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277B1 -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277B1
KR102305277B1 KR1020190119041A KR20190119041A KR102305277B1 KR 102305277 B1 KR102305277 B1 KR 102305277B1 KR 1020190119041 A KR1020190119041 A KR 1020190119041A KR 20190119041 A KR20190119041 A KR 20190119041A KR 102305277 B1 KR102305277 B1 KR 102305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connecting plate
connection structure
handrails
handica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694A (ko
Inventor
김한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딕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딕누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딕누리
Priority to KR1020190119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277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8Handrail member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핸드레일의 중공된 내측부에 연결판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를 형성하여, 일측 핸드레일의 삽입부에 연결판의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삽입 후, 타측 핸드레일의 삽입부에 상기 연결판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도록 타측 핸드레일을 밀어 넣어 핸드레일 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Handrail connection structure for the disabled}
본 발명은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연결판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이 빠르고 쉽도록 형성되는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몸이 불편한 장애우에게 있어 몸을 지탱하여 걸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핸드레일은 매우 유용하며 안전을 담보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러한 핸드레일은, 일반적으로 계단이나 난간 등에 설치되는데, 계단이나 난간 등의 구조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길이 및 형태가 다르게 제작되어 각 설치 구조에 맞추어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종래의 핸드레일 간의 연결은, 핸드레일간 맞대어 용접 등으로 접합 후 사상하는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통상적으로 핸드레일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특성 상 용접 작업 및 사상이 어렵고, 특히 용접으로 인한 전문성이 요구되며 화재의 위험성이 수반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조립식으로 핸드레일을 연결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제10-1309234호 '해변데크용 핸드레일 연결장치'에는 핸드레일을 지지하는 지주와 핸드레일 연결부에 각각 고정브라켓을 설치하고, 그 2개의 고정브라켓간을 복수의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조립 방식으로서 용접 연결로 인한 많은 문제점은 해결하였으나, 부품의 조립수가 많고 핸드레일에 볼트가 삽입되기 위해 많은 구멍을 뚫어야 하는 등 작업과정이 많고 불편하여 작업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작업이 쉽고 빠르게 하나의 연결판을 이용하여 핸드레일 간을 연결하는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는, 상기 핸드레일의 중공된 내측부에 연결판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를 형성하여, 일측 핸드레일의 삽입부에 연결판의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삽입 후, 타측 핸드레일의 삽입부에 상기 연결판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도록 타측 핸드레일을 밀어 넣어 핸드레일 간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핸드레일 양측에서 대칭되는 핀부가 내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핀부는, 상측과 하측으로 대칭되는 돌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은, 일측면 또는 양측면의 꼭짓점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양측으로 톱니날을 형성하는 톱니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면의 단부는 상기 톱니날에 걸림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는, 상기 핸드레일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핸드레일 지지 브라켓 결합 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 결속부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롤러를 결합하여,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연결판이 상기 롤러에 의해 구름마찰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는, 상기 핸드레일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핸드레일 지지 브라켓 결합 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 결속부의 상면에 길이를 따라 복수의 위치고정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판은, 하면에 삽입부로의 삽입 시 상기 복수의 위치고정홀들을 따라 삽입되어 연결판의 삽입위치를 고정시키는 탄성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핸드레일의 중앙단으로 갈수록 협소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되, 중앙단에서는 상기 연결판의 높이보다 협소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에는 제1 나사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핸드레일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핸드레일 지지 브라켓 결합 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 결속부의 상면에는 중앙단까지 삽입된 상태의 연결판의 제1 나사삽입홀과 대응되는 제2 나사삽입홀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단까지 삽입된 연결판에 결합나사를 상기 제2 나사삽입홀과 제1 나사삽입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는, 상기 연결판의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 확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내측부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는 연결판에 맞닿아 연결판의 삽입 시 회전하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 수를 체크하는 회전수 체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는, 상기 연결판에 의해 연결된 양측 핸드레일간의 연결단부는 아치형의 연결띠를 둘러 상기 양측 핸드레일에 각각 고정되도록 결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는, 하나의 연결판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이 빠르고 쉬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는, 연결판의 고정 및 위치 조절이 쉽도록 형성되어 핸드레일 연결 작업의 조정이 쉽고 간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는, 균형잡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의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3의 (a)는 양측으로 대칭 핀부를 갖는 삽입부의 예시도이고, (b)는 하나로 연결되는 핀부를 갖는 폐쇄형 삽입부의 예시도이며, (c)는 일측면 꼭짓점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연결판의 예시도이다.
