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116B1 - 축류 터빈 - Google Patents

축류 터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116B1
KR102318116B1 KR1020190160346A KR20190160346A KR102318116B1 KR 102318116 B1 KR102318116 B1 KR 102318116B1 KR 1020190160346 A KR1020190160346 A KR 1020190160346A KR 20190160346 A KR20190160346 A KR 20190160346A KR 102318116 B1 KR102318116 B1 KR 102318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eripheral surface
rear edge
throat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5386A (ko
Inventor
시게키 세노
가즈히로 몸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1/00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 F01D11/08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for sealing space between rotor blade tips and st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4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 F01D9/041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us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141Shape, i.e. outer, aerodynamic form
    • F01D5/142Shape, i.e. outer, aerodynamic form of the blades of successive rotor or stator blade-rows
    • F01D5/143Contour of the outer or inner working fluid flow path wall, i.e. shroud or hub cont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1/00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 F01D11/02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by non-contact sealings, e.g. of labyrinth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141Shape, i.e. outer, aerodynamic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30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 F01D5/3023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of radial insertion type, e.g. in individual recesses
    • F01D5/303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of radial insertion type, e.g. in individual recesses in a circumferential sl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70Shape
    • F05D2250/71Shape curved
    • F05D2250/711Shape curved conve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70Shape
    • F05D2250/71Shape curved
    • F05D2250/712Shape curved conc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주위 방향의 압력차를 저감하여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축류 터빈을 제공한다.
축류 터빈은, 주위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정익(3)과, 복수의 정익(3)의 내주측을 연결함과 함께, 주 유로(8)의 벽면을 구성하는 외주면(10)을 갖는 다이어프램 내륜(4)을 구비한다. 다이어프램 내륜(4)의 외주면(10)은, 복수의 오목부(18)를 갖는다. 각 오목부(18)는, 인접하는 정익(3A)의 부압면(15)과 정익(3B)의 정압면(16) 사이의 거리가 가장 작아지는 스로트(17)보다 하류측이며,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정익(3A)의 부압면(15) 상의 스로트 위치 P1로부터 정익(3A)의 후방 에지 위치 P2까지의 범위 내에, 축 방향에 있어서 외주면(10)의 후방 에지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축류 터빈{AXIAL FLOW TURBINE}
본 발명은, 발전 플랜트의 증기 터빈이나 가스 터빈 등에 사용되는 축류 터빈에 관한 것이다.
축류 터빈은, 예를 들어 케이싱의 내주측에 마련된 환상의 다이어프램 외륜과, 다이어프램 외륜의 내주측에 마련되고, 주위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정익과, 복수의 정익의 내주측에 마련된 다이어프램 내륜과, 로터와, 로터의 외주측에 마련되고, 복수의 정익의 하류측에 위치함과 함께 주위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동익과, 복수의 동익의 외주측에 마련된 슈라우드를 구비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축류 터빈의 주 유로는, 다이어프램 외륜의 내주면과 다이어프램 내륜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슈라우드의 내주면과 로터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유로로 구성되어 있다. 주 유로를 흐르는 작동 유체는, 정익에 의해 증속, 전향되고, 그 후, 동익에 대해 회전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다이어프램 내륜과 로터 사이에는, 제1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 유체의 일부는, 주 유로의 정익의 상류측으로부터 제1 캐비티로 유입되고, 제1 캐비티로부터 주 유로의 정익의 하류측으로 유출된다. 이 작동 유체는, 정익에 의해 증속, 전향되어 있지 않으므로, 손실이 발생한다. 이 손실을 저감하기 위해, 제1 캐비티에는, 래비린스 시일이 마련되어 있다.
