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590B1 - Breathing apparatus for emergency - Google Patents

Breathing apparatus for emerg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590B1
KR102298590B1 KR1020200057683A KR20200057683A KR102298590B1 KR 102298590 B1 KR102298590 B1 KR 102298590B1 KR 1020200057683 A KR1020200057683 A KR 1020200057683A KR 20200057683 A KR20200057683 A KR 20200057683A KR 102298590 B1 KR102298590 B1 KR 102298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user
check valve
emergenc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피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피플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피플즈
Priority to KR102020005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5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5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4Hoo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62B7/04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and lung-controlled oxygen or ai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breathing device that can help evacuation quickly and safely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from a structure having a breathing aid unit on one side of a hood unit equipped with a fitting band and prevents suffocation accidents in advance to save the life of a user.

Description

긴급피난용 비상호흡장치{BREATHING APPARATUS FOR EMERGENCY}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for emergency evacuation {BREATHING APPARATUS FOR EMERGENCY}

본 발명은 긴급피난용 비상호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와 같은 위급한 상황 속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를 도와줄 수 있음은 물론, 질식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자의 생명 보호가 가능하도록 한 긴급피난용 비상호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for emergency evacuation,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help evacuation quickly and safely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as well as prevent a suffocation accident in advance, thereby protecting the life of the user It relates to a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for emergency evacuation.

통상, 화재는 대부분 건물의 실내로부터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화재 현장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은 대략 2 내지 5분 정도이다.In general, most of the fires occur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and in this case, the time required to escape from the fire site is about 2 to 5 minutes.

이러한 관점에서 화재가 일어났을 때 가장 큰 사망 요인은 화재로 인한 화상보다도 의도치 않게 각종 유독가스를 흡입함으로 인한 질식이며, 이러한 유독 가스는 몇차례만 흡입하더라도 의식을 잃게 되어 화재가 일어난 장소로부터 탈출하지 못하고 사망에 이를 수 있다.From this point of view, the biggest cause of death in a fire is suffocation caused by inhaling various toxic gases, rather than burns caused by a fire. Failure to do so may result in death.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화재 현장으로부터 정상적인 호흡을 하면서 탈출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열거할 수 있다.In view of the above, it was invented to escape while breathing normally from the fire scene, and the following can be enumerated.

구체적으로는 공개특허 제10-2004-0084195호의 "간이 공기재호흡기"와, 공개특허 제10-2005-0092997호의 "비상용 산소공급장치"와, 공개특허 제10-2008-0047523호의 "비상시 산소 안전 마스크"와, 등록특허 제10-1047082호의 "휴대용 자가 산소호흡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Specifically, "Simple Air Rebreather" of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84195, "Emergency Oxygen Supply Device" of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92997, and "Emergency Oxygen Safety Mask" of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47523 “Wow, and “Portable Self-Oxygen Respiration Device and Mask Equipped with Same”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47082, and the like.

전술한 선행기술들은 방독면이나 산소 탱크를 부착한 호흡 장치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이러한 장치들을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호흡하면서 화재 현장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을 것이지만, 문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호흡 장치들이 상시 휴대하고 다니기엔 하중 및 크기가 큰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spirator with a gas mask or oxygen tank attached, and it will be possible to escape from the fire scene while breathing normally using these devices, but the problem is that the respirator as described above is always carried and There is a problem with a large load and size to carry around.

따라서, 평소 주머니나 핸드백 등에 수납하여 휴대하고 다닐 수 있음은 물론 화재 현장과 같이 유독 가스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곳에서도 일정 시간 이상의 정상적인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be stored in a pocket or handbag and carried around as well as allowing normal breath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onger even in a place where a large amount of toxic gas is generated, such as at the scene of a fire.

공개특허 제10-2004-0084195호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84195 공개특허 제10-2005-0092997호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92997 공개특허 제10-2008-0047523호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47523 등록특허 제10-1047082호Registered Patent No. 10-104708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화재와 같은 위급한 상황 속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를 도와줄 수 있음은 물론, 질식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자의 생명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는 비상호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afely evacuate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as well as to prevent a suffocation accident in advance to protect the life of the user. This is to provide a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부와 안면 및 목 부분을 감싸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하며, 투명한 난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후드부;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신축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의 목 부분에 밀착되는 난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밀착 밴드; 및 상기 후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입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날숨으로 인하여 상기 후드부 내측면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호흡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호흡장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rround the user's head, face, and neck, the inner space is formed and one end is formed an open opening, a hood portion made of a transparent flame-retardant material; an adhesive band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stretchable, and made of a flame-retardant material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neck; and a breathing ai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o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uth, and preventing condensation from form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due to the user's exhalation. device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호흡보조부는, 상기 후드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날숨이 상기 후드부 외측으로 배출되어지되, 상기 후드부 바깥의 공기는 상기 후드부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규제하는 배기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breathing aid uni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od unit so that the user's exhaled breat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od unit, and an exhaust valve assembly for regulating that air outside the hood unit enters the inside of the hood unit. characterized in that

이때, 상기 호흡보조부는, 상기 후드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들숨에 의하여 상기 후드부 외측의 공기가 상기 후드부의 내부로 흡입되는 것만 허용하며, 상기 사용자의 날숨에 의하여 상기 후드부 내측의 공기가 상기 후드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규제하는 흡기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breathing aid uni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od unit to allow only the air outside the hood unit to be sucked into the hood unit by the user's inhalation, and the air inside the hood unit by the user's exhal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take valve assembly that regulates the discharge to the outside of the hood.

또한, 상기 흡기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사용자의 들숨에 의하여 상기 후드부 외측으로부터 상기 후드부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유독물질을 흡착 여과하는 여과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take valv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media for adsorbing and filtering tox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into the hood from the outside of the hood by the user's inhalation.

