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399B1 -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압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압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399B1
KR102325399B1 KR1020200044507A KR20200044507A KR102325399B1 KR 102325399 B1 KR102325399 B1 KR 102325399B1 KR 1020200044507 A KR1020200044507 A KR 1020200044507A KR 20200044507 A KR20200044507 A KR 20200044507A KR 102325399 B1 KR102325399 B1 KR 102325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ressure
membrane module
separation membrane
drain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7274A (ko
Inventor
박정훈
이홍주
김민광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4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39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93Selection of liquid materials for use as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10Testing of membranes or membrane apparatus;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14Pressur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26Absorption or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4Specific pressurizing or depressurizing means
    • B01D2313/243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60Specific sensors or sensor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압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압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분리막 모듈의 압력을 조절하여, 미세한 압력 변화에도 적정 압력을 유지하여 분리막 모듈의 분리막 젖음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압력 제어 방법{Pressure control system of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essure thereof}
본 발명은 압력 제어 시스템 및 압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 및 압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리막 기술은 분리막을 통하여 흡수제와 기체를 접촉시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공정이며, 분리막을 활용하여 모듈성 및 소형화의 장점이 있는 기술이다. 분리막 기술은 1960년도 Schaffer에 의해 식품, 의약 등의 수처리용으로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1980년대 Qi와 Cussler에 의해 CO2 분리를 위해 활용된 이후로 기체 분리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다. 현재 분리막 기술은 액액 추출, 기체 흡수 및 탈거, 고밀도 가스 추출, 이성질체 분리, 발효 및 효소 변형, 단백질 추출, 제약 분야, 폐수 처리, 금속 이온 회수, 반도체 공정, 삼투 증류법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되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천연가스, 산업 공정, 화석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CO2, H2S, SO2, NH3 등의 가스를 저감하기 위한 접촉분리막 기술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CO2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어, 전 세계적으로 CO2 포집 기술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분리막을 이용한 분리 공정에서 기/액 접촉막에서 액체에 비해 확산 속도가 더 빠른 기체가 분리막 기공 내부를 채울 경우,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분리막 기공이 액체로 채워지는 젖음(wetting) 현상이 발생하면, 접촉막의 급격한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젖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수동으로 흡수제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흡수제를 포함하는 액체의 배수 밸브를 약간만 열어주면 흡수제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고, 밸브의 개/폐 정도에 따라 흡수제 압력 조절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수동으로 압력을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분리막 모듈의 미세한 압력 조절과 압력 변화에 따른 대응이 어렵다. 또한, 공정 스타트업 시에 안정화가 어렵고, 자동화 및 대형 공정에 적용하기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 분리막의 젖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막 모듈의 압력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분리막 모듈의 압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은 전무한 실정으로 분리막 모듈의 압력 자동 제어를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분리막 모듈의 압력을 조절하여, 압력 변화에도 적정 압력을 유지하여 분리막 모듈의 분리막 젖음 현상을 방지하는 분리막 모듈의 압력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제1 목적의 달성을 위해 사용되는 분리막 모듈의 압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유체에 포함된 목표 물질을 제2 유체로 침투시키는 분리막 모듈; 상기 분리막 모듈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 및 상기 제2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들; 상기 분리막 모듈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2 유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2 유체의 수위에 의해 상기 분리막 모듈의 제2 유체의 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저장조: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제2 유체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2 유체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펌프; 상기 압력 센서들에서 측정된 압력들의 차이에 따라 상기 드레인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저장조는 저장조 내의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바이패스 관통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는 기체이고, 제2 유체는 흡수제를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으며, 상기 목표 물질이 산성 기체이면, 상기 흡수제는 염기성 또는 아민계 물질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표 물질이 NH3이면, 상기 흡수제는 물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2 유체의 압력이 상기 제1 유체의 압력보다 크고, 상기 제2 유체의 압력과 상기 제1 유체의 압력 차이가 기 설정된 최소침투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드레인 펌프는 작동된다.
또한, 상기 최소침투압력은 0보다 크고,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른 한계 젖음 압력 △P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20037972217-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20037972217-pat00002
는 표면장력이고, θ는 접촉각이고, rp는 분리막 기공 반지름이다.)
