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783B1 -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 균주 - Google Patents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 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783B1
KR102323783B1 KR1020170122608A KR20170122608A KR102323783B1 KR 102323783 B1 KR102323783 B1 KR 102323783B1 KR 1020170122608 A KR1020170122608 A KR 1020170122608A KR 20170122608 A KR20170122608 A KR 20170122608A KR 102323783 B1 KR102323783 B1 KR 102323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tridium
cdi
difficile
scindens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897A (ko
Inventor
고광표
유현주
유준선
윤수빈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바이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바이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바이오랩
Priority to KR102017012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7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2Spore-forming bacteria, e.g. Bacillus coagulans, Bacillus subtilis, clostridium or Lactobacillus sporoge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145Clostridi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 균주{Clostridium scindens having inhibitory effect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본 발명은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균주 또는 이에 대한 배양물 및 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란 항생제를 투여 받는 환자의 장관에 정상 세균총 (normal flora) 구성이 변화하면서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 균이 증식하고, 동시에 독소를 분비하여 발생하는 항생제 관련 설사병 (antibiotics-associated diarrhea, AAD)을 의미한다.
C. difficile은 알코올 등의 살균제 처리에도 비교적 큰 저항성을 보이며, 수년 이상 극한 환경에도 생존이 가능한 포자 형태를 구축할 수 있기에 적절한 관리 및 제거가 어려움이 있다. 최근 미국 CDC의 보고에 따르면, 연간 CDI 환자는 500,000명 내외이며, 사망자는 년 14,000명에 이르는 중대한 질병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료 후에도 재발이 잦은데, 특히 재발 환자들의 경우 일반적인 항생제 치료에도 큰 효능을 보기가 힘들기에 주요한 질환으로 분류하고 있다.
현재 CDI 치료에 활용하는 표준 치료법은 항생제 처방으로, 비교적 낮은 치료 성공률 및 높은 재발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단히 살펴보면, Metronidazole과 vancomycin은 일차 치료 시 모두 치료 성공률에 제한이 있고 20~30%의 재발률을 보이며, 첫 번째 재발 시 치료 성공률은 70%이고 그 이상의 재발에서는 35%까지 감소하지만, 고독성 균주에 의한 난치성 중증 CDIs 및 재발형 CDIs에 활용하기에 부적절하다. 그리고 Fidaxomicin은 C. difficle 독소 A, B 합성과 포자 형성을 억제하며, 재발률 역시 타 항생제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가격이 높으며 구역, 구토 발열, 어지럼증, 간효소치의 증가 등이 여전히 문제되고 있다. Nitazoxanide의 치료제로의 가능성 역시 제시된 바 있으나, 아직까지 관련 연구가 미비한 편이다. 최근에는 CDIs의 예방 및 치료법으로 분변 미생물총 이식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MT) 및 백신, 핵심 미생물군 투여 등을 활용하는 비항생제적인 접근 방향이 제시되었다. 건강한 제공자 (donor)의 대변을 환자의 장관에 투여하는 FMT는 난치성 또는 재발성 CDIs 치료의 방법 중 하나로써, CDI 환자 317명을 대상으로 한 28개 연구를 종합한 결과 92%의 회복률과 높은 재발방지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FMT 치료법은 높은 치료 성공률과 낮은 재발률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이 수용하기에는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시술 과정과 비표준화적인 처치, 병원균 전파 등의 여러 제약 조건을 가지고 있다. 변성 독소 A, B를 포함한 C. difficile 백신 역시 재발성 CDI 환자에서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나, 상용화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장내에서 분리한 유용 미생물은 장 생태계 변화 및 면역계와의 상호작용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C. difficile과의 공간 및 자원 경쟁관계를 유지한다. 이들을 처리할 경우 실제로 metronidazole 또는 vancomycin과 동일한 수준의 치료 효과를 보이며, 재발률 역시 현저하게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Ollech et al., 2016.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Gastroenterology). 따라서, CDI의 예방/치료에 있어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기능성 유익균주를 확보 및 양산화하는 과정은 추후 화학적 항생제 요법을 보완/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장내 미생물은 C. difficile와 같은 병원균으로부터 장벽 (intestinal epithelium)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항생제 등 특정 원인에 의해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이 초래되면(dysbiosis), 병원균은 장내 벽을 뚫고 침투하여 질병을 유발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장내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IL-25는 장내 벽의 인장도 (tight junction)를 높여 CDI를 예방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Buonomo et al., 2016. Cell Reports), CDI는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의 정도와도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Milani et al., 2016. Scientific Reports). CDI 환자의 임상시료를 수득하여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을 확인한 결과, 정상인에 비해 장내 미생물 다양성이 유의한 수준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장내 미생물총 내 유익균주들이 생성한 2차 담즙산은 C. difficile가 포자화를 하는데 필수적인 TCA와 DCA를 저해함으로써 C. difficile의 생장을 억제함이 보고된 바 있다(Winston et al., 2016. Anaerobe.).
