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428B1 -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 Google Patents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428B1
KR102301428B1 KR1020200120788A KR20200120788A KR102301428B1 KR 102301428 B1 KR102301428 B1 KR 102301428B1 KR 1020200120788 A KR1020200120788 A KR 1020200120788A KR 20200120788 A KR20200120788 A KR 20200120788A KR 102301428 B1 KR102301428 B1 KR 102301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ching region
radiator
matching
bent portion
dipol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7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식
황재연
김수현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갤트로닉스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갤트로닉스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갤트로닉스 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20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4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PCT/KR2021/012460 priority patent/WO2022060045A1/en
Publication of KR102301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4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01Q9/285Planar d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50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More specifically, it uses a radiating body of a characteristic shape of one dipole antenna to use multiple frequencies,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an antenna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escription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본 발명은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편한 형태의 금속판 또는 동판으로 이루어진 다이폴 안테나의 여러 부분을 굽힘으로써 입체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며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여 구부림을 통해 입체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여 안테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form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by bending various parts of a dipole antenna made of a flat metal plate or copper plate, and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through bend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formed and the volume of the antenna can be reduced.

일반적으로 다이폴 안테나는 무선통신의 기본이 되는 안테나로 더블릿 안테나라고도 불리며 특정 영역대의 전자기파를 송신 혹은 수신하기 위한 변화장치이다.In general, a dipole antenna is an antenna that is the basis of wireless communication, also called a doublet antenna, and is a changing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electromagnetic waves in a specific area.

안테나는 라디오 주파수대의 전기 신호를 전자기파로 바꾸어 발신하거나 그 반대로 전자기파를 전기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하며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 방송과 전파를 이용한 무전기, 무선LAN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장치 그리고 레이다와 우주 탐사용 전파망원경 등 다양한 방면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주로 지상 혹은 공중의 대기중이나 우주 공간에서 작동하며 물속이나 땅속에서는 작동에 제한이 있다.Antenna converts electrical signals of radio frequency bands into electromagnetic waves and transmits them, or vice versa, and converts electromagnetic waves into electrical signals. It is widely used in the field. It mainly operates in the air or outer space on the ground or in the air, and there is a limit to its operation in water or in the ground.

최근 무선 전자 기기, 차량용 통신 기기 또는 스마트 폰 등이 소형화와 함께 널리 보급되면서 안테나 역시 소형화가 요구되었으며 이와 함께 요구하는 기술력의 수준은 높아졌고 스마트폰의 형태도 다양해짐에 따라 안테나의 형태도 변화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Recently, as wireless electronic devices, 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s, or smart phones are widely distributed along with miniaturization, miniaturization of antennas has been required. There was a required problem.

다른 문제점은 무선 전자 기기, 차량용 통신 기기 또는 스마트 폰 등의 한정된 공간에서 안테나의 역할을 다하면서 최소한의 체적을 가지도록해야 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Another problem is that it is difficult to have a minimum volume while serving as an antenna in a limited space such as a wireless electronic device, a communication device for a vehicle, or a smart phone.

또 다른 문제점은 다양한 주파수대역을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여러 안테나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비용이 추가되거나 부품 추가에 따른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nother problem is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st is added or quality is deteriorated due to the addition of parts by manufacturing using multiple antennas in order to use various frequency bands.

이에 따라,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countermeasures to minimize the size while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611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82611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특징적인 형태의 방사체로 광대역을 커버하여 체적이 줄어든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enna having a reduced volume by covering a wide band with a radiator having a characteristic shape.

또한, 여러 대역의 주파수를 커버할 수 있는 다이폴 안테나를 제공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 품질저하를 방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pole antenna capable of covering frequencies of several bands to reduce cost and prevent quality degradati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제1 정합영역; 상기 제1 정합영역과 일측이 연결되며 내부에 이격공간이 형성된 제2 정합영역; 및 상기 제2 정합영역 양측으로 형성되는 방사체;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 first matching region in which at least one hole is formed; a second matching area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matching area and having a space therein; and radiator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matching region. may include.

상기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는 상기 제1 정합영역, 제2 정합영역 및 방사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구부러져 3차원의 입체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The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may have a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shape by bend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matching area, the second matching area, and the radiator.

상기 제1 정합영역은 상기 제1 정합영역 및 제2 정합영역 사이에 굽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굽힘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matching region may include a first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dable between the first matching region and the second matching region.