상기 드레인 펌프는 상기 저장조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저장조의 상기 제2 유체의 배출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저장조의 수위가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저장조의 상기 제2 유체의 배출속도를 감소시킨다.
상기 저장조는 저장된 상기 제2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를 가지고, 상기 수위 센서에서 감지된 수위에 의해 상기 드레인 펌프의 동작은 제어된다.
상기 압력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2 유체의 압력이 상기 제1 유체의 압력보다 작으면, 상기 드레인 펌프를 작동을 중단시킨다.
또한,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목표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유체 및 상기 목표 물질을 흡수하는 흡수제를 포함하는 제2 유체를 분리막 모듈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분리막 모듈에 해당하는 중공사막을 통과하는 상기 제2 유체를 저장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중공사막을 흐르는 상기 제1 유체의 압력 및 상기 제2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압력들을 압력 인디케이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유체의 압력과 상기 제1 유체의 압력 차이를 기 설정된 최소침투압력과 비교하여 상기 압력 인디케이터가 드레인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저장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압력 차이가 상기 기 설정된 최소침투압력보다 낮은 경우, 상기 드레인 펌프는 동작은 중지된다.
또한, 상기 압력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최소침투압력을 상회하면 상기 드레인 펌프는 동작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압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분리막 모듈의 압력을 조절하여, 압력 변화에도 적정 압력을 유지하여 분리막 모듈의 분리막 젖음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분리막의 비젖음, 부분 젖음, 젖음 현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기체의 압력이 높은 경우 액체 내 기포 발생 현상을 보여준 도면이다.
도 4는 분리막 모듈 내부의 액체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장치의 기체/액체 흐름 방향에 따른 8가지 운전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시스템을 이용한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압력 인디케이터와 드레인 펌프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가 여러 가지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은 먼저, 제1 유체에 포함된 목표 물질을 제2 유체로 침투시키는 분리막 모듈(1)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유체는 목표 물질을 포함하는 기체이고, 제2 유체는 흡수제를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다. 상기 목표 물질은 CO2 및 NH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목표 물질이 CO2인 경우, 상기 흡수제는 CO2를 흡수하는 아민계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목표 물질이 NH3인 경우, 상기 흡수제는 물일 수 있다. 즉, 상기 목표 물질이 CO2와 같은 산성 기체라면 상기 흡수제는 CO2를 흡수할 수 있는 염기성 또는 아민계 물질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표 물질이 NH3와 같이 용해도가 큰 기체인 경우, 상기 흡수제는 물일 수 있다.
상기 분리막 모듈(1)은 중공사막 모듈일 수 있다. 상기 분리막 모듈(1)은 평판형 분리막 모듈, 나권형 분리막 모듈, 관형 분리막 모듈 및 중공사막 모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공사막 모듈일 수 있다.
중공사막 모듈의 중공사막은 다른 제형에 비해 단위 부피당 막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고 컴팩트한 모듈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밀폐된 원통형 하우징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상하 유체 출입구(11, 12) 및 상기 하우징 외주면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측면 유체 출입구(13, 1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유체 출입구들에는 압력 센서들(P)이 구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압력 센서들(P)이 배치되고, 유체 출입구들(11, 12, 13, 14)로 인입 또는 유체 출입구들(11, 12, 13, 14)로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은 감지된다.
또한, 제1 유체 및 제2 유체는 교차 흐름 방식(cross-flow)으로 접촉될 수 있다. 교차 흐름(Cross-flow) 방식은 액상 흡수제와 기체가 효율적으로 만나 물질전달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기존의 분리막 모듈은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기상과 액상이 향류 또는 병류로 평행하게 만나는 평행 흐름(Longitudinal-flow)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교차 흐름 방식은 기상과 액상이 수평이 아닌 수직 또는 특정한 각도를 갖고 접촉할 수 있도록 유도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교차 흐름 방식은 모듈의 측면 방향으로의 바이패스(bypass)를 최소화하고, 분리막 표면을 타격하는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물질전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하 유체 출입구들(11, 12)로 기체인 제1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고, 측면 유체 출입구들(13, 14)을 통해 액체인 제2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하 유체 출입구들(11, 12)로 액체인 제2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될 수 있으며, 측면 유체 출입구들(13, 14)로 기체인 제1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다. 즉, 제1 유체와 제2 유체가 교차 흐름 방식으로 접촉될 수 있는 경우라면 여하한 구성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들(P)은 유체가 흐르는 경로 상에 위치하여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여하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컨대, 분리막 모듈(1) 내에서 파이프 라인 형식으로 상하 유체 출입구(11, 12)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중공사막들 내부에는 제2 유체가 흐를 수 있으며, 중공사막들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제1 유체가 흐를 수 있다.
