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793B1 -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793B1
KR102303793B1 KR1020210016315A KR20210016315A KR102303793B1 KR 102303793 B1 KR102303793 B1 KR 102303793B1 KR 1020210016315 A KR1020210016315 A KR 1020210016315A KR 20210016315 A KR20210016315 A KR 20210016315A KR 102303793 B1 KR102303793 B1 KR 102303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de
door opening
closing contro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
Original Assignee
허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 filed Critical 허정
Priority to KR1020210016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793B1/ko
Priority to PCT/KR2021/017644 priority patent/WO2022169082A1/ko
Priority to CN202180092856.4A priority patent/CN116806350A/zh
Priority to JP2023546349A priority patent/JP2024506554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restroo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being encryp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가 제공된다.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블루투스로 송신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블루투스 모듈(130);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130)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식별에 기초하여,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AN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증된 여성 사용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공공 화장실에 설치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에 블루투스로 송신함으로써 여성인 경우에 한하여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하여 공공 화장실을 사용하는 여성 사용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공원, 광장 등의 공공 장소, 또는 관공서, 학교, 회사 등의 일반 건축물에는 공공의 이용을 위한 공공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고, 불특정 다수의 공동 이용을 위해서 남성용 화장실과 여성용 화장실이 구분되어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공공 화장실은 불특정 다수 누구나 이용하는 시설에 해당하므로 출입구(10)가 24시간 개방 상태로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따라서 여성용 화장실에 남성이 무단으로 출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새벽 시간 등 인적이 드문 시간에 공원, 학교, 방송국 등의 여성용 화장실에 남성이 잠입하여 여성을 상대로 범죄를 저지르거나 또는 몰래 카메라 등을 설치하여 불법 촬영된 영상을 유포하는 등의 범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공공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불안감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몰래 카메라가 점차 소형화되고 은닉 기술이 점차 발전하고 있어, 공공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불안감은 점점 커져만 가고 있는 상황이다.
여성 화장실 등에서 몰래 카메라가 발각되면 주변 CCTV 카메라를 이용해 용의자를 확인하여 추적 및 검거하고는 있지만 이는 사후적 조치에 불과하기 때문에, 공공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러므로, 공원, 광장 등의 공공 장소, 또는 관공서, 학교, 회사 등의 일반 건축물에 설치되는 공공 화장실에 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성별에 기초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여성 화장실에 남성의 출입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여성들이 공공 화장실을 이용할 때에 보다 편안한 마음으로 공중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타입의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러한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에 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인증된 여성 사용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의 블루투스 송신을 활용하여 여성의 경우만 제한적으로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공공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의 발급을 가능하게 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를 공공 화장실의 출입문에 추가로 구현함으로써 공공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에 일시적 장애가 있거나 어린이나 노인 등 스마트폰을 보유하지 않은 사용자를 위해서 통합정보센터의 모니터 요원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호출 버튼 및 스피커를 공공 화장실 출입문에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발급함에 있어 유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암호 코드에는 공공 화장실 출입문이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시킴으로써, 불법 또는 가짜 암호 코드의 활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활용하여 여성만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입문 시설이 설치된 공공 화장실의 위치를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여성들이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안전한 공공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 습도, 빛 먼지 등의 환경 요인에 따라 암호 코드 인식률이 영향을 받지 않고, 제어 장치의 다양화, 소형화 및 슬림화를 용이하게 하며, 제어 장치의 제작 단가를 보다 낮출 수 있도록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블루투스 기반으로 통신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블루투스로 송신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의 식별에 기초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의 식별에 기초하여 통합정보센터에 의해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제어기, 또는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의 식별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이 배치되는 메인 바디의 일 영역에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가 추가로 구현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는 비밀 코드, 성별 코드 및 날짜/시간 코드로 구성되고, 상기 비밀 코드는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운영 및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에서 부여하는 고유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날짜/시간 코드는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가 발급된 날짜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밀 코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에 의해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변경되고, 상기 변경된 비밀 코드의 정보는 상기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통합정보센터와 실시간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짜/시간 코드에 추가로 정의되는 미리 결정된 사용가능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블루투스로 송신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의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블루투스로 송신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의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인증된 여성 사용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의 블루투스 송신을 활용하여 여성의 경우만 제한적으로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공공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의 발급을 가능하게 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를 공공 화장실 출입문에 추가로 구현함으로써 공공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에 일시적 장애가 있거나 어린이나 노인 등 스마트폰을 보유하지 않은 사용자를 위해서 통합정보센터의 모니터 요원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호출 버튼 및 스피커를 공공 화장실 출입문에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발급함에 있어 유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암호 코드에는 공공 화장실 출입문이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시킴으로써, 불법 또는 가짜 암호 코드의 활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활용하여 여성만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입문 시설이 설치된 공공 화장실의 위치를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여성들이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안전한 