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327B1 -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327B1
KR102325327B1 KR1020150109189A KR20150109189A KR102325327B1 KR 102325327 B1 KR102325327 B1 KR 102325327B1 KR 1020150109189 A KR1020150109189 A KR 1020150109189A KR 20150109189 A KR20150109189 A KR 20150109189A KR 102325327 B1 KR102325327 B1 KR 102325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spacer
pair
window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5017A (ko
Inventor
정수진
전용우
박장제
이상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327B1/ko
Priority to US15/213,973 priority patent/US10411702B2/en
Priority to EP16833250.0A priority patent/EP3329661B1/en
Priority to CN201680044616.6A priority patent/CN107925688B/zh
Priority to PCT/KR2016/008282 priority patent/WO2017023014A1/en
Publication of KR20170015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17/9622Capacitive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05Safety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e.g. increasing reliability, fail-saf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 H03K2217/96076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with spring electr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53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형성하는 윈도우(window)와,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정전용량 변화를 기초로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보드와,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회로 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보드와 마주하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이 형성된 스페이서(spacer)와, 상기 회로 보드의 일면에 실장되어 상기 입력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수용되는 컨택(contact), 및 상기 윈도우에 근접하고 상기 회로 보드로부터 분리되게 상기 스페이서에 결합되고, 상기 공간을 통하여 상기 컨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플레이트(conductive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PUT APPARATU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입력 오동작을 줄이기 위한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사용자 기기(예: 셀룰러 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전자 장치, 랩 탑 컴퓨터 등의 전자 장치)는 현대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다양한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오늘날 디자인 측면에서 사용자 기기의 두께는 얇아지고 있어, 입력 장치를 실장하기 위한 공간은 부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기기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입력 장치 내의 구성 요소들 간의 전기적 접점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고, 이는 입력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 기기가 가지는 협소한 공간에 실장하기 용이하고, 외부 충격에 의한 입력 오동작을 줄일 수 있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형성하는 윈도우(window)와,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정전용량 변화를 기초로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보드와,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회로 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보드와 마주하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이 형성된 스페이서(spacer)와, 상기 회로 보드의 일면에 실장되어 상기 입력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수용되는 컨택(contact), 및 상기 윈도우에 근접하고 상기 회로 보드로부터 분리되게 상기 스페이서에 결합되고, 상기 공간을 통하여 상기 컨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플레이트(conductive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는 조립 구조가 단순하여 비용 절감 및 사용자 기기 내에 실장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는 외부 충격에도 구성 요소들 간의 전기적 접점을 유지할 수 있어, 입력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전자 장치(3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플레이트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와 회로 보드 사이의 결합 상태를 전자 장치의 정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와 회로 보드 사이의 결합 상태를 전자 장치의 후면에서 정면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와 회로 보드 사이의 결합 상태에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 회로 보드, 케이스 프레임 및 커버 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스페이서, 키 플레이트, 회로 보드, 케이스 프레임 및 커버 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를 정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를 후면에서 정면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를 정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부를 후면에서 정면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키 플레이트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hardware)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대체적으로 사각 장방형이고, 전자 장치(100)의 정면(F)을 형성하는 정면 커버(1) 및 전자 장치(100)의 후면(B)을 형성하는 후면 커버(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정면 커버(1)와 후면 커버(2)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베젤(bezel)(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정면 커버(1)와 후면 커버(2)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내장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은 정면 커버(1)를 통하여 외부로 비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정면 커버(1) 및/또는 후면 커버(2)는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베젤(3)은 비금속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정면(F)은 제 1 엣지(edge)(1E1), 제 2 엣지(1E2), 제 3 엣지(1E3) 및 제 4 엣지(1E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엣지(1E1) 및 제 2 엣지(1E2)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제 3 엣지(1E3) 및 제 4 엣지(1E4)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엣지(1E3)는 제 1 엣지(1E1)의 일단부 및 제 2 엣지(1E2)의 일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 4 엣지(1E4)는 1 엣지(1E1)의 타단부 및 제 2 엣지(1E2)의 타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엣지(1E1), 제 2 엣지(1E2), 제 3 엣지(1E3) 또는 제 4 엣지(1E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태이거나 또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곡선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정면 커버(1)는 제 1 엣지(1E1)에 인접한 제 1 영역(1A1)을 포함할 수 있다. 정면 커버(1)는 제 2 엣지(1E2)에 인접한 제 2 영역(1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1A1)과 제 2 영역(1A2)은 서로 대칭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정면 커버(1)는 제 3 엣지(1E3)에 인접한 제 3 영역(1A3)을 포함할 수 있다. 정면 커버(1)는 제 4 엣지(1E4)에 인접한 제 4 영역(1A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영역(1A3)과 제 4 영역(1A4)은 서로 대칭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영역(1A1), 제 2 영역(1A2), 제 3 영역(1A3) 및 제 4 영역(1A4)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 1 영역(1A1), 제 2 영역(1A2), 제 3 영역(1A3) 및 제 4 영역(1A4)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는 평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정면(F)은 제 1 영역(1A1), 제 2 영역(1A2), 제 3 영역(1A3) 및 제 4 영역(1A4)에 둘러싸인 중앙 영역(1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 영역(1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중앙 영역(1A)은 평면 및/또는 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은 정면(F)의 중앙 영역(1A)에 중첩되고, 제 1 영역(1A1), 제 2 영역(1A2), 제 3 영역(1A3) 및 제 4 영역(1A4)에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젤(3)은 제 1 엣지(1E1) 및 제 3 엣지(1E3)가 연결된 근처의 제 1 코너부(1C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3)은 제 1 엣지(1E1) 및 제 4 엣지(1E4)가 연결된 근처의 제 2 코너부(1C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베젤(3)은 제 1 코너부(1C1) 및 제 2 코너부(1C2)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1L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코너부(1C1) 및/또는 제 2 코너부(1C2)는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연결부(1L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면에서 볼 때 전자 장치(1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코너부(1C1) 및/또는 제 2 코너부(1C2)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연결부(1L1)보다 덜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젤(3)은 제 2 엣지(1E2) 및 제 3 엣지(1E3)가 연결된 근처의 제 3 코너부(1C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3)은 제 2 엣지(1E2) 및 제 4 엣지(1E4)가 연결된 근처의 제 4 코너부(1C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베젤(3)은 제 3 코너부(1C3) 및 제 4 코너부(1C4)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1L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코너부(1C3) 및/또는 제 4 코너부(1C4)는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2 연결부(1L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면에서 볼 때 전자 장치(1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3 코너부(1C3) 및/또는 제 4 코너부(1C4)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연결부(1L2)보다 덜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젤(3)은 제 1 코너부(1C1) 및 제 3 코너부(1C3)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1L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코너부(1C1) 및/또는 제 3 코너부(1C3)는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3 연결부(1L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면에서 볼 때 전자 장치(1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코너부(1C1) 및/또는 제 3 코너부(1C3)의 적어도 일부는 제 3 연결부(1L3)보다 덜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젤(3)은 제 2 코너부(1C2) 및 제 4 코너부(1C4) 사이를 연결하는 제 4 연결부(1L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코너부(1C2) 및/또는 제 4 코너부(1C4)는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4 연결부(1L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면에서 볼 때 전자 장치(1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2 코너부(1C2) 및/또는 제 4 코너부(1C4)는 제 4 연결부(1L4)보다 덜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코너부들(1C1, 1C2, 1C3, 1C4)은 연결부들(1L1, 1L2, 1L3, 1L4)에 매끄럽게 연결되는 둥근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코너부들(1C1, 1C2, 1C3, 1C4)은 전자 장치(1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부들(1L1, 1L2, 1L3, 1L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면에서 볼 때 전자 장치(1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부들(1L1, 1L2, 1L3, 1L4)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돌출 형상은 전자 장치(100)의 낙하로 인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B)은 제 1 엣지(2E1), 제 2 엣지(2E2), 제 3 엣지(2E3) 및 제 4 엣지(2E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엣지(2E1) 및 제 2 엣지(2E2)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제 3 엣지(2E3) 및 제 4 엣지(2E4)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엣지(2E3)는 제 1 엣지(2E1)의 일단부 및 제 2 엣지(2E2)의 일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 4 엣지(2E4)는 1 엣지(2E1)의 타단부 및 제 2 엣지(2E2)의 타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엣지(2E1), 제 2 엣지(2E2), 제 3 엣지(2E3) 또는 제 4 엣지(2E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태이거나 또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곡선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커버(2)는 제 1 엣지(2E1)에 인접한 제 1 영역(2A1)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커버(2)는 제 2 엣지(2E2)에 인접한 제 2 영역(2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2A1)과 제 2 영역(2A2)은 서로 대칭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커버(2)는 제 3 엣지(2E3)에 인접한 제 3 영역(2A3)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커버(2)는 제 4 엣지(2E4)에 인접한 제 4 영역(2A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영역(2A3)과 제 4 영역(2A4)은 서로 대칭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영역(2A1), 제 2 영역(2A2), 제 3 영역(2A3) 및 제 4 영역(2A4)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 1 영역(2A1), 제 2 영역(2A2), 제 3 영역(2A3) 및 제 4 영역(2A4)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는 평면일 수도 있다. 