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285B1 -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285B1
KR102311285B1 KR1020150035098A KR20150035098A KR102311285B1 KR 102311285 B1 KR102311285 B1 KR 102311285B1 KR 1020150035098 A KR1020150035098 A KR 1020150035098A KR 20150035098 A KR20150035098 A KR 20150035098A KR 102311285 B1 KR102311285 B1 KR 102311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owder
pressure
tio
composit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882A (ko
Inventor
이현석
김용진
이존환
이수진
최경호
최영진
박승한
최성욱
전대룡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03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285B1/ko
Priority to PCT/KR2016/002302 priority patent/WO2016148426A1/ko
Priority to US15/557,715 priority patent/US20180055742A1/en
Priority to CN201680015651.5A priority patent/CN107405290B/zh
Priority to JP2017548111A priority patent/JP6815328B2/ja
Priority to EP16765182.7A priority patent/EP3269351B1/en
Priority to TW105107444A priority patent/TWI699334B/zh
Publication of KR20160109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83Matrix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14By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4Coated by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1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smetic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압 점착성(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고분자가 화장료에 함유되는 무기분체의 표면에 고르게 피복되어 피부 밀착력이 향상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분체를 화장료에 적용하면, 감압 점착성(PSA) 고분자에서 기인되는 점착성(粘着性)이 발휘되어 피부 밀착력이 우수함은 물론, 이로 인해 커버력과 지속력이 향상되며, 유분산성이 양호하고, 피부 도포시 발림성이 우수하며, 사용감이 가볍고 산뜻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mplex Powder of Inorganic Powder Coated with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olyme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감압 점착성(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고분자가 무기분체의 표면에 피복된 복합분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압 점착성 고분자가 화장료에 함유되는 무기분체의 표면에 고르게 피복되어 피부 밀착력이 향상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은 피부의 결점을 보완해주고 눈과 입술을 강조하여 외모를 아름답게 표현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메이크업 화장료에 혼합된 성분 중에서 색료물질(Coloring material)들은 기미나 흔적을 감추어 피부를 건강하게 보이게 하고 매혹적인 색조를 갖게 하는데 이들 화장료에 사용되는 색료물질은 유기합성 착색제(Organic synthetic coloring agent)와 천연 색소(Natural color) 및 무기안료(Inorganic pigment)로 구분된다.
유기합성 착색제는 염료(Dye), 레이크(Lake) 및 유기안료(Organic pigment)로 분류된다. 염료는 물과 오일 및 알코올에 용해되는 화합물로서 발색단기(Chromophore)로 아조기(Azo group) 등을 가지고 있으며, 레이크는 수용성 염료에 불용성 금속염이 결합된 유형이다. 천연 색소는 식물과 동물 및 미생물에서 추출되는데 이들 물질은 합성 착색제보다 색의 발현이 약해서 식료품에 첨가물질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 안전성이 요구되는 의약품에 사용되면서 재조명되고 있다.
무기안료는 착색안료(Coloring pigment), 백색안료(White pigment), 체질안료(Extender pigment) 및 진주광택안료(Pearlescent pigment) 등으로 분류된다. 착색안료는 화장료에 색상을 부여하고 백색안료는 피부의 커버력(Covering power)을 조절한다. 체질안료는 착색안료의 희석제로서 색조를 조정하고 제품의 전연성(Spreadability), 밀착성(Adhesion) 등 사용 감촉과 제품의 제형화에 큰 역할을 한다. 또한, 진주광택안료는 색상에 진주광택을 주며, 홍채색 또는 금속 광채를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특수한 광학적 효과를 갖고 있는 안료이다.
통상 화장료에 포함되는 체질안료는 탈크(Talc), 카올린(Kaolin), 실리카(Silica), 활석, 세리사이트(Sericite),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탄산마그네슘(Magnesium carbonate), 무수규산(Silicic acid anhydride) 등이 있으며, 색의 농도 조절 및 제형의 퍼짐성, 감촉 등을 조절한다. 백색안료는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산화아연(Zinc oxide)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카올린, 탈크, 실리카, 이산화티탄은 백색을 띄면서 피부의 발림성과 부착성 및 피부 커버력을 유지시키는 분체(Powder)로서 화장료의 기본 구성성분이다.
메이크업 화장료에 사용되는 분체는 밀착력, 은폐력, 발림성, 퍼짐성, 흡습성, 흡유성 및 피부친화성 등이 요구되며, 2종 이상의 분체를 혼합 또는 피복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예컨대, 이산화티탄과 같은 무기계 안료는 밀착력, 은폐력 등은 우수한 반면, 발림성과 퍼짐성 등의 사용감이 부족하므로, 이를 보완하고자 이산화티탄을 실리카로 소정 비율 피복하여 무기 복합분체를 제조함으로써 양호한 은폐력 및 광굴절율 차이 등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피복 무기 복합분체는 실제로 피부 도포시 피부 및 외부 조건에 있어서의 안정성, 밀착력, 사용감 및 지속성 등에 있어서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방안으로서는, 실리콘 화합물, 불소 화합물, 금속 비누, 고급 알코올, 지방산, 아미노산의 금속염, 레시틴 등의 표면 처리제를 이용하여 발수 처리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도 실리콘 화합물 또는 아미노산 금속염을 이용한 표면 처리법이 일반적이고, 최근에는 이 두가지 방법을 병용하는 표면처리법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지방산, 금속 비누 및, 금속염 등에 의한 표면 처리 피복 분체는 피부에 대한 부착력과 촉촉한 사용감은 양호하지만, 실리콘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분체에 비해 내수성이 떨어지고 피부 도포시 다소 거친 느낌이 드는 등 전연성이 부족하며, 또한 금속염이 미세 입자 상태로 분체 표면에 흡착되어 있으므로 표면 개질 상태의 안정성이 열등하여 금속염의 분리 현상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다른 실리콘계 원료와의 병용(倂用)시 색상 표현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95233호 "발수 및 발유와 도포 균일성이 향상된 복합화 안료를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는 화장시에 얼굴의 가장 바깥면에 도포하는 것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피부 밀착력이 요구되고 있다.