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217B1 - 중계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217B1
KR102318217B1 KR1020190131602A KR20190131602A KR102318217B1 KR 102318217 B1 KR102318217 B1 KR 102318217B1 KR 1020190131602 A KR1020190131602 A KR 1020190131602A KR 20190131602 A KR20190131602 A KR 20190131602A KR 102318217 B1 KR102318217 B1 KR 10231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cket
port number
internal
divi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701A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217B1/ko
Priority to ES20743947T priority patent/ES2964793T3/es
Priority to PCT/KR2020/006345 priority patent/WO2021080106A1/ko
Priority to US17/284,630 priority patent/US11689494B2/en
Priority to EP20743947.2A priority patent/EP3836518B1/en
Publication of KR20210047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17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port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21Translation architectures other than single NAT servers
    • H04L61/2525Translation at a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6NAT traversal
    • H04L61/2567NAT traversal for reachability, e.g. inquiring the address of a correspondent behind a NA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14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between local and globa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38Address allocation for local use, e.g. in LAN or USB networks, or in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무선유닛과 상기 무선유닛에 연결된 계층분할유닛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 포트 번호가 할당되는 상기 무선유닛과, 상기 고유 포트 번호를 목적 포트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고유 포트 번호가 식별하는 계층분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전달유닛과, 상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고유 포트 번호에 대응하는 무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상기 계층분할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중계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repeater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주소 포트 변환(NAPT: 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중계기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계기는 인-빌딩 서비스 제공을 위한 무선 장치이며, 기존 WCDMA, LTE 중계기는 기지국 채널을 중계기 정합 장치를 활용하여 RF 신호를 복사하고, 중계기가 복사한 RF 신호를 송출하는 구조이다. 종래에는 개별 LTE 중계기를 관제하기 위하여 별도 회선을 사용하여 LTE 중계기 EMS(Element Management System)인 REMS(Repeater EMS)와 중계기 간 연동하고, 이를 통해 LTE 중계기를 관제,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망 구성에서는 다수 중계기 운용에 다수의 IP 자원을 할당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111829호 2016년 09월 27일 공개 (명칭: 기지국 장비, 자원 관리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무선유닛 각각에 IP를 할당하지 않고도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통신할 수 있는 중계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무선유닛과 상기 무선유닛에 연결된 계층분할유닛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 포트 번호가 할당되는 무선유닛과, 상기 고유 포트 번호를 목적 포트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고유 포트 번호가 식별하는 계층분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전달유닛과, 상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고유 포트 번호에 대응하는 무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상기 계층분할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고유 포트 번호는 상기 계층분할유닛에 대응하는 셀 번호, 상기 계층분할유닛과 상기 무선유닛이 연결되는 내부 포트 번호 및 캐스캐이드 번호에 따라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유닛은 외부에 노출되는 대표 IP를 가지며, 상기 대표 IP를 목적 IP로 하고 상기 고유 포트 번호를 목적 포트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목적 IP의 대표 IP를 계층분할유닛의 내부 IP로 변경한 후, 상기 계층분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유닛은 상기 계층분할유닛과 실제 통신에 사용되는 내부 IP 및 내부 포트 번호를 가지며, 상기 계층분할유닛은 상기 전달유닛으로부터 상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패킷의 목적 IP 및 목적 포트를 상기 고유 포트 번호에 대응하는 무선유닛의 상기 내부 IP 및 상기 내부 포트 번호로 변경한 후, 상기 무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유닛이 소스 IP 및 소스 포트를 상기 계층분할유닛과 실제 통신에 사용되는 내부 IP 및 내부 포트 번호로 하는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전송하면, 상기 계층분할유닛은 상기 소스 포트를 상기 고유 포트 변호로 