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694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694B1
KR102311694B1 KR1020200031170A KR20200031170A KR102311694B1 KR 102311694 B1 KR102311694 B1 KR 102311694B1 KR 1020200031170 A KR1020200031170 A KR 1020200031170A KR 20200031170 A KR20200031170 A KR 20200031170A KR 102311694 B1 KR102311694 B1 KR 10231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agnet
optical axis
frame
magn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420A (ko
Inventor
임수철
박남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1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694B1/ko
Priority to US17/069,304 priority patent/US11665416B2/en
Priority to CN202011539566.3A priority patent/CN113467037B/zh
Priority to CN202310820486.2A priority patent/CN116679405A/zh
Priority to CN202310819326.6A priority patent/CN116679404A/zh
Priority to CN202023138676.7U priority patent/CN213843644U/zh
Publication of KR2021011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420A/ko
Priority to KR1020210131806A priority patent/KR102393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694B1/ko
Priority to KR1020220052222A priority patent/KR102505430B1/ko
Priority to US18/305,673 priority patent/US2023026230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3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17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g. clocking noise
    • H04N5/225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을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자석; 상기 구동자석의 양측에 배치되고, 제1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자석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열되는 보조자석; 및 일 부분이 상기 구동자석 및 상기 보조자석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구동코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내부 부품들 간의 자계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과 렌즈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 모듈과 렌즈 모듈을 광축 및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의 구동수단은 서로 다른 구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자석과 코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구동수단의 자석과 코일은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제2구동수단의 자석과 코일은 렌즈 모듈을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소형 카메라 모듈은 제1구동수단과 제2구동수단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므로, 제1구동수단의 자석 및 코일과 제2구동수단의 자석 및 코일 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의 구동수단 간의 자기간섭 및 카메라 모듈의 구동수단과 카메라 모듈의 주변에 배치되는 전자장치 간의 자기간섭을 경감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을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자석; 상기 구동자석의 양측에 배치되고, 제1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자석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열되는 보조자석; 및 상기 구동자석 및 상기 보조자석의 경계를 따라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구동코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배치되는 구동수단들 간의 자기간섭 및 카메라 모듈의 주변에 배치되는 전자장치와의 자기 간섭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에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동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동수단의 다른 형태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부분 결합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이동 몸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구동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동수단의 변형 형태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구동수단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휴대용 전자제품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등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의 사용범위가 전술된 전자제품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현금인출기(ATM), 양방향 방송을 위한 텔레비젼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카메라 모듈의 기능에 필요한 여러 부품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1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이미지 센서에 결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은 4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2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4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은 3매 이하 또는 5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모듈(200)을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400, 5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수단(400, 500)은 구동코일(410, 510)과 구동자석(420, 5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코일(410, 510)은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410)과 구동코일(510)은 하우징(100)의 서로 다른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자석(420, 520)은 렌즈 모듈(2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자석(420) 및 구동자석(520)은 렌즈 모듈(200)의 서로 다른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코일(410, 510) 및 구동자석(420, 520)은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410)은 구동자석(42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구동코일(510)은 구동자석(520)과 마주하도록 배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수단(400)과 구동수단(50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수단(400: 410, 420)은 광축(C)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렌즈 모듈(200)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고, 구동수단(500: 510, 520)은 광축(C)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렌즈 모듈(200)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구동수단(400, 500)은 특유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구동수단(400, 500)의 구성을 설명한다.
구동자석(420, 520)은 복수의 극성 경계선(4202, 5202, 4204, 520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자석(420, 520)은 N극을 중심으로 2개의 S극이 형성되거나 또는 S극을 중심으로 2개의 N극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극성 경계선(4202, 5202, 4204, 5204)은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자석(420, 520)의 N극과 S극은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자석(420, 520)의 N극과 S극을 형성하는 영역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자석(420, 520)의 중심이 되는 제1극성(도 2 기준으로 N극)의 길이(Lmd)는 이웃한 제2극성(도 2 기준으로 S극)의 길이(Lmt)보다 클 수 있다. 바꿔 표현하면, 제1극성 경계선(4202, 5202)으로부터 제2극성 경계선(4204, 5204)까지의 거리는 제1극성 경계선(4202, 5202)으로부터 구동자석(420, 520)의 가장 인접한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극성의 길이(Lmd)는 제2극성의 길이의 합(Lmt+Lmt)과 같거나 클 수 있다.
