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643B1 - Transfer chute capable of safe transport and discharge of delivery - Google Patents

Transfer chute capable of safe transport and discharge of deliv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643B1
KR102299643B1 KR1020210021706A KR20210021706A KR102299643B1 KR 102299643 B1 KR102299643 B1 KR 102299643B1 KR 1020210021706 A KR1020210021706 A KR 1020210021706A KR 20210021706 A KR20210021706 A KR 20210021706A KR 102299643 B1 KR102299643 B1 KR 102299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unit
transfer
transpor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7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중근
이원익
Original Assignee
흥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흥진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흥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1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6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6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3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B65G11/023Chutes of straight form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5Postal items, e.g. letters, parc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logistics transfer chute capable of more safely transferring and discharging goods in regard to a logistics automation facility for automating the transfer and classification of goods such as a parcel and the lik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gistics transfer chute includes: an insertion part into which goods are inserted by a classifier; a transfer part placed at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part to guide the transfer of the goods; and a discharge part placed at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part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goods. The insertion part, in which a center line connecting center spots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part is placed to be inclined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transfer direction of the goods, includes: a first insertion part including a first roller part and placed on a rear side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er direction to transfer relatively light goods; and a second insertion part including a second roller part and placed on a front side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er direction to transfer relatively heavy goods.

Description

이송물의 안전한 이송 및 배출이 가능한 물류 이송용 슈트{TRANSFER CHUTE CAPABLE OF SAFE TRANSPORT AND DISCHARGE OF DELIVERY}Logistics transport chute capable of safely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transported materials {TRANSFER CHUTE CAPABLE OF SAFE TRANSPORT AND DISCHARGE OF DELIVERY}

본 발명은 물류 자동화 설비에 사용되는 물류 이송용 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ute for transporting logistics used in logistics automation equipment.

온라인 쇼핑 등의 활성화에 따라 택배 등 물류 이송에 대한 수요는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물류 이송이나 분류에는 각종 자동화 설비가 도입되어 사용 중에 있다. 대표적으로, 택배 등의 이송물은 자동화된 분류 설비에 의해 배송지역, 물품종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는 대체로 이송물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면, 각 분류 위치에 배치된 분류기(sorter)가 이송물을 슈트(chute)를 통해 선택적 배출(이송)하여 분류하는 방식이다.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832142호는 이러한 물류 이송에 사용되는 "물류 자동 정렬 및 이송 컨베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With the activation of online shopping, the demand for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such as parcel delivery is rapidly increasing. Accordingly, various automated facilities have been introduced and are in use for logistics transport or classification. Typically, transported goods such as parcel delivery can be classified into delivery regions and types of goods by an automated sorting facility. In general, when transported goods are transported by a conveyor, a sorter disposed at each sorting position is transported. It is a method of sorting by selectively discharging (transferring) water through a chute. As an example, Patent Registration No. 10-1832142 discloses a "logistics automatic alignment and transfer conveyor device" used for such logistics transport.

다만, 종래 물류 이송용의 슈트는 이송물을 단순 분리 배출하는 기능에만 중점을 두어 이송물의 보다 안전하고 원활한 이송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일 예로, 분류기에 의해 이송방향이 변경된 이송물이 슈트의 측벽에 충돌되어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고, 이송물의 중량이나 포장상태(표면) 등에 따라 이송물이 슈트 위를 적절히 슬라이딩 이동되지 못하는 사례 등도 다수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이송물의 이송이나 배출이 가능한 슈트 디자인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hute for logistics transport focuses only on the function of simply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transported material, so there has been a limit to the safer and smoother transport of the transported material. For example, there are frequent cases in which the transported object whose transport direction has been changed by the classifier collides with the side wall of the chute and is damage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is is not possibl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chute design capable of more effective conveying or discharging of the conveyed material.

등록특허 제10-1832142호(2018.02.20.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1832142 (Registered on February 20, 201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택배 등 이송물을 자동화 이송 및 분류하는 물류 자동화 설비에 있어서 이송물의 보다 안전한 이송 및 배출이 가능한 물류 이송용 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logistic transport chute capable of safer transport and discharge of transported goods in an automated logistics facility for automatically transporting and sorting transported goods, such as couri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분류기에 의해 이송물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물을 이송 안내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물을 배출 안내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투입부는, 상기 투입부의 좌우 폭 방향 중앙 지점을 연결한 중심선이, 상기 이송물의 이송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배치되고, 제1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방향에 따른 후방에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가벼운 이송물을 이송하도록 의도되는 제1투입부파트와, 제2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방향에 따른 전방에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송물을 이송하도록 의도되는 제2투입부파트를 구비하는, 물류 이송용 슈트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to which the conveyed material is input by the classifier; a transport unit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input unit to transport and guide the transported material; and a discharging unit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conveying unit to guide the discharging of the conveyed material, wherein the feeding unit has a center line connecting the central points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feeding unit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ed material. It is disposed obliquely, has a first roller part, and is disposed at the rear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and has a first input part part intended to transport a relatively light transported material, and a second roller part, and is provided in the front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There may be provided a chute for transporting materials, which is disposed and has a second input part intended to transport relatively heavy transported objec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이송용 슈트는 비교적 저비용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이송물의 관성에 따른 충돌이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이송물의 중량에 따른 효과적인 이송이 가능하며, 이송물을 보다 안전하고 이송 및 배출시킬 수 있다.Logistics transport chut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at a relatively low cost, collision or damage due to the inertia of the transported object can be prevented, effective transport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object is possible, and the transported object is more It is safe and can be transported and discharged.

도 1은 종래의 물류 이송용 슈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물류 이송용 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물류 이송용 슈트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물류 이송용 슈트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롤러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롤러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롤러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1롤러부의 변형예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중첩부의 확대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hute for transporting logistics.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ute for logistics trans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chute for transport logistics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chute for transport logistics shown in Figure 2;
Figure 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chute for transport logistics shown in Figure 2;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roller shown in FIG. 2 .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ller case shown in FIG.
8 is a side view of the roller holder shown in FIG.
9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roller shown in FIG.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overlapping portion shown in FIG. 5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do it with

도 1은 종래의 물류 이송용 슈트를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hute for transporting logistics.

도 1을 참조하면, 이송물(1)은 컨베이어(11)를 통해 이송될 수 있고, 컨베이어(11)의 일부 구간에는 분류기(12)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상 분류기(12)는 컨베이어(11)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고, 각 분류기(12)는 이송물(1)의 정보(예컨대, 배송지역)에 따라 이송물(1)을 슈트(13)를 통해 선택적 배출하여 분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transported object 1 may be transported through a conveyor 11 , and a classifier 12 may be disposed in some sections of the conveyor 11 . Although not shown, in general, a plurality of classifiers 1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conveyor 11 , and each classifier 12 is transported 1 according to information (eg, delivery area) of the transported object 1 . It can be classified by selectively discharging through the chute (13).

분류기(12)는 이송물(1)의 정보에 따라 이송방향을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분류기(12)는 이송물(1)이 배치되는 상면에 복수의 회전구동롤러(14)를 구비할 수 있고, 이송물(1)의 정보에 따라 회전구동롤러(14)가 상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이송물(1)의 이송방향을 변경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분류기(12)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나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할 물류 이송용 슈트(100)는 예시된 바 외 다양한 형태나 방식의 분류기(12)과 적절히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classifier 12 may be formed to be able to change the convey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conveyed object 1 . Typically, the classifier 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tational driving rollers 14 on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transported object 1 is disposed, and the rotational driving roller 14 moves the vertical axi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transported object 1 . It may be formed to rotate around the center to change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ed object (1). However, the classifier 12 may be changed in various forms or methods as necessary,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s. The chute 100 for transporting logistic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used in appropriate combination with the classifier 12 of various types or methods other than the illustrated ones.