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유상성분 중에 경도가 높은 오조케라이트(Ozokerite), 카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비즈왁스(Beeswax) 등 왁스의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점증제 역할을 하는 유기 폴리머나 무기 점증제 또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점증제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유상성분 중에 왁스 또는 점증제의 함량을 높이게 되면, 전체 부피에 대하여 유상성분 중 결정을 형성한 제형의 밀도가 높아져 유동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는 메이크업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 시 발림성 및 퍼짐성이 저하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고 사용감이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점착성(粘着性)이 발휘되는 고분자인 감압 점착성(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고분자가 무기분체 표면에 분산중합의 방법으로 고르게 피복된 복합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조한다. 이때 감압 점착성(PSA) 고분자는 2종 이상 조합할 수 있으며, 유리전이온도(Tg) 차이와 함량비를 조절하여 적용한다.
첫째, 본 발명의 감압 점착성(PSA) 고분자가 무기분체 표면에 피복된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는 도포 및 흡수 수단(예컨대, 손 또는 퍼프)으로 가압시, 감압 점착성(PSA) 고분자에서 기인되는 점착성(粘着性)이 발휘되어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며, 이로 인해 커버력과 지속력이 향상된다.
둘째, 본 발명의 감압 점착성(PSA) 고분자가 무기분체 표면에 피복된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는 유분산성이 양호하고, 피부 도포시 발림성이 우수하며, 사용감이 가볍고 산뜻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분체 제조방법으로서, 분산중합에 의해 무기분체의 표면을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피복시키는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의 표면을 확대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의 경도계를 이용한 점착성 테스트 실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의 점착성 테스트 결과를 도시화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의 레오미터를 이용한 점탄성 테스트 실시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의 점탄성 테스트 결과를 도시화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감압 점착성(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고분자가 무기분체의 표면에 피복된 복합분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압 점착성 고분자가 화장료에 함유되는 무기분체의 표면에 고르게 피복되어 피부 밀착력이 향상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감압 점착성(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고분자란, 압력 민감성 고분자로서 점착면에 접착시키기 위한 압력이 가해질 때 점착성(粘着性)이 발휘되는 고분자이다. 이러한 원리에서 착안하여, 메이크업 화장료의 도포 및 흡수 과정에서 가압시, 감압 점착성(PSA) 고분자에서 기인되는 점착성을 이용하여 화장료의 피부 밀착력을 발생시키고자, 메이크업 화장료에 적용되는 무기분체 표면을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피복시키는본 기술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무기분체의 표면에 피복되는 감압 점착성 고분자에는 특별히 그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 vinyl pyrrolid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아스파틱산(PAA: Polyaspartic Acid), 폴리-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P2HEMA: Poly-2-hydroxy ethyl methacrylate), 폴리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PSMA: poly stearyl methacrylate), 폴리-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P2HPMA: Poly-2-hydroxy propyl methacrylate),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PBMA: Poly n-butyl methacrylate),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PEA: Poly ethyl acrylat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BA: Poly butyl acrylate), 폴리-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P2EHA: Poly-2-ethyl hexyl acrylate)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무기분체는 상기 무기분체는 이산화티탄(TiO2: Titanium dioxide), 산화아연(Zinc oxide), 세리사이트(Sericite) 및 산화철(Iron oxide)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탄(TiO2)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경우에 따라 감압 점착성 고분자를 2종 이상 조합 적용하여 점착성을 높이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감압 점착성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Tg)가 낮으면 가소성이 증가하여 초기 점착력이 향상되며, 감압 점착성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Tg)가 높으면 유동성으로 인한 발림성 및 사용감을 높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무기분체 표면이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피복된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시, 점착력으로 인한 밀착력과 유동성으로 인한 발림성 및 사용감을 상호 보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서 무기분체의 표면을 피복하는데 적용될 수 있는 감압 점착성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Tg)를 나타낸다.

