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115B1 - 일반적으로 음향 및 전자 제품 내의 하위 구성요소로서의 사용을 위한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 Google Patents

일반적으로 음향 및 전자 제품 내의 하위 구성요소로서의 사용을 위한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115B1
KR102327115B1 KR1020187022184A KR20187022184A KR102327115B1 KR 102327115 B1 KR102327115 B1 KR 102327115B1 KR 1020187022184 A KR1020187022184 A KR 1020187022184A KR 20187022184 A KR20187022184 A KR 20187022184A KR 102327115 B1 KR102327115 B1 KR 102327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mposite
filtering structure
fabric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827A (ko
Inventor
카르민 루치그나노
안나 무직주크
엘리사 그리몰디
마르코 미에타
파올로 카노니코
Original Assignee
사아티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919822&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32711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사아티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사아티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80111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04R1/086Protective screens, e.g. all weather or wind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32B2262/023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7Mechanical or electrical reduction of wind noise generated by wind passing a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04R25/654Ear wax retarders

Abstract

미크론 단위의 입자들에 대한 높은 필터링 효율 및 필터링 매체에 대한 높은 투과능력을 요구하는 필터링 적용들에서의 사용을 위한, 그리고 음향 및 전자 제품, 특히 마이크로폰들 및 스피커들 내부에서의 하위 구성요소로서의 사용을 위한,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이, 적어도 제1 중합체 나노 다공성 멤브레인 층 및 적어도 제2 합성 단일 필라멘트 정밀 직물 층을 포함하고, 제1 중합체 나노 다공성 멤브레인 층은, 제2 정밀 직물 층에 결합되어, 그로 인해 심지어 1-2 ㎛의 입자들의 그리고 가압 액체의 그를 통한 통과를 방지하도록 맞춰지는 통합 필터링 매체를 제공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일반적으로 음향 및 전자 제품 내의 하위 구성요소로서의 사용을 위한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본 발명은, 특히, 전적으로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음향 및 전자 제품 내부에서 사용되는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음향 적용들에서, 소리는, 다공성 표면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또는 필름 또는 멤브레인과 같은, 매우 얇은 재료의 진동에 의해, 전달된다.
공기를 통과시킴에 의한 전달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또는 확성기, 또는 전자 장치를, 일반적으로, 물 또는 다른 유체에 대해서는 아니지만, 원치 않는 고체 입자들에 대해 보호하도록 설계되는 직물 재료를 통해 발생한다.
진동에 의한 소리 전달은, 결과적으로, 일반적으로 확성기들 또는 전자 장치에서 전형적이며, 그리고 또한 물 및 액체 침투에 대해 보호하도록 설계되어야만 한다.
공기를 통과시킴에 의한 소리 전달은, 진동 소리 전달보다 더 양호하고, 그로 인해 이상적인 필터링 매체가, 직물의 음향학적 특징 및 멤브레인의 보호 특성을 구비해야 한다는 사실이 추가로 공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표는, 복합재료 필터링 구조물로서, 복합재료 필터링 구조물이 적용될 전자 장치를 위한 최적의 보호 특징뿐만 아니라 매우 우수한 음향학적 특징을 갖는, 그러한 복합재료 필터링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 언급된 목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이, 액체의 있을 수 있는 침투 또는 누출에 대해 저항하는 만족스러운 능력과 함께, 매우 정확하고 선택적인 필터링을 허용하는, 이상에 지시된 유형의 그러한 필터링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물이 적용될 음향 구성요소의 수명과 동등한, 매우 긴 작동 수명을 갖는, 이상에 지시된 유형의 그러한 필터링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체 입자들 및 액체에 대한 그의 우수한 보호 특징들 외에, 음향 응용 분야들 뿐만 아니라, 구조물이 더 작은 입자들에 대해 관련 장치를 보호해야 하는 응용 분야들에 적용되도록, 현재 사용되는 접근법들보다 더 낮은 음향 임피던스를 가지며, 그리고 이를 위해 보호 매체 또는 직물은 상응하게 더 작은 메시 개구들 갖는 것인, 이상에 지시된 유형의 그러한 복합재료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요구되는 적용들을 위해 전형적으로 필요한 작은 크기의 부품들을 제작하기 위해,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취급되고 처리될 수 있는, 이상에 지시된 유형의 그러한 복합재료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합재료 구조물로서, 그의 개별적인 필터링 구성요소들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이들을 음향적 구성요소들 및 그들의 케이스들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을 갖도록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인, 이상에 지시된 유형의 그러한 복합재료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이상에 언급된 목표 및 목적들뿐만 아니라, 이후에 더욱 명백해질 또 다른 목적들이, 청구항 1에 따른 복합재료 필터링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 필터링 구조물의 다른 특징들이, 종속 청구항들에서 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 필터링 구조물의 추가적인 세부사항들 및 이점들이, 개략적 첨부 도면들에, 지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예로서, 도시되는 그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후에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 필터링 구조물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재료 필터링 구조물의 주된 양태에 따른, 직물 및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적층되고 결합된 재료에 대한 음향학적 특성을 보여주는 선도이며;
도 3은 소위 "물 침입" 시험의 결과를 보여주는 다른 선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 필터링 구조물의 샘플의 SEM 이미지를 도시한다.
