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217B1 -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 - Google Patents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217B1
KR102308217B1 KR1020190102855A KR20190102855A KR102308217B1 KR 102308217 B1 KR102308217 B1 KR 102308217B1 KR 1020190102855 A KR1020190102855 A KR 1020190102855A KR 20190102855 A KR20190102855 A KR 20190102855A KR 102308217 B1 KR102308217 B1 KR 102308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iner
door
shielding device
c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120A (ko
Inventor
김훈일
Original Assignee
김훈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일 filed Critical 김훈일
Priority to KR1020190102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2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되어 있는 후방면을 개폐하는 리어도어와, 상기 리어도어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후방면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고리에 결속되거나 분리되는 걸림쇠가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로킹로드를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탑차용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하역 작업 시 상기 탑차용 컨테이너의 후방면을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상기 리어도어 상부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로서, 상기 가림장치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하우징; 및 판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 시 상기 컨테이너 후방의 상측부를 가리는 형태로 수평 배치되는 캐노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A BOX TRUCK WITH A SHIELDING DEVICE}
본 발명은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차에 탑재되는 컨테이너의 리어도어 개방 시 물건의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는 컨테이너의 후방을 비나 눈 또는 바람으로부터 차단시켜 물건을 보호함은 물론 작업자에게 쾌적한 하역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량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물건을 실을 수 있도록 적재함이 마련된 화물차량이 사용되며, 이러한 화물차량은 적재되는 물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예를 들어, 화물차량은 트렉터, 트레일러, 탑차, 카고, 덤프 등으로 구분되며, 이중, 탑차는 문의 열고 닫음 또는 화물의 종류나 문이 열리는 형태에 따라 내장탑, 윙탑, 냉동탑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택배 운송이 일반화됨에 따라, 화물을 보다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하여 탑차를 이용한 화물 운반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탑차에는 적재수단으로서 사각박스 형태의 컨테이너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후방에 물건을 하역하기 위하여 양문형 도어가 컨테이너의 후방면에 힌지 결합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도어의 경계 부위에는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물건 하역 시에는 잠금장치를 해제한 뒤 양문형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여 하역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양문형 도어는 닫힌 상태로부터 약 270° 만큼 완전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양문형 도어에는 개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서 대개는 양문형 도어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하역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열린 도어를 컨테이너의 양측면에 완전히 고정시키지 않으면, 바람 등의 영향으로 도어가 컨테이너의 양 옆으로 펼쳐진 상태가 될 수 있고, 그 상태에서도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되며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가 컨테이너의 양 옆으로 대략 180° 정도로 펼쳐진 상태가 되고, 특히, 전후 방향으로 계속 움직이게 되면, 주변을 지나는 행인이나 다른 차량 및 이륜차 등의 이동에 지장을 주게 된다. 또한, 도어 자체의 불량이나 바람의 영향으로 열려 있던 양문형 도어가 예기치 않게 닫히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하역 작업은 컨테이너의 개방된 양문형 도어를 통해 물건을 싣거나 내려야 하므로, 양문형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컨테이너의 후방에서 이루어진다. 이때, 양문형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어 젖혀진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양측에서 바람이 불어오면, 이 바람이 작업자를 방해하거나 무게가 가벼운 화물의 경우 바람에 날려갈 수 있어, 하역 작업을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리고 컨테이너의 후방에서 하역 작업 시 양문형 도어를 각각 90°만 개방하고 적당한 화물을 양문형 도어의 일측 또는 양측에 거치시켜 양문형 도어를 임의로 고정하면, 컨테이너의 양측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차단할 수 있을 지라도, 작업자의 머리 위쪽은 여전히 개방된 상태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비나 눈이 내리는 날씨 환경에서, 하역 작업을 하게 되면, 비나 눈에 의해 하역 작업에 많은 지장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비나 눈이 내리는 양이 많으면 하역 작업 자체가 불가능해지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08-0027617호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362694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탑차에 탑재되는 컨테이너의 리어도어 개방 시 물건의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는 컨테이너의 후방을 비나 눈 또는 바람으로부터 차단시켜 물건을 보호함은 물론 작업자에게 쾌적한 하역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개구되어 있는 후방면을 개폐하는 리어도어와, 상기 리어도어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후방면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고리에 결속되거나 분리되는 걸림쇠가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로킹로드를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탑차용 컨테이너에 설치되어, 하역 작업 시 상기 탑차용 컨테이너의 후방면을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상기 리어도어 상부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로서, 상기 가림장치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하우징; 및 판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 시 상기 컨테이너 후방의 상측부를 가리는 형태로 수평 배치되는 캐노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캐노피부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캐노피부재가 슬라이딩되어 빠져나가도록 후방면이 개구되어 있는 하우징본체, 및 상기 수용공간과 폭 방향으로 