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934B1 -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beac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point information - Google Patents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beac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point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934B1
KR102297934B1 KR1020150043254A KR20150043254A KR102297934B1 KR 102297934 B1 KR102297934 B1 KR 102297934B1 KR 1020150043254 A KR1020150043254 A KR 1020150043254A KR 20150043254 A KR20150043254 A KR 20150043254A KR 102297934 B1 KR102297934 B1 KR 102297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beacon
information
beac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2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5480A (en
Inventor
곽재혁
박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043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934B1/en
Publication of KR2016011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4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9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 장치에 의한 제 1 무선 통신의 연결 방법에 있어서, 비콘 장치로부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방송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단말 장치의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On) 시키는 단계; 제 1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를, 비콘 장치로부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획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AP에 접속하여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이 개시된다.A method of connect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y a terminal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beacon signal broadcast throug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from a beacon device; when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turning on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device; acquiring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at least one AP for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rom a beacon device through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performing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y accessing an AP determined based on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at least one AP.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및 비콘 장치 및 이에 의한 AP 정보의 제공 방법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BEAC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POINT INFORMATION}A terminal device and a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by the sam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PA information by a beacon device and the same

본 발명은 AP(access point)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무선 통신 연결을 보조하는 비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n access point (AP), and a beacon device that assists in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terminal device.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이 발전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을 통해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이동통신사의 3G 망 또는 LTE 망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을 할 수도 있으나, 이동통신사는 3G 망 또는 LTE 망 등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과금을 하므로, 사용자들은 속도 및 비용 측면에서 효과적인 와이파이 통신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As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re developed, users are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through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Users can communicate with the Internet using the mobile operator's 3G network or LTE network. are using

와이파이 통신을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이 AP에 접속하여야 하는데, 모바일 단말이 AP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의 와이파이 기능이 온(ON)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의 와이파이 기능이 항상 온이 되어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가 빠르게 소모되거나, 모바일 단말이 기존에 접속하였던 AP의 SSID와 동일한 SSID를 갖는 페이크 AP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 등이 유출될 위험이 존재한다.For Wi-Fi communication, the mobile terminal must access the AP. In order for the mobile terminal to access the AP, the Wi-Fi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must be turned on. However, if the Wi-Fi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always on,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is quickly consumed, or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etc. may be lost when the mobile terminal accesses a fake AP having the same SSID as the SSID of the previously accessed AP. There is a risk of leakage.

배터리 소모량을 감소시키자 하는 사용자들은 와이파이 기능을 항상 오프로 유지하여 와이파이 통신을 아예 사용하지 않거나, 와이파이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고 있다.Users who want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either do not use Wi-Fi communication by keeping the Wi-Fi function off all the time, or use Wi-Fi communication by manually turning on and off the Wi-Fi function.

현재의 모바일 단말로는 비용 및 속도 측면에서 우수한 와이파이 통신을 이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존재하므로, 모바일 단말을 AP에 효율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Since the current mobile terminal is inconvenient to use excellent Wi-Fi communication in terms of cost and speed, a method for efficiently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to the AP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비콘 장치 및 이에 의한 AP 정보의 제공 방법은 단말 장치의 제 1 무선 통신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게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 terminal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nd a beacon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P information by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 ON and OFF of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aim to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비콘 장치 및 이에 의한 AP 정보의 제공 방법은 단말 장치가 페이크 AP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 terminal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by the same, and a beacon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P information by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preventing a terminal device from accessing a fake AP.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비콘 장치 및 이에 의한 AP 정보의 제공 방법은 단말 장치의 배터리의 소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 terminal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nd a beacon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P information by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of th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은,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 장치에 의한 제 1 무선 통신의 연결 방법에 있어서, 비콘 장치로부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방송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를, 상기 비콘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On)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AP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connect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y a terminal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beacon signal broadcast throug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from a beacon device; obtaining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for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beacon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turning on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beacon signal; and perform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y accessing an AP determined based on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무선 통신에 연결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통신 모듈; 제 2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비콘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방송되는 비콘 신호, 및 제 1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 모듈; 및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제 1 통신 모듈의 기능을 온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통신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AP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 terminal device for connecting to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es a beacon signal broadcast from a beacon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each of at least one AP for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control unit that turns on a function of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connects to an AP determined based on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to perfor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P 정보 제공 방법은,AP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비콘 장치에 의한 제 1 무선 통신을 위한 AP 정보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 장치가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 시킬 수 있도록,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비콘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 및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한 단말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AP information for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y a beacon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from each of at least one AP; Broadcasting a beacon signal through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terminal device can turn 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t may include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콘 장치는,A beac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무선 통신을 위한 AP의 정보를 제공하는 비콘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제 1 통신 모듈; 및 단말 장치가 상기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 시킬 수 있도록,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비콘 신호를 방송하는 제 2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통신 모듈은,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한 단말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A beacon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an AP for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obtain status information from each of at least one AP;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broadcasting a beacon signal through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terminal device can turn 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wherein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terminal device receiving the beacon signal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reque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비콘 장치 및 이에 의한 AP 정보의 제공 방법은 단말 장치의 제 1 무선 통신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A terminal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nd a beacon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P information by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 ON and OFF of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비콘 장치 및 이에 의한 AP 정보의 제공 방법은 단말 장치가 페이크 AP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nd the beacon device and the method for providing AP information by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terminal device from accessing the fake AP.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비콘 장치 및 이에 의한 AP 정보의 제공 방법은 단말 장치의 배터리의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nd the beacon device and the AP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by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termin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AP, 비콘 장치 및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t least one AP, a beacon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P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eac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The term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means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fresh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par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units' or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AP(100), 비콘 장치(200) 및 단말 장치(300)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t least one AP 100 , a beacon device 200 , and a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은 자신에게 접속한 단말 장치(300)에게 제 1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 1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통신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AP(100)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방법(Infrastructure 방식)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무선 통신에 포함될 수 있다.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provide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terminal device 300 accessing i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Wi-Fi communication, and is included 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a communication method (infrastructure method) for connecting to the AP 100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can

