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24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storytelling navigato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storytelling navig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240B1
KR102304240B1 KR1020200010178A KR20200010178A KR102304240B1 KR 102304240 B1 KR102304240 B1 KR 102304240B1 KR 1020200010178 A KR1020200010178 A KR 1020200010178A KR 20200010178 A KR20200010178 A KR 20200010178A KR 102304240 B1 KR102304240 B1 KR 102304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y
information
user
content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1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6749A (en
Inventor
고민규
Original Assignee
고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민규 filed Critical 고민규
Priority to KR102020001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240B1/en
Publication of KR20210096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7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2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1Content authoring involving branching, e.g. to different story end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06N20/20Ensembl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기본 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기본 스토리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후보 스토리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후보 스토리 요소를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 1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2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고, 제 2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 요소 및 제 2 스토리 요소를 이용하여 제 3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는 것을 반복하는 단계,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된 스토리 요소들에 관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여 제 1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 제 1 스토리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로부터 제 1 스토리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2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basic story from the user, us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time background, location background, character of the main character, additional characters, and possible events from the basic story obtaining a candidate story element including; sequentially providing the candidate story element to the user; recrystallizing the second candidate story element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story element; Repeating the recrystallization of the third candidate story element using the story element and the second story element, using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photos, drawings, clip art, characters, sound effects, Creating a first story by acquiring a content ele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music and a font, sharing the first story with other users, and obtaining reaction information of other users, using a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Thus, determin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story from the reaction information of other users and generating a second story by reprocessing the first story as a user input f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including:

Description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storytelling navigator}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storytelling navigator

본 발명은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제작을 도와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제공한 스토리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스토리 및 컨텐츠 제작 툴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to help a user create content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rvice providing an additional story and content creation tool based on the story provided by the user. it's about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은 스토리(story)와 텔링(telling)의 합성어로, 이야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복수의 인물이 서로 상대방에게 알리고자 하는 바를 재미있고 생생한 이야기로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행위들의 집합을 말한다.Storytelling is a compound word of story and telling, meaning telling. In other words, it refers to a set of actions in which a plurality of characters convincingly convey what they want to tell each other in a fun and vivid story.

스토리텔링의 창작을 지원하는 기존의 서비스는 이러한 이야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으로, 캐릭터 생성, 플롯 구축, 스토리 설계 과정을 거쳐 생성되는데, 각 과정에 따라 커뮤니티 구성, 스테이지 구축 및 세계관의 확장과 변형이 가능하도록 순환적인 구조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The existing service that supports the creation of storytelling is to automatically create such a story, and it is created through the process of character creation, plot construction, and story design. It is necessary to have a cyclic structure as possible.

오늘날 우리 일상생활에서 스토리텔링은 여러 가지로 유익하고 설득력 있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인류가 등장한 이래 스토리텔링은 인간끼리의 의사소통에 있어 늘 중심적인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스토리텔링은 매체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발현되고 하는데, 영화, 비디오,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광고 등의 원천적인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스토리텔링은 현대 조직 사회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현재 미국에서는 교육, 비즈니스, 대인관계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이때 이야기는 특정 부류를 타깃으로 하여야 효과가 크며 내용은 듣는 이의 흥미를 자극하며 새로운 것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In our daily life today, storytelling is being used as a useful and persuasive means in various ways. This is because storytelling has always played a central role in human communication since the advent of humankind. Storytelling is expres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and is used as a source of content such as movies, videos, animations, cartoons, games, and advertisements. In recent years, storytelling is also used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in the modern organizational society. Currently, in the United States, it is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busi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t this time, the story should be effective when it targets a specific class, and the content should stimulate the interest of the listener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new things.

그러나, 새로운 이야기를 창작하는 것은 매우 고도의 인지적 과정과 종합적인 인간의 사고를 요구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아무 도움 없이 전문 창작가가 만들어 내는 수준의 스토리를 생성하는 것은 힘든 일이며 따라서, 스토리텔링을 중도에 포기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였다.However, since creating a new story requires a very advanced cognitive process and comprehensive human thinking, it is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create a story at the level that a professional creator creates without any help, and therefore, storytelling is difficult. There were many cases of giving up halfway through.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3612호 (2017.03.02.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13612 (2017.03.02. Announcement)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5-0011651호 (2015.02.02.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5-0011651 (published on February 2, 2015)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시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기본 스토리로부터 주제, 스토리의 흐름 및 단어들을 파싱하여 스토리를 설계하고 스토리라인을 자동으로 추천함으로써 스토리텔링의 창작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isclos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 system that supports the creation of storytelling by designing a story by parsing a subject, a flow of a story, and words from a user's basic story, and automatically recommending a storyline.

제 1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주인공의 시점에서 작성된 기본 스토리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기본 스토리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후보 스토리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후보 스토리 요소를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 1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2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고, 제 2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 요소 및 제 2 스토리 요소를 이용하여 제 3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는 것을 반복하는 단계,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된 스토리 요소들에 관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여 제 1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 제 1 스토리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로부터 제 1 스토리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2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btaining a basic story writte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from the user, us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the historical background, locational background, main character's personality, additional characters and occurrences from the basic story obtaining a candidate story element including a possible event, sequentially providing the candidate story element to the user, recrystallizing the second candidate story element in response to the first story element being selected, and 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story element and repeating the recrystallization of the third candidate story element using the first story element and the second story element, using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photos, drawings, clip art, characters related to the determined story elements , generating a first story by acquiring content elements including at least one of sound effects, music, and fonts, sharing the first story with other users, and obtaining reaction information of other users,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Determin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story from reaction information of other users using the model, and receiving user input f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reprocessing the first story to generate the second stor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including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ntent.

제 2 실시예에 의하여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주인공의 시점에서 작성된 기본 스토리를 획득하고,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기본 스토리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후보 스토리 요소를 획득하고, 후보 스토리 요소를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 1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2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고, 제 2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 요소 및 제 2 스토리 요소를 이용하여 제 3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는 것을 반복하고,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된 스토리 요소들에 관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여 제 1 스토리를 생성하고, 제 1 스토리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획득하고,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로부터 제 1 스토리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하고,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2 스토리를 생성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t includes a processor and a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executes the instructions, thereby obtaining a basic story writte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nd us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Thus, candidate story elements are obtained from the basic story, including historical background, locational background, main character's personality, additional characters, and possible events, and candidate story elements are sequentially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first story element is selected Re-determining the second candidate story element in response to being selected, repeating the recrystallization of the third candidate story element using the first story element and the second story element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story element, and learning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the model, a first story is generated by acquiring content elements including at least one of photos, drawings, clip art, characters, sound effects, music, and fonts related to the determined story elements, and the first story is provided to other users. share, obtain reaction information of other users, use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determine additional inform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story from the reaction information of other users, and determine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that generates a second story by reprocessing a first story upon receiving an input may be provided.