접하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측면에 상기 하우징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며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캐노피부재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림장치는 상기 캐노피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캐노피작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노피작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류본체와, 상기 스크류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상측은 상기 캐노피부재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스크류블록을 포함하는 볼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본체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본체를 회전시키는 스크류구동모터와, 상기 스크류본체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유닛, 및 상기 스크류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림장치는 상기 캐노피부재의 후방 단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근접센서는 상기 캐노피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캐노피부재의 후방 단부측에 근접되는 물체를 센싱하고, 센싱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달하여, 상기 스크류구동모터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림장치는 상기 캐노피부재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회전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을 개방시킨 상기 리어도어의 양측문과 상기 하우징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된 상기 캐노피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어도어의 양측문이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 양측부를 가리는 형태로 고정되게 하는 도어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캐노피부재는 후방 단부 측에서 폭 방향으로 내향 형성되는 단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고정부재는, 바(bar) 형태로 구비되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단턱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본체와, 상기 캐노피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고정본체의 길이 방향 일측면에서 상기 캐노피부재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연장부, 및 상기 수평연장부의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본체가 회전되면, 상기 수평연장부 하측의 상기 고정본체의 길이 방향 일측면과, 상기 수평연장부와, 상기 절곡부가 회전된 상기 리어도어의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캡핑(capping)되어, 상기 리어도어의 회전 동작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노피부재는 후방 단부 측에서 폭 방향으로 내향 형성되는 단턱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고정부재는 바(bar) 형태로 구비되며, 회전축을 통해 상기 단턱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 시 상기 리어도어의 외측면과 상기 걸림쇠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리어도어의 회전 동작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캐노피부재는 후방 단부면에 형성되는 삽입공을 구비하며, 상기 도어고정부재는, 길이 방향 일측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며 타측은 수평하게 연장된 후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링크부재, 및 상기 절곡링크부재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리어도어의 상단면과 면접촉되는 판상의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리어도어의 내, 외측면 상단과 면접촉되는 판상의 수직연장부로 이루어진 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캐노피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리어도어가 상기 컨테이너의 후방면을 개방하기 위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링크부재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캡부재는 상기 리어도어의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캡핑되어, 상기 리어도어의 회전 동작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재되는컨테이너의 상측에서 컨테이너의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캐노피부재와, 컨테이너의 후방면을 개방시키기 위해 외측으로 90도 회전된 리어도어의 양측문을 컨테이너의 후방으로 슬라이딩된 캐노피부재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시키는 도어고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리어도어의 회전을 통해 컨테이너의 후방면 개방 시 물건의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는 컨테이너의 후방을 비나 눈 또는 바람으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물건을 보호할 수 있으며, 작업자에게 쾌적한 하역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캐노피부재의 후방 단부측에 접근되는 물체를 센싱하는 근접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캐노피부재가 컨테이너의 후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캐노피부재의 인출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컨테이너의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캐노피부재가 컨테이너의 후방에 위치하는 예컨대, 건물의 벽면 등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차에 탑재되는 컨테이너의 리어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어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난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에서, 도어고정부재의 연결구조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에서, 도어고정부재의 연결구조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에서, 캐노피작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차에 탑재되는 컨테이너의 리어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어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난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에서, 도어고정부재의 연결구조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에서, 도어고정부재의 연결구조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에서, 캐노피작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차(10)는 컨테이너(11)의 상측에 설치되어, 하역 작업 시 컨테이너(11)의 후방면을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리어도어(12) 상부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가림장치(1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컨테이너(11)는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양문형으로 구비되는 상기 리어도어(12)의 회전 동작에 의해, 개구되어 있는 후방면이 개폐된다.