상기와 같은 종래 물류 이송용의 슈트(13)는 통상 컨베이어(11)의 구동방향에 직교하는 판형 부품으로 이뤄져 있다. 즉, 슈트(13)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판형의 바닥 부재와, 상기 바닥 부재의 좌우측 모서리에 용접 접합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 부재로 이뤄져, 분류기(12)를 통해 배출되는 이송물(1)을 단순 이송 안내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분류기(12)에 의해 이송방향이 변경된 이송물(1)이 슈트(13)의 측벽에 충돌되거나, 이송물(1)이 슈트(13) 위를 적절히 슬라이딩 이동되지 못하는 사례 등이 발생되고 있다.The conventional chute 13 for transporting materials as described above is usually made of plate-shaped parts orthogonal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11 . That is, the chute 13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bottom member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wall member welded to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bottom member to form a side wall, and the transported material 1 discharged through the classifier 12 . It has only a function to guide the simple transfer. Accordingly,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transported object 1 whose transport direction has been changed by the classifier 12 collides with the side wall of the chute 13, or the transported object 1 cannot properly slide on the chute 13. is becom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물류 이송용 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물류 이송용 슈트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물류 이송용 슈트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ute for logistics trans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chute for transport logistics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chute for transport logistics shown in Figure 2; Figure 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chute for transport logistics shown in Figure 2;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용 슈트(이하, "슈트(100)"로 약칭함)는 분류기(미도시)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분류기(12)를 통해 배출되는 이송물을 이송 안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된 "T1"은 이송물의 이송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슈트(100)는 대략 이송방향(T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물을 배출 안내할 수 있다.2 to 4 , a chute for logistics transport (hereinafter, abbreviated as "su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djacent to a classifier (not shown) and passes through the classifier 12 It can be used to transport and guide the transported material being discharged. "T1" shown in the drawing indicates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ransported material, the chute 100 may guide the discharge of the transported object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direction (T1).

본 실시예의 슈트(100)는 투입부(110), 이송부(120) 및 배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ute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n input unit 110 , a transfer unit 120 , and a discharge unit 130 .

투입부(110)는 분류기와 인접한 영역에서 소정의 좌우 폭 및 전후 길이를 갖고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송부(120)는 투입부(110)의 후단에 연결 설치될 수 있고, 배출부(130)는 이송부(120)의 후단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투입부(110) 내지 배출부(130)는 배출부(130)를 향해 전체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물은 투입부(110)를 통해 슈트(100)로 투입되어, 이송부(120) 및 배출부(130)를 순차적으로 거쳐 슈트(10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ft and right width and a front and rear length in an area adjacent to the classifier. The transfer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input unit 110 , and the discharge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unit 120 . The input unit 110 to the discharge unit 13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s a whole toward the discharge unit 130 . Accordingly, the transported material may be input into the chute 100 through the input unit 110 , and may be discharged from the chute 100 through the transfer unit 120 and the discharge unit 130 sequentially.

투입부(110) 내지 배출부(130)는 하나의 부재를 통해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제작 편의성, 비용 등을 고려해 후술할 바와 같이 복수의 파트로 분할 제작되어 상호 조립 체결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to the discharge unit 130 may be implemented in an integrated form through a single member, but in consideration of manufacturing convenience and cost, the input unit 110 to the discharge unit 130 may be divided and manufactured into a plurality of parts to be inter-assembled and fasten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

이하에서는 상기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본 실시예의 슈트(100)는 투입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chute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the input unit 110 .

투입부(110)는 바닥면(111a, 112a)과 좌우의 측면(111b, 112b)을 구비할 수 있고, 대체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may have bottom surfaces 111a and 112a and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111b and 112b, and may be generally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widths become narrower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투입부(110)는 제1, 2투입부파트(111, 112)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10 may be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input unit parts 111 and 112 .

제1투입부파트(111)는 투입부(110)의 좌측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제2투입부파트(112)는 투입부(110)의 우측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물의 이송방향(T1)을 기준으로, 제1투입부파트(111)는 이송방향(T1)의 후단(도면상,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투입부파트(112)는 이송방향(T1)의 전단(도면상,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무거운 이송물은 대체로 제2투입부파트(112)를 거쳐 후방의 이송부(120)로 이송이 의도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이송물은 대체로 제1투입부파트(111)를 거쳐 후방의 이송부(120)로 이송이 의도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제1, 2롤러부(140, 150)와 관련하여 부연한다.The first input unit part 111 may form a left area of the input unit 110 , and the second input unit part 112 may form a right area of the input unit 110 . Here, based on the transport direction T1 of the transported object, the first input part 111 may be disposed at the rear end (on the drawing, left side) of the transport direction T1, and the second input part part 112 is It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end (on the drawing, right side) of the transport direction T1. In this case, the heavy transported material is generally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 the rear transfer unit 120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part 112 , and the relatively light transferred material is generally transferred to the rear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part 111 . The transfer to the transfer unit 120 may be intended. This will be amplified in rel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roller parts 140 and 150 to be described later.

제1투입부파트(111)는 바닥면(111a)과, 바닥면(111a) 좌측의 측면(111b)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측면(111b)은 바닥면(111a)으로부터 완만한 곡면을 이루며 굽힘 형성되거나, 바닥면(111a)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측면(111b)이 바닥면(111a)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는 바닥면(111a)에 배치된 이송물이 측면(111b)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송물의 횡방향 속도를 측면(111b)을 통해 적절히 감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input part 111 may have a bottom surface 111a and a side surface 111b on the left side of the bottom surface 111a. Preferably, the side surface 111b may be formed by bending a gently curved surface from the bottom surface 111a, or may be formed by being bent stepwise from the bottom surface 111a.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side surface 111b is bent stepwise from the bottom surface 111a is illustrated. This prevents the transported object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111a from being damaged by colliding with the side surface 111b, or allows the lateral speed of the transported object to be appropriately decelerated through the side surface 111b.

제1투입부파트(111)의 바닥면(111a)에는 하나 이상의 제1롤러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롤러부(14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제1롤러부(140)는 평면상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총 3개의 제1롤러부(140)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1롤러부(140)는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고, 제1투입부파트(111) 상의 이송물을 후방으로 이송 안내할 수 있다.One or more first roller units 14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111a of the first input unit part 111 . Preferably, a plurality of first roller units 140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first roller units 14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plan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in which a total of three first roller units 140 are provided is exemplified. The first roller unit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arranged side by side in front and rear, and may transport and guide the conveyed material on the first input unit part 111 to the rear.

제1투입부파트(111)와 유사하게, 제2투입부파트(112)는 바닥면(112a)과, 바닥면(112a) 우측의 측면(112b)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측면(112b)은 바닥면(112a)으로부터 완만한 곡면을 이루며 굽힘 형성되거나, 바닥면(112a)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Similar to the first input part part 111 , the second input part part 112 may have a bottom surface 112a and a side surface 112b on the right side of the bottom surface 112a. Preferably, the side surface 112b may be formed by bending a gentle curved surface from the bottom surface 112a, or may be formed by being bent stepwise from the bottom surface 112a.

또한, 이송방향(T1)의 후단에 배치된 제1투입부파트(111)의 측면(111b)은, 이송방향(T1)의 전단에 배치된 제2투입부파트(112)의 측면(112b) 대비 바닥면(111a)과 이루는 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송방향(T1)에 따라, 제1투입부파트(111)의 측면(111b)을 통해 이송물이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제1투입부파트(111)는 측면(111b)은 바닥면(111a)이 이루는 각도(A1)가 90~100도로 굽힘 또는 절곡 형성될 수 있고, 제2투입부파트(112)의 측면(112b)은 바닥면(112a)과 이루는 각도(A2)가 100~150도로 굽힘 또는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2투입부파트(112)의 측면(112b) 각도(A2)는 이송물이 투입부(110)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side surface 111b of the first input part 111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transport direction T1 is a side surface 112b of the second input part part 112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transport direction T1. The angle formed with the contrast bottom surface 111a may be small. This is because, according to the transfer direction T1 , the transferred material may be separated through the side surface 111b of the first input part 111 . Preferably, the side 111b of the first input part 111 may be bent or bent at an angle A1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111a of 90 to 100 degrees, and the second input part part 112 is The side surface 112b may be bent or bent at an angle A2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112a of 100 to 150 degrees. The angle A2 of the side surface 112b of the second input part 112 is to allow the transported material to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input part 110 .

