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579B1 -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 Google Patents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579B1
KR102301579B1 KR1020200059810A KR20200059810A KR102301579B1 KR 102301579 B1 KR102301579 B1 KR 102301579B1 KR 1020200059810 A KR1020200059810 A KR 1020200059810A KR 20200059810 A KR20200059810 A KR 20200059810A KR 102301579 B1 KR102301579 B1 KR 102301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backrest
seat
slide func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성
Original Assignee
박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성 filed Critical 박희성
Priority to KR1020200059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2Chutes; Helter-skelters without rail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석부재와 등받이부재를 이용하여 의자 기능을 구현하고, 좌석부재에 적층된 연장부재를 펼친 상태에서 뒤집어 놓으면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는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부재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좌석부재와, 좌석부재의 전방 모서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좌석부재에 적층 가능한 연장부재와, 등받이부재보다 낮은 높이로 등받이부재와 좌석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결합하는 팔걸이부재를 포함하며, 등받이부재의 상단 모서리부와, 팔걸이부재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와, 연장부재의 자유단 모서리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SEAT WITH SLIDE FUNCTION}
본 발명은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석부재와 등받이부재를 이용하여 의자 기능을 구현하고, 좌석부재에 적층된 연장부재를 펼친 상태에서 뒤집어 놓으면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무실, 학교, 정부기관, 교회, 극장, 집 등 실내에서 업무나 수업, 예배, 공연, 공부 등 오래 동안 서 있는 것이 불편한 일상에서 편리함을 주는 물건으로서 사무나 공부에 능률을 올려주고, 의학적으로는 척추의 부담을 덜어주어 몸에 편안함을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누구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물건이다.
미끄럼틀은 놀이터나 어린이집, 소아과, 가정 등 다양한 장소에서 아기나 어린이들의 재미와 박진감과 스릴 등의 놀이를 위하여 사용하는 일반적인 놀이기구이다. 요즘은 일반 가정에서도 아기나 어린이를 위하여 미끄럼틀을 구매하여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미끄럼틀은 한번 설치하면 철거하기 전까지는 한 자리에 고정되어 상당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 공간 확보와 주거공간의 효율성을 위하여 철거를 고민하게 되는 상황이 일어난다.
이에, 선행문헌에서는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의자를 엎으면, 미끄럼틀 구조가 나온다는 것을 알게 되어 등받이와 미끄럼판을 접어서 의자로 사용하고, 등받이와 미끄럼판을 펼치면 미끄럼틀로 사용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7293호 (발명의 명칭 : 의자 겸용 미끄럼틀, 2013. 12. 10.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석부재와 등받이부재를 이용하여 의자 기능을 구현하고, 좌석부재에 적층된 연장부재를 펼친 상태에서 뒤집어 놓으면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는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부재;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좌석부재; 상기 좌석부재의 전방 모서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좌석부재에 적층 가능한 연장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재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등받이부재와 상기 좌석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결합하는 팔걸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단 모서리부와, 상기 팔걸이부재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와, 상기 연장부재의 자유단 모서리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팔걸이부재는, 상기 등받이부재와 상기 좌석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하되, 외측면으로부터 삼각형 형상으로 삼각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측 전방 수직 모서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삼각홈부에 끼움 결합 가능한 삼각형 형상의 지탱부재;를 포함하고,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상기 지탱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방으로 펼쳐지면, 상기 좌석부재의 전방으로 펼쳐진 상기 연장부재를 지탱한다.
여기서, 상기 삼각홈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측 전방 수직 모서리부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회동홈부;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측면에서 삼각형 형상을 나타내도록 상기 회동홈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지탱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탱부재는, 상기 회동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측 전방 수직 모서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라켓부; 및 상기 지탱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회동브라켓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삼각지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는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부재와 상기 좌석부재와 상기 연장부재를 지탱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좌석부재에 적층 결합되고, 상부면은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팔걸이부재의 전방 상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사각부재; 및 상기 좌석부재의 전방으로 펼쳐진 상기 연장부재에 적층 결합되고, 상부면은 상기 팔걸이부재의 전방 상단부로부터 상기 연장부재의 자유단 모서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삼각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에는, 사용자의 하반신 중 전체 또는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테이블홈;이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보강부재가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회동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는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상기 좌석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에 적층 가능한 미끄럼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모듈은, 상기 등받이부재와 상기 좌석부재가 연결되는 부분 또는 상기 등받이부재에 구비되되, 내부에 권취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로 노출된 면에 인출슬릿이 개구되는 카세트바디; 및 상기 권취축에 권취되는 미끄럼부재;를 포함하고,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상기 미끄럼부재는 상기 인출슬릿을 통해 인출되어 상기 좌석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에 적층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모듈은, 상기 등받이부재의 배면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등받이부재와 상기 좌석부재가 연결되는 부분 또는 상기 등받이부재에 구비되는 카세트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장착부에는, 상기 카세트바디가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는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바닥에 지지되는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단 모서리부와, 상기 팔걸이부재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와, 상기 연장부재의 자유단 모서리부를 감싸는 모서리보호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좌석부재와 상기 연장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머리지탱부;가 함몰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는 사용자에게 놀이를 제공하기 위한 결합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모듈은, 상기 팔걸이부재에 구비되는 