이상에 언급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 필터링 구조물은, 제1 메인 구성요소로서, (예를 들어 합성 단일 필라멘트로 제작되며 그리고 정사각형-메시 구성을 구비하는) 균일한 "메시들" 또는 개구들을 포함하는 정밀 직물(T)을 포함한다.
전체 직물을 통해 일관적인 매우 균일한 메시 개구 구조는, 그의 높은 기계적 강도 및 처리 능력과 함께, 그러한 정밀 단일 필라멘트 직물 재료(T)를 필터링 기본 재료로서 이상적인 해법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매우 균일한 직물 재료들은, 통상적인 복수-필라멘트 직물들보다, 더욱 일정한, 그들의 중량 및 두께에 대한 특성들, 표면 특성들, 및 온도 특징들을 갖는다.
특징적 균일함은, 배치(batch)로부터 배치로, 전체 직물 롤(roll)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직물들(T)은, 매우 좁은 제조 허용공차를 동반하는 가운데 제조되고, 그로 인해 일관적인 필터링 효율 및 관련된 비 공기 유동 투과능력(specific air flow permeability)을 구비하는 필터링 매체를 제공하도록 한다.
일정하고 일관적인 특징들은, 단지, 직조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단일 필라멘트 재료의 균일한 개구 또는 기공 크기의 결과이다.
더불어, 대상의 정밀 직물 재료들은, 대기 인자들, 물 및 습기에 대한 매우 우수한 저항성을 가지며, 그리고 매우 안정적이고 재현 가능한 품질을 동반하는 가운데 산업적 규모로 생산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정밀 직물들은, 매우 높은 탄성률을 갖는 얀(yarn)으로부터 시작하여 제조되고, 그로 인해 정밀 직물(T)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의도된 음향 적용들을 위해 매우 중요한, 거의 변형 가능하지 않은 재료일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필터링 구조물들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재료들과 상이하게, 매우 낮은 "크리프(CREEP)" 또는 관련된 매우 낮은 "응력 이완(STRESS RELAXATION)"을 구비하는 이러한 직물들의 특징적 특성은, 그러한 적용들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주된 양태는, 본 발명이, 2개 이상의 결합된 또는 적층된 재료 층을 포함하고, 그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언급된 바와 같이, 합성 단일 필라멘트 정사각형 메시 또는 개구의 정밀 직물(MF)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적어도 다른 층 또는 제2 기본 구성요소는, 통기성 마이크로 또는 나노 다공성 멤브레인(M)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복합재료 필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상기 멤브레인(M)은, 임의의 원치 않는 입자들을 저지하는 가운데 공기가 그를 통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에 반하여, 직물(T)은, 그의 필터링 기능을 안정적으로 실행하는 가운데, 요구되는 구조적 저항성 또는 강도를 갖는 나노 다공성 멤브레인(M)을 제공한다.