슈라우드와 다이어프램 외륜(또는 케이싱) 사이에는, 제2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 유체의 일부는, 주 유로의 동익의 상류측으로부터 제2 캐비티로 유입되고, 제2 캐비티로부터 주 유로의 동익의 하류측으로 유출된다. 이 작동 유체는, 동익에 대해 회전력을 부여하지 않으므로, 손실이 발생한다. 이 손실을 저감하기 위해, 제2 캐비티에는, 래비린스 시일이 마련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008756호 공보
그런데, 일반적으로 주 유로의 정익 또는 동익의 출구측에서는, 주위 방향의 압력 분포가 발생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접하는 하나의 블레이드의 부압면(볼록측면)과 다른 블레이드의 정압면(오목측면) 사이의 거리가 가장 작아지는 스로트보다 하류측이며, 주위 방향에 있어서 하나의 블레이드의 부압면 상의 스로트 위치로부터 하나의 블레이드의 후방 에지 위치까지의 범위에서는, 정압이 비교적 낮아진다. 그 때문에, 이 범위에서는, 캐비티로부터 주 유로로 향하는 분출 흐름이 발생한다. 한편, 스로트보다 하류측이며, 주위 방향에 있어서 하나의 블레이드의 부압면 상의 스로트 위치로부터 다른 블레이드의 후방 에지 위치까지의 범위에서는, 정압이 비교적 높아진다. 그 때문에, 이 범위에서는, 주 유로로부터 캐비티로 향하는 누출 흐름이 발생한다. 그리고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흐름의 차이에 의해, 간섭 손실(상세하게는, 캐비티의 출구측에서는 합류 손실, 캐비티의 입구측에서는 분류 손실)이 커진다. 또한, 전술한 흐름의 차이의 영향을 받아, 하류측의 블레이드의 2차 흐름 손실이 커진다.
본 발명은, 주위 방향의 압력차를 저감하여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축류 터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위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을 연결함과 함께, 주 유로의 벽면을 구성하는 주위면을 갖는 부재를 구비한 축류 터빈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상기 주위면은, 복수의 오목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은, 인접하는 하나의 블레이드의 부압면과 다른 블레이드의 정압면 사이의 거리가 가장 작아지는 스로트보다 하류측이며, 주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블레이드의 부압면 상의 스로트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의 블레이드의 후방 에지 위치까지의 범위 내에,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위면의 후방 에지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위 방향의 압력차를 저감하여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터빈의 부분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 단면 Ⅱ-Ⅱ에 의한 주위 방향 단면도이며, 주 유로 내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이어프램 내륜의 외주면의 구조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3 중 화살표 Ⅳ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정익면 정압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이어프램 내륜의 외주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7은 도 6 중 화살표 Ⅶ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증기 터빈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터빈의 부분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 단면 Ⅱ-Ⅱ에 의한 주위 방향 단면도이며, 주 유로 내의 흐름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증기 터빈은, 케이싱(1)의 내주측에 마련된 환상의 다이어프램 외륜(2)과, 이 다이어프램 외륜(2)의 내주측에 마련된 복수의 정익(3)과, 이들 정익(3)의 내주측에 마련된 환상의 다이어프램 내륜(4)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정익(3)은 다이어프램 외륜(2)과 다이어프램 내륜(4) 사이에,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증기 터빈은, 로터(5)와, 이 로터(5)의 외주측에 마련된 복수의 동익(6)과, 이들 동익(6)의 외주측에 마련된 환상의 슈라우드(7)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동익(6)은, 로터(5)와 슈라우드(7) 사이에,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증기 터빈의 주 유로(8)는, 다이어프램 외륜(2)의 내주면(9)과 다이어프램 내륜(4)의 외주면(10) 사이에 형성된 유로나, 슈라우드(7)의 내주면(11)과 로터(5)의 외주면(12) 사이에 형성된 유로로 구성되어 있다. 즉, 다이어프램 외륜(2)은, 복수의 정익(3)의 외주측을 연결함과 함께, 주 유로(8)의 벽면을 구성하는 내주면(9)을 갖는다. 다이어프램 내륜(4)은, 복수의 정익(3)의 내주측을 연결함과 함께, 주 유로(8)의 벽면을 구성하는 외주면(10)을 갖는다. 슈라우드(7)는, 복수의 동익(6)의 외주측을 연결함과 함께, 주 유로(8)의 벽면을 구성하는 내주면(11)을 갖는다. 로터(5)는, 복수의 동익(6)의 내주측을 연결함과 함께, 주 유로(8)의 벽면을 구성하는 외주면(12)을 갖는다.
주 유로(8)에는, 복수의 정익(3)(바꾸어 말하면, 하나의 정익 열)이 배치됨과 함께, 그것들의 하류측(도 1 중 우측)에 복수의 동익(6)(바꾸어 말하면, 하나의 동익 열)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정익(3)과 동익(6)의 조합이 하나의 단락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에는, 편의상, 1단째의 동익(6)과, 2단째의 정익(3) 및 동익(6)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증기(작동 유체)의 내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3단 이상 마련되어 있다.
