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317B1 -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317B1
KR102321317B1 KR1020190128586A KR20190128586A KR102321317B1 KR 102321317 B1 KR102321317 B1 KR 102321317B1 KR 1020190128586 A KR1020190128586 A KR 1020190128586A KR 20190128586 A KR20190128586 A KR 20190128586A KR 102321317 B1 KR102321317 B1 KR 102321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ire rod
less
rod
room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165A (ko
Inventor
이봉근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28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317B1/ko
Priority to EP20877049.5A priority patent/EP4046743A4/en
Priority to JP2022522588A priority patent/JP7478821B2/ja
Priority to US17/765,777 priority patent/US20220371131A1/en
Priority to PCT/KR2020/013581 priority patent/WO2021075777A1/ko
Priority to CN202080071743.1A priority patent/CN114555283A/zh
Priority to CA3152469A priority patent/CA3152469A1/en
Publication of KR20210045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66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Ni as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7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Mn as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40Making wire or rods for soldering or we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6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 C21D8/06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rods or wir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7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rods of limited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2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for wire, for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재료용 소재 특히, 용접봉용 소재로 적합한 선재로서, 상온 인장강도가 높고, 인발 특성이 우수한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WIRE ROD FOR WELDING ROD 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용접봉용 소재로 적합한 선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온 강도와 인발 특성이 우수한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용접재료인 용접봉은 그 소재로서 선재를 주로 사용하며, 이러한 선재는 열간압연한 후 상온에서 인발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한다. 이때, 특정 직경으로 인발하여 서브머지드아크 용접, 피복아크 용접, 가스메탈아크 용접, 가스텅스텐아크 용접용 등의 소재로 생산하여 적용한다.
이러한 용접봉용 선재를 이용하여 해당 용접방법으로 모재의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 용접부는 구조물의 안정성 등의 사유로 높은 충격인성, 상온강도 등이 요구된다.
일 예로, 극저온용 소재(모재)의 경우 용접시 용접부의 충격인성 보증치는 -196℃에서 대략 27J을 만족하면서, 상온강도 400MPa, 인장강도 660MPa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이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재의 규격치이며, 상기 규격치를 만족하게 되면 보다 높은 온도인 -100℃, -80℃ 등의 소재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기존의 용접재료용 소재로서 니켈(Ni)을 50중량% 이상으로 함유하며, 강도 향상을 위해 크롬(Cr)과 몰리브덴(Mo)을 총 합 30중량% 초과하여 포함하는 선재가 적용되어 왔다. 대표적인 예로, 인코넬 및 하스텔로이 소재가 있다.
이들 소재는 현재 극저온 환경에서 널리 통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가격적으로 고가의 Ni, Cr, Mo 등의 합금원소가 다량 적용되는 고가의 제품인 바, 산업현장에서 시공비 상승의 원인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모재 용접부의 물성치를 만족할 수 있으면서, 상온에서 인발 특성이 우수하며,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용접재료용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9225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2523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용접재료용 소재 특히, 용접봉용 소재로 적합한 선재로서, 인발 특성이 우수하며 용접 후 용접부의 상온 인장강도가 높고,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용접봉용 선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탄소(C): 0.05~0.8%, 망간(Mn): 18~31%, 실리콘(Si): 0.05~0.7%, 질소(N): 0.15% 이하, 인(P): 0.02% 이하, 황(S): 0.01% 이하,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용접봉용 선재를 제공한다.
[관계식 1] Mn + 1.6Ni + 15(C+N) ≥ 24
(관계식 1에서 각 원소는 중량함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술한 합금조성과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강편 또는 잉곳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강편 또는 잉곳을 800~1250℃의 온도범위에서 열처리한 후 빌렛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빌렛을 800~1250℃의 온도범위에서 선재압연하여 선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접봉용 선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비용으로 용접봉용 소재로서 요구되는 물성을 가지는 선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 용접봉용 선재 제작을 위해 주로 사용해 온 고가의 원소들을 크게 줄임에도 용접 후 용접부의 상온 강도와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하며, 상온에서 선재의 인장강도가 850MPa 미만, 연신율이 30% 이상을 나타내어 인발 특성이 우수한 선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선재는 용접봉용 선재로서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쉐플러 선도(Schaeffler Diagram, 출처 published in 1948(A.L. Schaeffler, Iron Age 162, 72 (1948)))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예와 발명예의 용접부 미세조직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계식 1]과 용접부의 극저온 충격인성 간의 관계를 그래프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계식 2]와 용접부의 상온 인성 간의 관계를 그래프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용접봉으로 사용되는 기존 소재들의 한계를 확인하고, 저비용으로 용접부에 요구되는 물성치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 인발 특성이 우수한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깊이 연구하였다.
