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258B1 -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 - Google Patents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258B1
KR102333258B1 KR1020200113090A KR20200113090A KR102333258B1 KR 102333258 B1 KR102333258 B1 KR 102333258B1 KR 1020200113090 A KR1020200113090 A KR 1020200113090A KR 20200113090 A KR20200113090 A KR 20200113090A KR 102333258 B1 KR102333258 B1 KR 102333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indigo
fraction
natural antibacterial
fe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 송
표 송
김선린
Original Assignee
표 송
김선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 송, 김선린 filed Critical 표 송
Priority to KR1020200113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258B1/ko
Priority to JP2020203979A priority patent/JP7219491B2/ja
Priority to CN202011428059.2A priority patent/CN114128727A/zh
Priority to US17/116,337 priority patent/US20220072075A1/en
Priority to KR1020210132180A priority patent/KR20220031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5Foeniculum (fenn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0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parsley, caraway, dill, lovage, fennel or snakeb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0Elemental chlorine; Inorganic compounds releasing chl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19Acanthaceae (Acanthus family)
    • A61K36/195Strobilan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61K36/315Isatis, e.g. Dyer's wo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101/00Chemical composition of materials used in disinfecting, sterilising or deodorising
    • A61L2101/32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과 나노화된 쪽풀 추출물에 전기자극을 가하여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에 당알코올을 포함하여 제조된 항균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균제는 사람 세포막에는 안전하면서 세균의 세포막 구조를 흐트려 항균 효능을 극대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Manufacturing method of natural antibiotics extract and antibiotics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antibiotics extract manufactured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균물질은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막을 수 있는 약물로 박테리아, 곰팡이 또는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현재 항균제는 130여 종이 개발되어 있고 이들 항균제는 합성 항균제와 천연 항균제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합성 항균제가 천연 항균제의 5~6배 정도 시장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현재 합성 항균제는 자체 독성으로 인해 사용량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 항균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화학적 항균제를 천연 항균제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2124592 (2020.06.12 등록):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손소독제 조성물
본 발명은 천연물질에서 추출한 항균물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용 항균제는 회향 추출물 수용액과 쪽풀 추출물 수용액에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회향 추출물 고차 분획물과 쪽풀 추출물 고차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회향 추출물 고차 분획물과 쪽풀 추출물 고차 분획물에 35000Hz 내지 50000Hz 주파수의 초음파 자극을 가한 뒤 안정화 시키는 과정을 복수회 반복하여,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 분획물과 나노화된 쪽풀 추출물 분획물을 얻는 단계, 상기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 분획물과 나노화된 쪽풀 추출물 분획물에 50V 내지 110V의 전기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과 균주의 대사를 방해하는 솔비톨 및 말티톨을 포함하는 천연 항균제를 다중광촉매수 또는 pH 2.7 ~6.5 차아염소산수에 0.1 내지 5% 농도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향 추출물 수용액, 상기 쪽풀 추출물 수용액 및 상기 유기용매의 중량비는 1: 1.5: 7 내지 1: 2: 8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항균제에서 상기 솔비톨은 10 ~ 2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말티톨은 20~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용 항균제는 회향 추출물 수용액과 쪽풀 추출물 수용액에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회향 추출물 고차 분획물과 쪽풀 추출물 고차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회향 추출물 고차 분획물과 쪽풀 추출물 고차 분획물에 35000Hz 내지 50000Hz 주파수의 초음파 자극을 가한 뒤 안정화 시키는 과정을 복수회 반복하여,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 분획물과 나노화된 쪽풀 추출물 분획물을 얻는 단계, 상기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 분획물과 나노화된 쪽풀 추출물 분획물에 50V 내지 110V의 전기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과 균주의 대사를 방해하는 솔비톨 및 말티톨을 포함하는 천연 항균제를 다중광촉매수 또는 pH 2.7 ~6.5 차아염소산수에 0.1 내지 0.5% 농도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향 추출물 수용액, 상기 쪽풀 추출물 수용액 및 상기 유기용매의 중량비는 1: 1.5: 7 내지 1: 2: 8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항균제에서 