구동코일(410, 510)은 구동자석(420, 520)의 중심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410, 510)은 구동자석(420, 520)의 중심에 형성되는 제1극성(도 2 기준으로 N극)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코일(410, 510)은 구동자석(420, 520)의 극성 경계선(4202, 5202, 4204, 5204)을 따라 연장되는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체로 사각형태로 권취되는 구동코일(410, 510)의 제1연장부는 제1극성 경계선(4202, 5202)을 따라 형성되고, 구동코일(410, 510)의 제2연장부는 제1극성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구동코일(410, 510)의 제3연장부는 제2극성 경계선(4204, 5204)을 따라 형성되고, 구동코일(410, 510)의 제4연장부는 제1극성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동코일(410, 510)은 구동자석(420, 520)과 소정의 크기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410, 510)의 길이(Lc)는 구동자석(420, 520)의 길이(Lm)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달리 구동코일(410, 510)의 높이(hc)는 구동자석(420, 520)의 높이(hm)보다 클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구동수단(400, 500)은 구동코일(410, 510)과 구동자석(420, 520) 간에 생성되는 자기장이 구동자석(420, 520)을 통해 회수되는 구조이므로, 구동수단(400, 500)과 인접한 다른 구동수단 또는 카메라 모듈(10)과 인접한 다른 전자부품에 미치는 자계 영향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구동수단(400, 500)을 구성하는 구동코일(410, 510) 및 구동자석(420, 520)은 도 3에 도시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형태에 따른 구동수단(400, 500)은 복수의 구동코일(412, 512, 414, 514)과 단수의 구동자석(420, 520)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구동자석(420, 520)은 2개의 구동코일(412, 512, 414, 514)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자석(420, 520)은 4개 이상의 극성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자석(420, 520)은 S극, N극, S극, N극이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자석(420, 520)은 3개 이상의 극성 경계선(4202, 5202, 4204, 5204, 4206, 5206)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자석(420, 520)은 제1극성 경계선(4202, 5202), 제2극성 경계선(4204, 5204), 극성 경계선(4206, 5206)이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자석(420, 520)은 중앙에 형성된 극성의 길이와 최외각에 형성되는 극성의 길이가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자석(420, 520)의 중심에 형성되는 극성의 길이(Lmd)는 최외각에 형성되는 극성의 길이(Lmt)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로, 중심에 형성되는 극성의 길이(Lmd)는 최외각에 형성되는 극성의 길이의 합(Lmt+Lmt)과 같거나 클 수 있다.
구동코일(412, 512, 414, 514)은 구동자석(420, 520)의 중심에 형성되는 극성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412, 512)은 구동자석(420, 520)의 중심에 형성되는 N극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구동코일(414, 514)은 구동자석(420, 520)의 중심에 형성되는 S극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코일(412, 512, 414, 514)은 구동자석(420, 520)의 극성 경계선(4202, 5202, 4206, 5206)을 따라 연장되는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412, 512)의 일부분은 제1극성 경계선(4202, 5202)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구동코일(414, 514)의 일부분은 제3극성 경계선(4206, 5206)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구동코일(412, 512, 414, 514)의 다른 부분은 제2극성 경계선(4204, 5204)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나 제2극성 경계선(4204, 5204)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코일(412, 512, 414, 514)은 구동자석(420, 520)과 소정의 크기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412, 512, 414, 514)의 길이(Lc)는 구동자석(420, 520)의 길이(Lm)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달리 구동코일(412, 512, 414, 514)의 높이(hc)는 구동자석(420, 520)의 높이(hm)보다 클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구동수단(400, 500)은 복수의 구동코일(412, 512, 414, 514)과 다수의 극성이 형성된 구동자석(420, 520)이 마주하는 형태이므로, 강한 구동력을 통해 렌즈 모듈(20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전술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휴대용 전자제품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등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의 사용범위가 전술된 전자제품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현금인출기(ATM), 양방향 방송을 위한 텔레비젼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렌즈 배럴(160), 렌즈 모듈(200), 제1구동수단(300), 제2구동수단(400, 500)을 포함한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0)의 구성이 전술된 부재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기판(120), 요크(140), 위치감지센서(610, 620, 630), 볼 베어링(640, 650, 660), 덮개 부재(700), 보강 부재(810), 쉴드 캔(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상하면이 개방된 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대체로 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3개의 측면은 부분적으로 절개된 형태일 수 있다. 절개된 측면을 통해서는 제1구동수단(300) 및 제2구동수단(400, 500)의 구동력이 렌즈 모듈(200)로 전달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제1면의 내측에는 한 쌍의 제1안내 홈(10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안내 홈(102)은 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안내 홈(102)에는 제1볼 베어링(640)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렌즈 모듈(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광축 및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복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은 제1프레임(210), 제2프레임(220), 제3프레임(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은 상하 방향이 개방되고, 2개의 폐쇄된 측면과 2개의 개방된 측면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의 제1면에는 한 쌍의 제2안내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안내 홈(212)에는 제1볼 베어링(6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프레임(210)은 하우징(100)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프레임(210)은 제1볼 베어링(640)과 점 접촉 또는 선 접촉한 상태로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력은 제1구동 수단(3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의 안쪽 네 모퉁이에는 제1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214)은 길이방향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홈(214)은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홈(214)에는 제2볼 베어링(6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레임(220)은 상하 방향이 개방된 대체로 얇은 판 형태일 수 있다. 