그 결과, 기존 용접봉용 소재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해온 고가의 원소들 대신, 저원가의 원소들을 활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은 크게 낮추면서도, 기존 소재 대비 용접시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가지는 용접부를 형성할 수 있는 선재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특별히, 용접봉용 선재는 열간압연하여 얻은 선재를 상온 인발하여 제작하는 바, 우수한 상온 가공성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온에서 안정한 원소들을 적절히 활용하여 성분계를 최적화함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온 가공성의 경우 합금원소의 오스테나이트 안정도 및 인발시 가공 유형에 의해 좌우됨을 확인하고, 그에 적합한 원소로서 탄소(C), 니켈(Ni), 망간(Mn), 질소(N) 등을 적정 함량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이들 간의 함량 관계를 제시함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용접봉용 선재는 중량%로, 탄소(C): 0.05~0.8%, 망간(Mn): 18~31%, 실리콘(Si): 0.05~0.7%, 질소(N): 0.15% 이하, 인(P): 0.02% 이하, 황(S): 0.01%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용접봉용 선재의 합금조성을 위와 같이 제한하는 이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각 원소의 함량은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조직의 비율은 면적을 기준으로 한다.
탄소(C): 0.05~0.8%
탄소(C)는 오스테나이트 형성 원소이며, 극저온 환경에서 용접부의 충격인성의 향상 및 상온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이러한 C의 함량이 0.05% 미만이면 목표로 하는 상온 강도의 확보가 어려우며, 반면 그 함량이 0.8%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 중에 고온 균열과 용접 퓸(fume) 및 스패터(spatter)의 발생을 조장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C는 0.05~0.8%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유리하게는 0.78%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망간(Mn): 18~31%
망간(Mn)은 C와 유사하게 오스테나이트를 형성하는 원소이며, 극저온에서의 충격인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원소이다.
이러한 Mn의 함량이 18% 미만이면 극저온에서 응력 유기 변태 등에 의해 충격인성이 열위하는 문제가 있으며, 반면 그 함량이 31%를 초과하게 되면 강도 저하 및 다량의 퓸(fume)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Mn은 18~31%로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Si): 0.05~0.7%
실리콘(Si)은 용접시 용접재료의 유동성의 향상을 위해 첨가하는 원소이며, 탈산 효과에 유리하다.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0.05% 이상으로 Si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0.7%를 초과하게 되면 공정화합물이 과다하게 석출되어 내균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Si은 0.05~0.7%로 포함할 수 있다.
질소(N): 0.15% 이하
질소(N)는 상기 C와 유사하게 오스테나이트 형성 원소이며, 극저온 환경에서 용접부의 충격인성의 향상 및 상온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C에 의한 강도 향상 효과를 더욱 도모하기 위한 측면에서, N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N의 함량이 0.15%를 초과하게 되면 용접 중 고온 균열과 기공의 발생을 조장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0.15%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0% 이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인(P): 0.02% 이하, 황(S): 0.01% 이하
인(P)과 황(S)은 미량의 첨가에 의해서도 저융점화합물을 쉽게 생성하여 재료의 융점을 저하시킴으로써, 고온 균열 감수성을 높이는 경향이 있다. 이에, 상기 P과 S은 가능한 한 그 함량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P과 S은 제조과정 중에 불가피하게 첨가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각각 0.02% 이하, 0.01% 이하인 경우 선재의 물성에 영향을 끼치지 아니한 바, 각각의 함량을 이와 같이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재는 상술한 합금조성 이외에, 조직 구성 및 물성 확보에 유리한 원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선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니켈(Ni), 크롬(Cr), 몰리브덴(Mo) 및 바나듐(V)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들 원소들을 함유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조직 구성 및 물성 확보에는 무리가 없다 할 것이다.