출원인에 의해 수행된 시험들로부터, 음향 분야에서의 본 발명의 복합재료 필터링 구조물의 특정 적용들을 위해, 멤브레인(M)(또는 다공성 필름)이, 200 Pa의 압력 손실에서 5 내지 150 l/m2s의 공기 투과능력; 2 내지 60 ㎛의 두께, 및 150 나노미터 내지 3 ㎛의 전형적 기공 크기를 구비해야 한다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멤브레인(M)은, 응답형 폴리우레탄(PU) 결합, 초음파(US) 적층, 및 다른 결합 방법들과 같은, 여러 적층 또는 결합 방법에 의해, 단일 필라멘트 직물(T)에 결합되어, 그로 인해, 본 발명의 다른 주된 양태에 따라, 필터링 매체 또는 복합재료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해, 멤브레인(M) 및 지지 직물(T)을 일체형 유닛으로 만들도록 한다.
진술된 바와 같이, 직물(T)은, 그의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가운데, 요구되는 구조적 강도를 갖는 멤브레인(M)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직물(T)의 양측면 또는 양면 상에 멤브레인(M) 층을 성막하는 것 및/또는, 부가적인 직물(T)에 상기 멤브레인을 적층 또는 연결하여 그로 인해 그 내부에 수용되는 멤브레인(M)을 갖는 직물(T)의 "샌드위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여기에 도시된 복합재료 구조물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합성 단일 필라멘트 정밀 직물(T)의 하부 층, 및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출발 필름이 적절하게 연신되는 연신 프로세스에 의해 PTFE 재료로 이루어지는, 또는 동일한 프로세스 또는 전기 방사 프로세스에 의해 PVDF 재료로 이루어지는, "높은" 공기 투과능력을 갖는 나노 다공성 멤브레인(M)의 상부 층인, 2개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T)의 기계적 특성들을 최적화하기 위해, 멤브레인(M)은, 가압 액체(L)와 접촉 상태에 놓이는 외측에 배열되는 반면(도 1), 직물(T)은 내측에 배열되고, 그로 인해, 특히 직물(T) 자체의 단일 필라멘트(MF) 상에서 작용하는, 가압 액체(L)에 의해 가해지는 힘과 동등한 반대의 반작용을 촉진하도록 한다.
이러한 관계에서, 직물(T)의 메시 크기를 감소시킴에 의해, 멤브레인(M)의 강성을 증가시켜, 그로 인해 자체의 사용 도중에 상기 멤브레인의 더 작은 변형을 야기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에서, 더 많은 수의 단일 필라멘트(MF)에 대해, 단일 필라멘트(MF)의 직경이 사전 설정된다는 것을 가정하면, 직물(T)은 구조물의 증가된 중량을 야기할 것이라는 것이, 지적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 목표가, 공기 통과 및 매체 진동인, 2가지 이상에 언급된 소리 전달 메커니즘에 의해, 최적화된 소리 전달을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직물(T)의 중량의 증가는, 결과적으로, 음향 성능을 저하시킬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물 + 멤브레인 적층 재료의 음향학적 특징 묘사를 예시하는 선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선도는, 특히, 마이크로폰의 주파수 응답이, 상기 마이크로폰 자체의, 그리고 부가적으로, 건조한 상태에서의 복합재료 구조물의 "다이-절단" 부품의, 그리고 부가적으로 적당한 물 침투 시험을 실행한 이후의 복합재료 구조물의 다이-절단 부품의, 특징 묘사(기준선)를 위해 사용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3가지 언급된 경우 모두에서, 주어진 소리 압력 레벨의, 이 경우 94 dB의, 소리를 방출하는, 동일한 스피커가 사용된다.
"기준선"과 제2 곡선 사이의 Δ(델타)로부터, 마이크로폰과 스피커 사이에서의 본 발명의 복합재료 구조물의 개재로 인한, 음향학적 감쇠, 또는 삽입 손실을, 그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또한, 2개의 곡선이 매우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는 것, 및 감쇠 값이 매우 감소되며 그리고 전형적으로 1.5 dB 미만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제2 곡선 및 제3 곡선을 비교함에 의해, 이상에 언급된 물 침투 시험의 결과로서, 있을 수 있는 재료에 대한 수정들로 인한 추가적 감쇠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정의 경우에, 언급된 델타가 거의 제로(0)인 것이, 확인될 수 있으며, 이는, 최적의 성능 및, 특정의 개시된 경우에, 물이 30분 동안 300 mbar의 수압으로 멤브레인(1 내지 6 mm의 직경을 갖는 샘플)의 표면 상에 충격을 가하도록 힘을 받게 되는, 물 침투 저항성에 대응한다.
