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601B1 - Polycarbonate 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lycarbonate 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601B1
KR102330601B1 KR1020180150140A KR20180150140A KR102330601B1 KR 102330601 B1 KR102330601 B1 KR 102330601B1 KR 1020180150140 A KR1020180150140 A KR 1020180150140A KR 20180150140 A KR20180150140 A KR 20180150140A KR 102330601 B1 KR102330601 B1 KR 102330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resin composition
polycarbonate
copolym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1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3887A (en
Inventor
김재환
김명일
이무석
이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5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601B1/en
Publication of KR20200063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8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601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성형성과 함께, 개선된 내열성, 내화학성, 충격 강도 및 기계적 강도 특성 나타내며, 또 취성이 개선되어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시 냄새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that exhibits improved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impact strength and mechanical strength characteristics along with excellent moldability,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odor when used as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due to improved brittleness, and a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this is provided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OLYCARBONATE 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same {POLYCARBONATE 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우수한 성형성과 함께, 개선된 내열성, 내화학성, 충격 강도 및 기계적 강도 특성 나타내며, 또 취성(臭性)이 특히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moldability, improved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impact strength and mechanical strength properties, and particularly improved brittleness, and a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는 비결정성이며 열가소성인 플라스틱으로서, 우수한 기계적, 열적 물성을 갖고 있다. 상온에서 높은 내충격성을 갖고, 열 안정성이 우수하며 치수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Polycarbonate (PC) is an amorphous and thermoplastic plastic, and has excellent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It has high impact resistance at room temperature,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high dimensional stability.

이에 따라 현재까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단독으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Methylmethacrylate-Butadiene-Styrene; MBS)와 블랜딩하여 가공성 및 저온 충격성을 더욱 개선시킨 수지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Accordingly, until now, polycarbonate resin alone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and recently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or methyl methacrylate-butadiene-styrene copolymer (Methylmethacrylate-Butadiene) -Styrene; MBS) and blending to further improve processability and low-temperature impact properties are also being actively researched.

특히 폴리카보네이트와 ABS의 블랜드(PC/ABS계 얼로이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내열성 및 충격강도와, ABS의 가공성 및 내화학성을 모두 이용할 수 있어, 우수한 가공특성과 기계적 물성을 가진다. 또한, ABS 대비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고, PC 대비 비용절감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은 NH(Non halogen)-PC/ABS 수지는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인체 유해성이 낮아 다양한 전자제품이나 자동차 부품, 예를 들면, TV 하우징, 모니터 하우징, 하드디스크, 프린터, 노트북 배터리, 도어핸들, 범퍼, 인스투르먼트 판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a blend of polycarbonate and ABS (PC/ABS-based alloy resin) can utilize both the heat resistance and impact strength of polycarbonate resin, and the process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of ABS, and has excellent processing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addition, it exhibits superior physical properties compared to ABS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ecause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compared to PC. In particular, NH (Non halogen)-PC/ABS resin that does not contain halogen does no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has low toxicity to the human body, so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nd automobile parts, such as TV housings, monitor housings, hard disks, printers, It is widely used in laptop batteries, door handles, bumpers, and instrument panels.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와 ABS와의 블랜딩시, 주로 유화중합을 통해 제조한 ABS를 사용하여 얼로이(alloy)하고 있다. 그러나, 유화중합의 경우 중합 시 유화제를 첨가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냄새가 많이 나고, 또 고무(Rubber)의 함량 및 크기(size)에 따라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 또는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When blending the polycarbonate with ABS, it is mainly alloyed using ABS prepared through emulsion polymerization. However, in the case of emulsion polymerization, since an emulsifier is added during polymerization, this causes a lot of odo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mpact strength or tensile strength of the resin composition is lowered depending on the content and size of rubber.

또, 전기전자 제품 및 자동차 부품에 사용되는 PC/ABS 얼로이 수지의 경우, 고온에서 변형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높은 내열성과 함께, 극저온에서도 강도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저온 충격강도가 요구된다. 또, 금형을 이용한 복잡한 사출성형이 가능하도록 높은 유동지수가 요구되며, 사용 중 가해지는 변형 응력에 견딜 수 있도록 높은 인장강도가 요구된다. 그러나, 저온 충격강도와 인장강도, 및 성형성은 서로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이를 동시에 개선하기란 용이하지 않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C/ABS alloy resin used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and automobile parts, it is required to have high heat resistance that can withstand high temperatures without being deformed, and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that can maintain strength characteristics even at very low temperatures. In addition, a high flow index is required to enable complex injection molding using a mold, and high tensile strength is required to withstand the deformation stress applied during use. However, since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formability are in a trade-off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t is not easy to improve them at the same time.

이에 따라 우수한 성형성 및 충격 강도와 함께 개선된 취성을 나타내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exhibiting improved brittleness along with excellent moldability and impact strength.

본 발명은 우수한 성형성과 함께, 개선된 내열성, 내화학성, 충격 강도 및 기계적 강도 특성 나타내며, 또 취성이 특히 개선되어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시 냄새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that exhibits improved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impact strength and mechanical strength characteristics along with excellent moldability, and particularly has improved brittleness to significantly reduce odor when used as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e want to provide molded products.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80 중량%, (a) 50 to 80% by weight of a polycarbonate resin,

(b)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44 중량%, (b) 10 to 44 wt% of a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c)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화합물의 코어, 및 상기 코어 상에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쉘로 이루어진 코어-쉘 구조를 갖는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 2 내지 8중량%, 및 (c) 2 to 8 wt% of a rubbery graft copolym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comprising a core of a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compound and a shell in which an acrylate-based compound is grafted on the core, and

(d)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3 내지 16중량%를 포함하며,(d) 3 to 16% by weight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상기 (b)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는,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함량이 3,500 ppm 이하인,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In the (b)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the content of th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is 3,500 ppm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a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is provided.

또,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Also, the meaning of "comprising" as used herein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I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ingredients.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인 수치 범위는 별도의 명시가 없는 경우에 해당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가 된다.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numerical range is a range including the numerical value unless otherwise specified.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제조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고무질 그라프트 중합체와 함께, 공중합체내 TVOC 함량이 최소화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또 상기 공중합체 사용에 따른 내열성 및 내화학성 저하를 보완하도록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최적화된 함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및 충격강도, 특히 저온 충격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키고, 또 취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with a minimized TVOC content in the copolymer, together with a polycarbonate resin and a rubbery graft polymer, when preparing a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nd By using polybutylene terephthalate in an optimized content to compensate for the decrease in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caused by the use of the copolymer, moldability and impact strength, particularly low temperature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composition are simultaneously improved, and brittleness is improved. can

구체적으로,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Specifically,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80 중량%, (a) 50 to 80% by weight of a polycarbonate resin,

(b)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44 중량%, (b) 10 to 44 wt% of a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c)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화합물의 코어, 및 상기 코어 상에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쉘로 이루어진 코어-쉘 구조를 갖는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 2 내지 8중량%, 및 (c) 2 to 8 wt% of a rubbery graft copolym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comprising a core of a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compound and a shell in which an acrylate-based compound is grafted on the core, and

(d)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3 내지 16중량%를 포함하며,(d) 3 to 16% by weight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상기 (b)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함량이 3,500ppm 이하이다. The (b)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has a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tent of 3,500 ppm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이하 각 성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 polycarbonate resin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베이스 수지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족 디올계 화합물과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중합 반응에 의해 제조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일 수 있다. The polycarbonate resin is a base resin included in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a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prepared by polymerization of an aromatic diol-based compound and a carbonate precursor.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에 사용가능한 방향족 디올계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비스페놀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로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 BPA),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비스페놀 Z; BPZ),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또는 α,ω-비스[3-(ο-히드록시페닐)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The aromatic diol-based compound usable for preparing the polycarbonate resin may be specifically a bisphenol-based compound, and more specifically, bis(4-hydroxyphenyl)methane, bis(4-hydroxyphenyl)ether, bis(4- Hydroxyphenyl)sulfone, bis(4-hydroxyphenyl)sulfoxide, bis(4-hydroxyphenyl)sulfide, bis(4-hydroxyphenyl)ketone, 1,1-bis(4-hydroxyphenyl)ethane , 2,2-bis(4-hydroxyphenyl)propane (bisphenol A; BPA), 2,2-bis(4-hydroxyphenyl)butane, 1,1-bis(4-hydroxyphenyl)cyclohexane ( Bisphenol Z; BPZ), 2,2-bis (4-hydroxy-3,5-dibromophenyl) propane, 2,2-bis (4-hydroxy-3,5-dichlorophenyl) propane, 2, 2-bis(4-hydroxy-3-bromophenyl)propane, 2,2-bis(4-hydroxy-3-chlorophenyl)propane, 2,2-bis(4-hydroxy-3-methylphenyl) Propane, 2,2-bis(4-hydroxy-3,5-dimethylphenyl)propane, 1,1-bis(4-hydroxyphenyl)-1-phenylethane, bis(4-hydroxyphenyl)diphenyl methane or α,ω-bis[3-(ο-hydroxyphenyl)propyl]polydimethylsiloxane, and the like, and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또,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카보네이트, 디페닐 카보네이트, 디토릴 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 카보네이트, m-크레실 카보네이트, 디나프틸 카보네이트, 비스(디페닐) 카보네이트, 카보닐 클로라이드(포스겐), 트리포스겐, 디포스겐, 카보닐 브로마이드 또는 비스할로포르메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도 트리포스겐 또는 포스겐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carbonate precursor,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dibutyl carbonate, dicyclohexyl carbonate, diphenyl carbonate, ditoryl carbonate, bis(chlorophenyl) carbonate, m-cresyl carbonate, dinaphthyl carbonate, bis (diphenyl) carbonate, carbonyl chloride (phosgene), triphosgene, diphosgene, carbonyl bromide or bishaloformate, and the like, and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Phosgene or phosgene may be us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방향족 디올계 화합물의 히드록시기와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반응하여 형성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olycarbonate resin may include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which is formed by reacting a hydroxyl group of an aromatic diol-based compound with a carbonate precursor: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18119162799-pat00001
Figure 11201811916279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In Formula 1,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10 알킬, C1-10 알콕시, 또는 할로겐이고, R 1 to R 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C1-10 alkyl, C1-10 alkoxy, or halogen;