니켈(Ni): 8% 이하
니켈(Ni)은 오스테나이트 형성 원소로서, 선재의 조직을 완전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형성하여 극저온 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Ni은 그 함량이 8%를 초과하는 경우, 상온 강도 저하를 유발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Ni은 8%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C, Mn, N 등을 충분히 함유함으로써 선재의 조직이 완전 오스테나이트로 형성될 수 있는 경우라면, 상기 Ni은 함유하지 않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크롬(Cr): 3.5% 이하
크롬(Cr)은 페라이트 형성 원소로서, 페라이트의 생성을 촉진시켜 오스테나이트 영역을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이에, 상기 Cr의 함량이 높을수록 상온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나, 일정 이상으로 첨가하게 되면 C와 결합하여 탄화물을 생성시켜 극저온 충격인성의 저하를 유발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에, 상기 Cr의 첨가시 상온에서의 강도 향상 및 오스테나이트 안정도 향상을 위하여 최대 3.5%로 함유할 수 있다.
몰리브덴(Mo): 3.5% 이하
몰리브덴(Mo)은 상기 Cr에 비해 상온 강도 향상 효과가 우수하며, C와의 결합력이 Cr에 비해 낮으므로, 첨가시 Cr에 비해 극저온 충격인성의 저하가 적은 장점이 있다. 다만, 상기 Mo은 고가의 원소로서 일정량 이상 첨가시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하며, 극저온 충격인성의 저하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Mo의 첨가시 제조비용과 강도 향상을 고려하여 최대 3.5%로 함유할 수 있다.
바나듐(V): 0.3% 이하
바나듐(V)은 상기 Cr과 Mo에 비해 상온 강도 향상 효과가 우수하다. 다만, 상기 V은 Cr에 비해 10 이상, Mo에 비해 4배 이상 가격이 높으므로, 저비용 소재를 얻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에, 상기 V의 첨가시 제조비용을 고려하여 최대 0.3%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합금조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선재는 그 함량 범위 내에서 다음의 성분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로,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 형성에 유리한 원소들의 관계를 하기 [관계식 1]로 제시하며, 그 값이 2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로,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나타내면서, 목표 수준 이상의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원소들의 관계를 하기 [관계식 2]로 제시하며, 그 값이 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1] Mn + 1.6Ni + 15(C+N) ≥ 24
[관계식 2] 10(C+N) + 1.5Cr + 2Mo + 1.5V - 0.1Mn - 0.16Ni ≥ 0
(관계식 1, 2에서 각 원소는 중량함량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강의 오스테나이트 안정도는 Schaeffler Diagram을 통해 계산되며, 이때 Ni 당량과 Cr 당량이라는 값으로 계산된다. 상기 Ni 당량과 Cr 당량에 대해서는 각각 그 수식이 [Ni + 0.5Mn + 30(C+N)] 및 [Cr + 2.5Si + 1.8Mo]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선재는 종래 Ni, Cr 등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소재와는 전혀 상이하며, 신규한 성분조성으로 구성되므로, 합금 원소 간의 관계를 새롭게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관계식 1]과 [관계식 2]를 규명하고, 이를 만족하는 선재를 제공함으로써, 선재 상태에서 상온 인장강도가 다소 낮아 우수한 인발 특성을 가지며, 용접 후에는 상온 인장강도가 목표 수준 이상이면서, 극저온 환경에서 요구되는 물성을 가지는 용접부를 형성할 수 있는 용접봉용 선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합금 성분계에서 [관계식 1]의 값을 만족함으로써 제조되는 선재의 조직이 안정한 오스테나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강도는 850MPa 미만이면서, 연신율이 30% 이상을 나타냄으로써 인발 특성이 우수하며, 용접 후 용접부에서도 안정적으로 오스테나이트를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선재의 조직 및 상기 선재를 이용한 용접 후 용접이음부의 조직이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동시에 가지는 선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부터, 본 발명은 용접시 형성된 용접부의 극저온(-197℃) 충격인성을 27J 이상으로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선재의 상온 강도를 