비콘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비콘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할 수 있다. The beacon device 200 obtains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 The beacon device 2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by wire or wirelessly.

예를 들어, 비콘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에 접속하여 제 1 무선 통신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은 비콘 장치(200)가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비콘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내부 구성 요소로 포함되어,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eacon device 200 may access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and obtain status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s another example, although FIG. 1 illustrates that the beacon device 200 is positioned outside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 the beacon device 200 is an internal component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 may be included to obtain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

비콘 장치(200)는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비콘 신호를 방송한다. 또한, 비콘 장치(200)는 단말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를 단말 장치(300)로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제 2 무선 통신은 제 1 무선 통신과 상이한 방식의 통신으로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그비 통신 등 다양한 종류의 근거리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beacon device 200 broadcasts a beacon signal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lso, the beacon device 200 may transmit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to the terminal device 300 through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terminal device 300 .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Bluetooth commun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Zigbee communication.

단말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 중 어느 하나의 AP(100)에 접속하여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노트북 및 테블릿 PC 등 제 1 무선 통신과 제 2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라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300 is a device for performing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y accessing any one AP 100 among at least one AP 100 , and as shown in FIG. 1 ,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nd a tablet An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PC, may be included in the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AP(100)에 인접한 지점에 고정되어 있는 비콘 장치(200)가 계속적으로 이동을 하는 단말 장치(300)로 비콘 신호를 전송하여, AP(100)에 대한 단말 장치(300)의 접속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300)는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오프시킨 상태에서도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비콘 신호를 수신하므로, 주변에 AP(100)가 존재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acon device 200 fixed at a point adjacent to at least one AP 100 transmits a beacon signal to a terminal device 300 that continuously moves, and the AP 100 It is possible to assist the terminal device 300 to access the . In addition, since the terminal device 300 receives a beacon signal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turned off, it can be easily recognized that the AP 100 is present in the vicinity.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30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각 단계의 순서는 예시일 뿐이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각 단계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별도의 단계가 추가될 수도 있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of each step shown in FIG. 2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order of each step may be changed within the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 separate step may be added.

S210 단계에서, 단말 장치(300)는 비콘 장치(2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단말 장치(300)는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장치로서, 제 1 무선 통신 기능이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비콘 장치(200)로부터 방송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비콘 신호의 수신을 위해, 단말 장치(300)의 제 2 무선 통신 기능은 온으로 유지되어 있다.In step S210 , the terminal device 300 receives a beacon signal from the beacon device 200 . The terminal device 300 is a device to perfor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es a beacon signal broadcast from the beacon device 200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turned off. . In order to receive the beacon signal,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is kept on.