상기 제1 굽힘부의 굽힘 각도는 120° 이하인 것일 수 있다A bending angle of the first bent part may be 120° or less.

상기 제2 정합영역의 타측에는 굽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굽힘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atching region may include a second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dable.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2 굽힘부 양측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제2 정합영역과 맞닿으며 하단은 상기 방사체와 맞닿는 제1 홈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The antenna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ent portion, and may include a first groove portion having an upper e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matching region and a lower end in contact with the radiator.

상기 방사체는 제2 정합영역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 굽힘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radiator may include a third bent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matching reg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방사체는 상기 이격공간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우측 방사체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형성되는 제2 홈부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The radiator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space, respectively, and may form a second groove formed from a lower end of the right radiator.

상기 방사체는 상기 이격공간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우측 방사체의 우측 끝단으로부터 형성되며,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제3 홈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The radiator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paration space, respectively, from the right end of the right radiator, and may include a third groove having a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이격공간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holes may be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separation space.

상기 안테나는 안테나를 기기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The antenna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xing groove for fixing the antenna to the devic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는 광대역의 주파수를 커버함으로써 복수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mall slim wide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 wideband frequency, thereby reducing costs by not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또한, 안테나에 형성되는 방사체의 특정 부분을 굽힘으로써 3차원으로 형성하여 제품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면서 체적을 줄여 제품 소형화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bending a specific part of the radiator formed in the antenna, it is formed in three dimensions,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size of the product and reducing the volume, thereby making it suitable for product miniaturization.

또한, 적재되는 제품의 다양한 형태에 맞추어 최적화된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ntenna optimized for various types of loaded produ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실시예 1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실시예 2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실시예 3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실시예 4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실시예 5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실시예 6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실시예 7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Embodiment 1 of a small slim wide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mall slim wide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small slim wide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small slim wide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small slim wide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Embodiment 6 of a small slim wide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Embodiment 7 of a small slim wide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able connected to a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entir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ny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직 및 수평은 지면을 기준으로 직각인 상태를 수직이라고 하며 지면을 기준으로 평행한 상태가 수평인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s called vertical, and a state parallel to the ground is horizontal.

본원의 일 측면은,One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2)이 형성된 제1 정합영역(10); 상기 제1 정합영역(10)과 일측이 연결되며 내부에 이격공간(21)이 형성된 제2 정합영역(20); 및 상기 제2 정합영역(20) 양측으로 형성되는 방사체(30);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 first matching region 10 in which at least one hole 12 is formed; a second matching area 2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matching area 10 and having a separation space 21 therein; and radiators 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may include.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정합영역(10), 제2 정합영역(20) 및 방사체(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구부러져 입체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 and the radiator 30 may be bent to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이하,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실시예 1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실시예 2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실시예 3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실시예 4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실시예 5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실시예 6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실시예 7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mall slim wide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At this time,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Embodiment 1 of a small slim wide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Embodiment 2 of a small slim wide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Embodiment 3 of a small slim wide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diagram showing Embodiment 4 of a small slim wide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Embodiment 5 of a small slim wide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iagram showing Embodiment 6 of a small slim wide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Embodiment 7 of a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able connected to a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examples.

우선,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다이폴 안테나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금속판, 동판 또는 합성수지필름에 패턴이 형성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안테나는 전기적 성질을 이용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전도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홀(12)을 구비한 제1 정합영역(10)은 4000MHz ~ 60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커버하는 부분이다. Firs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ipole antenna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a copper plate,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in which a pattern is formed on a synthetic resin film, etc.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which the antenna is electrically It is because of the use of properties, and due to these properties, it may be desirable to form a conductor.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having one or more holes 12 is a portion covering a frequency of 4000 MHz to 6000 MHz.

또한, 제2 정합영역(20)은 1500MHz ~ 40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커버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정합영역(10)에 연장되는 부분으로 내부에 이격공간(21)이 형성된 것일 수 있는데, 여기서 이격공간(21)은 제2 정합영역(20) 전체를 관통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그 길이 방향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합영역(20)은 상기 제1 정합영역(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이격공간(21)은 제1 정합영역(1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정합영역(20)의 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분리되지 않으며 일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may be a part covering a frequency of 1500 MHz to 4000 MHz, and as a part extending to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a space 21 may be formed therein, where The separation space 21 may have a shape penetrating the entire second matching region 20 , and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 and the separation space 21 is a second matching region 20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 ), so it is not separated and can maintain an integral shape.