제2프레임(220)은 제1프레임(210)에 배치되며,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프레임(220)은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는 제2볼 베어링(650)에 의해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2프레임(220)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력은 제2구동 수단(4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2프레임(220)에는 제2홈(224)과 제3홈(22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홈(224)은 제2프레임(220)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3홈(226)은 제2프레임(2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224)은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홈(224)은 제1홈(214)과 함께 제2볼 베어링(65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3홈(226)은 광축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프레임(230)은 상하 방향이 개방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제3프레임(230)은 제2프레임(220)에 배치되어 광축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프레임(230)은 제2프레임(220)과 제3프레임(230) 사이에 배치되는 제3볼 베어링(660)에 의해 광축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3프레임(230)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력은 제2구동 수단(4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3프레임(230)의 하부에는 제4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4홈(234)은 광축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4홈(234)은 제3홈(226)과 함께 제3볼 베어링(66)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 배럴(160)은 제3프레임(230)과 결합할 수 있다. 렌즈 배럴(160)은 렌즈 모듈(200)에 의해 광축 방향 및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 배럴(160)은 제1프레임(210)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렌즈 배럴(160)은 제2프레임(220)과 제3프레임(230)에 의해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렌즈 배럴(160)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카메라 모듈(10)의 초점조정을 가능케 할 수 있고, 렌즈 배럴(160)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카메라 모듈(10)의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제1구동수단(300)은 렌즈 모듈(20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동수단(300)은 제1프레임(210)의 광축 방향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구동수단(300)은 제1구동코일(310)과 제1구동자석(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코일(310)은 하우징(100)의 제1면에 배치되고, 제1구동자석(320)은 제1프레임(210)의 제1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제1면과 제1프레임(210)의 제1면은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수단(400, 500)은 렌즈 모듈(200)을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구동수단(400, 500)은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의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구동수단(400, 500)은 제2구동코일(410, 510)과 제2구동자석(420, 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코일(410, 510)은 하우징(100)의 제2면 및 제3면에 각각 배치되고, 제2구동자석(420, 520)은 제3프레임(230)의 제2면 및 제3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하우징(100)의 제2면은 제3프레임(230)의 제2면과 마주하는 면이고, 하우징(100)의 제3면은 제3프레임(230)의 제3면과 마주하는 면이다.
카메라 모듈(10)은 구동수단(300, 400, 50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0)은 제1구동수단(300) 및 제2구동수단(400, 500)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20)은 제1구동코일(310)과 제2구동코일(410, 51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기판(120)은 제1구동코일(320)과 제2구동코일(410, 510)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20)은 하우징(100)의 제1면, 제2면, 제3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하우징(100)에 제1구동코일(320)과 제2구동코일(410, 510)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기판(120)의 일 측에는 요크(140)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모듈(20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복수의 위치감지센서(610, 620, 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치감지센서(610)는 렌즈 모듈(200)의 광축 방향의 이동변위를 감지하고, 제2위치감지센서(620) 및 제3위치감지센서(630)는 렌즈 모듈(200)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이동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610, 620, 630)는 구동수단(300, 400, 500)으로부터 생성되는 자기장의 크기를 감지하는 홀 센서(Hall sensor)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위치감지센서(610, 620, 630)의 형태가 홀 센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감지센서(610, 620, 630)는 구동코일(310, 410, 51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위치감지센서(610)는 제1구동코일(310)의 안쪽에 배치되고, 제2위치감지센서(620) 및 제3위치감지센서(630)는 제2구동코일(410, 510)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1프레임(210) 내지 제3프레임(230)의 결속을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을 제1프레임(210)에 결속시키기 위한 덮개 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 부재(700)는 제1프레임(210) 내지 제3프레임(230)이 적층된 상태에서 제1프레임(210)과 결합하여, 제1프레임(210)으로부터의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 부재(700)에는 완충 부재(83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700)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완충 부재(8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완충 부재(830)는 렌즈 모듈(200)과 쉴드 캔(900)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쉴드 캔(900)을 포함할 수 있다. 쉴드 캔(900)은 하우징(100), 렌즈 모듈(200), 및 덮개 부재(70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 전자파는 쉴드 캔(900)에 의해 침입 또는 방출이 차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의 이동 구조를 설명한다.