아울러, 상기 호흡보조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으로 물 수 있도록 상기 후드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입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마우스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날숨이 상기 후드부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만을 허용하는 배출 체크밸브와, 상기 마우스피스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들숨에 의한 상기 후드부 외측의 기체가 상기 후드부 내측으로 흡입되는 것만을 허용하는 흡입 체크밸브와, 상기 흡입 체크밸브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들숨에 의하여 상기 후드부 내측으로 흡입 가능한 압축산소가 내장된 산소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eathing aid unit, a mouthpiece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od to be bitten by the user's mouth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uth,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mouthpiece to prevent the user's exhalation A discharge check valve that allows only the exhaus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od, and a suction check that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mouthpiece and allows only the gas outside the hood by the user's inhalation to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hoo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xygen tank in which compressed oxygen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valve and the suction check valve and which can be sucked into the hood part by the user's inhal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우선,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부와 안면 및 목 부분을 감싸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하며, 투명한 난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후드부;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신축 가능하며, 사용자의 목 부분에 밀착되는 난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밀착 밴드; 및 후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입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날숨으로 인하여 후드부 내측면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호흡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화재와 같은 위급한 상황 속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를 도와줄 수 있음은 물론, 질식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자의 생명 보호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cover the user's head, face and neck, the inner space is formed and one end is formed an open opening, a hood portion made of a transparent flame-retardant material;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is stretchable, the adhesive band made of a flame-retardant material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neck; And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od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ut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spiratory assisting part that prevents condensation from form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due to the user's exhalation,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help evacuate quickly and safely in a situa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suffocation accidents in advance, thereby protecting users' lives.

특히, 본 발명은 후드부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이 가능하므로, 수납 및 보관이 편리하고, 사용자 직관적인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므로, 위급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착용하여 즉시 호흡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위급한 상황에서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으므로, 생존 가능성 또한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lightweight and compact implementation 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hood, so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store, and user-intuitive simple use is possible. , since it can give the user psychological stability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possibility of survival can also be significantly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호흡보조부는, 후드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날숨이 후드부 외측으로 배출되어지되, 후드부 바깥의 공기는 후드부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규제하는 배기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날숨으로 인한 김서림을 방지하므로, 위급한 상황에서도 원활한 시야를 확보하고 신속히 대피 경로를 파악하여 피신할 수 있게 될 것이다.And, the breathing assistanc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od unit so that the user's exhaled breat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od unit, by including an exhaust valve assembly for regulating that the air outside the hood unit enters the inside of the hood unit, the user As it prevents fogging caused by the exhalation of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호흡보조부는, 후드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들숨에 의하여 후드부 외측의 공기가 후드부의 내부로 흡입되는 것만 허용하며, 사용자의 날숨에 의하여 후드부 내측의 공기가 후드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규제하는 흡기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들숨에 의하여 후드부 외측으로부터 후드부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유독물질을 흡착 여과하는 여과재가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들숨에 의하여 후드부 외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유독물질을 여과하고 흡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질식으로 인한 치명적인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원활한 호흡을 도모하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And, the breathing ai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od unit and allows only the air outside the hood unit to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hood unit by the user's inhalation, and the air inside the hood unit by the user's exhalation from the hood unit Wha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cludes an intake valve assembly that regulates, but a filter medium that absorbs and filters tox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into the hood from the outside of the hood by the user's inhalation is built-in, so that by the user's inhalation By filtering and inhaling the tox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of the hood, it will be of great help to prevent fatal accidents due to suffocation in advance, promoting smooth breathing and enabling quick evacuation.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호흡보조부는, 사용자의 입으로 물 수 있도록 후드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입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마우스피스와, 마우스피스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날숨이 후드부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만을 허용하는 배출 체크밸브와, 마우스피스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들숨에 의한 후드부 외측의 기체가 후드부 내측으로 흡입되는 것만을 허용하는 흡입 체크밸브와, 흡입 체크밸브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들숨에 의하여 후드부 내측으로 흡입 가능한 압축산소가 내장된 산소탱크를 포함함으로써, 산소탱크의 용량에 따라 충분한 호흡 시간과 대피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생명과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respiratory auxiliar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thpiece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od to be bitten by the user's mouth and dispos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uth, and the mouthpiece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user's exhalation hood portion A discharge check valve that allows only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 suction check valve that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mouthpiece and allows only the gas outside the hood by the user's inhalation to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hood; By including an oxygen tank with a built-in compressed oxygen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and can be inhaled into the hood by the user's inhal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ufficient breathing time and evacuation time can be secur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oxygen tank. It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the life and safety of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산소탱크와 마우스피스의 연결부 등 일체를 분리 제거 가능한 일체의 패키지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핸드백이나 가방 또는 사용자의 의복 주머니에 수납하고 휴대하며 다니기에 불편함이 없으로 수납과 보관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킴은 물론, 후드부의 착용을 위한 작동이 매우 사용자 직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로 되어있으므로, 위급 상황시 사용자로 하여금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고 원활한 호흡과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l package in which the oxygen tank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mouthpiece can be separated and removed, so that it can be stored and stored in a handbag, bag, or user's clothing pocket without inconvenience to carry and carry. In addition to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hood, it has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operation for wearing the hood can be performed very intuitively, so it helps the user to breathe and evacuate quickly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in an emergency situation. You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gi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호흡장치의 착용 순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IIa-IIa 및 IIb-IIb 선 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호흡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호흡장치를 착용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conceptu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earing sequence of a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s IIa-IIa and IIb-IIb of FIG. 1;
3 is a perspective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4 to 6 are conceptu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wearing a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terms used (referred to)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nd elem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 'comprising (or hav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and operations. .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Also,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호흡장치의 착용 순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First, FIG. 1 is a perspective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earing sequence of an emergency respi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2는 도 1의 IIa-IIa 및 IIb-IIb 선 단면 개념도이다.And, FIG. 2 is a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s IIa-IIa and IIb-IIb of FIG. 1 .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호흡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Also, FIG. 3 is a perspective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아울러,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호흡장치를 착용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개념도이다.In addition, FIGS. 4 to 6 are conceptu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wearing a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2에서 도면부호 “i”는 후드부(10)의 내측을, 도면부호 “o”는 후드부(10)의 외측을 각각 가리킨다.For reference, in FIG. 2 , reference numeral “i” denotes an inside of the hood part 10 , and reference numeral “o” denotes an outside of the hood part 10 , respectively.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밀착 밴드(20)가 구비된 후드부(10)에 호흡보조부(30)가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reathing aid unit 30 is provided in the hood unit 10 provided with the close contact band 20 .

