조돌기와 보조탄성체의 접촉에 의해 보조돌기의 경사로를 따라 가이드되어 파킹레버와의 분리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When the parking lever rotates forward after locking the parking lever, the elastic body moves the locking bracket to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and the locking bracket is guided along the slope of the auxiliary projection by the contact between the auxiliary projection and the auxiliary elastic body during movement, and thus is guided along the slope of the parking lever. It can rotate in the separation direction.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와 분리될 경우 파킹레버는 역방향으로 탄성회전하여 작동전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When the locking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parking lever, the parking lever can elastically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turn to its original operating position.

파킹레버에는 파킹레버와 함께 회전하며 파킹레버의 복귀 회전시 록킹브라켓의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 단부와 접하는 릴리즈 암이 더 마련되고, 릴리즈 암은 록킹브라켓과 접할 시 록킹브라켓을 파킹레버 측으로 가압하여 록킹브라켓을 록킹 전 상태로 원복시킬 수 있다.A release arm is further provided on the parking lever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parking lever and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parking lever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locking bracket when the parking lever returns. The locking bracket can be restored to the state before locking.

릴리즈 암에 의한 록킹브라켓의 원복시 록킹브라켓은 탄성체에 의해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하며, 보조돌기는 다시 보조 탄성체보다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하여 보조 탄성체와 접할 수 있다.When the locking bracket is restored by the release arm, the locking bracket moves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by the elastic body,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moves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rather than the auxiliary elastic body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auxiliary elastic body.

탄성체와 보조 탄성체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며, 탄성체는 록킹브라켓의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에서 록킹브라켓을 탄성지지하고, 보조 탄성체는 단부가 보조돌기와 접하여 탄성 지지할 수 있다.The elastic body and the auxiliary elastic body are made of a leaf spring bu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nstitute an integral body, the elastic body elastically supports the locking bracket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of the locking bracket, and the auxiliary elastic body has an end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protrusion to elastically support it .

록킹브라켓의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 단부는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end of the locking bracket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may be formed to form a curv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따르면, 운전자가 파킹 레버를 밟는 것 만으로 파킹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어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arking brake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parking can be released only by the driver stepping on the parking lever, thereby improving the marketability of the vehicle.

또한, 파킹 레버의 록킹과 릴리즈를 수행하는 수단들이 간소화되어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 및 무게 감소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ns for performing locking and release of the parking lever are simplified,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reducing costs, and reducing weigh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6 are operation flowcharts of a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도로서, 작동시 정방향 회전하고 역방향으로 탄성회전력을 받는 파킹레버(100); 파킹레버(100)와 접하고 파킹레버(100)의 회전방향 및 파킹레버(100)와의 분리 방향으로 소정구간 이동가능하며 파킹레버(100)의 정방향 회전은 허용하되 역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록킹브라켓(200); 록킹브라켓(200)에 접하고, 파킹레버(100)의 탄성회전력에 따라 록킹브라켓(200)이 파킹레버(100)의 역회전방향으로 이동할 시 탄성변형되었다가 파킹레버(100)의 탄성회전력이 제거되는 경우 록킹브라켓(200)이 파킹레버(100)와 분리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00a);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br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parking lever 100 that rotates in a forward direction during operation and receives elastic rotational force in a reverse direction; A locking bracket 200 that comes in contact with the parking lever 100 and is movable for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and the direction of separation from the parking lever 100, and allows forward rota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but prevents reverse rotation. ); When the locking bracket 200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bracket 200 and moves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according to the elastic rotational force of the parking lever 100, the locking bracket 20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n the elastic rotational force of the parking lever 100 is removed. In this case, the locking bracket 200 may be separated from the parking lever 100 by an elastic body 300a providing an elastic force.

구체적으로, 상기 파킹레버(100)는 풋 파킹 브레이크 레버로서 일단부에 회전중심이 있고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타단부를 밟을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운전자는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을 위해 타단부를 밟음으로써 파킹레버(100)를 정방향 회전 시키고, 파킹레버(100)에는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타단부에서 발을 떼는 순간부터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arking lever 100 is a foot parking brake lever, and one end has a center of rotation and the other end extends outward so that the driver can step on the other end. The driver rotates the parking lever 100 in the forward direction by stepping on the other end to operate the parking brake, and the parking lever 10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such as a torsion spring to reverse rotation from the moment the driver takes his or her foot off the other end. can make it happen.