S220 단계에서, 단말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를 비콘 장치(200)로부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획득한다. 단말 장치(300)는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비콘 장치(200)로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In step S220 , the terminal device 300 obtains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from the beacon device 200 through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the terminal device 300 may request status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from the beacon device 200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신호의 암호화 여부, 신호 채널, 신호 강도, MAC 주소, 접속 단말 수, 쓰루풋(throughput) 및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사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includes an SSID (Service Set Identifier)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whether a signal is encrypted, a signal channel, a signal strength, a MAC address, the number of connected terminals, and a throughput. and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whether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is used.

후술하겠지만, 비콘 장치(200)가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는, 단말 장치(300)의 제 1 무선 통신 기능이 온 된 상태에서, 단말 장치(300)가 AP(100)로부터 방송되는 비콘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단순히 알 수 있는 AP(100)의 정보(예를 들어, SSID, 신호 강도)의 종류보다 더 다양하다. 그 이유는, 비콘 장치(200)가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를 제 1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에 내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collected by the beacon device 200 may b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device 300 to the AP 100 whil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is turned on. ), it is more diverse than the type of information (eg, SSID, signal strength) of the AP 100 that can be simply known by receiving a beacon frame broadcast from. The reason is that the beacon device 200 accesses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and receives status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through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or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This is because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can be directly obtained by being built in the .

한편, S210 단계와 S220 단계가 서로 분리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예에 따라서는, 비콘 장치(200)는 비콘 신호에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리스트 및 상태 정보를 포함시켜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방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비콘 신호를 수신한 단말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의 획득을 위한 요청을 별도로 전송할 필요가 없게 된다.Meanwhile, although the steps S210 and S220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beacon device 200 includes a list and status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in the beacon signal for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It can also be broadcast through 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300 receiving the beacon signal does not need to separately transmit a request for obtaining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

S230 단계에서, 단말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할 AP(100)를 결정한다.In step S230 , the terminal device 300 determines the AP 100 to be access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

S240 단계에서, 단말 장치(300)는 비콘 신호의 수신에 따라 주변에 AP(100)가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단말 장치(300)의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ON) 시킨다. 단말 장치(300)는 비콘 신호가 수신되고, S230 단계에서 접속할 AP가 결정된 이후에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 시킬 수 있고, 또는, 접속할 AP가 결정되기 이전이라도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 시킬 수도 있다.In step S240 , the terminal device 300 recognizes that the AP 100 is located nearby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beacon signal, and turns 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 The terminal device 300 may turn 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fter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and the AP to access is determined in step S230, or when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even before the AP to access is determined,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You can also turn on the function.

S250 단계에서, 단말 장치(300)는 S230 단계에서 결정된 AP(100)에 접속하여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단말 장치(300)가 AP(100)에 접속하여 제 1 무선 통신, 예를 들어,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인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step S250 , the terminal device 300 accesses the AP 100 determined in step S230 and perform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 process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300 accesses the AP 100 and perform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Wi-Fi communication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300)는 제 1 무선 통신 기능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비콘 장치(200)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 시켜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치(300)의 제 1 무선 통신 기능이 항상 온으로 유지되지 않더라도 제 1 무선 통신의 효율적이 사용이 가능해진다.When a beac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beacon device 200 even whe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s turned off, the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urns 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o perform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Since the function can be performe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s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even i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is not always kept 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300)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각 단계의 순서는 예시일 뿐이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각 단계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별도의 단계가 추가될 수도 있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order of each step shown in FIG. 3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order of each step may be changed within the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 separate step may be added.

S310 단계에서, 단말 장치(300)는 비콘 장치(200)로부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In step S310 , the terminal device 300 receives a beacon signal from the beacon device 200 through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S320 단계에서, 단말 장치(300)는 비콘 장치(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를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획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S310 단계와 S320 단계는 별도의 단계로 분리되지 않고, S310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가 비콘 신호에 포함되어 방송될 수도 있다.In step S320 , the terminal device 300 acquires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from the beacon device 200 through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steps S310 and S320 are not separated as separate steps, and in step S310,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may be included in a beacon signal and broadcast.

S330 단계에서, 단말 장치(300)는 수신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AP(100)의 접속 순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300)는 접속 가능 여부, 사용 가능한 쓰루풋 및 제 1 무선 통신 신호의 채널 중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AP(100) 사이의 접속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330 , the terminal device 300 determines the access priority of the AP 100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300 may determine the access priority between the at least one AP 100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access availability, available throughput, and channel redundancy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340 단계에서, 단말 장치(300)는 단말 장치(300)의 상태가 기 설정된 제 1 조건에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기 설정된 제 1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In step S340 , the terminal device 300 determines whether the state of the terminal device 300 satisfies a preset first condition. The preset first condition may be preset by the user.

