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534B1 - 증용량 가공 절연전선 - Google Patents

증용량 가공 절연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534B1
KR102328534B1 KR1020190070883A KR20190070883A KR102328534B1 KR 102328534 B1 KR102328534 B1 KR 102328534B1 KR 1020190070883 A KR1020190070883 A KR 1020190070883A KR 20190070883 A KR20190070883 A KR 20190070883A KR 102328534 B1 KR102328534 B1 KR 102328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arbon
nanoparticles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059A (ko
Inventor
한광현
Original Assignee
나노팀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팀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노팀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534B1/ko
Priority to EP20823424.5A priority patent/EP3971914A4/en
Priority to JP2021573768A priority patent/JP7161632B2/ja
Priority to CN202080043364.1A priority patent/CN114008725B/zh
Priority to PCT/KR2020/007632 priority patent/WO2020251296A1/ko
Publication of KR20200143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2Metal wires or tapes, e.g. made of steel
    • H01B7/221Longitudinally placed metal wires or tapes
    • H01B7/223Longitudinally placed metal wires or tapes forming part of a high tensile strength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heat dissipation or conduction
    • H01B7/428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3Alloys based on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2Inhomogeneous material in general
    • H01B3/004Inhomogeneous material in general with conductive additives or condu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2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hea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8Power cables for overhead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01B9/027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composed of semi-conduct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체를 이용하여 도체의 표면 또는 도체사이를 절연처리한 가공 절연전선에 관한 것으로서,
강선(1)을 감싸는 알루미늄선(2)을 포함하는 도체층(10)과; 상기 도체층(1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반도전층(20); 상기 반도전층(2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절연층(30); 상기 절연층(3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열전도층(40); 및 상기 열전도층(4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내후성 피복층(5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가공절연전선의 연속사용온도를 150℃까지 증대함은 물론 허용전류용량을 종래대비 50% 향상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가공절연전선의 과도한 투자비용 없이 송전용량의 수요 증가에 대처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도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증용량 가공 절연전선{Insulated overhead cable with increased capacity}
본 발명은 절연체를 이용하여 도체의 표면을 절연처리한 가공 절연전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가공절연전선의 피복층을 열전도층 및 내후성 피복층으로 분할함으로써, 상기 가공절연전선의 연속사용온도 및 허용전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증용량 가공 절연전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승압 변전소에서 승압된 후 철탑과 가공송전선으로 구성되는 송전선로(transmission lines)를 통하여 각 사용장소로 공급되는데. 상기 송전선로는 알루미늄 도체나 강심을 갖는 ACSR전선(Aluminium Conductor Steel Reinforced)이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전력계통에서의 송전선로는 765kv, 345kv, 154kv로 운영되고 있다. 강압 변전소에서 송전선로에서 전주와 절연전선으로 구성되는 배전선로로 보내는 강압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154kV의 송전선로에서 22kv의 배전선로에로의 강압작업이 있다. 우리나라의 송전선로는 2018년 기준, 약33,000 c-km이고 배전선로는 약436,000 c-km이다.
송배전선로의 건설에는 고압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위해성 우려 및 경관 훼손 등의 이유로 사회적 갈등이 초래되고 있는 실정인데 이를 대처하는 방법으로 송배전선로의 지중화가 바람직하나 그 건설비용이 가공선로에 비하여 매우 크기 때문에 결국 전기 소비자에게 막대한 비용이 전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타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송전선로에서는 도체의 내열성을 향상시켜 상시 사용온도 90℃에서 상시 사용온도 150∼230℃로 승온시키고, 열팽창계수가 낮은 인바선(invar wire) 등을 사용하여 사용 온도에서의 강선의 열팽창을 억제하여 가공송전선의 허용전류용량을 50∼100% 증대시키는 증용량 가공송전선을 개발함으로써, 기존 철탑 등의 설비를 사용하여 기 설치된 가공송전선 만을 같은 크기의 증용량 가공송전선으로 교체하여 민원이나 과도한 투자비용 없이 송전용량의 수요 증가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가공배전선로에 사용하는 종래의 절연전선은 한국전력 표준규격 "ES-6145-0021"에 따르면, 강선(reinforcing wire), 도체층(electrical conductor layer), 반도전층(semi electrical conductive layer), 절연층(insulation layer), 피복층(covering layer)의 동심원 구조를 갖고 연속사용온도 90℃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허용전류용량을 증대시키기가 어렵다.