공공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온도, 습도, 빛 먼지 등의 환경 요인에 따라 암호 코드 인식률이 영향을 받지 않고, 제어 장치의 다양화, 소형화 및 슬림화를 용이하게 하며, 제어 장치의 제작 단가를 보다 낮출 수 있도록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블루투스 기반으로 통신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공 화장실의 출입문(10)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위한 여성 사용자의 인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증된 여성 사용자가 제공받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활용하여 공공 화장실의 출입문을 개방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과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예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공 화장실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공 화장실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기술하는 공공 화장실의 제한적 출입문 개방 서비스는 (i) 공원, 광장 등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여성 화장실 또는 (ii) 관공서, 학교, 회사 등 일반 건축물 내 여성 화장실에 적용될 수 있는데, 도 2a는 공원, 광장 등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여성 화장실에 대해 적용될 수 있는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관공서, 학교, 회사 등 일반 건축물 내 여성 화장실에 대해 적용될 수 있는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의 블록도를 도시하는데, 도 2b의 시스템(1000')은 도 2a의 시스템(1000)과 비교하여 통합정보센터(200)가 구비되지 않은 점이 상이하고, 이러한 차이 및 그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명세서 전체에서, 공원, 광장 등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여성 화장실에 대해 적용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제1 실시예”의 용어로, 그리고 관공서, 학교, 회사 등 일반 건축물 내 여성 화장실에 대해 적용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제2 실시예”의 용어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의 블록도이다.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은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통합정보센터(200), 사용자 단말(300), 통신망(400), 출입문(500),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 및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 1000')이 적용되는 공공 시설물로서 공공 여성 화장실을 예시적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여성만의 출입이 허용되어야 하고 남성의 출입이 엄격하게 금지되는 임의의 공공 시설, 예를 들어 공공 수유실, 공공 여성 탈의실 등의 공공 시설에도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 및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 1000')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또는, 남성만의 출입이 허용되어야 하고 여성의 출입이 엄격하게 금지되어야 하는 공공 시설에도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 및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 1000')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에 포함되는 비밀 코드를 성별에 따라 달리 설정하거나 성별 코드를 남성으로 지정함으로써 구현 가능할 수 있다.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는 공공 시설물(예를 들어, 공공 여성 화장실 등)의 출입문(500)에 배치되거나 또는 출입문(5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 도 5 참조)의 판독 결과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는 디지털 방식으로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갖고, 상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는 사용자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출입문(500)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대략 성인의 가슴 높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어린이의 사용을 위해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의 아래 쪽 지면에 계단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가 레일과 같은 슬라이딩 수단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센서 수단(미도시)을 통해 출입문(500)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성인인지 또는 어린이인지를 판단한 후에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자동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는 통신망(400)을 통해 통합정보센터(200)와,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입문 제어 및 운영관리 서버(21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블루투스로 송신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식별에 기초하여 통합정보센터(200)에 의해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명령에 따라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인증에 따라 출입문(500)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체적인 동작, 절차 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는 메인 바디(110), 카메라(120), 블루투스 모듈(130), 스피커(140), 호출 버튼(150), 도어 제어기(160), 도어 구동모터(170),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8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a에 도시되는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의 엘리먼트(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의 기능, 동작 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엘리먼트에 불과하고, 따라서 추가의 엘리먼트(예를 들어, 전원부, 통신부, 알람부, 모니터링부 등)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메인 바디(110)는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의 몸체를 구성하고, 출입문(5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되거나, 또는 출입문(500)에 인접하여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11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고, 개선된 가시 효과를 위해 노출 표면이 소정의 컬러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도 2a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a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인 바디(110)의 노출 표면에는 카메라(120), 블루투스 모듈(130), 스피커(140), 호출 버튼(150),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80) 등이 매립 또는 구현될 수 있고, 도어 제어기(160)는 메인 바디(110)의 내부에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임베디드될 수 있으며, 도어 구동모터(170)는 출입문(500) 벽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거나 또는 화장실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20)는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가 향하는 전면의 일정 영역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린이, 노인 등과 같이 스마트 폰을 보유하지 않은 사용자가 공공 화장실을 이용하는 경우에, 또는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의 일시적인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호출 버튼(150)을 가압함으로써 통합정보센터(200)의 담당자, 예를 들어 모니터 요원과 통신할 수 있고, 담당 모니터 요원은 카메라(120)를 통해 공공 화장실을 출입하는 사용자의 성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카메라(120)를 통해 사용자가 여성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만 출입문(500)을 개방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120)를 통해 보여지는 화면만으로 사용자의 성별을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경우, 통합정보센터(200)는 해당 사용자의 음성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남성인지 여성인지를 추가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스피커(14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음성 안내 문구(예를 들어,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이라고 말해보세요!!” 등)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새벽 시간 등과 같이 통합정보센터(200)의 담당자가 부재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은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되는 얼굴 영상으로부터 소정의 알고리즘(예를 들어, 이미지-기반 성별 인식 딥러닝 알고리즘, 등)에 기초하여 성별을 판단하면서 동시에 음성 분석을 통해 성별을 판단하고, 얼굴 영상에 기초한 성별 판단 및 음성 분석을 통한 성별 판단의 결과 모두가 여성인 경우에만 출입문의 개방을 허용하는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로 송신할 수 있다.