변경한 후, 상기 전달유닛으로 전달하고,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소스 IP를 대표 IP로 변경하여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전달유닛이 무선유닛과 상기 무선유닛에 연결된 계층분할유닛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 포트 번호를 목적 포트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전달유닛이 상기 고유 포트 번호가 식별하는 상기 계층분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계층분할유닛이 상기 고유 포트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유 포트 번호는 상기 계층분할유닛에 대응하는 셀 번호, 상기 계층분할유닛과 상기 무선유닛이 연결되는 내부 포트 번호 및 캐스캐이드 번호에 따라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달유닛이 외부에 노출되는 대표 IP를 목적 IP로 하고 상기 고유 포트 번호를 목적 포트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층분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 IP의 상기 대표 IP를 상기 계층분할유닛의 내부 IP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계층분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의 목적 IP 및 목적 포트를 상기 고유 포트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계층분할유닛과 상기 무선유닛 간에 실제 통신에 사용되는 내부 IP 및 내부 포트 번호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유닛이 소스 IP 및 소스 포트를 상기 계층분할유닛과 실제 통신에 사용되는 내부 IP 및 내부 포트 번호로 하는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계층분할유닛이 상기 패킷의 상기 소스 포트를 상기 고유 포트 변호로 변경한 후, 상기 패킷을 상기 전달유닛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전달유닛이 상기 패킷의 상기 소스 IP를 대표 IP로 변경하여 상기 패킷을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소포트변환 테이블을 통해 복수의 무선유닛 각각에 무선유닛과 그 무선유닛에 연결되는 계층분할유닛을 식별하는 고유 포트 번호를 할당하고, 전달유닛의 대표 IP 및 할당된 고유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중계장치의 외부에서의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한 주소로 사용한다. 또한, 중계장치 내부에서 고유 포트 번호에 대응하는 계층분할유닛의 내부 IP 및 무선유닛의 내부 IP 및 계층분할유닛과 무선유닛 간을 연결하는 내부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내부에서 패킷을 라우팅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하나의 IP, 즉, 대표 IP만을 사용하여 복수의 무선유닛을 구분하여 통신할 수 있어, IP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장치 역시, 하나의 IP와 고유 포트 번호를 통해 효율적으로 IP 자원을 사용할 수 있고, 무선유닛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주소포트변환(NAPT: 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데이터 수신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널 상태 정보 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주소포트변환(NAPT: 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는 관리서버(10) 및 중계장치(20)를 포함한다. 또한, 중계장치(20)는 전달유닛(100, DU_H: Distributed Unit Higher layer), 계층분할유닛(200, Layer Splitter) 및 무선유닛(300, DU_L: Distributed Unit Lower layer 또는 RRU: Radio Remote Unit)를 포함한다.
관리서버(10)는 중계장치(20)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관리서버(10)는 복수의 무선유닛(400) 각각을 구분하여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관리서버(10)는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gREMS(5g Repeater Element Management System),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서버(10)는 중계장치(20)와 네트워크주소포트변환 테이블을 참조로 통신할 수 있다. 도 2에 네트워크주소포트변환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네트워크주소포트변환 테이블은 기본적으로 무선유닛(300)을 다른 무선 유닛과 구분하여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 포트 번호를 할당한다. 도 2는 하나의 전달유닛(100)에 18개의 계층분할유닛(200)이 연결되고, 18개의 계층분할유닛(200) 각각에는 16개의 포트 각각에 4개의 캐스캐이드 연결을 통해 64개의 무선유닛(300)이 연결된 상태라고 가정한다.
네트워크주소포트변환 테이블은 계층분할유닛 테이블(A) 및 복수의 무선유닛 테이블(B)을 포함한다.
우선, 계층분할유닛(200)은 기지국의 셀 번호(1~18)에 대응하며, 계층분할유닛구분 테이블(A)은 셀 번호에 대응하는 계층분할유닛(200)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계층분할유닛구분 테이블(A)은 셀 번호(1~18)에 대응하는 계층분할유닛 인덱스(LS # 1~18)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무선유닛 테이블(B)은 계층분할유닛 인덱스(LS # 1~18) 각각에 대응한다. 복수의 무선유닛 테이블(B)은 계층분할유닛(200)에 연결된 무선유닛(300)에 대해 고유 포트 번호를 할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계층분할유닛(200) 각각에는 16개의 포트 각각에 4개의 캐스캐이드 연결을 통해 64개의 무선유닛(300)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고유 포트 번호는 계층분할유닛(200)을 구분하는 셀 번호(1~18), 계층분할유닛(200)에 연결된 무선유닛(300)의 포트 번호(1~16) 및 캐스캐이드 번호(RU1, RU2, RU3, RU4)에 따라 할당된다. 일례로, 첫번째 계층분할유닛(200)의 첫번째 포트의 첫번째 캐스캐이드에 연결된 무선유닛(300)의 고유 포트 번호는 "0x6000"(D1)이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첫번째 계층분할유닛(200)의 16번째 포트의 4번째 캐스캐이드에 연결된 무선유닛(300)의 고유 포트 번호는 "0x603F"(D2)이 할당될 수 있다.