또한, 기상의 제1 유체는 상하 유체 출입구들(11, 12)을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되고, 액상의 제2 유체는 측면 유체 출입구들(13, 14)을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분리막 모듈(1)을 흐르는 제2 유체는 이동 가능한 라인을 통해 저장조(2)로 유입된다. 상기 저장조(2)는 적어도 하나의 수위 센서(24) 및 드레인 라인(25)을 가진다. 상기 저장조(2)는 밀폐된 용기의 형태를 가지며, 드레인 펌프(26)의 동작을 통해 제2 유체가 드레인 라인(25)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위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분리막 모듈(1) 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압력 센서들(P)은 압력 인디케이터(27)와 연결된다. 상기 압력 인디케이터(27)는 분리막 모듈(1)에 인입 및 배출되는 제1 유체의 압력 및 제2 유체의 압력에 따라 드레인 펌프(26)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1 유체의 압력은 분리막 모듈(1)에 인입되는 제1 유체의 압력 및 인출되는 제1 유체의 압력의 평균치일 수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인입되는 제1 유체 및 인출되는 제1 유체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유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상기 압력 인디케이터(27)는 제1 유체의 압력이 제2 유체의 압력보다 큰 경우, 드레인 펌프(26)의 동작을 오프시킨다. 따라서, 드레인 펌프(26)를 통해 저장조(2)에 저장된 액상의 제2 유체는 저장조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제2 유체가 저장조(2) 외부로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분리막 모듈(1)로부터 제2 유체가 유입되면, 저장조(2) 내부에 저장되는 제2 유체의 수위는 증가하고, 분리막 모듈(1)의 제2 유체의 압력은 증가한다.
제2 유체의 압력이 기체인 제1 유체의 압력을 상회하고, 제2 유체의 압력과 제1 유체의 압력의 차이가 압력 인디케이터(27)에 기 설정된 최소침투압력을 상회하면, 드레인 펌프(26)는 턴온되고, 저장조(2) 내에 저장된 제2 유체의 배출작업이 진행된다. 제1 유체의 압력을 상회하는 제2 유체의 압력의 차이의 최대치는 한계 젖음 압력으로 정의된다. 상기 한계 젖음 압력은 분리막 모듈(1) 내의 제2 유체와 제1 유체의 차이의 최대치이다. 즉, 압력 인디케이터(27) 및 드레인 펌프(26)의 동작을 통해 분리막 모듈(1)의 제2 유체와 제1 유체의 압력차가 한계 젖음 압력을 상회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상기 한계 젖음 압력 △P는 하기의 수학식 1로 정의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37972217-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20037972217-pat00004
는 표면장력이고, θ는 접촉각이고, rp는 분리막 기공 반지름이다.)
상술한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분리막 모듈(1)을 흐르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의 압력은 감지되고, 압력 인디케이터(27)로 전송된다. 사용자는 압력 인디케이터(27)를 통해 최소침투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최소침투압력은 제2 유체의 압력과 제1 유체의 압력의 차이의 최대치이며, 이는 0보다 크며, 상기 한계 젖음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최소침투압력은 분리막 모듈(1)에서 제2 유체의 압력에 제1 유체의 압력을 뺀 값으로 0보다 크며 한계 젖음 압력보다 작게 설정된다. 상기 한계 젖음 압력은 중공사막인 분리막 모듈(1)에서 액상인 제2 유체가 기상인 제1 유체에 비해 비젖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압력차이다.
만일, 제1 유체의 압력이 제2 유체의 압력보다 크면 드레인 펌프(26)는 압력 인디케이터(27)의 제어에 의해 동작이 중지된다. 따라서, 저장조(2)에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제2 유체에 의해 분리막 모듈(1)을 흐르는 제2 유체의 압력은 증가한다. 또한, 상기 제2 유체는 분리막 모듈(1)에서의 동작에 의해 제1 유체에 포함된 목표 물질의 일부가 흡수될 수 있다.