우선, 후드부(10)는 사용자(40)의 두부(41)와 안면(42) 및 목(43) 부분을 감싸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하며, 투명한 난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다.First, the hood 10 is formed with an internal space to cover the head 41, face 42, and neck 43 of the user 40, and forms an opening with one end open, and is made of a transparent flame-retardant material. it has been done

그리고, 밀착 밴드(20)는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신축 가능하며, 사용자(40)의 목(43) 부분에 밀착되는 난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In addition, the adhesion band 20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so as to be stretchable and made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eck 43 of the user 40 .

또한, 호흡보조부(30)는 후드부(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40)의 입(44)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40)의 날숨으로 인하여 후드부(10) 내측면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In addition, the breathing aid unit 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od unit 10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uth 44 portion of the user 40, and due to the user's 40 exhalation, the inside of the hood unit 10 It is provided to prevent condensation from forming on the side surface.

후드부(10)와 밀착 밴드(20) 및 호흡보조부(30)는 고온 내열성과 내화학성 및 내부식성이 뛰어난 소재라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아라미드 섬유와 같은 특수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hood portion 10 and the adhesive band 20 and the breathing aid portion 30 may be any material with excellent high temperature heat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and for example, a special material such as aramid fiber may be used.

따라서, 사용자(40)는 개구부를 따라 형성된 밀착 밴드(20)를 ①양옆으로 벌려 ②사용자(40)의 두부(41)로부터 밀어넣어 후드부(10)를 쓰고 최종적으로 밀착 밴드(20)를 목(43) 부분에 밀착되게 하고 호흡보조부(30)를 이용하여 호흡하면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40 uses the hood portion 10 by pushing the adhesive band 20 formed along the opening ① from the head 41 of the user 40 by spreading it to the sides ② and finally attaching the adhesive band 20 to the neck. (43) It i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rt and breathe using the breathing auxiliary unit (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also be applied to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우선, 호흡보조부(30)는, 도 2와 같이 후드부(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사용자(40)의 날숨이 후드부(10) 외측으로 배출되어지되, 후드부(10) 바깥의 공기는 후드부(10)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규제하는 배기밸브 어셈블리(30a)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breathing aid unit 3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od unit 10,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exhalation of the user 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od unit 10, the air outside the hood unit 10 is It may include an exhaust valve assembly 30a that regulates entry into the inside of the hood 10 .

여기서, 배기밸브 어셈블리(30a)는, 도 2(a)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후드부(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 고정 하우징(30ha)과, 제1 고정 하우징(30ha)에 대하여 탈착 결합되는 제1 탈착 하우징(30hb)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xhaust valve assembly 30a, when view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include a first detachable housing (30hb)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이때, 배기밸브 어셈블리(30a)는, 제1 고정 하우징(30ha)과 제1 탈착 하우징(30hb)에 후드부(10)의 내측과 외측이 상호 연통되게 관통되는 복수의 제1 통기 슬롯(30sa)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haust valve assembly 30a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ventilation slots 30sa through whic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od part 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fixed housing 30ha and the first detachable housing 30hb. may include.

또한, 배기밸브 어셈블리(30a)는, 제1 탈착 하우징(30hb)과 제1 고정 하우징(30ha)의 맞물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밸브 챔버(30ca)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자(40)의 날숨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만 허용하는 배출 체크밸브(3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valve assembly 30a is mounted inside the first valve chamber 30ca formed by the engagement of the first detachable housing 30hb and the first fixed housing 30ha, so that the user 40's exhalation is external. It may include a discharge check valve 31 that only allows the discharge to the.

한편, 호흡보조부(30)는, 후드부(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사용자(40)의 들숨에 의하여 후드부(10) 외측의 공기가 후드부(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것만 허용하며, 사용자(40)의 날숨에 의하여 후드부(10) 내측의 공기가 후드부(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규제하는 흡기밸브 어셈블리(30b)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reathing aid unit 3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od unit 10 and allows only the air outside the hood unit 10 to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hood unit 10 by the inhalation of the user 40, An intake valve assembly 30b for regulating that the air inside the hood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od 10 by the user's 40 exhalation may be included.

여기서, 흡기밸브 어셈블리(30b)는, 도 2(a)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후드부(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 고정 하우징(30hc)과, 제2 고정 하우징(30hc)에 대하여 탈착 결합되는 제2 탈착 하우징(30hd)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take valve assembly 30b is, when view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include a second detachable housing (30hd)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이때, 흡기밸브 어셈블리(30b)는, 제2 고정 하우징(30hc)과 제2 탈착 하우징(30hd)에 후드부(10)의 내측과 외측이 상호 연통되게 관통되는 복수의 제2 통기 슬롯(30sb)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take valve assembly 30b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ventilation slots 30sb through whic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od part 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second fixed housing 30hc and the second detachable housing 30hd. may include.

또한, 흡기밸브 어셈블리(30b)는, 제2 탈착 하우징(30hd)과 제2 고정 하우징(30hc)의 맞물림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밸브 챔버(30cb)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자(40)의 들숨에 의하여 후드부(10) 외측의 공기가 후드부(10) 내측으로 흡입되는 것만 허용하는 흡입 체크밸브(3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ake valve assembly (30b) is mounted inside the second valve chamber (30cb) formed by the engagement of the second detachable housing (30hd) and the second fixed housing (30hc) by the user 40's inhalation. It may include a suction check valve 32 that allows only the air outside the hood 10 to be sucked into the hood 10 .