상기 솔비톨은 10 ~ 2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말티톨은 20~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항균제는 사람 세포막에는 안전하면서 세균의 세포막 구조를 흐트려 항균, 항진, 항바이러스 효능을 극대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상이한 농도로 첨가된 천연 항균제에 MRSA를 혼합하여 배양한 뒤 고체 배양 접시를 사진촬영 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상이한 농도로 첨가된 천연 항균제에 CPE를 혼합하여 배양한 뒤 고체 배양 접시를 사진촬영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항균제 1 %에서 MRSA의 항균력이 지속되는가 실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황색포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증류수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5는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황색포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6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황색포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페브리즈TM를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7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황색포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1%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8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황색포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5%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9는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황색포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1%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10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농녹균과 농녹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05%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11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농녹균과 농녹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1%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12는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농녹균과 농녹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5%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13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농녹균과 농녹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1%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
본 발명에서 '항균'이라 함은 균을 제거하는 것 뿐만 아니라 곰팡이, 바이러스, 기생충 및 박테리아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항균제는 균, 곰팡이, 바이러스, 박테리아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반드시 사전적인 의미의 '항균'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은 세척 및 정선된 천연 식물성 성분들을 발효한 후 추출용매로 환류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S10), 추출액을 여과와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하는 단계(S20), 분말을 증류수에 분산시킨 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고차 분획물들을 수득하는 단계(S30), 고차 분획물들을 혼합하고 초음파 자극을 가하여 나노화하는 단계(S40), 나노화된 천연 식물성 성분들이 상호 간에 침투되도록 전기자극을 가하는 단계(S50),상기 전기자극이 가해진 나노화된 천연 식물성 성분들을 가열한 후 진공건조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1. 추출액 수득 단계(S10)
회향과 쪽풀을 깨끗이 세척하고 각각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1시간씩 2회 환류 추출하여 회향 추출액과 쪽풀 추출액을 수득한다.
2. 분말화 단계(S20)
이후, 회향 추출액과 쪽풀 추출액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여과하고, 여과된 회향 추출액과 쪽풀 추출액을 회전식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며, 농축된 회향 추출액과 쪽풀 추출액을 각각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한다.
3. 고차 분획물 수득단계(S30)
이후, 회향 추출 분말과 쪽풀 추출 분말 각각에 증류수를 혼합하여 회향 추출물 분말과 쪽풀 추출물 분말을 증류수에 분산시키고, 유기용매를 투입하여 회향 추출물 고차 분획물과 쪽풀 추출물 고차 분획물을 수득한다. 여기서, 유기용매는 핵산(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부탄올(butanol)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조성된 것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회향 추출물 분말과 증류수의 중량비는 쪽풀 추출물 분말과 증류수의 중량비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분말과 증류수의 중량비는 1:3 내지 1:4일 수 있다.
또한, 증류수에 분산된 회향 추출물 분말(이하, 회향 추출물 수용액이라 함), 증류수에 분산된 쪽풀 분말(이하, 쪽풀 추출물 수용액이라 함), 유기용매의 중량비는 1: 1.5: 7 내지 1: 2: 8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향 추출물 수용액 20 중량부, 쪽풀 추출물 수용액 30 중량부, 유기용매 150 중량부를 혼합한 후 3~5분간 vortex로 혼합할 수 있다.
4. 나노화 단계(S40)
이후, 수득된 회향 추출물 고차 분획물과 쪽풀 추출물 고차 분획물이 나노화되도록 초음파 자극을 가한다. 상기 초음파 자극은 35000Hz 내지 50000Hz 주파수의 초음파로 3분 자극한 후 liposofast (Avestin, Canada) nano extruder를 활용하여 2분동안 안정시키는 과정을 총 12회 반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 분획물과 쪽풀 추출물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5. 전기자극 단계(S50)
이후, 나노화된 회향 분획물이 나노화된 쪽풀 분획물에 침투되도록 전기자극을 가한다. 여기서, 전기자극은 80~110V 50~65mA로 10분~30분 1회 자극하거나, 50~110V 30~50mA로 10분~20분 2회 자극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 분획물이 나노화된 쪽풀 추출물 분획물에 침투하거나, 반대로 나노화된 쪽풀 분획물이 나노화된 회향 분획물에 침투될 수 있다.