드레인 펌프(26)의 오프 상태에 의해 분리막 모듈(1)을 흐르는 제2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여 제2 유체의 압력과 제1 유체의 압력 차이가 최소침투압력에 도달하거나 최소침투압력 이상이면, 압력 센서들(P)은 이를 감지하고, 압력 인디케이터(27)는 드레인 펌프(26)를 턴온한다. 다만, 제2 유체와 제1 유체의 압력 차이는 한계 젖음 압력을 상회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드레인 펌프(26)가 턴온되면, 저장조(2)에 저장된 제2 유체의 수위는 감소하고, 분리막 모듈(1)을 흐르는 제2 유체의 압력도 감소된다. 다만, 드레인 펌프(26)에 의해 저장조(2)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제2 유체의 유속 또는 양은 수위 센서(24)에 의해 결정된다.
수위 센서들(24)에 의해 감지되는 저장조(2)의 제2 유체의 수위가 높은 경우, 드레인 펌프(26)의 동작 속도는 빨라지며, 저장조(2) 외부로 제2 유체는 빠르게 배출된다. 이를 통해 분리막 모듈(1) 내의 제2 유체의 압력도 빠르게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펌프(26)의 동작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는 분리막 모듈(1) 내의 제2 유체의 압력이 매우 높은 경우이며, 제2 유체와 제1 유체의 압력차가 최소침투압력을 크게 상회하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수위 센서들(24)에 의해 감지되는 저장조(2)의 제2 유체의 수위가 낮으면, 드레인 펌프(26)의 동작 속도는 느려지며, 저장조(2) 외부로 제2 유체는 천천히 배출된다. 이는 분리막 모듈(1) 내의 제2 유체와 제1 유체의 압력 차이가 최소침투압력을 근소하게 상회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지속적인 드레인 펌프(26)의 동작에 의해 저장조(2) 내의 제2 유체의 수위가 감소하면, 분리막 모듈(1) 내의 제2 유체의 압력도 감소된다. 만일 제2 유체의 압력이 감소하여 분리막 모듈(1) 내의 제1 유체의 압력보다 작으면, 압력 인디케이터(27)의 제어에 의해 드레인 펌프(26)의 동작은 중지된다. 따라서, 저장조(2)로 유입되는 제2 유체에 의해 수위는 증가하고, 상승된 수위에 의해 분리막 모듈(1) 내의 제2 유체의 압력도 서서히 증가된다.
상술한 동작을 통해 분리막 모듈(1) 내의 제2 유체의 압력은 제1 유체의 압력을 상회하되, 그 압력 차이는 한계 젖음 압력에 최근접하게 된다. 제2 유체와 제1 유체 사이의 압력차가 한계 젖음 압력에 도달할수록 제1 유체에서의 목표 물질은 제2 유체로 최대한 흡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조(2)는 저장조(2) 내의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바이패스 관통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관통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바이패스 관통홀을 열어, 저장조(2)의 압력을 낮추어 저장조(2)에 제2 유체가 투입되는 초기의 압력의 갑작스러운 증가로 인해 분리막의 젖음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에 포함된 흡수제에 의한 분리막 젖음 현상 없이 기체로부터 목표 물질을 분리 공정을 운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체와 액체의 압력차를 수학식 1로 표현되는 한계 젖음 압력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도 2는 분리막의 비젖음, 부분 젖음, 젖음 현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기체의 압력이 높은 경우 액체 내 기포 발생 현상을 보여준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분리막 모듈을 구성하는 중공사막의 부분 젖음 또는 젖음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분리막의 기공 사이로 액체가 침투할 수 있다. 기공의 사이즈가 약 0.1㎛ 이므로 기체에 포함된 목표 물질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또는 암모니아는 기공으로 침투한 액체에 흡수되어 확산되는데 기공의 공간이 협소하여 확산 속도가 떨어져 분리 효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액체의 압력이 기체의 압력보다는 한계 젖음 압력(△P)보다 작아야 한다. 즉, 상기 분리막을 형성하는 중공사막은 액상의 제2 유체와 비젖음 상태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과 같이 기체의 압력이 액체의 압력보다 높을 경우에는 액체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액체에 기포가 발생하면 기/액 계면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유효 접촉 면적이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액상의 압력은 기상보다 약간 높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포를 방지하기 위하여 액체 압력은 기체 압력보다 높게 유지되어야 하고, 액체의 압력이 기체의 압력보다 최소침투압력 만큼 높아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비젖음 상태에서 액체 내에 용해된 기체의 분압은 액체와 접하는 기체의 분압보다 낮으므로 분압차에 의해 기체 내에 함유된 목표 물질은 액체 내로 흡수되고 확산될 수 있다.