Z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페닐로 치환된 C1-10 알킬렌, 비치환되거나 또는 C1-10 알킬로 치환된 C3-15 사이클로알킬렌, O, S, SO, SO2, 및 C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Z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1-10 alkylen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phenyl, C3-15 cycloalkylen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C1-10 alkyl, O, S, SO, SO 2 , and CO do.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클로로, 또는 브로모이고, Z는 메틸렌, 에탄-1,1-디일, 프로판-2,2-디일, 부탄-2,2-디일, 1-페닐에탄-1,1-디일, 또는 디페닐메틸렌과 같이, 비치환되거나 또는 페닐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10 알킬렌이거나, O, S, SO, SO2, 또는 CO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Z는 사이클로헥산-1,1-디일, O, S, SO, SO2, 또는 CO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Formula 1, R 1 to R 4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methyl, chloro, or bromo, and Z is methylene, ethane-1,1-diyl, propane-2,2-diyl, butane-2 straight-chain or branched C1-10 alkylene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with phenyl, such as ,2-diyl, 1-phenylethane-1,1-diyl, or diphenylmethylene, or O, S, SO, SO 2 , or CO. More specifically, in Formula 1, Z may be cyclohexane-1,1-diyl, O, S, SO, SO 2 , or CO.

일례로, 비스페놀 A와 카보네이트 전구체로서 트리포스겐이 중합될 경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riphosgene is polymerized with bisphenol A as a carbonate precursor, the polycarbonate resin may include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1:

[화학식 1-1][Formula 1-1]

Figure 112018119162799-pat00002
Figure 112018119162799-pat00002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제조시 단량체 물질의 종류, 함량 및 제조 조건의 제어를 통해 그 물성을 최적화함으로써,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carbonate resin may further enhance the effect of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ptimiz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carbonate resin by controlling the type, content,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monomer material during manufacture.

일례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ASTM D 1238에 의거하여 측정한 용융흐름속도(MFR)(300℃, 1.2kg)가 2 g/10min 이상, 또는 5 g/10min 이상, 또는 10 g/10min 이상이고, 30 g/10min 이하, 또는 20 g/10min 이하 또는 15 g/10min 이하일 수 있다. 상기한 범위 내의 용융흐름속도를 가질 때, 우수한 가공성을 나타내며, 또 수지 조성물에 적용시 내열성 및 충격 강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트 수지의 MFR이 2 g/10min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저하의 우려가 있고, 또 30 g/10min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 특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In one example, the polycarbonate resin has a melt flow rate (MFR) (300° C., 1.2 kg)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1238 of 2 g/10min or more, or 5 g/10min or more, or 10 g/10min or more, and , 30 g/10min or less, or 20 g/10min or less, or 15 g/10min or less. When it has a melt flow rate within the above range, excellent processability may be exhibited, and heat resistance and impact strength improvement effect may be exhibited when applied to a resin composition. When the MFR of the polycarbonate resin is less than 2 g/10 min, there is a risk of a decrease in the moldability of the resin composition, and when it exceeds 30 g/10 min, there is a risk of a decrease in mechanical strength characteristics.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ASTM D792에 따라 측정한 밀도가 800 kg/m3 이상, 또는 1,000 kg/m3 이상이고, 1,500 kg/m3 이하, 또는 1,200 kg/m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밀도를 가질 때 수지 조성물 적용시 보다 우수한 충격 강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밀도가 800 kg/m3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1,500 kg/m3를 초과하면 성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the polycarbonate resin may have a density of 800 kg/m 3 or more, or 1,000 kg/m 3 or more, and 1,500 kg/m 3 or less, or 1,200 kg/m 3 or les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792. When the density is within the above range, a better impact strength improvement effect may be exhibited when the resin composition is applied. If the density is less than 800 kg/m 3 , the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composition may decrease, and if it exceeds 1,500 kg/m 3 , the moldability may decrease.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20,000 g/mol 이상, 또는 25,000 g/mol 이상이고, 80,0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한 범위 내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질 때, 수지 조성물에 적용시 우수한 성형성과 함께 충격강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Mw가 20,000 g/mol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 특성 저하의 우려가 있고, 80,000 g/mol를 초과하면 성형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the polycarbonate resin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20,000 g/mol or more, or 25,000 g/mol or more, and 80,000 g/mol or less. When it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within the above range, it can exhibit an effect of improving impact strength with excellent moldability when applied to a resin composition. When Mw is less than 20,000 g/mol, there is a risk of deterioration in mechanical strength properties, and when it exceeds 80,000 g/mol, there is a risk of deterioration in moldability.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Mw)는,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폴리스티렌 환산 값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polycarbonate resin may be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is a polystyrene conversion value.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 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종류 및 함량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상이고, 80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때, 성형성 및 충격강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이 5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인장 강도, 내열성 및 취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8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 및 성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 제어에 따른 인장강도, 내열성, 취성, 내충격성 및 성형성 개선 효과를 고려할 때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상이고, 75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polycarbonate resin in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ypes and contents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esin composition. Specifically, the polycarbonate resi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0 wt% or more, and 80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When included within the above content range, it may exhibit the effect of improving formability and impact strength. If the content of the polycarbonate resin is less than 50% by weight, there is a fear that the tensile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brittleness of the resin composition may decrease, and if it exceeds 80% by weight, the impact strength and moldability of the resin composition may decrease there is Considering the effect of improving tensile strength, heat resistance, brittleness, impact resistance and moldability according to the content control of the polycarbonate resin, the polycarbonate resin is more specifically 50%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and 75% by weight It may be included in the following content.

(b)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어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개선시키고, 가공성 및 저온 충격 강도를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중합체는 벌크 중합에 의해 제조됨에 따라 공중합체내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TVOC)의 함량이 크게 감소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취성을 개선하여, 성형시 냄새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exhibit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a polycarbonate resin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in composition, and to improve processability and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In particular, since the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bulk polymerization, the content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in the copolymer is greatly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brittleness of the resin composition, thereby reducing odor generation during molding. .

구체적으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3,500ppm 이하, 또는 3,000ppm 이하, 또는 2,000ppm 이하로 포함한다. 이와 같이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함량이 낮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성형시 냄새 발생을 크게 감소 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vinyl cyanid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contains 3,500 ppm or less, or 3,000 ppm or less, or 2,000 ppm or less of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As such, since the content of th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is low,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generation of odors during molding of the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상기 TVOC 함량은 Purge & Trap sampler-GC/MSD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The TVOC content was evaluated using Purge & Trap sampler-GC/MSD.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비닐시안 화합물, 공액디엔 화합물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로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일례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에타크릴로니트릴 등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로니트릴일 수 있다.The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is a copolymer of a vinyl cyan compound, a conjugated diene compound, and an aromatic vinyl compound, and the vinyl cyan compound is, for example,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or ethacrylonitrile. It may be nitrile, and the like, and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include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crylonitrile.

또, 상기 공액디엔 화합물은 일례로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에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또는 이소프렌 등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 may be, for example, 1,3-butadiene, 2,3-dimethyl-1,3-butadiene, 2-ethyl-1,3-butadiene, 1,3-pentadiene or isoprene, and these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may be included.

또, 상기 공액디엔 화합물은 고무질 중합체 화합물일 수 있으며, 일례로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폴리스티렌-부타디엔(Polystyrene-Butadiene),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Polyacrylonitrile-Butadiene) 등의 디엔계 고무; 상기 디엔계 고무에 수소를 첨가한 포화 고무; 에틸렌-프로필렌(Ethylene-Propylene: EPM) 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Ethylene-Propylene-Diene: EPDM) 고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폴리부타디엔 고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 may be a rubbery polymer compound, for example, polybutadiene, polystyrene-butadiene, polyacrylonitrile-butadiene (Polyacrylonitrile-Butadiene), such as diene-based rubber; a saturated rubber obtained by adding hydrogen to the diene-based rubber; ethylene-propylene (EPM) rubber; Or an 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Ethylene-Propylene-Diene: EPDM) rubber may be mentioned, and any one or two or more of these may be included. Among them, it may be polybutadiene rubber.