또한, 상기 방사체(30)는 제2 정합영역(20)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는데, 제2 정합영역(20)의 측면 일부에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수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측면 일부의 길이는 제2 정합영역(20) 전체 길이의 절반정도가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radiator 3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 and may be provided in a shape extending to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and have a length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length of a part of the side surface is preferably about half of the total length of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정합영역(10)은 상기 제1 정합영역(10) 및 제2 정합영역(20) 사이에 굽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굽힘부(11)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굽힘부(11)는 제1 정합영역(10)에서 제2 정합영역(20)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정합영역(20)의 사용 주파수 대역이 다르기 때문에, 구부러짐에 영향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굽힘부(11)는 제1 및 제2 정합영역(20)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는 제1 굽힘부(11) 외의 제1 및 제2 정합영역(20)의 일부분이 접힘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11 formed to be bendable between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and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it could be The first bent portion 11 may be formed in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to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 and the frequency bands used in the first and second matching regions 20 are Since they are different, they can be used without affecting bending. The first bent portion 11 may be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first and second matching regions 20 , and this is because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atching regions 20 other than the first bent portion 11 is folded. This is to prevent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this.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굽힘부(11)의 굽힘 각도는 120° 이하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30° 내지 120°인 것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굽힘 각도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나, 상기 각도 범위로 형성되는 경우 전자파의 유동이 가장 쉽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bending angle of the first bent portion 11 may be 120° or less, preferably 30° to 120°, and most preferably about 90°. . The bending angle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but when it is formed in the angle range, the flow of electromagnetic waves may be most easily formed.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정합영역(20)의 타측에는 굽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굽힘부(2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정합영역(10)과 맞닿는 제2 정합영역(20)의 일측과 반대측에 형성되는 타측은 상기 이격공간(21)이 형성됨으로 인해 두 갈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 끝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 상기 제1 굽힘부(11)와 동일하게 얇게 형성되는 제2 굽힘부(22)에 의해서 상기 제2 정합영역(20)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쉽게 구부러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굽힘부(22)의 위치는 상기 방사체(30)의 수직한 길이의 절반 정도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may include a second bent portion 22 formed to be bendable. The other sid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o one side of the second matching area 20 in contact with the first matching area 10 may be formed in two branches due to the formation of the separation space 21,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by a certain distance It may be easily bent without affecting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by the second bent portion 22 formed as thinly as the first bent portion 11 at the locati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bent portion 22 is preferably about half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radiator 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alt with in detail i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2 굽힘부(22) 양측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제2 정합영역(20)과 맞닿으며 하단은 상기 방사체(30)와 맞닿는 제1 홈부(40)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홈부(40)는 빈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정합영역(20) 좌우측 끝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홈부(40)가 형성된 제2 정합영역(20)은 사각형에서 일부가 제거된"ㄱ"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ntenna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ent portion 22, the upper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groov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radiator 30 ( 40) may be provided. The first groove portion 40 is formed as an empty space, and may be form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respectively, and may be formed on one side.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in which the first groove portion 40 is formed may have a “L” shape with a portion removed from a squa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izes.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30)는 제2 정합영역(20)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 굽힘부(31)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3 굽힘부(31)는 상기 방사체(3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3 굽힘부(31)는 상기 방사체(30)의 양끝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하게 되는데, 전파 송수신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가 바람직하며 그 이격 길이는 상기 제1 정합영역(10)의 세로길이 정도가 적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체(30)의 세로 길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세로길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사체(30)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radiator 30 may include a third bent portion 31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hird bent portion 31 may b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adiator 30 , or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The third bent portion 31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ends of the radiator 30 , preferably to a degree not to interfere with radio wa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e separation length is the length of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 Any length may be appropriate.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radiator 30 or may be formed in the entire vertical length.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radiator 30, i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30)는 상기 이격공간(21)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우측 방사체(30)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형성되는 제2 홈부(32)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홈부(32)는 상기 방사체(30)가 내부측으로 움푹 패여진 형태일 수 있으며 그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radiator 30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space 21, respectively,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32 formed from the lower end of the right radiator 30 is formed. may be forming. The second groove portion 32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radiator 30 is recessed inward, and the shape thereof is not limited.