도 4는 톱니부를 형성한 연결판을 통한 장애우용 핸드레일의 연결 예시도이다.
도 5는 롤러를 구비한 장애우용 핸드레일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탄성돌기가 형성된 연결판이 삽입부에 삽입된 예시도이며, (b)는 (a)의 연결판을 핸드레일에서 분리시킨 분해도이다.
도 7은 연결판이 중앙단으로 테이퍼진 삽입부에 삽입되어 제1 나사삽입홀과 제2 나사삽입홀을 통해 결합나사에 의해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도 7의 A-A' 단면도이고, (b)는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도 9는 위치 확인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우용 핸드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10의 (a) 내지 (c)는 연결띠의 장착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연결띠가 장착된 핸드레일의 정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의 일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의 다른 예시도이고, 도 3의 (a)는 양측으로 대칭 핀부를 갖는 삽입부의 예시도이고, (b)는 하나로 연결되는 핀부를 갖는 폐쇄형 삽입부의 예시도이며, (c)는 일측면 꼭짓점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연결판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우용 핸드레일의 연결구조는, 삽입부(14), 연결판(16) 및 브라켓 결속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본 발명의 장애우용 핸드레일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모난곳이 없어 장애우가 핸드레일을 잡으며 이동할 때에 보다 편리하며, 힘을 주어도 아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며, 이러한 형태의 변화는 디자인 또는 설치 공간 등을 고려하여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애우용 핸드레일은, 내부가 중공된 내측부(1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무게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면서도 본 발명의 연결구조를 위해 구성되는 삽입부(14) 등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삽입부(14)는 상술한 핸드레일의 중공된 내측부(12)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14)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 양측에서 대칭되는 핀부(14a)가 내측부(12)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핀부(14a)는 상측과 하측으로 대칭되는 돌출면(14a-1, 14a-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동일한 형태와 길이를 갖는 상측 돌출면(14a-1)과 하측 돌출면(14a-2)이 핸드레일(10) 양측에서 내측부(12)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이며, 양측 핀부(14a) 사이로는 개방된 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경량화 또는 공간 마련을 위한 삽입부(14)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삽입부(14)는 연결판(16)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b)와 같이 양측 핀부(14a)가 연결되는 형태 즉, 양단이 핸드레일(10) 양측면에 연결되는 하나의 상측 돌출면(14a-1)과 하나의 하측 돌출면(14a-2)으로 구성되어 폐쇄된 구조의 삽입부(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삽입부(14)의 바람직한 형태인 도 3의 (a)에 도시된 전자의 형태를 바탕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판(16)은 삽입부(14)에 삽입되어 일측 핸드레일(10a)과 타측 핸드레일(10b)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판(16)은 일측 핸드레일(10a)의 삽입부(14)에 연결판(16)의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삽입 후, 타측 핸드레일 삽입부(14)에 상기 연결판(16)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도록 타측 핸드레일(10b)을 밀어 넣어 핸드레일 간(10a, 10b)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판(16)은 일측 핸드레일(10a)의 길이보다 길거나 짧은 것이 모두 가능할 수 있는데, 도 2와 같이 일측 핸드레일(10a)의 길이보다 길 경우에는, 연결판(16)이 일측 핸드레일(10a)을 관통하여 연결판(16)의 양단이 일측 핸드레일(10a)의 양단으로 모두 돌출될 수 있으며, 일측 핸드레일(10a)의 양단으로 타측 핸드레일(10b) 2개를 밀어 넣어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연결판(16)이 일측 핸드레일(10a)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에는, 연결판(16)의 타단이 돌출되도록 연결판(16)의 일단만 일측 핸드레일(10a)의 삽입부(14)에 삽입되고, 돌출된 연결판(16)에 타단이 타측 핸드레일 삽입부(14)에 삽입되도록 타측 핸드레일(10b)을 밀어 넣어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는, 핸드레일의 내측부(12)에 삽입부(14)를 형성하고, 삽입부(14)에 삽입되는 연결판(16)을 이용하여 양측 핸드레일(10)을 연결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연결판(16)은 연결된 양측 핸드레일(10a, 10b)의 이탈이 쉽지 않도록 삽입부(14)로 억지끼움 할 정도의 삽입 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삽입부(14)의 상/하측 돌출면(14a-1, 14a-2)의 간격이 연결판(16)의 높이와 일치되거나 연결판(16)의 높이보다 약간 작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16)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의 꼭짓점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일측면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브라켓 결속부(18)는 핸드레일 지지 브라켓이 결합되는 결합공간으로서, 핸드레일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 결속부(18)의 함몰되는 높이는 연결판(16)이 삽입부(14)에 삽입될 시에 