또,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일례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또는 비닐톨루엔 등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티렌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omatic vinyl compound may be, for example, styrene, α-methylstyrene, o-ethylstyrene, p-ethylstyrene, or vinyltoluene, and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include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styrene.

또,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그 특징적 제조방법으로 인해, 공중합체내 포함되는 공액디엔계 화합물이 고무질 중합체 화합물인 경우, 상기 공액디엔계 고무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0.6㎛ 이상으로 종래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 것과 비교하여 크다. 이에 따라 수지 조성물에 적용시 충격 강도, 인장 강도 및 성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액디엔계 고무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0.6㎛ 미만일 경우 충격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또 2.0 ㎛를 초과할 경우, 성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공액디엔계 고무의 평균 입자 크기(D50)는 0.6㎛ 이상, 또는 1.0 ㎛ 이상이고, 2.0㎛ 이하, 또는 1.5㎛ 이하이다. In addition, the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has an average particle size ( D 50 ) is 0.6 μm or more, which is large compared to that prepared by conventional emulsion polymerization. Accordingly, when applied to the resin compos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impact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moldability. Specifically, when the average particle size (D 50 )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rubber is less than 0.6 μm, there is a risk of lowering impact strength, and when it exceeds 2.0 μm, there is a risk of lowering the moldability. Accordingly, the average particle size (D 50 ) of the conjugated diene-based rubb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0.6 μm or more, or 1.0 μm or more, and 2.0 μm or less, or 1.5 μm or less.

상기 공액디엔 고무의 평균 입자 크기(D50)는 투과 전자 현미경(TEM) 관찰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The average particle size (D 50 ) of the conjugated diene rubber may be measured throug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observation.

또,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내 공액 디엔 화합물, 스티렌계 단량체 및 아크릴로니트릴은 그 총 합이 100중량%가 되도록 하는 함량으로 포함되며, 각각의 함량은 상기한 물성을 구현하도록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이중 상기 공액디엔 화합물, 보다 구체적으로 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 또는 12 중량%, 또는 15 중량% 이상이고, 20 중량% 이하, 또는 18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함량으로 공액 디엔 화합물, 보다 구체적으로 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그라프트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수지 조성물에 적용시 충격 강도, 인장 강도 및 성형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공액디엔 화합물, 보다 구체적으로 부타디엔 고무질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충격 강도 개선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20중량%를 초과하면 성형성 및 인장 강도 저하의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 styrenic monomer, and acrylonitrile in the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are included in an amount such that the total amount is 100% by weight, and each content is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to implement the physical properties. Among them, the content of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 more specifically the butadiene rubber polymer, is 10% by weight or more, or 12% by weight, or 15% by weight or more, 20% by weight or less, or 18%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have. When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 more specifically, butadiene rubber polymer is included in the above content, the graft rate is high, and impact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mold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when applied to a resin composition. If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 more specifically, butadiene rubber content is less than 10% by weight, there is a fear that the impact strength improvement effect may decrease, and if it exceeds 20% by weight, there is a risk of lowering of formability and tensile strength.

또,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 구체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 유래 반복단위는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20중량% 이상, 또는 30중량% 이상이고, 50 중량% 이하 또는 40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함량으로 비닐시안 화합물, 구체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수지 조성물에 적용시 충격 강도와 함께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비닐 시안 화합물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이 20중량% 미만이면 내화학성 및 내열성 저하의 우려가 있고, 50중량%를 초과하면 충격강도 특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the vinyl cyan compound, specifically,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crylonitrile is 20 wt% or more, or 30 wt% or more, and 50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Or 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40% by weight or less. When a vinyl cyan compound, specifically,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crylonitrile is included in the above content,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can be further improved along with impact strength when applied to a resin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vinyl cyanide-derived repeating unit is less than 20% by weight, there is a risk of deterioration in chemical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nd when it exceeds 50% by weight, there is a risk of deterioration in impact strength properties.

또,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구체적으로 스티렌계 단량체 유래 반복단위는 상기한 공액 디엔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의 함량 조건을 충족하는 조건 하에 잔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omatic vinyl compound, specifically,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styrene-based monom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the remainder under conditions satisfying the content conditions of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 and the vinyl cyan compoun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벌크 중합에 의해 제조되며,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나타내는 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에 스티렌계 단량체와 아크릴로니트릴이 그라프트(Graft)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이하 ABS 수지라 함) 일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및 스티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함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vinyl cyanid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is prepared by bulk polymerization, and a styrene-based monomer and acrylonitrile are grafted onto a butadiene rubber polymer exhibiting impact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BS resin), and the acrylonitrile, butadiene and styrene may be included in the content range as described above.

또,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제조시 단량체의 종류, 함량 및 제조 조건의 제어를 통해 그 물성을 최적화함으로써,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by optimizing its physical properties through the control of the type, content,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monomer during production, the effect of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can be further enhanced.

일례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ISO 1133에 따라 220℃에서 10 kg 하중으로 측정한 용융흐름속도(MFR)이 3 g/10min 이상, 또는 5 g/10min 이상, 또는 8 g/10min 이상이고, 65 g/10min 이하 또는 55 g/10min 이하일 수 있다. 상기한 범위 내의 MFR을 가짐으로써 수지 조성물에 적용시 보다 우수한 충격강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MFR이 3 g/10min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저하의 우려가 있고, 65 g/10min를 초과하면 충격 강도 저하의 우려가 있다. For example, the vinyl cyanid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has a melt flow rate (MFR) of 3 g/10min or more, or 5 g/10min, measured at 220°C under a 10 kg load according to ISO 1133 or more, or 8 g/10min or more, and may be 65 g/10min or less or 55 g/10min or less. By having an MFR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exhibit a more excellent impact strength improvement effect when applied to a resin composition. When the MFR is less than 3 g/10 min, there is a risk of a decrease in the workability of the resin composition, and when it exceeds 65 g/10 min, there is a risk of a decrease in the impact strength.

또,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ISO 1183에 따라 측정한 밀도가 1.0 g/cm3 이상, 또는 1.02 g/cm3 이상이고, 1.2 g/cm3 이하, 또는 1.05 g/cm3 이하일 수 있다. 상기한 범위 내의 밀도를 가짐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개선시키고, 충격 강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밀도가 1.0 g/cm3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1.2 g/cm3 를 초과하면 성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the vinyl cyanid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has a density of 1.0 g/cm 3 or more, or 1.02 g/cm 3 or more, measured according to ISO 1183, and 1.2 g/cm 3 or less, or 1.05 g/cm 3 or less. By having a density within the above rang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in composition can be improved, and the impact strength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If the density is less than 1.0 g/cm 3 , there is a fear that the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composition may decrease, and if it exceeds 1.2 g/cm 3 , the moldability may decrease.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 내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종류 및 함량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공중합체는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이고, 44 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함량 범위로 포함될 때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 총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격 강도 특성 및 성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44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열성 및 내화학성, 그리고 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공중합체는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중량% 이상, 또는 20중량% 이상이고, 40중량% 이하, 또는 35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vinyl cyanid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in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ypes and contents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esin composition, specifically, the public The coalescenc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wt% or more, and 44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When included in the above content range, the heat resistance and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composition can be improved. If the total amount of the copolymer is less than 10% by weight, there is a fear that the impact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moldability may decrease, and if it exceeds 44% by weight, there is a risk that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and rigidity may decrease. More specifically, the copolym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5 wt% or more, or 20 wt% or more, and 40 wt% or less, or 35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또, 상기한 함량 범위를 충족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85:15 내지 55:45의 중량비, 보다 구체적으로는 83:17 내지 60:40의 중량비,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80:20 내지 60:4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가 상기한 함량비로 포함될 경우,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및 충격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under the conditions satisfying the above content range, the polycarbonate resin and the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have a weight ratio of 85:15 to 55:45, more specifically 83:17 to It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60:40, more specifically, in a weight ratio of 80:20 to 60:40. When the polycarbonate resin and the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are included in the above content ratio, moldability and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composition may be further improved.

(c)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c) rubbery graft copolymer

상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구체적으로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화합물의 코어; 및 상기 코어 상에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그라프트 되어 형성된 쉘로 이루어진, 코어-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로,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ubbery graft copolymer is specifically a core of a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compound; and a shell formed by grafting an acrylate-based compound on the core, which is a copolym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and may improve the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composition.

상기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는 일례로,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폴리스티렌-부타디엔(Polystyrene-Butadiene),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Polyacrylonitrile-Butadiene) 등의 디엔계 고무; 상기 디엔계 고무에 수소를 첨가한 포화 고무; 에틸렌-프로필렌(Ethylene-Propylene: EPM) 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Ethylene-Propylene-Diene: EPDM) 고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충격 강도 개선 효과의 우수함을 고려할 ‹š 상기 공계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는 부타디엔 고무일 수 있다.The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is, for example, polybutadiene, polystyrene-butadiene, polyacrylonitrile-butadiene, etc. diene-based rubbers; a saturated rubber obtained by adding hydrogen to the diene-based rubber; ethylene-propylene (EPM) rubber; Or an 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Ethylene-Propylene-Diene: EPDM) rubber may be mentioned, and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included. Among them, considering the excellent effect of improving the impact strength, the co-diene-based rubbery polymer may be butadiene rubber.

