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237B1 -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237B1
KR102322237B1 KR1020210063766A KR20210063766A KR102322237B1 KR 102322237 B1 KR102322237 B1 KR 102322237B1 KR 1020210063766 A KR1020210063766 A KR 1020210063766A KR 20210063766 A KR20210063766 A KR 20210063766A KR 102322237 B1 KR102322237 B1 KR 102322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fire extinguishing
sensor
extinguis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갑진
Original Assignee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3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 B05B1/26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with fixed d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은, 화재 발생시 화재를 진압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건축물의 천장면에서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 제1 소화부, 제2 소화부, 제3 소화부, 제4 소화부를 형성하고, 천장면의 중심 부분을 가로질러 제5 소화부를 형성하며,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제1 소화부, 제2 소화부, 제3 소화부, 제4 소화부, 제5 소화부와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하는 중앙 제어 서버를 포함하고, 건축물의 바닥면에는 일정한 커버리지 영역마다 화재를 감시하는 복수의 센서모듈을 형성하고, 복수의 센서모듈 각각은 화재 위험인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를 감지하는 일정한 구역의 센서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고, 기설정된 온도값 이상을 검출하여 화재 위험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의 화재 위험신호를 수신하여 중앙 제어 서버와 주변의 소화부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제1 소화부, 제2 소화부, 제3 소화부, 제4 소화부, 제5 소화부는 천장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일측거치대와 타측거치대가 형성되고, 일측거치대와 타측거치대의 사이에 이송스크류가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고, 이송스크류의 일측 끝단이 타측거치대를 관통하여 구동모터에 결합되고, 이송스크류는 중심 부분을 관통하여 이동블록부를 결합하고, 이동블록부는 원통 형상으로 중심 부분을 이송스크류가 결합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의 내주면에 이송스크류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고, 복수의 센서모듈은, 무선 통신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 카메라부, 무선 통신부와 감지부 사이에 배치된 경보부, 경보부 및 감지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카메라부는, 카메라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실리콘 재질의 다수의 돌기 및 카메라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경보부는, 다수의 스피커부 및 다수의 발광부를 포함하고, 다수의 스피커부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다수의 발광부는 다수의 스피커부 사이에 배치되고, 다수의 발광부 각각은 다수의 발광유닛을 포함하며, 다수의 발광유닛은 이격되어 배치되며, 스피커부와 발광부 사이에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반사유닛이 배치되고, 경보부는 제2 방향으로 무선 통신부와 중첩하며, 경보부는 제2 방향으로 카메라부와 비중첩하고, 감지부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제1 센서는 열 감지 센서와 연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제2 센서는 음성인식센서와 GPS 센서를 포함하고, 제1 센서 및 제2 센서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감지부는, 제1 센서를 둘러싸는 사각테두리 형상의 제1 열차단막과, 제2 센서를 둘러싸는 사각테두리 형상의 제2 열차단막을 더 포함하며, 제1 열차단막은 연기의 유입을 위한 다수의 홀을 포함하고, 커버부는, 다수의 공기통로를 포함하는 제1 홀 영역 및 제2 홀 영역과,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 영역을 포함하고, 커버부가 경보부 및 감지부를 덮는 경우, 제1 홀 영역은 제1 센서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제2 홀 영역은 스피커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투명 영역은 발광부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제1 소화부, 제2 소화부, 제3 소화부, 제4 소화부, 제5 소화부 각각은 스프링클러부를 포함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며, 스프링클러부는, 방수구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 중앙부에 지지구가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지지구와 본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감열부와, 지지구의 저면에 설치되어 소화수가 방사상으로 펼쳐져 배출되게 하는 디플렉터 및 디플렉터 하부에 배치되는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는, 디플렉터와 접촉하되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를 디플렉터에 고정시키는 고정면과, 고정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순환로 및 순환로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2 배출구를 포함하며,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의 면적은 디플렉터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지고, 제2 배출구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 및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 사이에 배치되는 물 배출홈을 포함하고,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배치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Fire fighting water automatic control system in case of fire in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내부에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진압할 수 있는 소방 시설이 소방화재 기준에 근거하여 매립되어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내부에는 소화기, 스프링클러, 화재경보기, 차단벽 등의 소방시설이 각층마다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공동주택의 내부에 구비된 기존의 물분사 소화장치들은 단순히 센서에 의해 STAND-ALONE 형태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건물 내부의 화재가 동시 다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772023호(등록일: 2017년 08월 28일)에는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종래의 건축물 화재는 스프링클러 형태로 건축물 내부의 천장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종래의 소화 장치는 화재 발생 시 소화장치를 중심점으로 방사형으로 물을 분사한다. 최근에 발생되는 화재 형태는 화재 초기에 진압에 실패하여 대형 화재로 발전되는 경향이 많다. 이는 발화 초기 시점의 불꽃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커질 때 집중적으로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종래의 공동주택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는 천장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발화 지점에 화재를 짧은 시간에 진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축물 내의 천장면에 복수의 소화부를 구성하고, 센서모듈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발화 지점의 근처에 있는 소화부를 신속하게 발화 지점으로 이동시켜 복수의 소화부의 소화액을 한 곳의 발화 지점으로 분사하여 발화 초기 시점의 불꽃이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화재를 진압하는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은, 화재 발생시 화재를 진압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건축물의 천장면에서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 제1 소화부, 제2 소화부, 제3 소화부, 제4 소화부를 형성하고, 상기 천장면의 중심 부분을 가로질러 제5 소화부를 형성하며,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소화부, 상기 제2 소화부, 상기 제3 소화부, 상기 제4 소화부, 상기 제5 소화부와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하는 중앙 제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물의 바닥면에는 일정한 커버리지 영역마다 화재를 감시하는 복수의 센서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 각각은 화재 위험인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를 