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716B1 - 주상변압기 - Google Patents

주상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716B1
KR102319716B1 KR1020210070575A KR20210070575A KR102319716B1 KR 102319716 B1 KR102319716 B1 KR 102319716B1 KR 1020210070575 A KR1020210070575 A KR 1020210070575A KR 20210070575 A KR20210070575 A KR 20210070575A KR 102319716 B1 KR102319716 B1 KR 102319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shielding plate
power conversion
bushing
pressure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림테크
Priority to KR1020210070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2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mounted on pole, e.g. pole transformer sub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전력 변환설비가 수납되는 외함; 상기 외함 상부에 배치되어 고전압이 인입되는 고압부싱; 상기 고압부싱으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변압하여 출력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저압부싱; 및 상기 저압부싱과 외함의 내부 또는 상기 저압부싱과 외함의 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저압부싱의 주변에서 전력 변환설비와 외함 사이의 전력 변환 손실을 차폐하는 차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상변압기{A pole transformer}
본 발명은 주상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변압 과정에서 전력 손실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상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교류의 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변화시키는 장치로서, 트랜스라고도 하며 대개 전압을 필요한 값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기본 구조는 철심의 양쪽에 코일을 감아서 1차 권선과 2차 권선으로 구분하고, 철심은 자속의 통로로 사용되며, 1차권선에 교류전원을 접속하면 전류가 흐르고 철심에는 교번자속(交番磁束)이 발생한다. 이 자속은 2차권선과 쇄교(鎖交)하고 또한 교류전류의 주파수에 따라서 교번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2차권선에 전압이 발생하며, 1차 및 2차 권선된 코일에 따라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변압기는 전력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권선의 재질, 종류, 단면적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전력 변환에 따른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데, 크게 무부하손과 부하손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무부하손은 히스테리시스손(hysteresis loss)과 와류손(eddy current loss)으로 분류되는데, 히스테리시스손은 변압기의 교번전류가 철심에 교번 자계를 유기시킬 때 자계의 교번이 일어나는 관성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력이다. 히스테리시스손의 크기는 철심의 재료, 전류 주파수, 철심의 자속밀도 등에 관련한다. 또한 와류손은 교번자계에 의해서 철심에 유기되는 와전류(渦流損)에 의해 줄열의 형태로 소모되는 에너지이다. 와류손의 크기는 철심의 재료, 주파수, 자속 밀도, 철심두께 등에 관련한다.
또한 부하손은 동손(Copper loss)과 표류부하손(Stray load loss)으로 분류되는데, 동손은 권선의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줄 손(Joule loss)이고, 표류부하손은 철심과 권선의 누설 자속이 외함이나 외부 도체 등과 쇄교하여 발생하는 와류손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압기의 손실 중 표류부하손은 정확한 발생 원인이나 손실 감소 대책이 미비한 실정이기 때문에 이에 따른 원인 규명과 손실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12714호(2008.03.0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변압기의 외함과 저압부싱이 인접한 영역의 표류부하손과, 코아과 외함 사이의 영역을 통한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주상변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전력 변환설비가 수납되는 외함; 상기 외함 상부에 배치되어 고전압이 인입되는 고압부싱; 상기 고압부싱으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변압하여 출력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저압부싱; 및 상기 저압부싱과 외함의 내부 또는 상기 저압부싱과 외함의 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저압부싱의 주변에서 전력 변환설비와 외함 사이의 전력 변환 손실을 차폐하는 차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를 제공한다.
