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176B1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176B1
KR102310176B1 KR1020170079494A KR20170079494A KR102310176B1 KR 102310176 B1 KR102310176 B1 KR 102310176B1 KR 1020170079494 A KR1020170079494 A KR 1020170079494A KR 20170079494 A KR20170079494 A KR 20170079494A KR 102310176 B1 KR102310176 B1 KR 102310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sound
display panel
dispose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0462A (en
Inventor
송문봉
채기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9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176B1/en
Publication of KR20190000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4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1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표시 패널의 전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부재를 포함하고, 음향 출력 부재는 투명하게 구현됨으로써, 표시 장치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표시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t least one sound output memb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via an adhesive member, wherein the sound output member is implemented to be transparen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immersion of a viewer watching the image of the display device by matching the location of the image and the sound of the device.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sound.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 장치(Display Device)가 개발되고 있다.Recently, as we enter the information age, the field of display that visually expresses electrical information signals has developed rapidly, and in response to this, various display devices with excellent performance such as thinness, weight reduction, and low power consumption have been developed. is being developed

이와 같은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계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such a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and the like. have.

이 중, 액정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소 영역에 있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배열 상태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Among them, the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es an array substrate including thin film transistors, an upper substrate including a color filter and/or a black matrix, and a liquid crystal layer between the array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liquid crystal lay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electric field applied between two electrodes in the pixel area, and the transmittance of ligh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to display an image.

그리고, 유기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 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으므로 널리 주목받고 있다.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a self-light emitting device, and has been receiving widespread attention because it has advantages of fast response speed, luminous efficiency, luminance, and viewing angle compared to other display devices.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에 모두 화상을 표시하지만,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해야 한다. 표시 장치에 스피커를 설치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의 진행 방향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의 전면이 아닌 후면 또는 표시 패널의 아래쪽이 되므로, 표시 패널의 전면에서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소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In general, a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on a display panel, but a separate speaker needs to be installed in order to provide sound. When a speaker is installed in the display device, the sound generated through the speaker is directed toward the viewer viewing the image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because the direction of sound generated through the speaker is on the back or the bottom of the display panel instead of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There is a problem that interferes with the immersion of the viewer watching the video because it does not proceed.

그리고,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가 표시 패널의 후면 또는 표시 패널의 아래쪽으로 진행하므로, 벽 또는 바닥에서 반사되는 소리와의 간섭으로 인해서 음질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Also, since the sound generated through the speaker proceeds toward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panel or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panel, there is a problem in that sound quality deteriorates due to interference with sound reflected from the wall or floor.

그리고, TV 등과 같은 세트 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구성할 경우,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 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a speaker included in a set device such as a TV is configured, the speaker occupies a certain space, thereby limiting the design and space arrangement of the set device.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표시 패널의 전면에서 영상을 시청할 시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 패널의 전면이 될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러 실험을 거쳐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표시 장치를 구현하였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recognized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when viewing an image from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panel, the direction of sound can be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various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which the sound quality can be improved. . Through several experiments, a new structure of a display device that can generate sound so that the sound travel direction is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and improve the sound quality was implemented.

본 출원은 표시 패널의 전면 방향으로 음향이 출력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sound in a front direction of a display panel.

본 출원은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현실감 및 몰입감을 극대화시키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maximizes a sense of reality and immersion by matching the generation positions of images and sounds.

본 출원은 표시 패널의 영역 외에 스피커가 별도로 배치되는 공간을 생략하여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키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improves design aesthetics by omitting a space in which a speaker is separately disposed other than the area of the display panel.

본 출원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표시 패널의 전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부재를 포함하며, 음향 출력 부재는 투명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and at least one sound output memb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hrough an adhesive member, and the sound output member may be transparent.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상에 배치되어 음향을 출력하며,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부재, 및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있는 파티션을 포함할 수 있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displays an image, is disposed on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o output a sound, and includes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It may include one sound output member, and a partition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기타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example specific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표시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generate the sound so that the sound travel direction is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Accordingly, the immersion feeling of a viewer viewing the image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improved by matching the image and sound generation positions of the display device.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압전 소자를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스피커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피커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세트 장치의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comprises a piezoelectric element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here is no need to configure a separate speaker, thereby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for the arrangement of the speaker and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design of the set device. .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전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 사이에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파티션에 의하여 음향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스테레오 음향 구현이 가능하며,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forms a partition between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so that sound can be separated by the partition, thereby realizing stereo sound and improving sound output characteristics. can do it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손상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member for protecting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thereby preventing damage and mal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Since the conten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problems to be solved above,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and the effects do not specify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claims, the scope of the claims is not limit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ontent of the invention.

도 1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절단선 Ⅱ-Ⅱ'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절단선 Ⅲ-Ⅲ'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출력 부재의 진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출력 부재와 연결되는 배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절단선 Ⅳ-Ⅳ'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출력 부재 상에 배치되는 보호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모듈을 표시 기판 상에 접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출력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파티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출력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A .
2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2A.
3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3A.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vibrations of a sound output member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5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iring connected to a sound output member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5A.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tection member disposed on a sound output member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display module is bonded to a display substrate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8A and 8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tition disposed between sound output members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driving circuit unit for driving a sound output member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xample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appl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 which the plural is included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mmediately' or 'directly' when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with 'after', 'following', 'after', 'before', etc. It may include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unless this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each component may be “interposed” or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본 출원에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협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display)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display),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device)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device)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in a narrow sense, such as a liquid crystal module (LCM) including a display panel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OLED module). . And, the LCM, a finished product (complete product or final product) including an OLED module, a notebook computer, a television, a computer monitor, an automotive device (automotive display) or other types of vehicles (vehicle) including equipment (equipment) Display), a set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n electronic pad, or a set device or set apparatus may also be included.

따라서, 본 출원에서의 표시 장치는 LCM, OLED 모듈 등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 및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용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narrow display device itself, such as an LCM, an OLED module, etc., and an application product including an LCM, an OLED module, or the like, or a set device, which is an end-user device.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 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협의의 "표시 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 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협의의 표시 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의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 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In some cases, an LCM or OLED module composed of a display panel and a driving unit may be expressed as a narrow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as a finished product including the LCM and OLED module may be expressed as a "set device". . For example, a narrow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LCD) or organic light emitting (OLED) display panel, and a source PCB that is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and the set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PCB and the set device It may be a concept that further includes a set PCB, which is a se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whole.

본 예에 사용되는 표시 패널은 액정표시 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 패널, 및 전계발광 표시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예의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정한 표시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표시 패널은 표시 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As the display panel used in this example, any type of display panel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an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may be used.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display panel capable of generating sound by being vibrated by the sound generating device.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used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r size of the display panel.

예를 들면, 표시 패널이 액정표시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play panel i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t includes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data lines, and pixels formed at intersections of gate lines and data lines. In addition, an array substrate including a thin film transistor as a switching element for controlling light transmittance in each pixel, an upper substrate including a color filter and/or a black matrix, and the like, and a liquid crystal layer formed between the array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It may be composed of

그리고, 표시 패널이 유기전계발광(OLED) 표시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panel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OLED) display panel,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data lines, and pixels formed at intersections of the gate lines and the data lines. In addition, an array substrate including a thin film transistor which is a device for selectively applying a voltage to each pix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layer on the array substrate, and an encapsulation substrate disposed on the array substrate to cov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ayer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ncapsulation substrate or the like. The encapsulation substrate may protect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ayer from external impact, and may prevent penetration of moisture or oxygen in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ayer. In addition, the layer formed on the array substrate may include an 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for example, a nano-sized material layer.

그리고, 표시 패널은 표시 패널에 부착되는 금속판(metal plate)과 같은 후면(back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may further include a backing such as a metal plate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It is not limited to the metal plate, and other structures may be included.