렌즈 모듈(200)을 구성하는 제1프레임(210),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 방향으로 적층 결합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은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은 제1프레임(2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 내지 제3프레임(230)의 사이에는 볼 베어링(650, 66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에는 제2볼 베어링(650)이 배치되고, 제2프레임(220)과 제3프레임(230) 사이에는 제3볼 베어링(66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 내지 제3프레임(230)에는 볼 베어링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프레임(210)의 상부에는 제1홈(214)이 형성되고, 제2프레임(22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2홈(224, 226)이 형성되고, 제3프레임(230)의 하부에는 제3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의 하부에 형성되는 홈(224, 234)의 길이는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의 이동방향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224)의 제1방향의 길이(WY2)는 제2방향의 길이(WX1)보다 크고, 홈(234)의 제2방향의 길이(WX2)는 홈(234)의 제1방향의 길이(WY1)보다 클 수 있다. 아울러, 홈(224)의 제1방향의 길이(WY2)는 홈(226, 234)의 제1방향의 길이(WY1)보다 크고, 홈(234)의 제2방향의 길이(WX2)는 홈(214, 224)의 제2방향의 길이(WX1)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프레임(220)은 제1방향의 홈(224)의 길이가 제1프레임(210)의 제1방향의 홈(214)의 길이보다 크므로, 제1프레임(21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3프레임(230)은 제2방향의 홈(234)의 길이가 제2프레임(220)의 제2방향의 홈(226)의 길이보다 크므로, 제2프레임(22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렌즈 모듈(200)과 구동 수단(300, 400, 500)의 배치 형태를 설명한다.
구동 수단(300, 400, 500)은 렌즈 모듈(200)을 중심으로 하우징(100)의 제1면 내지 제3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동수단(300)은 하우징(100)의 제1면 및 제1프레임(210)의 제1면에 배치되고, 제2구동수단(400)은 하우징(100)의 제2면 및 제3프레임(230)의 제2면에 배치되고, 제2구동수단(500)은 하우징(100)의 제3면 및 제3프레임(230)의 제3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구동수단(300, 400, 500)에 의해 광축 및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 모듈(200)은 제1구동수단(300: 310, 320)에 의해 광축(C-C)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렌즈 모듈(200)의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 중 하나 이상은 제2구동수단(400, 500: 410, 420, 510, 520)의 합력에 의해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구동 수단으로부터 생성되는 자기력에 의한 자계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의 구동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은 구동코일을 경유하여 구동자석으로 그대로 회수되는 경향을 가지므로, 이웃한 구동수단 또는 이웃한 전자부품에 미치는 자계간섭 및 자계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자계간섭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된 제2구동 수단(400, 5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2구동 수단(400, 500)은 구동코일(410, 510), 구동자석(422, 522),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코일(410, 510)은 구동자석(422, 522)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과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구동코일(410, 510)은 대체로 구동자석(422, 522)과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의 경계를 따라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은 구동자석(422, 522)의 양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보조자석(426), 구동자석(422), 보조자석(428)은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을 따라 구동자석(422, 522)과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자석(426), 구동자석(422), 보조자석(428)의 일면의 극성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극, S극, N극일 수 있다. 구동자석(422, 522)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은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극성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자석(422, 522)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의 제1극성 및 제2극성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구동 코일과 마주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은 구동자석(422, 522)과 소정의 크기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의 제1방향 길이(Lm2)는 구동자석(422, 522)의 제1방향 길이(Lm1)보다 작을 수 있다.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은 구동자석(422, 52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자석(426, 428, 526, 528)과 구동자석(422, 522)은 하나의 자성체에 하나 이상의 극성을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도 7의 (a) 및 (b)). 이와 달리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은 구동자석(422, 52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도 7의 (c)). 예를 들어, 보조자석(426, 428, 526, 528)과 구동자석(422, 522) 사이에는 물리적인 간격이 형성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극성이 없는 중립 영역(neutral region)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코일(410, 510)은 구동자석(422, 522)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과 소정의 크기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구동코일(410, 510)의 제1방향 길이(Lc1)는 구동자석(422, 522)의 제1방향 길이(Lm1)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의 제1방향 길이(Lm2)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코일(410, 510)의 제1방향 길이(Lc1)는 제1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구동자석(422, 522)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의 전체길이(Lm2+Lm1+Lm2)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구동코일(410, 510)의 외주면 높이(hc)는 구동자석(422, 522)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의 높이(hm)보다 클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구동코일(410, 510)의 내주면 높이(hch)는 구동자석(422, 522)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의 높이(hm)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코일(410, 510)은 구동자석(422, 522),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의 경계 및 구동자석(422, 5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므로, 구동자석(422, 522)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인력 및 척력이 작용하도록 자기장을 형성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2구동수단(400, 500)은 구동코일(410, 510), 구동자석(422, 522), 보조자석(426, 428, 526, 528)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이 구동코일(410, 510)의 권선 중심으로 집중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제2구동수단(400, 500)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자계간섭을 최소화사킬 수 있다.