기 설정된 제 1 조건은 단말 장치(300)의 위치, 현재 시간, 배터리량 및 단말 장치(300)의 소정 기능의 사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t first condition may include a condition for at least one of a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 a current time, a battery level, and whether a predetermined func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is used.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제 1 조건은 단말 장치(300)의 위치가 소정 위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단말 장치(300)의 현재 시간이 소정 시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단말 장치(300)의 배터리량이 소정 배터리량을 초과하는지 및 단말 장치(300)의 소정 기능(예를 들어, 테더링 기능)이 미사용 중인지 등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t first condition i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i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location range, whether the current time of the terminal device 300 i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time range, and the battery amount of the terminal device 300 is predetermined. Conditions such as whether the amount of battery is exceeded and whether a predetermined function (eg, a tethering func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is not in use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단말 장치(300)가 A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가 제 1 조건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 장치(300)는 비콘 장치(200)가 수신되면, 단말 장치(300)의 현재 위치가 A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ase where the terminal device 300 is located in area A is set as the first condition, when the beacon device 200 is received, the terminal device 300 se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to area A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it is located within

S350 단계에서, 단말 장치(300)는 단말 장치(300)의 상태가 기 설정된 제 1 조건에 만족하면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 시킨다. 제 1 조건은 제 1 무선 통신의 사용 장소 및 사용 시간 등을 제한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어떠한 조건도 설정하지 않은 경우, 단말 장치(300)는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바로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 시킬 수도 있다.In step S350 , the terminal device 300 turns 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when the state of the terminal device 300 satisfies the first preset condition. The first condition may be se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o limit the use place and time of use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if the user does not set any conditions, the terminal device 300 receives the beacon signal Accordingly,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may be immediately turned on.

S360 단계에서, 단말 장치(300)는 S330 단계에서 결정된 최우선 순위의 AP(100)에 접속하여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In step S360, the terminal device 300 accesses the AP 100 of the highest priority determined in step S330 and performs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구현예에 따라서는,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선호 AP(100)가 적어도 하나의 AP(100)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선호 AP(100)가 적어도 하나의 AP(100)에 포함된 경우에는 선호 AP(100)의 접속 순위가 최우선 순위가 아니더라도 선호 AP(100)에 접속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erminal device 300 determines whether the preferred AP 100 preset by the user is included in the at least one AP 100 , and the preferred AP 100 is the at least one AP 100 . ),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preferred AP 100 even if the access priority of the preferred AP 100 is not the highest priority.

또 다른 예로서, 단말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에 이동통신사 등 신뢰할 수 있는 업체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AP(10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특정 AP(100)의 접속 순위가 최우선 순위가 아니더라도 특정 AP(100)에 접속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a specific AP 100 provided by a trusted company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exists in the at least one AP 100 , the terminal device 300 has the highest priority for access to the specific AP 100 . Even if not, it is possible to access a specific AP 100 .

상기 선호 AP(100) 또는 특정 AP(100)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정보가 필요한 경우, 단말 장치(300)는 해당 인증 정보를 미리 저장함으로써, 단말 장치(300)는 선호 AP(100) 또는 특정 AP(100)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과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Wh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preferred AP 100 or a specific AP 100 is required, the terminal device 300 stores the correspond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dvance, so that the terminal device 300 is the preferred AP 100 or a specific AP. An authentication process for accessing (100)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S370 단계에서, 단말 장치(300)는 단말 장치(300)의 상태가 기 설정된 제 2 조건에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기 설정된 제 2 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In step S370 , the terminal device 300 determines whether the state of the terminal device 300 satisfies a preset second condition. The preset second condition may be preset by the user.

기 설정된 제 2 조건은 단말 장치(300)가 접속한 AP(100)의 신호 세기, 비콘 신호의 수신 여부, 단말 장치(300)의 위치, 현재 시간 및 배터리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t second condition may include a condition for at least one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AP 100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300 is connected, whether a beacon signal is received,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the current time, and the battery level. can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제 2 조건은 단말 장치(300)가 접속한 AP(100)의 신호 강도가 소정 세기 이하인지, 비콘 장치(200)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지, 단말 장치(300)의 위치가 소정 위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단말 장치(300)의 현재 시간이 소정 시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및 단말 장치(300)의 배터리량이 소정 배터리량 미만인지 등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t second condition is whether the signal strength of the AP 100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300 is connected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strength, whether a beacon signal from the beacon device 200 is not received, or whether the terminal device 300 Conditions such as whether the location i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location range, whether the current time of the terminal device 300 i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time range, and whether the battery amount of the terminal device 300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battery amount may include conditions.

