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425B1 -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425B1
KR102300425B1 KR1020210064883A KR20210064883A KR102300425B1 KR 102300425 B1 KR102300425 B1 KR 102300425B1 KR 1020210064883 A KR1020210064883 A KR 1020210064883A KR 20210064883 A KR20210064883 A KR 20210064883A KR 102300425 B1 KR102300425 B1 KR 102300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masking sound
noise
masking
target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425B9 (ko
Inventor
이정환
강찬구
김종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큐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큐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큐리스
Priority to KR1020210064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425B1/ko
Publication of KR10230042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425B9/ko
Priority to US17/746,659 priority patent/US1175652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52Mask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2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input signals onl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3Estimation of noise, e.g. on error sig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7Feedforwa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부를 통해 들려오는 소음의 레벨 변동 트렌드를 확인하고, 소음을 마스킹하기 위한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변경하는 인터벌을 최적의 환경으로 조절함으로써, 마스킹사운드가 소음으로 느껴지지 않게끔 최적의 인터벌로 조절하도록 한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 {Noise masking method through variable masking sound level conversion}
본 발명은 노이즈 마스킹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부를 통해 들려오는 소음의 레벨 변동 추이를 확인하고, 이에 맞춰 소음을 마스킹하기 위한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변경하는 인터벌을 조절함으로써, 마스킹사운드를 최적화하여 소음으로 느껴지지 않도록 한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운드 마스킹은, 화이트 노이즈와 같은 인공적인 음향을 발생시킴으로써 주변의 소음이 덜 인식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예로서, 콜센터나 사무실, 대합실, 강당과 같이 소음이 많은 장소에서 타인의 소음 또는 기계 소음이 덜 거슬리도록 해주거나, 의료시설 및 은행, 정부기관, 연구시설과 같이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개인정보 또는 기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서관과 같은 장소에서는, 너무 조용한 환경으로 인해 작은 소음에도 집중하는데 방해될 수 있기 때문에, 인공 음향을 발생시킴으로써 타인의 소리가 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각 장소에서의 소음은 항상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시시각각 불규칙적으로 변한다. 또한, 한 실내공간 안에서도 구역마다 소음의 정도가 다른데, 종래의 일률적인 사운드 마스킹 기술로는, 이러한 다양한 소음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6691호(2018.02.21.공고)에는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적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는 공간 내의 상기 각 음향적 구역마다 설치되며, 상기 각 음향적 구역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부; 상기 소음을 마스킹하기 위한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음압 레벨 또는 제공 여부를 상기 각 음향적 구역별로 결정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각 음향적 구역별로 결정된 상기 인공음향 신호를 이에 각각 대응되는 음향적 구역에 출력시키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 및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에 포함된 상기 프로세서에 송신하는 제어 단말;을 포함하는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의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은 각 음향적 구역마다 발생되는 소음에 대응되는 인공 음향을 출력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소음의 변화에 따라 음압 레벨을 조절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으나, 소음의 변화에 따라 음압 레벨을 조절하는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않았으며, 상기 종래의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은 소음 변화에 따라 마스킹 사운드의 레벨을 즉각적으로 변경하는 바, 마스킹 사운드 자체를 소음으로 느껴 사람들의 집중을 흐트리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생되는 소음과 인공 음향인 마스킹사운드는 모두 음향적 관점에서 가청주파수 대역내에서 합성되어 들려지는 소리로써 구분하기가 어려워 마스킹 시스템에서 출력하는 마스킹사운드가 실제 발생되는 소음보다 클 경우 소음으로 인식되어 마스킹사운드 레벨을 계속 상승시키는 오류가 발생하여 이를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나 이에 관한 기술에 대해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6691호(2018.02.21.공고),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어부를 통해 들려오는 소음의 레벨 변동 추이를 확인하고, 이에 맞춰 소음을 마스킹하기 위한 마스킹사운드의 레벨 변동 조절과 변동되는 레벨의 인터벌을 조절하여, 마스킹사운드를 최적화함으로써 소음으로 느껴지지 않도록 변동 소음의 편차를 최소화 한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대상소음의 레벨을 제어부로 전달하고, 제어부를 통해 대상소음을 마스킹하는 마스킹사운드를 생성하고 출력수단을 통해 마스킹사운드를 출력하여 대상소음을 마스킹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상소음의 하한레벨과 상한레벨을 인지하는 대상소음 상,하한레벨 인지 단계(S10); 상기 대상소음 상,하한레벨 인지 단계(S10)에서 인지된 대상소음의 하한레벨과 상한레벨을 바탕으로 마스킹사운드의 중앙레벨을 설정하는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 설정 단계(S20); 상기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 설정 단계(S20)에서 설정된 상기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을 바탕으로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과 상한레벨을 설정하는 마스킹사운드 상,하한레벨 설정 단계(S30); 센서에서 수집되는 주변 소음에서 마스킹사운드로 출력되는 소음을 비교하여 대상소음 레벨을 검출하는 대상소음 레벨 검출 단계(S40);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주변 대상소음의 레벨에 따라 제어부를 통해, 대상소음 레벨의 변동 트렌드를 확인하여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마스킹사운드 상하한레벨 설정 단계(S30)에서 설정한 레벨로 조절하는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 이와 같은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를 수행함에 있어 대상소음 레벨의 변동 트렌드를 확인하여 마스킹사운드의 레벨 변경 인터벌을 조절하는 마스킹사운드 인터벌 조절 단계(S60); 상기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에서 제어부를 통해 조절된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기반으로 출력수단을 통해 마스킹사운드를 출력하는 마스킹사운드 출력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대상소음 상하한레벨 인지 단계(S10)를 수행하기 전에 배경소음의 레벨을 인지하는 배경소음 레벨 인지 단계(S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에서, 상기 대상소음 레벨 변동 트렌드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전부터 현재 시점까지 대상소음 레벨(10) 평균값을 기반으로 확인되며,