이때, 상기 절연전선은 연속 사용온도가 90℃를 초과하면 절연층의 소재로 사용되는 가교폴리에틸렌의 절연 내력과 기계적 성질의 열화(thermal aging)가 가속되어 결국 가공배전선로의 사고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어 종래의 가공송전선 증용량기술로서 가공절연전선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0126호는 상기 절연층의 수지 조성물을 개량하여 연속사용온도 120℃이상, 및 종래의 가공절연전선 대비 33% 향상된 허용전류용량을 제시하고 있으나 가공 절연전선의 연속 사용허용온도를 120℃이상으로 승온시켰을 때 유발되는 도체층의 열화 문제와 열팽창에 의한 강심의 이도증가 문제 등을 해결하기 어렵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8548호는 도체층으로서 지르코늄을 함유하는 내열 알루미늄합금을 채택하고 절연층의 가교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개량하여 연속사용온도 125℃이상, 및 종래의 가공절연전선 대비 37% 향상된 허용전류용량을 제시하고 있으나, 열팽창에 의한 강선의 이도 증가 문제 등에 대한 해결 방안이 제시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특허들에 의하면 가공절연전선의 연속허용온도는 120∼125℃로 한정되어 있고, 종래의 가공절연전선에 비교해 연속허용전류가 33∼37% 이상의 증가 효과를 개시하고 있으나, 가공배전선로의 수요용량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은 물론 신설비용에 비하여 월등한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가공절연전선의 연속허용전류 50%이상의 증가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제10-2011-0020126호(A)(공개일 : 2011.03.02.) KR 제10-2011-0098548호(A)(공개일 : 2011.09.01.자) KR 제10-2019-0000063호(A)(공개일 : 2019.01.02.) KR 제10-0747932(B1)(등록일 : 2007.08.02.자)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가공절연전선의 피복층을 열전도층 및 내후성 피복층으로 분할함으로써, 상기 가공절연전선의 연속사용온도 및 허용전류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증용량 가공 절연전선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선(1)과; 상기 강선(1)을 감싸는 알루미늄선(2)을 포함하는 도체층(10)과; 상기 도체층(1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반도전층(20)과; 상기 반도전층(2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절연층(30)과; 상기 절연층(3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열전도층(40)과; 상기 열전도층(4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내후성 피복층(50)을 포함하는 증용량 가공 절연전선에 있어서,
상기 강선(1)은,
200kgf/㎟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되, 외주에 아연도금 또는 아연-알루미늄-미쉬메탈 합금도금 또는 알루미늄 피복 중 하나의 표면처리가 되며,
상기 반도전층(20)은,
전체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2 내지 20 중량부의 카본계 나노입자를 함유하며, 알루미늄선(2)으로 7∼12 kgf/㎟의 인장강도를 갖되,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ethylene methyl acrylate), 에틸렌 비닐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에틸아크릴레이트(EEA), 에틸렌 부틸아크릴레이트(EBA),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조합으로 카본계 나노입자로서,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래핀(Graphene), 그래핀 나노플라트렛(Graphene nano platelet), 나노 카본블랙(nano carbon black)의 여러 가지 탄소계 나노 물질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조합이고,
카본계 나노입자를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20 중량부를 함유하는 반도전성 고분자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며,
카본계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기본 수지에 가교제, 산화방지제, 가공조제의 첨가제가 첨가되고,
상기 절연층(30)은,
전체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5.0 중량부의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하며, 고분자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기본 수지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열전도층(40)은,
전체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5.0 내지 15.0의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하며,
상기 내후성 피복층(50)은,
전체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2.0 내지 9.9 중량부의 카본계 나노 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한다.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다음의 효과를 포함한다.
상기 가공절연전선의 피복층을 열전도층 및 내후성 피복층으로 분할함은 물론 상기 가공절연전선에 고분자 매트릭스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가공절연전선의 연속사용온도를 150℃까지 증대함은 물론 허용전류용량을 종래대비 50% 향상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가공절연전선의 과도한 투자비용 없이 송전용량의 수요 증가에 대처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도 증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절연전선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강선(1)과; 상기 강선(1)을 감싸는 알루미늄선(2)을 포함하는 도체층(10)과; 상기 도체층(1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반도전층(20); 상기 반도전층(2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절연층(30); 상기 절연층(3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열전도층(40); 및 상기 열전도층(4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내후성 피복층(50)을 포함한다.