도 4는 분리막 모듈 내부의 액체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체를 상부의 측면 유체 출입구(13)로 투입하여 하부의 측면 유체 출입구(14)로 배출시키는 경우, 액체와 분리막인 중공사막이 접촉하지 않는 데드존(deadzone)이 발생해 분리막에서 액체와 기체가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져 목표 물질의 분리의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장치가 없는 경우는 액체를 하부의 측면 유체 출입구(14)로 투입하여 상부의 측면 유체 출입구(13)로 배출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분리막에서의 액체와 기체의 미세한 압력 차이를 조절할 수 없어 분리막 젖음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장치의 기체/액체 흐름 방향에 따른 8가지 운전모드를 나타내는 표이다. 표 1에서 LTS(Liquid to Shell side)는 액체가 측면 유체 출입구로 투입되는 운전모드를 의미하고, GTS(Gas to Shell side)는 기체가 측면 유체 출입구로 투입되는 운전모드를 의미한다.
도 5는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장치의 기체/액체 흐름 방향에 따른 8가지 운전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체 기체
1 LTS-1 Shell side 위 → 아래 Lumen side 아래 → 위
2 LTS-2 Shell side 아래 → 위 Lumen side 아래 → 위
3 LTS-3 Shell side 위 → 아래 Lumen side 위 → 아래
4 LTS-4 Shell side 아래 → 위 Lumen side 위 → 아래
5 GTS-1 Lumen side 위 → 아래 Shell side 아래 → 위
6 GTS-2 Lumen side 아래 → 위 Shell side 아래 → 위
7 GTS-3 Lumen side 위 → 아래 Shell side 위 → 아래
8 GTS-4 Lumen side 아래 → 위 Shell side 위 → 아래
표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분리 공정 조건에 맞게 기체/액체 흐름 방향에 따른 8가지 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중공사막 모듈의 종류와 형태, 그리고 제1 유체와 제2 유체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운전모드는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액체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LTS-1,3, GTS-1,3의 경우 제2 유체의 압력을 제1 유체의 압력보다 높게 유지하기 어렵고, 액체가 아래에서 위로 흐르는 LTS-2,4, GTS-2,4의 경우 높이 차에 의하여 제2 유체의 압력이 상승하여 분리막 젖음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 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제1 유체와 제2 유체의 압력차 범위에서 분리막 젖음 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8가지 모드의 운전이 가능하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시스템을 이용한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목표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유체 및 상기 목표 물질을 흡수하는 흡수제를 포함하는 제2 유체를 분리막 모듈로 투입된다(S1). 분리막 모듈에 해당하는 중공사막을 통과한 제2 유체는 저장조로 투입된다(S2). 또한, 중공사막을 흐르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의 압력은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감지된 입력은 압력 인디케이터로 전송된다(S3).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 유체 및 제2 유체의 압력에 따라 압력 인디케이터는 드레인 펌프의 동작을 제어한다(S4). 압력 인디케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드레인 펌프는 동작을 중지하거나, 배수 동작을 수행하여 제2 유체의 압력과 제1 유체의 압력 차이를 기 설정된 최소침투압력에 근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유체는 중공사막의 기공에 대해 비젖음 현상을 일으키고, 제1 유체에 포함된 목표 물질은 제2 유체로 효과적으로 침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압력 인디케이터와 드레인 펌프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압력 인디케이터로 전송된 제1 유체의 압력과 제2 유체의 압력 차이(제2 유체의 압력-제1 유체의 압력)는 압력 인디케이터에 기 설정된 최소침투압력과 비교된다(S41). 비교 결과, 제1 유체의 압력이 제2 유체의 압력보다 크다면, 드레인 펌프의 동작은 중지된다(S42). 드레인 펌프의 동작과는 무관하게 분리막 모듈에서 제2 유체는 저장조로 유입된다. 따라서, 저장조 내의 제2 유체의 수위는 상승하고, 분리막 모듈에서 제2 유체의 압력은 증가한다. 분리막 모듈에서 제1 유체 및 제2 유체의 압력은 다시 압력 인디케이터로 전송되고, 판단된다.