또는, 제 1 영역(2A1), 제 2 영역(2A2), 제 3 영역(2A3) 및 제 4 영역(2A4)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경사도를 가지는 평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B)은 제 1 영역(2A1), 제 2 영역(2A2), 제 3 영역(2A3) 및 제 4 영역(2A4)에 둘러싸인 중앙 영역(2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 영역(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중앙 영역(2A)은 평면 및/또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의 화면 영역은 후면(B)의 중앙 영역(2A)에 중첩되고, 제 1 영역(2A1), 제 2 영역(2A2), 제 3 영역(2A3) 및 제 4 영역(2A4)에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젤(3)은 제 1 엣지(2E1) 및 제 3 엣지(2E3)가 연결된 근처의 제 1 코너부(2C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3)은 제 1 엣지(2E1) 및 제 4 엣지(2E4)가 연결된 근처의 제 2 코너부(2C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베젤(3)은 제 1 코너부(2C1) 및 제 2 코너부(2C2)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2L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코너부(2C1) 및/또는 제 2 코너부(2C2)는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연결부(2L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면에서 볼 때 전자 장치(1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코너부(2C1) 및/또는 제 2 코너부(2C2)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연결부(2L1)보다 덜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젤(3)은 제 2 엣지(2E2) 및 제 3 엣지(2E3)가 연결된 근처의 제 3 코너부(2C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3)은 제 2 엣지(2E2) 및 제 4 엣지(2E4)가 연결된 근처의 제 4 코너부(2C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베젤(3)은 제 3 코너부(2C3) 및 제 4 코너부(2C4)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2L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코너부(2C3) 및/또는 제 4 코너부(2C4)는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2 연결부(2L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면에서 볼 때 전자 장치(1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3 코너부(2C3) 및/또는 제 4 코너부(2C4)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연결부(2L2)보다 덜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젤(3)은 제 1 코너부(2C1) 및 제 3 코너부(2C3) 사이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2L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코너부(2C1) 및/또는 제 3 코너부(2C3)는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3 연결부(2L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면에서 볼 때 전자 장치(1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코너부(2C1) 및/또는 제 3 코너부(2C3)의 적어도 일부는 제 3 연결부(2L3)보다 덜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젤(3)은 제 2 코너부(2C2) 및 제 4 코너부(2C4) 사이를 연결하는 제 4 연결부(2L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코너부(2C2) 및/또는 제 4 코너부(2C4)는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4 연결부(2L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면에서 볼 때 전자 장치(1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제 2 코너부(2C2) 및/또는 제 4 코너부(2C4)는 제 4 연결부(2L4)보다 덜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코너부들(2C1, 2C2, 2C3, 2C4)은 연결부들(2L1, 2L2, 2L3, 2L4)에 매끄럽게 연결되는 둥근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코너부들(2C1, 2C2, 2C3, 2C4)은 전자 장치(1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부들(2L1, 2L2, 2L3, 2L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면에서 볼 때 전자 장치(1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부들(2L1, 2L2, 2L3, 2L4)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정면 커버(1)는 전자 장치(100)에 탑재된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1H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또는 리시버로부터의 소리는 관통 홀(1H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정면 커버(1)는 전자 장치(100)에 탑재된 광학 관련 부품(예: 조도 센서, 이미지 센서 또는 근접 센서 등)을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투명 영역(1T1, 1T2)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광은 투명 영역(1T1, 1T2)을 통하여 광학 관련 부품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관련 부품으로부터의 광은 투명 영역(1T1, 1T2)을 통하여 외부로 투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정면 커버(1)는 전자 장치(100)에 탑재된 버튼을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1H2)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은 관통 홀(1H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커버(2)는 전자 장치(100)에 탑재된 카메라를 위한 관통 홀(2H1)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관통 홀(2H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는, 후면 커버(2)는 전자 장치(100)에 탑재된 플래시(flash)를 위한 관통 홀 또는 투명 영역(2H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로부터의 빛은 관통 홀 또는 투명 영역(2H2)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는, 후면 커버(2)는 전자 장치(100)에 탑재된 스피커를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2H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로부터의 소리는 관통 홀(2H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베젤(3)은 전자 장치(100)에 탑재된 마이크로폰을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3H1)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의 소리는 관통 홀(3H1)을 통하여 마이크로폰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베젤(3)은 전자 장치(100)에 탑재된 커넥터(예: USB 소켓, 충전 잭, 통신 잭 또는 이어 잭 등)를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3H2)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관통 홀(3H2)을 통하여 전자 장치(100)의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베젤(3)은 전자 장치(100)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버튼들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3H41, 3H4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버튼들은 관통 홀들(3H41, 3H4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베젤(3)은 전자 장치(100)에 탑재된 이어 잭(ear jack)을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3H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플러그는 관통 홀(3H5)통하여 이어 잭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베젤(3)은 다수의 분절부들(3P1, 3P2, 3P3, 3P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3)은 다수의 분절부들(3P1, 3P2, 3P3, 3P4)에 의해 구분되는 다수의 분절 구간들(3P12, 3P13, 3P24, 3P3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3)이 금속인 경우, 다수의 분절 구간들(3P12, 3P13, 3P24, 3P34)로 이루어진 구조는 전자 장치(100)의 내부에 탑재된 안테나의 성능의 열화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수의 분절 구간들(3P12, 3P13, 3P24, 3P34) 중 적어도 하나는 전류를 직접적으로 공급받아 전파를 방사하는 안테나 방사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수의 분절 구간들(3P12, 3P13, 3P24, 3P34) 중 적어도 하나는 전류를 간접적으로 공급(예를 들어, 급전부로부터 전자기적으로 전류가 공급)받아 전파를 방사하는 안테나 방사체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전자 장치(3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전자 장치(300)의 일부분에 대한 구성이 제공되고, 이러한 구성이 전자 장치(300) 전체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310), 회로 보드(circuit board)(360), 스페이서(spacer)(320), 키 플레이트(button plate)(340), 케이스 프레임(case frame)(370) 및 커버(cover)(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윈도우(311) 및 디스플레이(3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311)는 대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이고, 내 충격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311)는 케이스 프레임(370)에 결합되고, 전자 장치(300)의 정면(F)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311)의 환형의 엣지(311-E)는 결합 수단(예: 양면 테이프)을 이용하여 케이스 프레임(370)의 환형의 윈도우 설치 부(370-E)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311)와 케이스 프레임(370)이 결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313) 및 회로 보드(360)를 수용 가능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313)는 윈도우(31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311)는 투명한 제 1 영역(311-1A)과 불투명한 제 2 영역(311-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311-1A)은 디스플레이(313)의 영상 표시 영역에 중첩되고, 디스플레이(313)의 영상은 제 1 영역(311-1A)을 통해서 외부로 비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311-1A)은 장방형이고,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중앙 영역(1A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영역(311-2A)은 제 1 영역(311-1A)을 에워싸는 환형 영역이고, 제 1 엣지 영역(311-1A1), 제 2 엣지 영역(311-1A2), 제 3 엣지 영역(311-1A3) 및 제 4 엣지 영역(311-1A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엣지 영역(311-1A1) 및 제 2 엣지 영역(311-1A2)은 장방형 윈도우(311)의 긴 길이 방향의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엣지 영역(311-1A3) 및 제 4 엣지 영역(311-1A4)은 장방형 윈도우(311)의 짧은 길이 방향의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엣지 영역(311-1A1) 및 제 2 엣지 영역(311-1A2)은 제 3 엣지 영역(311-1A3) 및 제 4 엣지 영역(311-1A4)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영역(311-2A)은 다수의 관통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311)는 제 2 영역(311-2)(예: 제 1 엣지 영역 311-1A1)에 배치되는 소리 출입 지원 홀(311-2H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에 탑재된 스피커 또는 리시버로부터의 소리는 소리 출입 지원 홀(311-2H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311)는 제 2 영역(311-2)(예: 제 1 엣지 영역 311-1A2)에 배치되는 버튼 지원 홀(311-2H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에 탑재된 버튼(330)은 버튼 지원 홀(311-2H2)에 끼워져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311)는 제 2 영역(311-2)(예: 제 1 엣지 영역 311-1A1)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지원 영역(311-2T1, 311-2T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지원 영역(311-2T1, 311-2T2)은 전자 장치(300)에 탑재된 광학 관련 센서(조도 센서, 이미지 센서 또는 근접 센서)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313)는 윈도우(311)와 회로 보드(3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3)는 회로 보드(360)로부터 제공된 전기적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LCD(liquid-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특히, AM(active-matrix)-O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위한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은 윈도우(311)와 디스플레이(3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전자 펜(electronic pen) 또는 스타일러스(stylus)를 이용한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 패널(예: 펜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윈도우(311)의 제 1 영역(311-1A)을 통하여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터치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AM-OLED 일체형 터치 스크린(OCTA: On-Cell TSP AMOLE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는(또는, 메인 보드(main board), 마더 보드(mother board), PBA(Printed Board Addembly)) 다수의 전자 부품들을 탑재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 보드(360)는 