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032B1 -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032B1
KR102318032B1 KR1020200020890A KR20200020890A KR102318032B1 KR 102318032 B1 KR102318032 B1 KR 102318032B1 KR 1020200020890 A KR1020200020890 A KR 1020200020890A KR 20200020890 A KR20200020890 A KR 20200020890A KR 102318032 B1 KR102318032 B1 KR 10231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uropathic pain
extract
composition
preventing
p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130A (ko
Inventor
현경예
강미선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0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03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9Arecaceae, Palmae or Palmaceae (Palm family), e.g. date or coconut palm or palmetto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7Celastraceae (Staff-tree or Bittersweet family), e.g. tripterygium or spindle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은 니파야자(Nypa fruticans Wurmb) 추출물을 포함하고 TNF-α, TRPV1 및 COX2 억제함으로서, 항염 활성과 함께 신경병증에 의한 통징을 예방 및 완화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ALLEVIATION OF INFLAMMATION AND NEUROPATHIC PAIN}
본 발명은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니파야자(Nypa fruticans Wurmb) 추출물을 포함하고, TNF-α, TRPV1 및 COX2 억제함으로서, 항염활성을 나타내면서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천연물 기반의 조성물로서,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은 일반적으로 감각 장애, 과민통(hyperalgesia) 및 이질통(allodynia)과 같은 감각 이상을 말한다. 또한 중추 및 말초신경계 염증 발생 또는 외상에 의하여 만성 신경 병증 통증을 유발될 수 있으며, 통증이 지속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통각 통증에 대한 표준 치료에 치료학적 무반응을 보이는 별개의 신경계 및 감각 특징에 의한 급성 통각 통증과는 구별되며, 대개는 말초 및 중추 신경계에 직접적으로나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손상 또는 발병 기전에서 기인할 수 있다. 또한 삼차신경에 의해 지배를 받는 안면부의 경우에도 여러 가지 외부의 자극에 의해 염증성 혹은 신경병증성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는 흔히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부동자세를 취하게 되므로 기동성이 저하되며, 통증이 만성적이기 때문에 장기간 부동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심한 경우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불가능하다. 특히 척수손상 환자들 중 약 70% 정도의 대다수에서 손상 후 몇 달 이내에 신경성 통증을 유발하며 궁극적으로 오랫동안 지속되는 만성적인 신경병증성 통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더구나, 신경병증성 통증은 통증 자체뿐만 아니라 수면장애, 불안, 우울증과 같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동반하기 때문에 환자의 삶의 질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막대한 치료비용이 지출되어 환자 및 가족을 넘어 심각한 사회, 경제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제로는 칼슘 채널에 작용하는 가바펜틴(Gabapentin), 프레가발린(Pregabalin)과 같은 항경련제; 나트륨 채널에 작용하는 카바마제핀(Carbamazepine)과 같은 항경련제; SNRI(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계열 항우울제; 및 응급 시에만 추천되는 아편류 등의 4가지 계열이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병용되지만, 각 계열의 약제들이 모두 비슷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어 오히려 이러한 병용으로 인해 환자에 따라서는 부작용이 더욱 악화될 수 있는 반면, 치료효과는 저조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제는 보통 환자에게 장기적으로 투여되기 ‹š문에, 가장 이상적인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치료제는 독성이 적고 경구투여가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또한 현재까지 다양한 진통제 또는 진통방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의 75%가 여전히 심각한 통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신경병증성 통증에 효과적인 억제제로서 독성과 부작용이 없으며 더욱 진통효과가 큰 통증 억제제나 치료제 및 식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일과성 수용체 전압(transient receptor potential, TRP) 이온 채널은 1997년 Caterina 등이 바닐로이드(vanilloid) 수용체를 보고한 이후 통증 연구 분야에 있어서 TRP 채널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많은 TRP 이온 채널 중 통증과 관계 있는 TRP 이온 채널은 온도자극에 반응하는 이온 채널과 기계적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는 이온 채널로 TRPV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과 TRPA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ankyrin 1)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TRPV1은 열 자극에 의해서 활성화되는 TRP 이온 채널로서 유해감각수용기의 중요한 신호통합자로서 신경병증성 통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주요성분인 캡사이신(capsaicin)은 TRPV1 수용체를 활성화함으로써 통증을 초래한다. TRPV1은 통증 및 온도를 감지하는 뉴런의 막에 존재하는데, 우리가 고추를 먹을 때 즉시 작열감을 느끼는 이유는 고추의 성분인 캡사이신이 TRPV1을 활성화시키기 ‹š문이다. 캡사이신을 국소 또는 전신에 투여했을 때, 처음에는 강한 자극성을 보이다가 지속적인 진통작용을 나타낸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수많은 캡사이신 유도체들이 합성되었고, 진통제로서의 개발이 시도되었다. TRPV1 활성제는 통증치료 뿐 아니라, 염증반응에도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어, 천연 식품유래 TRPV1의 활성제의 연구는 다양한 질병 및 예방효과에 도움이 될 것이다.