제2투입부파트(112)의 바닥면(112a)에는 하나 이상의 제2롤러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롤러부(15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제2롤러부(150)는 제2투입부파트(112) 상에서의 이송물의 이송방향(대체로, 전후방향; T2)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총 12개의 제2롤러부(150)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One or more second roller units 15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112a of the second input unit part 112 . Preferably, a plurality of second roller parts 150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oller parts 150 are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ransported object on the second input part part 112 (generally, the front-back direction; T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in which a total of 12 second roller units 150 are provided is exemplified.

각각의 제2롤러부(150)는 상기의 이송방향(T2)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대체로,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롤러부(150)는 제2투입부파트(112)의 바닥면(112a)을 대부분 커버할 수 있도록, 바닥면(112a) 좌우 폭의 50~80%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투입부파트(112)로는 대체로 무거운 이송물의 이송이 의도되므로, 바닥면(112a)과의 마찰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경우에 따라, 각각의 제2롤러부(150)는 바닥면(112a)의 형상 등에 대응해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second roller units 150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generally, a left-right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transfer direction T2. Preferably, the second roller part 150 is formed to extend to a length of 50 to 80% of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bottom surface 112a so as to cover most of the bottom surface 112a of the second input part part 112. can As the second input part 112 is intended to transport a heavy transported material, it is to minimize friction with the bottom surface 112a. In some cases, each of the second roller units 150 may have different length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112a and the like.

제2롤러부(150)는 무거운 이송물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스틸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롤러부(140)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이송물을 이송 안내하므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재질의 롤러는 교체 편의성, 비용, 이송물의 파손 방지 등에 있어 이점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roller unit 15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to prevent damage due to heavy transport. On the other hand, the first roller 14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because it transports and guides a relatively light transported object. A roller made of plastic may have advantages in replacement convenience, cost, and prevention of damage to transported objects.

한편, 본 실시예의 슈트(100)는 이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ut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transfer unit (120).

이송부(120)는 투입부(110)의 후단에 연결 설치될 수 있고, 대체로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120 may be connected and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input unit 110 , and may be generally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widths are narrow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이송부(120)는 이송부바닥파트(121)와, 이송부측벽파트(122)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120 may be divided into a transfer unit bottom part 121 and a transfer unit side wall part 122 .

이송부바닥파트(121)는 이송부(12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고, 대체로 소정의 좌우 폭을 가지고 전후로 연장 형성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transfer unit bottom part 121 may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120 , and may have a plate shape extending back and forth with a predetermined left and right width.

이송부바닥파트(121)에는 하나 이상의 제3롤러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롤러부(16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제3롤러부(160)는 평면상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총 7개의 제3롤러부(160)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3롤러부(160)는 전술한 제1롤러부(140)와 유사하게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고, 이송부바닥파트(121) 상의 이송물을 후방으로 이송 안내할 수 있다.One or more third roller units 160 may be disposed on the transfer unit bottom part 121 . Preferably, a plurality of third roller units 160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third roller units 16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plan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in which a total of seven third roller units 160 is provided is exemplified. The third roller unit 1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arranged in front and rear in parallel to the first roller unit 140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first roller unit 140 , and may transport and guide the conveyed material on the conveying unit bottom part 121 to the rear.

이송부측벽파트(122)는 이송부바닥파트(121)의 좌우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이송부측벽파트(122)의 전단은 투입부(110)의 측면(111b, 112b)에 체결될 수 있고, 이송부측벽파트(122)의 후단은 배출부(130)의 측면(132)에 체결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side wall part 122 may be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ansfer unit bottom part 121 , respectively.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unit side wall part 122 may be fastened to the side surfaces 111b and 112b of the input unit 110 , and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unit side wall part 122 may be fastened to the side surface 132 of the discharge unit 130 . have.

이송부측벽파트(122)는 전후로 연결 조립된 복수의 이송부측벽유닛(1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후로 배치된 3개의 이송부측벽유닛(123)이 일측의 이송부측벽파트(122)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The transfer unit side wall part 12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ansfer unit side wall units 123 connected and assembled back and forth.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case is exemplified in which the three transfer unit side wall units 123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form the transfer unit side wall part 122 on one side.

각각의 이송부측벽유닛(123)은 이송부바닥파트(121)를 향한 일측으로부터 단계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송부측벽유닛(123)은 전후로 연장된 절곡라인(123a)을 가질 수 있고, 이와 같은 절곡라인(123a)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이송부바닥파트(121)를 향한 일측으로부터 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송부바닥파트(121)와의 경계라인을 포함해 총 4개의 절곡라인(123a)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Each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may be formed by bending stepwise from one side toward the transfer unit bottom part 121 . That is, the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may have a bent line 123a extending back and forth, and a plurality of such bending lines 123a ar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one side toward the transfer unit floor part 121 to the left and right. ha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in which a total of four bending lines 123a are provided including a boundary line with the transfer unit bottom part 121 is exemplified.

이송부측벽유닛(123)의 전단 일부 영역에는 중첩부(123b)가 구비될 수 있다. 중첩부(123b)는 이송부측벽유닛(123)의 전단 일부가 다른 이송부측벽유닛(123)의 후단에 겹쳐져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송부측벽유닛(123)의 전단 상면이, 전방에 배치된 다른 이송부측벽유닛(123)의 후단 저면에 접하도록 겹쳐져, 소정 영역의 중첩부(123b)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첩부(123b)로 인해, 전후로 인접한 이송부측벽유닛(123) 간의 경계에는 일종의 단차(step)가 형성될 수 있다.An overlapping portion 123b may be provid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 The overlapping portion 123b may be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overlaps the rear end of the other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is overlapp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other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disposed in the front, thereby forming an overlapping portion 123b of a predetermined area. Due to this overlapping portion 123b, a kind of step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ront and rear adjacent transfer unit side wall units 123 .

상기와 같은 중첩부(123b) 또는 단차는, 이송물의 이송 과정에서 슈트(100)와 이송물의 저면 간에 소정의 공극을 형성하여, 슈트(100)와 이송물 간의 마찰이나 정전기 발생을 줄여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물이 슈트(100)를 따라 보다 원활히 이송될 수 있다.The overlapping portion 123b or the step as described above forms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chute 1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orted object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transported object, thereby reducing friction or static electricity between the chute 100 and the transported object. . Accordingly, the transported material can be more smoothly transported along the chute 100 .

한편, 본 실시예의 슈트(100)는 배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ut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discharge unit 130 .

배출부(130)는 이송부(120)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이송물을 슈트(100) 외부로 배출 안내할 수 있다. 배출부(130)는 대체로 이송부바닥파트(121)에 대응되는 바닥면(131)과, 대체로 이송부측벽파트(122)에 대응되는 측면(13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conveying unit 120 to guide the conveyed material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hute 100 . The discharge unit 130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131 that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transfer unit bottom part 121 and a side surface 132 that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transfer unit side wall part 122 .