스피커(140)는 통합정보센터(200)의 모니터 요원과의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음성안내기능을 구비하며, 예를 들어 통합정보센터(200)에서의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판독 결과에 “출입이 승인되었습니다” “출입이 거부되었습니다” 등의 출입 승인 또는 거부 음성 메시지가 송출될 수 있거나, 또는 성별 판별이 불가한 경우에 “인식에 실패하였습니다” 등의 인식 오류 음성 메시지가 송출될 수도 있다.
호출 버튼(150)은 스마트 폰을 보유하지 않은 사용자, 또는 시스템의 일시적 장애 시에 사용자가 통합정보센터(200)의 모니터 요원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에 해당하며, 호출 버튼(150)을 가압함으로써 통합정보센터(200)의 모니터 요원과 사용자 사이의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호출 버튼(150)이 가압되면, 통합정보센터(200)의 모니터 요원은 해당 사용자를 카메라(12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스피커(140)를 통해 해당 사용자와 대화를 할 수도 있으며, 해당 사용자가 여성인 것으로 최종 판별되는 경우에만 출입문(500)의 개방을 허용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한 카메라(120), 스피커(140), 호출 버튼(150)은 스마트폰을 보유하지 않은 어린이, 노인 등과 같은 사용자를 위해 필요한 보충적 수단에 해당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활용 예에 따른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에는 카메라(120), 스피커(140), 호출 버튼(15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블루투스 모듈(130)은 사용자 단말(300)과 블루투스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에서 블루투스로 송신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 도 4 및 도 5 참조)을 실행하고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로부터 일정 거리(예를 들어, 3M 등) 이내에 접근하면, 사용자 단말(300)과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가 블루투스 통신으로 자동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출입문 개방 요청 버튼을 클릭하면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로부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발급되고, 발급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블루투스 통신으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로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판독에 기초하여 공공 화장실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사용자는, 즉 여성 사용자는 공공 여성 화장실 출입을 위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여성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 발급 받을 수 있는데,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에게 공공 화장실 출입을 위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의 용어로 지칭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구글 플레이, 앱 스토어 등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 도 4 및 도 5 참조)을 다운로드할 수 있고, 여기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이 설치되고 실행될 때에 필수적으로 본인 인증을 거침으로써 여성 사용자만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활용을 위한 여성 사용자 인증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남성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다운로드 및 설치를 하더라도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생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거나, 설사 남성 사용자에 대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생성될지라도 발급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에 남성의 성별 정보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공공 장소 또는 일반 건축물 내 여성 화장실에 남성이 출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성 사용자는 공공 화장실을 이용하고자 할 때에 미리 다운로드 받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실행함으로써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용이하게 발급받을 수 있고, 발급받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저장되는 사용자 단말(300)을 소지하고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에 근접하기만 하면 보다 용이하게 그리고 보다 안전하게 공공 여성 화장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 모듈(130)이 배치되는 메인 바디(110)의 일 영역에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8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80)는 QR 코드일 수 있고, 안드로이드용 QR 코드(181)와 IOS용 QR 코드(18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미리 다운로드 받지 않은 상태에서도 공공 화장실에 배치된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80)에 접속함으로써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용이하게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실행함으로써 발급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는 보안 강화를 위해 그리고 악용 방지를 위해 복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5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도어 제어기(160)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메인 바디(110) 내측에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임베디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어 제어기(160)는 통합정보센터(200)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출입문 제어 및 운영관리 서버(210)에서 생성되어 송신되는 출입문개폐제어명령에 기초하여, 도어 제어기(160)와 전자적으로 연결되고 출입문(50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도어 구동모터(170)를 통해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통합정보센터(200)는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로부터 송신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개폐제어명령을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로 송신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합정보센터(200)는 출입문 제어 및 운영관리 서버(210)와 운영 단말(220)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통합정보센터(200)는 공공 화장실의 출입문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SW)가 프로그래밍되어 운영될 수 있다.
출입문 제어 및 운영관리 서버(210)는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로부터 송신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수신 및 판독하고, 그 판독 결과를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로 송신할 수 있으며, 통합정보센터(200) 내의 운영 단말(22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출입문 제어 및 운영관리 서버(210)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에 의해 관리 및 운영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통해 발급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에 포함된 정보를 식별하고, 해당 암호 코드가 정상적인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급된 암호 코드인지 여부, 암호 코드 발급자의 성별이 여성인지 여부, 암호 코드에 포함된 날짜와 시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유효사용시간(예를 들어, 10초, 15초, 20초 등)을 만족하는지 여부 등을 판독하며, 그 판독 결과를 출입문개폐제어명령으로 생성하여 이를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에 송신할 수 있다.