놀이결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모듈은, 상기 등받이부재의 측면에 구비되고, 놀이를 위한 놀이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부재결합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결합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재의 측면에서 상기 결합블럭을 간헐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왕복지지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재의 측면에서 상기 결합블럭을 간헐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지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왕복지지부재는, 상기 등받이부재의 측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는 왕복가이드; 및 상기 등받이부재의 측면에서 상기 왕복가이드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왕복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에 따르면, 좌석부재와 등받이부재를 이용하여 의자 기능을 구현하고, 좌석부재에 적층된 연장부재를 펼친 상태에서 뒤집어 놓으면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자 기능을 구현할 때, 연장부재가 좌석부재의 전방으로 펼쳐짐에 따라 사용자의 착석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고, 연장부재가 좌석부재에 적층됨에 따라 사용자의 착석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걸이부재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좌석부재의 전방으로 펼쳐진 연장부재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고, 좌석부재와 연장부재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을 평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탱부재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지탱부재가 삼각홈부에 삽입되면, 지탱부재가 팔걸이부재의 측면부에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탱부재가 베이스부재의 전방으로 돌출되면, 좌석부재의 전방으로 펼쳐진 연장부재를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의 부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좌석부재와 연장부재의 지탱력을 향상시켜 좌석부재의 전방으로 펼쳐진 연장부재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고, 좌석부재와 연장부재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을 평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의 세부 구성 또는 부재회동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블럭 놀이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에게 유희를 제공하고, 등받이부재에서 보강부재의 결합을 명확하게 하며, 의자 기능을 구현할 때, 사용자의 착석 영역을 확보하는 한편, 보강부재를 통해 등받이부재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에서 테이블홈이 형성됨에 따라 보강부재를 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보강부재에 근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끄럼모듈의 부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좌석부재와 연장부재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의 미끄럼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끄럼모듈의 세부 구성으로 카세트바디에 미끄럼부재가 권취되는 구조를 통해 미끄럼부재를 모듈화하고, 미끄럼부재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미끄럼부재에 발생되는 스크래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끄럼모듈의 세부 구성으로 카세트바디의 탈부착 구조를 통해 미끄럼부재의 교체를 간편하게 하고, 미끄럼부재의 유지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끄럼모듈의 세부 구성으로 권취축의 회전 구조를 통해 미끄럼부재의 인출량 또는 권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권취축에 회전 탄성력이 적용 되면, 인출된 미끄럼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한편 인출된 미끄럼부재를 간편하게 권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끄럼모듈의 세부 구성으로 고정로드의 탈부착 구조를 통해 미끄럼부재가 좌석부재와 연장부재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에서 평평도를 유지시키고, 미끄럼부재의 유동을 최소화하며, 미끄럼틀 기능을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끄럼모듈의 세부 구성으로 마찰방지롤러의 결합 구조를 통해 미끄럼부재의 인출 또는 권취 과정에서 미끄럼부재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끄럼모듈의 세부 구성으로 가림판의 결합 구조를 통해 카세트장착부 또는 카세트바디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의자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미끄럼모듈이 외부에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서리보호부재의 부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등받이부재와 팔걸이부재와 연장부재를 보호하고, 외력에 의해 등받이부재와 팔걸이부재와 연장부재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바닥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머리지탱부가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좌석부재 또는 연장부재에서 누울 수 있고,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안정되게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좌석부재에 형성되는 머리지탱부는 사용자가 좌석부재에 착석하는 경우, 사용자의 등 부분이 등받이부재에 지지되도록 유도하고, 사용자의 착석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모듈의 부가 구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유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놀이결합부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컵 또는 놀이부재가 안착 지지되도록 하고, 놀이결합부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놀이부재의 위치 결정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놀이부재의 위치를 간편하게 변경시킬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가 의자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도시한 (a)정면도와 (b)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가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a)정면도와 (b)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에서 (a)의자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평면도와 (b)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를 미끄럼틀로 사용할 때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에서 미끄럼모듈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에서 미끄럼모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에서 미끄럼부재의 단부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에서 결합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에서 결합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에서 결합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에서 (a)보강부재의 결합 상태와 (b)보강부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에서 보강부재가 테이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배치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가 의자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가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가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를 미끄럼틀로 사용할 때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는 등받이부재(10)와,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와, 팔걸이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부재(10)는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등받이부재(10)는 쿠션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각 블럭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등받이부재(10)의 배면에는 사용자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계단부(미도시)가 구비되므로,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사용자는 간편하게 등받이부재(10)와 좌석부재(20)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오르내릴 수 있다.