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30)는 상기 이격공간(21)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우측 방사체(30)의 우측 끝단으로부터 형성되며, 수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제3 홈부(33)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 홈부(33)는 상기 제2 홈부(32)와 마찬가지로 상기 방사체(30)의 우측 끝단이 움푹 패여진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제품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사체(30)의 끝단이 상기 제3 홈부(33)에 의해 둘로 나눠져 형성될 수 있으며 나눠진 상, 하단의 방사체(30)는 상기 제3 굽힘부(31)를 기준으로 굽힘이 가능하며 각각 굽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radiator 30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based on the separation space 21 , is formed from the right end of the right radiator 30 , and has a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branch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groove part (33). Referring to FIGS. 1 and 7 , the third groove part 33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right end of the radiator 30 is dented like the second groove part 32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have a variety of shap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The end of the radiator 30 may be divided into two by the third groove part 33 , and the divided upper and lower radiators 30 can be bent based on the third bent part 31 and are bent respectively. It can be formed to be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홀(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이격공간(21)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21)은 전류가 흐르는 정합영역의 길이를 길게 만들기 위하여 이격공간(21)을 형성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비하도록 한 것이며 제1 정합영역(10) 역시 이격공간(21)에 이어지도록 하여 제1 정합영역(10)에서 전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격공간(21)은 상기 홀(1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단일의 홀(12)이 형성되며 홀(12)의 일측에 이격공간(21)이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여러 개의 홀(12)이 형성될 경우 이격 공간의 수직한 방향에 형성되는 단일의 홀(12)과 연결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t least one of the holes 12 may be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separation space 21 . The separation space 21 is provided in a zigzag shape by forming the separation space 21 to make the length of the matching region through which current flows longer, and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is also connected to the separation space 21. It serves to receive radio waves in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 The spaced space 2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hole 12, a single hole 12 is formed, and the spaced space 21 may be formed so that the spaced space 2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le 12, and a plurality of holes ( When 12) is formed, it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nnected to a single hole 12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eparation space.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안테나를 기기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50)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그 형태를 이용하여 전파를 송 수신하기 때문에 형태를 유지하면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기기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고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나사나 고정장치가 안테나를 파손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50)을 형성하여 고정장치가 관통되는 형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ntenna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xing groove 50 for fixing the antenna to the device. Since the antenna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waves using its shape, it may be formed to be fixed to the device in use to prevent damage while maintaining the shape. The fixing groove 50 may be formed to allow the fixing device to pass therethrough.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격공간 내에 꺽임이 형성되어 있는 꺽임부에 상기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한 뒤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꺽임부에 연결되는 케이블은 우측 하단에서 좌측 상단으로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안테나의 뒷면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꺽임부의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케이블의 형태가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꺽임부의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ntenna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able. Referring to FIG. 1 , it is possible to make electrical connection possible after removing the covering of the cable from the bent portion where the bend is formed in the separation space. The cable connected to the bent part may be formed from the lower right to the upper left, and may also be used on the rear side of the antenna. It may be 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cable vari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bent portion, and it may be preferable to be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bent portion.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은 동축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외부피복, 외부도체, 절연체, 내부도체 순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의 상기 외부도체가 상기 이격공간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2 정합영역과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이격공간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2 정합영역은 상기 내부도체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피복을 통해 안테나로 향하는 케이블은 상기 제2 정합영역 내 일측과 연결되는 지점에서 피복이 벗겨진 외부도체가 납땜(그라운드 납땜 영역)되는 것일 수 있으며, 타측과 연결되는 지점에서는 내부도체가 납땜(급전부 납땜 영역)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라운드 납땜 영역 및 급전부 납땜 영역 사이는 절연체 및/또는 내부도체로 이루어져 있으나, 급전부 납땜 영역에서는 내부도체가 납땜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referring to FIG. 8 , the cable may be formed as a coaxial cable, and may be formed in the order of an outer coating, an outer conductor, an insulator, and an inner conductor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When the outer conductor of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tching area formed on one side of the separation space, the second matching area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ion space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More specifically, the cable directed to the antenna through the outer coating may be one in which the bare external conductor is soldered (ground soldering area) at the point where it is connected to one side in the second matching area, and the insid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t the point where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The conductor may be soldered (feeder soldering area). Meanwhile, an insulator and/or an inner conductor may be formed between the ground soldering area and the power supply soldering area, but the inner conductor may be soldered in the feeding area soldering area.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will be described.