전자 장치(300)의 실행 환경을 설정하고, 그 정보를 유지해 주며, 전자 장치(300) 내의 장치들의 데이터 입출력 교환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는 전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 1 면(360-1) 및 제 2 면(36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면(360-1)은 전자 장치(300)의 정면(F)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제 2 면(360-2)은 전자 장치(300)의 후면(B)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는 제 1 면(360-1)에 실장된 누름 스위치(360-S1)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 스위치(360-S1)는 버튼(330)의 수직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에 의해 버튼(330)이 수직 아래로 이동되는 경우, 누름 스위치(360-S1)는 도시하지 않은 두 접점들 사이를 통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누름 스위치(360-S1)는 돔 스위치(dome switch)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는 제 1 면(360-1)에 실장되어 터치 또는 호버링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컨택들(360-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컨택들(360-C1, 360-C2)이 구성될 수 있고, 누름 스위치(360-S1)는 한 쌍의 컨택들(360-C1, 360-C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보드(360)는 하나 이상의 컨택들(36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회로는 정전용량 변화를 기초로 터치 또는 호버링 입력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용량의 변화량이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입력 회로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정전용량의 변화량은 도전체(예: 손가락)의 근접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컨택들(360-C)은 윈도우(311)의 제 2 영역(311-2A)의 제 2 엣지 영역(311-1A2)의 수직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는 제 1 면(360-1)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60-Sen.)(예: 조도 센서, 이미지 센서, 근접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360-Sen.)는 윈도우(311)의 제 2 영역(311-2A)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지원 영역(311-2T1, 311-2T2)을 이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는 제 2 면(360-2)에 실장되는 마이크로폰(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은 케이스 프레임(370)에 형성된 마이크로폰을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370-H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는 제 2 면(360-2)에 실장되는 하나 이상의 누름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누름 스위치(360-B41)는 전원 온/오프, 화면 온/오프 등의 기능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케이스 프레임(370)에 형성된 버튼을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370-H4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하나의 누름 스위치(360-B42)는 소리 볼륨 조절에 이용될 수 있고, 케이스 프레임(370)에 형성된 버튼을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370-H42)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두 누름 스위치들(360-B41, 360-B42)은 전자 장치(300)의 짧은 길이 방향(4002)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는 제 2 면(360-2)에 실장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커넥터(360-21)는 버튼(330)의 수직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360-21)는 케이스 프레임(370)에 형성된 커넥터를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370-H2)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커넥터(360-21)는 USB 소켓, 충전 잭 또는 통신 잭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하나의 커넥터(360-22)는 이어 잭일 수 있고, 케이스 프레임(370)에 형성된 이어 잭을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370-H5)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두 커넥터들(360-21, 360-22)는 전자 장치(300)의 긴 길이 방향(4001)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는 볼트 체결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홀들(360-H21, 360-H22, 360-H23, 360-H24)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관통 홀들(360-H21, 360-H22)은 커넥터(360-21)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관통 홀(360-H23)은 이어 잭(360-22) 주변의 회로 보드(360)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관통 홀(360-H24)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360-Sen.)(예: 이미지 센서 또는 카메라 센서) 주변의 회로 보드(360)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두 관통 홀들(360-23, 360-24) 사이에 이어 잭(360-22)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360-Sen.)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는 제 1 면(360-1)에 형성된 스페이서 설치 영역(360-1A)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 설치 영역(360-1A)은 윈도우(311)의 제 2 영역(311-2A)의 제 2 엣지 영역(311-1A2)의 수직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 설치 영역(360-1A)에는 상술한 누름 스위치(360-S1) 및 한 쌍의 컨택들(360-C1, 360-C2)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 설치 영역(360-1A)은 스페이서(320)와 회로 보드(360) 사이의 결합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홀들(360-H11, 360-H12, 360-H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페이서(320)는 전자 장치(3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후크들(hooks)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320)의 다수의 후크들은 회로 보드(360)의 다수의 관통 홀들(360-H11, 360-H12, 360-H13)에 삽입된 후 회로 보드(360)에 스냅 핏(snap-fit)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 설치 영역(360-1A)은 스페이서(320), 회로 보드(360) 및 케이스 프레임(370) 사이의 볼트 체결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 설치 영역(360-1A)은 커넥터(360-21)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관통 홀들(360-H21, 360-H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는 디스플레이 장치(310)와 회로 보드(3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스페이서(320)는 윈도우(311)와 회로 보드(360)의 스페이서 설치 영역(360-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320)는 회로 보드(360)의 스페이서 설치 영역(360-1A)에 대응하는 대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는 적어도 일부를 비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는 버튼(330) 및 회로 보드(360)의 누름 스위치(360-S1)를 지원하기 위하여, 버튼(330)의 수직 아래에 배치되는 관통 홀(320-H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에 의해 버튼(330)은 관통 홀(320-H1)을 통해 수직 아래로 이동되어 누름 스위치(360-S1)를 가압하고, 누름 스위치(360-S1)는 통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는 회로 보드(36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컨택들(360-C)을 이용한 터치 또는 호버링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320-H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320)는 한 쌍의 관통 홀들(320-H31, 320-H32)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330)을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320-H1)은 한 쌍의 컨택들(360-C)을 지원하기 위한 한 쌍의 관통 홀들(320-H31, 320-H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보드(360)에 설치된 한 쌍의 컨택들(360-C1, 360-C2)은 스페이서(320)의 한 쌍의 관통 홀들(320-H31, 320-H32)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는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 설치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키 플레이트 설치 홈들(320-M1, 320-M2)은 전자 장치(3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상이고, 한 쌍의 키 플레이트 설치 홈들(320-M1, 320-M2)의 공간은 한 쌍의 관통 홀들(320-H31, 320-H32) 각각에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은 스페이서(320)의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 설치 홈들(320-M)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340-1, 340-2)은 결합 수단(예: 양면 테이프)을 이용하여 한 쌍의 키 플레이트 설치 홈들(320-M1, 320-M2)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340)은 한 쌍의 키 플레이트 설치 홈들(320-M)에 각각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 설치 홈들(320-M)에 결합되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은 윈도우(311)와 마주하는 스페이서(320)의 일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은 적어도 일부를 금속으로 형성하고 있고, 회로 보드(360)의 하나 이상의 컨택들(36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이 스페이서(320)의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 설치 홈들(320-M)에 결합되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의 금속 일면은 스페이서(320)의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320-H3)의 일측 개구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320)의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320-H2)에 삽입된 회로 보드(360)의 하나 이상의 컨택들(360-C)은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의 금속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의 하나 이상의 컨택들(360-C)은 탄성을 가지고 있어, 하나 이상의 컨택들(360-C)과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이 스페이서(320)의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 설치 홈들(320-M)에 설치되기 전에는, 하나 이상의 컨택들(360-C)의 자유단은 스페이서(320)의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 설치 홈들(320-M)의 공간으로 침범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이 스페이서(320)의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 설치 홈들(320-M)에 설치되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은 하나 이상의 컨택들(360-C)의 자유단을 전기적으로 접촉하면서 수직 아래로 가압하게 되고, 하나 이상의 컨택들(360-C)의 자유단은 탄성 지지 하에 스페이서(320)의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320-H3)의 공간으로 밀려 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컨택들(360-C)은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고,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컨택들(460-C)은 C-클립(Clip), 포고 핀(pogo-pin), 스프링, 도전성 포론 및 러버, 도전성 테이프, 쿠퍼(cooper) 커넥터 등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의 입력 회로는 하나 이상의 컨택들(360-C)를 통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에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은 전류에 의해 정전용량을 형성시킬 수 있다. 윈도우(311)는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을 덮고 있기 때문에, 외부 도전체(예: 손가락)는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에 직접적으로 터치되기 어렵고, 윈도우(311)를 매개로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에 근접될 수 있다. 외부 도전체가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들(340)에 근접되는 경우, 전정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고 입력 회로는 이를 감지하고 터치 입력이 발생하였다고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311)의 제 2 영역(311-2A)의 제 2 엣지 영역(311-1A2)에는 하나 이상의 컨택들(360-C)을 이용한 터치 또는 호버링 입력이 가능한 영역들(311-D)에 표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영역들(311-D)은 키 플레이트들(340)에 근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는 볼트 체결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 체결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320)는 회로 보드(360)의 한 쌍의 관통 홀들(360-H21, 360-H22)의 수직 위에 배치되는 한 쌍의 볼트 체결 홀들(320-H21, 320-H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로 인하여 키 플레이트(340)와 회로 보드(360) 사이의 간극은 유지될 수 있고, 이는 키 플레이트(340)와 컨택(360-C) 사이의 접점 또한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충격이 컨택(360-C)에 대응하는 윈도우(311) 상의 위치에 가해지더라도, 키 플레이트(340)와 컨택(360-C) 사이의 접점은 유지될 수 있고, 이는 입력 회로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311)의 들뜸이 발생하더라도, 키 플레이트(350)와 컨택(360-C) 사이의 접점은 유지될 수 있고, 이는 입력 회로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다른 스페이서(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350)는 윈도우(311)와 회로 보드(3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350)는 회로 보드(360)의 스페이서 설치 영역(360-1A2)에 대응하는 대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스페이서(320)는 윈도우(311)의 제 1 엣지 영역(311-1A1)의 수직 아래에 배치되고, 스페이서들(320, 350)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50)는 볼트 체결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볼트 체결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350)는 회로 보드(360)의 다수의 관통 홀들(360-H23, 360-H24)의 수직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볼트 체결 홀들(350-H11, 350-H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스페이서(350)는 회로 보드(36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360-Sen.)