먼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가공배전선로를 이용하여 허용전류 용량을 증가시키려면 선로의 길이, 허용 이도, 전선 포설 장력 등을 같게 하여야 하고 또한, 접속 금구류를 동일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 가공절연전선의 허용전류용량을 증가시키면 주울 가열(Joule heating)에 의하여 도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가공절연전선 도체의 최대연속사용온도는 90℃이다. 최대허용전류를 50% 증가하면 도체의 최대연속 사용온도는 150℃가 된다. 이때 강선과 도체의 열팽창량 증가에 의해서 가공절연전선의 이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연속사용온도 150℃에서 열에 의한 도체의 열화(thermal aging)가 90℃에서의 열화보다 가속되기 때문에 종래의 가공절연전선에서 도체층의 소선으로 사용되는 경알루미늄선(hard drawn aluminium wire)과 강선으로 사용되는 인장강도 200kgf/mm2 이하의 강선은 50% 증용량 가공절연전선에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대허용전류를 50% 증대하기 위하여 상기 가공절연전선의 최대연속사용온도를 150℃까지 향상시키고자 초고강도 강선과 연화 열처리된 알루미늄선을 사용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한편, 가공절연전선의 허용전류 증대시에 해결해야 될 또하나의 기술적 문제점은 절연층(insulation layer)의 고분자 소재의 열화(thermal aging)에 의한 기계적 물성 및 절연내력(insulation breakdown voltage)의 저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대허용전류를 50% 증대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체의 열화에 의한 기계적 물성 및 절연내력의 저하를 최소화시키고자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열전도층(thermal conductive layer)을 포함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가공절연전선의 허용전류는 절연체가 열화없이 견딜 수 있는 최대온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 온도는 일반적으로 90℃로 정해진다. 가장 높은 절연체의 온도는 절연체와 도체 사이의 경계면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도체의 온도로서 허용전류가 결정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가공절연전선의 반도전층과 절연층 및 피복층의 열저항도를 감소시켜 또는 열전도도를 증가시켜 가공절연전선의 최대허용전류를 증대시키는데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최대허용전류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절연층(30)과 내후성 피복층(50) 사이에 열전도도가 기존의 피복층 보다 월등히 높은 열전도층(40)을 포함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 가공절연전선(100)의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① 강선(1)
상기 강선(1)으로서의 인장강도의 범위를 200kgf/㎟ 이상으로 한정하는 이유는 200kgf/㎟미만에서는 알루미늄의 선열팽창계수 보다 낮은 선열팽창계수를 갖는 강선의 장력 분담율이 낮게 되어 결국 가공절연전선의 150℃에서의 이도 증가로 인하여 기존 전주를 이용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강선(1)으로서 선열팽창계수가 매우 낮은 인바선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인바선의 가격이 매우 비싸 경제적인 면에서 본 발명의 일예로서 채용한 초고강도 강선(1)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선(1)은 외주에 아연도금 또는 아연-알루미늄-미쉬메탈 합금도금 또는 알루미늄 피복 중 하나의 표면처리가 바람직하고, 상기 강선(1)의 표면처리는 내부식성의 향상을 위한 것이다.
② 도체층(10)
상기 도체층의 소선으로서 연화 열처리된 알루미늄선의 인장강도의 범위를 한정하는 이유는 7kgf/㎟ 미만에서는 연선(stranding) 시에 빈번한 단선이 우려되기 때문이고 12kgf/㎟ 초과에서는 열화에 의한 인장강도 저하로 도체 사용 년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상기 알루미늄선의 단면적 형상은 원형 또는 사다리꼴형이 바람직하고, 특히 강선과 도체층 사이에 간극을 두어 강선이 이도 유지장력을 전담케 하는 간극 방식 이도 억제 가공절연전선에는 사다리꼴형이 채택된다. 알루미늄선의 연화 열처리 방법 및 열처리 조건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③ 반도전층(20)
상기 반도전층(20)의 소재로 사용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기본 수지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ethylene methyl acrylate), 에틸렌 비닐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에틸아크릴레이트(EEA), 에틸렌 부틸아크릴레이트(EBA),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본계 나노입자로서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래핀(Graphene), 그래핀 나노플라트렛(Graphene nano platelet), 나노 카본블랙(nano carbon black) 등의 여러 가지 탄소계 나노 물질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도전층은 카본계 나노입자를 상기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20 중량부를 함유하는 반도전성 고분자 매트릭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본계 나노입자를 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전기 전도성 향상 효과가 적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압출 가공성을 저하시킨다.