본 발명의 목적은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 또는 이에 대한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 또는 이에 대한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완화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는 담즙산 의존적일 수 있다.
상기 담즙산의 농도는 0.2~2.0% (wt/vol)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 또는 이에 대한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 또는 이에 대한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완화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은 재발성 CDI일 수 있다.
상기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은 장내 미생물 불균형에 의해 초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에 대한 것으로, CDI 치료 및 증상개선에 효과적이며, 특히 재발성 CDI 치료 및 증상개선에 매우 효과적이다.
도1은 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 (CS)의 C. difficile 성장에 대한 억제 효과 실험에 대한 결과이다.
도2는 C.difficile 감염증 예방모델 수립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3는 C.difficile 감염증 예방모델에서 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 처리후 몸무게 변화를 실험한 결과이다.
도4는 C.difficile 감염증 예방모델에서 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의 C.difficile 증식억제효과를 실험한 결과이다.
도5는 C.difficile 감염증 예방모델에서 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의 C.difficile Toxin 증감효과를 실험한 결과이다.
도6은 C.difficile 감염증 예방모델에서 C.difficile 감염으로 유발된 대장길이 감소효과 실험결과이다.
도7은 C.difficile 감염증 예방모델에서의 염증감소효과 실험결과이다.
본 발명은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C.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를 제공한다.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는 건강한 성인 지원자들에게서 제공받은 분변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상기 균주는 절대 혐기성균주이기 때문에 혐기 시스템하에서 분리공정이 수행되었다.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difficile)는 그람양성균, 혐기성 균이며, 길이가 2-17 μm로 비교적 큰 편이며 편모나 돌기 같은 구조물을 갖고, 사람의 장에서 상재하는 균이다.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는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린코마이신(lincomycin), 아목시실린(amoxicillin), 세팔로틴(cefalothin), 세파졸린(cefazoline) 등의 항생제투여 후에도 발생하기 쉬우며, 상기 항생제로 인하여 정상 장 세균총이 파괴된 뒤 독성 C. difficile에 의해 집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는 분자량이 약 310,000인 독소 A(장내독소)와 분자량이 약 270,000인 독소 B(세포독소: cytotoxin)을 생산한다. 독소 A가 먼저 장관상피세포에 상처를 입히고 이어서 독소B기 손상부위에서 장막에 침입하여 독작용을 발휘한다.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균주대한 성장 억제효과는 저해 어세이(Inhibition assay)를 통해 확인가능하다.
상기 성장 억제효과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균주의 baiCD 유전자에 의한 것일 수 있다. baiCD 유전자는 7 alpha-dehydrogenase를 코딩할 수 있다. 7 alpha-dehydrogenase 유전자는 primary bile acid(담즙산)인 cholic acid를 secondary bile acid인 deoxycholic acid(DCA)로 전환 할 수 있으며, 이러한 DAC는 C.difficile 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C.difficile 의 성장 억제는 포자 발아 억제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 균주는 기탁균주이며 2017년 5월 29일에 생물자원센터에 기탁되었고, 기탁번호는 KCTC 13277 BP 이다.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는 담즙산 의존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담즙산의 농도는 0.2~2.0% (wt/vol)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 또는 이에 대한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CDI은 포자형성 박테리아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Clostridium difficile 균주에 의한 것일 수 있고, 또한 설사, 고온, 비정상적인 고통을 수반할 수 있다.
상기 CDI은 항생제가 연관된 설사( antibiotic-associated diarrhea)의 일종일 수 있다.
또한, CDI은 장내미생물상(intestinal flora)의 생태적 균형을 바꾸는 광범위항생제(특히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를 투여받은 환자들에게서 발병한 것일 수 있다.