감지하는 일정한 구역의 센서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고, 기설정된 온도값 이상을 검출하여 화재 위험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화재 위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중앙 제어 서버와 주변의 소화부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화부, 상기 제2 소화부, 상기 제3 소화부, 상기 제4 소화부, 상기 제5 소화부는 상기 천장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일측거치대와 타측거치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거치대와 상기 타측거치대의 사이에 이송스크류가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의 일측 끝단이 타측거치대를 관통하여 구동모터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스크류는 중심 부분을 관통하여 이동블록부를 결합하고, 상기 이동블록부는 원통 형상으로 중심 부분을 상기 이송스크류가 결합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상기 이송스크류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 카메라부,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감지부 사이에 배치된 경보부, 상기 경보부 및 상기 감지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실리콘 재질의 다수의 돌기 및 상기 카메라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부는, 다수의 스피커부 및 다수의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피커부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발광부는 상기 다수의 스피커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발광부 각각은 다수의 발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발광유닛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반사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경보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무선 통신부와 중첩하며, 상기 경보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부와 비중첩하고, 상기 감지부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열 감지 센서와 연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음성인식센서와 GPS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센서를 둘러싸는 사각테두리 형상의 제1 열차단막과, 상기 제2 센서를 둘러싸는 사각테두리 형상의 제2 열차단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열차단막은 연기의 유입을 위한 다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다수의 공기통로를 포함하는 제1 홀 영역 및 제2 홀 영역과,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경보부 및 상기 감지부를 덮는 경우, 상기 제1 홀 영역은 상기 제1 센서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홀 영역은 상기 스피커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투명 영역은 상기 발광부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소화부, 상기 제2 소화부, 상기 제3 소화부, 상기 제4 소화부, 상기 제5 소화부 각각은 스프링클러부를 포함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클러부는, 방수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 중앙부에 지지구가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구와 상기 본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감열부와, 상기 지지구의 저면에 설치되어 소화수가 방사상으로 펼쳐져 배출되게 하는 디플렉터 및 상기 디플렉터 하부에 배치되는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는, 상기 디플렉터와 접촉하되 상기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를 상기 디플렉터에 고정시키는 고정면과, 상기 고정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순환로 및 상기 순환로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2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의 면적은 상기 디플렉터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배출구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배치되는 물 배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에 의하면, 해당 발화 지점의 근처에 있는 소화부를 신속하게 발화 지점으로 이동시켜 복수의 소화부의 소화액을 한 곳의 발화 지점으로 분사하여 발화 초기 시점의 불꽃이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복수의 발화 지점이 발생하여도 우선순위에 따라 근처의 소화부를 적절하게 이동시켜 소화액을 분사함으로써 화재 진압 효과를 높인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의 소화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에서 이동블록부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에서 이동블록부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소화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의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의 분사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의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Q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의 소화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에서 이동블록부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에서 이동블록부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소화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의 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의 분사노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의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Q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100)은 소화부와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100)은 화재 발생시 화재를 진압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건축물(10)의 천장면(20)에서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 제1 소화부(110), 제2 소화부(120), 제3 소화부(130), 제4 소화부(140), 제5 소화부(150)를 형성하고, 천장면(20)의 중심 부분을 가로질러 제5 소화부(150)를 형성하며,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제1 소화부(110), 제2 소화부(120), 제3 소화부(130), 제4 소화부(140), 제5 소화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10)의 바닥면에는 일정한 커버리지 영역마다 화재를 감시하는 복수의 센서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100)은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하는 중앙 제어 서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화재 진압이 안되는 비상시를 대비하여 대용량 소화장치(200)를 천장면(20)의 복수개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센서모듈(160)은 화재 위험인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를 감지하는 일정한 구역의 센서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고, 기설정된 온도값 이상을 검출하여 화재 위험 신호를 생성하고, 사람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DTP)와, 상기 감지부(DTP)의 화재 위험 신호 및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중앙 제어 서버와 주변의 소화부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DSP)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천장면(20)에 제1 소화부(110), 제2 소화부(120), 제3 소화부(130), 제4 소화부(140), 제5 소화부(150)를 구성하고 있지만, 건축물(1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소화부(110), 제2 소화부(120), 제3 소화부(130), 제4 소화부(140), 제5 소화부(150)는 천장면(20)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소화부(110)는 천장면(2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1 일측거치대(111)와 제1 타측거치대(1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일측거치대(111)와 상기 제1 타측거치대(112)의 사이에 일정한 길이의 제1 이송스크류(113)가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이송스크류(113)의 일측 끝단이 제1 타측거치대(112)를 관통하여 제1 구동모터(115)에 결합된다.