관리서버(10) 및 중계장치(20)는 네트워크주소포트변환 테이블을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10)는 네트워크주소포트변환 테이블을 참조로 복수의 무선유닛(400) 각각을 구분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전달유닛(100)은 중계장치(20)의 외부의 엔티티, 즉, 관리서버(10)와 통신을 위해 대표 IP가 할당된다. 중계장치(20)는 전달유닛(100)의 대표 IP를 통해 중계장치(20) 외부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거나, 중계장치(20) 외부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전달유닛(100)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패킷 중 목적 IP가 대표 IP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달유닛(100)은 외부로 전송되는 패킷의 소스 IP를 대표 IP로 기록하여 전송한다.
한편, 계층분할유닛(200)은 내부 IP를 가진다. 이러한 내부 IP는 중계장치(20) 내부에서만 통용되는 IP이며, 이러한 내부 IP 사용을 통해 IP의 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유 포트 번호는 무선유닛(300)과 그 무선유닛(300)에 연결된 계층분할유닛(200)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달유닛(100)은 목적 IP가 대표 IP이고, 목적 포트가 고유 포트 번호인 패킷을 수신하면, 고유 포트 번호를 통해 대응하는 계층분할유닛(200)을 식별할 수 있다. 그러면, 전달유닛(100)은 목적 IP의 대표 IP를 식별된 계층분할유닛(200)의 내부 IP로 변경한 후, 그 패킷을 전송한다. 그러면, 해당 패킷은 목적 IP의 내부 IP에 따라 해당 계층분할유닛(200)으로 전송될 것이다.
또한, 무선유닛(300)은 계층분할유닛(200)과 실제 통신에 사용되는 내부 IP 및 내부 포트 번호가 할당된다. 즉, 무선유닛(300)은 계층분할유닛(200)과 연결 시, 실제 연결되어 계층분할유닛(200)과의 통신에 사용되는 내부 IP 및 내부 포트 번호를 할당 받는다. 이러한 내부 IP 및 내부 포트 번호는 중계장치(20) 내부에서만 통용되며, 이러한 내부 IP 및 내부 포트 번호의 사용에 따라 IP의 부족을 해소할 수 있다.
계층분할유닛(200)은 전달유닛(100)으로부터 목적 IP가 계층분할유닛(200) 자신의 내부 IP이고, 목적 포트가 고유 포트 번호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계층분할유닛(200)은 수신된 패킷에서 목적 포트의 고유 포트 번호를 통해 무선유닛(300)을 식별할 수 있다. 그러면, 계층분할유닛(200)은 목적 IP의 계층분할유닛(200) 내부 IP를 무선유닛(300)의 내부 IP로 변경하고, 목적 포트의 고유 포트 번호를 무선유닛(300)의 내부 포트 번호로 변경한다. 그런 다음, 계층분할유닛(200)은 목적 IP가 무선유닛(300)의 내부 IP이고, 목적 포트가 무선유닛(300)의 내부 포트 번호인 패킷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해당 무선유닛(300)은 목적 IP가 무선유닛(300)의 내부 IP이고, 목적 포트가 무선유닛(300)의 내부 포트 번호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유닛(300)은 소정 주기에 따라 관리서버(10)로 기지국 정보 및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모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 정보는 PCI(Physical Cell Identification), DU-ID(Distributed Unit Identification), Cell-ID, gNB-ID 등을 포함한다. 연결 정보는 계층분할유닛(200)과 무선유닛(300)이 연결된 포트를 나타내는 포트 정보, 무선유닛(300)이 배치된 홉을 나타내는 캐스캐이드(Cascade)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유닛(300)은 소스 IP가 무선유닛(300)의 내부 IP이고, 소스 포트가 내부 포트 번호이며, 목적 IP가 관리서버(10)의 IP이고, 목적 포트가 관리서버(10)의 포트인 헤더를 가지며, 페이로드에 모국 정보가 수납된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연결된 계층분할유닛(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계층분할유닛(200)은 네트워크주소포트변환 테이블을 참조하여 무선유닛(300)의 내부 IP 및 내부 포트 번호에 대응하는 고유 포트 번호를 도출하고, 패킷의 소스 포트 번호를 내부 포트 번호에서 고유 포트 번호로 변경하고, 패킷의 소스 IP를 무선유닛(300)의 내부 IP에서 계층분할유닛(200)의 내부 IP로 변경한다. 그런 다음, 패킷을 전달유닛(100)으로 전송한다.