또한 상기 마스킹사운드 인터벌 조절 단계(S60)에서, 대상소음의 상승 또는 하강이 일정시간 동안 급격한 변동이 지속되는 경우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동 간격을 조절하며, 인터벌은 마스킹사운드 레벨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간격을 칭하는 것으로, 이 간격을 조절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에서는, 제어부를 통해, 상기 대상소음이 일정 레벨 이상 상승 또는 하강 후 변경상태가 일정시간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면, 마스킹사운드의 레벨값을 마스킹사운드 상하한레벨 설정 단계(S30)에서 정한 상하한 레벨까지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에서는, 제어부를 통해, 대상소음 레벨이 대상소음의 하한레벨보다 낮아진 상태로 일정시간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면,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마스킹사운드 하한레벨까지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은 제어부를 통해 들려오는 소음의 레벨 변동 추이를 확인하고, 이에 맞춰 소음을 마스킹하기 위한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변경하고, 이 변경되는 레벨의 인터벌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킹사운드를 소음으로 느끼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사운드마스킹 시스템의 동작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에 있어서, 대상소음 레벨의 큰 변동이 없을 때의 마스킹사운드의 레벨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에 있어서, 대상소음이 일정 레벨 이상 상승 또는 하강 후 변경상태가 일정시간 유지되는 것을 확인한 다음, 마스킹사운드의 레벨값을 변경하는 인터벌을 변경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에 있어서, 대상소음 레벨이 대상소음의 하한레벨보다 낮아진 상태로 일정시간 유지되는 것을 확인한 다음에, 마스킹사운드의 레벨값을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까지 낮추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사운드마스킹 시스템의 동작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에 있어서, 대상소음 레벨의 큰 변동이 없을 때의 마스킹사운드의 레벨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에 있어서, 대상소음이 일정 레벨 이상 상승 또는 하강 후 변경상태가 일정시간 유지되는 것을 확인한 다음, 마스킹사운드의 레벨값을 변경하는 인터벌을 변경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에 있어서, 대상소음 레벨이 대상소음의 하한레벨보다 낮아진 상태로 일정시간 유지되는 것을 확인한 다음에, 마스킹사운드의 레벨값을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까지 낮추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장치(A300)의 소음 센서(A310)를 통해 수집되는 대상소음 레벨(10)을 메인장치(A100)의 메인 제어부(A120)로 전달하고, 마스킹사운드 생성부(A110)를 통해 대상소음을 마스킹하는 마스킹사운드를 생성하고, 마스킹사운드 증폭부(A130)를 통해 실제 출력되는 마스킹사운드 레벨로 증폭하고, 마스킹사운드 출력부(A140)를 통해 마스킹사운드를 출력하여 대상소음을 마스킹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소음의 하한레벨(10a)과 대상소음의 상한레벨(10b)을 인지하는 대상소음 상,하한레벨 인지 단계(S10); 상기 대상소음 상,하한레벨 인지 단계(S10)에서 인지된 대상소음의 하한레벨(10a)과 대상소음의 상한레벨(10b)을 바탕으로 마스킹사운드의 중앙레벨(20c)을 설정하는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 설정 단계(S20); 상기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 설정 단계(S20)에서 설정된 상기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20c)을 바탕으로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과 마스킹사운드의 상한레벨(20b)을 설정하는 마스킹사운드 상,하한레벨 설정 단계(S30); 소음 센서(A3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주변 대상소음의 레벨(10)을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해,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제외한 대상소음의 레벨(10)을 검출하는 대상소음 레벨 검출 단계(S40);
소음 센서(A3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주변 대상소음의 레벨(10)에 따라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해, 대상소음 레벨(10)의 변동 트렌드를 확인하여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변경하는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 소음 센서(A3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주변 대상소음의 레벨(10)에 따라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해, 대상소음 레벨(10)의 변동 트렌드를 확인하여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변경하는 인터벌을 조절하는 마스킹사운드 인터벌 조절 단계(S60); 상기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에서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해 조절된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기반으로 마스킹사운드 출력부(A140)를 통해 마스킹사운드를 출력하는 마스킹사운드 출력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단히 정의한다.
"대상소음"이라 함은, 일상생활에 있어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써, 본 발명에서 상쇄 또는 중화하기 위한 소음을 칭한다. 이때, "대상소음 레벨(10)"은 대상소음의 크기를 의미한다.
한편, 대상소음 외에도 "배경소음"이 있는데, 이는 "대상소음"을 제외한 미미한 주변 소음을 칭한다. 예컨데, 사무실로 가정하였을 경우, 모든 작동기기를 중지한 상태에서 깔리는 미미한 소음을 칭한다. 이때, "배경소음 레벨(5)"은 배경소음의 크기를 의미한다.
한편, "마스킹사운드"는 "대상소음"을 상쇄 또는 중화하기 위해 "마스킹사운드 생성부(A110)"와 "마스킹사운드 출력부(A140)"을 통해 인위적으로 발생시키는 사운드를 칭한다. 이때,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은 마스킹사운드의 크기를 의미한다.
상기 "마스킹사운드"는 일정한 형태의 음향이 지속적으로 송출되며, 바람소리, 또는 에어컨 소리와 유사한 소리가 송출되어, 소음을 상쇄 또는 중화한다. 본 발명에서,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은 "대상소음 레벨(10)"에 따라, 송출되는 레벨이 변할 수 있는데,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너무 급격히 변하면, "마스킹사운드" 자체가 소음으로 인식되어, 공간 내에 위치한 사람들의 집중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은 너무 급격하게 변하지 않도록 적절한 조정이 필요하다.