6. 가열 및 진공건조 단계(S60)
이후, 전기자극이 가해진 회향 및 쪽풀 분획물을 섭씨 900도~1,100도에서 25분~35분간 가열한 후 7시간동안 진공건조하여 천연 항균물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천연 항균물질은 회향 추출물과 쪽풀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향 추출물과 쪽풀 추출물의 중량비는 1:0.1 내지 1:5일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항균물질은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과 쪽풀 추출물이 이온반응을 통해 상호 침투되면서 세균의 세포막 구조를 흐트려 버리는 특수한 구조를 형성하여 항균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수 구조는 사람의 세포막에는 안전한 장점이 있다.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제는 천연 항균물질과 당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알코올은 솔비톨, 자이리톨(Xylitol), 맨니톨(Mannitol), 에리트리톨(Erithritol), 락티톨(Lactit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는 회향 추출물, 쪽풀 추출물, 솔비톨, 말티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항균제는 상기 항균제는 상기 회향 추출물 0.1~30 중량부, 쪽풀 추출물 2 ~30 중량부, 솔비톨 4~ 20 중량부, 말티톨 5~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향 추출물 1~30 중량부, 쪽풀 추출물 5 ~30 중량부, 솔비톨 10 ~ 20 중량부, 말티톨 20~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향 추출물과 상기 쪽풀 추출물은 상술한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과 나노화된 쪽풀 추출물이 상호간에 서로 침투되어 기존의 식물 추출 농축액보다 항균성을 지니는 유효성분 결합부위에 결합 친화도를 높여 항균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말티톨과 솔비톨은 균주의 대사를 방해하여 균을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말티톨은 만노오즈(mannose)로 전환되며 솔비톨은 글루코즈(Glucose)와 같은 글리칸 물질로 전환될 수 있다. 이렇게 전환된 글리칸은 세균과 바이러스를 둘러싸고 있는 구성물질로서 세균과 세균 또는 바이러스와 숙주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쳐 세균과 바이러스의 활성을 저해시킨다.
또한, 솔비톨과 말티톨은 국내에서 식품 첨가물로 허용되고 있을 정도로 인체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항균 효능 테스트 1>
(1)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인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 메티실린 항생제에 대한 내성 포도상구균)을 액체 배양액에 접종시킨다. (S1)
(2) 상기 액체 배양액에 접종된 MRSA와 상술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NX2020으로 표시됨)를 각 농도별로 혼합하여 섭씨 37 도 배양기에서 12 시간 액체 배양한다. (S2)
이후, (3) 각 농도별로 12시간 액체배양된 배양액을 고체 배양 접시 (BAP 배지) 에 50ul(마이크로리)터씩 도말한다. (S3)
이후 (4) 섭씨 37도 배양기에서 6 시간 이상 배양하였다.
도 1a는 상기 S2 단계에서 항균제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액체 배양액을 섭씨 37 도 배양기에서 12 시간 액체 배양한 후 상기 S3~ S4 단계를 거친 것을 사진촬영 한 것이다.
도 1b는 상기 S2 단계에서 다중광촉매수에 혼합된 상기 항균제의 농도가 1%인 용액에 상기 MRSA 액체 배양액을 혼합한 후 섭씨 37 도 배양기에서 12 시간 액체 배양한 후 상기 S3~ S4 단계를 거친 것을 사진촬영 한 것이다.
도 1c는 상기 S2 단계에서 다중광촉매수에 혼합된 상기 항균제의 농도가 0.5%인 용액에 상기 MRSA 액체 배양액을 혼합한 후 섭씨 37 도 배양기에서 12 시간 액체 배양한 후 상기 S3~ S4 단계를 거친 것을 사진촬영 한 것이다.
도 1d는 상기 S2 단계에서 pH 5의 차아염소산수(Hypochlorous Acid Water)에 혼합된 상기 항균제의 농도가 1%인 용액에 상기 MRSA 액체 배양액을 혼합한 후 섭씨 37 도 배양기에서 12 시간 액체 배양한 후 상기 S3~ S4 단계를 거친 것을 사진촬영 한 것이다.
도 1e는 상기 S2 단계에서 pH 5의 차아염소산수(Hypochlorous Acid Water)에 혼합된 상기 항균제의 농도가 0.5%인 용액에 상기 MRSA 액체 배양액을 혼합한 후 섭씨 37 도 배양기에서 12 시간 액체 배양한 후 상기 S3~ S4 단계를 거친 것을 사진촬영 한 것이다.