PSA 고분자

유리전이온도(Tg)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Poly vinyl pyrrolidone)

150℃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105℃
폴리스티렌
(PS: Polystyrene)

95℃
폴리아스파틱산
(PAA: Polyaspartic Acid)

87℃
폴리-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P2HEMA: Poly-2-hydroxy ethyl methacrylate)

55℃
폴리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PSMA: poly stearyl methacrylate)

38℃
폴리-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P2HPMA: Poly-2-hydroxy propyl methacrylate)

26℃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PBMA: Poly n-butyl methacrylate)

15℃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PEA: Poly ethyl acrylate)

-23℃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PBA: Poly butyl acrylate)

-50℃
폴리-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P2EHA: Poly-2-ethyl hexyl acrylate)

-70℃
상기 표 1의 감압 점착성 고분자 중에서 유리전이온도(Tg)가 100℃ 이상 차이가 나는 2종의 조합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기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PBMA)와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의 조합(PBMA+PVP),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BA)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의 조합(PBA+PMMA) 및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BA)와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의 조합(PBA+PVP)을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감압 점착성 고분자를 무기분체 표면에 고르게 피복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복합분체는 분산중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은 분산중합에 의해 무기분체의 표면을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피복시키는 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설명도로서, 무기분체인 이산화티탄(TiO2)을 용매에 분산시킨 후, 염산(HCl) 및 메타크릴산(MAA: Methacrylic acid)을 첨가하여 이산화티탄(TiO2) 표면의 쌍극자 전위(Dipole moment)를 '+'로 형성하여, 중합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Azobisisobutyronitrile)을 결합시켜, 감압 점착성 고분자의 단량체를 첨가하여 이산화티탄(TiO2)의 표면에서 중합하여 피복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를 구현하기 위한 제조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용 및 변형 등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복합분체 및 화장료 제형 제조
(1) 복합분체 제조
단량체의 종류 및 함량를 달리하여 하기 표 2에 제시된 구성으로 13종의 복합분체를 분산중합으로 제조하였다.