컨테이너(11)는 이러한 리어도어(12)를 잠그는 잠금장치를 구비한다. 잠금장치는 컨테이너(11)의 후방면 상, 하단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고리(도시하지 않음)에 리어도어(12)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로킹로드(13)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쇠(13a)가 결속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이때, 로킹로드(13)는 복수 개의 브라켓(14)에 의해 리어도어(12)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로킹로드(13)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작업자가 잠금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16)이 로킹로드(1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리어도어(12)의 외측면에는 핸들(16)이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핸들잠금걸쇠(15)가 설치된다.
여기서, 잠금장치는 리어도어(12)의 양측문(12a, 12b) 각각에 구비된다. 이때, 리어도어(12)의 양측문(12a, 12b)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컨테이너(11)의 후방면을 개폐시키며, 하역 작업을 위해, 컨테이너(11)의 후방면을 개방시킨 경우, 완전히 뒤로 젖혀져(예컨대, 닫힌 상태에서 270도 회전) 컨테이너(11)의 양측방면에 각각 임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테이너(11)의 양측방면에는 리어도어(12)의 양측문(12a, 12b) 각각과 결속되는 고리 등과 같은 간이 혹은 임시 결속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어도어(12)는 양문형으로 구비되지만, 양측문(12a, 12b)의 구조가 동일하며, 개폐 동작은 방향만 반대일 뿐이므로,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리어도어(12)를 일측문과 타측문으로 구분하지 않고, 이를 리어도어(12)로 통칭하며, 특별히 구분하여 설명할 필요가 있을 때만 한정적으로 이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차(10)에 구비되는 가림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캐노피부재(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하우징(110)은 컨테이너(11)의 상측면에 구비된다. 하우징(110)은 캐노피부재(120)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고, 캐노피부재(120)가 컨테이너(11)의 상측에서 안정적으로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되고, 다시 내측으로 슬라이딩 인입되도록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은 하우징본체(111)와 가이드돌기(11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본체(110)는 컨테이너(11)의 상측면에 설치된다. 하우징본체(110)는 컨테이너(11)와 최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본체(110)는 컨테이너(11)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본체(110)는 내측으로 캐노피본체(120)를 수용하고, 내측에 수용되어 있는 캐노피본체(120)가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을 할 수 있는 충분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본체(110)의 내측에는 캐노피부재(1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컨테이너(11)의 상측면이 수용공간의 바닥면이 될 수 있다.
하우징본체(110)의 후방면은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캐노피부재(120)가 이의 후방 외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다. 즉, 하우징본체(110)는 하측면과 후방면이 개구되어 있는 박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12)는 캐노피부재(12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돌기(112)는 하우징본체(111)의 내측면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가이드돌기(112)는 하우징본체(11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공간과 폭 방향으로 접하는 하우징본체(111)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112)는 하우징본체(111)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돌기(112)는 하우징본체(111)의 폭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가이드돌기(112)는 하우징본체(111)의 폭 방향 양측 내측면에 선반 형태로 구비된다(도 7 참조). 캐노피부재(120)는 이러한 선반 형태의 양측 가이드돌기(112)에 하측면 양측 가장자리가 안착되어 지지된다.
캐노피부재(120)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캐노피부재(12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장착된다. 또한, 캐노피부재(120)는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캐노피부재(120)는 하우징본체(11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하우징본체(111)의 폭 방향 양측 내측면에 선반 형태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돌기(112)에 안착 및 지지된다.