본 출원에서 표시 패널은 자동차(automobile)에서의 중앙통제패널(central control panel)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user interface module)로 차량(vehicle)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표시 패널은 표시 패널의 진동이 차량의 내부를 향하여 전파되도록 두 개의 앞좌석들의 탑승자들(occupants) 사이에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에서의 오디오 경험은 차량 내부의 측면(interior sides)에서만 스피커를 갖는 것에 비하여 개선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isplay panel may be applied to a vehicle as a user interface module such as a central control panel in an automobile. For example, such a display panel may be implemented between occupants of two front seats so that vibration of the display panel is propagated towar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us, the audio experience in the vehicle can be improved compared to having speakers only on the interior sides of the vehicle.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example may be independently implemen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예를 통해 본 출원의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xamples.

도 1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FIG. 1A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A .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접착 부재(200), 및 음향 출력 부재(300)를 포함한다.1A and 1B ,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 an adhesive member 200 , and a sound output member 300 .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표시 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 패널, 및 전계발광 표시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 모든 형태의 표시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0 displays an image, and may be implemented as any type of display panel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an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have.

접착 부재(200)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의 일부에 배치되고, 투명성을 가진다. 접착 부재(200)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과 음향 출력 부재(300)의 후면을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 부재(200)는 음향 출력 부재(300)의 개수, 크기, 및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200)가 복수 개로 구현되는 경우, 복수의 접착 부재들(200)은 서로 이격되고, 서로 다른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접착 부재(200)의 접착력은 음향 출력 부재(300)의 형상, 크기, 재질, 위치, 및 음향 특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200)는 광 투과율이 우수한 투명성 접착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200)는 접착 필름(Adhesive Film) 또는 광 투명 접착제(OCA, Optical Cleard Adhesive), 광 투명 레진(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일 수 있다.The adhesive member 200 is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has transparency. The adhesive member 200 may adhere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to the rear surface of the sound output member 300 . The adhesive members 20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size, and position of the sound output members 300 . When a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200 are implemented, the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have different adhesive strengths.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20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hape, size, material, location,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output member 300 . According to an example, the adhesive member 200 may be implemented with a transparent adhesive material hav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For example, the adhesive member 200 may be an adhesive film or an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an optically clear resin (OCR), or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음향 출력 부재(300)는 투명성을 가지고, 접착 부재(200)를 매개로 하여 표시 패널(100)의 전면의 일부에 부착된다. 음향 출력 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표시 패널(100)의 영상을 투과시키기 위하여 투명성을 가진다. 따라서, 음향 출력 부재(300)는 광 투과율이 우수한 소재로 구현되어 표시 패널(100)의 영상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음향 출력 부재(300)는 주파수 입력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부재(300)가 복수 개로 구현되는 경우, 복수의 음향 출력 부재들(300)은 서로 이격되고, 서로 다른 음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음향 출력 부재(300)의 음향 특성은 형상, 크기, 재질, 주파수 입력, 및 접착 부재(200)의 접착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ember 300 has transparency and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through the adhesive member 200 . The sound output member 300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has transparency to transmit an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Accordingly, the sound output member 30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to transmit an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The sound output member 300 may vibrate according to a frequency input to output a sound. When a plurality of sound output members 300 are implemented,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members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have different acoustic characteristics.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output member 3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shape, size, material, frequency input, and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ember 200 .

음향 출력 부재(300)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300)는 변형 진동층, 적어도 하나의 제1 투명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투명 전극을 포함한다. 변형 진동층은 투명성을 가지며, 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형 진동층은 팽창과 수축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거나 벤딩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변형 진동층이 팽창과 수축에 따라 진동하면 음향 출력 부재(300)는 중고음을 출력할 수 있고, 변형 진동층이 벤딩에 따라 진동하면 음향 출력 부재(300)는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ember 300 includes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300 includes a deformable vibration layer, at least on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at least on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The deformed vibration layer has transparency and may output sound through vibration generated according to deformation. For example,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may vibrate accor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to output a sound, or may vibrate according to bending to output a sound. According to an example, when the deformed vibrating layer vibrates accor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the sound output member 300 may output a high and medium sound, and when the deformed vibrating layer vibrates according to bending, the sound output member 300 may output a low sound .

상기 압전 소자는, 외력을 가하면 전기 분극이 일어나서 전위차가 생기고,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변형이나 변형력이 생기는 성질, 즉, 압전 효과를 가진 소자를 말한다. 일 예에 따르면, 압전 소자는 수정, 전기석, 로셀염, 티탄산바륨(BaTiO3), 인산이수소암모늄(NH4H2PO4), 압력세라믹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elemen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electrical polarization occurs to generate a potential difference, and on the contrary, when a voltage is applied, it refers to an element having a property of generating deformation or strain, that is, a piezoelectric effect. According to an example, the piezoelectric element may be implemented with quartz, tourmaline, Rochelle salt, barium titanate (BaTiO3), ammonium dihydrogen phosphate (NH 4 H 2 PO 4 ), pressure ceramic, or the like.

또한, 음향 출력 부재(300)는 실리콘, 아크릴, 우레탄과 같은 절연 탄성 소재 또는 PVDF(Poly Vinylidene Fluoride)나 PZT(티탄산 지르콘산 납; 지르콘산염 PbZrO3와 티탄산염 PbTiO3의 고용체의 총칭)와 같은 압전 고분자 소재를 통해 구현될 수 있고, PVDF는 PVDF-TrFE(polyvinylidene fluoride trifluoroethylene)을 포함하며 플렉서블한 필름 형태로 제작하기 용이한 물질 특성을 가진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ember 300 is an insulating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acrylic, or urethane, or PVDF (Poly Vinylidene Fluoride) or PZT (lead zirconate titanate; a generic term for a solid solution of zirconate PbZrO 3 and titanate PbTiO 3 ).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piezoelectric polymer material, and PVDF includes polyvinylidene fluoride trifluoroethylene (PVDF-TrFE) and has material properties that are easy to manufacture in the form of a flexible film.

변형 진동층은 투명하고 일정한 두께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투명 전극은 표시 패널(100)의 전면과 변형 진동층의 일면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투명 전극은 변형 진동층의 일면과 반대되는 변형 진동층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형 진동층은 양면에 제1 및 제2 투명 전극들이 부착되고, 제1 및 제2 투명 전극들은 외부의 회로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음향 출력 부재(300)는 투명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역압전 효과에 의해 전기장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는 음향 출력 부재(300)에 제공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음향 출력 부재(300)의 진동(또는 음향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strain vibration layer may be transparent and have a constant thickness and length. The at least on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one surface of the strained vibration layer, and the at least on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trained vibration layer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strained vibration layer. For exampl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electrodes may be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and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electrodes from an external circuit.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transparent electrode, the sound output member 300 may vibrate according to an electric field due to a reverse piezoelectric effect.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may control the vibration (or output of sound) of the sound output member 300 by controlling the voltage provided to the sound output member 300 .

변형 진동층은 제1 투명 전극과 제2 투명 전극에 인가되는 보이스 신호에 따라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변형되고, 변형에 따른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 진동층은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면서 진동함으로써 음향을 출력하거나, 두께 방향으로 벤딩되면서 진동함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변형 진동층이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면서 진동하면 음향 출력 부재(300)는 중고음을 출력할 수 있고, 변형 진동층이 두께 방향으로 벤딩되면서 진동하면 음향 출력 부재(300)는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may be deformed in at least one of a thickness direction and a length direction according to a voice signal applied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may output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Specifically,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may output a sound by vibrating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at least one of a thickness direction and a length direction, or may output a sound by vibrating while being bent in a thickness direction. According to an example, when the deformed vibrating layer vibrates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ound output member 300 may output a high and medium sound, and when the deformed vibrating layer vibrates while b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sound The output member 300 may output a low tone.

표시 장치는 음향 출력 부재(300)를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부착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의 영상과 음향 출력 부재(300)를 통한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켜 영상의 현실감을 증대시키고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부착되는 음향 출력 부재(300)를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스피커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피커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세트 장치의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ttaches the sound output member 300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so that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matches the location of the sound through the sound output member 300 to increase the realism of the imag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mmersion of the viewer watching the video.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device comprises the sound output member 300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 it is not necessary to configure a separate speaker, thereby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for the arrangement of the speaker and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design of the set device. can do it

도 2a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절단선 Ⅱ-Ⅱ'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FIG. 2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2A .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음향 출력 부재(300)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을 포함하고, 접착 부재(200) 역시 복수의 압전 소자들(300)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소자들(300)은 표시 장치의 음향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한 만큼 배치될 수 있다.2A and 2B , the sound output member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and the adhesive member 200 may also be disposed in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300 .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300 may be arranged as needed to improv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device.