운영 단말(220)은 통합정보센터(200) 내에 설치되고, 출입문 제어 및 운영관리 서버(2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통합정보센터(200)의 운영 요원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 기반의 출입문 개폐 제어를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카메라(120)를 통한 사용자 확인, 스피커(140)를 통한 통화,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의 원격 제어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통해 발급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저장 또는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활용하여 구글 플레이, 앱 스토어 등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미리 다운로드할 수 있거나, 또는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에 구현된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80)를 통해 공공 화장실 이용 이전에 출입문(500)에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다운로드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참고로, 사용자 단말(300)은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단말,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출입문 개방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응답하여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는 통합정보센터(200)와,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입문 제어 및 운영관리 서버(210)와 실시간 동기화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출입문 제어 및 운영관리 서버(210)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에서 발급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와 관련된 정보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는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가 설치되는 공공 화장실의 위치 정보를 통합정보센터(200)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공공 화장실의 위치 정보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의 블록도이다.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은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 사용자 단말(300), 통신망(400), 출입문(500),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은 관공서, 학교, 회사 등 관리자가 상주하여 원격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일반 건축물 내 여성 공공 화장실에 적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도 2a에 도시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과 비교하여 통합정보센터(200)가 구비되지 않은 차이가 있다.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는 메인 바디(110), 블루투스 모듈(130),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80), 디스플레이(190), 컨트롤러(195),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도 2a에서 기술한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기술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은 건축물 관리자가 상주하거나 또는 유사 시에 즉시 대응이 가능한 건축물의 화장실에 보다 맞춤형으로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층별로 일반 화장실과 암호 코드 화장실을 분리하여 운영하는 건축물(예를 들어, 전체 5층 건물에서 1층 및 5층은 암호 코드 화장실을 운영하면서, 2층 내지 4층에는 일반 화장실을 운영하는 건축물 등), 동일 층 내에서도 일반 화장실과 암호 코드 화장실을 분리하여 운영하는 건축물 등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활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예를 들어, 스마트폰 부재,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의 고장, 등) 상주하고 있는 건축물 관리자에게 문의하거나(이 경우 호출 버튼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음), 또는 암호 코드 화장실을 대신하여 다른 층의 또는 다른 위치의 일반 화장실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는 블루투스 모듈(130)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복호화하고 판독하며, 이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컨트롤러(19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는, 도 2a에 도시되는 통합정보센터(200)가 개입될 필요가 없이도, 일반 건축물 내 여성 화장실의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암호 코드를 복호화하고, 판독하며, 그에 따라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가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임베디드되는 독립 제어형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b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서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의 일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195)를 블록으로서 도시하고 있으나, 컨트롤러(195)는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의 내부에서 칩 또는 모듈로 내장되어 외부적으로는 시각적으로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 제어기(160)와 도 2b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95)를 통칭하여 제어 모듈로 지칭하기로 한다. 참고로,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는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가 설치된 공공 화장실의 위치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90)는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컨트롤러(195)에서 판독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출입문(500)의 개방 여부에 관한 정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판독 실패에 대한 정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유효 시간 초과에 관한 정보,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의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95)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판독한 결과에 따라 “출입 승인” “출입 거부” 등의 정보가 디스플레이(190)에 표시될 수 있고, 기기 이상의 경우 “인식 실패”와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19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유효사용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사용 시간 초과”와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19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90)에 표시되는 정보는 국문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외국인 화장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디스플레이(190)에 국문과 영문의 병기 표시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90)는 터치식(touch-sensitive) 디스플레이로서 구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일반 건축물 관리자는 출입문(500)과의 블루투스 통신 설정,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유효사용시간 설정 등을 디스플레이(190)를 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90)에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판독 결과가 표시되는 나머지 시간에는 사용자 흥미를 유발하거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예를 들어, 해당 건축물 홍보 동영상 등)가 디스플레이(190)에서 재생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이러한 콘텐츠는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의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참고로, 디스플레이(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장치 및 시스템 구성에 기초하여,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를 설치하고 실행할 때 본인 인증 과정을 거쳐 인증된 여성 사용자가 관공서, 학교, 회사 등 일반 건축물 내 공공 여성 화장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실행하고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로부터 일정 거리(예를 들어, 3M 등) 이내에 접근하면,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로부터 비밀 코드(31)와 날짜/시간 코드(33)가 블루투스로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로 전송되면서 동기화될 수 있다.
참고로,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은 일정 거리(예를 들어, 3M 등) 이내에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실행한 사용자 단말(2300)의 블루투스 신호에만 반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에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에 대한 사용자 인증서 발급 정보, 발급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참고로,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의 저장부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저장부가 인터넷 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의 사용을 위한 여성 사용자의 인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는 구글 플레이, 앱 스토어 등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미리 다운로드할 수 있거나 또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80)를 활용하여 공공 화장실 현장에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의 요청에 의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800)로부터 사용자 단말(300)에 다운로드되고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 실행 시,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로부터 본인 인증을 위한 요청이 수신되고 이 본인 인증을 위한 요청이 순차로 통신사 서버(700)로 송신될 수 있다.