여기서, 전술한 투입부(110) 및 이송부(120)의 중심선(C1)과, 배출부(130)의 중심선(C2)은 소정의 각도(A3)를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 투입부(110) 및 이송부(120)의 중심선(C1)은 배출부(130)의 중심선(C2)과 120~150도의 사이각(A3)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투입부(110) 및 이송부(120)의 중심선(C1)은 이송물의 이송방향(T1)과 소정의 각도(A4)를 이룰 수 있고, 배출부(130)의 중심선(C2)은 상기의 이송방향(T1)에 대략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투입부(110) 및 이송부(120)의 중심선(C1)은 이송물의 이송방향(T1)과 120~150도의 사이각(A4)을 가질 수 있고, 배출부(130)의 중심선(C2)은 상기의 이송방향(T1)과 90도의 사이각(A5)을 가질 수 있다.Here, the above-described center line C1 of the input unit 110 and the transfer unit 120 and the center line C2 of the discharge unit 130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A3. Preferably, the center line C1 of the input unit 110 and the transfer unit 120 may have an angle A3 between the center line C2 of the discharge unit 130 and 120 to 150 degrees. Alternatively, the center line C1 of the input unit 110 and the transfer unit 120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A4 with the transfer direction T1 of the transferred object, and the center line C2 of the discharge unit 130 is It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transfer direction T1. Preferably, the center line C1 of the input unit 110 and the transfer unit 120 may have an angle A4 between the transfer direction T1 and 120 to 150 degrees of the transfer object, and the center line C2 of the discharge unit 130 . ) may have an angle A5 between the transfer direction T1 and 90 degrees.

상기에서 투입부(110) 및 이송부(120)의 중심선(C1)은 대체로 투입부(110) 및 이송부(120)의 좌우 폭 방향 중앙 지점을 연결한 가상의 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배출부(130)의 중심선(C2)은 배출부(130)의 좌우 폭 방향 중앙 지점을 연결한 가상의 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center line C1 of the input unit 110 and the transfer unit 120 may be generally defined as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central points of the input unit 110 and the transfer unit 120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Similarly, the center line C2 of the discharge unit 130 may be defined as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central points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discharge unit 130 .

상기와 같은 경우 투입부(110) 내지 이송부(120)는 이송물의 이송방향(T1)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거나 기울어지게 배치된 이송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방향(T1)의 관성에 따른 이송물의 이동경로를 보다 적절히 안내할 수 있고, 이송물이 슈트(100)의 측면 등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절곡 또는 굴곡된 투입부(110)의 측면(111b)이나 이송부측벽파트(122)를 통해, 이송물이 슈트(100)의 측면 등으로 유입되더라도 이송물의 속도를 적절히 감속시켜 충돌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경사진 이송로와 상호 보완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In such a case, the input unit 110 to the transfer unit 120 may form a transfer path that is inclined or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transfer direction T1 of the transferred objec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appropriately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transported object according to the inertia of the transport direction (T1),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nsported object from being damaged by colliding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hute 100 or the like. Of cours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rough the side 111b or the transfer unit side wall part 122 of the input unit 110 that is bent or bent stepwise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conveyed material flows into the side of the chute 100, etc. By properly slowing down the speed of the conveyed object, collision or damage can be prevented, which can function complementary to the inclined conveying path.

필요에 따라, 배출부(130)의 바닥면(131)에는 하나 이상의 제4롤러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4롤러부(17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제4롤러부(170)는 바닥면(131)에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4롤러부(170)는 전술한 제1롤러부(140)와 유사하게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롤러를 구비하고, 이송물을 후방으로 이송 안내할 수 있다.If necessary, one or more fourth roller units 17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131 of the discharge unit 130 . Preferably, a plurality of fourth roller units 170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fourth roller units 170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on the bottom surface 131 . Each of the fourth roller units 1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arranged in front and back,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first roller unit 140 , and may transport and guide the conveyed material to the rear.

필요에 따라, 이송물이 접촉 슬라이딩되는 투입부(110) 내지 배출부(130)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111c)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111c)는 투입부(110) 등의 표면(상면)에 소정 형상을 가지고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다수개가 투입부(110) 등의 표면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돌기(111c)는 대체로 이송물의 이동궤적(T2, T3)에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소정 정도 연장된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돌기(111c)는 투입부(110) 등의 표면에 엠보싱(embossing) 처리를 통해 형성된 요철 형태로 구현되거나, 도장 표면에 요철 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유사 구성을 형성하는 도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If necessary, a plurality of projections 111c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put unit 110 to the discharge unit 130 on which the transported material slides in contact. The protrusions 111c may protrude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input unit 110 ,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regularly or irregularly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input unit 110 , etc. Preferably, the protrusion 111c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degre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moving trajectories T2 and T3 of the transported object. Alternatively, the protrusion 111c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ncavities and convexities formed through embossing on the surface of the input unit 110, etc. can

이상과 같은 슈트(100)는 이송물(1)의 관성에 대응해 경사진 이송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투입부(110)로 투입된 이송물(1)은 이송방향(T1)의 관성에 따라 소정 정도 경사진 이송경로를 갖게 되는데, 투입부(110) 내지 이송부(120)과 이에 대응되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이송물(1)의 충돌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원활한 이송 안내가 가능한 것이다.The chute 100 as described above may provide an inclined transfer path in response to the inertia of the transfer object 1 . The transported object 1 fed into the input unit 110 has a transport path inclined to a certain degree depending on the inertia of the transport direction T1, and the input part 110 to the transport part 120 and the corresponding inclined shape are formed. Since it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 or damage of the transported object 1 and to guide the transport smoothly.

또한, 본 실시예의 슈트(100)는 투입부(110)의 측면(111b)이나 이송부(120)의 이송부측벽유닛(123)이 단계적으로 절곡 또는 굴곡된 형태를 가져, 이송물이 관성에 의해 측면(111b) 등으로 유입되는 경우에도 이송물의 속도를 적절히 감속시키고 슈트(100) 중앙으로의 이송을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이송물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유입 또는 충돌될 수 있는 제1투입부파트(111)의 측면(111b)은 바닥면(111a)과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 단차 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감속 동작이 보다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ute 100 of this embodiment has a form in which the side 111b of the input unit 110 or the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of the transfer unit 120 is bent or bent step by step, so that the transferred object is sideways due to inertia Even if it flows into the (111b), etc., the speed of the transported object may be appropriately reduced and the transport to the center of the chute 100 may be guided. In particular, the side surface 111b of the first input part 111 to which the conveyed material can be relatively strongly introduced or collide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111a, so that the assembly step and the like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the deceleratio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또한, 본 실시예의 슈트(100)는 복수의 이송부측벽유닛(123)이 소정 구간의 중첩부(123b)를 가지고 전후로 중첩되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한 이송부측벽유닛(123) 간에 소정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단차는 마찰이나 정전기 발생을 줄여줄 수 있는 일종의 공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hute 100 of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transfer unit side wall units 1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have an overlapping portion 123b of a predetermined section overlapping back and forth. Accordingly, a predetermined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 adjacent transfer unit side wall units 123 , and the step may function as a kind of void that can reduce friction or static electricity.

또한, 본 실시예의 슈트(100)는 이송물의 무게에 따른 상이한 이송경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송물은 이송물의 중량에 따라 제2투입부파트(112)로 진입 및 이송될 수 있고(도 3의 T2 참조), 상대적으로 가벼운 이송물은 제1투입부파트(111)로 진입 및 이송될 수 있다(도 3의 T3 참조). 이에 대응해 제2투입부파트(112)에는 제2롤러부(150)가 배치되고, 제1투입부파트(111)에는 제1롤러부(140)가 배치되어, 각 이송물의 중량에 따라 적절한 이송 안내가 이뤄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hut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effectively respond to different transport path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object. That is, a relatively heavy transported object may enter and be transported to the second input part 112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object (see T2 in FIG. 3 ), and a relatively light transported object may be transferred to the first input part part 111 . It can be entered and transferred to the furnace (refer to T3 in FIG. 3). Correspondingly, the second roller part 150 is disposed on the second input part 112 , and the first roller part 140 is disposed on the first input part part 111 . Transport guidance may be provided.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롤러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롤러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롤러홀더의 측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roller shown in FIG. 2 .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ller case shown in FIG. 8 is a side view of the roller holder shown in FIG.