또,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구체적으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5개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으며,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rylate-based compound may specifically be an alkyl (meth)acrylate having 1 to 15 carbon atoms in the alkyl group, ethyl acrylate, ethyl methacrylate, meth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butyl acrylate, Or butyl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Any one of thes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may be includ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화합물로서 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 상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 되어 형성된 쉘로 이루어진, 코어-쉘 구조를 갖는 부타디엔-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ubbery graft copolymer may include a core including butadiene rubber as a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compound; and a shell formed by grafting methyl methacrylate onto the core, and may be a butadiene-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상기한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하는 코어와, 쉘은 상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에 40:60 내지 80:20 또는 50:50 내지 80:2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60:40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함량비로 포함될 경우 보다 우수한 충격강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코어와 쉘의 중량비가 40:60 미만으로 코어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충격 강도 개선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80:20 초과로 코어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성형성 저하 및 수지 조성물 내 상용성 저하에 따른 충격 강도 개선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The core and the shell including the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may be included in the rubbery graft copolymer in a weight ratio of 40:60 to 80:20 or 50:50 to 80:20, more specifically 60: It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40 to 70:30. When it is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content ratio, a more excellent impact strength improvement effect may be exhibited. If the weight ratio of the core to the shell is less than 40:60 and the content of the core is too low,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mpact strength may be reduc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mpact strength due to the decrease may decrease.

또, 상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중량% 이상이고, 8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범위 내로 포함시 보다 우수한 충격 강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2중량% 미만이면 저온 충격 강도의 저하 우려가 있고, 8중량%를 초과하면 인장 강도 및 성형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3중량% 이상, 또는 4중량% 이상이고, 6중량% 이하, 또는 5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ubber graft copolym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 wt% or more, and 8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When included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exhibit a more excellent impact strength improvement effect. If the content of the rubber graft copolymer is less than 2% by weight, there is a risk of a decrease in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and when it exceeds 8% by weight, there is a risk of deterioration in tensile strength and moldability. More specifically, 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3 wt% or more, or 4 wt% or more, and 6 wt% or less, or 5 wt% or less.

또, 상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 포함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 개선 효과는 수지 조성물내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균일 분산에 영향을 받고, 또,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분산성은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와의 함량비 제어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대한 상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pact strength improvement effect of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clusion of the rubber graft copolymer is affected by the uniform dispersion of the rubber graft copolymer in the resin composition, and the dispersibility of the rubber graft copolymer is the vinyl cyan compound- It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compatibility with the polycarbonate resin by controlling the content ratio of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이에, 상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상, 또는 10중량부 이상, 또는 45 중량부 이하, 또는 40중량부 이하 또는 20중량부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혼합비로 포함될 경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수지 조성물내 균일 분산되어 보다 우수한 충격 강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에 대한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충격 강도 개선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4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화학성 및 내열성, 강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Accordingly, the rubber graft copolymer is 5 parts by weight or more, or 10 parts by weight or more, or 45 parts by weight or less, or 4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yanid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Or 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20 parts by weight or less. When included in the above mixing ratio, the rubbery graft copolymer is uniformly dispersed in the resin composition, thereby exhibiting a more excellent impact strength improvement effect. If the content of the rubber graft copolymer relative to the vinyl cyanid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re is a risk that the impact strength improvement effect may be reduced, and if it exceeds 45 parts by weight, chemical resistance and There is a risk of a decrease in heat resistance and rigidity.

(d)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d) polybutylene terephthalate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결정구조를 지니는 특성으로 인해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serves to improve the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of the resin composition due to the property of having a crystal structure.

또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물성 최적화를 통해 수지 조성물에 대한 영향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데, 일례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ASTM D2857에 따라 25℃, 디클로로 아세트산 용매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intrinsic viscosity)가 1.0 dl/gr 이상 또는 1.2 dl/gr 이상이고, 1.5 dl/gr 이하 또는 1.3 dl/gr 이하일 수 있다. 상기한 범위 내의 고유 점도를 가짐으로써, 보다 우수한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내화학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고유 점도가 1.0 dl/gr 이만이면, 내화학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1.5 dl/gr를 초과하면 가공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the effect on the resin composition can be further enhanced by optimiz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For example,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has an intrinsic viscosity (intrinsic) measured in dichloroacetic acid solvent at 25° C. according to ASTM D2857. viscosity) may be 1.0 dl/gr or more or 1.2 dl/gr or more, and 1.5 dl/gr or less or 1.3 dl/gr or less. By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exhibit an effect of improving processability and chemical resistance of the resin composition more excellent. When the intrinsic viscosity is less than 1.0 dl/gr, the effect of improving chemical resistance is insignificant, and when it exceeds 1.5 dl/gr, there is a risk of deterioration in workability.

또,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적정법(Titrimetric method)에 의해 측정한 카르복시기 말단기(carboxyl end group)의 함량이 50 meq/kg 이하, 또는 45 meq/kg 이하일 수 있다. 상기한 함량 범위의 카르복시기 말단기를 포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카르복시기 말단기의 함량이 50 meq/kg를 초과할 경우, 내열성 및 내화학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may have a content of a carboxyl end group measured by a titrimetric method of 50 meq/kg or less, or 45 meq/kg or less.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of the resin composition can be improved by including the carboxyl group terminal group in the above content range. When the content of the carboxyl group terminal group exceeds 50 meq/kg, there is a risk of deterioration in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또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ASTM D1238에 따라 235℃, 2.16kg의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속도(MFR)가 2 g/10min 이상, 또는 8 g/10min 이상이고, 20 g/10min 이하, 또는 10 g/10min 이하일 수 있다. 상기한 범위 내의 용융흐름속도를 가짐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및 성형성 저하 없이 우수한 내화학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MFR이 2 g/10min 미만일 경우 가공성 저하의 우려가 있고, 20 g/10min를 초과할 경우, 내화학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has a melt flow rate (MFR) of 2 g/10min or more, or 8 g/10min or more, 20 g/10min or less, or 10 g/10 min or less. By having a melt flow rate within the above range,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improvement effect can be exhibited without deterioration of processability and moldability of the resin composition. When the MFR is less than 2 g/10 min, there is a risk of deterioration in processability, and when it exceeds 20 g/10 min, there is a fear that the chemical resistance may decrease.

상기와 같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중량% 이상이고, 16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함량 범위 내로 포함시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과 내열성 그리고 충격강도를 발란스 좋게 개선시킬 수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이 3중량% 미만일 경우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6중량%를 초과할 경우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 제어에 따른 개선 효과의 현저함을 고려할 때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수지 조성물내 4중량% 이상이고 15중량% 이하, 또는 13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s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3 wt% or more, and 16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When included within the above content range, the chemical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composition can be improved in good balance. When the content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is less than 3% by weight, there is a fear that the chemical resistance of the resin composition may be lowered, and if it exceeds 16% by weight, there is a fear that heat resistance and impact strength may be lowered. Considering the significant improvement effect of controlling the content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4 wt% or more and 15 wt% or less, or 13 wt% or less in the resin composition.

(e) 첨가제(e) additives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외에도, 필요에 따라 열안정제, 활제, 광안정제, 또는 조색제 등의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중량% 이상, 또는 0.1중량% 이상이고, 10중량% 이하, 또는 5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첨가제 포함에 따른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수지 조성물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additives such as a heat stabilizer, a lubricant, a light stabilizer, or a color adjuster, if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The additive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reduc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in composition, specifically, 0.05% by weight or more, or 0.1% by weight or more, 10% by weight or less, or 5%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content may be included. If the content of the additive is less than 0.05% by weight, the improvement effect due to the inclusion of the additive is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10% by weight, there is a fear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in composition may be deteriorated.

상기 열안정제로는 구체적으로 할로겐계 열안정제,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 또는 인계 열안정제와 같은 유기 열안정제; 또는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 등과 같은 무기 열안정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내 구성 성분들과의 우수한 상용성 및 난연성 개선 효과를 고려할 때,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IR1076)와 같은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 또는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Tris(2,4-ditert-butylphenyl)phosphite; IF 168) 등과 같은 인계 열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가 사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ermal stabilizer may include an organic thermal stabilizer such as a halogen-based thermal stabilizer, a hindered phenol-based thermal stabilizer, or a phosphorus-based thermal stabilizer; or inorganic thermal stabilizers such as magnesium hydroxide or aluminum hydroxide, and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Among them, considering the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components in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nd the effect of improving flame retardancy, 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 hindered phenolic thermal stabilizers such as cionate (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IR1076); or a phosphorus-based thermal stabilizer such as tris(2,4-ditert-butylphenyl)phosphite (IF 168);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and more specifically, a hindered phenol-based thermal stabilizer may be used.