파킹레버(100)의 일단부에는 회전중심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중심은 차체와 연결된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파킹레버(100)를 회전 지지할 수 있다. 일단부의 회전방향, 더 상세하게는 회전중심의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의 노치(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노치(110)는 기어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rotation center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arking lever 100 , and the rotation center is coupled to a fixing bracket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to rotationally support the parking lever 100 . A plurality of notches 110 may be forme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one end, more specifically,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al center, and each of the notches 110 may be formed in a gear tooth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록킹브라켓(200)은 파킹레버(100)의 정회전방향 또는 역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록킹브라켓(200)이 이동 가능하도록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롯(210)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210)에는 외부 지지체에 고정되는 핀(211)이 삽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bracket 200 is formed to have a length set in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and at the end of the parking lever 100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bracket 200 is movable. A slot 21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in 211 fixed to an external support may be inserted into the slot 210 .

상기 외부 지지체는 파킹레버(100)의 회전중심이 결합된 상기 고정 브라켓이 될 수 있고 또는 별도로 차체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지지체가 될 수 있다.The external support may be the fixing bracket to which the rotation center of the parking lever 100 is coupled, or may be a support that is separately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핀은 상기 외부 지지체에 고정결합되며, 록킹브라켓(200) 자체에 형성된 슬롯(210)을 따라 록킹브라켓(200)은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 또는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이 상방을 향하고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이 하방을 향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는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대적인 회전 방향으로써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in is fixedly coupled to the external support, and along the slot 210 formed in the locking bracket 200 itself, the locking bracket 200 moves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or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can 1 shows that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is upward and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is downward. am.

이에 더해, 상기 록킹브라켓(20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슬롯(210)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노치(110)와 접하도록 치합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치합돌기(220)는 록킹브라켓 중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 단부에 파킹레버(100)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치(110)와 치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meshing protrusion 220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notch 1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lot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bracket 200 , and the meshing protrusion 220 is locking Among the brackets, the parking lever 100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parking lever 100 at an end of the bracket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capable of meshing with the notch 110 .

또한, 상기 록킹브라켓(200)이 파킹레버(100)와 분리되는 방향, 즉 파킹레버(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보조돌기(23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조돌기(230)와 접하면서 치합돌기(220)가 노치(110)에 치합되도록 록킹브라켓(200)을 파킹레버(100) 측으로 가압하는 보조 탄성체(300b)가 더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bracket 200 is separated from the parking lever 100, that i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arking lever 100,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eshing protrusion. An auxiliary elastic body 300b for pressing the locking bracket 200 toward the parking lever 100 side so that the 220 engages the notch 110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보조 탄성체(300b)는 보조돌기(230)보다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에서 보조돌기(230)를 가압하여 록킹브라켓(200)을 파킹레버(100) 측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보조돌기(230)의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 면은 보조돌기(230)의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auxiliary elastic body 300b may press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rather than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to press the locking bracket 200 toward the parking lever 100,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The side surface of the parking lever 100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23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toward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

한편, 상기 탄성체(300a)와 보조 탄성체(300b)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접합, 체결, 성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체(300a)는 록킹브라켓(200)의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에서 록킹브라켓(200)을 탄성지지하고, 보조 탄성체(300b)는 단부가 보조돌기(230)와 접하여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00a)와 보조 탄성체(300b)는 서로 별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판스프링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 또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판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탄성체(300a)가 록킹브라켓(200)의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 단부와 면접촉 하여 안정적인 탄성지지가 가능하며, 보조 탄성체(300b)는 끝단부가 상기 보조돌기(230)와 접하도록 이루어져 탄성력 제공 및 록킹브라켓(200)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body 300a and the auxiliary elastic body 300b are made of a leaf spring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bonding, fastening, molding, etc. The parking lever 100 may elastically support the locking bracket 200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and the auxiliary elastic body 300b may have an end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to elastically support it. The elastic body 300a and the auxiliary elastic body 300b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of springs or elastic materials even if they are not leaf springs. However, preferably, by using a leaf spring, the elastic body 300a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reverse-rotation side end of the parking lever 100 of the locking bracket 200 so that stable elastic support is possible, and the auxiliary elastic body 300b has an end portion It is mad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nd to serve as a guide for the locking bracket 200 . Specifically, it will be described later.