연결판(16)의 하면과 맞닿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연결판(16)의 하단을 받치는 받침역할로서 작용될 수 있어 연결판(16)에 대한 하중에도 강한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는, 연결판(16)의 위치 고정이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균형 잡힌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구성들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톱니부를 형성한 연결판을 통한 장애우용 핸드레일의 연결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연결판(16)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양측으로 톱니날(22)을 형성하는 면체로 이루어지는 톱니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4)의 핀부(14a)를 형성하는 상측 돌출면(14a-1) 또는 하측 돌출면(14a-2)의 단부는 상기 톱니날(22)에 걸림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톱니날(22)이 도면과 같이 뾰족날이 교번하며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시, 상측 돌출면(14a-1) 또는 하측 돌출면(14a-2)의 단부는 톱니날(22)에 걸릴 수 있도록 뾰족날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판(16)의 삽입부(14)로의 삽입 시에는 톱니날(22)과 돌출면(14a-1, 14a-2)의 단부가 마주하여 걸리면서 삽입되는데, 연결판(16)의 위치를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걸린 위치에서 힘을 가하는 것을 멈추면 되므로, 연결판(16)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판(16)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는 톱니날(22)과 돌출면(14a-1, 14a-2)이 서로 결속력을 형성하므로 외력에도 연결판(16)이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5는 롤러를 구비한 장애우용 핸드레일의 정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브라켓 결속부(18)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롤러(30)를 결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롤러(30)는 삽입부(14)로 삽입되는 연결판(16)의 하면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연결판(16)의 삽입에 구름마찰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연결판(16)의 삽입이 비교적 용이할 수 있다.
도 6의 (a)는 탄성돌기가 형성된 연결판이 삽입부에 삽입된 예시도이며, (b)는 (a)의 연결판을 핸드레일에서 분리시킨 분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브라켓 결속부(18)의 상면에 길이를 따라 복수의 위치고정홀(4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판(16)에는 하면에 탄성돌기(42)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돌기(42)는 내측에 탄성부재(42a)가 내재되어 외력에 유연하게 변형되면서 복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판(16)의 삽입부 삽입 시 탄성돌기(42)는 복수의 위치고정홀(40)을 순차적으로 따라 삽입될 수 있는데, 작업자는 원하는 연결판(16)의 고정을 원하는 위치에서 연결판(16)의 삽입을 중단하면, 탄성돌기(42)가 하나의 위치고정홀(40)에 삽입되어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판(16)의 삽입 위치 고정이 용이하며, 더불어 연결판(16)의 삽입 위치 변경도 수월하고 전단력 또는 흔들림에도 연결판(16)의 위치가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7은 연결판이 중앙단으로 테이퍼진 삽입부에 삽입되어 제1 나사삽입홀과 제2 나사삽입홀을 통해 결합나사에 의해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의 (a)는 도 7의 A-A' 단면도이고, (b)는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삽입부(14)는 핸드레일의 중앙단으로 갈수록 협소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단에서는 연결판(16)의 높이보다 협소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판(16)은 핸드레일 중앙단을 통과하지 못하고 중앙단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판(16)에는 제1 나사삽입홀(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결속부(18)의 상면에는 중앙단까지 삽입된 상태의 연결판(16)을 기준으로 제1 나사삽입홀(5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나사삽입홀(5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판(16)을 중앙단까지 삽입하고 결합나사(54)를 제2 나사삽입홀(52)과 제1 나사삽입홀(5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할 수 있으며, 연결판(16)은 결합나사(54)에 의해 핸드레일과 결속력을 형성하므로, 외력에도 강한 연결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연결판(16)은 핸드레일(10) 양단에서 동일한 폭으로 삽입되므로, 연결판(16)을 통해 연결되는 핸드레일은 균형 잡힌 연결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핸드레일 중심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기준으로 하중의 분산도 균형적이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위치 확인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우용 핸드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연결판(16)의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 확인부(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위치 확인부(60)는 회전축(62), 회전기어(64), 회전수 체크 센서(6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축(62)은 핸드레일의 내측부(12)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측방을 가로지르도록 수평 설치가 될 수 있다.