좌석부재(20)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좌석부재(20)는 쿠션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각 블럭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좌석부재(20)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에는 연장부재(30)와의 결합을 위한 좌석축부(21)가 구비되어 연장부재(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좌석부재(20)에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1머리지탱부(2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머리지탱부(22)는 등받이부재(10)에 인접하여 유선형으로 함몰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머리 부분, 특히, 영유아의 머리 부분이 유동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 사용자가 등받이부재(10)에 자연스럽게 기댈 수 있도록 한다.
연장부재(30)는 좌석부재(20)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연장부재(30)는 좌석부재(20)에 적층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장부재(30)가 좌석부재(20)에 적층되는 경우, 연장부재(30)와 좌석부재(20)는 벨크로(미도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재(30)는 좌석부재(20)를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좌석부재(20)의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연장부재(30)는 쿠션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각 블럭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연장부재(30)가 좌석부재(20)의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연장부재(30)의 후방 상단 모서리부에는 좌석부재(20)와의 결합을 위한 연장축부(31)가 구비되어 좌석부재(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연장부재(30)에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2머리지탱부(3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머리지탱부(32)는 연장부재(30)의 자유단부에 인접하여 유선형으로 함몰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머리 부분, 특히, 영유아의 머리 부분이 유동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머리지탱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팔걸이부재(40)는 등받이부재(10)보다 낮은 높이로 등받이부재(10)와 좌석부재(20)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결합한다. 팔걸이부재(40)는 쿠션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각 블럭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팔걸이부재(40)는 베이스부재(41)와, 지탱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41)는 등받이부재(10)와 좌석부재(2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한다. 베이스부재(41)의 내측 전방 수직 모서리부에는 지탱부재(42)와의 결합을 위한 팔걸이축부가 구비된다. 베이스부재(41)에는 외측면으로부터 삼각형 형상으로 삼각홈부가 함몰 형성된다.
삼각홈부는 베이스부재(41)의 내측 전방 수직 모서리부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회동홈부(411)와, 베이스부재(41)의 측면에서 삼각형 형상을 나타내도록 회동홈부(411)로부터 베이스부재(41)의 후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지탱홈부(412)를 포함한다.
지탱부재(42)는 베이스부재(41)의 내측 전방 수직 모서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지탱부재(42)가 삼각홈부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지탱부재(42)의 내측 전방 수직 모서리부에는 베이스부재(41)와의 결합을 위한 회동축부가 구비된다. 지탱부재(42)는 삼각형 형상을 나타내어 삼각홈부에 끼움 결합 가능하다.
지탱부재(42)는 회동홈부(411)에 삽입되도록 베이스부재(41)의 내측 전방 수직 모서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라켓부(421)와, 지탱홈부(412)에 삽입되도록 회동브라켓부(421)에서 연장 형성되는 삼각지탱부(422)를 포함한다. 회동브라켓부(421)는 삼각지탱부(422)에서 돌출되는 형태를 나타내므로, 베이스부재(41)에서 지탱부재(42)가 펼쳐진 상태가 되면, 지탱부재(42)의 삼각지탱부(422)는 한 쌍의 베이스부재(41) 사이로 돌출되고, 삼각지탱부(422)가 좌석부재(20)의 전방으로 펼쳐진 연장부재(30)에 적층 지지되어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연장부재(30)를 안정되게 지탱할 수 있다.
그러면, 좌석부재(20)가 바닥에 지지되면, 의자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재(30)가 좌석부재(20)의 전방으로 펼쳐지면, 사용자의 착석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고, 연장부재(30)가 좌석부재(20)에 적층 결합되면, 사용자의 착석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연장부재(30)가 좌석부재(20)의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등받이부재(10)의 상단부와 연장부재(30)의 자유단부와 팔걸이부재(40)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가 바닥에 지지되면, 바닥을 기준으로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가 경사면을 형성하여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등받이부재(10)의 상단 모서리부와, 팔걸이부재(40)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와, 연장부재(30)의 자유단 모서리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하므로,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은 평평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지탱부재(42)는 베이스부재(41)의 전방으로 펼쳐지면, 지탱부재(42)의 좌석부재(20)의 전방으로 펼쳐진 연장부재(30)를 지탱하고, 지탱부재(42)의 경사부가 바닥에 지지되므로, 연장부재(30)가 바닥 쪽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을 평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는 미끄럼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미끄럼모듈(60)은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에 적층 지지되는 미끄럼부재(64)를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미끄럼부재(64)는 벨크로(미도시)를 통해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미끄럼모듈(60)은 등받이부재(10)와 좌석부재(20)가 연결되는 부분 또는 등받이부재(10)에 구비된다. 미끄럼모듈(60)은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에 적층 가능하다.
좀더 자세하게, 미끄럼모듈(60)은 카세트바디(63)와, 미끄럼부재(64)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바디(63)는 등받이부재(10)와 좌석부재(20)가 연결되는 부분 또는 등받이부재(10)에 구비된다. 카세트바디(63)는 미끄럼부재(64)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의 함체를 나타낸다.
