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334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334B1
KR102315334B1 KR1020170060694A KR20170060694A KR102315334B1 KR 102315334 B1 KR102315334 B1 KR 102315334B1 KR 1020170060694 A KR1020170060694 A KR 1020170060694A KR 20170060694 A KR20170060694 A KR 20170060694A KR 102315334 B1 KR102315334 B1 KR 102315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ource device
interface
turn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676A (ko
Inventor
서제환
윤승일
허재명
김관영
김동욱
김민섭
윤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709,894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36739B2/en
Publication of KR20180080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 및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상태인 경우, 메인 프로세서가 소스 장치의 턴 온(turn on) 여부를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상태인 경우, 서브 프로세서가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며, 메인 프로세서는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에 따른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소스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TV 등과 같은 TV는 복수의 소스 장치로부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이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를 변경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수 있으며, 변경된 소스 장치의 상태에 따라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시청하는 중 DVD 플레이어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DVD 플레이어가 TV와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DVD 플레이어가 턴 오프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DVD 플레이어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없으며, TV는 사용자에게 DVD 플레이어에 대한 상태를 제공할 필요가 있었다.
즉, TV가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에도, 타 소스 장치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TV가 스탠바이 모드인 상태에서 기존에 연결되어 있던 소스 장치를 다른 소스 장치로 변경하여 연결한 경우, TV는 소스 장치가 변경되었음을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소스 장치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turn on)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 및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에 따른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리지를 더 포함하고,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인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장치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제1 UI,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오프(turn off)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2 UI 및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온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3 UI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 및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상기 소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 셋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소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입력 단자로 구현되며,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핀 중 접지된 제2 핀이 상기 복수의 핀 중 제1 핀과 단락되어 상기 제1 핀이 접지되면,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이며,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에 따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프로세서 및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turn on)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 및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에 따른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인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장치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제1 UI,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오프(turn off)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2 UI 및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온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3 UI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 및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소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소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입력 단자로 구현되며,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핀 중 접지된 제2 핀이 상기 복수의 핀 중 제1 핀과 단락되어 상기 제1 핀이 접지되면,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이며,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에 따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소스 장치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디스플레이하여 소스 장치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b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화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화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자동 감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소스 장치(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장치로,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 태블릿(Tablet),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 액자,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키오스크 등일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 TV와 같이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튜너를 구비하며, 특정 주파수대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셋탑박스와 연결되어 셋탑박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그 밖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DVI, D-SUB, HDMI, USB 규격 등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각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소스 장치(200)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200)의 턴 온(turn on)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장치(200)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에 따른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소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소스 장치(200)와 연결되어 복수의 소스 장치(200)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소스 장치(200)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소스 장치 및 제3 소스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고 있으며, 제4 소스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소스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소스 장치(200)는 셋탑 박스 등과 같은 방송 수신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소스 장치(200)는 DVD 플레이어 등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면 제한이 없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인터페이스(120), 서브 프로세서(130) 및 메인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소스 장치(200)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200)의 턴 온(turn on)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110)는 소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인터페이스(120)는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2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에 따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HDMI 규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페이스(120)는 소스 장치(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규격이라면 어떠한 규격이라도 무방하다.