또한, 회전기어(64)는 회전축(62)에 결합되며 회전할 수 있되, 회전력은 삽입부(14)로 삽입되는 연결판(16)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연결판(16)의 삽입에 의해 회전력을 얻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수 체크 센서(66)는 회전기어(64)의 기어치 또는 기어치 간의 간극을 센싱하도록 하여 회전기어(64)의 회전 수를 체크할 수 있으며, 연결판(16)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64)의 회전 수를 통해 연결판(16)의 삽입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삽입 위치를 판별한 위치 확인부(60)는 외부로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림을 수행하는 수단 또는 작업자의 스마트 단말 등과 연결되어 연결판(16)이 균형 잡힌 위치 즉, 2분할 된 위치에 도달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외력을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설치될 수가 있다.
도 10의 (a) 내지 (c)는 연결띠의 장착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연결띠가 장착된 핸드레일의 정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판(16)에 의해 연결된 양측 핸드레일간의 연결단부는 아치형의 연결띠(70)를 둘러 양측 핸드레일에 각각 고정되도록 결속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띠(70)의 핸드레일 고정은 핸드레일(10)에 삽입홈(72)을 형성하고, 연결띠(70)에는 삽입홈(7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74)를 구성하여 연결단부에 두를 시 삽입돌기(74)를 삽입홈(72)에 삽입하여 이루어지거나, 그 반대로 연결띠(70)에 삽입홈(72)을 형성하고 핸드레일(10)에 삽입돌기(74)를 구성하여 동일하게 삽입돌기(74)를 삽입홈(72)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 방법은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간편하고 양측 핸드레일 간의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는 고정구조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띠(70)는 핸드레일의 외측면보다 더 돌출되어 시각 장애인 등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한편으론 연결판(16)의 연결에 결속력을 더하여 연결구조를 강화하는 작용을 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핸드레일
10a : 일측 핸드레일
10b : 타측 핸드레일
12 : 내측부
14 : 삽입부
14a : 핀부
14a-1 : 상측 돌출면
14a-2 : 하측 돌출면
16 : 연결판
18 : 브라켓 결속부
20 : 톱니부
22 : 톱니날
30 : 롤러
40 : 위치고정홀
42 : 탄성돌기
42a : 탄성부재
50 : 제1 나사삽입홀
52 : 제2 나사삽입홀
54 : 결합나사
60 : 위치 확인부
62 : 회전축
64 : 회전기어
66 : 회전수 체크 센서
70 : 연결띠
72 : 삽입홈
74 : 삽입돌기

Claims (9)

  1. 장애우용 핸드레일 간을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의 중공된 내측부에 연결판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를 형성하여,
    일측 핸드레일의 삽입부에 연결판의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삽입 후, 타측 핸드레일의 삽입부에 상기 연결판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도록 타측 핸드레일을 밀어 넣어 핸드레일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핸드레일 양측에서 대칭되는 핀부가 내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핀부는,
    상측과 하측으로 대칭되는 돌출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판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는 양측으로 톱니날을 형성하는 톱니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면의 단부는 상기 톱니날에 걸림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일측면 또는 양측면의 꼭짓점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
  4. 삭제
  5. 장애우용 핸드레일 간을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의 중공된 내측부에 연결판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를 형성하여,
    일측 핸드레일의 삽입부에 연결판의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삽입 후, 타측 핸드레일의 삽입부에 상기 연결판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도록 타측 핸드레일을 밀어 넣어 핸드레일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핸드레일 양측에서 대칭되는 핀부가 내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핀부는,
    상측과 하측으로 대칭되는 돌출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핸드레일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핸드레일 지지 브라켓 결합 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 결속부의 상면에 하나 이상의 롤러를 결합하여,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연결판이 상기 롤러에 의해 구름마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
  6. 장애우용 핸드레일 간을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의 중공된 내측부에 연결판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를 형성하여,
    일측 핸드레일의 삽입부에 연결판의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삽입 후, 타측 핸드레일의 삽입부에 상기 연결판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도록 타측 핸드레일을 밀어 넣어 핸드레일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핸드레일 양측에서 대칭되는 핀부가 내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핀부는,
    상측과 하측으로 대칭되는 돌출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핸드레일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핸드레일 지지 브라켓 결합 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 결속부의 상면에 길이를 따라 복수의 위치고정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판은,
    하면에 삽입부로의 삽입 시 상기 복수의 위치고정홀들을 따라 삽입되어 연결판의 삽입위치를 고정시키는 탄성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
