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642B1 -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642B1
KR102329642B1 KR1020170049886A KR20170049886A KR102329642B1 KR 102329642 B1 KR102329642 B1 KR 102329642B1 KR 1020170049886 A KR1020170049886 A KR 1020170049886A KR 20170049886 A KR20170049886 A KR 20170049886A KR 102329642 B1 KR102329642 B1 KR 10232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flat cable
electronic circuit
cable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433A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843,06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08359B2/en
Publication of KR20180070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회로기판, 상기 전자회로기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케이블 연결구멍,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내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내부 접점,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상기 복수의 내부 접점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점이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플랫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단을 상기 전자회로기판의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에 삽입하면, 상기 플랫 케이블의 복수의 접점이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복수의 내부 접점과 접촉한다.

Description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Connection structure for flat cable and print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가 마련되지 않은 전자회로기판에 플랫 케이블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회로기판에 마련된 전자회로는 플랫 케이블을 통해 다른 전자회로기판에 마련된 전자회로 또는 전자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플랫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전자회로기판에는 커넥터가 마련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회로기판(100)에 커넥터(110)가 설치되어 있으며, 플랫 케이블(120)은 커넥터(110)에 고정된다. 이때, 플랫 케이블(120)은 전자회로기판(100)과 대략 평행인 상태로 커넥터(110)에 고정된다.
전자회로기판(100)의 커넥터(110)에 플랫 케이블(12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커넥터(110)의 고정 커버(112)를 열어 연결부(114)를 개방한다. 그 후, 플랫 케이블(120)의 일단을 전자회로기판(100)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커넥터(110)의 연결부(114)에 삽입한 후, 다시 고정 커버(112)를 닫으면 플랫 케이블(120)이 전자회로기판(100)의 커넥터(110)에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플랫 케이블(120)과 전자회로기판(100)의 연결 구조는 커넥터(110)의 고정 커버(112)를 개폐하여야 하고, 플랫 케이블(120)을 전자회로기판(100)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커넥터(110)에 삽입하여야 하므로 자동화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전자회로기판(100)에 설치된 커넥터(110)의 고정 커버(112)를 개폐하고, 플랫 케이블(120)을 전자회로기판(100)에 대략 평행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자동화 설비의 구조가 복잡하므로 자동화 설비 자체의 제조 가격이 비싸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구조는 전자회로기판의 조립 비용을 줄이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전자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제거하여 플랫 케이블을 전자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작업을 쉽게 자동화할 수 있으며, 자동화 설비 자체의 비용도 줄일 수 있어 전자회로기판의 조립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는, 전자회로기판; 상기 전자회로기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케이블 연결구멍;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내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내부 접점;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상기 복수의 내부 접점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점이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플랫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단을 상기 전자회로기판의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에 삽입하면, 상기 플랫 케이블의 복수의 접점이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복수의 내부 접점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내부 접점 각각은,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내면에 형성된 반원형 단면의 접점 홈; 및 상기 접점 홈의 내면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며,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내부 접점 각각은, 상기 도전층에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내면과 동일 높이로 채워지며, 전기 전도성을 갖는 충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내부 접점 각각은,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내면으로 노출되는 상기 충전 부재의 표면에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도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내부 접점은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이 형성된 상기 전자회로기판의 일면에 대해 수직하거나 또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 케이블은, 베이스부; 커버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도선; 상기 커버부의 일단에서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도선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커버부와 반대쪽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로 노출된 상기 복수의 도선의 일부분이 상기 복수의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단에는 테이퍼 형상의 삽입 구조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랫 케이블의 연결구의 양 측단에는 한 쌍의 고정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복수의 접점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에 삽입하면,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복수의 접점이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복수의 내부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는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복수의 접점에 대응하며,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접점을 포함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에 상기 하우징이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 접점이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상기 내부 접점에 접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자회로기판에서 플랫 케이블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회로기판의 케이블 연결구멍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케이블 연결구멍의 복수의 내부 접점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7은 전자회로기판에 형성된 케이블 연결구멍의 복수의 내부 접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전자회로기판에 형성된 케이블 연결구멍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9a, 도 9b, 및 도 9c는 전자회로기판에 형성된 케이블 연결구멍의 복수의 내부 접점을 형성하는 접점 홈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플랫 케이블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의 삽입 구조와 고정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5는 서로 접촉하는 전자회로기판의 내부 접점과 하우징의 하우징 접점의 다양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6a는 전자회로기판의 내부 접점과 플랫 케이블의 하우징의 하우징 접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16b는 도 16a의 전자회로기판의 내부 접점과 하우징 접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7은 전자회로기판의 내부 접점과 플랫 케이블의 하우징의 하우징 접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자회로기판에서 플랫 케이블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회로기판의 케이블 연결구멍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케이블 연결구멍의 복수의 내부 접점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는 케이블 연결구멍(10)이 마련된 전자회로기판(1)과 일단이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30)을 포함한다.