충분히 향상시키기 위하여 Ni, Cr, Mo, V을 활용함에 있어서, 제한된 함량 내에서 [관계식 2]를 만족함으로써 용접 후 조직적으로 오스테나이트 상을 유지하면서, 상온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제시한 합금 성분계와 관계식 1 및 2를 만족함으로써 용접 후 용접부의 미세조직이 오스테나이트 단상 조직으로 형성되어 극저온 인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상온 강도 특성이 우수한 선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선재는 상온에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가지면서, 인장강도가 850MPa 미만이고, 연신율이 30% 이상을 나타내며, 이는 용접봉으로 제작하기 위한 인발 가공이 가능한 기계적 물성에 해당하는 바, 상온 가공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용접봉용 선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합금조성 및 성분관계식(관계식 1, 2)을 만족하는 강편 또는 잉곳(ingot)을 준비한 후, 이를 800~1250℃의 온도범위에서 열처리함으로써 빌렛(billet)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시 온도가 800℃ 미만이면 열간 변형 저항이 증가하여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으며, 반면 그 온도가 1250℃를 초과하게 되면 결정립이 조대해져 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열처리된 빌렛을 선재압연하여 선재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선재압연은 열간압연으로 행하며, 800~1250℃의 온도범위에서 행할 수 있다. 상기 열간압연시 온도가 800℃ 미만이면 압연 중에 부하가 커지고, 변형 저항이 커질 우려가 있으며, 반면 그 온도가 1250℃를 초과하게 되면 결정립이 지나치게 조대해져 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열간압연을 행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여 목표로 하는 미세조직과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선재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은 통상의 선재 제조공정시 적용되는 조건에 의할 것인 바,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아니하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합금조성과 제조조건을 통해 제조되는 최종 선재는 미세조직으로 높은 안정성의 오스테나이트 상을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인발이 가능한 상온 강도 및 연신율을 갖게 되어 인발 가공에 유리하다. 나아가, 용접시 극저온 충격인성 및 상온 인장 특성이 우수한 용접부를 형성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접은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아니하나, 서브머지드 아크용접(SAW), 수동용접(SMAW) 텅스텐 아크용접(GTAW) 및 가스메탈 아크용접(GMAW)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합금조성을 가지는 잉곳을 준비한 후, 이를 1250℃에서 가열하여 빌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가열 직후 빌렛을 800~1250℃에서 열간압연하여 직경 5.5mm의 선재를 제조하였다.
상기에 따라 제조된 선재의 인장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JIS 5호 규격에 따라 인장시편을 제작한 후, 인장시험기(쯔윅/로엘사)로 상온(대략 25~30℃)에서 40mm/min의 속도로 항복강도(YS)와 인장강도(TS)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인장시편과 동일한 시편에 대해 미세조직을 측정하였으며, 이미지 분석기(image analyzer, 올림프스사)로 측정하여 상(phase)의 종류를 확인하였다.
이후, 각각의 선재를 직경 4mm가 되도록 인발하였다. 이때, 800~1250℃에서 열처리하는 공정을 수반하며, 필요에 따라 수소가 함유된 환원성 분위기 환경 하에서 인발을 행하였다.
상기 인발을 완료한 선재를 용접봉으로 하여, 고망간 강(피용접재, 중량% 0.4%C-24%Mn-0.3%Si-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을 3.0kJ/mm의 입열량으로 서브머지드아크 용접을 실시하였으며, 용착금속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용착금속의 강도 특성은 용접선 방향으로 중심부를 따라 봉상형으로 인장시편을 채취한 후, 인장시험기(쯔윅/로엘사)로 상온(대략 25~30℃)에서 40mm/min의 속도로 항복강도(YS)와 인장강도(TS)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인장시편과 동일한 시편에 대해 미세조직을 측정하였으며, 이미지 분석기(image analyzer, 올림프스사)로 측정하여 상(phase)의 종류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용착금속의 충격 특성은 용접선 방향의 수직으로 용착금속의 중심부에서 표준시험편(KS B0809V 노치 시험편)으로 채취한 후, 샤르피 충격시험기를 이용하여 -196℃에서 측정하였다.