만일, 비교결과 제2 유체의 압력이 제1 유체의 압력보다 크면서 기 설정된 최소침투압력차 이상의 값을 보이면, 압력 인디케이터는 드레인 펌프를 동작시킨다(S43). 드레인 펌프가 작동되는 동안 수위 센서에 의한 수위 조절 동작이 개시된다(S44). 즉, 저장조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를 상회하면, 상기 드레인 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유체량은 증가되고, 제2 유체와 제1 유체의 압력차는 최소침투압력으로 빠르게 수렴된다. 만일, 저장조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하이면, 드레인 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유체량은 감소되고, 제2 유체와 제1 유체의 압력차는 최소침투압력으로 천천히 수렴된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면 제2 유체와 제1 유체의 압력 차이는 최소침투압력으로 수렴된다. 따라서, 중공사막으로 구성되는 분리막 모듈 내에서 액체 상태인 제2 유체는 중공사막에 대해 비젖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체 상태인 제1 유체 내에 포함된 목표 물질은 제2 유체로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분리막인 공중사막의 젖음 현상은 방지되고, 이산화탄소 또는 암모니아 등의 목표물질을 함유하는 기상의 제1 유체 내의 목표물질은 액상의 제2 유체로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즉, 2 종류의 유체의 상호간의 압력 조절을 통해 공중사막의 젖음 현상은 효과적으로 회피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압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분리막 모듈의 압력을 조절하여, 미세한 압력 변화에도 적정 압력을 유지하여 분리막 모듈의 분리막 젖음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분리막 모듈 11: 상부 상하 유체 출입구
12: 하부 상하 유체 출입구 13: 상부 측면 유체 출입구
14: 하부 측면 유체 출입구 2 : 저장조
24: 수위 센서 25: 드레인 라인
26: 드레인 펌프 27: 압력 인디케이터

Claims (13)

  1. 기체인 제1 유체에 포함된 목표 물질을 흡수제를 가지는 액체인 제2 유체로 침투시키는 분리막 모듈;
    상기 분리막 모듈의 상기 제1 유체의 압력 및 상기 제2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들;
    상기 분리막 모듈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2 유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제2 유체의 수위에 의해 상기 분리막 모듈의 제2 유체의 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저장조;
    상기 저장조 내에 설치되고, 기설정된 수위가 최소침투압력에 상응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저장조 내의 상기 제2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들;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제2 유체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제2 유체를 배수하되, 상기 수위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2 유체의 수위에 따라 상기 저장조의 상기 제2 유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드레인 펌프; 및
    상기 압력 센서들에서 측정된 압력들의 차이에 따라 상기 드레인 펌프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 인디케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센서들이 상기 저장조 내에 저장된 상기 제2 유체의 수위가 상기 기설정된 수위를 상회하면 상기 드레인 펌프의 상기 제2 유체 배출량은 증가하고,
    상기 수위 센서들이 상기 저장조 내에 저장된 상기 제2 유체의 수위가 상기 기설정된 수위를 하회하면 상기 드레인 펌프의 상기 제2 유체 배출량은 감소하여,
    상기 분리막 모듈 내의 상기 제2 유체와 제1 유체의 압력차이는 상기 최소침투압력으로 수렴하며,
    상기 최소침투압력은 상기 분리막 모듈 내의 제2 유체의 압력에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을 감산한 값으로 0 이상 한계젖음압력 미만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저장조 내의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바이패스 관통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물질이 산성 기체이면, 상기 흡수제는 염기성 또는 아민계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물질이 NH3인 경우, 상기 흡수제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이 상기 제2 유체의 압력보다 크면, 상기 드레인 펌프를 오프시켜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침투압력은 0보다 크고,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른 한계 젖음 압력 △P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20037972217-pat00005

    (여기서,
    Figure 112020037972217-pat00006
    는 표면장력이고, θ는 접촉각이고, rp는 분리막 기공 반지름이다.)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목표 물질을 포함하는 기체인 제1 유체 및 상기 목표 물질을 흡수하는 흡수제를 포함하는 액체인 제2 유체를 분리막 모듈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분리막 모듈에 해당하는 중공사막을 통과하는 상기 제2 유체를 저장조에 투입하는 단계;