전자회로기판(1)은 일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저항, 콘덴서, 메모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전자부품이 설치된 것으로서, 다른 전자회로기판과 연결하거나 다른 전기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플랫 케이블(30)이 설치될 수 있는 케이블 연결구멍(10)이 마련된다.
케이블 연결구멍(10)은 전자회로기판(1)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케이블 연결구멍(10)은 전자회로기판(1)의 상면에서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케이블 연결구멍(1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에는 전자회로의 패턴(3)에 연결되는 복수의 내부 접점(20)이 마련된다. 복수의 내부 접점(20)은 케이블 연결구멍(10)이 형성된 전자회로기판(1)의 일면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접점(20)은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11)에 전자회로기판(1)의 상면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된다. 이하, 복수의 내부 접점(20)이 형성된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11)을 케이블 연결구멍(10)의 접점면(11)이라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내부 접점(20) 각각은 접점 홈(21)과 도전층(22)을 포함할 수 있다.
접점 홈(21)은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11)에 반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전층(22)은 접점 홈(21)의 내면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며,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전층(22)은 접점 홈(21)에 설치된 반원 단면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전층(22)에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충전 부재(23)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 부재(23)는 복수의 접점 홈(21)이 형성된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11)과 동일한 높이로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도전층(22)에 충전 부재(23)를 설치하면, 충전 부재(23)의 표면은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11)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한다.
한편,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이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블 연결구멍(10)의 입구(13)의 둘레는 라운드 가공 또는 면취 가공될 수 있다. 도 4에는 케이블 연결구멍(10)의 입구(13)가 면취 가공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을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하였을 때, 플랫 케이블(30)의 접점과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부 접점(20) 사이에서 안정적인 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부 접점(20)의 접촉면에는 도금층(25)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11)으로 노출되는 도전층(22)의 양측 단면과 충전 부재(23)의 표면에 전기 전도성 재료로 도금층(2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금층(25)은 납땜, 구리(Cu), 금(Au), 은(Ag)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복수의 내부 접점(20)은 일반적인 전자회로기판의 비어홀(via hole) 가공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회로기판(1)에 복수의 비어홀(via hole)을 형성한 후, 상기 복수의 비어홀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11)이 되도록 전자회로기판(1)을 관통하는 케이블 연결구멍(10)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내부 접점(20)을 마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플랫 케이블(30)을 결합할 케이블 연결구멍(10)의 임의의 부분에 플랫 케이블(30)의 복수의 도선(32)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복수의 비어홀을 형성한다. 이때, 복수의 비어홀은 내부를 채우거나 채우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복수의 비어홀을 길이 방향으로 절삭하여 전자회로기판(1)을 관통하는 케이블 연결구멍(10)을 형성한다. 이때, 케이블 연결구멍(10)의 일면(11)이 복수의 비어홀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과 일치되도록 가공하면, 내부 접점(20)의 접촉면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절단된 비어홀이 도전층(22)을 형성한다.