진술된 바와 같이, 도 3은, 1 내지 6 mm의 직경을 갖는 복합재료 구조물의 샘플들이 30분 동안 200 mbar에서 물 침투 시험에 종속되었던, 물 침투 시험의 결과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시험의 종료 시에, 샘플 표면은, 본 발명의 복합재료 구조물을 통과할 수 있는 물방울의 존재 가능성을 검출하기 위해 관찰된다.
도 3의 선도에 의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을 검출할 수 있었던 경우가 없었기 때문에, 30분 이전에 중단되었던 시험은 없었다.
본 발명의 복합재료 구조물의 샘플의 SEM 이미지인, 도 4로부터, 폴리에스테르 정밀 직물(T) 상에 성막되는, PTFE로 이루어지는 나노 다공성 멤브레인(M)을 확인할 수 있다.
직물 상의 멤브레인의 지지 지점들은, 더 밝은 톤을 갖는 구역들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멤브레인을 구성하는 유기 중합체들은, PTFE 또는 이들의 유도체, PVDF, PA 6, PA 6/12, 폴리아라미드들, PUR, PES, PVA, PVAC, PAN, PEO, PS, 뿐만 아니라 도전성 중합체들(폴리티오펜들), 플루오르화 중합체들, 생체중합체들,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생체 중합체들은, 키토산, 케라틴, 콜라겐, 펩타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메시 개구, 밀도, 멤브레인(M)의 공기 투과능력 및 두께, 상기 멤브레인(M)을 구성하는 적층된 층 및 중합체의 두께에 대한, 기본 직물(T)의 선택은, 물론, 의도된 특정 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특징들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특히, 직물/멤브레인의 적층된 필터링 구조물을 연구함에 있어서, SAATI(즉, 본 출원의 출원인)에 의한 직물들의 선택 및 멤브레인(M)을 위해 사용될 중합체들의 선택이 사용되었다.
적층될 멤브레인 및 부속 층은, 건조한 상태 및 습한 상태 양자 모두에서 작은 음향 손실(dB)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그러한 압력 손실 및 공기 투과능력과 함께, 최대의 필터링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진술된 바와 같이, 그러한 적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멤브레인은, 위상 반전(phase inversion), 나노 섬유들의 전기 방사, 및 중합체 필름의 열기계적 연신과 같은, 상이한 제조 방법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PTFE이며 그리고 열기계적 연신에 의해 제조되는, ePTFE의 멤브레인들이, 사용되었다.
어떤 경우든, 주된 양태는, 200 Pa의 압력 강하에 대한 5 내지 150 l/m2s의 공기 투과능력, 및 150 나노미터 내지 3 ㎛의 전형적 기공 크기를 가져야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 구조물의 물리적-기하학적 특성들에 대한 것이다.
멤브레인 특성들은, 더 큰 비표면적/높은 표면-체적 비, 더 작은 기공 치수, 높은 다공성, 삼차원적 특성, 공기 투과에 대한 높은 투과능력/낮은 저항성, 입자들의 우수한 분리, 높은 분말 저지 능력, 개선된 물리적-기계적 특성들, 및 섬유 활성 영역, 개선된 필터링 특성 및 자명한 유동 이점의 관점에서 자명한 "이득"을 제공하는 특정 기능적 특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특정 적용들을 위한 개선된 성능 및 기능을 갖는 직물들이, 그에 따라, 제조된다.
직물을 멤브레인에 결합 또는 적층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파라미터들은, 상이한 필터링 특성들을 갖는 필터링 시스템들을 제공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하여 수행되는 실제 실험적 시험들에서,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들이, 검출되었으며, 그리고 관련된 시험들이, 층의 두께 및 멤브레인 기공들의 평균 크기를 조정함에 의해 제어된 높은 투과능력을 유지하는 가운데, 높은 필터링 효율과 함께, 마이크로미터 크기 입자들의 필터링과 함께, 기공 치수의 균질한 분포를 제공하는, 기하학적, 치수적 및 구조적으로 균질한 섬유들을 달성하도록, 최종 제품을 최적화하기 위해, 상기 파라미터들의 값들을 변화시키는 가운데, 반복되었다.