무기분체

감압 점착성 고분자
P1 TiO2 PMMA 3%
P2 TiO2 PBMA 3%
P3 TiO2 PSMA 3%
P4 TiO2 PVP 3%
P5 TiO2 PMAA 3%
P6 TiO2 PMMA 4% PVP 1%
P7 TiO2 PBMA 4% PVP 1%
P8 TiO2 PBA 2% PVP 2%
P9 TiO2 PBA 3% PMMA 1%
P10 TiO2 PBA 2% PMMA 2%
상기 표 2의 구성 중 복합분체 P8의 제조공정은 하기와 같으며, P8 이외의 복합분체도 같은 방법으로 수득하되, 5) 단계 공정에서의 단량체를 달리할 수 있다.
1) 이중 재킷 반응기를 설치하고, 오버헤드스터러(Overhead stirrer)를 사용하여 순환수조를 연결한 후, 온도를 70℃로 설정하고 콘덴서(Condenser)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준다. 셉텀(Septum)을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와 차단한다.
2) 메탄올 157g + 증류수 67g을 반응기에 추가하여 분산액을 제조한다.
3) 메탄올 100g + HCl 100㎕에 이산화티탄(TiO2, CR-50, 선진화학) 24g을 초음파(5초 on/5초 off)를 이용하여 5분간 분산시킨 후, 얼음 수조를 이용하여 온도가 상승하지 않게 한다.
4) 3)에서 제조된 이산화티탄(TiO2) 분산액을 반응기에 추가한다.
5) N-비닐피롤리돈(N-vinyl pyrrolidone) 1.2g + 부틸 아크릴레이트(BA: Butyl acrylate) 1.2g의 단량체에 중합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Azobisisobutyronitrile) 0.024g을 추가한 후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6) 반응기의 온도가 70℃ 로 상승하면 상기 5)의 단량체 혼합물을 한 방울씩 반응기의 벽면에 닿지 않도록 주사기를 사용하여 추가한다.
7) 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생성물을 회수한다.
도 2는 상기 PVP 및 PBA가 1 : 1의 중량비로 표면에 중합되어 피복된 이산화티탄(TiO2) 복합분체(P8)의 표면을 확대한 이미지이다. 감압 점착성 고분자인 PVP 및 PBA의 두께는 최소 1.6nm에서 최대 5.5nm까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2)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제조
상기 표 2의 복합분체 P1 ~ P10를 함유하는 파운데이션 제형을 동일성분으로 제조하였으며, P11 ~ P13은 기존의 파운데이션에 함유된 이산화티탄(TiO2) 무기분체로서, 이산화티탄(TiO2)를 제외한 나머지 전성분은 동일하다.

무기분체

상품명
P11 TiO2 OTS-2 TiO2 CR50
P12 TiO2 LTS-TiO2 R250
P13 TiO2 NAI PFC-407
2. 항목별 평가
(1) 밀착력 테스트
하기 표 4는 상기 제조된 13종의 파운데이션에 대한 밀착력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비교표이다. 밀착력 평가는 10명의 전문 패널들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평가 방식은 전박에 0.4 X 1.5cm의 셀을 그려 내용물 40㎕이 완전히 밀착될 때까지의 롤링 횟수를 세어 평가하였다.

무기분체

고분자

밀착력 평가
(10점)