아울러, 흡기밸브 어셈블리(30b)는, 사용자(40)의 들숨에 의하여 후드부(10) 외측으로부터 후드부(10)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유독물질을 흡착 여과하는 여과재(30f)가 내장되는 것이 원활한 호흡을 위하여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take valve assembly 30b has a filter medium 30f for adsorbing and filtering tox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into the hood 10 from the outside of the hood 10 by the user's inhalation. It is desirable for smooth breathing.

한편, 호흡보조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40)의 입(44)으로 물 수 있도록 후드부(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사용자(40)의 입(44)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마우스피스(30p)을 이용하여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breathing aid unit 3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od unit 10 so as to bite into the mouth 44 of the user 40 as shown in FIG. 3 to correspond to the mouth 44 of the user 40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embodiment of the structure to allow breathing using the mouthpiece (30p) disposed at the position.

우선, 호흡보조부(30)는 마우스피스(30p)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40)의 날숨이 후드부(10)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만을 허용하는 배출 체크밸브(31)와, 마우스피스(30p)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40)의 들숨에 의한 후드부(10) 외측의 기체가 후드부(10) 내측으로 흡입되는 것만을 허용하는 흡입 체크밸브(3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First, the breathing aid unit 30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mouthpiece 30p and the discharge check valve 31 allowing only the exhalation of the user 4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od 10, and the mouthpiece 30p )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check valve 32 that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user 40 and allows only the gas outside the hood 10 by the inhalation of the user 40 to be sucked into the hood 10 .

그리고, 호흡보조부(30)는 흡입 체크밸브(32)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40)의 들숨에 의하여 후드부(10) 내측으로 흡입 가능한 압축산소가 내장된 산소탱크(33)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And, the breathing aid unit 3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uction check valve 32, and the oxygen tank 33 having a built-in compressed oxygen that can be inhaled into the hood unit 10 by the user's inhal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40). may include more.

한편, 호흡보조부(3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산소탱크(33)의 입구부에 장착되어 압축산소의 배출량을 조절 가능한 조절 밸브(33v)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respiratory auxiliary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valve 33v mounted on the inlet of the oxygen tank 33 to control the amount of compressed oxygen as shown in FIGS. 4 to 6 .

그리고, 호흡보조부(30)는, 조절 밸브(33v)와 흡입 체크밸브(32) 사이를 연결하는 난연성 소재의 플렉시블한 연결 호스(3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nd, the respiratory auxiliary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flexible connection hose 34 made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for connecting between the control valve (33v) and the suction check valve (32).

조절 밸브(33v)는 도 3과 같이 연결 호스(34)의 배관 상에 장착되도록 하는 응용 및 변형 설계도 가능함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control valve 33v can be applied and modified to be mounted on the pipe of the connecting hose 34 as shown in FIG. 3 .

그리고, 호흡보조부(30)는, 산소탱크(33)의 입구부에 장착되어 조절 밸브(33v) 및 연결 호스(34)를 수용 가능하며, 비상시 산소탱크(33)의 입구부로부터 제거 가능한 임시수용통(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eathing aid unit 30 is mounted on the inlet of the oxygen tank 33 to accommodate the control valve 33v and the connecting hose 34 , and temporarily accommodates removable from the inlet of the oxygen tank 33 in an emergency. It may further include a barrel (35).

여기서, 임시수용통(35)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35m)이 형성될 수 있다.Here, a male screw thread (35m)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emporary container (35).

이때, 임시수용통(35)는 포장용기(36)과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mporary container 35 may be engaged with the packaging container 36 .

포장용기(36)는 수나사산(35m)과 맞물리는 암나사산(36f)이 형성되는 내주면을 가지는 네크부(36n)와, 네크부(36n)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으로 수용 공간을 구비한 통 형상의 부재이다.The packaging container 36 has a neck portion 36n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which a female screw thread 36f engaged with the male screw thread 35m is formed, and a cylindrical member extending from the neck portion 36n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am.

따라서, 포장용기(36)의 수용 공간에는 도 4(a)와 같이 절첩되어 부피가 축소된 후드부(10)와, 마우스피스(30p)와, 배출 체크밸브(31)와, 흡입 체크밸브(32)가 수용됨으로써, 장치 전체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경량화 및 컴팩트화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packaging container 36, the hood portion 10, the mouthpiece 30p, the discharge check valve 31, and the suction check valve ( 32) is accommodated, so that the overall volume of the device can be minimized to realize weight reduction and compactness.

즉, 포장용기(36)와 산소탱크(33)가 임시수용통(35)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패키지 형태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가방이나 핸드백 또는 사용자의 의복의 주머니에 넣고 다닐 수 있을 정도로 수납과 보관 및 운반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packaging container 36 and the oxygen tank 33 are connected by the temporary container 35 and provided in the form of an integrally formed package, so that it can be carried in a bag, a handbag, or a pocket of the user's clothes in normal times. It will be possible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storage, storage and transport.

한편, 호흡보조부(30)는, 비상시 임시수용통(35)을 제거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구조를 부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spiratory auxiliary unit 3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the following structure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temporary container 35 can be removed and used in an emergency.

즉, 호흡보조부(30)는, 임시수용통(35)과 산소탱크(33)의 입구부 사이를 일시적으로 연결하며, 비상시 포장용기(36)를 임시수용통(35)으로부터 분리하였을 때, 산소탱크(33)의 입구부로부터 임시수용통(35)이 분리 제거되도록 외력에 의하여 파단되도록, 임시수용통(35)의 내경과 외경 차이인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지는 링 형상의 절단제거 네크(35n)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at is, the breathing aid unit 30 temporarily connects between the temporary container 35 and the inlet of the oxygen tank 33 , and when the packaging container 36 is separated from the temporary container 35 in an emergency, oxygen A ring-shaped cut having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diameter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temporary container 35 so that the temporary container 35 is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inlet of the tank 33 and is broken by an external force. It may further include a removal neck (35n).

그리고, 호흡보조부(30)는, 양단 관통인 임시수용통(35)이 절반으로 분리되도록 안장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절반부(35ha) 및 제2 절반부(35hb)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eathing aid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half portion 35ha and a second half portion 35hb formed in a saddle shape so that the temporary container 35 passing through both ends is separated in half.