상기 열안정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내 첨가제 함량 범위를 충족하는 조건 하에, 상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중량% 이상, 또는 0.1중량% 이상이고, 1중량% 이하, 또는 0.4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될 때 보다 우수한 난연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의 함량이 0.05중량% 미만이면 열안정제 포함에 따른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및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heat stabilizer is 0.05% by weight or more, or 0.1% by weight or more, and 1% by weight or less, or 0.4%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under conditions that satisfy the additive content range in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composition can be included as When included in the above content range, it may exhibit a better flame retardancy improvement effect. If the content of the thermal stabilizer is less than 0.05% by weight, the improvement effect due to the inclusion of the thermal stabilizer is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1% by weight, there is a fear tha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moldability and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composition may be deteriorated.

상기 활제로는 광유, 탄화수소,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금속 비누, 천연 왁스, 올레핀계 왁스, 실리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펜타에리쓰리톨 지방산 에스테르(Pentaerythritol fatty acid ester; PETS-AHS)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계 활제; 폴리에틸렌 왁스(LC102N)와 같은 올레핀계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방산 에스테르계 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The lubricant may include mineral oil, hydrocarbons, fatty acids, alcohols, fatty acid esters, fatty acid amides, metal soaps, natural waxes, olefin waxes, silicones, and the like, and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Among them, fatty acid ester lubricants such as pentaerythritol fatty acid ester (PETS-AHS); olefinic waxes such as polyethylene wax (LC102N); Or a mixture thereof may be used, and more specifically, a fatty acid ester lubricant may be used.

상기 활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내 첨가제 함량 범위를 충족하는 조건 하에, 상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중량% 이상, 또는 0.1 중량% 이상이고, 3중량% 이하, 또는 1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될 때 윤활성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활제의 함량이 0.05중량% 미만이면 활제 포함에 따른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및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The lubricant is 0.05% by weight or more, or 0.1% by weight or more, and 3% by weight or less, or 1%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under conditions that satisfy the additive content range in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composition. may be included. When included in the above content range, the lubricity improvement effect may be exhibited. If the content of the lubricant is less than 0.05% by weight, the improvement effect due to the inclusion of the lubricant is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3% by weight, there is a fear tha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moldability and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composition may be deteriorated.

또, 상기 광안정제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이 우수한 내광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자외선 흡수를 통해 수지에 자외선 차단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light stabilizer, a compound capable of imparting a UV blocking effect to the resin through UV absorption so that the resin composition can implement excellent light resistance may be used.

상기 광안정제는 일례로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또는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과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4,6-diphenyl)-1,3,5-triazin-2-yl)-5-((hexyl))oxy)-phenol)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stabilizer is, for example, a benzotriazole-based compound, or the benzotriazole-based compound and 2-(4,6-diphenyl-1,3,5-triazin-2-yl)-5-((hexyl)oxy) -phenol (2-(4,6-diphenyl)-1,3,5-triazin-2-yl)-5-((hexyl))oxy)-phenol).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은 일례로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 (2-(2H-benzotriazol-2-yl)-4,6-bis(1-methyl-1-phenylethyl)phenol; cas no. 70321-86-7),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Hydroxy-5'-methylphenyl)benzotriazole), 2-(2'-하이드록시-3'-터트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Hydroxy-3'-tert-butyl-5'-methylphenyl)-5-chloro-benzotriazole), 2-(2'-하이드록시-3',5'-디터트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Hydroxy-3',5'-ditert-butylphenyl)-5-chloro-benzotriazole), 2-(2'-하이드록시-3,5-디-터트-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Hydroxy-3,5-di-tert.amylphenyl)benzotriazole), 2-(2'-하이드록시-3',5'-디(1,1-아이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2'-hydroxy-3',5'-di(1,1-imethylbenzyl)phenyl]-2H-benzotriazole), 2-(2'하이드록시-3',5'-디-터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hydroxy-3',5'-di-t-butylphenyl)benzotriazole), 메틸렌 비스[(3-(2-벤조트리아졸리)-2-하이드록시-5-터트-옥틸페닐)] (Methylene bis[(3-(2-benzotriazoleyl)-2-hydroxy-5-tert-octylphenyl)]) 및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Hydroxy-5'-t-octylphenyl)benzotriazol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중에서도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일 수 있다.The benzotriazole-based compound is, for example, 2-(2H-benzotriazol-2-yl)-4,6-bis(1-methyl-1-phenylethyl)phenol (2-(2H-benzotriazol-2-yl) -4,6-bis(1-methyl-1-phenylethyl)phenol; cas no. 70321-86-7), 2-(2'-hydroxy-5'-methylphenyl)benzotriazole (2-(2') -Hydroxy-5'-methylphenyl)benzotriazole), 2-(2'-hydroxy-3'-tertbutyl-5'-methylphenyl)-5-chloro-benzotriazole (2-(2'-Hydroxy-3' -tert-butyl-5'-methylphenyl)-5-chloro-benzotriazole), 2-(2'-hydroxyl-3',5'-ditertbutylphenyl)-5-chloro-benzotriazole (2-( 2'-Hydroxy-3',5'-ditert-butylphenyl)-5-chloro-benzotriazole), 2-(2'-hydroxy-3,5-di-tert-amylphenyl)-benzotriazole (2- (2'-Hydroxy-3,5-di-tert.amylphenyl)benzotriazole), 2-(2'-hydroxy-3',5'-di(1,1-methylbenzyl)phenyl)-2H-benzo Triazole (2-(2'-hydroxy-3',5'-di(1,1-imethylbenzyl)phenyl]-2H-benzotriazole), 2-(2'-hydroxyl-3',5'-di-tert Butylphenyl)-benzotriazole (2-(2'hydroxy-3',5'-di-t-butylphenyl)benzotriazole), methylene bis[(3-(2-benzotriazoli)-2-hydroxy-5 -tert-octylphenyl)] (Methylene bis[(3-(2-benzotriazoleyl)-2-hydroxy-5-tert-octylphenyl)]) and 2-(2'-hydroxy-5'-t-octylphenyl)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nzotriazole (2-(2'-Hydroxy-5'-t-octylphenyl)benzotriazole), and among them, 2-(2H-benzotriazol-2-yl)-4 ,6-bis(1-methyl-1-phenylethyl)phenol.

상기 광안정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내 첨가제 함량 범위를 충족하는 조건 하에, 상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중량% 이상, 또는 0.1중량% 이상이고, 3중량% 이하, 또는 1.5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내광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내광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light stabilizer is 0.05% by weight or more, or 0.1% by weight or more, and 3% by weight or less, or 1.5%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under conditions that satisfy the additive content range in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composition can be included as It may exhibit excellent light resistance within the above range. If the content of the light stabilizer is less than 0.05%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light resistance is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3% by weight, there is a fear tha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strength may be lowered.

또, 상기 조색제로는 플라스틱 산업에서 흑색을 내기 위한 물질로 알려진 조색제가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카본 성분이 포함된 흑색 조색제는 플라스틱 수지 표면에서 햇빛을 차단하여 플라스틱이 자외선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색제는 일예로,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또는 카본파이버 등의 조색제 화합물 단독이나, 혹은 SAN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에스테르(ester)계 화합물 등 담지체(Carrier)에 혼합된 형태 일 수 있다. 다만, 생산 비용 절감 등의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완전연소된 탄화수소에서 얻어지는 탄소(그을음) 화합물인 카본블랙이 좀더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the colorant, a colorant known as a material for producing black color in the plastics industry may be commonly used. In particular, the black colorant containing the carbon component blocks sunlight on the surface of the plastic resin to prevent the plastic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ultraviolet rays, thereby improving light resistance. The colorant is, for example, a colorant compound such as carbon black, carbon nanotube, or carbon fiber alone, or an aromatic vinyl compound such as SAN-vinyl cyan compound copolymer, polyethylene (PE), polycarbonate (PC), ester ( ester)-based compound may be in a mixed form with a carrier. However, carbon black, which is a carbon (soot) compound obtained from incompletely burned hydrocarbons, is more preferable in terms of economical aspects such as production cost reduction.

상기 조색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내 첨가제 함량 범위를 충족하는 조건 하에, 상기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중량% 이상, 또는 0.2중량% 이상이고, 3중량% 이하, 또는 2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색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내광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The colorant is 0.1% by weight or more, or 0.2% by weight or more, and 3% by weight or less, or 2%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under conditions that satisfy the additive content range in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composition. may be included. If the content of the toner is less than 0.1%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light resistance is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3% by weight, there is a fear tha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strength may be lowered.

상기 첨가제들은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한 성분들을 혼합하는 동안 적절히 혼합시킬 수 있고,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포함시킴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포함된 1종 이상의 첨가제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The additives may be appropriately mixed while mixing the components for forming the composition, and by including one or more additives in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s manufactured therefrom include properties of one or more additives.