카세트바디(63)에는 권취공간(631)이 형성된다. 권취공간(631)에는 미끄럼모듈(60)이 권취되는 권취축(63a)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세트바디(63)에서 외부로 노출된 면에는 인출슬릿(632)이 개구되어 미끄럼부재(64)를 인출하거나, 권취공간(631)에 미끄럼부재(64)를 삽입할 수 있다. 카세트바디(63)에는 후술하는 카세트장착부(61)와의 걸림 결합을 위해 카세트바디(63)의 외주면에는 걸림홈부(633)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카세트바디(63)에는 후술하는 카세트장착부(61)와 끼움 결합될 때, 장착탄성부(614)가 안착되는 탄성지지부(634)가 구비될 수 있다. 카세트바디(63)에는 후술하는 카세트장착부(61)와 끼움 결합될 때, 권취축(63a)을 외부와 연결하기 위해 카세트장착부(61)의 구동축(613)과 결합되는 축결합부(635)가 구비될 수 있다. 카세트바디(63)에서 축결합부(635)가 형성되는 면은 탄성지지부(634)가 형성된 면과 대향되는 면에 배치되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카세트바디(63)에는 미끄럼부재(64)가 권취축(63a)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권취축(63a)을 탄성 지지하는 회전탄성부(미도시)가 구비되므로, 외력으로 미끄럼부재(64)를 인출하면, 권취축(63a)에 탄성력이 작용하면서 미끄럼부재(64)가 인출되고, 외력이 해제되면, 권취축(63a)에 작용하는 탄성력으로 미끄럼부재(64)를 권취축(63a)에 권취할 수 있다.
미끄럼부재(64)는 권취축(63a)에 권취된다. 미끄럼부재(64)는 매끄럽고 플렉시블한 띠 형상을 나타내어 권취축(63a)에 권취되도록 한다. 그러면,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미끄럼부재(64)는 인출슬릿(632)을 통해 인출되어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에 적층 지지된다.
여기서, 미끄럼부재(64)의 재질과 두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되어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의 미끄럼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미끄럼모듈(60)은 카세트장착부(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장착부(61)는 등받이부재(10)의 배면으로 개구되도록 등받이부재(10)와 좌석부재(20)가 연결되는 부분 또는 등받이부재(10)에 구비된다. 카세트장착부(61)는 등받이부재(10)의 배면으로 개구된 중공의 함체로 나타낼 수 있다.
카세트장착부(61)에는 카세트바디(63)가 삽입되는 장착공간(611)이 형성된다. 적어도 장착공간(611)의 입구에는 카세트바디(63)의 걸림홈부(633)와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부(6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카세트장착부(61)에서 장착공간(611)에는 카세트바디(63)의 축결합부(635)와 결합되는 구동축(61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카세트장착부(61)에서 장착공간(611)에는 구동축(613)이 형성된 면과 마주보는 면에 장착탄성부(614)가 형성될 수 있다. 카세트장착부(61)의 장착공간(611)에 카세트바디(63)가 끼움 결합되면, 장착탄성부(614)는 카세트바디(63)를 탄성 가압하므로, 축결합부(635)와 구동축(613)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미끄럼모듈(60)은 구동레버(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레버(62)는 팔걸이부재(4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팔걸이부재(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레버(62)가 팔걸이부재(40)에 결합되면, 구동레버(62)는 카세트장착부(61)의 구동축(613)과 연결되므로, 구동레버(62)를 회전시키면, 구동축(613)을 회전시키고, 권취축(63a)이 회전됨에 따라 카세트바디(63)에서 미끄럼부재(64)를 인출하거나 권취축(63a)에 미끄럼부재(64)를 권취할 수 있다.