통신사 서버(700)는 사용자 단말(300)에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의 운영 서버로서 복수의 통신사 각각의 서버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본인 인증을 위한 요청에 응답하여 본인 확인의 결과를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와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다. 참고로, 통신사 서버(700)에는 통신 서비스 가입 시의 사용자 정보를 보유하고 있고, 따라서 통신사 서버(700)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의 사용 인증을 위한 본인 인증의 요청을 송신한 사용자의 성별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본인 확인의 결과가 여성이면,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는 본인 확인 인증서(certificate)를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인 확인 인증서를 발급받은 사용자 단말(300)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의 사용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되는 사용자 인증 절차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의 다운로드 시 최초 1회에 한해 진행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서 유효 기간(예를 들어, 1년 등)을 추가로 설정하고 인증서 유효 기간의 만료 시에 다시 인증 절차를 거치도록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 1000')을 구현할 수도 있다.
사용자마다 최초 1회에 한하여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는 경우, 복수의 스마트폰을 소유하는 사용자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의 사용 권한을 부여 받은 스마트폰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는 기존 스마트폰의 사용 권한을 해지한 후에 신규 스마트폰에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의 사용 권한을 부여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신뢰성 확보가 어려운 선불폰 등은 사용 권한 부여를 제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증된 여성 사용자가 제공받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활용하여 공공 화장실의 출입문을 개방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여성 사용자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통해 공공 여성 화장실의 출입문(500) 개방을 위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발급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실행하고 사용자 단말(300)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로부터 일정 거리(예를 들어, 3M 등) 이내로 접근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300)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와 블루투스로 자동 연결되고 출입문 개방 요청 버튼을 클릭하여 발급받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로 송신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의 (a) 참조)
여기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00)의 블루투스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이 실행되는 경우에,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은 사용자 단말(300)에 블루투스 활성화를 위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어, 블루투스 활성화를 위한 요청/확인 화면을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에 노출시킴, 등).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수신한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는, (i)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는 수신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통합정보센터(200)로 송신하고, 통합정보센터(200)에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복호화 및 판독을 거쳐 생성되는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수신하며, 통합정보센터(200)로부터 수신된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실행할 수 있거나, 또는 (ii) 제2 실시예의 경우,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복호화 및 판독을 위해 프로그래밍되는 컨트롤러(195)를 활용하여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복호화 및 판독하고, 그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생성 및 실행할 수 있다.
통합정보센터(200)로부터 수신된 또는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에서 자체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의 내용이 출입문 개방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즉 (i) 비밀 코드(31)가 일치하고, (ii) 성별 코드(32)의 정보가 여성이며, (iii) 날짜/시간 코드(33)에 의한 유효사용시간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만(즉, 3가지 코드 중 어느 하나의 코드 조건도 충족하지 않으면 출입문(500)의 개방을 불허),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는 공공 화장실의 출입문(500) 개방을 가능하게 하도록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통합정보센터(200)로부터 수신된 또는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에서 자체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의 내용이 출입문 개방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비밀 코드(31)가 일치하지 않아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이 아닌 가짜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발급된 위조의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로 판독되는 경우, 요청 사용자의 성별이 여성이 아닌 경우, 암호 코드의 유효사용시간이 경과된 경우 등에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는 공공 화장실의 출입문(500) 개방을 허용하지 않도록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날짜/시간 코드)에 추가로 정의되는 미리 결정된 사용가능시간(또는 유효사용시간)이 경과되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사용자 단말(300)에서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소정의 유효사용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송신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유효사용시간의 경과로 인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삭제되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삭제를 사용자에게 통지(예를 들어, “코드가 삭제되었습니다”의 청각 알림, 또는 텍스트 알림 등)함과 동시에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재-요청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신호 형식의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저장한 사용자 단말(300)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 것만으로도 여성 사용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출입문(500)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i) 온도, 습도, 빛 먼지 등의 환경 요인에 따라 암호 코드 인식률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ii)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의 다양화, 소형화 및 슬림화를 용이하게 하며, (iii)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의 제작 단가를 보다 낮출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과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는 비밀 코드(31), 성별 코드(32) 및 날짜/시간 정보 코드(33)로 구성될 수 있다.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드 중에서 비밀 코드(31)는 인증된, 즉 진정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에 의해 발급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만을 선별하기 위한 코드로서, 가짜의 또는 유사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암호 코드를 활용하여 남성이 공공 여성 화장실을 무단 침입하는 범죄를 차단하기 위한 코드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 비밀 코드(31)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에서 부여하는 혼합 문자, 부호 등으로 구성되는 고유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비밀 코드(31)의 암호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에서만 생성 및 저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송신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에 이러한 비밀 코드(31)가 부재하거나 또는 비밀 코드(31)가 구비될지라도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에서 생성된 비밀 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i) 출입문(500)의 개방을 허용하지 않는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로 송신하거나(제1 실시예의 경우), 또는 (ii)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에 프로그래밍되는 컨트롤러(195)가 출입문(500)의 개방을 허용하지 않는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제2 실시예의 경우).