이러한 캐노피부재(120)는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 시 컨테이너(11) 후방의 상측부를 가리는 형태로 수평 배치된다. 이를 통해, 리어도어(12)의 회전으로 인해 컨테이너(11)의 후방면 개방 시 물건의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는 컨테이너(11)의 후방을 비나 눈으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자에게 쾌적한 하역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비나 눈에 의한 물건의 손상 또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캐노피부재(120)는 단턱부(121)를 구비한다. 단턱부(121)는 캐노피부재(120)의 후방 단부 측에서 폭 방향으로 내향 형성된다. 단턱부(121)는 캐노피부재(12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또한, 캐노피부재(120)는 삽입공(122)을 구비한다. 삽입공(122)은 캐노피부재(120)의 후방 단부면에 형성된다. 삽입공(122)은 캐노피부재(120)의 후방 단부면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캐노피부재(120)에 형성되는 단턱부(121)와 삽입공(122)은 후술되는 리어도어(12)에 일측이 연결되는 도어고정부재(130)의 타측과 연결되는데, 이들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림장치(100)는 도어고정부재(13)를 더 포함하여형성될 수 있다. 도어고정부재(130)는 캐노피부재(12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도어고정부재(13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컨테이너(11)의 후방면을 개방시킨 리어도어(12)의 양측문(12a, 12b)과,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된 캐노피부재(120) 사이에 연결되어, 90도로 회전된 상태의 리어도어(12)의 양측문(12a, 12b)이 컨테이너(11)의 후방 양측부를 가리는 형태로 고정되게 한다.
하역 작업 시,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된 캐노피부재(120)에 의해 컨테이너(11)의 후방 상측부가 가려지고, 컨테이너(11)의 후방면을 개방시키기 위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후 도어고정부재(130)에 의해 고정되는 리어도어(12)의 양측문(12a, 12b)에 의해 컨테이너(11)의 후방 양측부가 가려지면, 컨테이너(11)의 후방이 위쪽에서 내리는 비나 눈 그리고 옆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으로부터 차단되고, 그 결과, 작업자에게 쾌적한 하역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비나 눈, 바람에 의한 물건의 손상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안정적이고 안전한 공간에서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하역 작업의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고정부재(130)는 고정본체(131)와, 수평연장부(132)와, 절곡부(133)를 포함한다.
고정본체(131)는 바(bar) 형태로 구비된다. 고정본체(131)는 회전축(134)을 통해 캐노피부재(120)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본체(131)는 평상 시에는 수평인 상태로 있다가, 리어도어(12)가 90도 회전되어, 이를 고정시킬 때에는 회전축(13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직 상태로 배치된다.
수평연장부(132)는 고정본체(131)의 길이 방향에 구비된다. 수평연장부(132)는 캐노피부재(120)와 마주하는 고정본체(131)의 길이 방향 일측면에서 캐노피부재(120)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수평연장부(132)는 고정본체(131)와 동일한 폭을 갖는 바 형태로 구비되며, 고정본체(131)와 일체로 형성된다.
절곡부(133)는 수평연장부(132)의 단부에 구비된다. 절곡부(133)는 수평연장부(132)의 단부에서 하향 절곡된다. 절곡부(133)는 수평연장부(132)와 동일한 폭을 갖는 바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절곡부(133)의 길이 방향 단부와 고정본체(131)의 길이 방향 하측 단부는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캐노피부재(120)가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되고, 리어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외측으로 90도 회전되어 컨테이너(11)의 후방면이 개방된 경우, 90도 회전되어 컨테이너(11)의 후방 측부를 가리는 리어도어(12)를 고정하기 위해, 작업자는 회전축(134)에 의해 캐노피부재(120)의 단턱부(121)에 연결되어 있고 길이 방향이 수평 상태로 놓여있는 고정본체(131)를 회전시킨다. 고정본체(131)가 회전되면, 수평연장부(132)의 아래쪽인 고정본체(131)의 길이 방향 일측면과, 수평연장부(132)와, 절곡부(133)가 90도 회전된 리어도어(12)의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캡핑(capping)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도어고정부재(130)가 리어도어(12)의 상단부에 연결되면, 리어도어(12)는 절곡부(133)에 막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수평연장부(132)의 아래쪽인 고정본체(131)의 일측면에 막혀 열리는 방향으로도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리어도어(12)의 회전 동작은 도어고정부재(130)에 의해 구속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도어고정부재(130)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도어고정부재(130)는 단일 구조의 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고정부재(130)는 회전축(134)을 통해 캐노피부재(120)에 형성되어 있는 단턱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회전축(134)은 로킹로드(13)의 걸림쇠(13a)와 마주하는 단턱부(121)의 일측 부분에 설치된다. 도어고정부재(130)는 평상 시에는 수평인 상태로 있다가, 리어도어(12)가 90도 회전되어, 이를 고정시킬 때에는 회전축(13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직 상태로 배치된다.