<실시예 1><Example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정합영역(10), 제2 정합영역(20) 및 방사체(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정합영역(20) 및 방사체(30)의 중간부분을 관통하는 형상의 제2 굽힘부(22)가 형성되어 제2 정합영역(20) 및 방사체(30)가 함께 접히도록 구비되며 상기 방사체(30) 중 좌측에 형성되는 방사체(30)의 하단이 제2 홈부(32)와 동일하게 움푹 패여있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우측 방사체(30)의 상단에 상기 제3 홈부(33)와 비슷한 형태로 움푹 패여 있는 것일 수 있다.1 and 2 , a first matching region 10 , a second matching region 20 , and a radiator 30 are formed, and a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and the radiator 30 is penetrated. A second bent portion 22 having a shape of It may have the same concave shape as the groove part 32 and may be dent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third groove part 33 at the upper end of the right radiator 30 .

<실시예 2><Example 2>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정합영역(10), 제2 정합영역(20) 및 방사체(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정합영역(20) 및 방사체(30)의 중간부분을 관통하는 형상의 제2 굽힘부(22)가 형성되어 제2 정합영역(20) 및 방사체(30)가 함께 접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양측의 방사체(30)의 상단에 홈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ㄴ"형상이 되며 좌측 방사체(30)의 하측 끝단에 제2 홈부(32)와 비슷한 형태의 홈이 형성되며 좌측 끝단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1, 2 and 5 , a first matching region 10 , a second matching region 20 , and a radiator 30 are formed, and a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and the radiator 30 is formed. A second bent portion 22 having a shape penetrating the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and the radiator 30 are folded together. It may have a "B" shape and a groove similar to the second groove part 3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eft radiator 30 and a groove is formed at the left end.

<실시예 3><Example 3>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정합영역(10), 제2 정합영역(20) 및 방사체(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굽힘부(22)는 제2 정합영역(20)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방사체(30)는 상기 제2 굽힘부(22)를 기준으로 위쪽은 삭제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우측 방사체(30)의 하측 끝단에 홈이 형성되며 우측 역시 홈을 형성하며 상기 방사체(30)의 세로길이의 일부는 제3 굽힘부(31)를 통해 굽힘 가능한 형상일 수 있다.1 to 3 , a first matching region 10 , a second matching region 20 , and a radiator 30 are formed, and the second bent portion 22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 The radiator 30 may have an upper side deleted based on the second bent portion 22, a groov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ight radiator 30, and a groove is also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radiator ( A portion of the vertical length of 30 ) may have a shape bendable through the third bending part 31 .

<실시예 4><Example 4>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정합영역(10), 제2 정합영역(20) 및 방사체(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굽힘부(22)는 상기 방사체(30)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정합영역(20) 및 방사체(30)가 함께 굽힘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방사체(30)의 상측 끝단의 일부가 제거된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우측 방사체(30)의 하단에 홈을 형성한 형상일 수 있다.1 to 5 , a first matching region 10 , a second matching region 20 , and a radiator 30 are formed, and the second bent portion 22 is formed below the radiator 30 .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and the radiator 30 are formed to be bent together, and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left and right radiator 30 is removed, and a groov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ight radiator 30 . It may be in a formed shape.

<실시예 5><Example 5>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정합영역(10), 제2 정합영역(20) 및 방사체(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정합영역(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 굽힘부(22)를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는 방사체(30)는 제거된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우측 방사체(30)는 하측 끝단에 홈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1 and 5 , a first matching region 10 , a second matching region 20 , and a radiator 30 are formed, and the second bent portion is formed above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 The radiator 30 formed on the upper side with reference to (22) may be in a removed shape, and the right radiator 3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at the lower end.