복수의 비어홀의 내부를 채우고 복수의 비어홀을 절단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내부 접점(20)의 표면(20a)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비어홀의 내부를 채운 물질이 충전 부재(23)를 형성한다. 그러나 복수의 비어홀의 내부를 채우지 않고 복수의 비어홀을 절단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내부 접점(20)의 표면(20a')은 반원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비어홀의 내부를 채우는 경우,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어홀의 도전층(22)의 표면에 충전 부재(23)를 채우는 경우에는, 비어홀을 형성한 후, 다양한 방법으로 비어홀 내부에 도전성 금속을 채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프레이 도포, 페인팅, 금속 용액 담금, 직접 주입(Injection) 방법 등을 이용하여 비어홀에 도전성 금속을 충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케이블 연결구멍(10)이 전자회로기판(1)의 상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로서, 케이블 연결구멍은 전자회로기판(1)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전자회로기판에 형성된 케이블 연결구멍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케이블 연결구멍(10')은 전자회로기판(1)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각도(θ) 경사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케이블 연결구멍(10')은 전자회로기판(1)의 상면에 대해 약 15도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케이블 연결구멍(10')의 경사 각도(θ)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내부 단자(20')도 전자회로기판(1)의 상면에 대해 케이블 연결구멍(10')과 동일한 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내부 단자(20')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접점 홈(21'), 도전층(22'), 및 충전 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 연결구멍(10')에 마련되는 복수의 내부 단자(2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전자회로기판(1)에 형성된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복수의 내부 단자(2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구멍(10')과 복수의 내부 접점(20')을 전자회로기판(1)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구멍(10)과 복수의 내부 접점(20)이 전자회로기판(1)의 상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내부 접점(20')의 길이가 길어 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30)의 접점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한다는 이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복수의 내부 접점(20)의 접점 홈의 후면을 도 9a, 도 9b,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전자회로기판에 형성된 케이블 연결구멍의 복수의 내부 접점을 형성하는 접점 홈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 홈(21)은 전자회로기판(1)의 상면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으로 노출되는 접점 홈(21)의 표면(21a)과 이 접점 홈의 표면(21a)에 마주하는 접점 홈의 후면(21b)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점 홈(21)의 일단과 타단의 폭은 동일하다(d1=d2). 따라서, 접점 홈(21)에 의해 형성된 내부 접점(20)은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으로 노출되는 접점 표면(20a)과 이 접점 표면(20a)과 대향하는 접점 후면은 서로 평행하다.
또는, 도 9b 및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점 홈(21')은 전자회로기판(1)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으로 노출되는 접점 홈(21')의 표면(21'a)은 전자회로기판의 상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접점 홈의 표면(21a)에 마주하는 접점 홈의 후면(21b)은 전자회로기판의 상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점 홈(20')은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각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점 홈(21')의 일단의 폭(d1)은 타단의 폭(d2)보다 크다. 도 9b는 접점 홈(21')의 후면(21'b)이 접점 홈의 표면(21'a), 즉,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11)에 대해 약 15도(θ1)로 경사진 경우를 나타내며, 도 9c는 접점 홈(21')의 후면(21'b)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11)에 대해 약 45도(θ2)로 경사진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접점 홈(21')을 직각 사다리꼴로 형성하면, 이 접점 홈(2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접점도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으로 노출되는 접점 표면(20a)은 전자회로기판(1)의 상면에 수직하고, 이 접점 표면(20a)과 마주하는 접점 후면은 전자회로기판(1)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직각 사다리꼴로 형성된다.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홈(21')을 직각 사다리꼴로 형성하면, 전자회로기판(1)과 내부 접점(20)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도 9b 및 도 9c에서는 접점 홈(21')의 후면(21'b)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11)에 대해 약 15도와 45도로 경사진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접점 홈(21')의 후면(21'b)의 경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접점 홈(21')의 후면(21'b)의 경사는 0~60도 범위 내에서 임의로 정할 수 있다.