도 1f는 대조군으로 상기 S2 단계에서 1% 페브리즈TM 용액과 상기 MRSA 액체 배양액을 혼합한 후 섭씨 37 도 배양기에서 12 시간 액체 배양한 후 상기 S3~ S4 단계를 거친 것을 사진촬영 한 것이다.
도 1b 내지 도 1e 모두 99.9%의 항균 효능을 나타냈다.
<항균 효능 테스트 2>
(1)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인 Carbapenemase Producing Enteroboacteriaceae (CPE :카파페넴 항생제에 대한 내성 장내세균)을 액체 배양액에 접종시킨다. (S5)
(2) 상기 액체 배양액에 접종된 CPE와 상술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NX2020으로 표시됨)를 각 농도별로 혼합하여 섭씨 37 도 배양기에서 12 시간 액체 배양한다. (S6)
이후, (3) 각 농도별로 12시간 액체 배양된 CPE 배양액을 고체 배양 접시 (BAP 배지)에 50ul(마이크로리터)씩 도말한다. (S7)
이후 (4) 섭씨 37도 배양기에서 6 시간 이상 배양하였다. (S8)
도 2a는 상기 S6 단계에서 항균제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액체 배양액을 섭씨 37 도 배양기에서 12 시간 액체 배양한 후 상기 S7~ S8 단계를 거친 것을 사진촬영 한 것이다.
도 2b는 상기 S6 단계에서 다중광촉매수에 혼합된 상기 항균제의 농도가 1%인 용액에 상기 CPE 액체 배양액을 혼합한 후 섭씨 37 도 배양기에서 12 시간 액체 배양한 후 상기 S7~ S8 단계를 거친 것을 사진촬영 한 것이다.
도 2c는 상기 S6 단계에서 다중광촉매수에 혼합된 상기 항균제의 농도가 0.5%인 용액에 상기 CPE 액체 배양액을 혼합한 후 섭씨 37 도 배양기에서 12 시간 액체 배양한 후 상기 S7~ S8 단계를 거친 것을 사진촬영 한 것이다.
도 2d는 상기 S6 단계에서 pH 5의 차아염소산수(Hypochlorous Acid Water)에 혼합된 상기 항균제의 농도가 1%인 용액에 상기 CPE 액체 배양액을 혼합한 후 섭씨 37 도 배양기에서 12 시간 액체 배양한 후 상기 S7~ S8 단계를 거친 것을 사진촬영 한 것이다.
도 2e는 상기 S6 단계에서 pH 5의 차아염소산수(Hypochlorous Acid Water)에 혼합된 상기 항균제의 농도가 0.5%인 용액에 상기 CPE 액체 배양액을 혼합한 후 섭씨 37 도 배양기에서 12 시간 액체 배양한 후 상기 S7~ S8 단계를 거친 것을 사진촬영 한 것이다.
도 2f는 대조군으로 상기 S6 단계에서 1% 페브리즈TM 용액과 상기 MRSA 액체 배양액을 혼합한 후 섭씨 37 도 배양기에서 12 시간 액체 배양한 후 상기 S7~ S8 단계를 거친 것을 사진촬영 한 것이다.
도 2b 내지 도 2e 모두 99.9%의 항균 효능을 나타냈다.
상기 다중광촉매수는 다중광촉매에 물을 첨가한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다중광촉매라 함은 광의 유무와 무관하게 광촉매 반응이 일어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인산티타늄화합물, 이산화티타늄 화합물, 티타늄, 망간, 이산화망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에 다중광촉매를 투입하는 경우에 물 속에서 활성산소가 발생하여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항균 효능 테스트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항균제 1 %에서 MRSA의 항균력이 지속되는가 실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천연 항균제 1%에서 MRSA의 항균력이 3개월동안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천연 항균제 n%라 함은 다중광촉매수 또는 pH 5의 차아염소산수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가 용해되어 농도가 n%가 된 것을 의미한다.