상기 카본계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상기 기본 수지에 가교제, 산화방지제, 가공조제 등의 첨가제 등이 첨가되어 상기 반도전성 고분자 매트릭스 조성물이 구성된다.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 중량부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④ 절연층(30)
상기 절연층(30)의 소재로 사용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기본 수지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본계 나노입자로서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래핀(Graphene), 그래핀 나노플라트렛(Graphene nano platelet), 나노 카본블랙(nano carbon black) 등의 여러 가지 탄소계 나노 물질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입자로서 AlN(Aluminum Nitride), Al2O3(Aluminum Oxide or Alumina), Al(OH)3(Aluminum Trihydroxide), ATH(Alumina Trihydrate), BN(Boron Nitride), BeO(Beryllium Oxide), BaTiO3(Barium Titanate), CaCO3(Calcium Carbonate), LS(Layered Silicate), MgO(Magnesium Oxide), SiC(Silicon Carbide), SiO2(Silicon Dioxide or Silica), TiO2(Titanium Oxide or Titania), ZnO(Zinc Oxide) 등의 무기 물질의 나노 입자 군에서 1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각각 상기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0 중량부를 함유하는 절연성 고분자 매트릭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기계적 특성 향상 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절연 내력 성능을 저하시킨다.
상기 카본계 나노입자와 상기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상기 기본 수지에 가교제, 산화안정제, 산화안정조제, UV안정제, 가공조제 등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상기 절연성 고분자 매트릭스 조성물이 구성된다.
상기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 중량부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⑤ 열전도층(40)
상기 열전도층의 소재로 사용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기본 수지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본계 나노입자로서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래핀(Graphene), 그래핀 나노플라트렛(Graphene nano platelet), 나노 카본블랙(nano carbon black) 등의 여러 가지 탄소계 나노 물질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입자로서 AlN(Aluminum Nitride), Al2O3(Aluminum Oxide or Alumina), Al(OH)3 (Aluminum Trihydroxide), ATH(Alumina Trihydrate), BN(Boron Nitride), BeO(Beryllium Oxide), BaTiO3(Barium Titanate), CaCO3(Calcium Carbonate), LS(Layered Silicate), MgO(Magnesium Oxide), SiC(Silicon Carbide), SiO2(Silicon Dioxide or Silica), TiO2(Titanium Oxide or Titania), ZnO(Zinc Oxide) 등의 무기 물질의 나노 입자 군에서 1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층은 카본계 나노 입자 및 무기 나노 입자를 상기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5.0 중량부를 함유하는 열전도성 고분자 매트릭스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5.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열전도성 특성 향상 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15.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절연 내력 성능을 저하시킨다.
상기 카본계 나노입자와 상기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상기 기본 수지에 가교제, 산화안정제, 산화안정조제, UV안정제, 가공조제 등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상기 절연성 고분자 매트릭스 조성물이 구성된다.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 중량부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⑥ 내후성 피복층(50)
상기 내후성 피복층(50)의 소재로 사용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기본 수지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본계 나노입자로서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래핀(Graphene), 그래핀 나노플라트렛(Graphene nano platelet), 나노 카본블랙(nano carbon black) 등의 여러 가지 탄소계 나노 물질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입자로서 AlN(Aluminum Nitride), Al2O3(Aluminum Oxide or Alumina), Al(OH)3(Aluminum Trihydroxide), ATH(Alumina Trihydrate), BN(Boron Nitride), BeO(Beryllium Oxide), BaTiO3(Barium Titanate), CaCO3(Calcium Carbonate), LS(Layered Silicate), MgO(Magnesium Oxide), SiC(Silicon Carbide), SiO2(Silicon Dioxide or Silica), TiO2(Titanium Oxide or Titania), ZnO(Zinc Oxide) 등의 무기 물질의 나노 입자 군에서 1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후성 피복층(50)은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상기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9.9 중량부를 함유하는 고분자 매트릭스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내트래킹(water tee resistance) 및 기계적 특성 향상 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9.9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절연 내력 성능을 저하시킨다.