플랫 케이블(30)은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복수의 내부 접점(20)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점(32a)이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에 사용되는 플랫 케이블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플랫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의 삽입 구조와 고정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플랫 케이블(30)은 베이스부(31), 복수의 도선(32), 커버부(33), 지지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1)는 복수의 도선(32)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31)는 절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부(31)는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부(31)의 길이는 연결할 2개의 전자회로기판 사이의 거리 또는 전자회로기판과 전자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도선(32)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으로서,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도선(32)은 구리로 형성된다. 복수의 도선(32)은 베이스부(31)의 일면에 나란하게 마련되며, 베이스부(31)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33)는 복수의 도선(32)을 덮도록 베이스부(31)에 설치된다. 커버부(33)는 베이스부(31)에 대응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부(31)와 동일한 절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부(33)도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33)는 복수의 도선(32)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베이스부(3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31), 복수의 도선(32), 및 커버부(33)는 난연성의 폴리에스터(polyester)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커버부(33)의 일단 부근에는 복수의 도선(32)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연결구(34)가 형성된다. 연결구(34)는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의 접점 면(11)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30)이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된 경우, 플랫 케이블(30)의 연결구(34)에 케이블 연결구멍(10)의 접점면(11)이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구(34)는 커버부(33)를 전자회로기판(1)의 두께(T)의 크기보다 긴 길이로 절단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구(34)는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33)에 형성된 연결구(34)로 노출된 복수의 도선(32)의 부분이 플랫 케이블(30)의 복수의 접점(32a)을 형성한다.
지지부(35)는 베이스부(31)의 일면, 즉 커버부(33)가 설치된 베이스부(31)의 일면과 반대쪽의 면에 설치된다. 또한, 지지부(35)는 커버부(33)에 형성된 연결구(34)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즉, 지지부(35)는 베이스부(31)를 사이에 두고 연결구(34)와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35)는 베이스부(31)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연결구(34)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다. 지지부(35)는 플랫 케이블(30)에 탄성을 부여하여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을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하였을 때, 플랫 케이블(30)의 복수의 접점(32a)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복수의 내부 접점(20)과 밀착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이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복수의 접점(20)은 플랫 케이블(30)의 연결구(34)에 위치하여 연결구(34)를 통해 노출된 복수의 도선(32)의 일부분(32a)과 접촉한다. 이때, 복수의 도선(32)의 뒤에는 베이스부(31), 지지부(35), 및 케이블 연결구멍(10)의 타측 내면(12)이 순차로 위치한다. 따라서, 케이블 연결 구멍(10)의 좁은 폭(W1)을 플랫 케이블(30)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하면, 지지부(35)의 탄성에 의해 플랫 케이블(30)의 복수의 도선(32)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부 접점(20), 즉 충전 부재(23)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35)의 두께는 베이스부(31)나 커버부(33)의 두께보다 대략 2배 이상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31)의 두께가 0.05mm이고, 커버부(33)의 두께가 0.037mm인 경우에 지지부(35)의 두께는 0.233mm로 할 수 있다. 또한, 플랫 케이블(30)의 두께는 케이블 연결구멍(10)의 좁은 폭(W1)보다 크게 형성한다. 이때, 플랫 케이블(30)의 두께와 케이블 연결구멍(10)의 좁은 폭(W1)은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을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플랫 케이블(30)의 복수의 접점(32a)에 충분한 접촉력을 줄 수 있도록 결정할 수 있다.