도 6은 도 2에 표시된 E1-E1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6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롤러부(140)를 대표로 예시하여 설명하나, 이송부(120)에 구비된 제3롤러부(160) 또는 배출부(130)에 구비된 제4롤러부(170) 또한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투입부파트(112)에 구비된 제2롤러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롤러부(140) 등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FIG. 6 shows a cross-section taken along the line E1-E1 shown in FIG. 2 . In FIG. 6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irst roller unit 140 is exemplified as a representative, but the third roller unit 160 provided in the conveying unit 120 or the fourth roller unit provided in the discharge unit 130 ( 170) may also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However, the second roller unit 150 provided in the second input unit part 112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first roller unit 140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제1롤러부(140)는 롤러브라켓(141)을 구비할 수 있다.6 to 8 , the first roller unit 140 may include a roller bracket 141 .

롤러브라켓(141)은 투입부(110)의 저면 부위에 장착되어, 롤러케이스(142) 등의 설치를 위한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롤러브라켓(141)은 소정의 좌우 폭을 가진 브라켓저면부(141a)를 구비할 수 있고, 브라켓저면부(141a)의 좌우 측단으로부터는 상측으로 브라켓측면부(141b)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롤러브라켓(141)의 횡단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을 향해 개구된 "ㄷ"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브라켓저면부(141a) 및 브라켓측면부(141b)에 의해 소정의 케이스삽입공간(141c)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롤러브라켓(141)의 전단 및 후단은 각각 개방되어 있고, 이에 따라, 후술할 롤러케이스(142)가 전후 방향으로 롤러브라켓(141)에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브라켓측면부(141b)의 상단에는 투입부(110)의 장착 고정을 위한 장착플랜지(141d)가 구비될 수 있다.The roller bracket 141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put unit 110 to provide a support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roller case 142 and the like. The roller bracket 141 may include a bracket bottom surface portion 141a having a predetermined left and right width, and the bracket side surface portion 141b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ends of the bracket bottom surface portion 141a. The cross section of the roller bracket 141 may have a "C" shape opened toward the upper side as shown, and a predetermined case insertion space 141c is formed by the bracket bottom surface portion 141a and the bracket side surface portion 141b.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roller bracket 141 are open, respectively, and accordingly, a roller case 142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roller bracket 141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be assembled. A mounting flange 141d for mounting and fixing the input unit 11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side portion 141b.

한편, 제1롤러부(140)는 롤러케이스(142)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roller unit 140 may include a roller case 142 .

롤러케이스(142)는 케이스삽입공간(141c)에 장착 배치되어, 후술할 롤러홀더(143)를 지지할 수 있다. 케이스삽입공간(141c)은 전후단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롤러케이스(142)는 롤러브라켓(141)의 전단 또는 후단을 통해 케이스삽입공간(141c)에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롤러케이스(142)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롤러케이스(142)나 롤러(144)의 교체를 간편하게 한다.The roller case 142 is mounted in the case insertion space 141c and can support the roller holder 143 to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ase insertion space 141c are open, the roller case 142 may be assemb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ase insertion space 141c through the front or rear ends of the roller bracket 141 . In this way, the assembly of the roller case 142 is facilitated, and the roller case 142 or the roller 144 is easily replaced.

롤러케이스(142)는 롤러브라켓(141)과 대응되도록 대체로 상측을 향해 개구된 "ㄷ"자 형태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롤러케이스(142)는 상기의 횡단면을 가지고 전후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roller case 142 may have a "U"-shaped cross-section that is generally opened toward the upper side to correspond to the roller bracket 141 . In addition, the roller case 142 may be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back and forth having the above cross-section.

구체적으로, 롤러케이스(142)는 좌우로 소정 폭을 가진 케이스저면부(142a)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저면부(142a)는 브라켓저면부(141a)에 안착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저면부(142a)의 좌우측 단부에는 케이스측면부(142b)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측면부(142b)는 케이스저면부(142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oller case 142 may include a case bottom portion 142a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left and right. The case bottom surface portion 142a may be disposed to be seated on the bracket bottom surface portion 141a. A case side portion 142b may b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ase bottom surface portion 142a. The case side portion 142b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the case bottom surface portion 142a.

케이스저면부(142a)에는 상향절곡부(142c)가 형성될 수 있다. 상향절곡부(142c)는 대략 케이스저면부(142a)의 좌우 중앙에 배치될 수 있고, 소정의 좌우 폭과 돌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향절곡부(142c)는 케이스저면부(142a)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향절곡부(142c)는 도시된 바와 같은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케이스저면부(142a)를 따라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향절곡부(142c)는 이러한 돌출 형상에 의해 브라켓저면부(141a)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즉, 상향절곡부(142c)와 브라켓저면부(141a)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142d)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격(142d)은 롤러케이스(142)의 탄성 변형이나 완충 작용을 위한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다.An upwardly bent portion 142c may be formed in the case bottom portion 142a. The upwardly bent portion 142c may be disposed approximately at the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case bottom surface portion 142a,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left and right width and a protruding height. The upwardly bent portion 142c may be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case bottom surface portion 142a. In addition, the upwardly bent portion 142c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and be formed to extend back and forth along the case bottom surface portion 142a. The upwardly bent portion 142c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racket bottom surface portion 141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such a protruding shape. That is, a predetermined clearance 142d may be formed between the upwardly bent portion 142c and the bracket bottom surface portion 141a. The clearance 142d may function as a space for elastic deformation or cushioning action of the roller case 142 .

또한, 상향절곡부(142c)에는 롤러케이스(142)를 롤러브라켓(141)에 조립시키기 위한 케이스체결홀(142e)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체결홀(142e)에는 소정의 케이스체결구(142f)가 체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롤러케이스(142)가 롤러브라켓(141)에 조립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체결홀(142e)은 롤러케이스(142)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case fastening hole 142e for assembling the roller case 142 to the roller bracket 141 may be formed in the upwardly bent portion 142c. A predetermined case fastening hole 142f may be fastened to the case fastening hole 142e, whereby the roller case 142 may be assembled and fixed to the roller bracket 141. A plurality of case fastening holes 142e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roller case 142 .

케이스측면부(142b)의 상단에는 롤러지지부(142g)가 형성될 수 있다. 롤러지지부(142g)는 케이스측면부(142b)의 상단 일부가 롤러케이스(142)의 내측을 향해 개구된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롤러홀더(143)는 롤러지지부(142g)에 전후 방향으로 삽입되어 장착 지지될 수 있다.A roller support portion 142g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ase side portion 142b. The roller support part 142g may be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ase side part 142b into a "C" shape that is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roller case 142 . The roller holder 143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mounted and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roller support part 142g in the front-rear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와 같은 롤러케이스(142)는 상향절곡부(142c)를 포함하는 케이스저면부(142a)와, 롤러지지부(142g)를 포함하는 케이스측면부(142b)가, 하나의 판형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일체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롤러케이스(142)는 자체의 절곡 형상을 통해 롤러(144)로 전달되는 외력을 일부 완충시킬 수 있도록 탄성 부재로 이뤄질 수 있다.Preferably, in the roller case 142 as described above, the case bottom surface portion 142a including the upwardly bent portion 142c and the case side portion 142b including the roller support portion 142g are bent of one plate-shaped member. It may be composed of an integral part formed by In addition, the roller case 142 may be made of an elastic member to partially buffer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roller 144 through its bending shape.