주 유로(8) 내의 증기는, 도 1 중 백색 바탕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흐르고 있다. 그리고 정익(3)에서 증기의 내부 에너지(바꾸어 말하면, 압력 에너지 등)가 운동 에너지(바꾸어 말하면, 속도 에너지)로 변환되고, 동익(6)에서 증기의 운동 에너지가 로터(5)의 회전 에너지로 변환된다. 또한, 로터(5)의 단부에는 발전기(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고, 이 발전기에 의해 로터(5)의 회전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주 유로(8) 내의 증기의 흐름(주 흐름)에 대해,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증기는, 정익(3)의 전방 에지측(도 2 중 상측)으로부터 절대 속도 벡터 C1(상세하게는, 주위 방향 속도 성분을 거의 갖지 않는 절대적인 흐름)로 유입된다. 그리고 정익(3)의 사이를 통과할 때에 증속, 전향되어 절대 속도 벡터 C2(상세하게는, 큰 주위 방향 속도 성분을 갖는 절대적인 흐름)가 되어, 정익(3)의 후방 에지측(도 2 중 하측)으로부터 유출된다. 정익(3)으로부터 유출된 증기의 대부분은, 동익(6)에 충돌하여 로터(5)를 속도 U로 회전시킨다. 이때, 증기는, 동익(6)을 통과할 때에 감속, 전향되어, 상대 속도 벡터 W2로부터 상대 속도 벡터 W3이 된다. 따라서, 동익(6)으로부터 유출되는 증기는, 절대 속도 벡터 C3(상세하게는, 주위 방향 속도 성분을 거의 갖지 않는 절대적인 흐름)이 된다.
상술한 도 1로 돌아가, 다이어프램 내륜(4)과 로터(5) 사이에는 캐비티(13A)가 형성되어 있다. 증기의 일부는, 주 유로(8)의 정익(3)의 상류측으로부터 캐비티(13A)로 유입되고, 캐비티(13A)로부터 주 유로(8)의 정익(3)의 하류측으로 유출된다. 이 증기는, 정익(3)에 의해 증속, 전향되어 있지 않으므로, 손실이 발생한다. 이 손실을 저감하기 위해, 캐비티(13A)에는 래비린스 시일(14A)이 마련되어 있다. 래비린스 시일(14A)은,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 내륜(4)측에 마련된 복수의 핀과, 로터(5)측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슈라우드(7)와 케이싱(1) 사이에는 캐비티(13B)가 형성되어 있다. 증기의 일부는, 주 유로(8)의 동익(6)의 상류측으로부터 캐비티(13B)로 유입되고, 캐비티(13B)로부터 주 유로(8)의 동익(6)의 하류측으로 유출된다. 이 증기는, 동익(6)에 대해 회전력을 부여하지 않으므로, 손실이 발생한다. 이 손실을 저감하기 위해, 캐비티(13B)에는 래비린스 시일(14B)이 마련되어 있다. 래비린스 시일(14B)은, 예를 들어 케이싱(1)측에 마련된 복수의 핀과, 슈라우드(7)측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주 유로(8)의 정익(3)의 출구측에서는, 주위 방향의 압력 분포가 발생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인접하는 정익(3A)의 부압면(볼록측면)(15)과 정익(3B)의 정압면(오목측면)(16) 사이의 거리가 가장 작아지는 스로트(17)보다 하류측이며,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정익(3A)의 부압면(15) 상의 스로트 위치 P1로부터 정익(3A)의 후방 에지 위치 P2까지의 범위(후술하는 도 3 참조)에서는, 정압이 비교적 낮아진다. 그 때문에, 이 범위에서는, 캐비티(13A)로부터 주 유로(8)를 향하는 분출 흐름이 발생한다. 한편, 스로트(17)보다 하류측이며,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정익(3A)의 부압면(15) 상의 스로트 위치 P1로부터 정익(3B)의 후방 에지 위치 P3까지의 범위(후술하는 도 3 참조)에서는, 정압이 비교적 높아진다. 그 때문에, 이 범위에서는, 주 유로(8)로부터 캐비티(13A)로 향하는 누출 흐름이 발생한다. 그리고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흐름의 차이에 의해, 간섭 손실이 커진다. 또한, 전술한 흐름의 차이의 영향을 받아, 하류측의 동익(6)의 2차 흐름 손실이 커진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어프램 내륜(4)의 외주면(10)은,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압력차를 저감하기 위한 구조를 갖고 있다. 그 상세를, 도 3 및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이어프램 내륜의 외주면의 구조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3 중 화살표 Ⅳ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 3 중의 점선은, 오목부의 등고선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이어프램 내륜(4)의 외주면(10)은, 대략 원통면이며, 이 원통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의 오목부(18)를 갖고 있다.