예를 들어,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던 단말 장치(300)가 B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가 제 2 조건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 장치(300)는 단말 장치(300)의 현재 위치가 B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ase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300 perform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is located in the region B is set as the second condition, the terminal device 30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is located in the region B can determine whether

기 설정된 제 2 조건은 단말 장치(300)의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오프시키기 위한 차단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지에 대한 조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단 비콘 장치는 와이파이의 사용이 제한되는 사업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The preset second condition may include a condition on whether a beacon signal is received from a blocking beacon device for turning of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 For example, the blocking beacon device may be installed in a business where the use of Wi-Fi is restricted.

S380 단계에서, 단말 장치(300)는 단말 장치(300)의 상태가 기 설정된 제 2 조건에 부합하면,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오프시킨다.In step S380 , the terminal device 300 turns of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when the state of the terminal device 300 meets the preset second condition.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콘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beacon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100)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AP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410 단계에서, 비콘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비콘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에 순차적으로 접속하여 제 1 무선 통신을 통해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콘 장치(200)는 단말 장치(300)가 AP(100)에 접속하기 이전에 미리 AP(100)에 접속하여 AP(100)의 상세한 상태 정보를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410 , the beacon device 200 obtains state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 The beacon device 200 may sequentially access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to obtain status information through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efore the terminal device 300 accesses the AP 100 , the beac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ccess the AP 100 in advance to obtain and provide detailed state information of the AP 100 .

S420 단계에서, 비콘 장치(200)는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비콘 신호를 방송한다. In step S420, the beacon device 200 broadcasts a beacon signal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비콘 장치(200)가 방송하는 비콘 신호는 단말 장치(300)의 기능을 일정 부분 제어할 수 있다. 에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AP(100) 중 이동통신사 등 신뢰할 수 있는 업체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AP(10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비콘 장치(200)는 비콘 신호를 방송하여, 비콘 신호를 수신한 단말 장치(300)의 화면에 특정 AP(100)의 존재를 나타내는 팝업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통신사 등은 AP(100)를 일정 지역에 설치하면서 자신에 대한 광고 메시지가 단말 장치(300)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A beacon signal broadcast by the beacon device 200 may partially control a function of the terminal device 300 . For example, when a specific AP 100 provided from a trusted company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among at least one AP 100 exists, the beacon device 200 broadcasts a beacon signal, and the terminal receiving the beacon signal. A pop-up message indicating the existence of a specific AP 10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evice 300 . Through thi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etc. can install the AP 100 in a certain area and expose an advertisement message for itself to the terminal device 300 .

S430 단계에서, 비콘 장치(200)는 단말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를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In step S430 , the beacon device 200 transmits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to the terminal device 300 through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erminal device 30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300) 및 비콘 장치(200)는 단말 장치(300)가 페이크 AP에 접속하여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페이크 AP로의 접속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300)가 페이스 AP(100)를 감지한 경우, 단말 장치(300)는 페이크 AP의 접속 순위가 최상위이더라도 페이스 AP(100)에 접속하지 않는다. 또는, 비콘 장치(200)가 페이스 AP(100)를 감지한 경우, 비콘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 중 페이스 AP(100)를 제외한 나머지 AP(100)의 상태 정보만을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device 300 and the beacon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the access to the fake AP in order to prevent the terminal device 300 from accessing the fake AP and personal information from being leaked. can be performed. When the terminal device 300 detects the face AP 100 , the terminal device 300 does not access the face AP 100 even if the fake AP has the highest access priority. Alternatively, when the beacon device 200 detects the face AP 100 , the beacon device 200 only includes state information of the remaining APs 100 , excluding the face AP 100 among at least one AP 100 , as a terminal device. It can be transmitted to (300).

페이크 AP를 감지하는 일 예로서, 단말 장치(300) 또는 비콘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와, 기 저장된 페이크 AP 리스트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AP(100)에 페이크 AP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detecting a fake AP, the terminal device 300 or the beacon device 200 compares at least one AP 100 with a list of pre-stored fake APs, and the fake AP exists in the at least one AP 100 . can detect what you are doing.