또한, 호흡보조부(30)는, 제1 절반부(35ha) 및 제2 절반부(35hb)가 맞물려 임시수용통(35)이 형성되게 제1 절반부(35ha)와 제2 절반부(35hb)의 맞물리는 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맞물림 돌홈부(35g)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respiratory assisting part 30 includes a first half 35ha and a second half 35hb such that the first half 35ha and the second half 35hb are engaged to form a temporary container 35 . It may further include an engaging stone groove portion (35g) formed along the engaging portion of the.

아울러, 호흡보조부(30)는, 패키지 형태로 제공되도록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구조를 부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respiratory auxiliary unit 3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ackage to minimize the volume so as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referring to FIG. 5 , i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the following structure.

우선, 호흡보조부(30)는, 임시수용통(35)의 말단부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 단턱부(35s)와, 안착 단턱부(35s)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으로, 마우스피스(30p)와 배출 체크밸브(31)와 흡입 체크밸브(32)가 고정되는 안착편(37)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First, the breathing aid unit 30 is to be detachably seated on the seating stepped portion (35s) and the seating stepped portion (35s) formed to be stepp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temporary container (35), and a mouthpiece (30p)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piece 37 to which the discharge check valve 31 and the suction check valve 32 are fixed.

아울러, 호흡보조부(30)는, 안착편(37)이 고정된 후드부(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산소탱크(33)를 수납 고정 가능한 포켓(38, 이하 도 3 참조)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breathing aid unit 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od unit 10 to which the seating piece 37 is fixed, and may further include a pocket 38 (see FIG. 3 below) that can accommodate and fix the oxygen tank 33 . There will be.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호흡장치의 사용 과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도 4 내지 도 6을 구체적으로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간략히 설명코자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using the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sequentially with specific reference to FIGS. 1 to 3 and FIGS. 4 to 6 .

평상시에는 도 4(a)와 같이 산소탱크(33)의 조절 밸브(33v)와 연결 호스(34)는 임시수용통(35)에 수용되어 있으며, 임시수용통(35)은 산소탱크(33)에 임시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Normally, as shown in Fig. 4(a), the control valve 33v of the oxygen tank 33 and the connecting hose 34 are accommodated in the temporary container 35, and the temporary container 35 is the oxygen tank 33. is temporarily connected to

이때, 후드부(10)와 마우스피스(30p) 및 배출 체크밸브(31)와 흡입 체크밸브(32)는 포장용기(36)에 수용되어 있고, 포장용기(36)의 네크부(36n)에 형성된 암나사산(36f)은 임시수용통(35)의 수나사산(35m)과 맞물려 일체의 패키지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상태이다.At this time, the hood part 10 and the mouthpiece 30p, the discharge check valve 31 and the suction check valve 32 are accommodated in the packaging container 36, and in the neck part 36n of the packaging container 36. The formed female thread (36f) is engaged with the male thread (35m) of the temporary container (35)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integral package.

이후, 화재나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위급 상황이 벌어진 경우에, 사용자(40)는 포장용기(36)의 네크부(36n)를 도 4(b)와 같이 임시수용통(35)으로부터 분리하고, 도 5(a)와 같이 나선형상으로 말려져 임시수용통(35)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연결호스(34)를 풀어낸다.Then, in the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a fire or toxic gas is generated, the user 40 separates the neck portion 36n of the packaging container 36 from the temporary container 35 as shown in FIG. 4(b), As shown in Fig. 5 (a), the connection hose 34 that was rolled up in a spiral shape and accommodated in the temporary container 35 is released.

이때, 연결호스(34)를 풀어내는 것은, 임시수용통(35)의 안착 단턱부(35s)에 안착되어 있던 안착편(37)을 분리시키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At this time, releasing the connecting hose 34 starts by separating the seating piece 37 seated on the seating step portion 35s of the temporary container 35 .

이후, 사용자는 도 5(b) 및 도 5(c)와 같이 제1, 2 절반부(35ha, 35hb)의 맞물림부, 즉 맞물림 돌홈부(35g)를 손가락으로 잡아누르면서 절단제거 네크(35n)를 비틀거나 전단력을 가하여 임시수용통(35)을 산소탱크(33)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연결 호스(34)를 임시수용통(35)으로부터 완전히 해방시키게 된다.Thereafter, the user presses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alves 35ha and 35hb, that is, the engagement stone groove portion 35g, with a finger as shown in FIGS. By twisting or applying shear force, the temporary container 35 is separated from the oxygen tank 33 and the connection hose 34 is completely released from the temporary container 35 .

계속하여, 사용자는 도 5(c) 및 도 6의 투명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사용자(40)의 두부(41)가 들어갈 수 있도록, 절첩되어 부피를 줄여놓은 후드부(10)를 펼치고 밀착 밴드(20)를 벌려서 삽입 면적을 확보한다.Subsequently, the user expands the hood portion 10, which is folded to reduce the volume, so that the head 41 of the user 40 can enter, as shown in the transparent arrow direction of FIGS. 20) to secure the insertion area.

다음으로, 사용자(40)는 두부(41)를 후드부(10) 속에 집어넣고 마우스피스(30p)를 사용자(40)의 입(44) 부분으로 물면 될 것이다.Next, the user 40 will insert the head 41 into the hood 10 and bite the mouthpiece 30p into the mouth 44 of the user 40 .

이때, 포켓(38)에 산소탱크(33)를 수납하거나, 산소탱크(33)를 사용자(40)가 쥐고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the oxygen tank 33 in the pocket 38 or to evacuate to a safe place by holding the oxygen tank 33 by the user 40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호흡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ooked at as follows.

