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441B1 - 열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열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441B1
KR102334441B1 KR1020190147659A KR20190147659A KR102334441B1 KR 102334441 B1 KR102334441 B1 KR 102334441B1 KR 1020190147659 A KR1020190147659 A KR 1020190147659A KR 20190147659 A KR20190147659 A KR 20190147659A KR 102334441 B1 KR102334441 B1 KR 102334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potential
temperature
increases
decr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073A (ko
Inventor
이현욱
이석우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난양 테크놀러지컬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난양 테크놀러지컬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4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4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L35/02
    • H01L35/20
    • H01L35/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4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only met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 H10N10/85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containing boron, carbon, oxygen or nitro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전위가 감소하는 제1 물질로 구성된 양극부; 및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 전위가 증가하는 제2 물질로 구성된 음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 for generating electricity from thermal energy}
본 발명은 열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려지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충방전을 수행하여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는 양극과 음극에 전기 화학 반응이 가능한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지 중 대표적인 예로는 양극 및 음극에서 나트륨 이온이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될 때의 화학전위(chemical potential)의 변화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이차 전지가 있다.
이 경우, 이차 전지의 충방전 전압은 양극부의 전위와 음극부의 전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이 때, 충방전 전압을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65329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열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양극부의 전위는 감소하고 음극부의 전위는 증가하여 이차 전지의 충전 전압을 감소시키고,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양극부의 전위는 증가하고 음극부의 전위는 감소하여 이차 전지의 방전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전위가 감소하는 제1 물질로 구성된 양극부; 및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 전위가 증가하는 제2 물질로 구성된 음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물질의 전위는, 상기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 증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물질의 전위는, 상기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감소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양극부의 제1 물질은, Cu[Fe(CN)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음극부의 제2 물질은, Co[Fe(CN)6]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압은, 상기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감소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이차 전지의 방전 전압은, 상기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 증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이차 전치의 충전 전압 또는 방전 전압은, 상기 온도에 따른 상기 제1 물질의 전위와 상기 제2 물질의 전위의 차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양극부의 전위는 감소하고 음극부의 전위는 증가함에 따라 더 낮은 에너지로 충전을 수행하고,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양극부의 전위는 증가하고 음극부의 전위는 감소함에 따라 방전 시 더 많은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충방전 전압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한 양극부의 전압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한 음극부의 전압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한 이차 전지의 충방전 전압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이차 전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충방전 전압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이차 전지(100)는 양극부(110) 및 음극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극부(110)는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전위가 감소하는 제1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물질의 전위는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부(110)의 제1 물질은 Cu[Fe(CN)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극부(120)는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 전위가 증가하는 제2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물질의 전위는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극부(120)의 제2 물질은 Co[Fe(CN)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차 전지(100)의 충전 전압 또는 방전 전압은 온도에 따른 제1 물질의 전위와 제2 물질의 전위의 차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의 충전 전압은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이차 전지(110)의 방전 전압은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 증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를 때,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양극부(110)의 전위는 감소하고, 음극부(120)의 전위는 증가하면서 이차 전지(100)의 충전 전압은 감소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충전을 수행하면, 이차 전지(100)는 온도가 증가하기 전에 비하여 더 낮은 에너지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양극부(110)의 전위는 증가하고, 음극부(120)의 전위는 감소하면서 이차 전지(110)의 방전 전압은 증가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방전을 수행하면, 이차 전지(100)는 온도가 감소하기 전에 비하여 더 많은 에너지로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온도 변화에 따라 더 적은 에너지로 충전을 수행하고, 방전 시 더 많은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차 전지(100)는 외부 전기를 통해 충전을 수행하고, 또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한 양극부(110)의 전압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한 음극부(120)의 전압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양극부(110)의 제1 물질은 Cu[Fe(CN)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물질인 Cu[Fe(CN)6]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양극부(110)의 전위가 감소할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음극부(120)의 제2 물질은 Co[Fe(CN)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물질인 Co[Fe(CN)6]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음극부(110)의 전위가 감소하는 용량 구간과 증가하는 용량 구간이 존재한다. 여기서, 전위가 증가하는 용량 구간을 통해 이차 전지(100)의 음극부(110)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한 이차 전지(100)의 충방전 전압 성능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만약 양극부(110)와 음극부(120)의 전위가 온도 변화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 이차 전지(100)가 에너지를 충분히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이차 전지(100)의 제1 물질과 제2 물질이 온도 변화에 다른 전위차가 충분한지 확인해야 한다.
이에, 도 4a 내지 4e를 참고하면, 20도와 60도의 온도 변화에서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생성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20도와 60도의 범위에서 1.22%의 추가적인 효율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이차 전지(100)에 따르면, 이차 전지(100)는 태양 전지에서 생성되는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낮에 태양 전지에 의해 이차 전지(100)가 충전될 때 평소보다 적은 에너지가 필요하며, 온도가 낮은 밤에 이차 전지(100)가 방전을 수행하는 경우, 충전될 때보다 더 큰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이차 전지
110: 양극부
120: 음극부