제 3 실시예에 의하여,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is recorded.

일 실시예에 의하여, 스마트 단말을 통해 미리 제작된 컨텐트 및 캐릭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애니메이션 또는 동작 컨텐트를 생성할 수 있어, 시간적, 비용적 면에서 효율적인 컨텐트를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create animation or motion content using pre-produced content and characters through a smart terminal, so that content can be produced efficiently in terms of time and cost.

일 개시에 의하면 스토리제작 초기단계에서 캐릭터 설정과 캐릭터들간의 관계 설정만으로 그에 맞는 플롯 패턴을 추천받아 스토리텔링 작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유전적 속성과 환경적 모티베이션의 조합에 맞는 인물의 유형을 파악함에 따라 향후 캐릭터의 정보를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쉽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in the initial stage of story production, only character setting and relationship setting between characters are recommended, thereby making it easy to write storytelling. In addition, as the user identifies the type of person that fits the combination of the genetic attribute and the environmental motivation set by the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formation of the future character can be specifically organized and easily configured.

또한, 사용자는 추천된 기본 플롯 패턴을 참고로 하여, 플롯 에디터를 통해 기본 플롯 패턴 사이에 다른 플롯을 추가함으로써 스토리를 쉽게 확장시켜 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expand the story by adding another plot between the basic plot patterns through the plot editor by referring to the recommended basic plot pattern.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의 캐릭터를 교육 컨텐츠, 동화 컨텐츠, 프로포즈 영상, 홍보 컨텐트 등에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생성한 캐릭터가 직접 움직이는 모습을 쉽게 구현할 수 있어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by using the user's character in educational content, fairy tale content, proposal video, promotional content, etc.,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the user-generated character moving directly, thereby enhancing the advertising effect.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학습용 교육 컨텐트와 접목하여 온라인 학습, 교과서 수업 보조 도구로서 이용이 가능하므로,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자신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수업 교재에 즉각적으로 접목시킬 수 있는 바 학습 효율성이 증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since i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tool for online learning and textbook classes by combining with educational content for learning, it is possible to induce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In addition,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one's creative ideas can be immediately grafted into the classroom teaching materials, and learn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도 1은 일 개시에 따른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 컨텐트를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리깅 캐릭터의 동작을 형성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eature of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according to one disclosure.
3 is an exemplary embodimen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for generating motion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input according to one disclos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s input forming a motion of a rigging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 개시에 의한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disclosure may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right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일 개시에 의하여,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100)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축약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content production service using the storytelling navigator will be abbreviated as the content produc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도 1은 일 개시에 따른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eature of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기본 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기본 스토리를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통령을 주체로 특정한 날의 일정에 대하여 서술한 기본 스토리를 제공하는 경우,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기본 스토리에 부합하는 스토리 요소를 확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acquire information about a basic story from a user and extend the basic story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For example, when the user provides a basic story that describes the schedule of a specific day with the president as the main subject, the story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basic story can be expanded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여기서 스토리 요소는 스토리라인, 아웃라인, 시놉시스, 포트폴리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tory element may include a storyline, an outline, a synopsis, a portfolio, and the like.

스토리라인은 스토리 콘텐츠 형성 단계 전의 이야기 구성 및 전개, 설계도의 결과물 형태를 총칭하는 것이고, 아웃라인은 이야기 구성의 개요와 아이디어를 기획 및 기록한 결과물이며, 시놉시스는 이야기 구성의 전개 및 줄거리(처음, 중간, 끝)를 포함한 결과물을 말한다. 또한 포트폴리오는 이야기 전체의 구성과 전개 과정 및 플롯별 핵심문장, 챕터별 주요 설정 정보까지 창작 또는 기록된 결과물을 말한다.The storyline is the general term for the story composition and development and the resulting form of the blueprint before the story content formation stage, the outline is the result of planning and recording the outline and ideas of the story composition, and the synopsis is the development and plot of the story composition (beginning, middle). , end) is the result. In addition, a portfolio refers to the result of creation or recording of the composi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entire story, key sentences for each plot, and main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chapter.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아웃라인, 시놉시스, 포트폴리오 등을 포함하는 스토리라인을 자동으로 완성함으로써, 사용자나 창작자가 스토리텔링을 창작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support a user or creator to create storytelling by automatically completing a storyline including an outline, a synopsis, a portfolio, and the like.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을 애플리케이션, 웹 사이트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a platform through which a user can create desired content through an application, a web site, or the like.

예를 들어, 스토리텔링 창작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스토리텔링 창작용 앱을 다운로드 받아 스토리텔링 창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a user who wants to create storytelling downloads an app for storytelling creation using his/her terminal, performs storytelling creation, and uploads the result to a server provided by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make it possible

또한, 사용자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 플랫폼에 자신의 아이디를 생성한 뒤 원하는 스토리라인을 생성하고 그 창작 결과물을 창작자 단말의 로컬 저장장치에 저장하거나 컨텐츠 서비스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create his/her ID o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latform, create a desired storyline, and store the creation result in a local storage device of the creator terminal or upload it to a database of the content service platform.