각 상기 저압부싱은 상기 외함의 외부에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일 단부가 상기 외함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단자와, 상기 외함과 단자 사이를 절연시키는 외부애관과, 상기 외함 내부에서 상기 외부애관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내부애관과, 상기 단자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외함 상에 저압부싱을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는 일 측 외부애관과 외함 사이에 개재되는 제1외부 차폐판과, 타 측 외부애관과 외함 사이에 개재되는 제2외부 차폐판과, 상기 제1외부 차폐판과 제2외부 차폐판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3외부 차폐판을 포함하는 외부 차폐부와, 일 측 내부애관과 외함 사이에 개재되는 제1내부 차폐판과, 타 측 외부애관과 외함 사이에 개재되는 제2내부 차폐판과, 상기 제1내부 차폐판과 제2내부 차폐판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3내부 차폐판을 포함하는 내부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구리, 고망간 스틸을 일 군으로 하는 비자성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폐부는 한 쌍의 상기 저압 부싱을 모두 커버하며, 적어도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외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레이어와, 상기 제1레이어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2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에 의하면,
첫째, 주상변압기의 저압 부싱 주변에서 대부분의 표류부하손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표류부하손 저감 방안을 모색할 수 있고,
둘째, 간단한 구조 개선을 통하여 표류부하손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력 변환에 따른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상변압기가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주상변압기의 측면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주상변압기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주상변압기의 저압 부싱과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폐부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에 대해서 표류부하손에 따른 수치해석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에 대해서 표류부하손에 따른 수치해석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일반적인 변압기의 저압 부싱 주변에서 발생한 표류부하손에 따른 수치해석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상변압기가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주상변압기의 측면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주상변압기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주상변압기의 저압 부싱과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폐부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주상변압기(Pole transformer)(100)는 전력 계통에 구성되어 변전소로부터 전압을 인가 받아 승압 또는 감압을 통해 수용가까지 전력을 송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주상변압기는 안정적인 운용을 위하여 외부 요인에 의해 흔들림이 없도록 단단하게 설치 고정되고, 이러한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주상변압기(100)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미도시)로 이루어진 트랜스코일(미도시)과 트랜스코일의 상호 유도작용의 원활함을 위한 계자철심과 같은 전력 변환설비(미도시)와, 전력 변환설비를 내부에 수납하는 외함 본체(110)와, 외함 본체(110) 일 측(도 1에서 상부)에 배치된 고압부싱(120)과, 저압부싱(130), 저압부싱(130) 주변에 구비되는 차폐부(140) 및 외함(110) 내부를 방열하는 방열판(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절연유가 채워지는 주상변압기(100)에 적용된 경우 방열판(150)이 구비될 수 있으나, 용량에 따라서 또는 종류에 따라서 방열판(150)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외함(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 내부에 전력 변환설비가 설치된다. 외함(110)의 외부에는 전력 변환설비와 연결된 고압부싱(120) 및 저압부싱(130)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함(110)과 전력 변환설비 사이에는 수용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돌출되어 외함(11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 프레임 또는 패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외함(110) 상에서 고압 부싱(120)은 상부에 배치되고, 저압 부싱(130)은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압 부싱(120)과 저압 부싱(13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로변에 설치된 주상 변압기(100)는 전주(Pole)(10) 상에 설치되며 고압 간선에서 분기 선을 통해 고압 부싱(120)에 연결되고, 전력 변환설비에서 변압되어 저압 부싱(130)을 통해서 수요처로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주로 고압의 배전선로에 인가된 전압을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전압으로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고, 고압 배전선로에 인가되는 전압은 주로 6,600V 에서 저압 배전 전압은 220V(삼상3선)가 일반적이다.
그리고 용량이 큰 변압기의 경우, 전력 변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방열구조가 추가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차폐부(140)는 외함(110) 상에서 저압 부싱(130) 주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폐부(140)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 부싱(130)은 좌측 저압부싱(130a)과 우측 저압부싱(130b)를 포함하며, 각 저압 부싱(130a, 130b)은 단자(131a, 131b), 외부애관(132a, 132b), 내부애관(133a, 133b) 및 너트(134a, 13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좌측 저압부싱(130a)과 우측 저압부싱(130b)가 동일 구조를 가지며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좌측 저압부싱(130a)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단자(131a)는 대략 “T”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부가 외함(110)의 외부에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외함(110)의 관통홀(미도시)을 관통하여 내부에 배치된다. 관통홀 내부에는 단자(131a)와 외함(110)을 절연시키는 절연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단자(131a)의 나머지 일부의 단부에는 너트(134a)가 체결되면서 외함(110)의 관통홀을 중심으로 고정된다.