<항균 효능 테스트 4 - 황색포도상구균 제거>
도 4 내지 도 9는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황색포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특정 물질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황색포도상구균에 증류수를 첨가한 경우에 질량분석기 스펙트럼이 유지되어 황색포동상규균으로 세균 이름이 동정된 바, 증류수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이 제거되지 못 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황색포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황색포도상구균에 70%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에 질량분석기 스펙트럼이 유지되어 황색포동상규균으로 세균 이름이 동정된 바, 에 70% 에탄올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이 제거되지 못 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황색포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페브리즈TM를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황색포도상구균에 페브리즈TM를 첨가한 경우에 질량분석기 스펙트럼이 일부 유실되고 변형되어서 세균 이름 동정이 실패한바, 페브리즈TM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이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황색포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1%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황색포도상구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1%을 첨가한 경우에 질량분석기 스펙트럼이 일부 유실되고 변형되어서 세균 이름 동정이 실패했으며, intensity도 3690에서 451로 크게 감소한바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1%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이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황색포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5%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황색포도상구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5%을 첨가한 경우에 질량분석기 스펙트럼이 변형되어서 세균 이름 동정이 실패했으며, intensity도 6981.6에서 67.8로 크게 감소한바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5%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이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황색포도상구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1%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황색포도상구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1%을 첨가한 경우에 질량분석기 스펙트럼이 변형되어서 세균 이름 동정이 실패했으며, intensity도 6981.6에서 12.9로 크게 감소한바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1%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이 가장 많이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
<항균 효능 테스트 5 - 농녹균 제거>
도 10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농녹균과 농녹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05%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농녹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05%을 첨가한 경우에 intensity가 1392.8에서 3004.6으로 증가하였으나 질량분석기 스펙트럼이 변형되어서 세균 이름 동정이 실패한바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05%에서는 농녹균이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농녹균과 농녹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1%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농녹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1%을 첨가한 경우에 질량분석기 스펙트럼이 변형되어서 세균 이름 동정이 실패했으며, intensity도 1392.8에서 312.8로 감소한바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5%에서는 농녹균이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는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농녹균과 농녹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5%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농녹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5%을 첨가한 경우에 질량분석기 스펙트럼이 변형되어서 세균 이름 동정이 실패했으며, intensity도 1392.8에서 76.3으로 감소한바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0.5%에서는 농녹균이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농녹균과 농녹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1%을 첨가하여 동정한 데이터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농녹균에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1%을 첨가한 경우에 질량분석기 스펙트럼이 변형되어서 세균 이름 동정이 실패했으며, intensity도 1392.8에서 51로 가장 크게 감소한바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 1%에서는 농녹균이 가장 많이 제거된 것을 알 수 있다.
<비인체용 항균제>
상술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를 다중광촉매수 또는 pH 2.7 ~6.5 차아염소산수에 0.5 ~ 5% 농도로 첨가하여 비인체용 살균제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비인체용 살균제는 의약품 제조시설, 화장품 제조시설, 식품 제조시설에 완벽한 항균 효능을 보장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인체용 항균제>
상술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를 다중광촉매수 또는 차아염소산수에 0.1~ 0.5% 농도로 첨가하여 인체용 살균제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인체용 살균제는 기존의 70% 에탄올이 첨가된 인체용 살균제를 대체하여 피부 자극이 최소화되어 접촉성 피부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술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를 0.1% 미만의 농도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살균효과가 미미하며, 0.5%를 초과 하는 농도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상기 인체용 살균제는 손세정용 겔, 손세정용 스프레이, 화장품, 샴푸, 치약, 콘택트 렌즈용 세정제, 손세정용 티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6)

  1. 회향 추출물 수용액과 쪽풀 추출물 수용액에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회향 추출물 고차 분획물과 쪽풀 추출물 고차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회향 추출물 고차 분획물과 쪽풀 추출물 고차 분획물에 35000Hz 내지 50000Hz 주파수의 초음파 자극을 가한 뒤 안정화 시키는 과정을 복수회 반복하여,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 분획물과 나노화된 쪽풀 추출물 분획물을 얻는 단계, 상기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 분획물과 나노화된 쪽풀 추출물 분획물에 50V 내지 110V의 전기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과 균주의 대사를 방해하는 솔비톨 및 말티톨을 포함하는 천연 항균제를
    다중광촉매수 또는 pH 2.7 ~6.5 차아염소산수에 0.1 내지 5% 농도로 첨가하되,
    상기 회향 추출물 수용액, 상기 쪽풀 추출물 수용액 및 상기 유기용매의 중량비는 1: 1.5: 7 내지 1: 2: 8이며,
    상기 천연 항균제에서 상기 솔비톨은 10 ~ 2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말티톨은 20~ 40 중량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용 항균제.