서브 프로세서(130)는 후술할 메인 프로세서(140)보다 저전력의 프로세서로서, 마이콤(Mico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30)는 저전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30)는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프로세서(130)는 인터페이스(120)에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동안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상태가 변경된 경우,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스토리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프로세서(130)는 제2 상태에서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의 연결이 끊어졌다가 다시 연결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프로세서(130)는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상태는 메인 프로세서(140)가 비활성화 상태이고, 서브 프로세서(130)는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메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메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인 경우,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태는 메인 프로세서(140) 및 서브 프로세서(130)가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경우에는, 서브 프로세서(130)가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상태는 메인 프로세서(140)가 비활성화된 상태이고, 서브 프로세서(130)가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경우에도, 저전력의 서브 프로세서(130)를 이용하여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스토리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200)를 자동으로 감지(auto detection)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동안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고, 메인 프로세서(140)는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200)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메인 프로세서(120)는 소스 장치(200)를 자동으로 식별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메인 프로세서(140)는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에 따른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제1 UI,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가 연결되고 소스 장치(200)가 턴 오프(turn off)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2 UI 및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가 연결되고 소스 장치(200)가 턴 온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3 UI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인 경우, 소스 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고, 서브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경우,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인 경우, 소스 장치(200)로부터 비디오 신호 및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소스 장치(200)가 턴 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신호 및 클럭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h-sync 신호, v-sync 신호 및 클럭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신호 및 클럭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h-sync 신호 및 v-sync 신호 중 하나와 클럭 신호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면, 소스 장치(200)가 턴 온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서브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경우, 소스 장치(200)로부터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소스 장치(200)가 턴 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브 프로세서(130) 역시 소스 장치(200)로부터 비디오 신호 및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소스 장치(200)가 턴 온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토리지를 더 포함하고, 서브 프로세서(130)는 제2 상태에서의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스토리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경우, 서브 프로세서(130)는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에 기초하여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뿐만 아니라 소스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리모컨일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소스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 셋을 통신부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 셋은 스토리지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소스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UI는 소스 장치(200)를 턴 온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120)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입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브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핀 중 제1 핀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핀 중 접지된 제2 핀이 제1 핀과 단락되어 제1 핀이 접지되면,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 따라 소스 장치(200)의 전원을 판단하는 주체가 다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와 무관하게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고, 서브 프로세서(130)는 그 밖의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메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와 무관하게 HDMI 규격으로 연결된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고, 서브 프로세서(130)는 그 밖의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서브 프로세서(130)는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40)가 제1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서브 프로세서(130)는 제2 소스 장치 내지 제n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오프된 경우, 서브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로세서(140)가 제1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서브 프로세서(130)는 제2 소스 장치 내지 제n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한 결과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소스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의 일 영역에 소스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소스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UI는 실시간으로 소스 장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소스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을 끊으면, 소스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UI에서 제2 소스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연결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장치(200)가 변경되면, 변경된 소스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중인 상태에서 제2 소스 장치가 선택되면, 제2 소스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소스 장치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모든 소스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소스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인터페이스(120), 서브 프로세서(130), 메인 프로세서(140), 스토리지(145), 통신부(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카메라(182)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40)는 스토리지(145)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RAM(141), ROM(142), 메인 CPU(143), 그래픽 처리부(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 버스(146)를 포함한다.
RAM(141), ROM(142), 메인 CPU(143), 그래픽 처리부(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 등은 버스(14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내지 14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도 2b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구성요소들과 연결되는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내지 145-n) 외에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의 소스 장치(200)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20)를 별도로 도시하였다.
메인 CPU(143)는 스토리지(145)에 액세스하여, 스토리지(145)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토리지(145)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4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43)는 ROM(14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스토리지(145)에 저장된 O/S를 RAM(14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43)는 스토리지(145)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41)에 복사하고, RAM(14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4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40)의 동작은 스토리지(145)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리지(14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인터페이스 연결 여부 판단 모듈,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 판단 모듈, 판단 결과 데이터 및 소스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 셋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스토리지(145)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와이파이 칩(151), 블루투스 칩(152), 무선 통신 칩(153), NFC 칩(154)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51), 블루투스 칩(15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51)이나 블루투스 칩(15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53)은 IEEE,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5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한편, 통신부(150)는 외부 장치와 단방향 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50)는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50)는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외부 장치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카메라,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터치 기반의 전자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상술한 디스플레이(12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8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카메라(182)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82)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에 따른 UI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소스 장치(200)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에는 인터페이스(120)로서 HDMI Connector(310)를 도시하였다. HDMI Connector(310)는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HDMI 규격에 따른 HDMI Connector(310)를 도시하였으나, 다른 규격에 따라 통신하는 컨넥터일 수도 있다.