미끄럼모듈(60)은 고정로드(65)를 더 포함하고, 로드고정부(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로드(65)는 인출슬릿(632)에서 돌출된 미끄럼부재(64)의 자유단부에 형성된다. 미끄럼부재(64)가 권취축(63a)에 권취될 때, 고정로드(65)는 인출슬릿(632)에서 카세트바디(63)에 지지되면, 미끄럼부재(64)가 권취공간(631)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로드고정부(67)는 연장부재(30)에 함몰 형성된다. 카세트바디(63)로부터 미끄럼부재(64)가 인출되어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에 적층될 때, 로드고정부(67)는 고정로드(65)가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연장부재(30)가 좌석부재(20)에 적층될 때, 로드고정부(67)는 좌석부재(2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미끄럼모듈(60)은 마찰방지롤러(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방지롤러(66)는 카세트바디(63)의 인출슬릿(632)에 대응하여 권취공간(6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마찰방지롤러(66)는 미끄럼부재(64)를 지지하므로, 미끄럼부재(64)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끄럼모듈(60)은 가림판(6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림판(68)은 미끄럼모듈(60)에서 등받이부재(10)의 배면으로 노출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 가림판(68)은 등받이부재(10)의 배면에서 연장되어 미끄럼모듈(60)에서 등받이부재(10)의 배면으로 노출된 부분을 덮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는 모서리보호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서리보호부재(미도시)는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바닥에 지지되는 등받이부재(10)의 상단 모서리부와, 팔걸이부재(40)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와 연장부재(30)의 자유단 모서리부를 감싼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는 결합모듈(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모듈(70)은 사용자에게 놀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예로, 결합모듈(70)은 등받이부재(1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결합블럭(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블럭(72)에는 놀이부재(70a)의 결합로드가 끼움 결합되는 부재결합홈부(721)가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놀이부재(70a)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자유롭게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놀이부재(70a)는 탄성을 가지므로, 원래 상태로의 복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놀이부재(70a)는 모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놀이부재(70a)는 사용자의 두뇌 개발을 위한 기구, 사용자의 행동 발달을 위한 기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블럭(72)은 등받이부재(10)의 측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거나, 회전 가능하다. 이에 따라, 결합모듈(70)은 왕복지지부재와 회전지지부재(7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왕복지지부재는 등받이부재(10)의 측면에서 결합블럭(72)을 간헐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왕복지지부재는 왕복가이드(71)와, 왕복슬라이더(73)를 포함할 수 있다. 왕복가이드(71)는 등받이부재(10)의 측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된다. 왕복가이드(71)는 결합블럭(72)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왕복슬라이더(73)에는 결합블럭(72)이 결합된다. 왕복슬라이더(73)는 등받이부재(10)의 측면에서 왕복가이드(71)에 간헐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지지부재(74)는 등받이부재(10)의 측면에서 결합블럭(72)을 간헐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회전지지부재(74)는 왕복슬라이더(73)를 기준으로 결합블럭(71)이 간헐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왕복슬라이더(73)와 결합블럭(72)을 연결시킨다.
다른 예로, 결합모듈(70)은 팔걸이부재(40)에 구비되는 놀이결합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놀이결합부(80)는 팔걸이부재(40)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어 컵홀더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놀이결합부(40)는 링 형상으로 팔걸이부재(40)의 상면 또는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컵홀더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놀이결합부(80)에는 놀이부재(70a)의 결합로드가 끼움 결합되는 경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놀이부재(70a)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는 등받이부재(10)와,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와, 팔걸이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는 보강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50)는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 등받이부재(10)와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를 지탱한다.
보강부재(50)는 경사사각부재(51)와, 삼각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사각부재(51)는 좌석부재(20)에 적층 결합된다. 경사사각부재(51)의 상부면은 등받이부재(10)의 상단부로부터 팔걸이부재(40)의 전방 상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보강부재(50)에서 경사사각부재(51)는 쿠션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다리꼴 블럭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경사사각부재(51)에는 등받이부재(10)에 지지되는 등지지면(511)과, 등지지면(511)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고 좌석부재(20)에 지지되는 좌석지지면(512)과, 좌석지지면(512)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고 등받이부재(1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방노출면(513)과, 전방노출면(513)의 단부로부터 등지지면(511)의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지지면(514)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경사지지면(514)은 등받이부재(10)의 상단 모서리부와 팔걸이부재(40)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경사사각부재(51)가 좌석부재(20)에 적층 결합되는 경우, 경사사각부재(51)와 등받이부재(10)의 결합, 경사사각부재(51)와 좌석부재(20)의 결합, 경사사각부재(51)와 팔걸이부재(40)의 결합, 경사사각부재(51)와 연장부재(30)의 결합은 벨크로(미도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삼각부재(52)는 좌석부재(20)의 전방으로 펼쳐진 연장부재에 적층 결합된다. 삼각부재(52)의 상부면은 팔걸이부재(40)의 전방 상단부로부터 연장부재(30)의 자유단 모서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보강부재(50)에서 삼각부재(52)는 쿠션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삼각 블럭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삼각부재(52)에는 좌석부재(20)의 전방으로 펼쳐진 연장부재(30)에 지지되는 연장지지면(521)과, 연장지지면(521)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고 경사사각부재(51)의 전방노출면(513)에 지지되는 노출지지면(522)과, 노출지지면(522)의 단부로부터 연장지지면(521)의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지지면(523)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경사지지면(523)은 팔걸이부재(40)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와 좌석부재(20)의 전방으로 펼쳐진 연장부재(30)의 자유단 모서리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게 된다. 제2경사지지면(523)의 경사각은 제1경사지지면(514)의 경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삼각부재(52)가 좌석부재(20)의 전방으로 펼쳐진 연장부재(30)에 적층 결합되는 경우, 삼각부재(52)와 연장부재(30)의 결합, 삼각부재(52)와 경사사각부재(51)의 결합은 벨크로(미도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사각부재(51)의 전방노출면(513)과 삼각부재(52)의 노출지지면(522)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형성되도록 하고, 제1경사지지면(514)과 제2경사지지면(523)이 상호 마주보도록 하면, 경사사각부재(51)에 삼각부재(52)가 적층되고, 경사사각부재(51)에 삼각부재(52)가 적층 결합된 보강부재(50)는 직사각 블럭 또는 정사각 블럭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삼각부재(52)는 경사사각부재(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경사사각부재(51)에서 전방노출면(513)과 제1경사지지면(514)이 만나는 모서리부에는 삼각부재(52)와의 결합을 위한 제1연결축부가 구비되고, 삼각부재(52)에서 노출지지면(522)과 제2경사지지면(523)이 만나는 모서리부에는 경사사각부재(51)와의 결합을 위한 제2연결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축부와 제2연결축부가 결합되면, 경사사각부재(51)를 기준으로 삼각부재(5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경사사각부재(51)에 삼각부재(52)가 회전 적층되면, 제1경사지지면(514)에 제2경사지지면(523)이 적층됨에 따라 보강부재(50)는 직사각 블럭 또는 정사각 블럭 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1경사지지면(514)과 제2경사지지면(523)은 벨크로(미도시)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보강부재(50)는 테이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보강부재(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부재(2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보강부재(50)의 경사사각부재(51)에는 사용자의 하반신 중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되도록 테이블홈(51a)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보강부재(50)는 등받이부재(10)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등받이부재(10)의 상단부에는 보강부재(50)가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회동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50)의 경사사각부재(51)에서 등지지면(511)과 제1경사지지면(514)이 만나는 모서리부에는 부재회동부(1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축부가 구비된다.