지지부(35)는 탄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부(31)와 동일한 재료, 즉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35)는 베이스(31)의 후면에 폴리에스터(polyester)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35)는 테이프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35)의 일부는 베이스부(31)에서 떨어져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31)에서 떨어진 지지부(35)의 일부는 플랫 케이블(30)을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서 분리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부(35)가 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베이스부(31)와 떨어진 지지부(35)의 일부에 실리콘 테이프(36)를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35)의 일부에 실리콘 테이프(36)를 부착하면, 지지부(35)의 일부가 베이스부(31)의 후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33)의 일면에는 전도성 테이프(39)가 설치될 수 있다. 전도성 테이프(39)는 커버부(33)보다 작은 크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을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에 대응하는 지지부(35)의 일단의 모서리(35a)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취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 대한 플랫 케이블(3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삽입 구조(40)와, 플랫 케이블(30)이 케이블 연결구멍(10)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구조(44)를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에 마련할 수 있다.
삽입 구조(40)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의 양 측면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테이퍼 형상은 전자회로기판(1)의 하부로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즉,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을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 결합하면, 삽입 구조(40)는 전자회로기판(1)의 하부로 돌출된다. 테이퍼(40)의 시작단(40a)의 폭(S1)은 케이블 연결구멍(10)의 긴 폭(W2)보다 좁게 형성하고, 테이퍼(40)의 끝단(40b)의 폭(S2)은 케이블 연결구멍(10)의 긴 폭(W2)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퍼 형상의 삽입 구조(40)를 갖는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을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고정 구조(44)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끝단(40b)에 근접하게 마련된 한 쌍의 고정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 홈(44)은 플랫 케이블(30)의 양 측면에 연결구(34)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 홈(44)은 전자회로기판(1)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고정 구조(44)는 연결구(34)가 마련된 베이스부(31)의 양 측단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 홈(4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고정 홈(44)은 복수의 도선(32) 중의 최외측에 배치된 한 쌍의 도선에서 이격되며, 한 쌍의 고정 홈 사이의 간격(S3)은 케이블 연결구멍(10)의 긴 폭(W2)보다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을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할 때, 테이퍼 형상의 삽입 구조(40)에 의해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이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쉽게 삽입된다. 이때, 테이퍼 끝단(40b)의 폭(S2)은 케이블 연결구멍(10)의 긴 폭(W2)보다 크나, 플랫 케이블(30)이 탄성이 있으므로, 소정의 힘을 가하면 테이퍼의 끝단(40b)은 케이블 연결구멍(10)을 통과할 수 있다.
삽입 구조(40)의 테이퍼 끝단(40b)에 연속하여 고정 구조(44)를 이루는 한 쌍의 고정 홈이 마련되므로, 플랫 케이블(30)의 삽입 구조(40)가 케이블 연결구멍(10)을 통과하면 케이블 연결구멍(10) 둘레의 전자회로기판(1)이 한 쌍의 고정 홈(44)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플랫 케이블(30)의 삽입 구조(40)가 케이블 연결구멍(10)을 통과하면, 테이퍼의 끝단(40b)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면, 삽입 구조(40)의 테이퍼 끝단(40b)의 폭(S2)은 케이블 연결구멍(10)의 긴 폭보(W2)다 커서 전자회로기판(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이 한번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되면, 플랫 케이블(30)이 케이블 연결구멍(10)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이하,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는 케이블 연결구멍(10)이 마련된 전자회로기판(1)과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되는 하우징(50)을 구비한 플랫 케이블(30)을 포함한다.
전자회로기판(1)은 일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설치된 것으로서, 다른 전자회로기판과 연결하거나 다른 전기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플랫 케이블(30)이 설치될 수 있는 케이블 연결구멍(10)이 마련된다.
케이블 연결구멍(10)의 일측의 내면(11)에는 복수의 내부 접점(20)이 마련된다. 전자회로기판(1)에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구멍(10)은 하우징(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5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11)에 마련되는 복수의 내부 접점(20)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플랫 케이블(30)은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의 복수의 접점(32a)에는 하우징(50)이 설치된다.