복수의 접착 부재들(200) 각각은 서로 이격되며, 복수의 접착 부재들(20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300) 각각을 표시 패널(100)에 부착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접착 부재들(200) 각각의 형상 및 위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300) 각각의 형상 및 위치에 따라 종속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접착 부재들(220) 각각은 대응되는 복수의 압전 소자들(300) 각각의 음향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접착 부재들(220) 각각의 접착력은 복수의 압전 소자들(300) 각각이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거나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30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200 may be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100 .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200 may depend on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300 . Also, each of the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220 may have different adhe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300 . The adhesive for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220 may be adjusted so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300 may output a sound of a high-mid range or a sound of a low-pitched range.

복수의 압전 소자들(300) 각각은 서로 이격되며, 복수의 압전 소자들(300)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 입력에 따라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소자들(300)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영상과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시키기 위하여 주파수 입력을 제공받거나 제공받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영상과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시킬 음향 출력 부재(300)를 선택하여, 해당 음향 출력 부재(300)에 주파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independently driven according to a frequency inpu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300 . Each of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300 may or may not receive a frequency input in order to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an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may select a sound output member 300 to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an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provide a frequency input to the corresponding sound output member 300 .

일 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부재(300)는 2개의 압전 소자들(300)을 포함하고, 2개의 압전 소자들(300)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압전 소자들(300)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좌측 영역에 배치된 압전 소자(300)는 표시 패널(100)의 영상에서 음원(예를 들면, 사람, 동물, 스피커를 포함하는 기계 또는 그 밖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물체)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 구동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의 우측 영역에 배치된 압전 소자(300)는 표시 패널(100)의 영상에서 음원이 우측에 위치한 경우 구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sound output member 300 includes two piezoelectric elements 300 , and each of the two piezoelectric elements 30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panel 100 . For example, each of the two piezoelectric elements 300 may be provided in a left area and a right area of the display panel 100 . The piezoelectric element 300 disposed in the left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 sound source (eg, a person, an animal, a machine including a speaker, or other sound generating object) in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If it is located on the left, it can be driven. Also, the piezoelectric element 300 disposed on the right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00 may be driven when the sound source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부재(300)는 4개의 압전 소자들(300)을 포함하고, 4개의 압전 소자들(300)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상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압전 소자들(300)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상부 좌측, 상부 우측, 하부 좌측, 및 하부 우측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상부 좌측 영역에 배치된 압전 소자(300)는 표시 패널(100)의 영상에서 음원(예를 들면, 사람, 동물, 스피커를 포함하는 기계 또는 그 밖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물체)이 상부 좌측에 위치한 경우 구동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의 상부 우측 영역에 배치된 압전 소자(300)는 표시 패널(100)의 영상에서 음원이 상부 우측에 위치한 경우 구동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하부 좌측 및 하부 우측에 배치된 압전 소자(300)도 표시 패널(100)의 영상의 음원의 위치와 대응하여 구동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sound output member 300 includes four piezoelectric elements 300 , and each of the four piezoelectric elements 300 may b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isplay panel 100 . For example, each of the four piezoelectric elements 30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left, upper right, lower left, and lower right regions of the display panel 100 . The piezoelectric element 300 disposed in the upper left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sound source (eg, a person, an animal, a machine including a speaker, or other sound generating object) in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It can be driven if it is located on the upper left. Also, the piezoelectric element 300 disposed in the upper right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00 may be driven when the sound source is located i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The piezoelectric element 300 disposed on the lower left and lower right of the display panel 100 may also be driven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sound source of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도 3a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절단선 Ⅲ-Ⅲ'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3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3A .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은 표시 패널(100)의 중앙 영역에 해당하고, 제1 영역은 제2 영역을 제외한 주변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3A and 3B , 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For example,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panel 100 may correspond to a central area of the display panel 100 , and the first area may correspond to a peripheral area excluding the second area.

접착 부재(200)는 제1 접착 부재(210) 및 제2 접착 부재(220)를 포함한다. 제1 접착 부재(210)는 제1 압전 소자(310)와 표시 패널(100) 사이에 개재되고, 제2 접착 부재(220)는 제2 압전 소자(320)와 표시 패널(100) 사이에 개재되고 제1 접착 부재(210)와 다른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착 부재(210)는 제1 압전 소자(310)를 표시 패널(100)에 부착시키고, 제2 접착 부재(220)는 제2 압전 소자(320)를 표시 패널(100)에 부착시킬 수 있다.The adhesive member 200 includes a first adhesive member 210 and a second adhesive member 220 . 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and the display panel 100 ,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220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and the display panel 100 . and may have an adhesive forc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 For example, 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attaches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to the display panel 100 ,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220 attaches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to the display panel 100 . can be attached to

제1 접착 부재(210)는 제1 접착력을 갖고, 제2 접착 부재(220)는 제1 접착력보다 강한 제2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접착력들 각각은 음향 출력 부재(300)의 형상, 크기, 재질, 위치, 및 음향 특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력은 소프트한 접착력에 해당하고, 제2 접착력은 하드한 접착력에 해당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may have a first adhesive force,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220 may have a second adhesive force stronger than the first adhesive force. Her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force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hape, size, material, location,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ound output member 300 . For example, the first adhesive force may correspond to a soft adhesive force, and the second adhesive force may correspond to a hard adhesive force.

여기에서, 제1 접착력과 제2 접착력의 크기는 해당 표시 장치 내에서 상대적으로 결정되고, 절대적인 수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제1 표시 장치 및 제2 표시 장치가 구현되는 경우, 제1 표시 장치의 제2 접착 부재(220)의 제2 접착력은 제1 표시 장치의 제1 접착 부재(210)의 제1 접착력보다 강하지만, 제1 표시 장치의 제2 접착 부재(220)의 제2 접착력은 제2 표시 장치의 제1 접착 부재(210)의 제1 접착력보다 약할 수도 있다.Here, the magnitudes of the first adhesive force and the second adhesive force are relatively determined in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and are not limited to absolute values. For example, when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display device, the second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220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s that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lthough stronger than the first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 the second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220 of the first display device may be weaker than the first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may be

음향 출력 부재(300)는 제1 압전 소자(310) 및 제2 압전 소자(320)를 포함한다. 제1 압전 소자(310)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 중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제2 압전 소자(320)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 중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의 전면 중 제2 영역은 표시 패널(100)의 전면 중 중앙 영역에 해당하고, 제1 영역은 제2 영역을 제외한 주변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310)는 중고음을 출력하고,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압전 소자(320)는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ember 300 includes a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and a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may be disposed in a first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may be disposed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 can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econd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may correspond to a central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 and the first area may correspond to a peripheral area excluding the second area. According to an example,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may output a mid-range sound,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may output a low-pitched sound.

제1 압전 소자(310)는 제1 크기를 갖고, 제2 압전 소자(320)는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압전 소자(310)는 제1 접착 부재(210)를 통해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부착되고, 제2 압전 소자(320)는 제2 접착 부재(220)를 통해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접착 부재(210)는 제1 압전 소자(310)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소프트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고, 제2 접착 부재(220)는 제2 압전 소자(320)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하드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may have a first size,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may have a second size larger than the first size.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through 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is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100 through the second adhesive member 220 . can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According to an example, 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may have a soft adhesive force for attaching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220 may have a soft adhesive force for attaching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 It may have a hard adhesive force for

제1 및 제2 압전 소자들(310, 320)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압전 소자(310)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고, 제2 압전 소자(320)는 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음역대는 20Hz~200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에 해당하고, 중음역대는 200Hz~3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에 해당하며, 고음역대는 3k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elements 310 and 320 may output sound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According to an example,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may generate a sound in a mid-range range,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may generate a sound in a low-pitched range. For example, the low-pitched range may correspond to a sound having a frequency of 20 Hz to 200 Hz, the mid-range range may correspond to a sound having a frequency of 200 Hz to 3 kHz, and the high-pitched range may correspond to a sound having a frequency of 3 kHz or higher. no.