각각의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합금조성 (중량%) 관계식
C Mn Si N P S Ni Cr Mo V 1 2
비교예1 0.26 15.10 0.14 0 0.0127 0.0050 0.34 1.29 0.52 0 19.54 4.01
비교예2 0.25 15.20 0.15 0 0.0120 0.0051 0.33 2.07 0 0 19.48 4.03
비교예3 0.25 15.90 0.14 0 0.0110 0.0047 1.22 0.48 0 0 21.60 1.43
비교예4 0.26 14.90 0.12 0 0.0128 0.0044 1.06 1.38 0.47 0 20.50 3.95
비교예5 0.25 16.30 0.16 0 0.0118 0.0048 1.98 0.62 0 0 23.22 1.48
비교예6 0.10 15.75 0.56 0 0.0070 0.0110 3.70 1.21 0.03 0 23.17 0.71
비교예7 0.25 15.70 0.20 0 0.0118 0.0064 1.99 0.59 0 0 22.63 1.50
비교예8 0.09 16.37 0.37 0 0.0040 0.0140 2.99 1.28 0.04 0 22.50 0.78
비교예9 0.20 20.90 0.21 0 0.0120 0.0080 3.98 0 0 0 30.27 -0.73
비교예10 0.20 21.10 0.22 0 0.0110 0.0090 3.01 0 0 0 28.92 -0.59
비교예11 0.09 21.46 0.29 0 0.0030 0.0130 3.31 0.57 0.03 0 28.10 -0.86
비교예12 0.01 32.32 0.26 0 0.0120 0.0100 0 0 0 0 32.47 -3.13
발명예 1 0.56 20.82 0.05 0 0 0 0 0 0 0 29.22 3.52
발명예2 0.13 18.93 0.66 0 0.0090 0.0090 2.85 0.98 0.65 0 25.44 1.72
발명예3 0.19 21.70 0.43 0 0.0100 0.0060 3.17 1.30 0.53 0 29.62 2.23
발명예4 0.78 18.72 0.50 0 0.0145 0.0021 7.68 1.63 0.01 0 42.71 7.16
발명예5 0.19 20.20 0.47 0 0.0090 0.0045 3.23 1.07 0.54 0 28.22 2.05
발명예6 0.36 21.50 0.45 0 0.0170 0.0040 0.02 2.95 0.64 0 26.93 7.15
발명예7 0.05 22.22 0.29 0 0.0089 0.0060 2.09 2.06 1.01 0.22 26.31 3.38
발명예8 0.37 22.06 0.29 0 0.0025 0.0070 2.07 3.05 1.00 0 30.92 7.74
발명예9 0.10 23.75 0.30 0 0.0025 0.0080 2.08 2.06 1.02 0 28.58 3.42
발명예10 0.15 24.77 0.29 0.05 0.0082 0.0090 2.04 1.98 1.02 0.20 31.03 4.51
발명예11 0.15 24.00 0.29 0.10 0.0085 0.0090 2.05 3.01 1.00 0 31.03 6.30
발명예12 0.25 24.22 0.30 0 0.0024 0.0090 2.06 3.06 1.02 0.16 31.27 6.62
발명예13 0.31 30.93 0.34 0 0.0170 0.0060 0 0 3.01 0 35.58 6.03
발명예14 0.22 19.90 0.20 0 0.0110 0.0090 2.89 1.40 0.70 0 27.82 3.25
구분 선재 및 용접부
미세조직
선재 용접부
항복강도
(MPa)
인장강도
(MPa)
충격인성
(J)
항복강도
(MPa)
인장강도
(MPa)
비교예 1 α'+γ 172 611 5 183 579
비교예 2 α'+γ 168 468 8 183 452
비교예 3 α'+γ 192 630 8 196 579
비교예 4 α'+γ 191 635 9 206 579
비교예 5 α'+γ 233 670 13 257 625
비교예 6 α'+γ 359 646 16 395 613
비교예 7 α'+γ 242 713 17 260 651
비교예 8 α'+γ 365 566 24 384 566
비교예 9 γ 330 673 44 352 653
비교예 10 γ 339 687 39 366 648
비교예 11 γ 357 642 53 372 607
비교예 12 γ 325 541 57 331 517
발명예 1 γ 409 697 38 420 682
발명예 2 γ 389 720 60 412 680
발명예 3 γ 403 743 52 432 702
발명예 4 γ 404 766 30 433 742
발명예 5 γ 404 718 57 423 702
발명예 6 γ 428 784 57 437 715
발명예 7 γ 432 722 90 432 713
발명예 8 γ 434 827 98 463 762
발명예 9 γ 414 785 98 425 715
발명예 10 γ 437 771 97 452 715
발명예 11 γ 404 798 97 442 732
발명예 12 γ 435 753 97 449 745
발명예 13 γ 407 764 118 435 715
발명예 14 γ 427 689 53 432 683
(표 2에서 α'는 알파프라임 마르텐사이트, γ는 오스테나이트 상을 의미한다.)