플랫 케이블(30)은 베이스부(31), 복수의 도선(32), 커버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1)는 복수의 도선(32)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31)는 절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부(31)는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부(31)의 길이는 연결할 2개의 전자회로기판 사이의 거리 또는 전자회로기판과 전자기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도선(32)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으로서,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도선(32)은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도선(32)은 베이스부(31)의 일면에 나란하게 마련되며, 베이스부(31)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33)는 복수의 도선(32)을 덮도록 베이스부(31)에 설치된다. 커버부(33)는 베이스부(31)에 대응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부(31)와 동일한 절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부(33)도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33)는 복수의 도선(32)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베이스부(31)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31), 복수의 도선(32), 및 커버부(33)는 난연성의 폴리에스터(polyester)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커버부(33)의 일단 부근에는 복수의 도선(32)이 노출되도록 연결구(34)가 형성된다. 연결구(34)는 하우징(50)의 연결 접점(54)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에 하우징(50)이 설치된 경우, 하우징(50)의 연결 접점(54)이 연결구(34)를 통해 노출된 복수의 도선(32)과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구(34)는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커버부(33)에 형성된 연결구(34)로 노출된 복수의 도선(32)의 부분이 플랫 케이블(30)의 복수의 접점을 형성한다.
하우징(50)은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구(34)를 통해 복수의 접점(3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하우징(50)은 하우징 몸체(51)와 복수의 터미널(5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몸체(51)는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블 연결구멍(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터미널(53)을 고정한다. 하우징 몸체(51)의 일단에는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이 결합되는 케이블 연결부(51a)가 마련되며, 타단에는 복수의 터미널(53)의 일단이 노출되는 접점부(51b)가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 몸체(51)에는 하우징(50)이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되었을 때, 하우징(50)이 케이블 연결구멍(1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우징 몸체(51)를 전자회로기판(1)에 고정하는 고정부(57)가 마련된다.
복수의 터미널(53)은 하우징 몸체(51)의 내부에 설치되며, 플랫 케이블(30)의 복수의 도선(32)과 일대 일로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터미널(53) 각각은 하우징(50)의 케이블 연결부(51a)에 고정된 플랫 케이블(30)의 접점(32a)과 접촉하는 연결 접점(54)과 하우징 몸체(51)의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접점(55)을 포함한다. 즉, 복수의 하우징 접점(55)은 하우징 몸체(51)의 일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플랫 케이블(30)의 복수의 접점(20a)과 일대 일로 대응된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에 설치된 하우징(50)을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하면, 하우징(50)의 하우징 접점(55)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부 접점(20)과 접촉하므로, 플랫 케이블(30)의 복수의 접점(20a)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복수의 내부 접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터미널(53)의 연결 접점(54)은 플랫 케이블(30)의 도선(32)과 2점에서 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53)의 하우징 접점(55)도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부 접점(20)과 2점에서 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미널(53)의 연결 접점(54)과 하우징 접점(55)은 2점 접촉 접점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터미널(53)의 하우징 접점(55)과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부 접점(20)은 서로 면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접점(55)과 내부 접점(20) 사이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하우징 접점(55)과 내부 접점(2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의 (a) 내지 (d)는 서로 접촉하는 전자회로기판의 내부 접점과 하우징의 하우징 접점의 다양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는 하우징 접점(55)과 내부 접점(20)의 접촉면을 평면으로 형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4(b)는 내부 접점(20)의 접촉면은 이등변 사다리꼴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하고, 하우징 접점(55)의 접촉면은 이등변 사다리꼴의 홈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촉면을 형성하면, 도 14(a)에 도시된 접촉면이 평면인 경우에 비해 접촉면의 면적을 늘릴 수 있다.