기타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 제어를 통한 개선 효과의 현저함을 고려할 때,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열안정제로서,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IR1076)와 같은 힌더드 페놀계 열안정제 0.1 내지 0.4중량%, 펜타에리쓰리톨 지방산 에스테르(PETS-AHS)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계 활제 0.1 내지 1중량%, 광안정제로서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UV234)과 같은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0.1 내지 1.5중량%, 그리고 조색제로서 카본블랙 0.2 내지 2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significant improvement effect through the control of the types and contents of other additives, th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 stabiliz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octadecyl-3-(3,5-di 0.1 to 0.4 wt% of a hindered phenolic heat stabilizer such as -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IR1076), 0.1 to 0.1 wt% of a fatty acid ester lubricant such as pentaerythritol fatty acid ester (PETS-AHS) to 1% by weight of a benzotriazole-based compound such as 2-(2H-benzotriazol-2-yl)-4,6-bis(1-methyl-1-phenylethyl)phenol (UV234) as a light stabilizer 0.1 to 1.5 % by weight, and 0.2 to 2% by weight of carbon black as a colorant.

상기한 최적 조합 조성을 갖는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가공성과 함께, 내열성, 내화학성, 기계적 강도 특성 및 충격 강도, 특히 저온 충격 강도 특성을 나타낸다. 또 취성의 개선으로 냄새 발생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optimal combination composition exhibits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mechanical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impact strength, particularly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characteristics, along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In addition, odor generation can be greatly reduced by improving the brittleness.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사출온도 260℃, 압력 1000Kgf의 조건으로 스파이럴(Spiral)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을 하였을 때 사출 성형품의 길이가 15 cm 이상, 또는 15 내지 20cm로 우수한 성형성을 나타낸다. Specifically, when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is injected using a spiral mold under the conditions of an injection temperature of 260° C. and a pressure of 1000 Kgf, the length of the injection-molded article is 15 cm or more, or 15 to 20 cm. indicates gender.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ISO 75 방법에 따라 측정한 열변형 온도(Heat deflection temperature; HDT)가 90℃ 이상, 또는 90 내지 110℃ 로 우수한 열 안정성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exhibits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t a heat deflection temperature (HDT) of 90° C. or higher, or 90 to 110° C. measured according to the ISO 75 method.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ISO 179에 따라 23℃에서 측정한 샤르피 강도가 45 KJ/m2 이상, 또는 45 내지 60 KJ/m2 이고, ISO 179에 따라 -30℃에서 측정한 샤르피 강도가 30 KJ/m2 이상 또는 30 내지 40 KJ/m2로, 상온 및 저온에서의 충격 강도 특성이 우수하다.In addition,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has, for example, a Charpy strength of 45 KJ/m 2 or more, or 45 to 60 KJ/m 2 measured at 23° C. according to ISO 179, and at -30° C. according to ISO 179 The measured Charpy strength is 30 KJ/m 2 or more or 30 to 40 KJ/m 2 , and the impact strength characteristics at room temperature and low temperature are excellent.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1%의 응력을 가한 인장시편 표면에 대해 신나를 도포 한 후 24시간 방치시 내화학성이 2 등급 이하, 또는 1 내지 2등급으로서, 미세 크랙이 일부 발생하는 것 외에는 거의 변화가 없는 우수한 내화학성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has chemical resistance of 2 or less grades, or 1 to 2 grades when a thinner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a tensile specimen to which a stress of 1% is applied and left for 24 hours, for example, and fine cracks It exhibits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with little change except for some occurrences.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VDA 270 B3에 따라 측정한 냄새 등급이 3.0 이하 또는 1.0 내지 3.0로 현저히 개선된 취성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exhibits significantly improved brittleness with an odor grade of 3.0 or less or 1.0 to 3.0 measured according to VDA 270 B3, for example.

더 나아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ISO 527에 따라 23 ℃에서 50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인장 강도가 50 MPa 이상, 또는 50 내지 60MPa로 우수한 기계적 강도 특성을 나타낸다. Furthermore,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has, for example, a tensile strength of 50 MPa or more, or 50 to 60 MPa measured at a rate of 50 mm/min at 23° C. according to ISO 527, indicating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properties.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eparing the above-described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80 중량%, (b)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 내지 44중량%, (c) 부타디엔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코어-쉘 구조를 갖는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 2 내지 8중량%, (d)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3 내지 16중량%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융혼련 후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includes (a) 50 to 80% by weight of a polycarbonate resin, (b) 10 to 44% by weight of a vinyl cyanid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c) 2 to 8% by weight of a rubbery graft copolymer containing butadiene and methyl methacrylate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d) 3 to 16% by weight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optionally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additive , melt-kneading and then extruding.

상기 용융 혼련은 일례로 220 내지 290 ℃, 또는 240 내지 270 ℃에서 실시될 수 있다.The melt-kneading may be carried out, for example, at 220 to 290 °C, or 240 to 270 °C.

또,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우수한 가공성과 함께, 내열성, 내화학성 및 충격 강도, 특히 저온 충격 강도 특성을 나타내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prepared by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along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impact strength, in particular, produced using a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exhibiting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characteristics We provide molded products.

상기 성형품은 상술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원료로 사용하여 압출, 사출 또는 캐스팅 등의 방법으로 성형하여 얻어지는 물품이며, 상기 성형 방법 및 조건은 성형품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 및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성형품은 상기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혼합 및 압출 성형하여 펠릿으로 제조한 후, 상기 펠릿을 건조하여 사출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molded article is an article obtained by molding by a method such as extrusion, injection or casting using the above-described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s a raw material, and the molding method and condition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olded article. . For example, the molded article may be manufactured by mixing and extrusion molding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to prepare pellets, and then drying the pellets and injecting them.

상기 성형품은 상기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됨에 따라 우수한 성형성, 내열성, 내화학성 및 충격 강도을 나타내며, 특히 개선된 취성을 나타냄으로써 냄새 발생의 우려가 없다. 이에 따라 자동차, OA전자기기, 전기 전자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자동차 내장재로의 적용에 적합할 수 있다.As the molded article is formed from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it exhibits excellent moldability,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impact strength, and in particular, there is no concern of odor generation by exhibiting improved brittleness. Accordingly, it can be applied to automobiles, OA electronic device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and the like, and can be particularly suitable for application to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본 발명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TVOC 함량이 감소된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그리고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소정의 범위로 최적화하여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성형성과 충격강도 특성, 특히 저온 충격강도 특성을 나타내며, 또 기존 소재에 비해 냄새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어 자동차 내장재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carbonate resin and the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with reduced TVOC content, and the rubber graft copolymer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are optimized and included in a predetermined range to provide excellent molding. It exhibits performance and impact strength characteristics, especially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can significantly improve odor compared to existing materials, so it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interior material for automobiles.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of the invention. However, this is presented as an exampl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in any sense by this.

실시예Example 1 내지 4, 및 1 to 4,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내지 9 1 to 9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 비율의 PC-ABS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각각의 성분들을 기재 함량으로 첨가하여 믹서로 혼합하고, 250 ℃ 조건 하에서 이축 압출기 (twin-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용융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펠렛을 제습 건조기에서 80 ℃에서 4 시간 건조한 후, 시편 제작용 몰드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편은 상온에서 2일 이상 방치한 후 이하 실험예에서의 물성 평가에 사용하였다.The PC-ABS alloy resin composition of the composition ratio as shown in Table 1 below was mixed with a mixer by adding each component to the base content, and melt-extruded using a twin-screw extruder under the condition of 250 ° C. to prepare a pellet. After drying the prepared pellets at 80 °C in a dehumidifying dryer for 4 hours, injection molding was performed using a mold for specimen preparation to prepare a specimen. The prepared specimens were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2 days or more, and then used for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in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하기 표 1의 조성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수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중량%로 기재하였다.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below,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was described in weight %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22 33 44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aa PC
(중량%)
PC
(weight%)
5050 7070 6060 72.572.5 8181 4545 7070 7070 7070 7070 5151 7979 5050
b1b1 ABS-1
(중량%)
ABS-1
(weight%)
-- -- -- -- -- -- 21.521.5 -- -- -- -- -- --
b2b2 ABS-2
(중량%)
ABS-2
(weight%)
32.532.5 21.521.5 22.522.5 1515 10.510.5 37.537.5 -- 25.525.5 15.515.5 23.523.5 26.526.5 66 44.544.5
cc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량%)
rubbery graft copolymer
(weight%)
44 44 44 66 44 44 44 -- 1010 44 44 44 22
dd PBT
(중량%)
PBT
(weight%)
1313 44 1313 66 44 1313 44 44 44 22 1818 10.510.5 33
ee 첨가제
(중량%)
additive
(weight%)
0.50.5 0.50.5 0.50.5 0.50.5 0.50.5 0.50.5 0.50.5 0.50.5 0.50.5 0.50.5 0.50.5 0.50.5 0.50.5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The compounds us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a) PC: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LG 화학사제의 LUPOY PC1300-15™, MFR(ASTM D 1238에 따라 300℃, 1.2kg의 조건에서 측정)=15 g/10min, 밀도(ASTM D792에 따라 측정)=1,200 kg/m3, Mw= 20,000~80,000g/mol)(a) PC: polycarbonate resin (LUPOY PC1300-15™ manufactured by LG Chem, MFR (measured at 300°C and 1.2 kg according to ASTM D 1238) = 15 g/10 min, density (measured according to ASTM D792) =1,200 kg/m 3 , Mw= 20,000~80,000g/mol)