캐노피부재(120)가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되고, 리어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외측으로 90도 회전되어 컨테이너(11)의 후방면이 개방된 경우, 90도 회전되어 컨테이너(11)의 후방 측부를 가리는 리어도어(12)를 고정하기 위해, 작업자는 길이 방향이 수평 상태로 놓여있는 도어고정부재(130)를 회전시킨다. 작업자에 의한 회전 시, 도어고정부재(130)는 리어도어(12)의 외측면과 걸림쇠(13a) 사이에 배치된다. 리어도어(12)의 외측면과 걸림쇠(13a) 사이에 고정부재(130)가 배치되면, 리어도어(12)는, 걸림쇠(13a)가 도어고정부재(130)의 외측면에 막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리어도어(12)의 외측면이 도어고정부재(130)의 내측면에 막혀 열리는 방향으로도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리어도어(12)의 회전 동작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도어고정부재(130)에 의해 구속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도어고정부재(130)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도어고정부재(130)는 절곡링크부재(135)와 캡부재(136)를 포함한다.
절곡링크부재(135)는 'ㄱ'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절곡링크부재(135)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는 캐노피부재(120)의 후방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122)에 삽입된다. 그리고 절곡링크부재(135)의 길이 방향 타측은 일측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후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다.
캡부재(136)는 절곡링크부재(135)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캡부재(136)는 캡본체(136a)와, 수직연장부(136b)로 이루어진다. 캡본체(136a)는 그 중심부분이 절곡링크부재(135)의 타측 단부와 일체로 결합된다. 캡본체(136a)는 판상으로 구비되며, 절곡링크부재(135)의 타측 단부와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캡본체(136a)는 리어도어(12)의 상단면과 면접촉된다. 또한, 수직연장부(136b)는 캡본체(136a)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수직연장부(136b)는 캡본체(136a)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하향 연장된다. 수직연장부(136b)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수직연장부(136b)는 캡본체(136a)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연장부(136b)는 리어도어(12)의 내, 외측면 상단과 면접촉된다.
캐노피부재(120)가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되고, 리어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외측으로 90도 회전되어 컨테이너(11)의 후방면이 개방된 경우, 90도 회전되어 컨테이너(11)의 후방 측부를 가리는 리어도어(12)를 고정하기 위해, 작업자는 캐노피부재(12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122)에 절곡링크부재(135)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를 삽입시킨다. 절곡링크부재(135)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를 삽입공(122)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캡부재(136)는 리어도어(12)의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측방으로부터 끼워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리어도어(12)의 상단부에 캡핑되는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도어고정부재(130)가 리어도어(12)의 상단부에 연결되면, 리어도어(12)는 내측의 수직연장부(136b)에 막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외측의 수직연장부(136b)에 막혀 열리는 방향으로도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리어도어(12)의 회전 동작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도어고정부재(130)에 의해 구속된다.
한편, 도 9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림장치(100)는 캐노피작동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노피작동부(140)는 캐노피부재(120)를 하우징(110)의 내측과 후방 외측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작업자는 캐노피부재(120)를 손으로 직접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끌어당겨 빼내거나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하지만, 폭이 넓고 길이 또한 길게 형성되는 캐노피부재(120)를 하우징(110) 외측으로 직접 끌어당겨 꺼내거나 하우징(110) 내측으로 밀어 넣기는, 편차는 있겠지만, 번거롭거나 어려울 수 있다. 캐노피작동부(14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내, 외측으로 캐노피부재(120)를 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러한 캐노피작동부(140)는 볼스크류(141)와, 스크류구동모터(144)와, 서포트유닛(145)과, 컨트롤러(146)를 포함한다.