(특허 문헌 1) KR 10-2012-1132040 B1
본 발명은 니파야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니파야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염 활성과 함께 신경병증성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신경병증성 통증 및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며, 주기적 또는 장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경병증성 통증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은 니파야자(Nypa fruticans Wurmb) 추출물을 포함하고 TNF-α, TRPV1 및 COX2 억제하는 것이다.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은 신경손상, 신경병증,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및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니파야자 추출물은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은 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 Nakai)추출물, 음지궐(Sceptridium ternatum (Thunb.) Lyon) 추출물, 삼백초(Saururus chinensis (Lour.) Baill.)추출물,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식품은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은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은 니파야자(Nypa fruticans Wurmb) 추출물을 포함하고 TNF-α, TRPV1 및 COX2 억제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엽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신경병증성 통증" 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환부, 중추 신경계 및 말초신경계의 기능장애로부터 유래된 모든 통증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병증성 통증 및 치료용 조성물은 니파야자(Nypa fruticans Wurmb)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니파야자(Nypa fruticans Wurmb)은 해죽순으로도 불리며, 천남성과에 속한 식물로서, 미얀마,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의 강어귀의 민물이나 소금기 있는 해변에서 재배된다. 해죽순은 '바다에서 나는 죽순'이란 뜻으로 어린 새순의 모습이 우리나라의 죽순과 닮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한편, 니파야자은 전통적으로 치아 염증에 쓰이던 식물로서, 최근에 한국에 수입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다량의 페놀산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고, 그에 따라 항산화 효과 및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 등이 탈월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해죽순 100g 에는 6,040mg의 폴리페놀이 들어있는데 이는 6년근 홍삼의 43배, 블루베리의 22배, 취나물의 41배로 항산화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죽순에는 주요하게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uic acid), 및 캠퍼롤(kaempferol)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어, 염증 조절효과에도 탁월할 것으로 추측되나 아직 구체적인 효과 및 기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통증과 관련된 연구결과는 매우 부족하며, 특히 신경병증성 통증과 같은 좌골신경통의 발생과 예방에 있어서의 효과는 입증된 바가 거의 없다.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은 신경손상, 신경병증,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및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은 신경손상, 신경병증,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및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인 것을 포함한다. 신경병증성 통증의 경우에는 신경의 기능이나 구조의 변화에 의해서 발생하며, 구심성 회로가 차단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상기 중추신경병증성 통증은 뇌졸중 중 시상증후군과 척수 손상 등에서 나타나며, 말초 신경계에 대한 조절을 하는 기능이 소실되어 Ad나 C-구심성 신경섬유의 억제되지 않은 과잉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말초신경병증에 의한 통증의 경우는 신경종에 의한 통증이나, 환지통, 작열통, 교감성 신경계와 관련된 통증 등이 있으며 상완신경총 손상에 의한 통증, 삼차신경통, 포진후 신경통 등이 해당된다. 말초신경은 뇌와 척수에서 나오며 신체의 여러 부분을 연결하는 광범위한 기능을 한다. 말초신경계 손상이나 질병은 신경 자체, 척수 및 신경핵 손상에 의해 야기될 수 있으며, 그 중 60~70%는 말초신경 자체의 병변에 의해 종종 발생한다. 현재 교통 사고와 산업 사고로 인한 외상성 말초신경의 부상이 증가하고 있으며 말초신경이 압박될 때 발생하는 통증은 신경계통의 내부 변형에 의해 발생해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한다. 또한 말초신경은 압박에 매우 손상 받기 쉬운 조직으로, 이때 나타나는 손상의 정도는 관련된 신경 조직의 종류의 압력의 정도 그리고 압력을 가한 시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신경압박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신경손상 중 하나가 압좌손상이다. 이는 대개 신경 분포와 함께 통증과 비정상적인 감각을 일으키는 좌골신경 기계적 압박에 의해 발생하며 심각한 근육 악화 및 근육 위축이 발생한다.