각 오목부(18)는, 인접하는 정익(3A)의 부압면(15)과 정익(3B)의 정압면(16) 사이의 거리가 가장 작아지는 스로트(17)보다 하류측이며,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정익(3A)의 부압면(15) 상의 스로트 위치 P1로부터 정익(3A)의 후방 에지 위치 P2까지의 범위에, 축 방향에 있어서 외주면(10)의 후방 에지 위치를 포함하고, 또한 정익(3A)의 후방 에지 위치 P2보다 하류측뿐만 아니라 상류측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오목부(18)는, 스로트(17)의 하류측에 있어서의 증기의 흐름 방향(바꾸어 말하면, 상술한 절대 속도 벡터 C2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18)의 각 단면은, 예를 들어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루고, 각 단면의 바닥을 연결한 직선이 증기의 흐름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오목부(18)는, 증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서서히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증기의 흐름 방향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어프램 내륜(4)의 외주면(10)의 오목부(18)에 의해, 그 주위 방향의 범위에 있어서의 주 유로(8)의 폭이 확대된다. 이에 의해, 그 주위 방향의 범위에 있어서의 증기의 유속이 저하되고, 정압이 상승한다. 따라서,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압력차를 저감하여,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흐름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간섭 손실이나, 하류측의 동익(6)의 2차 흐름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18)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정익(3A)의 후방 에지 위치 P2보다 하류측뿐만 아니라 상류측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정익(3A)의 부압면(15)의 부근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8)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의 비교예와 비교하여, 정익(3A)의 부압면(15)에 있어서의 정압이 상승한다. 따라서, 정익의 정압면과 부압면의 차압을 저감하여, 정익의 2차 흐름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오목부(18)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정익(3A)의 부압면(15) 상의 스로트 위치 P1로부터 정익(3A)의 후방 에지 위치 P2까지의 범위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목부(18)는, 스로트 위치 P1에 대해 예를 들어 블레이드 사이의 피치 길이 L의 10% 정도만큼 후방 에지 위치 P2측으로 이동한 위치로부터,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오목부(18)는, 후방 에지 위치 P2에 대해 예를 들어 블레이드 사이의 피치 길이 L의 10% 정도만큼 스로트 위치 P1측으로 이동한 위치까지,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도, 상기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혹은, 오목부(18)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정익(3A)의 부압면(15) 상의 스로트 위치 P1로부터 정익(3A)의 후방 에지 위치 P2까지의 범위보다, 약간 비어져 나와 형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목부(18)는, 스로트 위치 P1에 대해 예를 들어 블레이드 사이의 피치 길이 L의 10% 정도만큼 후방 에지 위치 P2와는 반대측으로 이동한 위치로부터,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오목부(18)는, 후방 에지 위치 P2에 대해 예를 들어 블레이드 사이의 피치 길이 L의 10% 정도만큼 스로트 위치 P1과는 반대측으로 이동한 위치까지,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도, 상기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오목부(18)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정익(3A)의 후방 에지 위치 P2보다 하류측뿐만 아니라 상류측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정익의 2차 흐름 손실의 저감을 도모하는 효과가 얻어지지는 않지만, 오목부(18)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정익(3A)의 후방 에지 위치 P2보다 하류측만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 6 및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등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하게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이어프램 내륜의 외주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7은, 도 6중 화살표 Ⅶ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 6 중의 점선은, 오목부 및 돌기부의 등고선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이어프램 내륜(4)의 외주면(10)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통면이며, 이 원통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내측으로 오목한 복수의 오목부(18)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다이어프램 내륜(4)의 외주면(10)은, 원통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19)를 더 갖고 있다.