상기 표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합금성분계 내에서 [관계식 1] 및 [관계식 2]를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14는 선재뿐만 아니라 용접 후 용접부 조직이 모두 오스테나이트 단상 조직으로 형성되며, 인발 가공에 유리한 수준의 강도(인장강도 850MPa 미만)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술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선재(발명예 1 내지 14)는 모두 30% 이상의 연신율을 가짐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선재를 인발한 후 용접봉으로 사용하여 용접하는 경우, 극저온 충격인성 및 상온 강도가 우수한 용접부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다른 발명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Mn 함량이 낮으면서 C 함량이 높은 발명예 4의 경우에는 용접부의 충격인성이 30J로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요구되는 물성을 상회하는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탄소(C)가 망간(Mn)에 고용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선재 내 망간(Mn) 함량이 낮은 경우 전량 고용되지 못하고 일부 탄화물로 존재함에 기인하는 것이라 예측된다.
반면, 망간(Mn)의 함량이 18% 미만이고, [관계식 1]의 값이 24 미만인 비교예 1 내지 8은 [관계식 2]의 값이 0 이상이더라도 조직적으로 일부 마르텐사이트 상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접시 극저온 충격인성이 27J 미만이고, 상온 강도도 목표하는 바를 만족하지 못하는 용접부가 형성되었다. 이는, 상온 인장시험시 마르텐사이트 조직에서 우선적으로 파단되어 강도가 열화된 결과를 보인 것이다.
한편, 망간(Mn)을 18% 이상으로 함유하는 비교예 9 내지 12는 조직적으로 오스테나이트 단상 조직이 형성됨에 따라, 극저온 충격인성이 27J 이상인 용접부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 모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관계식 2]의 값이 0 미만으로 나타나, 용접부 상온 강도가 열위함을 보였다.
도 2는 발명예 7과 비교예 1에 해당하는 선재를 이용하여 용접한 후 형성된 용접부의 미세조직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서, 비교예 1(하)은 오스테나이트 상과 마르텐사이트 상이 혼합하여 형성된 반면, 발명예 7(상)은 오스테나이 단상 조직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이는 검정색의 점 형태는 용접시 생성된 산화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관계식 1]과 용접부의 극저온 충격인성 간의 관계를 그래프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한된 합금성분계에서 상기 [관계식 1]의 값이 25 이상인 경우에만 -196℃에서 극저온 충격인성이 27J 이상인 용접부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관계식 2]와 용접부의 상온 강도 간의 관계를 그래프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한한 합금성분계에서 상기 [관계식 1]의 값이 0 이상인 경우에만 항복강도가 400MPa 이상이면서, 인장강도가 660MPa 이상인 용접부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본 발명에서 제한하는 합금성분계 즉, 일정량의 탄소, 망간 등을 함유하는 선재를 용접봉용으로 적합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관계식 1], 나아가 [관계식 2]를 만족하여야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불어, 기존 용접봉용 선재 제작을 위해 주로 사용해 온 고가의 원소들을 크게 줄임으로써, 저비용으로 용접봉용 소재로서 요구되는 물성을 가지는 선재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중량%로, 탄소(C): 0.05~0.8%, 망간(Mn): 18~31%, 실리콘(Si): 0.05~0.7%, 질소(N): 0.15% 이하, 인(P): 0.02% 이하, 황(S): 0.01% 이하,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니켈(Ni): 3.23% 이하, 크롬(Cr): 3.5% 이하, 몰리브덴(Mo): 3.5% 이하 및 바나듐(V): 0.3% 이하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 1 및 관계식 2를 만족하는 용접봉용 선재.