와 윈도우(311)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지원 영역(311-2T1, 311-2T2) 사이에 배치되는 관통 부(360-H13)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360-Sen.)는 스페이서(350)의 관통 부(350-H13)를 통하여 윈도우(311)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지원 영역(311-2T1, 311-2T2)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른 스페이서(350)는 리시버 장치(35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스페이서(350)가 회로 보드(360)에 결합되는 경우, 리시버 장치(350-5)의 도시하지 않은 컨택들은 회로 보드(3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 350)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10)와 회로 보드(360) 사이의 간극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311)와 회로 보드(360) 사이의 간극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은 전자 장치(3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대체적으로 용기 형상으로, 전자 장치(300)의 전체적인 틀을 형성할 수 있다. 전자 부품들(예: 디스플레이 장치 310, 회로 보드 320 등)은 케이스 프레임(370)으로 이루어진 골격 구조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은 전자 장치(300)의 측면(S)을 형성하는 제 1 부분(370-1)과, 제 1 케이스(370-1)로부터 연장되어 회로 보드(360)와 커버(390)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부분(37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1 부분(370-1)은 전자 장치(300)에 탑재된 마이크로폰을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370-H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1 부분(370-1)은 전자 장치(300)에 탑재된 커넥터(예: USB 소켓, 충전 잭, 통신 잭 또는 이어 잭 등)를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370-H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1 부분(370-1)은 전자 장치(300)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버튼들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370-H41, 370-H4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1 부분(370-1)은 전자 장치(300)에 탑재된 이어 잭을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370-H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1 부분(370-1)은 전자 장치(3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겹쳐진 안쪽 부분(370-11) 및 바깥쪽 부분(370-12)을 포함할 수 있다. 바깥쪽 부분(370-12)은 환형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베젤(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2 부분(370-2)은 회로 보드(360)와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회로 보드(360)는 케이스 프레임(370) 상에 유격 없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부분(370-2)은 회로 보드(360)의 제 2 면(360-2)으로 연장된 다수의 리브(rib)(미도시)를 가지고 있고, 이 리브는 회로 보드(36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2 부분(370-2)은 볼트 체결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보스들(bosse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2 부분(370-2)은 회로 보드(360)의 다수의 관통 홀들(360-H21, 360-H22, 360-H23, 360-H24)의 수직 아래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스들(370-BS11, 370-BS12, 370-B13, 370-B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들(320, 350), 회로 보드(360) 및 케이스 프레임(370)은 다수의 볼트들(B)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볼트들(B)은 전자 장치(300)의 정면(F)에서 후면(B)을 향하는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2 부분(370-2)은 배터리 팩(42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배터리 팩 수용부(370-2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회로 보드(360)의 제 2 면(360-2)에 결합되는 쉴드 캔(shield can)(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쉴드 캔(410)은 전자 장치(300)에서 발생된 노이즈를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배터리 팩 수용부(370-2T)는 전자 장치(3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일 수 있고, 쉴드 캔(410)은 배터리 팩 수용부(370-2T)의 일측을 막도록 구성되어 전자 장치(3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용기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쉴드 캔(410)은 회로 보드(360)의 제 2 면(360-2)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켓들(미도시)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통 부들(410-1T, 410-2T)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켓들은 쉴드 캔(410)의 하나 이상의 관통 부들(410-1T, 410-2T)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390)가 분리된 상태에서, 배터리 팩(390)이 분리되면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켓들이 노출되므로 메모리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회로 보드(360)의 접지 면에 통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2 부분(370-2)의 일면에는 도전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케이스 프레임(370)의 도전성 물질과 회로 보드(360)의 접지 면 사이의 통전은, 제 2 부분(370-2)의 리브를 회로 보드(360)의 접지 면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유발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부분(370-2)의 리브는 회로 보드(360)의 접지 면에 탄성 접촉되게 하는 도전성 고무 가스켓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390)는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2 부분(370-2)에 결합 가능하고, 전자 장치(300)의 후면(B)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390)는 곡형이고, 전자 장치(300)의 후면(B)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2 부분(370-2)은 커버(390)를 안착시킬 수 있는 홈 형태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커버(390)는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2 부분(370-2)에 끼워 맞춰지는 방식으로 유격 없이 장착될 수 있다. 커버(390)는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2 부분(370-2)에 스냅 핏(snap-fits) 결합될 수 있다. 커버(390)는 전자 부품(예: 메모리 카드 또는 배터리 팩 420 등)을 탈착시키기 위하여 케이스 프레임(37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390)는 회로 보드(360)의 제 2 면(360-2)에 설치된 카메라(미도시)를 지원하기 위한 관통 부(390-H1)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관통 홀(390-H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390)는 회로 보드(360)의 제 2 면(360-2)에 설치된 플래시(flash)(미도시)를 지원하기 위한 투명 부(또는 관통 부)(390-H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로부터 빛은 투명 부를 통하여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390)는 회로 보드(360)의 제 2 면(360-2)에 설치된 스피커(미도시)를 지원하기 위한 관통 홀(390-H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로부터의 소리는 관통 홀(390-H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311), 케이스 프레임(370) 및 커버(390)은, 전자 장치(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하우징(housing)?이라고 통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310)와 회로 보드(360) 사이에 배치되는 브래킷(bracket) 또는 설치 판(mounting plate)(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브래킷은 플레이트 형상이고, 전자 장치(300)의 정면(F)을 향하는 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310)가 결합되고, 전자 장치(300)의 후면(B)을 향하는 면에는 회로 보드(36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브래킷은 디스플레이 장치(310) 및 회로 보드(360)에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은 전자파 차폐, 전기적 노이즈를 차단하거나 또는 전자 부품의 가열을 방지하는 방열판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브래킷은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브래킷에는 전자파 차폐를 위한 물질이 도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브래킷은 디스플레이 장치(310)에 포함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브래킷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브래킷을 대체할 만한 강성(rigidity)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플레이트를 도시한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400)는 윈도우(311),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340-C), 회로 보드(360) 및 하나 이상의 컨택(360-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311)는 전자 장치(도 3a의 300)의 정면(F)을 형성할 수 있다. 윈도우(311)는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이고,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 또는 부분적으로 일정하지 않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311)는 전자 장치(300)의 정면(F)으로 향하는 제 1 면(311-S1) 및 전자 장치(300)의 후면(B)으로 향하는 제 2 면(311-S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340-C)는 윈도우(311) 및 회로 보드(3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340-C)는 윈도우(311)의 제 2 면(311-S2)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340)는 회로 보드(360)로부터 전류를 제공받아 정전 용량을 발생시킬 수 있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340)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정전 용량의 변화는 윈도우(311)의 제 1 면(311-1)에 근접한 물체(예: 손가락 4)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340)는 도전성 테이프, 쿠퍼(cooper), ITO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키 플레이트(340-C)는 ?입력 센서? 또는 ?터치 센서?라고 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340)는 플레이 부(3401), 도전 층(3402) 및 컨택 부(340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키 플레이트(340)의 플레이트 부(3401)는 비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고, 대체적으로 얇은 필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키 플레이트(340)의 플레이트 부(3401)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키 플레이트(340)의 도전 층(3402)은, 플레이트 부(3401)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전 층(3402)은 플레이트 부(3401)의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전 층(3402)은 환형의 도전성 패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키 플레이트(340)의 컨택 부(3403)는 회로 보드(360)에 실장된 컨택(36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컨택 부(3403)는 도전 층(34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키 플레이트(340)의 도전 층(3402)은 컨택 부(3403)를 통하여 회로 보드(360)로부터 전류를 제공받아 정전 용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키 플레이트(340)는 컨택 부(3403)를 통하여 정전 용량의 변화에 대한 신호를 회로 보드(36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34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340)는 윈도우(311)의 제 2 면(311-S2)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 2 면(311-S2)의 일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340)는 윈도우(311)의 제 2 면(311-S2)에 결합된 레이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340)는 인쇄, 도포 등의 방식으로 윈도우(311)의 제 2 면(311-S2)에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는 전자 장치(3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윈도우(311)에 적층되게 배치될 수 있다. 