<실시예 6><Example 6>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정합영역(10), 제2 정합영역(20) 및 방사체(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정합영역(20) 상측에 형성되는 제2 굽힘부(22)를 기준으로 우측 방사체(30)의 상측은 제거된 형태일 수 있으며 좌측 방사체(30)는 일부가 제거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정합영역(20)은 제2 굽힘부(22)의 길이만큼의 폭을 가진 상태로 상측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이격공간(21)을 기준으로 우측에 형성된 제2 정합영역(2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좌측에 형성된 제2 정합영역(20)은 상기 제2 굽힘부(22)보다 긴 길이의 폭을 가진 상태로 상측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우측 방사체(30)의 하측 끝단에 홈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1, 5 and 6 ,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 and the radiator 30 are formed, and the second bending is formed above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 The upper side of the right radiator 30 may be removed with respect to the portion 22 , the left radiator 30 may be partially removed, and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may include the second bent portion 22 . ) may have a length upward with a width equal to the length of the second matching area 20 form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space 21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econd matching area formed on the left side. Reference numeral 20 may have a length upward in a state having a longer width than that of the second bent portion 22 ,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right radiator 30 .

<실시예 7><Example 7>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정합영역(10), 제2 정합영역(20) 및 방사체(3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굽힘부(22)를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는 제2 정합영역(20)은 일부가 상기 제2 굽힘부(22)와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연장되며 일정 거리 이후에는 상기 제2 굽힘부(22)의 길이보다 긴 폭을 가진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우측 방사체(30)의 하측 끝단에는 홈이 형성된 형태이며 우측 끝단에는 제3 홈부(33)를 구비하며 제3 홈부(33)를 기준으로 상, 하측에 구비되는 방사체(30)는 제3 굽힘부(31)를 통해 굽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형태인 것일 수 있다.1 to 7 ,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 and the radiator 30 are formed, and the second matching region is formed above the second bent portion 22 based on the second matching region. The region 20 may be partially extend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second bent portion 22 and may have a wid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bent portion 22 after a certain distance, and the right radiator A groov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30 , and a third groove portion 33 is provided at the right end, and the radiator 30 provided above and below the third groove portion 33 is a third bent portion 31 . ) may be of a form that is formed so that bending is possible.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또는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고, 이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drawings and examples. Accordingly,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 ranges of embodiments may exis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and the technical idea within the equivalent or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제1 정합영역
11 : 제1 굽힘부
12 : 홀
20 : 제2 정합영역
21 : 이격공간
22 : 제2 굽힘부
30 : 방사체
31 : 제3 굽힘부
32 : 제2 홈부
33 : 제3 홈부
40 : 제1 홈부
50 : 고정홈
60 : 케이블
61 : 외부피복
62 : 외부도체
63 : 절연체
64 : 내부도체
10: first matching area
11: first bent part
12: Hall
20: second matching area
21: separation space
22: second bent part
30: emitter
31: third bent part
32: second groove
33: third groove
40: first groove
50: fixed groove
60: cable
61: outer coating
62: external conductor
63: insulator
64: inner conductor

Claims (11)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복수개의 홀(12)이 형성된 제1 정합영역(10);
상기 제1 정합영역(10)과 일측이 연결되며 내부에 이격공간(21)이 형성된 제2 정합영역(20); 및
상기 제2 정합영역(20) 양측으로 형성되는 방사체(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합영역(10)은 상기 제1 정합영역(10) 및 제2 정합영역(20) 사이에 굽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굽힘부(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합영역(20)의 타측에는 굽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굽힘부(22)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30)는 제2 정합영역(20)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 굽힘부(3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굽힘부(11) 및 상기 제2 굽힘부(22)는 상기 제1 정합영역(10) 및 제2 정합영역(20)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21)에는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며 꺽인형상의 꺽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굽힘부(22)의 양측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제2 정합영역(20)과 맞닿으며, 하단은 상기 방사체(30)와 맞닿는 제1 홈부(40)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체(30)는,
상기 이격공간(21)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격공간(21)을 기준으로 우측에 형성된 상기 방사체(30)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형성되는 제2 홈부(32) 및
상기 이격공간(21)을 기준으로 우측에 형성된 상기 방사체(30)의 우측 끝단으로부터 형성되며, 수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제3 홈부(33)를 구비하고,
상기 홀(1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격공간(21)과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를 사용기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홈(50)을 구비하고,
상기 제3 굽힘부(31)는 상기 방사체(30)의 좌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정합영역(10)의 세로길이만큼 이격된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In the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The antenna is
a first matching region 10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12 are formed;
a second matching area 2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matching area 10 and having a separation space 21 therein; and
Radiators 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includes a first bending portion 11 formed to be bendable between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and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includes a second bent portion 22 formed to be bendable,
The radiator 30 includes a third bent portion 31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bent portion 11 and the second bent portion 22 are formed thinner than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and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Electrical connection is possible in the separation space 21 and includes a bent portion in a bent shape,
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ent portion 22, an upp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and a lower end has a first groove portion 40 in contact with the radiator 30,
The radiator 30 is
It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separation space 21, respectively,
a second groove portion 32 formed from the lower end of the radiator 30 form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space 21 , and
It is formed from the right end of the radiator 30 form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space 21 and includes a third groove part 33 having a length in a horizontal direction,
Any one of the holes 12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separation space 21,
and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50 for fixing the antenna to the device used,
The third bent part (31) is a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eft end of the radiator (30) by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는,
상기 제1 정합영역(10), 제2 정합영역(20) 및 방사체(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구부러져 3차원의 입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According to claim 1,
The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A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matching region 10, the second matching region 20, and the radiator 30 is bent to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굽힘부(11)의 굽힘 각도는 1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슬림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
According to claim 1,
A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angle of the first bent portion 11 is 120° or les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20788A 2020-09-18 2020-09-18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KR1023014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788A KR102301428B1 (en) 2020-09-18 2020-09-18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PCT/KR2021/012460 WO2022060045A1 (en) 2020-09-18 2021-09-14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788A KR102301428B1 (en) 2020-09-18 2020-09-18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428B1 true KR102301428B1 (en) 2021-09-14