상기, "레벨"은 소리의 크기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대상소음", "배경소음", "마스킹사운드"의 크기를 나타내며, dB(데시벨)로 표시된다.
한편, "트렌드"라 함은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해 확인되는 대상소음 레벨(10)의 변동 추이를 칭하는 것이며,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전부터 현재 시점까지 대상소음 레벨(10)의 평균값을 토대로 확인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트렌드"는 일정 기간 내 대상소음 레벨(10)이 일정 레벨 이상 급격한 변동을 토대로 확인되는 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렌드"는 기본적으로는 0 ~ 10초 전의 시점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대상소음 레벨(10)의 평균값을 토대로 확인되며, 0 ~ 10초 내 대상소음 레벨(10)의 상승 또는 하강으로 간주되는 대상소음 레벨(10)의 기준을 관리자가 설정하여 이를 토대로 확인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렌드"는 대상소음 레벨(10)이 기설정한 대상소음 하한레벨(10a)보다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여 파악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트렌드"는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하여 확인될 수 있으며, 위는 일 예시일 뿐 다양한 실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메인 제어부(A120)"는 상기 "트렌드"를 분류하는데 있어, "완만히 상승", "완만히 하강", "급격히 상승", "급격히 하강", "대상소음 하한레벨(10a) 아래" 등의 분류로 구분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컨데, 상기 "트렌드"에 있어서, "완만히 상승"의 경우, 0 ~ 10초 내 대상소음 레벨(10)의 평균값이 10dB 이하로 상승될 경우, "메인 제어부(A120)"는 "완만히 상승"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트렌드"에 있어서, "완만히 하강"의 경우, 0 ~ 10초 내 대상소음 레벨(10)의 평균값이 10dB 이하로 하강 될 경우, "메인 제어부(A120)"는 "완만히 하강"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트렌드"에 있어서, "급격히 상승"의 경우, 0 ~ 10초 내 대상소음 레벨(10)의 평균값이 10dB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메인 제어부(A120)"는 "급격히 상승"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테, 상기 "트렌드"에 있어서, "급격히 하강"의 경우, 0 ~ 10초 내 대상소음 레벨(10)의 평균값이 10dB 이상으로 하강될 경우, "메인 제어부(A120)"는 "급격히 하강"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트렌드"에 있어서, "대상소음 하한레벨(10a) 아래"의 경우, 대상소음 레벨(10)의 평균값이 기설정한 대상소음 하한레벨(10a)보다 낮게 측정될 경우, "메인 제어부(A120)"는 "대상소음 하한레벨(10a) 아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위의 예시들은 일 예시일 뿐, 위의 기재 이외에도 다양한 분류와 수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인터벌"이라 함은,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시간적 간격을 의미한다.
예컨데, 도 4에서, 40초 내지 48초 사이에는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40초에서 41초 사이에는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유지되며, 41초에서 42초 사이에는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1dB 상승하고, 42초에서 43초 사이에는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유지되며, 43초에서 44초사이에는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1dB 상승하는 것이 반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변경되는 시점이 2초에 한번씩 나타나므로,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시간적 간격, 즉, "인터벌"이 "2초"라고 볼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53초 내지 61초 사이에는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매초마다 하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53초에서 54초 사이, 54초에서 55초 사이, 55초에서 56초 사이 등, 매초마다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1dB 하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을 변경하는 간격, 즉, "인터벌"이 "1초"라고 볼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을 실현하기에 있어, 대상소음 상,하한레벨 인지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대상소음 상,하한레벨 인지 단계(S10)에서는 대상소음의 하한레벨(10a)과 대상소음의 상한레벨(10b)을 인지하며, 대상소음의 하한레벨(10a)과 대상소음의 상한레벨(10b)은 마스킹사운드의 중앙레벨(20c)과 하한레벨(20a) 및 상한레벨(20b)을 설정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지표값이다.
즉, 대상소음의 상하한 레벨을 알아야 마스킹사운드의 설정 범위를 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대상소음 상,하한레벨 인지 단계(S10)에서 대상소음의 하한레벨(10a)과 대상소음의 상한레벨(10b)은 독서실, 사무실, 공장 등 공간에 따라 표준적으로 추천되는 추천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표준적으로 추천되는 추천값은 종래의 소음 분석 빅데이터를 통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는, 관리자가 주변 소음을 분석하여, 일정 기간 동안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상소음 상,하한레벨 인지 단계(S10)를 수행하기 전에 배경소음의 레벨(5)을 인지하는 배경소음 레벨 인지 단계(S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배경소음 레벨 인지 단계(S5)에서 배경소음 레벨(5)은 대상소음의 하한레벨(10a)보다 낮게 인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경소음이 주변에서 발생하는 모든 대상소음을 제외한 주변 소음이기 때문이다.
상기 배경소음 레벨 인지 단계(S5) 또한 독서실, 사무실, 공장 등 공간에 따라 표준적으로 추천되는 추천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표준적으로 추천되는 추천값은 종래의 소음 분석 빅데이터를 통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는, 관리자가 주변 소음을 분석하여, 일정 기간 동안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경소음을 인지하는 이유는 특정한 장소에서 사람들이 활동하는 시간 이외의 시간 동안 마스킹사운드가 높게 출력되는 경우 소음으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로 인한 불편함을 줄이기 위함이다.