CDI는 간장에서 담즙분비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환자에게서 발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CDI는 경증CDI, 중증 CDI, 복합 CDI 또는 재발성 CDI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재발성 CDI일 수 있다. 상기 CDI의 경중은 나이, 전신 항생제의 사용여부, 백혈구의 수, 알부민, 혈청 크레아틴을 통해 판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증(mild CDI)은 백혈구 수가 15,000 cell/ml 미만, 혈청 크레아틴이 1.5배 premorbid level 미만일 수 있으며, 중증(severe CDI)는 백혈구 수가 15,000 cell/ml 이상, 혈청 크레아틴이 1.5배 premorbid level 이상일 수 있으며, 복합(complicated CDI)는 저혈압, 쇼크,장마비, megacolon을 수반할 수 있으며, 재발성(recurrent CDI)는 CDI에 대한 성공적인 치료후 8주 이내에 재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피부, 정맥, 근육, 피하 등의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고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또는 경피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의 비경구 제형 등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에게 적용하는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여방식과 표준 약제학적 관행(standard pharmaceutical practice)을 고려하여 선택된 약제학적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예를 들면,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 균주 함유 조성물은 전분 또는 락토오즈를 함유하는 정제 형태로, 또는 단독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캡슐 형태로, 또는 맛을 내거나 색을 띄게 하는 화학 약품을 함유하는 엘릭시르 또는 현탁제 형태로 경구, 구강 내 또는 혀 밑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 균주 함유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효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1일 투여량이 0.1 내지 500 ㎎/k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0 ㎎/kg일 수 있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이 상기 투여 용량 미만이면 유의성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그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용량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우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 또는 이에 대한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완화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은 각종 음료, 발효유, 식품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에 함유된 유효성분으로서의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 균주의 함량은 식품의 형태, 소망하는 용도등에 따라 적절하게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중 음료에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 균주를 함유하는 것 외 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또는 실험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1. 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 (CS)의 C. difficile 성장에 대한 억제 효과
본 연구팀은 40명 이상의 건강한 성인 지원자들에게서 제공 받은 분변으로부터 후보 균주를 집중적으로 분리하였다. 대부분의 후보균주들이 절대 혐기성 균주 (obligate anaerobes)임을 고려하여, ㈜고바이오랩의혐기 시스템 하에서 모든 과정을 수행하였다.
C. difficile 성장저해 실험은 분리균주를 24시간 배양한 후 수득한 상층액을 활용하여 C. difficile의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C. difficile 저해 효능 비교 실험을 위해 사용한 균주는 C. difficile KCTC 5009 균주, C. difficile ATCC43255 균주이며, 상기 균주에 대한 성장 저해 효과를 비교하였다. 4시간 액체 배지에 배양한 C. difficile 균주의 OD를 0.3으로 희석한 후 2% 농도로 액체배지에 재접종한 후, 이 CD 배양액과 준비된 시험 균주 상층액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고, OD를 측정하여 CD 성장률을 평가하였다.
담즙의 대사가 C. difficile이 포자 발아 및 성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고려하여, 후보 균주가 담즙 대사를 할 수 있도록 C. difficile 배양액 안에 적정 농도의 담즙을 추가하여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여 성장 저해 효과를 관찰하였다. 생체의 소장 내 담즙산의 농도는 0.2~2.0% (wt/vol.)로 하였다(Kristoffersen et al., 2007. Journal of Bacteriology). 0~2.0% (wt/vol.)로 담즙산의 농도를 조정하여 in vitro 환경에서 후보균주의 CDI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 difficile 생균 저해 어세이(Inhibition assay)를 수행하기 위해, 시험 균주를 0, 0.5, 1% 농도의 담즙산 첨가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 후 상층액을 사용하였다. 4시간 액체 배지에 배양한 C. difficile 균주의 OD를 0.3으로 희석한 후 2% 농도로 액체배지에 재접종한 후, 이 CD 배양액과 준비된 시험 균주 상층액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고, OD를 측정하여 CD 성장률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두 개의 서로 다른 CD 균주에 대해 담즙산 의존적으로 CS의 CD저해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1 참조).
실험예2. CDI 예방을 확인하기 위한 마우스 모델 실험
CDI 예방 동물 모델은 3일간 항생제를 음수투여하여 장내 미생물 균주를 교란시킨 C57BL/6 마우스에 2일 간 후보 균주를 경구투여한 후, clindamycin 복강투여 및 C. difficile을 감염시킴으로써 후보 균주의 CDI 증상 (체중변화) 및 생존에 미치는 효능을 3주간 매일 측정하였다(도2 참조).
그 결과,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의 경우 감염대조군 및 다른 Clostridium scindens 표준균주에 비해 유의하게 몸무게 감소를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현상은 회복단계에서도 지속적으로 나타났다(도3 참조).
In vivo 상에서 CS를 먹은 그룹에서 C.difficile 감염 24시간 후 분변을 수득하여 분변 중 C. difficile의 증식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수득한 분변의 무게를 측정하고 혐기적으로 제조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에 현탁한 후, 순차적으로 희석한 현탁액을 C. difficile 선택배지에 도말하고 37도에서 2일간 혐기배양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의 경우 감염대조군 및 다른 Clostridium scindens 표준균주에 비해 유의하게 장내의 C. difficile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도4 참조).
In vivo 상에서 CS를 먹은 그룹에서 나타난 C. difficile 증식 억제와 CDI 증상의 주요 원인인 C. difficile 독소 생성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감염 24시간 후 수득한 분변 현탁액 중의 Toxin A/B의 양을 C. difficile toxin 정량용 ELISA kit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의 경우 감염대조군 및 다른 Clostridium scindens 표준균주에 비해 유의하게 장내의 C. difficile로 인한 독소의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도5 참조).