구동 수단은 도 11에 도시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구동 수단(400, 500)은 구동코일(412, 414, 512, 514), 구동자석(422, 424, 522, 524),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코일(412, 414, 512, 514)은 구동자석(422, 424, 522, 524)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과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구동코일(412, 414, 512, 514)은 대체로 구동자석(422, 424, 522, 524)의 경계를 따라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412, 512)은 대체로 구동자석(422, 522)의 경계를 따라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고, 구동코일(414, 514)은 대체로 구동자석(424, 524)의 경계를 따라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자석(422, 424, 522, 524)은 제1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자석(422, 522)과 구동자석(424, 524)은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은 구동자석(422, 424, 522, 524)의 일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보조자석(426, 526)은 구동자석(422, 522)의 일 측에 배치되고, 보조자석(428, 528)은 구동자석(424, 524)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자석(422, 424, 522, 524)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은 제1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자석(426, 526), 구동자석(422, 522), 구동자석(424, 524), 보조자석(428, 528)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은 제1방향을 따라 구동자석(422, 424, 522, 524)과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자석(426), 구동자석(422), 구동자석(424), 보조자석(428)의 일면의 극성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극, N극, S극, N극일 수 있다. 구동자석(422, 424, 522, 524)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은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극성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자석(422, 424, 522, 524)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의 제1극성 및 제2극성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구동 코일과 마주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은 구동자석(422, 424, 522, 524)과 소정의 크기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의 제1방향 길이(Lm2)는 구동자석(422, 424, 522, 524)의 제1방향 길이(Lm1)보다 작을 수 있다.
구동코일(412, 414, 512, 514)은 구동자석(422, 424, 522, 524)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과 소정의 크기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구동코일(412, 414, 512, 514)의 제1방향 길이(Lc1)는 구동자석(422, 424, 522, 524)의 제1방향 길이(Lm1)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의 제1방향 길이(Lm2)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코일(412, 414, 512, 514)의 외주면 높이(hc)는 구동자석(422, 424, 522, 524)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의 높이(hm)보다 클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구동코일(412, 414, 512, 514)의 내주면 높이(hch)는 구동자석(422, 424, 522, 524) 및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의 높이(hm)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코일(412, 414, 512, 514)은 구동자석(422, 424, 522, 524), 보조자석(426, 428, 526, 528)의 경계 및 구동자석(422, 424, 522, 524)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므로, 구동자석(422, 424, 522, 524)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인력 및 척력이 작용하도록 자기장을 형성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2구동수단(400, 500)은 구동코일(412, 414, 512, 514), 구동자석(422, 424, 522, 524), 보조자석(426, 428, 526, 528)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이 이웃한 구동자석(422, 522) 및 보조자석(426, 526)을 통해 회수되는 구조이므로, 이웃한 전자부품이나 전자장치에 미치는 자계간섭을 최소화사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0)에 장착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 외 다른 카메라 모듈(12, 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 12, 14)은 일 방향을 따라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 14) 중 하나 이상은 초점조정 또는 손떨림 보정을 위한 구동수단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구동수단은 자석 및 코일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 12, 14)은 이웃한 카메라 모듈에 자계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계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므로, 카메라 모듈(12, 14)의 정확한 초점조정 및 손떨림 보정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카메라 모듈(12, 14) 사이에 배치되어 카메라 모듈(12)과 카메라 모듈(14) 간의 자계간섭을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 12, 14)의 배치집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0)은 하우징(100), 렌즈 배럴(160), 렌즈 모듈(200), 제1구동수단(300), 제2구동수단(400, 500)을 포함한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0)의 구성이 전술된 부재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기판(120), 요크(140), 위치감지센서(610, 620, 630), 볼 베어링(640, 650, 660), 덮개 부재(700), 보강 부재(810), 쉴드 캔(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상하면이 개방된 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대체로 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3개의 측면은 부분적으로 절개된 형태일 수 있다. 