샘플들은, 뒤따르는 용어들로 특징지어졌다:
- 공기 투과능력의 측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적층된 재료의 유동 저항;
- 음향 임피던스를 측정함에 의한 소리 통과 저항;
- 주어진 조건에서의 물 침투 저항;
- 물 침투 시험 이후의 소리 통과 저항.
PTFE 중합체 멤브레인들에 의해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여러 샘플들이, 제작되었으며 그리고 특징지어졌다.
가장 중요한 결과들이, 아래에 나타난다:
ePTFE 멤브레인에 의해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기본 직물의 특징들:
메시 개구 = 85 ㎛
개방 면적 60%
센티미터 단위 밀도 90 가닥(threads)/cm
실 직경 24 ㎛
공기 투과능력 > 10000 l/m2s @ 200Pa
CA 파이브로댓(Fibrodat) > 100°
출발 멤브레인의 특성들
두께: 8 ㎛
공기 투과능력: 30 l/m2s @ 200Pa
기공 크기 0.3-0.5 ㎛
도 2는, 언급된 바와 같이, 섬유 + 멤브레인의 적층된 또는 결합된 재료의 음향학적 특징을 보여준다. 3개의 곡선의 델타들로부터, 스피커와 마이크로폰 사이에의 복합재료 구조물의 개재로 인한 dB 손실, 및 물 침투 시험을 실행할 때, 그의 dB 손실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매우 중요한 이점은, 본 발명의 복합재료 구조물이, 통상적인 멤브레인들과 비교하여 더 높은 투과능력을 달성하도록 허용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구조물은, 최대 2 ㎛에 대한 99%의 효율 및 그에 따라 (필터링 정밀 직물들의 현재 한계인) 5 ㎛ 미만의 입자들에 대한 높은 필터링 효율을 갖는, 필터링 매체를 제조하는 것을 허용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복합재료 필터링 구조물은, 필터링 직물 상에서 액체를 저지하는 개선된 능력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의도된 목표 및 목적들을 완전히 달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 구조물은, 우수한 액체 저지 능력과 함께, 정밀 직물에 전형적인 선택성 및 필터링 정밀성을 제공한다.
상기 구조물은, 멤브레인들 단독의 음향 임피던스보다 낮은 음향 임피던스를 갖는다(직물이 현재 분말 및 액체에 대해 휴대 전화의 내부 부품들의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음향 적용들을 위한 주된 특성으로서, 그로 인해 낮은 임피던스와 함께 점점 더 작은 메시 개구들이, 통과하는 소리를 감소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요구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복합재료 구조물은, 통상적인 멤브레인들의, 단일 필라멘트 정밀 직물에 의해 적절하게 지지되지 않는 경우 필터링 시스템에 전형적인 유동의 통로를 지탱할 수 없는, 이러한 구조물들의 열악한 기계적 강도로 인한, 사용 한계들을 극복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복합재료 구조물의 또 다른 이점은, 복합재료 구조물이, 복수의 필터링 모듈 유닛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다이-절단"에 의해, 용이하게 가공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적절하게 윤곽 형성되고 구조화되며 그리고 각각의 다이-절단 필터링 모듈 유닛에 결합됨에 따라, 양면 접착성 중합체 스트립들을 용이하게 연관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로 인해, 보호될 음향 구성요소에 대한 그리고 관련된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휴대 전화, 태블릿 또는 컴퓨터의 케이스 또는 외부 하우징에 대한, 적당한 가스켓들의 개재를 동반하는, 각 필터링 모듈의 접착/조립을 허용하는 가운데, 복합재료 구조물의 그의 활성 부분에서의 발산(perspiring) 특성을 제공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한 개시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 구조물의 주된 파라미터의 특정 값들이 나타났지만, 이러한 값들은, 용어 "약"에 의해 수정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복합재료 필터링 구조물을 실제로 제조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재료들, 뿐만 아니라 부수적인 크기 및 형상도, 요건에 따라, 임의적일 수 있다.