다른 예로서, 단말 장치(300) 또는 비콘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의 식별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AP(100)와 페이크 AP 리스트의 비교 결과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AP(100)에 페이크 AP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300 or the beacon device 2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AP 100 to the external server, and the at least one AP 100 and the fake AP list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server. By receiving the comparison result,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a fake AP exists in the at least one AP 100 .

또 다른 예로서, 비콘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에 대해 핑 테스트(ping test)를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AP(100)에 페이크 AP가 포함되는지를 감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비콘 장치(200)는 어느 하나의 AP(100)에 접속하여, 특정 URL로 핑 테스트를 수행하고, 사전 설정된 DNS(Domain Name System)에 매핑된 IP 테이블과 핑(ping) 값이 돌아오는 IP가 상이한 경우, 해당 AP(100)를 페이크 AP로 감지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beacon device 200 accesses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and performs a ping test on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 It may also detect whether a fake AP is included. Specifically, the beacon device 200 accesses any one AP 100 , performs a ping test with a specific URL, and returns an IP table mapped to a preset DNS (Domain Name System) and a ping value. If the coming IP is different, the corresponding AP 100 may be detected as a fake AP.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5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500)는 제 1 통신 모듈(510), 제 2 통신 모듈(530) 및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terminal devic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0 ,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530 , and a control unit 550 .

제 1 통신 모듈(510)은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0 performs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Wi-Fi communication module.

제 2 통신 모듈(530)은 제 2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 모듈(530)은 비콘 장치(200)로부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방송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제 2 통신 모듈(530)은 적어도 하나의 AP(100)의 리스트 및 이들 각각의 상태 정보를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비콘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530 performs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530 receives a beacon signal broadcast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beacon device 200 .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530 may receive a list of at least one AP 100 and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m from the beacon device 200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제어부(550)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동작하며, 제 1 통신 모듈(510) 및 제 2 통신 모듈(530)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5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one or more programs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and may control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530 .

제어부(550)는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제 1 통신 모듈(510)의 기능을 온 시킨다. 제어부(550)는 단말 장치(500)의 상태와 기 설정된 제 1 조건을 비교하여, 단말 장치(500)의 상태가 기 설정된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제 1 통신 모듈(510)의 기능을 온 시킬 수도 있다.When a beacon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550 turns on the fun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0 . The control unit 550 compares the state of the terminal device 500 with a preset first condition,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0 when the state of the terminal device 500 satisfies the preset first condition. You can also bring it on.

제어부(550)는 비콘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통신 모듈(510)이 접속될 AP(100)를 결정한다. 제어부(550)는 접속될 AP(100)를 결정하는 데 있어, 적어도 하나의 AP(100)에 페이크 AP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제 1 통신 모듈(510)이 페이크 AP에는 접속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550 determines the AP 100 to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0 will be connect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transmitted from the beacon device 200 . In determining the AP 100 to be accessed, the controller 550 may prevent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0 from being connected to the fake AP by determining whether a fake AP exists in at least one AP 100 . .

제 1 통신 모듈(510)은 제어부(550)에 의해 결정된 어느 하나의 AP(100)에 접속하여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0 may access any one AP 100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550 to perform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구현예에 따라서는, 제어부(550)는 제 1 통신 모듈(510)이 어느 하나의 AP(100)에 접속되면, 제 2 통신 모듈(530)의 기능을 오프시키고, 제 1 통신 모듈(510)과 어느 하나의 AP(100) 사이의 접속이 종료되면 제 2 통신 모듈(530)의 기능을 온 시킴으로써, 단말 장치(500)의 배터리가 빠르게 소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0 is connected to any one AP 100 , the control unit 550 turns off the func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530 , and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510 .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AP 100 and the AP 100 is terminated, by turning on the func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530 ,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battery of the terminal device 500 from being rapidly exhaust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콘 장치(6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eacon device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콘 장치(600)는 제 1 통신 모듈(610), 제 2 통신 모듈(630) 및 검증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 beacon device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610 ,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30 , and a verification unit 650 .

제 1 통신 모듈(610)은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으로부터 제 1 무선 통신을 통해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비콘 장치(600)가 AP(100)의 구성으로서 AP(100)에 내장된 경우에는, 비콘 장치(600)가 AP(100) 장치의 내부 회로 구성을 통해 직접 AP(1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제 1 통신 모듈(610)은 비콘 장치(600)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610 accesses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and obtains state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through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beacon device 600 is built into the AP 100 as a component of the AP 100 , the beacon device 600 directly acquire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AP 100 through the internal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AP 100 device. Therefor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610 may be omitted from the beacon device 600 .