  2. 회향 추출물 수용액과 쪽풀 추출물 수용액에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회향 추출물 고차 분획물과 쪽풀 추출물 고차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회향 추출물 고차 분획물과 쪽풀 추출물 고차 분획물에 35000Hz 내지 50000Hz 주파수의 초음파 자극을 가한 뒤 안정화 시키는 과정을 복수회 반복하여,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 분획물과 나노화된 쪽풀 추출물 분획물을 얻는 단계, 상기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 분획물과 나노화된 쪽풀 추출물 분획물에 50V 내지 110V의 전기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과 균주의 대사를 방해하는 솔비톨 및 말티톨을 포함하는 천연 항균제를
    다중광촉매수 또는 pH 2.7 ~6.5 차아염소산수에 0.1 내지 0.5% 농도로 첨가하되,
    상기 회향 추출물 수용액, 상기 쪽풀 추출물 수용액 및 상기 유기용매의 중량비는 1: 1.5: 7 내지 1: 2: 8이며,
    상기 천연 항균제에서 상기 솔비톨은 10 ~ 2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말티톨은 20~ 40 중량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용 항균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13090A 2020-09-04 2020-09-04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 KR102333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090A KR102333258B1 (ko) 2020-09-04 2020-09-04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
JP2020203979A JP7219491B2 (ja) 2020-09-04 2020-12-09 天然抗菌物質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天然抗菌物質を含む抗菌剤
CN202011428059.2A CN114128727A (zh) 2020-09-04 2020-12-09 天然抗菌物质制备方法及包含该天然抗菌物质的抗菌剂
US17/116,337 US20220072075A1 (en) 2020-09-04 2020-12-09 Method for producing natural antimicrobial substance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antimicrobial substance produced by the same
KR1020210132180A KR20220031536A (ko) 2020-09-04 2021-10-06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090A KR102333258B1 (ko) 2020-09-04 2020-09-04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180A Division KR20220031536A (ko) 2020-09-04 2021-10-06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258B1 true KR102333258B1 (ko) 2021-12-01

Family

ID=788997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090A KR102333258B1 (ko) 2020-09-04 2020-09-04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
KR1020210132180A KR20220031536A (ko) 2020-09-04 2021-10-06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180A KR20220031536A (ko) 2020-09-04 2021-10-06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72075A1 (ko)
JP (1) JP7219491B2 (ko)
KR (2) KR102333258B1 (ko)
CN (1) CN114128727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738A (ko) * 2004-06-02 2005-02-28 윤여범 탈취, 항균 및 방곰팡이성을 갖는 광 및 무광촉매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벽지
KR20150097560A (ko) * 2012-12-13 2015-08-26 더 트러스티스 오브 콜롬비아 유니버시티 인 더 시티 오브 뉴욕 식물성 항균 조성물
KR20160093136A (ko) * 2015-01-28 2016-08-08 엠와이주식회사 천연 식물성 성분이 침투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강황 소금
KR20190112001A (ko) * 2017-01-31 2019-10-02 큐라솔루션즈 게엠베하 생물막의 항균 처리를 위한 효능 강화형 항균 조성물
KR20200003993A (ko) * 2018-07-03 2020-01-13 재단법인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쪽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24592B1 (ko) 2020-02-17 2020-06-18 구스타 주식회사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손소독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3357B2 (ja) * 1994-02-28 2004-11-24 エーザイ株式会社 抗菌剤
JP2002226379A (ja) 2001-01-30 2002-08-14 Rohto Pharmaceut Co Ltd シート状外用剤
JP5239002B2 (ja) 2002-11-28 2013-07-17 国立大学法人弘前大学 藍草から得られた抗菌活性物質及びこれを含有する各種組成物
JP2004115536A (ja) 2003-11-27 2004-04-15 Rohto Pharmaceut Co Ltd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活性剤
US20090263339A1 (en) 2005-05-27 2009-10-22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 Agent for external application to the skin
JP2009137981A (ja) 2008-12-30 2009-06-25 Kazuo Sakuma カバノアナタケ薬剤に対する微弱エネルギー処理方法及び雪水その他の健康飲食製品