    압력 센서들을 통해 상기 제1 유체의 압력과 제2 유체의 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이 상기 제2 유체의 압력을 상회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이 상기 제2 유체의 압력을 상회하면, 상기 저장조 내의 상기 제2 유체를 배출하는 드레인 펌프의 동작을 압력 인디케이터를 통해 중지하여 상기 분리막 모듈 내의 상기 제2 유체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유체의 압력이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을 상회하면, 상기 저장조 내의 상기 제2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드레인 펌프의 동작을 통해 상기 저장조 내의 상기 제2 유체의 수위를 조절하여, 상기 제2 유체와 상기 제1 유체의 상기 분리막 내의 압력차가 기설정된 최소침투압력으로 수렴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최소침투압력을 상회하면 상기 드레인 펌프는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모듈의 압력 조절 방법.
KR1020200044507A 2020-04-13 2020-04-13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압력 제어 방법 KR102325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507A KR102325399B1 (ko) 2020-04-13 2020-04-13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압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507A KR102325399B1 (ko) 2020-04-13 2020-04-13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압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274A KR20210127274A (ko) 2021-10-22
KR102325399B1 true KR102325399B1 (ko) 2021-11-10

Family

ID=7827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507A KR102325399B1 (ko) 2020-04-13 2020-04-13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압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3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709B1 (ko) * 2011-12-08 2013-10-28 (주)세프라텍 수용성 기체 분리 포집을 위한 막 접촉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40001B1 (ko) * 2012-10-18 2014-09-12 한국화학연구원 미세 다공성 중공사막을 이용한 바이오 가스로부터의 메탄 가스 고순도 정제 방법 및 장치
KR101862769B1 (ko) * 2016-02-19 2018-05-31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 가스로부터 고순도 메탄 가스 정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순도 메탄 정제 방법
KR102081812B1 (ko) * 2016-12-27 2020-02-27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 가스로부터 고순도 메탄 가스 정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가스의 정제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2016, Vol. 7, No. 3, 249∼25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274A (ko)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3130A (en) Method of valving and orientation sensitive valve including a liquid for controlling flow of gas into a container
US6872315B2 (en) Pump for low flow rates
KR100718296B1 (ko) 유체 분리 장치
Prasad et al. Solvent extraction with microporous hydrophilic and composite membranes
US7537644B2 (en) Method for degassing a liquid
US80170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vaporation control in chromatographic systems
US7858246B2 (en) Gas-liquid separation system and fuel cell system
EP3530301A1 (en) Degasser and vent manifolds for dialysis
KR102325399B1 (ko) 분리막 모듈의 압력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압력 제어 방법
US107100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batch reverse osmosis process using a tank with a movable partition
Aydoğan et al. Effect of operating parameters on the separation of sugars by nanofiltration
JP4919385B2 (ja) ガス溶解方法および装置
JPH0758019A (ja) 半導体処理液のガス抜き方法及び装置
US20050058862A1 (en) Gas-liquid separator and fuel cell
JP2003269754A (ja) ガス加湿装置
JP2005238217A (ja) 気液分離器および燃料電池
US20080206620A1 (en) Gas-liquid separation system and fuel cell system
JP6646499B2 (ja) 脱気装置
US9937465B2 (en) Gas-producing apparatus and gas-producing method
JPH06165927A (ja) 溶液の調製装置および調製方法
KR101018277B1 (ko) 탄산수 제조방법
JPH06134446A (ja) 脱気水の製造方法及び脱気水製造用モジュール
KR102066026B1 (ko) 기체 분리 장치, 기체 분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체 분리 방법
KR19990073947A (ko) 용존 산소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존 산소 제거 방법
EP3520870B1 (en) Degassing system for di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