외부애관(132a)과 내부애관(133a)은 각각 외함(110)을 향하여 외경이 증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애관(132a)과 내부애관(133a)은 외주면에 주름이 형성되면서 애자(미도시)와 같은 절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외부애관(132a)과 내부애관(133a)은 단자(131a)의 결합방향을 따라서 내부가 중공의 구조를 가지며, 이 내부 중공 영역에 단자(131a)가 삽입되어 단자(131a)와 함께 외함(110)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차폐부(140)는 외부 차폐부(141)와 내부 차폐부(142)를 포함한다.
차폐부(140)는 외함(110) 내부의 전력 변환설비와 외함(110) 사이에서 손실이 발생하는데 기인하여, 외함(110)을 기준으로 단자들(131a, 131b)의 외부 및 내부에 차폐부(140)를 구비함으로써 표류부하손에 따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먼저, 외부 차폐부(141)는 일 측 외부애관(132a)과 외함(110) 사이에 개재되는 제1외부 차폐판(도 4 참조, 141a)과, 타 측 외부애관(132b)과 외함(110) 사이에 개재되는 제2외부 차폐판(도 4 참조, 141c)과, 제1외부 차폐판(141a)과 제2외부 차폐판(141c)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3외부 차폐판(141b)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 차폐부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 차폐부와 동일하게, 일 측 내부애관과 외함 사이에 개재되는 제1내부 차폐판과, 타 측 외부애관과 외함 사이에 개재되는 제2내부 차폐판과, 제1내부 차폐판과 제2내부 차폐판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3내부 차폐판을 포함한다.
외부 차폐부(141)와 내부 차폐부(142)는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외함(110)의 외부와 내부에 각각 외부 차폐부(141)와 내부 차폐부(142)가 구비된 것을 설명한다.
차폐부(140)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구리, 고망간 스틸을 일 군으로 하는 비자성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차폐부(140)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면서 저압부싱(13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 측의 저압부싱(130a)과 타 측의 저압부싱(130b) 주변 및 그 사이에서 표류부하손이 발생하는 것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폐부는 외부 차폐부와 내부 차폐부를 포함하고, 이들은 서로 동일 형상 및 동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 차폐부(141, 241, 341, 44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내부 차폐부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와 같이 외부 차폐부(141)는 일 측의 저압부싱(130a)과 외함(110) 사이에 배치되는 제1외부 차폐판(141a)와, 타 측의 저압부싱(130b)과 외함(110)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외부 차폐판(141c)과, 제1외부 차폐판(141a)과 제2외부 차폐판(141c)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3외부 차폐판(141b)을 포함한다. 제1외부 차폐판(141a) 내지 제3외부 차폐판(141b)은 대략 아령(운동기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3외부 차폐판(141b)은 제1외부 차폐판(141a) 및 제2외부 차폐판(141c)에 비하여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b는 대략 사각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부 차폐부(241)의 구조가 도시된다. 외부 차폐부(241)는 일 측 저압부싱(130a)과 타 측 저압부싱(130b) 주변을 사각 형상으로 차폐하도록 배치된다.