회로 보드(360)는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340)로부터 정전 용량의 변환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입력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컨택(360-C)은 회로 보드(360)의 제 1 면(360-1)에 설치되어 상술한 입력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컨택(360-C)은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340) 및 회로 보드(3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컨택(360-C)은 키 플레이트(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컨택(360-C)은 키 플레이트(340) 및 회로 보드(36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유전체(예: 손가락)이 윈도우(311)의 제 1 면(311-S1)에 근접하게 되면, 키 플레이트(340)의 정전 용량은 변화하게 되고, 키 플레이트(340)는 정전 용량의 변화에 관한 신호를 컨택(360-C)를 통하여 회로 보드(36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컨택(360-C)은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는 키 조작 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손가락이 전자 장치(3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윈도우(311)의 제 1 면(311-S1)을 가압하게 되면, 손가락이 접촉된 윈도우(311)의 부분은 컨택(360-C)의 탄성 지지 하에 아래쪽으로 처질 수 있고, 이는 버튼 누름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키 플레이트(340)에 근접하는 윈도우(311)의 부분은 가요성을 가질 수도 있고, 이는 상술한 키 조작감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20)와 회로 보드(360) 사이의 결합 상태를 전자 장치(3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20)와 회로 보드(360) 사이의 결합 상태를 전자 장치(3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20)와 회로 보드(360) 사이의 결합 상태에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는 대체적으로 장방형 전자 장치(300)의 긴 길이 방향(501)의 중심선(C1)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는 회로 보드(360)의 제 1 면(360-1)에 설치된 누름 스위치(360-S1)를 지원하기 위한 제 1 관통 홀(320-H1)을 지원할 수 있다. 스페이서(320)가 회로 보드(360)에 결합되는 경우, 회로 보드(360)의 누름 스위치(360-S1)는 스페이서(320)의 제 1 관통 홀(320-H1)을 통해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관통 홀(320-H1)은 장방형 전자 장치(300)의 짧은 길이 방향(502)로 연장되어 있고, 둥근 형태의 양쪽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는 회로 보드(360)와의 볼트 체결을 지원하기 위한 한 쌍의 제 2 관통 홀들(320-H21, 320-H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 2 관통 홀들(320-H21, 320-H22)은 장방형 전자 장치(300)의 짧은 길이 방향(502)으로 배열될 수 있다. 회로 보드(360)는 스페이서(320)와의 볼트 체결을 지원하기 위한 한 쌍의 관통 홀들(360-H21, 360-H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볼트들(B)은 스페이서(320)의 한 쌍의 제 2 관통 홀들(320-H21, 320-H22) 및 회로 보드(360)의 한 쌍의 관통 홀들(360-H21, 360-H22)에 체결되고, 스페이서(320) 및 회로 보드(36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는 장방형 전자 장치(300)의 긴 길이 방향(501)으로 상대적으로 돌출된 연장 영역(320-E1)을 포함하고 있고, 한 쌍의 제 2 관통 홀들(320-H21, 320-H22)은 이 연장 영역(320-E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로 보드(360)는 장방형 전자 장치(300)의 긴 길이 방향(501)으로 상대적으로 돌출된 연장 영역(360-E1)을 포함하고 있고, 한 쌍의 관통 홀들(360-H21, 360-H22)은 이 연장 영역(360-E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의 제 2 면(360-2)에 설치된 커넥터(360-21)는 볼트 체결을 지원하는 한 쌍의 관통 홀들(360-H21, 360-H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는 회로 보드(360)의 제 2 면(360-2)에 설치된 한 쌍의 컨택들(360-C1, 360-C2)을 지원하기 위한 한 쌍의 제 3 관통 홀들(320-H31, 320-H3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320)가 회로 보드(360)에 결합되는 경우, 회로 보드(360)의 한 쌍의 컨택들(360-C1, 360-C2)은 스페이서(320)의 한 쌍의 제 3 관통 홀들(320-H31, 320-H32)을 통해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의 한 쌍의 제 3 관통 홀들(320-H31, 320-H32)은 장방형 전자 장치(300)의 짧은 길이 방향(502)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의 제 1 관통 홀(320-H1)은 한 쌍의 제 3 관통 홀들(320-H31, 320-H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는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도 3a의 340-1, 340-2)을 지원하기 위한 한 쌍의 키 플레이트 설치 홈들(320-M1, 320-M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키 플레이트 설치 홈들(320-M1, 320-M2)은 전자 장치(3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상이고, 한 쌍의 키 플레이트 설치 홈들(320-M1, 320-M2)의 공간은 한 쌍의 제 3 관통 홀들(320-H31, 320-H32) 각각에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는 회로 보드(360)와의 스냅 핏 결합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연장 부들(320-E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연장 부들(320-E)은 전자 장치(3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수의 연장 부들(320-E2)은 후크 형상의 자유 단(320-E21)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보드(360)는 스페이서(320)와의 스냅 핏 결합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홀들(360-H11, 360-H12, 360-H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320)의 다수의 연장 부들(320-E2)은 회로 보드(360)의 다수의 관통 홀들(360-H11, 360-H12, 360-H12)에 삽입되는 동안 후크 형상의 자유 단(320-E21)과 다수의 관통 홀들(360-H11, 360-H12, 360-H13) 간의 마찰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 스페이서(320)의 다수의 연장 부들(320-E2)의 자유 단(320-E21)이 회로 보드(360)의 다수의 관통 홀들(360-H11, 360-H12, 360-H12)을 완전히 관통하게 되면, 스페이서(320)의 다수의 연장 부들(320-E2)은 원상태로 복귀되고, 스페이서(320)의 다수의 연장 부들(320-E2)은 회로 보드(360)의 다수의 관통 홀들(360-H11, 360-H12, 360-H13)에 체결되며, 이에 따라 스페이서(320) 및 회로 보드(36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20), 회로 보드(360), 케이스 프레임(370) 및 커버(390) 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는 볼트 체결을 지원하기 위한 한 쌍의 관통 홀들(320-H21, 320-H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보드(360)은 볼트 체결을 지원하기 위한 한 쌍의 관통 홀들(360-H21, 360-H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 프레임(370)은 볼트 체결을 지원하기 위한 한 쌍의 보스들(370-BS11, 370-BS1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볼트들(B)은 스페이서(320)의 한 쌍의 관통 홀들(320-H21, 320-H22), 회로 보드(360)의 한 쌍의 관통 홀들(360-H21, 360-H22) 및 케이스 프레임(370)의 한 쌍의 보스들(370-BS11, 370-BS12)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스페이서(320), 회로 보드(360) 및 케이스 프레임(37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적어도 일부는 다수의 부재들이 적층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적어도 일부는 이종 재질의 제 1 및 제 2 부분들(370-U, 370-D)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면에서 볼 때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1 부분(370-U)은 전자 장치(3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한 쌍의 ?U? 형상 부들(370-U1, 370-U2)과, ?U? 형상 부들(370-U1, 370-U2)을 연결하는 바닥 부(370-U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1 부분(370-U)의 한 쌍의 ?U? 형상 부들(370-U1, 370-U2)은 회로 보드(360)를 떠 받치도록 구성되고, 회로 보드(360)의 제 2 면(360-2)에 접촉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1 부분(370-U)의 한 쌍의 ?U? 형상 부들(370-U1, 370-U2)은 관통 홀(370-U11, 370-U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1 부분(370-U)의 바닥 부(370-U3)는 한 쌍의 ?U? 형상 부들(370-U1, 370-U2)의 안쪽 측벽들(370-U12, 370-U22)와 함께 회로 보드(360)의 제 2 면(360-2)에 설치된 커넥터(360-21)를 감싸는 형상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회로 보드(360)와 케이스 프레임(370) 간의 유격을 줄여, 회로 보드(360)와 케이스 프레임(370) 사이의 결합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면에서 볼 때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2부분(370-D)은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3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U?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부분(370-D)는 바닥 부(370-D3)와, 바닥 부(370-D3)의 양쪽에서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벽들(370-D1, 370-D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2 부분(370-D)의 바닥 부(370-D3)는 제 1 부분(370-U)의 바닥 부(370-U3)에 맞닿을 수 있다.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2 부분(370-D)의 바닥 부(370-D3) 및 제 1 부분(370-U)의 바닥 부(370-U3)는 케이스 프레임(370)과 마주하는 커버(390)의 일면(390-S)에 마주하는 매끄러운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2 부분(370-D)의 한 쌍의 측벽들(370-D1, 370-D2)은 제 1 부분(370-U)의 한 쌍의 ?U? 형상 부들(370-U1, 370-U2)의 공간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 프레임(370)의 제 2 부분(370-D)의 한 쌍의 측벽들(370-D1, 370-D2)은 원통의 안쪽에 나사 산이 새겨져 있는 볼트 체결 부(370-D11, 370-D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케이스 프레임(370)의 한 쌍의 보스들(370-BS11, 370-BS12)은 제 1 부분(370-U)의 한 쌍의 ?U? 형상 부들(370-U1, 370-U2) 및 제 2 부분(370-D)의 한 쌍의 측벽들(370-D1, 370-D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볼트들(B)은 제 1 부분(370-U)의 한 쌍의 ?U? 형상 부들(370-U1, 370-U2)의 관통 홀(370-U11, 370-U21)에 관통된 후 제 2 부분(370-D)의 한 쌍의 측벽들(370-D1, 370-D2)의 나사 체결 부(370-D11, 370-D21)에 체결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390)는 케이스 프레임(370)에 결합되고, 전자 장치(300)의 후면(B)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10)(특히, 윈도우 311), 스페이서(320), 키 플레이트(340), 회로 보드(360), 케이스 프레임(370) 및 커버(390) 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는 회로 보드(360)에 결합되고, 스페이서(320)는 회로 보드(360)의 제 1 면(36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키 플레이트(340)는 스페이서(320)의 키 플레이트 설치 홈(320-M)에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311)는 케이스 프레임(370)에 결합될 수 있다. 키 플레이트(340) 및 스페이서(320)는 윈도우(311)와 회로 보드(3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키 플레이트(340)는 전자 장치(300)의 정면(F)을 향하는 제 1 면(340-S1)과, 전자 장치(300)의 후면(B)을 향하는 제 2 면(340-S2)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플레이트(340)의 제 2 면(340-S2)은 결합 수단(예: 양면 테이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키 플레이트 설치 홈(320-M)의 환형의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키 플레이트(340)의 제 1 면(340-S1)은 결합 수단(예: 양면 테이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윈도우(31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360)의 제 1 면(360-1)에 설치된 컨택(360-C)(예: C-클립)은 스페이서(320)의 관통 홀(320-H3)을 통하여 키 플레이트(340)의 제 2 면(340-S2)의 적어도 일부의 금속 면에 접촉될 수 있다. 컨택(360-C)은 탄성을 가지고 있어, 컨택(360-C)과 키 플레이트(34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키 플레이트(340)와 회로 보드(360) 사이의 간극(D1)은 컨택(360-C)이 탄성 변형되어 키 플레이트(340)를 탄성 가압할 수 있는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320)로 인하여 키 플레이트(340)와 회로 보드(360) 사이의 간극(D1)은 유지될 수 있고, 이는 키 플레이트(340)와 컨택(360-C) 사이의 전기적 접점 또한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충격이 컨택(360-C)에 대응하는 윈도우(311) 상의 위치에 가해지더라도, 키 플레이트(340)와 컨택(360-C) 사이의 전기적 접점은 유지될 수 있고, 이는 입력 회로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311)의 들뜸이 발생하더라도, 키 플레이트(340)와 컨택(360-C) 사이의 전기적 접점은 유지될 수 있고, 이는 입력 회로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의 일부를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의 일부를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윈도우(1011), 회로 보드(1060), 한 쌍의 컨택들(1060-C), 스페이서(1020) 및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0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1011)는 대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이고, 전자 장치(1000)의 정면(F)을 형성할 수 있다. 윈도우(1011)는 도 3a의 디스플레이 장치(310)의 윈도우(31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1060)는 전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 1 면(1060-1) 및 제 2 면(106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면(1060-1)은 전자 장치(1000)의 정면(F)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제 2 면(1060-2)은 전자 장치(1000)의 후면(B)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1060)는 제 1 면(1060-1)에 실장된 누름 스위치(1060-S1)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 스위치(1060-S1)는 버튼(1030)의 수직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에 의해 버튼(1030)이 수직 아래로 이동되는 경우, 누름 스위치(1060-S1)는 도시하지 않은 두 접점들 사이를 통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1060)는 제 1 면(1060-1)에 실장되어 터치 또는 호버링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한 쌍의 컨택들(1060-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누름 스위치(1060-S1)는 한 쌍의 컨택들(1060-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보드(1060)는 한 쌍의 컨택들(106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회로는 정전용량 변화를 기초로 터치 입력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용량의 변화량이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입력 회로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정전용량의 변화량은 도전체(예: 손가락)의 근접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020)는 대체적으로 장방형 전자 장치(1100)의 긴 길이 방향(1101)의 중심선(C1)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020)는 회로 보드(1060)의 제 1 면(1060-1)에 설치된 누름 스위치(1060-S1)를 지원하기 위한 제 1 관통 홀(1020-H1)을 지원할 수 있다. 