ES2653917T3 (es) * 2011-03-14 2018-02-09 Sunstar Inc. Procedimiento para producir un extracto de hojas de planta de índigo
WO2015116920A1 (en) 2014-01-30 2015-08-06 Kemin Industries, Inc. Plant extracts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JP2017154992A (ja) 2016-02-29 2017-09-07 株式会社理研テクノシステム 害虫の防除作用を有する液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害虫の防除剤及び害虫の防除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738A (ko) * 2004-06-02 2005-02-28 윤여범 탈취, 항균 및 방곰팡이성을 갖는 광 및 무광촉매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벽지
KR20150097560A (ko) * 2012-12-13 2015-08-26 더 트러스티스 오브 콜롬비아 유니버시티 인 더 시티 오브 뉴욕 식물성 항균 조성물
KR20160093136A (ko) * 2015-01-28 2016-08-08 엠와이주식회사 천연 식물성 성분이 침투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강황 소금
KR20190112001A (ko) * 2017-01-31 2019-10-02 큐라솔루션즈 게엠베하 생물막의 항균 처리를 위한 효능 강화형 항균 조성물
KR20200003993A (ko) * 2018-07-03 2020-01-13 재단법인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쪽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24592B1 (ko) 2020-02-17 2020-06-18 구스타 주식회사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손소독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72075A1 (en) 2022-03-10
JP2022043964A (ja) 2022-03-16
KR20220031536A (ko) 2022-03-11
JP7219491B2 (ja) 2023-02-08
CN114128727A (zh)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Phytochemical-based nanocomposites for the treatment of bacterial biofilms
CN103356738B (zh) 一种皮肤消毒凝胶及其应用
DE102008056551A1 (de) Verfahren zur Verringerung der viralen und mikrobiellen Belastung feststoffhaltiger biologischer Extrakte
Lima et al. Antimicrobial effect of anacardic acid–loaded zein nanoparticles loaded on Streptococcus mutans biofilms
WO2003072118A1 (de) Mikro-/nanopartikel aus lipidhaltigen marinen organismen für pharmazie und kosmetik
EA030364B1 (ru) Наноматериал в форме наночастиц диоксида титана,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й функциональными группами и экстрактами цитрусовых, адсорбированными на поверхности, для удаления широкого диапазона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Nowak et al. Nanomaterials as a successor of antibiotics in antibiotic-resistant, biofilm infected wounds?
Gaetti-Jardim Júnior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six plant extracts from the Brazilian savanna on periodontal pathogens
KR102333258B1 (ko)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제
KR102025818B1 (ko) 천연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Manan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Kalanchoe laciniata
CN104412973A (zh) 一种环保型消毒液及其制备方法
CN105012581A (zh) 一种芦荟舒爽抑菌组合物、应用及其制备方法
JP2023138611A (ja) サクラソウ科植物の抽出物の用途
CN109674702B (zh) 丁香复配型天然防腐剂及制备方法与在化妆品中的应用
AJIJOLAKEWU et al. Comparative antibacterial efficacy of Vitellaria paradoxa (Shea Butter Tree) extracts against some clinical bacterial isolates
Azubuike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erbal cream containing ethanolic extracts of Azadirachta indica leaves and Aloe vera gel
CN103110541A (zh) 纯天然免洗消毒净手液
KR101342553B1 (ko) 머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강화된 바디클렌저 조성물
Nystedt et al. Neutral natural deep eutectic solvents as anti-biofilm agents
Tanavade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of leaves and stems of Peristrophe bivalvis Merrill
CN110237216A (zh) 一种皮肤消毒剂及其制备方法及应用
DE102005031362A1 (de) Präparate auf der Basis von Naturstoffen
Felix et al. Bioscaffolds impregnated with Ormocarpum cochinchinense mediated Ag nanoparticles
Fahad et al. The Antibacterial Efficacy and Cytotoxicity of Incorporating Nanoparticles into Sodium Hypochlorite as Irrigant S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