전달유닛(100)은 패킷의 소스 IP를 계층분할유닛(200)의 내부 IP에서 대표 IP로 변경한다. 그런 다음, 소스 IP가 대표 IP이고, 소스 포트가 고유 포트 번호인 패킷을 전송한다. 그러면, 해당 패킷은 목적 IP 및 목적 포트에 따라 관리장치(10)로 전송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유닛(300) 각각에 무선유닛(300)과 그 무선유닛(300)에 연결되는 계층분할유닛(200)을 식별하는 고유 포트 번호를 할당하는 네트워크주소포트변환 테이블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중계장치(20)는 전달유닛(100)의 대표 IP 및 네트워크주소포트변환 테이블에 할당된 고유 포트 번호를 중계장치(20)의 외부에서의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한 주소로 사용한다. 또한, 중계장치(20)는 중계장치(20) 내부에서 고유 포트 번호에 대응하는 계층분할유닛(200)의 내부 IP 및 무선유닛(300)의 내부 IP 및 계층분할유닛(200)과 무선유닛(300) 간을 연결하는 내부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중계장치(20) 내부에서 패킷을 라우팅할 수 있다. 따라서 IP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하나의 IP, 즉, 대표 IP만을 사용하여 복수의 무선유닛(300)을 구분하여 통신할 수 있어, IP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장치(10) 역시, 하나의 IP와 고유 포트 번호를 통해 효율적으로 IP 자원을 사용할 수 있고, 복수의 무선유닛(300)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데이터 수신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관리서버(10)는 S110 단계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무선유닛(400)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한다. 패킷의 헤더에는 소스 IP, 소스 포트, 목적 IP 및 목적 포트가 기록된다. 이때, 관리장치(100)는 주소포트변환(NAPT: 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 테이블로부터 해당 무선유닛(400)의 고유 포트 번호를 추출한다. 예컨대,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무선유닛(400)가 첫번째 계층분할유닛(300 #1)에 연결된 첫번째 무선유닛(400 #1)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도 2의 주소포트변환 테이블를 참조하면, 해당 무선유닛(400 #1)의 고유 포트 번호는 0x6000(24576)이 된다. 또한, 해당 무선유닛(400 #1)에 연결된 전달유닛(100)의 대표 IP는 30.1.1.10이라고 가정한다. 관리장치(100)는 추출된 무선유닛(400)의 고유 포트 번호 0x6000(24576)을 목적 포트로 하고, 해당 무선유닛(400)와 연결된 전달유닛(100)의 대표 IP 30.1.1.10를 목적 IP로 하는 패킷을 생성한다. 물론, 이 패킷의 소스 IP 및 소스 포트는 관리장치(100)의 IP 및 포트번호(30.1.1.1, 0x9C40)가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킷을 생성한 후, 관리장치(100)는 S120 단계에서 생성된 패킷을 전달유닛(100)로 전송한다.
전달유닛(100)는 패킷을 수신하면, S130 단계에서 주소포트변환 테이블로부터 목적 포트에 대응하는 무선유닛(400)을 식별하고, 해당 무선유닛(400)와 연결된 계층분할유닛(300)를 식별한 후, 패킷의 목적 IP를 식별된 계층분할유닛(300)의 내부 IP로 변경한다. 여기서, 계층분할유닛(300)의 내부 IP는 172.11.1.2라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전달유닛(100)은 패킷의 목적 IP를 30.1.1.10에서 계층분할유닛(300)의 내부 IP 172.11.1.2로 변경한다. 그런 다음, 전달유닛(100)는 S140 단계에서 해당 패킷을 계층분할유닛(300)로 전송한다.