참고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의 출입문 개방 요청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가 발급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에 포함되는 이러한 비밀 코드(31)는 (i) 고정 값의 코드로 구현될 수 있거나, (ii) 미리 결정된 주기(예를 들어, 매일, 매주, 매월 등)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거나, (iii)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발급 시 매번 새로운 비밀 코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변경 정보는 통합정보센터(200) 또는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와 동기화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와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가 무선 통신(예를 들어, 5G, LTE 등)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30)이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블루투스 통신으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변경 정보가, 예를 들어 설정된 비밀 코드(31)와 날짜/시간 코드(33)가 동기화될 수도 있다.
또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드 중에서 성별 코드(32)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발급받은 사용자의 성별이 여성에 해당함을 입증하기 위한 코드에 해당한다. 도 3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다운로드함에 있어 사용자가 여성임을 인증하는 인증서를 발급받지만, 사용자의 성별이 여성임을 확인하기 위한 성별 코드(32)를 추가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에 포함시킴으로써 암호 코드의 보안성 및 신뢰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고, 남성 전용 출입 구역의 출입문 제어가 필요한 경우 여성 코드 대신에 남성 코드를 추가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통합정보센터(200)의 출입문 제어 및 운영관리 서버(210) 또는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블루투스로 송신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에 이러한 성별 코드(32)가 부재하거나 또는 성별 코드(32)가 구비될지라도 성별이 남성으로 판별되는 경우에 출입문(500)의 개방을 허용하지 않는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드 중에서 날짜/시간 정보 코드(33)는 발급받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이용 가능한 유효 시간 판별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참고로, 날짜/시간 정보 코드(33)에 포함되는 날짜 정보 및 시간 정보는 GPS를 통해 자동으로 수신되는 정보에 해당하여 정확도가 매우 높고, 그러한 날짜/시간 정보는 출입문 제어 및 운영관리 서버(210)/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와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 사이에서 동기화되므로(즉, 출입문 제어 및 운영관리 서버(210)/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에서의 날짜/시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에서의 날짜/시간 정보와 동일함), 통합정보센터(200)/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와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에서의 시각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사용자 불편함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의 출입문 개방 요청에 응답하여 공원, 광장 등 공공 장소의 여성 화장실 또는 관공서, 학교, 회사 등 일반 건축물 내 여성 화장실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생성함에 있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유효사용시간을 미리 설정할 수 있는데, 여기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유효사용시간은 고정 값(예를 들어, 10초, 15초,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생성 및 발급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는 그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복제, 저장 등의 방식으로 부정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전송하여 불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발급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300)이 분실 신고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성의 분실된 스마트 폰을 남성이 습득하여 악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에서 사용자 단말(300)의 분실 신고 여부를 추가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이 분실 신고된 단말로 확인될 경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에 생성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에 전화번호와 분실신고 단말기 정보를 추가로 생성하게 하여 위 3가지 코드의 조건을 충족할지라도, 즉 (i) 식별된 비밀 코드(31)를 통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급된 정상적인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에 해당하고, (ii)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발급한 사용자의 성별이 여성에 해당하며, 그리고 (iii)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유효시간조건을 충족할지라도 출입문(500)의 개방을 허용하지 않는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정보센터(200)/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는 경찰서 등의 기관과 추가로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분실 신고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공공 화장실의 출입하려는 요청이 확인되면 즉각적으로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의 위치 정보 및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된 영상(또는 주변 CCTV 등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경찰서 등에 송신함으로써 예비 범죄자 검거 및 범죄 감소에 상당히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 1000')이 적용되는 공공 화장실의 위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공공 화장실의 위치 검색이 필요한 사용자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가 설치된 공공 화장실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 기반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이를 위해 공공 화장실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공공 화장실 정보는 예를 들어 지도(맵) 기반의 서비스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는 디지털 방식으로 IP 주소를 가지므로,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의 IP 주소에 기초하여 복수의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여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가 설치된 공공 화장실의 위치를 자신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 주변에 위치한 안전한 공공 화장실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통해 공공 화장실의 시설 정보(예를 들어, 청결도, 준공 연도, 등)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공공 화장실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평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300)에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참여도가 우수한 사용자에게는 소정의 이벤트(예를 들어, 포인트 등)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비밀 코드(31), 성별 코드(32) 및 날짜/시간 코드(33)로 구성되고 이에 기초하여 공공 화장실의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예시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에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등의 추가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 1000')을 특정 인가자 통제 구역의 출입 관리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공 화장실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공 화장실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a 및 도 6a를 함께 참고하면, 넓은 지역에 산재해 있고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아 원격 관리의 필요가 존재하는 공원, 광장 등 공공 장소의 여성 화장실에 적용될 수 있는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에 따르면, 먼저 공공 화장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로 출입문 개방 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S11). 여기서, 출입문 개방 요청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출입문 개방 요청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로 송신될 수 있고, 이때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다운로드 및 설치함에 있어 본인 인증을 통해 발급받은 인증서가 출입문 개방 요청과 함께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로 송신될 수도 있다.