제1 이송스크류(113)는 중심 부분을 관통하여 제1 이동블록부(114)를 결합한다.
제1 이동블록부(114)는 원통 형상으로 중심 부분을 상기 제1 이송스크류(113)가 결합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을 형성하고, 제1 관통공의 내주면에 제1 이송스크류(113)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 이송스크류(113)는 제1 이동블록부(114)의 제1 관통공에 끼워져서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이 나사 결합을 한다. 이에 따라 제1 구동모터(115)의 구동력에 의해 제1 이송스크류(113)가 회전을 하게 되면, 제1 이동블록부(114)는 제1 이송스크류(113)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하게 된다.
제2 소화부(120)는 천장면(2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2 일측거치대(121)와 제2 타측거치대(1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일측거치대(121)와 상기 제2 타측거치대(122)의 사이에 일정한 길이의 제2 이송스크류(123)가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이송스크류(123)의 일측 끝단이 제2 타측거치대(122)를 관통하여 제2 구동모터(125)에 결합된다.
제2 이송스크류(123)는 중심 부분을 관통하여 제2 이동블록부(124)가 결합된다.
제2 이동블록부(124)는 원통 형상으로 중심 부분을 상기 제2 이송스크류(123)가 결합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제2 관통공을 형성하고, 제2 관통공의 내주면에 제2 이송스크류(123)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2 이송스크류(123)는 제2 이동블록부(124)의 제2 관통공에 끼워져서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이 나사 결합을 한다. 이에 따라 제2 구동모터(125)의 구동력에 의해 제2 이송스크류(123)가 회전을 하게 되면, 제2 이동블록부(124)는 제2 이송스크류(123)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하게 된다.
제3 소화부(130)는 천장면(2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3 일측거치대(131)와 제3 타측거치대(132)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일측거치대(131)와 상기 제3 타측거치대(132)의 사이에 일정한 길이의 제3 이송스크류(133)가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3 이송스크류(133)의 일측 끝단이 제3 타측거치대(132)를 관통하여 제3 구동모터(135)에 결합된다.
제3 이송스크류(133)는 중심 부분을 관통하여 제3 이동블록부(134)가 결합된다.
제3 이동블록부(134)는 원통 형상으로 중심 부분을 상기 제3 이송스크류(133)가 결합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제3 관통공을 형성하고, 제3 관통공의 내주면에 제3 이송스크류(133)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3 이송스크류(133)는 제2 이동블록부(124)의 제3 관통공에 끼워져서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이 나사 결합을 한다. 이에 따라 제3 구동모터(135)의 구동력에 의해 제3 이송스크류(133)가 회전을 하게 되면, 제3 이동블록부(134)는 제3 이송스크류(133)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하게 된다.
제4 소화부(140)는 천장면(2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4 일측거치대(141)와 제4 타측거치대(142)가 형성되고, 상기 제4 일측거치대(141)와 상기 제4 타측거치대(142)의 사이에 일정한 길이의 제4 이송스크류(143)가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4 이송스크류(143)의 일측 끝단이 제2 타측거치대(122)를 관통하여 제4 구동모터(145)에 결합된다.
제4 이송스크류(143)는 중심 부분을 관통하여 제4 이동블록부(144)가 결합된다.