일 예에 따르면, 제2 압전 소자(320)는 표시 패널(10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제1 압전 소자(310)는 제2 압전 소자(320)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압전 소자(320)는 표시 패널(100)의 중앙 영역에서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제1 압전 소자(310)는 제2 압전 소자(320)의 주변 영역에서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압전 소자들(320) 각각은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may be dispos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00 , and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may be dispos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 For example,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may output a low-pitched soun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00 , and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in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 It can output high-mid range sound.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ezoelectric elements 320 may output sounds of different high and low frequencies, and may output stereo sound by separating left and right sounds.

또한, 제2 압전 소자(320)의 크기는 제1 압전 소자(310)의 크기보다 크게 구현되므로, 표시 장치는 제1 및 제2 압전 소자들(310, 320) 각각이 동일한 진폭의 음향을 출력하더라도, 제2 압전 소자(320)를 통해 저음을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is implemented to b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 the display device outputs sound of the same amplitude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elements 310 and 320 . Even so, the low sound may be stably output through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

따라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1 압전 소자(310)와 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2 압전 소자(320)를 구성함으로써, 전 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음향 출력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comprises a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for generating a sound in a high and mid-range range and a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for generating a sound in a low-pitched range. It is possible to provide excellent sound output characteristics in a frequency band.

도 4a 및 도 4b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출력 부재의 진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vibrations of a sound output member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접착 부재(210)는 제1 압전 소자(310)를 표시 패널(100)에 부착시키고, 제2 접착 부재(220)는 제2 압전 소자(320)를 표시 패널(10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제1 압전 소자(310)는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변형되고, 변형에 따른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압전 소자(320)는 두께 방향으로 변형되고, 변형에 따른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압전 소자(310)는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면서 진동함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제2 압전 소자(320)는 두께 방향으로 벤딩되면서 진동함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압전 소자(310)가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면서 진동하면 제1 압전 소자(310)는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제2 압전 소자(320)가 두께 방향으로 벤딩되면서 진동하면 제2 압전 소자(320)는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4A and 4B , 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attaches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to the display panel 100 ,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220 attaches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to the display panel 100 . It may be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100 .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may be deformed in at least one of a thickness direction and a length direction, and may output a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may be de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may output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That is,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may output sound by vibrating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may vibrate while b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generate sound. can be printed out. According to an example, when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vibrates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may output a sound in a high and mid-range range, and the second When the piezoelectric element 320 vibrates while being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may output a bass sound.

일 예에 따르면, 제1 압전 소자(31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제2 압전 소자(320)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은 표시 패널(100)의 중앙 영역에 해당하고, 제1 영역은 제2 영역을 제외한 주변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310)는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면서 진동함으로써 중고음을 출력할 수 있고,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압전 소자(320)는 두께 방향으로 벤딩되면서 진동함으로써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may be disposed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panel 100 ,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may be disposed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panel 100 . For example,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panel 100 may correspond to a central area of the display panel 100 , and the first area may correspond to a peripheral area excluding the second area.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00 may output a high and low sound by vibrating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at least one of a thickness direction and a length direction,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may output a bass sound by vibrating while being bent in a thickness direction.

제1 접착 부재(210)는 제1 압전 소자(310)가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에 따라 진동하도록 제1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210)의 제1 접착력은 제1 압전 소자(310)의 형상, 크기, 재질, 위치, 및 음향 특성을 기초로 제1 압전 소자(310)가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진동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 압전 소자(310)의 중고음역대는 제1 접착 부재(210)의 제1 접착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210)는 제1 압전 소자(310)의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제1 압전 소자(310)를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 부재(210)는 소프트한 접착력을 가져 제1 압전 소자(310)가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접착 부재(210)의 소프트한 접착력은 제2 접착 부재(220)의 하드한 접착력보다 약한 것을 의미한다.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may have a first adhesive force such that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vibrates as it expands and contracts in at least one of a thickness direction and a length direction. The first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is at least one of a thickness direction and a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based on the shape, size, material, location,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 It can be determined to vibrate while deforming in the direction of That is, the high-mid range of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irst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 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is deformable in at least one of a thickness direction and a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 and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 can do it For example, 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may have a soft adhesive force to allow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to expand and contract in at least one of a thickness direction and a length direction. Here, the soft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is weaker than the hard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220 .

제2 접착 부재(220)는 제2 압전 소자(320)가 두께 방향으로 벤딩되면서 진동하도록 제2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접착 부재(220)의 제2 접착력은 제2 압전 소자(320)의 형상, 크기, 재질, 위치, 및 음향 특성을 기초로 제2 압전 소자(320)가 전후 진동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압전 소자(320)의 저음역대는 제2 접착 부재(220)의 제2 접착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220)는 제2 압전 소자(320)의 두께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제2 압전 소자(320)를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 부재(220)는 하드한 접착력을 가져 제2 압전 소자(320)의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되는 것을 억제하고 두께 방향으로 벤딩되면서 진동하는 것만을 허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접착 부재(220)의 하드한 접착력은 제1 접착 부재(210)의 소프트한 접착력보다 강한 것을 의미한다.The second adhesive member 220 may have a second adhesive force such that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vibrates while being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at is, the second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220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vibrates back and forth based on the shape, size, material, location,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 . For example, the low sound range of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cond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220 . The second adhesive member 220 may be deformab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 and may attach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 For example, the second adhesive member 220 has a hard adhesive force to suppress expansion and contraction in at least one of a thickness direction and a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and to vibrate while b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can only allow Here, the hard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220 is stronger than the soft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210 .

따라서, 표시 장치는 제1 및 제2 접착 부재들(210, 220)의 접착력을 제어하여 제1 및 제2 압전 소자들(310, 320) 각각의 팽창 및 수축에 따른 진동 또는 벤딩에 따른 진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는 제1 및 제2 접착 부재들(210, 220)의 접착력을 통해 동일 소재의 음향 출력 부재(300)를 사용하여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1 압전 소자(310) 및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는 제2 압전 소자(320)를 구현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제1 및 제2 접착 부재들(210, 220)의 접착력을 제어하여 넓은 음역대를 가지는 우수한 음향 특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controls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members 210 and 220 to suppress vibrations caused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elements 310 and 320, respectively, or vibrations caused by bending.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in the display device,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outputs a sound in a high and mid-range range using the sound output member 300 of the same material through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members 210 and 220 . and a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for outputting a low-pitched sound. The display device may have excellent acoustic characteristics having a wide sound range by controll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members 210 and 220 .

도 5a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출력 부재와 연결되는 배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절단선 Ⅳ-Ⅳ'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FIG. 5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iring connected to a sound output member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5A .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음향 출력 부재(300)와 연결되어 음향 출력 부재(300)에 전류가 제공되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배선(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A and 5B ,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iring 400 that is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member 300 and serves as a passage to provide current to the sound output member 300 .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0)은 표시 기판(110) 및 편광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표시 기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기판(110)은 복수의 픽셀들, 데이터 패드부, 및 게이트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픽셀들은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과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에 의해 정의되는 픽셀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데이터 패드부는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과 일대일로 연결되고, 게이트 패드부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과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편광 부재(120)는 표시 기판(110)의 상단에 부착되고, 표시 기판(11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편광시킬 수 있다. 편광 부재(120)는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 부재(120)의 금속층은 알루미늄, 은, 백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 display substrate 110 and a polarizing member 120 . According to an example, the display substrate 110 may be implemented as a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The display substrate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a data pad part, and a gate pad part. The plurality of pixels may be provided in a pixel area defined by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The data pad unit may be connected one-to-one with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nd the gate pad unit may be connected with the plurality of gate lines one-to-one. The polarizing member 120 may be attached to an upper end of the display substrate 110 and may polarize light incident from the display substrate 110 . The polarizing member 120 may be formed by patterning a metal layer. For example, the metal layer of the polarizing member 12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luminum, silver, platinum, or the like.