스페이서(1020)가 회로 보드(1060)에 결합되는 경우, 회로 보드(1060)의 누름 스위치(1060-S1)는 스페이서(1020)의 제 1 관통 홀(1020-H1)을 통해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020)는 회로 보드(1060)와의 볼트 체결을 지원하기 위한 한 쌍의 제 2 관통 홀들(1020-H21, 1020-H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 2 관통 홀들(1020-H21, 1020-H22)은 장방형 전자 장치(1000)의 짧은 길이 방향(1102)으로 배열될 수 있다. 회로 보드(1060)는 스페이서(1020)와의 볼트 체결을 지원하기 위한 한 쌍의 관통 홀들(1060-H21, 1060-H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볼트들(B)은 스페이서(1020)의 한 쌍의 제 2 관통 홀들(1020-H21, 1020-H22) 및 회로 보드(1060)의 한 쌍의 관통 홀들(1060-H21, 1060-H22)에 체결되고, 스페이서(1020) 및 회로 보드(106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1060)의 제 2 면(1060-2)에 설치된 커넥터(1060-21)는 볼트 체결을 지원하는 한 쌍의 관통 홀들(1060-H21, 1060-H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020)는 바닥 부(1020-B)와, 바닥 부(1020-B)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천장(top) 부들(1020-T)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부(1020-B)는 회로 보드(1060)의 제 1 면(106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 부(1020-B)는 전자 장치(10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한 쌍의 관통 부들(1020-B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천장 부들(1020-T)은 윈도우(1011)에 근접한 바닥 부(1020-B)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윈도우(1011)에 근접한 한 쌍의 관통 부들(1020-B1)의 상측 개구부를 막는 형태일 수 있다. 바닥 부(1020-B) 및 한 쌍의 천장 부들(1020-T)로 인하여, 스페이서(1020)는 전자 장치(10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한 쌍의 공간 부들(1020-S)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공간 부들(1020-S)은 한 쌍의 천장 부들(1020-T) 및 회로 보드(1060)의 제 1 면(1060-S1) 사이의 공간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020)의 제 1 관통 홀(1020-H1)은 스페이서(1020)의 한 쌍의 천장 부들(1020-T)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020)의 한 쌍의 천장 부들(1020-T)은 윈도우(1011)에 근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020)의 한 쌍의 천장 부(1020-T)는 결합 수단(예: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윈도우(101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020)의 바닥 부(1020-B)는 윈도우(1011)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020)의 한 쌍의 천장 부들(1020-T)은 전자 장치(10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바닥 부(1020-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020)의 바닥 부(1020-B)는 윈도우(1011)에 근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020)의 한 쌍의 천장 부들(1020-T)은 전자 장치(10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바닥 부(1020-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되지 않고, 바닥 부(1020-B)와 함께 윈도우(1011)의 평면(1011-2)에 근접하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040)은 스페이서(1020)의 한 쌍의 공간 부들(1020-B1)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040)은 결합 수단(예: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스페이서(1020)의 한 쌍의 천장 부들(1020-T)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040)은 적어도 일부를 금속으로 형성하고 있고, 회로 보드(1060)의 한 쌍의 컨택들(106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보드(1060)의 한 쌍의 컨택들(1060-C)은 스페이서(1020)의 한 쌍의 공간 부들(1020-B1)에 배치되고,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340)의 금속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컨택들(1060-C)은 탄성을 가지고 있어, 한 쌍의 컨택들(1060-C)과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04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340)과 회로 보드(1060) 사이의 간극(D2)은 한 쌍의 컨택들(1060-C)이 탄성 변형되어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040)을 탄성 가압할 수 있는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020)로 인하여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040)과 회로 보드(1060) 사이의 간극(D2)은 유지될 수 있고, 이는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040)와 한 쌍의 컨택들(1060-C) 사이의 전기적 접점 또한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충격이 한 쌍의 컨택들(1060-C)에 대응하는 윈도우(1011) 상의 위치에 가해지더라도,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040)과 한 쌍의 컨택들(1060-C) 사이의 전기적 접점은 유지될 수 있고, 이는 입력 회로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011)의 들뜸이 발생하더라도, 한 쌍의 키 플레이트(1040)과 한 쌍의 컨택들(1060-C) 사이의 전기적 접점은 유지될 수 있고, 이는 입력 회로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020)의 천장 부(1020-T)는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040)을 대체하여 적어도 일부를 금속으로 형성하고 있고, 회로 보드(1060)의 한 쌍의 컨택들(106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스페이서(1020)의 한 쌍의 천장 부들(1020-T)과 회로 보드(1060) 사이의 간극은 유지될 수 있고, 이는 스페이서(1020)의 한 쌍의 천장 부들(1020-T)과 한 쌍의 컨택들(1060-C) 사이의 전기적 접점 또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020)는 회로 보드(1060)와의 스냅 핏 결합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연장 부들(1020-E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연장 부들(1020-E)은 전자 장치(10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크 형상의 자유 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1060)는 스페이서(1020)와의 스냅 핏 결합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홀들(1060-H11, 1060-H12, 1060-H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300)의 일부를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300)의 일부를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키 플레이트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300)는 윈도우(1311), 회로 보드(1360), 한 쌍의 컨택들(1360-C), 스페이서(1320) 및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3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1311)는 대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이고, 전자 장치(1300)의 정면(F)을 형성할 수 있다. 윈도우(1311)는 도 3a의 디스플레이 장치(310)의 윈도우(31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1360)는 전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 1 면(1360-1) 및 제 2 면(136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면(1360-1)은 전자 장치(1300)의 정면(F)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제 2 면(1360-2)은 전자 장치(1300)의 후면(B)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1360)는 제 1 면(1360-1)에 실장된 누름 스위치(1360-S1)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 스위치(1360-S1)는 버튼(1330)의 수직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에 의해 버튼(1330)이 수직 아래로 이동되는 경우, 누름 스위치(1360-S1)는 도시하지 않은 두 접점들 사이를 통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1360)는 제 1 면(1360-1)에 실장되어 터치 또는 호버링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한 쌍의 컨택들(1360-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누름 스위치(1360-S1)는 한 쌍의 컨택들(1360-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보드(1360)는 한 쌍의 컨택들(136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입력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회로는 정전용량 변화를 기초로 터치 입력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용량의 변화량이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입력 회로는 터치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정전용량의 변화량은 도전체(예: 손가락)의 근접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320)는 대체적으로 장방형 전자 장치(1300)의 긴 길이 방향(1401)의 중심선(C2)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320)는 회로 보드(1360)의 제 1 면(1360-1)에 설치된 누름 스위치(1360-S1)를 지원하기 위한 제 1 관통 홀(1320-H1)을 지원할 수 있다. 스페이서(1320)가 회로 보드(1360)에 결합되는 경우, 회로 보드(1360)의 누름 스위치(1360-S1)는 스페이서(10320)의 제 1 관통 홀(1320-H1)을 통해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320)는 회로 보드(1360)와의 볼트 체결을 지원하기 위한 한 쌍의 제 2 관통 홀들(1320-H21, 1320-H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 2 관통 홀들(1320-H21, 1320-H22)은 장방형 전자 장치(1300)의 짧은 길이 방향(1402)으로 배열될 수 있다. 회로 보드(1360)는 스페이서(1320)와의 볼트 체결을 지원하기 위한 한 쌍의 관통 홀들(1360-H21, 1360-H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볼트들(B)은 스페이서(1320)의 한 쌍의 제 2 관통 홀들(1320-H21, 1320-H22) 및 회로 보드(1360)의 한 쌍의 관통 홀들(1360-H21, 1360-H22)에 체결되고, 스페이서(1320) 및 회로 보드(136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1360)의 제 2 면(1360-2)에 설치된 커넥터(1360-21)는 볼트 체결을 지원하는 한 쌍의 관통 홀들(1360-H21, 1060-H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320)는 바닥 부(1320-B)와, 바닥 부(1320-B)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천장(top) 부들(1320-T)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부(1320-B)는 회로 보드(1360)의 제 1 면(136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 부(1320-B)는 전자 장치(13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한 쌍의 관통 부들(1320-B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천장 부들(1320-T)은 윈도우(1311)에 근접한 바닥 부(1320-B)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윈도우(1311)에 근접한 한 쌍의 관통 부들(1320-B1)의 상측 개구부의 일부를 막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320) 및 회로 보드(1360)가 결합되는 경우, 스페이서(1320)의 한 쌍의 천장 부들(1320-T)과 회로 보드(1360)의 제 1 면(1360-1) 사이의 제 1 공간(1360-S1)과, 제 1 공간(1360-S1)을 전자 장치(13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시키는 제 2 공간(또는, 관통 홀)(1360-S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공간(1360-S2)은 제 1 공간(1360-S1)과 윈도우(13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020)의 제 1 관통 홀(1320-H1)은 스페이서(1320)의 한 쌍의 천장 부들(1320-T)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320)의 한 쌍의 천장 부들(1320-T) 및 윈도우(1311) 사이에는 제 3 공간(1320-S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320)의 한 쌍의 천장 부들(1320-T)의 적어도 일면은 윈도우(1311)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스페이서(1320)의 한 상의 천장 부들(1320-T)은 제 3 공간(1320-S3)을 지원하기 위한 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윈도우(1311), 스페이서(1320) 및 회로 보드(1360)가 결합되는 경우, 제 3 공간(1320-S3)은 제 2 공간(1320-S2)을 통해서 제 1 공간(1320-S1)과 소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320)의 바닥 부(1320-B)는 윈도우(1311)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320)의 한 쌍의 천장 부들(1320-T)은 전자 장치(13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바닥 부(1320-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320)의 바닥 부(1320-B)는 윈도우(1311)에 근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1320)의 한 쌍의 천장 부들(1320-T)은 전자 장치(1300)의 후면(B)에서 정면(F)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바닥 부(1320-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되지 않고, 바닥 부(1320-B)와 함께 윈도우(1311)의 평면(1311-2)에 근접하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340)은 제 1 플레이트 부(1340-1), 제 2 플레이트 부(1340-2) 및 제 1 플레이트 부(1340-1)와 제 2 플레이트 