사용 장소가 사무실인 경우 아침 출근시간 전, 점심시간 또는 저녁시간과 같이 일정시간 소음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는데, 이런 환경에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마스킹사운드가 소음으로 인식할 수 있어, 최소한의 소음 레벨을 알 수 있어야 마스킹사운드의 하한 레벨을 적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대상소음의 하한레벨은 대상 장소에서 활동이 많아지는 시간에서의 낮은 소음을 지칭하고, 배경소음은 활동이 거의 없는 시간에서의 낮은 소음으로 구분한다. 특별한 경우 대상소음의 하한레벨과 배경소음 레벨은 같을 수도 있다.
상기 대상소음 상,하한레벨 인지 단계(S10)를 수행한 다음,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 설정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 설정 단계(S20)에서는, 상기 대상소음 상,하한레벨 인지 단계(S10)에서 인지된 대상소음의 하한레벨(10a)과 대상소음의 상한레벨(10b)을 바탕으로 마스킹사운드의 중앙레벨(20c)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마스킹사운드의 중앙레벨(20c)은 대상소음 하한레벨(10a)과 동일하거나, 일정 레벨 이상 높게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킹사운드의 중앙레벨(20c)은 기 인지된 대상소음 하한레벨(10a)과 동일값을 가지거나, 기 인지된 대상소음 하한레벨(10a)에 비해 높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마스킹사운드의 중앙레벨(20c)은 대상소음의 상한레벨(10b)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이 대상소음 하한레벨(10a)을 기반으로 설정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마스킹사운드 상,하한레벨 설정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마스킹사운드 상,하한레벨 설정 단계(S30)에서는, 상기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 설정 단계(S20)에서 설정된 상기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20c)을 바탕으로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과 마스킹사운드의 상한레벨(20b)을 설정한다.
상기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과 마스킹사운드의 상한레벨(20b)은 마스킹사운드가 송출되는 레벨의 범위이다.
이때,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은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20c)에 비해 낮게 설정한다. 한편,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은 배경소음 레벨(5)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한다. 대상소음이 없더라도, 평상시에 깔리게 되는 배경소음을 상쇄 또는 중화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마스킹사운드의 상한레벨(20b)은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20c)에 비해 높게 설정하되, 대상소음의 상한레벨(10b)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은 대상소음 상한레벨(10b)보다 큰 레벨을 갖지 않는데, 이는,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대상소음 상한레벨(10b)보다 클 경우, 오히려 소음으로 인식되기에,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대상소음 상한레벨(10b)보다 클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정리하자면,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은 배경소음을 잡아낼 수 있도록 배경소음 레벨(5)보다 약간 높게 설정되는 것이 적절하며, 마스킹사운드의 상한레벨(20b)은 마스킹사운드 자체가 너무 과하게 시끄럽지 않도록 대상소음 상한레벨(10b)보다는 낮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과 마스킹사운드의 상한레벨(20b)은 배경소음 레벨(5)과 마스킹사운드의 상한레벨(20b) 사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에 있어서, 마스킹사운드는 기설정된 마스킹사운드 하한레벨(20a)과 마스킹사운드 상한레벨(20b) 사이의 범위 내의 레벨로만 송출된다.
이와 관련된 도면으로, 도 7 내지 도 9는 이 외에 다양한 환경에서 실시되는 노이즈 마스킹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20c)을 바탕으로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을 -8dB로 설정한 것이고, 마스킹사운드의 상한레벨(20b)을 +10dB로 설정한 예시다. 또한, 도 7은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20c)을 바탕으로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을 -8dB로 설정한 것이고, 마스킹사운드의 상한레벨(20b)을 +5dB로 설정한 예시다. 도 8은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20c)을 바탕으로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을 -5dB로 설정한 것이고, 마스킹사운드의 상한레벨(20b)을 +13dB로 설정한 예시다. 도 9는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20c)을 바탕으로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을 -8dB로 설정한 것이고, 마스킹사운드의 상한레벨(20b)을 +15dB로 설정한 예시다.
이와 같이,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20c)을 바탕으로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과 마스킹사운드의 상한레벨(20b)을 설정하는 범위는, 노이즈 마스킹이 수행되는 다양한 장소에 따라, 관리자의 설정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소음 관련 빅데이터를 참고하여,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과 마스킹사운드의 상한레벨(20b)을 설정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현장에서 직접 대상소음을 측정해 보고 가장 적절한 상,하한 값을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대상소음 레벨 검출 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 대상소음 레벨 검출 단계(S40)에서는 소음 센서(A3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주변 대상소음의 레벨(10)에는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이 포함되어 있어서,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해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제외한 대상소음의 레벨(10)을 검출한다. 이것은 실제 발생되는 소음과 마스킹사운드가 혼합되어 있어 센서를 통해 실시간 수집되는 원래 대상소음의 레벨(10)에서 마스킹사운드를 제외해야 실제 대상소음의 레벨(10)이 된다. 이 대상소음 검출 단계(S40)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을 실현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만약 대상소음의 레벨(10)이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 보다 낮을 경우, 센서에서 수집되는 소음이 낮아지지 않고 계속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노이즈 마스킹이 정상적이지 않게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대상소음의 레벨(10)에서 검출하는 대상소음 레벨 검출 단계(S40)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를 수행한다.
상기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에서는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주변 대상소음의 레벨(10)이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해, 대상소음 레벨(10)의 변동 트렌드를 확인하여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변경한다.
다음으로, 마스킹사운드 인터벌 조절 단계(S60)를 수행한다.
상기 마스킹사운드 인터벌 조절 단계(S60)에서는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주변 대상소음의 레벨(10)이 수집되는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해, 대상소음 레벨(10)의 변동 트렌드를 확인하여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변경하는 인터벌을 조절한다.
상기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에서, 상기 트렌드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전부터 대상소음의 레벨(10)이 변화하는 평균값을 기반으로 확인되며, 상기 마스킹사운드 인터벌 조절 단계(S60)에서 인터벌은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변경하는 간격을 칭한다.