상기 카본계 나노 입자와 상기 무기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상기 기본 수지에 가교제, 산화안정제, 산화안정조제, UV안정제, 가공조제, 발수제 등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상기 내후성 피복 고분자 매트릭스 조성물이 구성된다.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 중량부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절연전선(100)은 연속사용온도가 150℃까지 향상되어 기존의 가공절연전선 대비 50% 향상된 허용전류용량을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공절연전선 1 : 강선
2 : 알루미늄선 10 : 도체층
20 : 반도전층 30 : 절연층
40 : 열전도층 50 : 내후성 피복층

Claims (7)

  1. 강선(1)과; 상기 강선(1)을 감싸는 알루미늄선(2)을 포함하는 도체층(10)과; 상기 도체층(1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반도전층(20)과; 상기 반도전층(2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절연층(30)과; 상기 절연층(3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열전도층(40)과; 상기 열전도층(40)을 감싸는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내후성 피복층(50)을 포함하는 증용량 가공 절연전선에 있어서,
    상기 강선(1)은,
    200kgf/㎟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되, 외주에 아연도금 또는 아연-알루미늄-미쉬메탈 합금도금 또는 알루미늄 피복 중 하나의 표면처리가 되며,
    상기 반도전층(20)은,
    전체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2 내지 20 중량부의 카본계 나노입자를 함유하며, 알루미늄선(2)으로 7∼12 kgf/㎟의 인장강도를 갖되,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ethylene methyl acrylate), 에틸렌 비닐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에틸아크릴레이트(EEA), 에틸렌 부틸아크릴레이트(EBA),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조합으로 카본계 나노입자로서,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래핀(Graphene), 그래핀 나노플라트렛(Graphene nano platelet), 나노 카본블랙(nano carbon black)의 여러 가지 탄소계 나노 물질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조합이고,
    카본계 나노입자를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20 중량부를 함유하는 반도전성 고분자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며,
    카본계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기본 수지에 가교제, 산화방지제, 가공조제의 첨가제가 첨가되고,
    상기 절연층(30)은,
    전체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5.0 중량부의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하며, 고분자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기본 수지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열전도층(40)은,
    전체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5.0 내지 15.0의 카본계 나노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하며,
    상기 내후성 피복층(50)은,
    전체 수지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2.0 내지 9.9 중량부의 카본계 나노 입자 및 무기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용량 가공 절연전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70883A 2019-06-14 2019-06-14 증용량 가공 절연전선 KR102328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883A KR102328534B1 (ko) 2019-06-14 2019-06-14 증용량 가공 절연전선
EP20823424.5A EP3971914A4 (en) 2019-06-14 2020-06-12 INCREASED CAPACITY OVERHEAD INSULATED WIRE
JP2021573768A JP7161632B2 (ja) 2019-06-14 2020-06-12 増容量架空絶縁電線
CN202080043364.1A CN114008725B (zh) 2019-06-14 2020-06-12 容量增大的架空绝缘线
PCT/KR2020/007632 WO2020251296A1 (ko) 2019-06-14 2020-06-12 증용량 가공 절연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883A KR102328534B1 (ko) 2019-06-14 2019-06-14 증용량 가공 절연전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059A KR20200143059A (ko) 2020-12-23
KR102328534B1 true KR102328534B1 (ko) 2021-11-18

Family

ID=7378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883A KR102328534B1 (ko) 2019-06-14 2019-06-14 증용량 가공 절연전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971914A4 (ko)
JP (1) JP7161632B2 (ko)
KR (1) KR102328534B1 (ko)
CN (1) CN114008725B (ko)
WO (1) WO20202512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4974A (ko) 2022-05-26 2023-12-05 한국전력공사 복합소재를 이용한 전력선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3039A (ja) * 2014-03-20 2015-10-22 株式会社ジェイ・パワーシステムズ 絶縁材料の製造方法、マスタバッチ、絶縁材料および電力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2405A (ja) * 1981-12-14 1983-06-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難着雪電線