부(1340-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1340-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340)의 제 1 플레이트 부(1340-1)는 적어도 일부를 금속으로 형성하고 있고, 제 1 공간(1320-S1)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플레이트 부(1340-1)는 결합 수단(예: 양면 테이프)을 이용하여 스페이서(1320)의 천장 부(1320-T)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스페이서(1320)의 천장 부(1320-T)는 윈도우(1311)와 제 1 플레이트 부(1340-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340)의 제 2 플레이트 부(1340-2)는 적어도 일부를 금속으로 형성하고 있고, 제 3 공간(1320-S3)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플레이트 부(1340-2)는 결합 수단(예: 양면 테이프)을 이용하여 스페이서(1320)의 천장 부(1320-T)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플레이트 부(1340-2)는 스페이서(1320)의 천장 부(1320-T)와 윈도우(13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340)의 연결 부(1340-3)는 제 1 플레이트(1340-1)로부터 연장되어 제 2 공간(1320-S2)을 거쳐 제 2 플레이트(1340-2)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부(1340-3)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340)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340)의 제 1 플레이트 부(1340-1)는 회로 보드(1360)의 한 쌍의 컨택들(1360-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보드(1360)의 한 쌍의 컨택들(1360-C)은 제 1 공간(1320-S1)에 배치되고,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340)의 제 1 플레이트 부(1340-1)의 금속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컨택들(1360-C)은 탄성을 가지고 있어, 한 쌍의 컨택들(1360-C)과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34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340)의 제 1 플레이트 부(1340-1)와 회로 보드(1360) 사이의 간극(D3)은 한 쌍의 컨택들(1360-C)이 탄성 변형되어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340)의 제 1 플레이트 부(1340-1)를 탄성 가압할 수 있는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320)로 인하여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340)의 제 1 플레이트 부(1340-1)와 회로 보드(1360) 사이의 간극(D3)은 유지될 수 있고, 이는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340)와 한 쌍의 컨택들(1360-C) 사이의 전기적 접점 또한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충격이 한 쌍의 컨택들(1360-C)에 대응하는 윈도우(1311) 상의 위치에 가해지더라도, 한 쌍의 키 플레이트들(1340)의 제 1 플레이트 부(1340-1)와 한 쌍의 컨택들(1360-C) 사이의 전기적 접점은 유지될 수 있고, 이는 입력 회로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1311)의 들뜸이 발생하더라도, 한 쌍의 키 플레이트(1340)의 제 1 플레이트 부(1340-1)와 한 쌍의 컨택들(1360-C) 사이의 전기적 접점은 유지될 수 있고, 이는 입력 회로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320)는 회로 보드(1360)와의 스냅 핏 결합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연장 부들(1320-E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연장 부들(1320-E2)은 전자 장치(1300)의 정면(F)에서 후면(B)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크 형상의 자유 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보드(1360)는 스페이서(1320)와의 스냅 핏 결합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홀들(1360-H11, 1360-H12, 1360-H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1701)는,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된 전자 장치(300)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7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application processor))(1710), 통신 모듈(1720), 가입자 식별 모듈(1724), 메모리(1730), 센서 모듈(1740), 입력 장치(1750), 디스플레이(1760), 인터페이스(1770), 오디오 모듈(1780), 카메라 모듈(1791), 전력 관리 모듈(1795), 배터리(1796), 인디케이터(1797), 및 모터(179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7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7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1721), WiFi 모듈(1723), 블루투스 모듈(1725), GNSS 모듈(1727)(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17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1729)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1721)은,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7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17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7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721)은 프로세서(1710)이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7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1723), 블루투스 모듈(1725), GNSS 모듈(1727) 또는 NFC 모듈(17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721), WiFi 모듈(1723), 블루투스 모듈(1725), GNSS 모듈(1727) 또는 NFC 모듈(17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17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17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antenn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1721), WiFi 모듈(1723), 블루투스 모듈(1725), GNSS 모듈(1727) 또는 NFC 모듈(17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17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1732) 또는 외장 메모리(17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17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예: DRAM(dynamic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7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7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1701)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17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gesture sensor)(1740A), 자이로 센서(gyro sensor)(1740B), 기압 센서(barometer)(1740C),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1740D),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740E), 그립 센서(grip sensor)(1740F),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1740G), 컬러 센서(color sensor)(17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medical sensor)(1740I), 온/습도 센서(temperature-humidity sensor)(1740J),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17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17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 모듈(17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iris scan sensor) 및/또는 지문 센서(finger scan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701)은 프로세서(17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17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17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17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17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17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1754), 키(key)(17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17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7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7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17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1750)는 도 5 내지 16 의 적어도 일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17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17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keypad)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1758)는 마이크(예: 마이크 2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60)는 패널(1762), 홀로그램 장치(1764), 또는 프로젝터(1766)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1762)은, 도 1의 디스플레이(16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7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1762)은 터치 패널(17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17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1766)는 스크린(screen)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7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760)는 패널(1762), 홀로그램 장치(1764), 또는 프로젝터(17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1772), USB(universal serial bus)(17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1776), 또는 D-sub(D-subminiature)(177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and alternatively), 인터페이스(17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80)은, 예를 들면, 스피커(1782), 리시버(1784), 이어폰(1786), 또는 마이크(17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7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7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7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7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1796)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17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1796)은,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797)는 전자 장치(1701) 또는 그 일부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모터(17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17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종래의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종래의 입력 장치(1800)는 윈도우(1811), 터치 키 FPCB(1840), 브래킷(bracket)(2000) 및 회로 보드(186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2000)은, 윈도우(1811) 및 회로 보드(18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보드(1860)는 윈도우(1811)를 향하는 제 1 면(1860-1) 및 상기 제 1 면(1860-1)의 반대 편에 배치되는 제 2 면(1860-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2000)은 회로 보드(1860)의 제 1 면(1860-1)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브래킷(2000)은 윈도우(1811)의 대부분에 중첩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터치 키 FPCB(1840)는 윈도우(1811) 및 브래킷(200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부분과, 제 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회로 보드(1860)의 제 2 면(186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은, 제 1 터치 키(1840-1), 제 2 터치 키(1840-2), 제 1 터치 키(1840-1) 및 제 2 터치 키(1840-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연결 부(190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2000)은 터치 키 FPCB(1840)의 제 1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2 부분의 일단은 제 1 부분에 연결되고, 제 2 부분의 타단은 회로 보드(1860)의 제 2 면(1860-2)에 실장된 커넥터(1860-2C)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커넥터(1902-C)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입력 장치(1800)는 터치 키 FPCB(1840)를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2000)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데 반해,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를 구성하지 않으므로, 종래의 입력 장치(1800)와 비교하여 재료 절감 및 구조 간소화를 이끌 수 있다.
종래의 입력 장치(1800)의 터치 키 FPCB(18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부품들(제 제 1 터치 키 1840-1, 제 2 터치 키 1840-2, 제 1 연결 부 1901 및 커넥터 1902-C 등)을 포함하는데 반해,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키 구조를 단순화하여 단가 절감을 이끌 수 있다.
종래의 입력 장치(1800)의 터치 키 FPCB(1840)는 대체적으로 길이가 긴 전기적 라인 형태를 가지고 있어, 외부 노이즈에 영향에 의해 오작동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키 구조를 단순화하여 외부 노이즈로부터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종래의 입력 장치(1800)의 터치 키 FPCB(1840)는 대체적으로 길이가 긴 전기적 라인 형태를 가지고 있어, 전자 장치에 탑재된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성능이 터치 키 FPCB(1840)에 의해 열화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키 구조를 단순화하여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성능 열화를 줄일 수 있다.