상기 마스킹사운드 인터벌 조절 단계(S60)에서는,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해, 상기 대상소음이 일정 레벨 이상 지속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거나, 빠르게 상승 또는 하강 후 변경상태가 일정시간 유지되는 것을 확인한 다음에,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변경하는 인터벌을 조절한다.
상기 마스킹사운드 인터벌 조절 단계(S60)에서, 메인 제어부(A120)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전부터 현재 시점까지 대상소음 레벨(10)의 평균값을 토대로 트렌드를 분류하여, "완만히 상승", "완만히 하강", "급격히 상승", "급격히 하강", "대상소음 하한레벨(10a)" 등의 분류로 구분하며, 각 상황에 따라,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을 변경하는 인터벌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킹사운드 인터벌 조절 단계(S60)에서는, 기본적으로 인터벌을 2초 간격으로 설정한 상태이며,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해, 상기 대상소음이 6dB이상 상승 또는 하강 후 변경상태가 3 ~ 7초 유지되는 것(49s~53s)이 확인되면,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변경하는 인터벌을 2초에서 1초 단위로 변경하여 매초마다 변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하여,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급격히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며, 마스킹사운드 자체가 노이즈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킹사운드 조절 단계(S50)에서는,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해, 대상소음 레벨(10)이 대상소음의 하한레벨(10a)보다 낮아진 상태로 일정시간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면,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까지 낮춘다.
대상소음 레벨(10)이 대상소음의 하한레벨(10a)보다 낮아진다는 것은 대상소음 레벨(10)이 배경소음 레벨(5)과 동등한 수준으로 하강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까지 낮춰야함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킹사운드 조절 단계(S50)에서는,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해, 대상소음 레벨(10)이 대상소음의 하한레벨(10a)보다 낮아지면, 우선,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20c)로 고정한다. 대상소음 레벨(10)이 대상소음의 하한레벨(10a)보다 낮아진 상태로 7 ~ 13초 유지되는 것(69s~77s)이 확인되면, 제어부(C)는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까지 단계적으로 낮춘다. 이때,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하강하는 인터벌은 2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하여,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20c) 아래로 급격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며,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급격히 변하여 마스킹 사운드 자체가 노이즈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킹사운드 조절 단계(S50)에서,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20c)은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선 역할을 한다.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20c)은 일정한 기준을 충족하기까지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의 하강을 막고 붙잡아두는 역할을 하며, 메인 제어부(A120)는 대상소음 레벨(10)의 일정 기간 동안 평균 크기를 확인 후, 대상소음 레벨(10)이 대상소음의 하한레벨(10a)보다 낮아진 상태로 7 ~ 13초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면,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이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20c) 아래로 하강하도록 허용한다.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급격히 변할 경우, 인체의 귀는 마스킹사운드 자체를 소음으로 인식하게 되며,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완만히 변할 경우, 인체의 귀는 마스킹사운드에 대한 변화에 신경이 둔감해지게 되어 마스킹사운드가 소음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다만, 마스킹사운드 레벨(20)이 지나치게 완만히 변할 경우에는 대상소음이 인식될 수 있기에 적절한 시간 조절이 필요할 것이다.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에서 마스킹사운드 레벨(20) 조절이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해 이루어지고 나면, 마지막으로 마스킹사운드 출력 단계(S70)를 수행한다.
상기 마스킹사운드 출력 단계(S70)에서는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에서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해 조절된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기반으로 마스킹사운드 출력부(A140)를 통해 마스킹사운드를 출력하여 소음을 상쇄 또는 중화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마스킹사운드를 출력해 공간 내의 소음을 상쇄 또는 중화함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소기의 목적인 노이즈 마스킹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 대상소음 레벨(10)의 변동 트렌드를 확인하여 마스킹사운드 레벨(20) 변경에 대한 인터벌을 조절함으로써, 마스킹사운드 자체가 소음으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된 도면으로, 도 4는 메인 제어부(A120)를 통해, 상기 대상소음이 일정 레벨 이상 상승 또는 하강 후 변경상태가 일정시간 유지되는 것을 확인한 다음에,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변경하는 인터벌을 변경하는 기술적 특징(도 5)과, 대상소음 레벨(10)이 대상소음의 하한레벨(10a)보다 낮아진 상태로 일정시간 유지되는 것을 확인한 다음에,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20a)까지 낮추는 기술적 특징(도 6)이 모두 포함된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본다.
실험예 1. 마스킹사운드 레벨을 변경하는 인터벌이 변하기 시작하는 최적의 지연 시간 확인
마스킹사운드 레벨을 변경하는 인터벌이 변하기 시작하는 최적의 지연 시간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앞서, 일반적인 독서실의 환경을 갖추고, 20 ~ 40세의 성인남녀 20명을 피시험자로 하여, 대상소음 또는 마스킹사운드가 소음으로 느껴지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우선, 배경소음 레벨은 35dB로 설정하였다. 그 다음, 대상소음의 하한레벨은 42dB로 확인하였으며, 대상소음의 상한레벨은 62dB로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마스킹사운드의 중앙레벨을 45dB로 설정하였다. 마스킹사운드의 중앙레벨 값인 45dB을 바탕으로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은 37dB로 설정하였으며, 마스킹사운드의 상한레벨은 55dB로 설정하였다.
실험을 위해 인위적으로 대상소음을 송출시켰으며, 송출되는 대상소음의 데시벨은 55dB 내지 62dB 사이에서 임의로 유동되도록 하였다.
이때, 마스킹사운드 레벨을 변경하는 인터벌이 변하기 시작하는 최적의 지연 시간을 찾기 위하여, 송출되는 대상소음을 인위적으로 58dB에서 45dB로 급격히 하강시켰다(-13dB). 그 다음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변경하는 인터벌을 2초로 설정하였다면 상기와 같은 급격한 변화가 생길때 1초 단위로 변경하게 된다.