부재회동부(11)는 수평슬라이딩부(111)와, 수직슬라이딩부(112)와, 제1축부(113)와, 제2축부(114)와, 제3축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슬라이딩부(111)는 등받이부재(10)의 상면에 구비된다. 수평슬라이딩부(111)는 결합축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수직슬라이딩부(112)는 수평슬라이딩부(111)에서 연장되어 등받이부재(10)의 배면에 구비된다. 수직슬라이딩부(112)는 결합축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제1축부(113)는 수평슬라이딩부(111)에 구비되고, 좌석부재(20)에 적층 결합된 보강부재(5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한다.
제2축부(114)는 수평슬라이딩부(111)와 수직슬라이딩부(112)가 만나는 절곡부에 구비되고, 수평슬라이딩부(111)를 따라 이동된 보강부재(5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한다.
제3축부(115)는 수직슬라이딩부(112)에 구비되고, 등받이부재(10)의 배면에서 보강부재(50)가 정위치될 때, 결합축부가 지지된다.
그러면, 보강부재(50)가 좌석부재(20)에 적층 결합되었다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부(113)에서 결합축부를 중심으로 보강부재를 회전시킨 다음, 수평슬라이딩부(111)를 따라 보강부재(5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제2축부(114)에서 결합축부를 중심으로 보강부재(50)를 회전시킨 다음, 수직슬라이딩부(112)를 따라 보강부재(5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결합축부가 제3축부(115)에 지지됨에 따라 보강부재(50)에서 경사사각부재(51)의 전방노출면(513)과 삼각부재(52)의 노출지지면(522)은 바닥에 지지되고, 보강부재(50)에서 삼각부재(52)의 연장지지면(521)은 등받이부재(10)의 배면에 지지된다.
상술한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에 따르면, 좌석부재(20)와 등받이부재(10)를 이용하여 의자 기능을 구현하고, 좌석부재(20)에 적층된 연장부재(30)를 펼친 상태에서 뒤집어 놓으면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의자 기능을 구현할 때, 연장부재(30)가 좌석부재(20)의 전방으로 펼쳐짐에 따라 사용자의 착석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고, 연장부재(30)가 좌석부재(20)에 적층됨에 따라 사용자의 착석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팔걸이부재(40)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좌석부재(20)의 전방으로 펼쳐진 연장부재(3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고,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을 평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지탱부재(42)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지탱부재(42)가 삼각홈부에 삽입되면, 지탱부재(42)가 팔걸이부재(40)의 측면부에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탱부재(42)가 베이스부재(41)의 전방으로 돌출되면, 좌석부재(20)의 전방으로 펼쳐진 연장부재(30)를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50)의 부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의 지탱력을 향상시켜 좌석부재(20)의 전방으로 펼쳐진 연장부재(3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고,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을 평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50)의 세부 구성 또는 부재회동부(11)의 부가 구성을 통해 블럭 놀이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에게 유희를 제공하고, 등받이부재(10)에서 보강부재(50)의 결합을 명확하게 하며, 의자 기능을 구현할 때, 사용자의 착석 영역을 확보하는 한편, 보강부재(50)를 통해 등받이부재(10)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50)에서 테이블홈(51a)이 형성됨에 따라 보강부재(50)를 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보강부재(50)에 근접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모듈(60)의 부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의 미끄럼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미끄럼모듈(60)의 세부 구성으로 카세트바디(63)에 미끄럼부재(64)가 권취되는 구조를 통해 미끄럼부재(64)를 모듈화하고, 미끄럼부재(64)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미끄럼부재(64)에 발생되는 스크래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미끄럼모듈(60)의 세부 구성으로 카세트바디(63)의 탈부착 구조를 통해 미끄럼부재(64)의 교체를 간편하게 하고, 미끄럼부재(64)의 유지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모듈(60)의 세부 구성으로 권취축(63a)의 회전 구조를 통해 미끄럼부재(64)의 인출량 또는 권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권취축(63a)에 회전 탄성력이 적용 되면, 인출된 미끄럼부재(64)의 장력을 조절하는 한편 인출된 미끄럼부재(64)를 간편하게 권취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모듈(60)의 세부 구성으로 고정로드(65)의 탈부착 구조를 통해 미끄럼부재(64)가 좌석부재(20)와 연장부재(30)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에서 평평도를 유지시키고, 미끄럼부재(64)의 유동을 최소화하며, 미끄럼틀 기능을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모듈(60)의 세부 구성으로 마찰방지롤러(66)의 결합 구조를 통해 미끄럼부재(64)의 인출 또는 권취 과정에서 미끄럼부재(64)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모듈(60)의 세부 구성으로 가림판(68)의 결합 구조를 통해 카세트장착부(61) 또는 카세트바디(6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의자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미끄럼모듈(60)이 외부에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서리보호부재(미도시)의 부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등받이부재(10)와 팔걸이부재(40)와 연장부재(30)를 보호하고, 외력에 의해 등받이부재(10)와 팔걸이부재(40)와 연장부재(30)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바닥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머리지탱부(22, 