우선, 본 발명은 사용자(40)의 두부(41)와 안면(42) 및 목(43) 부분을 감싸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하며, 투명한 난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후드부(10);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신축 가능하며, 사용자(40)의 목(43) 부분에 밀착되는 난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밀착 밴드(20); 및 후드부(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40)의 입(44)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40)의 날숨으로 인하여 후드부(10) 내측면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호흡보조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화재와 같은 위급한 상황 속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를 도와줄 수 있음은 물론, 질식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자의 생명 보호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nal space is formed to cover the head 41, face 42, and neck 43 of the user 40, and an opening with one end is formed, and a hood part made of a transparent flame retardant material (10);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is stretchable, the user 40, the neck 43 of the close contact band 20 made of a flame-retardant material in close contact; And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od part 10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uth 44 of the user 40, and prevents condensation from form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part 10 due to the user's 40 exhal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reathing aid unit 30 to .

특히, 본 발명은 후드부(10)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이 가능하므로, 수납 및 보관이 편리하고, 사용자 직관적인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므로, 위급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착용하여 즉시 호흡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위급한 상황에서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으므로, 생존 가능성 또한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light weight and compactness 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hood 10, storage and storage are convenient, and user intuitive and simple use is possible, so it can be worn quickly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breathe immediately Since it can give the user psychological stability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possibility of survival can also be significantly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호흡보조부(30)는, 후드부(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사용자(40)의 날숨이 후드부(10) 외측으로 배출되어지되, 후드부(10) 바깥의 공기는 후드부(10)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규제하는 배기밸브 어셈블리(30a)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날숨으로 인한 김서림을 방지하므로, 위급한 상황에서도 원활한 시야를 확보하고 신속히 대피 경로를 파악하여 피신할 수 있게 될 것이다.And, the breathing aid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od unit 10 so that the user's 40 exhaled breath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od unit 10, the air outside the hood unit 10 is By including the exhaust valve assembly 30a for regulating the entry into the inside of the hood 10, fogging due to the user's exhalation is prevented, so that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a smooth view can be secured and an evacuation route can be quickly identified and escaped. there will b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호흡보조부(30)는, 후드부(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사용자(40)의 들숨에 의하여 후드부(10) 외측의 공기가 후드부(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것만 허용하며, 사용자(40)의 날숨에 의하여 후드부(10) 내측의 공기가 후드부(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규제하는 흡기밸브 어셈블리(30b)를 포함하되, 사용자(40)의 들숨에 의하여 후드부(10) 외측으로부터 후드부(10)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유독물질을 흡착 여과하는 여과재(30f)가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들숨에 의하여 후드부(10) 외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유독물질을 여과하고 흡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질식으로 인한 치명적인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원활한 호흡을 도모하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And, the breathing aid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od unit 10 so that the air outside the hood unit 10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hood unit 10 by the inhalation of the user 40 . It includes an intake valve assembly 30b that only allows, and regulates that the air inside the hood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od 10 by the user's 40 exhalation, but the user 40's inhalation The filter medium 30f for adsorbing and filtering tox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into the hood 10 from the outside of the hood 10 by the By filtering and inhaling tox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t will be of great help to prevent fatal accidents due to suffocation in advance, promote smooth breathing and enable quick evacuation.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호흡보조부(30)는, 사용자(40)의 입(44)으로 물 수 있도록 후드부(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사용자(40)의 입(44)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마우스피스(30p)와, 마우스피스(30p)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40)의 날숨이 후드부(10)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만을 허용하는 배출 체크밸브(31)와, 마우스피스(30p)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사용자(40)의 들숨에 의한 후드부(10) 외측의 기체가 후드부(10) 내측으로 흡입되는 것만을 허용하는 흡입 체크밸브(32)와, 흡입 체크밸브(32)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40)의 들숨에 의하여 후드부(10) 내측으로 흡입 가능한 압축산소가 내장된 산소탱크(33)를 포함함으로써, 산소탱크(33)의 용량에 따라 충분한 호흡 시간과 대피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생명과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breathing aid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od unit 10 so that it can bite with the mouth 44 of the user 40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uth 44 of the user 40 . A mouthpiece (30p) disposed, a discharge check valve (31)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mouthpiece (30p) to allow only the exhalation of the user 4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od portion (10), and the mouthpiece ( 30p)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suction check valve 32 and the suction check valve 32 that allow only the gas outside the hood 10 by the inhalation of the user 40 to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hood 10 )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xygen tank 33 containing compressed oxygen that can be inhaled into the hood 10 by the inhalation of the user 4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oxygen tank 33 In that sufficient breathing time and evacuation time can be secured, the user's life and safety can be secured.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산소탱크(33)와 마우스피스(30p)의 연결부 등 일체를 분리 제거 가능한 일체의 패키지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핸드백이나 가방 또는 사용자의 의복 주머니에 수납하고 휴대하며 다니기에 불편함이 없으로 수납과 보관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킴은 물론, 후드부(10)의 착용을 위한 작동이 매우 사용자 직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로 되어있으므로, 위급 상황시 사용자로 하여금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고 원활한 호흡과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l package in which the oxygen tank 33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mouthpiece 30p can be separated and removed, so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store in a handbag, bag, or user's clothing pocket. This not only greatly improves the convenience of storage and storage, but also has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operation for wearing the hood 10 can be performed very intuitively, so that the user can have psychological stability in an emergenc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help enable smooth breathing and rapid evacu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화재 위험이 높은 공사현장이나 다중이용업소의 출입구나 기타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 비치해 두었다가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누구나 쉽게 착용하여 긴급피난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llows anyone to easily evacuate by wearing it in the event of a fire after it is placed at the entrance or other easily accessible place of a construction site or multi-use business with a high fire risk.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화재와 같은 위급한 상황 속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를 도와줄 수 있음은 물론, 질식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자의 생명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는 비상호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that can help evacuation quickly and safely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as well as prevent a suffocation accident in advance to protect the life of the user. It can be seen that this is done by thinking.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And,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also possible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후드부
20...밀착 밴드
30...호흡보조부
30a...배기밸브 어셈블리
30b...흡기밸브 어셈블리
30ca...제1 밸브 챔버
30cb...제2 밸브 챔버
30f...여과재
30ha...제1 고정 하우징
30hb...제1 탈착 하우징
30hc...제2 고정 하우징
30hd...제2 탈착 하우징
30p...마우스피스
30sa...제1 통기 슬롯
30sb..제2 통기 슬롯
31...배출 체크밸브
32...흡입 체크밸브
33...산소탱크
33v...조절 밸브
34...연결 호스
35...임시수용통
35ha...제1 절반부
35hb...제2 절반부
35g...맞물림 돌홈부
35m...수나사산
35n...절단제거 네크
35s...안착 단턱부
36...포장용기
36f...암나사산
36n...네크부
37...안착편
38...포켓
40...사용자
41...두부
42...안면
43...목
44...입
10... Hood
20...Adhesive band
30...Respiratory Aids
30a...Exhaust valve assembly
30b...Intake valve assembly
30ca...first valve chamber
30cb...Second valve chamber
30f...Filtration media
30ha...First fixed housing
30hb...First removable housing
30hc...Second fixed housing
30hd...Second removable housing
30p...mouthpiece
30sa...first vent slot
30sb..2nd ventilation slot
31...discharge check valve
32...suction check valve
33...Oxygen Tank
33v...regulating valve
34...connecting hose
35...temporary container
35ha...Part 1
35hb...Part 2
35g...interlocking stone groove
35m...male thread
35n...cut-off neck
35s...Resting step
36...packing container
36f...Female thread
36n...Neck
37...
38...pocket
40...Users
41...Tofu
42...Face
43...th
44...mouth