각 돌기부(19)는, 인접하는 정익(3A)의 부압면(15)과 정익(3B)의 정압면(16) 사이의 거리가 가장 작아지는 스로트(17)보다 하류측이며,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정익(3A)의 부압면(15) 상의 스로트 위치 P1로부터 정익(3B)의 후방 에지 위치 P3까지의 범위에, 축 방향에 있어서 외주면(10)의 후방 에지 위치를 포함하고, 또한 정익(3B)의 후방 에지 위치 P3보다 하류측뿐만 아니라 상류측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돌기부(19)는,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돌기부(19)의 각 단면은, 예를 들어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루고, 각 단면의 정상을 연결한 직선이 축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돌기부(19)는, 축 방향의 하류측을 향해 서서히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어프램 내륜(4)의 외주면(10)의 돌기부(19)에 의해, 그 주위 방향의 범위에 있어서의 주 유로(8)의 폭이 축소된다. 이에 의해, 그 주위 방향의 범위에 있어서의 증기의 유속이 상승하고, 정압이 저하된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압력차를 더욱 저감하여,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흐름의 차이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간섭 손실이나, 하류측의 동익(6)의 2차 흐름 손실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기부(19)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정익(3A)의 부압면(15) 상의 스로트 위치 P1로부터 정익(3B)의 후방 에지 위치 P3까지의 범위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돌기부(19)는, 스로트 위치 P1에 대해 예를 들어 블레이드 사이의 피치 길이 L의 10% 정도만큼 후방 에지 위치 P3측으로 이동한 위치로부터,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돌기부(19)는, 후방 에지 위치 P3에 대해 예를 들어 블레이드 사이의 피치 길이 L의 10% 정도만큼 스로트 위치 P1측으로 이동한 위치까지,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도, 상기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혹은, 돌기부(19)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정익(3A)의 부압면(15) 상의 스로트 위치 P1로부터 정익(3B)의 후방 에지 위치 P3까지의 범위보다, 약간 비어져 나와 형성되어도 된다(단, 그만큼, 오목부(18)를 작게 할 필요가 있음).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돌기부(19)는, 스로트 위치 P1에 대해 예를 들어 블레이드 사이의 피치 길이 L의 10% 정도만큼 후방 에지 위치 P3과는 반대측으로 이동한 위치로부터,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돌기부(19)는 후방 에지 위치 P3에 대해 예를 들어 블레이드 사이의 피치 길이 L의 10% 정도만큼 스로트 위치 P1과는 반대측으로 이동한 위치까지,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도, 상기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돌기부(19)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정익(3B)의 후방 에지 위치 P3보다 하류측뿐만 아니라 상류측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돌기부(19)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정익(3B)의 후방 에지 위치 P3보다 하류측만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다이어프램 내륜(4)의 외주면(10)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이어프램 외륜(2)의 내주면(9), 슈라우드(7)의 내주면(11), 로터(5)의 외주면(12) 중 어느 것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증기 터빈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스 터빈에 적용해도 된다.
2: 다이어프램 외륜
3, 3A, 3B: 정익
4: 다이어프램 내륜
5: 로터
6: 동익
7: 슈라우드
8: 주 유로
9: 다이어프램 외륜의 내주면
10: 다이어프램 내륜의 외주면
11: 슈라우드의 내주면
12: 로터의 외주면
15: 부압면
16: 정압면
17: 스로트
18: 오목부
19: 돌기부

Claims (5)

  1. 주위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을 연결함과 함께, 주 유로의 벽면을 구성하는 주위면을 갖는 부재를 구비한 축류 터빈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상기 주위면은, 복수의 오목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은, 인접하는 하나의 블레이드의 부압면과 다른 블레이드의 정압면 사이의 거리가 가장 작아지는 스로트보다 하류측이며, 주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블레이드의 부압면 상의 스로트 위치로부터 상기 하나의 블레이드의 후방 에지 위치까지의 범위 내에,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위면의 후방 에지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은, 상기 스로트의 하류측에 있어서의 작동 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 터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은,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블레이드의 후방 에지 위치보다 하류측뿐만 아니라 상류측도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 터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상기 주위면은, 복수의 돌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스로트보다 하류측이며, 주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블레이드의 부압면 상의 스로트 위치로부터 상기 다른 블레이드의 후방 에지 위치까지의 범위 내에,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주위면의 후방 에지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 터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복수의 정익의 내주측을 연결함과 함께, 상기 주 유로의 벽면을 구성하는 외주면을 갖는 다이어프램 내륜,
    상기 복수의 정익의 외주측을 연결함과 함께, 상기 주 유로의 벽면을 구성하는 내주면을 갖는 다이어프램 외륜,
    복수의 동익의 내주측을 연결함과 함께, 상기 주 유로의 벽면을 구성하는 외주면을 갖는 로터, 및
    상기 복수의 동익의 외주측을 연결함과 함께, 상기 주 유로의 벽면을 구성하는 내주면을 갖는 슈라우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 터빈.