Claims (12)

  1. 미크론 단위의 입자들에 대한 필터링 효율 및 필터링 매체에 대한 투과능력을 요구하는 필터링 적용들에서의 사용을 위한, 그리고 음향 및 전자 제품 내부에서의 하위 구성요소로서의 사용을 위한,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로서,
    상기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은, 중합체 나노 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제1 층 및 합성 단일 필라멘트 정밀 직물의 적어도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 나노 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제1 층은, 적층 방법에 의해 상기 합성 단일 필라멘트 정밀 직물의 적어도 제2 층에 결합되어, 입자들의 그리고 가압 액체의 상기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을 통한 통과를 방지하도록 맞춰지는 통합 필터링 매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나노 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제1 층 및 상기 합성 단일 필라멘트 정밀 직물의 적어도 제2 층은, 적층 방법, 응답형 폴리우레탄(PU) 방법, 초음파(US) 방법으로부터 선택되는 결합 방법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은, 상기 구조물이 보호될 음향 구성요소에 그리고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의 외부 케이스에 가스켓들에 의해 접착/조립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운데, 복합재료 구조물의 그의 활성 부분에서의 발산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2개의 양면 접착성 중합체 스트립 요소를 갖도록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에서, 상기 중합체 나노 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제1 층은, 상기 가압 액체의 유입구 방향에 대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나노 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제1 층이, 상기 합성 단일 필라멘트 정밀 직물의 적어도 제2 층에, 상기 직물의 양면 상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나노 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제1 층이, 상기 합성 단일 필라멘트 정밀 직물의 적어도 제2 층의 2개 층들 사이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단일 필라멘트 정밀 직물의 적어도 제2 층은, 2000 ㎛ 내지 5 ㎛의 개구 범위 내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EEK, PVDF, PTFE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정사각형 메시 또는 개구의 정밀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나노 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제1 층은, 100 nm 내지 3 ㎛의 메시 개구 범위 내의, PTFE 및 이들의 유도체, PVDF, PA 6, PA 6/12, 폴리아라미드, PUR, PES, PVA, PVAC, PAN, PEO, PS, 도전성 중합체들 또는, 키토산, 케라틴, 콜라겐, 펩타이드로부터 선택되는, 생체중합체들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나노 다공성 멤브레인의 적어도 제1 층은, 위상 반전, 전기 방사, 및 전기기계적 연신으로부터 선택되는 디핑 프로세스(dipping process)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응답형 핫멜트 결합, 열가소성 적층, 고온 적층, 초음파 적층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에서, 상기 합성 단일 필라멘트 정밀 직물의 적어도 제2 층은, ePTFE 멤브레인에 의해 코팅되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85 ㎛의 메시 개구; 60%의 개방 면적; 90 가닥/cm의 센티미터 단위 밀도; 24 ㎛의 실 직경; 200Pa에서 10000 l/m2s 보다 작은 공기 투과능력; 100° 보다 큰 CA 파이브로댓을 구비하며, 상기 ePTFE 멤브레인은, 8 ㎛의 두께, 200Pa에서 30 l/m2s의 공기 투과능력, 및 0.3 내지 0.5 ㎛의 기공 크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은, 이동 전화의 마이크로폰과 스피커 사이에 배열될 때, 1.5 dB 미만의 삽입 손실에 기인하는 음향 감쇠 또는 손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KR1020187022184A 2016-02-04 2016-05-24 일반적으로 음향 및 전자 제품 내의 하위 구성요소로서의 사용을 위한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KR102327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B2016A000059A ITUB20160059A1 (it) 2016-02-04 2016-02-04 Struttura composita filtrante multistrato, in particolare per l'uso come subcomponente all'interno di prodotti acustici ed elettronici in generale
IT102016000011757 2016-02-04
PCT/IB2016/000707 WO2017134479A1 (en) 2016-02-04 2016-05-24 Composite multilayer filtering construction for use as a subcomponent in acoustic and electronic products in gener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827A KR20180111827A (ko) 2018-10-11