볼스크류(141)는 하우징(110) 내측에 수용되는 캐노피부재(120)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볼스크류(141)는 스크류본체(142)와, 스크류블록(143)을 포함한다. 스크류본체(142)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하우징(110)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된다. 스크류블록(143)은 스크류본체(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스크류블록(143)은 스크류본체(142)의 회전 시 스크류본체(142)를 타고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이러한 스크류블록(143)의 상측은 캐노피부재(120)의 하측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스크류본체(142)의 회전 시 스크류블록(143)이 스크류본체(142)를 타고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게 되면, 스크류블록(143)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는 캐노피부재(120) 또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되거나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스크류구동모터(144)는 스크류본체(142)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결합된다. 스크류구동모터(144)는 스크류본체(142)를 수평 지지한다. 이때, 스크류구동모터(144)는 스크류본체(142)에 관통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블록(143)의 수평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스크류본체(142)를 하우징(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스크류구동모터(144)는 컨트롤러(146)에 의해 구동되고, 이를 통해, 스크류본체(14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스크류본체(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블록(143)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스크류블록(143)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는 캐노피부재(120) 또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되거나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여기서, 길이 방향 일측 단부가 스크류구동모터(144)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크류본체(142)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는 서포트유닛(14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스크류본체(142)는 길이 방향 일측과 타측이 각각, 스크류구동모터(144)와 서포트유닛(145)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림장치(100)는 근접센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50)는 캐노피부재(120)의 후방 단부측에 설치된다. 근접센서(150)는 컨트롤러(1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근접센서(150)는, 캐노피작동부(140)에 의해 캐노피부재(120)가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캐노피부재(120)의 후방 단부측에 근접되는 물체를 센싱한다. 즉, 근접센서(150)는 캐노피부재(120)의 후방 단부에 근접되는 물체 가 설정 거리 이내로 들어오면, 이를 센싱하며, 그 신호를 컨트롤러(146)에 전달한다. 근접센서(150)로부터 근접 물체 관련 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146)는 작동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스크류구동모터(14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근접센서(150)를 통해, 캐노피부재(120)가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 즉, 컨테이너(11)의 후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캐노피부재(120)의 후방 슬라이딩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특히,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캐노피부재(120)가 컨테이너(11)의 후방에 위치하는 예컨대, 건물의 벽면 등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가림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가림장치 110; 하우징
111; 하우징본체 112; 가이드돌기
120; 캐노피부재 121; 단턱부
122; 삽입공 130; 도어고정부재
131; 고정본체 132; 수평연장부
133; 절곡부 134; 회전축
135; 절곡링크부재 136; 캡부재
136a; 캡본체 136b; 수직연장부
140; 캐노피작동부 141; 볼스크류
142; 스크류본체 143; 스크류블록
144; 스크류구동모터 145; 서포트유닛
150; 센서 10; 탑차
11; 컨테이너 12; 리어도어

Claims (8)

  1. 개구되어 있는 후방면을 개폐하는 리어도어(12)와, 상기 리어도어(12)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후방면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고리에 결속되거나 분리되는 걸림쇠(13a)가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로킹로드(13)를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탑차용 컨테이너(11)에 설치되어, 하역 작업 시 상기 탑차용 컨테이너(11)의 후방면을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상기 리어도어(12) 상부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가림장치(100)를 구비하는 탑차(10)로서;
    상기 가림장치(100)는 상기 컨테이너(11)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하우징(110)과, 판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 시 상기 컨테이너(11) 후방의 상측부를 가리는 형태로 수평 배치되는 캐노피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가림장치(100)는 상기 캐노피부재(12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회전되어 상기 컨테이너(11)의 후방면을 개방시킨 상기 리어도어(12)의 양측문과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된 상기 캐노피부재(1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어도어(12)의 양측문이 상기 컨테이너(11)의 후방 양측부를 가리는 형태로 고정되게 하는 도어고정부재(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노피부재(120)는 후방 단부 측에서 폭 방향으로 내향 형성되는 단턱부(121)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고정부재(130)는 바(bar) 형태로 구비되며, 회전축(134)을 통해 상기 단턱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본체(131)와, 상기 캐노피부재(120)와 마주하는 상기 고정본체(131)의 길이 방향 일측면에서 상기 캐노피부재(120)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연장부(132)와, 상기 수평연장부(132)의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는 절곡부(133)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본체(131)가 회전되면, 상기 수평연장부(132) 하측의 상기 고정본체(131)의 길이 방향 일측면과, 상기 수평연장부(132)와, 상기 절곡부(133)가 회전된 상기 리어도어(12)의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캡핑(capping)되어, 상기 리어도어(12)의 회전 동작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장치(100)를 구비하는 탑차(10).