상기 조성물은 TRPV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를 억제하여 항통각 및 신경재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포함한다.
비 선택적인 양이온 채널로 알려진 TRPV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는 고추의 매운맛의 주성물인 캡사이신(capsaicin)과 열(>43°), 산(>PH 6)등에 의해 활성화되고, 다양한 통증 신호 전도에 관여하는 다양상 유해수용기 중 하나이다. TRPV1은 조직 손상이 발생되었을 때 발현이 증가하며, 이는 감작되어 염증성 유해감각을 전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손상된 조직은 부위의 혈관 내피세포 브래디키닌(Bradykinin), 세로토닌(Serotonin), 물질 P와 CGRP (calcitonin gene-reated peptide),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히스타민(Histamine)과 같은 염증성 물질을 방출하게 되고, 이러한 물질은 일차감각신경 세포를 감작시켜 주변의 면역세포들을 손상부위로 모으게 된다. 일련의 과정을 통해 더 많은 염증성 물질의 방출로 이어지게 된다. 포르말린(Formalin)과 캡사이신(Capsaicin)은 각각 통증모델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약물들이며, 실험동물의 뒷다리, 입술부위, 수염부위 및 턱관절 등에 주입 후 유해한 행위반응(통증반응)을 유발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약물들의 주입으로 발생된 염증 부위에서 유리되는 염증성 매개물질, 신경 성장 인자(Nerve Growth Factor), 브래디키닌(Bradykinin)등에 의해 TRPV1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흰쥐의 안면부에 주입된 캡사이신에 의해 활성화된 TRPV1 채널이 포르말린으로 유발되는 염증성 통증의 크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니파야자 추출물이 TRPV1의 억제를 통한 염증성 혹은 신경병증성 통증 경감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니파야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TRPV1의 억제를 통한 염증성 혹은 신경병증성 통증 경감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상기 니파야자 추출물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천연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TRPV1의 억제를 통한 염증성 혹은 신경병증성 통증 경감에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니파야자 추출물은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항염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신경병증성 통증을 예방 및 진정시키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은 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 Nakai)추출물, 음지궐(Sceptridium ternatum (Thunb.) Lyon) 추출물, 삼백초(Saururus chinensis (Lour.) Baill.)추출물,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 Nakai)는 산골짜기나 숲에 자라는 상록관목으로 높이가 3m에 달한다. 잎은 선형이고 2열로 배열하며 끝이 급히 뾰족해지고 앞면은 녹색이며 주맥이 뚜렷하다. 꽃은 이가화로 4월에 피고 수꽃은 편구형이며 암꽃은 2개씩 한곳에 달린다. 열매는 둥글며 다음해 8 내지 9월에 적색으로 익고 종자는 장타원이며 갈색이다.
상기 음지궐은 고사리삼(Sceptridium ternatum (Thunb.) Lyon)으로 햇볕이 잘 드는 숲이나 풀밭에 자라는 다년초로 굵은 육질의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2개로 갈라져 영양엽과 실엽(實葉)으로 되며 나엽(裸葉)은 잎자루가 길며 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포자엽은 나엽보다 길고 윗부분이 길게 갈라져 가지에 포자낭이 달린다.