CDI 증상이 가장 심화되는 감염 3일 차에, 마우스를 안락사하여 대장염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였다.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의 경우 감염대조군에 비해 CD 감염으로 인해 유발된 대장 길이의 감소를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냈다(도6 참조)
CDI로 인한 대장 염증의 감소를 조사하기 위해, 안락사시킨 마우스의 대장 조직을 수득하여 RNA-later를 이용해 RNA의 변화를 막고, 분석 전까지 -80도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 수득한 대장 조직에서 Total RNA extraction kit를 이용해 RNA를 추출한 후, cDNA 합성 키트를 사용해 cDNA로 전환한 라이브러리 중에서 염증 유발 인자인 TNF-α의 발현량을 real-time quantitative PCR을 이용해 정량 분석하였다.
그 결과,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의 경우 주요 염증 지표인 TNF-α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대장 길이의 감소 억제와 더불에 장내 염증의 감소에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도 7참조)
[수탁기관]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3277BP
수탁일자 : 2017529

Claims (9)

  1.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는 담즙산 의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담즙산의 농도는 0.2~2.0% (wt/v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
  4.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 또는 이에 대한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5.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Clostridium scindens) SNUG 40402(KCTC 13277 BP) 균주 또는 이에 대한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완화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은 재발성 CD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은 재발성 CD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완화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은 장내 미생물 불균형에 의해 초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은 장내 미생물 불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I(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완화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KR1020170122608A 2017-09-22 2017-09-22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 균주 KR102323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608A KR102323783B1 (ko) 2017-09-22 2017-09-22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 균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608A KR102323783B1 (ko) 2017-09-22 2017-09-22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 균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897A KR20190033897A (ko) 2019-04-01
KR102323783B1 true KR102323783B1 (ko) 2021-11-09

Family

ID=6610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608A KR102323783B1 (ko) 2017-09-22 2017-09-22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 균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255A1 (ko) * 2019-02-21 2020-08-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 균주
KR102296286B1 (ko) * 2020-06-16 2021-09-01 주식회사 바이오뱅크힐링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그의 유래의 소포체 및 그의 항염증 및 항균 용도
US20230321163A1 (en) * 2020-08-21 2023-10-12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KR20230010577A (ko) 2021-07-12 2023-01-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큐티박테리움 아비덤 균주, 그의 유래의 배양액 및 그의 항균 용도
KR20230057980A (ko) * 2021-10-20 2023-05-02 주식회사 고바이오랩 항암 활성을 갖는 신규 박테리아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암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2369A2 (en) * 2008-11-03 2010-06-03 Tufts Universit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hibiting clostridium difficile spore germination and outgrowth
WO2015179437A1 (en) 2014-05-19 2015-11-26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2369A2 (en) * 2008-11-03 2010-06-03 Tufts Universit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hibiting clostridium difficile spore germination and outgrowth
WO2015179437A1 (en) 2014-05-19 2015-11-26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ell Metabolism. 2014, vol. 21, pp. 9-10.*
Nature. 2015, vol. 517, doi:10.1038/nature138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897A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783B1 (ko)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 균주
US20200405789A1 (en) Lactobacillus sp. strain having ability to inhibit growth of virginal pathogenic microorganisms
KR102664594B1 (ko)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균주
KR102084973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6056B1 (ko) 대장염 발생 예방 효능을 가진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에이치와이740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2173168B1 (ko) 류코노스톡속 균주를 포함하는 장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034371B1 (ko)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nt 11 및 이의 용도
KR20230095039A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US8349316B2 (en) Lactobacillus fermentum SG-A95 for improving oral bacterial groups and health care compositions thereof
EP3932416A2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or treating bone diseases or metabolic diseases, including novel lactobacillus sakei cvl-001 strain and culture medium thereof
KR102452957B1 (ko)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레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20200018532A (ko) 질염 원인균에 대한 증식억제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조합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0526992B1 (ko) 탱자 추출발효물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질환의치료용 조성물
KR20190102498A (ko) 질염 원인균에 대한 증식억제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조합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US20230321163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KR102191363B1 (ko) 꾸지뽕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EP3498819A1 (en) Faecalibacterium butyricigenerans and method for cultivation thereof and application thereof
WO2020171256A1 (ko)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균주
WO2020171255A1 (ko)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신덴스 균주
RU2782361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блегчени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костей или метабол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содержащая новый штамм lactobacillus sakei cvl-001 и ее культуральную среду
KR101376629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아리조넨시스 bcnu 9200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KR102578389B1 (ko)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97724B1 (ko) 혈중 요산 저감 효능 및 신장 보호 효능을 갖는 신규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30010577A (ko) 큐티박테리움 아비덤 균주, 그의 유래의 배양액 및 그의 항균 용도
KR20240079094A (ko) 칸디다 알비칸즈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