절개된 측면을 통해서는 제1구동수단(300) 및 제2구동수단(400, 500)의 구동력이 렌즈 모듈(200)로 전달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제1면의 내측에는 한 쌍의 제1안내 홈(10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안내 홈(102)은 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안내 홈(102)에는 제1볼 베어링(610)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렌즈 모듈(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광축 및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복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200)은 제1프레임(210), 제2프레임(220), 제3프레임(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은 상하 방향이 개방되고, 2개의 폐쇄된 측면과 2개의 개방된 측면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의 제1면에는 한 쌍의 제2안내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안내 홈(212)에는 제1볼 베어링(6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프레임(210)은 하우징(100)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프레임(210)은 제1볼 베어링(640)과 점 접촉 또는 선 접촉한 상태로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력은 제1구동 수단(3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의 안쪽 네 모퉁이에는 제1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214)은 길이방향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홈(214)은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홈(214)에는 제2볼 베어링(6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레임(220)은 상하 방향이 개방된 대체로 얇은 판 형태일 수 있다. 제2프레임(220)은 제1프레임(210)에 배치되며,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프레임(220)은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는 제2볼 베어링(650)에 의해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2프레임(220)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력은 제2구동 수단(4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2프레임(220)에는 제2홈(224)과 제3홈(22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홈(224)은 제2프레임(220)의 하부에 형성되고, 제3홈(226)은 제2프레임(2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224)은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홈(224)은 제1홈(214)과 함께 제2볼 베어링(65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3홈(226)은 광축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프레임(230)은 상하 방향이 개방되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제3프레임(230)은 제2프레임(220)에 배치되어 광축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프레임(230)은 제2프레임(220)과 제3프레임(230) 사이에 배치되는 제3볼 베어링(660)에 의해 광축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3프레임(230)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력은 제2구동 수단(4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3프레임(230)의 하부에는 제4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4홈(234)은 광축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4홈(234)은 제3홈(226)과 함께 제3볼 베어링(66)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 배럴(160)은 제3프레임(230)과 결합할 수 있다. 렌즈 배럴(160)은 렌즈 모듈(200)에 의해 광축 방향 및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 배럴(160)은 제1프레임(210)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렌즈 배럴(160)은 제2프레임(220)과 제3프레임(230)에 의해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렌즈 배럴(160)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은 카메라 모듈(10)의 초점조정을 가능케 할 수 있고, 렌즈 배럴(160)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카메라 모듈(10)의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제1구동수단(300)은 렌즈 모듈(20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동수단(300)은 제1프레임(210)의 광축 방향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구동수단(300)은 제1구동코일(310)과 제1구동자석(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코일(310)은 하우징(100)의 제1면에 배치되고, 제1구동자석(320)은 제1프레임(210)의 제1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제1면과 제1프레임(210)의 제1면은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수단(400, 500)은 렌즈 모듈(200)을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구동수단(400, 500)은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의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구동수단(400, 500)은 제2구동코일(410, 510)과 제2구동자석(420, 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코일(410, 510)은 하우징(100)의 제2면 및 제3면에 각각 배치되고, 제2구동자석(420, 520)은 제3프레임(230)의 제2면 및 제3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하우징(100)의 제2면은 제3프레임(230)의 제2면과 마주하는 면이고, 하우징(100)의 제3면은 제3프레임(230)의 제3면과 마주하는 면이다.
카메라 모듈(10)은 구동수단(300, 400, 50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0)은 제1구동수단(300) 및 제2구동수단(400, 500)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20)은 제1구동코일(310)과 제2구동코일(410, 51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기판(120)은 제1구동코일(320)과 제2구동코일(410, 510)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20)은 하우징(100)의 제1면, 제2면, 제3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하우징(100)에 제1구동코일(320)과 제2구동코일(410, 510)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기판(120)의 일 측에는 요크(140)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제1프레임(210) 내지 제3프레임(230)의 결속을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을 제1프레임(210)에 결속시키기 위한 덮개 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 부재(700)는 제1프레임(210) 내지 제3프레임(230)이 적층된 상태에서 제1프레임(210)과 결합하여, 제1프레임(210)으로부터의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 부재(700)에는 완충 부재(83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700)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완충 부재(8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완충 부재(830)는 렌즈 모듈(200)과 쉴드 캔(900)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쉴드 캔(900)을 포함할 수 있다. 