종래의 입력 장치(1800)의 터치 키 FPCB(1840)는 전자 장치의 조립 공정에서 찢어짐 등의 파손되기 쉬울 수 있다. 이에 반해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키 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 공정에서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종래의 입력 장치와 비교하여 단순한 구조 및 용이한 조립성을 가지고 있어 다른 전자 장치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형성하는 윈도우(window)와,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정전용량 변화를 기초로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보드와,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회로 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보드와 마주하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이 형성된 스페이서(spacer)와, 상기 회로 보드의 일면에 실장되어 상기 입력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수용되는 컨택(contact), 및 상기 윈도우에 근접하고 상기 회로 보드로부터 분리되게 상기 스페이서에 결합되고, 상기 공간을 통하여 상기 컨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플레이트(conductive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택은, 탄성 변형된 상태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택은, C-Clip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간은 상기 컨택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관통 홀과 상기 컨택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관통 홀 주변에 형성된 환형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윈도우 및 상기 공간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연장 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공간 안에 배치되고, 상기 연장 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윈도우 및 상기 연장 부 사이로 연장되는 추가 도전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연장 부에 형성된 관통 홀, 및 상기 관통 홀을 통하여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 1 면에서 제 2 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hook) 형상의 다수의 연장 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보드는 상기 다수의 연장 부들과 체결 가능한 다수의 관통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회로 보드는, 볼트 체결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회로 보드의 일면의 반대 면에 실장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보드는 상기 볼트 체결을 위한 한 쌍의 관통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한 쌍의 관통 홀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윈도우에 형성된 제 1 관통 홀과, 상기 스페이서에 형성된 제 2 관통 홀과, 상기 제 1 관통 홀 및 상기 제 2 관통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면에서 상기 제 2 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누름 가능한 버튼, 및 상기 회로 보드의 일면에 실장되고, 상기 버튼의 누름에 의해 통전되는 누름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컨택은, 상기 누름 스위치의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와 상기 회로 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통하여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스페이서와 겹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중첩되지 않은 상기 윈도우의 영역은 불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윈도우와 상기 회로 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추가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스페이서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윈도우에 형성된 관통 홀 및 상기 추가 스페이서에 장착되고, 상기 관통 홀을 통하여 소리를 배출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형성하고 제 1 관통 홀을 포함하는 윈도우(window)와,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정전용량 변화를 기초로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보드와,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회로 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관통 홀에 대응하는 제 2 관통 홀 및 상기 회로 보드와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 3 관통 홀들을 포함하는 스페이서와, 상기 제 1 관통 홀 및 상기 제 2 관통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면에서 상기 제 2 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누름 가능한 버튼과, 상기 회로 보드의 일면에 실장되고, 상기 한 쌍의 컨택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의 누름에 의해 통전되는 누름 스위치와, 상기 한 쌍의 제 3 관통 홀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에 근접하게 상기 회로 보드로부터 분리되게 상기 스페이서에 결합된 한 쌍의 도전성 플레이트들, 및 상기 한 쌍의 제 3 관통 홀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들 각각에 탄성 변형된 상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컨택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310: 디스플레이 장치 311: 윈도우
320: 스페이서 320-H3: 관통 홀
340: 키 플레이트 360: 회로 보드
360-C: 컨택 370: 케이스 프레임
390: 커버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형성하는 윈도우(window)와,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정전용량 변화를 기초로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보드;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회로 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보드와 마주하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이 형성된 스페이서(spacer);
    상기 회로 보드의 일면에 실장되어 상기 입력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수용되는 컨택(contact); 및
    상기 윈도우에 근접하고 상기 회로 보드로부터 분리되게 상기 스페이서에 결합되고, 상기 공간을 통하여 상기 컨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플레이트(conductive plate);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회로 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를 통하여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스페이서와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은,
    탄성 변형된 상태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은,
    C-Cli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컨택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관통 홀과 상기 컨택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관통 홀 주변에 형성된 환형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윈도우 및 상기 공간 사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연장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공간 안에 배치되고, 상기 연장 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윈도우 및 상기 연장 부 사이로 연장되는 추가 도전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연장 부에 형성된 관통 홀; 및
    상기 관통 홀을 통하여,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 1 면에서 제 2 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hook) 형상의 다수의 연장 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 보드는, 상기 다수의 연장 부들과 체결 가능한 다수의 관통 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회로 보드는,
    볼트 체결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보드의 일면의 반대 면에 실장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 보드는, 상기 볼트 체결을 위한 한 쌍의 관통 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한 쌍의 관통 홀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에 형성된 제 1 관통 홀;
    상기 스페이서에 형성된 제 2 관통 홀;
    상기 제 1 관통 홀 및 상기 제 2 관통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면에서 상기 제 2 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누름 가능한 버튼; 및
    상기 회로 보드의 일면에 실장되고, 상기 버튼의 누름에 의해 통전되는 누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은,
    상기 누름 스위치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중첩되지 않은 상기 윈도우의 영역은 불투명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와 상기 회로 보드 사이에 배치되는 추가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스페이서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에 형성된 관통 홀; 및
    상기 추가 스페이서에 장착되고, 상기 관통 홀을 통하여 소리를 배출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형성하고 제 1 관통 홀을 포함하는 윈도우(window)와,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 사이에 배치되고, 정전용량 변화를 기초로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입력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보드;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회로 보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관통 홀에 대응하는 제 2 관통 홀 및 상기 회로 보드와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 3 관통 홀들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상기 제 1 관통 홀 및 상기 제 2 관통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면에서 상기 제 2 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누름 가능한 버튼;
    상기 회로 보드의 일면에 실장되고, 상기 한 쌍의 컨택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의 누름에 의해 통전되는 누름 스위치;
    상기 한 쌍의 제 3 관통 홀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윈도우에 근접하게 상기 회로 보드로부터 분리되게 상기 스페이서에 결합된 한 쌍의 도전성 플레이트들; 및
    상기 한 쌍의 제 3 관통 홀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들 각각에 탄성 변형된 상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컨택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50109189A 2015-07-31 2015-07-31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2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189A KR102325327B1 (ko) 2015-07-31 2015-07-31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5/213,973 US10411702B2 (en) 2015-07-31 2016-07-19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put apparatus
EP16833250.0A EP3329661B1 (en) 2015-07-31 2016-07-28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put apparatus
CN201680044616.6A CN107925688B (zh) 2015-07-31 2016-07-28 包括输入装置的电子设备
PCT/KR2016/008282 WO2017023014A1 (en) 2015-07-31 2016-07-28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pu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189A KR102325327B1 (ko) 2015-07-31 2015-07-31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017A KR20170015017A (ko) 2017-02-08
KR102325327B1 true KR102325327B1 (ko) 2021-11-11

Family

ID=5788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189A KR102325327B1 (ko) 2015-07-31 2015-07-31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11702B2 (ko)
EP (1) EP3329661B1 (ko)
KR (1) KR102325327B1 (ko)
CN (1) CN107925688B (ko)
WO (1) WO20170230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03829S1 (en) * 2014-12-31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95234S1 (en) * 2015-11-10 2017-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795213S1 (en) * 2015-11-10 2017-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7099782A1 (en) * 2015-12-10 2017-06-15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N206193588U (zh) * 2016-08-04 2017-05-24 精模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投影平板电脑
USD815056S1 (en) 2016-11-04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812585S1 (en) 2016-11-04 2018-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KR20190020971A (ko) * 2017-08-22 2019-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성 외관 부재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에 관한 누설 전류 검출 방법
US10879585B2 (en) * 2018-04-09 2020-12-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2544860B1 (ko) * 2018-06-27 2023-06-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00099455A (ko) * 2019-02-14 2020-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604352B1 (ko) * 2019-02-19 2023-1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부품 배치 구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754423B1 (en) * 2019-06-20 2021-05-19 Axis AB Audio unit arrangement and a camera
JP2021146107A (ja) * 2020-03-23 2021-09-2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操作パネル及び洗濯機
US11900784B2 (en) 2020-05-26 2024-02-13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capacitance-based force sensing
US11763177B2 (en) * 2020-05-26 2023-09-19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capacitance-based force sensing for user interface input
CN111726741B (zh) * 2020-06-22 2021-09-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麦克风状态检测方法及装置
KR20220128212A (ko) * 2021-03-12 2022-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7829A1 (en) * 2007-10-24 2009-04-30 Diehl Ako Stiftung & Co. Kg Capacitive touch switch
DE102010030315A1 (de) * 2010-06-21 2011-12-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rührungsempfindliche Eingabeeinheit für ein Hausgerät sowie Hausgerät
DE202013011528U1 (de) * 2013-08-01 2014-11-03 Diehl Ako Stiftung & Co. Kg Berührungs- und/oder annäherungsempfindliche Eingabe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1386A (en) * 1990-07-24 1993-07-27 Home Row, Inc. Keyswitch-integrated pointing assembly
US5982179A (en) * 1997-06-04 1999-11-09 Varian, Inc. NMR circuit-switch
DE102005053792B4 (de) * 2005-11-09 2009-02-19 Diehl Ako Stiftung & Co. Kg Kapazitiver Berührungsschalter
KR101168987B1 (ko) 2006-07-25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DE102006039133A1 (de) 2006-08-21 2008-03-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ein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mit zumindest einer kapazitiven Sensortaste
US7795553B2 (en) 2006-09-11 2010-09-14 Apple Inc. Hybrid button
KR20080047902A (ko) 2006-11-27 2008-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센서
US7978467B2 (en) * 2007-02-05 2011-07-12 Panasonic Corporation Key sheet, press switch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e press switch
KR100991627B1 (ko) 2008-04-22 2010-11-04 김연수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KR101410175B1 (ko) 2007-09-27 2014-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키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TWI352305B (en) * 2007-10-25 2011-11-11 Htc Corp Input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
US9250660B2 (en) 2012-11-14 2016-02-02 Laserlock Technologies, Inc. “HOME” button with integrated user biometric sensing and verific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
KR20140110607A (ko) * 2013-03-08 2014-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키버튼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KR102093754B1 (ko) 2013-03-14 2020-03-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키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7829A1 (en) * 2007-10-24 2009-04-30 Diehl Ako Stiftung & Co. Kg Capacitive touch switch
DE102010030315A1 (de) * 2010-06-21 2011-12-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rührungsempfindliche Eingabeeinheit für ein Hausgerät sowie Hausgerät
DE202013011528U1 (de) * 2013-08-01 2014-11-03 Diehl Ako Stiftung & Co. Kg Berührungs- und/oder annäherungsempfindliche Eingabe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9661A4 (en) 2018-10-31
CN107925688A (zh) 2018-04-17
EP3329661A1 (en) 2018-06-06
EP3329661B1 (en) 2021-03-31
KR20170015017A (ko) 2017-02-08
CN107925688B (zh) 2020-07-07
WO2017023014A1 (en) 2017-02-09
US10411702B2 (en) 2019-09-10
US20170033797A1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327B1 (ko)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19733B2 (en) Mounting structure for module in electronic device
US10534405B2 (en) Support structure including conductive path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26880B1 (ko)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457260B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enso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2311616B1 (ko)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5757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biometric information
CN110521288B (zh) 包括连接器和具有不同电势的接地的印刷电路板以及具有该印刷电路板的电子设备
US10476026B2 (en)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92794B1 (ko) 외관 금속 프레임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342269B1 (ko) 관통 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95239B1 (ko) 전자 펜을 갖는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삽입 인식 방법
KR102324707B1 (ko)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25309B1 (ko)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