한편, 제1롤러부(140)는 롤러홀더(143)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roller unit 140 may include a roller holder 143 .

롤러홀더(143)는 롤러케이스(142)의 상단에 구비된 롤러지지부(142g)에 체결될 수 있다. 롤러홀더(143)는 대체로 전후로 소정 길이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롤러지지부(142g) 전단 또는 후단의 개구부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삽입되어, 롤러지지부(142g)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롤러홀더(143)를 전후 방향으로 삽입하거나 인출하여 롤러홀더(143) 및 롤러(144)를 롤러케이스(142)로부터 쉽게 분리 및 장착시킬 수 있다.The roller holder 143 may be fastened to the roller support 142g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roller case 142 . The roller holder 143 may have a shap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ward and backward, and may be inser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rough an opening at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roller support part 142g to be fastened to the roller support part 142g.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and mount the roller holder 143 and the roller 144 from the roller case 142 by inserting or withdrawing the roller holder 143 in the front-rear direction.

롤러홀더(143)는 롤러(144)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롤러축(143a)을 구비할 수 있다. 롤러축(143a)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후로 총 5개의 롤러축(143a)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The roller holder 143 may include a roller shaft 143a providing a rotation shaft of the roller 144 . A plurality of roller shafts 143a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 case in which a total of five roller shafts 143a are provided in front and back is exemplified.

필요에 따라, 롤러축(143a)은 롤러홀더(143)의 상하 중앙으로부터 소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롤러축(143a)은 롤러홀더(143)의 상단으로부터 제1간격(G1) 이격될 수 있고, 롤러홀더(143)의 하단으로부터 제2간격(G2) 이격될 수 있는데, 상기의 제1간격(G1)과 제2간격(G2)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간격(G1)이 제2간격(G2) 대비 크게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If necessary, the roller shaft 143a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centers of the roller holder 143 by a predetermined degree. That is, the roller shaft 143a may be spaced apart by a first interval G1 from the upper end of the roller holder 143 and may be spaced apart by a second interval G2 from the lower end of the roller holder 143, the first The gap G1 and the second gap G2 may b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the first gap G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gap G2 is exemplified.

상기의 경우, 롤러홀더(143)의 체결 방향을 변경하여 슈트(100)의 바닥면(111a)으로부터 돌출된 롤러(144)의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물의 종류, 슈트(100)의 전체적인 경사 등을 고려해 적절한 롤러(144)의 높이를 선택하고, 이송물과 바닥면(111a) 간의 마찰이나 이송물의 이송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roller 144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111a of the chute 100 may be changed by changing the fastening direction of the roller holder 143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lect an appropriate height of the roller 144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transported object, the overall inclination of the chute 100, and the like, and adjust the friction between the transported object and the bottom surface 111a or the transporting speed of the transported object.

전후로 인접한 롤러축(143a)의 사이에는 스페이싱바(143b)가 구비될 수 있다. 스페이싱바(143b)는 전후로 인접한 롤러(144) 사이를 구획하여, 롤러(144)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고, 전후의 롤러(144)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어느 하나의 롤러(144)가 이송물의 하중 등에 의해 롤러축(143a)에서 이탈된 경우, 스페이싱바(143b)는 상기 이탈된 롤러(144)가 전후로 인접한 다른 롤러(144)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롤러(144)에 파손 등이 발생되더라도 제1롤러부(140)는 적절히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A spacing bar (143b)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adjacent roller shafts (143a). The spacing bar 143b partitions between the front and rear adjacent rollers 144, guide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roller 144, and prevents the front and rear rollers 144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For example, when any one of the rollers 144 is separated from the roller shaft 143a due to the load of the transported material, the spacing bar 143b may interfere with the other rollers 144 adjacent to the separated roller 144 back and forth. it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even if some of the rollers 144 are damaged, the first roller unit 140 may properly maintain its function.

필요에 따라, 롤러홀더(143)는 롤러지지부(142g)를 향하는 측면에 스키드바(143c)를 구비할 수 있다. 스키드바(143c)는 롤러홀더(143)의 일측(좌측) 및 반대측(우측) 측면에 체결될 수 있고, 롤러홀더(143)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전후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스키드바(143c)는 아세탈 플라스틱 등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이뤄져 롤러홀더(143)의 삽입 체결 및 분리를 보조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roller holder 143 may be provided with a skid bar (143c) on the side facing the roller support (142g). The skid bar 143c may be fastened to one (left) and opposite (right) sides of the roller holder 143 , and may be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back and forth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roller holder 143 . The skid bar 143c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such as acetal plastic, to assist in the insertion,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roller holder 143 .

한편, 제1롤러부(140)는 롤러(144)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roller unit 140 may include a roller 144 .

롤러(144)는 롤러홀더(143)의 롤러축(143a)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롤러(144)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투입부(110) 등의 바닥면(111a)으로 노출되어, 이송물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The roller 144 may be rotatably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roller shaft 143a of the roller holder 143 . A plurality of rollers 144 may be provided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ack and forth, and at least some of them are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111a of the input unit 110, etc. as shown in FIG. have.

바람직하게, 제1롤러부(140)의 롤러(144)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의 롤러(144)는 아세탈 플라스틱을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2롤러부(150)가 무거운 이송물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뤄진 것과 대비된다. 제1롤러부(140) 또는 제1투입부파트(111)는 대체로 가벼운 이송물의 이동을 의도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단가가 비싸고 교체 등 유지 관리가 어려운 금속 재질의 대형 롤러보다는 가볍고 취급이나 교체가 용이한 플라스틱 롤러를 적용한 것이다.Preferably, the roller 144 of the first roller unit 14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For example, the roller 144 may be made of acetal plastic. This is in contrast to that the above-described second roller unit 15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o prevent damage due to heavy transport. Since the first roller unit 140 or the first input unit part 111 is generally intended to move light transported material, it is lighter and easier to handle or replace than a large metal roller, which is relatively expensive and difficult to maintain, such as replacement. A plastic roller is applied.

참고로, 이송부(120)에 구비된 제3롤러부(160) 및 배출부(130)에 구비된 제4롤러부(170)는 상기의 제1롤러부(140)와 유사한 형태로 예시되고 있는데, 이는 이송부(120)나 배출부(130)의 경우 상대적으로 이송물에 의한 충격이나 하중이 덜 작용하는 구역임을 고려한 것이다. 즉, 이송물은 분류기에 의해 투입되는 투입부(110) 부위에서 슈트(100)에 상대적으로 강한 충격이나 하중을 가하고, 투입부(11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이송물의 운동이 정렬되기 때문에, 이송부(120)나 배출부(130)에서는 롤러의 강성 등이 크게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For reference, the third roller unit 160 provided in the transfer unit 120 and the fourth roller unit 170 provided in the discharge unit 130 are exemplified in a form similar to the first roller unit 140 described above. , thi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case of the transfer unit 120 or the discharge unit 130 as a region in which the impact or load by the transported object is relatively less applied. That is, since the transported object applies a relatively strong impact or load to the chute 100 at the input part 110 input by the classifier, and moves backward along the input part 110,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ed object is aligned, In the conveying unit 120 or the discharging unit 130 , the rigidity of the roller may not be a problem.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1롤러부의 변형예이다.9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roller shown in FIG.

도 9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제1롤러부(240)는 가압스크류(2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first roller unit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crew 245 .