  7. 장애우용 핸드레일 간을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의 중공된 내측부에 연결판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를 형성하여,
    일측 핸드레일의 삽입부에 연결판의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삽입 후, 타측 핸드레일의 삽입부에 상기 연결판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도록 타측 핸드레일을 밀어 넣어 핸드레일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는,
    핸드레일의 중앙단으로 갈수록 협소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되, 중앙단에서는 상기 연결판의 높이보다 협소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에는 제1 나사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핸드레일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핸드레일 지지 브라켓 결합 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 결속부의 상면에는 중앙단까지 삽입된 상태의 연결판의 제1 나사삽입홀과 대응되는 제2 나사삽입홀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단까지 삽입된 연결판에 결합나사를 상기 제2 나사삽입홀과 제1 나사삽입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
  8. 장애우용 핸드레일 간을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의 중공된 내측부에 연결판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를 형성하여,
    일측 핸드레일의 삽입부에 연결판의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삽입 후, 타측 핸드레일의 삽입부에 상기 연결판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도록 타측 핸드레일을 밀어 넣어 핸드레일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연결판의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 확인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내측부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는 연결판에 맞닿아 연결판의 삽입 시 회전하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 수를 체크하는 회전수 체크 센서를 포함하는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 의해 연결된 양측 핸드레일간의 연결단부는 아치형의 연결띠를 둘러 상기 양측 핸드레일에 각각 고정되도록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
KR1020190119041A 2019-09-26 2019-09-26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 KR102305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041A KR102305277B1 (ko) 2019-09-26 2019-09-26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041A KR102305277B1 (ko) 2019-09-26 2019-09-26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694A KR20210036694A (ko) 2021-04-05
KR102305277B1 true KR102305277B1 (ko) 2021-09-27

Family

ID=7546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041A KR102305277B1 (ko) 2019-09-26 2019-09-26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2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9560A (ja) * 2008-03-03 2009-09-17 Tostem Corp 手摺とその施工方法
KR200478576Y1 (ko) * 2014-12-26 2015-10-22 배용준 핸드레일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925A (ja) * 1993-09-01 1995-03-14 Yoshiaki Kinoshita 階段に於ける昇降補助及び転落防止器具
KR20150032985A (ko) * 2013-09-23 2015-04-01 우정기업(주) 계단 난간용 손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9560A (ja) * 2008-03-03 2009-09-17 Tostem Corp 手摺とその施工方法
KR200478576Y1 (ko) * 2014-12-26 2015-10-22 배용준 핸드레일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694A (ko)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22933A (en) Railing formed of interlocking components
RU2140507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замок
CA3128770C (en) Tubular structure connecting assembly
US10370857B2 (en) Adjustable railing
WO2016037088A1 (en) Mesh barrier assembly
KR102305277B1 (ko) 장애우용 핸드레일 연결구조
KR200461108Y1 (ko) 수직지지대 하단부에 고정되는 받침대를 구비한 서포터
EP3748100B1 (de) Verbindungslement zum verbinden einer warenbahn mit einer wickelwelle
CA2727922A1 (en) Coupling system
US20020172545A1 (en) Connector assembly for handrail installation
US20180179781A1 (en) Handrail arrangements
JP6514214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支持装置
KR20150124818A (ko) 건축물 난간 안전망 고정장치
KR101699425B1 (ko) 비계용 안전발판
US20040003568A1 (en) Post support system
KR102052171B1 (ko) 비계파이프용 클램프어셈블리
KR200480414Y1 (ko) 클램핑장치 및 그것이 설치된 지지구조체
KR100757029B1 (ko) 벽 부착용 핸드레일
JP5240956B1 (ja) 鉄筋など棒状部材の連結具
JP6945359B2 (ja) パネル体
KR102405334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장애우용 핸드레일 결합체
DE2552794B2 (de) Elektrischer Antriebsmotor für einen hermetisch gekapselten Kältemittelverdichter
EP3649890A1 (en) Apparatus and a set of brushes for a brushing device, arrangement for a brushing device using brush rings, and a method for changing the brushing mode in a brushing device
KR101703929B1 (ko)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
WO2010001308A1 (en) A balustrade structure with adjustable rake or angular orientation of the ra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