도 14(c)는 하우징 접점(55)과 내부 접점(20)의 접촉면에 일정 간격으로 삼각형 형상의 복수의 노치(N)를 형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4(d)는 하우징 접점(55)과 내부 접점(20)의 접촉면의 단면을 삼각파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4(c) 및 도 14(d)와 같이 하우징 접점(55)과 내부 접점(20)의 접촉면을 형성하면, 도 14(a)에 도시된 접촉면이 평면인 경우에 비해 접촉면의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이하, 전자회로기판의 케이블 연결구멍의 내부 접점에 충전 부재가 없는 경우에 하우징의 하우징 접점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a는 전자회로기판의 내부 접점과 플랫 케이블의 하우징의 하우징 접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전자회로기판의 내부 접점과 하우징 접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에 설치되는 하우징(50)의 복수의 터미널(53)의 하우징 접점(55)은 2개의 접촉점(55a)을 갖는 탄성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30)의 하우징(50)을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을 시작하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55)의 선단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복수의 내부 접점(20-1)의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내부 접점(20-1)은 대략 반원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편(55)은 내부 접접(20-1)의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내부 접점(20-1)은,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면에 형성된 반원형 단면의 접점 홈(21)과 상기 접점 홈(21)의 내면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며,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전층(2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50)에 아래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55)의 2개의 접촉점(55a)이 내부 접점(20-1)과 접촉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30)의 복수의 도선(32)은 하우징(50)에 마련된 복수의 하우징 접점(55)의 2개의 접촉점(55a)을 통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복수의 내부 접점(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6은 전자회로기판의 내부 접점과 플랫 케이블의 하우징의 하우징 접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플랫 케이블(30)의 일단에 설치되는 하우징(50)의 하우징 접점(55')은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부 접점(20-1)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부 접점(20-1)이 대략 반원형 단면의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에, 내부 접점(20-1)에 삽입되는 하우징 접점(55')은 내부 접점(20-1)의 반원형 단면에 대응하는 곡면 단면, 예를 들면, 부분 원의 단면을 갖는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30)에 설치된 하우징(50)을 전자회로기판(1)의 케이블 연결구멍(10)에 삽입하면, 하우징(50)의 돌출된 하우징 접점(55')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내부 접점(20-1)의 반원형의 공간 내부로 삽입되어 내부 접점(20-1)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30)의 복수의 도선(32)은 하우징(50)에 마련된 복수의 하우징 접점(55')의 돌출 접점을 통해 케이블 연결구멍(10)의 복수의 내부 접점(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는 전자회로기판에 커넥터를 설치하지 않고, 전자회로기판에 형성되며 복수의 내부 접점을 구비한 케이블 연결구멍에 플랫 케이블의 일단을 삽입하는 것으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이 매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는 플랫 케이블을 전자회로기판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플랫 케이블의 연결을 자동화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자동화 설비의 구조가 단순해지므로 자동화 설비 자체의 제조 가격을 낮출 수 있다.
특히, 플랫 케이블의 일단에 하우징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조립을 자동화하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전자회로기판 3; 패턴
10; 케이블 연결구멍 20,20'; 내부 접점
21,21'; 접점 홈 22; 도전층
23; 충전 부재 30; 플랫 케이블
31; 베이스부 32; 도선
33; 커버부 34; 연결구
35; 지지부 36; 실리콘 테이프
40; 삽입 구조 44; 고정 구조
50; 하우징 51; 하우징 몸체
53; 터미널 54; 연결 접점
55,55'; 하우징 접점

Claims (18)

  1. 전자회로기판;
    상기 전자회로기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 연결구멍;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내면의 일 측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내부 접점;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상기 복수의 내부 접점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점이 일 측면의 일부분을 통해 노출되도록 마련된 플랫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접점이 노출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 측면의 일부분에 반대쪽인 상기 플랫 케이블의 타 측면의 반대 부분은 개방되지 않고,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단을 상기 전자회로기판의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에 삽입하면, 상기 플랫 케이블의 타 측면의 반대 부분에 의해 상기 플랫 케이블의 복수의 접점이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복수의 내부 접점과 접촉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접점 각각은,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내면에 형성된 반원형 단면의 접점 홈; 및
    상기 접점 홈의 내면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며,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전층;을 포함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접점 각각은,
    상기 도전층에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내면과 동일 높이로 채워지며, 전기 전도성을 갖는 충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접점 각각은,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내면으로 노출되는 상기 충전 부재의 표면에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도금층;을 더 포함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접점의 접점 홈과 도전층은,