수신된 출입문 개방 요청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는 비밀 코드(31), 성별 코드(32) 및 날짜/시간 코드(33)로 구성되는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S12), 이를 암호화함으로써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생성할 수 있다(S13).
생성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는 다시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될 수 있고(S14),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에 일정 거리(예를 들어, 3M 등) 이내에 접근하면 사용자 단말(300)과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가 블루투스로 자동 연결됨으로써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블루투스로 송신될 수 있다(S15).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블루투스로 수신한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는 이를 다시 통합정보센터(200)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입문 제어 및 운영관리 서버(210)로 송신할 수 있고(S16), 통합정보센터(200)는 수신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복호화(S17) 및 디지털 코드 판독(S18)함으로써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은 다시 통합정보센터(200)로부터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로 송신될 수 있고(S19),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는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실행함으로써(S20),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와 유선 또는 블루투스로 연결된 출입문(500)을 개방할 수 있다(S21).
도 2b 및 도 6b를 함께 참고하면, 일반적으로 관리자가 상주하여 원격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관공서, 학교, 회사 등 일반 건축물 내 여성 화장실에 적용될 수 있는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에 따르면, 먼저 공공 화장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로 출입문 개방 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S31). 여기서, 출입문 개방 요청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출입문 개방 요청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로 송신될 수 있고, 이때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20)을 다운로드 및 설치함에 있어 본인 인증을 통해 발급받은 인증서가 출입문 개방 요청과 함께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로 송신될 수도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수신된 출입문 개방 요청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는 비밀 코드(31), 성별 코드(32) 및 날짜/시간 코드(33)로 구성되는 디지털 코드를 생성하고(S32), 이를 암호화함으로써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생성할 수 있다(S33).
생성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는 다시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될 수 있고(S34),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발급받은 사용자가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에 일정 거리(예를 들어, 3M 등) 이내에 접근하면 사용자 단말(300)과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가 블루투스로 자동 연결됨으로써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블루투스로 송신될 수 있다(S35).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블루투스로 수신한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는, 공공 화장실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또는 소프트웨어)이 내장되어 독립 제어형으로 구현되는 컨트롤러(195)를 활용하여, 수신된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복호화(S36) 및 디지털 코드 판독(S37)함으로써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는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실행함으로써(S38),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b)와 유선 또는 블루투스로 연결된 출입문(500)을 개방할 수 있다(S39).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인증된 여성 사용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의 블루투스 송신을 활용하여 여성의 경우만 제한적으로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공공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의 발급을 가능하게 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를 공공 화장실 출입문에 추가로 구현함으로써 공공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에 일시적 장애가 있거나 어린이나 노인 등 스마트폰을 보유하지 않은 사용자를 위해서 통합정보센터의 모니터 요원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호출 버튼 및 스피커를 공공 화장실 출입문에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발급함에 있어 유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암호 코드에는 공공 화장실 출입문이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시킴으로써, 불법 또는 가짜 암호 코드의 활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활용하여 여성만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입문 시설이 설치된 공공 화장실의 위치를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여성들이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안전한 공공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온도, 습도, 빛 먼지 등의 환경 요인에 따라 암호 코드 인식률이 영향을 받지 않고, 제어 장치의 다양화, 소형화 및 슬림화를 용이하게 하며, 제어 장치의 제작 단가를 보다 낮출 수 있도록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블루투스 기반으로 통신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
30: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31: 비밀 코드
32: 성별 코드
33: 날짜/시간 코드
100a: 제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100b: 제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110: 메인 바디
120: 카메라
130: 블루투스 모듈
140: 스피커
150: 호출 버튼
160: 도어 제어기
170: 도어 구동모터
180: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
190: 디스플레이
195: 컨트롤러
200: 통합정보센터
210: 출입문 제어 및 운영관리 서버
220: 운영 단말
300: 사용자 단말
400: 통신망
500: 출입문
600: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
1000, 1000':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

Claims (10)

  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로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블루투스로 송신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블루투스 모듈(130);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130)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식별에 기초하여,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식별에 기초하여 통합정보센터(200)에 의해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제어기(160), 또는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의 식별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컨트롤러(195)로 구현되며,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는 비밀 코드(31), 성별 코드(32) 및 날짜/시간 코드(33)로 구성되고,
    상기 비밀 코드(31)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운영 및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에서 부여하는 고유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날짜/시간 코드(33)는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발급된 날짜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130)이 배치되는 메인 바디(110)의 일 영역에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80)가 추가로 구현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80)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 코드(31)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600)에 의해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변경되고,
    상기 변경된 비밀 코드(31)의 정보는, 상기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통합정보센터(200)와 실시간 동기화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짜/시간 코드(33)에 추가로 정의되는 미리 결정된 사용가능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30)가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서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구현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a, 100b).