배선(400)은 표시 패널(100)의 상단(또는 편광 부재(120)의 상단)에 배치되어 음향 출력 부재(3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선(400)은 투명성을 가지고, 표시 패널(100)의 전면에서 음향 출력 부재(300)와 연결되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선(400)은 압전 필름의 양면에 부착된 투명 전극들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배선(400)은 음향 출력 부재(300)에 전류가 제공되도록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200)는 음향 출력 부재(300)와 배선(400)이 연결되도록 필요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wiring 4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panel 100 (or the upper end of the polarizing member 120 ) to be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member 300 . In detail, the wiring 400 may be transparent and patterned to be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member 300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 For example, the wiring 40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transparent electrodes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piezoelectric film. The wiring 400 may serve as a passage to provide current to the sound output member 300 . In addition, the adhesive member 200 may provide a space necessary for the sound output member 300 and the wiring 400 to be connected.

도 6은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출력 부재 상에 배치되는 보호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tection member disposed on a sound output member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보호 부재(500) 및 외부 프레임(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부재(500)는 음향 출력 부재(300) 상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 접착 부재(200), 음향 출력 부재(300), 및 배선(400)을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부재(500)는 음향 출력 부재(300)의 상단 및 외부 프레임(600)의 상단에 부착되어 표시 장치의 손상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 부재(500)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뿐만 아니라, 압력 및 고온으로부터 표시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보호 부재(500)는 강화 글라스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member 500 and an outer frame 600 . The protection member 500 may be disposed on the sound output member 300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100 , the adhesive member 200 , the sound output member 300 , and the wiring 400 from external physical impact. have. Specifically, the protection member 50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ound output member 300 a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frame 600 to prevent damage and mal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protection member 500 may protect the display device from external physical impact as well as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According to an example, the protection member 500 may be implemented with tempered glass.

일 예에 따르면, 보호 부재(500)는 음향 출력 부재(300)의 상단에 부착되어, 음향 출력 부재(300)의 진동에 따라 같이 진동할 수 있다. 보호 부재(500)는 복수의 음향 출력 부재들(300) 각각의 진동에 따라 해당 영역만이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부재(500)는 진동하는 음향 출력 부재(300)가 배치된 해당 영역만이 진동할 수 있도록 유연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보호 부재(500)는 표시 장치를 보호하는 동시에 진동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protection member 500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ound output member 300 and vibrate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sound output member 300 . In the protection member 500 , only a corresponding region may vibrate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ound output members 300 . For example, the protection member 500 may be implemented with a flexible material so that only a corresponding region in which the vibrating sound output member 300 is disposed vibrates. The protection member 500 may serve as a diaphragm while protecting the display device.

외부 프레임(600)은 표시 장치의 측면 및 후면 전체를 감싸므로, 표시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600)은 베이스 프레임 및 복수의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600)은 베이스 프레임을 통해 표시 장치의 후면을 감싸고, 복수의 측벽들을 통해 표시 장치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외부 프레임(600)은 무게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외부 프레임(600)은 표시 장치의 무게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표시 장치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600)은 표시 장치의 형상에 따라 설계되고, 외부 프레임(600)의 표면에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다.Since the outer frame 600 covers the entire side and rear surfaces of the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display device. The outer frame 600 may include a base frame and a plurality of sidewalls. The outer frame 600 may surround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base frame and surround the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device through a plurality of sidewalls. According to an example, the outer frame 600 may have relatively strong rigidity with respect to its weight. That is, the outer frame 600 may effectively protect the display device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display device. The outer frame 600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design may be included on the surface of the outer frame 600 .

도 7은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모듈을 표시 기판 상에 접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display module is bonded to a display substrate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을 기판 상에 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모듈은 편광 부재(120), 접착 부재(200), 음향 출력 부재(300), 배선(400) 및 보호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은 편광 부재(120) 상에 접착 부재(200) 및 배선(400)을 형성하고, 접착 부재(200) 상에서 배선(400)과 연결되도록 음향 출력 부재(300)를 형성하며, 음향 출력 부재(300) 상에 보호 부재(500)를 형성하여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표시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a display device may be manufactured by bonding a display module on a substrate. Here, the display module may include the polarization member 120 , the adhesive member 200 , the sound output member 300 , the wiring 400 , and the protection member 500 . In the display module, the adhesive member 200 and the wiring 400 are formed on the polarizing member 120 , the sound output member 300 is formed on the adhesive member 200 to be connected to the wiring 400 , and the sound output member It may be provided by forming the protection member 500 on the 300 . Als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provided to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through the display module.

도 8a 및 도 8b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8A and 8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8a를 참조하면, 제2 압전 소자(320)는 표시 패널(10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제1 압전 소자(310)는 제2 압전 소자(320)를 이격되게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압전 소자(320)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 중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4개의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b, 310c, 310d)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전면 중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패널(100)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전 소자들(310)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4개의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b, 310c, 310d)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영상과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시키기 위하여 주파수 입력을 제공받거나 제공받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may be dispos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00 , and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may surrou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is dispos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 and each of the four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 310b , 310c and 310d is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100 . It may be disposed in a corner region of the front surface. Here, the number of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 disposed in the corner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00 is not limited. Each of the four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310b, 310c, and 310d may or may not receive a frequency input in order to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an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제1 및 제2 압전 소자들(310, 320) 각각은 주파수 입력에 따라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의 영상에서 음원(예를 들면, 사람, 동물, 스피커를 포함하는 기계 또는 그 밖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물체)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 좌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c)은 주파수 입력을 제공받고, 우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b, 310d)은 주파수 입력을 제공받지 않는다. 예를 들면, 좌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c)은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고, 우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b, 310d)은 음향을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표시 패널(100) 영상에서의 음원이 직접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느낄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elements 310 and 320 may be independently driven according to a frequency input. For example, when a sound source (eg, a person, an animal, a machine including a speaker, or other sound generating object)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on the left side The elements 310a and 310c receive a frequency input, and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b and 310d disposed on the right side do not receive a frequency input. For example,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and 310c arranged on the left output a sound of a high and medium-range range, and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b and 310d arranged on the right side do not output a sound. Accordingly, the viewer viewing the image may feel a sense of reality as if the sound source in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directly makes a sound.

그리고, 제2 압전 소자(320)는 표시 패널(100)의 영상에서 음원의 위치와 연관되지 않고, 저음역대의 출력 여부에 따라 구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00)의 영상에서 좌측에 위치한 음원이 중고음역대의 음향과 저음역대의 음향을 함께 발생시키는 경우, 좌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c) 및 제2 압전 소자(320)가 주파수 입력을 제공 받는다. 좌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c)은 주파수 입력을 제공받아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압전 소자(320)는 주파수 입력을 제공받아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ther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is drive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a low-pitched sound is output without being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sound source in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Therefore, when the sound sourc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generates the sound of the high and low frequencies together,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and 310c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 320) is provided with a frequency input.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and 310c disposed on the left may receive a frequency input and output a sound of a mid-range range,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may receive a frequency input and output a sound of a low-pitched range. .

반대로, 표시 패널(100)의 영상에서 음원이 중고음역대의 음향 만을 발생시키는 경우, 좌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c) 만이 주파수 입력을 제공받고, 제2 압전 소자(320)는 주파수 입력을 제공받지 않는다. 따라서, 좌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c) 만이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sound source generates only mid- and high-pitched sounds in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only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and 310c disposed on the left receive the frequency input,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is No frequency input is provided. Accordingly, only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and 310c disposed on the left may output the sound of the high and mid-range range.