  2. 개구되어 있는 후방면을 개폐하는 리어도어(12)와, 상기 리어도어(12)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후방면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고리에 결속되거나 분리되는 걸림쇠(13a)가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로킹로드(13)를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탑차용 컨테이너(11)에 설치되어, 하역 작업 시 상기 탑차용 컨테이너(11)의 후방면을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상기 리어도어(12) 상부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가림장치(100)를 구비하는 탑차(10)로서;
    상기 가림장치(100)는 상기 컨테이너(11)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하우징(110)과, 판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 시 상기 컨테이너(11) 후방의 상측부를 가리는 형태로 수평 배치되는 캐노피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가림장치(100)는 상기 캐노피부재(12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회전되어 상기 컨테이너(11)의 후방면을 개방시킨 상기 리어도어(12)의 양측문과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된 상기 캐노피부재(1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어도어(12)의 양측문이 상기 컨테이너(11)의 후방 양측부를 가리는 형태로 고정되게 하는 도어고정부재(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노피부재(120)는 후방 단부 측에서 폭 방향으로 내향 형성되는 단턱부(121)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고정부재(130)는 바(bar) 형태로 구비되며, 회전축(134)을 통해 상기 단턱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 시 상기 리어도어(12)의 외측면과 상기 걸림쇠(13a)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리어도어(12)의 회전 동작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장치(100)를 구비하는 탑차(10).
  3. 개구되어 있는 후방면을 개폐하는 리어도어(12)와, 상기 리어도어(12)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후방면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고리에 결속되거나 분리되는 걸림쇠(13a)가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로킹로드(13)를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탑차용 컨테이너(11)에 설치되어, 하역 작업 시 상기 탑차용 컨테이너(11)의 후방면을 개방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상기 리어도어(12) 상부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가림장치(100)를 구비하는 탑차(10)로서;
    상기 가림장치(100)는 상기 컨테이너(11)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하우징(110)과, 판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 시 상기 컨테이너(11) 후방의 상측부를 가리는 형태로 수평 배치되는 캐노피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가림장치(100)는 상기 캐노피부재(12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회전되어 상기 컨테이너(11)의 후방면을 개방시킨 상기 리어도어(12)의 양측문과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된 상기 캐노피부재(1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리어도어(12)의 양측문이 상기 컨테이너(11)의 후방 양측부를 가리는 형태로 고정되게 하는 도어고정부재(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노피부재(120)는 후방 단부면에 형성되는 삽입공(122)을 구비하며;
    상기 도어고정부재(130)는 길이 방향 일측은 상기 삽입공(122)에 삽입되며 타측은 수평하게 연장된 후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링크부재(135)와, 상기 절곡링크부재(135)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리어도어(12)의 상단면과 면접촉되는 판상의 캡본체(136a)와 상기 캡본체(136a)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리어도어(12)의 내, 외측면 상단과 면접촉되는 판상의 수직연장부(136b)로 이루어진 캡부재(136)를 포함하며;
    상기 캐노피부재(120)가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리어도어(12)가 상기 컨테이너(11)의 후방면을 개방하기 위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링크부재(135)는 상기 삽입공(122)에 삽입되고 상기 캡부재(136)는 상기 리어도어(12)의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캡핑되어, 상기 리어도어(12)의 회전 동작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장치(100)를 구비하는 탑차(10).
  4. 제1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컨테이너(11)의 상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캐노피부재(1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캐노피부재(120)가 슬라이딩되어 빠져나가도록 후방면이 개구되어 있는 하우징본체(111), 및
    상기 수용공간과 폭 방향으로 접하는 상기 하우징본체(111)의 내측면에 상기 하우징본체(111)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며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캐노피부재(12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장치(100)를 구비하는 탑차(10).