KR102327115B1 true KR102327115B1 (ko) 2021-11-16

Family

ID=5591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184A KR102327115B1 (ko) 2016-02-04 2016-05-24 일반적으로 음향 및 전자 제품 내의 하위 구성요소로서의 사용을 위한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10993008B2 (ko)
EP (1) EP3412035B1 (ko)
JP (1) JP7313824B2 (ko)
KR (1) KR102327115B1 (ko)
CN (1) CN108605175B (ko)
BR (1) BR112018015887B1 (ko)
DK (1) DK3412035T3 (ko)
ES (1) ES2804734T3 (ko)
HK (1) HK1254727A1 (ko)
HR (1) HRP20200697T1 (ko)
HU (1) HUE048878T2 (ko)
IT (1) ITUB20160059A1 (ko)
LT (1) LT3412035T (ko)
MY (1) MY189801A (ko)
PL (1) PL3412035T3 (ko)
PT (1) PT3412035T (ko)
RS (1) RS60239B1 (ko)
SI (1) SI3412035T1 (ko)
WO (1) WO2017134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6153B1 (en) 2011-05-04 2015-01-20 Southwire Company, Llc Multiple conductor container
US10741160B1 (en) * 2019-09-25 2020-08-11 W. L. Gore & Associates, Inc. Acoustically resistive supported membrane assemblies
CN113938809A (zh) * 2020-07-13 2022-01-14 苏州新能高材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的防水纳米纤维声学隔膜
US11417311B2 (en) 2020-08-03 2022-08-16 W. L. Gore & Associates, Inc. Acoustically resistive supported membrane assemblies including at least one support structure
CN114146490B (zh) * 2021-12-09 2023-04-28 江苏久朗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强酸强碱的超效过滤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3196756A1 (en) * 2022-04-04 2023-10-12 W. L. Gore & Associates, Inc. Protected acoustic transducer
EP4258683A1 (en) * 2022-04-04 2023-10-11 W. L. Gore & Associates, Inc. Protected acoustic transducer
IT202200007241A1 (it) 2022-04-12 2023-10-12 Saati Spa Elemento di ventilazione a membrana rinforzata, in particolare per la protezione di dispositivi mems, e componente sagomato fatto con tale elemento di ventilazione
WO2024009174A1 (en) 2022-07-06 2024-01-11 Saati S.P.A. Improved textile protective element for use in acoustic components of electronic devices and acoustic component provided with this element insi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0548A2 (en) * 2007-06-07 2008-12-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forming a laminate of a nanoweb and a substrate, and filters utilizing the laminate
JP2013526172A (ja) * 2010-04-21 2013-06-20 サーティ エス.ピー.エー. 音響部品を形成するための繊維積層構造
JP2014031412A (ja) * 2012-08-02 2014-02-20 Nitto Denko Corp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膜、並びに、それを用いた通気膜および通気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29805C2 (de) 1976-07-02 1985-11-28 Henkel Kgaa, 4000 Duesseldorf Haarfärbemittel
US4949386A (en) 1988-05-23 1990-08-14 Hill Amel L Speaker system
US5828012A (en) 1996-05-31 1998-10-27 W. L. Gore & Associates, Inc. Protective cover assembly having enhanced acoustical characteristics
JPH10165787A (ja) * 1996-12-11 1998-06-23 Nitto Denko Corp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08134B2 (ja) 2005-09-14 2011-06-22 日東電工株式会社 通音膜、通音膜付き電子部品及びその電子部品を実装した回路基板の製造方法
ATE477005T1 (de) * 2005-10-05 2010-08-15 Sca Hygiene Prod Ab Saugfähiger artikel mit einem kontraphilen polymer
EP1953286A1 (en) 2007-02-01 2008-08-06 Nisshinbo Industries, Inc. Fabric and mask
WO2008118955A1 (en) * 2007-03-27 2008-10-02 Danaldson Company, Inc. High durability composite fabric
CN107089046B (zh) * 2007-07-18 2021-02-05 日东电工株式会社 防水透声膜、防水透声膜的制造方法及使用其的电器
IT1393709B1 (it) * 2009-04-29 2012-05-08 Saati Spa Struttura composita tessutale, particolarmente per l'uso quale mezzo filtrante.