이제 도 2 내지 도 6을 사용하여 상기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출원의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Now,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arking brake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

도 2 내지 도 6은 록킹브라켓(200)만 별도로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2는 파킹레버(100)와 록킹브라켓(200)이 치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록킹브라켓(200)의 초기 상태로써 록킹브라켓(200)은 탄성체(300a)의 가압에 의해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으로 최대 상승되어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탄성체(300b)는 보조돌기(230)보다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에서 보조돌기(230)에 접촉되어 록킹브라켓(200)을 파킹레버(100) 측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2 to 6 are views showing only the locking bracket 200 separately,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parking lever 100 and the locking bracket 200 are engaged. This is an initial state of the locking bracket 200, and the locking bracket 200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parking lever 100 is maximally raised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by the pressure of the elastic body 300a. And the auxiliary elastic body 300b is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rather than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to press the locking bracket 200 to the parking lever 100 side. have.

상기 록킹브라켓(200)의 최대 상승과 최대 하강은 핀(211)이 슬롯(210)의 양끝단부에 접촉 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으며 록킹브라켓(200)의 이동변위는 슬롯(210)의 길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The maximum rise and maximum fall of the locking bracket 200 may occur when the pins 211 contact both ends of the slot 210, and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locking bracket 200 depends on the length of the slot 210. can be changed accordingly.

이후, 운전자가 파킹레버(100)의 타단부를 밟아 파킹레버(100)가 정회전하여 노치(110)와 치합돌기(220)가 서로 접하게 될 때, 치합돌기(220)는 도 3과 같이 노치(110)를 따라 파킹레버(10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반복하며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 탄성체(300b)가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치합돌기(220)는 노치(110)에 치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driver steps on the other end of the parking lever 100 and the parking lever 100 rotates forward so that the notch 110 and the meshing protrusion 22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eshing protrusion 220 is notched as shown in FIG. 110) in the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repeating the rotation and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Since the auxiliary elastic body 300b continuously provides an elastic force, the meshing protrusion 220 may maintain a meshing state with the notch 110 .

또한 치합돌기(220)가 슬롯(210) 보다 파킹레버(100) 정회전 방향 측에 이격되어 위치되기 때문에 록킹브라켓(200)은 핀(211)을 축으로 파킹레버(100) 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반복회전하면서 파킹레버(100)의 정방향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shing protrusion 220 is spaced apart from the slot 210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the locking bracket 200 uses the pin 211 as an axis to the parking lever 100 side or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allow forward rota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while rotating repeatedly.

그러다가 운전자가 파킹레버(100)의 타단부에서 발을 떼는 순간 파킹레버(100)는 역방향으로 탄성 운동하게 되는데, 파킹레버(100)가 역방향 하중을 받아 회전 방향이 전환되는 순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합돌기(220)가 노치(110)에 치합된 상태로 록킹브라켓(200)이 슬롯(210)을 따라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으로 최대 이동하며, 이동이 완료된 이후에도 치합돌기(220)와 노치(110)는 치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n, the moment the driver takes off his/her foot from the other end of the parking lever 100, the parking lever 100 elastically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As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meshing protrusion 220 is meshed with the notch 110, the locking bracket 200 moves to the maximum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along the slot 210, and even after the movement is completed, the meshing protrusion 220 ) and the notch 110 maintain a meshing state.

노치(110)와 치합돌기(220)가 상호 치합된 상태로 록킹브라켓(200)이 슬롯(210)과 핀(211)의 걸림에 의해 더 이상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파킹레버(100)의 역방향 회전은 저지되며 파킹레버(100)는 록킹된다.In a state where the notch 110 and the meshing protrusion 2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locking bracket 200 is no longer moved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due to the engagement of the slot 210 and the pin 211. The reverse rota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is prevented, and the parking lever 100 is locked.

따라서 운전자가 초기 상태에서 파킹레버(100)를 밟은 후 발을 떼면 파킹레버(100)는 발을 뗀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파킹레버(100)와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차량의 파킹 브레이크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driver releases the foot after stepping on the parking lever 100 in the initial state, the parking lever 100 maintains the released position, and as the wire connected to the parking lever 100 maintains the pulled state, the vehicle's parking brake operation will be made.