HDMI RX(320)는 HDMI Connector(31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클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Video Signal Processing Unit(3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Video Signal Processing Unit(330)은 메인 프로세서(14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Video Signal Processing Unit(33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인 경우,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Video Signal Processing Unit(33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인 경우, 소스 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ideo Signal Processing Unit(330)은 소스 장치(200)로부터 비디오 신호 및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소스 장치가 턴 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소스 장치(200)로부터 클럭 신호만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Video Signal Processing Unit(330)은 소스 장치가 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상태는 Video Signal Processing Unit(330), 후술할 Clock detection IC(350) 및 Micom(360)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인 경우, 노멀(normal) 모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인가되는 전원이 Video Signal Processing Unit(330), Clock detection IC(350) 및 Micom(360)에도 인가되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제1 상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온된 상태일 수 있다.
HDMI/MHL Switch(3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에 기초하여 HDMI Connector(310)를 통해 입력되는 클럭 신호를 후술할 Clock detection IC(35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DMI/MHL Switch(3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온된 상태이면 클럭 신호를 Clock detection IC(350)로 전송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오프된 상태이면 클럭 신호를 Clock detection IC(350)로 전송할 수 있다.
Clock detection IC(350) 및 Micom(360)은 서브 프로세서(130)의 일 구성들일 수 있다. Clock detection IC(350) 및 Micom(36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경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Clock detection IC(350) 및 Micom(36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경우, 입력된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lock detection IC(350) 및 Micom(360)은 소스 장치(200)로부터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소스 장치가 턴 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2 상태는 Video Signal Processing Unit(330)은 비활성화 상태이고, Clock detection IC(350) 및 Micom(360)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경우, 스탠바이(standby) 모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인가되는 전원이 Video Signal Processing Unit(330)에는 인가되지 않고, Clock detection IC(350) 및 Micom(360)에만 인가되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제2 상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Clock detection IC(350) 및 Micom(360)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Clock detection IC(350)는 클럭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Micom(360)이 인식할 수 있는 출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lock detection IC(350)는 클럭 신호가 입력되면 Low 신호를 Micom(360)으로 제공하고, 클럭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High 신호를 Micom(360)으로 제공할 수 있다.
Micom(360)은 Clock detection IC(35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클럭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icom(360)은 Clock detection IC(35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Low 신호이면 클럭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Clock detection IC(35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High 신호이면 클럭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Micom(360)은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Micom(360)은 HDMI Connector(310)에 포함된 복수의 핀 중 하나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Micom(36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와 무관하게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온된 경우에는 Video Signal Processing Unit(330)가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오프된 경우에는 Clock detection IC(350) 및 Micom(360)이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오프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적은 Clock detection IC(350) 및 Micom(360)을 이용하여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와 무관하게 Micom(36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Clock detection IC(350)가 클럭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른 출력 신호를 Micom(360)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lock detection IC(350)는 클럭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른 출력 신호를 Video Signal Processing Unit(330)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하나의 HDMI Connector(310)만을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규격의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온된 경우라면, 메인 프로세서(140)가 HDMI Connector(310)에 연결된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결정하고, 서브 프로세서(130)는 다른 인터페이스(120)에 연결된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온된 상태이므로 HDMI Connector(310)로부터 수신된 클럭 신호는 Micom(360)으로 전송되지 않으나, 다른 인터페이스(120)에 연결된 소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Micom(360)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로세서(140)는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에 따른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a는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410)이 디스플레이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소스 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의 판단이 불가능하고,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도 않는다.