제4 이동블록부(144)는 원통 형상으로 중심 부분을 상기 제4 이송스크류(143)가 결합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제4 관통공을 형성하고, 제4 관통공의 내주면에 제4 이송스크류(143)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4 이송스크류(143)는 제4 이동블록부(144)의 제4 관통공에 끼워져서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이 나사 결합을 한다. 이에 따라 제4 구동모터(145)의 구동력에 의해 제4 이송스크류(143)가 회전을 하게 되면, 제4 이동블록부(144)는 제4 이송스크류(143)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하게 된다.
제5 소화부(150)는 천장면(2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5 일측거치대(151)와 제5 타측거치대(152)가 형성되고, 상기 제5 일측거치대(151)와 상기 제5 타측거치대(152)의 사이에 일정한 길이의 제5 이송스크류(153)가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5 이송스크류(153)의 일측 끝단이 제5 타측거치대(152)를 관통하여 제5 구동모터(155)에 결합된다.
제5 이송스크류(153)는 중심 부분을 관통하여 제5 이동블록부(154)를 결합한다.
제5 이동블록부(154)는 원통 형상으로 중심 부분을 상기 제5 이송스크류(153)가 결합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제5 관통공을 형성하고, 제5 관통공의 내주면에 제5 이송스크류(153)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5 이송스크류(153)는 제5 이동블록부(154)의 제5 관통공에 끼워져서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이 나사 결합을 한다. 이에 따라 제5 구동모터(155)의 구동력에 의해 제5 이송스크류(153)가 회전을 하게 되면, 제5 이동블록부(154)는 제5 이송스크류(153)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하게 된다.
제1 이동블록부(114), 제2 이동블록부(124), 제3 이동블록부(134), 제4 이동블록부(144), 제5 이동블록부(154)는 하부 외측면에 소화액을 배출하는 소화액 분사부(116, 126, 136, 146, 156)가 각각 결합하고, 내부에 무선통신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소화액 분사부(116, 126, 136, 146, 156)는 소화액을 외부에서 공급받아 분사하는 분사노즐(117, 127, 137,147, 157)이 연통되어 결합된다.
분사노즐(117, 127, 137, 147, 157)은 이송관로와 연통되어 소화액이 저장된 소화액탱크의 소화액을 이송관로로 펌핑하는 소화펌프에 결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분사노즐(117, 127, 137, 147, 157) 각각은 스프링클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프링클러를 통하여 소화액을 넒은 영역으로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센서모듈(160)의 감지부(DTP)는 화재 위험 신호 및 위치 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DSP)를 통해 중앙 제어 서버(300)와 주변의 소화부(110, 120, 130, 140, 150)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센서모듈(160)로부터 화재 위험 신호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경우, 해당 센서모듈(160)로 이동하도록 구동모터(115, 125, 135, 145, 155)의 전원을 인가하여 이동블록부(114, 124, 134, 144, 154)를 화재발화 지점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모듈(160)은 화재 위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기설정된 거리 범위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소화부(110, 120, 130, 140, 150)는 화재 발화 지점의 센서모듈(16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로 송신되는 화재 위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구동모터(115, 125, 135, 145, 155)를 구동하여 이동블록부(114, 124, 134, 144, 154)를 화재 발화 지점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킨 후, 소화액 분사부(116, 126, 136,146, 156)의 분사노즐(117, 127, 137, 147, 157)을 통해 소화액을 특정 위치에 분사하게 된다.
제1 이동블록부(114), 제2 이동블록부(124), 제3 이동블록부(134), 제4 이동블록부(144), 제5 이동블록부(154)는 화재 발화 지점으로 이 중 2개 내지 3개의 이동블록부(114, 124, 134, 144, 154)가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소화액을 특정 위치에 분사하게 되므로 발화 초기 시점에 집중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해당 발화 지점의 근처에 있는 소화부를 신속하게 발화 지점으로 이동시켜 복수의 소화부의 소화액을 한 곳의 발화 지점으로 분사하여 발화 초기 시점의 불꽃이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는 효과가 있다.