Family

ID=7777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788A KR102301428B1 (en) 2020-09-18 2020-09-18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1428B1 (en)
WO (1) WO2022060045A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3797A (en) * 2002-06-19 2004-01-22 Andrew Corp Folded dipole antenna
KR20080028379A (en) * 2005-06-30 2008-03-31 야기안테나 가부시기가이샤 Antenna
KR100826115B1 (en) 2006-09-26 2008-04-29 (주)에이스안테나 Folded dipole antenna having bending shape for improving beam width tolerance
KR100880898B1 (en) * 2008-04-25 2009-01-30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Dual-band patch antenna
KR20090075464A (en)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메닉스 A built in antenna modu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it
JP2015088984A (en) * 2013-10-31 2015-05-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Wideband antenna device
KR101523026B1 (en) * 2015-03-11 2015-05-26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Multiband omni-antenna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3797A (en) * 2002-06-19 2004-01-22 Andrew Corp Folded dipole antenna
KR20080028379A (en) * 2005-06-30 2008-03-31 야기안테나 가부시기가이샤 Antenna
KR100826115B1 (en) 2006-09-26 2008-04-29 (주)에이스안테나 Folded dipole antenna having bending shape for improving beam width tolerance
KR20090075464A (en)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메닉스 A built in antenna modu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it
KR100880898B1 (en) * 2008-04-25 2009-01-30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Dual-band patch antenna
JP2015088984A (en) * 2013-10-31 2015-05-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Wideband antenna device
KR101523026B1 (en) * 2015-03-11 2015-05-26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Multiband omni-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0045A1 (en)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798B1 (en) Apparatus for multiple antenna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266189A1 (en) Symmetrical dual-band uni-planar antenna and wireless network device having the same
US9660347B2 (en) Printed coupled-fed multi-band antenna and electronic system
US7321333B2 (en) Antenna structure
US20090262026A1 (en) Printed antenna
JP5961027B2 (en) Antenna device
US847706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ntenna thereof
JP2009516971A (en) Multiband omnidirectional antenna
US11316276B2 (en) Trifurcated antenna radiator and circuitous transmission line assembly
US20220224009A1 (en) Multi-frequency band antenna
US9748660B2 (en) Antenna with multiple feed points
TWI535116B (en) Antenna
US7053839B2 (en) Antenna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such an antenna
WO2010090573A1 (en) Antenna
CN109473787B (en) Shark fin antenna assembly
CN109672018A (en) All channel antenna system
JP2007135212A (en) Multiband antenna apparatus
US9917351B2 (en) Antenna and antenna assembly
TWI573322B (en) Antenna assembly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mploying same
KR102301428B1 (en) Small slim broadband dipole antenna
US10862214B2 (en) Antenna
US8054230B2 (en) Multi-band antenna
US9331383B2 (en) Antenna structu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0915066B (en) Unmanned vehicles and antenna thereof
CN106602241B (en) Eight-frequency-band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