또는, 아이콘(410) 대신 소스 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았다는 문구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4b는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가 연결되고 소스 장치(200)가 턴 오프된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420)이 디스플레이된 도면이다. 이때, 소스 장치(200)에 구비된 LED(200-1) 역시 턴 오프되어, 소스 장치(200)가 턴 오프된 상태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아이콘(420) 대신 소스 장치(200)가 연결되었으나, 턴 오프되어 있다는 문구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4c는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가 연결되고 소스 장치(200)가 턴 온된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430)이 디스플레이된 도면이다. 이때, 소스 장치(200)에 구비된 LED(200-1) 역시 턴 온되어, 소스 장치(200)가 턴 온된 상태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아이콘(420) 대신 소스 장치(200)가 연결되었으며, 턴 온되어 있다는 문구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는 하나의 소스 장치(200)에 대한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에 따른 UI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소스 장치 및 제2 소스 장치 각각에 대한 인터페이스(120)와의 연결 여부 및 각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에 따른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소스 장치 및 제2 소스 장치 각각을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각 아이콘의 하측에는 대응되는 소스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아이콘의 형태 및 디스플레이 위치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특히, 도 4c와 같이, 소스 장치(200)가 턴 온되어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아이콘을 컨텐츠의 중심부가 아닌 외곽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변화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에서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를 스토리지(145)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스토리지(145)에 저장된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경우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스토리지(145)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로 변경되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스토리지(145)에 저장된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소스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가 되면, 소스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코드 셋은 스토리지(145)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소스 장치(200)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리모컨일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300)는 제어 코드 셋이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코드 셋에 기초하여 버튼을 매핑하여, 소스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통신부(155)를 통해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프로세서(140)는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하기 전, 제어 코드 셋의 전송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가 되면, 소스 장치(200)가 식별되어 있는 경우에만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만약, 소스 장치(200)가 식별되어 있지 않은 경우, 메인 프로세서(140)는 일시적으로 소스 장치(200)를 턴 온시키는 신호 및 소스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소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소스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하고, 소스 장치(200)를 턴 오프하는 신호를 소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소스 장치(200)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것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특히, 메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가 되기 전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스토리지(145)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가 되면,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상태에 변경이 있는지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기 직전에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가 연결되어 있음을 스토리지(145)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가 된 후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의 연결이 끊어지면 서브 프로세서(130)는 해당 정보를 스토리지(145)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시 제1 상태로 변경되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스토리지(145)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200)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것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되기 직전에 인터페이스(120)에 소스 장치(200)가 연결되어 있지 않았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시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더라도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것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경우, 서브 프로세서(130)는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상태의 변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경우, 서브 프로세서(130)는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상태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것을 안내하는 UI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로 진입하기 직전의 정보와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로 진입하기 전 소스 장치(200)와 인터페이스(120)가 연결되어 있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로 진입한 후 소스 장치(200)와 인터페이스(120)의 연결이 끊어지면 서브 프로세서(130)는 인터페이스(120)에 연결된 소스 장치(200)가 없다는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시 제1 상태가 되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로 진입하기 전 소스 장치(200)와 인터페이스(120)가 연결되어 있었다는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인 동안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감지하고, 소스 장치(200)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것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메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로 진입하기 직전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상태인 경우의 인터페이스(120)의 연경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소스 장치(200)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것을 안내하는 UI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 변화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소스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경우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스토리지(145)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가 되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스토리지(145)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200)의 턴 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가 턴 오프되어 있는 경우, 소스 장치(200)를 턴 온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UI 뿐만 아니라 도 4b에 도시된 아이콘과 같이 소스 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를 턴 온하기 위한 신호를 소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자동 감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의 상단 도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이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1 소스 장치(20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120)를 포함하며, 인터페이스(120)는 복수의 포트(710~71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포트(710)를 통해 제1 소스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포트의 연결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7a의 가운데 도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계속 제2 상태이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1 소스 장치(200)의 연결이 끊어지고, 제2 소스 장치(20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서브 프로세서(130)는 제1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가 제1 포트(710)에서 빠지면, 제1 소스 장치(200)와의 연결이 끊어졌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프로세서(130)는 제2 소스 장치(210)의 출력 단자가 제1 포트(710)에 연결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서브 프로세서(130)는 제1 포트(710)의 연결이 끊어졌다가 다시 회복되었다는 정보를 스토리지(145)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a의 하단 도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로 변경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가 되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동안 서브 프로세서(130)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40)는 제1 포트(710)의 연결이 끊어졌다가 다시 회복되었다는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제1 포트(710)에 연결된 제2 소스 장치(210)를 자동으로 감지(auto detection)할 수 있다. 