쉴드 캔(900)은 하우징(100), 렌즈 모듈(200), 및 덮개 부재(70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 전자파는 쉴드 캔(900)에 의해 침입 또는 방출이 차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복수의 위치감지센서(610, 620, 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치감지센서(610)는 렌즈 모듈(200)의 광축 방향의 이동변위를 감지하고, 제2위치감지센서(620) 및 제3위치감지센서(630)는 렌즈 모듈(200)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이동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610, 620, 630)는 구동수단(300, 400, 500)으로부터 생성되는 자기장의 크기를 감지하는 홀 센서(Hall sensor)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위치감지센서(610, 620, 630)의 형태가 홀 센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감지센서(610, 620, 630)는 구동코일(310, 410, 51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위치감지센서(610)는 제1구동코일(310)의 안쪽에 배치되고, 제2위치감지센서(620) 및 제3위치감지센서(630)는 제2구동코일(412, 512)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자계간섭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된 제2구동 수단(400, 5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2구동 수단(400, 500)은 복수의 구동코일(412, 414, 512, 514)과 동수의 구동자석(422, 424, 522, 524)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코일(412, 414, 512, 514) 및 구동자석(422, 424, 522, 524)은 제1방향을 따라 각각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412, 512)은 구동자석(422, 522)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구동코일(414, 514)은 구동자석(424, 524)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코일(412, 414, 512, 514)은 대체로 구동자석(422, 522, 424, 524)의 경계 및 가장자리를 따라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412, 512)은 구동자석(422, 522)의 가장자리 및 구동자석(422, 522)과 구동자석(424, 524)의 경계를 따라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되고, 구동코일(414, 514)은 구동자석(422, 522)과 구동자석(424, 524)의 경계 및 구동자석(424, 524)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코일(412, 512)은 구동코일(414, 514)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412, 512)과 구동코일(414, 514)은 구동자석(422, 522)의 구동자석(422, 522)과 구동자석(424, 524)의 경계를 기준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구동코일(412, 414, 512, 514)은 구동자석(422, 522)과 구동자석(424, 524)의 경계에서 동일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코일(412, 414, 512, 514)은 구동자석(422, 424, 522, 524)과 소정의 크기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구동코일(412, 414, 512, 514)의 제1방향 길이(Lc1)는 구동자석(422, 424, 522, 524)의 제1방향 길이(Lm1)보다 크다. 다른 예로, 구동코일(412, 414, 512, 514)의 외주면 높이(hc)는 구동자석(422, 424, 522, 524)의 높이(hm)보다 크고, 구동코일(412, 414, 512, 514)의 내주면 높이(hch)는 구동자석(422, 424, 522, 524)의 높이(hm)보다 작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 카메라 모듈
100 하우징
120 기판
140 요크
200 렌즈 모듈
210 제1프레임
220 제2프레임
230 제3프레임
300 제1구동수단
310 제1구동자석
320 제1구동코일
400, 500 제2구동수단
410, 510 제2구동코일
420, 520 제2구동자석
610 제1위치감지센서
620 제2위치감지센서
630 제3위치감지센서
640 제1볼 베어링
650, 660 제2볼 베어링
700 덮개 부재
830 완충 부재
900 쉴드 캔

Claims (15)

  1. 렌즈 모듈을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자석;
    상기 구동자석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열되는 보조자석; 및
    일부분이 상기 구동자석 및 상기 보조자석의 경계를 따라 상기 광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동코일;
    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자석과 상기 보조자석은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자석의 제1극성 및 제2극성은 상기 구동자석과 상기 보조자석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자석의 상기 광축과 수직한 방향의 길이는 상기 구동자석의 상기 광축과 수직한 방향의 길이보다 작은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자석은 상기 구동자석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코일의 상기 광축과 수직한 방향의 길이는 상기 구동자석 및 상기 보조자석의 상기 광축과 수직한 방향의 전체길이보다 작은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의 높이는 상기 구동자석의 높이보다 큰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자석은,
    상기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구동자석 및 제2구동자석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자석의 상기 광축과 수직한 방향의 길이 및 상기 제2구동자석의 상기 광축과 수직한 방향의 길이는 각각 보조자석의 상기 광축과 수직한 방향의 길이보다 큰 카메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은,
    상기 제1구동자석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구동코일; 및
    상기 제1구동코일과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구동자석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구동코일;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렌즈 모듈을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제1구동자석;
    상기 제1구동자석과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제1구동자석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열되는 제2구동자석;
    상기 제1구동자석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제1구동코일; 및
    상기 제2구동자석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제2구동코일;
    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자석과 상기 제2구동자석은 상기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코일 및 상기 제2구동코일은,
    상기 제1구동자석 및 상기 제2구동자석 경계를 기준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코일의 제1방향 길이는 상기 제1구동자석의 제1방향 길이보다 큰 카메라 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코일 및 상기 제2구동코일은 상기 제1구동자석 및 상기 제2구동자석의 경계에서 동일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13. 렌즈 모듈을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각각 상기 광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극성 경계선 및 제2극성 경계선을 포함하는 구동자석; 및
    일부분이 상기 제1극성 경계선 및 상기 제2극성 경계선을 따라 광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동코일;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자석의 상기 제1극성 경계선과 상기 제2극성 경계선은 상기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자석의 길이는 상기 구동코일의 길이보다 큰 카메라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성 경계선으로부터 상기 제2극성 경계선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극성 경계선으로부터 상기 구동자석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큰 카메라 모듈.