패킷을 수신한 계층분할유닛(300)는 S150 단계에서 주소포트변환 테이블로부터 목적 포트에 대응하는 무선유닛(400)를 식별한 후, 패킷의 목적 IP를 식별된 무선유닛(400)의 내부 IP로 변경하고, 패킷의 목적 포트를 계층분할유닛(300)와 무선유닛(400) 간에 실제 통신에 사용하는 내부 포트 번호로 변경한다. 예컨대, 해당 무선유닛(400)의 내부 IP는 192.168.1.3이고, 계층분할유닛(300)와 무선유닛(400) 간 사용되는 내부 포트 번호는 0x4E20(20000)이라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계층분할유닛(300)는 패킷의 목적 IP 172.11.1.2를 식별된 무선유닛(400)의 내부 IP 192.168.1.3로 변경하고, 패킷의 목적 포트 0x6000(24576)을 계층분할유닛(300)과 무선유닛(400) 간에 사용하는 내부 포트 번호 0x4E20(20000)으로 변경한다. 이어서, 계층분할유닛(300)은 S160 단계에서 패킷을 무선유닛(40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무선유닛(400)는 해당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무선유닛(400)은 S210 단계에서 관리서버(10)로 전송할 패킷을 생성한다. 이때, 패킷의 페이로드에는 모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모국 정보는 기지국 정보 및 연결 정보를 포함한다 기지국 정보는 PCI(Physical Cell Identification), DU-ID(Distributed Unit Identification), Cell-ID, gNB-ID 등을 포함한다. 연결 정보는 계층분할유닛(200)과 무선유닛(300)이 연결된 포트를 나타내는 포트 정보, 무선유닛(300)이 배치된 홉을 나타내는 캐스캐이드(Cascade)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패킷의 헤더에는 소스 IP, 소스 포트, 목적 IP 및 목적 포트가 기록된다. 이에 따라, 무선유닛(400)은 무선유닛(400) 자신에 할당된 내부 IP를 소스 IP로 하고, 계층분할유닛(300)과 무선유닛(400) 간에 사용하는 내부 포트 번호를 소스 포트 번호로 하며, 관리서버(10)의 IP 및 포트 번호를 목적 IP 및 목적 포트로 하는 패킷을 생성한다. 예컨대, 무선유닛(400)의 내부 IP는 192.168.1.3이고, 계층분할유닛(300)과 무선유닛(400) 간에 사용하는 내부 포트 번호는 0x4E20(20000)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관리서버(10)의 IP 및 포트 번호는 30.1.1.1, 0x9C40(40000)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무선유닛(400)은 소스 IP, 소스 포트, 목적 IP 및 목적 포트 각각이 192.168.1.3, 0x4E20(20000), 30.1.1.1, 0x9C40(40000)인 패킷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무선유닛(400)은 S220 단계에서 생성된 패킷을 계층분할유닛(300)으로 전송한다.
패킷을 수신한 계층분할유닛(300)은 S230 단계에서 주소포트변환 테이블로부터 소스 포트에 대응하는 무선유닛(400)를 식별한 후, 패킷의 소스 포트를 무선유닛(400)의 내부 포트 번호에서 주소포트변환 테이블의 고유 포트 번호로 변경하고, 소스 IP를 무선유닛(400)의 내부 IP에서 계층분할유닛(300)의 내부 IP로 변경한다. 예컨대, 도 2의 주소포트변환 테이블에서 첫번째 계층분할유닛(300 #1)에 연결된 첫번째 무선유닛(400 #1)의 고유 포트 번호는 0x6000(24576)이다. 또한, 계층분할유닛(300)의 내부 IP는 172.11.1.2라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계층분할유닛(300)은 소스 포트를 무선유닛(400)의 내부 포트 번호 0x4E20에서 주소포트변환 테이블의 고유 포트 번호 0x6000(24576)로 변경하고, 소스 IP를 무선유닛(400)의 내부 IP 192.168.1.3에서 계층분할유닛(300)의 내부 IP 172.11.1.2로 변경한다. 이어서, 계층분할유닛(300)은 S240 단계에서 패킷을 전달유닛(100)으로 전송한다.