상기 삼백초(Saururus chinensis (Lour.) Baill.)는 습지에 자라는 다년초로 높이 50 내지 100cm이며 근경은 백색이다. 잎은 호생하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심장상 이저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양성으로서 6 내지 8월에 백색으로 피고 수상화서는 잎과 대생한다. 열매는 둥글고 3 내지 5실로 되어 있으며, 종자는 각 실에 1개씩 들어 있다.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니파야자(Nypa fruticans Wurmb) 추출물에 더하여, 개비자나무 추출물, 음지궐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사용하며,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이용 시,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니파야자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니파야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개비자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음지궐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삼백초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복합 추출물로 사용하는 경우, 각 성분 간의 복합 작용으로 인해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더욱 상승하게 된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니파야자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 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 또는 물 100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매는 물 및 에탄올이 1 : 10 내지 1 : 1 부피부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에 의하는 경우 니파야자에 포함된 항염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진정효과를 내는 활성성분이 효과적으로 수득되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높이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니파야자(Nypa fruticans Wurmb)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조류 특유의 이취로 인해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기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니파야자 추출물에 천연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 추출물의 경우에도 해조류 특유의 이취와 혼합한 천연 추출물 고유의 맛과 향으로 인해,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공 시, 기호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 추출물 및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는 나무 그늘에서 자라며 원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끝이 곧추서고 녹색이며 처음에는 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높이 30cm 내외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지만 윗부분에 모여 달리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윗부분에 톱니가 있다. 잎 표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 잎자루가 된다. 또한 꽃은 4 또는 5월에 피고 흰색이며 수상꽃차례에 달린다. 암꽃은 꽃이삭 밑부분에 약간 달리고 수꽃은 윗부분에 많이 달린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없다. 수술은 3 내지 5개이고 암술대는 2개로 갈라져서 젖혀진다. 열매는 핵과로서 달걀 모양이고 겉에 털이 없다. 한국, 일본, 사할린섬, 중국에 분포한다.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는 조롱박과의 초본 다년생 식물이며 중국 및 태국 등지에 자생한다. 나한과의 열매와 잎은 한방에서 약 재로 사용하는데, 주로 고랭지에서 자생하며 안개가 많고 서늘한 기후와 햇볕을 좋아하고 배수가 잘되며 부식질 이 많은 토양에서 서식하므로 재배조건이 까다로워 인위적인 재배가 어려운 식물로 예로부터 귀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수호초 추출물 및 나한과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해조류 특유의 이취 및 천연 추출물 특유의 맛과 향을 중화시켜, 기호성이 우수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니파야자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개비자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음지궐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삼백초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수호초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및 나한과 추출물 30내지 5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기호도가 우수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식품은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茶)는 기호성 식품으로 일반 식품을 말하며, 상기 차는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기능성 식품"은 기능성 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은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니파야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니파야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신경병증성 통증에 효과적인 완화효과를 내면서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므로 불규칙한 신경병증성 통증에 주기적 또는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 시험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 시험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 시험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 시험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 시험 결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추출물의 제조]
1. 니파야자 추출물의 제조
건조 분쇄된 가루 형태의 니파야자 추출물 100g을 -20℃에서 80% 에탄올 1L과 혼합하여 상온에서 4시간동안 추출하였다. 추출 후 분말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 케이크(filter cake)를 사용하였으며, 액체 성분만 플라스크를 통해 여과시켰다. 여과된 액체 성분은 65℃의 물 욕조에서 끓여 순수한 니파야자 추출물(NF)을 제조하였다.
2. 기타 천연 추출물의 제조
건조 분쇄된 가루 형태의 개비자 나무 추출물 원시료 1kg을 30% 에탄올을 가하여 80℃에서 1내지 3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은 동일 배수 및 동일 시간으로 2회 반복하여 추출하였으며, 얻어진 추출물은 감압건조 후에서 60℃에서 진공건조하여 개비자나무 추출물(N2)을 제조하였다.
상기 개비자나무 추출물(N2)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음지궐 추출물(N3), 삼백초 추출물(N4), 수호초 추출물(X1) 및 나한과 추출물(X2)을 제조하였다.