즉, 메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인 동안 제1 포트(710)에 연결된 장치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40)는 제2 소스 장치(210)를 감지하는 동안 “소스 장치를 감지하는 중입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40)는 제2 소스 장치(210)로 장치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장치의 식별 정보는 시리얼 넘버, 모델명, 모델 번호 및 제조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140)는 제2 소스 장치(210)로부터 장치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소스 장치(210)를 식별하고, 식별된 제2 소스 장치(210)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제2 소스 장치(210)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메인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제2 소스 장치(210)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메인 프로세서(140)는 제2 소스 장치(210)로부터 식별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2 소스 장치(210)가 식별되지 않았다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소스 장치(210)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는, 메인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7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태에 따른 다양한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된 후, 다시 제1 상태로 변경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케이스 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이고 소스 장치(200)가 연결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로 변경된 후 소스 장치(200)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이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시 제1 상태가 되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연결 상태 확인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메인 프로세서(140)는 연결되어 있었던 소스 장치(200)의 연결이 해제됨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케이스 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이고 소스 장치(200)가 연결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로 변경된 후 소스 장치(200)의 연결이 유지된 경우이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시 제1 상태가 되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일반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140)는 도 4b 또는 도 4c와 같은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케이스 3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이고 소스 장치(200)가 연결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로 변경된 후 소스 장치(200)의 연결이 해제되고, 다시 소스 장치(200)가 연결된 경우이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시 제1 상태가 되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즉, 메인 프로세서(140)는 현재 연결되어 있는 소스 장치(200)의 변경이 있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케이스 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이고 소스 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로 변경된 후 소스 장치(200)가 여전히 연결되지 않은 경우이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시 제1 상태가 되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케이스 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이고 소스 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로 변경된 후 소스 장치(200)가 연결된 경우이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시 제1 상태가 되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소스 장치(200)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즉, 메인 프로세서(140)는 현재 연결되어 있는 소스 장치(200)를 식별할 수 있다.
케이스 6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상태이고 소스 장치(2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상태로 변경된 후 소스 장치(200)가 연결되고, 다시 소스 장치(200)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이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시 제1 상태가 되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연결 상태 확인을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메인 프로세서(140)는 연결되어 있었던 소스 장치(200)의 연결이 해제됨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프로세서(140)는 최초 제1 상태에서 소스 장치(200)가 연결되어 있지 않았던 정보에 기초하여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인 프로세서(140)가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저전력의 서브 프로세서(1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소스 장치(200)의 연결 여부, 연결 상태의 변경 여부 및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20)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입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핀 중 제1 핀(810)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12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핀(810)은 Vcc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일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핀 중 접지된 제2 핀(820)이 제1 핀(810)과 단락되어 제1 핀(810)이 접지되면,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핀(810) 및 제2 핀(820)은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830)에 의해 단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830)는 제1 핀(810) 및 제2 핀(820)과 연결되는 부분(840)이 내부적으로 단락된 상태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830)가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면, 제1 핀(810) 및 제2 핀(820)이 연결될 수 있고, 접지된 제2 핀(820)에 의해 제1 핀(810)도 접지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프로세서(130)는 제1 핀(810)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고 있을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130)는 제1 핀(810)의 전압이 Vcc[V]에서 0[V]로 변경되는 t0의 시점에서 소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120)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8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회로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였으며, 실제 인터페이스(120)의 구조와는 다를 수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서는 인터페이스(120)가 HDMI 규격에 따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인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다른 규격에 따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인 경우에도 얼마든지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메인 프로세서 및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먼저,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S91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상태인 경우, 메인 프로세서에 의해 소스 장치의 턴 온(turn on) 여부를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상태인 경우,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한다(S920). 그리고,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에 따른 UI를 디스플레이한다(S930).