한편, 상기 록킹브라켓(200)이 슬롯(210)을 따라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으로 최대 이동할 때 보조돌기(230) 또한 보조 탄성체(300b)를 지나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보조 탄성체(300b)가 보조돌기(230)보다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탄성체(300b)는 보조돌기(230)보다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에서 상기 보조돌기(230)와 접하게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cking bracket 200 moves to the maximum along the slot 210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also passes the auxiliary elastic body 300b and the parking lever 100 moves toward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Accordingly, the auxiliary elastic body 300b may be positioned on the side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rather than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 Accordingly, the auxiliary elastic body 300b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rather than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

파킹레버(100)의 록킹 이후 운전자가 파킹 브레이크의 해제를 위해 다시 파킹레버(100)의 타단부를 밟아 파킹레버(100)가 정회전할 때 파킹레버(100)에 의한 파킹레버(100) 역회전방향 측 가압이 없어지게 되는 바, 탄성체(300a)는 록킹브라켓(200)을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시키고, 록킹브라켓(200)은 이동시 보조돌기(230)와 보조 탄성체(300b)의 접촉에 의해 보조돌기(230)의 경사로를 따라 가이드되어 파킹레버(100)와의 분리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합돌기(220)는 노치(110)에서 이탈하게 되며 상기 파킹레버(100)는 자유회전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After locking the parking lever 100, when the driver steps on the other end of the parking lever 100 again to release the parking brake and the parking lever 100 rotates forward, the parking lever 100 reverses the parking lever 100 As the rotational direction side pressure is lost, the elastic body 300a moves the locking bracket 200 toward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100, and the locking bracket 200 moves with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and the auxiliary elastic body 300b. ) is guided along the slope of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to rotate in the separation direction from the parking lever 100 . And you can keep it rotated. Accordingly, the meshing protrusion 220 is separated from the notch 110 , and the parking lever 100 can be freely rotated.

이후 운전자가 파킹레버(100)의 타단부에서 발을 떼면 록킹브라켓(200)이 파킹레버(100)와 분리된 상태에서 파킹레버(100)는 역방향으로 탄성 회전하며 파킹 브레이크 작동전 초기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Afterwards, when the driver takes their foot off the other end of the parking lever 100, the parking lever 100 elastically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bracket 200 is separated from the parking lever 100 and returns to the initial original position before the parking brake is operated. will return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킹레버(100)에는 파킹레버(100)와 함께 회전하며 파킹레버(100)의 복귀 회전시 록킹브라켓(200)의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 단부와 접하는 릴리즈 암(120)이 더 마련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즈 암(120)은 록킹브라켓(200)과 접할 시 록킹브라켓(200)을 파킹레버(100) 측으로 가압하여 록킹브라켓(200)을 록킹 전 상태로 원복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 , the parking lever 100 rotates together with the parking lever 100, and when the parking lever 100 returns, the parking lever 100 of the locking bracket 200 forward rotation direction side end and A release arm 120 in contact is further provided, and as shown in FIG. 6 , the release arm 120 presses the locking bracket 200 toward the parking lever 100 when the locking bracket 2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bracket 200 . ) can be restored to the state before locking.

상기 릴리즈 암(120)은 패널 또는 바(bar) 형태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release arm 120 may have a panel or b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록킹브라켓(200)이 파킹레버(10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릴리즈 암(120)이 록킹브라켓(200)을 파킹레버(100) 측으로 가압하여 보조돌기(230)를 다시 보조 탄성체(300b)보다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록킹브라켓(200)이 초기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locking bracket 200 maintains the rotated state in the direc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parking lever 100 , the release arm 120 presses the locking bracket 200 toward the parking lever 100 toward the auxiliary protrusion 230 . ) by moving the parking lever 100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rather than the auxiliary elastic body 300b again, the locking bracket 200 can be returned to its initial shape.

상기 릴리즈 암(120)이 록킹브라켓(200)과 접할 시 록킹브라켓(200)을 자연스럽게 파킹레버(10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록킹브라켓(200)의 파킹레버(100) 정회전방향 측 단부는 곡선을 그리도록, 더욱 바람직하게는 반원 또는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원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릴리즈 암(120)과의 접촉시 슬라이딩 되면서 록킹브라켓(200)이 파킹레버(100) 측으로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release arm 1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bracket 200, the end of the parking lever 100 of the locking bracket 200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can naturally move the locking bracket 200 toward the parking lever 100 side. To draw a curve, more preferably, it may be formed in a semicircle or hemispherical shape. As it is formed in a semicircle, the locking bracket 200 can be rotated toward the parking lever 100 while sliding upon contact with the release arm 120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파킹 브레이크 장치에 따르면, 운전자가 파킹레버를 재차 밟는 것 만으로 파킹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어 파킹 편의성 향상 등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arking brake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parking can be released only by the driver stepping on the parking lever again, thereby improving the marketability of the vehicle, such as improving parking convenience.