사용감 특징
P1 TiO2 PMMA 3% 4점
묵직함
잔여감
P2 TiO2 PBMA 3% 7점
P3 TiO2 PSMA 3% 8점
P4 TiO2 PVP 3% 7점
가볍게 밀착
P5 TiO2 PMAA 3% 5점
P6 TiO2 PMMA 4% PVP 1% 7점
묵직함
P7 TiO2 PBMA 4% PVP 1% 4점
P8 TiO2 PBA 2% PVP 2% 9점 가볍게 밀착
P9 TiO2 PBA 3% PMMA 1% 5점
묵직함
P10 TiO2 PBA 2% PMMA 2% 5점
P11 TiO2 OTS 2% 2점 가볍게 밀착
잔여감 없음
밀착력 부족
P12 TiO2 lecithin 2% 4점
P13 TiO2 disodium stearoyl glutamate 5% 3점
상기 표 4의 결과 본 발명의 제조실시예인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표면이 피복된 이산화티탄(TiO2)을 포함하는 파운데이션 P1 ~ P10이 기존의 파운데이션 P11 ~ P13에 비해 전반적으로 밀착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밀착력 평가 후 패널 대상으로 잔여감 항목에 대해 설문 실시 결과, PSMA를 포함하는 제형(P3)이 잔여감이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뒤이어 PBMA와 PMMA를 포함하는 제형(P1 및 P2)이 잔여감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이들의 단독 사용은 제품 처방에 부적절하다. 반면 PVP를 포함하는 제형(P4)은 가볍고 산뜻한 느낌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가벼우면서 밀착력이 가장 우수한 제형은 PBA와 PVP를 1:1 질량비로 포함하는 제형(P8)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2) 유분산성 테스트
온도 조절이 가능한 쉐이킹 인큐베이터에서 일주일 동안의 안정도를 측정하였다. 한번의 온도 사이클은 -10℃, 30℃, 45℃로서 각 8시간씩 돌며 진행되었고, 1일 1사이클로 7일을 측정하여 오일 분리, 유화 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지 측정하였다. P1 내지 P13을 포함하는 제형에 대해서 총 5회의 데이터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제형이 모두 유분산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점착성 테스트
보다 객관적인 테스트를 위해 점착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도 3 및 도 4는 경도계를 이용한 점착력 테스트 실시 이미지 및 테스트 결과를 도시화한 데이터이다. 종래의 P11 분체를 함유한 제형과, 본 발명의 P8 복합분체를 함유한 제형을 대상으로 Distance: 4.720mm, Force: 1176.000g, Time: 2.360sec 조건에서 실시되었으며, 테스트 결과 본 발명의 P8 복합분체를 함유한 제형이 종래의 P11 분체를 함유한 제형에 비해 점착력이 5N 정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4) 점탄성 테스트
도 5 및 도 6은 레오미터(Rheometer)를 이용한 점탄성 테스트 실시 이미지 및 테스트 결과를 도시화한 데이터이다. 종래의 P11 분체를 함유한 제형과, 본 발명의 P8 복합분체를 함유한 제형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본 발명의 P8 복합분체를 함유한 제형이 종래의 P11 분체를 함유한 제형에 비해 G˚(저장탄성률)이 더 작게 측정되어 흐름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피부에 제형 도포시 발림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3. 결론
본 발명의 PBA와 PVP를 1:1 질량비로 표면이 피복된 이산화티탄(TiO2)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제형은 종래의 단순 이산화티탄(TiO2) 무기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제형에 비해 밀착력 및 발림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의 제형은 액상의 파운데이션으로 제조되었으나,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파우더 팩트, 투웨이케익, 파우더 파운데이션,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컨실러, BB 크림, CC 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프라이머, 아이섀도우, 블러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임을 명확히 한다.

Claims (8)

  1. 감압 점착성(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고분자로 무기분체 표면이 피복되고,
    상기 감압 점착성 고분자는 N-비닐피롤리돈과 부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인 복합분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분체는 이산화티탄(TiO2: Titanium dioxide), 산화아연(Zinc oxide), 세리사이트(Sericite) 및 산화철(Iron oxide)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분체.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비닐피롤리돈과 부틸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분체.
  7. 제1항, 제3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8. 감압 점착성 고분자(PSA)로 무기분체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를 분산 중합(Dispersion polymerization)에 의해 제조하고,
    상기 감압 점착성 고분자는 N-비닐피롤리돈과 부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인 제1항에 따른 복합분체 제조방법.



KR1020150035098A 2015-03-13 2015-03-13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1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098A KR102311285B1 (ko) 2015-03-13 2015-03-13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6/002302 WO2016148426A1 (ko) 2015-03-13 2016-03-08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5/557,715 US20180055742A1 (en) 2015-03-13 2016-03-08 Composite powder having surface of inorganic powder covered with pressuesensitive adhesive polyme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201680015651.5A CN107405290B (zh) 2015-03-13 2016-03-08 无机粉体表面涂覆压敏粘合剂聚合物的复合粉体、含该复合粉体的化妆品组合物及制备方法
JP2017548111A JP6815328B2 (ja) 2015-03-13 2016-03-08 感圧粘着性高分子で無機粉体の表面が被覆された複合粉体、これを含む化粧料組成物及びこの製造方法
EP16765182.7A EP3269351B1 (en) 2015-03-13 2016-03-08 Composite powder having surface of inorganic powder covered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yme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TW105107444A TWI699334B (zh) 2015-03-13 2016-03-11 塗覆有壓感黏合性高分子的無機粉末的複合粉體、含有其的化妝品組成物及其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098A KR102311285B1 (ko) 2015-03-13 2015-03-13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882A KR20160109882A (ko) 2016-09-21
KR102311285B1 true KR102311285B1 (ko) 2021-10-13