또한, 사용자의 최종 컨텐츠는 창작자의 선택에 따라 열람 공개와 비공개, IP 라이선스 등록과 같은 열람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final content can be set to view conditions such as open, private, and IP license registration according to the creator's choice.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기본 스토리에서 확장된 스토리 요소들을 구성할 컨텐츠를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존의 빅데이터 이외에,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등록된 모든 컨텐츠를 이용하여 스토리 요소들을 구성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최초 스토리텔링을 포함하는 제 1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acquire content to constitute story elements extended from the user's basic story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 addition to the existing big data, the AI model can determine the contents to compose the story elements using all contents registered by the user and other users, and through this, the first story including the user's initial storytelling can be created. can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제 1 스토리를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을 획득함으로써, 제 1 스토리를 수정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다른 요소들을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최종 승인에 따라 제 2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may acquire other elements capable of modifying or extending the first story by sharing the generated first story and obtaining responses from other users, and the user A second story can be created according to the final approval of

이렇게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아이디어 및 다른 사용자의 아이디어와 함께, 인공지능 모델을 통한 스토리의 확장 및 기본 포맷을 제공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can easily provide various types of content through a storytelling navigator that provides a basic format and extension of a story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gether with the user's idea and the ideas of other users. platform can be provided.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according to one disclosure.

블록 201에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주인공의 시점에서 작성된 기본 스토리를 획득할 수 있다.In block 201,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obtain a basic story writte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기본 스토리에 포함된 문장을 파싱하여, 소정의 횟수 이상으로 사용된 단어를 식별자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횟수는 절대값으로 기정해진 값이거나, 해당 문장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된 횟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may parse a sentence included in a basic story obtained from a user, and determine a word u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s an identifier. Here, the predetermined number may be a value predetermined as an absolute value or may indicate more than the number of times used relatively frequently in the corresponding sentence.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식별자에 관련된 복수개의 스토리 패턴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자가 "공주"인 경우, 사용자는 공주에 관련되며, 기본 스토리에 연관된 복수개의 스토리 패턴을 추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may recommend a plurality of story patterns related to an identifier. For example, when the identifier is “princess”, the user may recommend a plurality of story patterns related to the princess and related to the basic story.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개의 스토리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기본 스토리를 확장하여 스토리 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tory patterns,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expand a basic story to configure a story line.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스토리 라인에 기초하여, 단어, 동의어, 유의어, 수식어 및 문장 구성에 대한 스토리 교육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즉, 같은 표현이라도 다른 언어, 상대적으로 어려운 단어 등을 추천하여 교육적인 목적으로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recommend story education information for words, synonyms, synonyms, modifiers, and sentence structures based on the story line. That is, even the same expression can be provided for educational purposes by recommending different languages, relatively difficult words, or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user's vocabulary.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스토리 교육 정보를 수용하는 경우, 스토리 교육 정보에 대한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store history information on the story education information when the user accepts the story education information.

블록 202에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기본 스토리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후보 스토리 요소를 결정할 수 있다.In block 202,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uses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to select candidate story elements including a historical background, a place background, a character's character, additional characters, and possible events from the basic story. can decide

일 개시에 의하여,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복수개의 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기본 스토리로부터 확장가능한 스토리 정보를 도출하고, 확장가능한 스토리 정보 각각으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derives expandable story information from a basic story in an unprocessed state using a plurality of story information, and a historical background, a place background, and a main character from each of the expandable story information Characterized by being trained to determine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 additional characters, and possible events.

블록 203에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후보 스토리 요소를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 1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2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고, 제 2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 요소 및 제 2 스토리 요소를 이용하여 제 3 후보 스토리 요소를 결정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In block 203,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sequentially provides the candidate story elements to the user, recrystallizes the second candidate story elements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story element, and responds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story element Determining the third candidate story element by using the first story element and the second story element may be repeated.

즉,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1 스토리 요소가 결정된 후 그를 반영하여 후차적인 스토리 요소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스토리 요소가 '공주가 왕자를 구하는 판타지'를 포함하고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제 1 스토리 요소로서 '7명의 난장이'가 선택되는 경우, 제 2 스토리 후보 요소로서 '7명의 난장이와 공주의 모험'등이 포함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determine a subsequent story element by reflecting the first story element is determined. For example, if the basic story element includes 'fantasy in which a princess saves a prince' and '7 dwarfs' is selected as the first story element by the user, '7 dwarfs and Princess's Adventures'.

일 개시에 의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카드 뉴스, 웹툰, 기사, 포스팅, 소설 및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출판 형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토리의 출판 형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판 형식은 기 저장된 모든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수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제공하는 프레임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one disclosure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publication format of at least one first story among publication formats including card news, webtoons, articles, postings, novels, and animations. . The publication format may include all pre-stored frames, may be modified by the user, or may use a frame provided by the user.

일 개시에 의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출판 형식에 대한 프레임에 기초하여 제 1 스토리의 구성을 임시적으로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according to one disclosure may temporarily divide and display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tory based on a frame for a publication format corresponding to a user's input.

일 개시에 의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프레임 및 프레임에 포함된 제 1 스토리의 구성을 수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프레임 및 제 1 스토리의 구성을 수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or modifying the fram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tory included in the frame,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according to one disclosure may modify and display the fram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tory.

블록 204에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결정된 스토리 요소들에 관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여 제 1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In block 204,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uses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and a content ele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photos, pictures, clip art, characters, sound effects, music, and fonts related to the determined story elements. can be obtained to create the first story.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를 포함하는 주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스토리 제작과 상관없이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요소를 획득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것을 주요 컨텐츠 요소, 다른 사용자 및 다른 플랫폼에서 획득한 것을 보조 컨텐츠 요소로 칭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acquire main content elements including photos, pictures, clip art, characters, sound effects, music, and fonts from the user.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acquire content elements from the user regardless of story production,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tent elements acquired from the user are obtained from the main content elements, other users, and other platforms. to be referred to as an auxiliary content element.

여기서, 주요 및 보조를 나누는 이유는 컨텐츠의 사용에 따른 리워드의 적립, 저작권의 관리를 위한 것이다.Here, the reason for dividing the main and auxiliary is for the accumulation of rewards according to the use of contents and the management of copyright.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에 등록 다른 사용자 및 컨텐츠 제공 서버들로부터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를 포함하는 보조 컨텐츠 요소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들은, 기 협약된 서버, 무료 컨텐츠 제공 사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ntent produc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may acquire auxiliary content elements including photos, pictures, clip art, characters, sound effects, music and fonts from other users and content providing servers registered for the content production service. hav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pre-agreed server, a free content providing site, and the like.