또한, 파킹레버의 록킹과 릴리즈를 수행하는 수단들이 록킹브라켓, 탄성체 등으로 간소화되어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 및 무게 감소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ns for locking and releasing the parking lever are simplified with a locking bracket, an elastic body, etc.,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reducing costs, and reducing weight.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with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파킹레버 110 : 노치
120 : 릴리즈 암 200 : 록킹브라켓
210 : 슬롯 211 : 핀
220 : 접촉돌기 230 : 보조돌기
300a : 탄성체 300b : 보조 탄성체
100: parking lever 110: notch
120: release arm 200: locking bracket
210: slot 211: pin
220: contact projection 230: auxiliary projection
300a: elastic body 300b: auxiliary elastic body

Claims (13)

작동시 정방향 회전하고 역방향으로 탄성회전력을 받는 파킹레버;
파킹레버의 외측에 마련되며 파킹레버와 접하고 파킹레버의 회전방향 및 파킹레버와의 분리 방향으로 소정구간 이동가능하며 파킹레버의 정방향 회전은 허용하되 역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록킹브라켓;
파킹레버의 외측에 마련되며 록킹브라켓에 접하고, 파킹레버의 탄성회전력에 따라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의 역회전방향으로 이동할 시 탄성변형되었다가 파킹레버의 탄성회전력이 제거되는 경우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와 분리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파킹레버의 일단부에는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노치가 형성되고, 록킹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노치와 접하도록 치합돌기가 형성되며,
록킹브라켓에는 파킹레버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돌기가 형성되고,
보조돌기와 접하면서 치합돌기가 노치에 치합되도록 가압하는 보조 탄성체가 마련되며,
보조 탄성체는 보조돌기보다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에서 보조돌기와 접하고, 파킹레버의 록킹시 보조돌기가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보조 탄성체는 보조돌기보다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a parking lever that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receives elastic rotational force in the reverse direction during operation;
a locking bracket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arking lever, in contact with the parking lever, movable for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parking lever and separation from the parking lever, and allowing forward rotation of the parking lever but preventing reverse rotation;
I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arking lever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bracket, and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locking bracket moves in the revers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according to the elastic rotational force of the parking lever. Including; an elastic body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be separated;
A plurality of notches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parking lever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meshing projections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bracket to contact the notches,
The locking bracket has an auxiliary protrusion that protrudes in the direc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parking lever,
An auxiliary elastic body is provided that presses the meshing protrusion to mesh with the notch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protrusion,
The auxiliary elastic body is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protrusion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rather than the auxiliary protrusion, and when the parking lever is locked, the auxiliary elastic body is positioned on the side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rather than the auxiliary protrusion as the auxiliary protrusion moves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Features a parking brake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록킹브라켓은 파킹레버의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록킹브라켓이 이동 가능하도록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에는 외부 지지체에 고정되는 핀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bracket is formed to have a length set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and a slo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parking lever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bracket is movable, and a pin fixed to an external support is inserted in the slot. A parking bra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2에 있어서,
파킹레버의 회전이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될 시 치합돌기가 노치에 치합된 상태로 록킹브라켓이 슬롯을 따라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하며, 이동이 완료된 이후에도 치합상태를 유지하여 파킹레버의 역방향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파킹레버의 록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rotation of the parking lever is switched from the normal direction to the reverse direction, the locking bracket moves along the slot to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with the meshing protrusion meshed with the notch. A parking bra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king of the parking lever is performed by blocking the
삭제delete 청구항 5에 있어서,
보조돌기의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 면은 보조돌기의 돌출방향으로 갈수록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parking bra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auxiliary protrusion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is inclined toward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auxiliary protrusion.
청구항 7에 있어서,
파킹레버의 록킹 이후 파킹레버가 정회전할 때 탄성체는 록킹브라켓을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시키고, 록킹브라켓은 이동시 보조돌기와 보조탄성체의 접촉에 의해 보조돌기의 경사로를 따라 가이드되어 파킹레버와의 분리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parking lever rotates forward after locking the parking lever, the elastic body moves the locking bracket to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and the locking bracket is guided along the slope of the auxiliary projection by the contact between the auxiliary projection and the auxiliary elastic body during movement, and thus is guided along the slope of the parking lever. A parking bra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rotates in the separation direc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록킹브라켓이 파킹레버와 분리될 경우 파킹레버는 역방향으로 탄성회전하여 작동전 원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parking bra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ocking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parking lever, the parking lever elastically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turn to its original operating posi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파킹레버에는 파킹레버와 함께 회전하며 파킹레버의 복귀 회전시 록킹브라켓의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 단부와 접하는 릴리즈 암이 더 마련되고, 릴리즈 암은 록킹브라켓과 접할 시 록킹브라켓을 파킹레버 측으로 가압하여 록킹브라켓을 록킹 전 상태로 원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release arm is further provided on the parking lever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parking lever and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parking lever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locking bracket when the parking lever returns. A parking bra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restores the locking bracket to the state before locking.
청구항 10에 있어서,
릴리즈 암에 의한 록킹브라켓의 원복시 록킹브라켓은 탄성체에 의해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하며, 보조돌기는 다시 보조 탄성체보다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으로 이동하여 보조 탄성체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locking bracket is restored by the release arm, the locking bracket moves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by the elastic body,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moves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rather than the auxiliary elastic body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auxiliary elastic body. .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체와 보조 탄성체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며, 탄성체는 록킹브라켓의 파킹레버 역회전방향 측에서 록킹브라켓을 탄성지지하고, 보조 탄성체는 단부가 보조돌기와 접하여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body and the auxiliary elastic body are made of a leaf spring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integrally formed. The elastic body elastically supports the locking bracket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of the locking bracket, and the auxiliary elastic body elastically supports the end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protrusion. parking brake system with
청구항 10에 있어서,
록킹브라켓의 파킹레버 정회전방향 측 단부는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브레이크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 parking bra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locking bracket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of the parking lever is formed to form a curve.
KR1020150082157A 2015-06-10 2015-06-10 Apparatus for parking breake KR1023363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57A KR102336392B1 (en) 2015-06-10 2015-06-10 Apparatus for parking brea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57A KR102336392B1 (en) 2015-06-10 2015-06-10 Apparatus for parking brea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42A KR20160145442A (en) 2016-12-20
KR102336392B1 true KR102336392B1 (en) 2021-12-07