패킷을 수신한 전달유닛(100)은 S250 단계에서 패킷의 소스 IP를 계층분할유닛(300)의 내부 IP에서 전달유닛(100)의 대표 IP로 변환한다. 예컨대, 전달유닛(100)의 대표 IP는 30.1.1.10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전달유닛(100)은 패킷의 소스 IP를 계층분할유닛(300)의 내부 IP 172.11.1.2에서 전달유닛(100)의 대표 IP 30.1.1.10로 변경한다. 이어서, 전달유닛(100)은 소스 IP가 전달유닛(100)의 대표 IP이고, 소스 포트가 무선유닛(400)의 고유 포트 번호인 패킷을 관리서버(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10)는 해당 패킷을 수신하면, 소스 포트를 통해 패킷을 전송한 무선유닛(400)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패킷의 페이로드의 모국 정보를 식별된 무선유닛(400)에 대응하여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장치(10)는 하나의 IP와 고유 포트 번호를 통해 효율적으로 IP 자원을 사용할 수 있고, 복수의 무선유닛(300)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함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장치는 복수의 무선유닛 각각에 무선유닛과 그 무선유닛에 연결되는 계층분할유닛을 식별하는 고유 포트 번호를 할당하고, 전달유닛의 대표 IP 및 할당된 고유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중계장치의 외부에서의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한 주소로 사용한다. 또한, 중계장치는 중계장치 내부에서 고유 포트 번호에 대응하는 계층분할유닛의 내부 IP 및 무선유닛의 내부 IP 및 계층분할유닛과 무선유닛 간을 연결하는 내부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내부에서 패킷을 라우팅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하나의 IP, 즉, 대표 IP만을 사용하여 복수의 무선유닛을 구분하여 통신할 수 있어, IP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장치 역시, 하나의 IP와 고유 포트 번호를 통해 효율적으로 IP 자원을 사용할 수 있고, 무선유닛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관리서버
20: 중계장치
100: 전달유닛
200: 계층분할유닛
300: 무선유닛

Claims (11)

  1. 무선유닛과 상기 무선유닛에 연결된 계층분할유닛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 포트 번호가 할당되는 무선유닛;
    상기 고유 포트 번호를 목적 포트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고유 포트 번호가 식별하는 계층분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전달유닛; 및
    상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고유 포트 번호에 대응하는 무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상기 계층분할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유닛은
    외부에 노출되는 대표 IP를 목적 IP로 하고 상기 고유 포트 번호를 목적 포트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고유 포트 번호는
    상기 계층분할유닛에 대응하는 셀 번호, 상기 계층분할유닛과 상기 무선유닛이 연결되는 내부 포트 번호 및 캐스캐이드 번호에 따라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대표 IP를 목적 IP로 하고 상기 고유 포트 번호를 목적 포트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목적 IP의 대표 IP를 계층분할유닛의 내부 IP로 변경한 후, 상기 계층분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유닛은
    상기 계층분할유닛과 실제 통신에 사용되는 내부 IP 및 내부 포트 번호를 가지며,
    상기 계층분할유닛은
    상기 전달유닛으로부터 상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패킷의 목적 IP 및 목적 포트를 상기 고유 포트 번호에 대응하는 무선유닛의 상기 내부 IP 및 상기 내부 포트 번호로 변경한 후, 상기 무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유닛이 소스 IP 및 소스 포트를 상기 계층분할유닛과 실제 통신에 사용되는 내부 IP 및 내부 포트 번호로 하는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전송하면,
    상기 계층분할유닛은 상기 소스 포트를 상기 고유 포트 번호로 변경한 후, 상기 전달유닛으로 전달하고,
    상기 전달유닛은 상기 소스 IP를 대표 IP로 변경하여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6. 전달유닛이 무선유닛과 상기 무선유닛에 연결된 계층분할유닛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 포트 번호를 목적 포트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달유닛이 상기 고유 포트 번호가 식별하는 상기 계층분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계층분할유닛이 상기 고유 포트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무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달유닛이 외부에 노출되는 대표 IP를 목적 IP로 하고 상기 고유 포트 번호를 목적 포트로 하는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고유 포트 번호는
    상기 계층분할유닛에 대응하는 셀 번호, 상기 계층분할유닛과 상기 무선유닛이 연결되는 내부 포트 번호 및 캐스캐이드 번호에 따라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분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 IP의 상기 대표 IP를 상기 계층분할유닛의 내부 IP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계층분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의 목적 IP 및 목적 포트를 상기 고유 포트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계층분할유닛과 상기 무선유닛 간에 실제 통신에 사용되는 내부 IP 및 내부 포트 번호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유닛으로 상기 패킷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유닛이 소스 IP 및 소스 포트를 상기 계층분할유닛과 실제 통신에 사용되는 내부 IP 및 내부 포트 번호로 하는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계층분할유닛이 상기 패킷의 상기 소스 포트를 상기 고유 포트 번호로 변경한 후, 상기 패킷을 상기 전달유닛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달유닛이 상기 패킷의 상기 소스 IP를 대표 IP로 변경하여 상기 패킷을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KR1020190131602A 2019-10-22 2019-10-22 중계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318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602A KR102318217B1 (ko) 2019-10-22 2019-10-22 중계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ES20743947T ES2964793T3 (es) 2019-10-22 2020-05-14 Aparato de transmisión y recepción de datos del aparato repetidor y procedimiento para ello