Claims (5)

사용자의 두부와 안면 및 목 부분을 감싸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하며, 투명한 난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후드부;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신축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의 목 부분에 밀착되는 난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밀착 밴드; 및
상기 후드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입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날숨으로 인하여 상기 후드부 내측면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호흡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흡보조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으로 물 수 있도록 상기 후드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입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마우스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날숨이 상기 후드부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만을 허용하는 배출 체크밸브와,
상기 마우스피스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들숨에 의한 상기 후드부 외측의 기체가 상기 후드부 내측으로 흡입되는 것만을 허용하는 흡입 체크밸브와,
상기 흡입 체크밸브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들숨에 의하여 상기 후드부 내측으로 흡입 가능한 압축산소가 내장된 산소탱크와,
상기 산소탱크의 입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압축산소의 배출량을 조절 가능한 조절 밸브와,
상기 조절 밸브와 상기 흡입 체크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난연성 소재의 플렉시블한 연결 호스와,
상기 산소탱크의 입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조절 밸브 및 상기 연결 호스를 수용 가능하며, 비상시 상기 산소탱크의 입구부로부터 제거 가능한 임시수용통와,
상기 임시수용통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상기 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주면을 가지는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으로 수용 공간을 구비한 통 형상의 포장용기와,
상기 임시수용통과 상기 산소탱크의 입구부 사이를 일시적으로 연결하며, 비상시 상기 포장용기를 상기 임시수용통으로부터 분리하였을 때, 상기 산소탱크의 입구부로부터 상기 임시수용통이 분리 제거되도록 외력에 의하여 파단되도록, 상기 임시수용통의 내경과 외경 차이인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지는 링 형상의 절단제거 네크와,
양단 관통인 상기 임시수용통이 절반으로 분리되도록 안장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절반부 및 제2 절반부와,
상기 제1 절반부 및 상기 제2 절반부가 맞물려 상기 임시수용통이 형성되게 상기 제1 절반부와 상기 제2 절반부의 맞물리는 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맞물림 돌홈부와,
상기 임시수용통의 말단부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 단턱부와,
상기 안착 단턱부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마우스피스와 상기 배출 체크밸브와 상기 흡입 체크밸브가 고정되는 안착편과,
상기 안착편이 고정된 상기 후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산소탱크를 수납 고정 가능한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 절첩되어 부피가 축소된 상기 후드부와, 상기 마우스피스와, 상기 배출 체크밸브와, 상기 흡입 체크밸브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호흡장치.
a hood part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an open end formed to cover the user's head, face, and neck, and made of a transparent flame-retardant material;
an adhesive band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stretchable, and made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neck; and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od portion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uth, and includes a respiratory assisting part for preventing condensation from form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d part due to the user's exhalation,
The breathing aid unit,
a mouthpiece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od so as to be bitten by the user's mouth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uth;
a discharge check valve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mouthpiece to allow only the user's exhalation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od;
a suction check valve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mouthpiece and allowing only the gas outside the hood to be sucked into the hood by the user's inhalation;
an oxygen tank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uction check valve and having a built-in compressed oxygen that can be inhaled into the hood by the user's inhal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 control valve mounted on the inlet of the oxygen tank to control the amount of compressed oxygen;
a flexible connection hose made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connecting the control valve and the suction check valve;
a temporary receiving tube mounted on the inlet of the oxygen tank to accommodate the control valve and the connecting hose, and removable from the inlet of the oxygen tank in an emergency;
A male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mporary container;
A neck portion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which a female screw thread engaged with the male screw thread is formed, and a cylindrical packaging container extending from the neck portion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 temporary container is temporarily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oxygen tank, and when the packaging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temporary container in an emergency, the temporary container is broken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temporary container is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inlet of the oxygen tank. A ring-shaped cut-and-remove neck having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of the temporary container, and
A first half and a second half formed in the shape of a saddle so that the temporary container passing through both ends is separated in half;
an engaging stone groove formed along an engaging portion of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so that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are engaged to form the temporary container;
And a seating step formed to be stepp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temporary container;
a seating piece to be detachably seated on the seating step portion, to which the mouthpiece, the discharge check valve, and the suction check valve are fixed;
and a pocket formed on one side of the hood to which the seating piece is fixed to accommodate and fix the oxygen tank,
The emergency respir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d portion, the mouthpiece, the discharge check valve, and the suction check valve are accommodated in the hood portion, the volume of which is reduced by being fold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보조부는,
상기 후드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날숨이 상기 후드부 외측으로 배출되어지되, 상기 후드부 바깥의 공기는 상기 후드부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규제하는 배기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호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eathing aid unit,
and an exhaust valve assem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od unit so that the user's exhala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od unit, and an exhaust valve assembly regulating that air outside the hood unit enters the hood unit.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보조부는,
상기 후드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들숨에 의하여 상기 후드부 외측의 공기가 상기 후드부의 내부로 흡입되는 것만 허용하며, 상기 사용자의 날숨에 의하여 상기 후드부 내측의 공기가 상기 후드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규제하는 흡기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호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eathing aid unit,
I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od part and allows only the air outside the hood part to be sucked into the hood part by the user's inhalation, and the air inside the hood par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od part by the user's exhalation. A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comprising a regulating intake valve assembl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기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사용자의 들숨에 의하여 상기 후드부 외측으로부터 상기 후드부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유독물질을 흡착 여과하는 여과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호흡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intake valve assembly,
An emergency respi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filter medium for adsorbing and filtering tox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into the hood from the outside of the hood by the user's inhalation is built-in.
삭제delete
KR1020200057683A 2020-05-14 2020-05-14 Breathing apparatus for emergency KR1022985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83A KR102298590B1 (en) 2020-05-14 2020-05-14 Breathing apparatus for emerg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83A KR102298590B1 (en) 2020-05-14 2020-05-14 Breathing apparatus for emergenc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590B1 true KR102298590B1 (en) 2021-09-06