제1 이동블록부(114), 제2 이동블록부(124), 제3 이동블록부(134), 제4 이동블록부(144), 제5 이동블록부(154)에 내장된 각 제어부는 센서모듈(160)로부터 수신된 화재 위험 신호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중앙 제어 서버(3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서버(300)는 센서모듈(160)이 설치된 위치의 좌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중앙 제어 서버(300)는 센서모듈(160)의 화재 위험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화재 위험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 발화 지점이 여러 군데로 확대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1 이동블록부(114), 제2 이동블록부(124), 제3 이동블록부(134), 제4 이동블록부(144), 제5 이동블록부(154)가 각각 어떤 화재 발화 지점으로 이동할 지 판단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서버(300)는 화재 발화 지점으로 이동할 지 판단할 때, 화재 위험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화재 위험 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늦을수록 우선순위를 낮게 설정하고, 화재 위험 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빠를수록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 서버(300)는 센서모듈(160)의 화재 위험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화재가 발생한 화재 범위가 커질수록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고, 화재 범위가 작아질수록 우선순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서버(300)는 화재 범위와 화재 위험 신호를 수신한 시점 중 하나의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고, 두 가지의 기준을 혼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중앙 제어 서버(300)는 센서모듈(160)의 사람의 위치 정보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화재가 발생한 화재 범위에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고,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우선순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발화 지점이 발생하여도 우선순위에 따라 근처의 소화부를 적절하게 이동시켜 소화액을 분사함으로써 화재 진압 효과를 높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 서버(300)는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발화 지점으로 제1 이동블록부(114), 제2 이동블록부(124), 제3 이동블록부(134), 제4 이동블록부(144), 제5 이동블록부(154)를 분산시켜 이동하도록 각각의 이동블록부(114, 124, 134, 144, 154)에 각 구동모터(115, 125, 135, 145, 155)의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이동블록부(114, 124, 134, 144, 154) 중에서 선택적으로 화재 발화 지점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 서버(300)는 이동블록부를 화재 발화 지점으로 이동시킨 후, 소화액 분사부(116, 126, 136, 146, 156)의 분사노즐(117, 127, 137, 147, 157)을 통해 소화액을 분사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경우에도, 센서모듈(160)로부터 화재 위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화재 진압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한다.
중앙 제어 서버(300)는 센서모듈(160)로부터 수신한 화재 위험 신호의 온도값 추이를 분석하여 화재 범위가 커지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대용량 소화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해당 대용량 소화장치(200)를 전송한다.
일정 형상의 대용량 소화장치(200)는 천장면(20)의 삽입홈(미도시)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대용량 소화장치(200)의 양쪽 측면에는 피니언기어(212, 214)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피니언기어(212, 214)의 회전축에 구동모터(213)가 각각 결합된다.
천장면(20)의 삽입홈의 양쪽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랙기어(211, 2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기어(212, 214)의 일측은 삽입홈의 양쪽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랙기어(211, 215)에 기어 치합되어 맞물려 있다.
대용량 소화장치(200)는 중앙 제어 서버(300)로부터 구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이 공급된 구동모터(213)에 따라 각각의 피니언기어(212, 214)가 서로 맞물려 있는 랙기어(211, 215) 상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노출하게 된다.
대용량 소화장치(200)는 중앙 제어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과 소화액 분사를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데, 대용량의 소화액 분사부(116, 126, 136, 146, 156)가 내장되어 있어 대량의 소화액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배출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발화 초기 시점의 불꽃이 더 이상 번지지 않도록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모듈(160)은 무선 통신부(DSP), 카메라부(CAP), 경보부(ARP), 감지부(DTP) 및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모듈(160)은, 무선 통신부(DSP)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카메라부(CAP)와, 무선 통신부(DSP) 하부에 배치되는 경보부(ARP), 경보부(ARP) 하부에 배치된 감지부(DTP) 및 경보부(ARP) 및 감지부(DTP)를 덮을 수 있는 커버부(CVP)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메라부(CAP)는 무선 통신부(DSP)를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CAP)는 무선 통신부(DSP)를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부(CAP)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CAM)와, 카메라부(CAP)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부재(RT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RTP)는 카메라부(CAP)와 무선 통신부(DSP)를 연결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메라부(CAP)의 외면에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다수의 돌기(PP)가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돌기(PP)는 카메라부(CAP)의 외면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경보부(ARP)는 무선 통신부(DSP)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경보부(ARP)는 무선 통신부(DSP)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경보부(ARP)는 스피커부(SPP)와 발광부(ELP)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부(SPP)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ELP)는 다수의 스피커부(SP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ELP)는 다수의 발광유닛(ELU)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발광유닛(ELU)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발광유닛(ELU)은 평면상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피커부(SPP)와 발광부(ELP)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부(SPP)는 화재발생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으며, 발광부(ELP)는 화재가 발생된 경우, 경고 광원을 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피커부(SPP)와 발광부(ELP) 사이에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반사유닛(RU)이 배치될 수 있다. 반사유닛(RU)은 발광부(ELP)에서 출력되는 경고 광원을 반사시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반사유닛(RU)은 알루미늄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재료가 활용될 수 있다.