JPH0642418B2 (ja) * 1987-06-22 1994-06-01 株式会社東芝 耐熱絶縁線輪
JPH0411299Y2 (ko) * 1987-10-28 1992-03-19
CN1256807A (zh) * 1998-03-14 2000-06-14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输电线用散热装置、有散热装置的输电线、将散热装置装于输电线的方法
KR100747932B1 (ko) 2006-02-15 2007-08-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선 피복용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전선
KR101311227B1 (ko) 2009-08-21 2013-09-24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전력케이블 절연층용 가교 폴리에틸렌 조성물
KR20110098548A (ko) 2010-02-26 2011-09-01 한국전력공사 절연전선
KR101161360B1 (ko) * 2010-07-13 2012-06-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공간전하 저감 효과를 갖는 직류용 전력 케이블
KR101408925B1 (ko) * 2011-01-25 2014-06-1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반도전성 조성물과 절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경량 전력 케이블
CN202632871U (zh) * 2012-07-13 2012-12-26 安徽明都电力线缆有限公司 10kV钢芯耐磨集束架空绝缘电缆
KR20130089217A (ko) * 2013-06-04 2013-08-09 한국전력공사 절연전선
KR101549660B1 (ko) * 2013-09-30 2015-09-03 한국전기연구원 초고강도 강선을 강심으로 이용한 가공송전선
KR101565447B1 (ko) * 2015-06-05 2015-11-04 한국전기연구원 가공송배전선용 초고강도 도금 강선
CN104992754A (zh) * 2015-07-20 2015-10-21 江苏中超电缆股份有限公司 含石墨烯的架空绝缘电缆用交联聚乙烯绝缘材料及电缆
US9972420B2 (en) * 2015-12-08 2018-05-15 The Boeing Company Carbon nanotube shielding for transmission cables
KR20170107326A (ko) * 2016-03-15 2017-09-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저유전율을 갖는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102565592B1 (ko) * 2016-07-26 2023-08-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도 및 색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2018045885A (ja) * 2016-09-15 2018-03-22 日立金属株式会社 絶縁電線
CN107871556A (zh) * 2016-09-23 2018-04-03 江苏亨通电力电缆有限公司 高载流量的架空绝缘电缆及其制造工艺
KR20180091555A (ko) * 2017-02-07 2018-08-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케이블 반도전층용 컴파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
KR102473515B1 (ko) 2017-06-22 2022-12-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내한성 및 내유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3039A (ja) * 2014-03-20 2015-10-22 株式会社ジェイ・パワーシステムズ 絶縁材料の製造方法、マスタバッチ、絶縁材料および電力ケーブ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4974A (ko) 2022-05-26 2023-12-05 한국전력공사 복합소재를 이용한 전력선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08725B (zh) 2023-01-17
EP3971914A1 (en) 2022-03-23
KR20200143059A (ko) 2020-12-23
JP2022528295A (ja) 2022-06-09
WO2020251296A1 (ko) 2020-12-17
JP7161632B2 (ja) 2022-10-26
CN114008725A (zh) 2022-02-01
EP3971914A4 (en)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603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KR102328534B1 (ko) 증용량 가공 절연전선
WO2023035487A1 (zh) 一种中压馈电电缆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193823U1 (ru) Кабель силовой
KR101355572B1 (ko) 초고압 케이블
CN202134258U (zh) 加强型光纤复合耐高温架空绝缘电缆
CN111292875B (zh) 绝缘组合物及具有由该绝缘组合物形成的绝缘层的直流电力电缆
CN208189276U (zh) 一种高压电力电缆
CN202473309U (zh) 一种耐环境应力抗机械载荷环保型光伏直流电缆
CN204991259U (zh) 含有石墨烯的高导热聚氯乙烯护套电缆
CN103106980A (zh) 一种高强度电力电缆
KR20180131310A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CN210627928U (zh) 一种铝合金同心导体电缆
RU193725U1 (ru) Кабель силовой
RU148883U1 (ru) Кабель силовой одножильный
CN206098028U (zh) 散热型电缆
RU80707U1 (ru) Изолятор подвесной полимерный
CN203165552U (zh) 一种高强度电力电缆
RU202509U1 (ru) Кабель силовой, содержащий саморегулирующийся кабель
CN210694407U (zh) 一种防腐阻燃地暖发热电缆
CN212411606U (zh) 一种防老化建筑用电线
CN214336374U (zh) 一种易散热型防水软电线
CN210378546U (zh) 一种防水电线
CN213519363U (zh) 一种交联低密度聚乙烯绝缘10kV架空电缆
CN102194555A (zh) 一种铜芯水密架空防护电缆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