  5. 제1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장치(100)는 상기 캐노피부재(120)를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과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캐노피작동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노피작동부(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110)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류본체(142)와, 상기 스크류본체(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며 상측은 상기 캐노피부재(120)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스크류블록(143)을 포함하는 볼스크류(141)와, 상기 스크류본체(142)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본체(142)를 회전시키는 스크류구동모터(144)와, 상기 스크류본체(142)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본체(1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유닛(145), 및 상기 스크류구동모터(1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구동모터(144)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장치(100)를 구비하는 탑차(1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장치(100)는 상기 캐노피부재(120)의 후방 단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1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근접센서(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근접센서(150)는 상기 캐노피부재(120)가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 외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캐노피부재(120)의 후방 단부측에 근접되는 물체를 센싱하고, 센싱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146)에 전달하여, 상기 스크류구동모터(144)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림장치(100)를 구비하는 탑차(10).
  7. 삭제
  8. 삭제
KR1020190102855A 2019-08-22 2019-08-22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 KR102308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855A KR102308217B1 (ko) 2019-08-22 2019-08-22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855A KR102308217B1 (ko) 2019-08-22 2019-08-22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120A KR20210023120A (ko) 2021-03-04
KR102308217B1 true KR102308217B1 (ko) 2021-09-30

Family

ID=7517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855A KR102308217B1 (ko) 2019-08-22 2019-08-22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2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2081B (zh) * 2021-04-23 2022-10-11 济南锐冠信息技术有限公司 物流用多功能物流装置
KR102380321B1 (ko) * 2021-07-30 2022-03-30 최종섭 인출가능하게 차량에 설치되는 캠핑용 텐트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962B1 (ko) 2005-04-29 2006-10-12 (주)건원산업건축사사무소 겹침식 셀터 시스템
JP2009543723A (ja) * 2006-07-15 2009-12-10 ルシコフ,ロナルド,ケイ. 退避可能なビミニトッ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9227U (ko) * 1987-05-13 1988-11-21
JPH10138761A (ja) * 1996-11-14 1998-05-26 Susumu Hasegawa 車輛における庇板の取付構造
KR200362694Y1 (ko) 2004-07-01 2004-09-21 박지완 냉동탑차의 리어도어 닫힘 방지 구조
KR20080027617A (ko) 2006-09-25 2008-03-28 (주)비브 화물차용 적재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962B1 (ko) 2005-04-29 2006-10-12 (주)건원산업건축사사무소 겹침식 셀터 시스템
JP2009543723A (ja) * 2006-07-15 2009-12-10 ルシコフ,ロナルド,ケイ. 退避可能なビミニトッ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120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0820B1 (en) Vehicle cargo retention system
KR102308217B1 (ko) 가림장치를 구비하는 탑차
JP4913616B2 (ja) トノカバー装置
US9393855B2 (en) Truck cap assembly
US4848619A (en) Device for the handling of a container
CN110198899B (zh) 可折叠的联运集装箱
US8075037B2 (en) Vehicle rear end assemblies with storage assemblies
US20170341590A1 (en) Roof rack for a vehicle
US20180098608A1 (en) Roof Box System for Motor Vehicles and Case for a Roof Box System
WO2012036544A1 (en) Collapsible freight container
CN108791090B (zh) 用于机动车辆的货舱组件
US6715819B2 (en) Convertible vehicle with a storable roof
JP2007523795A (ja) 積荷搬送手段を有する自動車
US20060001286A1 (en) Device for protecting objects disposed in the rear trunk of a motor vehicle having a retractable roof
US11161686B2 (en)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CN107972590A (zh) 用于车辆货物区域的铰接式围栏
US20110297687A1 (en) Open top container
CN110936991B (zh) 笼车及其锁定和解锁方法
KR101516354B1 (ko) 차량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KR101550440B1 (ko) 픽업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CN114728617B (zh) 可折叠的附接***以及包括可折叠的附接***的车辆
KR102389608B1 (ko) 2단 바닥식 적재함을 구비하는 저상탑차의 적재함 도어장치
KR100863178B1 (ko) 차량용 러기지 박스
JP2660311B2 (ja) 可動屋根型簡易車庫
JPH02494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