도 8b를 참조하면, 제2 압전 소자(320)는 표시 패널(10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제1 압전 소자(310)는 제2 압전 소자(320)를 이격되게 둘러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압전 소자(320)는 표시 패널(10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8개의 제1 압전 소자들(310a-310h)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전 소자들(310)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8개의 제1 압전 소자들(310a-310h) 각각은 표시 패널(100)의 영상과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시키기 위하여 주파수 입력을 제공받거나 제공받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8B ,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may be dispos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00 , and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may surrou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may be dispos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00 , and each of the eight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to 310h may be disposed in a peripheral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00 . . Here, the number of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 disposed in the peripheral area of the display panel 100 is not limited. Each of the eight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 310h may or may not receive a frequency input in order to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an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의 영상에서 음원(예를 들면, 사람, 동물, 스피커를 포함하는 기계 또는 그 밖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물체)이 모서리 영역에 위치한 경우,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c, 310f, 310h)은 주파수 입력을 제공받고,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지 않은 제1 압전 소자들(310b, 310d, 310e, 310g)은 주파수 입력을 제공받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c, 310f, 310h)은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고,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지 않은 제1 압전 소자들(310b, 310d, 310e, 310g)은 음향을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표시 패널(100) 영상에서의 음원이 직접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느낄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when a sound source (eg, a person, an animal, a machine including a speaker, or other sound generating object) is located in the corner area, the first The piezoelectric elements 310a, 310c, 310f, and 310h receive a frequency input, and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b, 310d, 310e, and 310g that are not disposed in the corner region do not receive a frequency input. For example,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310c, 310f, and 310h disposed in the corner region output high and medium-range sound, and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b, 310d, 310e, 310g) does not output sound. Accordingly, the viewer viewing the image may feel a sense of reality as if the sound source in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directly makes a sound.

따라서, 표시 장치의 음향의 위치는 압전 소자들(300)이 많이 배치될수록 표시 패널(100) 영상의 음원과의 위치와 더 일치될 수 있고,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가 느끼는 현실감도 더 증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압전 소자들(310)의 개수, 크기, 위치 등은 음향 특성을 최대한 향상시키면서 과도한 비용을 요구하지 않을 정도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number of piezoelectric elements 300 is arranged, the position of the sound of the display device may more closely match the position of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with the sound source, and the sense of reality felt by the viewer watching the image may be increased. have. As a result, the number, size, and location of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 may be implemented to a degree that does not require excessive cost while maximally improving acoustic characteristics.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의 중앙 영역에 저음용 제2 압전 소자(320)가 배치되고,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에 중고음용 제1 압전 소자(310)가 배치됨으로써, 넓은 음역대의 우수한 음향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다채널 형태의 음향 출력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display device,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for low sound is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for high and low sound is disposed in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display panel 100 . It may have excellent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may provide multi-channel type acoustic output characteristics.

도 9는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출력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파티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tition disposed between sound output members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음향 출력 부재인 제1 압전 소자(310) 및 제2 압전 소자(320)를 분리시키는 파티션(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티션(700)은 제1 및 제2 압전 소자들(310, 320)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압전 소자(3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파티션(700)은 제1 및 제2 압전 소자들(310, 320) 각각이 진동할 때 발생되는 음향을 흡수하는 에어 갭(Air Gap) 또는 공간(Space)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파티션(700)은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에 해당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9 ,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700 that separates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 which are sound output members. Specifically, the partition 70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of sound generated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elements 310 and 320 . According to an example, the partition 700 may correspond to an air gap or a space that absorbs sound generated whe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elements 310 and 320 vibrate. . Also, the partition 700 may correspond to an enclosure or a baff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파티션(700)은 제1 및 제2 압전 소자들(310, 320) 각각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분리할 수 있다. 파티션(700)은 제1 및 제2 압전 소자들(310, 320) 각각의 진동을 감쇄 또는 흡수하므로, 제1 및 제2 압전 소자들(310, 320) 각각에서 발생된 음향이 서로의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700)은 제1 및 제2 압전 소자들(310, 320) 각각의 음향을 분리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음향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artition 700 may separate sound generated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elements 310 and 320 . Since the partition 700 attenuates or absorbs the vibration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elements 310 and 320 , the sound generated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elements 310 and 320 moves into each other's space. transmission can be blocked. Accordingly, the partition 700 separates the sou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elements 310 and 320 , thereby improving the sound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device.

일 예에 따르면, 파티션(700)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파티션(700)은 일면테이프 또는 양면테이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partition 700 may be implemented with a polyurethane (polyurethane) or polyolefin (polyolefin)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partition 700 may be implemented with a single-sided tape or a double-sided tape,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at can be compressed to a certain degree.

도 10은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음향 출력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driving circuit unit for driving a sound output member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0을 참조하면, 음향 출력 부재(300)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300)는 변형 진동층(301), 적어도 하나의 제1 투명 전극(303)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투명 전극(305)을 포함한다. 변형 진동층(301)은 투명성을 가지며, 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 진동층(301)은 팽창과 수축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거나 벤딩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변형 진동층(301)이 팽창과 수축에 따라 진동하면 음향 출력 부재(300)는 중고음을 출력할 수 있고, 변형 진동층(301)이 벤딩에 따라 진동하면 음향 출력 부재(300)는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sound output member 300 includes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300 includes a strained vibration layer 301 , at least on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03 , and at least one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305 of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301 may have transparency and may output a sound through vibration generated according to deformation. Specifically,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301 may vibrate accor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to output a sound, or may vibrate according to bending to output a sound. According to an example, when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301 vibrates accor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the sound output member 300 may output a high and medium sound, and when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301 vibrates according to bending, the sound output member 300 may It can output low tones.

변형 진동층(301)은 투명하고 일정한 두께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투명 전극(303)은 표시 패널(100)의 전면과 변형 진동층의 일면(301a)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투명 전극(305)은 변형 진동층의 일면(301a)과 반대되는 변형 진동층의 타면(301b)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형 진동층(301)은 양면에 제1 및 제2 투명 전극들(303, 305)이 부착되고, 제1 및 제2 투명 전극들(303, 305)은 구동 회로부(80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변형 진동층(301)는 제1 및 제2 투명 전극들(303, 305)에 전압이 인가되면 역압전 효과에 의해 전기장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는 음향 출력 부재(300)에 제공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음향 출력 부재(300)의 진동(또는 음향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strain vibration layer 301 may be transparent and have a constant thickness and length. The at least on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03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one surface 301a of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and the at least on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305 is disposed between the one surface 301a of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and the at least on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03 . It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301b of the opposite deformation vibration layer. For example, the strain vibration layer 301 has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electrodes 303 and 305 attached to both sides thereof,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electrodes 303 and 305 receive a voltage from the driving circuit unit 800 . can be authorized.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electrodes 303 and 305 ,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301 may vibrate according to an electric field due to an inverse piezoelectric effect.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may control the vibration (or output of sound) of the sound output member 300 by controlling the voltage provided to the sound output member 300 .

변형 진동층(301)은 제1 투명 전극(303)과 제2 투명 전극(305)에 인가되는 보이스 신호에 따라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변형되고, 변형에 따른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 진동층(301)은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면서 진동함으로써 음향을 출력하거나 두께 방향으로 벤딩되면서 진동함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변형 진동층(301)이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면서 진동하면 음향 출력 부재(300)는 중고음을 출력할 수 있고, 변형 진동층(301)이 두께 방향으로 벤딩되면서 진동하면 음향 출력 부재(300)는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301 is deformed in at least one of a thickness direction and a length direction according to a voice signal applied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03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305, and generates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can be printed out. Specifically,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301 may output a sound by vibrating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at least one of a thickness direction and a length direction, or may output a sound by vibrating while being b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According to an example, when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301 vibrates while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at least one of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ound output member 300 may output a high and medium sound, and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301 may move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en it vibrates while being bent, the sound output member 300 may output a low sound.

표시 장치는 음향 출력 부재(300)에 주파수 입력을 제공하는 구동 회로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800)는 제1 및 제2 압전 소자들(310, 320) 각각과 연결되어, 음향 출력이 필요한 압전 소자들(300)에 주파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회로부(800)는 표시 패널(100)에 표시될 영상을 기반으로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310) 및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압전 소자(320)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800)는 표시 패널(100)의 영상과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시킬 음향 출력 부재(300)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향 출력 부재(300)에서 영상과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주파수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circuit unit 800 that provides a frequency input to the sound output member 300 . The driving circuit unit 80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elements 310 and 320 to provide a frequency input to the piezoelectric elements 300 requiring sound output. Specifically, the driving circuit unit 800 selectively selects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310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based on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0 . can be controlled with The driving circuit unit 800 selects a sound output member 300 to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an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and provides a frequency input so that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image is output from the selected sound output member 300 . can do.