PCT/KR2020/006345 WO2021080106A1 (ko) 2019-10-22 2020-05-14 중계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17/284,630 US11689494B2 (en) 2019-10-22 2020-05-14 Data transceiving device and method in repeater apparatus
EP20743947.2A EP3836518B1 (en) 2019-10-22 2020-05-14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repeater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602A KR102318217B1 (ko) 2019-10-22 2019-10-22 중계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701A KR20210047701A (ko) 2021-04-30
KR102318217B1 true KR102318217B1 (ko) 2021-10-26

Family

ID=7514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602A KR102318217B1 (ko) 2019-10-22 2019-10-22 중계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89494B2 (ko)
EP (1) EP3836518B1 (ko)
KR (1) KR102318217B1 (ko)
ES (1) ES2964793T3 (ko)
WO (1) WO202108010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880B1 (ko) * 2000-07-14 2002-06-26 이윤봉 포트번호를 이용한 아이피주소 공유장치
KR100388495B1 (ko) 2001-07-13 200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능 분산형 내부 분산 노드 프로세서간 통신 방법
KR20040105301A (ko) * 2003-06-04 2004-12-16 (주) 컴앤라이프 H.323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06132503A1 (en) * 2005-06-08 2006-12-14 Posdata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packets in portable internet system
KR100868825B1 (ko) * 2006-12-06 2008-11-14 엘지노텔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주소 변환 테이블 구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기지국의 네트워크 주소 변환 라우팅 시스템 및 그 방법
RU2653300C2 (ru) * 2013-09-09 2018-05-07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 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оединение базовых станций через стороннюю сеть
KR101954226B1 (ko) 2015-03-17 2019-03-05 주식회사 케이티 기지국 장비, 자원 관리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10419544B2 (en) * 2015-12-22 2019-09-17 Ribbon Communications Operating Compan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use of IP addresses
US10412122B1 (en) * 2016-01-22 2019-09-10 Cisco Technology, Inc. Dynamic per-session NAT-behavior selection
US10911532B1 (en) * 2018-01-23 2021-02-02 Whatsapp Inc. Port prediction for peer-to-peer communications
US10778723B2 (en) * 2018-03-26 2020-09-15 Forescout Technologies, Inc. Device visibility and scanning including network segments
CN111988440B (zh) * 2019-05-22 2022-09-02 富联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网络地址转换方法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0106A1 (ko) 2021-04-29
US20220150213A1 (en) 2022-05-12
KR20210047701A (ko) 2021-04-30
EP3836518A1 (en) 2021-06-16
EP3836518B1 (en) 2023-08-30
EP3836518A4 (en) 2021-10-20
US11689494B2 (en) 2023-06-27
ES2964793T3 (es) 202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3625B2 (en) Routing messages between cloud service providers
US1123385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use of IP addresses
US90310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call setup
WO2017193622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3731513A (zh) 基站转发方法、基站和基站转发***
CN102811338A (zh) 一种视频会议***中多级回传视频信号的控制方法及装置
CN105897542B (zh) 一种隧道建立方法及视频监控***
US20150095469A1 (en) Identifier-base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KR102318217B1 (ko) 중계 장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05490911A (zh) 虚拟局域网的映射方法和装置
CN102984813B (zh) 数据直通处理方法、设备和***
CN102984697B (zh) 基于移动终端的ip通信方法、设备和***
CN112152899B (zh) 一种基于网络切片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01867524B (zh) 位置与标识分离网络中无缝移动通信方法及***
CN109039717B (zh) 一种业务资源的管理方法及***
US8155691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6882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주소 변환 테이블 구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기지국의 네트워크 주소 변환 라우팅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007649A1 (zh) 一种报文处理方法及装置
US11233572B2 (en) Slice connection method of optical access network and optical access network system for slice connection
CN112511658B (zh) 实现运营商级网络地址转换的方法、装置和***
CN110809033B (zh) 报文转发方法、装置及交换服务器
CN111679918B (zh) 一种消息传输方法及装置
KR102023115B1 (ko) 통합형 id 기반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102293025B1 (ko) 중계장치의 모국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05592176A (zh) 一种信息处理方法、网络设备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