Family

ID=5773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157A KR102336392B1 (en) 2015-06-10 2015-06-10 Apparatus for parking brea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3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761B1 (en) * 2017-01-31 2021-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ructure of parking-lev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336U (en) 1996-08-30 1998-06-05 양재신 Parking Foot Brake
KR19980019555U (en) * 1996-10-04 1998-07-15 정몽규 Pedal Parking Brake
JPH10264787A (en) * 1997-03-26 1998-10-06 Aisin Seiki Co Ltd Vehicular foot-operated parking brak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42A (en)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2262A1 (en) Wheelchair brake system
KR100461609B1 (en) Parking Brake Comprising Mechanism for Adjusting Brake Cable Tension
CN103392073A (en) Device for mutually locking two slidably mounted tubes
JPH0130655Y2 (en)
KR102336392B1 (en) Apparatus for parking breake
EP1834868A3 (en) Gear change mechanism with compression spring
JP2004161231A (en) Parking brake lever
JP5004221B2 (en) Stretch absorption structure of operation wire
AU756067B2 (en) Lever unit
DE102004015286A1 (en) Brake actuator for brake system of wheelchairs, industrial machinery, etc. has actuator lever moving between three positions, and positioned due to balance between load and reaction force
DE10243752A1 (en) Pedal release arrangement of a parking brake
JP7431967B2 (en) Vehicle steering systems and vehicles
CN216886628U (en) Parking brake operating lever capable of leveling
KR102460146B1 (en) Length adjustable handbrake lever for automotive use
KR100380437B1 (en) The locking device of an automotive parking brake
GB2373035A (en) Parking brake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KR102098116B1 (en) Pedal operating apparatus of vehicle
KR100380932B1 (en) Foot Pedal Parking Brake System of One Touch Way
WO2016155877A1 (en) Actuating device for adjustment operations for office chairs
KR100803429B1 (en) Parking assembly for vehicle
KR19980042182U (en) Locking mechanism of parking brake lever
KR101035639B1 (en) Parking brake lever for vehicle
JP2004168291A (en) Interlocking device of plurality of members in motorcycle
EP3034725B1 (en) Hand support for a door panel
KR970007715B1 (en) Parking-brake safety device for an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