CN102045623B (zh) * 2009-10-23 2014-12-10 清华大学 振动膜、振动膜的制备方法及具有该振动膜的扬声器
US9981448B2 (en) * 2010-01-22 2018-05-29 Cohesive Systems Llc Waterproof garment with invisible barrier seam
EP2454958A1 (en) * 2010-11-22 2012-05-23 Wangbunyen Tanakorn Seam and seam tape
ITMI20111579A1 (it) * 2011-09-02 2013-03-03 Saati Spa Microfono mems con schermo tessile integrato di protezione.
EP2809433B1 (en) 2012-01-27 2017-11-01 Zeus Industrial Products, Inc. Electrospun porous media
KR101460303B1 (ko) * 2012-05-18 2014-11-1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수 통음 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방수 통음 시트를 구비한 전자기기
CN104333833B (zh) * 2014-09-05 2018-07-06 东莞市劲瑞电子有限公司 织物复合膜及其制备方法及其应用
ITUB20154103A1 (it) * 2015-10-05 2017-04-05 Saati Spa Procedimento per fabbricare una struttura tessile multistrato per la protezione di dispositivi acustici, procedimento per fabbricare un componente di protezione di dispositivi acustici mediante la struttura tessile multistrato e componente di protezione di dispositivi acustici ottenut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0548A2 (en) * 2007-06-07 2008-12-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forming a laminate of a nanoweb and a substrate, and filters utilizing the laminate
JP2013526172A (ja) * 2010-04-21 2013-06-20 サーティ エス.ピー.エー. 音響部品を形成するための繊維積層構造
JP2014031412A (ja) * 2012-08-02 2014-02-20 Nitto Denko Corp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膜、並びに、それを用いた通気膜および通気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05175B (zh) 2020-10-02
HRP20200697T1 (hr) 2020-10-02
EP3412035A1 (en) 2018-12-12
HK1254727A1 (zh) 2019-07-26
HUE048878T2 (hu) 2020-08-28
ITUB20160059A1 (it) 2017-08-04
JP7313824B2 (ja) 2023-07-25
US10993008B2 (en) 2021-04-27
RS60239B1 (sr) 2020-06-30
PL3412035T3 (pl) 2020-08-24
KR20180111827A (ko) 2018-10-11
JP2019511950A (ja) 2019-05-09
US20190052945A1 (en) 2019-02-14
DK3412035T3 (da) 2020-05-25
BR112018015887B1 (pt) 2023-10-03
LT3412035T (lt) 2020-06-10
WO2017134479A1 (en) 2017-08-10
SI3412035T1 (sl) 2020-07-31
MY189801A (en) 2022-03-08
BR112018015887A8 (pt) 2023-05-02
CN108605175A (zh) 2018-09-28
ES2804734T3 (es) 2021-02-09
EP3412035B1 (en) 2020-02-26
BR112018015887A2 (pt) 2018-12-26
PT3412035T (pt)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115B1 (ko) 일반적으로 음향 및 전자 제품 내의 하위 구성요소로서의 사용을 위한 복합재료 복층 필터링 구조물
KR101249195B1 (ko) 방수 통음막과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제품
US9171535B2 (en)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membrane and electrical product
KR101768727B1 (ko) 필터 수단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재료 복합 구성물
JP5947655B2 (ja)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膜、並びに、それを用いた通気膜および通気部材
JP6118131B2 (ja) 防水通音膜、通音部材、及び電気機器
WO2010052976A1 (ja)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防水通気フィルタ
KR101807681B1 (ko) 방수통음시트
SG188432A1 (en) Porous article with fused thermoplastic particles
JP5244257B1 (ja) 通音膜、及び通音膜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80006046A (ko) 방수 통음 시트
US11122365B2 (en) Acoustic protective cover assembly containing a retracted membrane material
KR101370581B1 (ko) 멤브레인 어셈블리
CN112565975B (zh) 声阻支撑膜组件
KR102519268B1 (ko) 방수통음시트
WO2023285869A1 (en) Vent assembly
KR20230074442A (ko)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는 음향 저항성 지지되는 막 조립체
KR20230002328U (ko) 하이브리드 지지 음향막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