    상기 전자회로기판에 복수의 비어홀(via hole)을 형성한 후, 상기 복수의 비어홀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이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내면이 되도록 상기 전자회로기판을 관통하는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마련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접점은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이 형성된 상기 전자회로기판의 일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접점은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이 형성된 상기 전자회로기판의 일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는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입구의 둘레는 면취 가공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은,
    베이스부;
    커버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도선;
    상기 커버부의 일단에서 이격되어 상기 복수의 도선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커버부와 반대쪽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로 노출된 상기 복수의 도선의 일부분이 상기 복수의 접점을 형성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떨어져 있으며,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베이스부와 떨어진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 부착된 실리콘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단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의 모서리는 면취 가공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단에는 테이퍼 형상의 삽입 구조가 마련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연결구의 양단에는 한 쌍의 고정 홈이 마련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복수의 접점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에 삽입하면,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복수의 접점이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복수의 내부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는 하우징 몸체; 및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복수의 접점에 대응하며,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접점을 포함하는 복수의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에 상기 하우징이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 접점이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상기 내부 접점에 접촉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복수의 내부 접점에 접촉하는 상기 복수의 하우징 접점은 2점 접촉 접점인,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구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접점 각각은,
    상기 케이블 연결구멍의 내면에 형성된 반원형 단면의 접점 홈; 및
    상기 접점 홈의 내면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며,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복수의 하우징 접점은 상기 도전층에 대응하는 곡면 단면으로 형성되는,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KR1020170049886A 2016-12-16 2017-04-18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KR10232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43,066 US10608359B2 (en) 2016-12-16 2017-12-15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flat cable and electronic circuit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35161P 2016-12-16 2016-12-16
US62/435,161 2016-12-16
US201662436541P 2016-12-20 2016-12-20
US62/436,541 2016-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433A KR20180070433A (ko) 2018-06-26
KR102329642B1 true KR102329642B1 (ko) 2021-11-22

Family

ID=62788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886A KR102329642B1 (ko) 2016-12-16 2017-04-18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6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085B1 (ko) * 2019-02-25 2021-07-02 주식회사 이랜텍 박판형 데이터 케이블과 pcb간의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298Y1 (ko) * 1992-01-20 1994-05-19 강신수 플랫 케이블용 콘넥터
US5484965A (en) * 1994-09-30 1996-01-16 Allen-Bradley Company, Inc. Circuit board adapted to receive a single in-line package module
KR101680380B1 (ko) * 2009-07-10 2016-11-28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플랫케이블용 커넥터, 하네스 및 하네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433A (ko)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207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soldering holes inter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tacts
TWI624114B (zh) 基板連接用電連接器
JP6225941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US9633775B2 (en)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US9548549B1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and cable arranging part
KR101873950B1 (ko) 전자 장치의 패키지 케이스
US931885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200313333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JP3207977U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のアセンブリ
KR102329642B1 (ko) 플랫 케이블과 전자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JP2008112699A (ja) 極細同軸線ハーネス、極細同軸線ハーネス接続体、および極細同軸線ハーネスの接続方法
US10158185B2 (en) Connector assembly
JP2008112636A (ja) 多心同軸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212435A (en) Connector and body used by the connector
KR102137880B1 (ko) 단자
US9966719B1 (en) Connector module having insulated metal frame
US10608359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flat cable and electronic circuit board
US6171156B1 (en)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 for suppressing wicking of solder
JP4230489B2 (ja) 導電性端子及び導電性端子を使用した電気コネクタ
JP5736227B2 (ja)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
TWM512840U (zh) 軟性排線電連接器固定結構
US8467194B2 (en) AC adapter
TWM483556U (zh) 電連接器
CN115117685A (zh) 布线装置
JP2009037840A (ja) 電線の接続構造及び電線の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