여기서,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주요 컨텐츠 요소를 보조 컨텐츠 요소보다 우선적으로 사용하여 제 1 스토리를 구성하며, 보조 컨텐츠 요소를 주요 컨텐츠 요소보다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사용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configures the first story by using the main content element preferentially over the auxiliary content element, and when the auxiliary content element is used preferentially over the main content element, the user may request permission for use. .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스토리 재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 1 스토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리 재생 프로그램은 스토리를 입력하거나, 컨텐츠 요소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작중인 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미리 보기가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 재생 프로그램은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may provide a first story to a user using a story reproduction program provided by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Here, the story replay program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for inputting a story or content elements, and may include a program capable of checking or previewing information on a story being produced. The story reproduction program may be included in a service providing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1 스토리의 재생 시간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에 포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provides recommended information on photos, pictures, clip art, characters, sound effects, music and fonts included in the first story in response to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first story. can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천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에 포함된 컨텐츠를 선택된 추천 정보로 변경하여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changing the content included in the first story to the select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a preview.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등장 인물의 캐릭터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캐릭터에 리깅 요소들을 부여하여 리깅 캐릭터를 생성하고, 리깅 캐릭터를 동작시키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리깅 요소들의 동작경로, 동작범위, 동작시간, 동작각도를 이용하여 3차원 위치좌표를 생성하고, 3차원 위치좌표에 기초하여 리깅 캐릭터가 시계열적으로 동작하는 동작 컨텐츠를 생성하고, 동작 컨텐츠를 제 1 스토리에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whe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provides recommended information, when a character of a character is selected by the user, rigging elements are added to the selected character to generate a rigging character, and the rigging character is operated receives the user's input, generates 3D position coordinates using the motion path, motion range, motion time, and motion angle of the rigg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nd based on the 3D location coordinates, the rigging character is time-series It is possible to generate motion content that operates as , and combine the motion content with the first story to provide it to the user.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컨텐츠 요소가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경우, 사용된 컨텐츠 요소에 대한 리워드를 사용자의 계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리워드는 포인트, 캐쉬백 등 컨텐츠 요소를 사용함에 따른 대가를 의미한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when the content element obtained from the user is used by another user,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content creation service may provide a reward for the content element used to the user's account. Here, the reward means a price for using content elements such as points and cashback.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공유된 스토리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에 기초하여 스토리 공유에 따른 리워드를 사용자의 계정으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a reward according to the story sharing to the user's account based on the user's reaction information to the shared story of the user.

일 개시에 의하여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복수개의 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스토리 플롯에 기초하여, 스토리 플롯에 부합하는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is based on the story plot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story information, so as to determine at least one of photos, pictures, clip art, characters, sound effects, music, and fonts corresponding to the story plots. characterized as learned.

블록 205에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1 스토리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통해 제 1 스토리를 공유하거나, 기존의 다른 스토리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토리를 공유할 수 있다.In block 205,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may share the first story with other users and obtain reaction information of other users.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share the first story through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platform or share the user's story using another existing story sharing platform.

블록 206에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로부터 제 1 스토리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In block 206 ,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determine additional inform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story from reaction information of other users by using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일 개시에 의하여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공유된 스토리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댓글 정보, 조회수 정보, 이탈 정보, 머무름 정보, 재방문 정보 및 스토리 공유 정보를 이용하여 공유된 스토리에 제공할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By the start of the work,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is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shared story using other users' comment information, view count information, departure information, stay information, revisit information, and story sharing information for the shared story. and learned to determine correction information.

블록 207에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2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In block 207 ,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generate a second story by reprocessing the first story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or additional inform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추가적으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1 스토리에 제 3 스토리를 결합할 것을 요청하는 다른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스토리 결합에 대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는 공유된 제 1 스토리를 열람한 어느 누구라도 해당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response to receiving an input of another user requesting to combine the third story with the first story,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request the user to approve the story combination. The other user may be anyone who has viewed the shared first story.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스토리 결합에 대한 승인을 획득함에 따라, 제 1 스토리 및 제 3 스토리를 분석하여 결합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포인트는 두 개의 스토리가 자연스럽게 결합될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포인트로서 두 개의 스토리의 내용에 기반한 문학적 포인트, 기능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기술적 포인트가 선택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may determine a combining point by analyzing the first story and the third story upon obtaining approval for combining the stories. Here, the combination point is a reference point so that the two stories can be naturally combined, and a literary point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two stories and a technical point that can be functionally combined can be selected.

일 개시에 의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결합 포인트를 기준으로, 제 1 스토리 및 제 3 스토리를 재구성하고, 제 1 스토리에 적용가능한 수정 정보, 추가 정보 및 삭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스토리를 결합하면서 중복되는 내용, 상반되는 내용은 삭제하도록 삭제 정보로서 생성된다.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according to one disclosure may reconstruct the first story and the third story based on the binding point, and determine correction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and deletion information applicable to the first story. For example, while combining the third story, overlapping content and conflicting content are generated as deletion information to be deleted.

일 개시에 의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정 정보, 추가 정보 및 삭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4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correction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and deletion information,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content creation service according to one disclosure may reprocess the first story to generate a fourth story.

이때, 일 개시에 의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 4 스토리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제 4 스토리에 포함된 제 1 스토리 및 제 3 스토리의 등장인물의 중요도, 스토리 분량, 주제, 스토리 라인 및 컨텐츠의 양을 고려하여 제 4 스토리에 대한 소유권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fourth story,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content production service according to one disclosure includes the importance, the amount of the story, the topic, the story line, and the characters of the first story and the third story included in the fourth story. An ownership ratio for the fourth story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content.

일 개시에 의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소유권 비율에 기초하여, 제 4 스토리로 인하여 발생하는 리워드에 대한 적립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according to one start may determine an accumulation ratio for a reward generated due to the fourth story based on the ownership ratio.

도 3은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작 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3 is an exemplary embodimen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for generating action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input according to one disclosure.

도 3a 및 도 3b에 보여지다시피, 사용자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동작 컨텐츠를 생성하고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 a user may create, store, and share an action content by using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도 3a를 살펴보면,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장된 캐릭터, 이미지 또는 사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캐릭터를 프래임 별로 수정하고 리깅요소들을 이용하여 캐릭터에게 동작을 입힐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미지 또는 사운드를 프레임에 적용시킴으로서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 user may select a stored character, image, or sound through an application. The user can modify the character for each frame and apply motion to the character using rigging elements. Also, the user may create one image content by applying an image or sound to a frame.