도 4c는 타원 형상의 외부 차폐부(341) 구조를 도시한다. 물론, 원형의 구조로 외부 차폐부(341)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부 차폐부(142) 역시 앞서 실시예 별로 설명한 아령 형상, 사각형상, 타원 형상의 구조 이외에 적어도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d는 원형의 외부 차폐부(441) 구조를 도시한다. 원형의 외부 차폐부(441a, 441b)는 각각 일 측 저압부싱(130a)과 타 측 저압부싱(130b)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동심원이 형성되며, 각 저압부싱(130a, 130b)들에 결합된 원형의 외부 차폐부(441a, 441b)는 서로 인접한 부분이 연결된 하나의 차폐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원형의 외부 차폐부(441a, 441b)는 좌측 과 우측의 외부 차폐부(41a, 441b)가 인접한 영역에서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차폐부의 구조는 외함(110)을 기준으로 내부와 외부에 동일 형상의 차폐부가 구비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형상의 차폐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부 차폐부(142)는 적어도 둘 이상의 레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레이어(142a)와 제2레이어(142b)는 서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나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레이어(142a)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비자성체 구조이고, 제2레이어(142b)는 고망간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비자성체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외함(1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레이어(142a) 보다 제2레이어(142b)가 보다 내식성 및 열 전도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차폐부가 복수의 레이어 구조를 취하면, 표류부하손에 의한 손실을 보다 확실하게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도 4(a) 관련)에 따른 차폐부에 대해서 표류부하손에 따른 수치해석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4(a)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주상변압기는 저압부싱(130a, 130b)과 외함(110) 사이에 각각 제1외부 차폐판(141a)과 제2외부 차폐판(141c)이 마련되고, 이들 사이에 제3외부 차폐판(141b)이 마련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도 6(a)를 살펴보면,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저압 부싱(130a, 130b) 주변이 저압 부싱(130a, 130b)과 먼 영역에 비해 비교적 표류부하손이 크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도 8a 및 8b는 차폐부가 구비되지 않은 일반적인 주상변압기의 표류부하손에 따른 수치해석을 나타내며, 도 4a와 비교했을 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상변압기는 일반적인 주상변압기에 비하여 차폐부(140)을 통해서 약 80% 이상의 표류부하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상변압기는 표류부하손이 1.37W로 측정되었고, 일반적인 주상변압기는 약 10.44W로 측정되었다. 즉, 한 쌍의 저압 부싱(130a, 130b) 사이 영역에서 상당한 양의 표류부하손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에 대해서 표류부하손에 따른 수치해석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4(b) 및 도 7을 살펴보면, 제2실시예에 따른 주상변압기는 외함(110)의 외부와 내부에서 각각 한 쌍의 저압 부싱(130a, 130b)과 접촉하는 면 사이에 사각 형상의 차폐부(241)가 마련된 구조를 나타낸다.
한 쌍의 저압 부싱(130a, 130b) 주변에서 차폐부(241)에 의해 표류부하손이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과 비교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주상변압기는 저압 부싱(130a, 130b) 주변의 표류부하손이 0.15W로 측정되었고, 일반적인 주상변압기는 저압 부싱(130a, 130b) 주변의 표류부하손이 약 10.44W로 측정되었다. 즉, 일반적인 변압기에 비하여 차폐부(241)를 통해서 약 98% 정도의 표류부하손을 감소시킬 수 있어, 표류부하손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도 4(c)와 관련한 제3실시예의 수치해석은 첨부하지 않았지만, 저압 부싱 주변에서 타원형의 차폐부(341)를 구비한 구조는 제2실시예의 차폐부(241)과 비슷한 수준의 표류부하손 저감 효과를 기대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에 의하면, 첫째, 주상변압기의 저압 부싱 주변에서 대부분의 표류부하손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표류부하손 저감 방안을 모색할 수 있고, 둘째, 간단한 구조 개선을 통하여 표류부하손을 감소시킴으로써, 전력 변환에 따른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주상변압기
110: 외함
120: 고압부싱
130: 저압부싱
140: 차폐부
141: 외부 차폐부
142: 내부 차폐부

Claims (6)

  1. 내부에 전력 변환설비가 수납되는 외함;
    상기 외함 상부에 배치되어 전력 변환 설비에 연결되고 고전압이 인입되는 고압부싱;
    상기 고압부싱으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변압하여 출력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외함의 외부에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T”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단부가 외함(110)의 외부에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외함(110)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 내부에는 단자(131a)와 외함(110)을 절연시키는 절연부재가 구비되는 단자와, 상기 외함과 단자 사이를 절연시키는 것으로 외함(110)을 향하여 외경이 증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애관과, 상기 외함 내부에서 외함(110)을 향하여 외경이 증가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애관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내부애관과, 상기 단자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외함 상에 저압부싱을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저압부싱; 및