제어부에서 필요한 인터벌(지연 시간)을 설정하는 것은 1 ~ 9초 사이로 설정할 수 있게 하였다. 설정된 인터벌은 대상소음이 상승 또는 하강 시 제어부를 통해 대상소음의 상승 또는 하강 상태의 변경 트렌드가 인터벌로 설정한 시간 동안 유지되면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터벌을 2초로 설정하였다면 2초 동안 대상소음이 상승 또는 하강 될 때 마스킹사운드의 레벨(20)을 1 스텝 변경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대상소음이 급격하게 변경되면 설정한 인터벌을 최대한 빠르게 변경하는데, 만약 2초 인터벌 설정에서 동작하는 경우 1초 단위로 일시적으로 변경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대상소음이 완만한 변화로 바뀌게 되면 원래 설정한 인터벌 수준으로 복귀하게 된다.
본 실험에 적용된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2의 예시는 하기와 같다.
비교예 1: 대상소음이 58dB에서 45dB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1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이 하강되는 인터벌을 2초에서 1초로 변경하였다.
실시예 1: 대상소음이 58dB에서 45dB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3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이 하강되는 인터벌을 2초에서 1초로 변경하였다.
실시예 2: 대상소음이 58dB에서 45dB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5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이 하강되는 인터벌을 2초에서 1초로 변경하였다.
실시예 3: 대상소음이 58dB에서 45dB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7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이 하강되는 인터벌을 2초에서 1초로 변경하였다.
비교예 2: 대상소음이 58dB에서 45dB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9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이 하강되는 인터벌을 2초에서 1초로 변경하였다.
모집한 패널들을 대상으로, 대상소음이 인식되는 경우와, 마스킹사운드가 인식되는 경우를 각각 확인토록 하여, 5점척도법을 이용하여 1 ~ 5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독서에 방해받고 신경이 거슬리는지에 대해 1 ~ 5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점수가 낮을수록 해당 소음이 들리지 않고 방해받지 않음을 의미한다. 각 항목에 대한 평가점수는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마스킹사운드가 인식되어 방해받는 정도
(평균 평가점수)
대상소음이 인식되어 방해받는 정도
(평균 평가점수)
각 case별 평균값
(평균 평가점수)
비교예1(1초 지연) 4.8 2.2 3.5
실시예1(3초 지연) 2.8 2.2 2.5
실시예2(5초 지연) 2.2 2.4 2.3
실시예3(7초 지연) 2.2 2.6 2.4
비교예2(9초 지연) 2.0 4.2 3.1
그 결과, 대상소음이 58dB에서 45dB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5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이 하강되는 인터벌을 2초에서 1초로 변경하는 경우에, 대상소음과 마스킹사운드를 소음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대상소음이 58dB에서 45dB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1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이 하강되는 인터벌을 2초에서 1초로 변경하는 비교예 1의 경우에는 급격히 변하는 마스킹사운드가 인식되어 집중에 방해받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상소음이 58dB에서 45dB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9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이 하강되는 인터벌을 2초에서 1초로 변경하는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마스킹사운드 레벨과 대상소음 레벨의 간극이 벌어지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대상소음이 인식되어 집중에 방해받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대상소음이 58dB에서 45dB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이 하강되는 인터벌을 2초에서 1초로 변경하기 시작하는 시점은 3 ~ 7초가 적절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초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대상소음 레벨이 대상소음의 하한레벨보다 낮아지는 경우에 따른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로 고정하는 최적의 완충 시간 확인
대상소음 레벨이 대상소음의 하한레벨보다 낮아지는 경우에,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로 고정하는 최적의 완충 시간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앞서, 일반적인 독서실의 환경을 갖추고, 20 ~ 40세의 성인남녀 20명을 피시험자로 하여, 대상소음 또는 마스킹사운드가 소음으로 느껴지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우선, 배경소음 레벨은 35dB로 설정하였다. 그 다음, 대상소음의 하한레벨은 42dB로 확인하였으며, 대상소음의 상한레벨은 62dB로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마스킹사운드의 중앙레벨을 45dB로 설정하였다. 마스킹사운드의 중앙레벨 값인 45dB을 바탕으로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은 37dB로 설정하였으며, 마스킹사운드의 상한레벨은 55dB로 설정하였다.
실험을 위해 인위적으로 대상소음을 송출시켰으며, 송출되는 대상소음의 데시벨은 42dB 내지 54dB 사이에서 임의로 유동되도록 하였다.
이때, 대상소음 레벨이 대상소음의 하한레벨보다 낮아지는 경우에,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로 고정하는 최적의 완충 시간을 찾기 위하여,
송출되는 대상소음을 인위적으로 42dB에서 35dB로 급격히 하강시켰다(-7dB). 그 다음 제어부의 설정을 달리하여,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인 45dB로 고정시키는 기간을 각각 달리하고, 완충시간 후에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다시 떨어트리기 시작하여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인 37dB까지 하강토록 하였다.
본 실험에 적용된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2의 예시는 하기와 같다.
비교예 3: 대상소음이 대상소음 하한레벨인 42dB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45dB로 고정한 상태로 4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37dB까지 단계적으로 하강토록 하였다.
실시예 4: 대상소음이 대상소음 하한레벨인 42dB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45dB로 고정한 상태로 7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37dB까지 단계적으로 하강토록 하였다.
실시예 5: 대상소음이 대상소음 하한레벨인 42dB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45dB로 고정한 상태로 10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37dB까지 단계적으로 하강토록 하였다.