사용자는 생성된 영상 컨텐츠들을 사용자의 단말을 이용해 손쉽게 재생할 수 있으며, 또한,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 인터넷 상 등에 영상 컨텐츠들을 공유할 수 있다.The user can easily reproduce the generated image contents using the user's terminal, and can also store it in the server or the user's terminal. Also,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share image contents on another user's terminal, the Internet, or the like.

예를 들어,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여 학생들이 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됨으로서, 학습의 복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작성한 컨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게 됨으로써 다른 사람과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by creating learning content so that students can easily share i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reviewing learning. In addition, by sharing the contents created by oneself through the Internet, exchanges with other people can be actively made.

도 3b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메인 서버에 자신의 캐릭터를 전송하고, 메인 서버에서 리깅을 완성한 후 다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캐릭터를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캐릭터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eferring to FIG. 3B , it can be seen how the user transmits his/her character to the main server, completes rigging in the main server, and then transmits the character back to the user.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acquire animations made with his or her character by transmitting his/her character to the server.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하여 리깅 캐릭터의 동작을 형성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user's input forming a motion of a rigging charac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동작 컨텐츠를 복수의 동작 프레임으로 분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may divide the motion content into a plurality of motion frames and provide it to the user.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동작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동작 프레임에서 특정한 프레임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선택된 동작 프레임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receive a user's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motion frames. In this case, when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specific frame from the plurality of motion frames is received, the selected motion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일 실시예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은 동작 프레임이 표시된 화면에 동작 수정 에디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may provide a motion correction editor on a screen on which a motion frame is displayed.

일 실시예에 의하여 동작 수정 에디터를 통해 동작 프레임이 수정되는 경우, 수정된 동작 프레임을 저장함으로써 동작 컨텐츠를 수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motion frame is modified through the motion editing editor, the motion content may be modified by storing the modified motion frame.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정된 동작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수정이 되었는지 즉각적인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정된 동작 컨텐츠를 저장, 또는 서버, 다른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the corrected operation content to show an immediate result of whether the content has been modified in a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Also,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store the modified operation content or transmit it to a server or a terminal of another user.

여기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가적인 컨텐츠를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인 컨텐츠는 동작이 부여된 캐릭터가 삽입되는 배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배경음악, 배경화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컨텐츠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Here,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additional content to the user's terminal. The additional content means a background into which a character to which a motion is assigned is inserted, and may mean background music, a background screen, and the like. Here, the type of additional content is not limited.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동화 컨텐츠를 선택하여 자신이 생성한 캐릭터가 동화속 주인동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학습 만화의 주인공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fairy tale contents so that the character created by the user becomes the protagonist in the fairy tale, or the user may become the protagonist of the learning cartoon.

또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화 컨텐츠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기 제작된 복수의 동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동화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Also, when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 moving image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a plurality of previously produced moving imag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moving image content.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택된 동화 컨텐츠에 등장하는 등장인물 중 하나로 리깅 캐릭터를 삽입하는 단계, 리깅 캐릭터가 삽입된 동화 컨텐츠를 이루는 복수의 동화 프레임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a plurality of moving image frames constituting the moving image content in which the rigging character is inserted and inserting the rigging character as one of th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selected moving image content.

또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동화 프레임에 포함된 리깅 캐릭터의 동작을 수정할 수 있도록 동작 수정 에디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에서 동작 수정 에디터를 통해 리깅 캐릭터의 동작이 수정되는 경우, 수정된 리깅 캐릭터와 동화 프레임을 저장하여 사용자 맞춤형 동화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a motion correction editor to modify the motion of the rigging character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moving picture frames. In addition, when the motion of the rigging character is modified through the motion editing editor in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store the corrected rigging character and the moving picture frame to generate a user-customized moving picture content.

여기서 리깅 요소는 리깅 요소는, 캐릭터의 계층적 뼈대 및 관절 구조를 기반으로, 관절의 위치, 관절의 움직임 방향, 넙스 표면(NURBS surface) 기반, 다각형 메시 기반의 근육 지오메트리의 버텍스, 근육 지오메트리의 컨트롤 포인트, 버텍스 기반의 스키닝 변형 요소 핸들, 더미 객체 및 구속 요소들을 포함하는 3차원 속성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Here, the rigging element is based on the character's hierarchical skeleton and joint structure, the position of the joint,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joint, the vertex of the muscle geometry based on the NURBS surface, the polygon mesh based, and the control of the muscle geometry It may be characterized as a three-dimensional property including a point, a vertex-based skinning transform element handle, a dummy object, and constraint elements.

리깅(Rigging)이란 주어진 캐릭터 모델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변형 장치(Deformers)와 관절 객체(Articulating objects)를 이용하여 셋업(Setup)하는 일련의 과정이며, 이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진 결과물을 캐릭터 리그(Character Rig)라 한다. 리깅 과정은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을 접한 관객의 몰입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고품질의 사실적인 움직임을 가진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 만큼의 세심하고 정밀한 리깅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실사 영화에 포함되는 특수 효과로서의 애니메이션 제작에 있어 리깅은 3D 애니메이션과 해부학적 지식을 겸비한 전문가가 고도의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하는 과정에 속한다. 예를 들어, 영화 '나디아 연대기' 에 사용된 '아슬란(Aslan)'이라는 가상의 사자 캐릭터는 해부학 기반의 얼굴 리깅에 5개월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리깅 작업은 많은 스튜디오에서 캐릭터 작업에 중대한 병목 현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Rigging is a series of processes of setup using various types of deformers and articulating objects so that a given character model can move as desired by the user, and the result made through this process is called the Character Rig. Because the rigging process directly affects the immersion of the audience who touches the animation of the character, it is essential to make a high-quality, realistic-moving animation that much meticulous and precise rigging. For this reason, in the production of animation as a special effect included in a live-action film, rigging is a process that requires a high level of time and effort by professionals with knowledge of 3D animation and anatomy. For example, the fictional lion character 'Aslan' used in the movie 'The Chronicles of Nadia' took five months to rig the anatomy-based face. Rigging is considered by many studios to be a significant bottleneck for character work.

리깅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The rigging proces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뼈대 생성 - 캐릭터 관절 움직임의 바탕이 되는 뼈대 구조를 디자인한다. 1. Skeleton creation - Design the skeleton structure that is the basis of the character's joint movement.