32)가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좌석부재(20) 또는 연장부재(30)에서 누울 수 있고,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안정되게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좌석부재(20)에 형성되는 제1머리지탱부(22)는 사용자가 좌석부재(20)에 착석하는 경우, 사용자의 등 부분이 등받이부재(10)에 지지되도록 유도하고, 사용자의 착석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모듈(7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유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놀이결합부(80)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컵 또는 놀이부재(70a)가 안착 지지되도록 하고, 놀이결합부(80)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모듈(7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놀이부재(70a)의 위치 결정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놀이부재(70a)의 위치를 간편하게 변경시킬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등받이부재 11: 부재회동부 111: 수평슬라이딩부
112: 수직슬라이딩부 113: 제1축부 114: 제2축부
115: 제3축부 20: 좌석부재 21: 좌석축부
22: 제1머리지탱부 30: 연장부재 31: 연장축부
32: 제2머리지탱부 40: 팔걸이부재 41: 베이스부재
411: 회동홈부 412: 지탱홈부 42: 지탱부재
421: 회동브라켓부 422: 삼각지탱부 50: 보강부재
51: 경사사각부재 51a: 테이블홈 511: 등지지면
512: 좌석지지면 513: 전방노출면 514: 제1경사지지면
52: 삼각부재 521: 연장지지면 522: 노출지지면
523: 제2경사지지면 60: 미끄럼모듈 61: 카세트장착부
611: 장착공간 612: 걸림돌부 613: 구동축
614: 장착탄성부 62: 구동레버 63: 카세트바디
63a: 권취축 631: 권취공간 632: 인출슬릿
633: 걸림홈부 634: 탄성지지부 635: 축결합부
64: 미끄럼부재 65: 고정로드 66: 마찰방지롤러
67: 로드고정부 68: 가림판 70: 결합모듈
70a: 놀이부재 71: 왕복가이드 72: 결합블럭
721: 부재결합부 73: 왕복슬라이더 74: 회전지지부재
80: 놀이결합부

Claims (15)

  1.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부재;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좌석부재;
    상기 좌석부재의 전방 모서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좌석부재에 적층 가능한 연장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재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등받이부재와 상기 좌석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게 결합하는 팔걸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단 모서리부와, 상기 팔걸이부재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와, 상기 연장부재의 자유단 모서리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재는,
    상기 등받이부재와 상기 좌석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하되, 외측면으로부터 삼각형 형상으로 삼각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측 전방 수직 모서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삼각홈부에 끼움 결합 가능한 삼각형 형상의 지탱부재;를 포함하고,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상기 지탱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방으로 펼쳐지면, 상기 좌석부재의 전방으로 펼쳐진 상기 연장부재를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홈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측 전방 수직 모서리부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회동홈부;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측면에서 삼각형 형상을 나타내도록 상기 회동홈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재의 후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지탱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탱부재는,
    상기 회동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측 전방 수직 모서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브라켓부; 및
    상기 지탱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회동브라켓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삼각지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부재와 상기 좌석부재와 상기 연장부재를 지탱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좌석부재에 적층 결합되고, 상부면은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팔걸이부재의 전방 상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사각부재; 및
    상기 좌석부재의 전방으로 펼쳐진 상기 연장부재에 적층 결합되고, 상부면은 상기 팔걸이부재의 전방 상단부로부터 상기 연장부재의 자유단 모서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삼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에는,
    사용자의 하반신 중 전체 또는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테이블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보강부재가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회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상기 좌석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에 적층 가능한 미끄럼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모듈은,
    상기 등받이부재와 상기 좌석부재가 연결되는 부분 또는 상기 등받이부재에 구비되되, 내부에 권취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로 노출된 면에 인출슬릿이 개구되는 카세트바디; 및
    상기 권취축에 권취되는 미끄럼부재;를 포함하고,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상기 미끄럼부재는 상기 인출슬릿을 통해 인출되어 상기 좌석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에 적층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모듈은,