    [관계식 1] Mn + 1.6Ni + 15(C+N) ≥ 24
    [관계식 2] 10(C+N) + 1.5Cr + 2Mo + 1.5V - 0.1Mn - 0.16Ni ≥ 0
    (관계식 1 및 2에서 각 원소는 중량함량을 의미한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미세조직으로 오스테나이트 단상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용접봉용 선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상온 인장강도가 850MPa 미만인 용접봉용 선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를 이용하여 용접시 상온 항복강도가 400MPa 이상, 상온 인장강도가 660MPa 이상인 용접부를 형성하는 것인 용접봉용 선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를 이용하여 용접시 -196℃에서 샤르피 충격인성이 27J 이상인 용접부를 형성하는 것인 용접봉용 선재.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서브머지드 아크용접(SAW), 수동용접(SMAW), 텅스텐 아크용접(GTAW) 및 가스메탈 아크용접(GMAW) 중 어느 하나인 용접봉용 선재.
  8. 중량%로, 탄소(C): 0.05~0.8%, 망간(Mn): 18~31%, 실리콘(Si): 0.05~0.7%, 질소(N): 0.15% 이하, 인(P): 0.02% 이하, 황(S): 0.01% 이하,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니켈(Ni): 3.23% 이하, 크롬(Cr): 3.5% 이하, 몰리브덴(Mo): 3.5% 이하 및 바나듐(V): 0.3% 이하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고, 하기 관계식 1 및 관계식 2를 만족하는 강편 또는 잉곳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강편 또는 잉곳을 800~1250℃의 온도범위에서 열처리한 후 빌렛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빌렛을 800~1250℃의 온도범위에서 선재압연하여 선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접봉용 선재의 제조방법.

    [관계식 1] Mn + 1.6Ni + 15(C+N) ≥ 24
    [관계식 2] 10(C+N) + 1.5Cr + 2Mo + 1.5V - 0.1Mn - 0.16Ni ≥ 0
    (관계식 1 및 2에서 각 원소는 중량함량을 의미한다.)
  9. 삭제
KR1020190128586A 2019-10-16 2019-10-16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1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586A KR102321317B1 (ko) 2019-10-16 2019-10-16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20877049.5A EP4046743A4 (en) 2019-10-16 2020-10-06 WIRE ROD FOR WELDING RODS AND METHOD OF MAKING IT
JP2022522588A JP7478821B2 (ja) 2019-10-16 2020-10-06 溶接棒用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17/765,777 US20220371131A1 (en) 2019-10-16 2020-10-06 Wire rod for welding rod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20/013581 WO2021075777A1 (ko) 2019-10-16 2020-10-06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202080071743.1A CN114555283A (zh) 2019-10-16 2020-10-06 焊条用线材和用于制造其的方法
CA3152469A CA3152469A1 (en) 2019-10-16 2020-10-06 Wire rod for welding rod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586A KR102321317B1 (ko) 2019-10-16 2019-10-16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165A KR20210045165A (ko) 2021-04-26
KR102321317B1 true KR102321317B1 (ko) 2021-11-02

Family

ID=7553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586A KR102321317B1 (ko) 2019-10-16 2019-10-16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71131A1 (ko)
EP (1) EP4046743A4 (ko)
JP (1) JP7478821B2 (ko)
KR (1) KR102321317B1 (ko)
CN (1) CN114555283A (ko)
CA (1) CA3152469A1 (ko)
WO (1) WO2021075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7521B1 (ja) * 2021-08-31 2023-05-0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6516A (en) * 1978-12-26 1981-03-17 Nippon Kokan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nufacturing non-magnetic Fe-Mn steels having low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and high yield points
JPS5659597A (en) * 1979-10-19 1981-05-23 Daido Steel Co Ltd Filler metal for high-manganese, nonmagnetic steel
KR100910494B1 (ko) * 2007-12-26 2009-07-31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봉용 선재의 제조방법
KR101060785B1 (ko) * 2008-12-03 2011-08-30 주식회사 포스코 열처리 생략이 가능한 600MPa급 특수용접봉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