2. 관절 위치 - 뼈대 구조의 각 관절을 캐릭터 내의 적합한 곳에 위치시키고 회전하는 방향을 설정한다.2. Joint Position - Position each joint of the skeletal structure in an appropriate place within the character and set the rotation direction.

3. 변형 요소 생성 - 캐릭터의 미세한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한 각종 변형 요소(Deformers) 및 근육 모델(Muscles)을 디자인한다. 3. Creation of deformable elements - Design various deformers and muscle models to represent the fine movements of the character.

4. 스키닝(Skinning) - 앞서 생성한 뼈대와 변형 요소가 실제로 모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모델을 이루는 버텍스의 영향값(Vertex weights)들을 설정한다. 이는 주로 마야(Maya)혹은 3DS맥스(3dsMax)와 같은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에서 마우스를 이용한 페인팅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행하여 진다.4. Skinning - Set the vertex weights that make up the model so that the previously created skeleton and deformation elements can actually affect the model. This is mainly done using a painting interface using a mouse in an animation program such as Maya or 3dsMax.

5. 컨트롤러(Controllers) 생성 - 위에서 만들어진 뼈대 및 변형 장치들을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러 및 핸들(Handles)을 만든다. 이는 여러 종류의 더미 객체(Dummy objects)와 강제 요소들(Constraints), 혹은 역운동학적 요소(Inverse Kinematics)들을 조합하여 만들어진다.5. Create Controllers - Create Controllers and Handles to manipulate the skeleton and transform devices created above. It is created by combining various kinds of dummy objects, constraint elements, or inverse kinematics.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200) 및 메모리(12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세서(110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원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may include a memory 1200 that stores one or more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1100 that executes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200 . According to one disclosure, the processor 1100 included i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perform the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executing one or more instructions.

프로세서(1100)는, 통상적으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그 기능 및 역할에 따라,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거나, 통합된 형태의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1100 may generally control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200 . In addition, the processor 1100 may execute the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200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The processor 1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he processor 1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single processor in an integrated form according to functions and roles thereof.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hat provides a notification message by executing at least on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200 .

메모리(1200)는, 프로세서(1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입력되거나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20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processor 1100 , and may store data input to or output from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메모리(12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200)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200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1200 ), etc. ),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 개의 모듈들은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서, 기능적으로 동작하는 모듈을 의미한다.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200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where the plurality of modules are software, not hardware, and refer to modules that are functionally operated.

메모리(1200)는, 프로세서(1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가이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100)는 가이드 정보의 출력 여부 판단을 위한 특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20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processor 1100 , and may store an image input to the content produc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or guid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ent produc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may be Also, the memory 1100 may store specific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guide information is output.

메모리(11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0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nd a RAM.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optical disks.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 터치 스크린 모듈, 알림 모듈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100 may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for example, may be classified into a UI module, a touch screen module, a notification module, and the like.

UI 모듈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UI module may provide a specialized UI, GUI, or the like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for each application. The touch screen module may detect a touch gesture on the user's touch screen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touch gesture to the processor 1100 . The touch scree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ognize and analyze a touch code. The touch screen module may be configured as separate hardware including a controller.

알림 모듈은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The notification module may generate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schedule notification, and the like.

프로세서(1100)는, 통상적으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다른 모듈 들의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1100 may control the overall control of other modules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100 . In addition, the processor 1100 may execute the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1100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0)는 데이터 학습부(110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data learning unit 11001 and a data recognition unit 1102 .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전술한 각종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of the data learning unit 1101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102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hardware chip and mounted in an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data learning unit 1101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102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dedicated hardware chip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or a conventional general-purpose processor (eg, CPU) Alternatively, it may be manufactured as a part of an application processor) or a graphics-only processor (eg, GPU) and mounted on the various electronic devices described above.

이 경우,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는 하나의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개의 전자 장치들에 각각 탑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 중 하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되고, 나머지 하나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하여, 데이터 학습부(1101)가 구축한 모델 정보를 데이터 인식부(1102)로 제공할 수도 있고, 데이터 인식부(1102)로 입력된 데이터가 추가 학습 데이터로서 데이터 학습부(1101)로 제공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data learning unit 1101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102 may be mounted on one electronic device or may be mounted on separate electronic devices, respectively. For example, one of the data learning unit 1101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102 may be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other one may be included in the server. In addition, the data learning unit 1101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102 may provide the model information built by the data learning unit 1101 to the data recognition unit 1102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 Data input to 1102 may be provided to the data learning unit 1101 as additional learning data.

한편,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 중 적어도 하나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data learning unit 1101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102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When at least one of the data learning unit 1101 and the data recognition unit 1102 is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or a program module including instructions), the software module is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adable It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Also,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may be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S) or may be provided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lternatively, a part of the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may be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S), and the other part may be provided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또한, 프로세서(1100)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다른 장치 및 다른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다른 장치(미도시) 및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장치(미도시)는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이거나, 센싱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부, 이동 통신부, 방송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processor 1100 may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and other servers using a communication unit. 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allow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to communicate with another device (not shown) and a server (not shown). The other device (not shown) may be a computing device such as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or a sensing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a mobile communication unit, and a broadcast receiving unit.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unit,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 (Wi-Fi) communication unit, Zigbee communication unit, infrared (IrDA) It may include a data association) communication unit, a Wi-Fi Direct (WFD) communication unit, an ultra wideband (UWB) communication unit, an Ant+ communication unit,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receives a radio signal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multimedia message.