Family

ID=5691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098A KR102311285B1 (ko) 2015-03-13 2015-03-13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055742A1 (ko)
EP (1) EP3269351B1 (ko)
JP (1) JP6815328B2 (ko)
KR (1) KR102311285B1 (ko)
CN (1) CN107405290B (ko)
TW (1) TWI699334B (ko)
WO (1) WO20161484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073B1 (ko) * 2018-11-29 2024-04-1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압 점착성 고분자가 표면 코팅된 복합 실리카 입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9205B2 (ja) * 1999-08-04 2007-08-1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粉体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6855A (en) * 1995-12-22 1999-03-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itable for skin and method of preparing
FR2832719B1 (fr) * 2001-11-29 2004-02-13 Oreal Copolymeres ethyleniques sequences adhesifs, compositions cosmetiques les contenant, et utilisation de ces copolymeres en cosmetique
US20050186165A1 (en) * 2003-11-18 2005-08-25 Estelle Mathonneau Cosmetic composition based on a cosmetically active compound and a gel comprising at least one crosslinked network of crosslinked polymer particles
DE102004020767A1 (de) * 2004-04-27 2005-11-24 Basf Ag Oberflächenmodifizierte Metalloxide,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in kosmetischen Zubereitungen
KR100795233B1 (ko) 2006-11-30 2008-01-17 (주)아모레퍼시픽 발수 및 발유와 도포 균일성이 향상된 복합화 안료를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2110415A1 (de) * 2008-04-18 2009-10-21 Nanoresins AG Anorganische Nanopartikel und damit hergestellte Polymerkomposite
US20090317451A1 (en) * 2008-08-26 2009-12-24 Hauser Ray L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skin surface and/or transdermal substance delivery
JP5456388B2 (ja) * 2009-07-03 2014-03-26 株式会社日本触媒 化粧料用紫外線カット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9205B2 (ja) * 1999-08-04 2007-08-1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粉体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9351A4 (en) 2018-01-31
JP6815328B2 (ja) 2021-01-20
CN107405290A (zh) 2017-11-28
EP3269351B1 (en) 2020-11-18
KR20160109882A (ko) 2016-09-21
CN107405290B (zh) 2020-12-22
TW201714831A (zh) 2017-05-01
TWI699334B (zh) 2020-07-21
US20180055742A1 (en) 2018-03-01
WO2016148426A1 (ko) 2016-09-22
EP3269351A1 (en) 2018-01-17
JP2018513844A (ja)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8749B (zh) Solid powder cosmetic
EP1867664B1 (en) Cosmetic for eyelash
JP2014122236A (ja) ポリマー系色素含有インク
CN102333518B (zh) 含有含环烷基的丙烯酸系共聚物的彩妆化妆品
KR20180046423A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396A (ko) 양이온성 중합체와 양이온성 중합체로 코팅된 분체를함유하는 볼륨 마스카라 조성물
JP2005170940A (ja) パーソナルケアー用途での防水剤としてのアクリレートコポリマーの使用
JP2007269729A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KR102311285B1 (ko) 감압 점착성 고분자로 무기분체의 표면이 피복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299294B2 (ja) 水系アイライナー組成物
JP7081784B2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5898417B2 (ja) シート状化粧料の製造方法
JP5700782B2 (ja) 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2015199702A (ja) 人工爪被覆用組成物
JP4836638B2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4072211B2 (ja) 立体感付与粉体化粧料
KR102575779B1 (ko)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6003988A1 (en) Water-based color compositions
KR20200112067A (ko) 비수계 분산액,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60143822A1 (en) Eyelash ornament cosmetic
JP6474602B2 (ja) 油性化粧料
CN114173748A (zh) 同时具有优异的拒水和拒油特性的聚合物被膜剂以及包含其的具有优异的妆容持久性的化妆料组合物
JP2001278744A (ja) アイメ−キャップ化粧料
JP2004352656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