    상기 등받이부재의 배면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등받이부재와 상기 좌석부재가 연결되는 부분 또는 상기 등받이부재에 구비되는 카세트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장착부에는,
    상기 카세트바디가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럼틀 기능을 구현할 때, 바닥에 지지되는 상기 등받이부재의 상단 모서리부와, 상기 팔걸이부재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와, 상기 연장부재의 자유단 모서리부를 감싸는 모서리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재와 상기 연장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머리지탱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놀이를 제공하기 위한 결합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모듈은,
    상기 팔걸이부재에 구비되는 놀이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모듈은,
    상기 등받이부재의 측면에 구비되고, 놀이를 위한 놀이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부재결합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결합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재의 측면에서 상기 결합블럭을 간헐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왕복지지부재; 및
    상기 등받이부재의 측면에서 상기 결합블럭을 간헐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지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KR1020200059810A 2020-05-19 2020-05-19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KR102301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810A KR102301579B1 (ko) 2020-05-19 2020-05-19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810A KR102301579B1 (ko) 2020-05-19 2020-05-19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579B1 true KR102301579B1 (ko) 2021-09-10

Family

ID=7777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810A KR102301579B1 (ko) 2020-05-19 2020-05-19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5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0274B1 (en) 2022-06-16 2023-08-22 Delta Enterprise Corp. Chair and attachable ottomon that converts to a slid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3045A (en) * 1977-06-10 1979-11-06 Osborn L Earl Combination sofa and bed
KR20120113871A (ko) * 2011-04-06 2012-10-16 서정수 접힘 부가 구성된 유아용 구르기 매트
KR101337293B1 (ko) 2012-06-29 2013-12-10 서준 의자 겸용 미끄럼틀
KR101503516B1 (ko) * 2014-02-22 2015-03-20 서준 의자 겸용 미끄럼틀
KR20170056210A (ko) * 2015-11-13 2017-05-23 박미정 식탁 의자 겸용 미끄럼틀
KR20180040346A (ko) * 2016-10-12 2018-04-20 (주)디자인스킨 다목적 놀이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3045A (en) * 1977-06-10 1979-11-06 Osborn L Earl Combination sofa and bed
KR20120113871A (ko) * 2011-04-06 2012-10-16 서정수 접힘 부가 구성된 유아용 구르기 매트
KR101337293B1 (ko) 2012-06-29 2013-12-10 서준 의자 겸용 미끄럼틀
KR101503516B1 (ko) * 2014-02-22 2015-03-20 서준 의자 겸용 미끄럼틀
KR20170056210A (ko) * 2015-11-13 2017-05-23 박미정 식탁 의자 겸용 미끄럼틀
KR20180040346A (ko) * 2016-10-12 2018-04-20 (주)디자인스킨 다목적 놀이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0274B1 (en) 2022-06-16 2023-08-22 Delta Enterprise Corp. Chair and attachable ottomon that converts to a slide
CN117243476A (zh) * 2022-06-16 2023-12-19 德尔塔企业公司 座椅和转换成滑梯的可附接搁脚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5033B2 (en) Multi-functional table
CA2353111A1 (en) Vehicular child safety seat
KR102301579B1 (ko) 미끄럼틀 기능을 갖는 의자
US7322642B2 (en) Furniture system
US20110155022A1 (en) Individual working or service table providing comfort to a user sitting on a sofa or an armchair or the like or even sitting on the floor
US20220125207A1 (en) Retrofitting apparatus for a chair that extends around sides of an upper body portion of a user seated in the chair
JP2006174931A (ja) マルチチェア
KR20240046813A (ko) 침대 기능을 구비한 트레일러
US5335971A (en) Foldable chair
US20050067865A1 (en) Chair combined with audiovisual devices
US20030038523A1 (en) Multipurpose furniture and cover
JP6013890B2 (ja) 回動収納式テーブル
KR20220008566A (ko) 침대 어셈블리
JP5953088B2 (ja) 折畳み式テーブルを備えた家具
KR101293305B1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JP2009131357A (ja) 椅子
KR20070029226A (ko) 개량형 수강 의자
KR102298021B1 (ko) 회전식 선반이 구비된 영화관용 소파
JP2020195546A (ja) ソファ
US11490735B2 (en) Leg supporter structure for chair seat plate
KR200492947Y1 (ko) 학습 집중력 향상장치
KR200355172Y1 (ko) 좌식 겸용 의자
JP3236670U (ja) ヘッドレスト付きソファ
JP6593906B1 (ja) 椅子
AU2009101315A4 (en) An article of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