방송 수신부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컨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방송 수신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er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may not include a broadcast receiver.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relation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by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contain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and stored in a medium.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components, and similarly, embodiments may include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as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or combinations of other programming constructs, including C, C++ , Java, assembler, etc. may be implemented in a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 Functional aspects may be implemented in an algorithm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10)

사용자로부터 주인공의 시점에서 작성된 기본 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 스토리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후보 스토리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후보 스토리 요소를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 1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2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고, 제 2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 요소 및 제 2 스토리 요소를 이용하여 제 3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는 것을 반복하는 단계;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재결정된 스토리 요소들에 관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여 제 1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스토리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스토리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2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를 포함하는 주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컨텐츠 제작 서비스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 및 컨텐츠 제공 서버들로부터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를 포함하는 보조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상기 주요 컨텐츠 요소를 상기 보조 컨텐츠 요소보다 우선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 1 스토리를 구성하며, 상기 보조 컨텐츠 요소를 상기 주요 컨텐츠 요소보다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 승인을 요청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 basic story written from a user's point of view;
obtaining candidate story elements including a historical background, a spatial background, a character of a main character, additional characters, and possible events from the basic story by using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The candidate story elements are sequentially provided to the user, the second candidate story elements are re-determined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story elements, and the first story elements and the second story elements are used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story elements. repeating the recrystallization of the third candidate story element;
Using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generating a first story by acquiring content elements including at least one of photos, pictures, clip art, characters, sound effects, music, and fonts related to the re-determined story elements ;
sharing the first story with other users and obtaining reaction information of other users;
determin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story from the reac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users by using a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reprocessing the first story to generate a second story,
The step of creating the first story is
acquiring main content elements including photos, pictures, clip art, characters, sound effects, music and fonts from the user;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cquiring auxiliary content elements including photos, pictures, clip art, characters, sound effects, music and fonts from other users registered in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and content providing servers,
The second AI learning model configures the first story by using the main content element preferentially over the auxiliary content element, and is used for the user when the auxiliary content element is preferentially used over the main content element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requesting approva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복수개의 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기본 스토리로부터 확장가능한 스토리 정보를 도출하고, 확장가능한 스토리 정보 각각으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것이고,
상기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복수개의 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스토리 플롯에 기초하여, 상기 스토리 플롯에 부합하는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것이고,
상기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공유된 스토리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댓글 정보, 조회수 정보, 이탈 정보, 머무름 정보, 재방문 정보 및 스토리 공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유된 스토리에 제공할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하도록 학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derives expandable story information from a basic story in an unprocessed state using a plurality of story information, and from each of the expandable story information, a historical background, a location background, a character's character, and addition learned to determine characters and possible events,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based on a story plot included in a plurality of story information, is trained to determine at least one of photos, pictures, clip art, characters, sound effects, music, and fonts corresponding to the story plots. will,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uses other users' comment information, view count information, exit information, stay information, revisit information, and story sharing information for the shared story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nd corrections to the shared story.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been learned to determine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컨텐츠 요소가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경우, 상기 사용된 컨텐츠 요소에 대한 리워드를 상기 사용자의 계정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공유된 스토리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에 기초하여 스토리 공유에 따른 리워드를 상기 사용자의 계정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roviding a reward for the used content element to the user's account when the content element obtained from the user is used by another user; and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 reward according to the story sharing to the user's account on the basis of the user's reaction information to the shared story of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기본 스토리에 포함된 문장을 파싱하여, 소정의 횟수 이상으로 사용된 단어를 식별자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식별자에 관련된 복수개의 스토리 패턴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스토리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기본 스토리를 확장하여 스토리 라인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 라인에 기초하여, 단어, 동의어, 유의어, 수식어 및 문장 구성에 대한 스토리 교육 정보를 추천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가 스토리 교육 정보를 수용하는 경우, 상기 스토리 교육 정보에 대한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arsing the sentences included in the basic story acquired from the user, and determining a word us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s an identifier;
recommending a plurality of story patterns related to the identifier;
constructing a story line by expanding the basic story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tory patterns;
Recommending story education information for words, synonyms, synonyms, modifiers and sentence construction based on the story line; And
When the user accepts the story education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history information on the story education information,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to provide a content creation ser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작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스토리 재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스토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스토리의 재생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스토리에 포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정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스토리에 포함된 컨텐츠를 상기 선택된 추천 정보로 변경하여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등장 인물의 캐릭터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캐릭터에 리깅 요소들을 부여하여 리깅 캐릭터를 생성하고, 상기 리깅 캐릭터를 동작시키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상기 리깅 요소들의 동작경로, 동작범위, 동작시간, 동작각도를 이용하여 3차원 위치좌표를 생성하고, 상기 3차원 위치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리깅 캐릭터가 시계열적으로 동작하는 동작 컨텐트를 생성하고, 상기 동작 컨텐트를 상기 제 1 스토리에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roviding the first story to a user using a story reproduction program provided by the content creation service;
providing recommended information on photos, pictures, clip art, characters, sound effects, music, and fonts included in the first story in response to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first story; an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changing the content included in the first story to the select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a preview,
The step of providing the recommended information includes:
When a character of a character is selected by the user, a rigging character is created by giving rigging elements to the selected character, receiving a user input for operating the rigging character, and the rigging element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3D location coordinates are generated using their motion path, motion range, motion time, and motion angle, and based on the 3D location coordinates, motion content in which the rigging character operates time-series is generated, and the motion content 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the user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sto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리에 제 3 스토리를 결합할 것을 요청하는 다른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스토리 결합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스토리 결합에 대한 승인을 획득함에 따라, 상기 제 1 스토리 및 제 3 스토리를 분석하여 결합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합 포인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스토리 및 제 3 스토리를 재구성하고, 상기 제 1 스토리에 적용가능한 수정 정보, 추가 정보 및 삭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및
상기 수정 정보, 추가 정보 및 삭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4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upon receiving an input of another user requesting to combine the first story with the third story, requesting approval for combining the story from the user;
determining a binding point by analyzing the first story and the third story as the approval for combining the story is obtained;
Reconstructing the first story and the third story based on the coupling point, and determining correction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and deletion information applicable to the first story;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correction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and deletion information, reprocessing the first story to generate a fourth story, a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how to provid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스토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4 스토리에 포함된 제 1 스토리 및 제 3 스토리의 등장인물의 중요도, 스토리 분량, 주제, 스토리 라인 및 컨텐츠의 양을 고려하여 제 4 스토리에 대한 소유권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유권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 4 스토리로 인하여 발생하는 리워드에 대한 적립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creating the fourth story is,
determining an ownership ratio for the fourth story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characters of the first story and the third story included in the fourth story, the amount of the story, the topic, the story line, and the amount of content; and
Based on the ownership ratio, the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produc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n accumulation ratio for rewards generated due to the fourth story.
제 1 항에 있어서,
카드 뉴스, 웹툰, 기사, 포스팅, 소설 및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출판 형식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스토리의 출판 형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출판 형식에 대한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스토리의 구성을 임시적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및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포함된 제 1 스토리의 구성을 수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 및 제 1 스토리의 구성을 수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publication format of at least one first story among publication formats including card news, webtoons, articles, postings, novels, and animations;
Temporarily dividing and displaying the composition of the first story based on a frame for a publication format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put;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or modifying the fram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tory included in the frame, the content production service using a storytelling navigator, comprising the step of modifying and displaying the fram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tory How to provide.
프로세서;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주인공의 시점에서 작성된 기본 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 1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 스토리로부터 시대적 배경, 장소적 배경, 주인공의 성격, 추가 등장인물 및 발생가능한 이벤트를 포함하는 후보 스토리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후보 스토리 요소를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 1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2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고, 제 2 스토리 요소가 선택됨에 대응하여 제 1 스토리 요소 및 제 2 스토리 요소를 이용하여 제 3 후보 스토리 요소를 재결정하는 것을 반복하고,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재결정된 스토리 요소들에 관련된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여 제 1 스토리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스토리를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고,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를 획득하고,
제 3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반응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스토리에 대한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추가 정보 및 수정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스토리를 재가공하여 제 2 스토리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스토리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를 포함하는 주요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고, 컨텐츠 제작 서비스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 및 컨텐츠 제공 서버들로부터 사진, 그림, 클립아트, 캐릭터, 효과음, 음악 및 글씨체를 포함하는 보조 컨텐츠 요소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공지능 학습 모델은,
상기 주요 컨텐츠 요소를 상기 보조 컨텐츠 요소보다 우선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 1 스토리를 구성하며, 상기 보조 컨텐츠 요소를 상기 주요 컨텐츠 요소보다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 승인을 요청하는, 스토리텔링 네비게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processor; and
a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and
The processor is
By executing the above instructions,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basic story writte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Us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obtain candidate story elements including historical background, locational background, main character's personality, additional characters, and possible events from the basic story,
The candidate story elements are sequentially provided to the user, the second candidate story elements are re-determined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first story elements, and the first story elements and the second story elements are used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second story elements. to repeat the recrystallization of the third candidate story element,
Using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to generate a first story by acquiring content elements including at least one of photos, pictures, clip art, characters, sound effects, music and fonts related to the re-determined story elements,
share the first story with other users, obtain reaction information of other users,
Using a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determin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story from the reac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users,
Upon receiving user input for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reprocessing the first story to generate a second story,
The process of creating the first story is,
Main content elements including photos, pictures, clip art, characters, sound effects, music and fonts are obtained from the user, and photos, drawings, clip art, characters, Including the process of acquiring auxiliary content elements including sound effects, music, and fonts,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A storytelling navigator that configures the first story by using the main content element preferentially over the auxiliary content element, and requests permission for use from the user when the auxiliary content element is used preferentially over the main content element A device that provides content creation services using
KR1020200010178A 2020-01-29 2020-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storytelling navigator KR1023042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178A KR102304240B1 (en) 2020-01-29 2020-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storytelling navig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178A KR102304240B1 (en) 2020-01-29 2020-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storytelling navig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749A KR20210096749A (en) 2021-08-06
KR102304240B1 true KR102304240B1 (en) 2021-09-17