3.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니파야자 추출물(NF), 개비자나무 추출물(N2), 음지궐 추출물(N3), 삼백초 추출물(N4), 수호초 추출물(X1) 및 나한과 추출물(X2)은 하기 표 1과 같은 중향 범위내로 혼합하여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G1 G2 G3 G4 G5 G6 G7 G8 G9
NF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N2 - 30 40 60 80 30 40 60 80
N3 - 30 40 60 80 30 40 60 80
N4 - 30 40 60 80 30 40 60 80
X1 - - - - - 10 20 30 40
X2 - - - - - 30 40 50 6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1: 니파야자 추출물에 대한 신경병증성 통증 경감 효과]
포르말린(Formalin) 실험은 포르말린을 주의 안면의 피하로 주사하여 유발된 조직의 손상과 염증 반응으로 염증성 통증 행위 반응 평가를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실험 모델로 TRPV1의 효현제로 작용하는 캡사이신(Capsaicin)을 추가로 주입하는 경우 신경병증성 통증 행위 반응 평가를 볼 수 있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을 설명하면, 실험동물을 통증반응 평가 전에 실험용 플라스틱 통에서 10분 이상 적응시켰다. 인슐린 주사기(0.25 × 8mm)를 이용하여 25μl의 5% 포르말린(Formalin)을 주입하였고, 포르말린 주입 후 수 초 내에 의식을 회복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먼저, 포르말린이 주입된 실험동물의 행위반응에 TRPV1 채널의 활성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삽입된 폴리에틸렌 관을 통해 농도 별 (0.1μg, 1μg, 10μg/10 μL)로 주입된 캡사이신(Capsaicin)만으로 유발된 통증 행위반응을 포르말린 주입 후와 동일한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다음으로는 포르말린 투여 전 1시간 전에 동일한 주사 부위에 0.1μg, 1μg/10μL 캡사이신을 투여한 후 45분간 통증 행위반응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캡사이신의 용매(Vehicle)는 10% 에탄올, 10% 내지 80 그리고 80% 생리식염수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포르말린 주입 전에 0.1μg, 1μg/10μL 캡사이신을 전 처치한 결과 두드러진 통증 행위반응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으며, 이는 흰쥐의 안면부에 주입된 캡사이신에 의해 활성화된 TRPV1 채널이 포르말린으로 유발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크기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수있었다. 그 후 니파야자 추출물의 신경병증성 통증 경감 효과를 위해 500mg/kg의 니파야자 추출물(NF)을 캡사이신 주입 10분 전 처치하여 신경병증성 통증 행위반응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도 1)
그 결과, 니파야자 추출물(NF)의 처치는 증가된 통증 행위반응을 유의하게 경감시킴을 알수있었다. TRPV1 채널은 캡사이신에 의해 신경병증성 통증감각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니파야자 추출물(NF)에 의해 이러한 통각과민이 유의하게 경감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2: 니파야자 추출물에 대한 열 통각 과민 검사]
좌골 신경 손상 쥐의 오른쪽 뒷다리를 뜨거운 물 (46C)에 넣고, 조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20 초 내에 측정을 수행하고 5 분 간격으로 3 회 반복 하는 방법으로 열통각 과민모델을 제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0 일, 3 일, 7 일, 10 일 및 14 일에 침지에 의해 측정) 좌골 신경 손상 쥐의 오른쪽 뒷다리를 뜨거운 물 (46C)에 넣습니다. 조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20 초 이내에 측정을 수행하고 5 분 간격으로 3 회 반복 하였다.