Family

ID=7778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683A KR102298590B1 (en) 2020-05-14 2020-05-14 Breathing apparatus for emerg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59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440B1 (en) 2021-10-22 2022-02-14 주식회사 세이빙스토리 Life saving towel having oxygen generating function
KR102407033B1 (en) 2022-01-20 2022-06-10 주식회사 세이빙스토리 Life saving towel sheet and method fo preparing the same and life saving towel comprising the life saving towel sheet
KR102407035B1 (en) 2022-01-20 2022-06-10 주식회사 세이빙스토리 Life saving towel having oxygen generating functio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803Y1 (en) * 2001-10-22 2002-01-24 신봉근 Simplified gas mask
KR20040084195A (en) 2003-03-27 2004-10-06 주식회사 세실플라즈마 The rebreathing apparatus
KR20050092997A (en) 2004-03-17 2005-09-23 박경수 Respirator for emergency
KR20080047523A (en) 2008-05-10 2008-05-29 권칠성 An emergency situation use safety oxygen mask
KR101047082B1 (en) 2008-10-13 2011-07-06 김귀삼 Portable self-oxygen breathing apparatus and mask having same
KR101351834B1 (en) * 2011-11-17 2014-01-15 주식회사 삼정에이치앤에스 Respiratory apparatus
KR101743271B1 (en) * 2017-01-20 2017-06-14 주식회사 제이원퓨처스 Emergency Escape Respirator
KR20180027483A (en) * 2018-03-07 2018-03-14 주식회사 카이렌 Oxygen mask
KR102046716B1 (en) * 2018-05-30 2019-11-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Emergency respiratory equipment or positive surviving attempt during disaste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803Y1 (en) * 2001-10-22 2002-01-24 신봉근 Simplified gas mask
KR20040084195A (en) 2003-03-27 2004-10-06 주식회사 세실플라즈마 The rebreathing apparatus
KR20050092997A (en) 2004-03-17 2005-09-23 박경수 Respirator for emergency
KR20080047523A (en) 2008-05-10 2008-05-29 권칠성 An emergency situation use safety oxygen mask
KR101047082B1 (en) 2008-10-13 2011-07-06 김귀삼 Portable self-oxygen breathing apparatus and mask having same
KR101351834B1 (en) * 2011-11-17 2014-01-15 주식회사 삼정에이치앤에스 Respiratory apparatus
KR101743271B1 (en) * 2017-01-20 2017-06-14 주식회사 제이원퓨처스 Emergency Escape Respirator
KR20180027483A (en) * 2018-03-07 2018-03-14 주식회사 카이렌 Oxygen mask
KR102046716B1 (en) * 2018-05-30 2019-11-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Emergency respiratory equipment or positive surviving attempt during disas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440B1 (en) 2021-10-22 2022-02-14 주식회사 세이빙스토리 Life saving towel having oxygen generating function
KR102407033B1 (en) 2022-01-20 2022-06-10 주식회사 세이빙스토리 Life saving towel sheet and method fo preparing the same and life saving towel comprising the life saving towel sheet
KR102407035B1 (en) 2022-01-20 2022-06-10 주식회사 세이빙스토리 Life saving towel having oxygen generat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8590B1 (en) Breathing apparatus for emergency
US4494538A (en) Mask assembly
KR100896414B1 (en) Gas mask for using in escaping from fire
US6796304B2 (en) Personal containment system with sealed passthrough
JP2016019747A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AU2009257188A1 (en) Clean air receiving module and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ve systems incorporating the module
CN203598386U (en) First-aid gas defense mask
CN203750046U (en) Fire protection filtering type self-saving breathing apparatus
KR101340583B1 (en) Portable Oxygen Respiratory Apparatus
CN103550876A (en) First-aid anti-gas mask
EP2829304B1 (en) Air-fed protective suit with detachable breathing filter
US20060289004A1 (en) Air purifying escape hood
US20120312303A1 (en)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SCBA) with safety quick disconnect for permitting safe and ready access to a replacement breathing component
CN218572666U (en) Multifunctional chemical oxygen respirator
KR101513859B1 (en) Hood type gas mask
KR20170036854A (en) Emergency breathing apparatus
CN215841292U (en) Convenient and reliable fire-fighting self-rescuer
CA2893287C (en) Improved protective breathing apparatus inhalation duct
WO2020061779A1 (en) Handheld emergency breathing canister
KR102122494B1 (en) An Emergency Mask for securing golden time
KR200351789Y1 (en) emergency respiratory organs for portable
US20030192536A1 (en) Personal containment system with isolated blower
CN206896623U (en) Fireman's emergency self-saving device
CN212347481U (en) Emergency respirator for forest firemen
KR102040762B1 (en) First-aid kit of bag-type having a gas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