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상태인 동안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가 변경된 경우,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930)는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제1 UI,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고 소스 장치가 턴 오프(turn off)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2 UI 및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고 소스 장치가 턴 온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3 UI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92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상태인 경우, 메인 프로세서에 의해, 소스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상태인 경우,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상태에서의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93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스토리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장치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소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장치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소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입력 단자로 구현되며,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910)는 복수의 핀 중 접지된 제2 핀이 복수의 핀 중 제1 핀과 단락되어 제1 핀이 접지되면,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1 상태는 메인 프로세서 및 서브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이며, 제2 상태는 메인 프로세서가 비활성화 상태이고, 서브 프로세서는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에 따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소스 장치의 연결 여부 및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디스플레이하여 소스 장치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래밍되어 각종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매체를 실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200 : 소스 장치
110 : 디스플레이 120 : 인터페이스
130 : 서브 프로세서 140 : 메인 프로세서
145 : 스토리지 150 : 통신부
155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60 : 오디오 처리부
170 : 비디오 처리부 180 : 스피커
181 : 버튼 182 : 카메라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turn on)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 및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에 따른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이며,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활성화 상태인,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토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인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장치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제1 UI,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오프(turn off)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2 UI 및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온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3 UI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스토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 및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상기 소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 셋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소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입력 단자로 구현되며,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핀 중 접지된 제2 핀이 상기 복수의 핀 중 제1 핀과 단락되어 상기 제1 핀이 접지되면,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에 따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인, 디스플레이 장치.
  11. 메인 프로세서 및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turn on)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 및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에 따른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 및 상기 서브 프로세서가 활성화 상태이며,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가 비활성화 상태이고, 상기 서브 프로세서는 활성화 상태인,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인 동안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장치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제1 UI,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오프(turn off)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2 UI 및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고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온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3 UI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소스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 및 상기 소스 장치의 턴 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소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장치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소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입력 단자로 구현되며,
    상기 인터페이스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핀 중 접지된 제2 핀이 상기 복수의 핀 중 제1 핀과 단락되어 상기 제1 핀이 접지되면, 상기 소스 장치의 출력 단자와 상기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 방법.
  19. 삭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에 따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인, 제어 방법.
KR1020170060694A 2017-01-04 2017-05-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15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09,894 US10536739B2 (en) 2017-01-04 2017-09-20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42150P 2017-01-04 2017-01-04
KR1020170001617 2017-01-04
US62/442,150 2017-01-04
KR20170001617 2017-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676A KR20180080676A (ko) 2018-07-12
KR102315334B1 true KR102315334B1 (ko) 2021-10-21

Family

ID=6291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694A KR102315334B1 (ko) 2017-01-04 2017-05-1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19095B (zh) * 2019-09-20 2023-10-21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可切換影像來源的顯示器及操作系統
TWI722577B (zh) * 2019-09-20 2021-03-21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可切換影像來源的顯示器及操作系統
WO2023121049A1 (ko) * 2021-12-22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1824B2 (ja) * 2008-09-19 2011-11-2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コネクタ表示方法、伝送路状態検出装置、伝送路状態検出方法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KR101724342B1 (ko) * 2015-03-20 2017-04-10 주식회사 와이젯 인터페이스 규격에 상관없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676A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7865B2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7872702B (zh) 用于显示***设备内容的装置和控制方法
US201701809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CN114697739B (zh) 显示设备、显示***以及用于控制显示设备的方法
US20180103229A1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connectable t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536739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896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400770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 제어 장치 및 그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11086635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US20140223321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thereof
KR1023153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00186641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420778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20150181169A1 (en) Security device, broadcast rece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797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0809961B2 (en) Display apparatus that connects display modu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30326092A1 (en) Processing input event of external device
US952440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054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557098A (zh) 电子装置及其显示方法
US1090898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28705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82332B1 (ko) 전자 장치, 이의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EP4210343A1 (en) Contro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2369040B (zh) 远程控制设备、远程控制设备的控制方法和电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