제 2 통신 모듈(630)은 비콘 신호를 방송하여 단말 장치(300)가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 시킬 수 있게 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30 allows the terminal device 300 to turn 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y broadcasting a beacon signal.

제 2 통신 모듈(63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한 단말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AP(100)의 리스트 및 적어도 하나의 AP(100) 각각의 상태 정보를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30 transmits a list of at least one AP 100 and status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100 through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terminal device 300 that has received the beacon signal.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300 .

검증부(650)는 적어도 하나의 AP(100)에 페이크 AP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페이크 AP의 감지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는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verification unit 650 determines whether the fake AP is included in the at least one AP 100 . Since the method for detecting the fake AP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2 통신 모듈(630)은 적어도 하나의 AP(100)에 페이크 AP가 포함된 경우, 페이크 AP를 제외한 나머지 AP(100)의 상태 정보만을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fake AP is included in the at least one AP 100 ,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30 may transmit only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remaining APs 100 excluding the fake AP to the terminal device 3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비콘 장치 및 이에 의한 AP 정보의 제공 방법은 단말 장치의 제 1 무선 통신 기능의 온 및 오프를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가 페이크 AP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terminal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nd a beacon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P information by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 ON and OFF of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rminal device from accessing the fake AP.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무선 통신 연결 방법, 및 비콘 장치 및 이에 의한 AP 정보의 제공 방법은 단말 장치의 배터리의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nd the beacon device and the AP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by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terminal device.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 optically readable medium (eg, CD-ROM, DVD, etc.) and a carrier wave (eg, Internet storage media such as transmission).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AP
200, 600: 비콘 장치
300, 500: 단말 장치
510: 제 1 통신 모듈
530: 제 2 통신 모듈
550: 제어부
610: 제 1 통신 모듈
630: 제 2 통신 모듈
650: 검증부
100: AP
200, 600: beacon device
300, 500: terminal device
510: first communication module
530: second communication module
550: control unit
610: first communication module
630: second communication module
650: verification unit

Claims (19)