    상기 저압부싱과 외함의 내부 또는 상기 저압부싱과 외함의 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저압부싱의 주변에서 전력 변환설비와 외함 사이의 전력 변환 손실을 차폐하는 것으로 일 측 외부애관과 외함 사이에 개재되는 제1외부 차폐판과, 타 측 외부애관과 외함 사이에 개재되는 제2외부 차폐판과, 상기 제1외부 차폐판과 제2외부 차폐판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3외부 차폐판을 포함하는 타원 형상의 외부 차폐부와, 일 측 내부애관과 외함 사이에 개재되는 제1내부 차폐판과, 타 측 외부애관과 외함 사이에 개재되는 제2내부 차폐판과, 상기 제1내부 차폐판과 제2내부 차폐판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3내부 차폐판을 포함하는 타원 형상의 내부 차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차폐부는 제1레이어(142a)와 제2레이어(142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레이어(142a)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비자성체 구조이고, 상기 제2레이어(142b)는 고망간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비자성체 구조로 이루어진 차폐부;
    및 외함(110) 내부를 방열하는 방열판(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70575A 2021-06-01 2021-06-01 주상변압기 KR102319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575A KR102319716B1 (ko) 2021-06-01 2021-06-01 주상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575A KR102319716B1 (ko) 2021-06-01 2021-06-01 주상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716B1 true KR102319716B1 (ko) 2021-11-03

Family

ID=7850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575A KR102319716B1 (ko) 2021-06-01 2021-06-01 주상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976B1 (ko) 2023-02-24 2023-04-19 한국에너지산업기술 주식회사 변압기 외함용 뚜껑 클램프 보호커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4905A (ja) * 2006-06-26 2008-01-10 Mitsumi Electric Co Ltd トランス
KR100812714B1 (ko) 2007-02-27 2008-03-12 남도전기공업 (주)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
KR101229631B1 (ko) * 2011-10-31 2013-02-04 김은희 표류 부하손을 절감하는 자기차폐형 변압기
KR101698507B1 (ko) * 2016-08-04 2017-01-20 남도전기공업 (주) 오조립 편심 방지와 파손방지 및 센터링 확보 구조를 갖는 부싱용 패킹구조
KR102149293B1 (ko) * 2020-06-09 2020-08-28 산일전기 주식회사 변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4905A (ja) * 2006-06-26 2008-01-10 Mitsumi Electric Co Ltd トランス
KR100812714B1 (ko) 2007-02-27 2008-03-12 남도전기공업 (주) 주상변압기용 저압부싱
KR101229631B1 (ko) * 2011-10-31 2013-02-04 김은희 표류 부하손을 절감하는 자기차폐형 변압기
KR101698507B1 (ko) * 2016-08-04 2017-01-20 남도전기공업 (주) 오조립 편심 방지와 파손방지 및 센터링 확보 구조를 갖는 부싱용 패킹구조
KR102149293B1 (ko) * 2020-06-09 2020-08-28 산일전기 주식회사 변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976B1 (ko) 2023-02-24 2023-04-19 한국에너지산업기술 주식회사 변압기 외함용 뚜껑 클램프 보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7445C2 (ru) Ограничитель тока замыкания
JP6333525B2 (ja) リニア電磁装置
WO2012169325A1 (ja) 高周波トランス
US4897626A (en) Cooling electromagnetic devices
KR102319716B1 (ko) 주상변압기
US20190096567A1 (en) High-voltage transformer and electronic power apparatus
KR101198031B1 (ko) 다중의 독립형 자장공간을 가지는 전자장 차폐 변압기
US20210383961A1 (en) Transformer
EP2187408B1 (en) Iron core reactor
US6100781A (en) High leakage inductance transformer
Ram Loss and current distribution in foil windings of transformers
JP7029920B2 (ja) 変圧器
KR19980071129A (ko) 와전류 시일드장치 및 3상 변압기
KR101338905B1 (ko) 고주파 변압기
KR102555275B1 (ko) 변압장치용 철심구조
KR200486562Y1 (ko) 자속차폐판을 구비한 유입변압기
US11942254B2 (en) Transformer insulation modification
JP2001093749A (ja) 電気機器
KR101193408B1 (ko) 인버터용 변압기
RU2802752C1 (ru) Реактор заземления нейтрали со структурой усиления намагничивания
JP3327460B2 (ja) 変流器
JP7118294B2 (ja) 変圧器および電力変換装置
JP6674062B2 (ja) 三相リアクトル
US20220277881A1 (en) Transformer
TWI638371B (zh) Core joint construction of electromagnetic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