열 통각 과민은 유해한 열 자극이 통각 수용기를 자극하고 통증을 유발할 때 회피 반응을 관찰하는 방법이다. 발의 회피 반응은 통각 임계 값의 직접적인 지표 인 고통스러운 열 자극에 대한 빠른 반응으로 이해할 수 있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아스피린을 사용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아스피린 그룹의 열 통각 과민 시험에서 7 일, 10 일, 14 일에 비히클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 한 항 통각 억제 효과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ㄹ 수 있다. 또한 위 실험은 또한 발 철수 반응의 지연이 비히클 그룹과 비교하여 NF, SB 및 NF + SB 처리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p <0.05)로 지연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3 일, 7 일, 10 일, 14 일에 TRPV1 길항제 단독 또는 NF 단독과 비교할 때 TRPV1 길항제와 함께 투여 될 때 NF의 부가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3: 니파야자 추출물에 대한 염증성 마커 분석]
생체 내 전 염증성 사이토 카인의 TRPV1 조절의 초기 조사는 IL-6, TNF-α 및 IL-1β를 포함한 전 염증성 사이토 카인의 방출을 촉진시키는 통증의 반응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TRPV1은 또한 중추 신경계 (CNS)에서 염증성 사이토 카인을 조절함으로써 수많은 신경계 장애의 발생 및 발달을 조절한다. TRPV1는 뉴런에서의 시냅스 전달 및 소성을 조절하고 염증성 신경 질환의 과정에서 전 염증성 사이토 카인과 상호 작용한다. 따라서 니파야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 대하여 염증성 마커를 분석하여 항염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3: 니파야자 추출물에 대한 COX2, TRPV 1 에 대한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니파아야 추출물의 COX2, TRPV 1 의 조절에 대한 활성을 평가하여 하기의 도 4 및 5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복합 추출물의 대한 통증 실험 결과 비교]
1. 복합 추출물에 대한 캡사이신 통증 모델 시험
상기 니파야자 추출물(NF)에 대한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의 실험을 통해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후 G2 내지 5에 대한 동일 실험을 진행하였다. 한편 그 결과는 상대적인 비교를 진행하기 위해, G1과 지수로 기재하였다. G1의 효과 정도를 지수 5로 놓고, G2 내지 5에 대한 효과 정도를 1 내지 10의 지수로 기재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 조절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G1 G2 G3 G4 G5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 5 3 4 5 7
(단위: 지수)
상기 표 2는 G1과 비교하여 G2 내지 5의 통증 조절 효과를 상대적으로 비교한 결과이다. G1과 비교하여 G3 및 G4은 동등한 정도의 통증 조절 효과를 나타낸 반면, G5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통증 조절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니파야자 추출물의 TRPV1 발현 감소에 따른 좌골신경 재생 효과]
1. 좌골신경에 압궤손상 유발
케타라, 유한양행(Ketarnin hydrochloride) 15mg/100g를 복강내 주사하여 전신마취를 유발한 후 양측 대퇴부의 털을 제거한 뒤, 10% betadine 용약으로 술야를 소독한 다음 무균 조작하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술을 시행하였다. 좌골신경을 노출시키고 경골신경과 총비골신경의 분지점에서 1cm 위쪽에서 끝의 직경이 1mm인 지혈겸자를 이용하여 30초간 압궤손상을 유발한 후 결과분석을 위하여 신경절취 시 압궤부위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손상부위 신경외막에 느슨하게 7-0silk로 결찰하여 포식한 후 근육과 피부를 봉합하였다.
2. 니파야자 추출물이 신경재생에 미치는 효과 평가
실험동물을 실험군(n=15)과 대조군(n=15)으로 나누고 실험군은 다시 500mg/kg의 니파야자 추출물(NF)을 1주, 2주, 3주 투여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에 5마리씩 할당하였으며 대조군 역시 생리식염수 1주, 2주, 3주 투여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에 5마리씩 할당하였다. 각 시기별로 실험이 종료된 동물은 마취를 시킨 후 좌골신경을 절취하여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해 조직 형태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니파야자 추출물(NF)을 투여한 실험군의 총 유수신경섬유 수는 투여 후 1주, 2주 및 3주에 각각 36.0±3.4, 154.3±33.8 및 129.3±12.7로 변하여 1주와 2주 사이 총 유수신경섬유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고(p<0.01) 3주에서는 오히려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은 투여 후 1주, 2주 및 3주에 각각 35.3±9.1, 74.3±9.6 및 116.0±15.1로 변하여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군의 변성된 유수신경섬유는 1주, 2주 및 3주에 각각 38.3±8.5, 40.7±15.0 및 36.3±8.5이었다. 따라서 좌골신경에 압궤손상을 준 후 니파야자 추출물(NF)의 투여는 압궤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변성된 유수신경섬유를 감소시키고 유수신경섬유로 회복되게 함을 알 수 있었다.