구동 회로부(800)는 제어부 및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영상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이스 데이터와 음향 위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이스 데이터는 음향의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고, 음향 위치 데이터는 표시 패널(100)의 영상에서 음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보이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이스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 및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압전 소자 중 음향 위치 데이터에 해당되는 압전 소자에 보이스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이스 신호는 배선(400)을 통해 제1 및 제2 투명 전극들(303, 305)에 제공될 수 있다.The driving circuit unit 8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and a driving unit. The controller may extract voice data and sound location data based on the image input data. Here, the voice data may include frequency band information of sound, and the acoustic location data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a sound source in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The driver may generate a voice signal based on the voice data, and supply the voice signal to a piezoelectric element corresponding to acoustic position data among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 Here, the voice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electrodes 303 and 305 through the wiring 400 .

일 예에 따르면, 구동 회로부(800)는 표시 패널(100)의 영상에서의 음원(예를 들면, 사람 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기계)의 위치 정보(또는 음향 위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800)는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구동이 필요한 음향 출력 부재(300)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와 같이, 표시 장치가 4개의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b, 310c, 310d) 및 1개의 제2 압전 소자(320)를 포함하고, 표시 패널(100)의 영상에서 음원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 구동 회로부(800)는 음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좌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c)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회로부(800)는 좌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c)에 주파수 입력을 제공하고, 우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b, 310d)에는 주파수 입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좌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c)은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고, 우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b, 310d)은 음향을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표시 패널(100) 영상에서의 음원이 직접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느낄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driving circuit unit 80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r acoustic location data) of a sound source (eg, a person or a machine including a speaker) in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The driving circuit unit 800 may select the sound output member 300 that needs to be driven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A , the display device includes four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 310b , 310c , and 310d and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 and in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When the sound source is located on the left side, the driving circuit unit 800 may receiv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and select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and 310c arranged on the left side. For example, the driving circuit unit 800 provides a frequency input to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and 310c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provides a frequency input to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b and 310d disposed on the right side. I never do that.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and 310c disposed on the left side output a sound of a high and mid-range range, and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b and 310d disposed on the right side do not output a sound. Accordingly, the viewer viewing the image may feel a sense of reality as if the sound source in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directly makes a sound.

또한, 구동 회로부(800)는 음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음원 각각에 대한 음향의 주파수 대역 정보(또는 보이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와 같이, 표시 장치가 4개의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b, 310c, 310d) 및 1개의 제2 압전 소자(320)를 포함하고, 표시 패널(100)의 영상에서 좌측에 위치한 음원이 중고음역대의 음향과 저음역대의 음향을 함께 발생시키는 경우, 구동 회로부(800)는 음원의 위치 정보 및 음역대 정보를 수신하여 좌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c) 및 제2 압전 소자(320)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회로부(800)는 좌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c) 및 제2 압전 소자(320)에 주파수 입력을 제공하고, 우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b, 310d)에는 주파수 입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좌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a, 310c)은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고, 제2 압전 소자(320)는 저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며, 우측에 배치된 제1 압전 소자들(310b, 310d)은 음향을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표시 패널(100) 영상에서의 음원이 직접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느낄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circuit unit 800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and at the same time receive frequency band information (or voice data) of the sound for each sound sourc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A , the display device includes four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 310b , 310c , and 310d and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 and in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 When the sound source located on the left generates the sound of the middle and low frequencies together, the driving circuit unit 8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ound rang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and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and 310c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may be selected. For example, the driving circuit unit 800 provides a frequency input to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and 310c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arranged on the left side, and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b arranged on the right side. , 310d) does not provide a frequency input.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a and 310c disposed on the left side output a sound of a high and low frequency range,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320 outputs a sound of a low frequency range, and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s 310b disposed on the right side , 310d) does not output sound. Accordingly, the viewer viewing the image may feel a sense of reality as if the sound source in the image of the display panel 100 directly makes a sound.

이와 같이, 표시 장치는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켜 표시 장치의 영상과 음향의 발생 위치를 일치시킴으로써, 표시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전면에 부착되는 압전 소자를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스피커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피커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세트 장치의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generates a sound so that the sound travel direction is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to match the image of the display device with the location of the sound, thereby improving the immersion of the viewer viewing the image on the display device.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device comprises a piezoelectric element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configure the speaker, thereby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for the arrangement of the speaker and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design of the set device.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described as follows.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표시 패널의 전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부재를 포함하며, 음향 출력 부재는 투명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displaying an image and at least one sound output memb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hrough an adhesive member, and the sound output member may be transparent.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부재는 투명성을 가지며, 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변형 진동층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ound output member may include a deformable vibration layer that has transparency and outputs sound through vibration generated according to deformation.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 진동층은 팽창과 수축에 따라 진동하거나 벤딩에 따른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may vibrate accor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or output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bending.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는 투명한 변형 진동층, 표시 패널의 전면과 변형 진동층의 일면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투명 전극, 및 변형 진동층의 일면과 반대되는 변형 진동층의 타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투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ound output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includes a transparent strained vibration layer and at least one first first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one surface of the strained vibration layer. It may include a transparent electrode and at least on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eforming vibration layer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deforming vibration layer.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 진동층은 제1 투명 전극과 제2 투명 전극에 인가되는 보이스 신호에 따라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변형되고 변형에 따른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is deformed in at least one of a thickness direction and a length direction according to a voice signal applied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outputs a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can do.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부재 상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 및 음향 출력 부재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prot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sound output member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and the sound output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부재는 실리콘, 아크릴, 우레탄 중 하나, 또는 PVDF-TrFE(Polyvinylidene fluoride trifluoroethylene) 및 PZT(티탄산 지르콘산 납) 중 하나의 재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ound output member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f silicone, acrylic, and urethane, or one of PVDF-TrFE (Polyvinylidene fluoride trifluoroethylene) and PZT (lead zirconate titanate) materials.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부재는 표시 패널의 전면 중 제1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 및 표시 패널의 전면 중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ound output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a first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is included, and the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may output sounds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는 중고음을 출력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는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may output a mid-range sound, and the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may output a low-pitched sound.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은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영역은 제2 영역을 둘러싸는 표시 패널의 주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cond area may include a central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first area may include a peripheral area of the display panel surrounding the second area.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압전 소자는 변형 진동층의 팽창과 수축에 따른 진동을 통해 중고음을 출력할 수 있고, 제2 압전 소자는 변형 진동층의 벤딩에 따른 진동을 통해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may output a high and medium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deformed vibration layer,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may output a low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bending of the deformed vibration layer. can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분리하는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partition separat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panel may be further included.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는 제1 압전 소자와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된 제1 접착 부재 및 제2 압전 소자와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되고 제1 접착 부재와 다른 접착력을 갖는 제2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dhesive member may include a first adhesive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display panel and a second adhesive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n adhesive str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It may include an adhesive member.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접착 부재의 접착력은 제1 접착 부재의 접착력보다 강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may be stronger than that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착 부재는 제1 압전 소자를 표시 패널에 부착시킬 수 있고, 제2 접착 부재는 제2 압전 소자를 표시 패널에 부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adhesive member may attach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to the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may attach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to the display panel.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접착 부재는 제1 압전 소자가 팽창과 수축에 따른 진동을 하도록 제1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adhesive member may have a first adhesive force so that th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vibrates accor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접착 부재는 제2 압전 소자가 벤딩에 따른 진동을 하도록 제2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cond adhesive member may have a second adhesive force so that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vibrates according to bending.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에 표시될 영상을 기반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배치된 압전 소자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구동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driving circuit uni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piezoelectric elements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ased on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may be further included.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회로부는 영상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이스 데이터와 음향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보이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이스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배치된 압전 소자 중 음향 위치 데이터에 해당되는 압전 소자에 보이스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riving circuit unit generates a voice signal based on a control unit that extracts voice data and sound position data based on image input data, and the voice data, and is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for supplying a voice signal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acoustic position data among the piezoelectric elements.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상에 배치되어 음향을 출력하며,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부재, 및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있는 파티션을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displays an image, is disposed on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o output a sound, and includes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a sound output member, and a parti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은 표시 패널의 주변 영역이고, 제2 영역은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이며, 제1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부재는 중고음을 출력할 수 있고, 제2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부재는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area may be a peripheral area of the display panel, the second area may be a central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at least one sound output member disposed in the first area may output a mid-range sound, , at least one sound output member disposed in the second area may output a low tone.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는 변형 진동층, 표시 패널의 전면과 변형 진동층의 일면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투명 전극, 및 변형 진동층의 일면과 반대되는 변형 진동층의 타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투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may include a strained vibration layer, at least on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one surface of the strained vibration layer, and a strained vibration layer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strained vibration lay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부재는 변형 진동층의 팽창과 수축에 따른 진동을 통해 중고음을 출력할 수 있고, 제2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부재는 변형 진동층의 벤딩에 따른 진동을 통해 저음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t least one sound output member disposed in the first area may output a high and medium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and at least one sound disposed in the second area The output member may output a low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bending of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applica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matte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0: 표시 패널 200: 접착 부재
300: 음향 출력 부재 400: 배선
500: 보호 부재 600: 외부 프레임
700: 파티션 800: 구동 회로부
100: display panel 200: adhesive member
300: sound output member 400: wiring
500: protective member 600: outer frame
700: partition 800: driving circuit unit