Claims (9)

  1. 이차 전지에 있어서,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전위가 감소하는 제1 물질로 구성된 양극부; 및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 전위가 증가하는 제2 물질로 구성된 음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압은, 상기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감소하고,
    상기 이차 전지의 방전 전압은, 상기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 증가하는,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의 전위는, 상기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 증가하는,
    이차 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물질의 전위는, 상기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감소하는,
    이차 전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부의 제1 물질은, Cu[Fe(CN)6]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부의 제2 물질은, Co[Fe(CN)6]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의 충전 전압 또는 방전 전압은,
    상기 온도에 따른 상기 제1 물질의 전위와 상기 제2 물질의 전위의 차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이차 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조절되는,
    이차 전지.
KR1020190147659A 2019-11-18 2019-11-18 열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이차 전지 KR102334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59A KR102334441B1 (ko) 2019-11-18 2019-11-18 열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59A KR102334441B1 (ko) 2019-11-18 2019-11-18 열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073A KR20210060073A (ko) 2021-05-26
KR102334441B1 true KR102334441B1 (ko) 2021-12-07

Family

ID=7613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659A KR102334441B1 (ko) 2019-11-18 2019-11-18 열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4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0152B2 (en) 2012-03-28 2017-06-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ransition metal hexacyanoferrate battery with carbonaceous anod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1673B2 (en) * 2011-06-22 2015-02-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High rate, long cycle life battery electrode materials with an open framework structure
CN104350636B (zh) 2012-07-09 2017-11-03 株式会社Lg 化学 用于高电压的正极活性材料和包含其的锂二次电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0152B2 (en) 2012-03-28 2017-06-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ransition metal hexacyanoferrate battery with carbonaceous anod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2019, 7, 23862-23867*
Nano Letters. 2014, 14, 6578-658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073A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329B1 (ko) 리튬 이온 전지의 충전 방법
Yang et al. Enabling renewable energy—and the future grid—with advanced electricity storage
WO2019103470A3 (en) All-solid-sta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charging the same
CN102882221B (zh) 一种光伏并网发电的超级电容器和蓄电池混合储能能量管理电路
JP6779490B2 (ja) 人工sei移植
JP6797438B2 (ja) バッテリーの充電方法およびバッテリーの充電装置
US20130302650A1 (en) Self-recharging direct conversio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KR102334441B1 (ko) 열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이차 전지
KR102334440B1 (ko) 수소 생산을 위한 이차 전지
US20180034043A1 (en) Self-recharging direct conversio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KR101741302B1 (ko) 2차 전지
CN104092280B (zh) 一种基于超级电容启动的燃料电池备用电源***
KR102042098B1 (ko) 해수 전지
CN103296293B (zh) 电容电池
KR102098510B1 (ko) 전극의 신속한 형성
CN101841164B (zh) 并网型发电***
US20220115158A1 (en) Self-recharging direct conversion electrical energy storage method
KR101815281B1 (ko) 화학흐름전지의 운전 제어 방법
WO2020214443A3 (en) Desodiated sodium transition metal oxides for primary batteries
KR20160041645A (ko) 2차 전지의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
US10319987B2 (en) Active material with expansion structure for use in lithium ion batteries
CN203367400U (zh) 高倍率电池的极耳与极片的布置结构
KR20090082761A (ko) 밧데리 충전회로 및 충전방법
CN203414883U (zh) 一种带光伏电池的笔记本
JPH01213967A (ja) 非連続循環型レドツクス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