KR1020190160346A 2019-02-28 2019-12-05 축류 터빈 KR102318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5923A JP7190370B2 (ja) 2019-02-28 2019-02-28 軸流タービン
JPJP-P-2019-035923 2019-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386A KR20200105386A (ko) 2020-09-07
KR102318116B1 true KR102318116B1 (ko) 2021-10-28

Family

ID=7204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346A KR102318116B1 (ko) 2019-02-28 2019-12-05 축류 터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29608B2 (ko)
JP (1) JP7190370B2 (ko)
KR (1) KR102318116B1 (ko)
CN (1) CN111622812B (ko)
DE (1) DE10201922002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03323A1 (en) * 2017-06-29 2019-01-03 General Electric Company Airfoil assembly with a scalloped flow surfac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4113A (ja) 2002-01-28 2003-07-30 Toshiba Corp 地熱タービン
US6669445B2 (en) * 2002-03-07 2003-12-3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Endwall shape for use in turbomachinery
JP2004028065A (ja) * 2002-06-28 2004-01-29 Toshiba Corp タービンノズル
JP2006291889A (ja) * 2005-04-13 2006-10-26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ビン翼列エンドウォール
JP4616781B2 (ja) * 2006-03-16 2011-01-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ービン翼列エンドウォール
JP2012052491A (ja) * 2010-09-03 2012-03-15 Hitachi Ltd タービン段落、およびそれを用いた蒸気タービン
US8678740B2 (en) 2011-02-07 2014-03-2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Turbomachine flow path having circumferentially varying outer periphery
EP2696029B1 (de) * 2012-08-09 2015-10-07 MTU Aero Engines AG Schaufelgitter mit Seitenwandkonturierung und Strömungsmaschine
CN104520536B (zh) * 2012-09-12 2017-03-08 三菱日立电力***株式会社 燃气轮机
JP5964263B2 (ja) * 2013-02-28 2016-08-03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軸流タービンの動翼列、および軸流タービン
EP2806102B1 (de) * 2013-05-24 2019-12-11 MTU Aero Engines AG Schaufelgitter einer Strömungsmaschine und zugehörige Strömungsmaschine
JP6192990B2 (ja) 2013-05-31 2017-09-06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軸流タービン
JP2015010568A (ja) * 2013-07-01 2015-01-19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軸流タービン
ES2755052T3 (es) * 2013-08-06 2020-04-21 MTU Aero Engines AG Rejilla de álabes y la turbomáquina correspondiente
JP2015190421A (ja) * 2014-03-28 2015-11-02 株式会社東芝 タービン翼列
JPWO2016103340A1 (ja) 2014-12-24 2017-11-02 三菱重工コンプレッサ株式会社 ノズル構造、及び回転機械
JP6518526B2 (ja) 2015-06-18 2019-05-2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軸流タービン
JP6421091B2 (ja) * 2015-07-30 2018-11-07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軸流圧縮機、それ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及び軸流圧縮機の静翼
US10240462B2 (en) * 2016-01-29 2019-03-26 General Electric Company End wall contour for an axial flow turbine stage
EP3401504B1 (de) * 2017-05-10 2024-07-03 MTU Aero Engines AG Schaufelgit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03323A1 (en) * 2017-06-29 2019-01-03 General Electric Company Airfoil assembly with a scalloped flow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39463A (ja) 2020-09-03
US20200277869A1 (en) 2020-09-03
KR20200105386A (ko) 2020-09-07
CN111622812B (zh) 2023-03-24
US11629608B2 (en) 2023-04-18
CN111622812A (zh) 2020-09-04
DE102019220025A1 (de) 2020-09-03
JP7190370B2 (ja)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200B1 (ko) 레이디얼 터빈용 날개차
US9726027B2 (en) Turbine
EP3018297B1 (en) Sealing device and turbo machine
EP2725201A2 (en) Axial flow turbine
US10316675B2 (en) Turbine
KR101843299B1 (ko) 시일 구조 및 회전 기계
JP5972374B2 (ja) 軸流流体機械
US9410432B2 (en) Turbine
JP2016528436A (ja) 流れ渦スポイラ
JP6518526B2 (ja) 軸流タービン
KR102318116B1 (ko) 축류 터빈
US11136897B2 (en) Seal device and turbomachine
CN108368744B (zh) 密封翅片、密封结构及透平机械
US10018046B2 (en) Steam turbine
JP6571257B2 (ja) シール装置及びターボ機械
EP2634376A2 (en) Turbo-machinery sealing arrangement
US11808156B2 (en) Secondary flow suppression structure
JP2015001180A (ja) 軸流タービン
KR102318119B1 (ko) 축류 터빈
JP2015048771A (ja) 流体機械
KR102359701B1 (ko) 축류 터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