경보부(ARP)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무선 통신부(DSP)와 중첩하되, 제 카메라부(CAP)와 비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감지부(DTP)는 경보부(ARP)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감지부(DTP)는, 제1 센서(SE1), 제2 센서(SE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센서(SE1), 제2 센서(SE2)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센서(SE1)는 열 감지 센서 및 연기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부(DTP)는 제1 센서(SE1)를 통하여 화재발생을 감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센서(SE1)의 열 감지 센서는 일정온도가 초과하면 작동하는 온도 센서로서 비접촉식 또는 접촉식 방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접촉식은 측정 대상물에 대한 온도 센서를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이고, 비접촉식은 측정 대상물에서 방사되는 열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열전대, 금속 측온체, 서미스터, IC온도센서, 자기 온도 센서, 서모파일, 초전형 온도 센서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SE1)의 연기 감지 센서는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이온화식 감지기와 광전식 감지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온화식은 검지부에 연기가 들어가면 전류가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이고, 광전식은 검지부안에 연기가 들어가면 연기에 의하여 평상시 광전 소자에 의하여 일정하게 흐르던 전류의 값을 변화시켜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센서(SE2)는 건물 내 사람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써, 아두이노 음성인식모듈 등을 내장하여 사람의 비명, 고함 등 긴급한 음성 주파수를 인식하는 음성인식센서와, 건물 내 사람의 스마트기기에서 발생하는 GPS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센서(SE2)를 통하여 사람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센서(SE1), 제2 센서(SE2) 각각을 둘러싸는 제1 열차단막(SEC1), 제2 열차단막(SEC2)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차단막(SEC1)은 제1 센서(SE1)를 둘러싸는 사각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열차단막(SEC2)은 제2 센서(SE2)를 둘러싸는 사각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열차단막(SEC1), 제2 열차단막(SEC2) 각각은 글라스파이어, 페놀수지 및 탄산칼슘이 혼합된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열차단 커버(HSC2)는 글라스파이버 75 중량%, 페놀수지 17중량%, 탄산칼슘은 8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열차단막(SEC1)은 연기를 감지하기 위하여 연기 유입을 위한 다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부(CVP)는 경보부(ARP) 및 감지부(DTP)를 덮을 수 있다. 커버부(CVP)는 경보부(ARP) 및 감지부(DTP)와 비접촉할 수 있으며, 커버부(CVP)의 양단은 경보부(ARP) 및 감지부(DTP) 외측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GR)에 체결될 수 있다.
커버부(CVP)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경보부(ARP) 및 감지부(DTP) 상측으로 이동하여 경보부(ARP) 및 감지부(DTP)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부(CVP)는 다수의 공기통로를 포함하는 제1 홀 영역(P1) 및 제2 홀 영역(P2)과,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 영역(P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CVP)가 경보부(ARP) 및 감지부(DTP)를 덮는 경우, 제1 홀 영역(P1)은 제1 센서(SE1)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제2 홀 영역(P2)은 스피커부(SPP)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투명 영역(P3)은 발광부(ELP)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CVP)가 경보부(ARP) 및 감지부(DTP)를 덮는 경우, 제1 홀 영역(P1)은 제1 센서(SE1)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고, 제2 홀 영역(P2)은 스피커부(SPP))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으며, 투명 영역(P3)은 발광부(ELP)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CVP)는 투명 영역(P3)외에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CVP)에서 경보부(ARP) 및 감지부(DTP)와 마주하는 면에는 다수의 완충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완충패턴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수의 완충 패턴은 불투명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에서 분사노즐(117, 127, 137, 147, 157) 각각은 스프링클러부(SKP)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부(SKP)는 방수구(K1)가 형성된 본체(K2)를 가지며, 본체(K2)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 중앙부에 지지구(K5)가 형성된 지지프레임(K3)과, 지지구(K5)와 본체(K2)의 사이에 설치되는 감열부(K4)와, 지지구(K5)의 저면에 설치되어 소화수가 방사상으로 펼쳐져 배출되게 하는 디플렉터(K6)와, 디플렉터 하부에 배치되는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WP)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프링클러부(SKP)는 지지구(K5)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나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디플렉터를 관통하여 나사홈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체(K2)는 내측으로 수직방향의 방수구(K1)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K3)은 본체(K2)의 하부로 연장된 사각 테두리 형상으로 본체(K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K3)의 하부 중앙부에 지지구(K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K3)의 상부는 본체(K2)의 측면과 일체로 연결되고 하부 중앙부에는 원뿔대 형상의 지지구(K5)가 형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감열부(K4)는 낮은 열에도 쉽게 녹을 수 있는 이융성이 좋은 금속을 레버형으로 조립한 휴즈블 링크형(Fusible link type)이나, 유리구 내에 알코올, Ether등 액체를 봉입하여 밀봉한 글라스 벌브형(Glass bulbtype)으로 구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디플렉터(K6)는 상기 지지구(K5)의 저면에 설치되어 소화수가 방사상으로 펼쳐져 배출되게 한다.