실시예 6: 대상소음이 대상소음 하한레벨인 42dB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45dB로 고정한 상태로 13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37dB까지 단계적으로 하강토록 하였다.
비교예 4: 대상소음이 대상소음 하한레벨인 42dB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45dB로 고정한 상태로 16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37dB까지 단계적으로 하강토록 하였다.
모집한 패널들을 대상으로, 대상소음이 인식되는 경우와, 마스킹사운드가 인식되는 경우를 각각 확인토록 하여, 5점척도법을 이용하여 1 ~ 5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독서에 방해받고 신경이 거슬리는지에 대해 1 ~ 5점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점수가 낮을수록 해당 소음이 들리지 않고 방해받지 않음을 의미한다. 각 항목에 대한 평가점수는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마스킹사운드가 인식되어 방해받는 정도
(평균 평가점수)
대상소음이 인식되어 방해받는 정도
(평균 평가점수)
각 case별 평균값
(평균 평가점수)
비교예3(4초간 고정) 2.8 1.2 2.0
실시예4(7초간 고정) 1.6 1.2 1.4
실시예5(10초간 고정) 1.2 1.2 1.2
실시예6(13초간 고정) 1.2 1.4 1.3
비교예4(16초간 고정) 1.2 2.8 2.0
그 결과, 대상소음이 대상소음 하한레벨인 42dB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마스킹사운드의 레벨 45dB로 고정한 상태로 10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37dB까지 단계적으로 하강하는 경우, 대상소음과 마스킹사운드를 소음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대상소음이 대상소음 하한레벨인 42dB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마스킹사운드의 레벨 45dB로 고정한 상태로 4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37dB까지 단계적으로 하강하는 경우, 급격히 변하는 마스킹사운드가 인식되어 집중에 방해받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상소음이 대상소음 하한레벨인 42dB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45dB로 고정한 상태로 16초 경과 후,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37dB까지 단계적으로 하강하는 경우, 마스킹사운드 레벨과 대상소음 레벨의 간극이 벌어지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대상소음이 인식되어 집중에 방해받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대상소음이 대상소음 하한레벨 이하의 값으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여,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로 고정하는 기간은 7 ~ 13초가 적절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2를 통해 확인한 바와 같이,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은,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지나치게 급격하거나, 완만하게 변화 시키지 않고, 완충시간(지연시간)을 두고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변경하는 바, 마스킹사운드 자체가 노이즈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실험예 1을 통하여, 대상소음이 급격히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고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이 하강되는 인터벌을 2초에서 1초로 변경하기 시작하는 시점은 3 ~ 7초가 적절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초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예 2를 통하여, 대상소음이 대상소음 하한레벨 이하의 값으로 하강하는 것을 확인하여,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로 고정하는 기간은 7 ~ 13초가 적절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본 발명은, 마스킹사운드 레벨이 급격히 변하여 소음으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을 개발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5: 배경소음 레벨 10: 대상소음 레벨
10a: 대상소음 하한레벨 10b: 대상소음 상한레벨
20: 마스킹사운드 레벨 20a: 마스킹사운드 하한레벨
20b: 마스킹사운드 상한레벨 20c: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
(S5) ; 배경소음 레벨 인지 단계
(S10): 대상소음 상,하한레벨 인지 단계
(S20):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 설정 단계
(S30): 마스킹사운드 상,하한레벨 설정 단계
(S40): 대상소음 레벨 검출 단계
(S50):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
(S60): 마스킹사운드 인터벌 조절 단계
(S70): 마스킹사운드 출력 단계

Claims (5)

  1.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대상소음의 레벨을 제어부로 전달하고, 제어부를 통해 대상소음을 마스킹하는 마스킹사운드를 생성하고 출력수단을 통해 마스킹사운드를 출력하여 대상소음을 마스킹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상소음의 하한레벨과 상한레벨을 인지하는 대상소음 상,하한레벨 인지 단계(S10);
    상기 대상소음 상,하한레벨 인지 단계(S10)에서 인지된 대상소음의 하한레벨과 상한레벨을 바탕으로 마스킹사운드의 중앙레벨을 설정하는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 설정 단계(S20);
    상기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 설정 단계(S20)에서 설정된 상기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을 바탕으로 마스킹사운드의 하한레벨과 상한레벨을 설정하는 마스킹사운드 상,하한레벨 설정 단계(S30);
    센서에서 수집되는 주변 소음에서 마스킹사운드로 출력되는 소음을 비교하여 대상소음 레벨을 검출하는 대상소음 레벨 검출 단계(S40);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주변 대상소음의 레벨에 따라 제어부를 통해, 대상소음 레벨의 변동 트렌드를 확인하여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마스킹사운드 상하한레벨 설정 단계(S30)에서 설정한 레벨로 조절하는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 이와 같은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를 수행함에 있어 대상소음 레벨의 변동 트렌드를 확인하여 마스킹사운드의 레벨 변경 인터벌을 조절하는 마스킹사운드 인터벌 조절 단계(S60); 상기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에서 제어부를 통해 조절된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기반으로 출력수단을 통해 마스킹사운드를 출력하는 마스킹사운드 출력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소음 상,하한레벨 인지 단계(S10)를 수행하기 전에 배경소음의 레벨을 인지하는 배경소음 레벨 인지 단계(S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에서, 상기 트렌드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전부터 현재 시점까지 대상소음 레벨(10) 평균값을 기반으로 확인되며, 상기 인터벌은 마스킹사운드 레벨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간격을 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에서는, 제어부를 통해, 상기 대상소음이 일정 레벨 이상 상승 또는 하강 후 변경상태가 일정시간 유지되는 것을 확인되면, 마스킹사운드의 레벨값을 변경하는 인터벌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사운드 레벨 조절 단계(S50)에서는, 제어부를 통해, 대상소음 레벨이 대상소음의 하한레벨보다 낮아진 상태로 일정시간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면,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기설정한 마스킹사운드 중앙레벨로 고정하여 일정시간 유지시킨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마스킹사운드의 레벨을 마스킹사운드 하한레벨까지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

KR1020210064883A 2021-05-20 2021-05-20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 KR102300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883A KR102300425B1 (ko) 2021-05-20 2021-05-20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