(b1) ABS-1: 유화중합 ABS (LG 화학사제의 DP270E™, TVOC 함량(Purge & Trap sampler-GC/MSD를 사용하여 평가): 20,000ppm, 부타디엔 고무 함량: 55중량% 및 평균 입자 크기(D50): 0.4㎛)(b1) ABS-1: emulsion polymerization ABS (DP270E™ manufactured by LG Chem, TVOC content (evaluated using Purge & Trap sampler-GC/MSD): 20,000 ppm, butadiene rubber content: 55 wt% and average particle size ( D 50 ): 0.4 μm)

(b2) ABS-2: 벌크중합 ABS (LG 화학사제의 ER400H™, TVOC 함량(Purge & Trap sampler-GC/MSD를 사용하여 평가): 3,000ppm, 부타디엔 고무 함량: 공중합체 총 중량 기준 15중량% 및 평균 입자 크기(D50) 1㎛, MFR(ISO 1133에 따라 220℃에서 10 kg 하중으로 측정) 5.5 g/10min, 밀도(ISO 1183에 따라 측정) 1.04 g/cm3) (b2) ABS-2: Bulk polymerized ABS (ER400H™ manufactured by LG Chem, TVOC content (evaluated using Purge & Trap sampler-GC/MSD): 3,000 ppm, butadiene rubber content: 1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and mean particle size (D 50 ) 1 μm, MFR (measured according to ISO 1133 at 220° C. with a 10 kg load) 5.5 g/10 min, density (measured according to ISO 1183) 1.04 g/cm 3 )

(c)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 부타디엔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가 코어-쉘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LG 화학사제의 EM520™, 코어:쉘 중량비=70:30) (c) rubber graft copolymer: a copolymer of butadiene and methyl methacrylate (MMA)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EM520™ manufactured by LG Chem, core:shell weight ratio = 70:30)

(d) PB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CHANG CHUN사제의 1100-211S™, 고유점도(ASTM D2857에 따라 25℃, 디클로로 아세트산 용매중에서 측정)=1.20 dl/gr, 카르복시기 말단기 함량(Titrimetric method에 의해 측정)=45 meq/kg 이하, MFR (ASTM D1238에 따라 235℃, 2.16kg의 조건에서 측정)=8~10 g/10min)(d)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1100-211S™ manufactured by CHUN CHUN, intrinsic viscosity (measured in dichloroacetic acid solvent at 25° C. according to ASTM D2857) = 1.20 dl/gr, carboxyl end group content (by Titrimetric method) Measured by) = 45 meq/kg or less, MFR (measured at 235°C and 2.16 kg according to ASTM D1238) = 8 to 10 g/10 min)

(e) 첨가제 (수지 조성물 총 중량 기준) (e) additive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e1) 열안정제: IR1076 (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0.1중량%(e1) Heat stabilizer: IR1076 (Octadecyl-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0.1 wt%

(e2) 활제: PETS-AHS (Pentaerythritol fatty acid ester) 0.1중량% (e2) lubricant: PETS-AHS (Pentaerythritol fatty acid ester) 0.1% by weight

(e3) 광안정제: UV234 (cas no. 70321-86-7) 0.1중량% (e3) light stabilizer: UV234 (cas no. 70321-86-7) 0.1% by weight

(e4) 조색제: Carbon balck 0.2중량%(e4) Toner: Carbon balck 0.2% by weight

<< 시험예test example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The properties of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MPaMPa ))

ISO 527에 의거하여 23 ℃에서 시험속도 50 mm/min 측정하였다(시료 두께 4 mm). 값이 높을수록 인장강도가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According to ISO 527, the test speed was 50 mm/min at 23 °C (sample thickness 4 mm). The higher the value, the better the tensile strength.

샤르피Charpy 노치notch 충격 강도(KJ/m Impact strength (KJ/m 22 ))

ISO 179에 의거하여 80Х10Х4 mm3의 V-노치된 샘플 상에서 상온(23℃) 및 저온(-30℃)에서의 샤르피 노치 충격 강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특히 저온 충격 강도의 경우, -30℃의 항온 챔버에 시편을 노치를 내어 3시간 보관 후 측정하였다.According to ISO 179, the Charpy notch impact strength at room temperature (23° C.) and low temperature (-30° C.) was measured on a V-notched sample of 80Х10Х4 mm 3 , respectivel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the specimen was cut out in a constant temperature chamber at -30°C and stored for 3 hours, and then measured.

측정된 값이 높을수록 충격강도가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The higher the measured value, the better the impact strength.

열변형 온도(Heat deflection temperature; Heat deflection temperature (Heat deflection temperature; HDTHDT ) (℃)) (℃)

ISO 75에 의거하여, 1.8Mpa 및 ISO Flatwise의 조건에서 HDT를 측정하였다. In accordance with ISO 75, HDT was measured under conditions of 1.8 Mpa and ISO Flatwise.

성형성 (cm)Formability (cm)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사출온도 260℃, 압력 1000Kgf의 조건으로 스파이럴(Spiral)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하고, 사출되는 성형품의 길이를 측정 하였다. 길이가 길수록 성형성이 우수한 것이다.Using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injection was performed using a spiral mold under the conditions of an injection temperature of 260° C. and a pressure of 1000 Kgf, and the length of the molded article to be injected was measured. The longer the length, the better the moldability.

내화학성 평가Chemical resistance evaluation

신너(Thinner)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It was evaluated using a thinner (Thinner).

구체적으로는 1%의 응력을 가한 인장시편 표면에 신나를 도포한 후 24시간 방치하고, 표면을 관찰 하였다. Specifically, after applying the thinner to the surface of the tensile specimen to which a stress of 1% was applied, it was left for 24 hours, and the surface was observed.

하기 기준에 따라 내화학성을 평가하였으며, 낮을수록 내화학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1 및 2 등급까지 양호로 판단하였다. Chemical resistanc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nd a lower value means better chemical resistance. Grades 1 and 2 were judged as good.

<등급 분류><Classification>

4등급 - 시편 완전 파단 Grade 4 - Complete rupture of the specimen

3등급 - 육안상 크랙 관찰Grade 3 - Visual crack observation

2등급 - 미세 크랙 발생Grade 2 - Microcracks

1등급 - 이상 없음 Level 1 - No abnormalities

냄새 평가Odor Assessment

독일 자동차 산업 협회(www.vda.de)의 냄새 등급 측정 방법, VDA 270 B3에 의거하여 시편 20±2 cm3을 1 L 유리 용기에 넣고, 80±2 ℃에서 2h±10min 동안 보관 후 시편 뚜껑을 열고 냄새를 맡아 평가하였다. 이때, 냄새 등급은 하기와 같이 1-6 등급으로 정의되며 0.5 등급 단위로 측정하였다. 각 Grade에 대한 Scale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낮을수록 냄새가 적게 나는 것이며, 3.0 이하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According to the odor rating measurement method of the German Automobile Industry Association (www.vda.de), VDA 270 B3, 20±2 cm 3 of the specimen is placed in a 1 L glass container, stored at 80±2 ℃ for 2h±10min, and then the specimen lid was opened and smelled for evaluation. At this time, the odor grade is defined as 1-6 grades as follows, and was measured in 0.5 grade units. The scale for each grade is defined as follows. The lower the odor, the less the smell, and 3.0 or less was judged to be good.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1.0 : not perceptible (지각할 수 없음)1.0 : not perceptible

2.0 : perceptible, not disturbing (지각 가능하지만, 방해되지 않음)2.0: perceptible, not disturbing

3.0 : Clearly perceptible, but not disturbing (명확히 지각 가능하지만, 방해되지 않음)3.0: Clearly perceptible, but not disturbing

4.0 : disturbing (방해됨)4.0: disturbing

5.0 : strongly disturbing (강력하게 방해됨)5.0 : strongly disturbing

6.0 : Not acceptable (참을 수 없음)6.0: Not acceptable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One 22 33 44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인장강도
(MPa)
tensile strength
(MPa)
5050 5555 5353 5555 5858 4747 4545 5656 4848 5353 5353 5555 4545
샤르피 노치 충격 강도
(23℃, KJ/m2)
Charpy Notch Impact Strength
(23℃, KJ/m 2 )
5555 4848 4545 4848 4040 5555 5050 4545 5555 5050 5050 4040 5353
샤르피 노치 충격 강도
(-30℃, KJ/m2)
Charpy Notch Impact Strength
(-30℃, KJ/m 2 )
3535 3535 3232 3636 2020 3535 4040 2020 4242 3737 3030 1515 3232
HDT
(℃)
HDT
(℃)
9191 110110 9898 109109 117117 8585 110110 110110 110110 110110 8080 109109 100100
Spiral (성형성) (cm)Spiral (Formability) (cm) 2020 1515 1818 1515 1010 2525 1212 1717 1313 1313 2222 1313 1818 내화학성chemical resistance 1One 22 1One 22 22 1One 22 22 22 33 1One 1One 22 냄새smell 3.03.0 2.52.5 2.52.5 3.03.0 2.02.0 3.53.5 4.04.0 2.52.5 3.03.0 3.03.0 3.03.0 2.02.0 3.03.0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충족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9와 비교하여 성형성, 내열성, 내화학성, 충격 강도, 기계적 특성 및 취성이 발란스 좋게 모두 개선되었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resin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4 satisfy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improved in formability,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impact strength, mechanical properties, and brittleness in good balanc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9. .