디플렉터(K6)는 상부면 형성된 유입구(K8)로부터 측부에 형성된 제1 배출구(K7)로 연통되는 유로(K10)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로(K10)의 바닥면이 빗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방수구(K1)를 통해 배출되는 소화수가 유입구를 통해 유로(K1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빗면을 충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켜 디플렉터가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디플렉터(K6)는 상부면에 방사상으로 유로(K10)가 형성되고, 상기 디플렉터(K6)의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KC)를 구비함으로써 상부면에 형성된 유입구(K8)와 측부에 형성된 제1 배출구(K7)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유로(K10)의 바닥면은 사선방향의 빗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방수구(K1)를 통해 배출되는 소화수가 유입구(K8)를 통해 유로(K1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수직방향으로 빗면을 충격하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방수구(K1)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수의 일부가 유입구(K8)로 유입되면서 디플렉터(K6)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소화수의 나머지는 상기 덮개(KC)의 상부면에 충격하여 비산됨으로써 고른 반사패턴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WP)는 디플렉터(K6)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WP)의 면적은 디플렉터(K6)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WP)는 디플렉터(K6)와 접촉하여,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WP)를 디플렉터(K6)에 고정시키는 고정면(K12)과, 상기 고정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순환로(K11) 및, 순환로(K1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2 배출구(K9)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제2 배출구(K9) 각각은 제1 배출구(K7)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배출구(K7)를 통해 소화수의 일부를 전달받아 더 먼 거리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배출구(K7)에서 배출되는 소화수 중 일부는 제1 배출구(K7)를 통하여 제1 지점으로 배출되고, 제1 배출구(K7)에서 배출되는 소화수 중 나머지는 제2 배출구(K9)를 통하여 제1 지점보다 먼 제2 지점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출구(K9)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한 소화수는 디플렉터(K6)의 회전에 의하여 순환로(K11)로 유입되고, 재차 제2 배출구(K9)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제2 배출구(K9) 및 순환로(K11)는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WP) 상면에 음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출구(K9) 및 순환로(K11)의 단면 형상은 "V"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배출구(K9)는 제1 경사면(CS1)과 제2 경사면(CS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경사면(CS1)과 제2 경사면(CS2)이 인접한 영역에는 물 배출홈(WH)이 배치될 수 있다. 물 배출홈(WH)은 일측이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 배출홈(WH)은 제1 경사면(CS1)과 제2 경사면(CS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경사면(CS1)과 제2 경사면(CS2)에는 다수의 돌기(KP)가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돌기는 화재발생시 제2 배출구(K9)가 변형되는 경우 돌기 사이로 소화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소화수 배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건축물
20 : 천장면
100: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
110 : 제1 소화부
120 : 제2 소화부
130 : 제3 소화부
140 : 제4 소화부
150 : 제5 소화부
160 : 센서모듈

Claims (1)

  1. 화재 발생시 화재를 진압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건축물의 천장면에서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따라 제1 소화부, 제2 소화부, 제3 소화부, 제4 소화부를 형성하고, 상기 천장면의 중심 부분을 가로질러 제5 소화부를 형성하며,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소화부, 상기 제2 소화부, 상기 제3 소화부, 상기 제4 소화부, 상기 제5 소화부와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하는 중앙 제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물의 바닥면에는 일정한 커버리지 영역마다 화재를 감시하는 복수의 센서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 각각은 화재 위험인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를 감지하는 일정한 구역의 센서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고, 기설정된 온도값 이상을 검출하여 화재 위험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화재 위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중앙 제어 서버와 주변의 소화부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화부, 상기 제2 소화부, 상기 제3 소화부, 상기 제4 소화부, 상기 제5 소화부는 상기 천장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일측거치대와 타측거치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거치대와 상기 타측거치대의 사이에 이송스크류가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의 일측 끝단이 타측거치대를 관통하여 구동모터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스크류는 중심 부분을 관통하여 이동블록부를 결합하고, 상기 이동블록부는 원통 형상으로 중심 부분을 상기 이송스크류가 결합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상기 이송스크류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센서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 카메라부, 상기 무선 통신부와 상기 감지부 사이에 배치된 경보부, 상기 경보부 및 상기 감지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실리콘 재질의 다수의 돌기 및 상기 카메라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부는, 다수의 스피커부 및 다수의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피커부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발광부는 상기 다수의 스피커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발광부 각각은 다수의 발광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발광유닛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반사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경보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무선 통신부와 중첩하며, 상기 경보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부와 비중첩하고,