US17/746,659 US11756522B2 (en) 2021-05-20 2022-05-17 Noise masking method through variable masking sound level conver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883A KR102300425B1 (ko) 2021-05-20 2021-05-20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425B1 true KR102300425B1 (ko) 2021-09-09
KR102300425B9 KR102300425B9 (ko) 2021-11-12

Family

ID=7777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883A KR102300425B1 (ko) 2021-05-20 2021-05-20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56522B2 (ko)
KR (1) KR102300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1301B1 (ko) * 2021-11-08 2024-07-04 주식회사 시스플랫 사무환경에 적용 가능한 소음 마스킹 컨텐츠 생성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6710A (ja) * 2006-09-21 2008-04-03 Yamaha Corp 空間感生成方法と装置及びマスキング装置
US20100158263A1 (en) * 2008-12-23 2010-06-24 Roman Katzer Masking Based Gain Control
JP2012112993A (ja) * 2010-11-19 2012-06-14 Shimizu Corp ノイズマスキングシステム
KR20130042115A (ko) * 2011-10-18 2013-04-26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음향을 이용한 소음 마스킹 시스템
JP2013134273A (ja) * 2011-12-26 2013-07-08 Konica Minolta Inc 音響出力装置
KR101475786B1 (ko) * 2014-06-19 2014-12-31 이현보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 및 방법
US20150348530A1 (en) * 2014-06-02 2015-12-03 Plantronics, Inc. Noise Masking in Headsets
KR101816691B1 (ko) 2017-04-14 2018-02-21 동광전자 주식회사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
JP2019086593A (ja) * 2017-11-02 2019-06-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騒音マスキング装置、車両、及び、騒音マスキ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52297A2 (en) * 2003-07-28 2006-05-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dio condition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1947642B1 (en) * 2007-01-16 2018-06-13 Apple Inc. Active noise control system
EP1986466B1 (en) * 2007-04-25 2018-08-08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Sound tun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3134269A (ja) * 2011-12-26 2013-07-08 Konica Minolta Inc 音響出力装置
US9237399B2 (en) * 2013-08-09 2016-01-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asking vehicle nois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6710A (ja) * 2006-09-21 2008-04-03 Yamaha Corp 空間感生成方法と装置及びマスキング装置
US20100158263A1 (en) * 2008-12-23 2010-06-24 Roman Katzer Masking Based Gain Control
JP2012112993A (ja) * 2010-11-19 2012-06-14 Shimizu Corp ノイズマスキングシステム
KR20130042115A (ko) * 2011-10-18 2013-04-26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음향을 이용한 소음 마스킹 시스템
JP2013134273A (ja) * 2011-12-26 2013-07-08 Konica Minolta Inc 音響出力装置
US20150348530A1 (en) * 2014-06-02 2015-12-03 Plantronics, Inc. Noise Masking in Headsets
KR101475786B1 (ko) * 2014-06-19 2014-12-31 이현보 건물의 개방형 공간에 적용되는 대화 도청 방지용 장치 및 방법
KR101816691B1 (ko) 2017-04-14 2018-02-21 동광전자 주식회사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
JP2019086593A (ja) * 2017-11-02 2019-06-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騒音マスキング装置、車両、及び、騒音マスキング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1301B1 (ko) * 2021-11-08 2024-07-04 주식회사 시스플랫 사무환경에 적용 가능한 소음 마스킹 컨텐츠 생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425B9 (ko) 2021-11-12
US11756522B2 (en) 2023-09-12
US20220375447A1 (en)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2720A (en) Dynamic sound controller and method therefor
CA2268918C (en) Compression systems for hearing aids
Dillon Tutorial compression? Yes, but for low or high frequencies, for low or high intensities, and with what response times?
EP1219138B1 (en) Method and signal processor for intensification of speech signal components in a hearing aid
CA2172365C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ry for hearing aids
WO1994007341A1 (en) Electroacoustic speech intelligibility enhancement method and apparatus
US4099035A (en) Hearing aid with recruitment compensation
EP03125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voice intelligibility in high noise environments
EP3337186A1 (en) Binaural hearing device system with a binaural impulse environment classifier
US5170434A (en) Hearing aid with improved noise discrimination
CN100345464C (zh) 助听器和一种声信号的处理方法
EP0787383A4 (ko)
CA2409838A1 (en) Method for adjustment of a hearing aid to suit an individual
DK157519B (da) Hoereapparat
KR102300425B1 (ko) 가변형 마스킹사운드 레벨 변환을 통한 노이즈 마스킹 방법
US8175307B2 (en) Method for attenuating interfering noise and corresponding hearing device
US1138851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device, and hearing device
US7372969B2 (en) Method for processing an input signal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and application of said method in hearing aids and listening devices
US20060087380A1 (en) Method for limiting the dynamic range of audio signals, and circuit arrangement for this purpose
GB2246688A (en) Audio communications systems
Müsch Review and computer implementation of Fletcher and Galt’s method of calculating the articulation index
CN113223519B (zh) 远场音量控制方法、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EP4184948A1 (en) A hearing system comprising a hearing instrument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hearing instrument
Hede et al. Human perception and reaction to noise
Lippmann The effect of amplitude compression on the intelligibility of speech for persons with sensorineural hearing lo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