Family

ID=7731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178A KR102304240B1 (en) 2020-01-29 2020-01-2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storytelling navig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24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509B1 (en) * 2021-12-14 2022-11-10 주식회사 뤼튼테크놀로지스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mmending contents for writing
KR20240051604A (en) 2022-10-13 2024-04-22 김동경 Method of making novel character for story and character based story creation plarform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833B1 (en) * 2021-12-17 2022-05-20 주식회사 이크림 synopsis produc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log line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method therefor
KR102616167B1 (en) * 2023-06-22 2023-12-20 팜피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ent using user sentenc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651A (en) 2013-07-23 2015-02-02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story telling contents
KR102290419B1 (en) * 2015-01-13 202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ratus For Creating Photo Story based on Visual Context Analysis of Digital Contents
KR101713612B1 (en) 2015-09-22 2017-03-0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Intelligent Storytelling Support System
KR20170066002A (en) * 2015-12-04 2017-06-14 이현진 System for learning with using story-retelling and terminal used in it
KR101845535B1 (en) * 2016-07-26 2018-04-04 주식회사 엘로이즈 Story-telling system for changing 3 dimension character into 3 dimension avata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509B1 (en) * 2021-12-14 2022-11-10 주식회사 뤼튼테크놀로지스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mmending contents for writing
WO2023113377A1 (en) * 2021-12-14 2023-06-22 주식회사 뤼튼테크놀로지스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mmending contents for writing
KR20240051604A (en) 2022-10-13 2024-04-22 김동경 Method of making novel character for story and character based story creation plarfor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749A (en)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2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creation service using storytelling navigator
US10867416B2 (en) Harmonizing composite images using deep learning
US10916001B2 (en) Facilitating sketch to painting transformations
US201501432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ing digital content
CN111596852B (en) Content editing method, system,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device
US201101618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nd publishing pages of content
US11320895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mpose a story for a user depending on an attribute of the user
JP6147776B2 (en) Movie generation server, movie generation program, movie generation method, movie generation system
Neumann Web mapping and web cartography
Rockley et al. Intelligent content: A primer
Matahari WebXR asset management in developing virtual reality learning media
US10939186B2 (en) Virtual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CN113095056B (en) Generation method,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KR20220036016A (en) Solution for making of art gallery employing virtual reality
Percival HTML5 advertising
Hinze et al. Location-triggered mobile access to a digital library of audio books using Tipple
KR20180112751A (en) System and method for avatar service through cable and wireless web
Sandberg Creative Coding on the web in p5. js: a Library where JavaScript Meets Processing
JP2017118559A (en) Moving image generation server, moving image generation program, moving image generation method, and moving image generation system
DuRocher HTML & CSS QuickStart Guide: The Simplified Beginners Guide to Developing a Strong Coding Foundation, Building Responsive Websites, and Mastering the Fundamentals of Modern Web Design
Möller et al. Requirements engineering for software-enabled art: challenges and guidelines
Patterson Talking Portraits in the Library: Building Interactive Exhibits with an Augmented Reality App
KR20210074962A (en) Method for making video message easly and device using thereof
Realinho et al. A Language for the End-user Development of Mobile Context-Aware Applications.
KR102333794B1 (en) Server of generating 3d motion web con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