가압스크류(245)는 브라켓저면부(241a)에 형성된 저면슬리브(241e)에 체결될 수 있다. 가압스크류(245)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저면슬리브(241e) 중앙의 스크류홀(241f)에 나사결합될 수 있고, 상단은 브라켓저면부(241a)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향절곡부(242c)를 지지할 수 있다. 가압스크류(245)의 상단에는 고무 등 탄성 재질로 이뤄진 탄성캡(245a)이 씌워질 수 있고, 가압스크류(245)는 탄성캡(245a)을 사이에 두고 상향절곡부(142c)를 소정 정도 가압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가압스크류(245)를 돌려 가압스크류(245)에 의한 탄성 지지력이나 가압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롤러로부터 전달되는 이송물의 하중은 탄성캡(245a)을 통해 소정 정도 완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물이나 롤러(144)의 파손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essure screw 245 may be fastened to the bottom sleeve 241e formed on the bracket bottom part 241a. The pressure screw 245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n be screwed into the screw hole 241f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leeve 241e, and the upp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racket bottom part 241a to form an upwardly bent part 242c. can support An elastic cap 245a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may be covered on the upper end of the pressure screw 245, and the pressure screw 245 presses the upwardly bent portion 142c to a predetermined degree with the elastic cap 245a interposed therebetween. It may be formed to elastically support. In this case, the user can properly adjust the elastic support force or the pressing force by the pressure screw 245 by turning the pressure screw 245, and the load of the conveyed material transmitted from the roller can be buffered to a certain extent through the elastic cap 245a. have. Accordingly,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conveyed material or the roller 144 can be expected.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중첩부의 확대도이다.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overlapping portion shown in FIG. 5 .

도 10을 참조하면, 이송부측벽유닛(123)의 전단은 인접한 다른 이송부측벽유닛(123)의 후단에 소정 정도 중첩되어 중첩부(123b)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측벽유닛(123)은 대체로 전후로 연장된 복수의 절곡라인(123a)을 구비하고, 단계적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뤄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may overlap the rear end of another adjacent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to some extent to form an overlapping portion 123b. 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ending lines (123a) generally extending back and forth, and may be formed in a bent form in stages.

이송부측벽유닛(123)의 전단에는 다른 이송부측벽유닛(123)과의 접합을 위한 접합편(123c)이 마련될 수 있다. 접합편(123c)은 다른 이송부측벽유닛(123)의 후면에 접합되어 전술한 중첩부(123b)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접합편(123c)에는 절곡라인(123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대략 "V"자 형태의 절개부(123d)가 마련될 수 있다. 절개부(123d)는 절곡라인(123a)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가 접합편(123c)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A bonding piece 123c for bonding with another conveying side wall unit 123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veying unit side wall unit 123 . The bonding piece 123c may be bond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other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to form the aforementioned overlapping portion 123b. Here, a substantially “V”-shaped cutout 123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line 123a may be provided in the bonding piece 123c. A plurality of cutouts 123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nding piece 123c according to the number of bending lines 123a.

상기와 같은 절개부(123d)는 복수의 절곡라인(123a)에도 불구하고 이송부측벽유닛(123)의 전단이 중첩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적절히 절곡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절개부(123d)는 절곡라인(123a)의 성형 전 미리 가공되어 절곡라인(123a)의 성형을 위한 일종의 가이드로 기능할 수 있다. The cut-out portion 123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to be appropriately bent without being overlapped or deformed despite the plurality of bending lines 123a. In addition, the cutout 123d may be pre-processed before forming the bending line 123a to function as a kind of guide for forming the bending line 123a.

또한, 전후로 인접한 이송부측벽유닛(123) 간은 절개부(123d)를 포함하는 라인에서 상호 용접(W1) 접합될 수 있다. 즉, 전후로 인접한 이송부측벽유닛(123) 간은 절곡라인(123a)이 중앙을 지나는 "V"자 형태의 용접부(W1)를 형성하며 상호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곡 형상에도 불구하고, 전후로 인접한 이송부측벽유닛(123) 간이 보다 견고하게 용접 접합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front and rear adjacent transfer unit side wall units 123 may be welded to each other in a line including the cutout 123d (W1). That is, between the front and rear adjacent transfer unit side wall units 123, the bending line 123a passes through the center to form a "V"-shaped welded portion W1 and may be bonded to each other. Accordingly, in spite of the bent shape, the front and rear adjacent transfer unit side wall units 123 can be more firmly welded together.

이상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물류 이송용 슈트(100)는 비교적 저비용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이송물의 관성에 따른 충돌이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이송물의 중량에 따른 효과적인 이송이 가능하며, 이송물을 보다 안전하고 이송 및 배출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ute 100 for transporting logistic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at a relatively low cost, and collision or damage caused by the inertia of the transported object can be prevented, and effective transport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ransported object can be prevented. It i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to transport and discharge the transported material more safe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장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or changed by addition, etc.,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물류 이송용 슈트 110: 투입부
111: 제1투입부파트 112: 제2투입부파트
120: 이송부 121: 이송부바닥파트
122: 이송부측벽파트 130: 배출부
140: 제1롤러부 150: 제2롤러부
160: 제3롤러부 170: 제4롤러부
100: chute for logistics transport 110: input unit
111: first input part part 112: second input part part
120: transfer unit 121: transfer unit bottom part
122: transfer part side wall part 130: discharge part
140: first roller unit 150: second roller unit
160: third roller unit 170: fourth roller unit

Claims (6)