1주 2주 3주
NF 투여한 실험군 36.0±3.4 154.3±33.8 129.3±12.7
생리식염수 투여한 대조군 35.3±9.1 74.3±9.6 116.0±15.1
[실험예 4: 기호성 테스트]
1. 관능성 평가 시험
G1, 복합 추출물 중 G5, 발효 복합 추출물 G6 내지 9를 희석하여 차음표를 제조하였다. 상기 차음료를 10인이 시음자가 시음하여 맛과 향을 1 내지 10의 지수로 표현하였고, 그 평균값(0.5 반올림 적용)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은 것이다.
G1 G5 G6 G7 G8 G9
5.5 4.5 6 6 6 5
4.5 2.5 4 5 6 4
종합기호도(평균) 5.5 4 5.5 6 6.5 5
(단위: 지수)
상기 표 4을 참조하면, G1의 경우 니파야자 추출물의 맛은 좋게 평가되나, 해조류 특유의 향이 기호도를 저하시켰고, G5의 혼합에 의하는 경우 시큼한 향이 더해져 기호도가 더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G9 혼합에 의하는 경우 떫고 시큼한 향이 더 강해지므로 기호도가 더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에 반면, 복합 추출물 G7 및 G8에 의하는 경우 니파야자 추출물 특유의 향과 맛이 중화되면서 기호도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복합 추출물 G7 및 G8에 의하는 경우, 보다 기호도가 높은 향미와 맛으로 신경병증성 통증 완화에 효과적인 기능성 식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니파야자(Nypa fruticans Wurmb) 추출물을 포함하고,
    TNF-α, TRPV1 및 COX2를 억제하는 것인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이며,
    상기 조성물은 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 Nakai)추출물, 음지궐(Sceptridium ternatum (Thunb.) Lyon) 추출물, 삼백초(Saururus chinensis (Lour.) Baill.)추출물,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 추출물 및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병증성 통증은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또는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인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파야자 추출물은 니파야자 꽃대 추출물인 것인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완화용 일반 식품.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완화용 기능성 식품.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완화용 피부외용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완화용 의약품.
KR1020200020890A 2020-02-20 2020-02-20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KR102318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890A KR102318032B1 (ko) 2020-02-20 2020-02-20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890A KR102318032B1 (ko) 2020-02-20 2020-02-20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130A KR20210106130A (ko) 2021-08-30
KR102318032B1 true KR102318032B1 (ko) 2021-10-26

Family

ID=7750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890A KR102318032B1 (ko) 2020-02-20 2020-02-20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630B1 (ko) * 2022-03-18 2022-07-18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죽순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470B1 (ko) 2011-05-27 2013-01-11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컬러시프트 저감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N105272930B (zh) * 2014-07-17 2018-07-13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取代脲衍生物及其在药物中的应用
KR20190009595A (ko) * 2017-07-19 2019-01-2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해죽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급성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SAN REZA 외. ANTI-HYPERGLYCEMIC AND ANTINOCICEPTIVE ACTIVITY OF METHANOL LEAF AND STEM EXTRACT OF NYPA FRUTICANS WURMB. Pharm. Sci. Vol. 24(4), 2011, pp. 485-48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130A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9954B2 (ja) モリンガ葉抽出物及び杜仲抽出複合物の抗菌、抗酸化、抗炎症、歯槽骨消失の抑制及び再生による歯肉炎及び歯周炎の改善方法
KR101874462B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18032B1 (ko)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KR20140034620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3889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08944B1 (ko) 생강 추출물의 비극성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통 및 조기분만진통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38933B1 (ko) 모과, 감초 및 두릅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70067542A (ko) 팥 추출물을 함유하여 슬리밍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41623B1 (ko)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E60215060T2 (de) Kräuterpräparat zur behandlung von herz-kreislauf- sowie neurologischen erkrankungen
KR101544000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48047B1 (ko)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433007B1 (ko)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874250B1 (ko) 바오밥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US20210338761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sleep disturbance comprising extract of fraxinus sp. plant as effective component
KR20110019977A (ko) 스트레스 및 공황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56627B1 (ko)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90126565A (ko) 한약재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3317B1 (ko)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27555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2157138B1 (ko) 노간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57141B1 (ko)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596006B1 (ko)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78766B1 (ko) 고구마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