단말 장치에 의한 제 1 무선 통신의 연결 방법에 있어서,
비콘 장치로부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방송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비콘 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를, 상기 비콘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와 기 설정된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On)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AP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 method for connecting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y a terminal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beacon signal broadcast throug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beacon device;
requesting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to the beacon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obtaining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for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beacon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comparing the state of the terminal device with a preset condition to turn on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device; and
and perform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y accessing an AP determined based on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Wi-Fi communicatio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comprising Bluetooth communi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 시키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 현재 시간, 상기 단말 장치의 배터리량 및 테더링 기능의 사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turning 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comparing the preset condition with at least one of a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a current time, a battery level of the terminal device, and whether a tethering function is used, and turning 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How to connect wireless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신호의 암호화 여부, 신호 채널, 신호 강도, MAC 주소, 접속 단말 수, 쓰루풋(throughput) 및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사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includes:
At least one of an SSID (Service Set Identifier)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whether a signal is encrypted, a signal channel, a signal strength, a MAC address, the number of connected terminals, a throughput, and whether to use a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abo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접속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최우선 순위의 AP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termining an access priority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and
and perform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y accessing an AP having the highest prior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중 상기 단말 장치에 기 설정된 선호 AP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선호 AP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perform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y accessing the preset preferred AP when a preset preferred AP exists in the terminal device among the at least one 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페이크 AP(fake AP)의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중 상기 페이크 AP 리스트에 포함된 AP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AP를 제외한 AP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obtaining a list of fake APs; and
and perform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y accessing an AP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AP when there is an AP included in the fake AP list among the at least one 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식별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중 상기 외부 서버에 의해 페이크 AP로 판단된 AP를 제외한 AP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to an external server; and
and perform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y accessing an AP other than an AP determined as a fake AP by the external server among the at least one 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접속한 AP의 신호 강도,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여부,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 현재 시간 및 상기 단말 장치의 배터리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devi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AP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whether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he current time, and the battery level of the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urning o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은,
상기 수신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특정 AP의 존재를 알리는 팝업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Based on the received beacon sig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a pop-up message notifying the presence of a specific AP on the screen.
제 1 무선 통신에 연결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통신 모듈;
제 2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비콘 장치로부터 상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방송되는 비콘 신호, 및 제 1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 모듈; 및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와 기 설정된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제 1 통신 모듈의 기능을 온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통신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AP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A terminal device for connecting to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es a beacon signal broadcast from a beacon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status information of each of at least one AP for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nd
When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a control unit that compares the state of the terminal device with a preset condition to turn on a func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devic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s configured to access an AP determined based on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and perfor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비콘 장치에 의한 제 1 무선 통신을 위한 AP 정보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AP에 제1무선 통신으로 접속하여, 각각의 AP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 장치가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 시킬 수 있도록,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비콘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 및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한 단말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정보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AP information for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by a beacon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ccessing at least one AP through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to obtain status information from each AP;
Broadcasting a beacon signal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terminal device can turn 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transmit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to the terminal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terminal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beacon sig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에 특정 AP가 포함된 경우, 상기 특정 AP의 존재를 알리는 팝업 메시지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비콘 신호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정보 제공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Broadcasting the beacon signal comprises:
and broadcasting a beac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device so that a pop-up message indicating the existence of the specific AP is displayed by the terminal device when a specific AP is included in the at least one AP How to provide AP inform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정보 제공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obtaining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and accessing each of the at least one AP to obtain status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중 페이크 AP 리스트에 포함된 AP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AP를 제외한 AP의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정보 제공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comprises:
and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device, status information of the APs except for the corresponding AP when there is an AP included in the fake AP list among the at least one AP.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P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에 접속되면, 상기 제 1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에 대한 핑 테스트(ping test)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태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중 상기 핑 테스트 결과 페이크 AP로 결정된 AP가 포함된 경우, 해당 AP를 제외한 AP의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 정보 제공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AP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cludes:
When each of the at least one AP is connected, performing a ping test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AP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comprises:
and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an AP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AP to the terminal device when an AP determined as a fake AP is included as a result of the ping test among the at least one AP.
제 1 무선 통신을 위한 AP의 정보를 제공하는 비콘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AP에 제1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여, 각각의 AP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제 1 통신 모듈; 및
단말 장치가 상기 제 1 무선 통신 기능을 온 시킬 수 있도록,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비콘 신호를 방송하는 제 2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통신 모듈은,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한 단말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P 각각의 상태 정보를 상기 제 2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장치.
In the beacon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AP for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accessing at least one AP through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to obtain status information from each AP; and
Comprising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broadcasting a beacon signal through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terminal device can turn o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The beac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AP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terminal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beacon signal.
KR1020150043254A 2015-03-27 2015-03-27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beac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point information KR1022979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254A KR102297934B1 (en) 2015-03-27 2015-03-27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beac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point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254A KR102297934B1 (en) 2015-03-27 2015-03-27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beac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point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480A KR20160115480A (en) 2016-10-06
KR102297934B1 true KR102297934B1 (en) 2021-09-06

Family

ID=57165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254A KR102297934B1 (en) 2015-03-27 2015-03-27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beac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point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9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727A1 (en) * 2018-07-25 2020-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in wireless lan system
KR102430428B1 (en) * 2021-02-03 2022-08-08 (주)아이지코 Termi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user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646B1 (en) * 2011-05-23 2012-01-18 김혜숙 Wireless lan access-point searching method for vertical handoff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beacon apparatu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4387B2 (en) * 2010-05-07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Detecting a WLAN signal using a bluetooth receiver during bluetooth scan activity
KR20130055501A (en) * 2011-11-18 2013-05-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of access poi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646B1 (en) * 2011-05-23 2012-01-18 김혜숙 Wireless lan access-point searching method for vertical handoff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beacon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480A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1042B2 (en) Exchanging ranging and location information among peer-to-peer devices
US107914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internet connection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095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up of wireless communication
US9264893B2 (en) Method for selecting access point with reliability
US9572190B2 (en) Device and method for associating with WiFi networks
JP7422092B2 (en) Network address policy information received pre-associated
CN105682015A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US201300583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hannel in wireless network
US20160183317A1 (en) Method to reduce user perceived connection time for miracast/widi
EP31237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ip address assignment
US2014025458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US2015034706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US96614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1025120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JPWO2013046849A1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server, method and program for monitoring unauthorized access points
WO2018103400A1 (en) Wireless fidelity wifi connection method and related product
CN109246658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ransmitting no-flow data
TWI508609B (en)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and wireless networking system
CN106453370B (en) Method and device for registering IPC (inter-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to NVR (network video recorder)
KR102310027B1 (en) Determination method and corresponding terminal,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torage medium
US201303311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hite space database discovery
KR102297934B1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beac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point information
US928874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mmunication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4217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Network
KR20160028091A (en) Access poi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and access point controller and method for managing access poi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