    상기 감지부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열 감지 센서와 연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음성인식센서와 GPS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센서를 둘러싸는 사각테두리 형상의 제1 열차단막과, 상기 제2 센서를 둘러싸는 사각테두리 형상의 제2 열차단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열차단막은 연기의 유입을 위한 다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다수의 공기통로를 포함하는 제1 홀 영역 및 제2 홀 영역과,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경보부 및 상기 감지부를 덮는 경우, 상기 제1 홀 영역은 상기 제1 센서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홀 영역은 상기 스피커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투명 영역은 상기 발광부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소화부, 상기 제2 소화부, 상기 제3 소화부, 상기 제4 소화부, 상기 제5 소화부 각각은 스프링클러부를 포함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클러부는, 방수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 중앙부에 지지구가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구와 상기 본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감열부와, 상기 지지구의 저면에 설치되어 소화수가 방사상으로 펼쳐져 배출되게 하는 디플렉터 및 상기 디플렉터 하부에 배치되는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는, 상기 디플렉터와 접촉하되 상기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를 상기 디플렉터에 고정시키는 고정면과, 상기 고정면을 둘러싸며 형성된 순환로 및 상기 순환로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2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드 분사 플레이트의 면적은 상기 디플렉터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배출구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배치되는 물 배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배치된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
KR1020210063766A 2021-05-18 2021-05-18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 KR102322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766A KR102322237B1 (ko) 2021-05-18 2021-05-18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766A KR102322237B1 (ko) 2021-05-18 2021-05-18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237B1 true KR102322237B1 (ko) 2021-11-05

Family

ID=7850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766A KR102322237B1 (ko) 2021-05-18 2021-05-18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995B1 (ko) * 2023-03-02 2023-12-27 김용엽 자동 소화 장치 및 자동 소화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405B1 (ko) * 2012-03-19 2013-12-09 주식회사 팔콘 실시간 화재감지 및 화재정보전달 방법
KR101573597B1 (ko) * 2014-02-17 2015-12-01 (주)한화육삼시티 화재 감지 경보기
KR102016535B1 (ko) * 2018-12-31 2019-08-30 진종신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
KR102175419B1 (ko) * 2020-06-12 2020-11-06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와이드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2187620B1 (ko) * 2020-03-04 2020-12-07 (주)아이즈텍 연기 및 화재감지 시스템
KR102211444B1 (ko) * 2019-01-17 2021-02-0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형 유로가 형성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405B1 (ko) * 2012-03-19 2013-12-09 주식회사 팔콘 실시간 화재감지 및 화재정보전달 방법
KR101573597B1 (ko) * 2014-02-17 2015-12-01 (주)한화육삼시티 화재 감지 경보기
KR102016535B1 (ko) * 2018-12-31 2019-08-30 진종신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
KR102211444B1 (ko) * 2019-01-17 2021-02-0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형 유로가 형성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KR102187620B1 (ko) * 2020-03-04 2020-12-07 (주)아이즈텍 연기 및 화재감지 시스템
KR102175419B1 (ko) * 2020-06-12 2020-11-06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와이드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995B1 (ko) * 2023-03-02 2023-12-27 김용엽 자동 소화 장치 및 자동 소화 장치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2237B1 (ko)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
KR101731710B1 (ko)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JP6613413B2 (ja) 自動消火装置および自動消火方法
KR101119665B1 (ko)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KR102016535B1 (ko)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
CN111388912A (zh) 一种高铁动车组定向灭火智能消防***
CN205626811U (zh) 一种自动跟踪定位射流灭火装置
KR101797140B1 (ko) 건물 소방시설 제어 시스템
US20210299494A1 (en) Wall-Mounted Spray Head Unit
JP6395300B2 (ja) 消火システム及び放水銃装置
CN205402812U (zh) 厨房防火***
CN110618636A (zh) 一种实验室安全监控预警***
KR102478593B1 (ko)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KR102346753B1 (ko) 와이드 분사형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소방화재 감시시스템
RU2536226C2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2605113C1 (ru) Спринклерная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113082583A (zh) 一种室内智能监控灭火装置及其灭火方法
KR102425025B1 (ko) 스프링클러의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누수확인가능 소방 방재 장치
RU2455042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увлажнения и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JP6633702B2 (ja) 消火システム及び放水銃装置
KR102349411B1 (ko) 건물 화재 진압시스템
KR102310408B1 (ko) 건물의 외벽 소방시스템
KR102413997B1 (ko) 공동주택의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한 안전형 신속 소방방재장치
JPH0698947A (ja) 自動消火システムおよびその自動運転方法
WO2013085434A2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с датчиком пожа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