CN103260817B (zh) 2010-12-22 2016-02-17 株式会社神户制钢所 实芯焊丝和焊接金属
CN102649202B (zh) * 2011-02-23 2015-06-17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不锈钢焊丝
KR101304657B1 (ko) * 2011-06-30 2013-09-05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
JP5469648B2 (ja) 2011-11-10 2014-04-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極低温用鋼用溶接材料
CA2947569C (en) * 2012-11-22 2017-05-16 Posco A flux cored arc welding material
KR20150066372A (ko) * 2013-12-06 2015-06-16 주식회사 포스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서브머지드아크용접 및 가스금속아크용접용 용접재료
KR101536471B1 (ko) * 2013-12-24 2015-07-13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용접구조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607819B (zh) * 2014-11-27 2017-10-3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气体保护焊丝及其制造方法
KR101657825B1 (ko) * 2014-12-24 2016-09-20 주식회사 포스코 고망간강용 tig 용접 재료
EP3037205B1 (en) * 2014-12-25 2018-06-27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Wire for gas shield arc welding
KR101568642B1 (ko) * 2015-09-07 2015-11-12 주식회사 포스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서브머지드아크용접 및 가스금속아크용접용 용접재료
US10493569B2 (en) * 2016-05-02 2019-12-03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Field girth welding technology for high manganese steel slurry pipelines
KR101879068B1 (ko) * 2016-12-13 2018-07-16 주식회사 포스코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4860A (ko) * 2016-12-23 2018-07-04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인성 및 강도가 우수한 용접이음부
KR20190050926A (ko) * 2017-12-26 2019-05-14 주식회사 포스코 고망간강을 이용한 슬러리 파이프 제조방법
KR20210143296A (ko) 2019-03-29 2021-11-26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Tig 용접용 용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165A (ko) 2021-04-26
CN114555283A (zh) 2022-05-27
EP4046743A4 (en) 2023-04-19
JP7478821B2 (ja) 2024-05-07
US20220371131A1 (en) 2022-11-24
CA3152469A1 (en) 2021-04-22
JP2022552353A (ja) 2022-12-15
EP4046743A1 (en) 2022-08-24
WO2021075777A1 (ko)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7832B2 (ja) 溶接熱影響部の低温靭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76348B2 (ja) 衝撃靱性に優れた超高強度ガスメタルアーク溶接継手
JP2016074936A (ja) 鉄筋用線材又は棒鋼、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2237487B1 (ko)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1317B1 (ko) 용접봉용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5028761B2 (ja) 高強度溶接鋼管の製造方法
KR20210124464A (ko) 고Cr 페라이트계 내열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JP4924047B2 (ja) 表面残留応力の絶対値が150N/mm2以下の耐疲労亀裂伝播特性に優れた鋼材の製造方法
JP4923968B2 (ja) 耐疲労亀裂伝播特性に優れた鋼材
JP5360185B2 (ja) 耐疲労亀裂伝播特性に優れた鋼材の製造方法
KR101911898B1 (ko) 고온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고망간강 용접이음부
JPWO2018066573A1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合金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接継手
KR20150074936A (ko) 가스메탈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JP6153747B2 (ja) 構造用高強度鋳鋼材
KR20160080096A (ko) 초고강도 가스 메탈 아크 용접금속부
JP2017202495A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鋼用溶接材料
JP2011190480A (ja) 溶接熱影響部の靭性に優れた鋼板
JP6455533B2 (ja) 大入熱溶接熱影響部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21528A (ko) 내응력 제거 소둔 특성과 저온 이음새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JP4828284B2 (ja) 溶接性と溶接熱影響部靱性の優れた60キロ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39167B1 (ko) 형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8267B1 (ko) 극저온용 고Mn강 플라즈마용접용 용접재료
JP2974846B2 (ja) 低温用構造用鋼
JPS6293312A (ja) 応力除去焼鈍用高張力鋼材の製造方法
JP6566166B1 (ja) 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