구체적으로, 비교예 1로부터 수지 조성물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함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충격 강도 및 성형성이 저하되고, 비교예 2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함량이 지나치게 적을 경우 인장 강도, 내열성 및 냄새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Specifically, from Comparative Example 1, when the polycarbonate resin content in the resin composition is too large, impact strength and moldability are reduced, and from Comparative Example 2, when the polycarbonate resin content is too small, tensile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odor properties are reduced can check that

또, 비교예 3으로부터 유화중합된 ABS를 사용할 경우, 인장강도, 성형성 저하, 냄새 특성 저하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from Comparative Example 3, when the emulsion-polymerized ABS is us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ensile strength, the moldability, and the odor characteristic are deteriorated.

또, 비교예 4로부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수지 조성물의 저온충격 강도가 저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예 5로부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 함량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인장 강도 및 성형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from Comparative Example 4,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low-temperature impact strength of the resin composition is lowered when the rubber graft copolymer is not included. From Comparative Example 5, when the rubber graft copolymer content is too high, tensile strength and moldability It can be seen that this decreases.

또, 비교예 6으로부터 PBT 함량이 적을 경우 내화학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비교예 7로부터 PBT 함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내열성이 저하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from Comparative Example 6 that the chemical resistance is lowered when the PBT content is small, and from Comparative Example 7,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heat resistance is lowered when the PBT content is excessively large.

또 비교예 8로부터 ABS 수지의 물성 요건을 충족하더라도 그 함량이 적을 경우 성형성이 저하되고 상온 및 조언에서의 충격강도가 모두 저하되고, 또 그 함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는 실시예 수준의 충격 강도 특성을 나타내지만, 인장 강도가 크게 저하되었다. In addition, from Comparative Example 8, even if the physical property requirements of the ABS resin are met, when the content is small, the moldability is reduced, and the impact strength at room temperature and advice is both reduced, and when the content is too large, the impact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Example level , but the tensile strength was greatly reduced.

상기한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효과 구현을 위해서는 (a) 내지 (d)의 성분을 최적 함량으로 포함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From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seen that in order to implement 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a) to (d) should be included in an optimal amount.

Claims (16)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 내지 72.5 중량%,
(b)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22.5 내지 44중량%,
(c) 공액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화합물의 코어, 및 상기 코어 상에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쉘로 이루어진 코어-쉘 구조를 갖는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 2 내지 8중량%, 및
(d)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3 내지 16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b)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함량이 3,500ppm 이하이고,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상기 (b)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72.5:22.5 내지 55:45의 중량비로 포함되고,
상기 (c)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b)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5.6중량부로 포함되는,
ISO 527에 의거하여 23 ℃에서 시험속도 50 mm/min 측정한 인장 강도가 50Mpa 이상이고, ISO 179에 따라 23℃에서 측정한 샤르피 강도가 45 KJ/m2 이상이고, -30℃에서 측정한 샤르피 강도가 30 KJ/m2 이상이며, 사출온도 260℃, 압력 1000Kgf의 조건으로 스파이럴(Spiral)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을 하였을 때 사출 성형품의 길이가 18cm 이상이고, ISO 75 방법에 따라 측정한 열변형 온도가 90℃ 이상이고, VDA 270 B3에 따라 측정한 냄새 등급이 1.0 내지 3.0인,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a) 50 to 72.5% by weight of a polycarbonate resin,
(b) 22.5 to 44 wt% of a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c) 2 to 8 wt% of a rubbery graft copolym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comprising a core of a conjugated diene-based rubbery polymer compound and a shell in which an acrylate-based compound is grafted on the core, and
(d) 3 to 16% by weight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The (b)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has a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tent of 3,500 ppm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The (a) polycarbonate resin and the (b)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ar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72.5:22.5 to 55:45,
The (c) rubber graft copoly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35.6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According to ISO 527, the tensile strength measured at a test speed of 50 mm/min at 23 ° C is 50 Mpa or more, and the Charpy strength measured at 23 ° C according to ISO 179 is 45 KJ/m 2 or more, and the Charpy measured at -30 ° C. When the strength is 30 KJ/m 2 or more, when injection is performed using a spiral mold under the conditions of injection temperature of 260 ° C and pressure of 1000 Kgf, the length of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is 18 cm or more, and thermal deformation measured according to the ISO 75 method A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having a temperature of 90° C. or higher and an odor rating of 1.0 to 3.0 measured according to VDA 270 B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ASTM D 1238에 의거하여 300℃, 1.2kg의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속도가 2 내지 30 g/10min이고,
ASTM D792에 따라 측정한 밀도가 800 내지 1,500 kg/m3 이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 내지 80,000 g/mol인,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carbonate resin has a melt flow rate of 2 to 30 g/10min, measured at 300°C and 1.2 kg in accordance with ASTM D 1238,
has a density of 800 to 1,500 kg/m 3 measured according to ASTM D792,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0 to 80,000 g/mol, a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공액디엔 화합물을 10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conjugated diene compound in an amount of 10 to 2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상기 공액디엔 화합물로서 공액디엔계 고무를 포함하고,
상기 공액디엔계 고무는 평균 입자 크기(D50)가 0.6 내지 2.0㎛인,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includes a conjugated diene-based rubber as the conjugated diene compound,
The conjugated diene-based rubber has an average particle size (D 50 ) of 0.6 to 2.0 μm, a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인,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vinyl cyan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is a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ISO 1133에 따라 220℃에서 10 kg 하중으로 측정한 용융흐름속도가 3 내지 65 g/10min이고, ISO 1183에 따라 측정한 밀도가 1.0 내지 1.2 g/cm3인,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vinyl cyanide compound-conjugated diene compound-aromatic vinyl compound copolymer has a melt flow rate of 3 to 65 g/10 min measured at 220° C. under a 10 kg load according to ISO 1133, and a density of 1.0 measured according to ISO 1183 to 1.2 g/cm 3 of, a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부타디엔 고무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 상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 되어 형성된 쉘로 이루어진, 코어-쉘 구조를 갖는 부타디엔-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인,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rubbery graft copolymer may include a core including butadiene rubber; and a shell formed by grafting methyl methacrylate on the core, a butadiene-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a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쉘은 상기 고무질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에 40:60 내지 80:2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core and the shell are included in the rubber graft copolymer in a weight ratio of 40:60 to 80:20, a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ASTM D2857에 따라 25℃, 디클로로 아세트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가 1.0 내지 1.5 dl/gr 이고, 카르복시기 말단기의 함량이 50 meq/kg 이하이며, ASTM D1238에 따라 235℃, 2.16kg의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속도가 2 내지 20 g/10min인,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butylene terephthalate has an intrinsic viscosity of 1.0 to 1.5 dl/gr measured in a dichloroacetic acid solvent at 25° C. according to ASTM D2857, and a content of carboxyl end groups of 50 meq/kg or less, and 235° C. according to ASTM D1238 , The melt flow rate measured under the condition of 2.16 kg is 2 to 20 g / 10 min,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제9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A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polycarbonate-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of any one of claims 1 to 6, 8, 9, and 11.
KR1020180150140A 2018-11-28 2018-11-28 Polycarbonate 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KR1023306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140A KR102330601B1 (en) 2018-11-28 2018-11-28 Polycarbonate 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140A KR102330601B1 (en) 2018-11-28 2018-11-28 Polycarbonate 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887A KR20200063887A (en) 2020-06-05
KR102330601B1 true KR102330601B1 (en) 2021-11-23

Family

ID=7108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140A KR102330601B1 (en) 2018-11-28 2018-11-28 Polycarbonate 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60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2264A1 (en) * 2022-03-08 2023-09-13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Automotive interior part with low od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9680A1 (en) * 2009-02-19 2010-08-26 Bayer Materialscience Ag Compoundin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 compositions with reduced cont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JP5583947B2 (en) * 2009-10-09 2014-09-03 帝人株式会社 Antista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KR101577006B1 (en) * 2013-12-09 2015-12-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Thermoplas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KR102060635B1 (en) * 2016-03-10 2019-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thin film article made from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2264A1 (en) * 2022-03-08 2023-09-13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Automotive interior part with low od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887A (en)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0917B2 (e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4881531B2 (en) Method for producing recycled resin composition
JP5301856B2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appearance
KR20090126804A (en) Polylactic acid resin composition
CN109863203B (en) Polycarbonate compositions comprising talc
CN109988405B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102553255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JP3892662B2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resin composition
JP2007154173A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for molding thin-wall molded product
KR102018714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WO2007061038A1 (e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JP4547100B2 (e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KR102330601B1 (en) Polycarbonate based alloy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JP2003277597A (en) Glass fiber-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O2013001867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2009035616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resin molded product
JP2002105295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2244000B1 (en) Polycarbonate 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JP4723059B2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2002309076A (en) Glass fiber-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2007169616A (e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KR102181558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KR102175715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6310240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laser direct structuring, resin molded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resin molded product
JP2013112752A (e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