  8.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블루투스로 송신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의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의 식별에 기초하여 통합정보센터에 의해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 또는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의 식별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는 비밀 코드, 성별 코드 및 날짜/시간 코드로 구성되고,
    상기 비밀 코드는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운영 및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에서 부여하는 고유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날짜/시간 코드는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가 발급된 날짜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 발급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출입문 개방 암호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0. 제 8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10016315A 2021-02-04 2021-02-04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03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315A KR102303793B1 (ko) 2021-02-04 2021-02-04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1/017644 WO2022169082A1 (ko) 2021-02-04 2021-11-26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202180092856.4A CN116806350A (zh) 2021-02-04 2021-11-26 出入门开闭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JP2023546349A JP2024506554A (ja) 2021-02-04 2021-11-26 出入り口扉の開閉制御装置、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315A KR102303793B1 (ko) 2021-02-04 2021-02-04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793B1 true KR102303793B1 (ko) 2021-09-17

Family

ID=7792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315A KR102303793B1 (ko) 2021-02-04 2021-02-04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506554A (ko)
KR (1) KR102303793B1 (ko)
CN (1) CN116806350A (ko)
WO (1) WO20221690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082A1 (ko) * 2021-02-04 2022-08-11 허정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342B1 (ko) * 2018-03-19 2019-09-0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디지털 도어락 관리서버 및 개폐제어 시스템, 이동단말기와 통신하는 디지털 도어락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9364B2 (ja) * 2005-12-19 2013-12-18 オムロン株式会社 Id管理装置、id管理システム、id管理方法
US9702168B2 (en) * 2013-02-28 2017-07-11 Tyto Life LLC Door lock assembly for a dwelling
CN104732636B (zh) * 2015-04-14 2017-05-24 重庆特斯联智慧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蓝牙手机的智能小区门禁控制***及其控制方法
CN105894627B (zh) * 2016-03-30 2019-04-16 北京千丁互联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门禁设备、蓝牙门禁管理***及方法
CN105976466B (zh) * 2016-05-03 2020-01-10 科世达(上海)管理有限公司 一种汽车门禁开门方法
CN207097076U (zh) * 2017-04-12 2018-03-13 上海泰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产生随机码的云控制门口机***
KR101998249B1 (ko) * 2017-05-12 2019-07-10 주식회사 라온익스 도어의 보안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기기
CN107542359B (zh) * 2017-09-30 2019-04-02 深圳正品创想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厕所的开门方法及装置
CN107833317A (zh) * 2017-10-20 2018-03-23 珠海华发新科技投资控股有限公司 蓝牙门禁控制***和方法
KR101995663B1 (ko) * 2018-01-31 2019-07-02 이대석 키리스 기반의 도어락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9448204A (zh) * 2018-12-27 2019-03-08 深圳市宇昊电子科技有限公司 无人值守洗浴桑拿水疗管理运营方法
KR20200081861A (ko) * 2018-12-28 2020-07-08 김도연 스마트 도어락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102208616B1 (ko) * 2019-11-21 2021-01-28 정해준 성별을 인식하는 공중화장실 도어락 시스템 및 성별 인식 방법
KR102303793B1 (ko) * 2021-02-04 2021-09-17 허정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342B1 (ko) * 2018-03-19 2019-09-0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디지털 도어락 관리서버 및 개폐제어 시스템, 이동단말기와 통신하는 디지털 도어락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082A1 (ko) * 2021-02-04 2022-08-11 허정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6554A (ja) 2024-02-14
WO2022169082A1 (ko) 2022-08-11
CN116806350A (zh)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6403B1 (ja) 入場管理システム
KR101296863B1 (ko)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RU2216114C2 (ru) Способ,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sim-карта и систем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аутентичности пользователя или группы пользователей
EP3811339A1 (en) Improved access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of controlling access of persons into restricted areas
WO2016025927A1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and location tracking system
US11651642B2 (en) Release monitoring through check-in and tethering system
CN104167041A (zh) 基于智能手机使用的门禁***及其控制方法
CN102084370A (zh) 用于缓解对设备的未授权使用的***
JP2011164675A (ja) 来訪者入退管理システム
CN102084372A (zh) 用于监视对设备的未授权使用的***
TWM483988U (zh) 整合藍芽及nfc具影像傳輸之門禁管理系統
KR102019097B1 (ko) 코드표시를 통한 차량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227611B1 (ko) 등록이 간편한 얼굴인식 시스템
KR102303793B1 (ko)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8128A (ko) 임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8117B1 (ko)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48133A (ko)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KR102358883B1 (ko)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6961B1 (ko)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1168A (ko) 하이브리드 보안환경 기반의 스마트 키를 이용한 출입관리방법 및 이를 위한 출입관리시스템
KR102268121B1 (ko)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20100092642A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20150114618A (ko) 이동통신망의 m2m기반에서 nfc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에 의한 현관카메라 및 도어락 제어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JP2005155236A (ja) 鍵開閉管理システム
KR101645125B1 (ko) 스마트폰의 근거리통신장치를 이용한 출입인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