KR1020200031170A 2020-03-13 2020-03-13 카메라 모듈 KR102311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170A KR102311694B1 (ko) 2020-03-13 2020-03-13 카메라 모듈
US17/069,304 US11665416B2 (en) 2020-03-13 2020-10-13 Camera module
CN202310820486.2A CN116679405A (zh) 2020-03-13 2020-12-23 相机模块
CN202310819326.6A CN116679404A (zh) 2020-03-13 2020-12-23 相机模块
CN202011539566.3A CN113467037B (zh) 2020-03-13 2020-12-23 相机模块
CN202023138676.7U CN213843644U (zh) 2020-03-13 2020-12-23 相机模块
KR1020210131806A KR102393471B1 (ko) 2020-03-13 2021-10-05 카메라 모듈
KR1020220052222A KR102505430B1 (ko) 2020-03-13 2022-04-27 카메라 모듈
US18/305,673 US20230262308A1 (en) 2020-03-13 2023-04-24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170A KR102311694B1 (ko) 2020-03-13 2020-03-13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806A Division KR102393471B1 (ko) 2020-03-13 2021-10-05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420A KR20210115420A (ko) 2021-09-27
KR102311694B1 true KR102311694B1 (ko) 2021-10-12

Family

ID=7700009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170A KR102311694B1 (ko) 2020-03-13 2020-03-13 카메라 모듈
KR1020210131806A KR102393471B1 (ko) 2020-03-13 2021-10-05 카메라 모듈
KR1020220052222A KR102505430B1 (ko) 2020-03-13 2022-04-27 카메라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806A KR102393471B1 (ko) 2020-03-13 2021-10-05 카메라 모듈
KR1020220052222A KR102505430B1 (ko) 2020-03-13 2022-04-2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665416B2 (ko)
KR (3) KR102311694B1 (ko)
CN (4) CN1166794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646A1 (ko) * 2021-10-22 2023-04-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안정화를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
WO2024058377A1 (ko) * 2022-09-15 2024-03-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8676B2 (ja) * 2020-12-21 2022-07-28 ジョウシュウシ レイテック オプ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撮像装置用防振機構、光学系、カメラ及び電子機器
TWI782787B (zh) * 2021-09-27 2022-11-0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相機模組、電子裝置與車輛工具
WO2024090968A1 (ko) * 2022-10-24 2024-05-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685B1 (ko) * 2014-04-11 2016-0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589B1 (ko) * 2004-02-18 2007-02-09 가부시끼가이샤시코기껜 렌즈 구동장치
JP4097087B2 (ja) 2005-04-13 2008-06-04 Tdk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アクチュエータと光ピックアップと光記録再生装置
US8041201B2 (en) * 2008-04-03 2011-10-18 Nokia Corporation Camera module having movable lens
US8817375B2 (en) * 2009-01-23 2014-08-26 Kenko Tokina Co., Ltd. Correction-lens-moving voice coil motor, anti-vibration device, interchangeable lens unit and optical apparatus
KR101200711B1 (ko) * 2011-02-24 2012-11-14 주식회사 하이소닉 카메라용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치가 장착된 소형 카메라
EP3413119A1 (en) * 2014-12-17 2018-12-12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KR102500987B1 (ko) * 2018-02-28 2023-02-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CN110312059A (zh) 2018-03-20 2019-10-08 力相光学股份有限公司 多镜头摄像模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685B1 (ko) * 2014-04-11 2016-0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646A1 (ko) * 2021-10-22 2023-04-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안정화를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
WO2024058377A1 (ko) * 2022-09-15 2024-03-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460A (ko) 2021-10-18
CN113467037B (zh) 2023-07-25
US20230262308A1 (en) 2023-08-17
KR102393471B1 (ko) 2022-05-03
CN213843644U (zh) 2021-07-30
CN113467037A (zh) 2021-10-01
CN116679404A (zh) 2023-09-01
US20210289111A1 (en) 2021-09-16
CN116679405A (zh) 2023-09-01
KR20220061075A (ko) 2022-05-12
US11665416B2 (en) 2023-05-30
KR102505430B1 (ko) 2023-03-03
KR20210115420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694B1 (ko) 카메라 모듈
KR102207902B1 (ko) 카메라 모듈
US8238736B2 (en) Optical unit with shake correcting function and photographic optical device
US10185156B2 (en) Optical unit with plate-shaped spring having meandering or curved parts
US7917023B2 (en) Lens driving apparatus with anti-shake mechanism
US9304325B2 (en) Lens driving device with an improved OIS coil structure
KR102357535B1 (ko) 카메라 모듈
KR20180116965A (ko) 카메라 모듈 엑추에이터
US10935808B2 (en) Electromagnetic driving module and lens driv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316052B1 (ko)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40314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047070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20190196138A1 (en) Camera module
KR102356804B1 (ko) 카메라 모듈
KR102473415B1 (ko) 카메라 모듈
KR20220130066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10317697B2 (en) Actuator and lens barrel with actuator
KR20220037429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50109894A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KR102632350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126169A (ko) 카메라 모듈
KR20210015401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20161996A (ko) Ois 카메라 모듈
KR20200033452A (ko) 렌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11142213A (zh) 透镜驱动装置、照相机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