Claims (25)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접착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한 음향 출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출력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 중 제1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 중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된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다른 접착력을 갖는 제2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t least one transparent sound output memb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via an adhesive member;
The sound output member,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a first area of a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a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he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output sound of different frequency bands,
The adhesive member is
a first adhesive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display panel; and
and a second adhesive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n adhesive str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 부재는 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변형 진동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ound output member includes a deformable vibration layer configured to output a sound through vibration generated according to de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진동층은 팽창과 수축에 따라 진동하거나 벤딩에 따른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vibrates accor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or outputs a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ben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는,
투명한 변형 진동층;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과 상기 변형 진동층의 일면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투명 전극; 및
상기 변형 진동층의 일면과 반대되는 상기 변형 진동층의 타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transparent strain vibrating layer;
at least on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one surface of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and
and at least on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trained vibration layer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strained vibration lay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진동층은 상기 제1 투명 전극과 상기 제2 투명 전극에 인가되는 보이스 신호에 따라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변형되고 변형에 따른 진동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is deformed in at least one of a thickness direction and a length direction according to a voice signal applied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d outputs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 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음향 출력 부재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rotection member disposed on the sound output member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and the sound output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 부재는 실리콘, 아크릴, 우레탄 중 하나, 또는 PVDF-TrFE(Polyvinylidene fluoride trifluoroethylene) 및 PZT(티탄산 지르콘산 납) 중 하나의 재료를 통해 구현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und output member is implemented through one of silicon, acrylic, and urethane, or one of polyvinylidene fluoride trifluoroethylene (PVDF-TrFE) and lead zirconate (PZT) materia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는 중고음을 출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는 저음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outputs a mid-range sound,
and the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outputs a low-pitched sou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을 둘러싸는 상기 표시 패널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area includes a central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first area includes a peripheral area of the display panel surrounding the second area.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는 상기 변형 진동층의 팽창과 수축에 따른 진동을 통해 중고음을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는 상기 변형 진동층의 벤딩에 따른 진동을 통해 저음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outputs a high and medium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and the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outputs a low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bending of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분리하는 파티션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artition separat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pane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 부재의 접착력은 상기 제1 접착 부재의 접착력보다 강한,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is stronger than an adhesive force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를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시키고,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를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시키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dhesive member attaches the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to the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attaches the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to the display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가 팽창과 수축에 따른 진동을 하도록 제1 접착력을 가지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dhesive member has a first adhesive force so that the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vibrates accor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가 벤딩에 따른 진동을 하도록 제2 접착력을 가지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has a second adhesive force so that the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vibrates according to ben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될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구동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display,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circuit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trol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and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ased on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Devic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영상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이스 데이터와 음향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보이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이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압전 소자 중 상기 음향 위치 데이터에 해당되는 압전 소자에 상기 보이스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driving circuit unit,
a controller for extracting voice data and sound location data based on the image input data; and
A voice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voice data, and the voice signal is supplied to a piezoelectric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acoustic position data among at least one first and second piezoelectric elements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riving unit that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치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부재;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있는 파티션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 중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있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있고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다른 접착력을 갖는 제2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 display panel that displays an image and includes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t least one sound output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o output a sound; and
a parti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he at least one sound output member,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the first area of a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the second area different from the first area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 first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display panel; and
and a second adhesive member between the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n adhesive streng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주변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이며,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는 중고음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는 저음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first region is a peripheral region of the display panel, the second region is a central region of the display panel, the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outputs a high and mid-range sound, and the second region The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the region outputs a low-pitched sound.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 및 제2 압전 소자는
변형 진동층;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과 상기 변형 진동층의 일면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투명 전극; 및
상기 변형 진동층의 일면과 반대되는 상기 변형 진동층의 타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include
strain vibrating layer;
at least on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one surface of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and
and at least on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trained vibration layer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strained vibration layer.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압전 소자는 상기 변형 진동층의 팽창과 수축에 따른 진동을 통해 중고음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 소자는 상기 변형 진동층의 벤딩에 따른 진동을 통해 저음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at least one first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outputs a high and medium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and the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comprises the A display device that outputs a low-pitched sound through vibration according to bending of the deformable vibration lay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소자를 둘러싸는, 표시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artition surrounds the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압전소자를 둘러싸는, 표시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partition surrounds the at least one second piezoelectric element.
KR1020170079494A 2017-06-23 2017-06-23 Display apparatus KR1023101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494A KR102310176B1 (en) 2017-06-23 2017-06-23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494A KR102310176B1 (en) 2017-06-23 2017-06-23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62A KR20190000462A (en) 2019-01-03
KR102310176B1 true KR102310176B1 (en) 2021-10-06

Family

ID=6502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494A KR102310176B1 (en) 2017-06-23 2017-06-23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17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29933A1 (en) * 2020-12-22 2022-10-13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High performance transparent piezoelectric transducers as an additional sound source for personal audio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1473B2 (en) * 2019-01-21 2023-10-16 Tdk株式会社 sound equipment
KR102662671B1 (en) 2019-03-29 2024-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20200137083A (en) 2019-05-28 2020-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475A (en) * 2001-10-16 2003-04-25 Jamco Corp Flat speaker
KR101323323B1 (en) * 2012-06-21 2013-10-29 한국전기연구원 Piezo-electric speaker using transparency piezo-electric single crystal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729B1 (en) * 2004-05-31 2006-04-24 (주)아이블포토닉스 Piezoelectric panel speaker using piezoelectric single cryst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475A (en) * 2001-10-16 2003-04-25 Jamco Corp Flat speaker
KR101323323B1 (en) * 2012-06-21 2013-10-29 한국전기연구원 Piezo-electric speaker using transparency piezo-electric single crystal el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29933A1 (en) * 2020-12-22 2022-10-13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High performance transparent piezoelectric transducers as an additional sound source for personal audio devices
US11800279B2 (en) * 2020-12-22 2023-10-24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High performance transparent piezoelectric transducers as an additional sound source for personal audio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62A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0360B1 (en) Display apparatus
KR102638061B1 (en) Display apparatus
KR102628491B1 (en) Display apparatus
KR102434276B1 (en) Display apparatus
KR102452051B1 (en) Display apparatus
KR102310176B1 (en) Display apparatus
US11381672B2 (en) Display apparatus
KR20200068341A (en) Display apparatus
KR102370837B1 (en) Display apparatus
KR20200069602A (en) Display apparatus
KR102312265B1 (en) Display apparatus
KR102567559B1 (en)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