분류기에 의해 이송물이 투입되는 투입부(110);
상기 투입부(110)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물을 이송 안내하는 이송부(120); 및
상기 이송부(120)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물을 배출 안내하는 배출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투입부(110)는,
상기 투입부(110)의 좌우 폭 방향 중앙 지점을 연결한 중심선(C1)이, 상기 이송물의 이송방향(T1)과 소정 각도(A4)를 이루며 경사지게 배치되고, 제1롤러부(140)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방향(T1)에 따른 후방에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가벼운 이송물을 이송하도록 의도되는 제1투입부파트(111)와, 제2롤러부(150)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방향(T1)에 따른 전방에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송물을 이송하도록 의도되는 제2투입부파트(112)를 구비하고,
상기 제1투입부파트(111)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제1롤러부(140)가 배치된 바닥면(111a)과, 상기 바닥면(111a)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단계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분류기로부터 투입된 이송물을 소정 정도 감속시키도록 형성된 측면(111b)을 구비하고,
상기 제1롤러부(14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뤄져 복수개가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된 롤러(144)를 구비하고,
상기 제2롤러부(150)는,
금속 재질로 이뤄져 상기 제2투입부파트(112)의 바닥면(112a)에 좌우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기 이송물의 이송방향(T2)을 따라 전후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물류 이송용 슈트.
an input unit 110 into which the conveyed material is input by the classifier;
a transfer unit 120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input unit 110 to transfer and guide the conveyed material; and
A discharge unit 130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conveying unit 120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conveyed material; including,
The input unit 110,
A center line (C1) connecting the central points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input unit (110) is inclin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A4) with the conveying direction (T1) of the conveyed material, and a first roller unit (140) is provided. and a first input part part 111 and a second roller part 150 that are disposed at the rear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T1 and are intended to transport relatively light transported materials, and include the transport direction T1. It is disposed in the front according to, provided with a second input part 112 intended to transport a relatively heavy transport,
The first input part 111 is,
The bottom surface 111a on which one or more of the first roller parts 140 are disposed, and the bottom surface 111a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111a, bent stepwise, to slow down the conveyed material fed from the classifier to a predetermined degree Having a side surface (111b),
The first roller unit 140,
A plurality of rollers 144 made of a plastic material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front and back,
The second roller unit 150,
A chute for logistics transport, which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extends from side to side on the bottom surface (112a) of the second input part part (112), a plurality of which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ransport direction (T2) of the transported objec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부(140)는,
상기 제1투입부파트(111)의 저면 부위에 장착되고, 케이스삽입공간(141c)을 형성하는 브라켓저면부(141a)와 브라켓측면부(141b)를 구비하며, 전단 및 후단이 개방 형성되어 있는 롤러브라켓(141);
상기 케이스삽입공간(141c)으로 삽입 체결되는 롤러케이스(142); 및
상기 롤러케이스(142)에 전후 방향으로 삽입 체결되고, 상기 롤러(144)를 장착 지지하는 롤러홀더(143);를 포함하되,
상기 롤러케이스(142)는,
좌우로 소정 폭을 가지고 전후로 연장 형성되되, 중앙에 상향절곡부(142c)가 구비된 케이스저면부(142a); 및
상기 케이스저면부(142a)의 좌우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단에 상기 롤러홀더(143)가 삽입 체결되는 롤러지지부(142g)가 마련된 케이스측면부(142b);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홀더(143)는,
상기 롤러(144)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롤러축(143a); 및
전후로 인접한 상기 롤러축(143a)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롤러(144)의 장착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스페이싱바(143b);를 포함하는, 물류 이송용 슈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oller unit 140,
A roller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input part 111 and having a bracket bottom surface portion 141a and a bracket side surface portion 141b forming a case insertion space 141c, the front and rear ends of which are open bracket 141;
a roller case 142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case insertion space 141c; and
A roller holder 143 that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roller case 142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supports the roller 144 mounted thereon; including,
The roller case 142,
a case bottom portion 142a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side to side and extending back and forth with an upward bending portion 142c in the center; and
It is formed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ase bottom surface portion (142a), the case side portion (142b) provided with a roller support portion (142g) into which the roller holder 143 is inserted and fastened at the upper end;
The roller holder 143,
a plurality of roller shafts 143a to which the rollers 144 are rotatably fastened; and
A plurality of spacing bars (143b) that extend from side to side between the front and rear adjacent roller shafts (143a) and partition the mounting space of the rollers (144); including, a logistics transport sui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143a)은,
상기 롤러홀더(143)의 상단으로부터 제1간격(G1) 이격되고, 상기 롤러홀더(143)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간격(G1)과 상이한 제2간격(G2) 이격되어, 상기 롤러홀더(143)의 체결 방향에 따라 상기 롤러(144)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물류 이송용 슈트.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roller shaft (143a) is,
A first interval (G1)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roller holder (143), and a second interval (G2) different from the first interval (G1) from the lower end of the roller holder (143), the roller holder (143) ) is form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roller 144 according to the fastening direction of the, logistics transport chu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부(140)는,
상기 브라켓저면부(141a)에 형성된 저면슬리브(241e)로 나사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상향절곡부(142c)의 저면을 접촉 지지하는 탄성캡(245a)이 구비되어, 상기 롤러케이스(142)를 가압 탄성 지지하는 가압스크류(245)를 더 포함하는, 물류 이송용 슈트.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roller unit 140,
It is screwed to the bottom sleeve 241e formed on the bracket bottom part 141a, and an elastic cap 245a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wardly bent part 142c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the roller case 142 is provided.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screw 245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ressure, chute for logistics transport.
분류기에 의해 이송물이 투입되는 투입부(110);
상기 투입부(110)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물을 이송 안내하는 이송부(120); 및
상기 이송부(120)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물을 배출 안내하는 배출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투입부(110)는,
상기 투입부(110)의 좌우 폭 방향 중앙 지점을 연결한 중심선(C1)이, 상기 이송물의 이송방향(T1)과 소정 각도(A4)를 이루며 경사지게 배치되고, 제1롤러부(140)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방향(T1)에 따른 후방에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가벼운 이송물을 이송하도록 의도되는 제1투입부파트(111)와, 제2롤러부(150)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방향(T1)에 따른 전방에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송물을 이송하도록 의도되는 제2투입부파트(112)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부(120)는,
이송부바닥파트(121); 및
상기 이송부바닥파트(121)의 좌우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부(120)의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이송부측벽파트(122);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측벽파트(122)는,
중첩부(123b)를 형성하며 전후로 단차지게 연결된 복수의 이송부측벽유닛(123)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부측벽유닛(123)은,
상기 이송부측벽유닛(123)에 전후로 연장 형성되되, 복수개가 좌우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절곡라인(123a);
상기 이송부측벽유닛(123)의 전단에 마련되어, 인접한 다른 이송부측벽유닛(123)의 저면에 결합되는 접합편(123c); 및
상기 절곡라인(123a)이 지나는 상기 접합편(123c)의 일측에 "V"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인접한 다른 이송부측벽유닛(123)의 저면에 용접 접합(W1)되는 절개부(123d);를 포함하는, 물류 이송용 슈트.
an input unit 110 into which the conveyed material is input by the classifier;
a transfer unit 120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input unit 110 to transfer and guide the conveyed material; and
A discharge unit 130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conveying unit 120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conveyed material; including,
The input unit 110,
A center line (C1) connecting the central points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input unit (110) is inclin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A4) with the conveying direction (T1) of the conveyed material, and a first roller unit (140) is provided. and a first input part part 111 and a second roller part 150 that are disposed at the rear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T1 and are intended to transport relatively light transported materials, and include the transport direction T1. It is disposed in the front according to, provided with a second input part 112 intended to transport a relatively heavy transport,
The transfer unit 120 is
transfer unit bottom part 121; and
Containing; includes;
The transfer part side wall part 122,
Forming an overlapping portion (123b)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The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Doedoe extending back and forth on the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a plurality of bending lines (123a)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side to side;
a bonding piece (123c)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and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djacent transfer unit side wall unit (123); and
A cutout 123d formed in a "V" shape on one side of the bonding piece 123c through which the bending line 123a passes, and wel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ther adjacent conveyer side wall unit 123 (W1); Including, a chute for logistics transport.
KR1020210021706A 2021-02-18 2021-02-18 Transfer chute capable of safe transport and discharge of delivery KR1022996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706A KR102299643B1 (en) 2021-02-18 2021-02-18 Transfer chute capable of safe transport and discharge of deliv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706A KR102299643B1 (en) 2021-02-18 2021-02-18 Transfer chute capable of safe transport and discharge of deliv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643B1 true KR102299643B1 (en) 2021-09-08

Family

ID=7778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706A KR102299643B1 (en) 2021-02-18 2021-02-18 Transfer chute capable of safe transport and discharge of deliv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64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142B1 (en) 2017-08-22 2018-02-27 화동하이테크 주식회사 Work Auto Align and Transport Conveyor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142B1 (en) 2017-08-22 2018-02-27 화동하이테크 주식회사 Work Auto Align and Transport Conveyor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3913B1 (en) Transport box
US20050224644A1 (en) Support roller arrangement for use in an aircraft cargo hold
KR101003606B1 (en) Apparatus and transport container for transport and controlled discharge of a load
JP2001233527A (en) Sheet delivery device and printing device
CN203806745U (en) Sheet conveying device
KR102299643B1 (en) Transfer chute capable of safe transport and discharge of delivery
US20190337731A1 (en) Shoe sorter conveyor
KR20190061971A (en) Transfer truck of assembly type
JP6005009B2 (en) Sorting system and loading method
KR100768086B1 (en) Diverting apparatus of moving-object and diverting method
KR20110016868A (en) Belt conveyor and belt conveyor apparatus
JPH07206147A (en) Diverter for conveyor
KR101279038B1 (en) Stacker module for distributing letters
KR200484780Y1 (en) Slide shoe type sorter
JP3601099B2 (en) Carrier unit in sorting conveyor
CN100345169C (en) Tray for goods delivery of vending machine
JP7468294B2 (en) Shooting mechanism
KR102233828B1 (en) Slate plate and carousel having the same
JP3646544B2 (en) Paper sheet stacking device
KR102355465B1 (en) The driving apparatus for connecting plural belts
JP3988947B2 (en) Conveyor chain
JP2633112B2 (en) Bucket on bucket conveyor
KR20240082106A (en) Shuttle running rail
JP2633102B2 (en) Bucket on bucket conveyor
KR101281526B1 (en) Stacker module for distributing let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